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5182A - 차량운행정보 안내와 광고 단말/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차량운행정보 안내와 광고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운행정보 안내와 광고 단말/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차량운행정보 안내와 광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5182A
KR20200105182A KR1020190023984A KR20190023984A KR20200105182A KR 20200105182 A KR20200105182 A KR 20200105182A KR 1020190023984 A KR1020190023984 A KR 1020190023984A KR 20190023984 A KR20190023984 A KR 20190023984A KR 20200105182 A KR20200105182 A KR 202001051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advertisement
display device
server
safety manag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39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우희
Original Assignee
권우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우희 filed Critical 권우희
Priority to KR10201900239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05182A/ko
Publication of KR202001051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518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5Vehicular advertis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73Determination of fees for advertising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21/00Mobile visual advertising
    • G09F21/04Mobile visual advertising by land vehicles
    • G09F21/048Advertisement panels on sides, front or back of vehicl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운행 중 운전자의 스마트폰을 통해 운행 중인 차량의 후방에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주행 중인 다른 차량의 운전자에게 전방 차량의 차량운행과 관련된 각종 정보를 차량의 후면유리에 설치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문자로 디스플레이하여 주행 중인 차량과 후방에서 주행 중인 차량 모두 안전하게 운행할 수 있고, 전방차량의 상황을 후방차량에 정확히 안내함으로써 앞차와 뒷차간 불필요한 언쟁이나 분쟁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공익광고나 상업광고 등을 홍보할 수 있는 차량운행정보 안내와 광고 단말/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차량운행정보 안내와 광고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운행정보 안내와 광고 단말/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차량운행정보 안내와 광고 방법{Information on vehicle operation information, advertisement terminal / display system, information on vehicle operation information and advertisement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차량운행정보 안내와 광고를 위한 단말 및 디스플레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 운행 중 운전자가 자신의 스마트폰을 통해 운행 중인 차량의 후방에서 주행 중인 다른 차량의 운전자에게 차량 후방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차량운행과 관련된 각종 정보를 문자로 디스플레이하여 주행 중인 차량과 후방에서 주행 중인 차량 모두 안전하게 운행할 수 있도록 하고, 공익광고나 상업광고를 제공할 수 있는 차량운행정보 안내와 광고 단말/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차량운행정보 안내와 광고 방법에 관한 것이다.
차량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에는 점멸 방식이나 슬라이딩 방식, 밝기 제어 등을 통해서 사용자들이 주행 중인 차량의 진행방향이나 브레이크 상황을 쉽게 인지할 수 있는 다양한 출력방식이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출력방식을 통해 운행 중인 타 운전자들의 시선을 끌게 되어 안전 운전에 도움을 주기도 하고, 특히 야간 운전이나 고속 운전시 후방의 차량 운전자들은 경각심을 갖고 위험상황에 대처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차량들은 기존의 브레이크등이나 후미등과는 별도의 브레이크 등을 설치하기도 하고 있는데 기존의 장치들은 LED를 이용한 단조로운 구동이 대부분이었고, 잠시 정차하고자 하거나, 사람이 내리거나, 짐을 내리기 위하여 정차하거나 하는 등의 경우에는 단순히 비상등만을 점멸시키는 경우 밖에 없어서 후방의 차량에 정확한 안내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고, 그와 같은 경우 단순한 경우에도 말다툼이 벌어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었다.
한편 종래의 기술로서, 매우 다양한 형태로 차량을 이용한 광고기법이 있었다. 그 중에서 탑승자의 눈에 잘띄는 차량 내부의 시트와 같은 곳에 인쇄기술을 이용하여 광고하고 있으며, 또한, 지하철의 내부 및 외부도 상기 인쇄기술을 이용한 광고가 게시되고 있었다.
상기 종래의 기술에 따른 문제점은 게시되는 일정기간 동안에 하나의 광고만이 게시됨으로 다양한 광고를 게시하지 못하데 있다.
또한, 다수의 사람들에게 광고를 제공하는 광고 중에서 차량의 탑승자에게 제공하는 지역광고는 고속도로 또는 국도 주변에 설치된 대형광고판에 지역의 특산물, 행사, 등이 게시된 광고가 있었다.
