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7017A - 내외측 조명부가 구비되는 덮개폐쇄시에 광섬유 절단면이 이송되는 광섬유 융착 접속장치 - Google Patents

내외측 조명부가 구비되는 덮개폐쇄시에 광섬유 절단면이 이송되는 광섬유 융착 접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7017A
KR20200107017A KR1020190025210A KR20190025210A KR20200107017A KR 20200107017 A KR20200107017 A KR 20200107017A KR 1020190025210 A KR1020190025210 A KR 1020190025210A KR 20190025210 A KR20190025210 A KR 20190025210A KR 20200107017 A KR20200107017 A KR 202001070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optical fiber
cover
lighting
light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52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06748B1 (ko
Inventor
전건익
전상철
Original Assignee
유씨엘스위프트(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씨엘스위프트(주) filed Critical 유씨엘스위프트(주)
Priority to KR10201900252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6748B1/ko
Publication of KR202001070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70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67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67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255Splicing of light guides, e.g. by fusion or bonding
    • G02B6/2553Splicing machines, e.g. optical fibre fusion splic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04Personal or domestic articles
    • F21V33/0052Audio or video equipment, e.g. televisions, telephones, cameras or computers;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ultimedia (AREA)
  • Mechanical Coupling Of Light Guid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체부와 힌지로 결합되는 덮개를 열면 자동으로 제1 조명부와 제2 조명부가 작동되어 본체부의 내외측에 빛을 조사하여 광섬유의 정렬 및 외측에서 광섬유 절단 및 피복 제거 작업이 쉽도록 하며 덮개를 닫으면 자동으로 제1 조명부와 제2 조명부가 작동 중지되고, 동시에 카메라부가 작동되어 제어표시부에 광섬유의 영상을 표시하며, 광섬유를 자동으로 융착 접속시키는 내외측 조명부가 구비되는 광섬유 융착 접속장치에 관한 것으로, 광섬유 융착 접속장치에 있어서, 융착 접속장치의 본체부 상측에 힌지를 통해 결합되는 덮개의 내측면에 형성되어 덮개가 열렸을 때 광섬유를 융착시키는 전극 주변에 빛을 조사하여 광섬유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제1 조명부; 상기 본체부에 형성되며, 상기 전극의 하측으로 형성되어 본체부의 안착부에 안착되는 광섬유를 촬영하는 카메라부; 상기 덮개의 외측면에 형성되어 외측으로 빛을 조사하여 외부 작업을 비추도록하는 제2 조명부 및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힌지를 통해 결합되어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 조명부, 제2 조명부, 본체부 및 전극의 작동을 제어하며, 카메라부의 영상을 표시하는 제어표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조명부는 LED 조명이 덮개의 상측 중앙에 광섬유와 안착부를 비추도록 경사져 형성되며, LED 조명이 광섬유와 안착부 측으로만 조사되도록 하측 대각선 방향으로 개구되는 차단부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내외측 조명부가 구비되는 광섬유 융착 접속장치{Apparatus for fiber optic fusion Splicing with inside and outside lighting}
본 발명은 내외측 조명부가 구비되는 광섬유 융착 접속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본체부와 힌지로 결합되는 덮개를 열면 자동으로 제1 조명부와 제2 조명부가 작동되어 본체부의 내외측에 빛을 조사하여 광섬유의 정렬 및 외측에서 광섬유 절단 및 피복 제거 작업이 쉽도록 하며 덮개를 닫으면 자동으로 제1 조명부와 제2 조명부가 작동 중지되고, 동시에 카메라부가 작동되어 제어표시부에 광섬유의 영상을 표시하며, 광섬유를 자동으로 융착 접속시키는 내외측 조명부가 구비되는 광섬유 융착 접속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광케이블이란 광섬유케이블(Optical Fiber Cable)이라고도 불리는 광통신용 케이블을 말하며 석영등을 소재로 한 가는 실선같은 것을 여러 가닥씩 묶어 케이블을 만든 것이다.
빛을 전송하여 정보를 교환하는 광통신의 핵심기술은 광섬유는 광대역, 저손실, 무유도, 경량 등의 특징을 갖고 있으며, 동선케이블에 의한 전기 통신에 비해 수만배의 정보를 전송할 수 있기 때문에 그 적용범위가 넓혀지고 있다.
이와 같은 광케이블은 수백 킬로미터 혹은 그 이상의 거리에 선로를 설치하게 되므로, 그 중간에 케이블의 접속 및 분기가 필요하게 된다.
