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5329A -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5329A
KR20200105329A KR1020190024361A KR20190024361A KR20200105329A KR 20200105329 A KR20200105329 A KR 20200105329A KR 1020190024361 A KR1020190024361 A KR 1020190024361A KR 20190024361 A KR20190024361 A KR 20190024361A KR 20200105329 A KR20200105329 A KR 202001053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ximity sensor
disposed
door
door panel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43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39328B1 (ko
Inventor
배준석
김강영
권민구
문성국
신규열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243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9328B1/ko
Priority to US16/978,126 priority patent/US20210010706A1/en
Priority to CN202210811660.2A priority patent/CN114992717B/zh
Priority to PCT/KR2019/002674 priority patent/WO2019172688A1/ko
Priority to CN201980017550.5A priority patent/CN111836999B/zh
Priority to CN202210811654.7A priority patent/CN114992716B/zh
Publication of KR202001053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53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93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93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8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air-humidif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2Indication arrangements, e.g.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89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0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 F24F6/025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using electrical he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2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users or occupants
    • F24F2120/10Occupancy
    • F24F2120/12Position of occupa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4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system states
    • F24F2140/40Damper positions, e.g. open or clos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후방으로 흡입구를 형성하는 상부캐비닛과 상기 상부캐비닛을 지지하도록 상기 상부캐비닛 하측에 배치되는 베이스부를 포함하는 캐비닛 어셈블리; 상기 상부캐비닛과 상기 베이스부의 전면 일부를 커버하도록, 상기 캐비닛 어셈블리의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캐비닛 어셈블리에 좌우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는 도어패널; 상기 도어패널에 장착되어, 상기 도어패널로부터 제1설정거리범위(R1)에 위치한 대상체를 감지하는 제1근접센서; 상기 도어패널보다 하측에 위치한 상기 베이스부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도어패널로부터 제2설정거리범위에 위치한 대상체를 감지하는 제2근접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1설정거리범위는 상기 제2설정거리범위보다 원거리를 포함하며, 상기 제1근접센서와 상기 제2근접센서에서 모두 대상체를 감지할 때, 상기 도어패널이 이동한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의 실내기{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근접센서가 배치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 관한 것이다.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냉매와 열교환된 공기를 실내로 배출하여, 요구되는 실내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흡입구로 실내공기를 흡입하고, 냉매와 열교환하여, 토출구로 열교환된 공기를 배출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설치되는 위치에 따라 천장형, 벽걸이형 및 스탠드형으로 구분될 수 있다. 스탠드형 실내기는, 토출구가 캐비닛의 전방이나 측방으로 형성되고, 흡입구가 캐비닛의 후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스탠드형 실내기는, 실내공간의 일측에서 실내공간을 향해 배치되고, 전면이 실내공간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공기조화기가 도어(door) 등 하나 이상의 개폐 구조물을 포함하는 경우에, 사용자는 필요시 도어를 직접 개방하거나 폐쇄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존재한다.
상기의 번거로움을 해결하기 위해, 사용자의 위치를 감지하여, 도어를 개방하거나 폐쇄할 수 있으나, 이 경우, 도어의 개방이나 폐쇄가 필요하지 않은 상황에도 도어가 구동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제1과제는 실내기를 작동하는 데 있어서, 사용자에게 요구되는 불필요한 노동을 제거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사용자의 움직임 동작에 의해 실내기의 동작이 제어되는 경우, 사용자의 의도와 달리 실내기가 동작하거나, 움직임의 감지대상이 아닌 대상체를 감지하여, 실내기가 동작하는 경우, 실내기의 오작동이나, 불필요한 전력소모가 이루어질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제2과제는,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함에 있어 복수의 조건으로 감지하여, 실내기가 자동적으로 작동하는데 있어서, 정밀도를 높이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하는 제3과제는, 복수의 센서가 배치되는 실내기 내부의 공간활용을 극대화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후방으로 흡입구를 형성하는 상부캐비닛과 상기 상부캐비닛을 지지하도록 상기 상부캐비닛 하측에 배치되는 베이스부를 포함하는 캐비닛 어셈블리; 상기 상부캐비닛과 상기 베이스부의 전면 일부를 커버하도록, 상기 캐비닛 어셈블리의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캐비닛 어셈블리에 좌우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는 도어패널; 상기 도어패널에 장착되어, 상기 도어패널로부터 제1설정거리범위에 위치한 대상체를 감지하는 제1근접센서; 상기 도어패널보다 하측에 위치한 상기 베이스부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도어패널로부터 제2설정거리범위에 위치한 대상체를 감지하는 제2근접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1설정거리범위는 상기 제2설정거리범위보다 원거리를 포함하며, 상기 제1근접센서와 상기 제2근접센서에서 모두 대상체를 감지할 때, 상기 도어패널이 이동하여, 사용자가 근접할 때, 도어를 작동시키고, 복수의 센서조건이 모두 만족할 때, 도어가 작동할 수 있다.
상기 제2근접센서는 바닥을 향해 경사지게 배치되어, 제1근접센서와 제2근접센서가 감지하는 영역을 달리할 수 있다.
상기 제2근접센서가 대상체를 감지하는 제2설정거리범위를 외부에 표시하도록 빛을 투사하는 프로젝션모듈을 더 포함하여, 제2근접센서가 감지하는 영역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도어패널의 하측에서 상기 제2근접센서와 프로젝션모듈이 배치되도록 형성된 센서배치공간과, 상기 센서배치공간의 전면을 커버하는 베이스부 하단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부 하단커버에는, 상기 제2근접센서가 감지하는 방향으로 개구된 제2근접센서홀과 상기 프로젝션모듈이 빛을 투사하는 방향으로 개구된 프로젝션홀이 형성되어, 베이스부 내측으로 배치되는 제2근접센서와 프로젝션모듈이 베이스부 외부로 작동할 수 있다.
상기 제2근접센서홀과 상기 프로젝션홀은, 상기 베이스부 하단커버에서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어, 베이스부 하측으로 좁은 공간을 활용할 수 있다.
상기 센서배치공간의 내부에는, 상기 제2근접센서와 상기 프로젝션모듈이 장착되는 센서하우징이 배치되고, 상기 센서하우징은, 상기 제2근접센서와 상기 프로젝션모듈을 전방 하측으로 경사지게 배치시켜, 베이스부 내측공간을 활용할 수 있다.
상기 도어패널의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도어구동부와, 상기 제1근접센서와 상기 제2근접센서에서 모두 대상체가 감지될 때, 상기 구동부를 작동시키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여, 제1근접센서가 작동할 때, 제2근접센서를 작동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근접센서에서 대상체를 감지할 때, 상기 프로젝션모듈을 작동시켜, 제1근접센서가 작동할 때, 제2근접센서의 감지영역을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도어 작동을 유도할 수 있다.
물을 저장하는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도어패널 후방에 배치되는 수조; 상기 수조의 물을 공급받아 가열하는 히팅부; 및 상기 히팅부로 히팅된 가습공기를 토출하는 가습토출구가 형성된 가습토출노즐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근접센서와 상기 제2근접센서에서 모두 대상체가 감지될 때, 상기 수조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도어구동부를 작동시켜, 도어의 작동으로 수조가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수조가 배치되는 경사각을 조절하는 틸팅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조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도어구동부가 상기 도어패널을 이동시킬 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조를 전방으로 기울어지도록 상기 틸팅부재가 작동하여, 수조가 노출될 때, 수조가 전방으로 기울여져,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도어패널의 닫힘상태를 감지하는 제1위치센서; 및 상기 도어패널의 열림상태를 감지하는 제2위치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위치센서가 상기 도어패널의 열림상태를 감지할 때, 상기 수조를 전방으로 기울어지도록 상기 틸팅부재를 작동시켜, 수조가 노출될 때, 수조가 전방으로 기울여져,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도어패널에는, 전후방향으로 개구된 디스플레이홀이 형성되고, 상기 디스플레이홀에 배치되고, 실내기의 작동상태를 표시하고, 상기 제1근접센서가 배치되는 디스플레이모듈을 더 포함하여, 제1근접센서는 디스플레이가 배치되는 상측에 배치되어, 일정간격 이상의 높이에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은, 사용자에게 시각정보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상기 디스플레이가 장착되고, 상기 도어패널 후방에서 상기 디스플레이의 위치를 고정하는 디스플레이 케이스; 상기 디스플레이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모듈 전방을 커버하는 전방글라스; 상기 전방글라스 후방 상단부에 배치되는 상기 제1근접센서; 일단부에 상기 근접센서가 배치되는 근접센서홀을 형성하고, 상기 전방글라스와 상기 디스플레이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근접센서가 배치되는 간격을 유지하여, 디스플레이모듈에 장착되는 제1근접센서가 안정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은, 상기 디스플레이와 상기 후방커버 사이에 배치되고, 사용자의 명령을 수신하는 터치패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은, 상기 제1근접센서로부터 인식되는 신호를 전달받는 근접센서회로기판; 상기 제1근접센서의 둘레에 배치되어, 상기 전방글라스와 상기 근접센서회로기판 사이에 배치되는 상기 근접센서의 공간을 확보하는 리플렉터를 포함하여, 제1근접센서가 디스플레이모듈 내부에 안정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 서로 다른 범위를 감지하는 제1근접센서와 제2근접센서를 포함하고, 좌우로 이동하는 도어패널 하측에 배치되는 제2근접센서는 제1근접센서에 비해 근접거리범위를 감지하며, 제1근접센서와 제2근접센서의 조건 만족시 도어패널이 이동하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사용자가 별도로 도어를 이동시키지 않아도 되는 편의성을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도어패널이 이동할 때, 수조가 전방으로 틸팅되어, 수조를 실내기로부터 탈착할 때, 사용자가 실내기 내측에 배치된 수조를 꺼내기 위한 불편함을 최소화하여, 수조의 장착이나 탈착시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둘째, 제1근접센서가 대상체를 감지하는 조건에서, 제2근접센서가 작동하여, 대상체를 감지할 때, 도어가 작동하는 구조로, 특정 대상의 특정 동작에서만 도어가 개폐되므로, 불필요한 상황에서 도어가 개폐되어 발생하는 전력소모가 방지되는 장점도 있다.
