KR20200107709A - Omr 시스템 - Google Patents

Omr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7709A
KR20200107709A KR1020190062699A KR20190062699A KR20200107709A KR 20200107709 A KR20200107709 A KR 20200107709A KR 1020190062699 A KR1020190062699 A KR 1020190062699A KR 20190062699 A KR20190062699 A KR 20190062699A KR 20200107709 A KR20200107709 A KR 202001077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swer
omr
marking
general
t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26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42539B1 (ko
Inventor
윤성욱
Original Assignee
윤성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성욱 filed Critical 윤성욱
Publication of KR202001077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77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25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25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Toxic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OMR(Optical Mark Reader)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OMR 카드나 용지로 이용되는 시험 답안지의 교체 없이 바로 답안의 수정이 가능하고, 시험지의 문항 수와 시험 답안지의 문항 수가 일치하도록 커스터마이징 할 수 있으며, 자동 채점 후 시험 응시자의 시험 성적 결과를 쉽게 관리하는데 있다.
일례로, 일반답안 기입영역 및 수정답안 기입영역이 인쇄된 OMR 카드; 및 상기 OMR 카드를 생성하고, 상기 일반답안 기입영역 및 상기 수정답안 기입영역의 마킹을 각각 인식하여 채점을 수행하고, 채점 결과를 제공하는 OMR 처리 프로그램부를 포함하고, 상기 OMR 카드는, 시험응시자정보를 마킹 및 작성하기 위한 시험응시자정보 기입영역; 상기 일반문항번호를 마킹하기 위한 일반문항번호 마킹영역, 및 상기 일반답안을 마킹하기 위한 일반답안 마킹영역을 포함하는 일반답안 기입영역; 및 상기 수정문항번호를 십의 자리와 일의 자리로 구분하여 마킹하기 위한 수정문항번호 마킹영역, 및 상기 수정답안을 마킹하기 위한 수정답안 마킹영역을 포함하는 수정답안 기입영역을 포함하는 OMR 시스템을 개시한다.

Description

OMR 시스템{SYSTEM FOR OPTICAL MARK READER}
본 발명의 실시예는 OMR(Optical Mark Reader)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OMR(Optical Mark Reader) 카드나 용지는 국가고시, 학교나 학원에서의 정기적인 시험 등 다양한 시험에서 답안지로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OMR 카드나 용지를 이용한 답안지는 채점시간을 단축하여 성적을 빠르게 산출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수험자가 답안을 잘못 기표한 경우 별도의 수정용 도구를 사용하거나, 답안지를 전부 교체해야 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OMR 카드나 용지의 교환 시 발생되는 소음으로 인한 다른 시험 응시자들의 집중력 저하가 요인이 될 수 있고, OMR 카드나 용지의 교환 후 모든 답안을 다시 입력함에 따른 시험 응시자의 불편함이 존재한다.
등록특허공보 제10-0833690호(등록일자: 2008년05월23일)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21684호(공개일자: 2013년03월06일) 등록특허공보 제10-1333129호(등록일자: 2013년11월20일)
본 발명의 실시예는, OMR(Optical Mark Reader) 카드나 용지로 이용되는 시험 답안지의 교체 없이 바로 답안의 수정이 가능하고, 시험지의 문항 수와 시험 답안지의 문항 수가 일치하도록 커스터마이징 할 수 있으며, 자동 채점 후 시험 응시자의 시험 성적 결과를 쉽게 관리할 수 있는 OMR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OMR(Optical Mark Reader) 시스템은, 일반답안 기입영역 및 수정답안 기입영역이 인쇄된 OMR 카드; 및 상기 OMR 카드를 생성하고, 상기 일반답안 기입영역 및 상기 수정답안 기입영역의 마킹을 각각 인식하여 채점을 수행하고, 채점 결과를 제공하는 OMR 처리 프로그램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OMR 카드는, 시험응시자정보를 마킹 및 작성하기 위한 시험응시자정보 기입영역; 상기 일반문항번호를 마킹하기 위한 일반문항번호 마킹영역, 및 상기 일반답안을 마킹하기 위한 일반답안 마킹영역을 포함하는 일반답안 기입영역; 및 상기 수정문항번호를 십의 자리와 일의 자리로 구분하여 마킹하기 위한 수정문항번호 마킹영역, 및 상기 수정답안을 마킹하기 위한 수정답안 마킹영역을 포함하는 수정답안 기입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OMR 처리 프로그램부는, 시험차수정보를 입력 관리하기 위한 시험차수 입력 관리부; 상기 OMR 카드의 기본양식을 포함하는 OMR 전자파일을 생성하는 OMR 답안지 생성부; 상기 OMR 전자파일에서 상기 일반답안 기입영역 및 상기 수정답안 기입영역 중 적어도 하나 기입영역을 편집하기 위한 OMR 답안지 편집부; 상기 OMR 답안지 생성부 및 상기 OMR 답안지 편집부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생성된 OMR 전자파일을 저장 관리하기 위한 OMR 