그러나, 광케이블의 내부에는 매우 작은 직경(125㎛)으로 제작된 광섬유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광섬유의 심선을 서로 연결하기가 매우 까다로우며, 더욱이 다심 광케이블의 경우에는 다수개의 광섬유를 동시에 연결해야 하므로 더욱 어렵다.
광섬유의 접속에는 여러 가지 방법이 사용되고 있는데, 그 대표적인 것으로, 융착 접속(Fusion splicing)방법과 기계식 접속(Mechanical Splicing)방법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상기 광섬유를 융착 접속시킬 때에는 융착 접속 장치를 사용하게 되는데 이러한 융착 접속장치에는 광섬유의 융착위치를 육안으로 확인하기 쉽도록 조명이 구비되는데 이를 이용하여 광섬유를 절단 또는 피복제거시 빛으로 이용하게 되므로 광섬유 절단 및 피복 제거시 광섬유 또는 피복의 잔존물이 전극 주변에 낙하되고, 이러한 잔존물이 광섬유 융착시 정상적으로 융착이 되지 않을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선행특허는 광섬유를 수평축이동, 수평축과 대비되도록 정렬시키는 것으로서 두 개의 V-홈과, 두 개의 V-홈을 지지하는 지지대와, 지지대와 두 개의 V-홈을 각각 연결하는 판 스프링이 일체화된 모듈로 이루어지고, 판 스프링을 서로 직교하여 포물선 이동으로 전극봉 사이에 정위치시키는 얼라인베이스와, 얼라인베이스와 90°방향에서 위치되어 전극봉, 카메라, 조명수단이 하나의 모듈로 조립되어 거치되는 메인스테이지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그러나 선행특허는 종래의 문제점인 광섬유의 융착위치를 육안으로 확인하기 쉽도록 구비되는 덮개 내부의 조명을 광섬유의 절단 또는 피복제거 준비작업시의 조명으로 이용하게 되므로 광섬유 절단 및 피복 제거시 광섬유 또는 피복의 잔존물이 전극 주변에 낙하되고, 이러한 잔존물이 광섬유 융착시 정상적으로 융착이 되지 않을 수 있는 문제점이 그대로 존재하는 문제점이 있다.
선행특허 :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69225호(2010.07.02.)
본 발명은 본체부와 힌지로 결합되는 덮개를 열면 자동으로 제1 조명부와 제2 조명부가 작동되어 본체부의 내외측에 빛을 조사하여 광섬유의 정렬 및 외측에서 광섬유 절단 및 피복 제거 작업이 쉽도록 하며 덮개를 닫으면 자동으로 제1 조명부와 제2 조명부가 작동 중지되고, 동시에 카메라부가 작동되어 제어표시부에 광섬유의 영상을 표시하며, 광섬유를 자동으로 융착 접속시키는 내외측 조명부가 구비되는 광섬유 융착 접속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내외측 조명부가 구비되는 광섬유 융착 접속장치는, 광섬유 융착 접속장치에 있어서, 융착 접속장치의 본체부 상측에 힌지를 통해 결합되는 덮개의 내측면에 형성되어 덮개가 열렸을 때 광섬유를 융착시키는 전극 주변에 빛을 조사하여 광섬유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제1 조명부; 상기 본체부에 형성되며, 상기 전극의 하측으로 형성되어 본체부의 안착부에 안착되는 광섬유를 촬영하는 카메라부; 상기 덮개의 외측면에 형성되어 외측으로 빛을 조사하여 외부 작업을 비추도록하는 제2 조명부 및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힌지를 통해 결합되어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 조명부, 제2 조명부, 본체부 및 전극의 작동을 제어하며, 카메라부의 영상을 표시하는 제어표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조명부는 LED 조명이 덮개의 상측 중앙에 광섬유와 안착부를 비추도록 경사져 형성되며, LED 조명이 광섬유와 안착부 측으로만 조사되도록 하측 대각선 방향으로 개구되는 차단부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조명부와 제2 조명부는 덮개가 개방될 때 작동되어 자동으로 켜지며, 덮개가 닫힐 때 작동이 중지되어 자동으로 꺼지며, 제2 조명부는 작업환경에따라 선택적으로 동작을 중지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표시부는 덮개의 개방과 닫힘을 통해 제1 조명부와 제2 조명부의 작동을 제어하며, 본체부와 전극의 작동을 터치 입력을 통해 제어하며, 카메라부의 영상을 표시하여 광섬유가 안착부에 정렬되어 융착되기 전, 후 및 융착되는 과정의 영상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본체부와 힌지로 결합되는 덮개를 열면 자동으로 제1 조명부와 제2 조명부가 작동되어 본체부의 내외측에 빛을 조사하여 광섬유의 정렬 및 외측에서 광섬유 절단 및 피복 제거 작업이 