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6520A - 차량 인터넷에서 데이터 전송을 위한 방법, 단말기 디바이스 및 네트워크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차량 인터넷에서 데이터 전송을 위한 방법, 단말기 디바이스 및 네트워크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6520A
KR20200106520A KR1020207022488A KR20207022488A KR20200106520A KR 20200106520 A KR20200106520 A KR 20200106520A KR 1020207022488 A KR1020207022488 A KR 1020207022488A KR 20207022488 A KR20207022488 A KR 20207022488A KR 20200106520 A KR20200106520 A KR 202001065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mrs
channel
terminal device
correspondence relationship
network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224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이 탕
후에이-밍 린
Original Assignee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filed Critical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001065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652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2Channe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ignal
    • H04L5/06Channe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ignal the signals being represented by different frequencies
    • H04L5/10Channe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ignal the signals being represented by different frequencies with dynamo-electric generation of carriers; with mechanical filters or demodula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04L5/0051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of dedicated pilots, i.e. pilots destined for a single user or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91Signaling for the administration of the divided path
    • H04L5/0094Indication of how sub-channels of the path are allocat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4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2Selection of wireless resources by user or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66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the resource being a scrambling code
    • H04W72/048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04W72/1263Mapping of traffic onto schedule, e.g. scheduled allocation or multiplexing of flows
    • H04W72/1278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1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terminal or device proper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16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 H04W92/18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between 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차량 인터넷에서 데이터 전송을 위한 방법, 단말기 디바이스 및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개시하고, 해당 방법은, 단말기 디바이스는 제 1 채널에 대응하는 복조 참조 신호(DMRS) 패턴을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 는 상기 DMRS 패턴에 의거하여 상기 제 1 채널을 복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 인터넷에서 데이터 전송을 위한 방법, 단말기 디바이스 및 네트워크 디바이스
본 발명은 2018년 1월 4일 중국 특허청에 출원된 출원 번호가 PCT/CN2018/071371이고, 출원 명칭이 "차량 인터넷에서 데이터 전송을 위한 방법, 단말기 디바이스 및 네트워크 디바이스"인 PCT 특허 출원의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내용 전체는 원용에 의해 본 출원에 통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통신 분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차량 인터넷에서 데이터 전송을 위한 방법, 단말기 디바이스 및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차량 인터넷 시스템은 기존의 LTE 시스템에서 기지국을 통한 통신 데이터의 송수신 방식과는 다르고, 단말기 간 직접 통신 방식을 사용하기 때문에, 보다 높은 스펙트럼 효율 및 보다 낮은 전송 지연을 갖는 롱 텀 에볼루션 디바이스투디바이스(Long Term Evaluation Device to Device, LTE D2D)에 따른 사이드링크(Sidelink, SL) 전송 기술이다.
5G의 엔알(New Radio, NR) 시스템에 있어서, 상향은 두 가지 전송 파형을 지원하고, 단말기 디바이스는 상이한 전송 파형을 사용하는 경우, 대응하는 복조 참조 신호(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DMRS) 패턴은 상이하지만, NR 기술에 기반한 차량 인터넷 시스템(NR-V2X)에서, 차량이 위치하는 환경이 복잡하게 변화되기 때문에, DMRS 패턴의 유연한 구성을 어떻게 구현하는지는 해결해야 할 과제이다.
본 발명은 DMRS 패턴의 유연한 구성을 구현하는 차량 인터넷에서 데이터 전송을 위한 방법, 단말기 디바이스 및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제 1 양태로서, 차량 인터넷에서 데이터 전송을 위한 방법을 제공하고,
단말기 디바이스는 제 1 채널에 대응하는 복조 참조 신호(DMRS) 패턴을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는 상기 DMRS 패턴에 의거하여 상기 제 1 채널을 복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구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는 제 1 채널에 대응하는 복조 참조 신호(DMRS) 패턴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구성 정보, 상기 제 1 채널이 사용하는 리소스 풀, 상기 제 1 채널이 사용하는 캐리어 및 상기 제 1 채널이 사용하는 파형 중 적어도 하나에 의거하여, 상기 제 1 채널에 대응하는 DMRS 패턴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의 차량 인터넷에서 데이터 전송을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구성, 제 1 채널의 전송에 사용되는 리소스 풀, 캐리어 및 파형 중 적어도 하나에 의거하여, 상기 제 1 채널에 대응하는 DMRS 패턴을 결정하는 것에 의거하여, DMRS 패턴의 유연한 구성을 구현할 수 있다.
일부 구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구성 정보, 상기 제 1 채널이 사용하는 리소스 풀, 상기 제 1 채널이 사용하는 캐리어 및 상기 제 1 채널이 사용하는 파형 중 적어도 하나에 의거하여, 상기 제 1 채널에 대응하는 DMRS 패턴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구성 정보는 제 1 DMRS 패턴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는 복수의 DMRS 패턴에서 상기 제 1 DMRS 패턴을 상기 제 1 채널에 대응하는 DRMS 패턴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구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DMRS 패턴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미리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구성된다.
일부 구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구성 정보, 상기 제 1 채널이 사용하는 리소스 풀, 상기 제 1 채널이 사용하는 캐리어 및 상기 제 1 채널이 사용하는 파형 중 적어도 하나에 의거하여, 상기 제 1 채널에 대응하는 DMRS 패턴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는 상기 제 1 채널이 사용하는 리소스 풀 및 제 1 대응 관계에 의거하여, 상기 제 1 채널에 대응하는 DMRS 패턴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제 1 대응 관계는 복수의 리소스 풀과 복수의 DMRS 패턴의 대응 관계이다.
선택적으로, 해당 복수의 리소스 풀과 해당 복수의 DMRS 패턴은 일대일, 다대일 또는 다대다로 대응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부 구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리소스 풀은 복수의 속도 범위에 각각 대응하고, 상기 방법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는 현재의 이동 속도에 의거하여, 대응하는 타겟 리소스 풀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타겟 리소스 풀은 상기 제 1 채널이 사용하는 리소스 풀이다.
선택적으로, 단말기 디바이스는 현재 고속 시나리오에 위치하고, 채널 변화가 빠른 경우,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단말기 디바이스에 시간 영역에서 더 조밀한 DMRS 패턴을 구성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한 보다 정확한 채널 추정을 수행하는데 유리하고, 데이터 수신 성능을 향상시키거나, 또는 단말기 디바이스는 현재 저속 시나리오에 위치하고, 채널 변화가 느린 경우,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단말기 디바이스에 시간 영역에서 희소하게 분포되는 DMRS 패턴을 구성할 수 있고, DMRS의 오버 헤드를 저감시키는데 유리하기 때문에, 본 발명의 실시예의 차량 인터넷에서 데이터 전송을 위한 방법은 수신 성능과 파일럿 오버 헤드의 합리적인 트레이드오프를 구현할 수 있다.
일부 구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제 1 대응 관계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미리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구성된다.
일부 구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구성 정보, 상기 제 1 채널이 사용하는 리소스 풀, 상기 제 1 채널이 사용하는 캐리어 및 상기 제 1 채널이 사용하는 파형 중 적어도 하나에 의거하여, 상기 제 1 채널에 대응하는 DMRS 패턴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는 상기 제 1 채널이 사용하는 캐리어 및 제 2 대응 관계에 의거하여, 상기 제 1 채널에 대응하는 DMRS 패턴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제 2 대응 관계는 복수의 캐리어와 복수의 DMRS 패턴의 대응 관계이다.
선택적으로, 해당 복수의 캐리어와 해당 복수의 DMRS 패턴은 일대일, 다 대일 또는 다대다의 대응 관계일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부 구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제 2 대응 관계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미리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구성된다.
일부 구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구성 정보, 상기 제 1 채널이 사용하는 리소스 풀, 상기 제 1 채널이 사용하는 캐리어 및 상기 제 1 채널이 사용하는 파형 중 적어도 하나에 의거하여, 상기 제 1 채널에 대응하는 DMRS 패턴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는 상기 제 1 채널이 사용하는 파형 및 제 3 대응 관계에 의거하여, 상기 제 1 채널에 대응하는 DMRS 패턴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제 3 대응 관계는 복수의 파형과 복수의 DMRS 패턴의 대응 관계이다.
선택적으로, 해당 복수의 파형과 해당 복수의 DMRS 패턴은 일대일, 다대일 또는 다대다의 대응 관계일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부 구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제 3 대응 관계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미리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구성된다.
일부 구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는 제 1 채널에 대응하는 복조 참조 신호(DMRS) 패턴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는 상기 제 1 채널이 사용하는 기본 파라미터 세트에 의거하여, 상기 제 1 채널에 대응하는 DMRS 패턴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구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는 상기 제 1 채널이 사용하는 기본 파라미터 세트에 의거하여, 상기 제 1 채널에 대응하는 DMRS 패턴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는 상기 제 1 채널이 사용하는 기본 파라미터 세트 및 제 4 대응 관계에 의거하여, 상기 제 1 채널에 대응하는 DMRS 패턴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제 4 대응 관계는 복수의 기본 파라미터 세트와 복수의 DMRS 패턴의 대응 관계이다.
일부 구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제 4 대응 관계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미리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구성된다.
일부 구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기본 파라미터 세트는 서브 캐리어 간격 크기 정보, 사이클릭 프레픽스(CP) 유형, CP 길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일부 구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제 1 채널은 물리 사이드링크 공유 채널(PSSCH) 또는 물리 사이드링크 제어 채널(PSCCH)이다.
일부 구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제 1 채널은 물리 사이드링크 공유 채널(PSSCH)이고, 상기 제 1 채널에 대응하는 물리 사이드링크 제어 채널(PSCCH)은 제 2 채널이고,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는 제 1 채널에 대응하는 복조 참조 신호(DMRS) 패턴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는 상기 제 2 채널에 의거하여, 상기 제 1 채널에 대응하는 DMRS 패턴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구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제 2 채널에서 지시 정보가 운반되고, 상기 지시 정보는 제 2 DRMS 패턴을 나타내고,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는 상기 제 2 채널에 의거하여, 상기 제 1 채널에 대응하는 DMRS 패턴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는 상기 지시 정보에 의해 나타내는 상기 제 2 DMRS 패턴을 상기 제 1 채널에 대응하는 DMRS 패턴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구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는 상기 제 2 채널에 의거하여, 상기 제 1 채널에 대응하는 DMRS 패턴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는 상기 제 2 채널에 대응하는 DMRS의 시퀀스, 사이클릭 시프트, 직교 커버링 코드(OCC), 리소스 위치, 루트 시퀀스 중 적어도 하나에 의거하여, 상기 제 1 채널에 대응하는 DMRS 패턴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구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는 상기 제 2 채널에 의거하여, 상기 제 1 채널에 대응하는 DMRS 패턴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는 상기 제 2 채널의 스크램블링 코드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제 1 채널에 대응하는 DMRS 패턴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구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DMRS 패턴은
하나의 시간 유닛에서 DRMS가 점유하는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OFDM) 심볼의 수량,
하나의 시간 유닛에서 DRMS가 점유하는 OFDM 심볼의 위치,
상기 DMRS가 점유하는 하나의 OFDM 심볼에서, 하나의 물리 리소스 블록(PRB)에서 DMRS가 점유하는 리소스 요소(RE)의 수량,
상기 DMRS가 점유하는 하나의 OFDM 심볼에서, 하나의 PRB 내의 DMRS 심볼 사이의 주파수 영역 간격,
상기 DMRS가 점유하는 하나의 OFDM 심볼에서, 상기 하나의 PRB 내의 제 1 서브 캐리어에 대한 하나의 PRB 내의 DMRS 심볼의 오프셋,
상기 DMRS가 점유하는 하나의 OFDM 심볼에서 DMRS의 주파수 영역 위치,
상기 DMRS가 위치하는 OFDM 심볼에서, 상기 DMRS에 의해 점유되지 않은 RE에서 상기 DMRS 이외의 다른 신호의 전송에 사용 가능한지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제 2 양태로서, 차량 인터넷에서 데이터 전송을 위한 방법을 제공하고,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단말기 디바이스가 제 1 채널에 대응하는 복조 참조 신호(DMRS) 패턴을 결정하기 위한 상기 구성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상기 구성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구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구성 정보는 복수의 DMRS 패턴 중의 제 1 DMRS 패턴을 나타낸다.
일부 구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상기 복수의 DRMS 패턴을 구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일부 구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구성 정보는 제 1 대응 관계를 나타내고, 여기서, 상기 제 1 대응 관계는 복수의 리소스 풀과 복수의 DMRS 패턴의 대응 관계이다.
일부 구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구성 정보는 제 2 대응 관계를 나타내고, 여기서, 상기 제 2 대응 관계는 복수의 캐리어와 복수의 DMRS 패턴의 대응 관계이다.
일부 구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구성 정보는 제 3 대응 관계를 나타내고, 여기서, 상기 제 3 대응 관계는 복수의 파형과 복수의 DMRS 패턴의 대응 관계이다.
일부 구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구성 정보는 제 4 대응 관계를 나타내고, 여기서, 상기 제 4 대응 관계는 복수의 기본 파라미터 세트와 복수의 DMRS 패턴의 대응 관계이다.
일부 구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기본 파라미터 세트는 서브 캐리어 간격 크기 정보, 사이클릭 프레픽스(CP) 유형, CP 길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일부 구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제 1 채널은 물리 사이드링크 제어 채널(PSCCH)이다.
일부 구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제 1 채널은 물리 사이드링크 공유 채널(PSSCH)이고, 상기 제 1 채널에 대응하는 물리 사이드링크 제어 채널(PSCCH)은 제 2 채널이다.
