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8786B1 - 지문을 이용한 외국어 학습자료 제공방법 및 그 시스템 - Google Patents

지문을 이용한 외국어 학습자료 제공방법 및 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8786B1
KR102018786B1 KR1020180111839A KR20180111839A KR102018786B1 KR 102018786 B1 KR102018786 B1 KR 102018786B1 KR 1020180111839 A KR1020180111839 A KR 1020180111839A KR 20180111839 A KR20180111839 A KR 20180111839A KR 102018786 B1 KR102018786 B1 KR 1020187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rning
worksheet
vocabulary
fingerprint
ty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18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승원
김정수
Original Assignee
유인에듀닉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인에듀닉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인에듀닉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118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87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87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87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06Q50/205Education administration or guidance
    • G06Q50/2057Career enhancement or continuing education ser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6Foreign langu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지문을 이용한 외국어 학습자료 제공방법은, 학습 콘텐츠 서버에 로그인된 학습자 단말기로부터 외국어 지문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입력된 외국어 지문에 대응하는 학습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하는 단계; 상기 입력된 외국어 지문 및 상기 추출된 학습정보를 소정의 알고리즘에 매칭하여 학습 워크시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학습자 단말기로부터 제공받고자 하는 학습 워크시트 유형을 선택받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학습 워크시트 유형에 대응되는 학습 워크시트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학습 워크시트 유형은, 어휘 암기, 어휘 선택, 빈칸 어휘를 포함하는 어휘 연습 유형, 어법 선택, 및 어법 수정을 포함하는 어법 연습 유형, 본문해석빈칸, 해석하기, 낱말배열 및 영작하기를 포함하는 문장 연습 유형 및 본문해석지 및 문단 배열을 포함하는 지문 연습 유형에서 어느 하나의 학습 워크시트 유형을 선택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지문 입력을 통해 다양한 학습 워크시트를 생성하여 제공함으로써 문제 풀이 학습자료 제작 시간을 획기적으로 줄여주고, 이를 기반으로 학습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지문을 이용한 외국어 학습자료 제공방법 및 그 시스템{System of producing foreign language worksheet using of text and the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지문을 이용한 외국어 학습자료 제공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지문 입력을 통해 자동으로 다양한 학습 워크시트를 생성하여 제공함으로써 학습자료 준비의 효율화 및 학습효과 향상에 도움의 되는 지문을 이용한 외국어 학습자료 제공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교통통신수단의 발달로 사회생활이 전반적으로 글로벌화됨에 따라 외국어 학습에 대한 필요성이 증가하고 다양한 형태의 학습자료의 제공이 필요하다. 그러나, 영어 지문을 가지고 다양한 형태의 학습자료를 만들기 위해서는 '아래한글' 등 문서편집도구를 이용하여 문제를 일일이 출제하고 편집하는 노고를 거쳐야 한다. 예를 들어, 올바른 어휘나 어법을 선택하는 문제를 출제하거나, 주어진 낱말을 올바로 배열하여 문장을 완성하는 문제를 출제하거나, 문단 순서를 바르게 배열하는 문제를 출제하거나, 영어문장을 읽고 한글해석을 쓰는 문장연습 등을 출제하기 위해 많은 시간과 편집 노력이 들어간다.
또한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는 온라인 어학 학습은 문제은행을 통해 제공되는 문제들을 온라인을 통해 풀어보고 자동 채점하거나 동영상 강의를 기반으로 한 주입식교육이나 플래시를 기반으로 한 문제풀이 등이 있다.
예컨대, 한국공개번호 특2000-36950호로 공개된 "영어교육 및 시험을 위한 네트워크 시스템"은 서버와 클라이언트로 이루어진 네트워크에서 서버가 문제 편집 프로그램을 탑재하여 문제 편집 프로그램이 구동되면 편집 화면상에서 듣기, 문법1, 문법2, 독해 등의 문제를 생성한 후 문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이 문제를 클라이언트로 전송하여 영어시험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한국공개번호 특2000-59136호로 공개된 "인터넷을 이용한 문제은행 운영시스템 및 방법"은 출제 회원이 인터넷 브라우저 또는 문제저작도구(로컬저작도구시스템)를 활용하여 손쉽게 텍스트, 이미지, 음성, 동화상 형태의 문제, 시험지, 시험을 작성하여 등록신청을 하면, 심사위원은 인터넷 브라우저를 통하여 등록 신청된 내용을 조회하여 심사한 뒤 등록 여부를 결정하고, 응시회원은 인터넷 브라우저를 이용하여 최종적으로 등록된 문제, 시험지, 시험 중에서 본인이 원하는 내용을 조회하여 응시하고 성적 등을 조회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한국공개번호 특2001-103810호로 공개된 "컴퓨터를 이용한 교육평가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은 피험자가 단말기를 통해 온라인으로 접속하는 교육평가시스템이 일정운영프로그램에 따른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운영모듈부와, 문항관리부와 문제영역관리부와 문제은행관리부로 이루어진 관리모듈부, 검사방식선택모듈부, 검사분석 프로그램 저장부, 개인정보 저장부와 문제은행정보 저장부와 검사결과정보 저장부로 이루어진 