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6992A - 스티칭 위의 인쇄 - Google Patents

스티칭 위의 인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6992A
KR20200106992A KR1020207025777A KR20207025777A KR20200106992A KR 20200106992 A KR20200106992 A KR 20200106992A KR 1020207025777 A KR1020207025777 A KR 1020207025777A KR 20207025777 A KR20207025777 A KR 20207025777A KR 20200106992 A KR20200106992 A KR 202001069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itching
pattern
printing
color
sho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257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07586B1 (ko
Inventor
카시오 피구어
부르스 제이 킬고어
크리스티나 엠 우드
Original Assignee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filed Critical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Priority to KR10202170010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9536B1/ko
Publication of KR202001069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69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75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75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0027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de at least partially from a material having special colour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3/00Uppers; Boot legs; Stiffeners; Other single parts of footwear
    • A43B23/02Uppers; Boot legs
    • A43B23/0205Uppers; Boot le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3/00Uppers; Boot legs; Stiffeners; Other single parts of footwear
    • A43B23/02Uppers; Boot legs
    • A43B23/0245Uppers; Boot leg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3/00Uppers; Boot legs; Stiffeners; Other single parts of footwear
    • A43B23/28Devices to put in shoes in order to prevent slipping at the heel or to prevent abrading the stocking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0036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characterised by a special shape or design
    • A43B3/0078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characterised by a special shape or design provided with logos, letters, signatures or the like decoration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0036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characterised by a special shape or design
    • A43B3/0078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characterised by a special shape or design provided with logos, letters, signatures or the like decoration
    • A43B3/0084Arrangement of flocked decoration on sho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9/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assembling of the individual parts
    • A43B9/02Footwear stitched or nailed through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DMACHINES, TOOLS, EQUIPMENT OR METHODS FOR MANUFACTURING OR REPAIRING FOOTWEAR
    • A43D8/00Machines for cutting, ornamenting, marking or otherwise working up shoe part blanks
    • A43D8/16Ornamentation
    • A43D8/22Ornamentation by embossing or printing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DMACHINES, TOOLS, EQUIPMENT OR METHODS FOR MANUFACTURING OR REPAIRING FOOTWEAR
    • A43D8/00Machines for cutting, ornamenting, marking or otherwise working up shoe part blanks
    • A43D8/16Ornamentation
    • A43D8/22Ornamentation by embossing or printing
    • A43D8/24Embossing using heat, e.g. high frequency electric curr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1/00Inking and printing with a printer's forme
    • B41M1/26Printing on other surfaces than ordinary pa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3/00Printing processes to produce particular kinds of printed work, e.g. patterns

Abstract

신발(10, 1900) 또는 신발(10, 1900) 구성 요소에 스티칭(128, 14, 18A, 2010)이 적용되고 그 후 인쇄된다. 스티칭(128, 14, 18A, 2010)은 연속 스레드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인쇄(2020) 후에, 연속 스레드의 일부(216)가 연속 스레드의 다른 부분(들)과 상이한 컬러 또는 외관을 가질 수 있다.

Description

스티칭 위의 인쇄{PRINTING OVER STITCHING}
신발류 제조는 전통적으로 개개의 피스를 절단하고 피스들을 함께 재봉하는 것을 포함하여 신발류를 형성하는 힘든 공정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제조 공정은 일련의 작업이 제1 작업자에 의해 신발의 일부에서 수행될 수 있고, 그 후 다른 일련의 작업들이 나중에 다른 작업자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는 점에서 배치 방식(batch-like)이다. 이러한 시작 및 중지 공정은 공정의 비효율성을 초래할 수 있다.
신발 외부가 단색이 아닌 경우 피스들을 함께 재봉하는 것은 또한 도전을 받는다. 신발의 외관을 보완하기 위해 스티칭 스레드의 컬러를 사용하는 것이 종종 바람직하다. 일부 디자인에서는, 이는 스티칭의 외관을 최소화하기 위해 매칭되는 스레드를 사용하고, 스티칭의 외관을 강조하기 위해 스레드를 대조시키거나, 신발에 패턴, 이미지 또는 디자인의 일부를 형성하거나 또는 달리 강조하도록 스레드가 선택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그러나 신발이 단색이 아닌 경우에는, 이는 스티칭 스레드를 변경하는 것을 필요로 하는데, 이는 번거롭다. 스티칭 라인이 신발의 2개의 상이한 컬러 또는 디자인 세그먼트를 가로지르는 경우, 복수의 스레드 유형이 재고로 갖추어져야 하며, 제조 동안 스레드가 변경되어야 한다. 스레드를 변경하면 시간, 비용 및 복잡성이 제조에 추가되고, 공정에서 중지 및 시작의 횟수 및 지속 시간이 가중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양태는 신발류 제품의 연속 인-라인 제조 중에 수행될 수 있는 스티칭 위의 인쇄에 관한 것이다.
일부 양태에서, 본 개시는 신발 어퍼에 관한 것이다. 신발 어퍼는 제1 컬러 또는 시각적 패턴에 의해 획정되는 제1 영역을 가질 수 있다. 신발 어퍼는 제2 컬러 또는 시각적 패턴에 의해 획정되는 적어도 제2 영역을 가질 수 있다. 제2 컬러 또는 시각적 패턴은 제1 컬러 또는 시각적 패턴과 시각적으로 구별될 수 있다. 신발 어퍼는 연속 스레드에 의해 형성된 스티칭 라인을 가질 수 있다. 스티칭 라인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어퍼의 제1 영역에 배치되고,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어퍼의 제2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연속 스레드는 제1 영역에서 제1 컬러 또는 시각적 패턴과 매칭될 수 있고, 제2 영역에서 제2 컬러 또는 시각적 패턴과 매칭될 수 있다. 스티칭은 퀼트 패턴을 획정할 수 있다. 신발 어퍼는 편평할 수 있다. 스티칭은 장식용일 수 있다. 스티칭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구조용일 수 있다. 제1 영역 및 제2 영역 중 적어도 하나는 다중 컬러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양태에서, 본 개시는 신발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방법은 연속 스레드를 사용하여 신발을 위한 편평한 패턴을 스티칭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적어도 2개의 영역에서 스티칭된 편평한 패턴의 적어도 일부를 인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영역은 제1 시각적 컬러 또는 시각적 패턴에 의해 획정되고, 적어도 제2 영역은 제2 컬러 또는 시각적 패턴에 의해 획정될 수 있다. 제2 컬러 또는 시각적 패턴은 제1 컬러 또는 시각적 패턴과 시각적으로 구별될 수 있다. 연속 스레드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1 영역에서 그리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2 영역에서 스티칭될 수 있다. 인쇄 후에, 연속 스레드는 제1 영역에서 제1 컬러 또는 시각적 패턴과 매칭될 수 있고, 제2 영역에서 제2 컬러 또는 시각적 패턴과 매칭될 수 있다. 인쇄는 디지털 인쇄, 플렉소그래픽 인쇄, 스크린 인쇄, 로터리 스크린 인쇄, 패드 인쇄 및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된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인쇄는 컬러 또는 패턴을 연속 스레드에만 부여할 수 있다. 인쇄는 연속 스레드 및 편평한 패턴의 적어도 일부에 컬러 또는 패턴을 부여할 수 있다. 편평한 패턴은 3 차원 신발로 조립될 수 있다. 인쇄 또는 스티칭은 편평한 패턴의 하나 이상의 구별되는 피처들에 정렬될 수 있다. 인쇄 및 스티칭은 적어도 하나의 시각 시스템(vision system)을 사용하여 편평한 패턴의 하나 이상의 구별되는 피처들에 정렬될 수 있다. 스티칭은 퀼팅 아암(quilting arm)을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스티칭은 편평한 패턴의 적어도 일부 상에 퀼팅을 획정할 수 있다. 스티칭 및 인쇄는 동일한 제조 스테이션에서 수행될 수 있다. 스티칭은 제1 시각 시스템을 사용하여 제1 제조 스테이션에서 편평한 패턴에 정렬될 수 있다. 인쇄는 제2 시각 시스템을 사용하여 제2 제조 스테이션에서 편평한 패턴에 정렬될 수 있다.
일부 양태에서, 본 개시는 신발 어퍼 또는 그 구성 요소를 제조하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상기 시스템은 이송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이송 시스템은 제조 라인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편평한 패턴을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시각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시각 시스템은 이송 시스템 상의 편평한 패턴의 하나 이상의 구별되는 피처를 관찰할 수 있다. 상기 시스템은 스티칭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스티칭 장치는 편평한 패턴의 적어도 일부에 연속 스레드를 스티칭할 수 있다. 스티칭은 편평한 패턴의 하나 이상의 구별되는 피처와 정렬될 수 있다. 상기 시스템은 인쇄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인쇄 장치는 편평한 패턴에 스티칭된 후에 컬러 및/또는 패턴을 연속 스레드의 적어도 일부에 부여할 수 있다. 스티칭 장치는 퀼팅 아암을 포함할 수 있다. 인쇄 장치는 디지털 인쇄기, 플렉소그래픽 인쇄기, 스크린 인쇄기, 로터리 스크린 인쇄기 또는 패드 인쇄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인쇄 장치는 편평한 패턴 및 연속 스레드에 컬러 및/또는 패턴을 부여할 수 있다.
본 요약은 아래의 상세한 설명에서 더 자세히 설명되는 단순화된 형태의 개념의 선택을 소개하기 위해 제공된다. 본 요약은 청구된 주제의 주요 피처들 또는 필수적인 피처들을 식별하기 위한 것이 아니며, 도면을 포함하여 본 개시의 나머지 내용과는 별도로 청구된 주체의 범위를 결정하는데 도움이 되는 것으로서 사용되도록 의도되지도 않는다.
본 개시의 예시적인 양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되며, 상기 도면은 본 명세서에 참고로 병합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양태에 따라 2개의 영역을 가로질러 연장되는 연속 스레드를 갖는 예시적인 신발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b는 본 발명의 양태에 따라 시각적으로 수정된 연속 스레드의 일부를 갖는 도 1a의 예시적인 신발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양태에 따라 일련의 신발 어퍼의 기재 상의 연속적인 인-라인 생산을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양태에 따라 신발 어퍼를 위한 연속 인-라인 제조 시스템을 형성하는 일련의 제조 처리 스테이션을 따라서 통과하는 도 2의 기재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양태에 따라 기재로부터 형성된 편평한 패턴 어퍼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양태에 따라 복수의 예시적인 기준 라인들을 갖는 도 4의 편평한 패턴 어퍼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양태에 따라 도 4의 편평한 패턴 어퍼를 형성하는 기재 재료 상에 위치된 예시적인 오버레이를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양태에 따라 도 6의 편평한 패턴 어퍼와 결합된, 다른 예시적인 오버레이, 아이 스테이 오버레이(eye stay overlay)를 도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양태에 따라 도 7의 아이 스테이 오버레이 위에 위치된 미드풋 오버레이를 도시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양태에 따라 오버레이, 아이 스테이 오버레이, 미드풋 오버레이 및 칼라(collar) 라이너로 구성되는 도 8의 편평한 패턴 어퍼를 도시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양태에 따라 발목 개구 영역, 미드풋 개구 영역, 및 편평한 패턴 어퍼로부터 제거된 내포된 설포(nested tongue)를 갖는 도 9의 편평한 패턴 어퍼를 도시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른 예시적인 정렬 도구를 도시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양태에 따라 도 10의 힐 영역에서 결합된 후 편평한 패턴 어퍼의 풋베드 정형 애퍼처(forming aperture)를 통해 연장되는 도 11의 정렬 도구의 정렬 핀을 도시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양태에 따라 안쪽 플랩의 정형 애퍼처가 정렬 핀에 의해 기계적으로 결합되도록 정렬 도구 주위에 둘러지는 도 12의 어퍼 부분을 도시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양태에 따라 안쪽 플랩을 풋베드 부분과 결합시킴으로써 생성된 체적 내로 삽입된 라스트(last)를 도시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양태에 따라 도 4 내지 도 10의 편평한 패턴 어퍼로부터 정형된 입체적 신발을 도시한다.
도 16은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른 발목 칼라의 단순화된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7은 본 발명의 양태에 따라 편평한 패턴으로부터 오버레이를 갖는 신발류 제품을 제조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18은 본 발명의 양태에 따라 편평한 패턴으로부터 오버레이를 갖는 신발류 제품을 제조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19는 본 발명의 양태에 따라 편평한 패턴 어퍼에 대한 일체형 칼라 라이너를 갖는 신발류 제품을 제조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20은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른 신발을 도시한다.
도 21은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른 예시적인 방법에 대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의 주제는 법정 요구 사항을 충족시키기 위해 본 명세서에서 특이성을 가지고 설명된다. 그러나, 본 상세한 설명 자체는 본 특허의 범위를 제한하려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본 발명자들은 청구된 주제가 다른 현재 또는 미래의 기술과 관련하여,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것들과 유사한 다른 단계 또는 단계들의 조합을 포함하도록 다른 방식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고 생각한다.
일부 양태에서, 본 개시는 신발 및 신발 구성 요소의 스티칭, 및 스티칭된 신발 또는 신발 구성 요소에 관한 것이다. 도 1a는 디자인(12) 및 스티칭 라인(14)을 갖는 예시적인 신발(10)을 도시한다. 스티칭 라인(14)은 연속 스레드로 형성되고, 디자인 영역(12) 외부에 스티치(16)가 있고, 디자인 영역(12) 내부에 스티치(18)가 있다. 디자인(12) 구역의 외부의 구역은 구역(11)으로서 언급된다.
처음에 스티칭될 때, 연속 스레드는 구역(11) 및 디자인(12) 구역 모두에 걸쳐 균일한 외관을 갖는다.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티칭 라인(14) 내의 연속 스레드는 디자인(12)의 외관(예를 들어, 컬러, 시각적 특성)과 매칭되거나 또는 보완하도록 인쇄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스티치(18A)는, 인쇄 후에, 유사한 착색, 패턴 또는 다른 시각적 특성을 갖는 것과 같이, 디자인(12)의 컬러 또는 시각적 특성과 매칭된다. 스티치는 인쇄되지 않을 수 있거나 또는 이들은 스티치(18a)에서 인쇄되는 것과 다른 방식으로 인쇄될 수도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스티칭 후에 스레드를 인쇄하는 것은 스티치 라인(14)을 스티칭하는 동안 스레드를 변경할 필요 없이(예를 들어, 2개 이상의 불연속 스레드를 사용) 신발(10) 상의 상이한 디자인 또는 패턴과 매칭되거나 또는 이를 보완하기 위해 연속 스레드의 사용을 허용한다. 다르게 말하면, 스레드 위의 인쇄는 서로 다른 시각 특성(예를 들어, 상이한 재료, 컬러, 패턴)을 갖는 적어도 2개의 구역에 걸쳐 공통의 스티칭 작업 동안 연속 스레드가 사용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스티칭 위의 인쇄는 본 명세서에서 제공된 바와 같이, 제조 시간, 복잡성 및/또는 비용의 감소를 제공한다. 스티칭 위의 인쇄는 다양한 형태 및 프로세스로 달성될 수 있으며, 일부 양태에서는, 스티칭 및/또는 인쇄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바와 같이 신발을 위한 편평한 패턴 어퍼 상에 수행될 수 있다.
도 1a는 스티칭(18A)이 인쇄되기 전에 신발(10)의 일부로서 디자인(12)을 도시하지만, 디자인(12)은 예시적인 양태에서 스티치(18A)를 시각적으로 변경하는 공통 인쇄 작업으로부터 형성되는 것이 고려된다. 또한, 도 1a 및 도 1b는 형성된 (비-평면) 배향의 신발(10)을 도시한다. 스티치(18A)(및 일부 예에서, 디자인(12) 또는 그 일부)의 인쇄는 신발(10)을 형성하는 구성 요소가 본 명세서에 제공된 바와 같은 평면 구성으로 있는 동안 수행되는 것이 고려된다. 그러나, 예시적인 양태에서, 신발의 하나 이상의 부분이 비-평면 구성에 있는 동안 하나 이상의 인쇄 작업이 수행될 수 있다는 것도 또한 고려된다.