셋째, 제1근접센서는 디스플레이모듈이 배치되는 공간을 활용하여, 디스플레이가 배치되는 전방에 홈을 형성하여 배치하여, 실내기 내부공간을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제2근접센서는 베이스부의 하측공간을 활용하며, 베이스부 내측에서 프로젝션모듈과 경사지게 배치하여, 실내기 내부공간을 활용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도어어셈블리가 이동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도어어셈블리가 이동한 상태에서 수조가 틸팅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어셈블리의 분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어셈블리의 후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들레일과 도어구동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8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모듈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9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모듈의 단면사시도이다.
도 10는 도 9의 X2-X2’를 자른 단면도이다.
도 11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모듈의 전방글라스와 후방커버의 접촉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방글라스와 후방커버가 결합된 상태의 정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Y-Y’을 자른 단면도이다.
도 1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부의 센서배치공간과 센서배치공간에 배치되는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근접센서의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근접센서가 사용자를 감지하는 범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션모듈이 그래픽 오브젝트를 표시하는 영역과, 제2근접센서의 감지범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 및 그와 관련된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 전체에 걸쳐 ‘제 1, 제 2, …’의 표현은 구성요소의 구분을 위한 것으로서, 구성요소간의 우선순위 또는 중요도 등과는 무관하다.도면에 표시된 상(U), 하(D), 좌(Le), 우(Ri), 전(F) 및 후(R)의 방향표시는, 발명의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지 않는다. 따라서, 기준이 변경되면, 상기의 방향도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전체구성>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전체적인 구성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외형을 형성하고, 전면이 개구된 캐비닛 어셈블리(Ⅰ), 캐비닛 어셈블리(Ⅰ)의 개구된 전면을 커버하는 도어 어셈블리(Ⅱ), 캐비닛 어셈블리(Ⅰ) 내측에 배치되어, 공기의 유동을 형성하는 송풍팬 어셈블리(Ⅲ), 송풍팬 어셈블리(미도시)에 의해 유동하는 공기를 냉매와 열교환하는 열교환 어셈블리(미도시), 캐비닛 어셈블리(Ⅰ) 내측으로 유입되는 공기를 필터링하는 필터 어셈블리(Ⅵ), 필터 어셈블리(Ⅵ)의 일측면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필터청소 어셈블리(Ⅶ), 및 캐비닛 어셈블리(Ⅰ) 외부로 가습된 공기를 배출시키는 가습 어셈블리(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캐비닛 어셈블리(Ⅰ)는 후방으로 흡입구를 형성하고, 내측에 열교환기(미도시)가 배치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상부캐비닛(11), 상부캐비닛(11) 하측에 배치되고, 가습 어셈블리(Ⅴ)의 일부 구성이 배치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베이스부(12), 베이스부(12)의 후방 및 측방을 커버하는 하부캐비닛(13), 및 상부캐비닛(11)과 도어 어셈블리(Ⅱ) 사이에 배치되고, 공기가 토출되는 측면토출구(141)를 형성하는 측면토출부재(14a)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캐비닛 어셈블리(Ⅰ)는 도어어셈블리(Ⅱ)가 일부 개방될 때, 상부캐비닛(11)의 전면과 베이스부(12)의 전면 일부를 커버하는 내부커버(15)를 포함한다. 내부커버(15)는, 가습어셈블리(Ⅴ)의 수조(51)가 노출되도록 도어어셈블리(Ⅱ)가 좌측 또는 우측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이동할 때, 노출되는 상부캐비닛(11)의 전면과 베이스부(12)의 전면 일부를 커버하도록 배치된다.
베이스부(12)는 전면이 개구된 박스형상을 가질 수 있다. 베이스부(12)의 외둘레에는 하부캐비닛(13)과 측면토출부재(14a)의 일부가 배치될 수 있다.
상하로 배치되는 베이스부(12)와 상부캐비닛(11)이 결합된 상태에서, 베이스부(12)와 상부캐비닛(11)의 전면에 도어 어셈블리(Ⅱ)가 배치된다.
하부캐비닛(13)은 베이스부(12)의 측면과 후방을 커버할 수 있다.
도어 어셈블리(Ⅱ)는 실내기의 전면을 커버하고, 일측에 전방토출구(211a)가 형성된 도어패널(21), 도어패널(21)을 좌우로 이동시키는 도어무빙모듈(28), 도어패널(21)에 형성되는 전방토출구(211a)를 개폐하는 토출구커버(25), 토출구커버(25)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토출구커버무빙모듈(26), 및 실내기의 작동상태를 표시하거나, 사용자의 명력을 입력받는 하는 디스플레이모듈(29), 실내공간의 조건을 감지하는 카메라모듈(22)를 포함한다.
여기서, 실내공간의 조건이란, 실내공간의 크기, 실내공간에 존재하는 재실자의 수, 재실자의 위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어 어셈블리(Ⅱ)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자세하게 설명한다.
송풍팬 어셈블리(Ⅲ)는 실내기의 전방으로 공기를 토출시키는 전방송풍모듈(31), 실내기의 양 측면방향으로 공기를 토출시키는 측방송풍모듈(미도시)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송풍팬 어셈블리(Ⅲ)는 하나의 전방송풍모듈(31)과 3개의 측방송풍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전방송풍모듈(31)과 측방송풍모듈은 열교환 어셈블리(Ⅳ)의 전방에 배치된다.
전방송풍모듈(31)은 측방송풍모듈의 상측에 배치된다. 전방송풍모듈(31)은 도어판(21)에 형성된 전방토출구(22)로 공기를 토출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방송풍모듈(31)은 전방토출구(22)가 개방될 때, 전방으로 이동하여, 토출구가 향하는 방향이 상, 하, 좌, 우 또는 대각방향으로 회전가능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측방송풍모듈은 전방송풍모듈(31)의 하측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측방송풍모듈은 복수개가 상하로 배치될 수 있다. 측방송풍모듈 각각은 토출되는 공기를 측면토출구(14a)를 통해 배출할 수 있다.
열교환 어셈블리(미도시)는 상부캐비닛(11) 내부로 흡입된 실내공기를 냉매와 열교환시킨다. 열교환 어셈블리는 실내공기와 열교환하는 냉매가 유동하는 열교환기(미도시)와, 열교환기로 냉매가 유입되거나 배출되도록 냉매유로를 형성하는 냉매관(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열교환기는 송풍팬 어셈블리(Ⅲ)의 후방에 배치된다. 열교환기는 흡입구와 토출구(22, 141) 사이에 배치되어, 실내기 내부를 유동하는 공기를 열교환시킬 수 있다. 열교환기는 필터 어셈블리(Ⅵ)와 송풍팬 어셈블리(Ⅲ) 사이에 배치된다. 열교환기는 복수의 측방송풍모듈과, 전방송풍모듈(31)가 상하로 배치되는 높이에 대응되는 길이를 가질 수 있다.
가습 어셈블리(Ⅴ)는 실내기 외부로 가습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가습 어셈블리(Ⅴ)는 물을 저장하는 수조(51), 수조(51)의 물을 공급받아 가열하는 히팅부(미도시), 히팅된 가습공기를 토출하는 가습토출구가 형성된 가습토출노즐(미도시), 히팅부에서 히팅된 가습공기를 가습토출노즐로 가이드하는 가습유로관(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가습 어셈블리(Ⅴ)는 수조(51)가 배치되는 각도를 조절하는 틸팅부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수조(51)는 틸팅부재에 의해 전방으로 틸팅될 수 있다.
수조(51)와, 히팅부는 베이스부(12)의 내측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가습유로관의 단부에 형성되는 가습토출노즐은, 측면토출구(14a)가 형성되는 부분에서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가습토출노즐로 토출되는 가습된 공기는 측방송풍모듈에 의해 측면토출구(14a)로 유동하는 공기와 함께 실내기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수조(51)는, 도어 어셈블리(Ⅱ)가 수조(51)의 전면이 모두 노출되는 수조노출개방시, 전방으로 일정각도 틸팅될 수 있다. 이하에서 설명할, 제1위치센서(127a)와 제2위치센서(127b)로 감지된 도어패널(21)의 위치를 바탕으로, 도어패널(21)이 수조(51)의 전면이 모두 노출되도록 이동하였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필터 어셈블리(Ⅵ)는 흡입구로 유입되는 공기의 이물질을 제거한다. 필터 어셈블리(Ⅵ)는 상부캐비닛(11)의 후방에서 이동가능하게 배치된다. 필터 어셈블리(Ⅵ)는 상부캐비닛(11)의 후방에 형성되는 흡입구에 배치되어, 흡입구(111)로 유입되는 실내공기를 필터링할 수 있다. 필터 어셈블리(Ⅵ)는 상부캐비닛(11)에 이동가능하게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필터 어셈블리(Ⅵ)는 흡입구로 흡입되는 공기 중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필터모듈(61)를 포함한다. 필터 어셈블리(Ⅵ)는 필터모듈(61)을 흡입구에 배치시키거나, 상부캐비닛(11)의 측방면의 외측으로 배치시킬 수 있다. 필터모듈(61)은, 흡입구가 형성되는 상부캐비닛(11)의 후방에서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필터 어셈블리(Ⅵ)는 유동하는 공기 중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필터모듈(61), 필터모듈(61)이 장착되는 필터장착부재(미도시) 및 필터장착부재의 위치를 변경시키는 이동부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필터모듈(61)은, 필터장착부재 및 이동부재에 의해 배치가 변경될 수 있다. 즉, 필터모듈(61)은, 필터장착부재 및 이동부재에 의해 상부캐비닛(11)의 후방에 형성된 흡입구에 배치되거나, 상부캐비닛(11)의 측면의 외측으로 배치될 수 있다.
필터청소 어셈블리(Ⅶ)는 필터 어셈블리(Ⅵ)의 후방에 이동가능하게 배치되어, 필터 어셈블리(Ⅵ) 외측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필터청소 어셈블리(Ⅶ)는 상부캐비닛(11)의 후방에 배치되는 가이드레일(미도시)을 따라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필터청소 어셈블리(Ⅶ)는 가이드레일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며, 필터 어셈블리(Ⅵ) 외측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털어내고, 흡입하여, 필터모듈(61)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필터청소 어셈블리(Ⅶ)는,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하며, 필터모듈(61)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필터청소기(71)와, 필터청소기(71)로 전원선(미도시)로 연결되며, 필터청소기(71)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장치(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 어셈블리>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 13, 도 16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도어 어셈블리를 설명한다.