일부 구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구성 정보는 상기 제 2 채널에 대응하는 DMRS 시퀀스, 사이클릭 시프트, 직교 커버링 코드(OCC), 리소스 위치, 루트 시퀀스 중 적어도 하나와 DMRS 시퀀스의 대응 관계를 나타낸다.
일부 구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구성 정보는 상기 제 2 채널의 스크램블링 코드 정보와 DMRS 시퀀스의 대응 관계를 나타낸다.
일부 구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구성 정보는 상기 제 2 채널에 대한 마스크 정보와 DMRS 시퀀스의 대응 관계를 나타낸다.
일부 구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DMRS 패턴은
하나의 시간 유닛에서 DRMS가 점유하는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OFDM) 심볼의 수량,
하나의 시간 유닛에서 DRMS가 점유하는 OFDM 심볼의 위치,
상기 DMRS가 점유하는 하나의 OFDM 심볼에서, 하나의 물리 리소스 블록(PRB)에서 DMRS가 점유하는 리소스 요소(RE)의 수량,
상기 DMRS가 점유하는 하나의 OFDM 심볼에서, 하나의 PRB 내의 DMRS 심볼 사이의 주파수 영역 간격,
상기 DMRS가 점유하는 하나의 OFDM 심볼에서, 상기 하나의 PRB 내의 제 1 서브 캐리어에 대한 하나의 PRB 내의 DMRS 심볼의 오프셋,
상기 DMRS가 점유하는 하나의 OFDM 심볼에서 DMRS의 주파수 영역 위치,
상기 DMRS가 위치하는 OFDM 심볼에서, 상기 DMRS에 의해 점유되지 않은 RE에서 상기 DMRS 이외의 다른 신호의 전송에 사용 가능한지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제 3 양태로서, 상기 제 1 양태 또는 제 1 양태의 임의의 가능한 구현 방식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단말기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는 상기 제 1 양태 또는 제 1 양태의 임의의 가능한 구현 방식 중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유닛을 포함한다.
제 4 양태로서, 메모리와 프로세서와 입력 인터페이스와 출력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여기서, 메모리와 프로세서와 입력 인터페이스와 출력 인터페이스는 버스 시스템을 통해 연결된다. 해당 메모리는 명령어를 기억하는데 이용되고, 해당 프로세서는 해당 메모리에 기억된 명령어를 수행하여, 제 1 양태 또는 제 1 양태의 임의의 가능한 구현 방식 중의 방법을 수행하는데 이용된다.
제 5 양태로서, 상기 제 2 양태 또는 제 2 양태의 임의의 가능한 구현 방식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단말기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상기 제 2 양태 또는 제 2 양태의 임의의 가능한 구현 방식 중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유닛을 포함한다.
제 6 양태로서, 메모리와 프로세서와 입력 인터페이스와 출력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여기서, 메모리와 프로세서와 입력 인터페이스와 출력 인터페이스는 버스 시스템을 통해 연결된다. 해당 메모리는 명령어를 기억하는데 이용되고, 해당 프로세서는 해당 메모리에 기억된 명령어를 수행하여, 제 2 양태 또는 제 2 양태의 임의의 가능한 구현 방식 중의 방법을 수행하는데 이용된다.
제 7 양태로서, 상기 제 1 양태 또는 제 1 양태의 임의의 가능한 구현 방식 중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소프트웨어 명령어를 기억하기 위한 컴퓨터 기억 매체를 제공하고, 상기 양태를 수행하도록 설계된 프로그램을 포함한다.
제 8 양태로서, 명령어를 포함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제공하고, 컴퓨터에서 수행되면, 컴퓨터에 상기 제 1 양태 또는 제 1 양태의 임의의 가능한 구현 방식 중의 방법을 수행시킨다.
제 9 양태로서, 상기 제 2 양태 또는 제 2 양태의 임의의 가능한 구현 방식 중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소프트웨어 명령어를 기억하기 위한 컴퓨터 기억 매체를 제공하고, 상기 양태를 수행하도록 설계된 프로그램을 포함한다.
제 10 양태로서, 명령어를 포함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제공하고, 컴퓨터에서 수행되면, 컴퓨터에 상기 제 2 양태 또는 제 2 양태의 임의의 가능한 구현 방식 중의 방법을 수행시킨다.
제 11 양태로서, 상기 제 1 양태 내지 제 2 형태 중 어느 하나의 양태 또는 그 다양한 구현 방식의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칩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해당 칩은 컴퓨터 프로그램을 메모리에서 호출하여 수행하여, 해당 칩이 장착된 디바이스에 상기 제 1 양태 내지 제 2 형태 중 어느 하나의 양태 또는 그 다양한 구현 방식의 방법을 수행시키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응용 시나리오의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차량 인터넷에서 데이터 전송을 위한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차량 인터넷에서 데이터 전송을 위한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단말기 디바이스의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단말기 디바이스의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칩의 블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통신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술적 해결책에 대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술적 해결책은 LTE 시스템, LTE 주파수 분할 듀플렉스(frequency division duplex, FDD) 시스템, LTE 시분할 듀플렉스(time division duplex, TDD), 4.5(4.5 th generation, 4.5G) 세대 네트워크, 5 세대(5 th generation, 5G) 네트워크, 엔알(new radio, NR) 등의 다양한 통신 시스템에 적용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차량 간(vehicle to vehicle, V2V) 시스템 등 차량 사물 통신(vehicle to everything, V2X) 시스템에도 적용 가능하며, 또는, 디바이스투디바이스 통신(device to device, D2D) 시스템에도 적용 가능하며,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단말기 디바이스는 단말기(Terminal), 사용자 디바이스(user equipment, UE), 이동국(mobile station, MS), 이동 단말기(mobile terminal, MT) 등으로 지칭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는 차량용 단말기(vehicle user equipment, VUE), 예를 들어, 차량 또는 무인 주행(self driving)에서의 무선 단말기 등일 수 있거나, 또는,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휴대 전화(mobile phone), 태블릿(Pad), 무선 송수신 기능을 갖는 컴퓨터 등 보행자 휴대 단말기(pedestrian user equipment, PUE)일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단말기 디바이스를 위해 무선 통신 기능을 제공하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에 구성되는 디바이스이다.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다양한 형태의 매크로 기지국, 마이크로 기지국, 중계국, 액세스 포인트 등을 포함할 수 있는 기지국일 수 있다. 상이한 무선 액세스 기술을 사용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기지국 기능을 갖는 디바이스의 명칭은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LTE 네트워크에 있어서 진화형 노드 B(evolved nodeB, eNB 또는 eNodeB)라고 지칭되며, 3 세대(3 rd Generation, 3G) 네트워크에 있어서 노드 B(Node B)로 지칭되는 등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인터넷 시스템의 모식도를 나타낸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다양한 적용 시나리오에 적용 가능하며, 여기서, 차량 인터넷 시스템의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단말기 디바이스를 예로 설명하지만,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기지국(110)일 수 있으며, 단말기 디바이스는 차량(121) 및 차량(122)과 같은 차량용 단말기일 수 있다.
차량 인터넷 시스템에 있어서, 차량 사이는 물리 사이드링크 제어 채널(Physical Sidelink Control Channel, PSCCH)을 통해 제어 정보를 인터렉션하고, 물리 사이드링크 데이터 채널(Physical Sidelink Shared Channel, PSSCH)을 통해 데이터 정보를 인터렉션할 수 있고, DMRS 패턴은 PSCCH 또는 PSSCH에 대한 복조를 위해 사용할 수 있고, 즉, DMRS 패턴은 PSCCH 또는 PSSCH를 복조하여, PSCCH 또는 PSSCH에서 운반되는 제어 정보 또는 데이터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차량 인터넷 시스템에 있어서, 차량이 위치한 환경은 복잡다변하며, 예를 들어, 차량은 고속 시나리오, 또는 교통이 혼잡한 시구 시나리오에 위치할 수 있고, 상이한 시나리오는 DRMS에 대한 요구가 상이하기 때문에, DMRS의 유연한 구성을 어떻게 구현하는지는 연구가 필요한 과제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DMRS의 유연한 구성을 구현할 수 있는 차량 인터넷에서 데이터 전송을 위한 방법을 제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차량 인터넷에서 데이터 전송을 위한 방법(200)의 흐름도이며, 예를 들어, 해당 방법은 도 1에 나타낸 차량용 단말기(121) 또는 차량용 단말기(122) 등의 차량 인터넷 시스템의 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해당 방법(200)은 다음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S210에서, 단말기 디바이스는 제 1 채널에 대응하는 복조 참조 신호(DMRS) 패턴을 결정하고,
단계 S220에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는 상기 DMRS 패턴에 의거하여, 상기 제 1 채널을 복조한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1 채널은 차량 인터넷 시스템에서 제어 채널, 즉 차량 간의 제어 정보 인터렉션에 사용되는 채널, 예를 들어, PSCCH일 수 있거나, 또는 차량 인터넷 시스템의 데이터 채널, 즉 차량 간의 데이터 인터렉션에 사용되는 채널, 예를 들어, PSSCH일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는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구성, 특정 파라미터 또는 특정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제 1 채널을 복조하는데 사용되는 DMRS 패턴(pattern)을 결정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해당 특정 파라미터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위치하는 환경 파라미터 등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는 현재 위치하는 환경이 고속 시나리오인 경우, 조밀하게 분포된 DMRS 패턴을 사용하는 것으로 결정하고, 저속 시나리오인 경우, 희소하게 분포된 DMRS 패턴을 사용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해당 특정 정보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주행 속도 정보 등일 수 있고, 예를 들어, 단말기 디바이스는 현재의 이동 속도가 제 1 속도 임계값보다 큰 경우, 조밀하게 분포된 DMRS 패턴을 사용하는 것으로 결정하거나, 또는 현재의 이동 속도가 제 2 속도 임계값보다 작은 경우, 희소하게 분포된 DMRS 패턴을 사용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고, 한정이 아닌 예로서, 상기 제 1 속도 임계값은 80 km/h일 수 있으며, 상기 제 2 속도 임계값은 30 km/h일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DMRS 패턴은 다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1, 하나의 시간 유닛에서 DRMS가 점유하는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의 수량, 즉, 하나의 시간 유닛에 포함된 DMRS 심볼의 수량이며,
2, 하나의 시간 유닛에서 DRMS가 점유하는 OFDM 심볼의 위치, 즉 하나의 시간 유닛에서 DMRS 심볼이 어느 위치를 차지하는지, 예를 들어, 하나의 서브 프레임 또는 하나의 슬롯에서 몇 번째 OFDM 심볼을 차지하는지이다.
