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4822A - 선박 - Google Patents
선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00104822A KR20200104822A KR1020200024293A KR20200024293A KR20200104822A KR 20200104822 A KR20200104822 A KR 20200104822A KR 1020200024293 A KR1020200024293 A KR 1020200024293A KR 20200024293 A KR20200024293 A KR 20200024293A KR 20200104822 A KR20200104822 A KR 2020010482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otor
- facility
- deck
- equipment
- dispose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9/00—Marine propulsion provided directly by wind power
- B63H9/02—Marine propulsion provided directly by wind power using Magnus effec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2035/009—Wind propelled vessels comprising arrangements, installation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other than wind propulsion arrangements, installations, or devices, such as sails, running rigging, or the like, and other than sailboards or the like or related equipment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70/00—Maritime or waterways transport
- Y02T70/50—Measures to reduce greenhouse gas emissions related to the propulsion system
- Y02T70/5218—Less carbon-intensive fuels, e.g. natural gas, biofuels
- Y02T70/5236—Renewable or hybrid-electric solu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Wind Motors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 Transition And Organic Metals Composition Catalysts For Addition Polymerization (AREA)
- Other Liquid Machine Or Engine Such As Wave Power Us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박에 관한 것으로서, 선수부, 선미부, 상기 선수부와 선미부 사이의 중앙부로 구분되며, 선체 내부에 설치되어 화물을 저장하는 다수의 카고탱크가 다수 구비되는 선박으로서, 상기 선미부에 설치되는 선실; 상기 선수부에 설치되는 앵커장비; 상기 선수부에 설치되는 무어링장비; 상기 중앙부에 설치되는 트렁크데크; 상기 다수의 카고탱크에 연결되며, 상기 트렁크데크 상에서 선체중심선을 따라 상기 선수부로부터 상기 선미부까지 연장되는 파이프라인; 상기 파이프라인과 연결되며, 상기 트렁크데크 상에 설치되는 매니폴드; 상기 파이프라인을 기준으로 일측의 상기 트렁크데크 상에 설치되는 윈치; 상기 파이프라인을 기준으로 양측의 상기 트렁크데크 상에 설치되는 크레인; 및 상기 트렁크데크에 설치되는 복수의 로터설비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로터설비는, 상기 트렁크데크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로터설비와 적어도 하나의 제2로터설비를 포함하고, 상기 제1로터설비와 상기 제2로터설비는, 서로 비대칭으로 배치되고, 상기 파이프라인, 상기 무어링장비, 상기 윈치, 상기 크레인에 의해 설치가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선박에 관한 것이다.
선박은 대량의 광물이나 원유, 천연가스, 또는 몇천 개 이상의 컨테이너 등을 싣고 대양을 항해하는 운송수단으로서, 강철로 이루어져 있고 부력에 의해 수선면에 부유한 상태에서 프로펠러의 회전을 통해 발생되는 추력을 통해 이동한다.
이러한 선박은 엔진이나 가스 터빈 등을 구동함으로써 추력을 발생시키는데, 이때 엔진은 중유(HFO) 또는 경유(MDO, MGO) 등의 오일연료를 사용하여 피스톤을 움직여서 피스톤의 왕복운동에 의해 크랭크 축이 회전되도록 하고, 크랭크 축에 연결된 샤프트가 회전되어 프로펠러가 구동되도록 하며, 반면 가스 터빈은 압축 공기와 함께 오일연료를 연소시키고, 연소 공기의 온도/압력을 통해 터빈 날개를 회전시킴으로써 발전하여 프로펠러에 동력을 전달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그러나 최근에는, 오일연료 사용 시의 배기로 인한 환경 파괴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액화천연가스(LNG)나 액화석유가스(LPG) 등의 가스연료를 사용하여 엔진이나 터빈 등을 구동해 추진하는 가스연료 추진 방식이 사용되고 있다. 특히 LNG는 청정연료이고 매장량도 석유보다 풍부하기 때문에, 가스연료로 LNG를 사용하는 방식이 LNG 운반선 외에 컨테이너선 등과 같은 다른 선박에도 적용되고 있다.
더 나아가, 배기를 전혀 발생시키지 않는 자연 에너지로서 태양광, 풍력 등의 활용도 주목을 받고 있다. 특히 풍력의 경우 갑판 상에 돛(Sail) 등과 같은 설비를 설치하여 풍력을 간단하게 추진력으로 바꿀 수 있다는 점에서, 구조가 간단하고 유지 비용이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최근에는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돛과 달리, 동력을 이용해 직접 회전하면서 풍력을 원하는 방향의 추진력으로 변환할 수 있는 로터 설비(일례로 magnus rotor)가 실선에 탑재된 바 있다. 이러한 로터 설비는 갑판에 고정되는 고정자(stator)와, 고정자의 표면과 상면을 두르도록 원기둥 형태로 마련되며 회전속도나 방향이 조절되는 회전자(rotor)로 구성된다.
이러한 로터 설비는 돛과 다르게 풍력을 원하는 추진력으로 가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최근 많은 연구 및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다만 로터 설비는 수 미터의 직경을 갖고 수십 미터의 높이로 이루어지는 대형 기둥 형태인 바, 갑판 내에서의 설치, 선박 움직임에 따른 내구성, 전방 시야 간섭, 제어 등의 관점에서, 아직 해결/개선해야 할 문제들이 상당 수 남아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주변 장비들과 간섭 없이 로터설비의 배치를 최적화할 수 있고, 풍하중을 개선할 수 있도록 하는 선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선박은, 선수부, 선미부, 상기 선수부와 선미부 사이의 중앙부로 구분되며, 선체 내부에 설치되어 화물을 저장하는 다수의 카고탱크가 다수 구비되는 선박으로서, 상기 선미부에 설치되는 선실; 상기 선수부에 설치되는 앵커장비; 상기 선수부에 설치되는 무어링장비; 상기 중앙부에 설치되는 트렁크데크; 상기 다수의 카고탱크에 연결되며, 상기 트렁크데크 상에서 선체중심선을 따라 상기 선수부로부터 상기 선미부까지 연장되는 파이프라인; 상기 파이프라인과 연결되며, 상기 트렁크데크 상에 설치되는 매니폴드; 상기 파이프라인을 기준으로 일측의 상기 트렁크데크 상에 설치되는 윈치; 상기 파이프라인을 기준으로 양측의 상기 트렁크데크 상에 설치되는 크레인; 및 상기 트렁크데크에 설치되는 복수의 로터설비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로터설비는, 상기 트렁크데크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로터설비와 적어도 하나의 제2로터설비를 포함하고, 상기 제1로터설비와 상기 제2로터설비는, 서로 비대칭으로 배치되고, 상기 파이프라인, 상기 무어링장비, 상기 윈치, 상기 크레인에 의해 설치가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로터설비 및 상기 제2로터설비는, 어느 하나가 좌현 쪽에 배치되고, 다른 하나가 우현 쪽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로터설비 및 상기 제2로터설비는, 어느 하나가 상기 선수부로부터 첫번째 카고탱크의 형성영역에서 상기 선미부 쪽에 배치되고, 다른 하나가 상기 첫번째 카고탱크의 형성영역에서 상기 선수부 쪽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로터설비 및 상기 제2로터설비는, 어느 하나가 상기 트렁크데크의 일측과 갑판이 경계를 이루는 부분에 배치되고, 다른 하나가 상기 트렁크데크의 타측과 상기 갑판이 경계를 이루는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로터설비 및 상기 제2로터설비는, 어느 하나가 상기 트렁크데크의 일측 경사면 부분에 배치되고, 다른 하나가 상기 트렁크데크의 타측 경사면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로터설비 및 상기 제2로터설비는, 어느 하나가 상기 트렁크데크의 일측 평면 부분에 배치되고, 다른 하나가 상기 트렁크데크의 타측 평면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선박은, 액화가스 운반선(LNGC)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선박은, 주변 장비들과 간섭 없이 로터설비의 배치를 최적화할 수 있고, 풍하중을 개선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일부 평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선박에 배치된 로터 설비(제2 케이스)를 도출하기 위해 로터 설비의 배치를 다양하게 구현한 제1 내지 제7케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3에 도시된 제1케이스에 대한 로터 설비의 압력분포 유동해석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도 3 내지 도 9에 도시된 제1 내지 제7케이스 각각에 대한 로터 설비 성능 상대비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측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일부 평면도이다.
도 14 내지 도 1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선박에 배치된 로터 설비(제2 케이스)를 도출하기 위해 로터 설비의 배치를 다양하게 구현한 제1 내지 제6 케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0은 도 14에 도시된 제1케이스에 대한 로터 설비의 압력분포 유동해석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1은 도 14 내지 도 19에 도시된 제1 내지 제6 케이스 각각에 대한 로터 설비 성능 상대비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측면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일부 평면도이다.
도 24 내지 도 2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선박에 배치된 로터 설비(제4 케이스)를 도출하기 위해 로터 설비의 배치를 다양하게 구현한 제1 내지 제6 케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0은 도 24에 도시된 제1케이스에 대한 로터 설비의 압력분포 유동해석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1은 도 24 내지 도 29에 도시된 제1 내지 제6케이스 각각에 대한 로터 설비 성능 상대비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일부 평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선박에 배치된 로터 설비(제2 케이스)를 도출하기 위해 로터 설비의 배치를 다양하게 구현한 제1 내지 제7케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3에 도시된 제1케이스에 대한 로터 설비의 압력분포 유동해석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도 3 내지 도 9에 도시된 제1 내지 제7케이스 각각에 대한 로터 설비 성능 상대비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측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일부 평면도이다.
