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96419A - 디지털 사이니지와 모바일 단말 간의 콘텐츠 연계를 위한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디지털 사이니지와 모바일 단말 간의 콘텐츠 연계를 위한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96419A
KR20140096419A KR1020130008428A KR20130008428A KR20140096419A KR 20140096419 A KR20140096419 A KR 20140096419A KR 1020130008428 A KR1020130008428 A KR 1020130008428A KR 20130008428 A KR20130008428 A KR 20130008428A KR 20140096419 A KR20140096419 A KR 201400964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gital signage
content
information
signage
identifica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84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97790B1 (ko
Inventor
김기성
이수빈
정성관
박준영
김상식
신용철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300084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7790B1/ko
Publication of KR201400964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64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77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77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7Wireless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4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different network devices
    • H04W92/10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different network devices between terminal device and access point, i.e. wireless air interface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디지털 사이니지와 모바일 단말 간의 콘텐츠 연계를 위한 방법 및 시스템이 개시된다. 사이니지 콘텐츠 연계 방법은, 주변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디지털 사이니지(digital signage)의 식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와 관련된 사이니지 연계 서버로 상기 획득한 식별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사이니지 연계 서버로부터 상기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디지털 사이니지에서 재생되고 있는 콘텐츠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지털 사이니지와 모바일 단말 간의 콘텐츠 연계를 위한 방법 및 시스템{APPARATUS AND SYSTEM FOR DELIVERING DIGITAL SIGNAGE CONTENTS TO MOBILE DEVICE}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디지털 사이니지와 모바일 단말 간의 콘텐츠 연계를 위한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사이니지(Digital Signage)란, 기업들의 마케팅, 광고, 트레이닝 효과 및 고객 경험을 유도할 수 있는 커뮤니케이션 툴로, 공항이나 호텔, 병원 등 공공장소에서 방송 프로그램뿐만 아니라 특정한 정보를 제공하는 디지털 영상 장치로 정의될 수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9-0085506호(공개일 2009년 08월 07일)에는 다수의 데이터 소스들로부터 수집된 데이터를 다수의 디스플레이들로 유포하기 위한 디지털 사이니지 네트워크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디지털 사이니지의 구체적 적용 예로는 일반기업, 관공서 등에 설치되어 내방객에게 홍보영상이나 게시판을 제시하고 필요 시 내방처의 구체적 참여에 의한 데이터 가공/편집이 가능하게 하는 것을 들 수 있다. 다른 예로 디지털 사이니지는 공항이나 터미널과 같은 공공시설 등에서 사용이 가능하고, 메뉴, 티켓팅 등 사용자에게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광고 수단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디지털 사이니지를 이용한 현재의 광고 방식은 대부분의 사용자들이 사이니지를 통해 접하게 된 콘텐츠를 그저 보고 지나치거나, 관심이 있다고 해도 오래 기억하기는 어렵다. 특히, 이러한 문제는 디지털 사이니지가 사용자들이 많고 이동이 잦은 곳, 예컨대 길거리나 지하보도 등에 설치되어 있다면 더욱 현저히 나타나게 된다.
본 명세서에서는 디지털 사이니지에 표시된 정보를 사용자가 쉽게 취득할 수 있는 기술을 제안한다.