3 상기 DMRS가 점유하는 하나의 OFDM 심볼에서, 하나의 물리 리소스 블록(Physical Resource Block, PRB)에서 DMRS가 점유하는 리소스 요소(RE)의 수량이며,
4, 상기 DMRS가 점유하는 하나의 OFDM 심볼에서, 하나의 PRB 내의 DMRS 심볼 사이의 주파수 영역 간격이며, 예를 들어, 하나의 PRB 내에 3 개의 DMRS 심볼을 포함하고, 각각의 2 개의 DMRS 심볼 사이는 3 개의 리소스 요소(REsource Element, RE)만큼 이격되는 경우, 해당 파라미터는 3 개의 RE를 나타내는데 사용될 수 있으며,
5 상기 DMRS가 점유하는 하나의 OFDM 심볼에서, 상기 하나의 PRB 내의 제 1 서브 캐리어에 대한 하나의 PRB 내의 DMRS 심볼의 오프셋이며, 예를 들어, 하나의 PRB 내에 3 개의 DMRS 심볼을 포함하고, 해당 파라미터는 해당 PRB 내의 제 1 서브 캐리어(즉, 서브 캐리어 0)에 대한 하나의 PRB 내의 제 1 DMRS 심볼의 오프셋을 나타내는데 사용될 수 있다
6, 상기 DMRS가 점유하는 하나의 OFDM 심볼에서, DMRS의 주파수 영역 위치이며, 즉, 하나의 OFDM 심볼에서 DMRS가 어느 주파수 영역 위치를 차지하는지, 예를 들어, 하나의 PRB의 주파수 영역 범위에서, DMRS 심볼은 모든 RE를 점유할 수 있고, 홀수의 RE의 위치를 점유할 수도 있으며, 또는 짝수의 RE의 위치를 점유할 수도 있는 등이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7, 상기 DMRS가 위치하는 OFDM 심볼에서, 상기 DMRS에 의해 점유되지 않은 RE에서 상기 DMRS 이외의 다른 신호의 전송에 사용 가능한지 여부이며, 여기서, DMRS가 위치하는 심볼에서, DMRS는 모든 RE를 차지하지 않을 수 있고, DMRS에 의해 점유되지 않은 RE에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고, 데이터를 전송하지 않을 수도 있으며, 해당 파라미터는 DMRS 심볼에 의해 점유되지 않은 RE에서 다른 신호 예를 들어, PSCCH 또는 PSSCH 등의 전송에 사용할 수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데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시간 유닛은 하나 또는 복수의 서브 프레임, 하나 또는 복수의 슬롯 등일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단계 S210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구성 정보, 상기 제 1 채널이 사용하는 리소스 풀, 상기 제 1 채널이 사용하는 캐리어 및 상기 제 1 채널이 사용하는 파형 중 적어도 하나에 의거하여, 상기 제 1 채널에 대응하는 DMRS 패턴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단말기 디바이스는 상기 어느 정보에 의거하여 제 1 채널에 대응하는 DMRS 패턴을 결정하는지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구성될 수 있고, 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스스로 결정될 수도 있고, 즉, 단말기 디바이스는 제 1 채널이 사용하는 리소스 풀, 캐리어, 또는 파형에 의거하여, 상기 제 1 채널에 대응하는 DMRS 패턴을 스스로 결정할 수 있고,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지시에 기초하여, 제 1 채널이 사용하는 리소스 풀, 캐리어, 또는 파형에 의거하여, 상기 제 1 채널에 대응하는 DMRS 패턴을 결정할 수도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실시예 1 내지 4를 참조하여, 해당 제 1 채널에 대응하는 DMRS 패턴의 결정 방식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 1로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구성에 의거하여, 제 1 채널에 대응하는 DMRS 패턴을 결정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구성 정보, 상기 제 1 채널이 사용하는 리소스 풀, 상기 제 1 채널이 사용하는 캐리어 및 상기 제 1 채널이 사용하는 파형 중 적어도 하나에 의거하여, 상기 제 1 채널에 대응하는 DMRS 패턴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구성 정보는 제 1 DMRS 패턴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는 복수의 DMRS 패턴에서 상기 제 1 DMRS 패턴을 상기 제 1 채널에 대응하는 DRMS 패턴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단말기 디바이스가 현재 위치하는 환경을 획득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단말기 디바이스는 현재 위치하는 지리적 위치 정보를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보고할 수 있으므로,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현재 위치하는 지리적 위치 정보에 의거하여, 네트워크가 구성될 때 해당 지리적 위치의 환경 정보, 예를 들어, 고속 시나리오 또는 시구 시나리오 등을 결정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결정된 해당 환경 정보를 참조하여 단말기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DMRS 패턴을 구성할 수 있거나, 또는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단말기 디바이스의 현재의 이동 속도에 의거하여, 예를 들어, 단말기 디바이스는 현재의 이동 속도 정보를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보고하므로,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단말기 디바이스의 현재의 이동 속도를 단말기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DMRS 패턴으로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 디바이스는 현재의 고속 시나리오에 위치하고, 채널 변화가 빠른 경우,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단말기 디바이스에 시간 영역에서 더 조밀한 DMRS 패턴을 구성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한 보다 정확한 채널 추정 수행에 유리하고, 데이터 수신 성능을 향상시키고, 또한 예를 들어, 단말기 디바이스는 현재의 저속 시나리오에 위치하고, 채널 변화가 느린 경우,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단말기 디바이스에 시간 영역에서 희소하게 분포한 DMRS 패턴을 구성할 수 있고, DMRS의 오버 헤드를 저감시키는데 유리하고,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인터넷에서 데이터 전송을 위한 방법은 수신 성능과 파일럿 오버 헤드의 합리적인 트레이드오프를 구현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복수의 DMRS 패턴이 구성되고, 해당 복수의 DMRS 패턴은 단말기 디바이스에 미리 구성될 수 있고,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구성될 수도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브로드캐스트 메시지 또는 무선 리소스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 시그널링을 통해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복수의 DRMS 패턴을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해당 복수의 DMRS 패턴에서 단말기 디바이스의 제 1 채널에 사용하는 DMRS 패턴으로 제 1 DMRS 패턴을 선택할 수 있고, 또한, 단말기 디바이스에 구성 정보를 송신할 수 있고, 선택적으로,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브로드캐스트 메시지, RRC 시그널링 또는 물리 계층 제어 시그널링 등을 송신하는 방식을 통해 단말기 디바이스에 상기 구성 정보를 송신할 수 있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구성 정보는 상기 복수의 DMRS 패턴에서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선택한 제 1 DMRS 패턴을 나타내는데 사용되고, 예를 들어, 상기 구성 정보는 상기 제 1 DMRS 패턴의 식별 정보(예를 들어, 인덱스)를 직접적으로 나타낼 수 있으며,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는 상기 구성 정보를 수신한 후, 복수의 DMRS 패턴에서 상기 제 1 DMRS 패턴을 취득할 수 있고, 상기 제 1 DMRS 패턴에 의거하여 데이터 전송을 진행할 수 있다.
실시예 2로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는 제 1 채널이 사용하는 리소스 풀에 의거하여, 제 1 채널에 대응하는 DMRS 패턴을 결정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구성 정보, 상기 제 1 채널이 사용하는 리소스 풀, 상기 제 1 채널이 사용하는 캐리어 및 상기 제 1 채널이 사용하는 파형 중 적어도 하나에 의거하여, 상기 제 1 채널에 대응하는 DMRS 패턴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는 상기 제 1 채널이 사용하는 리소스 풀 및 제 1 대응 관계에 의거하여, 상기 제 1 채널에 대응하는 DMRS 패턴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제 1 대응 관계는 복수의 리소스 풀과 복수의 DMRS 패턴의 대응 관계이다.
즉, 해당 실시예 2에 있어서, 복수의 리소스 풀과 복수의 DMRS 패턴은 대응 관계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는 제 1 채널의 전송에 사용되는 리소스 풀에 의거하여 제 1 대응 관계를 결합하여, 대응하는 DMRS 패턴을 결정할 수 있고, 또한, 해당 DMRS 패턴에 의거하여 해당 제 1 채널을 복조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해당 복수의 리소스 풀과 복수의 DMRS 패턴은 일대일, 일대다(예를 들어, 하나의 리소스 풀은 2 개의 DMRS 패턴에 대응함) 또는 다대일(예를 들어, 2 개의 리소스 풀은 하나의 DMRS 패턴에 대응함) 또는 다대다(예를 들어, 2 개의 리소스 풀은 2 개의 DMRS 패턴에 대응함)의 대응 관계일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1 대응 관계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미리 구성될 수 있거나, 또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구성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리소스 풀은 복수의 속도 범위에 대응할 수 있고, 해당 복수의 리소스 풀과 복수의 속도 범위의 대응 관계는 미리 구성될 있거나, 또는 네트워크에 의해 구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는 데이터 전송을 진행할 경우, 현재의 이동 속도에 의거하여 대응하는 속도 범위를 결정할 수 있고, 또한, 복수의 리소스 풀과 복수의 속도 범위의 대응 관계를 결합하여 해당 속도 범위에 대응하는 리소스 풀을 결정할 수 있고, 또한, 상기 제 1 대응 관계를 결합하여 해당 리소스 풀에 대응하는 DMRS 패턴을 결정할 수 있으므로, 해당 DMRS 패턴에 의거하여 데이터 전송을 진행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리소스 풀은 속도 범위와 대응 관계를 가지며, 리소스 풀은 DMRS 패턴과도 대응 관계를 가지며, 이는, 속도 범위와 DMRS 패턴도 대응 관계를 갖는 것과 같다. 이에 의해, 저속 범위에 대응하는 DMRS 패턴은 시간 영역에서 희소하게 분포되는 DMRS 패턴일 수 있으며, 고속 범위에 대응하는 DMRS 패턴은 시간 영역에서 조밀하게 분포되는 DMRS 패턴일 수 있다.
실시예 3으로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는 제 1 채널을 사용하는 캐리어에 의거하여, 상기 제 1 채널에 대응하는 DMRS 패턴을 결정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구성 정보, 상기 제 1 채널이 사용하는 리소스 풀, 상기 제 1 채널이 사용하는 캐리어 및 상기 제 1 채널이 사용하는 파형 중 적어도 하나에 의거하여, 상기 제 1 채널에 대응하는 DMRS 패턴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는 상기 제 1 채널이 사용하는 캐리어 및 제 2 대응 관계에 의거하여, 상기 제 1 채널에 대응하는 DMRS 패턴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제 2 대응 관계는 복수의 캐리어와 복수의 DMRS 패턴의 대응 관계이다.
즉, 해당 실시예 3에 있어서, 복수의 캐리어와 복수의 DMRS 패턴은 대응 관계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는 제 1 채널을 전송하는데 사용되는 캐리어에 의거하여, 해당 제 2 대응 관계와 결합하여 해당 DMRS 패턴을 결정할 수 있고, 또한, 해당 DMRS 패턴에 의거하여 해당 제 1 채널을 복조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복수의 캐리어와 복수의 DMRS 패턴은 일대일, 일대다(예를 들어, 하나의 캐리어는 2 개의 DMRS 패턴에 대응함) 또는 다대일(예를 들어, 2 개의 캐리어는 하나의 DMRS 패턴에 대응함) 또는 다대다(예를 들어, 2 개의 캐리어는 2 개의 DMRS 패턴에 대응함)의 대응 관계일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차량 인터넷 시스템에 있어서, 단말기 디바이스는 복수의 캐리어를 지원할 수 있고 각각의 캐리어는 각각의 DMRS 패턴에 대응할 수 있고, 예를 들어, 하위 호환 Rel-14 또는 Rel-15의 단말기 디바이스의 경우, Rel-14 또는 Rel-15을 지원하는 캐리어에 채용되는 DMRS 패턴은 기존의 Rel-14의 DMRS 패턴이며, 다른 캐리어는 다른 DMRS 패턴을 사용할 수 있고, 구체적인 구현에서, 캐리어와 DMRS의 대응 관계는 미리 설정되거나 또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구성되는 방식으로 결정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예 4로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는 제 1 채널을 사용하는 파형에 의거하여, 상기 제 1 채널에 대응하는 DMRS 패턴을 결정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구성 정보, 상기 제 1 채널이 사용하는 리소스 풀, 상기 제 1 채널이 사용하는 캐리어 및 상기 제 1 채널이 사용하는 파형 중 적어도 하나에 의거하여, 상기 제 1 채널에 대응하는 DMRS 패턴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는 상기 제 1 채널이 사용하는 파형 및 제 3 대응 관계에 의거하여, 상기 제 1 채널에 대응하는 DMRS 패턴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제 3 대응 관계는 복수의 파형과 복수의 DMRS 패턴의 대응 관계이다.
즉, 해당 실시예 4에 있어서, 복수의 파형과 복수의 DMRS 패턴은 대응 관계를 가질 수 있고,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는 상기 제 1 채널을 전송하는데 사용되는 파형에 의거하여, 상기 제 3 대응 관계와 결합하여 해당 DMRS 패턴을 결정할 수 있고, 또한, 해당 DMRS 패턴에 의거하여 상기 제 1 채널을 복조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복수의 파형과 복수의 DMRS 패턴은 일대일, 일대다(예를 들어, 하나의 파형은 2 개의 DMRS 패턴에 대응함) 또는 다대일(예를 들어, 2 개의 파형은 하나의 DMRS 패턴에 대응함) 또는 다대다(예를 들어, 2 개의 파형은 2 개의 DMRS 패턴에 대응함)의 대응 관계일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차량 인터넷 시스템에 있어서, 단말기 디바이스는 대응하는 DMRS 패턴에 대응할 수 있는 복수의 파형을 지원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단말기 디바이스는 사이클릭 프레픽스 OFDM(CP-OFDM) 파형 및 이산 푸리에 변환(DFT-OFDM) 파형을 포함한 두 가지 파형을 지원하며, 여기서, CP-OFDM 파형 및 DFT-OFDM 파형은 상이한 DMRS 패턴에 각각 대응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어느 DMRS 패턴을 사용하는지는 상이한 파형의 특성에 의해 결정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DFT-OFDM 파형에 대하여, 그 단일 캐리어의 특성을 유지하기 위해, 대응하는 DMRS 패턴의 DMRS 심볼 및 데이터 심볼은 시분할 다중화(TDM)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또한, 예를 들어, CP-OFDM 파형에 대해, 그 리소스 할당의 유연성을 유지하기 위해, 대응하는 DMRS 패턴의 DMRS 심볼은 데이터 채널에 이산적으로 임베디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3 대응 관계도 제 1 대응 관계 및 제 2 대응 관계와 마찬가지로, 단말기 디바이스에 미리 구성될 수 있거나, 또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구성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예 5로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는 상기 제 1 채널이 사용하는 기본 파라미터 세트에 의거하여, 상기 제 1 채널에 대응하는 DMRS 패턴을 결정한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로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는 제 1 채널에 대응하는 복조 참조 신호(DMRS) 패턴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는 상기 제 1 채널이 사용하는 기본 파라미터 세트에 의거하여, 상기 제 1 채널에 대응하는 DMRS 패턴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해당 실시예 5에 있어서, 복수의 기본 파라미터 세트와 복수의 DMRS 패턴은 대응 관계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는 상기 제 1 채널을 전송하는데 사용되는 기본 파라미터 세트에 의거하여, 상기 제 4 대응 관계와 결합하여 대응하는 DMRS 패턴을 결정할 수 있고, 또한, 해당 DMRS 패턴에 의거하여 해당 제 1 채널을 복조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복수의 기본 파라미터 세트와 복수의 DMRS 패턴은 일대일, 일대다(예를 들어, 하나의 기본 파라미터 세트는 2 개의 DMRS 패턴에 대응함) 또는 다대일(예를 들어, 2 개의 기본 파라미터 세트는 하나의 DMRS 패턴에 대응함) 또는 다대다(예를 들어, 2 개의 기본 파라미터 세트는 2 개의 DMRS 패턴에 대응함)의 대응 관계일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한정적이 아닌 예로서, 해당 기본 파라미터 세트는 서브 캐리어 간격 크기 정보, 사이클릭 프레픽스(Cyclic PREfix, CP) 유형 및 CP 길이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데이터 전송을 위한 다른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도 있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차량 인터넷 시스템에 있어서, 단말기 디바이스는 각각 대응하는 DMRS 패턴에 대응할 수 있는 다양한 서브 캐리어 간격(예를 들어, 15 kHz, 130 kHz, 60 kHz 및 120 kHz)을 지원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단말기 디바이스는 해당 제 1 채널에 사용하는 서브 캐리어 간격에 의거하여, 대응하는 DMRS 패턴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단말기 디바이스는 노멀 CP 및 확장 CP와 같은 상이한 CP 유형을 지원할 수 있고, 상이한 CP 유형은 상이한 DMRS 패턴에 대응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단말기 디바이스는 해당 제 1 채널에서 사용되는 CP 유형에 의거하여, 대응하는 DMRS 패턴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상이한 CP 길이는 대응하는 DMRS 패턴에 대응할 수 있고, 이와 같이, 단말기 디바이스는 해당 제 1 채널에서 사용하는 CP의 길이에 의거하여, 대응하는 DMRS 패턴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에서 해당 제 1 채널의 기본 파라미터 세트, 예를 들어, 서브 캐리어 간격, CP 유형 또는 CP 길이 등을 통해, 해당 DMRS 패턴을 간접적으로 나타내는 방식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는 해당 제 1 채널이 전송되는데 사용되는 다른 파라미터, 예를 들어, 제 1 채널이 점유하는 시간 영역 심볼의 개수, 제 1 채널이 존재하는 서브 프레임 또는 타임 슬롯이 점유하는 시간 영역 심볼의 수량 등에 의거하여, 해당 DMRS 패턴을 결정할 수 있다.