전자파일 저장 관리부; 상기 OMR 카드의 답안 마킹을 인식하고, 미리 저장된 답안 정보와 비교하여 시험 응시자 별로 채점을 수행하여 채점 결과를 제공하고, 시험 응시자 별 채점 결과에 기초하여 시험 응시자의 점수, 등수, 특정 점수대의 분포도 및 문항 별 정답율과 오답율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제공하는 OMR 인식 처리부; 및 상기 OMR 인식 처리부를 통해 제공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시험 응시자 별로 성적표 전자파일을 생성하고, 생성된 성적표 전자파일을 미리 저장된 시험 응시자의 연락처로 전송하는 성적표 생성 관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OMR 인식 처리부는, 상기 OMR 카드의 채점 수행 시, 상기 수정답안 기입영역에 마킹된 수정문항번호와 상기 일반답안 기입영역에 마킹된 일반문항번호가 서로 일치하는 경우 상기 일반문항번호에 해당하는 일반답안의 마킹을 상기 수정문항번호에 해당하는 수정답안의 마킹으로 대체 인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OMR(Optical Mark Reader) 카드나 용지로 이용되는 시험 답안지의 교체 없이 바로 답안의 수정이 가능하고, 시험지의 문항 수와 시험 답안지의 문항 수가 일치하도록 커스터마이징 할 수 있으며, 자동 채점 후 시험 응시자의 시험 성적 결과를 쉽게 관리할 수 있는 OMR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OMR(Optical Mark Reader) 카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OMR 처리 프로그램부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OMR 처리 프로그램부에 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구성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OMR(Optical Mark Reader) 카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OMR 처리 프로그램부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며, 도 3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OMR 처리 프로그램부에 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구성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OMR 시스템은, OMR 카드(100)와 OMR 처리 프로그램부(20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OMR 카드(100)에는 시험응시자정보 기입영역(110), 일반답안 기입영역(120) 및 수정답안 기입영역(130)이 인쇄되어 있다.
상기 시험응시자정보 기입영역(110)은 시험응시자정보를 마킹 및 작성하기 위한 기입영역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성명, 학년, 반, 번호 등의 정보를 마킹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또한 시험날짜, 시험차수정보(학기, 고사), 과목코드 등의 시험정보도 기입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일반답안 기입영역(12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문항번호를 마킹하기 위한 일반문항번호 마킹영역(121)과 일반답안을 마킹하기 위한 일반답안 마킹영역(122)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일반문항번호는 문제의 번호로 순차적으로 일반답안 기입영역(120) 내에 기재되어 있으며, 일반답안은 객관식 문항과 주관식 문항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수정답안 기입영역(13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정문항번호를 십의 자리와 일의 자리로 구분하여 마킹하기 위한 수정문항번호 마킹영역(131)과 수정답안을 마킹하기 위한 수정답안 마킹영역(132)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수정문항번호 마킹영역(131)은 시험응시자가 일반문항에 답안을 잘못 기재했을 때, 잘못 기재한 해당 일반문항번호를 마킹하는 영역으로, 해당 일반문항번호의 십의 자리번호와 일의 자리 번호로 나누어 기재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수정답안 마킹영역(132)은 답안이 잘못 기재된 일반문항에 대한 수정된 답안을 마킹하는 영역에 해당된다.
상기 OMR 처리 프로그램부(200)는 OMR 카드(100)의 전자파일을 생성하고, 일반답안 기입영역(120) 및 수정답안 기입영역(130)의 마킹을 각각 인식하여 채점을 수행하고 그에 따른 채점 결과와 함께 성적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OMR 처리 프로그램부(200)는 도 3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험차수 입력 관리부(210), OMR 답안지 생성부(220), OMR 답안지 편집부(230), OMR 전자파일 저장 관리부(240), OMR 인식 처리부(250) 및 성적표 생성 관리부(26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프로그램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시험차수 입력 관리부(210)는 시험차수정보를 입력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생성하고자 하는 OMR 카드(100)가 몇 학년도 1학기 중간고사, 1학기 기말고사, 2학기 중간고사 또는 2학기 기말고사인지 체크하여 입력할 수 있으며, 또한, 기 생성된 OMR 카드(100)의 양식을 검색하거나 불러오기가 필요할 경우에도 해당 학년도 정보와 시험차수정보를 각각 선택하여 확인할 수 있다.