데이타베이스로 구성되어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한 피험자에게 다양한 형태의 문제를 제공하고 채점 분석 등을 모두 컴퓨터로 처리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일방적인 문제풀이 학습은 출제자가 원하는 방식대로 다양한 유형과 다량의 문제를 출제하지 못하고 학습자가 체계적으로 학습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지문 입력을 통해 다양한 학습 워크시트를 자동으로 생성하여 제공함으로써 학습자료 준비의 시간을 획기적으로 줄여주고, 문제 풀이를 기반으로 효율적인 학습을 가능하게 하는 지문을 이용한 외국어 학습자료 제공방법 및 그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지문을 이용한 외국어 학습자료 제공방법은 학습 콘텐츠 서버에 로그인된 학습자 단말기로부터 외국어 지문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입력된 외국어 지문에 대응하는 학습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하는 단계; 상기 입력된 외국어 지문 및 상기 추출된 학습정보를 소정의 알고리즘에 매칭하여 학습 워크시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학습자 단말기로부터 제공받고자 하는 학습 워크시트 유형을 선택받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학습 워크시트 유형에 대응되는 학습 워크시트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학습 워크시트 유형은, 어휘 암기, 어휘 선택, 빈칸 어휘를 포함하는 어휘 연습 유형, 어법 선택, 및 어법 수정을 포함하는 어법 연습 유형, 본문해석빈칸, 해석하기, 낱말배열 및 영작하기를 포함하는 문장 연습 유형 및 본문해석지 및 문단 배열을 포함하는 지문 연습 유형에서 어느 하나의 학습 워크시트 유형을 선택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외국어 지문을 입력받는 단계에서, 상기 외국어 지문은 텍스트 입력,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교재 정보의 지문 불러오기 및 지문 파일 업로드 중 하나를 통해 입력받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외국어 지문은 문장 분할 또는 문장 합침을 선택하여 입력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학습 워크시트를 생성하는 단계에서, 상기 어휘 연습 유형의 어휘 선택, 상기 어법 연습 유형의 어법 선택 및 어법 수정의 학습 워크시트는 상기 입력된 지문의 한 문장이 3개 이상의 단어로 구성되는 경우에 문제를 생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입력된 지문의 한 문장의 단어 수에 대응하여 출제 문제 수를 결정하고, 문장 별 중복 문제 출제를 제외하고, 출제되지 않은 정답 및 오답의 한 쌍의 문제를 우선 순위로 결정하여 문제를 생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정답 및 오답의 페어에서, 상기 오답의 어휘를 랜덤하게 결정하되, 출제율의 소정 상위 순위 내의 어휘를 선택하여 문제를 생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어법 선택 및 어법 수정 유형의 워크시트의 생성은, 한 쌍의 문제에서 대문자 또는 소문자를 구분하여 랜덤으로 문제를 생성하고, 대문자와 소문자가 한 쌍인 경우의 문제를 오답 리스트에 노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학습 워크시트 유형을 선택받는 단계와 상기 학습 워크시트를 제공하는 단계의 사이에, 상기 선택된 학습 워크시트 유형에 대응되는 학습 워크시트를 사전 검토하기 위한 검토용 학습 워크시트자료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학습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검토용 학습 워크시트자료에 대한 수정 사항을 입력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학습 워크시트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수정 사항이 반영된 상기 검토용 학습 워크시트를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정 사항은 상기 어휘 연습 유형의 어휘 선택, 상기 어법 연습 유형의 어법 선택 및 어법 수정의 검토용 학습 워크시트의 경우에, 상기 검토용 학습 워크시트에 포함된 문제의 오답 또는 해설에 관한 수정, 상기 검토용 학습 워크시트에 포함된 문제의 삭제 및 상기 검토용 학습 워크시트에 포함되지 않은 문제의 추가 중 적어도 하나이고, 상기 학습자 단말기에는 상기 수정 및 상기 추가에 대응되는 텍스트를 입력받기 위한 GUI(graphical user interface)가 제공되거나, 상기 수정 및 상기 추가에 이용되는 복수의 후보를 포함하는 리스트를 포함하는 GUI가 제공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리스트에 포함된 복수의 후보는 상기 수정 및 상기 추가에 이용된 횟수에 기초하여 정렬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정 사항은 상기 어휘 연습 유형의 빈칸 어휘의 검토용 학습 워크시트의 경우에, 상기 검토용 학습 워크시트에 포함된 문제의 삭제 및 상기 검토용 학습 워크시트에 포함되지 않은 문제의 추가 중 적어도 하나이고, 상기 학습자 단말기에는 상기 삭제 및 상기 추가에 대응되는 입력을 위한 GUI가 제공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정 사항은 상기 문장 연습 유형의 본문해석빈칸, 해석하기, 낱말배열 및 영작하기의 검토용 학습 워크시트의 경우에, 상기 검토용 학습 워크시트에 포함된 문제의 삭제, 상기 검토용 학습 워크시트에 포함되지 않은 문제의 추가 및 상기 검토용 학습 워크시트에 포함된 빈칸의 비율 조정 중 적어도 하나이고, 상기 학습자 단말기에는 상기 삭제, 상기 추가 및 상기 비율 조정에 대응되는 입력을 위한 GUI가 제공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학습 워크시트를 생성하는 단계에서, 상기 빈칸 어휘의 문제는 문장에서 소정 단위의 개수에 대응하여 어휘 문제수를 결정하여 생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학습 워크시트를 생성하는 단계에서, 상기 빈칸 어휘의 문제는 입력된 지문 내에서 동일 어휘 및 숙어는 소정 번째부터 출제를 제외하고, 문장 내에서는 중복 어휘 및 숙어 출제를 제외하고, 숙어를 우선 순위로 결정하여 출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학습 워크시트를 생성하는 단계에서, 상기 문단 배열의 문제는 입력된 지문을 구성하는 복수의 문장 중에서 첫 번째 문장을 고정된 첫 번째 문단으로 하고, 미리 설정된 문단 개수에 맞추어 나머지 문장을 균등한 개수 단위로 병합하여 문단을 구성하여 생성하며, 상기 복수의 문장 중에서 문단을 구성하지 않는 적어도 하나의 문장은 