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4756A - 반사구조 향상형 에기 - Google Patents

반사구조 향상형 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4756A
KR20200104756A KR1020190023510A KR20190023510A KR20200104756A KR 20200104756 A KR20200104756 A KR 20200104756A KR 1020190023510 A KR1020190023510 A KR 1020190023510A KR 20190023510 A KR20190023510 A KR 20190023510A KR 20200104756 A KR20200104756 A KR 202001047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ing line
coupled
hole
reflective structure
hoo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35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06738B1 (ko
Inventor
이요한
Original Assignee
이요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요한 filed Critical 이요한
Priority to KR10201900235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6738B1/ko
Publication of KR202001047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47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67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67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5/00Artificial bait for fishing
    • A01K85/01Artificial bait for fishing with light emission, sound emission, scent dispersal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5/00Artificial bait for fishing
    • A01K85/01Artificial bait for fishing with light emission, sound emission, scent dispersal or the like
    • A01K85/011Artificial bait for fishing with light emission, sound emission, scent dispersal or the like with ornaments creating visual effects, e.g. colors, patterns
    • A01K85/012Artificial bait for fishing with light emission, sound emission, scent dispersal or the like with ornaments creating visual effects, e.g. colors, patterns transparent; including reflectors or patter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3/00Fish-hooks
    • A01K83/02Expanding fish-hook assembly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227/00Animals characterised by species
    • A01K2227/70Invertebrat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Abstract

반사구조 향상형 에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반사구조 향상형 에기는, 외면에 속지가 부착되고 나서 재킷으로 감싸진 몸통; 및 몸통에 결합되고, 오징어류가 걸리는 훅을 포함하고, 속지의 반사광이 외면과 다른 각도로 반사되도록, 몸통의 좌측 및 우측에는 각각 길이방향으로 긴 형태의 띠형홈이 음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속지에 반사된 빛에 의한 가시성이 향상되고, 깃을 멧돼지털이나 새의 깃털을 쓰지 않더라도 오징어류를 유인하는 효과가 향상되도록 이루어지는 반사구조 향상형 에기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반사구조 향상형 에기{EGI WITH IMPROVED REFLECTION STRUCTURE}
본 발명은 반사구조 향상형 에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오징어를 잡는 낚시방법인 에깅 낚시에서 낚싯줄에 연결하여 가짜 미끼로 사용되도록 이루어지는 반사구조 향상형 에기에 관한 것이다.
에기(egi)는 일본에서 유래한 흰오징어(무늬오징어)용 오징어뿔을 가리킨다. 전체적으로 새우나 물고기와 같은 형상을 취하고 있는데 뒷부분에는 갈고리바늘이 이중으로 부착되어 있다.
외피의 색상은 다양하고 선택의 폭이 넓다. 핑크, 오렌지, 레드, 옐로우, 갈색, 회색, 검정, 화이트 등 모든 색상을 외피에 적용하고 있지만, 가장 많이 사용을 하는 대표적인 색상은 눈에 잘 띄는 형광 핑크, 형광 오렌지가 기본이고 실제 먹이를 닮은 파란색도 많이 사용된다.
오징어류의 눈은 인간의 눈과 가장 유사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인간과 거의 동일하게 사물을 볼 수 있다고 보고된다. 과거에는 대부분 속지보다 외피의 중요성이 높다고 판단하는 경향이 있었으나, 에기가 수중에 입수하면 속지의 색상이 표출되므로 속지의 색상이 오징어류에게 미치는 영향이 크게 작용한다는 것을 인식하면서 에기를 고를 때 속지의 색상에 신중해지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7-0001827호는 발광체를 구비한 에기를 개시하고 있다.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7-0001827호는, 단단한 투명 플라스틱 재질의 에기 몸통부에, 발광체 고정장치에 빛을 발산하는 발광체를 체결하여, 상기 에기 중앙에 위치한 발광체 고정장치 홈에 조립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있으며, 전단부에 낚시줄을 고정할 수 있는 환형 연결고리와, 전단부 하측에 위치한 추와, 후단부에 위치한 낚시바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7-0001827호는, 에기 몸통부에 삽입된 발광체에 의하여 에기 몸통부에서 빛을 발산하여 오징어 및 주꾸미와 같은 두족류들이 시야를 확보하고, 자극하여 유인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에기가 무조건 더 많은 빛을 발산한다고 하여 오징어류의 포획이 쉬워지는 것은 아니므로, 상황에 따라 신중한 사용이 요구된다.
