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5160A - 조명공청기 - Google Patents

조명공청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5160A
KR20200105160A KR1020190023930A KR20190023930A KR20200105160A KR 20200105160 A KR20200105160 A KR 20200105160A KR 1020190023930 A KR1020190023930 A KR 1020190023930A KR 20190023930 A KR20190023930 A KR 20190023930A KR 20200105160 A KR20200105160 A KR 202001051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lighting
subbody
main body
fi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39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73372B1 (ko
Inventor
백승호
조강의
최인혁
이혜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239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3372B1/ko
Publication of KR202001051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51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33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33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24F3/1603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88Ventilating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02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with lighting fixtures

Abstract

본 발명은 조명을 제공하며 공기를 청정하는 조명공청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명공청기는, 공기를 토출하는 토출구가 형성된 메인바디와, 메인바디 내에 배치되어 공기를 유동하는 송풍유닛과, 메인바디 하부에 분리가능하게 배치되며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된 서브바디와, 서브바디에 배치되어 빛을 조사하는 조명유닛과, 유입구로 유입된 공기를 정화하는 필터유닛을 포함한다. 필터유닛은 조명유닛이 배치되는 서브바디에 안착되어 공기정화와 빛조사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조명공청기 {Air purifier with light}
본 발명은 조명공청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조명을 제공하며 공기를 청정하는 조명공청기에 관한 것이다.
공기청정기는 오염된 공기를 정화하여 신선한 공기로 바꾸는 장치를 일컫는 것으로, 오염된 공기를 팬으로 흡입하여 필터에 의해 미세한 먼지나 세균류를 집진(集塵)하고 체취나 담배 냄새 등의 악취를 탈취한다.
이러한 공기청정기는 주로 실내 바닥면에 설치되어 실내공기의 전체적인 순환을 도모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천장에 설치되어 실내공기를 전체적으로 정화할 수 있는 조명공청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천장에 실치되어 조명 기능을 갖는 조명공청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명공청기는, 공기를 토출하는 토출구가 형성된 메인바디와, 메인바디 내에 배치되어 공기를 유동하는 송풍유닛과, 메인바디 하부에 분리가능하게 배치되며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된 서브바디와, 서브바디에 배치되어 빛을 조사하는 조명유닛과, 유입구로 유입된 공기를 정화하는 필터유닛을 포함한다. 필터유닛은 조명유닛이 배치되는 서브바디에 안착되어 공기정화와 빛조사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메인바디는 하부에 서브바디가 삽입되는 서브바디삽입부가 형성되고, 서브바디삽입부는 공기가 유입구로 유입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송풍유닛은, 회전력을 발생하는 송풍모터와, 송풍모터에 의하여 회전하며 공기를 반경방향으로 토출하는 원심팬을 포함하고, 송풍모터는 원심팬 내부에 수용되고 원심팬은 토출구와 동일 높이에 배치될 수 있다.
서브바디는 상면에 하측으로 인입되어 필터유닛이 안착되는 필터안착부가 형성되고 조명유닛은 필터안착부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조명유닛에서 조사한 빛이 통과하는 조명커버가 서브바디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필터유닛은 필터안착부보다 반경방향으로 돌출된 필터손잡이가 형성될 수 있다.
힌지부가 메인바디와 서브바디를 회동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조명공청기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 실내의 청장에 설치되어 하측으로부터 공기를 유입하여 천장을 따라 정화된 공기를 토출하여 실내공간의 전체적인 공기를 순환하며 공기를 정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천장에서 조명을 제공하여 기존의 천장등을 대체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둘째, 천장에 설치될 수 있도록 전체적인 높이를 작게하여 미관과 공간낭비를 해치지 않는 장점도 있다. 공기정화를 위한 필터유닛, 조명을 위한 조명유닛 및 송풍을 위한 송풍유닛의 구조를 최적화하여 전체 높이를 낮추는 장점도 있다.
