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6240A - 외부 디스플레이 출력 방법 - Google Patents

외부 디스플레이 출력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6240A
KR20200106240A KR1020190024470A KR20190024470A KR20200106240A KR 20200106240 A KR20200106240 A KR 20200106240A KR 1020190024470 A KR1020190024470 A KR 1020190024470A KR 20190024470 A KR20190024470 A KR 20190024470A KR 20200106240 A KR20200106240 A KR 202001062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put
information
display terminal
display
transmit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44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93780B1 (ko
Inventor
오세혁
Original Assignee
베이소프트매트릭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베이소프트매트릭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베이소프트매트릭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244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3780B1/ko
Publication of KR202001062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62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37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37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4L67/36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75Indicating network or usage conditions on the user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5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involving copying of the display data of a local workstation or window to a remote workstation or window so that an actual copy of the data is displayed simultaneously on two or more displays, e.g. teledisp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1/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addressing or naming
    • H04L61/09Mapping addresses
    • H04L61/25Mapping addresses of the same type
    • H04L61/2503Translation of Internet protocol [IP] addresses
    • H04L61/256NAT traversal
    • H04L61/2571NAT traversal for identification, e.g. for authentication or bil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open API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정보를 출력하기 위해, 제공된 open API에 대응하는 식별 정보 및 출력 정보를 요청 서버로부터 처리 서버로 전송되는 단계, 상기 처리 서버로 전송된 식별 정보가 등록된 정보와 일치하는지 판단되는 단계, 상기 전송된 식별 정보가 등록된 정보와 일치하는 경우 상기 출력 정보는 표출 단말기에 전송되는 단계, 상기 표출 단말기로 전송된 출력 정보가 파싱(parsing)되는 단계, 상기 파싱에 의해 추출된 데이터가 상기 표출 단말기에 의해 실행되는 단계, 상기 실행에 의한 출력 결과가 상기 처리 서버에 전송되는 단계 및 상기 처리 서버에 전송된 출력 결과가 상기 요청 서버로 전송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외부 디스플레이 출력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외부 디스플레이 출력 방법{METHOD FOR OUTPUTTING TO EXTERNAL DISPLAY}
본 발명은 open API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정보를 출력하도록 하는 외부 디스플레이 출력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사이니지(digital signage)는 공공 장소 또는 상업 공간 등에서 컨텐츠 출력을 위해 사용되는 출력 장치를 의미한다. 통상적으로 개인이 아닌 불특정 다수를 위한 광고 또는 알림 등의 효과를 위해 사용된다.
이와 같이 디지털 사이니지에 출력될 컨텐츠는 변동성이 크며 그 이용자 또한 고정되어 있지 않은 것이 보통인데, 이러한 특성상 디지털 사이니지에 작업자가 물리적으로 매번 접근하여 컨텐츠 출력을 제어하는 것은 비효율적이므로, 통상 디지털 사이니지는 외부와의 통신을 통해 컨텐츠의 출력이 제어된다.
또한 컨텐츠의 출력 제어를 디지털 사이니지의 개발자가 직접 제어하는 것은 효율적이지 못하다. 왜냐하면 텍스트, 이미지, 영상 등의 컨텐츠를 원하는 방식으로 디지털 사이니지에 출력하도록 제어하기 위해서는 해당 외부 기기가 해석할 수 있는 언어로 형성된 소스 코드, 즉 메시지를 해당 외부 기기에 적절히 전달해야 하기 때문이다. 그런데 개발자가 이러한 규약을 파악하고 이에 맞는 소스 코드를 형성하는 것은 쉽지 않으며, 오류가 발생할 확률도 높다.