따라서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7-0001827호와 같이 전체적으로 빛을 발산하는 타입보다는 매끄러운 몸통에 속지가 부착된 일반적인 형태의 에기가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일반적인 타입의 에기는 몸통 표면이 매끄러우므로, 속지에 반사된 빛이 몸통 길이방향의 한 줄로밖에 표시되지 못하므로 속지에 반사된 빛에 의한 가시성이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7-0001827호보다 떨어진다.
한편, 일반적으로 에기의 몸통에는 지느러미 형태의 깃이 달린다. 깃은 오징어의 조과를 결정 짖는 중요한 부분으로 물속에서 지느러미의 움직임에 따라 오징어가 이를 먹이로 알고 덮칠 수 있다. 깃이 없으면 에기가 자유 침강할 때 한쪽으로만 회전하고 뒤뚱거려 오징어류를 유인하는 효과가 떨어진다.
깃의 소재로는 고가의 멧돼지털과 저가의 새의 깃털이 있다. 그러나 멧돼지털은 에기의 가격을 높여 소수의 고급 에기에만 사용되고, 새의 깃털은 조류독감, 알레르기 등의 위험성이 있다.
그리고 에기의 몸통에는 눈이 달린다. 눈은 에기의 가장 앞 부분에 속하며, 오징어를 크게 자극하는 역할을 한다. 눈의 색깔에 따라 오징어 조과가 크게 달라진다고 할 정도로 중요한 부분이다. 그러나 몸통을 연질의 발포 우레탄과 같은 유연한 재질로 제조하면, 눈이 끼워진 구멍을 중심으로 몸통이 쉽게 파괴되는 문제가 있다.
오징어가 에기를 촉수로 가져갔을 때 공명음이 낚시인의 손까지 전달된다. 오징어 촉수가 에기 몸통을 취했을 때 몸통에서 울리는 공명음은 고리, 낚싯줄, 낚싯대를 통해 낚시인의 손으로 전달되며, 공명음에 의해 오징어가 먹이로 알고 덮친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공명음이 약할 경우 알아채기 어려워 오징어를 놓히기 쉽다.
에기의 몸통 밑에는 무게추가 달린다. 에기의 움직임은 무게추의 크기와 무게에 따라 달라진다. 또한, 무게추는 에기의 중심을 잡아주는 기능도 동시에 한다. 무게추는 몸통의 아래쪽 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핀 등에 의해 몸통에 고정되는데, 하부 홈에 무게추와 함께 삽입되는 외피에 의해 무게추가 쉽게 흔들리는 문제가 있다. 무게추가 흔들리면 에기가 뒤뚱거려 오징어류를 유인하는 효과가 떨어진다.