마지막 문단에서부터 역순으로 하나씩 병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외국어 학습자료 제공시스템은 학습 콘텐츠 서버에 로그인하여 외국어 지문을 입력하고, 제공받고자 하는 학습 워크시트 유형을 선택하는 학습자 단말기; 및 상기 학습자 단말기에서 입력된 외국어 지문에 대응하는 학습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하고, 상기 입력된 외국어 지문 및 상기 추출된 학습정보를 소정의 알고리즘에 매칭하여 학습 워크시트를 생성하는 학습 콘텐츠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학습 콘텐츠 서버는, 상기 입력된 외국어 지문에 대응하는 학습 워크시트 유형의 어휘 암기, 어휘 선택, 빈칸 어휘, 어법 선택, 어법 수정, 본문해석빈칸, 해석하기, 낱말배열, 영작하기, 본문해석지 및 문단 배열에서 선택된 유형의 문제를 생성하여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지문 입력을 통해 다양한 학습 워크시트를 자동으로 생성하여 제공함으로써 학습자료 제작 시간을 획기적으로 줄여주며, 문제 풀이를 기반으로 효율적인 학습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입력된 지문을 통한 문제를 생성하는데 있어, 지문 내의 중복 문제를 제외하여 다양한 문제를 제공함으로써 체계적인 학습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외국어 학습자료 제공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지문을 이용한 외국어 학습자료 제공방법에 대한 순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상기 도 2의 지문 입력 과정에서 제공되는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상기 도 2의 지문 입력 완료 후 자동으로 생성되는 워크시트를 검수 및 수정하는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학습 콘텐츠 정보의 관리 항목을 구분하여 관리되는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6 내지 도 7은 빈칸어휘, 어휘선택, 어법선택, 어법수정 유형의 학습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 관리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학습 콘텐츠 정보의 관리 항목을 구분하여 관리되는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생성된 학습 워크시트를 제공하기 위한 화면을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외국어 학습자료 제공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외국어 학습자료 제공시스템(100)은, 학습자 단말기(110)와 학습 콘텐츠 서버(120)로 구성된다.
상기 학습자 단말기(110)는 사용자 PC. 스마트 폰 및 스마트 패드 등을 포함하는 단말기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학습 콘텐츠 서버(120)와 인터넷 네트워크를 통하여 회원 가입 절차를 거쳐 로그인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학습자 단말기(110)는 회원 가입 정보를 입력하고, 상기 학습 콘텐츠 서버(120)에 로그인하여 외국어 지문을 입력하여 원하는 학습 워크시트 유형을 선택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외국어 지문은 영어 학습을 위한 지문의 일 예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학습 콘텐츠 서버(120)는 데이터 베이스(121), 매칭부(122), 회원 관리부(123) 및 과금부(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학습자 단말기(110)에서 입력된 외국어 지문에 대응하는 학습정보와 학습 워크시트 유형을 데이터베이스(121)에서 매칭하여 학습 워크시트를 생성하고, 상기 학습 콘텐츠 서버(120)로부터 생성된 학습 워크시트를 상기 학습자 단말기(110)에게 제공하게 된다.
상기 데이터 베이스(121)는 학습 교과서, 부교재, 시험 유출 문제, 연설문, 영자 신문 등의 지문 데이터, 그에 대응하는 어휘 데이터, 출제 데이터를 각각 저장 관리하도록 되어 있으며, 새로운 지문 정보를 실시간으로 업데이트하여 저장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어휘 데이터는 각 지문에 대한 어휘와 연관된 정답 및 오답으로 페어링하여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지문 데이터, 어휘 데이터 및 출제 데이터는 난이도 별로 구분하여 저장 관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매칭부(122)는 상기 학습자 단말기에 입력된 학습별 난이도에 기초하여 상기 입력된 외국어 지문에 대응하는 학습 워크시트 유형의 어휘 암기, 어휘 선택, 빈칸 어휘, 어법 선택, 어법 수정, 본문해석빈칸, 해석하기, 낱말배열, 영작하기, 본문해석지 및 문단 배열에서 선택된 유형의 문제를 정해진 알고리즘에 의해 생성하여 제공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매칭부는 별도로 하기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회원 관리부(123)는 사용자의 사용자의 성명, 주소, 주민등록번호, 학년 정보, 난이도 정보와 같은 신상정보, 상기 학습 콘텐츠 서버(120)에 로그인을 위한 식별 정보(아이디, 비밀번호 등)를 포함하여 관리될 수 있으며, 기저장된 사용자의 정보와 비교하여 일치하면 해당 사용자의 학습자 단말기(110)를 로그인시키게 된다. 여기서, 가입되는 회원 정보를 학생, 교사 등으로 구분하여 자료 서비스를 차별화하여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과금부(미도시)는 회원가입 후, 학습 워크시트를 다운로드하도록 제공할 때, 그에 대응하는 비용을 지불하기 위한 것으로, 회원이 미리 포인트를 충전한 후, 각 학습별 워크시트를 다운로드 할 때마다 포인트가 차감되도록 제공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방법에 의해 지불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지문을 이용한 외국어 학습자료 제공방법에 대한 순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지문을 이용한 외국어 학습자료 제공방법은, 먼저, 학습 콘텐츠 서버(120)에 로그인된 학습자 단말기(110)로부터 외국어 지문을 입력받는 단계가 수행된다(S210).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학습 콘텐츠 서버(120)에 로그인을 위한 식별 정보(아이디, 비밀번호 등)를 기저장된 사용자의 정보와 비교하여 일치하면 해당 사용자의 학습자 단말기(110)를 로그인시키게 된다. 여기서, 가입되는 회원 정보를 학생, 교사 등으로 구분하여 자료 서비스를 차별화하여 제공할 수 있다.