도어 어셈블리(Ⅱ)는, 전방토출구(211a)가 형성된 도어패널(21), 전방토출구(211a)를 개폐시키는 토출구커버(25), 도어패널(21)이 캐비닛 어셈블리(Ⅰ)의 좌우로 이동시키는 도어무빙모듈(28), 토출구커버(25)의 위치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토출구커버무빙모듈(26) 및 도어패널(21)에 실내기의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하는 디스플레이모듈(29)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도어 어셈블리(Ⅱ)는, 도어패널(21)의 배면에 결합되고, 도어패널(21)의 구조를 지지하며, 패널토출구(23a)가 형성된 어퍼패널(23), 도어패널(21)의 배면에 결합되고, 도어패널(21)의 구조를 지지하며, 어퍼패널(23) 하측에 배치되는 로어패널(24), 어퍼패널(23) 상측에 배치되고, 실내의 이미지를 촬영하는 카메라모듈(1900), 및 상단이 상기 토출구커버(25)와 상대회전 가능하게 조립되고, 하단이 상기 어퍼패널(23)와 상대회전 가능하게 조립되며, 토출구커버(25)에 연결되는 케이블이 수납되는 케이블가이드(27)를 더 포함한다.
<도어 어셈블리-도어패널>
도어패널(21)은 실내기의 전면에 배치된다. 도어패널(21)은, 전면부(211)와, 전면부(211)의 좌측에 배치되고, 어퍼패널(23) 과 로어패널(24)의 좌측면을 커버하는 제1측면부(212a)와, 전면부(211)의 우측에 배치되고, 전면부(211)의 우측에 배치되고, 어퍼패널(23) 과 로어패널(24)의 우측면을 커버하는 제2측면부(212b)를 포함한다.
전면부(211)에는, 전후 방향으로 개구된 전방토출구(211a)와, 전면부(211)의 전후 방향으로 개구된 디스플레이홀(211b)이 형성된다. ,
전방토출구(211a) 및 디스플레이홀(211b)는 상하 방향으로 배열된다. 디스플레이홀(211b)은 전방토출구(211a)의 하측에 위치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디스플레이홀(211b)가 전방토출구(211a) 상측에 위치될 수 있다.
전방토출구(211a)는 원형으로 형성된다. 전방토출구(211a)의 형상은 토출그릴(311)의 정면형상에 대응된다. 전방토출구(211a)를 통해 캐비닛 어셈블리(Ⅰ) 내부에 은닉된 토출그릴(311)이 외부로 노출된다.
전방토출구(211a)이 개방될 때, 전방송풍모듈(31)이 전방토출구(211a) 방향으로 이동하여, 토출그릴(311)이 전방토출구(211a)를 관통해 도어패널(21) 보다 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1측면부(212a)는 전면부(211)의 좌측 가장자리에서 후방측으로 돌출되고, 전면부(211)의 배면에 고정된 어퍼패널(23)과 로어패널(24)의 좌측면을 커버한다.
제2측면부(212b)는 전면부(211)의 우측 가장자리에서 후방측으로 돌출되고, 전면부(211)의 배면에 고정된 어퍼패널(23)과 로어패널(24)의 우측면을 커버한다. 상기 제1측면부(212a) 및 제2측면부(212b)는 어퍼패널(23)과 로어패널(24)의 측면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차단한다.
본 실시예에서 도어패널(21)을 구성하는 전면부(211), 제1측면부(212a) 및 제2측면부(212b)는 일체로 제작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도어패널(21) 전체는 금속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도어패널(21)은 전체가 알루미늄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제1측면부(212a)와 제2측면부(212b) 각각의 단부에는, 도어패널의 중심방향으로 수직하게 절곡된 제1밴딩부(212a1)와, 제2밴딩부(212b1)가 형성된다. 제1밴딩부(212a1)와 제2밴딩부(212b1) 각각과 전면부(211) 내측에는 어퍼패널(23)과 로어패널(24)이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전면부(211), 제1측면부(212a), 제2측면부(212b), 제1밴딩부(212a1)및 제2밴딩부(212b1)는, 전면부(211) 후방으로 어퍼패널(23)과, 로어패널(24)이 삽이되는 삽입공간(213)을 형성한다. 어퍼패널(23)과, 로어패널(24)은, 전면부(211) 후방에 형성되는 삽입공간(213)으로 끼워져, 고정배치될 수 있다.
어퍼패널(23)과 로어패널(24)은, 각각 별개로 제작하고, 어퍼패널(23)은 도어패널(21)의 상측으로 도어패널(21) 내부로 삽입하고, 로어패널(24)은 도어패널(21)의 하측으로 도어패널(21)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어퍼패널(23) 및 로어패널(24)은 도어패널(21)의 삽입공간(213)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도어패널(21)을 지지하며, 도어패널(21)의 변형 및 휨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어퍼패널(23) 및 로어패널(24)은, 외부 충격이 빈번하게 가해지는 전면부(211), 제1측면부(212a) 및 제2측면부(212b)를 지지할 수 있다.
어퍼패널(23)은 판형상을 가지고, 도어패널(21)의 배면에 배치된다. 어퍼패널(23)에는, 어퍼패널(23)의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고, 전방토출구(211a)와 연통되도록 전방토출구(211a)의 후방에 위치하는 패널토출구(23a)가 형성된다.
패널토출구(23a)는 전방토출구(211a)에 대응된다. 전방토출구(211a)가 패널토출구(23a) 보다 전방에 위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패널토출구(23a) 및 전방토출구(211a)는 모두 원형으로 형성된다. 토출공기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패널토출구(23a) 및 전방토출구(211a) 사이에 개스킷(미도시)이 배치될 수 있다.
패널토출구(23a)은 전방토출구(211a)의 면적과 같거나 상기 전방토출구(211a)의 면적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개스킷의 설치를 감안하여 상기 전방토출구(211a)의 직경보다 좀 더 크게 상기 패널토출구(23a)가 형성될 수 있다.
전방송풍모듈(31)의 토출그릴(450)은 패널토출구(23a) 및 전방토출구(211a)를 순서대로 관통하고, 상기 도어패널(21)의 전면보다 전방으로 돌출된다.
본 실시예에서 어퍼패널(23)에 토출구커버(25) 및 디스플레이모듈(29)이 설치된다.
토출구커버(25) 및 디스플레이모듈(29) 모두 어퍼패널(23)에 조립된 상태에서 도어패널(21)에 장착될 수 있다.
어퍼패널(23)에는, 디스플레이모듈(29)이 장착되는 디스플레이모듈 장착부(232)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모듈 장착부(232)는 이하에서 설명할 디스플레이모듈(29)의 디스플레이 케이스(291)이 장착된다. 어퍼패널(23)에 형성되는 디스플레이모듈 장착부(232)는, 디스플레이모듈 케이스(291)에 대응되는 형상의 홀이 형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모듈 장착부(232)는, 디스플레이 케이스(291)와 별도의 체결부재(미도시)로 체결되는 체결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모듈(29)은, 디스플레이모듈 케이스(291)에 의해 어퍼패널(23)의 디스플레이모듈 장착부(232)에 고정된다. 디스플레이 케이스(291)를 통해 디스플레이모듈(29)이 어퍼패널(23)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는 것을 최소화한다.
디스플레이 케이스(291)는 상기 어퍼패널(23)를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게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모듈(29)은 어퍼패널(23)에 조립된 상태에서 도어패널(21)의 디스플레이홀(211b)를 통해 일부가 외부로 노출된다. 디스플레이홀(211b)를 통해 디스플레이모듈(29)이 외부로 노출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모듈(29)는 도어패널(21)의 전면과 연속된 면을 형성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모듈(29)의 전방에 배치되는 전방글라스(292) 전면은 도어패널(21) 보다 전방으로 돌출되지 않고, 상기 도어패널(21)의 전면과 연속된 평면을 형성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모듈(29)은 어퍼패널(23)을 관통하는 케이블을 통해 전원 및 전기적인 신호를 송수신한다.
토출구커버(25)는 어퍼패널(23)의 배면에 배치되고, 어퍼패널(23)의 배면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토출구커버(25)가 전방토출구(211a)를 개방시킨 후, 하측으로 이동되면, 토출구커버(25)는 상기 디스플레이모듈(29)과 같은 높이에 위치될 수 있다.
토출구커버(25)는 어퍼패널(23)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어퍼패널(23) 및 로어패널(24)은 상하 방향으로 적층된다. 특히, 어퍼패널(23) 및 로어패널(24)은 상기 도어패널(21) 내부에서 상호 조립되기 때문에, 도어 어셈블리(Ⅱ)의 슬라이드 이동 시, 흔들림 또는 작동소음을 최소화시킨다.
이를 위해 어퍼패널(23) 및 로어패널(24)은 억지끼움 형태로 조립될 수 있다. 어퍼패널(23) 및 로어패널(24) 중 어느 하나는 상대측으로 돌출된 패널돌출부가 형성되고, 나머지 하나는 상기 돌출끼움부가 수용되는 패널끼움부(241)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어퍼패널(23)에 패널돌출부(233)가 형성된다. 상기 패널돌출부(233)는 어퍼패널(23)의 하단부에서 하측으로 돌출된다.
로어패널(24)은, 도어패널(21)의 배면에 설치된다. 로어패널(24)은 도어패널(21)의 삽입공간(213)에 설치된다. 로어패널(24)은 어퍼패널(23) 하측에 위치되고, 어퍼패널(23)을 지지하며, 어퍼패널(23)과 조립된다.
로어패널(24)은 도어패널(21) 안에 설치되어 도어패널(21)의 변형을 방지한다. 로어패널(24)은 어퍼패널(23)과 억지끼움 방식으로 결합되고, 상기 어퍼패널(23)을 하측에서 지지한다.
로어패널(24) 상측에 어퍼패널(23)에 패널돌출부(233)와 상호 끼움결합되는 패널끼움부(241)가 형성된다. 패널끼움부(241)는 하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상기 로어패널(24)에 도어구동부(282)가 설치된다.
<도어 어셈블리-토출구커버>
토출구커버(25)는 도어 어셈블리(Ⅱ)에 배치된 전방토출구(211a)를 개폐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토출구커버(25)는 전방토출구(211a)를 개방시켜 전방송풍모듈(31)의 이동경로를 확장시킨다. 전방송풍모듈(31)는 개방된 전방토출구(211a)를 통해 도어 어셈블리(Ⅱ)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토출구커버(25)는 전방송풍모듈(31)의 이동 경로 상에 위치한다. 전방토출구(211a)를 개방될 때, 토출구커버(25)는 전방송풍모듈(31)의 이동 경로 밖으로 이동된다.