특히 디지털 사이니지가 NAT(network address translation) 뒷 단에 구비된 경우 통신을 위한 프로그램을 외부 기기에 설치해야 하며, 개발자 입장에서 이러한 환경을 구축하는 것은 쉽지 않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인 디지털 사이니지와 같은 디스플레이가 구비된 외부 기기에 특정 정보 출력을 위해 개발자가 직접 제어해야 하는 비효율성을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제공된 open API에 대응하는 식별 정보 및 출력 정보를 요청 서버로부터 처리 서버로 전송되는 단계, 상기 처리 서버로 전송된 식별 정보가 등록된 정보와 일치하는지 판단되는 단계, 상기 전송된 식별 정보가 등록된 정보와 일치하는 경우 상기 출력 정보는 표출 단말기에 전송되는 단계, 상기 표출 단말기로 전송된 출력 정보가 파싱(parsing)되는 단계, 상기 파싱에 의해 추출된 데이터가 상기 표출 단말기에 의해 실행되는 단계, 상기 실행에 의한 출력 결과가 상기 처리 서버에 전송되는 단계 및 상기 처리 서버에 전송된 출력 결과가 상기 요청 서버로 전송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외부 디스플레이 출력 방법 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식별 정보는, 등록된 요청 서버임을 나타내는 인증키 값 및 출력 대상이 될 표출 단말기를 지정하는 지정 값을 포함하고, 상기 출력 정보는, 텍스트, 이미지 및 영상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컨텐츠 정보를 포함하는 외부 디스플레이 출력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컨텐츠 정보는, 외부 특정 서버에 저장된 컨텐츠를 호출하는 주소 값을 포함하는 외부 디스플레이 출력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외부 특정 서버는 상기 요청 서버인 외부 디스플레이 출력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지정 값은 복수의 표출 단말기를 지정하는 복수의 값인 외부 디스플레이 출력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출력 정보는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 형태인 외부 디스플레이 출력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표출 단말기에 상기 출력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표출 단말기가 NAT 뒷 단에 설치된 표출 단말기인지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표출 단말기가 NAT 뒷 단에 설치된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표출 단말기에 설치된 통신 프로그램을 통해 상기 처리 서버로부터 상기 표출 단말기로 상기 출력 정보가 전송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외부 디스플레이 출력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표출 단말기로 하여금 상기 전송한 출력 정보를 파싱(parsing)하도록 하는 단계는, 상기 표출 단말기에 설치된 파싱 프로그램을 통해 상기 표출 단말기로 전송된 출력 정보를 파싱하는 외부 디스플레이 출력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요청 서버에서 상기 처리 서버로 전송되는 상기 식별 정보 및 상기 출력 정보는 rest API를 이용하여 전송되는 외부 디스플레이 출력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표출 단말기는 디지털 사이니지(Digital Signage)를 포함하는 외부 디스플레이 출력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외부 디스플레이 출력 방법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개발자는 간편하게 디지털 사이니지에 원하는 정보를 출력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정보 출력의 과정의 오류 발생 가능성을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외부 디스플레이 출력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외부 디스플레이 출력 시스템 및 종래의 외부 디스플레이 출력 시스템의 이해를 돕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된 외부 디스플레이 출력 시스템의 정보 출력 과정에 관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과 관련된 외부 디스플레이 출력 시스템의 정보 처리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외부 디스플레이 출력 시스템(1)의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 디스플레이 출력 시스템(1)의 사용자는 서비스 제공자 및 서비스 이용자가 된다.
서비스 이용자는 외부 디스플레이에 정보를 출력하고자 하는 사람을 가리키는 것으로서 통상 직접적으로 이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람은 개발자(programmer)가 될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러한 서비스 이용자를 개발자로 지칭하여 설명한다.
서비스 제공자는 개발자를 대신하여 외부 디스플레이와 직접 통신하여 외부 디스플레이에 개발자가 원하는 정보를 출력하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외부 디스플레이 출력 시스템(1)은 출력될 정보의 취급 주체에 따라 요청 서버(10), 처리 서버(20) 및 표출 단말기(30)를 포함한다. 개발자는 요청 서버(10)를 제어하고, 서비스 제공자는 처리 서버(20)를 제어한다.
본 발명의 외부 디스플레이 출력 시스템(1)에서 요청 서버(10)는 표출 단말기(30)와 직접적으로 통신하지 않고 처리 서버(20)를 통해 통신한다. 즉, 처리 서버(20)는 요청 서버(10)와 직접 통신하고, 처리 서버(20)는 표출 단말기(30)와 직접 통신한다.