신발류 제품에는 신발, 부츠, 샌들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용어 "신발"은 본 명세서에서 일반적으로 신발류 제품을 언급하는데 사용될 것이다. "신발"이라는 용어는 전통적인 신발 스타일에 국한되지 않고, 대신에 부츠, 운동화, 샌들, 런닝화, 클리트 및 기타 신발류 제품을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신발은 솔(sole)로 지칭될 수 있는 지면 접촉 부분으로 구성된다. 솔은 다양한 재료 및/또는 다양한 개별 구성 요소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솔은 당업계에 공지된 바와 같이 아웃솔, 미드솔 및/또는 인솔을 포함할 수 있다. 신발은 솔에 사용자의 발을 고정시키기 위해 효과적인 발 고정 부분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발 고정 부분은 여기에서 짧게 신발 어퍼 또는 "어퍼"로 지칭될 수도 있다. 어퍼는 하나 이상의 재료 및/또는 하나 이상의 개별 구성 요소로 형성될 수 있다. 어퍼를 형성하기 위한 예시적인 시스템 및 기술은 이하 더 상세하게 제공된다.
어퍼 및/또는 솔을 형성하기 위한 재료 또는 기술에 관계없이, 추가적인 성형(shaping) 및 정형(forming)이 원하는 3 차원 형상(예를 들어, 입체적 신발)을 얻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전통적으로, 코블러 라스트(cobbler's last)로 알려진 도구는 신발이 원하는 크기, 모양 및 구조로 형성될 수 있게 하는 형틀 역할을 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와 같이, "라스트"라는 용어는 어퍼가 형성될 수 있게 하는 도구 형태를 언급할 것이다. 일부 양태에서, 솔은 어퍼가 라스트에 위치될 때(즉, 어퍼의 내부 체적에 라스트가 위치됨) 어퍼에 결합(예를 들어, 부착, 스티칭)될 수 있다. 라스트는 생성되는 신발의 윤곽, 형상, 스타일 및 기타 특성을 획정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양태들은 편평한 패턴을 고려하고, 이 편평한 패턴은 그 후 입체적 신발(dimensional shoe)로 정형된다. "편평한 패턴"은 도 4 내지 도 10에 일반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은 실질적으로 평면인 재료들의 집합체이다. 상이한 재료가 텍스처, 범프, 엠보싱, 돌출부 등을 형성하는 방식으로 서로 결합될 수 있지만, 재료의 집합체는 여전히 실질적으로 평면이어서, 표면을 따라 높이의 편차가 있더라도 "편평"하다. 편평한 패턴은 사용자의 발이 고정될 수 있는 수용 공동을 형성하기 위해 라스트 주위에 형성될 때, "입체적(dimensional)" 제품이 된다. 예를 들어, 신발의 3 차원 제품은 착용자의 일부에 그리고 착용자의 일부의 주위에서 고정될 수 있는 방식으로 형성된 제품이다. "편평한" 패턴은, "입체적" 제품과는 달리, 예시적인 양태에서, 착용자의 일부에 대해 수용되도록 형성되지 않는다. 편평한 패턴의 개념은 신발 어퍼를 형성하는데 사용되는 많은 재료가 원 상태에서 실질적으로 평면의(예를 들어, 시트 형상의) 구성인 롤 형태로 감긴 제품이기 때문에 제조에 도움이 된다. 그러므로, 편평한 구성 요소들의 집합체로부터 신발 어퍼를 구성하는 것은 예를 들어 라스트 또는 맞춤형 도구의 사용을 통해 나중에 입체적 제품으로 변환되는 편평한 패턴으로서 연속 인-라인 제조 공정에 대해 자동화될 수 있다.
높은 수준에서, 양태들은 인-라인 제조의 일부로서 형성된 신발 어퍼 부분의 각각에 대해 다양한 스타일, 크기 및/또는 재료를 허용하는 연속 인-라인 제조 공정에서 신발 어퍼를 형성하는 것을 고려한다. 특정 작업 라인을 완료하도록 프로그래밍된 기계에 의해 연속 라인을 따른 하나 이상의 공정이 수행되도록 제조 공정을 자동화할 수 있는 것이 고려된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제조 라인의 하나 이상의 공정이 인간에 의해 수행되는 것이 고려된다. 따라서, 기계 및 인간의 개입의 임의의 조합이 예시적인 양태에서, 신발 어퍼의 형성 및 신발 전체의 잠재적인 완료를 달성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연속 인-라인 제조는 인장 강도, 연신율 특성 및 수분 운송과 같은 설계된 재료 특성을 편평한 패턴 상에서 효율적인 방식으로 전략적으로 구현할 수 있게 한다. 편평한 패턴 개념은 제조의 보다 큰 일관성을 제공할 수 있고, 입체적 어퍼 제조 공정에 비해 제조 공정의 일부를 수행하기 위한 덜 정교한 기계 및 로직을 구현하는 능력을 제공할 수 있다.
제조 시스템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른 신발 어퍼의 연속 인-라인 제조의 개요를 제공한다. 특히, 도 2는 본 발명의 양태에 따라 일련의 어퍼(118, 120, 122, 124 및 126)의 기재(102) 상에서의 연속 인-라인 제조(100)를 도시한다. 예시적인 양태에서, 기재(102)는 편평한 어퍼가 형성될 수 있는 기초로서의 역할을 한다. 예시적인 양태에서, 기재(102)는 그 위에 적용된 재료의 위치의 레지스트레이션(registration)을 가능하게 하는 최소 스트레치를 갖는다. 예를 들어, 시스템은 인-라인 제조 공정을 통과할 때 기재(102)의 위치를 추적할 수 있다. 기재 위치의 파악은 예시적인 양태에서 편평한 패턴 어퍼 부분을 생성하기 위해 기재 상에서 무엇이 그리고 공정이 어디에서 수행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가이던스를 제공할 수 있다. 기재(102)는 임의의 폭 및/또는 임의의 길이일 수 있다. 예시적인 양태에서, 기재(102)는 폭을 가로질러 적어도 하나, 2개, 3개, 4개, 5개 또는 6개의 편평한 신발 어퍼 패턴을 형성하기에 충분한 폭을 갖는 롤 형태로 감긴 제품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재(102)는 그룹핑(104 및 106)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2개의 편평한 패턴 어퍼를 형성하기에 충분한 폭을 갖는다. 예시적인 양태에서, 그룹핑(104) 및 그룹핑(106)은 한 쌍의 신발을 형성하기 위해 매칭된 어퍼를 나타낸다. 예시적인 그룹핑(108, 110, 112, 114, 및 116)은 완료 시에 조정된 신발인 편평한 어퍼의 좌측 및 우측 쌍을 나타낼 수 있다. 각 그룹핑은 다음 그룹핑으로부터의 신발 어퍼의 다른 스타일, 모양, 구성 또는 다른 편차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예시적인 양태에서, 그룹핑(108)은 여성 런닝 신발 어퍼를 나타낼 수 있는 반면, 그룹핑(110)은 남성 베이스볼 클리트 어퍼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그룹핑은 대안적인 예시적인 양태에서 신발 어퍼의 공통 크기, 모양 및 스타일을 나타낼 수 있는 것으로 고려된다.
기재(102)는 임의의 재료일 수 있다; 그러나, 예시적인 양태에서, 기재(102)는 시트 재료이다. 예를 들어, 기재(102)는 기계적, 열적 및/또는 화학적 공정에 의한 섬유/필라멘트의 얽힘을 통해 형성된 시트 또는 웹과 같은 구조인 부직포일 수 있다. 부직포 재료는 직조되거나 또는 편직되지 않은 편평한 다공성 재료일 수 있다. 부직포 재료는 인-라인 제조 공정 자체로부터 생성된 스크랩 재료와 같은 재활용된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부직포는 폴리에스테르 섬유의 니들 펠팅(needle felting)에 의해 제조되는 산업용 펠트와 같은 웹 재료일 수 있다. 부직포 또는 다른 재료(예를 들면, 직물/편직물)인 기재(102)는 임의의 합성 또는 천연 섬유로 형성될 수 있는 것이 고려된다. 예시적인 양태에서, 섬유는 폐기물 스트림의 일부로서 제조 공정 자체로부터 포획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퍼를 형성하지 않는 기재(102)의 부분은 신발 어퍼의 형성에 후속하는 폐기물 스트림에 포함될 수 있다. 폐기물 스트림 기재(102) 부분은 예시적인 양태에서 후속 제조 공정을 위해 기재(102)를 다시 형성하도록 재활용될 수 있다. 부직포 기재(102)는 예시적인 양태에서, 부직포 재료를 형성하는 섬유의 랜덤 얽힘과는 대조적으로 특정한 설계된 구조(engineered structure)(예를 들어, 인터레이싱(interlacing), 루핑(looping))를 갖는 편직물 또는 직물 구조에 비해 폐기물 스트림 재료의 재활용을 고려할 때 보다 큰 경제적 효율성을 제공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기재(102)는 직물 또는 편물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재(102)는 인-라인 편물 또는 직물 재료로 형성되어, 기재가 얀, 섬유, 스레드 또는 다른 원재료로서 시작되고 그 후 인-라인 제조 공정의 일부로서 시트형 포맷으로 형성되는 것이 고려된다. 대안적으로, 기재(102)는 인-라인 연속 제조 공정으로 도입되기 전에 편물 또는 직조에 의해 시트형 포맷으로 형성되는 것이 고려된다.
도 2로 돌아가면, 기재(102)는 화살표(101)에 의해 지시된 방향으로 어퍼의 연속적인 그룹핑 상에 구현되는 일련의 제조 공정을 도시한다. 예를 들어, 그룹(108)의 어퍼(118)는 도 4 내지 도 10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편평한 패턴 형상 및 일련의 애퍼처의 아웃라인을 갖는 것으로 도시된다. 기재(102)는 어퍼(120)를 갖는 그룹핑(110)에서 또 다른 공정으로 진행한다. 어퍼(120)는 편평한 어퍼에 원하는 기계적 및/또는 심미적 특성을 제공하는 오버레이(예를 들어, 도 6의 오버레이(500))가 그 위에 적용되게 할 수 있다. 다른 오버레이(예를 들어, 도 7의 아이 스테이 오버레이(600))가 적용된 어퍼(122)를 갖는 그룹핑(112)으로 계속해서 진행된다. 기재(102)의 연속 롤 상의 인-라인 제조는 다른 오버레이(예를 들어, 도 8의 미드풋 오버레이(700))가 어퍼(124)의 편평한 패턴에 적용되는 어퍼(124)를 갖는 그룹핑(114)으로 계속될 수 있다. 최종적으로, 인-라인 제조 공정의 도시된 예시적인 시퀀스에서, 다른 오버레이(예를 들어, 도 9의 칼라 라이너(800))가 그룹핑(116)의 편평한 패턴 어퍼(126)에 적용된다. 이 공정에서, 스티칭(128)이 도시되어 있으며, 이는 또한 도 9와 함께 더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특정 구성 요소 및 공정이 도 2와 관련하여 도시되어 있지만, 임의의 공정(예를 들어, 절단, 결합, 페인팅, 인쇄, 도포, 형성 등)이 본 발명의 양태에 따라 임의의 개수의 임의의 순서로 수행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특정 구성 요소가 도시되어 있지만, 예시적인 양태에서, 구성 요소의 임의의 조합, 형상, 순서, 재료 및/또는 구성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이 고려된다.
여기에서 방향 용어는 하나 이상의 피처의 상대 위치를 제공하는데 사용된다. 예를 들어, 토우측(toeward)이란 표현은 구성 요소의 토우(toe) 단부를 향하는 방향을 나타낸다. 마찬가지로, 힐측(heelward)이란 표현은 구성 요소의 힐 단부를 향하는 방향을 나타낸다. 안쪽(medial) 및 바깥쪽(lateral)은 사용자가 착용한 성형된 입체적 신발에 관한 방향성 용어이다. 예를 들어, 안쪽은 착용 시 사용자 발의 몸통 중간선에 대해 내측을 향하고, 바깥쪽은 착용 시 사용자의 발의 몸통 중간선에 대해 외측을 향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양태에 따라 신발 어퍼에 연속 인-라인 제조 시스템(200)을 형성하는 일련의 제조 처리 스테이션을 따라 진행하는 기재(102)를 도시한다. 특히, 시스템(200)은 이송 시스템(202) 및 일련의 처리 스테이션(204, 206, 208, 210 및 212)으로 구성된다. 이송 시스템(202) 및 처리 스테이션은 본질적으로 예시적인 것이며, 단순히 연속 인-라인 제조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상이한 시스템 및 스테이션은 본 명세서에서 제공되는 양태들을 달성하기 위해 임의의 조합, 간격, 시퀀스 및 구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시적인 처리 스테이션은 인쇄 스테이션, 액체 도포 스테이션, 가열 스테이션, 증기 스테이션, 절단 스테이션, 펀칭 스테이션, 배치 스테이션, 재봉 스테이션, 접착제 스테이션, 용접 스테이션 등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하나 이상의 스테이션은 공통 위치에서 그리고/또는 동시에 2개 이상의 동작을 수행하는 공통 스테이션으로 결합될 수 있는 것이 고려된다. 또한, 하나 이상의 스테이션이 인간이 점유할 수 있어, 인간이 부재하거나 또는 기계와 관련되어 동작이 수행될 수 있는 것이 고려된다.
도 4 내지 도 10은 예시적인 양태에서, 시스템(200)의 하나 이상의 스테이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는 예시적인 공정의 시퀀스를 나타낸다. 그러나, 시스템으로부터 형성된 특정 편평한 패턴 어퍼는 여기에 제공된 예시적인 실시예(들)와 다를 것이다. 시스템(200)의 유연성은, 설계에 의해, 시스템(200) 구성에 대한 실질적인 변경 없이 상이한 편평한 어퍼의 다양한 제조를 허용한다. 대신에, 하나 이상의 스테이션이 그곳을 통과하는 특정 편평한 패턴 어퍼에 따라 활성화되거나 또는 비활성화될 수 있는 것이 고려된다. 예를 들어, 제1 어퍼는 그 위에 인쇄된 요소를 추가하도록 인쇄 스테이션을 이용할 수 있지만, 동일한 연속 기재(102) 상에 형성된 후속하는 어퍼는 이 후속하는 어퍼가 다른 스타일이므로 인쇄기 스테이션을 이용하지 않는 것이 고려된다. 유사하게, 제1 어퍼는 제1 작업(예를 들어, 특정 절단 패턴, 특정 스티칭 패턴, 특정 접착 패턴, 특정 인쇄 패턴)을 수행하기 위해 스테이션을 이용하지만, 다른 스타일/구성의 후속하는 어퍼는 처리 스테이션을 사용하지만, 상이한 작업(예를 들어, 상이한 특정 절단 패턴, 상이한 특정 스티칭 패턴, 상이한 특정 접착 패턴, 상이한 특정 인쇄 패턴)을 위해 사용될 수 있는 것이 고려된다.