도 14 내지 도 1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선박에 배치된 로터 설비(제2 케이스)를 도출하기 위해 로터 설비의 배치를 다양하게 구현한 제1 내지 제6 케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0은 도 14에 도시된 제1케이스에 대한 로터 설비의 압력분포 유동해석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1은 도 14 내지 도 19에 도시된 제1 내지 제6 케이스 각각에 대한 로터 설비 성능 상대비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측면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일부 평면도이다.
도 24 내지 도 2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선박에 배치된 로터 설비(제4 케이스)를 도출하기 위해 로터 설비의 배치를 다양하게 구현한 제1 내지 제6 케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0은 도 24에 도시된 제1케이스에 대한 로터 설비의 압력분포 유동해석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1은 도 24 내지 도 29에 도시된 제1 내지 제6케이스 각각에 대한 로터 설비 성능 상대비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일부 평면도이고, 도 3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선박에 배치된 로터 설비(제2 케이스)를 도출하기 위해 로터 설비의 배치를 다양하게 구현한 제1 내지 제7케이스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은 도 3에 도시된 제1케이스에 대한 로터 설비의 압력분포 유동해석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1은 도 3 내지 도 9에 도시된 제1 내지 제7케이스 각각에 대한 로터 설비 성능 상대비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선박(100)은, 로터설비(117a, 117b)가 적용된 벌크선(Bulk Carrier)으로서, 선수부(101), 중앙부(102), 선미부(103)로 구분될 수 있으며, 선체 내부에 화물을 저장하는 카고탱크(110)가 구비될 수 있다. 카고탱크(110)는 복수 개 예를 들어 9개가 구비될 수 있고, 복수의 카고탱크(110) 각각에는 해치커버(114)가 마련될 수 있다. 중앙부(102)는 선수부(101)와 선미부(103) 사이로 정의된다.
벌크선으로서의 선박(100)은 갑판(106) 상에 다양한 구조물이 설치되는데 이하에서 설명한다.
선수부(101)의 선수갑판(106a) 상에는 앵커장비(112)가 설치될 수 있다.
중앙부(102)의 상갑판(106b) 상에는 복수의 카고탱크(110)에 대응되어 마련되는 복수의 해치커버(114)가 설치될 수 있다. 해치커버(114)는 중앙부(102)의 상갑판(106b) 상에 선수부(101)로부터 선미부(103)까지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중앙부(102)의 상갑판(106b) 상에는 무어링장비(111)가 설치되는데, 무어링장비(111)는 해치커버(114) 사이의 영역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어링장비(111)는 선수부(101)로부터 두번째 해치커버(114)와 세번째 해치커버(114)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이외에도, 무어링장비(111)는 복수의 해치커버(114)들 사이의 영역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무어링장비(111)가 설치되는 영역에는 로터설비의 설치가 어려울 수 있다.
또한, 중앙부(102)의 상갑판(106b) 상에는 데크스토어(115)가 설치되는데, 데크스토어(115)는 해치커버(114) 사이의 영역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데크스토어(115)가 설치되는 영역은 무어링장비(111)가 설치되는 영역과는 상이한 영역에 해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어링장비(111)가 두번째 해치커버(114)와 세번째 해치커버(114) 사이에 설치되는 경우, 데크스토어(115)는 이와 상이한 영역인 선수부(101)로부터 네번째 해치커버(114)와 다섯번째 해치커버(114)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데크스토어(115)가 설치되는 영역은 해치커버(114) 사이의 복수의 영역들 중에서 데크스토어(115)가 설치되는 영역을 포함한 횡방향의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해치커버(114) 일측의 상갑판(106b) 상에는 통로(113)가 마련될 수 있다. 통로(113)는 좌현(104) 또는 우현(105) 쪽의 상갑판(106b) 상에 마련될 수 있으며, 선수부(101)로부터 선미부(103)까지 이어져 있다.
선미부(103)의 선미갑판(106c) 상에는 선실(107)과 연돌(108)이 설치될 수 있으며, 선미갑판(106c) 하부의 선체 내부에는 기관실(109)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갑판(106) 상에 각종 구조물이 구비되는 선박(100)에는 로터설비(117a, 117b)가 설치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로터설비는 선체에 고정되는 고정자(stator)와, 고정자의 표면과 상면을 두르도록 원기둥 형태로 마련되며 회전속도나 방향이 조절되는 회전자(rotor)로 구성되며, 동력을 이용해 직접 회전하면서 풍력을 원하는 방향의 추진력으로 변환하여 선박에 추진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로터설비는 돛과 다르게 풍력을 원하는 추진력으로 가공할 수 있는데, 다만 수 미터의 직경을 갖고 수십 미터의 높이로 이루어지는 대형 기둥 형태인 관계로, 갑판 상에 구비되는 각종 구조물과의 간섭, 선박 움직임에 따른 내구성, 선실로부터의 전방 시야 간섭 등 해결/개선해야 할 문제들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선박(100)이 벌크선일 경우에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면서 성능적으로 우수한 최적의 위치에 로터설비(117a, 117b)가 배치될 수 있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2개의 로터설비(117a, 117b)가 설치되는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이와 달리 3개, 4개, 5개, 6개 등 복수의 로터설비가 하나의 선박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2개의 로터설비(117a, 117b)를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로터설비(117a, 117b)는 2개가 설치되는데, 제1로터설비(117a)는 선수부(101)로부터 첫번째 해치커버(114)와 두번째 해치커버(114) 사이의 상갑판(106b) 상에 배치되고, 제2로터설비(117b)는 선수부(101)로부터 세번째 해치커버(114)와 네번째 해치커버(114) 사이의 상갑판(106b) 상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로터설비(117a)는 첫번째 해치커버(114)와 두번째 해치커버(114) 사이의 상갑판(106b) 일측에 배치되고, 제2로터설비(117b)는 세번째 해치커버(114)와 네번째 해치커버(114) 사이의 상갑판(106b) 타측에 배치되어, 제1,2로터설비(117a, 117b)가 선박(100)의 전방 및 측방에서 보았을 때 비대칭으로 배치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제1로터설비(117a)는 첫번째 해치커버(114)와 두번째 해치커버(114) 사이에서 통로(113) 반대편의 상갑판(106b)에 배치되고, 제2로터설비(117b)는 세번째 해치커버(114)와 네번째 해치커버(114) 사이에서 통로(113)가 있는 상갑판(106b)에 배치되어, 제1,2로터설비(117a, 117b)가 선박(100)의 전방 및 측방에서 보았을 때 비대칭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는 첫번째 해치커버(114)와 두번째 해치커버(114) 사이에서 상갑판(106b)의 가장자리가 직선에서 곡으로 변하게 되므로 인해 통로(113) 역시 내측으로 굽어지게 되고, 이로 인하여 상대적으로 여유 공간이 좁아지기 때문이다.
상기한 본 실시예의 로터설비(117a, 117b)의 배치 위치는 주변 장비와의 간섭이 없으면서도 성능적으로 우수한 최적의 위치라 할 수 있는데, 이하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함에 의해 이해될 것이다.
도 2를 참고하여, 로터설비(117a, 117b)의 설치불가영역과 설치가능영역을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터설비(117a, 117b)의 설치불가영역은, 앵커장비(112)가 설치되는 선수갑판(106a)과, 복수의 해치커버(114)가 설치되는 상갑판(106b)과, 무어링장비(111)가 설치되는 선수부(101)로부터 두번째 해치커버(114)와 세번째 해치커버(114) 사이의 상갑판(106b)과, 데크스토어(115)가 설치되는 선수부(101)로부터 네번째 해치커버(114)와 다섯번째 해치커버(114) 사이의 상갑판(106b)과, 통로(113)가 마련되는 좌현(104) 또는 우현(105) 쪽의 상갑판(106b)과, 선실(107)과 연돌(108)이 설치되는 선미부(103)의 선미갑판(106c)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해치커버(114)의 양측에서 통로(113)가 마련되지 않은 상갑판(106b)이 여유 공간을 이룰 수 있어 설치가능영역으로 설정될 수 있으나, 이 여유 공간은 해치커버(114)의 개폐 시에 간섭을 받을 수 있어 설치불가영역으로 설정될 수 밖에 없다.
또한, 선실(107)로부터 일정 반경 내의 상갑판(106b)은 전방 시야 간섭을 회피하기 위해 설치불가영역으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한 로터설비(117a, 117b)의 설치불가영역을 토대로 로터설비(117a, 117b)의 설치가능영역(116a, 116b, 116c, 116d, 116e)을 복수 설정할 수 있다.
복수의 설치가능영역(116a, 116b, 116c, 116d, 116e)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내지 제5설치가능영역(116a, 116b, 116c, 116d, 116e)으로 나눌 수 있다.
제1설치가능영역(116a)은 선수부(101)로부터 첫번째 해치커버(114)와 두번째 해치커버(114) 사이의 상갑판(106b)이 될 수 있다.
제2설치가능영역(116b)은 선수부(101)로부터 세번째 해치커버(114)와 네번째 해치커버(114) 사이의 상갑판(106b)이 될 수 있다.
제3설치가능영역(116c)은 선수부(101)로부터 다섯번째 해치커버(114)와 여섯번째 해치커버(114) 사이의 상갑판(106b)이 될 수 있다.