사용자가 관심 있는 디지털 사이니지에 편리하게 접근할 수 있는 사이니지 콘텐츠 연계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
스마트 단말을 이용하여 디지털 사이니지에 표시된 정보를 쉽게 취득할 수 있는 사이니지 콘텐츠 연계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이니지 콘텐츠 연계 방법은, 주변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디지털 사이니지(digital signage)의 식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와 관련된 사이니지 연계 서버로 상기 획득한 식별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사이니지 연계 서버로부터 상기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디지털 사이니지에서 재생되고 있는 콘텐츠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의 식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에서 주기적으로 보내는 비컨 메시지(beacon message)를 수집하는 단계; 및 상기 비컨 메시지로부터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를 식별하기 위한 MAC 주소(media access control address)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의 식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복수의 AP(access point)에서 주기적으로 보내는 비컨 메시지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비컨 메시지로부터 SSID(service set identifier)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SSID를 이용하여 상기 수집된 비컨 메시지 중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에서 보낸 비컨 메시지를 구분하는 단계; 및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에서 보낸 비컨 메시지로부터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를 식별하기 위한 MAC 주소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콘텐츠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는 단계는, 상기 사이니지 연계 서버로부터 상기 콘텐츠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콘텐츠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정보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로 상기 콘텐츠를 공급하는 콘텐츠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콘텐츠를 제공받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콘텐츠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콘텐츠의 썸네일(thumbnail) 이미지 및 링크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콘텐츠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콘텐츠에 대한 정보를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의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 순으로 정렬하여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이니지 콘텐츠 연계 시스템은, 주변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디지털 사이니지의 식별 정보를 획득하는 획득부;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와 관련된 사이니지 연계 서버로 상기 획득한 식별 정보를 전송하는 통신부; 및 상기 사이니지 연계 서버로부터 상기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디지털 사이니지에서 재생되고 있는 콘텐츠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는 제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이니지 콘텐츠 연계 서버는, 디지털 사이니지로 공급되는 콘텐츠에 대한 정보 및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의 식별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및 모바일 단말로부터 상기 모바일 단말의 주변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디지털 사이니지의 식별 정보를 수신한 후, 상기 수신된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디지털 사이니지에서 재생되고 있는 콘텐츠에 대한 정보를 상기 모바일 단말로 제공하는 제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이니지 콘텐츠 연계 시스템은, 콘텐츠를 재생하는 디지털 사이니지;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로 상기 콘텐츠를 공급하는 콘텐츠 서버;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의 식별 정보 및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에서 재생되고 있는 콘텐츠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사이니지 연계 서버; 및 주변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디지털 사이니지의 식별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획득한 식별 정보를 상기 사이니지 연계 서버로 전송한 후, 이에 상기 사이니지 연계 서버로부터 상기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디지털 사이니지에서 재생되고 있는 콘텐츠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고, 상기 정보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콘텐츠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콘텐츠를 제공받는 모바일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모바일 단말을 이용하여 디지털 사이니지에서 재생되고 있는 콘텐츠에 언제든지 접근할 수 있어 광고주 입장에서는 광고 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고 사용자 입장에서는 원하는 정보를 보다 손쉽게 취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디지털 사이니지와 모바일 단말 간의 콘텐츠 연계를 위한 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모바일 단말을 이용하여 디지털 사이니지의 콘텐츠에 접근하는 사이니지 콘텐츠 연계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모바일 단말에서 주변 디지털 사이니지의 콘텐츠 목록을 표시하는 서비스 화면을 도시한 예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모바일 단말을 이용하여 디지털 사이니지의 콘텐츠에 접근하는 사이니지 콘텐츠 연계 시스템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모바일 단말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관심 있는 디지털 사이니지의 콘텐츠에 편리하게 접근할 수 있는 사이니지 콘텐츠 연계 방법 및 시스템을 제안한다.
본 명세서에서, '디지털 사이니지'는 공공장소에 설치되어 각종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디지털 매체를 의미할 수 있으며, '콘텐츠'는 인터넷이나 컴퓨터 통신 등을 통하여 정보 전달을 목적으로 제공되는 각종 정보나 그 내용물을 통틀어 이르는 개념이다. 그리고, '모바일 단말'은 이동 단말기로서 스마트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 방송용 단말기, MP3 플레이어, 태블릿(table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내비게이션 등과 같이 휴대성 또는 이동성을 갖는 단말기라면 어떠한 단말기도 가능하다. 또한, '통신 네트워크'는 유선 및 무선 등과 같은 그 통신 양태를 가리지 않고 구성될 수 있으며, 단거리 통신망(PAN; Personal Area Network),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도시권 통신망(MAN; Metropolitan Area Network), 광역 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 등 다양한 통신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한 통신 네트워크로는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적외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등과 같이 단거리 통신에 이용되는 무선 전송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디지털 사이니지와 모바일 단말 간의 콘텐츠 연계를 위한 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콘텐츠 서버(120)는 디지털 사이니지(110)를 대상으로 콘텐츠를 공급하는 서버 시스템을 의미할 수 있다. 이때, 콘텐츠 서버(120)는 소정의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의 디지털 사이니지(110)로 콘텐츠를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한 콘텐츠 서버(120)는 각 콘텐츠에 해당되는 모바일 콘텐츠 데이터를 저장 및 유지하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콘텐츠 서버(120)는 디지털 사이니지(110) 각각에 대하여 콘텐츠 재생 스케줄을 관리할 수 있으며 각 디지털 사이니지(110)에 대한 정보를 저장 및 유지할 수 있다. 디지털 사이니지(110)에 대한 정보에는 각 디지털 사이니지(110)의 위치, 스크린 종류, LAN 카드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사이니지 연계 서버(130)는 사용자를 대상으로 디지털 사이니지(110)에 대한 연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사이니지 연계 서버(130)는 콘텐츠 서버(120)와의 연동을 통해 디지털 사이니지(110) 각각에 대하여 디지털 사이니지(110)에서 재생되는 콘텐츠에 대한 정보 및 각 디지털 사이니지(110)의 식별 정보(예컨대, MAC 정보)를 저장 및 유지하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콘텐츠에 대한 정보에는 콘텐츠 명, 썸네일 이미지(thumbnail image), 모바일 콘텐츠 링크 주소(mobile web link address)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 및 이하의 실시예에서는 사이니지 연계 서버(130)가 콘텐츠 서버(120)와 별개의 시스템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서비스 구현이나 필요에 따라 콘텐츠 서버(120)와 사이니지 연계 서버(130)가 하나의 시스템으로 구현될 수 있다.