상기 OMR 답안지 생성부(220)는 OMR 카드(100)의 기본양식을 포함하는 OMR 전자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OMR 카드(100)를 생성하고자 할 경우, 기본적인 양식을 포함하는 다양한 형태의 OMR 카드 샘플을 불러와 미리보기(2, 3)가 가능하며 해당 샘플에 대한 기본적인 파일 생성이 가능하다. 또한, 수학 답안지, 사회 답안지, 수행평가, 교내과학경시, 쪽지시험 등 다양한 목적과 카테고리(1)의 시험에 따른 OMR 전자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램덤 답안지 생성 버튼을 선택하여 임의의 OMR 양식을 제공할 수도 있다.
상기 OMR 답안지 편집부(230)는 OMR 답안지 생성부(200)를 통해 생성된 OMR 전자파일에서 일반답안 기입영역(120)과 수정답안 기입영역(130) 중 적어도 하나 기입영역을 편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항개수설정 화면(4)을 통해 객관식 문항 개수, 서술형 문항 개수, 정정 문항 구역 등을 추가, 변경 등의 편집 및 설정이 가능하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헝한 시험차수의 과목에 대하여 커스터마이징된 OMR 전자파일이 생성될 수 있다.
상기 OMR 전자파일 저장 관리부(240)는 OMR 답안지 생성부(220)와 OMR 답안지 편집부(230)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생성된 OMR 전자파일을 저장 관리할 수 있으며, 필요 시 해당 OMR 전자파일을 불러오거나 다른 사용자와 공유할 수 있다. 이러한 OMR 전자파일은 시험차수정보와 카테고리 등에 따라 분류되어 저장 관리될 수 있으며, OMR 용지가 준비되어 있는 경우 프린터를 통해 해당 OMR 전자파일을 출력함으로써 OMR 카드(100)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OMR 인식 처리부(250)는 OMR 카드(100)의 답안 마킹을 인식하고, 미리 저장된 답안 정보와 비교하여 시험 응시자 별로 채점을 수행하여 채점 결과를 제공하고, 시험 응시자 별 채점 결과에 기초하여 시험 응시자의 점수, 등수, 특정 점수대의 분포도 및 문항 별 정답율과 오답율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OMR 인식 처리부(250)는 시험차수정보와 과목코드정보 등을 이용하여 미리 저장된 답안 정보를 불러와, 시험 응시자로부터 수거된 OMR 카드(100)에 마킹된 답안 간을 비교하여 정답과 오답 여부를 판별할 수 있으며, 이러한 시험 응시자 별 채점 결과를 기반으로 시험 응시자의 과목 별 점수, 과목 별 반/학년 내 등수 등의 성적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OMR 인식 처리부(25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험 응시자의 번호(1)를 선택하여 원하는 응시자의 OMR 카드(100)를 불러올 수 있으며, 해당 OMR 카드(100)에 대한 문항 별 정답과 채점 결과(정답/오답 유무)를 확인할 수 있으며, 서술형 문제 또한 채점이 가능하다. OMR 카드(100)의 채점과 확인이 완료되면 저장 후 다음 시험 응시자의 채점과 확인이 가능하다. 취소 버튼을 선택하는 경우 서술형 채점이 초기 상태로 돌아갈 수 있다.
또한, OMR 인식 처리부(25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학년/반 별 각 시험 응시자(1)의 정/오답 여부와 OMR 카드(100)의 서술형 답안의 내용을 리스트(2)로 확인할 수 있으며, 한 반 내에 특정 점수가 얼마나 분포되었는지 문항 별로 정답과 오답율이 얼마나 되는지 등을 분석하여 통계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각 시험 응시자 별 등수 정보(4)를 제공할 수도 있다.
한편, OMR 인식 처리부(250)는 OMR 카드(100)의 채점 수행 시, 수정답안 기입영역(130)에 마킹된 수정문항번호와 일반답안 기입영역(120)에 마킹된 일반문항번호가 서로 일치하는 경우, 일반문항번호에 해당하는 일반답안의 마킹을 수정문항번호에 해당하는 수정답안의 마킹으로 대체 인식할 수 있다.