이러한 광고는 이동하는 다수의 차량에 다수 탑승한 탑승자에게 광고를 제공하고 있으나, 상기 광고를 제작하는 비용이 많이 들고 하나의 광고만을 제공하고 있음으로 차량에 탑승한 탑승자에게 효율적인 광고를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문헌 1 : 대한민국 공개번호 10-1998-053364호 - 차량용 교통 안내 시스템의 디스플레이 방법 문헌 2 :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7-0121893호 - 차량내부의 단말기에 지역광고를 제공하는 시스템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단점과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차량 운행 중 운전자의 스마트폰을 통해 운행 중인 차량의 후방에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주행 중인 다른 차량의 운전자에게 전방 차량의 차량운행과 관련된 각종 정보를 차량의 후면유리에 설치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문자로 디스플레이하여 주행 중인 차량과 후방에서 주행 중인 차량 모두 안전하게 운행할 수 있고, 전방차량의 상황을 후방차량에 정확히 안내함으로써 앞차와 뒷차간 불필요한 언쟁이나 분쟁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공익광고나 상업광고 등을 홍보할 수 있는 차량운행정보 안내와 광고 단말/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차량운행정보 안내와 광고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 차량운행정보 안내와 광고 단말/디스플레이 시스템은, 차량운행정보나 외부로부터 전송된 공익광고나 상업광고를 디스플레이 장치(300)로 전송하여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운전자의 스마트폰(100); 상기 운전자의 스마트폰(100)으로 차량운행정보와 관련된 애플리케이션(App.)을 제공하며, 상기 스마트폰(100)으로 공익광고나 상업광고를 전송하여 차량 운행 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300)를 통해 공익광고나 상업광고가 디스플레이될 수 하는 차량운행정보 안전관리 서버(400); 관공서에서 일반시민이나 운전자들을 대상으로 운전 중 주의사항이나 세금납부와 관련된 사항이나 새롭게 발의된 중요 법안을 상기 차량운행정보 안전관리 서버(400)를 통해 차량의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300)에서 안내할 수 있도록 하는 관공서 서버(500); 상업광고를 하고자하는 업체의 서버로, 운전자들을 대상으로 광고나 홍보하고자 하는 상품에 대한 광고를 상기 차량운행정보 안전관리 서버(400)를 통해 차량의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300)에서 안내할 수 있도록 하는 일반기업체 서버(600); 전국도로의 상황을 안내하는 국가교통정보 센터의 서버로 도로를 주행 중인 차량의 해당 지역에서 발생하는 교통상황을 상기 차량운행정보 안전관리 서버(400)를 통해 차량의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300)에서 안내할 수 있도록 하는 국가교통정보 센터 서버(700); 상기 관공서 서버(500), 일반기업체 서버(600) 및 국가교통정보 센터 서버(700)와 선택적으로 연결되어 상업광고나 공익광고 또는 교통정보 안내를 대행하는 업체의 서버로, 상기 차량운행정보 안전관리 서버(400)를 통해 차량의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300)에서 안내할 수 있도록 하는 광고사 서버(800);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300)를 구비한 차량에서 공익광고나 상업광고를 수행하면 이에 대하여 상기 차량운행정보 안전관리 서버(400)에서 통계를 내고, 미리 정해진 금액을 광고 횟수나 광고 시간에 따라 차등지급 시 안전한 거래를 통해 운전자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금융사 서버(90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 차량운행정보 안내 단말/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한 차량운행정보 안내와 광고 방법은, 스마트폰과 차량의 후면유리에 디스플레이 장치가 부착된 차량회원과 광고주를 차량운행정보 안전관리 서버에서 모집하는 단계(S100); 상기 광고주의 광고를 상기 스마폰으로 전송하는 단계(S110); 차량 시동이 온되고, 상기 스마트폰에 상기 차량운행정보 안전관리 서버에서 제공된 애플리케이션이 구동되면(S120),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광고가 디스플레이되는 단계(S130); 상기 스마트폰의 제어부(190)는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이벤트가 음성인지 터치인지를 판단하는 단계(S140); 판단결과(S140) 상기 운전자로부터의 음성이라면 음성입력 내용을 상기 스마트폰의 음성/문자 변환부(140)에서 변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300)에서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고(S160), 상기 이벤트(S140)가 운전자로부터의 터치라면 터치 입력된 내용을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300)에서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는 단계(S170); 상기 제어부(180)는 상황이 종료되었는가에 따라(S190) 상황 종료가 아니라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300)에서의 디스플레이 내용을 유지하고, 상황종료라면 광고문자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300)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S210); 상기 차량이 시동이 오프되면 상기 스마트폰은 상기 차량에서의 광고 디스플레이 횟수나 시간을 상기 차량운행정보 안전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S230); 및 상기 차량운행정보 안전관리 서버는 차량에서의 광고 노출에 따른 비용을 계산하고, 금융사 서버를 통해 지급할 것을 요청하는 단계(S2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운전자의 스마트기기(스마트폰, 스마트패드)을 이용함으로써 새로운 기능이 추가되는 경우 해당 기능을 손쉽게 업그레이드할 수 있고, 후방의 디스플레이 장치만을 구매하면 되므로 비교적 저렴한 비용으로 차량운전정보를 후방의 운전자나 행인들에게 제공할 수 있다.