셋째, 하측에서 공기를 유입한 후 정화된 측면으로 토출하도록 공기유로를 형성하여 공기 유동이 원할한 장점도 있다. 특히, 천장을 따라 토출된 공기가 상측으로 유동하여 실내공간 전체의 공기가 순환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넷째, 천장에 설치되어도 필터교체가 용이하고 조명유닛에 공기가 유동되어 조명을 냉각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공청기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조명공청기에 대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조명공청기에서 B-B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조명공청기에서 D-D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조명공청기에서 조명커버를 제외한 저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조명공청기에서 개방 동작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조명공청기에서 필터유닛 탈거 동작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공청기에 대한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조명공청기에서 서브바디의 분리를 나나태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조명공청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공청기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조명공청기에 대한 측면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조명공청기에서 B-B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조명공청기에서 D-D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조명공청기에서 조명커버를 제외한 저면도이고,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조명공청기에서 개방 동작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조명공청기에서 필터유닛 탈거 동작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공청기(100)는, 공기를 토출하는 토출구(111)가 형성된 메인바디(110)와, 메인바디(110) 내에 배치되어 공기를 유동하는 송풍유닛(140)과, 메인바디(110) 하부에 분리가능하게 배치되며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121)가 형성된 서브바디(120)와, 서브바디(120)에 배치되어 빛을 조사하는 조명유닛(160)과, 유입구(121)로 유입된 공기를 정화하며 서브바디(120)에 안착되는 필터유닛(150)과, 서브바디(120)의 하측에 결합되어 조명유닛(160)에서 조사한 빛이 통과하는 투명한 재질로 형성된 조명커버(130)와, 메인바디(110)와 서브바디(120)를 회동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부(170)를 포함한다.
메인바디(110)는 높이가 낮은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메인바디(110)는 실내의 천장에 설치될 수 있도록 상면에 브라켓이 구비된다. 메인바디(110)의 상부 외주면은 상측으로 갈수록 외경이 증가하는 형태로 형성된다. 메인바디(110)의 하부 외주면은 상하방향으로 외경이 일정하게 형성된다. 메인바디(110)는 상부 둘레에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구(111)가 형성된다. 토출구(111)는 메인바디(110)의 상부 외주면을 따라 환형으로 형성된다. 토출구(111)로 토출되는 공기는 반경방향으로 수평면상 360도 전방향으로 유동된다.
메인바디(110)는 하부에 서브바디(120)가 삽입되는 서브바디삽입부(113)가 형성된다. 서브바디삽입부(113)는 서브바디(120)의 둘레에 이격하여 배치되어 외부 공기를 서브바디(120)의 유입구(121)로 가이드한다. 서브바디삽입부(113)의 내주면은 하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증가하는 형태로 형성된다. 서브바디삽입부(113)의 내주면은 하측으로 갈수록 서브바디(120)의 유입구(121)로부터 이격되도록 형성되어 유입구(121)를 통하여 외부 공기가 원할하게 유입될 수 있도록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서브바디삽입부(113) 내주면의 종단면은 곡선으로 형성된다. 서브바디삽입부(113)의 내주면은 하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는 돔형태로 형성되어 조명공청기(100)의 하측의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한다.
메인바디(110)는 토출구(111)와 서브바디삽입부(113)의 사이에 필터유닛(150)이 삽입되는 필터삽입부(115)가 형성된다. 필터삽입부(115)의 내주면은 환형으로 형성된다. 필터삽입부(115)의 상면에는 필터유닛(150)을 통과한 공기가 메인바디(110) 내부로 유입되는 메인바디홀(119)이 형성된다. 필터삽입부(115)의 상측에는 송풍유닛(140)이 구비된다.
송풍유닛(140)은 메인바디(110)의 상부 내에 배치된다. 송풍유닛(140)은 토출구(111)가 둘레에 배치되록 토출구(111)와 동일 높이로 배치된다. 송풍유닛(140)은 회전력을 발생하는 송풍모터(141)와 송풍모터(141)에 의하여 회전하여 공기를 송풍하는 원심팬(143)을 포함한다.