제4설치가능영역(116d)은 선수부(101)로부터 여섯번째 해치커버(114)와 일곱번째 해치커버(114) 사이의 상갑판(106b)이 될 수 있다.
제5설치가능영역(116e)은 해치커버(114) 사이의 영역 중 데크스토어(115)가 설치되는 영역의 인접 영역에 해당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번째 해치커버(114)와 다섯번재 해치커버(114) 사이의 상갑판(106b) 중 데크스토어(115)가 실제 설치되는 영역을 제외한 영역이 로터설비(117a, 117b)의 설치가능영역에 해당할 수 있다. 다만, 이 경우, 갑판 상으로 기울어지는 틸팅(tilting) 기능을 포함하는 로터설비(117a, 117b)의 설치는 어려울 수 있다.
상기한 제1 내지 제5설치가능영역(116a, 116b, 116c, 116d, 116e) 각각에는 로터설비(117a, 117b)가 설치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의 선박(100)에 적용되는 로터설비(117a, 117b)는 제1 내지 제5설치가능영역(116a, 116b, 116c, 116d, 116e) 중에서 선택하여 최적의 위치에 배치될 수 있도록 한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제1로터설비(117a)가 제1설치가능영역(116a)에 배치되고, 제2로터설비(117b)가 제2설치가능영역(116b)에 배치되도록 하는데, 이하에서 설명함에 의해 이해될 것이다.
도 3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최적의 위치에 배치된 본 실시예의 제1,2로터설비(117a, 117b)를 도출하기 위해 제1,2로터설비(117a, 117b)를 제1 내지 제5설치가능영역(116a, 116b, 116c, 116d, 116e)에 제1 내지 제7케이스 별로 다양하게 배치하고, 로터설비 성능 상대비율을 각 케이스 별로 산출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11의 그래프로 나타내었다.
도 10은 도 3에 도시된 제1케이스에 대한 로터설비의 압력분포 유동해석을 나타낸 도면으로, 선박(100)이 208K 벌크선일 경우에 압력분포결과이며 압력이 높을수록 빨간색, 낮을수록 파란색을 띄는데, 로터설비(117a, 117b) 표면의 압력분포를 보면 뒤쪽이 빨간색으로 압력이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공기에 의한 힘은 압력이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작용하며, 이는 로터설비(117a, 117b)에 의한 힘이 선박(100)의 진행방향으로 나타나는 것을 의미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로터설비의 압력분포 유동해석을 도 3에 도시된 제1케이스의 경우만 도면으로 제공하였지만, 이는 일례로 제공하였을 뿐 제2 내지 제7케이스 역시 동일한 방식으로 로터설비의 압력분포 유동해석을 통해 분석하였음은 물론이다. 한편, 제1 실시예의 경우, 208K 벌크선을 예시로 들었으나, 이외에 다른 종류의 벌크선에도 모두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는, 제1,2로터설비(117a, 117b)가 제1 내지 제5설치가능영역(116a, 116b, 116c, 116d, 116e)에 제1 내지 제7케이스 별로 다양하게 배치된 경우, 각 케이스 별로 하기 식에 의해 로터설비 성능 상대비율을 산출한 결과를 설명한다.
[하기 식]
(각 케이스별 발생하는 힘 전체 케이스 중 가장 큰 힘) X 100
= 로터설비 성능 상대비율 (%)
도 3에 도시된 제1케이스는, 제1로터설비(117a)가 제1설치가능영역(116a)에서 우현(105) 쪽에 배치되고, 제2로터설비(117b)가 제1설치가능영역(116a)에서 좌현(104) 쪽에 배치되어, 횡방향으로 대칭을 이룬 경우로서, 도 11의 그래프에 나타난 바와 같이 로터설비 성능 상대비율은 96%를 얻었다.
도 4에 도시된 제2케이스는, 제1로터설비(117a)가 제1설치가능영역(116a)에서 우현(105) 쪽에 배치되고, 제2로터설비(117b)가 제2설치가능영역(116b)에서 좌현(104) 쪽에 배치되어, 비대칭을 이룬 경우로서, 도 11의 그래프에 나타난 바와 같이 로터설비 성능 상대비율은 100%를 얻었다. 또한, 제1로터설비(117a)가 제1설치가능영역(116a)의 좌현(104) 쪽에 배치되고, 제2로터설비(117b)가 제2설치가능영역(116b)에서 우현(105) 쪽에 배치되어, 비대칭을 이룬 경우에도, 동일한 상대비율을 얻을 수 있다. 이는, 제1로터설비(117a) 및 제2로터설비(117b)가 비대칭을 이루게 배치되고, 일정 간격내에 배치되며, 선수부(101) 쪽에 위치하게 배치되어 얻을 수 있는 결과에 해당한다.
도 5에 도시된 제3케이스는, 제1로터설비(117a)가 제1설치가능영역(116a)에서 우현(105) 쪽에 배치되고, 제2로터설비(117b)가 제5설치영역(116e)의 좌현(104) 쪽에 배치되어, 비대칭을 이룬 경우로서, 도 11의 그래프에 나타난 바와 같이 로터설비 성능 상대비율은 98%를 얻었다. 또한, 제1로터설비(117a)가 제1설치가능영역(116a)의 좌현(104) 쪽에 배치되고, 제2로터설비(117b)가 제5설치가능영역(116e)에서 우현(105) 쪽에 배치되어, 비대칭을 이룬 경우에도, 동일한 상대비율을 얻을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제4케이스는, 제1로터설비(117a)가 제1설치가능영역(116a)에서 우현(105) 쪽에 배치되고, 제2로터설비(117b)가 제3설치가능영역(116c)에서 좌현(104) 쪽에 배치되어, 비대칭을 이룬 경우로서, 도 11의 그래프에 나타난 바와 같이 로터설비 성능 상대비율은 94%를 얻었다. 또한, 제1로터설비(117a)가 제1설치가능영역(116a)의 좌현(104) 쪽에 배치되고, 제2로터설비(117b)가 제3설치가능영역(116c)에서 우현(105) 쪽에 배치되어, 비대칭을 이룬 경우에도, 동일한 상대비율을 얻을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제5케이스는, 제1로터설비(117a)가 제1설치가능영역(116a)에서 우현(105) 쪽에 배치되고, 제2로터설비(117b)가 제4설치가능영역(116d)에서 좌현(104) 쪽에 배치되어, 비대칭을 이룬 경우로서, 도 11의 그래프에 나타난 바와 같이 로터설비 성능 상대비율은 93%를 얻었다. 또한, 제1로터설비(117a)가 제1설치가능영역(116a)의 좌현(104) 쪽에 배치되고, 제2로터설비(117b)가 제4설치가능영역(116d)에서 우현(105) 쪽에 배치되어, 비대칭을 이룬 경우에도, 동일한 상대비율을 얻을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제6케이스는, 제1로터설비(117a)가 제2설치가능영역(116b)에서 우현(105) 쪽에 배치되고, 제2로터설비(117b)가 제2설치가능영역(116b)에서 좌현(104) 쪽에 배치되어, 횡방향으로 대칭을 이룬 경우로서, 도 11의 그래프에 나타난 바와 같이 로터설비 성능 상대비율은 97%를 얻었다.
도 9에 도시된 제7케이스는, 제1로터설비(117a)가 제1설치가능영역(116a)에서 우현(105) 쪽에 배치되고, 제2로터설비(117b)가 제2설치가능영역(116b)에서 우현(105) 쪽에 배치되어, 종방향으로 대칭을 이룬 경우로서, 도 11의 그래프에 나타난 바와 같이 로터설비 성능 상대비율은 90%를 얻었다. 또한, 제1로터설비(117a)가 제1설치가능영역(116a)의 좌현(104) 쪽에 배치되고, 제2로터설비(117b)가 제2설치가능영역(116b)에서 좌현(104) 쪽에 배치되어, 종방향으로 대칭을 이룬 경우에도, 동일한 상대비율을 얻을 수 있다.
상기한 제1 내지 제7케이스 각각의 로터설비 성능 상대비율을 비교해 보면, 도 4에 도시된 제2케이스의 경우가 주변 장비와의 간섭이 없으면서도 성능적으로 가장 우수한 최적의 위치라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이에 본 실시예는 제2케이스에서 얻어진 결과에 기초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로터설비(117a, 117b)를 선박(100)에 배치한 것이다.