둘째, 스마트기기를 이용함으로써 후방차량에 차량운전정보를 제공중이지 않은 경우에는 공익광고나 상업광고를 제공할 수 있어 공익관련 광고를 손쉽게 홍보할 수 있고, 상업광고의 경우 운전자에게 개인적인 이익을 줄수 있어 차량운행정보안내를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 구매에 특별한 경제적 어려움이 없이 설치할 수 있다.
셋째, 차량 운행 중 운전자가 운행 중인 차량의 후방에서 주행 중인 다른 차량의 운전자에게 차량운행과 관련된 각종 정보를 문자로 디스플레이하여 주행 중인 차량과 후방에서 주행 중인 차량 모두 안전하게 운행할 수 있다.
넷째, 전방차량의 상황을 후방차량에 정확히 안내함으로써 불필요한 언쟁이나 분쟁을 최소화할 수 있다.
다섯째, 차량 운전자가 필요에 따라 사전에 입력한 긴급구난(SOS)/유턴/초보운전/감사표현 등 다양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운행정보 안내와 광고 단말/디스플레이 시스템 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운행정보 안내와 광고 단말/디스플레이 시스템에서 차량운행 정보 안내와 광고 단말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운행정보 안내와 광고 단말/디스플레이 시스템에서 차량운행정보 안전관리 서버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운행정보 안내와 광고 단말/디스플레이 시스템에서 차량주행안전 관리/광고 단말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운행정보 안내와 광고 단말/디스플레이 시스템에서 차량운행 정보 안내를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차량에 부착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운행정보 안내와 광고 단말/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차량운행 정보 안내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차량운행정보를 안내하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운행정보 안내와 광고 단말/디스플레이 시스템 이용한 차량운행정보 안내와 광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 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는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하였으므로,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용어가 가지는 의미로서 본 발명을 파악하여야 함을 밝혀두고자 한다. 또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운행정보 안내와 광고 단말/디스플레이 시스템 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운행정보 안내와 광고 단말/디스플레이 시스템에서 차량운행 정보 안내와 광고 단말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운행정보 안내와 광고 단말/디스플레이 시스템에서 차량운행정보 안전관리 서버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운행정보 안내와 광고 단말/디스플레이 시스템에서 차량주행안전 관리/광고 단말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운행정보 안내와 광고 단말/디스플레이 시스템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차량을 운전하는 운전자의 스마트폰(100)과, 차량운행정보 안전관리 서버(400)와, 관공서 서버(500), 일반기업체 서버(600), 국가교통정보 센터 서버(700), 광고사 서버(800) 및 금융사 서버(900)로 구성되고, 스마트폰(100)과, 차량운행정보 안전관리 서버(400)와, 관공서 서버(500), 일반기업체 서버(600), 국가교통정보 센터 서버(700), 광고사 서버(800) 및 금융사 서버(900)는 통신망을 통해 유무선 통신을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운행정보 안내와 광고 단말/디스플레이 시스템에서 차량운행 정보 안내와 광고 단말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실시예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마트폰(100)과, 차량주행안전 관리/광고 단말(200) 및 디스플레이 장치(300)로 구성된다.
여기서 운전자의 스마트폰(100)은 차량운행정보나 외부로부터 전송된 공익광고나 상업광고 등을 디스플레이 장치(300)로 전송하여 디스플레이되도록 한다.
차량운행정보 안전관리 서버(400)는 운전자의 스마트폰(100)으로 차량운행정보와 관련된 애플리케이션(App.)을 제공하며, 스마트폰(100)으로 공익광고나 상업광고를 전송하여 차량 운행 시 디스플레이 장치(300)를 통해 공익광고나 상업광고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한다.
관공서 서버(500)는 도로교통공단이나, 국세청, 법무부 등과 같은 관공서에서 일반시민이나 운전자들을 대상으로 운전 중 주의사항이나 세금납부와 관련된 사항(주민세, 보유세 등)이나 새롭게 발의된 중요 법안 등을 차량운행정보 안전관리 서버(400)를 통해 차량의 디스플레이 장치(300)에서 안내할 수 있도록 한다.
일반기업체 서버(600)는 상업광고를 하고자하는 업체의 서버로, 운전자들을 대상으로 광고나 홍보하고자 하는 상품에 대한 광고를 차량운행정보 안전관리 서버(400)를 통해 차량의 디스플레이 장치(300)에서 안내할 수 있도록 한다.
국가교통정보 센터 서버(700)는 전국도로의 상황을 안내하는 국가교통정보 센터의 서버로 도로를 주행 중인 차량의 해당 지역에서 발생하는 교통상황(사고발생, 사고처리, 서행상황, 정체상황 등)을 차량운행정보 안전관리 서버(400)를 통해 차량의 디스플레이 장치(300)에서 안내할 수 있도록 한다.