주어진 편평한 패턴 어퍼에 대해 어떤 작업이 수행되어야 하는지를 시스템(200)에 알리기 위해 하나 이상의 식별자가 사용될 수 있는 것이 고려된다. 예를 들어, 시각 인식 시스템은 편평한 어퍼 구성 요소, 마킹(예를 들어, 바코드, QR 코드), 또는 다른 시각적으로 검출 가능한 피처에 기초하여 특정 편평한 패턴 어퍼를 식별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처리 스테이션에서 사용될 수 있는 것이 고려된다. 또한, 하나 이상의 처리 스테이션에서 편평한 패턴 어퍼를 식별하기 위해 무선 주파수 식별 기술이 구현될 수 있는 것이 고려된다. 예를 들어, 무선 주파수 식별(RFID) 기술이 레버리징(leveraging)될 수 있는 것이 고려된다. 하나 이상의 자극(예를 들어, 전자기 에너지)에 반응하는 임베디드 반응성 섬유와 같은 다른 기술도 또한 고려된다. 또한, 기재 상의 편평한 패턴의 위치는 기재(102)가 알려진 위치/거리로 진행함에 따라, 그 위에 형성된 특정 편평한 패턴 어퍼도 또한 알려지도록 등록될 수 있는 것이 고려된다. 다르게 말하면, 일 양태에서, 연속적인 기재와 관련된 낮은 탄성 계수는 시스템(200)을 통해 진행함에 따라 그 위에 형성되는 편평한 어퍼의 위치를 알기 위해 충분한 정확도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2개 이상의 식별 시스템은 연속 인-라인 시스템에서 어퍼의 제조를 돕기 위해 조합하여 구현될 수 있는 것이 고려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스템(200)은 편평한 패턴 어퍼가 기재(102)의 연속 롤로부터 제거될 때까지 진행될 수 있는 것이 고려된다. 이와 같이, 기재(102)의 일부는 제거된 어퍼의 일부를 형성하는 것이 고려된다. 도 3은 기재(102)로부터 추출된 편평한 패턴 어퍼 아웃라인(214)을 나타낸다. 폐기물 스트림의 나머지는 기재(102)의 부분(216)에 의해 도시된다. 부분(216)은 예시적인 양태에서 후속하는 어퍼의 형성을 위한 기재의 다른 부분 내에서의 사용을 위해 재활용될 수 있다.
또한, 도 4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양태에 따라, 편평한 패턴 어퍼(300)를 형성하는 예시적인 시퀀스를 도시한다. 상기 편평한 패턴 어퍼(300)는 도 2 및/또는 도 3에 도시된 부직포 재료의 롤과 같은 연속적인 기재의 일부일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따라서, 기재 층에 대해 외주가 도 4 내지 도 10에 도시되어 있지만, 사실상 그러한 외주는 편평한 패턴 어퍼(300)가 기재 재료의 보다 큰 집합체로부터 제거될 때까지 구분될 수 없다. 대안적으로, 예시적인 양태에서, 편평한 패턴 어퍼(300) 상에서 수행될 후속 공정의 완료 전에 하나 이상의 제조 공정 이전에 (또는 그 동안에) 기재가 절단되어 형상화되는 것이 고려된다. 이러한 대안적인 고려에서, 도 4의 도시된 주변부는 편평한 패턴 어퍼(300)가 형성되는 기재 재료의 에지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이전에 제공된 바와 같이, 구성 요소(예를 들어, 편평한 패턴 어퍼(300)를 형성하는 도 4의 기재)의 형상, 크기 및 구성은 상이할 수 있고, 제공된 표현은 사실상 예시적인 것이다. 예를 들어, 예시적인 양태에서, 일부가 어퍼 부분(302)의 어퍼 안쪽측(311) 상에 있고 풋베드 부분의 다른 부분이 어퍼 부분(302)의 어퍼 바깥쪽측(313) 상에 있을 수 있도록 풋베드 부분(304)이 분할될 수 있는 것이 고려된다. 또한, 대안적인 양태에서 편평한 패턴 어퍼는 코익스텐시브(coextensive) 풋베드 부분 없이 형성되는 것이 고려된다. 더욱이, 내포된 설포(nested tongue)가 어퍼 힐 단부(348)로부터 연장하는 것으로 도 4에 도시되어 있지만, 이러한 피처는 본 개시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양태들에서 생략될 수 있다. 그러므로, 편평한 패턴 어퍼의 하나 이상의 피처의 대안적인 구성, 형상, 스타일 및 배향이 고려되고 여기의 예시적인 예시에 제한되지 않는다.
편평한 패턴 어퍼로서의 기재
구체적으로는 도 4를 참조하면, 편평한 패턴 어퍼(300)는 본 발명의 양태에 따라 도시된다. 편평한 패턴 어퍼(300)는 어퍼 부분(302) 및 코익스텐시브 풋베드 부분(304)으로 구성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코익스텐시브(coextensive)"라는 용어는 통합적인 방식으로 다른 부분과 인접하는 부분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어퍼 부분(302)은 풋베드 부분(304)과 같은 공통 연속 재료(예를 들어, 도 2의 기재(102))로부터 형성된다. 코익스텐시브 부분 각각을 형성하는 재료는 이 부분들이 함께 수렴되고 후속적으로 예를 들어 용접, 접착 또는 스티칭에 의해 결합되지 않도록 서로 일체형이다.
어퍼 부분은 볼록한 에지를 형성하는 어퍼 토우 단부(306) 및 어퍼 힐 단부(348)로 구성된다. 어퍼 힐 단부(348)는 어퍼 안쪽 힐 단부(308) 및 어퍼 바깥쪽 힐 단부(310)에 의해 추가로 획정될 수 있다. 어퍼 부분(302)은 어퍼 안쪽측(311) 및 대향하는 어퍼 바깥쪽측(313)을 추가로 포함한다. 어퍼 안쪽측(311)은 도시된 예에서, 토우측 안쪽 에지(326), 안쪽 플랩 에지(329) 및 힐측 안쪽 에지(330)에 의해 추가로 획정될 수 있다. 또한, 어퍼 부분(302)은 안쪽 플랩(328)으로 구성되며, 이는 이하에서 더 상세히 설명한다. 어퍼 바깥쪽측(313)은 토우측 바깥쪽 에지(352) 및 힐측 바깥쪽 에지(350)에 의해 추가로 획정될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어퍼 부분(302)은 도시된 양태에서 어퍼 바깥쪽측(313)의 적어도 일부에 근접하여 풋베드 부분(304)과 코익스텐시브 상태이다.
풋베드 부분(304)은 풋베드 토우 단부(312), 풋베드 힐 단부(314), 풋베드 바깥쪽측(317) 및 풋베드 안쪽측(315)으로 구성된다. 풋베드 바깥쪽측(315)은 토우 단부 정점(316), 저점(318) 및 힐 단부 정점(320)에 의해 추가로 획정될 수 있다. 토우 단부 정점(316), 저점(318) 및 힐 단부 정점(320)은 안쪽측(315)의 오목 에지(319)를 획정한다.
편평한 패턴 어퍼(300)를 적절한 모양 및 안락함을 갖는 입체적 신발로 변환시키는 것은 하나 이상의 힐 단부 또는 토우 단부에서 코익스텐시브 어퍼 부분(302) 및 풋베드 부분(304)의 발산을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교차점(322)은 풋베드 부분(304)의 토우측 바깥쪽 에지(352) 및 바깥쪽측(317)의 교차점에 형성된다. 어퍼 부분(302)과 풋베드 부분(304) 사이의 교차점(322)에는 예각이 형성된다. 예각은 신발류 제품의 토우 단부(예를 들어, 토우 박스)에 근접한 만곡된 복합 표면을 갖는 입체적 신발류의 허용 가능한 형성을 허용한다. 예시적인 양태에서, 둔각은 편평한 패턴 어퍼를 코익스텐시브 어퍼 및 풋베드 부분을 갖는 입체적 신발류 제품으로 용이하게 변환시킬 수 없다. 마찬가지로 힐 단부쪽으로, 편평한 패턴 어퍼(300)는 풋베드 부분(304)의 힐 단부(314) 근처의 바깥쪽측(317)과 힐측 바깥쪽 에지(350)의 교차점에서 교차점(324)을 형성한다. 어퍼 부분(302)과 풋베드 부분(304) 사이의 교차점(324)에는 예각이 형성된다. 토우측을 향한 예각에서 논의된 이유로, 예시적인 양태에서, 어퍼와 풋베드 부분 사이에서 힐측을 향한 예각에 의해 유사한 이익이 구현될 수 있다.
도 11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평한 패턴 어퍼(300)로부터 차원적 신발을 정형하는 것은 하나 이상의 정형 애퍼처를 레버리징하여 본 발명의 양태에 따라 어퍼와 풋베드 부분 사이의 적절한 레지스트레이션 및 정렬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임의의 개수의 애퍼처가 임의의 위치 및 임의의 크기로 이용될 수 있는 것이 고려된다. 도 4는 애퍼처의 예시적인 구성을 도시한다; 그러나, 보다 적은 개수의 애퍼처, 상이한 애퍼처의 배열 및/또는 상이한 크기의 애퍼처가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풋베드 부분(304) 상의 단일 애퍼처 및 어퍼 부분(302) 상의 단일 애퍼처가 편평한 패턴 어퍼를 입체적 신발로 정형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것이 고려된다. 또한, 풋베드 부분(304)와 관련된 2개의 애퍼처 및 어퍼 부분(302)과 관련된 2개의 애퍼처가 편평한 패턴 어퍼를 입체적 신발로 정형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것이 고려된다.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예시적인 양태들에서, 어퍼 및 풋베드 부분 둘 모두에 3개 이상의 애퍼처가 사용되어 편평한 패턴 어퍼를 입체적 신발로 정형할 수 있는 것이 고려된다.
풋베드 부분(304)은 풋베드 제1 애퍼처(334), 풋베드 제2 애퍼처(332) 및 풋베드 제3 애퍼처(336)를 갖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어퍼 부분(302)은 어퍼 제1 애퍼처(340) 및 어퍼 제2 애퍼처(338) 및 어퍼 제3 애퍼처(342)를 갖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11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풋베드 및 어퍼 부분의 유사하게 명명된 애퍼처는 입체적 신발로 정형(forming)될 때 편평한 패턴 어퍼(300)를 적절하게 정렬하기 위해 각각의 카운터 파트로 명명된 애퍼처에 정렬된다. 편평한 패턴 어퍼(300)의 부분들을 정렬하는데 유용한 이들 애퍼처들은 도 11 내지 도 14에서 더 상세히 논의될 것이다.
다른 애퍼처 유형은 또한 편평한 패턴 어퍼(300)에 도시되어 있다. 원점(344) 및 제2 원점(346)이 어퍼 부분(302) 내에 도시되어 있다. 이하 논의될 바와 같이, 원점 애퍼처는 하나 이상의 후속하는 구성 요소(예를 들어, 오버레이), 피처(예를 들어, 접착제, 인쇄), 절단 및/또는 편평한 패턴 어퍼(300) 상에서 수행되는 다른 공정을 위한 정렬 표시자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원점(들)은 오버레이의 물리적인 레지스트레이션을 제공할 수 있어, 핀이 기재의 원점을 통해 연장되고 또한 기재에 대한 오버레이의 적절한 위치 설정을 보장하기 위해 오버레이의 정렬 애퍼처를 통해 연장된다. 도 5에서 논의되는 바와 같이, 원점 애퍼처(들)는 예시적인 양태들에서 편평한 패턴 어퍼(300) 상의 또는 그 근처의 임의의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그러나, 특정 구성에서, 운동화 대향 아이브로우(eyebrow)들 사이의 목부와 같은 미드풋 개구 영역(예를 들어, 도 10의 미드풋 개구 영역(901)) 내에 원점 애퍼처가 형성된다. 미드풋 개구 영역 내에 원점(들)을 위치시킴으로써, 원점(들)은 어퍼 부분(302) 내에서 중앙에 위치될 수 있고, 미드풋 개구가 형성될 때 제거될 수 있다. 다르게 말하면, 하나 이상의 작업에 후속하는 폐기물 스트림으로서 제거되는 위치 내에 원점(들)을 위치시키는 것은 예시적인 양태에서 원점이 최종 입체적 신발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인-라인 제조 동안 의도된 목적을 수행하는 것을 허용한다.
이전에 논의된 바와 같이, 도 4의 편평한 패턴 어퍼(300)는 본질적으로 예시적인 것이며 여기에 제공된 개념을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 제공된 피처의 범위 내에서 대안적인 크기 설정, 성형 및 배향이 고려될 수 있다.
기준 라인
본 발명의 양태에 따라 복수의 예시적인 기준 라인을 갖는 도 4의 편평한 패턴 어퍼(300)를 도시하는 도 5를 참조하도록 한다. 예시된 기준 라인은 단지 예시적인 것이며, 반드시 시각적인 경계는 아니다. 따라서, 인-라인 제조 공정에서의 편평한 패턴 어퍼(300)는 도 5의 기준 라인을 실제로 도시하지는 않을 것이라는 것이 고려된다. 대신에, 도 5의 기준 라인은 다음 설명으로부터 결정될 수 있다.
어퍼 중간선(402)은 어퍼 토우 단부(306)와 어퍼 힐 단부(348) 사이에서 연장하여 도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어퍼 중간선(402)은 예시적인 양태에서 어퍼 토우 단부(306)의 정점을 통해 연장되는 것이 고려된다. 어퍼 중간선(402)은 또한 안쪽 힐 교차점(420)과 바깥쪽 힐 교차점(422) 사이의 등거리 위치에서 어퍼 힐 단부(348)를 통해 연장되는 것으로 고려된다. 안쪽 힐 교차점(420)은 어퍼 힐측 안쪽 에지(330)와 어퍼 안쪽 힐 단부(308)의 교차점에 형성된다. 바깥쪽 힐 교차점(422)은 힐측 바깥쪽 에지(350)와 어퍼 바깥쪽 힐 단부(310)의 교차점에 형성된다. 편평한 패턴 어퍼의 형상 및 구성이 스타일 사이에서 가변적일 수 있으므로, 바깥쪽 힐 교차점(420)은 어퍼 부분의 안쪽측과 힐 단부 사이의 가장 바깥쪽 교차점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유사하게, 편평한 패턴 어퍼의 형상 및 구성이 스타일 사이에서 가변적일 수 있기 때문에, 바깥쪽 힐 교차점(422)은 어퍼 부분의 바깥쪽측과 힐 단부 사이의 가장 바깥쪽 교차점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안쪽 기준 라인(404)은 안쪽 힐 교차점(420)으로부터 어퍼 중간선(402)과 토우 단부(306)의 교차점까지 연장되어 도시되어 있다. 바깥쪽 기준 라인(406)은 바깥쪽 힐 교차점(422)으로부터 어퍼 중간선(402)과 토우 단부(306)의 교차점까지 연장되어 도시되어 있다.
풋베드 부분(304)의 토우 단부 정점(316)과 힐 단부 정점(320) 사이에서 연장되는 제1 기준 라인(408)이 도시되어 있다. 제2 기준 라인(410)은 저점(318)을 통해 연장되고 제1 기준 라인(408)에 평행하게 도시된다.
부분 교차 라인(412)은 교차점(322)을 통해 그리고 교차점(324)을 통해 연장되어 도시되어 있다. 예시적인 양태에서, 부분 교차 라인(412)은 어퍼 바깥쪽측(313)과 풋베드 바깥쪽측(317)을 구분하는 것으로, 그 부분들은 예시적인 양태에서 거기에서 코익스텐시브 상태로 있다. 어퍼 안쪽측(311) 상에 풋베드 부분의 일부를 갖는 편평한 어퍼 패턴의 대안적인 구성에서, 제2 부분 교차 라인(도시되지 않음)은 예를 들어 어퍼와 안쪽측 풋베드 부분의 교차점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제3 기준 라인(414)은 어퍼 중간선(402)에 수직으로 연장되고 교차점(322)을 통해 연장되는 것으로 도시된다. 제4 기준 라인(418)은 어퍼 중간선(402)에 수직으로 연장되고 풋베드 부분(304)의 저점(318)을 통과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제5 기준 라인(416)은 어퍼 중간선(402)에 수직하고 제3 기준 라인(414)과 제4 기준 라인(418) 사이에서 연장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예시적인 양태에서, 제5 기준 라인(415)은 예시적인 양태에서 라스트 주위에 형성될 때 편평한 패턴 어퍼(300)의 볼 폭을 따라 연장된다.