즉, 일반답안 기입영역(120)에서 시험 응시자가 수정하고자 하는 문항을 인식하는 방법에 있어서, 우선 수정하고자 하는 일반문항번호를 수정문항번호 마킹영역에 마킹한 후 수정답안 마킹영역(130)에 수정된 답안을 마킹하면, 수정문항번호와 일치하는 일반문항번호에 해당하는 일반답안을 무시하고, 해당 일반문항번호의 답안을 해당 수정문항번호의 답안으로 인식한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일반답안 기입영역(120)에 답안을 잘못 기재했더라도 OMR 카드(100)를 새롭게 교체할 필요 없이 그대로 사용 가능하며, 이에 따라, 교체 시 발생되는 소음 등을 줄이고 기존에 OMR 카드의 교체 시 모든 답안을 새롭게 옮겨 마킹해야하는 불편함을 해결할 수 있다.
상기 성적표 생성 관리부(260)는 OMR 인식 처리부(250)를 통해 제공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시험 응시자 별로 성적표 전자파일을 생성하고, 생성된 성적표 전자파일을 미리 저장된 시험 응시자의 연락처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험 응시자의 번호(1)를 선택하여 원하는 응시자의 채점 결과에 따른 점수, 등수 등의 성적 정보를 성적표 양식에 자동 입력하여 전자 성적표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생성된 전자 성적표는 시험 응시자 또는 보호자의 연락처(휴대폰, 이메일 등)로 전송될 수 있으며, 전송 시 별도의 알림 메시지를 추가로 자동 전송할 수 있다. 전자 성적표 생성 시, 코멘트나 이미지 등을 추가할 수도 있다. 물론, 생성된 전자 성적표의 프린트를 통한 인쇄물로도 생성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의한 OMR(Optical Mark Reader) 시스템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0: OMR 카드
110: 시험응시자정보 기입영역
120: 일반답안 기입영역
121: 일반문항번호 마킹영역
122: 일반답안 마킹영역
130: 수정답안 기입영역
131: 수정문항번호 마킹영역
132: 수정답안 마킹영역
200: OMR 처리 프로그램부
210: 시험차수 입력 관리부
220: OMR 답안지 생성부
230: OMR 답안지 편집부
240: OMR 전자파일 저장 관리부
250: OMR 인식 처리부
260: 성적표 생성 관리부

Claims (4)

  1. 일반답안 기입영역 및 수정답안 기입영역이 인쇄된 OMR 카드; 및
    상기 OMR 카드를 생성하고, 상기 일반답안 기입영역 및 상기 수정답안 기입영역의 마킹을 각각 인식하여 채점을 수행하고, 채점 결과를 제공하는 OMR 처리 프로그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MR 시스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OMR 카드는,
    시험응시자정보를 마킹 및 작성하기 위한 시험응시자정보 기입영역;
    상기 일반문항번호를 마킹하기 위한 일반문항번호 마킹영역, 및 상기 일반답안을 마킹하기 위한 일반답안 마킹영역을 포함하는 일반답안 기입영역; 및
    상기 수정문항번호를 십의 자리와 일의 자리로 구분하여 마킹하기 위한 수정문항번호 마킹영역, 및 상기 수정답안을 마킹하기 위한 수정답안 마킹영역을 포함하는 수정답안 기입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MR 시스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OMR 처리 프로그램부는,
    시험차수정보를 입력 관리하기 위한 시험차수 입력 관리부;
    상기 OMR 카드의 기본양식을 포함하는 OMR 전자파일을 생성하는 OMR 답안지 생성부;
    상기 OMR 전자파일에서 상기 일반답안 기입영역 및 상기 수정답안 기입영역 중 적어도 하나 기입영역을 편집하기 위한 OMR 답안지 편집부;
    상기 OMR 답안지 생성부 및 상기 OMR 답안지 편집부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생성된 OMR 전자파일을 저장 관리하기 위한 OMR 전자파일 저장 관리부;
    상기 OMR 카드의 답안 마킹을 인식하고, 미리 저장된 답안 정보와 비교하여 시험 응시자 별로 채점을 수행하여 채점 결과를 제공하고, 시험 응시자 별 채점 결과에 기초하여 시험 응시자의 점수, 등수, 특정 점수대의 분포도 및 문항 별 정답율과 오답율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제공하는 OMR 인식 처리부; 및
    상기 OMR 인식 처리부를 통해 제공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시험 응시자 별로 성적표 전자파일을 생성하고, 생성된 성적표 전자파일을 미리 저장된 시험 응시자의 연락처로 전송하는 성적표 생성 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MR 시스템.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OMR 인식 처리부는,
    상기 OMR 카드의 채점 수행 시, 상기 수정답안 기입영역에 마킹된 수정문항번호와 상기 일반답안 기입영역에 마킹된 일반문항번호가 서로 일치하는 경우 상기 일반문항번호에 해당하는 일반답안의 마킹을 상기 수정문항번호에 해당하는 수정답안의 마킹으로 대체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MR 시스템.