광고사 서버(800)는 관공서 서버(500), 일반기업체 서버(600) 및 국가교통정보 센터 서버(700)와 선택적으로 연결되어 상업광고나 공익광고 또는 교통정보 안내를 대행하는 업체의 서버로, 해당 정보를 수집하여 실시간으로 차량운행정보 안전관리 서버(400)를 통해 차량의 디스플레이 장치(300)에서 안내할 수 있도록 한다.
금융사 서버(900)는 디스플레이 장치(300)를 구비한 차량에서 공익광고나 상업광고를 수행하면 이에 대하여 차량운행정보 안전관리 서버(400)에서 통계를 내고, 미리 정해진 금액을 광고 횟수나 광고 시간에 따라 차등지급 시 안전한 거래를 위하여 금융사 서버(900)를 통해 운전자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운행정보 안내와 광고 단말/디스플레이 시스템에서 차량운행 정보 안내와 광고 단말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실시예는 도 2에서와 같이, 스마트폰(100)은 통신부(110), 스마트폰 디스플레이부(120), 마이크(130), 음성/문자 변환부(140), 저장부(150), 차량속도 계산부(160), 디스플레이 광고 카운팅부(170) 및 제어부(180)로 구성된다.
통신부(110)는 통상적으로 운전자의 스마트폰 구동 시 데이터통신, 음성, 영상 통신을 제공하며, 차량운행정보와 관련된 애플리케이션(App.)을 설치 후 차량운행정보 안전관리 서버(400), 관공서 서버(500), 일반기업체 서버(600), 국가교통정보 센터 서버(700), 광고사 서버(800)로부터의 안전운전관련 데이터나 공익광고, 상업광고를 수신하고, 차량 운행 종료 시 차량운행정보 안전관리 서버(400)로 카운팅된 광고 정보 데이터를 전송한다.
스마트폰 디스플레이부(120)는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되어 차량운행정보 안내 단말을 구동하기 위한 터치 입력이 수행되며, 차량 운행 중 운전자가 운행 중인 차량의 후방에서 주행 중인 다른 차량이나 주, 정차 중 차량운행과 관련된 각종 정보를 문자로 디스플레이하기 위하여 문자를 입력받거나, 차량운행정보 단말에서 수행하기 위한 각종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입력부의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입력된 문자를 운전자가 알 수 있도록 표시한다.
마이크(130)는 운전자가 운행 중인 차량의 후방에서 주행 중인 다른 차량이나 주, 정차 중 차량운행과 관련된 각종 정보를 문자로 디스플레이하기 위하여 문자를 음성으로 입력받거나, 차량운행정보 단말에서 수행하기 위한 각종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기능을 음성으로 입력받는다.
음성/문자 변환부(140)는 마이크(110)에서 입력된 음성 중 차량운행과 관련된 각종 정보가 음성으로 입력되면 이를 문자로 변환한다.
저장부(150)는 차량 운행 중 운전자가 운행 중인 차량의 후방에서 주행 중인 다른 차량이나 주, 정차 중 차량운행과 관련된 각종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문자를 저장하거나, 차량운행정보 안내 단말을 구동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다. 이러한 저장부(150)에 저장된 문자는 운전자의 조작(터치입력)이나 음성입력에 따라 단축키에 의해 지정저장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단축 키 1번은 '좌회전', 2번은 '우회전', 3번은 '잠시 주,정차', 4번은 '사람이 내리고 있습니다' 등과 같은 문자가 저장되어, 스마트폰 디스플레이부(120)나 마이크(130)에서 '단축 키 1번'을 터치하거나 '단축 키 1번 출력'과 같은 음성이 입력되면 해당 문자가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50)는 차량운행정보 안전관리 서버(400)와, 관공서 서버(500), 일반기업체 서버(600), 국가교통정보 센터 서버(700) 또는 광고사 서버(800)로부터의 공익광고나 상업광고를 저장한다.
차량속도 계산부(160)는 스마트폰(100)에 내장된 GPS 기능을 통해 현재 차량의 속도를 계산한다.
디스플레이 광고 카운팅부(170)는 차량운행정보 안전관리 서버(400)와, 관공서 서버(500), 일반기업체 서버(600), 국가교통정보 센터 서버(700) 또는 광고사 서버(800)로부터의 공익광고나 상업광고를 차량후면의 디스플레이 장치(300)에서 디스플레이되는 횟수나 시간 등을 카운팅한다.