해당 제 4 대응 관계도 상기 제 1 대응 관계, 제 2 대응 관계 및 제 3 대응 관계와 마찬가지로, 단말기 디바이스에 미리 구성될 수 있고,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구성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해당 제 1 대응 관계, 제 2 대응 관계, 제 3 대응 관계 및 제 4 대응 관계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구성되는 경우, 해당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해당 제 1 대응 관계, 제 2 대응 관계, 제 3 대응 관계 및 제 4 대응 관계를 동일한 구성 정보에 의해 구성할 수 있거나, 또는 해당 제 1 대응 관계, 제 2 대응 관계, 상기 제 3 대응 관계 및 제 4 대응 관계를 복수의 구성 정보에 의해 구성할 수도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PSCCH 또는 PSSCH는 모두 상기 실시예 1 내지 4에서 기술한 방식을 통해 대응하는 DMRS 패턴을 결정할 수 있거나, 또는 실시예 1 내지 4에서의 적어도 2 가지 방식을 종합하여 대응하는 DMRS 패턴을 결정할 수도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단말기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구성 정보를 수신한 경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구성 정보에 의해 나타나는 DMRS 패턴에 의거하여 데이터 전송을 우선할 수 있거나, 또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구성 정보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 상기 제 1 채널이 사용하는 리소스 풀, 캐리어 및 파형 중 적어도 하나에 의거하여, 상기 제 1 채널에 대응하는 DMRS 패턴을 결정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는 리소스 풀, 캐리어 및 파형 중 적어도 2 개와 DMRS 시퀀스의 대응 관계가 더 구성될 수 있으며, 따라서, 단말기 디바이스는 상기 제 1 채널이 사용하는 리소스 풀, 캐리어 및 파형 중 적어도 2 개 이상과 상기 대응 관계에 의거하여, 제 1 채널에 대응하는 DMRS 시퀀스를 결정할 수 있으며, 구체적인 구현 방식은 상기 실시예에 관련된 설명을 참조할 수 있으며, 여기서 설명이 생략된다.
예를 들어, CP-OFDM 및 DFT-OFDM의 두 가지 파형에 대응하는 DMRS 패턴을 미리 구성하거나, 또는 네트워크 구성의 방식에 의해 구성하고, 각각의 파형에 있어서, 상이한 리소스 풀은 상이한 DRMS 패턴에 대응할 수도 있고, 이를 통해,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는 채널이 사용하는 파형 및 사용하는 리소스 풀을 결합하여, 해당 채널이 사용하는 타겟 DRMS 패턴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응 관계는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을 수 있다.
Figure pct00001
예를 들어, 제 1 채널에서 사용되는 파형은 DFT-OFDM이며, 사용되는 리소스 풀은 제 3 리소스 풀인 경우, 표 1을 참조하면, 단말기 디바이스는 제 1 채널에서 사용하는 타겟 DMRS 패턴을 제 3 DMRS 패턴으로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인터넷에서 데이터 전송을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구성, 제 1 채널의 전송이 사용하는 리소스 풀, 캐리어 및 파형 중 적어도 하나에 의거하여, 제 1 채널에 대응하는 DMRS 패턴을 결정하고, 이를 통해 DMRS 패턴의 유연한 구성을 구현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일부 시나리오에 있어서, PSCCH에 대응하는 DMRS 패턴은 미리 결정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상기 실시예 1 내지 5에 기재된 방식에 의거하여 결정될 수 있고,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는 PSSCH에 대응하는 PSCCH에 의거하여 해당 PSSCH에 대응하는 DMRS 시퀀스를 결정할 수 있다. 이하, PSCCH에 의거하여 PSSCH에 대응하는 DMRS 시퀀스를 결정하는 구체적인 구현 방식에 관해, 실시예 6 내지 9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 6으로서, PSCCH의 지시 정보에 의해 PSSCH에 대응하는 DMRS 시퀀스를 명시적으로 지시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PSCCH는 PSSCH에 대응하는 DMRS 패턴을 나타내는 지시 정보를 운반할 수 있으며,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는 PSCCH를 수신한 경우, PSCCH에 대응하는 DMRS 패턴에 의거하여 해당 PSCCH를 복조하고, 해당 PSCCH에 포함된 지시 정보를 취득할 수 있고, 또한, 상기 지시 정보가 나타낸는 DMRS 패턴은 상기 PSSCH에 대응하는 DMRS 패턴인 것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는 PSSCH에 대응하는 DMRS 패턴인 복수의 DMRS 패턴이 구성될 수 있고, 단말기 디바이스는 PSCCH를 통해 지시 정보를 운반하여, PSSCH가 사용하는 DRMS 패턴을 지시할 수 있고, 선택적으로, 해당 지시 정보는 K 비트의 지시 정보일 수 있고, 구체적인 길이는 복수의 DMRS 패턴의 수량에 의해 결정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예 7로서, PSCCH의 DMRS 의해 PSSCH에 대응하는 DMRS 시퀀스를 암시적으로 나타낸다.
해당 실시예 7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는 PSCCH의 DMRS 의해 PSSCH에 대응하는 DMRS 패턴을 간접적으로 나타낼 수 있고, 선택적으로, 상기 PSCCH의 DMRS 시퀀스, 사이클릭 시프트, 직교 커버링 코드(Orthogonal Cover Code, OCC), 리소스 위치, 루트 시퀀스(root Sequence)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PSSCH의 DMRS 패턴과 제 5 대응 관계를 가질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는 PSCCH가 사용하는 DMRS 시퀀스, 사이클릭 시프트, 직교 커버링 코드(Orthogonal Cover Code, OCC), 리소스 위치, 루트 시퀀스(root Sequence) 중 적어도 하나에 의거하여, 상기 제 5 대응 관계를 참조하여 상기 PSSCH에 사용되는 DMRS 시퀀스를 결정할 수 있으며, 구체적인 구현 방법은 실시예 2-5에서 설명된 구현 방식과 유사하며, 여기서 설명이 생략된다. 여기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PSCCH가 사용하는 DMRS 시퀀스, 사이클릭 시프트, 직교 커버링 코드(Orthogonal Cover Code, OCC), 리소스 위치, 루트 시퀀스(root Sequence)는 네트워크에 의해 구성될 수 있거나, 또는 상기 단말기가 스스로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제 5 대응 관계는 단말기 디바이스에 미리 구성될 수 있거나, 또는 네트워크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실시예 8로서, PSCCH의 스크램블링 코드 정보는 PSSCH에 대응하는 DMRS 패턴을 암시적으로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단말기 디바이스는 PSCCH의 정보 비트에 대해 스크램블 처리를 진행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단말기 디바이스는 PSCCH에 대응하는 DMRS 패턴을 상이한 스크램블링 코드 정보(또는 스크램블링 코드 시퀀스)를 통해 암시적으로 나타낼 수 있고, 선택적으로, 상기 PSCCH의 스크램블링 코드 정보는 PSSCH의 DMRS 패턴과 제 6 대응 관계를 가질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는 PSCCH의 스크램블링 코드 정보에 의거하여, 제 6 대응 관계를 참조하여 PSSCH에 사용되는 DMRS 패턴을 결정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는 해당 DMRS 패턴에 의거하여 데이터 전송을 진행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PSCCH에 사용되는 스크램블링 코드 정보(또는 스크램블링 코드 시퀀스)는 네트워크에 의해 구성될 수 있고, 상기 단말기가 스스로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제 6 대응 관계는 단말기 디바이스에 미리 구성될 수 있고, 네트워크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PSCCH의 스크램블링 코드 정보는 무선 네트워크 임시 식별자(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ty, RNTI)에 의해 결정될 수 있고, 여기서, RNTI는 예를 들어, 셀 무선 네트워크 임시 식별자(Cell 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 C-RNTI) 또는 페이징 RNTI(Paging RNTI P-RNTI)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예 9로서, PSCCH의 마스크 정보는 PSSCH에 대응하는 DMRS 패턴을 암시적으로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PSCCH의 정보 비트를 스크램블링 처리한 후, 마스크 처리를 더 진행할 수 있기 때문에, 단말기 디바이스는 PSSCH에 대응하는 DMRS 패턴을 상이한 마스크 정보(또는 마스크 시퀀스)를 통해 암시적으로 나타낼 수 있고, 선택적으로, PSCCH의 마스크 정보는 PSSCH의 DMRS 패턴과 제 7 대응 관계를 가질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는 PSCCH의 마스크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제 7 대응 관계를 참조하여 PSSCH에 사용되는 DMRS 패턴을 결정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는 해당 DMRS 패턴에 의거하여 데이터 전송을 진행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PSCCH가 사용하는 마스크 정보(또는 마스크 시퀀스)는 네트워크에 의해 구성될 수 있거나, 또는 단말기가 스스로 선택할 수 있다. 제 7 대응 관계는 단말기 디바이스에 미리 구성될 수 있거나, 또는 네트워크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이상,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는 실시예 1 내지 5에 기재된 방식에 의거하여, PSCCH에 대응하는 DMRS 패턴을 결정할 수 있는 동시에, 실시예 1 내지 5에 기재된 방식에 의거하여, PSSCH에 대응하는 DMRS 패턴을 결정하는 수 있거나, 또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는 실시예 1 내지 5에 기재된 방식에 의거하여, PSCCH에 대응하는 DMRS 패턴을 결정할 수 있는 동시에, 실시예 6 내지 9에 기재된 방식에 의거하여, PSSCH에 대응하는 DMRS 패턴을 결정할 수 있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상,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전송 방법에 대해 단말기 디바이스의 관점에서 자세히 설명하였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전송 방법에 대해 3을 참조하여 네트워크 디바이스 관점에서 자세히 설명한다. 또한, 네트워크 디바이스 측의 설명과 단말기 디바이스 측의 설명은 서로 대응되고, 유사한 설명은 상기를 참조할 수 있는 것을 이해하여야 하며, 중복을 피하기 위해, 여기서 설명을 생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전송 방법(300)의 흐름도이며,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해당 데이터 전송 방법(300)은 도 1에 나타내는 차량 인터넷 시스템의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될 수 있고, 해당 방법(300)은 다음을 포함하고,
단계 S310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단말기 디바이스가 제 1 채널에 대응하는 복조 참조 신호(DMRS) 패턴을 결정하기 위한 구성 정보를 결정하고,
단계 S320에서,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상기 구성 정보를 송신한다.
선택적으로,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구성 정보는 복수의 DMRS 패턴 중의 제 1 DMRS 패턴을 나타낸다.
선택적으로,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상기 복수의 DRMS 패턴을 구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구성 정보는 제 1 대응 관계를 나타내고, 여기서, 상기 제 1 대응 관계는 복수의 리소스 풀과 복수의 DMRS 패턴의 대응 관계이다.
선택적으로,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구성 정보는 제 2 대응 관계를 나타내고, 여기서, 상기 제 2 대응 관계는 복수의 캐리어와 복수의 DMRS 패턴의 대응 관계이다.
선택적으로,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구성 정보는 제 3 대응 관계를 나타내고, 여기서, 상기 제 3 대응 관계는 복수의 파형과 복수의 DMRS 패턴의 대응 관계이다.
선택적으로,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구성 정보는 제 4 대응 관계를 나타내고, 여기서, 상기 제 4 대응 관계는 복수의 기본 파라미터 세트와 복수의 DMRS 패턴의 대응 관계이다.
선택적으로,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기본 파라미터 세트는 서브 캐리어 간격 크기 정보, 사이클릭 프레픽스(CP) 유형, CP 길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1 채널은 물리 사이드링크 제어 채널(PSCCH)이다.
선택적으로,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1 채널은 물리 사이드링크 공유 채널(PSSCH)이고, 상기 제 1 채널에 대응하는 물리 사이드링크 제어 채널(PSCCH)은 제 2 채널이다.
선택적으로,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구성 정보는 상기 제 2 채널에 대응하는 DMRS 시퀀스, 사이클릭 시프트, 직교 커버링 코드(OCC), 리소스 위치, 루트 시퀀스 중 적어도 하나와 DMRS 시퀀스의 대응 관계를 나타낸다.