디지털 사이니지(110)는 콘텐츠 서버(120)로부터 콘텐츠를 공급 받으며 해당 콘텐츠를 정해진 시간에 재생할 수 있다. 특히, 디지털 사이니지(110)는 모바일 단말(100)과의 연계를 위하여 무선 통신이 가능한 모듈(예컨대, 와이-파이, 블루투스, 지그비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디지털 사이니지(110)에 구비된 무선 통신 모듈은 주기적으로 비컨 메시지를 보낼 수 있다.
모바일 단말(100)은 디지털 사이니지(110)에 표시되는 정보를 취득하기 위한 주체를 의미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모바일 단말(100)은 디지털 사이니지(110)에 설치된 무선 통신 모듈과 같은 통신 기능을 가질 수 있으며, 콘텐츠 서버(120) 및 사이니지 연계 서버(130)와의 통신이 가능한 통신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더욱이, 모바일 단말(100)은 사용자가 관심 있는 디지털 사이니지(110)와 콘텐츠 연계를 위한 전용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이하, '사이니지 연동 앱'이라 칭함)을 가질 수 있다.
상기한 시스템 환경을 가정할 때 다음과 같은 과정을 거치게 된다.
1. 사용자는 이동 중에 디지털 사이니지(110)를 발견한다.
2. 디지털 사이니지(110)에서 재생되고 있는 콘텐츠에 관심을 가진 사용자는 좀 더 자세한 정보를 담아가기 위해 자신의 모바일 단말(100)을 꺼내 사이니지 연동 앱을 실행한다.
3. 모바일 단말(100)은 사이니지 연동 앱을 통해 주변에 위치하는 디지털 사이니지(110)의 식별 정보를 획득하여 사이니지 연계 서버(130)로 전달한다.
4. 사이니지 연계 서버(130)는 모바일 단말(100)로부터 전달 받은 식별 정보를 통해 사용자 주변의 디지털 사이니지(110)를 구별한 후 해당 디지털 사이니지(110)에서 재생되고 있는 콘텐츠에 대한 정보를 모바일 단말(100)로 전송한다.
5. 모바일 단말(100)은 사이니지 연동 앱을 통해 사이니지 연계 서버(130)로부터 받은 사이니지 콘텐츠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6. 모바일 단말(100)은 사이니지 연동 앱을 통해 상기 정보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사용자가 선택한 정보의 콘텐츠를 콘텐츠 서버(120)로 요청한 후, 이에 콘텐츠 서버(120)로부터 받은 해당 콘텐츠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관심 있는 디지털 사이니지와 해당 사용자의 개인 모바일 단말 간에 콘텐츠 연계를 지원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사이니지 콘텐츠 연계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이때, 디지털 사이니지(110)는 모바일 단말(100)과 연계하기 위한 통신 모듈로 와이-파이를 사용한다고 가정한다.
콘텐츠 서버(120)는 콘텐츠 재생 스케줄에 따른 소정의 콘텐츠를 원격의 디지털 사이니지(110)로 제공한다(S201). 이에, 디지털 사이니지(110)에서는 콘텐츠 서버(120)로부터 제공 받은 콘텐츠를 정해진 시간에 재생할 수 있다(S202).