송풍모터(141)는 메인바디(110) 상면에 체결되며 회전축이 하측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송풍모터(141)는 원심팬(143)의 허브(143(a)) 내에 배치된다. 원심팬(143)은 하측으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반경방향(회전중심축과 수직인 방향)으로 토출한다. 원심팬(143)은 토출구(111)와 동일 높이에 배치되어 메인바디홀(119)로 유입된 공기를 흡입하여 원심팬(143)의 둘레에 배치된 토출구(111)로 토출한다.
원심팬(143)은, 송풍모터(141)의 회전축과 결합되며 내부에 송풍모터(141)가 수용되는 허브(143(a))와 허브(143(a))에 원주방향으로 이격하여 배치되는 블레이드(143(b))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원심팬(143)은 흡입되는 공기를 가이드하는 쉬라우드가 없으나 필터삽입부(115)의 상면이 쉬라우드를 대체한다.
서브바디(120)는 높이가 낮은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서브바디(120)의 외주면은 하측으로 갈수록 외경이 증가하는 형태로 형성된다. 서브바디(120)는 둘레에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121)가 형성된다. 유입구(121)는 서브바디(120)의 외주면을 따라 환형으로 형성된다. 유입구(121)로 유입되는 공기는 중심방향으로 수평면상 360도 전방향으로 유동된다.
서브바디(120)는 상면에 하측으로 인입되어 필터유닛(150)이 안착되는 필터안착부(123)가 형성된다. 필터안착부(123)는 원형으로 형성되어 상단 둘레를 따라 상측으로 돌출된 턱이 형성된다. 필터안착부(123)는 유입구(121)를 통과한 공기가 필터유닛(150)으로 유입되는 서브바디홀(129)이 형성된다. 필터안착부(123)의 하측에는 조명유닛(160)이 배치된다. 필터안착부(123)의 하측에는 조명커버(130)가 결합된다.
조명유닛(160)은 필터안착부(123)의 하면에 배치된다. 조명유닛(160)은 하측으로 빛을 조사하도록 배치된다. 조명유닛(160)은 빛을 조사하는 복수의 발광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를 포함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복수의 발광다이오드는 필터안착부(123)의 서브바디홀(129)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에 이격하여 환형 및 동시원 형태로 배치된다. 조명유닛(160)은 서브바디(120) 내부의 공기유로 상에 배치되어 유동되는 공기에 의하여 복수의 발광다이오드가 냉각된다.
조명커버(130)는 투명한 재질의 원판형태로 형성된다. 조명커버(130)는 서브바디(120)의 하측에 결합되어 서브바디(120)의 하면을 형성한다. 조명커버(130)는 내면에 조명유닛(160)에서 하측으로 조사된 빛이 수평방향으로 퍼질 수 있도록 굴곡이 형성될 수 있다.
필터유닛(150)은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필터유닛(150)은 서브바디(120)의 필터안착부(123)에 안착되어 메인바디(110)의 필터삽입부(115)에 삽입된다. 필터유닛(150)은 메인바디홀(119)과 서브바디홀(129) 사이에 배치된다. 필터유닛(150)은 유입구(121)로 유입되어 서브바디홀(129)을 통과한 공기를 정화한다. 필터유닛(150)은 공기 중 이물질을 집진하는 헤파필터와, 공기 중 악취를 제거하는 탈취필터로 구성될 수 있다. 필터유닛(150)은 상단에 반경방향으로 돌출된 필터손잡이(151)가 형성된다. 필터손잡이(151)는 필터안착부(123)보다 반경방향으로 더 돌출되어 사용자에 의한 필터유닛(150)의 탈거를 용이하게 한다.