제어부(180)는 통신부(110), 스마트폰 디스플레이부(120), 마이크(130), 음성/문자 변환부(140), 저장부(150), 차량속도 계산부(160) 및 디스플레이 광고 카운팅부(170)를 제어하며, 스마트폰 디스플레이부(120)와 마이크(130)를 통해 입력되는 운전자의 차량운행관련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300)에서 디스플레이 되도록 제어하고, 차량운행관련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300)에서 차량운행관련 정보를 디스플레이중이지 않은 경우에는 차량운행정보 안전관리 서버(400)와, 관공서 서버(500), 일반기업체 서버(600), 국가교통정보 센터 서버(700) 또는 광고사 서버(800)에서 전송되어 저장부(150)에 저장된 광고가 디스플레이 장치(300)에서 디스플레이되도록 한다. 이때, 광고의 우선순위를 부여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국가교통정보 센터 서버(700)에서 발생된 정보(광고)를 우선순위로 하여 스마트폰(100)의 GPS 기능을 통해 차량운행 시 차량이 운행 중인 지역과 방향에 따른 안전관리에 중점을 두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어부(180)는 차량주행안전 관리/광고 단말(200)을 통해 차량의 방향지시 신호나 비상등 신호를 감지하여 해당 신호에 따른 문자나 기호(우회전시에는 '--->', 좌회전시에는 '<---', 주정차시에는 '<--- --->'가 깜빡이도록 디스플레이 장치(300)에서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80)는 차량 속도에 따라 비상등의 깜빡임에 대하여, '잠시 주정차하겠습니다'(속도 5 - 10km 이하) 또는 '서행하겠습니다'(속도 10-20Km), '긴급상황입니다(시속 70Km이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300)를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차량주행안전 관리/광고 단말(200)은 도 2에서와 같이 인터페이스부(210), 비상등 감지부(220), 방향지시등 감지부(230) 및 전원공급부(240)로 구성된다. 이러한 차량주행안전 관리/광고 단말(200)은 도 4에서와 같이 거치대 형태로 구성될 수 있는데, 거치대를 통해 스마트폰(100)을 거치하도록 하고, 인터페이스부(210)를 통해 스마트폰(100) 및 차량의 ECU(ENGINE CONTROL UNIT)와 연결되어 차량의 방향지시등의 조작과 비상등 조작을 방향지시등 감지부(220)와 비상등 감지부(230)를 통해 감지하여 스마트폰(100)으로 전송한다. 또한 전원공급부(240)는 차량의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디스플레이 장치(300)로 공급한다. 물론 디스플레이 장치(300)는 차량의 시거잭을 통해 공급받을 수 있다.
그리고 차량운행정보 안전관리 서버(4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부(410), 차량회원 데이터베이스(420), 광고주 데이터베이스(430), 금융거래 저장부(440), 차량데이터 수신/분류부(450), 차량별 광고 계산부(460), 차량별 광고 지급 요청부(470) 및 제어부(480)로 구성된다.
통신부(410)는 스마트폰(100), 관공서 서버(500), 일반기업체 서버(600), 국가교통정보 센터 서버(700), 광고사 서버(800) 및 금융사 서버(900)와 통신한다.
차량회원 데이터베이스(420)는 차량 운전자의 성함, 차량 등록 번호, 차량번호, 스마트폰 식별번호, 금융계좌(은행이나 카카오페이 계좌 등) 등이 저장된다.
광고주 데이터베이스(430)는 광고주의 이름, 업체명, 전화번호, 입출금계좌, 광고계약 내용 등이 저장된다.
금융거래 저장부(440)는 차량회원과 광고주 및 차량운행정보 안전관리 서버(400)간 지급된 금융 거래 내역이 저장된다,
차량데이터 수신/분류부(450)는 차량의 운전자 스마트폰을 통해 광고나 홍보된 내역이 수신되고, 이를 운전자 차량별로 분류한다.
차량별 광고 계산부(460)는 차량데이터 수신/분류부(450)에서 분류된 내역에 따라 차량 운전자에게 지급하여야 할 비용을 계산한다. 이러한 비용은 현금이 될 수도 있고, 고속도로 통행료 납부에 이용되거나, 세금 감면, 카드사 결제 금액 차감 등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차량별 광고 지급 요청부(470)는 차량별 광고 계산부(460)에서 계산된 내역에 따라 금융사 서버(900)를 통해 은행, 카드사, 교통관리 공단 등 차량회원과 미리 약정된 내역으로 지급될 수 있도록 한다.
제어부(480)는 통신부(410), 차량회원 데이터베이스(420), 광고주 데이터베이스(430), 금융거래 저장부(440), 차량데이터 수신/분류부(450), 차량별 광고 계산부(460) 및 차량별 광고 지급 요청부(470)를 제어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운행정보 안내와 광고 단말/디스플레이 시스템에서 차량운행 정보 안내를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차량에 부착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운행정보 안내와 광고 단말/디스플레이 시스템에서 차량운행 정보 안내를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차량에 부착한 실시예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차량의 후면유리에 디스플레이 장치(300)가 부착된 것으로,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300)의 일 예로는 열처리 또는 화학적(예를 들면, 칼륨치환)처리에 의한 화학강화유리(chemical strengthening glass)를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화학강화 유리의 장점으로는 생산가능 두께가 01mm부터 가능하고, 원판을 강화 하여 실사용자가 사용크기만큼 절단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강화 처리 후 불량 및 파손이 현저히 적으며, 강화경, 칼라유리 가공처리 또한 가능하다. 또한 Glass 자체 물성 안정화로 굴절 왜곡이 거의 없으며, 자체의 굴절률 이외 굴절 왜곡 요소가 거의 전무하고, 저온에서 강화가 됨으로써 굴곡도 변화가 적다. 그리고 자외선 등 시간 경과에 따른 백화/변형 등이 거의 없으며 강도가 현재 사용되는 내강화유리의 강도의 2배 이상이라는 장점이 있다.