토출구커버(25)는, 전방토출구(211a)에 배치되고, 전방토출구(211a)의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어 전방토출구(211a)를 개폐시키는 도어커버(251), 도어커버(251)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고, 도어커버(251)의 상하 위치를 조절하는 도어커버하우징(253), 및 도어커버하우징(253)와 도어커버(251) 사이에서 배치되고, 도어커버(251)를 도어커버하우징(253)으로부터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도어커버무빙모듈(미도시)을 포함한다.
도어커버(251)는, 전방토출구(211a)에 삽입되고, 도어패널(21)의 전면부(211)와 연속된 면을 제공한다. 도어커버무빙모듈(252)의 작동에 의해, 도어커버(251)는 후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도어커버(251)가 전방토출구(211a)에서 분리된 후, 토출구커버무빙모듈(26)의 작동시켜 토출구커버(25) 전체를 하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토출구커버무빙모듈(26)에 의해 도어커버(251)가 하측으로 이동되면, 전방토출구(211a)는 전후 방향으로 개구된다.
<도어 어셈블리-토출구커버무빙모듈>
토출구커버무빙모듈(26a, 26b)은 토출구커버(25)를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키고, 도어패널(21)에 배치된 전방토출구(211a)를 개방 상태로 설정하기 위한 구성이다.
본 실시예에서 토출구커버무빙모듈(26a, 26b)은 도어커버하우징(253)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배치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토출구커버무빙모듈(26a, 26b)은 1개만 배치되어도 무방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토출구커버무빙모듈(26a, 26b)이 토출구커버(25)의 상하 위치를 고정시키는 기능을 겸하기 때문에, 토출구커버(25)의 지지하중을 분산시키기 위해 토출구커버무빙모듈(26a, 26b)을 좌우 2개 배치한다.
토출구커버무빙모듈(26a, 26b)은 토출구커버(25)를 도어패널(21)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특히, 토출구커버무빙모듈(26a, 26b)은 도어커버(251)가 결합된 도어커버하우징(253) 전체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토출구커버(25)는 도어패널(21)의 삽입공간(213)을 따라 이동된다. 상기 도어패널(21) 내부에 배치되기 때문에, 토출구커버무빙모듈(26a, 26b)의 설치공간은 상기 삽입공간(213) 이하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토출구커버무빙모듈(26a, 26b)는 도어패널(21)의 두께 이하로 설치되기 위한 구조를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서 토출구커버무빙모듈(26a, 26b)의 전후 방향 두께는 상기 도어패널(21)의 두께 이하이다.
전방토출구(211a)를 향하는 전방송풍모듈(31)의 이동경로에 배치된 도어커버(251)는, 토출구커버무빙모듈(26a, 26b)의 작동에 의해 전방토출구(211a) 하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도어커버(251)가 수직방향 하측으로 이동되면, 도어커버(251)의 어느 부분도 상기 전방토출구(211a)와 오버랩되지 않는다. 토출구커버무빙모듈(26a, 26b)은 상기 전방송풍모듈(31)의 이동경로 밖으로 상기 도어커버하우징(253)을 이동시킨다.
토출구커버무빙모듈(26a, 26b)은 도어커버하우징(253)의 좌측에 배치된 제1토출구커버무빙모듈(26a)과, 도어커버하우징(253)의 우측에 배치된 제2토출구커버무빙모듈(26b)을 포함한다.
제1토출구커버무빙모듈(26a) 및 제2토출구커버무빙모듈(26b)은 동일한 구성이고 좌우 대칭이다.
토출구커버무빙모듈(26a, 26b)은, 도어패널(21) 또는 어퍼패널(23)에 배치되고, 상하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랙(234a, 234b)과, 토출구커버(25)에 배치되고, 랙(234a, 234b)과 치합되고, 회전 시 랙(234a, 234b)을 따라 이동되는 기어어셈블리(261a, 261b)와, 토출구커버(25)에 배치되고, 기어어셈블리(261a, 261b)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기어구동모터(262a, 262b)을 포함한다.
토출구커버무빙모듈(26a, 26b)은, 기어어셈블리(261a, 261b) 및 기어구동모터(262a, 262b)이 설치되는 기어하우징(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조립 및 수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기어하우징에 기어어셈블리(261a, 261b) 및 기어구동모터(262a, 262b)를 조립한 후, 기어하우징을 도어커버하우징(253)에 조립할 수 있다.
기어어셈블리(261a, 261b)는, 토출구커버(25)에 배치되고, 랙(234a, 234b)과 맞물리는 제1기어(2611a, 2611b), 토출구커버(25)에 배치되고, 제1기어(2611a, 2611b)와 치합되는 제2기어(2612a, 2612b), 토출구커버(25)에 배치되고, 제2기어(2612a, 2612b)와 치합되는 제3기어(2613a, 2613b)와, 토출구커버(25)에 배치되고, 제3기어(2613a, 2613b)와 치합되고, 기어구동모터(262a, 262b)와 연결되어 회전되고,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는 웜기어(2614a, 2614b)를 포함한다.
기어구동모터(262a, 262b)의 모터축은 상하방향으로 배치된다.
토출구커버무빙모듈(26a, 26b)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기 때문에, 토출구커버무빙모듈(26a, 26b)에 연결된 케이블도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밖에 없다.
도어 어셈블리(Ⅱ)의 전후 방향 두께가 폭에 비해 매우 작기 때문에, 토출구커버무빙모듈(26a, 26b)이 상하로 이동될 때, 케이블의 꼬임이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상하로 이동되는 토출구커버무빙모듈(26a, 26b) 및 어퍼패널(23) 사이에 케이블이 끼워져 토출구커버무빙모듈(26a, 26b)의 작동이 제한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최소화하기 위한 케이블가이드(27)가 배치될 수 있다.
케이블가이드(27)는 상측단이 토출구커버(25)에 조립되고, 하측단이 어퍼패널(23)에 조립된다.
케이블가이드(27)는, 토출구커버(25)에 상대회전 가능하게 조립되는 제1케이블가이드(271)와, 어퍼패널(23)에 상대회전 가능하게 조립되는 제2케이블가이드(272)와, 제1케이블가이드(271) 및 제2케이블가이드(272) 각각과 상대회전 가능하게 조립되는 연결케이블가이드(273)를 포함한다.
제1케이블가이드(271) 및 연결케이블가이드(273)는 180도 이내의 사이각을 형성하고, 토출구커버(25)가 하강될 때, 제1케이블가이드(271) 및 연결케이블가이드(273)의 사이각은 작아진다.
제2케이블가이드(272) 및 연결케이블가이드(273)는 180도 이내의 사이각을 형성하고, 토출구커버(25)가 하강될 때, 제2케이블가이드(272) 및 연결케이블가이드(273)의 사이각은 작아진다.
<도어 어셈블리-도어무빙모듈>
본 실시예에 따른 실내기는, 도어패널(21)을 캐비닛 어셈블리(Ⅰ)의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도어무빙모듈(28)을 포함한다.
도어무빙모듈(28)은, 도어패널(21)에 장착되어 도어패널(21)의 좌우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레일(281)과, 도어 어셈블리(Ⅱ)를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도어구동부(282)를 포함한다.
가이드레일(281)은, 도어 어셈블리(Ⅱ)의 상측에 배치된 탑레일(2811)과, 도어 어셈블리(Ⅱ)의 중간에 배치된 미들레일(2812)과, 도어 어셈블리(Ⅱ)의 하측에 배치된 바텀레일(2813)과, 도어 어셈블리(Ⅱ)에 조립되고, 도어 어셈블리(Ⅱ)의 상측에 배치되고, 캐비닛 어셈블리(Ⅰ)의 상측에 걸쳐지는 탑서포터(2814)와, 캐비닛 어셈블리(Ⅰ)에 조립되고, 캐비닛 어셈블리(Ⅰ)의 하측에 배치되고, 도어 어셈블리(Ⅱ)의 하단이 걸쳐지는 바텀서포터(2815)을 포함한다.
탑레일(2811), 미들레일(2812) 및 바텀레일(2813)은 모두 좌우 방향으로 배치된다. 탑레일(2811), 미들레일(2812) 및 바텀레일(2813)은 도어 어셈블리(Ⅱ) 및 캐비닛 어셈블리(Ⅰ) 사이에 배치된다.
탑레일(2811)은, 도어 어셈블리(Ⅱ)의 배면에 배치되는 제1탑레일(28111) 및 캐비닛 어셈블리(Ⅰ)의 전면에 조립되고, 제1탑레일(28111)에 대해 좌우 방향으로 상대이동되는 제2탑레일(28112)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2탑레일(28112)은 탑서포터(2814)와 결합되고, 탑서포터(2814)가 캐비닛 어셈블리(Ⅰ)에 고정될 수 있다. 제1탑레일(28111) 및 제2탑레일(28112)은 상대이동 가능하게 조립된다.
미들레일(2812)은, 도어 어셈블리(Ⅱ)의 배면에 배치되는 제1미들레일(28121) 및 캐비닛 어셈블리(Ⅰ)의 전면에 조립되고, 제1미들레일(28121)에 대해 좌우 방향으로 상대이동하는 제2미들레일(28122)를 포함한다.
바텀레일(2813)은, 도어 어셈블리(Ⅱ)의 배면에 배치되는 제1바텀레일(28131) 및 캐비닛 어셈블리(Ⅰ)의 전면에 배치된 구조물에 조립되고, 제1바텀레일(28131)에 대해 좌우 방향으로 상대이동하는 제2바텀레일(28132)를 포함한다. 제2바텀레일(28132)은, 바텀서포터(2815)와 결합되고, 바텀서포터(2815)가 캐비닛 어셈블리(Ⅰ)에 고정될 수 있다.
도어구동부(282)은 도어 어셈블리(Ⅱ) 또는 캐비닛 어셈블리(Ⅰ)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고, 나머지 하나와 상호 간섭을 통해 슬라이드 이동을 구현할 수 있다.
도어구동부(282)은, 도어 어셈블리(Ⅱ)에 배치되고, 좌우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랙(2821)과, 캐비닛 어셈블리(Ⅰ) 측 구조물에 배치되고, 랙(2821)과 치합되고, 회전 시 랙(2821)을 따라 이동되는 기어어셈블리(2822)와, 캐비닛 어셈블리(Ⅰ) 측 구조물에 배치되고, 기어어셈블리(2822)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기어구동모터(2823)와, 캐비닛 어셈블리(Ⅰ) 측 구조물에 배치되고, 기어어셈블리(2822)를 포함한다.