쉽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덮개를 닫으면 자동으로 제1 조명부와 제2 조명부가 작동 중지되고, 동시에 카메라부가 작동되어 제어표시부에 광섬유의 영상을 표시하며, 광섬유를 자동으로 융착 접속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외측 조명부가 구비되는 광섬유 융착 접속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내외측 조명부가 구비되는 광섬유 융착 접속장치의 덮개가 열린 상태에서 제1 조명부와 제2 조명부가 작동되는 것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내외측 조명부가 구비되는 광섬유 융착 접속장치의 덮개가 닫힌 상태에서 제2 조명부가 꺼지는 것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내외측 조명부가 구비되는 광섬유 융착 접속장치의 제1 조명부를 상세하게 나타낸 사시도(a)와 측단면도(b)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내외측 조명부가 구비되는 광섬유 융착 접속장치의 덮개가 열린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내외측 조명부가 구비되는 광섬유 융착 접속장치의 덮개 외측을 나타낸 사시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하나의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권리범위는 예시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예시된 도면은 발명의 명확성을 위하여 핵심적인 내용만 확대 도시하고 부수적인 것을 생략하였으므로 도면에 한정하여 해석하여서는 아니 된다.
본 발명은 광섬유 융착 접속장치에 있어서, 융착 접속장치의 본체부(10) 상측에 힌지를 통해 결합되는 덮개(30)의 내측면에 형성되어 덮개(30)가 열렸을 때 광섬유(o)를 융착시키는 전극 주변에 빛을 조사하여 광섬유(o)의 안착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제1 조명부(40); 상기 본체부(10)에 형성되며, 상기 전극의 하측에 형성되어 본체부(10)의 안착부(20)에 안착되는 광섬유(o)를 촬영하는 카메라부(11); 상기 덮개(30)의 외측면에 형성되어 외측으로 빛을 조사하여 외부 작업을 비추도록하는 제2 조명부(50) 및 상기 본체부(10)의 일측에 힌지를 통해 결합되어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 조명부(40), 제2 조명부(50), 본체부(10) 및 전극의 작동을 제어하며, 카메라부(11)의 영상을 표시하는 제어표시부(60)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조명부(40)는 LED 조명이 덮개(30)의 상측 중앙에 광섬유(o)와 안착부(20)을 비추도록 경사져 형성되며, LED 조명이 광섬유와 안착부 측으로만 조사되도록 하측 대각선 방향으로 개구되는 차단부재(41)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조명부(40)와 제2 조명부(50)는 덮개(30)가 개방될 때 작동되어 자동으로 켜지며, 덮개(30)가 닫힐 때 작동이 중지되어 자동으로 꺼지며, 제2 조명부(50)은 작업환경에따라 선택적으로 동작을 중지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표시부(60)는 덮개(30)의 개방과 닫힘을 통해 제1 조명부(40)와 제2 조명부(50)의 작동을 제어하며, 본체부(10)와 전극의 작동을 터치 입력을 통해 제어하며, 카메라부(11)의 영상을 표시하여 광섬유(o)가 안착부(20)에 정렬되어 융착되기 전, 후 및 융착되는 과정의 영상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외측 조명부가 구비되는 광섬유 융착 접속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면으로서, 융착 접속장치의 본체부(10) 상측에 힌지를 통해 결합되는 덮개(30)의 내측면에 형성되어 덮개(30)가 열렸을 때 광섬유(o)를 융착시키는 전극 주변에 빛을 조사하여 광섬유(o)의 안착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제1 조명부(40); 상기 본체부(10)에 형성되며, 상기 전극의 하측에 형성되어 본체부(10)의 안착부(20)에 안착되는 광섬유(o)를 촬영하는 카메라부(11); 상기 덮개(30)의 외측면에 형성되어 외측으로 빛을 조사하여 외부 작업을 비추도록하는 제2 조명부(50) 및 상기 본체부(10)의 일측에 힌지를 통해 결합되어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 조명부(40), 제2 