도 3은 상기 도 2의 지문 입력 과정에서 제공되는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학습자 단말기의 로그인 후, 지문을 입력하는 화면을 제공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외국어 지문을 입력하는 방식은 1) 직접 타이핑하는 방식 또는 복사하여 붙여넣는 방식을 이용한 텍스트 입력, 2)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교재 정보의 지문 불러오기, 3) 지문 파일 업로드를 통해 입력할 수 있다. 즉, 2) 지문 불러오기의 경우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데이터베이스에는 학습 교과서, 부교재, 시험 유출 문제, 연설문, 영자 신문 등의 지문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고, 학습자는 난이도 레벨, 지문이 실린 학습 교재명, 출판사, 출판년도, 저자, 자료명, 시험명 등의 항목을 선택하여 지문을 불러올 수 있다. 상술한 3가지 방식 중 하나를 통해 지문을 입력한 다음 문장 분할 또는 문장 합침을 통해 영어지문과 한글해석을 1:1로 짝맞춤한다. 예컨대, 한 단락으로 구성된 지문일 경우, 총 문장이 22개라고 한다면, 영어와 한글 문장별로 구분하여 22개 짝이 맞도록 작업하며 이는 문장분할, 또는 문장합침 기능을 통해 수행한다.
그리고, 저장버튼을 누르면, 상기 입력된 외국어 지문에 대응하는 학습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하고, 워크시트 유형을 알고리즘에 매칭하여 학습 워크시트를 생성하는 단계가 수행되며(S220, S230), 자세한 설명을 하기로 한다.
먼저,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학습 콘텐츠 정보의 관리 항목을 구분하여 관리되는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는 교육 자료를 각 항목 별로 구분하여 관리하도록 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5에는 지문이 난이도(레벨), 출판사, 교재명에 따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회원이 지문을 직접 입력하지 않고 쉽게 불러올 수 있게 정리되어 있다.
그리고, 도 6 내지 도 8에는, 어휘 데이터, 출제 문제 데이터 및 기타 데이터를 저장하여 관리하게 된다. 예컨대, 교재의 어휘 정보를 업데이트하여 저장하도록 하고, 각 어휘는 레벨별 필수암기 어휘, 부교재 어휘, 교과서 어휘, 인증시험 어휘 등으로 구분하여 저장관리될 수 있다. 또한, 출제 문제 데이터에는 어휘, 어법 선택, 어법 수정 등의 출제 문제에 대해 각 정답 및 오답을 하나의 페어로 구분하여 저장하도록 한다. 즉, 'evaluated'는 'prepared' 와 페어를 지어 저장되어 'prepared'가 지문의 정답이라면 오답으로 'evaluated'가 표시되도록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다. 또한, 지문 데이터는 각 교재별로 리딩 지문을 저장하여, 3개의 연속된 단어만 입력하면, 해당 지문이 바로 검색되도록 관리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입력된 데이터베이스에서 학습정보를 추출하고, 정해진 알고리즘에 따라 지문에 해당하는 13개 유형의 워크시트를 생성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학습 워크시트를 생성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학습 워크시트는 어휘 선택, 빈칸 어휘A 및 빈칸 어휘 B, 어휘 암기, 어법 선택, 어법 수정, 본문해석빈칸, 해석하기, 낱말배열, 영작하기, 본문해석지, 문단 배열A, 문단 배열 B을 포함하여 총 13의 세부 항목을 제공하게 되며, 각 항목별 워크시트를 생성하기 위한 알고리즘이 다르게 적용된다.
첫 번째로, 상기 어휘 연습 유형의 어휘 선택, 상기 어법 연습 유형의 어법 선택 및 어법 수정의 학습 워크시트의 경우에는, 입력된 지문의 한 문장에서 3개 이상의 단어로 구성되는 경우에 문제를 생성하게 된다. 이때, 상기 입력된 지문의 한 문장의 단어 수에 대응하여 출제 문제 수를 결정하고, 문장 별 중복 문제 출제를 제외하고, 출제되지 않은 정답 및 오답의 한 쌍의 문제를 우선 순위로 결정하여 문제를 생성하게 된다. 예컨대, 문장당 1 - 2 문제를 랜덤으로 출제하게 되는데 문장이 1 ~ 40 개의 단어로 되어있다면 1 문제를 생성하고, 41 개의 단어 이상이라면 최대 2문제까지 출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앞에서 출제되지 않은 정답 및 오답의 페어에서 우선 순위로 결정하여 출제하게 된다. 이 때, 상기 오답의 어휘를 랜덤하게 결정하되, 출제율의 소정 상위 순위 내의 어휘를 선택하여 문제를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위 20개의 오답이 앞 문장들에서 모두 사용된 경우, 해당 정답 및 오답의 페어는 더 이상 출제하지 않도록 한다. 여기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답 어휘 및 오답 어휘의 뜻을 자동으로 입력하도록 하고, 정답 해설을 고치고 오답을 다시 변경해도 정답 해설은 그대로 유지하고 사용자가 정리한 어휘가 누적되어 상위 오답으로 노출되도록 한다. 그리고, 선택적으로 한글 해석 감추기, 한글 해석 보여주기, 전체 지문으로 보기 등의 화면 구성 선택을 하여 제공할 수 있도록 하고, 교사용으로 제공된 경우는 항상 한글 해석이 노출될 수 있도록 한다.
두 번째로, 상기 어법 선택 및 어법 수정 유형의 워크시트의 생성에서는, 정답 및 오답의 한 쌍의 문제에서 대문자 또는 소문자를 구분하여 랜덤으로 문제를 생성하고, 대문자와 소문자가 한 쌍인 경우의 자동출제는 되지 않으나 사용자 측에서 수동으로 오답을 작성할 때 오답 리스트에 노출하도록 한다. 또한, 사용자가 수동으로 출제할 때, 정답은 소문자로 시작하더라도 오답은 대문자로 시작할 수 있도록 한다.