제1 실시예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벌크선인 선박(100)에서 복수의 로터설비(117a, 117b)를 설치하게 될 경우, 복수의 로터설비(117a, 117b) 상호간의 간섭을 줄여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복수의 로터설비(117a, 117b)를 비대칭으로 설치하고, 복수의 로터설비(117a, 117b) 상호간의 거리를 예정 거리 이상으로 이격되도록 설치한다. 여기서 예정 거리는 로터설비의 크기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수치로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로터설비(117a, 117b)는 선수부(101) 쪽으로 위치할수록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이는, 선박(100)의 내측으로 들어올수록, 예를 들어 선수부(101)로부터 선미부(103) 쪽으로 들어올수록 풍속이 느려지기 때문이다. 즉, 벌크선인 선박(100)에서 복수의 로터설비(117a, 117b)의 경우, 선수부(101)로부터 데크스토어(115)가 설치되는 영역 이전에 위치한 해치커버(114) 사이 영역에서 비대칭으로, 설치되는 경우에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제1 실시예에서는 제1,2 로터설비(117a, 117b)를 통해 로터설비의 최적 배치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와 달리 3개 이상의 로터설비가 벌크선인 선박(100)에 구비되는 경우에도, 상술한 성능 향상 조건은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제1 실시예에서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1로터설비(117a) 및 제2로터설비(117b)는 접이식 로터설비에 해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이식 로터설비는 고정자의 하단부에 위치한 기어(gear)나 유압장치를 이용하여 갑판 상으로 기울어지게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접이식 로터설비의 경우, 선박 내부를 향하여 기울어지게 제어될 수 있다. 상술한 제1 내지 제5 설치가능영역(116a 내지 116e) 중 제5설치가능영역(115e)에는 데크스토어(115)로 인해 접이식 로터설비의 설치가 어려울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측면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일부 평면도이고, 도 14 내지 도 1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선박에 배치된 로터 설비(제2 케이스)를 도출하기 위해 로터 설비의 배치를 다양하게 구현한 제1 내지 제6 케이스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0은 도 14에 도시된 제1케이스에 대한 로터 설비의 압력분포 유동해석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1은 도 14 내지 도 19에 도시된 제1 내지 제6 케이스 각각에 대한 로터 설비 성능 상대비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2 및 도 1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선박(200)은, 로터설비(217a, 217b)가 적용된 탱커선(Tanker)으로서, 선수부(201), 중앙부(202), 선미부(203)로 구분될 수 있으며, 선체 내부에 화물을 저장하는 복수의 카고탱크(210)가 구비될 수 있다. 중앙부(202)는 선수부(201)와 선미부(203) 사이로 정의된다.
탱커선으로서의 선박(200)은 갑판(206) 상에 다양한 구조물이 설치되는데 이하에서 설명한다.
선수부(201)의 선수갑판(206a) 상에는 앵커장비(212) 및 무어링장비(211)가 설치될 수 있다.
중앙부(202)의 상갑판(206b) 상에는 복수의 카고탱크(210)에 연결되며 선체중심선을 따라 선수부(201)로부터 선미부(203)까지 연장되는 파이프라인(213)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중앙부(202)의 상갑판(206b) 상에는 파이프라인(213)과 연결되는 매니폴드(214)가 설치되는데, 매니폴드(214)는 선박(200)의 중심부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니폴드(214)는 선수부(201)로부터 세번째 카고탱크(210)와 네번째 카고탱크(210)의 경계영역에서 파이프라인(213)을 기준으로 좌현(204) 및 우현(205) 쪽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또한, 중앙부(202)의 상갑판(206b) 상에는 무어링장비(211)가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어링장비(211)는 선수부(201)로부터 첫번째 카고탱크(210)와 두번째 카고탱크(210)의 경계영역에서 파이프라인(213)을 기준으로 좌현(204) 및 우현(205) 쪽에 설치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또한, 중앙부(202)의 상갑판(206b) 상에 도 13에 도시된 무어링장비(211) 중 일부만이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중앙부(202)의 상갑판(206b) 상에는 헬리데크(215)가 설치될 수 있다.예를 들어, 헬리데크(215)는 선수부(201)로부터 두번째 카고탱크(210)의 형성영역에서 파이프라인(213)을 기준으로 일측에 설치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선미부(203)의 선미갑판(206c) 상에는 선실(207)과 연돌(208)이 설치될 수 있으며, 선미갑판(206c) 하부의 선체 내부에는 기관실(209)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갑판(206) 상에 각종 구조물이 구비되는 선박(200)에는 로터설비(217a, 217b)가 설치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로터설비는 선체에 고정되는 고정자(stator)와, 고정자의 표면과 상면을 두르도록 원기둥 형태로 마련되며 회전속도나 방향이 조절되는 회전자(rotor)로 구성되며, 동력을 이용해 직접 회전하면서 풍력을 원하는 방향의 추진력으로 변환하여 선박에 추진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로터설비는 돛과 다르게 풍력을 원하는 추진력으로 가공할 수 있는데, 다만 수 미터의 직경을 갖고 수십 미터의 높이로 이루어지는 대형 기둥 형태인 관계로, 갑판 상에 구비되는 각종 구조물과의 간섭, 선박 움직임에 따른 내구성, 선실로부터의 전방 시야 간섭 등 해결/개선해야 할 문제들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선박(200)이 탱커선일 경우에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면서 성능적으로 우수한 최적의 위치에 로터설비(217a, 217b)가 배치될 수 있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2개의 로터설비(217a, 217b)가 설치되는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이와 달리 3개, 4개, 5개, 6개 등 복수의 로터설비가 하나의 선박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2개의 로터설비(217a, 217b)를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의 로터설비(217a, 217b)는 2개가 설치되는데, 제1로터설비(217a)는 선수부(201)로부터 첫번째 카고탱크(210)의 형성영역에서 파이프라인(213)을 기준으로 일측의 상갑판(206b)에 배치되고, 제2로터설비(217b)는 선수부(201)로부터 두번째 카고탱크(210)와 세번째 카고탱크(210)의 형성영역에서 파이프라인(213)을 기준으로 타측의 상갑판(206b)에 배치되어, 제1,2로터설비(217a, 217b)가 선박(200)의 전방 및 측방에서 보았을 때 비대칭으로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로터설비(217a)는 파이프라인(213)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선박(200)의 좌현(204) 쪽의 상갑판(206b) 상에 배치되고, 제2로터설비(217b)는 파이프라인(213)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선박(200)의 우현(205) 쪽의 상갑판(206b) 상에 배치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제2로터설비(217b)는 두번째 카고탱크(210)의 형성영역에서 선수부(201) 쪽에 배치된다.
상기한 본 실시예의 로터설비(217a, 217b)의 배치 위치는 주변 장비와의 간섭이 없으면서도 성능적으로 우수한 최적의 위치라 할 수 있는데, 이하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함에 의해 이해될 것이다.
도 13을 참고하여, 로터설비(217a, 217b)의 설치불가영역과 설치가능영역을 설명한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터설비(217a, 217b)의 설치불가영역은, 앵커장비(212)가 설치되는 선수갑판(206a)과, 파이프라인(213)이 설치되는 선체중심선 부근의 상갑판(206b)과, 무어링장비(211)가 설치되는 선수갑판(206a) 및 선수부(201)로부터 첫번째 카고탱크(210)와 두번째 카고탱크(210)의 경계영역에서 파이프라인(213)을 기준으로 좌현(204) 및 우현(205) 쪽의 상갑판(206b)과, 매니폴드(214)가 설치되는 선수부(201)로부터 세번째 카고탱크(210)와 네번째 카고탱크(210)의 경계영역에서 파이프라인(213)을 기준으로 좌현(204) 및 우현(205) 쪽의 상갑판(206b)과, 헬리데크(215)가 설치되는 선수부(201)로부터 두번째 카고탱크(210)의 형성영역에서 파이프라인(213)을 기준으로 일측의 상갑판(206b)과, 선실(207)과 연돌(208)이 설치되는 선미갑판(206c)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선실(207)로부터 일정 반경 내의 상갑판(206b)은 전방 시야 간섭을 회피하기 위해 설치불가영역으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한 로터설비(217a, 217b)의 설치불가영역을 토대로 로터설비(217a, 217b)의 설치가능영역(216a, 216b, 216c, 216d)을 복수 설정할 수 있다.
복수의 설치가능영역(216a, 216b, 216c, 216d)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내지 제4설치가능영역(216a, 216b, 216c, 216d)으로 나눌 수 있다.
제1설치가능영역(216a)은 무어링장비(211)와 파이프라인(213)에 의해 설치가 제한되며, 선수부(201)로부터 첫번째 카고탱크(210)의 형성영역에서 파이프라인(213)을 기준으로 일측의 상갑판(206b)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설치가능영역(216a)은 파이프라인(213)을 기준으로 좌현(204) 쪽의 상갑판(206b)이 될 수 있다. 또한, 제1설치가능영역(216a)은 도 13에 도시된 무어링장비(211) 중 일부가 설치되지 않은 경우에는, 무어링장비(211)가 설치되지 않은 영역을 또한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2설치가능영역(216b)은 무어링장비(211)와 파이프라인(213)에 의해 설치가 제한되며, 선수부(201)로부터 첫번째 카고탱크(210)의 형성영역에서 파이프라인(213)을 기준으로 타측의 상갑판(206b)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설치가능영역(216b)은 파이프라인(213)을 기준으로 우현(205) 쪽의 상갑판(206b)이 될 수 있다. 또한, 제1설치가능영역(216b)은 도 13에 도시된 무어링장비(211) 중 일부가 설치되지 않은 경우에는, 무어링장비(211)가 설치되지 않은 영역을 또한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3설치가능영역(216c)은 파이프라인(213), 매니폴드(214) 및 헬리데크(215)에 의해 설치가 제한되며, 선수부(201)로부터 세번째 카고탱크(210)의 형성영역에서 파이프라인(213)을 기준으로 일측의 상갑판(206b)이 될 수 있다. 여기에서, 일측은 좌현(204)에 해당할 수 있다.