선택적으로,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구성 정보는 상기 제 2 채널의 스크램블링 코드 정보와 DMRS 시퀀스의 대응 관계를 나타낸다.
선택적으로,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구성 정보는 상기 제 2 채널의 마스크 정보와 DMRS 시퀀스의 대응 관계를 나타낸다.
선택적으로,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DMRS 패턴은
하나의 시간 유닛에서 DRMS가 점유하는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OFDM) 심볼의 수량,
하나의 시간 유닛에서 DRMS가 점유하는 OFDM 심볼의 위치,
상기 DMRS가 점유하는 하나의 OFDM 심볼에서, 하나의 물리 리소스 블록(PRB)에서 DMRS가 점유하는 리소스 요소(RE)의 수량,
상기 DMRS가 점유하는 하나의 OFDM 심볼에서, 하나의 PRB 내의 DMRS 심볼 사이의 주파수 영역 간격,
상기 DMRS가 점유하는 하나의 OFDM 심볼에서, 상기 하나의 PRB 내의 제 1 서브 캐리어에 대한 하나의 PRB 내의 DMRS 심볼의 오프셋,
상기 DMRS가 점유하는 하나의 OFDM 심볼에서 DMRS의 주파수 영역 위치,
상기 DMRS가 위치하는 OFDM 심볼에서, 상기 DMRS에 의해 점유되지 않은 RE에서 상기 DMRS 이외의 다른 신호의 전송에 사용 가능한지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방법의 실시예는 도 2 및 도 3를 참조하여 상기에서 상세히 설명되었고, 본 발명의 장치의 실시예는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다음에서 자세히 설명되고, 장치 실시예와 방법 실시예는 서로 대응되고, 유사한 설명은 방법의 실시예를 참조할 수 있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디바이스(400)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400)는 결정 모듈(410) 및 복조 모듈(420)을 포함하고,
결정 모듈(410)은 제 1 채널에 대응하는 복조 참조 신호(DMRS) 패턴을 결정하도록 구성되고,
복조 모듈(420)은 상기 DMRS 패턴에 의거하여 상기 제 1 채널을 복조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결정 모듈(410)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구성 정보, 상기 제 1 채널이 사용하는 리소스 풀, 상기 제 1 채널이 사용하는 캐리어 및 상기 제 1 채널이 사용하는 파형 중 적어도 하나에 의거하여, 상기 제 1 채널에 대응하는 DMRS 패턴을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결정 모듈(410)은 구체적으로,
상기 구성 정보는 제 1 DMRS 패턴을 나타내는 경우, 복수의 DMRS 패턴에서 상기 제 1 DMRS 패턴을 상기 제 1 채널에 대응하는 DRMS 패턴으로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DMRS 패턴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미리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결정 모듈(410)은 구체적으로,
상기 제 1 채널이 사용하는 리소스 풀 및 제 1 대응 관계에 의거하여, 상기 제 1 채널에 대응하는 DMRS 패턴을 결정하도록 구성되고, 여기서, 상기 제 1 대응 관계는 복수의 리소스 풀과 복수의 DMRS 패턴의 대응 관계이다.
선택적으로,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리소스 풀은 복수의 속도 범위에 각각 대응하고, 상기 결정 모듈(410)은 또한
현재의 이동 속도에 의거하여 대응하는 타겟 리소스 풀을 결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타겟 리소스 풀은 상기 제 1 채널이 사용하는 리소스 풀이다.
선택적으로,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1 대응 관계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미리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결정 모듈(410)은 구체적으로,
상기 제 1 채널이 사용하는 캐리어 및 제 2 대응 관계에 의거하여, 상기 제 1 채널에 대응하는 DMRS 패턴을 결정하도록 구성되고, 여기서, 상기 제 2 대응 관계는 복수의 캐리어와 복수의 DMRS 패턴의 대응 관계이다.
선택적으로,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2 대응 관계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미리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결정 모듈(410)은 구체적으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는 상기 제 1 채널이 사용하는 파형 및 제 3 대응 관계에 의거하여, 상기 제 1 채널에 대응하는 DMRS 패턴을 결정하도록 구성되고, 여기서, 상기 제 3 대응 관계 복수의 파형과 복수의 DMRS 패턴의 대응 관계이다.
선택적으로,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3 대응 관계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미리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결정 모듈은 또한 상기 제 1 채널이 사용하는 기본 파라미터 세트에 의거하여, 상기 제 1 채널에 대응하는 DMRS 패턴을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결정 모듈(410)은 구체적으로,
상기 제 1 채널이 사용하는 기본 파라미터 세트 및 제 4 대응 관계에 의거하여, 상기 제 1 채널에 대응하는 DMRS 패턴을 결정하도록 구성되고, 여기서, 상기 제 4 대응 관계는 복수의 기본 파라미터 세트와 복수의 DMRS 패턴의 대응 관계이다.
선택적으로,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4 대응 관계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미리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기본 파라미터 세트는 서브 캐리어 간격 크기 정보, 사이클릭 프레픽스(CP) 유형, CP 길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1 채널은 물리 사이드링크 공유 채널(PSSCH) 또는 물리 사이드링크 제어 채널(PSCCH)이다.
선택적으로,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1 채널은 물리 사이드링크 공유 채널(PSSCH)이고, 상기 제 1 채널에 대응하는 물리 사이드링크 제어 채널(PSCCH)은 제 2 채널이고, 상기 결정 모듈(410)은
상기 제 2 채널에 의거하여 상기 제 1 채널에 대응하는 DMRS 패턴을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2 채널에서 지시 정보가 운반되고, 상기 지시 정보는 제 2 DRMS 패턴을 나타내고, 상기 결정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지시 정보에 의해 나타내는 상기 제 2 DMRS 패턴을 상기 제 1 채널에 대응하는 DMRS 패턴으로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결정 모듈(410)은 구체적으로,
상기 제 2 채널에 대응하는 DMRS의 시퀀스, 사이클릭 시프트, 직교 커버링 코드(OCC), 리소스 위치, 루트 시퀀스 중 적어도 하나에 의거하여, 상기 제 1 채널에 대응하는 DMRS 패턴을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결정 모듈(410)은 구체적으로,
상기 제 2 채널의 스크램블링 코드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제 1 채널에 대응하는 DMRS 패턴을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결정 모듈(410)은 구체적으로,
상기 제 2 채널의 마스크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제 1 채널에 대응하는 DMRS 패턴을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DMRS 패턴은
하나의 시간 유닛에서 DRMS가 점유하는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OFDM) 심볼의 수량,
하나의 시간 유닛에서 DRMS가 점유하는 OFDM 심볼의 위치,
상기 DMRS가 점유하는 하나의 OFDM 심볼에서, 하나의 물리 리소스 블록(PRB)에서 DMRS가 점유하는 리소스 요소(RE)의 수량,
상기 DMRS가 점유하는 하나의 OFDM 심볼에서, 하나의 PRB 내의 DMRS 심볼 사이의 주파수 영역 간격,
상기 DMRS가 점유하는 하나의 OFDM 심볼에서, 상기 하나의 PRB 내의 제 1 서브 캐리어에 대한 하나의 PRB 내의 DMRS 심볼의 오프셋,
상기 DMRS가 점유하는 하나의 OFDM 심볼에서 DMRS의 주파수 영역 위치,
상기 DMRS가 위치하는 OFDM 심볼에서, 상기 DMRS에 의해 점유되지 않은 RE에서 상기 DMRS 이외의 다른 신호의 전송에 사용 가능한지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디바이스(40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디바이스에 대응할 수 있고, 단말기 디바이스(400)의 각각의 유닛의 상기 및 다른 동작 및 기능 중 적어도 하나는 도 2에 나타낸 방법(200)에서 단말기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프로세스를 각각 구현하기 위한 것이고, 간결을 위해, 여기서 설명을 생략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블록도이다. 도 5의 네트워크 디바이스(500)는 결정 모듈(510)과 통신 모듈(520)을 포함하고,
결정 모듈(510)은 단말기 디바이스가 제 1 채널에 대응하는 복조 참조 신호(DMRS) 패턴을 결정하기 위한 구성 정보를 결정하도록 구성되고,
통신 모듈(520)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상기 구성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구성 정보는 복수의 DMRS 패턴 중의 제 1 DMRS 패턴을 나타낸다.
선택적으로,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통신 모듈(520)은 또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상기 복수의 DRMS 패턴을 구성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구성 정보는 제 1 대응 관계를 나타내고, 여기서, 상기 제 1 대응 관계는 복수의 리소스 풀과 복수의 DMRS 패턴의 대응 관계이다.
선택적으로,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구성 정보는 제 2 대응 관계를 나타내고, 여기서, 상기 제 2 대응 관계는 복수의 캐리어와 복수의 DMRS 패턴의 대응 관계이다.
선택적으로,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구성 정보는 제 3 대응 관계를 나타내고, 여기서, 상기 제 3 대응 관계는 복수의 파형과 복수의 DMRS 패턴의 대응 관계이다.
선택적으로,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구성 정보는 제 4 대응 관계를 나타내고, 여기서, 상기 제 4 대응 관계는 복수의 기본 파라미터 세트와 복수의 DMRS 패턴의 대응 관계이다.
선택적으로,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기본 파라미터 세트는 서브 캐리어 간격 크기 정보, 사이클릭 프레픽스(CP) 유형, CP 길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1 채널은 물리 사이드링크 제어 채널(PSCCH)이다.
선택적으로,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1 채널은 물리 사이드링크 공유 채널(PSSCH)이고, 상기 제 1 채널에 대응하는 물리 사이드링크 제어 채널(PSCCH)은 제 2 채널이다.
선택적으로,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구성 정보는 상기 제 2 채널에 대응하는 DMRS 시퀀스, 사이클릭 시프트, 직교 커버링 코드(OCC), 리소스 위치, 루트 시퀀스 중 적어도 하나와 DMRS 시퀀스의 대응 관계를 나타낸다.
선택적으로,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구성 정보는 상기 제 2 채널의 스크램블링 코드 정보와 DMRS 시퀀스의 대응 관계를 나타낸다.
선택적으로,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구성 정보는 상기 제 2 채널의 마스크 정보와 DMRS 시퀀스의 대응 관계를 나타낸다.
선택적으로,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DMRS 패턴은
하나의 시간 유닛에서 DRMS가 점유하는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OFDM) 심볼의 수량,
하나의 시간 유닛에서 DRMS가 점유하는 OFDM 심볼의 위치,
상기 DMRS가 점유하는 하나의 OFDM 심볼에서, 하나의 물리 리소스 블록(PRB)에서 DMRS가 점유하는 리소스 요소(RE)의 수량,
상기 DMRS가 점유하는 하나의 OFDM 심볼에서, 하나의 PRB 내의 DMRS 심볼 사이의 주파수 영역 간격,
상기 DMRS가 점유하는 하나의 OFDM 심볼에서, 상기 하나의 PRB 내의 제 1 서브 캐리어에 대한 하나의 PRB 내의 DMRS 심볼의 오프셋,
상기 DMRS가 점유하는 하나의 OFDM 심볼에서 DMRS의 주파수 영역 위치,
상기 DMRS가 위치하는 OFDM 심볼에서, 상기 DMRS에 의해 점유되지 않은 RE에서 상기 DMRS 이외의 다른 신호의 전송에 사용 가능한지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해당 네트워크 디바이스(500)는 상기 방법(300)에 기재된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대응(예를 들어, 구성되거나 또는 그 자체일 수 있음)할 수 있으며, 또한, 해당 네트워크 디바이스(500)의 각각의 모듈 또는 유닛은 각각 상기 방법(300)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각각의 동작 또는 처리 과정을 수행하는데 사용되고, 중복을 피하기 위해, 여기서 설명을 생략한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는 도 2의 방법(200)에 대응하는 단말기 디바이스의 콘텐츠를 수행하는데 이용될 수 있는 도 4의 단말기 디바이스(400)일 수 있는 단말기 디바이스(600)을 더 제공한다.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600)는 입력 인터페이스(610), 출력 인터페이스(620), 프로세서(630) 및 메모리(640)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610), 출력 인터페이스(620), 프로세서(630) 및 메모리(640)는 버스 시스템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640)는 프로그램, 명령어 또는 코드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기억하는데 이용된다. 상기 프로세서(630)는 상기 메모리(640)의 프로그램, 명령어, 또는 코드를 수행하여, 입력 인터페이스(610)를 제어하여 신호를 수신하고, 출력 인터페이스(620)를 제어하여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방법의 실시예의 동작을 완료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프로세서(630)는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로 약칭함)일 수 있고, 다른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주문형 집적 회로(ASIC),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PGA) 또는 다른 프로그래머블 논리 디바이스, 개별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로직 디바이스, 개별 하드웨어 구성 요소 등일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한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일 수 있고, 또는 상기 프로세서는 임의의 종래의 프로세서 등일 수 있다.
메모리(640)는 읽기 전용 메모리 및 랜덤 액세스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고, 프로세서(630)에 명령어와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메모리(640)의 일부는 비 휘발성 랜덤 액세스 메모리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640)는 디바이스 유형의 정보를 더 기억할 수 있다.