사용자는 관심 있는 콘텐츠가 재생되고 있는 디지털 사이니지(110)를 발견한 경우 모바일 단말(100) 상의 사이니지 연동 앱을 실행한다(S203).
디지털 사이니지(110)는 주기적으로 비컨 메시지를 보내며(S204), 이에 모바일 단말(100)의 사이니지 연동 앱에서는 와이-파이 스캔(scan)을 통해 비컨 메시지를 수집하여 해당 메시지를 분석할 수 있다(S205). 이때, 사이니지 연동 앱은 비컨 메시지로부터 SSID(service set identifier), MAC 주소(media access control address),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 등의 값들을 추출할 수 있다.
사이니지 연동 앱은 주변 AP들로부터 받은 비컨 메시지 중 디지털 사이니지(110)로부터 온 신호를 구분하기 위해 비컨 메시지에서 추출된 SSID를 이용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디지털 사이니지(110)에 대하여 SSID의 프리픽스(prefix)가 일정하게 고정되며, 이에 사이니지 연동 앱에서는 사전에 정의된 SSID 규칙을 이용하여 디지털 사이니지(110)를 제외한 일반 AP에서 온 신호들을 필터링 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100)의 사이니지 연동 앱에서는 SSID에 따라 구분된 디지털 사이니지(110)의 비컨 메시지에서 추출한 MAC 값을 사이니지 연계 서버(130)로 전송한다(S206). 이때, 모바일 단말(100)의 주변에 디지털 사이니지(110)가 여러 대 위치하고 있다면 여러 개의 MAC 값을 사이니지 연계 서버(130)로 전송하게 된다.
사이니지 연계 서버(130)에서는 모바일 단말(100)의 사이니지 연동 앱으로부터 받은 MAC 값을 바탕으로 모바일 단말(100) 주변에 위치하는 디지털 사이니지(110)를 인식할 수 있으며(S207) 해당 디지털 사이니지(110)에서 재생되고 있는 콘텐츠에 대한 정보를 모바일 단말(100)로 전송한다(S208). 이때, 사이니지 연계 서버(130)는 인식된 사이니지의 콘텐츠에 대한 정보로서 콘텐츠의 썸네일 이미지와 링크 정보 등을 사용자의 사이니지 연동 앱으로 전송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100)의 사이니지 연동 앱에서는 단말 주변의 디지털 사이니지(110)에서 재생되고 있는 콘텐츠에 대한 정보를 사이니지 연계 서버(130)로부터 수신하여 해당 모바일 콘텐츠에 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S209). 이때, 사이니지 연동 앱에서는 사이니지 연계 서버(130)로부터 모바일 콘텐츠의 링크 정보와 썸네일 이미지를 받은 후 받은 모바일 콘텐츠에 대한 정보 목록을 상기 단계(S205)에서 추출된 RSSI 값을 바탕으로 정렬하여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일 예로, 사이니지 연동 앱에서는 사이니지 연계 서버(130)로부터 받은 모바일 콘텐츠가 여러 개일 경우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썸네일 이미지 목록(301)을 단말의 화면 상에 표시하되, 디지털 사이니지(110)에 대한 신호 세기에 따라 내림차순으로 정렬하여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썸네일 이미지 목록에서 디지털 사이니지(110)의 신호 세기가 가장 큰 것을 가장 두드러지게 또는 리스트의 가장 상단에 위치하도록 표시할 수 있다. 이에, 사용자는 모바일 단말(100)의 사이니지 연동 앱을 통해 표시된 썸네일 이미지 목록에서 자신이 관심을 가진 이미지를 선택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100)의 사이니지 연동 앱은 정보 목록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해당 정보의 링크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모바일 콘텐츠를 콘텐츠 서버(120)로 요청할 수 있으며(S210), 이에 콘텐츠 서버(120)는 요청된 모바일 콘텐츠를 모바일 단말(100)의 사이니지 연동 앱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S211).