제4설치가능영역(216d)은 무어링장비(211), 파이프라인(213) 및 매니폴드(214)에 의해 설치가 제한되며, 선수부(201)로부터 두번째 카고탱크(210)와 세번째 카고탱크(210)의 형성영역에서 파이프라인(213)을 기준으로 타측의 상갑판(206b)이 될 수 있다. 여기에서, 타측은 우현(205)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제3설치가능영역(216c) 및 제4설치가능영역(216d)은 헬리데크(215)가 우현(205)에 설치될 경우, 반대의 경우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한 제1 내지 제4설치가능영역(216a, 216b, 216c, 216d) 각각에는 로터설비(217a, 217b)가 설치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의 선박(200)에 적용되는 로터설비(217a, 217b)는 제1 내지 제4설치가능영역(216a, 216b, 216c, 216d) 중에서 선택하여 최적의 위치에 배치될 수 있도록 한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제1로터설비(217a)가 제1설치가능영역(216a)에 배치되고, 제2로터설비(217b)가 제4설치가능영역(216d)에 배치되도록 하는데, 이하에서 설명함에 의해 이해될 것이다.
도 14 내지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최적의 위치에 배치된 본 실시예의 제1,2로터설비(217a, 217b)를 도출하기 위해 제1,2로터설비(217a, 217b)를 제1 내지 제4설치가능영역(216a, 216b, 216c, 216d)에 제1 내지 제6케이스 별로 다양하게 배치하고, 로터설비 성능 상대비율을 각 케이스 별로 산출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21의 그래프로 나타내었다.
도 20은 도 14에 도시된 제1케이스에 대한 로터설비의 압력분포 유동해석을 나타낸 도면으로, 선박(200)이 300K 탱커선일 경우에 압력분포결과이며 압력이 높을수록 빨간색, 낮을수록 파란색을 띄는데, 로터설비(217a, 217b) 표면의 압력분포를 보면 뒤쪽이 빨간색으로 압력이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공기에 의한 힘은 압력이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작용하며, 이는 로터설비(217a, 217b)에 의한 힘이 선박(200)의 진행방향으로 나타나는 것을 의미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로터설비의 압력분포 유동해석을 도 14에 도시된 제1케이스의 경우만 도면으로 제공하였지만, 이는 일례로 제공하였을 뿐 제2 내지 제6케이스 역시 동일한 방식으로 로터설비의 압력분포 유동해석을 통해 분석하였음은 물론이다. 한편, 제2 실시예의 경우, 300K 탱커선을 예시로 들었으나, 이외에 다른 종류의 탱커선에도 모두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는, 제1,2로터설비(217a, 217b)가 제1 내지 제4설치가능영역(216a, 216b, 216c, 216d)에 제1 내지 제6케이스 별로 다양하게 배치된 경우, 각 케이스 별로 하기 식에 의해 로터설비 성능 상대비율을 산출한 결과를 설명한다.
[하기 식]
(각 케이스별 발생하는 힘 전체 케이스 중 가장 큰 힘) X 100
= 로터설비 성능 상대비율 (%)
도 14에 도시된 제1케이스는, 제1로터설비(217a)가 제1설치가능영역(216a)에 배치되고, 제2로터설비(217b)가 제2설치가능영역(216b)에 배치되어, 횡방향으로 대칭을 이룬 경우로서, 도 21의 그래프에 나타난 바와 같이 로터설비 성능 상대비율은 99%를 얻었다.
도 15에 도시된 제2케이스는, 제1로터설비(217a)가 제1설치가능영역(216a)에 배치되고, 제2로터설비(217b)가 제4설치가능영역(216d)에서 선수부(201) 쪽에 치우쳐 배치되어, 비대칭을 이룬 경우로서, 도 21의 그래프에 나타난 바와 같이 로터설비 성능 상대비율은 100%를 얻었다.
도 16에 도시된 제3케이스는, 제1로터설비(217a)가 제2설치가능영역(216b)에 배치되고, 제2로터설비(217b)가 제4설치가능영역(216d)에서 선수부(201) 쪽에 치우쳐 배치되어, 종방향으로 대칭을 이룬 경우로서, 도 21의 그래프에 나타난 바와 같이 로터설비 성능 상대비율은 89%를 얻었다.
도 17에 도시된 제4케이스는, 제1로터설비(217a)가 제1설치가능영역(216a)에 배치되고, 제2로터설비(217b)가 제4설치가능영역(216d)에서 중간에 배치되어, 비대칭을 이룬 경우로서, 도 21의 그래프에 나타난 바와 같이 로터설비 성능 상대비율은 98%를 얻었다.
도 18에 도시된 제5케이스는, 제1로터설비(217a)가 제1설치가능영역(216a)에 배치되고, 제2로터설비(217b)가 제4설치가능영역(216d)에서 선미부(203) 쪽에 치우쳐 배치되어, 비대칭을 이룬 경우로서, 도 21의 그래프에 나타난 바와 같이 로터설비 성능 상대비율은 96%를 얻었다.
도 19에 도시된 제6케이스는, 제1로터설비(217a)가 제2설치가능영역(216b)에 배치되고, 제2로터설비(217b)가 제4설치가능영역(216d)에서 중간에 배치되어, 종방향으로 대칭을 이룬 경우로서, 도 21의 그래프에 나타난 바와 같이 로터설비 성능 상대비율은 91%를 얻었다.
상기한 제1 내지 제6케이스 각각의 로터설비 성능 상대비율을 비교해 보면, 도 15에 도시된 제2케이스의 경우가 주변 장비와의 간섭이 없으면서도 성능적으로 가장 우수한 최적의 위치라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이에 본 실시예는 제2케이스에서 얻어진 결과에 기초하여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로터설비(217a, 217b)를 선박(200)에 배치한 것이다.
제2 실시예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탱커선인 선박(200)에서 복수의 로터설비(217a, 217b)를 설치하게 될 경우, 복수의 로터설비(217a, 217b) 상호간의 간섭을 줄여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복수의 로터설비(217a, 217b)를 비대칭으로 설치하고, 복수의 로터설비(217a, 217b) 상호간의 거리를 예정 거리 이상으로 이격되도록 설치한다. 여기서 예정 거리는 로터설비의 크기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수치로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로터설비(217a, 217b)는 선수부(201)에 위치할수록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이는, 선박(200)의 내측으로 들어올수록, 예를 들어 선수부(201)로부터 선미부(203) 쪽으로 들어올수록 풍속이 느려지기 때문이다. 즉, 탱커선인 선박(200)에서 복수의 로터설비(217a, 217b)의 경우, 선수부(201)로부터 가까운 영역에 비대칭으로, 설치되는 경우에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제2 실시예에서는 제1,2로터설비(217a, 217b)를 통해 로터설비의 최적 배치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와 달리 3개 이상의 로터설비가 탱커선인 선박(200)에 구비되는 경우에도, 상술한 성능 향상 조건은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제2 실시예에서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1로터설비(217a) 및 제2로터설비(217b)는 접이식 로터설비에 해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이식 로터설비는 고정자의 하단부에 위치한 기어(gear)나 유압장치를 이용하여 갑판 상으로 기울어지게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접이식 로터설비의 경우, 선박 내부에서 기울어지게 제어될 수 있다.
도 2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측면도이고, 도 2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일부 평면도이고, 도 24 내지 도 2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선박에 배치된 로터 설비(제4 케이스)를 도출하기 위해 로터 설비의 배치를 다양하게 구현한 제1 내지 제6 케이스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0은 도 24에 도시된 제1케이스에 대한 로터 설비의 압력분포 유동해석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1은 도 24 내지 도 29에 도시된 제1 내지 제6케이스 각각에 대한 로터 설비 성능 상대비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2및 도 2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선박(300)은, 로터설비(319a, 319b)가 적용된 액화가스 운반선(LNGC)으로서, 선수부(301), 중앙부(302), 선미부(303)로 구분될 수 있으며, 선체 내부에 화물을 저장하는 복수의 카고탱크(310)가 구비될 수 있다. 중앙부(302)는 선수부(301)와 선미부(303) 사이로 정의된다.
액화가스 운반선으로서의 선박(300)은 갑판(306) 상에 다양한 구조물이 설치되는데 이하에서 설명한다.
선수부(301)의 선수갑판(306a) 상에는 무어링장비(311a, 311b, 311c, 311d) 및 앵커장비(312a, 312b)가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무어링장비(311a, 311b, 311c, 311d)는 선수부(301)로부터 첫번째 카고탱크(310)의 전방에서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메인무어링장비(311a)와, 메인무어링장비(311a)의 중심으로부터 일측으로 일정 기울기를 갖고 설치되는 제1보조무어링장비(311b)와, 메인무어링장비(311a)의 중심으로부터 타측으로 일정 기울기를 갖고 설치되는 제2보조무어링장비(311c)와, 메인무어링장비(311a)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며 선체중심선을 따라 설치되는 제3보조무어링장비(311d)를 포함한다. 앵커장비(312a, 312b)는 제1보조무어링장비(311b)와 나란하게 배치되는 재1앵커장비(312a)와, 제2보조무어링장비(311c)와 나란하게 배치되는 재2앵커장비(312b)를 포함한다. 한편, 선수부(301)의 선수갑판(306a) 상에 설치되는 무어링장비(311a, 311b, 311c, 311d) 및 앵커장비(312a, 312b)의 위치 및 종류는 도 23에 도시된 위치에 한정되지 않으며, 종류 또한 다양할 수 있다. 또한, 한편, 선수부(301)의 선수갑판(306a) 상에 설치되는 무어링장비(311a, 311b, 311c, 311d) 및 앵커장비(312a, 312b)는 일부만이 설치될 수도 있다.