힌지부(170)는 메인바디(110) 및 서브바디(120)에 결합되어 서브바디(120)가 메인바디(110)로부터 회동하여 열릴 수 있도록 한다. 힌지부(170)는, 메인바디(110)에 구비된 피니언과, 서브바디(120)에 결합된 굽어진 피니언을 포함한다. 힌지부(170)는 피니언을 회전하는 힌지모터를 포함하여 자동으로 서브바디(120)가 개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서브바디(120)는 메인바디(110)로부터 회전하여 개방될 때 일정 각도에서 상호 접촉하여 개방되는 정도가 제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공청기에 대한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송풍모터(141)가 원심팬(143)을 회전하면 조명공청기(100) 하측의 실내공기가 유입구(121)를 통하여 서브바디(120) 내부로 유입된다. 서브바디(120) 내부를 유동하는 공기는 조명유닛(160)을 냉각한다. 서브바디(120) 내부의 공기는 서브바디(120)의 서브바디홀(129)을 통하여 상측으로 유동되어 필터유닛(150)을 통과한다. 필터유닛(150)을 통과하며 정화된 공기는 상측으로 유동되어 메인바디홀(119)을 통하여 메인바디(110) 내부로 유동된다. 메인바디홀(119)을 통과한 공기는 원심팬(143)에 의하여 반경방향으로 송풍된다. 원심팬(143)의 반경방향으로 유동되는 공기는 토출구(111)를 통하여 외부로 토출된다. 토출구(111)로 토출된 공기는 조명공청기(100)가 설치된 천장을 따라 유동되며 점차 하측을 유동된다. 바닥면 측의 공기는 조명공청기(100) 측으로 상승하여 조명공청기(100)의 유입구(121)로 유입된다. 실내공간 전체의 공기가 상하방향 및 좌우방향으로 순환된다.
한편, 조명유닛(160)이 작동되면 조명유닛(160)은 하측으로 빛을 조사한다. 조명유닛(160)에서 조사된 빛은 조명커버(130)를 통과하며 대각선 방향으로 펴진다. 조명공청기(100)는 공기가 조명공청기(100) 측으로 유동되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빛을 조사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조명공청기에서 서브바디의 분리를 나나태내는 도면이다.
도 9(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명공청기(200)의 서브바디(220)는 메인바디(210)에 회전결합된다. 메인바디(210)의 내주면과 서브바디(220)의 외주면에는 각각 나사산이 형성된다. 사용자는 서브바디(220)를 회전하여 서브바디(220)를 메인바디(210)로부터 분리한다.
도 9(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명공청기(300)의 서브바디(320)는 메인바디(310)와 와이어(390)로 연결된다. 사용자는 와이어(390)를 풀어 서브바디(320)를 메인바디(310)로부터 분리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00: 조명공청기 110: 메인바디
111: 토출구 113: 서브바디삽입부
115: 필터삽입부 119: 메인바디홀
120: 서브바디 121: 유입구
123: 필터안착부 129: 서브바디홀
130: 조명커버 140: 송풍유닛
141: 송풍모터 143: 원심팬
150: 필터유닛 151: 필터손잡이
160: 조명유닛 170: 힌지부

Claims (11)

  1. 공기를 토출하는 토출구가 형성된 메인바디;
    상기 메인바디 내에 배치되어 공기를 유동하는 송풍유닛;
    상기 메인바디 하부에 분리가능하게 배치되며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된 서브바디;
    상기 서브바디에 배치되어 빛을 조사하는 조명유닛; 및
    상기 유입구로 유입된 공기를 정화하며 상기 서브바디에 안착되는 필터유닛;을 포함하는 조명공청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바디는 상부 둘레에 상기 토출구가 형성되고 하부에 상기 서브바디가 삽입되는 서브바디삽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서브바디는 둘레에 상기 유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서브바디삽입부는 공기가 상기 유입구로 유입되도록 가이드하는 조명공청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바디삽입부의 내주면은 하측으로 갈수록 상기 유입구로부터 이격되는 조명공청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바디삽입부의 내주면 하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커지는 돔형태로 형성되는 조명공청기.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바디는 상기 토출구와 상기 서브바디삽입부 사이에 상기 필터유닛이 삽입되는 필터삽입부가 형성되는 조명공청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유닛은,
    회전력을 발생하는 송풍모터; 및
    상기 송풍모터에 의하여 회전하며 상기 송풍모터가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토출구와 동일 높이에 배치되어 공기를 반경방향으로 토출하는 원심팬을 포함하는 조명공청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바디는 상면에 하측으로 인입되어 상기 필터유닛이 안착되는 필터안착부가 형성되는 조명공청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유닛은 상기 필터안착부의 하측에 배치되는 조명공청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바디의 하측에 결합되며 상기 조명유닛에서 조사한 빛이 통과하는 투명한 재질로 형성된 조명커버를 더 포함하는 조명공청기.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유닛은 상기 필터안착부보다 반경방향으로 돌출된 필터손잡이가 형성되는 조명공청기.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바디와 상기 서브바디를 회동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부를 더 포함하는 조명공청기.