랙(2821)은, 미들레일(2812)의 하측에서 좌우방향으로 길게 배치되고, 기어구동모터(2823)와 연결되는 기어어셈블리(2822)가 랙(2821)과 맞물리도록 랙(2821)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도어구동부(282)이 작동될 때, 가이드레일(281)이 도어 어셈블리(Ⅱ)의 슬라이드 이동을 안내한다. 도어구동부(282)의 랙(2821) 및 기어어셈블리(2822)의 작동만으로도 도어 어셈블리(Ⅱ)의 슬라이드 이동이 구현될 수 있지만, 자연스러운 슬라이드 이동을 구현하기에는 한계가 있으므로, 가이드레일(281)이 도어 어셈블리(Ⅱ)의 자연스러운 이동을 구현한다.
<도어 어셈블리-카메라모듈>
카메라모듈(22)은 도어 어셈블리(Ⅱ)의 상부에 배치되고, 선택적으로 작동된다. 카메라모듈(22)은 작동시에만 도어 어셈블리(Ⅱ) 밖으로 노출되고, 작동되지 않을 때에는 도어 어셈블리(Ⅱ) 내부에 숨겨진다.
카메라모듈(22)은, 도어 어셈블리(Ⅱ)에 배치되고, 상측을 향해 개구된 카메라개구부(221a)가 형성된 카메라모듈 하우징(221)과, 카메라모듈 하우징(221)에 배치되고, 카메라모듈 하우징(221)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고, 카메라개구부(221a)를 통해 선택적으로 노출되는 카메라(222)를 포함한다.
카메라모듈(22)은, 카메라(22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카메라(222)를 제어하는 카메라제어부(미도시)와, 카메라모듈 하우징(221)에 배치되고, 카메라(222)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카메라이동모듈(미도시)을 더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카메라모듈 하우징(221)은 어퍼패널모듈(1110)과 별도로 제작되고, 어퍼패널(23)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카메라모듈 하우징(221)은 도어패널(21)의 후방향으로 형성된 삽입공간(213) 상측을 커버한다.
<도어 어셈블리-디스플레이모듈>
이하에서는, 도 7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모듈을 설명한다.
디스플레이모듈(29)은 상기 도어패널(21)에 배치되고, 도어패널(21)을 투과하여 시각적인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모듈(29)은 도어패널(21)을 관통하여 일부가 노출되고, 노출된 디스플레이를 통해 시각적인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어패널(21)에 형성된 디스플레이홀(211b)을 통해 디스플레이모듈(29)의 정보가 사용자에게 전달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모듈(29)는, 터치패널(294)을 구비하여, 사용자의 명령을 수신함과 동시에 사용자에게 실내기의 작동상태 등에 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모듈(29)는, 시각적인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디스플레이(295), 디스플레이(295)가 장착되고, 도어패널(21)의 후방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295)의 위치를 고정하는 디스플레이 케이스(291), 디스플레이(295) 전방에 배치되고, 사용자의 접촉에 의한 입력을 감지하는 터치패널(294), 디스플레이(295) 전방에 배치되고, 디스플레이모듈(29)의 전방을 커버하는 전방글라스(292), 전방글라스(292)의 후방에 배치되고, 사용자와의 거리를 측정하는 근접센서모듈(296), 전방글라스(292)와 디스플레이(295) 사이에서 제1근접센서(2961)가 배치되는 간격을 유지하는 후방커버(293)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모듈(29)은, 외부에 위치하는 리모컨 송신기(미도시)로부터 신호를 입력받는 리모콘 수신모듈(297)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295)는, 화면이 출력되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295)는 사각형의 판형상을 가지고, 내부에 전방글라스(292)가 형성하는 크기만큼의 원형의 표시부를 가질 수 있다.
디스플레이(295)는, 디스플레이 케이스(291)의 일측에 장착된다. 디스플레이(295)는, 디스플레이 케이스(291)에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장착부(2911)에 장착된다. 디스플레이(295)는, 디스플레이 케이스(291)에 별도의 접착부재를 통해 접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착부(2911)는 디스플레이 케이스(291)의 일면에서 후방으로 오목한 홈부를 형성한다. 디스플레이 장착부(2911)가 형성하는 홈부는 디스플레이(295)가 장착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295)의 외둘레가 끼워질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디스플레이 케이스(291)는, 디스플레이(295) 및 터치패널(294)의 구성을 고정시키고, 도어패널(21)에 고정배치된다. 디스플레이 케이스(291)는, 어퍼패널(23)의 일측에 장착된다. 디스플레이 케이스(291)는, 어퍼패널(23)의 디스플레이모듈 장착부(2911)에 장착 및 체결된다. 디스플레이 케이스(291)는 어퍼패널(23)과 체결되는 복수의 체결부(2915)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케이스(291)는 별도의 체결부재(미도시)를 통해, 어퍼패널(23)에 체결된다.
디스플레이 케이스(291)는 사각형의 판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디스플레이 케이스(291)는 좌우방향보다 상하방향이 긴 직사각형의 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디스플레이 케이스(291)는, 디스플레이(295)가 장착되는 케이스 상부(291a)와, 이하에서 설명할 터치패널회로기판(2941)이 장착되는 케이스 하부(291b)와, 케이스 상부(291a)와 케이스 하부(291b)를 연결하고, 터치패널(294)와 터치패널회로기판(2941)을 연결하는 터치 케이블(2942)이 장착되는 연결케이스(291c)로 구분될 수 있다.
케이스 상부(291a)에는, 디스플레이(295), 제1근접센서(2961), 터치패널(294), 전방글라스(292) 및 후방커버(293)가 장착된다.
디스플레이 케이스(291)에는, 디스플레이(295)가 장착되는 디스플레이 장착부(2911)를 형성한다. 케이스 상부(291a)에, 디스플레이 장착부(2911)가 형성된다. 디스플레이 장착부(2911)는, 판형상의 디스플레이 케이스(291)의 후방으로 디스플레이(295)가 삽입될 수 있는 사각형의 오목한 홈을 형성한다. 디스플레이 장착부(2911)가 형성하는 홈은, 사각형의 판형상을 가지는 디스플레이(295)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한다.
또한, 디스플레이 케이스(291)에는, 터치패널(294)의 일부가 삽입되는 터치패널장착부(2912)를 형성한다. 터치패널장착부(2912)는, 디스플레이 장착부(2911)의 전방에 형성되고, 터치패널(294)의 크기를 고려하여, 디스플레이 장착부(2911)보다 넓은 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터치패널 장착부(2912)의 상측에는, 하부방향으로 돌출형성된 터치패널 고정부(2913)가 형성된다. 터치패널 고정부(2913)는, 터치패널(294)이 터치패널 장착부(2912)에 장착될 때, 터치패널(294)에 형성된 제1홀(2943)이 형성된 부분에 삽입될 수 있다. 터치패널 고정부(2913)는, 제1홀(2943)의 좌우측에 형성되는 면과 맞닿을 수 있다.
디스플레이 케이스(291)에는, 터치패널 장착부(2912)의 하측으로 터치 케이블(2942)이 장착되는 터치케이블 장착부(2916)와, 터치패널회로기판(2941)이 장착되는 터치패널회로기판 장착부(2914)가 형성될 수 있다.
터치케이블 장착부(2916)는, 연결케이스(291c)에 배치되고, 터치패널회로기판 장착부(2914)는 케이스 하부(291b)에 배치된다.
디스플레이(295) 전방에는, 터치패널(294)이 배치된다. 터치패널(294)은, 디스플레이(295)와 접착제 또는 테이프를 이용하여 접착될 수 있다. 터치패널(294)은, 사용자의 전방글라스(292)의 터치조작을 감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패널(294)은, 인쇄방식이나, 필름 접착방식 등 전방글라스(292)를 터치하여 입력할 수 있는 다양한 방식으로 적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터치패널(294)은, 사각형의 판형상을 형성하고, 상측에 제1근접센서(2961)가 배치되도록 제1홀(2943)이 형성되고, 하측에 리모콘수신센서(2971)가 배치되도록 제2홀(2944)이 형성된다.
제1홀(2943)에는, 제1근접센서(2961)의 후방으로 배치되는 터치패널 고정부(2913)의 일부가 배치될 수 있다. 터치패널(294)은, 전방글라스(292)로 노출되는 영역만이 터치기능이 활성화되도록 사용할 수 있다.
제2홀(2944)에는, 리모콘수신센서(2971)의 일부가 삽입될 수 있다.
터치패널(294)은, 터치 케이블(2942)을 통해 터치패널회로기판(2941)과 연결된다. 따라서, 터치패널(294)로 수신된 입력신화 터치 케이블(2942)을 통해 터치패널회로기판(2941)으로 전송될 수 있다.
터치패널(294)의 전방으로 하부커버(293)와 전방글라스(292)가 배치된다.
전방글라스(292)는, 도어패널(21)에 형성된 디스플레이홀(211b)을 커버한다. 전방글라스(292)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모듈(29)을 보는 전방에 배치된다. 사용자가 터치패널(294)의 기능을 이용할 때, 사용자는 전방글라스(292)를 접촉하여, 터치패널(294)을 조작할 수 있다.
전방글라스(292)는, 유리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전방글라스(292)는, 원형의 판형상을 가진다. 전방글라스(292)는, 도어패널(21)의 전면부(211)보다 전방으로 돌출되게 배치될 수 있다. 다만, 다른 실시예로써, 전면부(211)와 연속한 면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전방글라스(292)는, 실내기 외부로 노출되는 전면(2921)과, 후방커버(293)에 대향하는 후면(2922)을 포함할 수 있다.
전방글라스(292)는, 전방글라스(292)의 후면(2922)에 형성되고, 전방글라스(292)의 테두리부분을 따라 인쇄된 제1인쇄부(2923)와, 전방글라스(292)의 후면(2922)에 형성되고, 제1인쇄부(2923)에서 반경방향 내측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인쇄된 제2인쇄부(2924)와, 제1인쇄부(2923)와 제2인쇄부(2924)사이에서 인쇄되지 않은 센서노출부(2925)를 포함한다. 제1인쇄부(2923)와 제2인쇄부(2924) 사이에 이격된 간격(D1)은, 제1근접센서(2961)의 상하방향 길이(L1)를 고려하여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인쇄부(2923)와 제2인쇄부(2924) 사이에 이격된 간격(D1)은, 제1근접센서(2961)의 상하방향 길이(L1)보다 크게 형성된다.