중앙부(302)의 상갑판(306b) 상에는 트렁크데크(315)가 설치될 수 있다. 트렁크데크(315)는 선수부(301)로부터 선미부(303)까지 상갑판(306b)의 대부분에 걸쳐 복수의 카고탱크(310)의 상부를 덮도록 설치될 수 있으며, 상부가 평면을 이루고 양측부가 경사면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트렁크데크(315)는 카고탱크(310)가 멤브레인 타입일 경우이며 카고탱크(310)가 모스(MOSS) 타입일 경우에는 탱크커버가 적용될 수 있다.
트렁크데크(315) 상에는 복수의 카고탱크(310)에 연결되며 선체중심선을 따라 선수부(301)로부터 선미부(303)까지 연장되는 파이프라인(313)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트렁크데크(315) 상에는 파이프라인(313)과 연결되는 매니폴드(314)가 설치되는데, 매니폴드(314)는 선수부(301)로부터 세번째 카고탱크(310)와 네번째 카고탱크(310)의 경계영역에서 파이프라인(313)을 기준으로 좌현(304) 및 우현(305) 쪽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또한, 트렁크데크(315) 상에는 윈치(316)가 설치되는데, 윈치(316)는 선수부(301)로부터 두번째 카고탱크(310)의 형성영역에서 파이프라인(313)을 기준으로 일측에 설치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트렁크데크(315) 상에는 크레인(317)가 설치되는데, 크레인(317)은 선수부(301)로부터 세번째 카고탱크(310)의 형성영역에서 파이프라인(313)을 기준으로 양측에 설치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선미부(303)의 선미갑판(306c) 상에는 선실(307)과 연돌(308)이 설치될 수 있으며, 선미갑판(306c) 하부의 선체 내부에는 기관실(309)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갑판(306) 상에 각종 구조물이 구비되는 선박(300)에는 로터설비(319a, 319b)가 설치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로터설비는 선체에 고정되는 고정자(stator)와, 고정자의 표면과 상면을 두르도록 원기둥 형태로 마련되며 회전속도나 방향이 조절되는 회전자(rotor)로 구성되며, 동력을 이용해 직접 회전하면서 풍력을 원하는 방향의 추진력으로 변환하여 선박에 추진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로터설비는 돛과 다르게 풍력을 원하는 추진력으로 가공할 수 있는데, 다만 수 미터의 직경을 갖고 수십 미터의 높이로 이루어지는 대형 기둥 형태인 관계로, 갑판 상에 구비되는 각종 구조물과의 간섭, 선박 움직임에 따른 내구성, 선실로부터의 전방 시야 간섭 등 해결/개선해야 할 문제들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선박(300)이 액화가스 운반선(LNGC)일 경우에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면서 성능적으로 우수한 최적의 위치에 로터설비(319a, 319b)가 배치될 수 있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2개의 로터설비(317a, 317b)가 설치되는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이와 달리 3개, 4개, 5개, 6개 등 복수의 로터설비가 하나의 선박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2개의 로터설비(319a, 319b)를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의 로터설비(319a, 319b)는 2개가 설치되는데, 제1로터설비(319a)는 선수부(301)로부터 첫번째 카고탱크(310)의 형성영역에서 파이프라인(313)을 기준으로 일측에 배치되고, 제2로터설비(319b)는 선수부(301)로부터 첫번째 카고탱크(310)의 형성영역에서 파이프라인(313)을 기준으로 타측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로터설비(319a)는 첫번째 카고탱크(310)의 형성영역에서 트렁크데크(315)의 일측과 상갑판(306b)이 경계를 이루는 부분에 배치되고, 제2로터설비(319b)는 첫번째 카고탱크(310)의 형성영역에서 트렁크데크(315)의 타측과 상갑판(306b)이 경계를 이루는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로터설비(319a)는 첫번째 카고탱크(310)의 형성영역에서 트렁크데크(315)의 일측 경사면 부분에 배치되고, 제2로터설비(319b)는 첫번째 카고탱크(310)의 형성영역에서 트렁크데크(315)의 타측 경사면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제1,2로터설비(319a, 319b)가 트렁크데크(315)의 경사면에 배치될 경우, 제1,2로터설비(319a, 319b)를 안정적으로 설치할 수 있도록, 경사면에 로터설비 설치용 구조물(도시하지 않음), 예를 들어 플랫폼을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제1로터설비(319a)는 첫번째 카고탱크(310)의 형성영역에서 트렁크데크(315)의 일측 평면 부분에 배치되고, 제2로터설비(319b)는 첫번째 카고탱크(310)의 형성영역에서 트렁크데크(315)의 타측 평면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제1로터설비(319a)는 첫번째 카고탱크(310)의 형성영역 일측에서 선미부(303) 쪽에 배치되고, 제2로터설비(319b)는 첫번째 카고탱크(310)의 형성영역 타측에서 선수부(301) 쪽에 배치되어, 제1,2로터설비(319a, 319b)가 선박(300)의 전방 및 측방에서 보았을 때 비대칭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한 본 실시예의 로터설비(319a, 319b)의 배치 위치는 주변 장비와의 간섭이 없으면서도 성능적으로 우수한 최적의 위치라 할 수 있는데, 이하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함에 의해 이해될 것이다.
도 23을 참고하여, 로터설비(319a, 319b)의 설치불가영역과 설치가능영역을 설명한다.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터설비(319a, 319b)의 설치불가영역은, 무어링장비(311a, 311b, 311c, 311d) 및 앵커장비(312a, 312b)가 설치되는 일부의 선수갑판(306a)과, 상부에 파이프라인(313), 매니폴드(314), 윈치(316), 크레인(317)이 설치되며, 상갑판(306b) 전반에 걸쳐 구비되는 트렁크데크(315)와, 선수부(301)로부터 두번째 카고탱크(310)의 형성영역 일측에서 트렁크데크(315) 외측의 상갑판(306b)과, 선수부(301)로부터 세번째 카고탱크(310)의 형성영역 양측에서 트렁크데크(315) 외측의 상갑판(306b)과, 선실(307)과 연돌(308)이 설치되는 선미갑판(306c)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선실(307)로부터 일정 반경 내의 상갑판(306b)은 전방 시야 간섭을 회피하기 위해 설치불가영역으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한 로터설비(319a, 319b)의 설치불가영역을 토대로 로터설비(319a, 319b)의 설치가능영역(318a, 318b, 318c, 318d)을 복수 설정할 수 있다.
복수의 설치가능영역(318a, 318b, 318c, 318d)은,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내지 제4설치가능영역(318a, 318b, 318c, 318d)으로 나눌 수 있다.
제1설치가능영역(318a)은 제1보조무어링장비(311b)와 제3보조무어링장비(311d) 사이의 선수갑판(306a)이 될 수 있다.
제2설치가능영역(318b)은 제2보조무어링장비(311c)와 제3보조무어링장비(311d) 사이의 선수갑판(306a)이 될 수 있다.
제3설치가능영역(318c)은 파이프라인(313), 메인무어링장비(311a), 윈치(316), 크레인(317), 트렁크데크(315)에 의해 설치가 제한되며, 첫번째 카고탱크(310)의 형성영역 일측에서 트렁크데크(315)와 상갑판(306b)이 경계를 이루는 부분이 될 수 있다.
제4설치가능영역(318d)은 파이프라인(313), 메인무어링장비(311a), 윈치(316), 트렁크데크(315)에 의해 설치가 제한되며, 첫번째 카고탱크(310)의 형성영역 타측에서 트렁크데크(315)와 상갑판(306b)이 경계를 이루는 부분이 될 수 있다.
제3,4설치가능영역(318c, 318d)의 경우 제1,2설치가능영역(318a, 318b)에 비해 높이가 높은 위치에 해당할 수 있다. 한편, 제1 내지 제4설치가능영역(318a, 318b, 318c, 318d)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액화가스 운반선에서 각종 장비가 갑판 상에 설치되는 위치 및 형태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상기한 제1 내지 제4설치가능영역(318a, 318b, 318c, 318d) 각각에는 로터설비(319a, 319b)가 설치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의 선박(300)에 적용되는 로터설비(319a, 319b)는 제1 내지 제4설치가능영역(318a, 318b, 318c, 318d) 중에서 선택하여 최적의 위치에 배치될 수 있도록 한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제1로터설비(319a)가 제3설치가능영역(318c)에 배치되고, 제2로터설비(319b)가 제4설치가능영역(318d)에 배치되도록 하는데, 이하에서 설명함에 의해 이해될 것이다.
도 24 내지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최적의 위치에 배치된 본 실시예의 제1,2로터설비(319a, 319b)를 도출하기 위해 제1,2로터설비(319a, 319b)를 제1 내지 제4설치가능영역(318a, 318b, 318c, 318d)에 제1 내지 제6케이스 별로 다양하게 배치하고, 로터설비 성능 상대비율을 각 케이스 별로 산출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31의 그래프로 나타내었다.
도 30은 도 24에 도시된 제1케이스에 대한 로터설비의 압력분포 유동해석을 나타낸 도면으로, 선박(300)이 174K 액화가스 운반선일 경우에 압력분포결과이며 압력이 높을수록 빨간색, 낮을수록 파란색을 띄는데, 로터설비(319a, 319b) 표면의 압력분포를 보면 뒤쪽이 빨간색으로 압력이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공기에 의한 힘은 압력이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작용하며, 이는 로터설비(319a, 319b)에 의한 힘이 선박(300)의 진행방향으로 나타나는 것을 의미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로터설비의 압력분포 유동해석을 도 24에 도시된 제1케이스의 경우만 도면으로 제공하였지만, 이는 일례로 제공하였을 뿐 제2 내지 제6케이스 역시 동일한 방식으로 로터설비의 압력분포 유동해석을 통해 분석하였음은 물론이다.