처리 서버(20) 및 요청 서버(10)는 정보를 송신 또는 수신하여 정보의 처리 및 저장되는 구성을 의미한다. 처리 서버(20) 및 요청 서버(10)는 저장을 위한 서버(server), 즉 저장부뿐만 아니라 데이터의 송신 및 수신을 위한 통신부, 데이터의 처리를 위한 처리부(또는 프로세서(processor)), 장치 외부로부터의 입력을 데이터의 처리를 위한 내부 명령으로 전환하는 입력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구성들은 물리적으로 이격되어 구현될 수도 있으며 반드시 하나의 장치에 구비되어 있을 것을 필요로 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요청 서버(10), 처리 서버(20) 및 표출 단말기(30) 또한 정보의 이동 및 처리를 기준으로 나눈 개념이므로 세 구성이 반드시 물리적으로 구분되어야 하는 것도 아니다.
특히 처리 서버(20)는 표출 단말기(30)와 통신한다는 의미에서 DID(Digital Information Display) 서버로 불리기도 한다.
표출 단말기(30)는 디스플레이(display)와 같은 출력부를 포함한다. 일 예로, 표출 단말기(30)는 디지털 사이니지(digital signage)일 수 있다. 디지털 사이니지는 공공장소 또는 상업 공간 등에서 텍스트(text), 이미지(image) 또는 영상(video) 등의 다양한 정보를 표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외부 디스플레이 출력 시스템(1) 및 종래의 외부 디스플레이 출력 시스템(2)의 이해를 돕기 위한 개념도이다.
종래의 외부 디스플레이 출력 시스템(2)은 처리 서버(20)를 포함하지 않는다. 따라서 요청 서버(10)와 표출 단말기(30) 사이에 직접 통신이 이루어지며, 요청 서버(10)에서는 출력 정보를 포함하는 모든 정보를 직접 생성 및 처리해야 한다. 개발자는 정보의 생성을 위한 상당한 이해를 필요로 한다는 점에서 효율적이지 못하다. 특히 이러한 출력 정보가 소스 코드 형태로 구현되는 경우 소스 코드에서 기능을 수행하는 언어에 대한 이해도 필요하며, 동일한 기능을 구현하는데 있어서도 작성자에 따라 그 형태가 달라져, 범용성이 떨어진다. 뿐만 아니라 생성된 정보에 오류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으며, 발생한 경우 이를 파악하여 수정하는 것도 쉽지 않다.
뿐만 아니라 요청 서버(10)와 표출 단말기(30) 사이의 통신 문제는 여전히 남아 있으며, 특히 표출 단말기(30)가 NAT 뒷 단에 구비되는 경우 통신을 위한 프로그램을 설치해야 하는 등의 번거로움이 있다.
본 발명의 외부 디스플레이 출력 시스템(1)은 이러한 단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처리 서버(20)를 두고, 처리 서버(20)는 요청 서버(10)와 표출 단말기(30)의 매개 역할을 수행한다. 즉, 컨텐츠 출력을 위한 정보는 요청 서버(10)에서 처리 서버(20)를 거쳐 표출 단말기(30)로 전송된다.
나아가, 본 발명의 외부 디스플레이 출력 시스템(1)은 표출 단말기(30)에 출력 정보가 적절히 출력되었는지에 대한 출력 결과를 요청 서버(10)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출력 결과는 표출 단말기(30)로부터 처리 서버(20)를 거쳐 요청 서버(10)로 전송된다.
한편 본 발명의 외부 디스플레이 출력 시스템(1)은 단순히 처리 서버(20)가 출력 정보를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것뿐만 아니라, 출력 정보를 open API를 이용하여 간단한 형식으로 작성 및 전송할 수 있도록 한다. 즉 개발자는 표출 단말기(30) 출력을 위한 정보 전체를 만들 필요가 없으며 필수적인 요소들에 대한 입력만으로 정보를 형성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된 외부 디스플레이 출력 시스템(1)의 정보 출력 과정에 관한 흐름도이고, 도 4는 본 발명과 관련된 외부 디스플레이 출력 시스템의 정보 처리 흐름도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3 및 도 4를 함께 참조한다.
먼저, 서비스 제공자는 표출 단말기(30)에 특정 정보를 출력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들을 입력을 받기 위한 open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양식(form)을 제공한다(S310). 양식은 표출 단말기에 정보를 출력하기 위해 필수적으로 입력해야 하거나 선택적으로 요구할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서비스 제공자가 개발자에게 요구하는 것이다. 여기서 말하는 제공의 의미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서비스 제공자의 요구 양식이 개발자에게 전달되기만 하면 된다. 예를 들어, open API 양식은 별도의 파일을 통해 개발자에게 다운로드 될 수도 있으며, 또는 웹 페이지(web page) 상에서 공개될 수도 있다.