정형 애퍼처(Forming Aperture)
도 4와 관련하여 이전에 소개된 바와 같이, 편평한 패턴 어퍼(300)는 입체적 신발로 정형될 때 어퍼 부분(302)을 풋베드 부분(304)과 정렬시키는데 효과적인 2개 이상의 애퍼처를 포함한다. 풋베드 부분(304)은 풋베드 제1 애퍼처(334), 풋베드 제2 애퍼처(332) 및 풋베드 제3 애퍼처(336)를 포함한다. 어퍼 부분(302)은 어퍼 제1 애퍼처(340), 어퍼 제2 애퍼처(338) 및 어퍼 제3 애퍼처(342)를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임의의 개수의 정형 애퍼처가 고려될 수 있다.
풋베드 제1 애퍼처(334)는 저점(318) 근처의 안쪽 에지에 인접해 있다. 예시적인 양태에서, 풋베드 제1 애퍼처(334)는 제5 기준 라인(416)의 20 밀리미터("mm") 이내에 있고, 풋베드 안쪽 에지의 20 mm 이내에 있다. 또 다른 예시적인 양태에서, 풋베드 제1 애퍼처는 저점(318)의 20 mm 이내에 있다. 풋베드 제1 애퍼처(334)의 위치는 라스트 주위에 정형될 때 저점(318)에 대한 근접이 편평한 패턴 어퍼(300) 상에 인장력을 가함에 따라 편평한 패턴 어퍼(300) 부분의 허용 가능한 정렬을 제공한다. 또한, 풋베드 제2 애퍼처(332)는 예시적인 양태에서 제1 기준 라인(408)과 제2 기준 라인(410) 사이에 위치되는 것으로 고려된다.
풋베드 제2 애퍼처(332)는 예시적인 양태에서 토우 단부 정점(316)과 저점(318) 사이의 풋베드 안쪽 에지에 인접해 있다. 구체적으로, 풋베드 제2 애퍼처(332)는 20 mm 미만으로 풋베드 부분(304)의 오목한 에지에 근접한 것이 고려된다. 예시적인 양태에서, 풋베드 제2 애퍼처(332)는 제3 기준 라인(414)과 제5 기준 라인(416) 사이에 있다. 또 다른 예시적인 양태에서, 풋베드 제2 애퍼처는 제3 기준 라인(414) 및/또는 제5 기준 라인(416)의 20 mm 이내에 있다. 풋베드 제2 애퍼처(332)의 위치는 라스트가 라스트에 의해 형성된 복합 곡선의 정점에서 인장력을 가할 수 있는 입체적 신발의 볼 폭에 근접한 정렬을 제공한다.
풋베드 제3 애퍼처(336)는 예시적인 양태에서 풋베드 제1 애퍼처(334)와 풋베드 힐 단부 사이에 위치된다. 또한, 풋베드 제3 애퍼처(336)는 풋베드 안쪽측의 20 mm 이내에 있는 것이 고려된다. 추가적인 양태에서, 풋베드 제3 애퍼처(336)는 예시적인 양태에서 풋베드 부분(304)의 안쪽측에 근접하여 저점(318)과 힐 엔드 정점(320) 사이에 위치되는 것이 고려된다. 풋베드 제3 애퍼처(336)는 예시적인 양태에서 제1 기준 라인(408)과 제2 기준 라인(410) 사이에 위치되는 것이 고려된다.
이전에 소개된 어퍼 부분(302) 상의 정형 애퍼처는 어퍼 제1 애퍼처(340), 어퍼 제2 애퍼처(338) 및 어퍼 제3 애퍼처(342)를 포함한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임의의 개수의 정형 애퍼처가 편평한 패턴 어퍼 상에 존재할 수 있는 것이 고려된다. 특히, 2개의 정형 애퍼처가 제1 측면(예를 들어, 어퍼 부분의 안쪽측) 상에 존재하고, 대응하는 2개의 정형 애퍼처가 제2 측면(예를 들어, 풋베드 부분의 안쪽측) 상에 존재하는 것이 고려된다.
어퍼 부분(302)의 정형 애퍼처는 도 4의 안쪽 플랩(328)에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된다. 안쪽 플랩(328)은 토우 단부 정점(316)과 힐 단부 정점(320) 사이에서 풋베드 부분(304)의 일부를 중첩시키도록 의도하도록 어퍼 부분(302)의 안쪽측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풋베드 부분 안쪽 에지의 볼록한 영역 내에 중첩됨으로써, 안쪽 플랩(328)은 입체적 신발로 정형될 때 착용자의 발의 아치 영역 아래에 위치된다. 이 영역에서의 기재의 중첩은 사용자에게 최소한으로 검출될 수 있고, 예시적인 양태에서, 차원적 신발로 정형될 때 플랩이 사용자의 볼 또는 힐까지 연장되는 경우 보다 큰 편안함을 제공할 수 있다.
어퍼 제1 애퍼처(340)는 안쪽 에지에 인접하여 어퍼 부분(302) 상에 위치된다. 예시적인 양태에서, 어퍼 제1 애퍼처(340)는 도 4의 안쪽 플랩 에지(329)에 근접하여 안쪽 플랩에 위치된다. 예를 들어, 어퍼 제1 애퍼처(340)는 안쪽 에지의 20 mm 이내에 있다. 어퍼 제1 애퍼처(340)는 예시적인 양태에서 제5 기준 라인(416)에 인접한다. 예시적인 양태에서, 어퍼 제1 애퍼처는 제5 기준 라인(416)의 20 mm 이내에 있는 것이 고려된다.
어퍼 제2 애퍼처(338)는 예시적인 양태에서, 안쪽 에지에 인접하여 어퍼 부분(302) 상에서 어퍼 제1 애퍼처(340)와 어퍼 토우 단부(306) 사이에 위치된다. 어퍼 제2 애퍼처는 도 4의 안쪽 플랩 에지(329)에 근접하여 안쪽 플랩 상에 위치되는 것이 고려된다. 어퍼 제2 애퍼처(338)는 예시적인 양태에서 제3 기준 라인(414)과 제5 기준 라인(416)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어퍼 제2 애퍼처(338)는 도 4의 안쪽 플랩 에지(329)와 같은 외부 에지의 20 mm 내에 있는 것이 고려된다.
어퍼 제3 애퍼처(342)는 안쪽 에지 근방의 어퍼 상에서 어퍼 제1 애퍼처(340)와 어퍼 안쪽 힐 단부(308) 사이에 위치된다. 예시적인 양태에서, 어퍼 제3 애퍼처(342)는 어퍼 제1 애퍼처(340)로부터 힐측으로 안쪽 플랩 상에 위치된다. 또한, 어퍼 제3 애퍼처(342)는 어퍼 부분(302) 안쪽 에지의 20 mm 내에 위치되는 것이 고려된다.
에지의 적어도 20 mm 이내에 다양한 정형 애퍼처를 갖는 것은 중첩되는 기재 재료의 양을 최소화하면서 정형(forming)(예를 들어, 라스팅) 공정 동안 기재 재료 상에 가해지는 인장력을 지지하기 위해 충분한 기재 재료가 정형 애퍼처와 에지 사이에서 연장될 수 있게 한다. 예시적인 양태에서 20 mm 이상이 사용되는 것이 고려된다. 또한, 예시적인 양태들에서, 어퍼 애퍼처(302)와 풋베드 영역(304)의 결합(예를 들어, 부착, 스티칭, 용접) 후에 정형 애퍼처와 에지 사이에서 연장되는 기재 재료가 제거될 수 있는 것이 고려된다.
정형 애퍼처의 이용하여 도 11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퍼 부분(302)을 풋베드 부분(304)과 결합시켜 라스트 또는 다른 형틀 주위에 입체적 신발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어퍼 제1 애퍼처(340) 및 풋베드 제1 애퍼처(334)의 위치는 어퍼 부분(302) 안쪽측이 풋베드 부분(304) 안쪽측과 근접하게 되고 제1 애퍼처에 의해 정렬될 때, 편평한 패턴 어퍼(300)가 적절하게 라스트에 대해 정형되도록 위치되는 것이 고려된다. 유사하게, 이용된다면, 어퍼 제2 애퍼처(338) 및 풋베드 제2 애퍼처(332)는 어퍼 부분(302) 안쪽측이 풋베드 부분(304) 안쪽측에 근접하게 되어 제2 애퍼처에 의해 정렬될 때, 편평한 패턴 어퍼(300)는 적절하게 라스트에 대해 정형되도록 위치된다. 어퍼 제3 애퍼처(342) 및 풋베드 제3 애퍼처(336)의 위치는 유사하게 위치되어 편평한 패턴 어퍼(302)를 입체적 신발로 적절하게 정형할 수 있게 한다.
정형 애퍼처는 기재 재료를 통해 연장되는 원형 구멍으로 도시되지만, 이들은 임의의 구조일 수 있는 것이 고려된다. 예시적인 양태에서, 정형 애퍼처는 기재를 통해 연장되는 구멍이 아니라, 대신에 정렬 핀(예를 들어, 도 11의 제1 정렬 핀(1002))이 기재를 통해 연장되어 적어도 일시적으로 애퍼처를 형성하는 곳을 나타내는 마킹이다. 따라서, 정형 애퍼처는 입체적 신발로 정형될 때 편평한 패턴 어퍼의 적절한 위치 설정을 보장하는 레지스트레이션 도구로서의 역할을 한다.
원점
도 4에서 앞서 소개된 바와 같이, 원점(344)은 적절한 위치 설정 및/또는 정렬을 보장하기 위해 공정 및/또는 구성 요소가 배향될 수 있는 위치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버레이(500)는 기재 재료 상에 위치된다. 오버레이(500)의 위치는 오버레이(500)의 정렬 애퍼처(345)를 갖는 원점(344)의 물리적인 레지스트레이션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2개 이상의 구성 요소/층 사이의 위치적 및 회전적 정렬을 제공하기 위해 2개 이상의 원점 애퍼처의 조합을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원점(344) 애퍼처와 같은 원점은 수행될 하나 이상의 공정에 대한 위치적 가이던스를 제공하는 것이 고려된다. 예를 들어, 원점과의 기계적 상호 작용 및/또는 원점의 광학적 검출을 통해, 로봇 부재는 편평한 패턴 어퍼(300)의 하나 이상의 부분 상에서 본 명세서에서 고려되는 공정(예를 들어, 절단, 재봉, 접착, 용접, 위치 설정)을 수행할 수 있다.
원점(344)은 어퍼 토우 단부(306)와 어퍼 힐 단부(348) 사이의 기재 상에 위치된다. 예시적인 양태에서, 원점(344)은 어퍼 중간선(402)의 10 mm 이내에 위치된다. 10 mm의 공차는 원점(344)이 예시적인 양태에서 편평한 패턴 어퍼(300)로부터 후속적으로 제거될 미드풋 개구 영역(예를 들어, 도 10의 미드풋 개구 영역(901)) 내에 유지되도록 허용한다. 결과적으로, 이 예에서 원점(344)은 완성된 입체적 신발을 손상시키지 않고 편평한 패턴 어퍼(300)의 형성에 대한 기능적 보조를 제공할 수 있다.
예시적인 양태에서, 원점(344)은 제3 기준 라인(414)으로부터 힐측에 위치된다. 또한, 예시적인 양태에서, 원점(344)은 제4 기준 라인(418)으로부터 토우측에 위치된다. 원점은 제3 기준 라인(414)과 제4 기준 라인(418) 사이에 위치되는 것이 고려된다. 또한, 원점(344)은 어퍼 중간선(402)과 제5 기준 라인(416) 사이의 교차점의 10 mm 이내에 위치되는 것이 고려된다. 또한, 원점(344)은 토우와 힐 간의 방향에서 제3 기준 라인(414)과 제4 기준 라인(418) 사이에 위치되며 안쪽과 바깥쪽 간의 방향에서 안쪽 기준 라인(404)과 바깥쪽 기준 라인(406) 사이에 위치되는 것이 고려된다.
제2 원점(346)은 예시적인 양태에서 원점(344)과 어퍼 힐 단부(348) 사이에 위치된다. 또한, 예시적인 양태에서, 제2 원점은 어퍼 중간선(402)의 10 mm 이내에 있는 것이 고려된다. 또한, 제2 원점은 예시적인 양태에서 토우와 힐 간의 방향에서 원점(344)과 어퍼 힐 단부(348) 사이에 그리고 안쪽과 바깥쪽 간의 방향에서 안쪽 기준 라인(404)과 바깥쪽 기준 라인(406) 사이에 위치되는 것이 고려된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제2 원점(346)은 도 10의 미들풋 개구 영역(901)과 같은 미들풋 개구 영역 내에서 편평한 패턴 어퍼(300) 상에 위치되는 것이 고려된다.
정형 애퍼처와 마찬가지로, 원점(들)은, 기재를 통해 연장되는 원형 구멍으로 도시되지만, 대신에 임의의 형상 또는 구성일 수 있는 것이 고려된다. 예를 들어, 원점은 하나 이상의 오버레이의 정렬을 위해 정렬 핀이 연장되는 시각적 마킹일 수 있다. 기재를 통한 정렬 핀의 연장은 적어도 일시적으로 애퍼처를 형성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시각적 마커로 형성된 원점의 위치에 기초한 시각적 정렬이 고려될 수 있다. 또한, 임의의 구성 및 임의의 위치에서 임의의 개수의 원점이 여기에서 고려되는 양태를 달성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는 것이 고려된다.
오버레이 및 가려지는(obscured) 재료의 사전 절단
도 6을 참조하면, 예시적인 오버레이(500)는 본 발명의 양태에 따라 편평한 패턴 어퍼(300)를 형성하는 기재 재료 상에 위치된다. 오버레이(500) 또는 임의의 오버레이는 임의의 재료로 형성될 수 있고, 임의의 모양, 배향, 크기 및/또는 위치일 수 있다. 예시적인 양태에서, 오버레이(500) 또는 임의의 오버레이는 편물 재료로 형성된다. 대안적인 예시적인 양태에서, 오버레이(500) 또는 임의의 오버레이는 직포 재료로 형성된다. 또 다른 대안적인 예시적인 양태에서, 오버레이(500) 또는 임의의 오버레이는 시트형 또는 막형 재료로 형성된다. 오버레이는 예시적인 양태에서 쿠션 요소, 인장 요소, 플라스틱 요소, 고무 요소 또는 임의의 재료 또는 기능적 부분일 수 있다. 오버레이(500) 또는 임의의 오버레이는 합성 또는 천연 재료로 형성될 수 있는 것이 고려된다. 예를 들어, 오버레이는 중합체 기반 재료, 면 기반 재료, 울 기반 재료, 가죽 기반 재료 및 신발의 구성에 적합한 임의의 다른 재료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앞에서 설명한 것처럼, 도면들은 설명을 위해 연속한 둘레(solid perimeter)를 갖는 편평한 패턴 어퍼(300)를 나타낸다. 그러나, 편평한 패턴 어퍼가 기재로부터 연속적으로 형성되면, 편평한 패턴 어퍼(300) 기재 재료의 주변 요소들 중 일부는 기재 재료 상에 하나 이상의 공정(예를 들어, 오버레이의 결합, 인쇄, 미드풋 개구의 절단, 재봉)이 수행될 때까지 정형(예를 들어, 절단)되지 않을 수 있다. 편평한 패턴 어퍼(300)의 기재 부분을 기재의 더 큰 소스로부터 분리하는 것을 지연시키는 것은 편평한 패턴 어퍼가 이전에 논의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연속 인-라인 제조 시스템을 통과할 때 보다 큰 기재 재료의 알려진 상대적 위치에 남아있게 허용한다.