구현 과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의 각 콘텐츠는 프로세서(630)의 하드웨어의 통합 논리 회로 또는 소프트웨어 형태의 명령어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련하여 개시되는 방법의 내용은 하드웨어 프로세서의 수행에 의해 직접 완료되거나, 또는 프로세서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모듈의 조합으로 수행되는 것에 의해 완료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랜덤 액세스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읽기 전용 메모리, 프로그래머블 읽기 전용 메모리 또는 전기적 소거 가능한 프로그래머블 메모리, 레지스터 등의 해당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기억 매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기억 매체는 메모리(640)에 위치될 수 있으며, 프로세서(630)는 메모리(640)의 정보를 독출하고, 하드웨어와 함께 상술한 방법의 내용을 완료한다. 중복을 피하기 위해, 여기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일 구체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도 4의 디바이스(400)에 포함된 결정 모듈(410)은 도 6의 프로세서(630)에 의해 구현될 수 있고, 도 4의 단말기 디바이스(400)에 포함된 복조 모듈(420)은 도 6의 입력 인터페이스(610) 및 출력 인터페이스(62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는 도 3의 방법(300)에 대응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콘텐츠를 수행하는데 이용될 수 있는 도 5의 네트워크 디바이스(500)일 수 있는 네크워크 디바이스(700)를 더 제공한다. 상기 네크워크 디바이스700)는 입력 인터페이스(710), 출력 인터페이스(720), 프로세서(730) 및 메모리(740)를 포함하고, 입력 인터페이스(710), 출력 인터페이스(720), 프로세서(730) 및 메모리(740)는 버스 시스템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740)는 프로그램, 명령어 또는 코드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기억하는데 이용된다. 상기 프로세서(730) 메모리(740)의 프로그램, 명령어, 또는 코드를 수행하고, 입력 인터페이스(710)을 제어하여 신호를 수신하고, 출력 인터페이스(720)을 제어하여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방법의 실시예의 동작을 완료한다.
프로세서(73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로 약칭함)일 수 있고, 다른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주문형 집적 회로(ASIC),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PGA) 또는 다른 프로그래머블 논리 디바이스, 개별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로직 디바이스, 개별 하드웨어 구성 요소 등일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일 수 있고, 상기 프로세서는 임의의 종래의 프로세서 등일 수 있다.
메모리(740)는 읽기 전용 메모리 및 랜덤 액세스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고, 프로세서(730)에 명령어 및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메모리(740)의 일부는 비 휘발성 랜덤 액세스 메모리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740)는 디바이스 유형의 정보를 더 기억할 수도 있다.
구현 과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의 각 콘텐츠는 프로세서(730)의 하드웨어의 통합 논리 회로 또는 소프트웨어 형태의 명령어에 의해 완료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련하여 개시되는 방법의 내용은 하드웨어 프로세서의 수행에 의해 직접 완료되거나, 또는 프로세서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모듈의 조합으로 수행되는 것에 의해 완료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랜덤 액세스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읽기 전용 메모리, 프로그래머블 읽기 전용 메모리 또는 전기적 소거 가능한 프로그래머블 메모리, 레지스터 등의 해당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기억 매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기억 매체는 메모리(740)에 위치하고, 프로세서(730)는 메모리(740)의 정보를 독출하고, 그 하드웨어와 함께 상기 방법의 내용을 달성한다. 중복을 피하기 위해, 여기서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하나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도 5의 네트워크 디바이스(500)에 포함되는 결정 모듈(510)은 도 7의 프로세서(730)에 의해 구현될 수 있고, 도 5의 네트워크 디바이스(500)에 포함된 통신 모듈(520)은 도 7의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710) 및 출력 인터페이스(72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칩의 구성도이다. 도 8에 나타낸 칩(800)은 메모리에서 컴퓨터 프로그램을 호출하여 수행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방법을 구현할 수 있는 프로세서(810)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칩(800)은 메모리(8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810)는 메모리(820)에서 컴퓨터 프로그램을 호출하여 수행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방법을 구현할 수 있다.
여기서, 메모리(820)는 프로세서(810)와 독립적인 하나의 별도의 디바이스일 수 있고, 프로세서(810)에 집적될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해당 칩(800)은 입력 인터페이스(8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810)는 해당 입력 인터페이스(830)를 제어하여 다른 디바이스 또는 칩과 통신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다른 디바이스 또는 칩에 의해 송신된 정보 또는 데이터를 취득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해당 칩(800)은 출력 인터페이스(8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810)는 해당 출력 인터페이스(840)를 제어하여 다른 디바이스 또는 칩과 통신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정보 또는 데이터를 다른 디바이스 또는 칩에 출력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칩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적용될 수 있고, 해당 칩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양한 방법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대응하는 프로세스를 구현할 수 있으며, 간결을 위해, 여기서 설명을 생략한다.
선택적으로, 해당 칩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모바일 단말기/단말기 디바이스에 적용될 수 있고, 해당 칩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다양한 방법의 모바일 단말기/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대응하는 프로세스를 구현할 수 있고, 간결을 위해, 여기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언급된 칩은 시스템 레벨 칩, 시스템 칩, 칩 시스템 또는 시스템 온 칩 등으로 지칭될 수도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통신 시스템(900)의 블록도이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통신 시스템(900)은 단말기 디바이스(910)와 네트워크 디바이스(920)를 포함한다.
여기서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910)는 상기 방법에서 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구현되는 대응하는 기능을 구현하는데 사용될 수 있으며, 해당 네트워크 디바이스(920)는 상기 방법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구현되는 해당 기능을 구현하는데 사용될 수 있고, 간결을 위해, 여기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프로세서는 신호 처리 능력을 갖는 집적 회로 칩일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구현 과정에 있어서, 전술한 방법의 실시예의 각 단계는 프로세서 내의 하드웨어의 집적 논리 회로 또는 소프트웨어 형식의 명령어에 의해 완성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DSP), 주문형 집적 회로(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시나리오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FPGA) 또는 다른 프로그래머블 논리 디바이스, 개별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로직 디바이스, 개별 하드웨어 구성 요소일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개시된 각 방법, 단계 및 논리 블록도는 구현되거나 수행될 수 있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일 수 있고, 프로세서는 임의의 종래의 프로세서 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련하여 개시된 방법의 단계는 하드웨어 디코딩 프로세서에 의해 직접 수행되거나, 또는 디코딩 프로세서 내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모듈의 조합에 의해 수행되어 완성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랜덤 액세스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읽기 전용 메모리, 프로그래머블 읽기 전용 메모리 또는 전기적 소거 가능한 프로그래머블 메모리, 레지스터 등의 해당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기억 매체에 배치될 수 있다. 해당 기억 매체는 메모리에 위치하며, 프로세서는 메모리 내의 정보를 판독하고, 하드웨어와 함께 상술한 방법의 단계를 완성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메모리는 휘발성 메모리 또는 비 휘발성 메모리일 수 있고, 휘발성 메모리와 비 휘발성 메모리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비 휘발성 메모리는 읽기 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 : ROM), 프로그래머블 읽기 전용 메모리(Programmable ROM : PROM), 소거 가능한 프로그래머블 읽기 전용 메모리(Erasable PROM : EPROM), 전기적 소거 가능한 프로그래머블 읽기 전용 메모리(Electrically EPROM : EEPROM) 또는 플래시 메모리일 수 있다. 휘발성 메모리는 외부 캐시로 사용되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 RAM)일 수 있다. 한정적이 아닌 예시적인 설명으로서, RAM은 정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Static RAM : SRAM),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Dynamic RAM : DRAM), 동기식 동적 램덤 액세스 메모리(Synchronous DRAM : SDRAM), 더블데이터 레이트 동기식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Double Data Rate SDRAM : DDR SDRAM), 강화형 동기식 동적 램덤 액세스 메모리(Enhanced SDRAM : ESDRAM), 동기식 연결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Synchlink DRAM : SLDRAM) 및 다이렉트 메모리 버스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Direct Rambus RAM : DR RAM) 등 다양한 형식을 사용 가능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시스템 및 방법의 메모리는 이들 및 임의의 다른 적합한 유형의 메모리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 것에 유의하기 바란다.
상기 메모리는 한정적이 아니고 예시적이며,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메모리는 정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static RAM, SRAM),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dynamic RAM은 DRAM), 동기식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synchronous DRAM, SDRAM), 이중 데이터 레이트 동기식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double data rate SDRAM, DDR SDRAM), 확장 동기식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enhanced SDRAM, ESDRAM), 동기식 연결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synch link DRAM, SLDRAM) 및 다이렉트 메모리 버스 랜덤 액세스 메모리(Direct Rambus RAM, DR RAM) 등일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메모리는 이들과 임의의 적절한 유형의 메모리를 포함하는 것을 의도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복수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포함한 휴대용 전자 기기에 의해 수행되면, 도 2 내지 도 3에 나타낸 실시예의 방법을 해당 휴대용 전자 기기에 수행시킬 수 있는 명령어를 포함하는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 매체를 더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컴퓨터에 의해 수행되면, 도 2 내지 도 3에 나타낸 실시예의 방법에 대응하는 프로세스를 컴퓨터에 수행시킬 수 있는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더 제공한다.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의 유닛 및 알고리즘 단계가 전자 하드웨어, 또는 컴퓨터 소프트웨어와 전자 하드웨어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인식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수행되는지는 기술적 해결책의 구체적인 응용 및 설계 제약에 의해 결정된다. 당업자는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특정된 응용 프로그램마다 다른 방법을 사용할 수 있지만, 이러한 구현은 본 발명의 범위를 이탈하는 것으로 간주해서는 안된다.
당업자라면 설명의 편의 및 간결성을 위해 상기에서 설명된 시스템, 장치 및 유닛의 특정 구체적인 동작 과정이 상기 방법의 실시예의 대응하는 프로세스를 참조할 수 있는 것을 이해할 수 있고, 여기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제공되는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개시된 시스템, 장치 및 방법은 다른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상기에서 개시된 장치의 실시예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며, 예를 들어, 상기 유닛의 구분은 단지 논리 기능 구분이고, 실제 구현에서 다른 구분 방식이 있을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복수의 유닛 또는 컴퍼넌트를 결합하거나 다른 시스템에 통합될 수 있거나. 또는 일부 특징을 무시하거나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도시하거나 또는 설명한 서로 사이의 결합 또는 직접 결합 또는 통신 연결은 인터페이스, 장치 또는 유닛에 의한 간접적인 결합 또는 통신 연결일 수 있고, 전기적 형식, 기계적 형식 또는 다른 형식일 수 있다.
별도의 구성 요소로 설명된 유닛은 물리적으로 분리되거나 분리되지 않을 수 있고, 유닛으로서 나타내는 구성 요소는 물리적 유닛이거나 물리적 유닛이 아닐 수도 있고, 즉 한 곳에 위치할 수 있거나, 또는 복수의 네트워크 유닛에 위치할 수도 있다. 그중의 일부 또는 전부 유닛은 실시예의 기술적 해결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실제 요구에 의거하여 선택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있어서 각 기능 유닛은 하나의 처리 유닛에 통합될 수 있고, 각 처리 유닛은 물리적으로 단독으로 존재할 수도 있으며, 두 개 이상의 유닛은 하나의 유닛에 통합될 수도 있다.
상기 기능은 소프트웨어 기능 유닛의 형식으로 구현되어 독립형 제품으로 판매하거나 사용하는 경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 매체에 기억될 수 있다. 이러한 이해를 바탕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해결책은 본질적으로 종래 기술에 대해 기여하는 부분 또는 해당 기술적 해결책의 전부 또는 일부를 기억 매체에 기억된 소프트웨어 제품의 형식으로 구현할 수 있다. 컴퓨터 장치(개인용 컴퓨터, 서버 또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일 수 있다)에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서 설명된 방법의 전부 또는 일부 단계를 수행시키기 위한 복수의 명령어가 포함된 해당 컴퓨터의 소프트웨어 제품은 기억 매체에 기억된다. 상기 메모리는 프로그램 코드를 기억할 수 있는 U 디스크, 이동식 하드 디스크, 읽기 전용 메모리(ROM),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자기 디스크 또는 광디스크 등을 포함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않으며, 본 출원에 개시된 기술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생각할 수 있는 임의의 변경 또는 교체는 모두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있어야 한다. 따라서, 본 출원의 보호 범위는 청구 범위에 의해 정의되어야 한다.

Claims (79)

  1. 단말기 디바이스는 제 1 채널에 대응하는 복조 참조 신호(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DMRS) 패턴을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는 상기 DMRS 패턴에 의거하여 상기 제 1 채널을 복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인터넷에서 데이터 전송을 위한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는 제 1 채널에 대응하는 복조 참조 신호(DMRS) 패턴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구성 정보, 상기 제 1 채널이 사용하는 리소스 풀, 상기 제 1 채널이 사용하는 캐리어 및 상기 제 1 채널이 사용하는 파형 중 적어도 하나에 의거하여, 상기 제 1 채널에 대응하는 DMRS 패턴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인터넷에서 데이터 전송을 위한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구성 정보, 상기 제 1 채널이 사용하는 리소스 풀, 상기 제 1 채널이 사용하는 캐리어 및 상기 제 1 채널이 사용하는 파형 중 적어도 하나에 의거하여, 상기 제 1 채널에 대응하는 DMRS 패턴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구성 정보는 제 1 DMRS 패턴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는 복수의 DMRS 패턴에서 상기 제 1 DMRS 패턴을 상기 제 1 채널에 대응하는 DRMS 패턴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인터넷에서 데이터 전송을 위한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DMRS 패턴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미리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인터넷에서 데이터 전송을 위한 방법.