또한 화학강화유리의 유리표면에는 금속 산화물을 붙여 빛의 일부를 반사하고 일부를 투과시키는 하프 미러가 사용될 수 있다.
화학강화유리의 반사율 및 투과율은 적용 예에 따라 다양한 수치로 구현될 수 있는데, 디스플레이 장치(300)가 'on'인 경우 그 출력 화면이 운전자가 차량내부의 백미러(인사이드 미러)를 통해 후면을 볼 수 있는 정도라면 특별히 한정할 필요는 없다.
이를 만족하는 여러 종류의 미러가 사용될 수 있는데, LED, LCD, AMOLED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300)의 전면에는 디스플레이 장치(300)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필름이 부착된다. 이러한 보호필름은 예를 들면 저반사 코팅된 필름(anti-reflection : AR)을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보호필름은 SiO2와 TiO2가 교대로 PET(polyethyleneterephtalate)와 같은 고분자 필름 위에 적층되어 있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 투과도가 거의 99% 이상으로 우수한 투과도를 보일 수 있다.
도 6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운행정보 안내와 광고 단말/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차량운행 정보 안내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차량운행정보를 안내하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운행정보 안내와 광고 단말/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차량운행 정보 안내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차량운행정보를 안내하는 실시예들은 도 6 내지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은데,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최근 적용되는 '전좌석 안전벨트', '벌칙금 3만원'(도 6(a), 6(b)), '전방 2Km 교통사고 발생 주의 요망'(도 7(a), 도 7(b)', '우회전 합니다'(도 8), '서행중입니다'(도 9) 및 '2-3분 정차 중입니다'(도 10)와 같은 문자를 디스플레이하여 주행 중이거나 정차 중인 차량과 후방에서 주행 중인 차량 모두 안전하게 운행할 수 있고, 전방차량의 상황을 후방차량에 정확히 안내함으로써 불필요한 언쟁이나 분쟁을 최소화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운행정보 안내와 광고 단말/디스플레이 시스템 이용한 차량운행정보 안내와 광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운행정보 안내와 광고 단말/디스플레이 시스템 이용한 차량운행정보 안내와 광고 방법은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차량운행정보 안전관리 서버(400)에서는 회원을 모집한다(S100). 이때, 회원으로는 차량운전자와 관공서, 광고사, 일반기업체, 국가교통정보 센터 및 금융사 등이 될 수 있다.
그리고 모집된 회원에 따라 광고 내용을 분류하여 운전자의 스마트폰으로 전송한다(S110). 이때, 광고주의 요청에 따라 지역, 연령대 등이 분류될 수 있다.
이어 차량 시동이 온되고, 스마트폰에서 차량안전관리 프로그램(App.)이 구동되면(S120), 스마트폰의 제어부(180)는 저장부(150)에 저장된 광고가 있다면 해당 광고를 디스플레이 장치(300)에서 디스플레이되도록 출력시킨다(S130).
한편 제어부(180)는 이벤트가 발생하였는지를 판단하여 판단결과(S140), 이벤트가 발생하고, 운전자에 의한 입력이면 제어부(180)는 음성인지 터치인지를 판단한다(S150).
판단결과(S150) 마이크(130)를 통해 입력된 음성이라면 음성입력 내용을 음성/문자 변환부(140)에서 변환하여 차량후면의 디스플레이 장치(300)에서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한다(S160). 이때, 저장부(150)에 미리 단축 키로 저장된 문자가 출력될수도 있다.
한편 판단결과(S150), 터치라면 제어부(180)는 스마트폰 디스플레이부(120)의 터치스크린에서 입력된 내용이나 저장부(150)에 단축 키로 미리 저장된 문자가 디스플레이 장치(300)에서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한다(S170).