그러나, 재료는 기재와 같은 다른 재료 상에 적층될 수 있기 때문에, 절단과 같은 공정은 가공될 재료를 가리기 전에 수행된다. 예를 들어, 도 6은 기재가 오버레이(500)에 의해 가려지지 않은 실선 둘레 마킹을 갖는 편평한 패턴 어퍼(300)의 기재 재료 부분을 도시한다. 그러나, 오버레이(500)의 오버레잉 및 중첩에 의해 가려진 기재의 그 부분들이 점선으로 도시된다. 예를 들어, 힐측 안쪽 에지(330), 토우측 안쪽 에지(326), 토우측 바깥쪽 에지(352), 힐측 바깥쪽 에지(350) 및 어퍼 부분과의 교차점(예를 들어, 교차점(322, 324))으로부터 연장되는 풋베드 바깥쪽 에지의 부분은 모두 점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기재 재료 상에 오버레이(500)를 배치하기 전에, 힐측 안쪽 에지(330), 토우측 안쪽 에지(326), 토우측 바깥쪽 에지(352), 힐측 바깥쪽 에지(350) 및 풋베드 바깥쪽 에지의 부분의 파선에서 기재를 절단하기 위해 절단 공정이 수행되는 것이 고려된다. 편평한 패턴 어퍼(300)가 연속 인-라인 제조 시스템을 통해 실질적으로 편평한 방식으로 연장되기 때문에, 재료의 가려진 부분을 절단하는 것은 정렬을 방해할 수 있는 오버레이를 정렬하는 것 이후에 오버레이를 변위시키거나 또는 이동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오버레이를 배치하고 잠재적으로 오버레이를 고정하기 전에, 일단 하부 재료 상에 정렬되면 오버레이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해 하부 재료(예를 들어, 기재)의 가려진 부분이 절단된다.
간단히 도 18을 참조하면, 도 18은 본 발명의 양태에 따라, 편평한 패턴으로부터 오버레이를 갖는 신발류 제품을 제조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1700)를 도시한다. 제1 블록(1702)에서, 상단 표면 및 대향하는 바닥 표면을 갖는 제1 재료로 제1 절단이 수행된다. 제1 절단은 상단 표면 및 바닥 표면을 통해 연장된다. 제1 재료는 편평한 패턴 어퍼의 기재 또는 다른 층(예를 들어, 추가의 오버레이)과 같은 임의의 재료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재를 통해 절단이 이루어질 수 있다. 기재는 상단 표면 및 대향하는 바닥 표면 모두를 갖는다. 제1 절단은 당업계에 공지된 바와 같은 나이프, 다이, 펀치, 레이저, 워터 제트, 에어 제트, 미디어 제트, 핫 에지 등과 같은 임의의 수단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절단부는 풋베드 부분의 둘레 또는 어퍼 부분의 둘레와 같은 둘레의 적어도 일부를 획정하는 것과 같이 선형일 수 있다. 절단부는 원점 또는 정형 애퍼처와 같은 애퍼처를 형성할 수 있다. 절단부는 예시적인 양태에서 편평한 패턴 어퍼의 내부 위치에 위치될 수 있거나, 또는 절단부는 편평한 패턴 어퍼의 둘레부에서 발생할 수 있다.
블록(1704)에서, 제1 재료를 통한 제1 절단부를 절단한 후에, 오버레이가 제1 재료 상단 표면 상에 결합된다. 오버레이는 제1 재료 상단 표면 상의 제1 절단부 위로 연장되고 이를 가린다. 결과적으로, 오버레이가 제1 재료 상에 위치된 후에 제1 절단부가 제작되도록 의도된다면, 오버레이를 절단하지 않고 제1 절단부를 제작하기 위해 제1 재료에 접근하도록 오버레이의 적어도 일부를 재위치하거나 또는 달리 이동시킬 필요가 있다. 따라서, 오버레이의 상응하는 오버레잉 부분을 절단하지 않고 절단되도록 의도되는 제1 재료의 부분은 오버레이를 제1 재료 상에 배치하기 전에 절단된다. 오버레이와 제1 재료의 결합은 재봉, 접착, 용접, 기계적 체결 등을 사용하여 오버레이를 제1 재료와 결합시킬 수 있다.
제1 절단부는 도 6의 교차점(322) 및/또는 교차점(324)에 형성된 예각으로 제작될 수 있다. 도 4에서 이전에 제공된 바와 같이, 예각은 기재의 의도하지 않은 변형, 주름 및/또는 일그러짐을 회피하면서, 풋베드 부분 및 어퍼 부분이 라스트와 같은 도구 주위에 적절하게 정형되도록 허용하는 편평한 패턴 구성을 나타낼 수 있다. 그러나, 도 6의 오버레이(500)와 같은 오버레이가 예시된 양태에서, 형성된 신발에 대한 심미적으로 의도된 외부면을 형성하기 위해 교차점(322 및/또는 324)에서 예각을 가리는 것이 고려된다.
예시적인 양태에서, 오버레이와 제1 재료의 결합은 오버레이와 제1 재료의 제1 절단부에서의 연결/결합을 포함하지 않는다. 대신에, 제1 재료는 제1 절단부에서 오버레이와 독립적으로 이동할 수 있는 것이 고려된다. 예를 들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버레이(500)가 적용되기 전에 사전 절단된 기재의 부분은 사전 절단된 부분에서 라스트 주위로 연장되어 라스트 주위에 기재를 형성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라스트에 대한 기재 고정 및 정렬을 간섭하는 것을 제한하기 위해, 오버레이는 하나 이상의 사전 절단된 위치에서 고정되지 않는다.
추가적인 양태에서, 흐름도(1700)에 도시된 방법은 선택적으로 제2 절단부를 절단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제2 절단부는 제1 재료 및 오버레이를 통해 연장되는 것이 고려된다. 제2 절단부는 블록(1702) 다음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절단은 블록(1704) 이전에 또는 이후에 수행될 수 있다. 제2 절단은 도 6의 오버레이 상단 표면(502) 위로 연장되는 제2 오버레이 및 블록(1702)의 제1 재료에 의해 가려지는 위치에서 수행된다. 또한, 이 선택적 양태에서 제2 오버레이는 오버레이와 결합되는 것이 고려된다. 결합은 재봉, 용접, 부착 등과 같은 임의의 방식일 수 있다.
블록(1706)에서, 제1 절단부를 갖는 제1 재료는 입체적 신발로 정형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그리고 도 13 및 도 14와 관련하여 논의되는 바와 같이, 제1 절단부가 형성될 수 있는 편평한 패턴 어퍼가 입체적 신발로 정형되는 것이 고려된다. 입체적 신발의 정형은 제1 절단부가 라스트 또는 다른 정형 도구 주위로 연장되는 기재 재료를 둘러싸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절단부는 기재의 둘레를 넘어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오버레이를 절단하지 않고 기재가 더 큰 기재 소스(예를 들어, 연속적인 기재 라인)로부터 제거되는 것을 허용한다. 따라서, 기재가 라스트 주위에 정형되도록 절단될 수 있지만, 오버레이(들)는 하부 기재의 의도된 형상에 의해 구속되지 않는 의도된 미적 마무리를 허용하도록 동일한 위치에서 절단될 필요가 없다.
도 6을 참조하면, 오버레이(500)는 편평한 패턴 어퍼(300)를 형성하는 기재 상에 위치된다. 편평한 패턴 어퍼(300)에 대해 오버레이를 적절하게 위치시키는 것은 원점(344)에 의해 달성되는데, 본 예에서는, 제1 정렬 애퍼처(345) 및 제2 정렬 애퍼처(347)와 각각 정렬되는 제2 원점(346)에 의해 달성된다. 제1 정렬 애퍼처(345)는 오버레이(500)를 통해 연장되고 오버레이(500) 상에 위치되어 하부 재료(예를 들어, 기재)에 대해 적절한 위치 설정을 허용한다. 유사하게, 제2 정렬 애퍼처(347)는 오버레이(500)를 통해 연장되고, 오버레이(500) 상에 위치되어 하부 재료(예를 들어, 기재)에 대한 적절한 위치 설정을 허용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점(344) 및 제1 정렬 애퍼처(345)가 정렬된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정렬 애퍼처(347)와 제2 원점(346)은 정렬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원점 애퍼처 및 정렬 애퍼처의 사용은 인-라인 제조 공정 동안 2개 이상의 구성 요소의 기계적 정렬을 제공한다. 그러나, 원점 애퍼처 및 정렬 애퍼처는 예를 들어, 연속적인 기재(예를 들어, 롤 형태로 감긴 제품)가 편평한 패턴 어퍼의 기초를 형성하는 경우와 같이 대안적인 양태들에서 생략될 수 있는 것이 고려된다. 이 예에서, 연속적인 기재의 알려진 위치는 그 위에 하나 이상의 오버레이를 정렬하기에 충분한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고려된다.
간단히 도 17을 참조하면, 도 17은 편평한 패턴으로부터의 오버레이를 갖는 신발류 제품을 제조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1600)를 예시한다. 블록(1602)에서, 편평한 패턴 어퍼의 어퍼 부분을 통해 연장되는 원점이 형성된다. 원점은 신발의 미드풋 개구 영역에 위치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원점은 절단, 스탬핑, 버닝(burning) 등과 같은 임의의 적절한 수단으로 형성될 수 있다.
블록(1604)에서, 정렬 애퍼처를 갖는 오버레이는 기재 재료와 같은 어퍼 부분과 결합된다. 오버레이는 어퍼 부분과 정렬되어, 정렬 애퍼처와 원점은 공통 부재가 원점과 정렬 애퍼처 각각을 통해 연장되도록 정렬된다. 앞서 제공된 바와 같이, 오버레이는 재봉, 접착, 용접 등과 같은 임의의 적절한 수단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블록(1606)에서, 미드풋 영역 개구는 원점 애퍼처를 갖는 어퍼 부분으로부터 제거된다. 도 10의 미드풋 개구 영역(901)과 같은 미드풋 영역은 원점 애퍼처를 포함하고, 오버레이가 하부 재료(예를 들어, 기재)와 결합되면, 원점은 더 이상 필요하지 않을 수 있으므로, 미드풋 개구 영역 재료로 제거될 수 있다.
블록(1608)에서, 오버레이가 결합되고 미드풋 개구 영역이 제거되어 있는 어퍼 부분은 입체적 신발로 정형된다.
도 7을 참조하면, 도 7은 본 발명의 양태에 따라, 편평한 패턴 어퍼(300)와 결합된 또 다른 예시적인 오버레이, 아이 스테이 오버레이(600)를 도시하고 있다. 이 예에서, 아이 스테이 오버레이(600)는 오버레이(500)의 상단 표면(502)에 결합된다. 그러나, 오버레이는 기재 자체와 같은 편평한 패턴 어퍼(300)를 형성하는 임의의 다른 재료와 결합될 수 있는 것이 고려된다. 아이 스테이 오버레이는 적절한 위치, 배향 및 회전을 달성하기 위해 원점(344) 및 제2 원점(346)과 정렬된 정렬 애퍼처를 포함한다. 예시적인 양태에서, 아이 스테이 오버레이(600)는 가죽 또는 중합체 기반 재료(예를 들어,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와 같은 내구성 있는 재료로 형성된다. 아이 스테이 오버레이(600)는 하나 이상의 신발끈 구멍(eyelet)이 신발끈 구조체(lacing structure)를 위해 형성되게 하는 보강재로서 작용할 수 있다. 아이 스테이 오버레이(600)는 인-라인 제조된 신발 상에 기능성 재료의 공학적 배치(engineered placement)를 나타낸다. 또한, 아이 스테이 오버레이(600)의 위치는 위에 제공된 편평한 패턴 어퍼(300) 상의 위치에 원점(344)을 갖는 이점을 강조하므로, 필요한 경우, 여전히 제거되는 동안 미드풋 개구 영역에 근접한 구성 요소에 대한 위치적 가이드로서 작용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도 8은 본 발명의 양태에 따라 도 7의 아이 스테이 오버레이(600) 위에 위치된 미드풋 오버레이(700)를 도시한다.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편평한 패턴 어퍼(300)는 원하는 결과의 편평한 패턴의 어퍼(300)를 형성하도록 위치되고, 고정되고, 정렬된 복수의 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예에서, 아이 스테이 오버레이(600) 및 미드풋 오버레이(700)는 여전히 하부 재료(예를 들어, 기재)에 영구적으로 고정되어야 하는 것이 고려된다. 대신에, 하나 이상의 정렬 핀은 복수의 오버레이를 동시에 결합할 수 있는 결합 공정이 수행될 때까지 적절한 정렬을 유지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오버레이는 다른 오버레이가 적용되기 전에 하부 재료에 결합될 수 있는 것이 고려된다. 따라서, 이 예에서, 예시적인 양태에서, 아이 오버레이(600)는 미드풋 오버레이(700)가 적용되기 전에 오버레이(500)와 결합될 수 있다.
미드풋 오버레이(700)는 예시적인 양태에서 아이브로우 마감 물질(eyebrow finish material)로서 작용할 수 있다. 이하 논의되는 바와 같이, 미드풋 오버레이(700)는 일단 제거되면 미드풋 개구의 둘레 에지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도 9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미드풋 오버레이는 내포된 설포(810)의 상단 에지(812)에서 내포된 설포(810) 마감 재료로서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공통 오버레이는 편평한 패턴 어퍼 구조(300)에서 복수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이제 도 9를 참조하면, 도 9는 본 발명의 양태에 따라 오버레이(500), 아이 스테이 오버레이(도시되지 않음), 미드풋 오버레이(700) 및 칼라 라이너(800)로 구성된 편평한 패턴 어퍼(300)를 도시한다. 칼라 라이너(800)는 예시적인 오버레이이다. 예시적인 양태에서, 칼라 라이너는 사용자의 발목이 접촉할 수 있는 편안한 표면을 제공하는 편물 또는 직물 재료로 형성된다. 도 15 및 도 16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칼라 라이너(800)는 미드풋 개구(및 발목 개구)를 통해 입체적 신발의 내부 공동까지 연장되어 공동의 라이너를 형성할 수 있다. 그러므로, 칼라 라이너(800)는, 논의되는 바와 같이, 예시적인 양태에서 편평한 패턴 상태로부터 입체적 신발 상태로 전이하도록 뒤집힐 수 있다.
예시적인 양태에서, 칼라 라이너(800)는 또한 내포된 설포(810)를 위한 설포 라이너로서 작용할 수도 있다. 그러나, 여기에 제공된 바와 같이, 편평한 패턴 어퍼(300)의 구성, 형상 및 크기는 예시적인 것이며, 양태는 내포된 설포(810)와 같은 하나 이상의 피처를 생략할 수 있는 것이 고려된다.
이 예에서, 칼라 라이너(800)는 내부면(802)은 하부 재료와는 반대측으로 향하고 외부면(804)(도 9에는 도시되지 않지만, 도 16에 도시됨)은 하부 재료를 향한 상태로 위치된다. 내부면(802)은, 입체적 신발로 정형될 때, 기재의 바닥 표면과 같은 편평한 패턴 어퍼의 바닥 표면을 향한다. 외부면(804)은, 입체적 신발로 정형될 때, 아래에서 도 1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입체적 신발의 발 접촉 표면을 형성한다.
칼라 라이너(800)는 어퍼 안쪽 힐 단부(308) 및 어퍼 바깥쪽 힐 단부(310) 부근으로부터 토우측을 향해 연장된다. 칼라 라이너(80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드풋 개구 영역의 부분을 가로질러 연장될 수 있다. 칼라 라이너(800)는 도 9에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미드풋 오버레이(700)의 토우측 단부에 이르기까지가 아니라 그 일부분에 걸쳐 연장된다. 칼라 라이너(800)는 편평한 패턴 어퍼의 어퍼 부분의 안쪽측 및 바깥쪽측을 가로질러 코익스텐시브 방식으로 안쪽과 바깥쪽 간의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안쪽과 바깥쪽 간의 방향으로의 연장의 폭은 발목 개구에서 입체적 신발의 내부 공동의 내부 측벽을 아래쪽으로 연장시키기에 충분한 칼라 라이너 재료를 제공한다. 이는 칼라 라이너(800)가 입체적 신발의 칼라 라이너로서 작용하는 것을 허용한다.