개발자는 서비스 제공자가 요구하는 open API 양식으로 출력할 정보 등을 전송해야 한다. Open API 양식에 근거하여 서비스 제공자에게 전송된 정보는 식별 및 출력을 위한 기반 정보가 된다. 이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후술한다.
특히, 개발자가 서비스 제공자에게 전송하는 open API는 rest(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 방식의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일 수 있다. Rest 방식의 API는 정보를 간편하게 전달 및 처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Rest API를 이용한 전송은 URI(Uniform Resource Identifier)를 기반으로 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자는 URI의 적어도 하나의 바이트(byte) 영역을 할당하여 각 바이트 영역에 입력할 수 있는, 또는 입력해야 하는 정보를 개발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특히, URI에는 식별 정보 및 출력 정보가 모두 포함될 수 있는데, 출력 정보는 XML 형태로 포함될 수 있다. 자세한 사항은 후술한다.
개발자는 생성된 전체 정보를 처리 서버(20)에 보내는데, 전체 정보는 식별 정보 및 출력 정보를 포함한다.
식별 정보는 요청 서버(10)가 처리 서버(20)에 미리 등록되어 있는 적절한 대상인지를 파악하기 위해 개발자에게 미리 할당하는 정보인 인증키 값과, 또 복수의 표출 단말기(30) 중 출력을 원하는 표출 단말기(30)을 지정하기 위한 지정 값을 포함한다. 처리 서버(20)는 인증키 값 및 지정 값 리스트를 포함하는 데이터 베이스(data base), 즉 등록된 정보를 갖는다. 요청 서버(10)로부터 수신된 인증키 값 및 지정 값은 등록된 정보와 비교되어 일치하는 경우 표출 단말기(30)로 출력 정보를 전송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 적절한지, 또 어떤 표출 단말기(30)로 전송할 것인지 결정한다.
출력 정보는 표출 단말기(30)에 출력할 출력 대상 및 출력 대상의 속성 값 등을 포함하는 정보이다. 예를 들어, 출력 대상이 텍스트인지, 이미지인지, 영상인지, 또 그러한 출력 대상이 어느 경로에 저장되어 있는지, 출력 대상을 표출 단말기(30) 디스플레이의 어느 위치에 어떤 크기로 출력할 것인지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식별 정보 및 출력 정보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알아본다.
식별 정보에 포함된 인증키 값은 정보의 출력을 요청해오는 요청 서버(10)가 이를 수행할 권한이 있는지 확인하는 절차에 사용된다. 이를 위해 서비스 제공자는 개발자에게 미리 서비스 가입을 받아 인증키 값을 할당할 수 있다. 인증키 값의 할당은 개발자 단위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또는 요청 서버(10) 단위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할당된 인증키 값은 처리 서버(20)의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될 수 있다.
식별 정보에 포함된 지정 값은 개발자가 출력하기를 원하는 대상 표출 단말기(30)를 지정하기 위한 정보를 의미한다. 서비스 제공자는 적어도 하나의 표출 단말기(30)에 지정 값을 할당해 놓고, 개발자가 특정 표출 단말기(30)를 지정하는 지정 값을 송신해 오면 이를 비교하여 일치하는 표출 단말기(30)에 정보를 출력시키는 과정을 수행한다. 단순히 요청 서버(10)가 전송한 지정 값이 표출 단말기(30)의 지정 값 리스트에 있는지 만을 확인할 수도 있으나, 경우에 따라 지정하려고 하는 표출 단말기(30)에 대한 요청 서버(10) 측의 권한이 있는지 까지도 확인할 수 있다.
출력 정보는 상술한 바와 같이 출력 대상과 출력 대상의 속성 값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출력 대상에 대한 정보는 출력 대상이 텍스트인지, 이미지인지, 또는 영상인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 출력 대상에 대한 정보는 해당 출력 대상, 즉 특정 컨텐츠 데이터 자체일 수도 있고, 또는 특정 저장 공간(예를 들어 요청 서버(10))으로부터 데이터를 로드(load)할 수 있는 호출 주소 값이 될 수도 있다.