한편 이벤트 발생 판단결과(S140), 방향지시등 감지부(170)나 비상등 감지부(180)로부터의 감지라면 제어부(190)는 감지신호에 따라 해당 신호를 디스플레이 장치(300)에서 문자로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한다(S180). 이때 앞에서도 설명한 바와 같이 제어부(180)는 이벤트 발생 시 비상등을 감지한 경우 차량의 속도에 따라 미리 설정된 다양한 문자 또는 기호가 디스플레이 장치(300)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상황이 종료되었는가를 판단한다(S190). 이러한 상황 종료는 운전자에 의해 터치나, 음성으로 '출력 종료', '디스플레이 종료'와 같은 단축 키가 터치되거나 음성이 입력되거나, 방향지시등 감지부(230)나 비상등 감지부(240)로부터의 상황이 종료되면 이를 자동으로 감지하여 디스플레이 장치(300)에서의 해당 상황 디스플레이가 종료되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한 판단결과(S190)에 따라 상황종료가 아니라면 디스플레이 내용을 유지하고(S200), 상황이 종료되었다면 광고문자를 디스플레이하도록 한다(S210).
한편 제어부(180)는 차량 시동이 오프되었는지를 판단하여(S220), 시동 오프가 아닌 경우 S130 내지 S210까지의 동작을 반복한다.
그러나 차량 시동이 오프되면 스마트폰(100)은 디스플레이 장치(300)에 디스플레이되어 디스플레이 광고 카운팅부에서 카운팅된 광고의 횟수나 시간을 차량운행정 안전관리 서버(400)로 전송하고(S230), 차량운행정 안전관리 서버(400)는 차량별 광고 계산부(460)에서 비용을 계산하고, 차량별 광고 지급 요청부(470)를 통해 광고에 대응되는 비용 즉 현금이나, 고속도로 통행료, 세금 감면, 카드사 결제 금액 차감 등을 금융사 서버(900)를 통해 수행한다.
이상과 같은 예로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예들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예들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스마트폰 110 : 통신부
120 : 스마트폰 디스플레이부 130 : 마이크
140 : 음성/문자 변환부 150 : 저장부
160 : 차량속도 계산부 170 : 디스플레이 광고 카운팅부
180 : 제어부
200 : 차량주행안전 관리/광고 단말
210 : 인터페이스부 220 : 비상등 감지부
230 : 방향지시등 감지부 240 : 전원공급부
300 : 디스플레이 장치 400 : 차량운행정보 안전관리 서버
500 : 관공서 서버 600 : 일반기업체 서버
700 : 국가교통정보 센터 서버 800 : 광고사 서버
900 : 금융사 서버

Claims (2)

  1. 차량운행정보나 외부로부터 전송된 공익광고나 상업광고를 디스플레이 장치(300)로 전송하여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운전자의 스마트폰(100);
    상기 운전자의 스마트폰(100)으로 차량운행정보와 관련된 애플리케이션(App.)을 제공하며, 상기 스마트폰(100)으로 공익광고나 상업광고를 전송하여 차량 운행 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300)를 통해 공익광고나 상업광고가 디스플레이될 수 하는 차량운행정보 안전관리 서버(400);
    관공서에서 일반시민이나 운전자들을 대상으로 운전 중 주의사항이나 세금납부와 관련된 사항이나 새롭게 발의된 중요 법안을 상기 차량운행정보 안전관리 서버(400)를 통해 차량의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300)에서 안내할 수 있도록 하는 관공서 서버(500);
    상업광고를 하고자하는 업체의 서버로, 운전자들을 대상으로 광고나 홍보하고자 하는 상품에 대한 광고를 상기 차량운행정보 안전관리 서버(400)를 통해 차량의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300)에서 안내할 수 있도록 하는 일반기업체 서버(600);
    전국도로의 상황을 안내하는 국가교통정보 센터의 서버로 도로를 주행 중인 차량의 해당 지역에서 발생하는 교통상황을 상기 차량운행정보 안전관리 서버(400)를 통해 차량의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300)에서 안내할 수 있도록 하는 국가교통정보 센터 서버(700);
    상기 관공서 서버(500), 일반기업체 서버(600) 및 국가교통정보 센터 서버(700)와 선택적으로 연결되어 상업광고나 공익광고 또는 교통정보 안내를 대행하는 업체의 서버로, 상기 차량운행정보 안전관리 서버(400)를 통해 차량의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300)에서 안내할 수 있도록 하는 광고사 서버(800);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300)를 구비한 차량에서 공익광고나 상업광고를 수행하면 이에 대하여 상기 차량운행정보 안전관리 서버(400)에서 통계를 내고, 미리 정해진 금액을 광고 횟수나 광고 시간에 따라 차등지급 시 안전한 거래를 통해 운전자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금융사 서버(90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운행정보 안내와 광고 단말/디스플레이 시스템.