칼라 라이너는 예를 들어 스티칭, 용접 및/또는 부착을 통해 편평한 패턴 어퍼(300)의 하부 재료와 결합된다. 결합 위치(806)(예를 들어, 시임)가 점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결합 위치(806)는 칼라 라이너(800)를 발목 개구 영역 및 미드풋 개구 영역에 인접하여 편평한 패턴 어퍼(300)와 결합시킨다. 결합 위치(806)는 예시적인 양태에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목 개구의 둘레와 미드풋 개구의 일부를 획정하는 시임을 형성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 에지(814) 및 어퍼 에지(812)를 갖는 선택적인 내포된 설포(810)는 또한 설포 커플링(805)을 따라 칼라 라이너(800)와 또한 결합될 수도 있다. 설포 커플링은 발목 개구 영역으로부터 제거되도록 의도된 칼라 라이너(800)의 일부를 상단 에지(812)에 인접하여 내포된 설포(810)에 고정시킨다. 이러한 방식으로, 칼라 라이너는 입체적 신발과 일체화될 때 내포된 설포에 대한 배킹(backing)으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칼라 라이너(800) 및 상단 에지에서 미드풋 오버레이(700)의 일부가 함께 결합되어 있는 내포된 설포(810)는 설포 커플링(805)에 인접한 편평한 패턴 어퍼로부터 제거될 수 있는 것이 고려된다. 바닥 에지(814)는 뱀프(vamp) 영역(예를 들어, 미드풋 개구의 토우측 영역)과 고정될 수 있고, 상단 에지(812)는 예시적인 양태에서 입체적 신발의 발목 개구쪽으로 연장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양태에 따라, 발목 개구 영역(902), 미드풋 개구 영역(90)을 구비하고 내포된 설포(810)가 편평한 패턴 어퍼로부터 제거된 상태로 있는 편평한 패턴 어퍼를 도시한다. 결합 위치(806)는 칼라 라이너(800)가 미드풋 개구(901) 내로 연장되는 새로 형성된 발목 개구(902) 근방의 하부 재료로 고정되는 곳을 나타내는 점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원점(344') 및 제2 원점(346')은 설명을 위해 미드풋 개구(901) 및 발목 개구(902)로부터 제거될 재료의 일부로서 제거될 때를 도시된다. 앞서 제공된 바와 같이, 원점(344) 및 제2 원점(346)의 위치는 재료들의 결합 후에, 입체적 신발의 기능 및/또는 미관을 간섭하지 않도록 원점 애퍼처가 제거될 수 있도록 선택될 수 있다. 발목 애퍼처(902) 및 미드풋 개구 영역(901)은 부분적으로 바깥쪽 개구 에지(904) 및 안쪽 개구 에지(906)에 의해 획정된다. 바깥쪽 개구 에지(904) 및 안쪽 개구 에지(906)는 발목 개구(902)에서 재료의 제거를 허용하는 절단 작업으로부터 형성되는 것이 고려된다. 또한,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시적인 양태에서 칼라 라이너(800)가 뒤집혀져 입체적 신발의 칼라 라이너를 형성함에 따라 바깥쪽 개구 에지(904) 및 안쪽 개구 에지(906)가 가려질 수 있다.
간단히 도 19를 참조하면, 도 19는 본 발명의 양태에 따라, 편평한 패턴 어퍼에 대한 일체형 칼라 라이너를 갖는 신발류 제품을 제조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1800)를 도시한다. 블록(1802)에서, 상단 표면 및 대향하는 바닥 표면을 갖는 편평한 패턴 어퍼 부분이 형성된다. 예시적인 양태에서, 이러한 형성 단계는 절단 및 결합과 같은 하나 이상의 공정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어퍼 부분을 형성하는 예가 예를 들어 도 4 내지 도 8에 도시되어 있다.
블록(1804)에서, 칼라 라이너가 블록(1802)에서 형성된 어퍼 부분에 오버레잉된다. 칼라 라이너는 내부면 및 외부면을 갖는다. 칼라 라이너는 평면 구성일 때 컬러 라인 외부면이 어퍼 부분 상단 표면을 향하도록 어퍼 부분 상에 위치된다.
블록(1806)에서, 칼라 라이너는 칼라 라이너 시임을 형성하도록 어퍼 부분에 고정된다. 본 명세서에서 제공되는 바와 같이, 고정은 용접, 부착, 태킹(tacking), 재봉 등을 통해 달성될 수 있다. 예시적인 양태에서, 긴 아암 퀼팅 기계와 같은 컴퓨터 제어되는 기계가 칼라 라이너 및 어퍼 부분을 형성하는 다른 구성 요소를 칼라 시임에서 함께 재봉할 수 있다.
블록(1808)에서, 칼라 시임 근처의 어퍼 부분 및 칼라 라이너의 일부가 편평한 패턴 어퍼로부터 제거된다. 예를 들어, 발목 개구 영역 및 미드풋 개구 영역 내의 재료는 어퍼 부분의 나머지 부분으로부터 절단되는 것과 같이 제거될 수 있다. 재료의 제거는 형성될 입체적 신발의 발목 개구 및 미드풋 개구를 형성할 수 있다. 도 9와 관련하여 앞서 논의된 바와 같이, 또한 제거된 재료는 입체적 신발에 포함되도록 처리될 수 있는 내포된 설포를 포함할 수 있다.
블록(1810)에서, 칼라 라이너는 어퍼 부분에 대해 뒤집혀 진다. 이 공정은 어퍼 안쪽 힐 단부(308)를 어퍼 바깥쪽 힐 단부(310)에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음). 추가적으로, 어퍼 안쪽 힐 단부(308) 및 어퍼 바깥쪽 힐 단부(310)에 대응하는 칼라 라이너의 에지가 또한 결합될 수도 있다. 결합은 버트 지그재그 스티치(butt zigzag stitch)와 같은 다수의 시밍(seaming) 기술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그러나, 용접, 부착 등과 같은 다른 기술도 고려된다. 칼라 라이너 부분은 이제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뒤집힐 수 있어, 칼라 라이너의 외부면은 결합 위치(예를 들면, 칼라 시임)로부터 떨어진 위치에서 하부 재료의 상단 표면과는 반대측을 향한 방향으로 전이될 수 있다. 이러한 뒤집힘은 칼라 라이너가 형성 중의 입체적 신발에 라이너를 형성하게 한다. 다르게 말하면, 칼라 라이너의 뒤집힘은 칼라 라이너가 입체적 신발의 외부가 되는 곳에서부터 입체적 신발의 내부 공동까지 연장되게 한다.
블록(1812)에서, 뒤집혀진 칼라 라이너를 갖는 어퍼 부분은 도 15에 도시된 신발과 같은 입체적 신발로 정형된다.
입체적 신발 형성
도 11을 참조하면, 도 11은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른 예시적인 정렬 도구(1000)를 도시하고 있다. 정렬 도구(1000)는 특정 크기 및 형상을 갖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정렬 도구는 2개 이상의 정형 애퍼처를 정렬하기에 충분한 임의의 크기 및 형상일 수 있는 것이 고려된다. 정렬 도구(1000)는 제1 정렬 핀(1002), 제2 정렬 핀(1004), 및 제3 정렬 핀(1006)으로 도시되어 있다. 정렬 핀의 개수, 위치 및 크기는 변할 수 있으며, 도 11의 도시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다.
도 12를 참조하면, 도 12는 본 발명의 양태에 따라, 각각 풋베드 제1 애퍼처(334), 풋베드 제2 애퍼처(332) 및 풋베드 제3 애퍼처(336)를 통해 연장되는 정렬 핀(1004, 1002 및 1006)을 도시한다. 도 4 내지 도 10에서 이전에 논의된 풋베드 부분(304)의 정형 애퍼처는 정렬 핀과 정형 애퍼처의 기계적 결합을 통해 정렬 도구(1000) 상에 정렬된다.
또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퍼 안쪽 힐 단부(308) 및 어퍼 바깥쪽 힐 단부(310)는 시임(309)으로서 결합되어 있다. 이전에 논의된 바와 같이, 시임(309)은 재봉, 밀봉, 접착, 용접 등이 될 수 있다. 시임(309)은 수직 시임(309)에서 어퍼 부분(302)의 제1 부분(예를 들어 안쪽측)과 어퍼 부분(302)의 제2 부분(예를 들어, 바깥쪽측)을 결합하지만, 어퍼 부분(302)의 제1 부분 및 제2 부분은 임의의 위치에서 결합될 수 있는 것이 고려된다. 예를 들어, 결합은 복수의 영역을 가로질러 연장하는 토우 단부, 바깥쪽측, 안쪽측 등에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결합 시임은 수직이 아닌 방식으로 연장될 수 있는 것이 고려된다. 예를 들어, 결합 시임은 예시적인 양태에서, 미드풋 개구(901) 및/또는 발목 개구(902)로부터 토우측 또는 힐측 방향으로 바깥쪽 에지(예를 들어, 안쪽 또는 바깥쪽 둘레)를 향해 각진 형태로 연장될 수 있다.
칼라 라이너(800)가 발목 개구(902)에 근접하여 고정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양태들에서, 칼라 라이너는 또한 시임(309)에 근접할 수 있거나 또는 근접하지 않을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층(예를 들어, 기재, 오버레이, 그 자체)으로 고정된다.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2의 칼라 라이너(800)는 형성될 발 수용 공동 내로 연장하도록 뒤집혀져야 한다. 그러나, 칼라 라이너(800)는 예시적인 양태에서 시임(309)을 형성하기 이전에, 정렬 도구(1000)와의 정렬 이전에 그리고/또는 도 13의 도시 이전에 뒤집힐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양태에 따라, 안쪽 플랩의 정형 애퍼처가 정렬 핀에 의해 기계적으로 결합되도록 정렬 도구(1000) 주위에 둘러진 어퍼 부분을 도시한다. 예를 들어, 제2 정렬 핀(1004)은 풋베드 제1 애퍼처(334) 및 어퍼 제1 애퍼처(340) 모두를 통해 연장된다. 제1 정렬 핀(1002)은 풋베드 제2 애퍼처(332) 및 어퍼 제2 애퍼처(338) 모두를 통해 연장된다. 제3 정렬 핀(1006)은 풋베드 제3 애퍼처(336) 및 어퍼 제3 애퍼처(342) 모두를 통해 연장된다. 정렬 도구에 의해 제공된 정렬에 기초하여, 안쪽 플랩(또는 어퍼 부분의 다른 부분)은 풋베드 부분과 결합된다. 예를 들어, 정렬 도구(1000)가 제거되면 정형 애퍼처가 허용 가능한 상대 위치에 유지되도록 용접 또는 접착제가 상기 부분을 함께 결합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칼라 라이너(800)에 대한 도 12의 논의와 유사하게, 칼라 라이너(800)는 입체적 신발의 형성될 내부 공동 내로 반전되지 않는 것으로 도시된다; 그러나, 도시된 스테이지에서 칼라 라이너(800)는 입체적 신발의 발 수용 공동으로서 작용할 내부 공동 내로 뒤집혀질 수 있다. 또한, 결합될 수 있는 힐 단부 에지는 도 13에서 비 결합된 방식으로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또한, 힐 단부 에지는 어퍼 부분이 정렬 도구(1000) 주위에 둘러지기 이전에 또는 그 이후에 결합될 수 있어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쪽 플랩의 정형 애퍼처는 정렬 핀에 의해 기계적으로 결합되게 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양태에 따라, 안쪽 플랩(328)을 풋베드 부분(304)과 결합함으로써 생성된 체적 내에 삽입된 라스트(1300)를 도시한다. 풋베드 부분(304)과의 결합을 위해 안쪽 플랩(328)을 정렬시키기 위해 정렬 도구(1000)에 의존하는 도 13과 달리, 라스트(1300)는 입체적 신발의 모양을 형성하기 위해 의도되는 도구이다. 라스트(13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라스트(1300)에 의해 점유된 공동 내에 뒤집혀진 칼라 라이너(800)를 위치시키고, 세팅하고, 정렬시키는데 효과적인 것이 고려된다. 따라서, 칼라 라이너(800)는 발목 개구 및 미드풋 개구의 부분으로부터 라스트(1300)에 의해 점유된 내부 공동 내로 연장되도록 뒤집혀진다. 이러한 뒤집힘의 결과로서, 칼라 라이너(800)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목 애퍼처의 에지를 형성한다. 예시적인 양태에서, 칼라 라이너의 힐 단부 에지(또는 결합될 임의의 에지)는 라스트(1300)를 삽입하기 이전에 함께 고정된다. 그러나, 또한, 예시적인 양태에서, 접착제 또는 다른 결합제가 칼라 라이너(800) 또는 입체적 신발의 내부 부분에 적용되어 칼라 라이너(800)를 내부 공동의 위치된 곳에 유지시키는 것이 고려된다.
그 후, 편평한 패턴 어퍼의 하나 이상의 부분이 라스트(1300) 주위에 정형되는 것이 고려된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부분은 열 활성화 제제를 구비하고, 이 제제는 열에 노출될 때, 도포 대상 재료(들)의 강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입체적 신발의 토우 박스 영역에서, 제제가 도포되고 열이 도입되어 삽입된 라스트(1300) 주위에 토우 박스 영역을 형성하는 것이 고려된다. 라스트(1300)가 제거되면, 제제는 경화되어 모양을 유지하는 것을 돕기 때문에 토우 박스 영역은 라스트(1300)에 의해 안내되는 모양을 유지한다. 제제는 힐 영역과 같은 다른 부분에 도포되어, 도포된 그 영역들에서 유사한 특성을 제공할 수 있다.
유사하게, 입체적 신발을 형성하는 재료의 하나 이상의 부분은 라스트가(1300)는 내부 공동 내에 유지되는 동안 함께 결합될 수 있는 것이 고려된다. 예를 들어, 라스트(1300)가 존재하는 동안, 오버레이를 기재와 같은 하나 이상의 다른 재료에 고정하기 위해 접착제가 하나 이상의 오버레이의 둘레 부분을 따라 도포될 수 있다. 이는 입체적 신발이 실질적으로 평면의 편평한 어퍼로부터 원하는 모양, 크기 및 곡률을 갖는 입체적 신발로 정형되는 것을 허용한다. 다른 예에서, 라스트(1300) 주위로 연장되는 토우 단부 및/또는 힐 단부에서 어퍼 부분(302)을 형성하는 오버레이(또는 기재)의 부분은 예시적인 양태에서 풋베드 부분(304)에 고정되어 라스트(1300)를 포함하는 내부 공동을 실질적으로 둘러쌀 수 있다.
또한, 솔은 라스트에 적용된 어퍼에 적용될 수 있는 것이 고려된다. 따라서, 편평한 패턴 어퍼는 라스트(1300) 주위에 정형될 때, 당업계에 공지된 바와 같이 솔이 적용될 수 있는 것이 고려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양태에 따라 도 4 내지 도 10의 편평한 패턴 어퍼로부터 형성된 입체적 신발을 도시한다.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칼라 라이너(800)는 발목 개구(902)에 인접한 외부 위치로부터 라스트(1300)에 의해 점유된 내부 공동 내로 연장된다. 칼라 라이너는 신발의 내부 발 수용 공동으로 되돌아가기 전에 외측 하부 위치(1402)로부터 정점(1400)까지 연장된다. 단순화된 단면이 도 15의 절단 라인(15)을 따른 도 16에 제공된다. 도 16의 단면도는 초기에 (외부 하부 위치(1402)에 근접하는) 결합 위치(806)에서 오버레이(500)의 상단 표면(502)을 향하는 칼라 라이너(800)의 외부면(804)을 도시한다. 도 16의 단면도는 정점(1400)에서와 같이 오버레이(500)의 상단 표면(502)과는 반대측을 향한 방향으로 향하도록 전이되는 외부면(804)을 추가로 도시한다. 이러한 구조는 칼라 라이너(800)가 입체적 신발의 외측을 형성하는 하나 이상의 재료에 칼라 라이너를 결합하는 완성된 시임을 갖는 발목 개구에서 상부 에지로서 뿐만 아니라 발 수용 공동 라이너로서의 역할도 하는 것을 허용한다.