전방글라스(292)가 후방커버(293) 및 제1근접센서(2961)와 리모콘수신센서(2971)가 디스플레이 케이스(291)에 장착될 때, 제1근접센서(2961)와 리모콘수신센서(2971)는, 센서노출부(2925)의 후방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전방글라스(292)의 후방에는, 후방커버(293)가 배치된다. 후방커버(293)는, 원판형상을 가지고, 전방글라스(292)의 후방에 배치된다. 후방커버(293)는, 전방글라스(292)와 동일한 직경을 가지는 원판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만, 이는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것으로, 후방커버(293)와 전방글라스(292)의 직경이 상이하게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후방커버(293)는 전방글라스(292)와 동일한 유리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후방커버(293)는, 아크릴 재질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후방커버(293)의 상측에는, 제1근접센서(2961)의 일부가 배치되는 근접센서홀(2934)이 형성된다. 후방커버(293)의 하측에는, 리모콘수신센서(2971)의 일부가 배치되는 리모콘수신센서홀(2935)이 형성된다.
후방커버(293)와 전방글라스(292)는, 접착제로 접착될 수 있다. 후방커버(293)는, 터치패널(294) 전방에 배치된다.
후방커버(293)는, 전방글라스(292)와 대향하는 전면(2931)과 터치패널(294)과 대향하는 후면(2932)을 포함한다. 후방커버(293)의 전면(2931)에는, 후방커버(293)의 테두리를 따라 인쇄된 후방커버인쇄부(2933)를 포함한다. 후방커버인쇄부(2933)는, 후방커버(293)의 외주에서 근접센서홀(2934)이 형성되는 부분까지 인쇄된다. 후방커버인쇄부(2933)의 내측단부(29331)는, 전방글라스(292)의 제2인쇄부(2924)의 내측단부(29241)와 동일한 직경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후방커버(293)와 전방글라스(292)는, 후방커버인쇄부(2933)의 내측단부(29331)와, 전방글라스(292)의 제2인쇄부(2924)의 내측단부(29241)가 동일한 동심원을 형성하도록 접착될 수 있다.
후방커버(293)와 전방글라스(292)가 접착될 때, 후방커버(293)에 형성되는 근접센서홀(2934)의 전방은, 센서노출부(2925)를 통해 외부로 시야가 확보될 수 있다. 후방커버(293)와 전방글라스(292)가 접착될 때, 후방커버(293)에 형성되는 리모콘수신센서홀(2935)의 전방은, 센서노출부(2925)를 통해 외부로 시야가 확보될 수 있다.
근접센서모듈(296)은, 대상체와의 거리를 측정하는 제1근접센서(2961), 제1근접센서(2961)로부터 인식되는 신호를 전달받는 근접센서회로기판(2962), 제1근접센서(2961)의 둘레에 배치되고, 전방글라스(292)와, 근접센서회로기판(2962) 사이에 배치되는 제1근접센서(2961)의 공간을 확보하는 리플렉터(2963)를 포함한다.
제1근접센서(2961)는 대상체의 위치, 즉 대상체와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는 센서를 의미한다. 제1근접센서(2961)는 다양한 방식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근접센서(2961)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 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외에도, 제1근접센서(2961)는 당업자에게 기 공지된 다양한 방법을 통해 구현될 수 있으며, 전술한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1근접센서(2961)는 적외선 근접센서를 사용할 수 있다. 제1근접센서(2961)는 실내기의 전면과 사용자 간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제1근접센서(2961)는 사용자가 미리 설정된 거리 이내로 사용자가 위치할 때, 근접센서회로기판(2962)으로 신호를 보낼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제1근접센서(2961)는 도어패널(21)로부터 제1설정거리범위(R1)에 위치한 대상체를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제1설정거리범위(R1)는, 도어패널(21)부터 설정된 거리 범위 내의 구역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일 수 있다. 제1설정거리범위(R1)는 이하에서 설명할, 제2근접센서(124)가 감지하는 영역인 제2설정거리범위(R2)보다 원거리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제1근접센서(2961)는 디스플레이모듈(29)에 배치되므로, 사용자의 시선이나 조작이 용이한 상측에 배치된다. 따라서, 일정 높이 이상의 범위에서 제1설정거리범위(R1)에 위치한 대상체를 감지할 수 있다.
제1근접센서(2961)는 근접센서회로기판(2962)의 전방면에 배치된다. 제1근접센서(2961)는 근접센서회로기판(2962)의 하부에 배치된다. 제1근접센서(2961)는, 전방글라스(292) 후방에 배치된다. 제1근접센서(2961)는, 전방글라스(292)의 제1인쇄부(2923)와 제2인쇄부(2924) 사이에 형성되는 센서노출부(2925) 후방에 배치된다. 제1근접센서(2961)는, 후방커버(293)의 근접센서홀(2934)에 배치된다.
근접센서회로기판(2962)은, 전방면에 제1근접센서(2961)가 장착되고, 제1근접센서(2961)에서 송신한 신호를 전달받는다. 근접센서회로기판(2962)은, 터치패널 고정부(2913)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근접센서회로기판(2962)은, 별도의 체결수단(2964)으로, 디스플레이 케이스(291)에 체결되어, 제1근접센서(2961)의 배치를 고정한다.
근접센서회로기판(2962)에는, 제1근접센서(2961)둘레로 리플렉터(2963)가 배치된다. 리플렉터(2963)는, 전방글라스(292) 후방에 배치되는 제1근접센서(2961)의 배치공간을 확보한다. 리플렉터(2963)는 사각형의 링형상을 가지고, 내부에 제1근접센서(2961)가 배치된다. 리플렉터(2963)의 두께는, 제1근접센서(2961)의 전후방향 두께보다 크게 형성된다.
리모콘 수신모듈(297)은, 실내기의 외부에 위치하는 리모컨(미도시)으로부터 신호를 입력받는 리모콘수신센서(2971)와, 리모컨에서 송신되어, 리모콘수신센서(2971)로 전달된 신호를 전달받는 리모콘수신센서 회로기판(2972)을 포함한다.
토출구커버(25)가 전방토출구(211a)를 모두 개방할 때, 디스플레이모듈(29)의 후방으로 토출구커버(25)가 배치된다. 토출구커버(25)가 전방토출구(211a)를 모두 개방할 때, 토출구커버(25)는, 디스플레이모듈(29)과 내부패널(15) 사이에 배치된다.
<베이스부 하단>
이하에서는, 도 2, 도 14 내지 도 15, 도 17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부 하단의 센서배치공간에 배치되는 구성을 설명한다.
베이스부(12)는, 하단부에 전방으로 개구되고, 내측으로 각종 센서가 배치되는 센서배치공간(12a)을 형성한다. 베이스부(12)의 센서배치공간(12a)은, 내측에 센서배치공간(12a)이 형성되고, 전면이 개구된다. 베이스부(12)는, 센서배치공간(12a)의 개구된 전면을 커버하는 베이스부 하단커버(121)를 포함한다.
센서배치공간(12a)에는, 실내기에 사용자가 접근하는 것을 감지하여, 사용자의 접근에 대응하는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제2근접센서(124)와 실내기 전방으로 제2근접센서(124)가 감지하는 영역을 표시하는 프로젝션모듈(123) 및 제2근접센서(124)와 프로젝션모듈(123)이 장착되는 센서하우징(122)이 설치될 수 있다.
베이스부 하단커버(121)에는, 제2근접센서(124)가 향하는 방향으로 개구된 제2근접센서홀(121a)과, 프로젝션모듈(123)이 향하는 방향으로 개구된 프로젝션홀(121b)이 형성된다. 또한, 베이스부 하단커버(121)에는, 이하에서 설명할 스피커(125)가 장착되는 부분에서 전방으로 개구된 스피커홀(121d)과, 마이크(126a, 126b)가 장착되는 부분에서 전방으로 개구된 마이크홀(121c)이 형성된다.
베이스부 하단커버(121)의 후방에는, 제2근접센서(124)와 프로젝션모듈(123)이 장착된다. 베이스부 하단커버(121)의 후방에는, 스피커(125)와 마이크(126a, 126b)가 장착될 수 있다. 베이스부 하단커버(121)는, 도어 어셈블리(Ⅱ) 하측에 배치되는 베이스부(12)의 개구된 하단에 장착된다.
제2근접센서(124)는 도어 어셈블리(Ⅱ)의 하측에 배치된다. 따라서, 제2근접센서(124)는 좌우로 이동하는 도어 어셈블리(Ⅱ)에 의해 작동이 방해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2근접센서(124)는, 도어 어셈블리(Ⅱ) 전방의 특정영역을 감지할 수 있다. 제2근접센서(124)는, 프로젝션모듈(123)이 그래픽 오브젝트를 표시하는 영역으로 사용자의 신체가 접근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제2근접센서(124)는 바닥면으로부터 일정높이(H1)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2근접센서(124)는, 센서배치공간(12a)이 형성하는 높이(H2)보다 낮은 위치에서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2근접센서(124)가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된 높이(H1)는, 센서배치공간(12a)이 형성하는 높이의 0.4배 내지 0.6배에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2근접센서(124)가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된 높이(H1)는, 사용자의 발등높이 부분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제2근접센서(124)는, 지면에 나란한 방향을 감지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제2근접센서(124)는 프로젝션모듈(123)이 그래픽 오브젝트를 표시하는 바닥부분의 상측을 감지할 수 있다.
다만, 이는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것으로, 제2근접센서(124)가 프로젝션모듈(123)이 표시하는 영역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제2근접센서(124)가, 프로젝션모듈(123)이 표시하는 바닥부분을 향하도록 전방하측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2근접센서(124)는 제1근접센서(2961)가 감지할 수 있는 영역보다 짧은 영역에 배치된 사용자를 감지할 수 있다. 제2근접센서(124)는 제2설정거리범위(R2)에 위치한 사용자를 감지할 수 있다. 도 16을 참조하면, 제2설정거리범위(R2)는 프로젝션모듈(123)이 그래픽 오브젝트를 투사하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제2설정거리범위(R2)는 제1근접센서(2961)가 감지하는 영역보다 낮고, 좁은 범위를 감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2근접센서(124)는, 제1근접센서(2961)와 연계되어 작동할 수 있다. 즉, 제1근접센서(2961)가 도어 어셈블리(Ⅱ) 전방으로 일정영역 내에 위치한 사용자를 감지할 때, 제2근접센서(124)가 작동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2근접센서(124)는, 디스플레이모듈(29)의 터치패널(294)과 연계되어 작동할 수 있다. 즉, 터치패널(294)이 사용자의 터치를 인식할 때, 제2근접센서(124)가 작동할 수 있다.