세 번째로, 빈칸 어휘 A 및 빈칸 어휘 B 유형의 워크시트의 생성에서는, 문장에서 소정 단위의 개수에 대응하여 어휘 문제수를 결정하여 생성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10개의 단어로 이루어진 문장에서는 1개의 어휘를 출제하되, 10개의 단어를 넘어가는 단어는 20개의 단어가 될 때 2개의 어휘 문제를 출제하게 된다. 즉, 1 ~ 19 개는 1 문제, 20 ~ 29 개는 2 문제, 30 ~ 39개는 3문제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짝수 지문은 앞에서부터 어휘를 매칭해가며 문제를 출제하고, 홀수 지문은 뒤에서부터 어휘를 매칭해서 문제를 출제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빈칸 어휘의 문제를 생성하는 우선 순위는 입력된 지문 내에서 동일 어휘 및 숙어는 소정 번째(예;3번째)부터 출제를 제외하고, 문장 내에서는 중복 어휘 및 숙어 출제를 제외하고, 숙어를 우선 순위로 결정하여 출제하도록 한다. 여기서, 숙어를 우선으로 출제할 때는 2 ~ 3 단어 숙어는 모두 빈칸으로 출제, 4 단어 이상의 숙어는 3 단어 랜덤 빈칸 출제, 숙어의 바로 뒤 단어를 제외하고 숙어 출제를 할 수 있다. 그리고, 17 단어 미만의 문장은 숙어가 여러 개 포함되더라도 랜덤으로 1개의 숙어만 출제하도록 한다.
한편, 어휘 출제를 제외하는 경우는, 17 단어 이상의 문장 안에 숙어가 2개 이상을 포함하는 경우, 한 문장에서 숙어 앞뒤로 단어 개수가 15개 미만인 경우, 한 문장에서 숙어 앞뒤로 단어가 15개 단위로 어휘를 출제하되, 끝단의 15개 미만 단어들에 대해서는 문제를 출제하지 않도록 한다.
또한, 문단 배열A 및 문단 배열 B에 대한 워크시트의 생성에서는, 문단 수 선택은 가능하나 문단 내 문장 설정이 불가능하게 설정하고, 첫 고정 문단의 문장을 제외한 나머지 문장은 문장의 수를 균등 비율로 나누어 문단을 구성하여 랜덤 배열되도록 한다. 이 때, 문단별 문장 수가 균등하지 않을 경우, 남는 문장이 있을 때 정답 역순으로 문단에 문장 수를 더 가산하여 생성하게 된다. 예를 들어, 화면의 지문을 구성하는 문장은 첫 고정 문단의 문장을 제외하고 7 문장일 때, 세 번째 문단에 균등배분 시 문단 별 2 문장씩 배분하고, 남은 한 문장은 정답 역순상 문단의 마지막에 배치하여 3문장이 되도록 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생성된 학습 워크시트를 제공하기 위한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선택된 학습 워크시트 유형에 대응되는 학습 워크시트를 제공하는 단계가 수행된다(S250).
보다 구체적으로, 학습 워크시트를 다운로드하도록 제공할 때, 그에 대응하는 비용을 지불하기 위한 것으로, 회원이 미리 포인트를 충전한 후, 각 학습별 워크시트를 다운로드 할 때마다 포인트가 차감되도록 제공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방법에 의해 지불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선택한 학습 워크시트 유형별로, 또는 지문 수에 따라 책정된 비용에 따라 상이한 포인트가 차감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도 4는 학습 워크시트가 제공되기에 앞서 서버에서 생성된 학습 워크시트에 대한 사전 검토 및 수정이 수행되는 화면이다. 예컨대, 학습자료를 제작하고자 하는 교사가 서버에서 생성된 학습 워크시트를 사전 검토하여, 그 내용을 일부 수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입력된 지문에 해당하는 워크시트가 S220 및 S230 단계를 통해 생성되고, 생성된 워크시트를 학습자가 검토한 후, 학습 워크시트자료에 대한 수정 사항을 입력받을 수 있다. 이때, 학습 워크시트를 제공하는 단계(S250)는 그 수정 사항이 반영된 상기 검토용 학습 워크시트를 학습 워크시트로서 제공할 수 있다.
이때, 학습자 단말기로부터 다양한 종류의 수정 사항이 입력될 수 있다.
첫번째로, 상기 수정 사항은 상기 어휘 연습 유형의 어휘 선택, 상기 어법 연습 유형의 어법 선택 및 어법 수정의 검토용 학습 워크시트의 경우에, 상기 검토용 학습 워크시트에 포함된 문제의 오답 또는 해설에 관한 수정, 상기 검토용 학습 워크시트에 포함된 문제의 삭제 및 상기 검토용 학습 워크시트에 포함되지 않은 문제의 추가 중 적어도 하나이고, 상기 학습자 단말기에는 상기 수정 및 상기 추가에 대응되는 텍스트를 입력받기 위한 GUI(graphical user interface)가 제공되거나, 상기 수정 및 상기 추가에 이용되는 복수의 후보를 포함하는 리스트를 포함하는 GUI가 제공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학습자 단말기에는 출제된 어휘나 숙어 등을 클릭하여, 오답과 해설을 직접 수정하거나, 복수의 오답 후보를 포함하는 오답 리스트와 출제율을 보여주고 이용자가 리스트 중에서 선택할 수 있도록 하거나, 출제된 부분이 마음에 들지 않으면 클릭하여 출제를 삭제하는 GUI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출제 안된 어휘나 숙어 등을 클릭하여, 직접 오답과 해설을 입력하거나, 오답 리스트와 출제율을 보여주고 이용자가 리스트 중에서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GUI가 제공될 수 있다.