스티칭 위의 인쇄
도 3과 관련하여 도시되고 설명된 바와 같이, 기재(102)는 일련의 처리 스테이션(204, 206, 208, 210 및 212)에서 처리될 수 있다. 일부 양태에서, 제1 처리 스테이션은 기재(102)에 스티칭을 추가할 수 있다. 이 스티칭은 장식용이거나 구조용이거나 또는 둘 모두일 수 있고, 또는 이 스티칭의 다른 부분은 장식용이고 또한 구조용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티칭은 상이한 층 또는 부분들을 결합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거나, 또는 부분 또는 부분들에 강도 또는 안정성을 제공하는데 사용될 수 있거나, 또는 장식용일 수 있거나, 또는 장식용 스티치 패턴으로 상이한 층들 또는 부분들을 결합할 수 있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부분에 결합되거나 강도 또는 안정성을 결합 또는 제공할 수 있고 구조용 스티칭을 넘어 장식용 스티칭 패턴으로 계속될 수 있다. 일부 양태에서, 스티칭은 신발 어퍼에 대응하는 기재의 적어도 일부 위에 퀼트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재(102)가 편평한 동안 스티칭이 적용될 수 있다. 하나 또는 2개 또는 그 초과의 처리 스테이션에서 스티칭이 추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스티칭 패턴은 제1 처리 스테이션에서 적용될 수 있고, 제2 스티칭 패턴은 후속 처리 스테이션에서 적용될 수 있다. 각각의 스티칭 처리 스테이션은 하나 이상의 스티칭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스티칭 장치 중 적어도 하나는 도 3의 처리 스테이션(206)으로 도시된 퀼팅 아암일 수 있다. 일부 양태에서, 스티칭은 단일 처리 스테이션에서 추가된다. 일부 양태에서, 스티칭은 스레드의 연속 라인을 사용하여 적용된다. 일부 양태에서, 스티칭은 단일 처리 스테이션에서 스레드의 연속 라인을 사용하여 적용된다. 이송 시스템이 제조 라인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기재(102)를 이동시킬 수 있다. 시각 시스템 또는 2개, 또는 그 초과의 시각 시스템이 기재(102) 상의 편평한 패턴의 구별되는 피처를 관찰하고, 편평한 패턴의 하나 이상의 구별되는 피처에 스티칭 및/또는 인쇄를 정렬할 수 있다.
후속 처리 스테이션은 기재(102)에 인쇄를 추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의 처리 스테이션(206)이 기재(102)에 스티칭 패턴을 적용한다면, 처리 스테이션(208, 210 및/또는 212)은 기재(102)에 인쇄를 적용할 수 있다. 스티칭은 하나 이상의 처리 스테이션에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스티칭 스테이션들 사이에 또는 스티칭 스테이션과 인쇄 스테이션 사이에 또는 둘 모두에 하나 이상의 처리 스테이션이 있을 수 있다. 인쇄 스테이션은 하나 이상의 인쇄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인쇄 장치는 디지털 인쇄, 플렉소그래픽 인쇄, 스크린 인쇄, 로터리 스크린 인쇄, 패드 인쇄 및 이들의 조합과 같은 방법을 사용하여 인쇄할 수 있다. 인쇄는 전체 기재(102)에, 기재(102) 상의 또는 기재(102)로부터의 편평한 패턴 모두에, 또는 연속 스티칭 스레드에, 또는 연속 스티칭 스레드의 적어도 일부에 적용될 수 있다.
기재(102) 또는 편평한 패턴은 인쇄가 수행될 때 단색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기재(102)는 착색되거나, 패터닝되거나, 또는 표면 디자인을 가질 수 있다. 패턴 또는 디자인은 다중 컬러, 다중 색조 또는 둘 모두일 수 있다. 컬러, 패턴 또는 디자인은 기재의 재료에 내재적일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직조된 기재 내로 직조되거나, 또는 기재 자체가 초기 처리 단계에서 염색되거나 또는 인쇄될 수 있다. 패턴 또는 디자인, 또는 그 일부는 기재(102) 상에 인쇄될 수 있다. 스티칭 후에 인쇄가 수행되기 때문에, 인쇄는 동시에 기재(102) 및 연속 스레드에 컬러, 패턴 또는 디자인을 제공하여, 기재(102)의 상이한 부분에서 상이한 외관을 갖는 연속 스레드를 생성할 수 있다. 일부 양태에서, 인쇄는 연속 스레드에만 컬러를 부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쇄용 염료 또는 잉크는 기재(102)가 아닌 연속 스레드를 착색하도록 선택될 수 있다. 인쇄 작업의 결과는 기재(102)와 매칭되거나 또는 기재(102)와 어울리는 다양한 외관을 갖는 연속 스레드이다. 이와 같이, 신발의 외부로부터 볼 수 있는 장식용 스티칭 또는 기능적 스티칭은 신발이 상이한 컬러 및/또는 패턴의 영역을 포함하더라도 단일의 연속 스레드로 달성될 수 있다.
일부 양태에서,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발(1900)은 퀼트 패턴(1910A)으로 스티칭될 수 있다. 임의의 원하는 스티칭 패턴이 사용될 수 있는데, 추상적 또는 불규칙한 모양, 원, 점, 별, 꽃, 구름 또는 다른 모양, 아웃라인 또는 디자인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지만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 선, 곡선 또는 다른 모양일 수 있다. 디자인(1920)은 어퍼(120) 및/또는 오버레이(500)(오버레이가 존재하는 경우) 상에 존재한다. 스티칭된 후에, 스티칭된 어퍼(120)는 인쇄 공정을 거쳐서, 어퍼(120)에 디자인(1920)을 추가할 수 있거나 또는 디자인(1920)의 외관과 매칭되거나 또는 이를 보완하도록 디자인(1920) 내의 퀼트된 패턴(1910B)의 연속 스티칭 스레드의 부분을 인쇄할 수 있다. 미적 디자인이 퀼트된 패턴(1910B)의 연속 스레드에 대해 디자인(1920)과 매칭되기 위한 것, 즉 컬러를 사용하여 블렌딩하기 위한 것이든, 또는 스레드에 대해 하부의 어퍼 기재에 대한 것과 상이한 컬러 또는 색조를 사용하여 스티칭을 강조하기 위한 것이든, 인쇄 공정을 통해 컬러가 부여되어, 스티칭은 종래에는 스티칭 스레드가 균일한 외관을 가졌거나, 또는 디자인(1920) 및 어퍼(120)의 나머지에서의 상이한 컬러를 브리징하기 위해 변경된 스레드이었을(예를 들어, 연속 스레드가 아니라, 2개 이상의 상이한 유형 또는 스레드의 컬러를 포함하는 스티칭 라인이었을), 퀼트된 패턴(1910B)의 스티칭과 디자인(1920)의 둘레 사이의 교차점(1930)에서도 연속적이다.
이와 같이, 신발 어퍼는 디자인(1920)과 같은 제1 컬러 또는 시각적 패턴에 의해 획정되는 제1 영역, 및 제1 컬러 또는 시각적 패턴과 시각적으로 구별되는 제2 컬러 또는 시각적 패턴에 의해 획정되는 적어도 제2 영역을 가질 수 있다. 퀼트 패턴(1910A 및 1910B)과 같은 스티칭 라인은 연속 스레드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스티칭 라인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어퍼의 제1 영역에, 그리고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어퍼의 제2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연속 스레드는 제1 영역에서 제1 컬러 또는 시각적 패턴과 매칭될 수 있고 제2 영역에서 제2 컬러 또는 패턴과 매칭될 수 있다. 즉, 연속 스레드는 인쇄 때문에 스티칭의 다른 부분에서 다른 컬러 또는 외관을 가질 수 있다. 이것은 도 20의 삽입 도면에 도시되어 있고, 여기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그레이 어퍼(120) 및/또는 오버레이(500) 및 레드 디자인(1920)을 나타내기 위해 컬러를 표현하기 위한 표준 도면 작성 기호 패턴이 사용되며, 연속 스티칭은 어퍼(120) 및/또는 오버레이(500)에 대응하는 퀼트된 패턴(1910A)으로 그레이가 되도록 인쇄되고, 디자인(1920)에 대응하는 퀼트된 패턴(1910B)으로 레드가 되도록 인쇄되는 연속 스레드를 사용하여 수행된다. 일부 양태에서, 인쇄 공정은 오버레이가 사용되는 경우, 오버레이(500)를 포함하는 어퍼의 기재(120) 및 어퍼(120) 및/또는 오버레이(500)로 스티칭되는 연속 스레드 모두에 컬러, 패턴 또는 디자인을 부여할 수 있다.
연속 스레드는 어퍼 및/또는, 오버레이가 사용되는 경우, 오버레이(500)에 대해 동일하거나 또는 유사하거나 또는 상이한 재료일 수 있다. 예로서, 연속 스레드는 면과 같은 유기 재료일 수 있고, 어퍼 및/또는 오버레이(500)는 하나 이상의 합성 재료, 또는 합성 및 유기 재료의 혼합물로 형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연속 스레드 및 어퍼 및/또는 오버레이는 상이한 중합체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재료는 본질적으로 유사하거나 또는 상이한 텍스처, 광택 또는 다른 시각적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인쇄는 이러한 비-컬러 속성을 변경하거나 또는 변경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쇄 후에 연속 스레드는 상단 및/또는 오버레이의 컬러 또는 색조와 매칭될 수 있지만, 다른 텍스처 또는 광택을 가질 수 있으므로, 컬러는 매칭되지만 전체 외관은 상이하다. 또 다른 예로서, 인쇄는 연속 스레드, 어퍼 및/또는 오버레이를 코팅하거나 또는 다르게는 연속 스레드, 어퍼 및/또는 오버레이의 시각적 특성을 마스킹하는 물질을 사용할 수 있으므로, 인쇄는 이들 재료가 비-컬러 및/또는 컬러 속성에서 보다 더 유사하게 또는 보다 덜 유사하게 보이게 만든다. 예로서, 연속 스레드 및 어퍼 및/또는 오버레이에 적용되는 무광 안료는 상이한 재료의 광택의 차이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부풀어 오른 페인트(puffy paint)와 같은 입체적 특성을 갖는 안료 또는 입체적 특성을 갖는 캐리어 내의 안료는 연속 스레드, 어퍼 및/또는 오버레이의 텍스처, 광택 및/또는 컬러를 변경하거나 또는 마스킹할 수 있다.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발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2000)은 신발(즉, 신발 또는 신발 어퍼와 같은 신발 구성 요소)에 대한 편평한 패턴을 연속 스레드를 사용하여 스티칭하는 단계(20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적어도 2개의 영역에서 스티칭된 편평한 패턴의 적어도 일부를 인쇄하는 단계(20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영역은 제1 컬러 또는 시각적 패턴에 의해 획정될 수 있다. 제2 영역은 제1 컬러 또는 시각적 패턴과 시각적으로 구별되는 제2 컬러 또는 시각적 패턴에 의해 획정될 수 있다. 연속 스레드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1 영역에서 그리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2 영역에서 스티칭될 수 있다. 인쇄 후, 연속 스레드는 제1 영역에서 제1 컬러 또는 시각적 패턴과 매칭될 수 있고 제2 영역에서 제2 컬러 또는 시각적 패턴과 매칭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영역은 예를 들어 상이한 컬러 또는 패턴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인쇄 공정에 의해 부여되는 경우, 편평한 패턴이 스티칭되는 동안 시각적으로 식별 가능할 수 있거나, 또는 인쇄 단계 이후에만 시각적으로 식별 가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연속 스레드는 부분에 대한 플랜 또는 템플릿과 구별되지만, 추가적인 처리 후까지 시각적으로 구별되는 영역으로서 시각적으로 명백하지 않은 기재(102) 및/또는 어퍼(120)의 제1 및 제2 영역 내로 스티칭될 수 있다. 인쇄는 단일 처리 단계 또는 작업으로 수행될 수 있거나, 또는 2개 이상의 처리 단계 또는 작업으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설계 요소는 다른 설계 요소를 부여하는 제2 인쇄 공정과 동일한 또는 상이한 인쇄 재료, 방법 및/또는 장치를 사용할 수 있는 제1 인쇄 공정에서 부여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하나의 컬러가 제1 단계에서 인쇄되고, 제2 컬러가 제2 단계에서 인쇄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스레드는 하나의 단계에서 인쇄될 수 있고, 어퍼에 대한 어퍼 또는 기재는 다른 단계에서 인쇄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편평한 패턴의 원점 및/또는 구별되는 피처를 사용하는 것은 상이한 공정 또는 단계에서 인쇄 컬러 및/또는 패턴의 레지스트레이션 또는 정렬을 유지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일부 양태에서, 어퍼(120) 및/또는 오버레이(500)에 대응하는 기재(102)의 부분은 연속 스레드와 독립적으로 재료에 고유한 그리고/또는 재료에 미리 부여된(예를 들어, 염색된, 인쇄된, 또는 달리 어퍼(120) 및/또는 오버레이(500)에 전사된) 컬러 또는 패턴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인쇄 공정은 예를 들어 스티칭 라인만을 인쇄함으로써, 연속된 스레드와는 별도로 기재(102) 상에 인쇄를 방지하기 위해 마스킹을 사용함으로써, 또는 연속 스레드만이 인쇄 공정의 영향을 받도록 인쇄 잉크 또는 염료와 재료의 조합을 사용함으로써 연속 스레드에만 컬러를 부여할 수 있다.
인쇄, 스티칭 또는 둘 모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원점 애퍼처 또는 2개의 원점 애퍼처와 같은 편평한 패턴의 하나 이상의 구별되는 피처에 정렬될 수 있다. 인쇄 및 스티칭 또는 둘 모두는 적어도 하나의 시각 시스템을 사용하여 편평한 패턴의 하나 이상의 구별되는 피처들에 정렬될 수 있다. 인쇄는 적어도 하나의 시각 시스템을 사용하여 스티칭에 정렬될 수 있다. 복수의 인쇄 및/또는 스티칭 공정이 사용되는 경우, 모든 인쇄 공정 또는 모든 스티칭 공정 또는 모든 인쇄 및 스티칭 공정과 같은 공정들 또는 모든 인쇄 및/또는 스티칭 공정의 임의의 서브 조합이 편평한 패턴의 하나 이상의 구별되는 피처들에 정렬될 수 있다. 스티칭 및 인쇄는 동일한 제조 스테이션에서 수행될 수 있다. 동일한 제조 스테이션에서 수행되더라도, 인쇄 및/또는 스티칭 공정은 편평한 패턴의 하나 이상의 구별되는 피처들에 정렬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출된 편평한 패턴 어퍼 아웃라인(214)은 기재(102)로부터 유도될 수 있다. 추출된 편평한 패턴 어퍼 아웃라인(214)은 스티칭 및/또는 인쇄 공정 이전 또는 이후에 추출될 수 있다. 스티칭된, 인쇄된 그리고 추출된 편평한 패턴 어퍼 아웃라인(214)은 입체적 신발 어퍼로 정형될 수 있고, 궁극적으로 입체적 신발로 정형될 수 있다. 편평한 패턴 상의 스티칭 및 스티칭 위의 인쇄는 신발 어퍼 및/또는 신발의 제조를 단순화할 수 있으며, 상이한 패턴 또는 디자인을 가진 다양한 신발을 생성하는 것이 비용 면에서 효율적일 수 있게 할 수 있고(예를 들어, 많은 개수의 구별되는 기재 및 스레드의 재고를 유지할 필요가 없기 때문임), 특히 인쇄가 편평한 기재 상에서 수행되기 때문에, 입체적 신발 어퍼 및/또는 입체적 신발에 사용하기가 어려울 수 있는 디지털 인쇄와 같은 인쇄 기술의 사용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은 구성 요소뿐만 아니라 도시된 다양한 구성 요소의 많은 상이한 배열이 본 개시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제한적인 것이라기보다는 예시적인 것으로 의도되어 설명되었다.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대안적인 실시예들이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숙련된 기술자는 본 개시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전술한 개선을 구현할 대안적인 수단을 개발할 수 있다.