에기를 캐스팅하면, 에기는 평균 50미터 정도의 비거리로 날아간다. 이때, 에기는 최초 훅이 앞쪽에 위치한 상태로 날아가다가 공기의 저항에 의해 고리가 앞쪽을 위치한 상태로 회전하여 날아가게 된다. 그러나 캐스팅시 에기의 회전은 공기 저항에 의한 캐스팅 비거리 감소를 야기한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7-0001827호 (공개일: 2017.05.25)
본 발명의 목적은, 속지에 반사된 빛에 의한 가시성이 향상되고, 깃을 멧돼지털이나 새의 깃털을 쓰지 않더라도 오징어류를 유인하는 효과가 향상되며, 몸통을 유연한 재질로 제조하더라도 눈이 끼워진 구멍을 중심으로 하는 몸통의 파손이 방지되고, 낚시인이 약한 공명음도 쉽게 알아챌 수 있으며, 무게추의 흔들거림이 방지되고, 캐스팅시 회전이 방지되어 비거리가 향상되도록 이루어지는 반사구조 향상형 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외면에 속지가 부착되고 나서 재킷으로 감싸진 몸통; 및 상기 몸통에 결합되고, 오징어류가 걸리는 훅을 포함하고, 상기 속지의 반사광이 상기 외면과 다른 각도로 반사되도록, 상기 몸통의 좌측 및 우측에는 각각 길이방향으로 긴 형태의 띠형홈이 음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구조 향상형 에기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속지의 반사광이 상기 외면과 다른 각도로 반사되도록, 상기 몸통의 상측 및 하측에는 각각 길이방향으로 긴 형태의 오목홈이 음각 형성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몸통의 좌측 및 우측에는 각각 깃이 결합되고, 상기 깃은, 축광안료와 색상안료, 반짝이펄이 혼합된 실리콘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몸통의 좌측 및 우측에는 각각 깃이 결합되고, 상기 깃은, 상기 몸통에 결합된 결합부; 상기 결합부에서 각각 연장되고, 상기 훅과 반대쪽에서 서로 연결된 상부연장부와 하부연장부; 및 상기 상부연장부와 상기 하부연장부를 연결하여 간격을 유지시키는 가새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몸통에는 관통홀이 형성되어 양쪽 눈이 서로 반대쪽에서 삽입결합되고, 상기 몸통에는 낚싯줄 연결용 고리가 결합되며, 상기 고리는, 상기 낚싯줄이 연결되는 고리부; 상기 고리부에서 연장되고, 상기 몸통 내부에서 상기 관통홀의 위쪽을 지나는 상부보강부; 및 상기 고리부에서 연장되고, 상기 몸통 내부에서 상기 관통홀의 아래쪽을 지나는 하부보강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리는 상기 관통홀의 위쪽과 아래쪽에서 상기 몸통의 강도를 보강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몸통의 좌측 및 우측에는 깃이 각각 결합부재에 의해 결합되고, 상기 몸통의 하부에는 무게추의 상부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상부보강부는 상기 몸통 내부에서 상기 결합부재에 접촉되고, 상기 하부보강부는 상기 몸통 내부에서 상기 무게추의 상부에 접촉되며, 상기 고리는, 오징어 및 해저면의 충격에 의한 공명음을 상기 결합부재 및 상기 무게추로부터 상기 낚싯줄로 전달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삽입홈에는 상기 재킷과 무게추의 상부가 함께 삽입되고, 상기 무게추의 상부에는 상기 몸통의 길이방향으로 긴 키가 형성되며, 상기 몸통의 하부에는, 상기 키가 억지 끼움되는 키홈이 형성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몸통에는 낚싯줄 연결용 고리가 결합되고, 상기 고리와 반대쪽에는 방향키부재가 결합되며, 상기 방향키부재는, 상기 훅에 결합되는 허브; 및 상기 허브로부터 반경방향으로 각각 연장된 복수의 날개를 포함하고, 상기 방향키부재는, 축광안료가 혼합된 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방향키부재는, 상기 허브로부터 반경방향으로 돌출되고, 캐스팅 전에 상기 낚싯줄이 끼워지는 끼움부를 포함하고, 상기 끼움부에는, 상기 낚싯줄이 통과하는 통과홀과, 상기 통과홀을 통과한 낚싯줄이 위치하는 안착홀이 형성되며, 상기 낚싯줄은 챔질시 상기 통과홀을 지나 상기 끼움부에서 빠지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방향키부재는, 상기 허브를 중심으로 상기 날개의 단부를 원주방향으로 연결하는 림을 포함하고, 상기 낚싯줄이 상기 훅에 걸리는 현상이 방지되도록, 상기 림의 반지름은 상기 훅의 반경보다 크게 형성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몸통에는 길이방향으로 긴 형태의 띠형홈 및 음각홈이 음각 형성되어 속지의 반사광이 외면과 다른 각도로 반사됨으로써, 속지에 반사된 빛에 의한 가시성이 향상되도록 이루어지는 반사구조 향상형 에기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깃이 축광안료가 혼합된 실리콘으로 이루어지고, 가새부가 상부연장부와 하부연장부를 연결하여 간격을 유지시킴으로써, 깃을 멧돼지털이나 새의 깃털을 쓰지 않더라도 오징어류를 유인하는 효과가 향상되도록 이루어지는 반사구조 향상형 에기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고리가 관통홀의 위쪽과 아래쪽에서 몸통의 강도를 보강함으로써, 몸통을 유연한 재질로 제조하더라도 눈이 끼워진 구멍을 중심으로 하는 몸통의 파손이 방지되도록 이루어지는 반사구조 향상형 에기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고리가 오징어 및 해저면의 충격에 의한 공명음을 결합부재 및 무게추로부터 낚싯줄로 전달함으로써, 낚시인이 약한 공명음도 쉽게 알아챌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반사구조 향상형 에기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몸통의 하부에 키가 억지 끼움되는 키홈이 형성됨으로써, 무게추의 흔들거림이 방지되도록 이루어지는 반사구조 향상형 에기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캐스팅 전에 낚싯줄이 끼움부에 끼워지고, 낚싯줄은 챔질시 통과홀을 지나 끼움부에서 빠짐으로써, 캐스팅시 회전이 방지되어 비거리가 향상되도록 이루어지는 반사구조 향상형 에기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사구조 향상형 에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반사구조 향상형 에기의 측면도.