한편, GUI에 포함된 리스트에 포함된 복수의 후보는 상기 수정 및 상기 추가에 이용된 횟수에 기초하여 정렬될 수 있다.
즉, 검토 과정에서 추가 또는 수정하여 문제를 출제하게 되면 그 문제는 출제db에 저장되고, 그 누적된 횟수가 많은 문제가 상위 리스트에 보여질 수 있다.
두번째로, 상기 수정 사항은 상기 어휘 연습 유형의 빈칸 어휘의 검토용 학습 워크시트의 경우에, 상기 검토용 학습 워크시트에 포함된 문제의 삭제 및 상기 검토용 학습 워크시트에 포함되지 않은 문제의 추가 중 적어도 하나이고, 상기 학습자 단말기에는 상기 삭제 및 상기 추가에 대응되는 입력을 위한 GUI가 제공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학습자 단말기에는 출제되지 않은 어휘를 클릭하여 빈칸으로 만들거나, 출제된 어휘를 언클릭하여 문제 출제를 취소하는 GUI가 제공될 수 있다.
세번째로, 상기 수정 사항은 상기 문장 연습 유형의 본문해석빈칸, 해석하기, 낱말배열 및 영작하기의 검토용 학습 워크시트의 경우에, 상기 검토용 학습 워크시트에 포함된 문제의 삭제, 상기 검토용 학습 워크시트에 포함되지 않은 문제의 추가 및 상기 검토용 학습 워크시트에 포함된 빈칸의 비율 조정 중 적어도 하나이고, 상기 학습자 단말기에는 상기 삭제, 상기 추가 및 상기 비율 조정에 대응되는 입력을 위한 GUI가 제공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문해석빈칸의 경우에, 문장에서 빈칸 비율을 디폴트로 정해서 자동으로 문제를 생성하고, 비율을 수정할 수 있게 하는 GUI가 제공되거나, 출제되지 않은 어휘를 클릭하여 빈칸으로 만들거나, 출제된 어휘를 언클릭하여 문제출제를 취소하는 GUI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해석하기의 경우에, 문장에서 해석하기 비율을 디폴트로 정해서 자동으로 문제를 생성하고, 비율을 수정할 수 있게 하는 GUI가 제공되거나, 원하는 해석 부분의 첫단어와 끝단어를 눌러 문제를 출제하고, 언클릭하여 문제출제를 취소하는 GUI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낱말배열의 경우에, 문장에서 어휘 힌트를 무작위로 배열해서 제시할 비율을 디폴트로 정해서 자동으로 힌트 어휘를 생성하고 비율을 조정해서 수정할 수 있게 하는 GUI가 제공되거나, 힌트 단어로 출제되지 않은 어휘를 클릭하여 힌트 어휘로 출제하거나, 출제된 어휘를 언클릭하여 문제 출제를 취소하는 GUI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영작하기의 경우에, 문장에서 영작하기 비율을 디폴트로 정해서 자동으로 문제를 생성하고, 비율을 수정할 수 있게 하는 GUI가 제공되거나, 원하는 영어 부분의 첫단어와 끝단어를 눌러 문제를 출제하고, 언클릭하여 문제출제를 취소하는 GUI가 제공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 : 학습자 단말기
120 : 학습 콘텐츠 서버
121 : 데이터베이스
122 : 매칭부
123 : 회원 관리부

Claims (16)

  1. 학습 콘텐츠 서버에 로그인된 학습자 단말기로부터 외국어 지문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입력된 외국어 지문에 대응하는 학습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하는 단계;
    상기 입력된 외국어 지문 및 상기 추출된 학습정보를 소정의 알고리즘에 매칭하여 어휘 연습 유형, 어법 연습 유형, 문장 연습 유형 및 지문 연습 유형을 포함하는 학습 워크시트 유형의 학습 워크시트를 모두 생성하는 단계;
    상기 학습자 단말기로부터 제공받고자 하는 학습 워크시트 유형을 선택받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학습 워크시트 유형에 대응되는 학습 워크시트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학습 워크시트 유형은, 어휘 암기, 어휘 선택, 빈칸 어휘를 포함하는 어휘 연습 유형, 어법 선택, 및 어법 수정을 포함하는 어법 연습 유형, 본문해석빈칸, 해석하기, 낱말배열 및 영작하기를 포함하는 문장 연습 유형 및 본문해석지 및 문단 배열을 포함하는 지문 연습 유형에서 어느 하나의 학습 워크시트 유형을 선택하고,
    상기 외국어 지문은 문장 분할 또는 문장 합침을 선택하여 입력하고,
    상기 학습 워크시트를 생성하는 단계에서,
    상기 어휘 연습 유형의 어휘 선택, 상기 어법 연습 유형의 어법 선택 및 어법 수정의 학습 워크시트는 상기 입력된 지문의 한 문장이 3개 이상의 단어로 구성되는 경우에 문제를 생성하고,
    상기 입력된 지문의 한 문장의 단어 수에 대응하여 출제 문제 수를 결정하고, 문장 별 중복 문제 출제를 제외하고, 출제되지 않은 정답 및 오답의 한 쌍의 문제를 우선 순위로 결정하여 문제를 생성하고,
    상기 정답 및 오답의 페어에서,
    상기 오답의 어휘를 랜덤하게 결정하되, 출제율의 소정 상위 순위 내의 어휘를 선택하여 문제를 생성하며,
    상기 어법 선택 및 어법 수정 유형의 워크시트의 생성은,
    한 쌍의 문제에서 대문자 또는 소문자를 구분하여 랜덤으로 문제를 생성하고, 대문자와 소문자가 한 쌍인 경우의 문제를 오답 리스트에 노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문을 이용한 외국어 학습자료 제공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국어 지문을 입력받는 단계에서,
    상기 외국어 지문은 텍스트 입력,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교재 정보의 지문 불러오기 및 지문 파일 업로드 중 하나를 통해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문을 이용한 외국어 학습자료 제공방법.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 워크시트 유형을 선택받는 단계와 상기 학습 워크시트를 제공하는 단계의 사이에,