조명부(50), 본체부(10) 및 전극의 작동을 제어하며, 카메라부(11)의 영상을 표시하는 제어표시부(60)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조명부(40)는 LED 조명이 덮개(30)의 상측 중앙에 광섬유(o)와 안착부(20)을 비추도록 경사져 형성되며, LED 조명이 광섬유와 안착부 측으로만 조사되도록 하측 대각선 방향으로 개구되는 차단부재(41)가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내외측 조명부가 구비되는 광섬유 융착 접속장치의 덮개가 열린 상태에서 제1 조명부와 제2 조명부가 작동되는 것을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내외측 조명부가 구비되는 광섬유 융착 접속장치의 덮개가 닫힌 상태에서 제2 조명부가 꺼지는 것을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내외측 조명부가 구비되는 광섬유 융착 접속장치의 제1 조명부를 상세하게 나타낸 사시도(a)와 측단면도(b)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내외측 조명부가 구비되는 광섬유 융착 접속장치의 덮개가 열린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광섬유 융착 접속장치는 피복이 제거된 광섬유(o)가 안착되는 한쌍의 안착부(20)가 상측면에 형성되고, 양측의 광섬유(o) 간을 플라즈마 융착시키는 전극이 안착부(20) 간에 형성되며, 상기 안착부(20)가 제어표시부(60)의 제어를 통해 내측으로 동시에 이송되어 광섬유(o)를 융착 접속시키도록 구성되며, 전극 하측에 카메라부(11)가 구비되는 본체부(10)와, 본체부(10) 상측에서 상측에 안착부(20)와 전극을 덮도록 형성되며, 내외측에 제1 조명부(40) 및 제2 조명부(50)가 구비되는 덮개(30) 및 일측에 형성되어 카메라부(11)에서 전송되는 영상을 표시하며, 안착부(20), 제1 조명부(40) 및 제2 조명부(50)를 제어하는 제어표시부(60)로 이루어진다.
상기 광섬유 융착 접속장치는 덮개(30)를 열고 안착부(20)에 광섬유(o)를 안착시키고, 덮개(30)를 덮으면 제어표시부(60)를 통해 광섬유(o)의 절단면을 서로 맞닿도록 안착부(20)를 이송시키고, 전극을 통해 맞닿은 광섬유(o)의 절단부위를 융착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융착되는 전극과 광섬유(o)의 상태는 카메라부(11)에서 촬영하여 제어표시부(60)에서 표시하게 된다.
상기 카메라부(11)는 본체부의 전극 하측에 형성되어 덮개(30)가 덮였을 때 카메라부(11)를 통해 전극과 광섬유(o)를 촬영하여 제어표시부(60)로 영상을 전송하게 된다.
상기 본체부(10)의 상측에 결합되는 덮개(30)는 본체부(10)의 상측면에 힌지로 결합되어 회동되며, 외부측으로 일정 각도 이상 열리지 않도록 형성되어 내측면과 외측면에 제1 조명부(40)와 제2 조명부(50)가 형성된다.
상기 덮개(30)의 제1 조명부(40) 하측에는 대각선 방향으로 덮개(30)가 덮였을 때 카메라부(11)를 통해 광섬유(o) 촬영이 용이하도록 하는 조명(31)이 형성된다.
상기 조명(31)은 덮개(30)가 덮였을 때만 작동되어 카메라부(11)로 촬영되는 광섬유(o)를 비춰 카메라부(11)가 쉽게 광섬유(o)를 촬영할 수 있도록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1 조명부(40)는 덮개(30)부의 내측면 중앙에 형성되어 안착부(20)에 안착되는 광섬유(o) 간을 비춰 광섬유(o)가 제대로 위치되는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자가 광섬유(o)를 정위치에 안착시켰는지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1 조명부(40)는 LED 조명이 덮개(30)의 상측 중앙에 광섬유(o)와 안착부를 비추도록 경사져 형성되며, LED 조명의 외측에 광섬유(o) 측으로만 조사되도록 하측 대각선 방향으로 개구되는 차단부재(41)가 형성된다.
상기 차단부재(41)는 하측 대각선 방향으로만 빛이 조사되도록 하측 방향이 개방되어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제1 조명부(40)로 인해 작업자가 광섬유(o)의 절단면이 정상적인 위치에 위치되는 것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1 조명부(40)의 하측에는 카메라부(11)가 형성되어 광섬유(o)를 촬영하며, 한쌍의 카메라로 이루어져 양측에서 광섬유(o)를 촬영하여 광섬유(o)가 융착 접속되는 영상을 촬영하여 제어표시부(60)로 전송하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내외측 조명부가 구비되는 광섬유 융착 접속장치의 덮개 외측을 나타낸 사시도면이다.