  5. 제 2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구성 정보, 상기 제 1 채널이 사용하는 리소스 풀, 상기 제 1 채널이 사용하는 캐리어 및 상기 제 1 채널이 사용하는 파형 중 적어도 하나에 의거하여, 상기 제 1 채널에 대응하는 DMRS 패턴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는 상기 제 1 채널이 사용하는 리소스 풀 및 복수의 리소스 풀과 복수의 DMRS 패턴의 대응 관계인 제 1 대응 관계에 의거하여, 상기 제 1 채널에 대응하는 DMRS 패턴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인터넷에서 데이터 전송을 위한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리소스 풀은 복수의 속도 범위에 각각 대응하고, 상기 방법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는 현재의 이동 속도에 의거하여, 대응하는 상기 제 1 채널이 사용하는 리소스 풀인 타겟 리소스 풀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인터넷에서 데이터 전송을 위한 방법.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대응 관계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미리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인터넷에서 데이터 전송을 위한 방법.
  8. 제 2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구성 정보, 상기 제 1 채널이 사용하는 리소스 풀, 상기 제 1 채널이 사용하는 캐리어 및 상기 제 1 채널이 사용하는 파형 중 적어도 하나에 의거하여, 상기 제 1 채널에 대응하는 DMRS 패턴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는 상기 제 1 채널이 사용하는 캐리어 및 복수의 캐리어와 복수의 DMRS 패턴의 대응 관계인 제 2 대응 관계에 의거하여, 상기 제 1 채널에 대응하는 DMRS 패턴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인터넷에서 데이터 전송을 위한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대응 관계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미리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인터넷에서 데이터 전송을 위한 방법.
  10. 제 2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구성 정보, 상기 제 1 채널이 사용하는 리소스 풀, 상기 제 1 채널이 사용하는 캐리어 및 상기 제 1 채널이 사용하는 파형 중 적어도 하나에 의거하여, 상기 제 1 채널에 대응하는 DMRS 패턴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는 상기 제 1 채널이 사용하는 파형 및 복수의 파형과 복수의 DMRS 패턴의 대응 관계인 제 3 대응 관계에 의거하여, 상기 제 1 채널에 대응하는 DMRS 패턴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인터넷에서 데이터 전송을 위한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대응 관계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미리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인터넷에서 데이터 전송을 위한 방법.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는 제 1 채널에 대응하는 복조 참조 신호(DMRS) 패턴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는 상기 제 1 채널이 사용하는 기본 파라미터 세트에 의거하여, 상기 제 1 채널에 대응하는 DMRS 패턴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인터넷에서 데이터 전송을 위한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는 상기 제 1 채널이 사용하는 기본 파라미터 세트에 의거하여, 상기 제 1 채널에 대응하는 DMRS 패턴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는 상기 제 1 채널이 사용하는 기본 파라미터 세트 및 복수의 기본 파라미터 세트와 복수의 DMRS 패턴의 대응 관계인 제 4 대응 관계에 의거하여, 상기 제 1 채널에 대응하는 DMRS 패턴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인터넷에서 데이터 전송을 위한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대응 관계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미리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인터넷에서 데이터 전송을 위한 방법.
  15. 제 12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 파라미터 세트는 서브 캐리어 간격 크기 정보, 사이클릭 프레픽스(Cyclic PREfix, CP) 유형, CP 길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인터넷에서 데이터 전송을 위한 방법.
  16. 제 1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채널은 물리 사이드링크 공유 채널(Physical Sidelink Shared Channel, PSSCH) 또는 물리 사이드링크 제어 채널(Physical Sidelink Control Channel, PSCCH)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인터넷에서 데이터 전송을 위한 방법.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채널은 물리 사이드링크 공유 채널(PSSCH)이고, 상기 제 1 채널에 대응하는 물리 사이드링크 제어 채널(PSCCH)은 제 2 채널이고,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는 제 1 채널에 대응하는 복조 참조 신호(DMRS) 패턴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는 상기 제 2 채널에 의거하여, 상기 제 1 채널에 대응하는 DMRS 패턴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인터넷에서 데이터 전송을 위한 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채널에서 지시 정보가 운반되고, 상기 지시 정보는 제 2 DRMS 패턴을 나타내고,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는 상기 제 2 채널에 의거하여, 상기 제 1 채널에 대응하는 DMRS 패턴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는 상기 지시 정보에 의해 나타내는 상기 제 2 DMRS 패턴을 상기 제 1 채널에 대응하는 DMRS 패턴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인터넷에서 데이터 전송을 위한 방법.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는 상기 제 2 채널에 의거하여, 상기 제 1 채널에 대응하는 DMRS 패턴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는 상기 제 2 채널에 대응하는 DMRS의 시퀀스, 사이클릭 시프트, 직교 커버링 코드(Orthogonal Cover Code, OCC), 리소스 위치, 루트 시퀀스 중 적어도 하나에 의거하여, 상기 제 1 채널에 대응하는 DMRS 패턴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인터넷에서 데이터 전송을 위한 방법.
  20.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는 상기 제 2 채널에 의거하여, 상기 제 1 채널에 대응하는 DMRS 패턴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는 상기 제 2 채널의 스크램블링 코드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제 1 채널에 대응하는 DMRS 패턴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인터넷에서 데이터 전송을 위한 방법.
  21. 제 1 항 내지 제 2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DMRS 패턴은
    하나의 시간 유닛에서 DRMS가 점유하는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 심볼의 수량,
    하나의 시간 유닛에서 DRMS가 점유하는 OFDM 심볼의 위치,
    상기 DMRS가 점유하는 하나의 OFDM 심볼에서, 하나의 물리 리소스 블록(Physical Resource Block, PRB)에서 DMRS가 점유하는 리소스 요소(REsource Element, RE)의 수량,
    상기 DMRS가 점유하는 하나의 OFDM 심볼에서, 하나의 PRB 내의 DMRS 심볼 사이의 주파수 영역 간격,
    상기 DMRS가 점유하는 하나의 OFDM 심볼에서, 상기 하나의 PRB 내의 제 1 서브 캐리어에 대한 하나의 PRB 내의 DMRS 심볼의 오프셋,
    상기 DMRS가 점유하는 하나의 OFDM 심볼에서 DMRS의 주파수 영역 위치,
    상기 DMRS가 위치하는 OFDM 심볼에서, 상기 DMRS에 의해 점유되지 않은 RE에서 상기 DMRS 이외의 다른 신호의 전송에 사용 가능한지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인터넷에서 데이터 전송을 위한 방법.
  22.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단말기 디바이스가 제 1 채널에 대응하는 복조 참조 신호(DMRS) 패턴을 결정하기 위한 구성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상기 구성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인터넷에서 데이터 전송을 위한 방법.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 정보는 복수의 DMRS 패턴 중의 제 1 DMRS 패턴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인터넷에서 데이터 전송을 위한 방법.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상기 복수의 DRMS 패턴을 구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인터넷에서 데이터 전송을 위한 방법.
  25. 제 22 항 또는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 정보는 복수의 리소스 풀과 복수의 DMRS 패턴의 대응 관계인 제 1 대응 관계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인터넷에서 데이터 전송을 위한 방법.
  26. 제 22 항 내지 제 2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 정보는 복수의 캐리어와 복수의 DMRS 패턴의 대응 관계인 제 2 대응 관계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인터넷에서 데이터 전송을 위한 방법.
  27. 제 22 항 내지 제 2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 정보는 복수의 파형과 복수의 DMRS 패턴의 대응 관계인 제 3 대응 관계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인터넷에서 데이터 전송을 위한 방법.
  28. 제 22 항 내지 제 2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 정보는 복수의 기본 파라미터 세트와 복수의 DMRS 패턴의 대응 관계인 제 4 대응 관계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인터넷에서 데이터 전송을 위한 방법.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 파라미터 세트는 서브 캐리어 간격 크기 정보, 사이클릭 프레픽스(CP) 유형, CP 길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인터넷에서 데이터 전송을 위한 방법.
  30. 제 22 항 내지 제 2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채널은 물리 사이드링크 제어 채널(PSCCH)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인터넷에서 데이터 전송을 위한 방법.
  31. 제 22 항 내지 제 3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채널은 물리 사이드링크 공유 채널(PSSCH)이고, 상기 제 1 채널에 대응하는 물리 사이드링크 제어 채널(PSCCH)은 제 2 채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인터넷에서 데이터 전송을 위한 방법.
  32.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 정보는 상기 제 2 채널에 대응하는 DMRS 시퀀스, 사이클릭 시프트, 직교 커버링 코드(OCC), 리소스 위치, 루트 시퀀스 중 적어도 하나와 DMRS 시퀀스의 대응 관계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인터넷에서 데이터 전송을 위한 방법.
  33.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 정보는 상기 제 2 채널의 스크램블링 코드 정보와 DMRS 시퀀스의 대응 관계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인터넷에서 데이터 전송을 위한 방법.
  34. 제 22 항 내지 제 3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DMRS 패턴은
    하나의 시간 유닛에서 DRMS가 점유하는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OFDM) 심볼의 수량,
    하나의 시간 유닛에서 DRMS가 점유하는 OFDM 심볼의 위치,
    상기 DMRS가 점유하는 하나의 OFDM 심볼에서, 하나의 물리 리소스 블록(PRB)에서 DMRS가 점유하는 리소스 요소(RE)의 수량,
    상기 DMRS가 점유하는 하나의 OFDM 심볼에서, 하나의 PRB 내의 DMRS 심볼 사이의 주파수 영역 간격,
    상기 DMRS가 점유하는 하나의 OFDM 심볼에서, 상기 하나의 PRB 내의 제 1 서브 캐리어에 대한 하나의 PRB 내의 DMRS 심볼의 오프셋,
    상기 DMRS가 점유하는 하나의 OFDM 심볼에서 DMRS의 주파수 영역 위치,
    상기 DMRS가 위치하는 OFDM 심볼에서, 상기 DMRS에 의해 점유되지 않은 RE에서 상기 DMRS 이외의 다른 신호의 전송에 사용 가능한지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인터넷에서 데이터 전송을 위한 방법.
  35. 제 1 채널에 대응하는 복조 참조 신호(DMRS) 패턴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결정 모듈과,
    상기 DMRS 패턴에 의거하여 상기 제 1 채널을 복조하도록 구성되는 복조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디바이스.
  36.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 모듈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구성 정보, 상기 제 1 채널이 사용하는 리소스 풀, 상기 제 1 채널이 사용하는 캐리어 및 상기 제 1 채널이 사용하는 파형 중 적어도 하나에 의거하여, 상기 제 1 채널에 대응하는 DMRS 패턴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디바이스.
  37. 제 36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 모듈은
    상기 구성 정보는 제 1 DMRS 패턴을 나타내는 경우, 복수의 DMRS 패턴에서 상기 제 1 DMRS 패턴을 상기 제 1 채널에 대응하는 DRMS 패턴으로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디바이스.
  38. 제 37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DMRS 패턴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미리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디바이스.
  39. 제 36 항 내지 제 3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 모듈은
    상기 제 1 채널이 사용하는 리소스 풀 및 복수의 리소스 풀과 복수의 DMRS 패턴의 대응 관계인 제 1 대응 관계에 의거하여, 상기 제 1 채널에 대응하는 DMRS 패턴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디바이스.
  40. 제 39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리소스 풀은 복수의 속도 범위에 각각 대응하고, 상기 결정 모듈은 또한
    현재의 이동 속도에 의거하여 상기 제 1 채널이 사용하는 리소스 풀인 해당 타겟 리소스 풀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디바이스.
  41. 제 39 항 또는 제 4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대응 관계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미리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디바이스.
  42. 제 36 항 내지 제 4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 모듈은
    상기 제 1 채널이 사용하는 캐리어 및 복수의 캐리어와 복수의 DMRS 패턴의 대응 관계인 제 2 대응 관계에 의거하여, 상기 제 1 채널에 대응하는 DMRS 패턴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디바이스.
  43. 제 4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대응 관계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미리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디바이스.
  44. 제 36 항 내지 제 4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 모듈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는 상기 제 1 채널이 사용하는 파형 및 복수의 파형과 복수의 DMRS 패턴의 대응 관계인 제 3 대응 관계에 의거하여, 상기 제 1 채널에 대응하는 DMRS 패턴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디바이스.
  45. 제 4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대응 관계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미리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디바이스.
  46. 제 35 항 내지 제 4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 모듈은 또한 상기 제 1 채널이 사용하는 기본 파라미터 세트에 의거하여, 상기 제 1 채널에 대응하는 DMRS 패턴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디바이스.
  47. 제 46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 모듈은
    상기 제 1 채널이 사용하는 기본 파라미터 세트 및 복수의 기본 파라미터 세트와 복수의 DMRS 패턴의 대응 관계인 제 4 대응 관계에 의거하여, 상기 제 1 채널에 대응하는 DMRS 패턴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디바이스.
  48. 제 4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대응 관계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미리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디바이스.
  49. 제 46 항 내지 제 4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 파라미터 세트는 서브 캐리어 간격 크기 정보, 사이클릭 프레픽스(CP) 유형, CP 길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디바이스.
  50. 제 35 항 내지 제 4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채널은 물리 사이드링크 공유 채널(PSSCH) 또는 물리 사이드링크 제어 채널(PSCCH)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디바이스.
  51.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채널은 물리 사이드링크 공유 채널(PSSCH)이고, 상기 제 1 채널에 대응하는 물리 사이드링크 제어 채널(PSCCH)은 제 2 채널이고, 상기 결정 모듈은
    상기 제 2 채널에 의거하여 상기 제 1 채널에 대응하는 DMRS 패턴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디바이스.
  52. 제 5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채널에서 제 2 DRMS 패턴을 나타내는 지시 정보가 운반되고, 상기 결정 모듈은
    상기 지시 정보에 의해 나타내는 상기 제 2 DMRS 패턴을 상기 제 1 채널에 대응하는 DMRS 패턴으로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디바이스.