상기한 사이니지 콘텐츠 연계 방법에 따르면, 사용자가 모바일 단말을 이용하여 관심 있는 사이니지의 콘텐츠에 보다 편리하게 접근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디지털 사이니지의 콘텐츠에 접근하는 사이니지 콘텐츠 연계 시스템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사이니지 콘텐츠 연계 시스템은 도 2를 통해 설명한 사이니지 콘텐츠 연계 방법에서 모바일 단말이 관여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하드웨어 주체일 수 있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사이니지 콘텐츠 연계 시스템(400)은 획득부(410), 통신부(420), 및 제공부(4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획득부(410)는 주변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디지털 사이니지의 식별 정보를 획득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획득부(410)는 디지털 사이니지에서 주기적으로 보내는 비컨 메시지를 수집한 후, 비컨 메시지로부터 디지털 사이니지를 식별하기 위한 MAC 주소를 추출할 수 있다. 더 나아가, 획득부(410)는 디지털 사이니지를 포함한 주변 AP들이 보내는 비컨 메시지를 수집하여 비컨 메시지로부터 SSID를 추출한 후, SSID를 이용하여 상기 수집된 비컨 메시지 중 디지털 사이니지에서 보낸 비컨 메시지를 구분할 수 있다. 즉, 획득부(410)는 사전에 정의된 SSID 규칙을 통해 디지털 사이니지에서 보낸 비컨 메시지를 구분하여 디지털 사이니지의 식별 정보로서 MAC 주소를 추출할 수 있다.
통신부(420)는 디지털 사이니지의 식별 정보, 즉 디지털 사이니지에서 보낸 비컨 메시지로부터 추출된 MAC 값을 사이니지 연계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사이니지 연계 서버에서는 모바일 단말로부터 받은 MAC 값을 바탕으로 해당 단말의 주변에 위치하는 디지털 사이니지를 인식할 수 있으며 해당 디지털 사이니지에서 재생되고 있는 콘텐츠에 대한 정보를 모바일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사이니지 연계 서버는 인식된 사이니지의 콘텐츠에 대한 정보로서 콘텐츠의 썸네일 이미지와 링크 정보 등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사이니지 연계 서버는 모바일 단말로부터 MAC 값이 수신된 시간을 기준으로 디지털 사이니지에서 현재 재생되고 있는 콘텐츠를 구별할 수 있다.
제공부(430)는 획득부(410)에서 획득한 식별 정보의 디지털 사이니지에서 재생되고 있는 콘텐츠에 대한 정보를 사이니지 연계 서버로부터 제공 받을 수 있다. 이때, 제공부(430)는 주변에 위치하는 디지털 사이니지에서 재생되고 있는 콘텐츠에 대한 정보를 사이니지 연계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해당 사이니지 콘텐츠에 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예로, 제공부(430)는 사이니지 연계 서버로부터 사이니지 콘텐츠에 대한 정보로서 해당 콘텐츠의 링크 정보와 썸네일 이미지를 받은 후 해당 정보 목록을 표시하되, 콘텐츠에 대한 정보가 복수 개인 경우 해당 정보 목록을 디지털 사이니지의 신호 세기 값(RSSI) 순으로 정렬하여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제공부(430)는 사이니지 콘텐츠에 대해 상기 표시된 정보 목록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정보의 링크 정보를 통해 해당 콘텐츠에 접근하여 재생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공부(430)는 정보 목록에서의 사용자 선택에 따라 해당 정보의 링크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모바일 콘텐츠를 콘텐츠 서버로 요청할 수 있으며, 이에 콘텐츠 서버로부터 받은 해당 모바일 콘텐츠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상기한 사이니지 콘텐츠 연계 시스템(400)은 모바일 단말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모바일 단말에 설치되는 사이니지 연동 앱은 도 4를 통해 설명한 상기한 구성의 동작들을 모바일 단말이 수행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어플리케이션은 어플리케이션 배포 시스템(미도시)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일례로, 어플리케이션 배포 시스템은 모바일 단말로 어플리케이션의 설치를 위한 파일을 전송하는 파일 전송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모바일 단말에 설치된 사이니지 연동 앱을 통해 사용자가 눈으로 확인한 사이니지의 재생 정보와 동일한 콘텐츠를 선택하여 손쉽게 자세한 정보에 접근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A(field programmabl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400: 사이니지 콘텐츠 연계 시스템
410: 획득부
420: 통신부
430: 제공부

Claims (15)

  1. 주변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디지털 사이니지(digital signage)의 식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와 관련된 사이니지 연계 서버로 상기 획득한 식별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사이니지 연계 서버로부터 상기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디지털 사이니지에서 재생되고 있는 콘텐츠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는 단계
    를 포함하는 사이니지 콘텐츠 연계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의 식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에서 주기적으로 보내는 비컨 메시지(beacon message)를 수집하는 단계; 및
    상기 비컨 메시지로부터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를 식별하기 위한 MAC 주소(media access control address)를 추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사이니지 콘텐츠 연계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의 식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복수의 AP(access point)에서 주기적으로 보내는 비컨 메시지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비컨 메시지로부터 SSID(service set identifier)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SSID를 이용하여 상기 수집된 비컨 메시지 중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에서 보낸 비컨 메시지를 구분하는 단계; 및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에서 보낸 비컨 메시지로부터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를 식별하기 위한 MAC 주소를 추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사이니지 콘텐츠 연계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는 단계는,