상기 덮개(30)의 외측에는 제2 조명부(50)가 형성되며, 제2 조명부(50)는 LED 조명이 덮개(30)의 외측 중앙에 형성되어 외측으로 빛을 조사하고, 이로 인해 광섬유(o)을 절단하거나 피복을 제거할 때 조명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 제2 조명부(50)는 덮개(30)의 열림 각도로 인하여하측 대각선 방향으로 빛을 조사하게 된다.
상기 제어표시부(60)는 본체부(10)의 일측에 힌지를 통해 결합되어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제1 조명부(40), 제2 조명부(50), 본체부(10) 및 전극의 작동을 제어하며, 카메라부(11)의 영상을 표시한다.
이로 인해 사용자의 임의로 각도를 조절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에서 화면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어표시부(60)는 덮개(30)의 개방과 닫힘을 통해 제1 조명부(40)와 제2 조명부(50)의 작동을 제어하며, 본체부(10)와 전극의 작동을 터치 입력을 통해 제어하고, 카메라부(11)의 영상을 표시하여 광섬유(o)가 융착되는 영상을 표시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의 상기 제1 조명부(40)와 제2 조명부(50)는 덮개(30)가 개방될 때 작동되어 자동으로 켜지며, 덮개(30)가 닫힐 때 작동이 중지되어 자동으로 꺼지며, 카메라부(11)는 덮개(30)가 개방될 때 작동 중지되며, 덮개(30)가 닫힐 때 자동으로 작동되어 제어표시부(60)에 영상을 전송하게 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은 본체부와 힌지로 결합되는 덮개를 열면 자동으로 제1 조명부와 제2 조명부가 작동되어 본체부의 내외측에 빛을 조사하여 광섬유의 정렬 및 외측에서 광섬유 절단 및 피복 제거 작업이 쉽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덮개를 닫으면 자동으로 제1 조명부와 제2 조명부가 작동 중지되고, 동시에 카메라부가 작동되어 제어표시부에 광섬유의 영상을 표시하며, 광섬유를 자동으로 융착 접속시키는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은 내외측 조명부가 구비되는 광섬유 융착 접속장치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작동 방식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 실시예들은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10 : 본체부 11 : 카메라부
20 : 안착부
30 : 덮개 31 : 조명
40 : 제1 조명부 41 : 차단부재
50 : 제2 조명부 60 : 제어표시부
o : 광섬유

Claims (3)

  1. 광섬유 융착 접속장치에 있어서,
    융착 접속장치의 본체부(10) 상측에 힌지를 통해 결합되는 덮개(30)의 내측면에 형성되어 덮개(30)가 열렸을 때 광섬유(o)를 융착시키는 전극 주변에 빛을 조사하여 광섬유(o)의 안착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제1 조명부(40);
    상기 본체부(10)에 형성되며, 상기 전극의 하측에 형성되어 본체부(10)의 안착부(20)에 안착되는 광섬유(o)를 촬영하는 카메라부(11);
    상기 덮개(30)의 외측면에 형성되어 외측으로 빛을 조사하여 외부 작업을 비추도록하는 제2 조명부(50) 및
    상기 본체부(10)의 일측에 힌지를 통해 결합되어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 조명부(40), 제2 조명부(50), 본체부(10) 및 전극의 작동을 제어하며, 카메라부(11)의 영상을 표시하는 제어표시부(60)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조명부(40)는 LED 조명이 덮개(30)의 상측 중앙에 광섬유(o)와 안착부(20)을 비추도록 경사져 형성되며, LED 조명이 광섬유와 안착부 측으로만 조사되도록 하측 대각선 방향으로 개구되는 차단부재(41)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외측 조명부가 구비되는 광섬유 융착 접속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조명부(40)와 제2 조명부(50)는 덮개(30)가 개방될 때 작동되어 자동으로 켜지며, 덮개(30)가 닫힐 때 작동이 중지되어 자동으로 꺼지며,
    제2 조명부(50)은 작업환경에따라 선택적으로 동작을 중지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외측 조명부가 구비되는 광섬유 융착 접속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표시부(60)는 덮개(30)의 개방과 닫힘을 통해 제1 조명부(40)와 제2 조명부(50)의 작동을 제어하며, 본체부(10)와 전극의 작동을 터치 입력을 통해 제어하며, 카메라부(11)의 영상을 표시하여 광섬유(o)가 안착부(20)에 정렬되어 융착되기 전, 후 및 융착되는 과정의 영상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외측 조명부가 구비되는 광섬유 융착 접속장치.