프로젝션모듈(123)은, 제2근접센서(124)와 인접하게 배치되고, 제2근접센서(124)가 감지하는 영역을 표시하여, 사용자의 신체 일부가 제2근접센서(124)가 감지하는 영역으로 위치하도록 유도한다. 프로젝션모듈(123)은, 제2근접센서(124)의 좌측 또는 우측에 배치될 수 있다.
프로젝션모듈(123)은, 빛을 조사하는 램프(1231), 바닥에 표시되는 모양이 인쇄된 필름(1232), 램프(1231)에서 발생하여 필름(1232)을 통과한 빛을 확대하는 렌즈(1233)를 포함한다.
램프(1231)는 강한 빛을 조사할 수 있는 LED램프를 사용할 수 있다. 필름(1232)에는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는 모양 또는 문자 등이 인쇄될 수 있다.
프로젝션모듈(123)은, 도어 어셈블리(Ⅱ)의 전면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된 위치의 바닥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프로젝션모듈(123)은, 도어패널(21)과 멀리 떨어지지 않은 부분의 바닥면으로 그래픽 오브젝션을 투사하도록, 바닥면과 20도 내지 30도의 경사각(θ)을 형성할 수 있다. 프로젝션모듈(123)은, 제2근접센서(124)가 사용자의 거리를 감지할 수 있는 영역으로 빛이 반사되도록 전방 하측으로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센서하우징(122)은, 내측에 제2근접센서(124)와 프로젝션모듈(123)이 장착되는 공간을 형성한다. 센서하우징(122)은, 내측에 제2근접센서(124)가 배치되는 제2근접센서장착부(1221)와, 프로젝션모듈(123)이 배치되는 프로젝션 장착부(1222)가 형성된다. 제2근접센서장착부(1221)는, 제2근접센서(124)가 경사지게 배치되도록 형성된다. 프로젝션 장착부(1222)는 프로젝션모듈(123)이 경사지게 배치되도록 형성된다. 센서하우징(122)은, 베이스부(12)의 하측에 형성되는 센서배치공간(12a)에 고정 배치된다. 센서하우징(122)은, 제2근접센서(124)와 프로젝션모듈(123)이 센서배치공간(12a) 내부에 고정배치시킨다.
제2근접센서(124)와 프로젝션모듈(123)이 센서하우징(122)에 장착될 때, 제2근접센서(124)와 프로젝션모듈(123)은 전방하측으로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즉, 제2근접센서(124)와 프로젝션모듈(123)이 장착되는 센서하우징(122)의 내부는, 제2근접센서(124)와 프로젝션모듈(123)이 전방 하측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구조를 가진다.
센서하우징(122)은, 제2근접센서(124)와 프로젝션모듈(123)의 상측을 커버하는 하우징 상부커버(122a)와, 제2근접센서(124)와 프로젝션모듈(123)의 하측을 커버하는 하우징 하부커버(122b)와, 제2근접센서(124)와 프로젝션모듈(123)의 전방을 커버하는 하우징 전방커버(122c)를 포함한다.
하우징 상부커버(122a)와 하우징 하부커버(122b)는 결합으로, 제2근접센서(124)와 프로젝션모듈(123)이 경사지게 배치되는 공간을 형성한다. 하우징 전방커버(122c)는, 투명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2근접센서(124)는, 전방커버(122c)를 투과하여, 도어 어셈블리(Ⅱ) 전방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프로젝션모듈(123)은, 전방커버(122c)를 투과하여, 그패픽 오브젝트를 전방으로 투사할 수 있다.
전방커버(122c)는, 베이스부 하단커버(121)에 형성되는 제2근접센서홀(121a)에 삽입되도록 전방으로 돌출된 제1돌기(122c1)와, 프로젝션홀(121b)에 삽입되도록 전방으로 돌출된 제2돌기(122c2)를 포함한다.
센서배치공간(12a)에는, 베이스부 하단커버(121)의 후방에 배치되고, 사용자의 음성을 수신하는 마이크(126a, 126b)와, 실내기의 동작상태나 처리정보를 사용자에게 알려주거나, 음성인식 결과에 대응되는 음성을 출력하는 스피커(125)가 배치될 수 있다.
마이크(126a, 126b)는, 사용자의 음성명령을 더 정확히 수신하기 위해 복수의 마이크(126a, 126b)를 구비할 수 있고, 복수의 마이크(126a, 126b)는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126a, 126b)는 음성인식 성능 확보를 위해 2개의 마이크(126a, 126b)를 포함한다. 2개의 마이크(126a, 126b) 각각은 서로 일정간격 이격 배치된다. 일정간격 이격배치된 2개의 마이크(126a, 126b)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을 비교하여 잡음을 제거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126a, 126b)는 이하에서 베이스부 하단커버(121)의 후방면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부 하단커버(121)에는, 마이크(126a, 126b)가 배치되는 부분에서 마이크홀(121c)이 이 형성된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부 하단커버(121)에는, 2개의 마이크(126a, 126b)가 배치되는 부분에서 2개의 마이크홀(121c)이 형성된다.
마이크(126a, 126b)는 별도의 접착부재(미도시)를 통해 베이스부 하단커버(121)에 장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126a, 126b)는, 마이크장착부재(1261)에 장착되어, 베이스부 하단커버(121)에 장착될 수 있다. 마이크장착부재(1261)에는 마이크(126a, 126b)가 장착되는 마이크장착부(1261a, 1261b)와, 마이크장착부재(1261)를 베이스부 하단커버(121)에 체결하는 체결부(1261c)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125)는 베이스부 하단커버(121)의 후방면에 배치된다. 따라서, 스피커(125)가 배치되는 베이스부 하단커버(121)에는 스피커(125)에서 발생된 소리가 베이스부(12)의 외측으로 전달되도록 스피커홀(121d)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125)는 외형을 형성하고, 일측방향에 소리가 출력되도록 개구된 스피커개구부(125a)가 형성된 스피커바디(1251), 스피커바디(1251)의 일측에 형성된 스피커개구부(125a)로, 소리를 출력하는 출력부(미도시), 스피커바디(1251)를 베이스부 하단커버(121)에 체결하도록 형성된 스피커체결부(1252)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도어패널(21)의 위치를 감지하는 제1위치센서(127a)와 제2위치센서(127b)를 포함하는 도어위치센서(127a, 127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도어위치센서(127a, 127b)는, 베이스부(12)에 배치될 수 있다. 또는 도어위치센서(127a, 127b)는, 내부패널(15)에 배치될 수 있다. 도어위치센서(127a, 127b)의 배치 위치는 센싱 방식, 공기조화기의 모델 구조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도어위치센서(127a, 127b)는, 복수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어위치센서(127a, 127b)는, 제1위치센서(127a)와 제2위치센서(127b)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위치센서(127a)와 제2위치센서(127b)는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고, 제1위치센서(127a)와 제2위치센서(127b)의 이격 간격은 도어패널(21)의 이동 거리에 대응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제1위치센서(127a)는 도어패널(21)의 닫힘 상태를 감지하고, 제2위치센서(127b)는 도어패널(21)의 열림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위치센서(127a)는 도어패널(21)의 이동 시작점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닫힘 상태를 감지하고, 제2위치센서(127b)는 도어패널(21)의 이동 끝점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도어패널(21)의 열림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제2위치센서(127b)는 도어패널(21)이 이동하여, 수조(51)의 전면이 모두 노출될 때, 도어패널(21)이 열림 상태임을 감지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도어패널(21)의 이동 시작점은, 도어패널(21)가 열림 동작을 시작하기 전, 닫힘 상태의 도어패널(21) 최우측 지점(정면에서 바라볼 때)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도어패널(21)의 이동 끝점은, 도어패널(21)가 열림 동작을 완료한 후, 열림 상태의 도어패널(21) 최우측 지점을 의미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도어패널(21)의 이동 끝점은, 도어패널(21)가 열림 동작을 시작하기 전, 닫힘 상태의 도어패널(21) 최좌측 지점(정면에서 바라볼 때)을 의미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도어위치센서(127a, 127b)의 센싱 방식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방식의 센서를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위치센서(127a)와 제2위치센서(127b)는, 적외선(IR) 센서일 수 있다. 제1위치센서(127a)와 제2위치센서(127b)는, 각각 슬라이딩 도어(13)의 이동 시작점, 이동 끝점에 위치하여, 도어패널(21)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800)는 감지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도어구동부(282)를 제어할 수 있다.
또는, 도어위치센서(127a, 127b)는 홀(Hall) IC, 트리거 스위치, 로터리 스위치 등을 이용하여 도어패널(21)의 개폐 여부 및/또는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제1근접센서와 제2근접센서의 관계>
제1근접센서(2961)는 제2근접센서(124)의 상측에 배치된다. 제1근접센서(2961)는, 디스플레이모듈(29)의 상단에 배치되고, 제2근접센서(124)는 도어 어셈블리(Ⅱ)의 하측에 배치된다. 제1근접센서(2961)는 설정높이보다 높게 배치된다. 따라서, 유아나, 어린이 또는 반려동물이 감지될 때, 도어패널(21)이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근접센서(2961)는, 제2근접센서(124)보다 도어패널(21)로부터 원거리에 위치하는 대상체를 인식할 수 있다. 제1근접센서(2961)가 대상체를 인식하는 제1설정거리범위(R1)는, 제2근접센서(124)가 대상체를 인식하는 제2설정거리범위(R2)보다 원거리를 감지할 수 있다.
<제어부 관련>
이하에서는 도 18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와 관련구성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제1근접센서(2961)와 제2근접센서(124)에서 모두 대상체가 감지될 때, 도어패널(21)을 이동시키는 도어구동부(282)를 작동시키는 제어부(8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800)는, 제1근접센서(2961)에서 대상체가 감지될 때, 제2근접센서(124)가 작동되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800)는, 제1근접센서(2961)에서 대상체가 감지될 때, 프로젝션모듈(123)을 작동시킬 수 있다. 제어부(800)는, 제1근접센서(2961)에서 대상체가 감지될 때, 프로젝션모듈(123)이 제2근접센서(124)가 감지하는 제2설정거리범위(R2)로 그래픽 오브젝트를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800)는, 프로젝션모듈(123)이 그래픽 오브젝트를 표시하는 영역을 감지하는 제2근접센서(124)가 대상체를 감지할 때, 도어구동부(282)를 작동시킨다. 제어부(800)는, 작동되는 제2근접센서(124)가 대상체를 감지할 때, 수조(51)의 전면이 노출되도록 도어패널(21)을 이동시킨다.