컨텐츠에 대한 주소 값을 통해 컨텐츠를 불러오는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 컨텐츠의 데이터가 많은 경우에 무리 없이 출력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는 점에서 장점이 있다. 컨텐츠가 저장되어 표출 단말기(30)가 통신을 통해 로드할 외부 특정 서버는 개발자에 대응하는 요청 서버(10)인 것이 통상적일 것이나, 경우에 따라 요청 서버(10)가 아닌 다른 서버가 될 수도 있을 것이다.
출력 정보가 출력 대상 컨텐츠의 데이터 자체를 포함할 수도 있는데, 이는 출력할 컨텐츠가 텍스트와 같이 비교적 용량이 작은 경우에 적절할 것이다.
아래 표 1은 요청 서버(10)에서 처리 서버(20)로 전송되는 URI 형태의 식별 정보 및 출력 정보의 일 예이다.
http://211.35.76.209/request.php@authkey=<인증키>&destip=<목적지표출장비주소>&data=<?xml version="1.0" encoding="EUC-KR"?><flaticker><label id="1" x="80" y="180" xscale="100" yscale="100" text="테스트" delay="1" embedfont="true" font="malgun" size="10" color="100" border="true" autosize="100" width="100" height="100" align="center" wordwrap="true" tween="fly" tweensec="0" scroll="false" scrollheight="" bgcolor="" bgalpha="" blink="" remove="" dropshadowfilter="" usertween="" usertickerform="" /><image id="2" x="80" y="180" w="1180" h="430" tween="" url="http://test.com/funny.jpg" /><movie id="3" x="100" y="100" w="200 h="70" inputsrc="http://test.com/test.mp4" /></flaticker>
URI는 처리 서버(20)의 주소, 식별 정보 및 출력 정보를 위한 영역을 할당할 수 있다. “authkey”는 인증키 값을 나타냄을 알리는 식별자, “destip”은 지정 값을 나타냄을 알리는 식별자, “data”는 출력 정보를 나타냄을 알리는 식별자가 된다. 각 식별자 뒤에는 그에 대응하는 내용이 위치한다.
이때, 출력 정보는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로 형성된 데이터로 작성될 수 있다. 출력 정보는 식별 정보에 비해 상대적으로 양이 많고, 수정 등이 필요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URI 복수의 영역에 출력 정보의 세부적인 데이터를 일일이 입력하도록 프로토콜을 할당하는 것은 효율적이지 못하다. 따라서 URI의 넓은 하나의 영역을 할당하고, 해당 영역에 출력 정보에 대응하는 XML 정보가 위치하도록 프로토콜을 정의할 수 있다.
상기 [표 1]에서 출력 정보를 포함하는 XML 정보는 아래 [표 2]가 된다.
<?xml version="1.0" encoding="EUC-KR"?>
<flaticker>
<label id="1" x="80" y="180" xscale="100" yscale="100" text="테스트" delay="1" embedfont="true" font="malgun" size="10" color="100" border="true" autosize="100" width="100" height="100" align="center" wordwrap="true" tween="fly" tweensec="0" scroll="false" scrollheight="" bgcolor="" bgalpha="" blink="" remove="" dropshadowfilter="" usertween="" usertickerform="" />
<image id="2" x="80" y="180" w="1180" h="430" tween="" url="http://test.com/funny.jpg" />
<movie id="3" x="100" y="100" w="200 h="70" inputsrc="http://test.com/test.mp4" />
</flaticker>
이중 주요 내용만 살펴보면, ‘label’ 항목을 통해 “test”라는 텍스트가 출력 대상임을, 이 텍스트를 표출 단말기(30) 디스플레이 상의 x, y 좌표 (80, 180)에 출력하라는 정보가 출력 대상의 속성 값임을 알 수 있다. 마찬가지로 ‘image’ 항목을 통해 “http://test.com/funny.jpg” 의 주소로 호출 가능한 이미지가 출력 대상임을, 이 이미지를 표출 단말기(30) 디스플레이 상의 x, y좌표 (80, 180)에 가로 해상도 1180, 세로 해상도 430으로 출력하라는 정보가 출력 대상의 속성 값임을 알 수 있다. 또, ‘movie’ 항목을 통해 “http://test.com/test.mp4” 의 주소로 호출 가능한 영상이 출력 대상임을, 이 영상을 표출 단말기(30) 디스플레이 상의 x, y좌표 (100, 100)에 가로 해상도 200, 세로 해상도 70으로 출력하라는 정보가 출력 대상의 속성 값임을 알 수 있다.