    상기 선택된 학습 워크시트 유형에 대응되는 학습 워크시트를 사전 검토하기 위한 검토용 학습 워크시트자료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학습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검토용 학습 워크시트자료에 대한 수정 사항을 입력받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학습 워크시트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수정 사항이 반영된 상기 검토용 학습 워크시트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문을 이용한 외국어 학습자료 제공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수정 사항은
    상기 어휘 연습 유형의 어휘 선택, 상기 어법 연습 유형의 어법 선택 및 어법 수정의 검토용 학습 워크시트의 경우에, 상기 검토용 학습 워크시트에 포함된 문제의 오답 또는 해설에 관한 수정, 상기 검토용 학습 워크시트에 포함된 문제의 삭제 및 상기 검토용 학습 워크시트에 포함되지 않은 문제의 추가 중 적어도 하나이고,
    상기 학습자 단말기에는
    상기 수정 및 상기 추가에 대응되는 텍스트를 입력받기 위한 GUI(graphical user interface)가 제공되거나, 상기 수정 및 상기 추가에 이용되는 복수의 후보를 포함하는 리스트를 포함하는 GUI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문을 이용한 외국어 학습자료 제공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리스트에 포함된 복수의 후보는
    상기 수정 및 상기 추가에 이용된 횟수에 기초하여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문을 이용한 외국어 학습자료 제공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수정 사항은
    상기 어휘 연습 유형의 빈칸 어휘의 검토용 학습 워크시트의 경우에, 상기 검토용 학습 워크시트에 포함된 문제의 삭제 및 상기 검토용 학습 워크시트에 포함되지 않은 문제의 추가 중 적어도 하나이고,
    상기 학습자 단말기에는
    상기 삭제 및 상기 추가에 대응되는 입력을 위한 GUI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문을 이용한 외국어 학습자료 제공방법.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수정 사항은
    상기 문장 연습 유형의 본문해석빈칸, 해석하기, 낱말배열 및 영작하기의 검토용 학습 워크시트의 경우에, 상기 검토용 학습 워크시트에 포함된 문제의 삭제, 상기 검토용 학습 워크시트에 포함되지 않은 문제의 추가 및 상기 검토용 학습 워크시트에 포함된 빈칸의 비율 조정 중 적어도 하나이고,
    상기 학습자 단말기에는
    상기 삭제, 상기 추가 및 상기 비율 조정에 대응되는 입력을 위한 GUI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문을 이용한 외국어 학습자료 제공방법.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 워크시트를 생성하는 단계에서,
    상기 빈칸 어휘의 문제는 문장에서 소정 단위의 개수에 대응하여 어휘 문제수를 결정하여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문을 이용한 외국어 학습자료 제공방법.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 워크시트를 생성하는 단계에서,
    상기 빈칸 어휘의 문제는 입력된 지문 내에서 동일 어휘 및 숙어는 소정 번째부터 출제를 제외하고, 문장 내에서는 중복 어휘 및 숙어 출제를 제외하고, 숙어를 우선 순위로 결정하여 출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국어 학습자료 제공방법.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 워크시트를 생성하는 단계에서,
    상기 문단 배열의 문제는 입력된 지문을 구성하는 복수의 문장 중에서 첫 번째 문장을 고정된 첫 번째 문단으로 하고, 미리 설정된 문단 개수에 맞추어 나머지 문장을 균등한 개수 단위로 병합하여 문단을 구성하여 생성하며,
    상기 복수의 문장 중에서 문단을 구성하지 않는 적어도 하나의 문장은 마지막 문단에서부터 역순으로 하나씩 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국어 학습자료 제공방법.
  16. 학습 콘텐츠 서버에 로그인하여 외국어 지문을 입력하고, 제공받고자 하는 학습 워크시트 유형을 선택하는 학습자 단말기; 및
    상기 학습자 단말기에서 입력된 외국어 지문에 대응하는 학습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하고, 상기 입력된 외국어 지문 및 상기 추출된 학습정보를 소정의 알고리즘에 매칭하여 매칭하여 어휘 연습 유형, 어법 연습 유형, 문장 연습 유형 및 지문 연습 유형을 포함하는 학습 워크시트 유형의 학습 워크시트를 모두 생성하는 학습 콘텐츠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학습 콘텐츠 서버는, 상기 선택된 외국어 지문에 대응하는 학습 워크시트 유형의 어휘 암기, 어휘 선택, 빈칸 어휘, 어법 선택, 어법 수정, 본문해석빈칸, 해석하기, 낱말배열, 영작하기, 본문해석지 및 문단 배열에서 선택된 유형의 문제를 제공하고,
    상기 외국어 지문은 문장 분할 또는 문장 합침을 선택하여 입력하고,
    상기 학습 콘텐츠 서버는
    상기 어휘 연습 유형의 어휘 선택, 상기 어법 연습 유형의 어법 선택 및 어법 수정의 학습 워크시트는 상기 입력된 지문의 한 문장이 3개 이상의 단어로 구성되는 경우에 문제를 생성하고,
    상기 입력된 지문의 한 문장의 단어 수에 대응하여 출제 문제 수를 결정하고, 문장 별 중복 문제 출제를 제외하고, 출제되지 않은 정답 및 오답의 한 쌍의 문제를 우선 순위로 결정하여 문제를 생성하고,
    상기 정답 및 오답의 페어에서,
    상기 오답의 어휘를 랜덤하게 결정하되, 출제율의 소정 상위 순위 내의 어휘를 선택하여 문제를 생성하며,
    상기 어법 선택 및 어법 수정 유형의 워크시트의 생성은,
    한 쌍의 문제에서 대문자 또는 소문자를 구분하여 랜덤으로 문제를 생성하고, 대문자와 소문자가 한 쌍인 경우의 문제를 오답 리스트에 노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국어 학습자료 제공시스템.