특정 피처 및 서브 조합이 유용하며 다른 피처 및 서브 조합을 참조하지 않고 사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청구범위 내에서 고려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다양한 도면에 열거된 모든 단계가 설명된 특정 순서로 수행될 필요는 없다.

Claims (18)

  1. 신발 구성 요소로서,
    제1 컬러 및/또는 제1 시각적 패턴을 포함하는 제1 영역;
    제2 컬러 및/또는 제2 시각적 패턴을 포함하는 제2 영역; 및
    연속 스레드(continuous thread)에 의해 형성되는 스티칭 라인으로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에 위치하는 스티칭 라인;
    을 포함하고,
    상기 연속 스레드는 상기 제1 영역에서 상기 제1 컬러 및/또는 상기 제1 시각적 패턴과 매칭되고, 상기 연속 스레드는 상기 제2 영역에서 상기 제2 컬러 및/또는 상기 제2 시각적 패턴과 매칭되는 것인, 신발 구성 요소.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발 구성 요소는 신발 어퍼인 것인 신발 구성 요소.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발 구성 요소는 편평한 것인 신발 구성 요소.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티칭은 퀼트 패턴을 포함하는 것인 신발 구성 요소.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티칭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구조용(structural)인 것인 신발 구성 요소.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에 배치된 연속 스레드 부분은, 상기 제2 영역에 배치된 연속 스레드 부분과는 다른 컬러 및/또는 외관을 가지는 것인 신발 구성 요소.
  7. 신발 구성 요소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편평한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편평한 패턴의 제1 영역과 상기 편평한 패턴의 제2 영역에 위치하는 스티칭 라인을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편평한 패턴에 연속 스레드를 스티칭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영역이 제1 컬러 및/또는 제1 시각적 패턴을 포함하도록 그리고 상기 제2 영역이 제2 컬러 및/또는 제2 시각적 패턴을 포함하도록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 위에 인쇄하는 것인, 인쇄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신발 구성 요소 제조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신발 구성 요소는 신발 어퍼인 것인 신발 구성 요소 제조 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는 상기 연속 스레드에만 컬러 및/또는 패턴을 부여하는 것인 신발 구성 요소 제조 방법.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는 상기 연속 스레드 및 상기 편평한 패턴의 일부에 컬러 및/또는 패턴을 부여하는 것인 신발 구성 요소 제조 방법.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 이후에, 상기 연속 스레드는 상기 제1 영역에서 상기 제1 컬러 및/또는 상기 제1 시각적 패턴과 매칭되고, 상기 연속 스레드는 상기 제2 영역에서 상기 제2 컬러 및/또는 상기 제2 시각적 패턴과 매칭되는 것인, 신발 구성 요소 제조 방법.
  12.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는,
    디지털 프린팅;
    플렉소그래픽 프린팅;
    스크린 프린팅;
    로터리 스크린 프린팅;
    패드 프린팅; 또는
    이들의 조합;
    을 사용하여 수행되는 것인, 신발 구성 요소 제조 방법.
  13. 제 7 항에 있어서,
    시각 시스템을 사용하여 상기 인쇄 및 상기 스티칭을 상기 편평한 패턴의 하나 이상의 구별되는 피처들과 정렬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신발 구성 요소 제조 방법.
  14.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스티칭은 퀼팅 아암(quilting arm)을 사용하여 수행되는 것인 신발 구성 요소 제조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스티칭은 상기 편평한 패턴의 적어도 일부 상에 퀼팅을 획정하는 것인 신발 구성 요소 제조 방법.
  16.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스티칭 및 상기 인쇄는 동일한 제조 스테이션에서 수행되는 것인 신발 구성 요소 제조 방법.
  17.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스티칭은 제1 시각 시스템을 사용하여 제1 제조 스테이션에서 상기 편평한 패턴에 정렬되고, 상기 인쇄는 제2 시각 시스템을 사용하여 제2 제조 스테이션에서 상기 편평한 패턴에 정렬되는 것인 신발 구성 요소 제조 방법.
  18. 신발 구성 요소로서,
    연속 스레드를 형성하는 스티칭 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연속 스레드의 제1 부분이 상기 연속 스레드의 제2 부분과는 다른 컬러 및/또는 외관을 가지게 하기 위하여, 상기 연속 스레드의 제1 부분은 상기 연속 스레드가 상기 신발 구성 요소에 스티칭된 후에 인쇄되는 것인, 신발 구성 요소.
KR1020207025777A 2016-06-01 2017-06-01 스티칭 위의 인쇄 KR1022075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7001053A KR102339536B1 (ko) 2016-06-01 2017-06-01 신발 구성 요소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662344294P 2016-06-01 2016-06-01
US62/344,294 2016-06-01
PCT/US2017/035454 WO2017210430A2 (en) 2016-06-01 2017-06-01 Printing over stitching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34898A Division KR102159218B1 (ko) 2016-06-01 2017-06-01 스티칭 위의 인쇄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1053A Division KR102339536B1 (ko) 2016-06-01 2017-06-01 신발 구성 요소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6992A true KR20200106992A (ko) 2020-09-15
KR102207586B1 KR102207586B1 (ko) 2021-01-26

Family

ID=59054294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1053A KR102339536B1 (ko) 2016-06-01 2017-06-01 신발 구성 요소 및 그 제조방법
KR1020187034898A KR102159218B1 (ko) 2016-06-01 2017-06-01 스티칭 위의 인쇄
KR1020207025777A KR102207586B1 (ko) 2016-06-01 2017-06-01 스티칭 위의 인쇄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1053A KR102339536B1 (ko) 2016-06-01 2017-06-01 신발 구성 요소 및 그 제조방법
KR1020187034898A KR102159218B1 (ko) 2016-06-01 2017-06-01 스티칭 위의 인쇄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3) US10624412B2 (ko)
EP (1) EP3462958A2 (ko)
KR (3) KR102339536B1 (ko)
CN (2) CN109310176B (ko)
MX (1) MX2018014784A (ko)
TW (3) TWI728908B (ko)
WO (1) WO2017210430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56899B2 (en) * 2015-02-20 2017-09-12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having an upper with connectors for attaching to a sole structure
US10321738B2 (en) * 2016-01-19 2019-06-18 Nike, Inc. Footwear with embroidery transition between materials
CN110177478B (zh) 2016-01-19 2022-06-17 耐克创新有限合伙公司 具有材料间的毡合过渡部的鞋类
EP3405056B1 (en) 2016-01-19 2022-04-20 NIKE Innovate C.V. Footwear with embroidery transition between materials
US10624412B2 (en) 2016-06-01 2020-04-21 Nike, Inc. Printing over stitching
US10194714B2 (en) * 2017-03-07 2019-02-05 Adidas Ag Article of footwear with upper having stitched polymer thread pattern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TWI712372B (zh) 2017-05-31 2020-12-11 荷蘭商耐克創新有限合夥公司 自平坦圖案製造的具有側接縫的鞋類物品及其製造的方法
US10357066B2 (en) * 2017-08-07 2019-07-23 Under Armour, Inc. System and method for apparel identification
SG11202002889TA (en) 2017-09-29 2020-04-29 Nike Innovate Cv Structurally-colored article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structurally-colored articles
EP3969947A1 (en) 2019-06-26 2022-03-23 Nike Innovate C.V. Structurally-colored articles and methods for making and using structurally-colored articles
US20210022444A1 (en) 2019-07-26 2021-01-28 Nike, Inc. Structurally-colored articles and methods for making and using structurally-colored articles
US10918163B1 (en) * 2020-04-25 2021-02-16 Daniel R. Blondeau One piece footwear
US11889894B2 (en) 2020-08-07 2024-02-06 Nike, Inc. Footwear article having concealing layer
US11129444B1 (en) 2020-08-07 2021-09-28 Nike, Inc. Footwear article having repurposed material with concealing layer
US11241062B1 (en) 2020-08-07 2022-02-08 Nike, Inc. Footwear article having repurposed material with structural-color concealing layer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202041A1 (en) * 2013-01-23 2014-07-24 Jono Anthony Kupferberg Shoe having a printed design and printing process for shoes
EP2862467A1 (en) * 2013-10-16 2015-04-22 Adidas AG Speedfactory 2D
WO2016019570A1 (zh) * 2014-08-08 2016-02-11 欧利速精密工业股份有限公司 鞋面三维印刷系统

Family Cites Families (4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704281A (en) * 1927-10-22 1929-03-05 Capezio Salvatore Toe and ballet slipper
US1953659A (en) * 1931-04-22 1934-04-03 Savino Michele Ballet slipper
US2001962A (en) * 1934-06-30 1935-05-21 Joseph W Kantrow Ornamental material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8745893B2 (en) * 2011-08-10 2014-06-10 Gavrieli Brands LLC Split-sole footwear
US4726128A (en) * 1983-06-16 1988-02-23 Danny Lin Zippered athletic shoe pocket
US5101579A (en) * 1989-08-04 1992-04-07 Ballet Makers Inc. Sound deadening ballet shoe
US5129165A (en) * 1990-10-30 1992-07-14 Woodle Alan S Custom toe cap for ballet pointe shoe and method of weight distribution
US5669078A (en) * 1994-03-07 1997-09-23 Scremin; Anthony J. Security pocket assembly
US6397497B1 (en) * 2000-06-12 2002-06-04 Mcatee Bradford Shoe tongue accessory
US20020029494A1 (en) * 2000-09-12 2002-03-14 Small Ina R. Removable and interchangeable shoe tongue
US6810603B1 (en) * 2001-04-10 2004-11-02 Anthony Cosentino Toe pad for ballet dancers
US6705026B1 (en) * 2002-03-21 2004-03-16 Tracy A. M. Arbour Dance shoe
US6895694B2 (en) * 2002-11-19 2005-05-24 William S. Nye Toe shoe
US20040177532A1 (en) * 2003-03-10 2004-09-16 Lawrence Kevin J. Favorite sports team footwear construction
US20060090375A1 (en) * 2004-10-29 2006-05-04 Mei-Chuang Chen Construction of vamp for patterned shoe
US20060101673A1 (en) * 2004-11-18 2006-05-18 Robinson Shumodda T Fabric design panels for wearing apparel
US20070000149A1 (en) * 2005-06-29 2007-01-04 Footloose Dancewear, Inc. Stretch ribbon for ballet shoes
US20070022517A1 (en) * 2005-07-26 2007-02-01 Ronald Kronenberger Headwear piece with improved ornamentation
DE102005058927B3 (de) * 2005-12-09 2007-10-18 Adidas International Marketing B.V. System zur Individualisierung eines Schuhs
US7827707B2 (en) * 2006-04-05 2010-11-09 Kdd Enterprises, Inc. Memory foam shoe insert
US20080034612A1 (en) * 2006-08-08 2008-02-14 Joseph Palattella Ultra pointe: TX-1A
US7945343B2 (en) * 2006-12-18 2011-05-17 Nike, Inc. Method of making an article of footwear
US8544191B2 (en) * 2007-04-10 2013-10-01 Reebok International Limited Smooth shoe uppers and methods for producing them
US20090282698A1 (en) * 2007-04-30 2009-11-19 Nina Sue Kovacs Slipper arrangements; and methods
US7891035B2 (en) * 2007-05-01 2011-02-22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having a worn appearance and method of making same
US7818217B2 (en) * 2007-07-20 2010-10-19 Nike, Inc. Method of customizing an article
US7987617B2 (en) * 2007-11-13 2011-08-02 Nike, Inc. Self assembled article of footwear with customized designs
US8151491B2 (en) * 2008-04-03 2012-04-10 Nike, Inc. Reversible article of footwear
US8321984B2 (en) * 2009-10-21 2012-12-04 Nike, Inc. Composite shoe upper and method of making same
US9314068B2 (en) * 2010-04-30 2016-04-19 Kelly Susan Schmutte Self-customized, moldable, weight-distributing insert for ballet pointe shoes
US8572786B2 (en) * 2010-10-12 2013-11-05 Reebok International Limited Method for manufacturing inflatable bladders for use in footwear and other articles of manufacture
JP2013090807A (ja) * 2011-10-26 2013-05-16 Rikio:Kk 地下たび及びその製造方法
US8958901B2 (en) * 2011-11-18 2015-02-17 Nike, Inc. Automated manufacturing of shoe parts
US9005710B2 (en) * 2012-07-19 2015-04-14 Nike, Inc. Footwear assembly method with 3D printing
US9254640B2 (en) * 2012-07-25 2016-02-09 Nike, Inc. Projector assisted alignment and printing
US20140101824A1 (en) * 2012-10-15 2014-04-17 Nike, Inc. System Including Footwear and Sock Having Aligning Indicia
US9848672B2 (en) * 2013-03-04 2017-12-26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incorporating a knitted component with integrally knit contoured portion
JP6164908B2 (ja) 2013-04-23 2017-07-19 キヤノン株式会社 液体吐出ヘッドの製造方法
US9301576B2 (en) * 2013-04-23 2016-04-05 Nike, Inc. Method of printing onto an article
US20150113831A1 (en) * 2013-10-24 2015-04-30 Dryworld Industries Inc. Water repellant footwear cover
TWI540974B (zh) 2014-08-08 2016-07-11 歐利速精密工業股份有限公司 鞋面三維印刷系統
TWI622364B (zh) * 2015-05-29 2018-05-01 耐克創新有限合夥公司 自平坦圖案製造鞋類製品的方法及鞋類製品的平坦圖案
CN106263227B (zh) * 2015-06-08 2018-04-06 英属维京群岛商高阶鞋技有限公司 具有电绣图案的鞋子
US10624412B2 (en) 2016-06-01 2020-04-21 Nike, Inc. Printing over stitching
US20190029369A1 (en) * 2017-07-28 2019-01-31 Wolverine Outdoors, Inc. Article of footwear having a 3-d printed fabric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202041A1 (en) * 2013-01-23 2014-07-24 Jono Anthony Kupferberg Shoe having a printed design and printing process for shoes
EP2862467A1 (en) * 2013-10-16 2015-04-22 Adidas AG Speedfactory 2D
WO2016019570A1 (zh) * 2014-08-08 2016-02-11 欧利速精密工业股份有限公司 鞋面三维印刷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X2018014784A (es) 2019-04-25
TWI728908B (zh) 2021-05-21
TW202131819A (zh) 2021-09-01
KR20210008159A (ko) 2021-01-20
WO2017210430A3 (en) 2018-01-11
KR20190002656A (ko) 2019-01-08
CN109310176A (zh) 2019-02-05
TW201801632A (zh) 2018-01-16
CN109310176B (zh) 2022-04-26
US20170347745A1 (en) 2017-12-07
US20240138508A1 (en) 2024-05-02
KR102339536B1 (ko) 2021-12-16
US11903447B2 (en) 2024-02-20
TWI705774B (zh) 2020-10-01
US10624412B2 (en) 2020-04-21
TWI764715B (zh) 2022-05-11
KR102207586B1 (ko) 2021-01-26
CN114766773A (zh) 2022-07-22
TW202045056A (zh) 2020-12-16
WO2017210430A2 (en) 2017-12-07
KR102159218B1 (ko) 2020-09-23
US20200275730A1 (en) 2020-09-03
EP3462958A2 (en) 2019-04-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07586B1 (ko) 스티칭 위의 인쇄
US11672307B2 (en) Footwear manufacturing with a flat pattern upper
KR102160492B1 (ko) 칼라 라이너를 갖는 신발류 제조
KR102209730B1 (ko) 원점을 갖는 신발류 제조
KR102083606B1 (ko) 사전 절단부를 갖는 신발류 제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