KR1020190062699A 2019-03-07 2019-05-28 Omr 시스템 KR10224253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6401 2019-03-07
KR20190026401 2019-03-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7709A true KR20200107709A (ko) 2020-09-16
KR102242539B1 KR102242539B1 (ko) 2021-04-20

Family

ID=726696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2699A KR102242539B1 (ko) 2019-03-07 2019-05-28 Omr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253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08520A (zh) * 2021-07-16 2021-09-17 北京南昊科技股份有限公司 有痕阅卷方法、批阅装置及存储介质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9322A (ko) * 1999-03-02 2000-10-05 김효상 오엠알카드 판독장치의 오표기 정정 제어방법
KR100833690B1 (ko) 2007-12-04 2008-05-29 (주)세코인터페이스 엘씨디 패널로 구현되는 오엠알 카드
KR20130021684A (ko) 2011-08-23 2013-03-06 임창배 답안지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30026027A (ko) * 2011-09-05 2013-03-13 강대식 인터넷 다중 서버를 이용한 위계적 문항제작 및 시험지 자동생성 시스템
KR101333129B1 (ko) 2013-03-08 2013-11-26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기초학력 향상도 평가 시스템
KR101945692B1 (ko) * 2017-12-18 2019-02-08 캐논코리아비즈니스솔루션 주식회사 성적 처리 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9322A (ko) * 1999-03-02 2000-10-05 김효상 오엠알카드 판독장치의 오표기 정정 제어방법
KR100833690B1 (ko) 2007-12-04 2008-05-29 (주)세코인터페이스 엘씨디 패널로 구현되는 오엠알 카드
KR20130021684A (ko) 2011-08-23 2013-03-06 임창배 답안지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30026027A (ko) * 2011-09-05 2013-03-13 강대식 인터넷 다중 서버를 이용한 위계적 문항제작 및 시험지 자동생성 시스템
KR101333129B1 (ko) 2013-03-08 2013-11-26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기초학력 향상도 평가 시스템
KR101945692B1 (ko) * 2017-12-18 2019-02-08 캐논코리아비즈니스솔루션 주식회사 성적 처리 방법 및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08520A (zh) * 2021-07-16 2021-09-17 北京南昊科技股份有限公司 有痕阅卷方法、批阅装置及存储介质
CN113408520B (zh) * 2021-07-16 2023-12-12 北京南昊科技股份有限公司 有痕阅卷方法、批阅装置及存储介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2539B1 (ko) 2021-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54500B2 (en) Curriculum assessment
KR100931515B1 (ko) 자동 에세이 주석 시스템 및 방법
US2015019959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Grading Unstructured Documents Using Automated Field Recognition
KR101268920B1 (ko) 바코드를 이용한 시험지 채점 시스템 및 그 방법
US8768241B2 (en) System and method for representing digital assessments
US20070048718A1 (en) System and Method for Test Creation, Verification, and Evaluation
JP2019152793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CN110111086A (zh) 一种应届生简历质量诊断方法
KR102242539B1 (ko) Omr 시스템
KR102018786B1 (ko) 지문을 이용한 외국어 학습자료 제공방법 및 그 시스템
US9967425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8180838A (ja) 成績表作成システム及び成績表作成方法
CN107516284A (zh) 基于移动智能终端的作业和测评解决方案
JP2004029107A (ja) 答案採点処理システム
JP2018106082A (ja) 問題作成装置、問題作成方法及び問題作成プログラム
WO2020166539A1 (ja) 採点支援装置、採点支援システム、採点支援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記録媒体
KR101240428B1 (ko) 이미지코드를 구비한 omr카드, 이를 이용한 데이터처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135113B1 (ko) 스마트 펜을 이용한 시험지 자동 채점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자동 채점방법
CN113256457A (zh) 一种基于人工智能的在线学习诊断方法及装置
AU2021106429A4 (en) Teacher assistance system and method
TWI711017B (zh) 考卷評分方法
JP2020012947A (ja) 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20012948A (ja) 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CN110837827B (zh) 一种适用于临时学号的试卷打印扫描识别方法及系统
CN115983224A (zh) 试卷模板生成和试卷评阅的方法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