처리 서버(20)는, 요청 서버(10)로부터 식별 정보 및 출력 정보를 수신한다(S320). 처리 서버(2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수신한 식별 정보가 등록된 정보와 일치하는지 판단하고(S330), 판단 결과 일치하는 경우 출력 정보를 표출 단말기(30)에 전송된다(S340). 요청 서버(10)와 처리 서버(20) 사이에서 전송되는 출력 정보 및 처리 서버(20)와 표출 단말기(30) 사이에서 전송되는 출력 정보는 모두 XML 형태일 수 있다. 다만 요청 서버(10)와 처리 서버(20) 사이에서는 rest API를 이용하여 전송되는 반면, 처리 서버(20)와 표출 단말기(30) 사이에서는 상호 정의된 별도의 프로토콜을 이용해 전송되는 점에서 가장 큰 차이가 있다. 또한 요청 서버(10)와 처리 서버(20) 사이에서는 출력 정보가 식별 정보와 함께 전송되나, 처리 서버(20)와 표출 단말기(30) 사이에서는 출력 정보만이 전송된다는 점에서 원칙적으로 상이한 특징을 가진다. 이는 상술한 바와 같다.
전송될 표출 단말기(30)는 지정 값의 지정에 따라 정해진다. 만약 지정 값이 복수의 표출 단말기(30)를 지정하는 복수의 값인 경우, 지정된 복수의 표출 단말기(30)에 출력 정보가 전송될 수 있다. 일 예로, 인접한 멀티 비전(multi vision) 형태로 구비된 복수의 표출 단말기(30)가 있는 경우, 이러한 복수의 표출 단말기(30)에 동시에 컨텐츠를 출력하도록 하여 멀티 비전 디스플레이를 구현할 수도 있다.
표출 단말기(30)와 처리 서버(20)의 통신에 있어서, 통신 대상이 되는 표출 단말기(30)가 NAT 뒷 단에 위치하는 경우, 다시 말해 표출 단말기(30)가 사설망(private network)에 구비되는 경우 원활한 통신을 수행할 수 없으므로 표출 단말기(30)에는 처리 서버(20)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 프로그램이 설치되어야 한다. 따라서 서비스 제공자는 이를 확인하고 통신 프로그램을 설치하는 단계를 사전에 수행할 수 있다.
한편 NAT 뒷 단에 위치하지 않는 표출 단말기(30), 즉 공인망(public network)에 구비되는 표출 단말기(30)와 통신하는 경우 별도의 통신 프로그램의 설치 없이 곧바로 통신이 가능하다.
처리 서버(20)와의 통신을 통해 표출 단말기(30)에 송신된 출력 정보는 표출 단말기(30)에서 파싱(parsing)되고 이의 결과로서 출력을 위한 데이터가 추출될 수 있다(S350). 추출된 데이터는 출력 대상 및 출력 대상의 속성 값 등을 포함하며 파싱 프로그램 상에서 실행될 수 있는 함수 등을 포함하는 소스 코드 상태가 된다.
추출된 데이터는 표출 단말기(30)에 구비된 파싱 프로그램에서 실행될 수 있다. 또는 파싱 프로그램과 구분되는 별도의 프로그램에서 실행될 수도 있다. 추출된 데이터가 정보 출력의 조건들을 만족하는 적절한 데이터이면 적절한 컨텐츠로 표출 단말기(30)에 출력될 것이며, 추출한 데이터가 적절하지 않으면 컨텐츠 출력은 실패할 것이다.
표출 단말기(30) 상에서 출력 대상이 출력될 시기는 다음과 같은 몇 가지 방식들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첫째로, 출력 시간은 요청 서버(10)에서 제어될 수 있다. 식별 정보 또는 출력 정보에 출력 대상 출력의 시기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지 않고, 요청 서버(10)에서 식별 정보 및 출력 정보의 송신이 발생하면 상기 과정들을 순차적으로 수행하여 표출 단말기(30)로 실시간으로 출력하는 것이다. 이 경우 요청 서버(10)는 원하는 시점에 원하는 출력 대상을 출력시키기 위하여 식별 정보 및 출력 정보를 적시에 처리 서버(20)로 보내는 스케줄러를 구비할 수 있다.