    상기 사이니지 연계 서버로부터 상기 콘텐츠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콘텐츠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정보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로 상기 콘텐츠를 공급하는 콘텐츠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콘텐츠를 제공받는 단계
    를 포함하는 사이니지 콘텐츠 연계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콘텐츠의 썸네일(thumbnail) 이미지 및 링크 정보를 수신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니지 콘텐츠 연계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콘텐츠에 대한 정보를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의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 순으로 정렬하여 표시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니지 콘텐츠 연계 방법.
  7. 주변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디지털 사이니지의 식별 정보를 획득하는 획득부;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와 관련된 사이니지 연계 서버로 상기 획득한 식별 정보를 전송하는 통신부; 및
    상기 사이니지 연계 서버로부터 상기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디지털 사이니지에서 재생되고 있는 콘텐츠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는 제공부
    를 포함하는 사이니지 콘텐츠 연계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부는,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에서 주기적으로 보내는 비컨 메시지를 수집한 후, 상기 비컨 메시지로부터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를 식별하기 위한 MAC 주소를 추출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니지 콘텐츠 연계 시스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부는,
    복수의 AP에서 주기적으로 보내는 비컨 메시지를 수집하여 상기 비컨 메시지로부터 SSID를 추출하고,
    상기 SSID를 이용하여 상기 수집된 비컨 메시지 중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에서 보낸 비컨 메시지를 구분한 후,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에서 보낸 비컨 메시지로부터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를 식별하기 위한 MAC 주소를 추출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니지 콘텐츠 연계 시스템.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부는,
    상기 사이니지 연계 서버로부터 상기 콘텐츠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콘텐츠에 대한 정보를 표시한 후, 상기 정보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로 상기 콘텐츠를 공급하는 콘텐츠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콘텐츠를 제공받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니지 콘텐츠 연계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부는,
    상기 콘텐츠의 썸네일 이미지 및 링크 정보를 수신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니지 콘텐츠 연계 시스템.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부는,
    상기 콘텐츠에 대한 정보를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의 RSSI 순으로 정렬하여 표시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니지 콘텐츠 연계 시스템.
  13. 디지털 사이니지로 공급되는 콘텐츠에 대한 정보 및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의 식별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및
    모바일 단말로부터 상기 모바일 단말의 주변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디지털 사이니지의 식별 정보를 수신한 후, 상기 수신된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디지털 사이니지에서 재생되고 있는 콘텐츠에 대한 정보를 상기 모바일 단말로 제공하는 제공부
    를 포함하는 사이니지 콘텐츠 연계 서버.
  14. 콘텐츠를 재생하는 디지털 사이니지;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로 상기 콘텐츠를 공급하는 콘텐츠 서버;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의 식별 정보 및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에서 재생되고 있는 콘텐츠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사이니지 연계 서버; 및
    주변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디지털 사이니지의 식별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획득한 식별 정보를 상기 사이니지 연계 서버로 전송한 후, 이에 상기 사이니지 연계 서버로부터 상기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디지털 사이니지에서 재생되고 있는 콘텐츠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고, 상기 정보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콘텐츠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콘텐츠를 제공받는 모바일 단말
    을 포함하는 사이니지 콘텐츠 연계 시스템.