제어부(800)는, 실내기의 사용상태나 사용자에게 알림을 위해 스피커(125)를 작동할 수 있다. 제어부(800)는, 도어패널(21)에 형성된 전방토출구(211a)를 개폐하도록 토출구커버 무빙코듈(26)을 작동시켜, 토출구커버(25)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제어부(800)는 디스플레이모듈(29)를 통해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받거나, 실내기의 작동상태나, 제품상태를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800)는, 도어위치센서(127a, 127b)로 감지되는 도어패널(21)이 수조(51)의 전면을 개방할 때, 틸팅부재를 작동시켜, 수조(51)가 전방으로 경사지게 배치할 수 있다.
제어부(800)는, 도어위치센서(127a, 127b)의 센싱 데이터에 기초하여 공기조화기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800)는, 도어패널(21)의 열림 동작 중에, 제2위치센서(127b)가 제1 거리에서 도어패널(21)를 감지하면, 도어구동부(282)의 회전 속도가 감소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800)는, 제2위치센서(127b)가 제1 거리보다 짧은 제2 거리에서 도어패널(21)를 감지하면, 도어구동부(282)의 회전을 정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도어패널(21)가 이동 끝점에 도달하기 제1 거리 전에, 도어패널(21)의 속도를 낮추고, 이동 끝점에 도달하기 직전인 제2 거리에서 도어구동부(282)의 회전을 정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도어패널(21)의 열림 동작 중 발생할 수 있는 수조(51)에 대한 간섭도 방지할 수 있다.
동일한 방식으로, 제어부(800)는, 도어패널(21)의 닫힘 동작 중에, 제1위치센서(127a)가 제3 거리에서 도어패널(21)를 감지하면, 슬라이딩 도어 모터(810)의 회전 속도가 감소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800)는, 제1위치센서(127a)가 제3 거리보다 짧은 제4 거리에서 도어패널(21)를 감지하면, 슬라이딩 도어 모터(810)의 회전을 정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Ⅰ : 캐비닛 어셈블리 Ⅱ : 도어 어셈블리
Ⅲ : 송풍팬 어셈블리 Ⅴ : 가습 어셈블리
11 : 상부캐비닛 12 : 베이스부
12a : 센서배치공간 121 : 베이스부하단커버
122 : 센서하우징 123 : 프로젝션모듈
124 : 제2근접센서 127a, 127b : 도어위치센서
13 : 하부캐비닛 21 : 도어패널
211a : 전방토출구 211b : 디스플레이홀
22 : 카메라모듈 25 : 토출구커버
28 : 도어무빙모듈 29 : 디스플레이모듈
291 : 디스플레이케이스 292 : 전방글라스
293 : 후방커버 294 : 터치패널
295 : 디스플레이 296 : 근접센서모듈
2961 : 제1근접센서 2963 : 리플렉터

Claims (15)

  1. 후방으로 흡입구를 형성하는 상부캐비닛과 상기 상부캐비닛을 지지하도록 상기 상부캐비닛 하측에 배치되는 베이스부를 포함하는 캐비닛 어셈블리;
    상기 상부캐비닛과 상기 베이스부의 전면 일부를 커버하도록, 상기 캐비닛 어셈블리의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캐비닛 어셈블리에 좌우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는 도어패널;
    상기 도어패널에 장착되어, 상기 도어패널로부터 제1설정거리범위에 위치한 대상체를 감지하는 제1근접센서;
    상기 도어패널보다 하측에 위치한 상기 베이스부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도어패널로부터 제2설정거리범위에 위치한 대상체를 감지하는 제2근접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1설정거리범위는 상기 제2설정거리범위보다 원거리를 포함하며,
    상기 제1근접센서와 상기 제2근접센서에서 모두 대상체를 감지할 때, 상기 도어패널이 이동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근접센서는 바닥을 향해 경사지게 배치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근접센서가 대상체를 감지하는 제2설정거리범위를 외부에 표시하도록 빛을 투사하는 프로젝션모듈을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도어패널의 하측에서 상기 제2근접센서와 프로젝션모듈이 배치되도록 형성된 센서배치공간과, 상기 센서배치공간의 전면을 커버하는 베이스부 하단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부 하단커버에는, 상기 제2근접센서가 감지하는 방향으로 개구된 제2근접센서홀과 상기 프로젝션모듈이 빛을 투사하는 방향으로 개구된 프로젝션홀이 형성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근접센서홀과 상기 프로젝션홀은, 상기 베이스부 하단커버에서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배치공간의 내부에는, 상기 제2근접센서와 상기 프로젝션모듈이 장착되는 센서하우징이 배치되고,
    상기 센서하우징은, 상기 제2근접센서와 상기 프로젝션모듈을 전방 하측으로 경사지게 배치시키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패널의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도어구동부와,
    상기 제1근접센서와 상기 제2근접센서에서 모두 대상체가 감지될 때, 상기 도어구동부를 작동시키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근접센서에서 대상체를 감지할 때, 상기 프로젝션모듈을 작동시키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9. 제 7 항에 있어서,
    물을 저장하는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도어패널 후방에 배치되는 수조;
    상기 수조의 물을 공급받아 가열하는 히팅부; 및
    상기 히팅부로 히팅된 가습공기를 토출하는 가습토출구가 형성된 가습토출노즐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근접센서와 상기 제2근접센서에서 모두 대상체가 감지될 때, 상기 수조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도어구동부를 작동시키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수조가 배치되는 경사각을 조절하는 틸팅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조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도어구동부가 상기 도어패널을 이동시킬 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조를 전방으로 기울어지도록 상기 틸팅부재가 작동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패널의 닫힘상태를 감지하는 제1위치센서; 및
    상기 도어패널의 열림상태를 감지하는 제2위치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위치센서가 상기 도어패널의 열림상태를 감지할 때, 상기 수조를 전방으로 기울어지도록 상기 틸팅부재를 작동시키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패널에는, 전후방향으로 개구된 디스플레이홀이 형성되고,
    상기 디스플레이홀에 배치되고, 실내기의 작동상태를 표시하고, 상기 제1근접센서가 배치되는 디스플레이모듈을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은,
    사용자에게 시각정보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상기 디스플레이가 장착되고, 상기 도어패널 후방에서 상기 디스플레이의 위치를 고정하는 디스플레이 케이스;
    상기 디스플레이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모듈 전방을 커버하는 전방글라스;
    상기 전방글라스 후방 상단부에 배치되는 상기 제1근접센서;
    일단부에 상기 근접센서가 배치되는 근접센서홀을 형성하고, 상기 전방글라스와 상기 디스플레이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근접센서가 배치되는 간격을 유지하는 후방커버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은,
    상기 디스플레이와 상기 후방커버 사이에 배치되고, 사용자의 명령을 수신하는 터치패널을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은,
    상기 제1근접센서로부터 인식되는 신호를 전달받는 근접센서회로기판;
    상기 제1근접센서의 둘레에 배치되어, 상기 전방글라스와 상기 근접센서회로기판 사이에 배치되는 상기 근접센서의 공간을 확보하는 리플렉터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20190024361A 2018-03-07 2019-02-28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22393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4361A KR102239328B1 (ko) 2019-02-28 2019-02-28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US16/978,126 US20210010706A1 (en) 2018-03-07 2019-03-07 Air conditioner
CN202210811660.2A CN114992717B (zh) 2018-03-07 2019-03-07 空调设备
PCT/KR2019/002674 WO2019172688A1 (ko) 2018-03-07 2019-03-07 공기조화기
CN201980017550.5A CN111836999B (zh) 2018-03-07 2019-03-07 空调设备
CN202210811654.7A CN114992716B (zh) 2018-03-07 2019-03-07 空调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4361A KR102239328B1 (ko) 2019-02-28 2019-02-28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5329A true KR20200105329A (ko) 2020-09-07
KR102239328B1 KR102239328B1 (ko) 2021-04-12

Family

ID=724723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4361A KR102239328B1 (ko) 2018-03-07 2019-02-28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932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37821A (ko) * 1999-10-20 2001-05-15 전주범 공기조화기의 흡토출구 개폐장치 및 그 개폐방법
KR101599634B1 (ko) * 2014-10-08 2016-03-04 유제빈 가습기능이 구비된 도자기형 공기정화기
KR20160071141A (ko) * 2014-12-11 2016-06-21 박준국 스마트 베이비 케어 선풍기
JP2018138865A (ja) * 2016-11-29 2018-09-06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冷蔵庫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37821A (ko) * 1999-10-20 2001-05-15 전주범 공기조화기의 흡토출구 개폐장치 및 그 개폐방법
KR101599634B1 (ko) * 2014-10-08 2016-03-04 유제빈 가습기능이 구비된 도자기형 공기정화기
KR20160071141A (ko) * 2014-12-11 2016-06-21 박준국 스마트 베이비 케어 선풍기
JP2018138865A (ja) * 2016-11-29 2018-09-06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冷蔵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9328B1 (ko) 2021-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08645B1 (en)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KR102239327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EP2031316B1 (en) Air conditioner
KR20090043232A (ko) 공기조화기
KR20140092952A (ko) 공기조화기
US20220404054A1 (en) Powered room air purifier with air-quality visual indicator
KR102239328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EP2184554B1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KR20100049984A (ko) 공기조화기
KR100936496B1 (ko) 공기조화기
KR101533315B1 (ko) 공기조화기
US20220373220A1 (en) Air processing apparatus
EP2710304B1 (en) A device for displaying graphical symbols
JP2016200348A (ja) 空気調和機
CN101482296B (zh) 空调机
KR102256127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2655280B1 (ko) 가습어셈블리
KR102550361B1 (ko) 공기처리장치
KR20090086750A (ko) 공기조화기
WO2023188458A1 (ja) 空気調和機のコントローラ
KR100964367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0471455B1 (ko) 공기조화기의 리모콘 보관함 및 리모콘 보관 식별 장치
KR20100033501A (ko) 공기조화기
JP2011137579A (ja) 空気調和機
KR20050104730A (ko) 공기조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