이하에서는, 제1,2로터설비(319a, 319b)가 제1 내지 제4설치가능영역(318a, 318b, 318c, 318d)에 제1 내지 제6케이스 별로 다양하게 배치된 경우, 각 케이스 별로 하기 식에 의해 로터설비 성능 상대비율을 산출한 결과를 설명한다.
[하기 식]
(각 케이스별 발생하는 힘 전체 케이스 중 가장 큰 힘) X 100
= 로터설비 성능 상대비율 (%)
도 24에 도시된 제1케이스는, 제1로터설비(319a)가 제1설치가능영역(318a)에 배치되고, 제2로터설비(319b)가 제2설치가능영역(318b)에 배치되어, 횡방향으로 대칭을 이룬 경우로서, 도 31의 그래프에 나타난 바와 같이 로터설비 성능 상대비율은 92%를 얻었다.
도 25에 도시된 제2케이스는, 제1로터설비(319a)가 제3설치가능영역(318c)에서 선수부(301) 쪽으로 치우쳐 배치되고, 제2로터설비(319b)가 제2설치가능영역(318b)에 배치되어, 비대칭을 이룬 경우로서, 도 31의 그래프에 나타난 바와 같이 로터설비 성능 상대비율은 95%를 얻었다. 또한, 제1로터설비(319a)가 제4설치가능영역(318d)의 선수부(301) 쪽으로 치우쳐 배치되고, 제2로터설비(319b)가 제1설치가능영역(318a)에 배치되어, 비대칭을 이룬 경우에도, 동일한 상대비율을 얻을 수 있다.
도 26에 도시된 제3케이스는, 제1로터설비(319a)가 제3설치가능영역(318c)에서 선수부(301) 쪽으로 치우쳐 배치되고, 제2로터설비(319b)가 제4설치가능영역(318d)에서 선수부(301) 쪽에 치우쳐 배치되어, 횡방향으로 대칭을 이룬 경우로서, 도 31의 그래프에 나타난 바와 같이 로터설비 성능 상대비율은 98%를 얻었다.
도 27에 도시된 제4케이스는, 제1로터설비(319a)가 제3설치가능영역(318c)에서 선미부(303) 쪽으로 치우쳐 배치되고, 제2로터설비(319b)가 제4설치가능영역(318d)에서 선수부(301) 쪽으로 치우쳐 배치되어, 비대칭을 이룬 경우로서, 도 31의 그래프에 나타난 바와 같이 로터설비 성능 상대비율은 100%를 얻었다. 또한, 제1로터설비(319a)가 제3설치가능영역(318c)에서 선수부(301) 쪽으로 치우쳐 배치되고, 제2로터설비(319b)가 제4설치가능영역(318d)에서 선미부(303) 쪽으로 치우쳐 배치되어, 비대칭을 이룬 경우에도, 동일한 상대비율을 얻을 수 있다.
도 28에 도시된 제5케이스는, 제1로터설비(319a)가 제4설치가능영역(318d)에서 선미부(303) 쪽으로 치우쳐 배치되고, 제2로터설비(319b)가 제4설치가능영역(318d)에서 선수부(301) 쪽에 치우쳐 배치되어, 종방향으로 대칭을 이룬 경우로서, 도 31의 그래프에 나타난 바와 같이 로터설비 성능 상대비율은 87%를 얻었다. 또한, 제1로터설비(319a)가 제3설치가능영역(318c)에서 선미부(303) 쪽으로 치우쳐 배치되고, 제2로터설비(319b)가 제3설치가능영역(318c)에서 선수부(301) 쪽에 치우쳐 배치되어, 종방향으로 대칭을 이룬 경우에도, 동일한 상대비율을 얻을 수 있다.
도 29에 도시된 제6케이스는, 제1로터설비(319a)가 제3설치가능영역(318c)에서 선미부(303) 쪽으로 치우쳐 배치되고, 제2로터설비(319b)가 제4설치가능영역(318d)에서 선미부(303) 쪽으로 치우쳐 배치되어, 횡방향으로 대칭을 이룬 경우로서, 도 31의 그래프에 나타난 바와 같이 로터설비 성능 상대비율은 97%를 얻었다.
상기한 제1 내지 제6케이스 각각의 로터설비 성능 상대비율을 비교해 보면, 도 27에 도시된 제4케이스의 경우가 주변 장비와의 간섭이 없으면서도 성능적으로 가장 우수한 최적의 위치라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이에 본 실시예는 제4케이스에서 얻어진 결과에 기초하여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로터설비(319a, 319b)를 선박(300)에 배치한 것이다.
제3 실시예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액화가스 운반선인 선박(300)에서 복수의 로터설비(319a, 319b)를 설치하게 될 경우, 복수의 로터설비(319a, 319b) 상호간의 간섭을 줄여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복수의 로터설비(319a, 319b)를 비대칭으로 설치하고, 복수의 로터설비(319a, 319b) 상호간의 거리를 예정 거리 이상으로 이격되도록 설치한다. 여기서 예정 거리는 로터설비의 크기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수치로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로터(319a, 319b)는 선수부(301)에 위치할수록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이는, 선박(300)의 내측으로 들어올수록, 예를 들어 선수부(301)로부터 선미부(303) 쪽으로 들어올수록 풍속이 느려지기 때문이다. 또한, 로터설비(319a, 319b)는 높은 위치에 설치될수록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이는 높을수록 해상풍의 속도가 빨라지기 때문이다. 즉, 액화가스 운반선인 선박(300)에서 복수의 로터설비(319a, 319b)의 경우, 선수부(301)로부터 가까운 영역에서 높은 위치에 비대칭으로 설치되는 경우에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제3 실시예에서는 제1,2로터설비(319a, 319b)를 통해 로터설비의 최적 배치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와 달리 3개 이상의 로터설비가 액화가스 운반선인 선박(300)에 구비되는 경우에도, 상술한 성능 향상 조건은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기술내용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실시예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조합 또는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로부터 용이하게 도출 가능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기술내용들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200, 300: 선박
101, 201, 301: 선수부
102, 202, 302: 중앙부 103, 203, 303: 선미부
104, 204, 304: 좌현 105, 205, 305: 우현
106, 206, 306: 갑판 106a, 206a, 306a: 선수갑판
106b, 206b, 306b: 상갑판 106c, 206c, 306c: 선미갑판
107, 207, 307: 선실 108, 208, 308: 연돌
109, 209, 309: 기관실 110, 210, 310: 카고탱크
111, 211, 311a, 311b, 311c, 311d: 무어링장비
112, 212, 312a, 312b: 앵커장비 113: 통로
114: 해치커버 115: 데크스토어
213, 313: 파이프라인 214, 314: 매니폴드
215: 헬리데크 315: 트렁크데크
316: 윈치 317: 크레인
116a, 116b, 116c, 116d, 116e: 제1 내지 제5설치가능영역
216a, 216b, 216c, 216d: 제1 내지 제4설치가능영역
318a, 318b, 318c, 318d: 제1 내지 제4설치가능영역
117a, 117b, 217a, 217b, 319a, 319b: 제1,2로터설비
102, 202, 302: 중앙부 103, 203, 303: 선미부
104, 204, 304: 좌현 105, 205, 305: 우현
106, 206, 306: 갑판 106a, 206a, 306a: 선수갑판
106b, 206b, 306b: 상갑판 106c, 206c, 306c: 선미갑판
107, 207, 307: 선실 108, 208, 308: 연돌
109, 209, 309: 기관실 110, 210, 310: 카고탱크
111, 211, 311a, 311b, 311c, 311d: 무어링장비
112, 212, 312a, 312b: 앵커장비 113: 통로
114: 해치커버 115: 데크스토어
213, 313: 파이프라인 214, 314: 매니폴드
215: 헬리데크 315: 트렁크데크
316: 윈치 317: 크레인
116a, 116b, 116c, 116d, 116e: 제1 내지 제5설치가능영역
216a, 216b, 216c, 216d: 제1 내지 제4설치가능영역
318a, 318b, 318c, 318d: 제1 내지 제4설치가능영역
117a, 117b, 217a, 217b, 319a, 319b: 제1,2로터설비
Claims (7)
- 선수부, 선미부, 상기 선수부와 선미부 사이의 중앙부로 구분되며, 선체 내부에 설치되어 화물을 저장하는 다수의 카고탱크가 다수 구비되는 선박으로서,
상기 선미부에 설치되는 선실;
상기 선수부에 설치되는 앵커장비;
상기 선수부에 설치되는 무어링장비;
상기 중앙부에 설치되는 트렁크데크;
상기 다수의 카고탱크에 연결되며, 상기 트렁크데크 상에서 선체중심선을 따라 상기 선수부로부터 상기 선미부까지 연장되는 파이프라인;
상기 파이프라인과 연결되며, 상기 트렁크데크 상에 설치되는 매니폴드;
상기 파이프라인을 기준으로 일측의 상기 트렁크데크 상에 설치되는 윈치;
상기 파이프라인을 기준으로 양측의 상기 트렁크데크 상에 설치되는 크레인; 및
상기 트렁크데크에 설치되는 복수의 로터설비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로터설비는,
상기 트렁크데크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로터설비와 적어도 하나의 제2로터설비를 포함하고,
상기 제1로터설비와 상기 제2로터설비는, 서로 비대칭으로 배치되고, 상기 파이프라인, 상기 무어링장비, 상기 윈치, 상기 크레인에 의해 설치가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로터설비 및 상기 제2로터설비는,
어느 하나가 좌현 쪽에 배치되고,
다른 하나가 우현 쪽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로터설비 및 상기 제2로터설비는,
어느 하나가 상기 선수부로부터 첫번째 카고탱크의 형성영역에서 상기 선미부 쪽에 배치되고,
다른 하나가 상기 첫번째 카고탱크의 형성영역에서 상기 선수부 쪽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로터설비 및 상기 제2로터설비는,
어느 하나가 상기 트렁크데크의 일측과 갑판이 경계를 이루는 부분에 배치되고,
다른 하나가 상기 트렁크데크의 타측과 상기 갑판이 경계를 이루는 부분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로터설비 및 상기 제2로터설비는,
어느 하나가 상기 트렁크데크의 일측 경사면 부분에 배치되고,
다른 하나가 상기 트렁크데크의 타측 경사면 부분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로터설비 및 상기 제2로터설비는,
어느 하나가 상기 트렁크데크의 일측 평면 부분에 배치되고,
다른 하나가 상기 트렁크데크의 타측 평면 부분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박은,
액화가스 운반선(LNGC)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45394A KR102444961B1 (ko) | 2019-02-27 | 2022-04-12 | 선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23400 | 2019-02-27 | ||
KR20190023400 | 2019-02-27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045394A Division KR102444961B1 (ko) | 2019-02-27 | 2022-04-12 | 선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104822A true KR20200104822A (ko) | 2020-09-04 |