  15. 컴퓨터 시스템이 디지털 사이니지의 콘텐츠를 연계하도록 제어하는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로서,
    상기 명령은,
    주변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디지털 사이니지의 식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와 관련된 사이니지 연계 서버로 상기 획득한 식별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사이니지 연계 서버로부터 상기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디지털 사이니지에서 재생되고 있는 콘텐츠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하여 상기 컴퓨터 시스템을 제어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KR1020130008428A 2013-01-25 2013-01-25 디지털 사이니지와 모바일 단말 간의 콘텐츠 연계를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1014977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8428A KR101497790B1 (ko) 2013-01-25 2013-01-25 디지털 사이니지와 모바일 단말 간의 콘텐츠 연계를 위한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8428A KR101497790B1 (ko) 2013-01-25 2013-01-25 디지털 사이니지와 모바일 단말 간의 콘텐츠 연계를 위한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6419A true KR20140096419A (ko) 2014-08-06
KR101497790B1 KR101497790B1 (ko) 2015-03-06

Family

ID=517442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8428A KR101497790B1 (ko) 2013-01-25 2013-01-25 디지털 사이니지와 모바일 단말 간의 콘텐츠 연계를 위한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7790B1 (ko)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8905B1 (ko) * 2015-02-11 2016-06-10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디지털 사이니지 및 디지털 사이니지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KR20160116649A (ko) * 2015-03-31 2016-10-10 주식회사 실리콘큐브 디지털 광고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디지털 광고 방법
KR20160125274A (ko) * 2015-04-21 2016-10-31 한국과학기술원 iBeacon 기반의 단말 간 3차원 상대위치 인식 방법 및 시스템
KR20160131713A (ko) 2015-05-08 2016-11-16 전자부품연구원 주변 기기 연동형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
KR20160133700A (ko) 2015-05-13 2016-11-23 전자부품연구원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의 광고 표출방법
KR20170059126A (ko) * 2015-11-20 2017-05-3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스마트 사이니지를 활용한 멀티비전 서비스 방법
WO2017095193A1 (ko) * 2015-12-04 2017-06-08 삼성전자 주식회사 사용자 맞춤형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80016051A (ko) * 2016-08-05 2018-02-14 주식회사 케이티 맞춤형 컨텐츠를 제공하는 체크인 서버, 미디어 플랫폼 서버 및 미디어 재생 장치
KR20180061704A (ko) 2016-11-30 2018-06-08 (주)비젼텔리넷 지역별 관광광고 정보제공 시스템
KR20200106240A (ko) * 2019-03-04 2020-09-14 베이소프트매트릭스 주식회사 외부 디스플레이 출력 방법
KR102252233B1 (ko) * 2020-05-25 2021-05-13 (주) 알트소프트 사이니지용 콘텐츠 및 확장 콘텐츠를 이용해 로컬 사이니지 및 사용자 단말기에 광고를 제공하는 광고 서비스 시스템
KR102324135B1 (ko) * 2020-06-30 2021-11-09 (주) 알트소프트 확장 콘텐츠를 이용하는 광고 중개 플랫폼 시스템
WO2022234936A1 (ko) * 2021-05-07 2022-11-10 (주) 알트소프트 로컬 사이니지와 가상 로컬박스에 동시에 광고를 업로드하는 광고 서비스 시스템
KR102596390B1 (ko) * 2023-03-20 2023-11-01 주식회사 화컴 근거리 통신기술을 활용한 디지털 사이니지 연동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9200B1 (ko) * 2018-07-19 2019-02-18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IoT·가시광통신이 결합된 스마트 IoL 모듈을 통한 키오스크형 멀티정보데이터 송수신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24970B2 (en) * 2004-10-26 2007-05-29 Motorola, Inc. Method of scanning for beacon transmissions in a WLAN
WO2008048008A1 (en) * 2006-10-16 2008-04-24 Jason R & D Co., Ltd. System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to be added to contents and method for using the same
KR20110049976A (ko) * 2009-11-06 2011-05-13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Wpan 기술을 이용한 양방향 통합 광고 시스템 및 방법
KR101240747B1 (ko) * 2010-06-29 2013-03-11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동작 감지 신호 기반의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에 사용되는 키오스크 장치 및 모바일 기기