둘째로, 출력 시간은 표출 단말기(30)에서 제어될 수 있다. 요청 서버(10)는 식별 정보와 출력 정보를 보내되, 출력 정보에는 출력 시간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다만 출력 시간 정보는 할당된 XML 영역에 포함되는 것이 아니라 별도의 영역에 형성되어 처리 서버(20)는 출력 시간 정보 및 XML 영역의 출력 정보를 모두를 표출 단말기(30)에 송신할 수 있다. 표출 단말기(30)는 출력 시간 정보에 따라 출력 정보를 처리하여 출력 시킬 수 있다.
표출 단말기(30)의 출력 결과는 요청 서버(10)에 전달된다. 이때, 요청 서버(10)와 표출 단말기(30)는 서로 직접 통신되지 않으므로 처리 서버(20)를 통해 전달되어야 한다. 따라서, 출력 결과는 표출 단말기(30)에서 처리 서버(20)로 전송되고, 처리 서버(20)는 이 출력 결과를 전송받아 다시 요청 서버(10)로 전송한다.
뿐만 아니라 요청 서버(10)는 정보의 각 전달 또는 처리 과정의 결과에 대해서도 수신할 수 있다. 즉, 요청 서버(10)에서 송신한 식별 정보와 출력 정보가 처리 서버(20)에 정상적으로 도달했는지, 또 이것이 적절한 정보에 해당하는지, 처리 서버(20)에서 표출 단말기(30)로 출력 정보를 정상적으로 송신하고 표출 단말기(30)가 정상적으로 수신하였는지, 파싱 프로그램에 의해 출력 정보가 정상적으로 파싱되었는지 등의 결과 중 적어도 하나를 받아 볼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하다.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10)

  1. 제공된 open API에 대응하는 식별 정보 및 출력 정보를 요청 서버로부터 처리 서버로 전송되는 단계;
    상기 처리 서버로 전송된 식별 정보가 등록된 정보와 일치하는지 판단되는 단계;
    상기 전송된 식별 정보가 등록된 정보와 일치하는 경우 상기 출력 정보는 표출 단말기에 전송되는 단계;
    상기 표출 단말기로 전송된 출력 정보가 파싱(parsing)되는 단계;
    상기 파싱에 의해 추출된 데이터가 상기 표출 단말기에 의해 실행되는 단계;
    상기 실행에 의한 출력 결과가 상기 처리 서버에 전송되는 단계; 및
    상기 처리 서버에 전송된 출력 결과가 상기 요청 서버로 전송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외부 디스플레이 출력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정보는,
    등록된 요청 서버임을 나타내는 인증키 값; 및
    출력 대상이 될 표출 단말기를 지정하는 지정 값을 포함하고,
    상기 출력 정보는,
    텍스트, 이미지 및 영상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컨텐츠 정보를 포함하는 외부 디스플레이 출력 방법.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정보는, 외부 특정 서버에 저장된 컨텐츠를 호출하는 주소 값을 포함하는 외부 디스플레이 출력 방법.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특정 서버는 상기 요청 서버인 외부 디스플레이 출력 방법.
  5.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정 값은 복수의 표출 단말기를 지정하는 복수의 값인 외부 디스플레이 출력 방법.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정보는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 형태인 외부 디스플레이 출력 방법.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출 단말기에 상기 출력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표출 단말기가 NAT 뒷 단에 설치된 표출 단말기인지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표출 단말기가 NAT 뒷 단에 설치된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표출 단말기에 설치된 통신 프로그램을 통해 상기 처리 서버로부터 상기 표출 단말기로 상기 출력 정보가 전송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외부 디스플레이 출력 방법.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출 단말기로 하여금 상기 전송한 출력 정보를 파싱(parsing)하도록 하는 단계는,
    상기 표출 단말기에 설치된 파싱 프로그램을 통해 상기 표출 단말기로 전송된 출력 정보를 파싱하는 외부 디스플레이 출력 방법.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요청 서버에서 상기 처리 서버로 전송되는 상기 식별 정보 및 상기 출력 정보는 rest API 형태로 전송되는 외부 디스플레이 출력 방법.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출 단말기는 디지털 사이니지(Digital Signage)를 포함하는 외부 디스플레이 출력 방법.