  2. 청구항 1에 기재된 차량운행정보 안내와 광고 단말/디스플레이 시스템을 이용한 차량운행정보 안내와 광고 방법으로,
    스마트폰과 차량의 후면유리에 디스플레이 장치가 부착된 차량회원과 광고주를 차량운행정보 안전관리 서버에서 모집하는 단계(S100);
    상기 광고주의 광고를 상기 스마폰으로 전송하는 단계(S110);
    차량 시동이 온되고, 상기 스마트폰에 상기 차량운행정보 안전관리 서버에서 제공된 애플리케이션이 구동되면(S120),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광고가 디스플레이되는 단계(S130);
    상기 스마트폰의 제어부(190)는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이벤트가 음성인지 터치인지를 판단하는 단계(S140);
    판단결과(S140) 상기 운전자로부터의 음성이라면 음성입력 내용을 상기 스마트폰의 음성/문자 변환부(140)에서 변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300)에서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고(S160), 상기 이벤트(S140)가 운전자로부터의 터치라면 터치 입력된 내용을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300)에서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는 단계(S170);
    상기 제어부(180)는 상황이 종료되었는가에 따라(S190) 상황 종료가 아니라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300)에서의 디스플레이 내용을 유지하고, 상황종료라면 광고문자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300)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S210);
    상기 차량이 시동이 오프되면 상기 스마트폰은 상기 차량에서의 광고 디스플레이 횟수나 시간을 상기 차량운행정보 안전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S230); 및
    상기 차량운행정보 안전관리 서버는 차량에서의 광고 노출에 따른 비용을 계산하고, 금융사 서버를 통해 지급할 것을 요청하는 단계(S2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운행정보 안내와 광고 단말/디스플레이 시스템을 이용한 차량운행정보 안내와 광고 방법.
KR1020190023984A 2019-02-28 2019-02-28 차량운행정보 안내와 광고 단말/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차량운행정보 안내와 광고 방법 KR2020010518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3984A KR20200105182A (ko) 2019-02-28 2019-02-28 차량운행정보 안내와 광고 단말/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차량운행정보 안내와 광고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3984A KR20200105182A (ko) 2019-02-28 2019-02-28 차량운행정보 안내와 광고 단말/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차량운행정보 안내와 광고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5182A true KR20200105182A (ko) 2020-09-07

Family

ID=724720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3984A KR20200105182A (ko) 2019-02-28 2019-02-28 차량운행정보 안내와 광고 단말/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차량운행정보 안내와 광고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05182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3364A (ko) 1996-12-26 1998-09-25 김광호 차량용 교통 안내 시스템의 디스플레이 방법
KR20070121893A (ko) 2006-06-23 2007-12-28 씨아이토피아 주식회사 차량내부의 단말기에 지역광고를 제공하는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3364A (ko) 1996-12-26 1998-09-25 김광호 차량용 교통 안내 시스템의 디스플레이 방법
KR20070121893A (ko) 2006-06-23 2007-12-28 씨아이토피아 주식회사 차량내부의 단말기에 지역광고를 제공하는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60623B2 (en) Parking management
US20180260908A1 (en) Visible insurance
EP3668755B1 (en) Parking enforcement monitoring system for a digital license plate
WO2012043394A1 (ja) 情報処理システム、広告提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230014678A1 (en) Electronically Readable Display Features for a Digital License Plate
US10984405B2 (en) Digital license plate with payment and information handling system
US20180186288A1 (en) Digital License Plate With Camera System
US11017490B2 (en) Government and first responder interface system for a vehicle having a digital license plate
US20220253941A1 (en) Safe driving monitoring and incentive system
KR20200105182A (ko) 차량운행정보 안내와 광고 단말/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차량운행정보 안내와 광고 방법
CN1581243A (zh) 高速公路红外智能信息服务系统
Enoch et al. Looking through a windscreen: managing the future of automobility
KR20010069709A (ko) 차량용 전광판을 이용한 인터넷사이트 운영방법
Menon et al. Electronic road pricing: Experience & lessons from Singapore
KR101180555B1 (ko) 하이패스 단말기를 이용한 통행 요금 할인 시스템 및 방법
JP7455362B2 (ja) 広告表示装置
US20210217057A1 (en) Advertisement presentation system and advertisement presentation method
KR20130117949A (ko) 룸미러를 이용한 요금지불 및 정보제공 시스템
JP7466891B2 (ja) インセンティブ決定装置、インセンティブ決定システムおよびインセンティブ決定方法
KR20180061490A (ko) 버스결제단말기의 정보표시장치 및 그 방법
Sanchez et al. Response to Emergency Vehicles When Driving in a Mixed Vehicle Fleet
WO2002003163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moting safe and accountable driving
CN104590099A (zh) 车载拼乘信息显示器
House et al. RACQ
IL287512A (en) Distance keeping display programmed on the back of the vehicle that measures the speed of the vehicle against the distance of the vehicle behind while giving a visual text alert and a facial reaction to the vehicle traveling behind that does not keep a distance at different speeds in order to reduce the number of accidents caused by not keeping a distan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