Cited B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8905B1 (ko) * 2015-02-11 2016-06-10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디지털 사이니지 및 디지털 사이니지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KR20160116649A (ko) * 2015-03-31 2016-10-10 주식회사 실리콘큐브 디지털 광고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디지털 광고 방법
KR20160125274A (ko) * 2015-04-21 2016-10-31 한국과학기술원 iBeacon 기반의 단말 간 3차원 상대위치 인식 방법 및 시스템
KR20160131713A (ko) 2015-05-08 2016-11-16 전자부품연구원 주변 기기 연동형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
KR20160133700A (ko) 2015-05-13 2016-11-23 전자부품연구원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의 광고 표출방법
KR20170059126A (ko) * 2015-11-20 2017-05-3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스마트 사이니지를 활용한 멀티비전 서비스 방법
WO2017095193A1 (ko) * 2015-12-04 2017-06-08 삼성전자 주식회사 사용자 맞춤형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70066065A (ko) * 2015-12-04 2017-06-14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맞춤형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80016051A (ko) * 2016-08-05 2018-02-14 주식회사 케이티 맞춤형 컨텐츠를 제공하는 체크인 서버, 미디어 플랫폼 서버 및 미디어 재생 장치
KR20180061704A (ko) 2016-11-30 2018-06-08 (주)비젼텔리넷 지역별 관광광고 정보제공 시스템
KR20200106240A (ko) * 2019-03-04 2020-09-14 베이소프트매트릭스 주식회사 외부 디스플레이 출력 방법
KR102252233B1 (ko) * 2020-05-25 2021-05-13 (주) 알트소프트 사이니지용 콘텐츠 및 확장 콘텐츠를 이용해 로컬 사이니지 및 사용자 단말기에 광고를 제공하는 광고 서비스 시스템
WO2021241948A1 (ko) * 2020-05-25 2021-12-02 (주) 알트소프트 사이니지용 콘텐츠 및 확장 콘텐츠를 이용해 로컬 사이니지 및 사용자 단말기에 광고를 제공하는 광고 서비스 시스템
KR102324135B1 (ko) * 2020-06-30 2021-11-09 (주) 알트소프트 확장 콘텐츠를 이용하는 광고 중개 플랫폼 시스템
WO2022234936A1 (ko) * 2021-05-07 2022-11-10 (주) 알트소프트 로컬 사이니지와 가상 로컬박스에 동시에 광고를 업로드하는 광고 서비스 시스템
KR102596390B1 (ko) * 2023-03-20 2023-11-01 주식회사 화컴 근거리 통신기술을 활용한 디지털 사이니지 연동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97790B1 (ko) 2015-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97790B1 (ko) 디지털 사이니지와 모바일 단말 간의 콘텐츠 연계를 위한 방법 및 시스템
CN108074129B (zh) 数字标牌及其控制方法
CN106471539A (zh) 用于混淆受众测量的系统和方法
CN104981773A (zh) 管理客户端设备上的应用
JP2012098598A (ja) 広告提供システム、広告提供管理装置、広告提供管理方法および広告提供管理プログラム
KR101838283B1 (ko) 양방향 디지털 사이니지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120091958A (ko) 지역 광고 시스템 및 지역 광고 가격 산출 방법
JP2022513362A (ja) 画像処理方法、装置、デバイス、および記憶媒体
JP2009245364A (ja) 広告管理システム、広告管理装置、広告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004516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ersonalizing public devices
JP2017058765A (ja) 情報提供装置、情報提供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提供方法
JP2014192587A (ja) 情報配信装置、情報配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2135146B1 (ko) 디지털 사이니지 관리 방법 및 그 장치
JP2010170426A (ja) 広告情報配信システム、広告情報配信方法、プログラム、及び広告配信サーバ
US20230153364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KR101570165B1 (ko) 디지털 사이니지를 이용하여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US20170068990A1 (en) Providing Sponsored Content Items to a User
KR101822628B1 (ko) 다수의 장치별 광고콘텐츠에 대한 지역기반 상호 공유 방식의 디지털 사이니지 광고 표시 시스템
KR101887800B1 (ko) 이동체의 위치 및 이동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정보/광고 제공 방법
Mikusz et al. A longitudinal study of pervasive display personalisation
KR20150121732A (ko) 광고탑과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광고관리서버의 광고방법 및 그 광고관리서버
NL2012977B1 (en) Method of geolocation.
KR101332983B1 (ko) 이벤트에 연동한 위치 기반 서비스 장치 및 방법
JP6331411B2 (ja) 情報管理サーバ、情報提供システム、情報提供方法、および、情報管理プログラム
JP6829391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配信方法、及び情報配信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