Family
ID=72470670
Family Applications (9)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24277A KR20200104821A (ko) | 2019-02-27 | 2020-02-27 | 선박 |
KR1020200024319A KR102281212B1 (ko) | 2019-02-27 | 2020-02-27 | 선박 |
KR1020200024293A KR20200104822A (ko) | 2019-02-27 | 2020-02-27 | 선박 |
KR1020200024260A KR20200104820A (ko) | 2019-02-27 | 2020-02-27 | 선박 |
KR1020200024328A KR102242213B1 (ko) | 2019-02-27 | 2020-02-27 | 운항 제어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
KR1020200024311A KR102242210B1 (ko) | 2019-02-27 | 2020-02-27 | 선박 |
KR1020220045394A KR102444961B1 (ko) | 2019-02-27 | 2022-04-12 | 선박 |
KR1020220045354A KR102444958B1 (ko) | 2019-02-27 | 2022-04-12 | 선박 |
KR1020220045375A KR102444959B1 (ko) | 2019-02-27 | 2022-04-12 | 선박 |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24277A KR20200104821A (ko) | 2019-02-27 | 2020-02-27 | 선박 |
KR1020200024319A KR102281212B1 (ko) | 2019-02-27 | 2020-02-27 | 선박 |
Family Applications After (6)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24260A KR20200104820A (ko) | 2019-02-27 | 2020-02-27 | 선박 |
KR1020200024328A KR102242213B1 (ko) | 2019-02-27 | 2020-02-27 | 운항 제어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
KR1020200024311A KR102242210B1 (ko) | 2019-02-27 | 2020-02-27 | 선박 |
KR1020220045394A KR102444961B1 (ko) | 2019-02-27 | 2022-04-12 | 선박 |
KR1020220045354A KR102444958B1 (ko) | 2019-02-27 | 2022-04-12 | 선박 |
KR1020220045375A KR102444959B1 (ko) | 2019-02-27 | 2022-04-12 | 선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9) | KR20200104821A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1846175A (zh) * | 2020-08-18 | 2020-10-30 | 中船重工(上海)节能技术发展有限公司 | 一种多段式风力助推转子装置及船舶 |
CN112224370B (zh) * | 2020-10-15 | 2022-05-17 | 青岛科技大学 | 一种在商船上利用风能的装置及方法 |
KR102535808B1 (ko) * | 2021-09-14 | 2023-05-26 | 에이치디현대중공업 주식회사 | 풍력 추진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
Family Cites Families (1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398895A (en) * | 1981-05-14 | 1983-08-16 | Asker Gunnar C F | Wind propulsion devices |
US4576581A (en) * | 1981-11-30 | 1986-03-18 | Borg John L | Reversible Magnus propeller |
NO951479L (no) * | 1995-04-19 | 1996-10-21 | Norsk Hydro As | Fremgangsmate og anordning ved oppankret fartoy |
JP4246082B2 (ja) * | 2004-02-10 | 2009-04-02 | 三井造船株式会社 | 船舶の補助推進力を発生させるドジャー支持体構造 |
KR20100009202A (ko) * | 2008-07-18 | 2010-01-27 |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 해상 작업 선박 |
JP2013519586A (ja) | 2010-02-15 | 2013-05-30 | ウィンクレル、ヨルン・パウル | 収納可能マグナス効果ローターを備えている船舶 |
DE102010040906A1 (de) * | 2010-09-16 | 2012-03-22 | Aloys Wobben | Magnus-Rotor |
DE102010040915A1 (de) | 2010-09-16 | 2012-03-22 | Aloys Wobben | Verfahren zum Auswuchten eines Rotationskörpers |
KR101572395B1 (ko) | 2011-06-22 | 2015-11-26 | 매그너스 엘티디. | 수직 가변형 해양 세일 시스템 |
KR20130135721A (ko) * | 2012-05-30 | 2013-12-11 | 주식회사 싸이트로닉 | 항해 또는 계류 중인 선박의 유체역학적 환경 내-외력, 선체 응력, 6자유도운동 및 표류 위치를 실시간 모니터링 및 제어 함을 통한 선박의 연료절감 및 안전운항 방법 |
KR20160056968A (ko) * | 2014-11-12 | 2016-05-23 |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 선박용 추력 발생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
KR101824430B1 (ko) | 2015-11-03 | 2018-02-02 |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 소형 부유식 액화천연가스 생산설비 |
CN207740122U (zh) * | 2017-12-06 | 2018-08-17 | 中船重工(上海)节能技术发展有限公司 | 一种可收放式风能转子 |
-
2020
- 2020-02-27 KR KR1020200024277A patent/KR20200104821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20-02-27 KR KR1020200024319A patent/KR102281212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20-02-27 KR KR1020200024293A patent/KR20200104822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20-02-27 KR KR1020200024260A patent/KR20200104820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20-02-27 KR KR1020200024328A patent/KR102242213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20-02-27 KR KR1020200024311A patent/KR102242210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22
- 2022-04-12 KR KR1020220045394A patent/KR102444961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22-04-12 KR KR1020220045354A patent/KR102444958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22-04-12 KR KR1020220045375A patent/KR102444959B1/ko active IP Right Gra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51318A (ko) | 2022-04-26 |
KR102242210B1 (ko) | 2021-04-20 |
KR20220050118A (ko) | 2022-04-22 |
KR102242213B1 (ko) | 2021-04-20 |
KR20220050119A (ko) | 2022-04-22 |
KR20200104823A (ko) | 2020-09-04 |
KR102444959B1 (ko) | 2022-09-21 |
KR102281212B1 (ko) | 2021-07-23 |
KR20200104820A (ko) | 2020-09-04 |
KR102444958B1 (ko) | 2022-09-21 |
KR20200104821A (ko) | 2020-09-04 |
KR102444961B1 (ko) | 2022-09-21 |
KR20200104825A (ko) | 2020-09-04 |
KR20200104824A (ko) | 2020-09-0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444961B1 (ko) | 선박 | |
JP6002813B1 (ja) | 船舶 | |
JP5047955B2 (ja) | 船舶 | |
KR102197282B1 (ko) | Lng 연료 추진 시스템의 탑재가 가능한 컨테이너 운반선 | |
EP3299274A1 (en) | Hybrid ship using wind-powered propulsive force as auxiliary | |
KR102028819B1 (ko) | 가스연료 추진 컨테이너 운반선 | |
Dymarski | A concept design of diesel–hydraulic propulsion system for passenger ship intended for inland shallow water navigation | |
Bernardini et al. | An innovative concept for inland waterway vessels | |
KR102535808B1 (ko) | 풍력 추진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 |
US11591056B2 (en) | Marine vessel | |
KR102605383B1 (ko) | 연료 공급 시스템 | |
KR20240106576A (ko) | П자형 로터 세일 시스템 및 그의 운용방법 | |
KR102376325B1 (ko) | 선박 | |
KR102077914B1 (ko) | 가스연료 추진 컨테이너 운반선 | |
KR102077913B1 (ko) | 가스연료 추진 컨테이너 운반선 | |
KR20200086963A (ko) | 액화천연가스 추진용 선박 및 그 액화천연가스 추진용 선박의 벤트 마스트 배치구조 | |
Herdzik | Analysis of alternative configurations of ship power systems using biofuels and renewable energy | |
KR20220125749A (ko) | 선박용 공기 저항 저감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 |
KR20240103895A (ko) | 선박에 설치된 매그너스 로터의 높이 조절 시스템 및 그 방법 | |
KR20220141211A (ko) | 풍력 추진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 |
KR20230096468A (ko) | 풍력 추진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 |
KR20190012553A (ko) | 선박 | |
Meier-Peter | 11.5 Propulsion systems: 11 Ship traffic propulsion technologie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