KR1020190023930A 2019-02-28 2019-02-28 조명공청기 KR1021733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3930A KR102173372B1 (ko) 2019-02-28 2019-02-28 조명공청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3930A KR102173372B1 (ko) 2019-02-28 2019-02-28 조명공청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5160A true KR20200105160A (ko) 2020-09-07
KR102173372B1 KR102173372B1 (ko) 2020-11-03

Family

ID=724724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3930A KR102173372B1 (ko) 2019-02-28 2019-02-28 조명공청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337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5869A (ko) * 2020-11-30 2022-06-08 (주)엔팩코리아 공기 정화 장치 및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19320A (ko) * 2010-04-27 2011-11-02 주식회사 엔에코 Led 조명 기능이 구비된 천장 부착형 공기청정기
KR101092016B1 (ko) * 2011-02-25 2011-12-08 주식회사 네패스 상용차량용 착탈식 공기 청정기
KR101842003B1 (ko) * 2017-10-31 2018-03-26 주식회사 신성이엔지 천정형 공기청정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19320A (ko) * 2010-04-27 2011-11-02 주식회사 엔에코 Led 조명 기능이 구비된 천장 부착형 공기청정기
KR101092016B1 (ko) * 2011-02-25 2011-12-08 주식회사 네패스 상용차량용 착탈식 공기 청정기
KR101842003B1 (ko) * 2017-10-31 2018-03-26 주식회사 신성이엔지 천정형 공기청정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5869A (ko) * 2020-11-30 2022-06-08 (주)엔팩코리아 공기 정화 장치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3372B1 (ko) 2020-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75299B1 (ko) 에어 워셔
US9802145B2 (en) Air purifier
ES2257819T3 (es) Dispositivo de filtrado de aire.
KR101729021B1 (ko) 공기청정기
KR20200058826A (ko) 공기청정기
KR20160015084A (ko) 공기 청정기
KR20190081608A (ko) 공기청정기
KR101626256B1 (ko) 공기청정기의 공기정화 및 가습 방법, 그리고 정화모드 선택방법
JP2021009018A (ja) 空気清浄機
KR102173372B1 (ko) 조명공청기
KR102188890B1 (ko) 공기 청정기
KR101651487B1 (ko) 공기청정기
KR20180111320A (ko) 공기청정기
KR20180040864A (ko) 공기 청정기
KR102160152B1 (ko) 공기 청정기
KR20170008992A (ko) 가습 기능을 가지는 공기청정기
KR101975054B1 (ko) 공기 청정기
JP2000228112A (ja) 照明装置
KR102110122B1 (ko) 공기 청정기
KR102446867B1 (ko) 공기 청정기
KR101955877B1 (ko) 공기 청정기
JP2023031295A (ja) 空気清浄機
CN208587960U (zh) 内循环式吸油烟机
WO2020079789A1 (ja) 空気清浄装置
JP7227643B2 (ja) 空気清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