KR1020180111839A 2018-09-18 2018-09-18 지문을 이용한 외국어 학습자료 제공방법 및 그 시스템 KR1020187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1839A KR102018786B1 (ko) 2018-09-18 2018-09-18 지문을 이용한 외국어 학습자료 제공방법 및 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1839A KR102018786B1 (ko) 2018-09-18 2018-09-18 지문을 이용한 외국어 학습자료 제공방법 및 그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8786B1 true KR102018786B1 (ko) 2019-09-06

Family

ID=679498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1839A KR102018786B1 (ko) 2018-09-18 2018-09-18 지문을 이용한 외국어 학습자료 제공방법 및 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878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1554B1 (ko) 2020-09-16 2021-05-13 주식회사 렉스퍼 지문의 난이도 조정을 통하여 교육용 외국어 지문을 생성하는 방법
KR102380768B1 (ko) 2021-07-29 2022-03-30 라이트하우스(주) 문제풀이 제공 서비스의 제어 방법, 장치 및 시스템
CN114556327A (zh) * 2019-10-10 2022-05-27 莱克波尔有限公司 外语句子空白推理问题的自动生成方法及系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30572A (ja) * 1991-01-07 1992-08-19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日本語文分割装置
KR20100136202A (ko) * 2009-06-18 2010-12-28 (주)데스코엘앤에스 대화형 다기능 어학 학습 방법 및 그 학습기
KR20130015412A (ko) * 2011-08-03 2013-02-14 최신식 자기 주도형 교과서 영어 학습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70098015A (ko) * 2016-02-19 2017-08-29 (주)씨트러스에듀테크 단어/숙어 시험 문제 출제 방법, 서버 및 컴퓨터 프로그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30572A (ja) * 1991-01-07 1992-08-19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日本語文分割装置
KR20100136202A (ko) * 2009-06-18 2010-12-28 (주)데스코엘앤에스 대화형 다기능 어학 학습 방법 및 그 학습기
KR20130015412A (ko) * 2011-08-03 2013-02-14 최신식 자기 주도형 교과서 영어 학습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70098015A (ko) * 2016-02-19 2017-08-29 (주)씨트러스에듀테크 단어/숙어 시험 문제 출제 방법, 서버 및 컴퓨터 프로그램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556327A (zh) * 2019-10-10 2022-05-27 莱克波尔有限公司 外语句子空白推理问题的自动生成方法及系统
KR102251554B1 (ko) 2020-09-16 2021-05-13 주식회사 렉스퍼 지문의 난이도 조정을 통하여 교육용 외국어 지문을 생성하는 방법
KR102380768B1 (ko) 2021-07-29 2022-03-30 라이트하우스(주) 문제풀이 제공 서비스의 제어 방법, 장치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Vyhmeister et al. Quality research papers: For students of religion and theology
Faraj Scaffolding EFL Students' Writing through the Writing Process Approach.
US965299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differentiated content based on skill level
Zhang et al. A corpus of annotated revisions for studying argumentative writing
Heilman et al. Classroom success of an intelligent tutoring system for lexical practice and reading comprehension.
KR102018786B1 (ko) 지문을 이용한 외국어 학습자료 제공방법 및 그 시스템
Warden EFL business writing behaviors in differing feedback environments
Cooper Techniques grading: Mastery grading for proofs courses
Vorobel A systematic review of research on distance language teaching (2011–2020): Focus on methodology
Peng et al. CReBot: Exploring interactive question prompts for critical paper reading
KR102031482B1 (ko) 외국어 학습 관리 시스템 및 학습 방법
Ferster et al. Automated formative assessment as a tool to scaffold student documentary writing
US20060105303A1 (en) System and method for teaching a writing process
Jalilifar et al. Referral for re-submission: scholarly expectations of EFL applied linguistics doctoral defense sessions
Abba et al. Community college writers' metaknowledge of effective writing
KR20190143057A (ko) 한자와 중국어의 병행 학습이 가능한 온라인 학습 시스템 및 방법
Ramineni et al. The Criterion® online writing evaluation service
Nushi et al. IELTS writing preparation course expectations and outcome: A comparative study of Iranian students and their teachers’ perspectives
Romagnuolo Teaching English professional writing in an e-learning environment: an Italian case study
Waruwu The Description of Grammatical Errors in the Eighth Grade Students’ Descriptive Text of SMP Negeri 2 Gunungsitoli Utara in 2021/2022.
Swenson et al. Providing Feedback in Moodle Question Bank Items
Cancino et al. Exploring Reading Attitudes, Reading Self-Efficacy, and Reading Proficiency in a Blended Learning Context Among EFL Learners
Malec CHAPTER TWENTY FIVE ON THE POTENTIAL OF WEB-BASED ASSESSMENT OF LANGUAGE SKILLS
KR102259027B1 (ko) 문제출제, 공유 및 활용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22032794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ically revising feedback in electronic learning syste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