KR1020190025210A 2019-03-05 2019-03-05 내외측 조명부가 구비되는 덮개폐쇄시에 광섬유 절단면이 이송되는 광섬유 융착 접속장치 KR1022067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5210A KR102206748B1 (ko) 2019-03-05 2019-03-05 내외측 조명부가 구비되는 덮개폐쇄시에 광섬유 절단면이 이송되는 광섬유 융착 접속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5210A KR102206748B1 (ko) 2019-03-05 2019-03-05 내외측 조명부가 구비되는 덮개폐쇄시에 광섬유 절단면이 이송되는 광섬유 융착 접속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7017A true KR20200107017A (ko) 2020-09-16
KR102206748B1 KR102206748B1 (ko) 2021-01-26

Family

ID=726694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5210A KR102206748B1 (ko) 2019-03-05 2019-03-05 내외측 조명부가 구비되는 덮개폐쇄시에 광섬유 절단면이 이송되는 광섬유 융착 접속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6748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34127A (ja) * 1991-11-08 1993-05-28 Sumitomo Electric Ind Ltd 光フアイバの融着接続装置
JP2006293174A (ja) * 2005-04-13 2006-10-26 Fujikura Ltd 光ファイバ融着接続機
KR100969225B1 (ko) 2010-04-16 2010-07-09 (주) 유라빅 하나로 모듈화된 얼라인베이스·메인스테이지를 통한 정밀제어가 향상된 광섬유 융착 접속기
JP2014038361A (ja) * 2013-11-25 2014-02-27 Fujikura Ltd 光ファイバ融着接続機
JP2015129924A (ja) * 2013-12-04 2015-07-16 株式会社成和技研 融着機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34127A (ja) * 1991-11-08 1993-05-28 Sumitomo Electric Ind Ltd 光フアイバの融着接続装置
JP2006293174A (ja) * 2005-04-13 2006-10-26 Fujikura Ltd 光ファイバ融着接続機
KR100969225B1 (ko) 2010-04-16 2010-07-09 (주) 유라빅 하나로 모듈화된 얼라인베이스·메인스테이지를 통한 정밀제어가 향상된 광섬유 융착 접속기
JP2014038361A (ja) * 2013-11-25 2014-02-27 Fujikura Ltd 光ファイバ融着接続機
JP2015129924A (ja) * 2013-12-04 2015-07-16 株式会社成和技研 融着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6748B1 (ko) 2021-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55498B2 (en) Low profile system for joining optical fiber waveguides
CN103364875B (zh) 光纤熔接机
US8254743B2 (en) Optical fiber cable holder, fusion splicer including the holder, and fusion splicing method using the holder
US603471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bserving tip portion of optical fibers butting each other
US9513439B2 (en) Optical fiber fusion splicer and optical fiber fusion splicing apparatus provided with same
JPH06167629A (ja) 光ファイバのレーザ溶着スプライサ
DE60022546D1 (de) Abbildungsverfahren und -gerät mit lichtleiterbündel und räumlichem lichtmodulator
US11656410B2 (en) Optical fiber fusing and connecting machine and optical fiber fusing and connecting method
US7077579B2 (en) Low profile splicing stage for optical fiber waveguides
CN109642849A (zh) 光纤连接器端接测试工具
US20140036256A1 (en) Method for distinguishing optical fiber and method for fusion-splicing optical fibers
JP4382694B2 (ja) 光ファイバ融着接続機
CN103201659B (zh) 将复合纤维组件中的内嵌光波导连接至外部光波导的方法
KR102206748B1 (ko) 내외측 조명부가 구비되는 덮개폐쇄시에 광섬유 절단면이 이송되는 광섬유 융착 접속장치
US7674048B2 (en) Polarity checking apparatus for multi-fiber connectors
KR20130063770A (ko) 광섬유 융착 접속기
US20120002929A1 (en) Device and method for splicing optical fibers, and use of an end piece in a device for splicing
US4613214A (en) Optical device for viewing the adjustment of optical waveguides
JP7516173B2 (ja) 融着接続機及び光ファイバの回転調心方法
KR102064838B1 (ko) 광섬유 융착접속기
KR102068021B1 (ko) 트래킹 카메라를 포함하는 광섬유 융착 접속기
JP2014123157A (ja) 光ファイバ判別方法及び光ファイバの融着接続方法
JP2024075873A (ja) 融着機
WO2022045364A1 (en) Optical fiber fusion splicer and optical fiber fusion splicing method
JP2888730B2 (ja) 光ファイバ観察方法及び観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