  53. 제 51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 모듈은
    상기 제 2 채널에 대응하는 DMRS의 시퀀스, 사이클릭 시프트, 직교 커버링 코드(OCC), 리소스 위치, 루트 시퀀스 중 적어도 하나에 의거하여, 상기 제 1 채널에 대응하는 DMRS 패턴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디바이스.
  54. 제 51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 모듈은
    상기 제 2 채널의 스크램블링 코드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제 1 채널에 대응하는 DMRS 패턴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디바이스.
  55. 제 35 항 내지 제 5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DMRS 패턴은
    하나의 시간 유닛에서 DRMS가 점유하는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OFDM) 심볼의 수량,
    하나의 시간 유닛에서 DRMS가 점유하는 OFDM 심볼의 위치,
    상기 DMRS가 점유하는 하나의 OFDM 심볼에서, 하나의 물리 리소스 블록(PRB)에서 DMRS가 점유하는 리소스 요소(RE)의 수량,
    상기 DMRS가 점유하는 하나의 OFDM 심볼에서, 하나의 PRB 내의 DMRS 심볼 사이의 주파수 영역 간격,
    상기 DMRS가 점유하는 하나의 OFDM 심볼에서, 상기 하나의 PRB 내의 제 1 서브 캐리어에 대한 하나의 PRB 내의 DMRS 심볼의 오프셋,
    상기 DMRS가 점유하는 하나의 OFDM 심볼에서 DMRS의 주파수 영역 위치,
    상기 DMRS가 위치하는 OFDM 심볼에서, 상기 DMRS에 의해 점유되지 않은 RE에서 상기 DMRS 이외의 다른 신호의 전송에 사용 가능한지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디바이스.
  56. 단말기 디바이스가 제 1 채널에 대응하는 복조 참조 신호(DMRS) 패턴을 결정하기 위한 구성 정보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결정 모듈과,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상기 구성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57. 제 56 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 정보는 복수의 DMRS 패턴 중의 제 1 DMRS 패턴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58. 제 57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모듈은 또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상기 복수의 DRMS 패턴을 구성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59. 제 56 항 또는 제 58 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 정보는 복수의 리소스 풀과 복수의 DMRS 패턴의 대응 관계인 제 1 대응 관계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재된 네트워크 디바이스.
  60. 제 56 항 내지 제 5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 정보는 복수의 캐리어와 복수의 DMRS 패턴의 대응 관계인 제 2 대응 관계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61. 제 56 항 내지 제 6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 정보는 복수의 파형과 복수의 DMRS 패턴의 대응 관계인 제 3 대응 관계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62. 제 56 항 내지 제 6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 정보는 복수의 기본 파라미터 세트와 복수의 DMRS 패턴의 대응 관계인 제 4 대응 관계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63. 제 62 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 파라미터 세트는 서브 캐리어 간격 크기 정보, 사이클릭 프레픽스(CP) 유형, CP 길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64. 제 56 항 내지 제 6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채널은 물리 사이드링크 제어 채널(PSCCH)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65. 제 56 항 내지 제 6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채널은 물리 사이드링크 공유 채널(PSSCH)이고, 상기 제 1 채널에 대응하는 물리 사이드링크 제어 채널(PSCCH)은 제 2 채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66. 제 65 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 정보는 상기 제 2 채널에 대응하는 DMRS 시퀀스, 사이클릭 시프트, 직교 커버링 코드(OCC), 리소스 위치, 루트 시퀀스 중 적어도 하나와 DMRS 시퀀스의 대응 관계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67. 제 65 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 정보는 상기 제 2 채널의 스크램블링 코드 정보와 DMRS 시퀀스의 대응 관계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68. 제 56 항 내지 제 6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DMRS 패턴은
    하나의 시간 유닛에서 DRMS가 점유하는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OFDM) 심볼의 수량,
    하나의 시간 유닛에서 DRMS가 점유하는 OFDM 심볼의 위치,
    상기 DMRS가 점유하는 하나의 OFDM 심볼에서, 하나의 물리 리소스 블록(PRB)에서 DMRS가 점유하는 리소스 요소(RE)의 수량,
    상기 DMRS가 점유하는 하나의 OFDM 심볼에서, 하나의 PRB 내의 DMRS 심볼 사이의 주파수 영역 간격,
    상기 DMRS가 점유하는 하나의 OFDM 심볼에서, 상기 하나의 PRB 내의 제 1 서브 캐리어에 대한 하나의 PRB 내의 DMRS 심볼의 오프셋,
    상기 DMRS가 점유하는 하나의 OFDM 심볼에서 DMRS의 주파수 영역 위치,
    상기 DMRS가 위치하는 OFDM 심볼에서, 상기 DMRS에 의해 점유되지 않은 RE에서 상기 DMRS 이외의 다른 신호의 전송에 사용 가능한지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69.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메모리와,
    상기 메모리에 기억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호출하여 수행하면, 제 1 항 내지 제 21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디바이스.
  70. 컴퓨터 프로그램을 메모리에서 호출하여 수행하면, 제 1 항 내지 제 21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칩이 장착된 디바이스에 수행시키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칩.
  71. 제 1 항 내지 제 21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컴퓨터에 수행시키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 매체.
  72. 제 1 항 내지 제 21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컴퓨터에 수행시키는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73. 제 1 항 내지 제 21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컴퓨터에 수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74.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메모리와,
    상기 메모리에 기억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호출하여 수행하면, 제 22 항 내지 제 34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75. 컴퓨터 프로그램을 메모리에서 호출하여 수행하면, 제 22 항 내지 제 34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칩이 장착된 디바이스에 수행시키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칩.
  76. 제 22 항 내지 제 34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컴퓨터에 수행시키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 매체.
  77. 제 22 항 내지 제 34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컴퓨터에 수행시키는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78. 제 22 항 내지 제 34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컴퓨터에 수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79. 제 35 항 내지 제 55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단말기 디바이스와,
    제 56 항 내지 제 68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KR1020207022488A 2018-01-04 2018-08-16 차량 인터넷에서 데이터 전송을 위한 방법, 단말기 디바이스 및 네트워크 디바이스 KR2020010652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PCT/CN2018/071371 2018-01-04
PCT/CN2018/071371 WO2019134096A1 (zh) 2018-01-04 2018-01-04 车联网中用于传输数据的方法、终端设备和网络设备
PCT/CN2018/100790 WO2019134370A1 (zh) 2018-01-04 2018-08-16 车联网中用于传输数据的方法、终端设备和网络设备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6520A true KR20200106520A (ko) 2020-09-14

Family

ID=671435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2488A KR20200106520A (ko) 2018-01-04 2018-08-16 차량 인터넷에서 데이터 전송을 위한 방법, 단말기 디바이스 및 네트워크 디바이스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20200336276A1 (ko)
EP (2) EP4192171A1 (ko)
JP (1) JP7282094B2 (ko)
KR (1) KR20200106520A (ko)
CN (2) CN111602439A (ko)
AU (1) AU2018399356B2 (ko)
BR (1) BR112020013675A2 (ko)
CA (1) CA3087605C (ko)
ES (1) ES2942004T3 (ko)
MX (1) MX2020007065A (ko)
TW (1) TWI805673B (ko)
WO (2) WO201913409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739794B1 (en) 2018-01-22 2022-08-24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Information determining method, device, and computer storage medium
US11470613B2 (en) * 2018-03-30 2022-10-11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mitting or receiving sidelink signal by termi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sidelink and apparatus therefor
US11133970B2 (en) * 2018-09-27 2021-09-28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for supporting multiple waveforms in wireless communications
EP3648387B1 (en) * 2018-10-31 2022-01-19 Mitsubishi Electric R&D Centre Europe B.V. Selection of rs patterns for d2d communications
KR20200087630A (ko) * 2019-01-11 2020-07-21 주식회사 아이티엘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dmrs 구성 방법 및 장치
CN114826518A (zh) * 2021-01-29 2022-07-29 北京紫光展锐通信技术有限公司 参考信号图案的确定方法及装置
EP4075709A1 (en) * 2021-04-16 2022-10-19 Nokia Technologies Oy Decoding path generation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043718B (zh) * 2006-03-24 2011-09-14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用下行共享物理信道进行寻呼的方法
JP5108786B2 (ja) * 2006-12-26 2012-12-26 富士通株式会社 無線通信方法並びに無線制御局及び無線基地局
CN102149082B (zh) * 2010-02-05 2014-11-26 中国移动通信集团公司 一种终端专用解调参考信号的指示方法、装置及系统
CN103873215B (zh) * 2012-12-17 2017-12-05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增强物理混合自动重传请求指示信道传输方法及装置
CN108111291B (zh) * 2013-01-25 2021-08-20 华为技术有限公司 解调参考信号传输装置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EP2941080B1 (en) * 2013-01-25 2018-04-25 Huawei Technologies Co., Ltd. Transmission of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s in a new carrier type
CN104322090A (zh) * 2013-04-02 2015-01-28 华为技术有限公司 专用信道传输方法及装置
CN104125186B (zh) * 2013-04-28 2019-08-30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解调参考信号图样信息的选取方法、系统及装置
CN106105085A (zh) * 2014-03-19 2016-11-09 Lg电子株式会社 在无线通信系统中发送和接收设备到设备ue信号的方法及其装置
CN107113894B (zh) * 2015-04-03 2020-11-10 华为技术有限公司 数据传输的方法、用户设备和基站
WO2016195411A1 (ko) * 2015-06-03 2016-12-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v2v 통신을 위한 참조 신호 설정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10863492B2 (en) * 2015-07-16 2020-12-08 Qualcomm Incorporated Low latency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EP3737026B1 (en) * 2015-08-12 2023-08-16 Apple Inc. Demodul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s
CN107925533B (zh) * 2015-09-24 2022-06-17 苹果公司 高速环境中的v2x性能增强
CN111867043B (zh) * 2015-09-24 2022-08-09 华为技术有限公司 同步方法、用户设备和基站
DE102015116247B4 (de) * 2015-09-25 2021-01-21 Apple Inc. Verfahren zum Ausführen von Kommunikationen, mobile Endgeräte und Basisbandmodems
CN108141336B (zh) * 2015-09-29 2020-10-30 Lg电子株式会社 用于接收dci的方法和ue以及用于发送dci的方法和基站
CN105634707B (zh) * 2015-12-31 2019-04-23 深圳市金立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信息传输的方法、基站及终端
JP6696192B2 (ja) * 2016-02-04 2020-05-20 ソニー株式会社 通信装置および通信方法
CN107046457B (zh) * 2016-02-05 2020-02-11 中国移动通信集团公司 业务信息的发送方法、接收方法及终端
CN109314623B (zh) * 2016-04-12 2022-04-05 瑞典爱立信有限公司 用于副链路通信的参考信号映射的方法和装置
US10425959B2 (en) * 2016-05-13 2019-09-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data
WO2020033704A1 (en) * 2018-08-08 2020-02-13 Idac Holdings, Inc. Enhanced sidelink control transmiss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3087605A1 (en) 2019-07-11
CN112054886B (zh) 2022-03-25
US20200336276A1 (en) 2020-10-22
AU2018399356B2 (en) 2023-12-14
WO2019134096A1 (zh) 2019-07-11
ES2942004T3 (es) 2023-05-29
TW201931879A (zh) 2019-08-01
CN111602439A (zh) 2020-08-28
EP3726901B1 (en) 2023-03-15
BR112020013675A2 (pt) 2020-12-01
EP4192171A1 (en) 2023-06-07
MX2020007065A (es) 2020-09-09
EP3726901A4 (en) 2021-01-27
CA3087605C (en) 2024-01-23
JP2021510035A (ja) 2021-04-08
WO2019134370A1 (zh) 2019-07-11
AU2018399356A1 (en) 2020-08-06
EP3726901A1 (en) 2020-10-21
CN112054886A (zh) 2020-12-08
JP7282094B2 (ja) 2023-05-26
TWI805673B (zh) 2023-06-21
WO2019134370A8 (zh) 2020-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106520A (ko) 차량 인터넷에서 데이터 전송을 위한 방법, 단말기 디바이스 및 네트워크 디바이스
CN109803402B (zh) 信息发送、接收方法及装置
KR20230101783A (ko) D2d 통신을 위한 d2d 데이터 자원을 결정하는 방법및 장치
JP7266529B2 (ja) 上り復調基準信号の伝送方法及びデバイス
JP6783378B2 (ja) 信号送信方法、ネットワークデバイス、及び端末デバイス
KR20190126338A (ko)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 단말 장비 및 네트워크 장비
JP6961691B2 (ja) アップリンク信号の伝送方法及び装置
CN109906645B (zh) 上行信号的传输方法和装置
KR20210077695A (ko) 자원 풀을 전환하는 방법, 단말기 디바이스 및 통신 디바이스
KR20190127769A (ko)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단말 장치와 네트워크 장치
US20160119083A1 (en) Transmission and Reception Methods and Associated Communication Devices for Use in OFDM-Based Communication Network
KR20180075472A (ko) 자원 지시 방법, 기지국 및 단말
KR20180050711A (ko) 협대역 직교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싱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방법 및 디바이스
KR102229592B1 (ko) 데이타 전송 방법 및 장치
CN109429251B (zh) 传输方法、终端设备和网络设备
JP2020502838A (ja) 信号伝送方法及び装置
CN110958095B (zh) 一种通信方法及装置
JP2021530132A (ja) リソーススケジューリング方法、端末装置及びネットワーク装置
CN111837369B (zh) 信道估计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7597883A (zh) 参考信号端口指示技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