KR1020190024470A 2019-03-04 2019-03-04 외부 디스플레이 출력 방법 KR1021937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4470A KR102193780B1 (ko) 2019-03-04 2019-03-04 외부 디스플레이 출력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4470A KR102193780B1 (ko) 2019-03-04 2019-03-04 외부 디스플레이 출력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6240A true KR20200106240A (ko) 2020-09-14
KR102193780B1 KR102193780B1 (ko) 2021-01-08

Family

ID=724715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4470A KR102193780B1 (ko) 2019-03-04 2019-03-04 외부 디스플레이 출력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3780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51065A (ko) * 2012-10-19 2014-04-3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디지털 사이니지 컨텐츠 재생 증명 방법
KR20140096419A (ko) * 2013-01-25 2014-08-06 한국과학기술원 디지털 사이니지와 모바일 단말 간의 콘텐츠 연계를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20150113804A (ko) * 2014-03-31 2015-10-08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 및 모바일 연동 방법
KR20160001865A (ko) * 2014-06-27 2016-01-07 홍종덕 디지털 사이니지를 이용한 모바일 게임 홍보 방법
KR20170038559A (ko) * 2015-09-30 2017-04-07 주식회사 이지아이앤씨 디지털 사이니지 운영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KR20180057477A (ko) * 2016-11-21 2018-05-30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구동되는 컨텐츠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과,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에 포함되는 서버 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51065A (ko) * 2012-10-19 2014-04-3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디지털 사이니지 컨텐츠 재생 증명 방법
KR20140096419A (ko) * 2013-01-25 2014-08-06 한국과학기술원 디지털 사이니지와 모바일 단말 간의 콘텐츠 연계를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20150113804A (ko) * 2014-03-31 2015-10-08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 및 모바일 연동 방법
KR20160001865A (ko) * 2014-06-27 2016-01-07 홍종덕 디지털 사이니지를 이용한 모바일 게임 홍보 방법
KR20170038559A (ko) * 2015-09-30 2017-04-07 주식회사 이지아이앤씨 디지털 사이니지 운영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KR20180057477A (ko) * 2016-11-21 2018-05-30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구동되는 컨텐츠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과,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에 포함되는 서버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3780B1 (ko) 2021-0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311983B (zh) 服务请求的处理方法、装置、系统、电子设备及存储介质
US20210084085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ivate media casting on a shared network
KR20220167388A (ko) 데이터 처리 방법, 장치, 컴퓨터 디바이스, 및 저장 매체
JP2014182411A (ja) 情報処理装置、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処理実行方法及び処理実行プログラム
US20190220329A1 (en) Multi-application-oriented user data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CN112612449A (zh) 一种网页页面的同步方法及装置、设备、存储介质
US20080162644A1 (en) Auto selection of connectors in a middleware framework
CN114157710A (zh) 通信策略配置方法、装置、存储介质及设备
CN113238756B (zh) 直播业务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US20200045205A1 (en) Relay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US20130169733A1 (en)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api for sharing contents
US11711411B2 (en) Method for transparent zero-copy distribution of data to DDS applications
KR102193780B1 (ko) 외부 디스플레이 출력 방법
US20160156722A1 (en) Resource migration method and apparatus
CN116756227A (zh) 基于通用协议的接入全平台广告的系统
US20060224700A1 (en) Multipart response generation
JP2008177950A (ja) 映像配信システムおよび映像配信方法ならびに配信管理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KR102362899B1 (ko) 컨퍼런스 시스템 및 상기 시스템에서의 대역폭 조절 방법
US11262956B2 (en) Communication system, server system, and terminal apparatus
US11277457B2 (en) Image processing method, server, client and image processing system
US11297019B2 (en) Message notification device, content management system,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CN114546370A (zh) 一种数据对接方法及相关装置
CN113900764A (zh) 页面数据获取方法、页面数据展示方法及装置
KR101906413B1 (ko) 통신 시스템에서 개인 정보를 갱신하는 방법 및 장치
US20200092385A1 (en) Information provision control system and information provision control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