도 3은 도 1의 반사구조 향상형 에기의 횡단면도.
도 4는 도 1의 반사구조 향상형 에기의 머리부를 나타내는 부분사시도.
도 5 및 도 6은 도 1의 반사구조 향상형 에기의 꼬리부를 나타내는 부분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사구조 향상형 에기의 꼬리부를 나타내는 부분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반사구조 향상형 에기는, 속지에 반사된 빛에 의한 가시성이 향상되고, 깃을 멧돼지털이나 새의 깃털을 쓰지 않더라도 오징어류를 유인하는 효과가 향상되며, 몸통을 유연한 재질로 제조하더라도 눈이 끼워진 구멍을 중심으로 하는 몸통의 파손이 방지되고, 낚시인이 약한 공명음도 쉽게 알아챌 수 있으며, 무게추의 흔들거림이 방지되고, 캐스팅시 회전이 방지되어 비거리가 향상되도록 이루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사구조 향상형 에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반사구조 향상형 에기의 측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반사구조 향상형 에기의 횡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반사구조 향상형 에기의 머리부를 나타내는 부분사시도이고, 도 5 및 도 6은 도 1의 반사구조 향상형 에기의 꼬리부를 나타내는 부분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사구조 향상형 에기(10)는, 오징어를 잡는 낚시방법인 에깅 낚시에서 낚싯줄(FL)에 연결하여 가짜 미끼로 사용되도록 이루어지며, 몸통(100), 고리(200) 및 훅(3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몸통(100)은 새우나 작은 물고기 형태를 형성하는 구성으로서, 부력을 갖는 재질로 제작된다. 몸통(100)은 발포 플라스틱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는, 몸통(100)은 경질 발포 우레탄(발포율 8~10배)의 사출성형으로 제작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통(100)은 외면에 속지(110)가 부착되고 나서 재킷(120)으로 감싸진다. 속지(110)는 물속에서 반사광을 형성하는 구성으로서, 몸통(100) 외면에 전면적에 걸쳐 부착된다. 속지(110)는 물속에서 금색, 은색, 붉은색, 레인보우, 야광, 오렌지색 등의 반사광을 나타낼 수 있다.
재킷(120)은 에기(10)의 기본색상을 형성하는 구성으로서, 속지(110) 위에서 몸통(100)을 감싼다. 외피는 빛이 통과하는 천 재질로 제작된다. 속지(110)의 반사광은 외피의 천 사이를 통해 외부로 노출된다.
재킷(120)은 오렌지, 핑크, 올리브, 레드, 보라, 금색, 은색, 청색 등을 나타낼 수 있다. 도 1, 도 2 및 도 5에서는 띠형홈(101) 및 오목홈(102)을 나타내기 위해 재킷(120)을 도시하지 않았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통(100)에는 띠형홈(101) 및 오목홈(102)이 형성된다. 띠형홈(101)은 난반사 또는 확산반사 형태의 반사광을 형성하는 부분으로서, 몸통(100)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길이방향으로 긴 형태로 음각 형성된다.
띠형홈(101)은 원형 몸통(100)의 좌측 및 우측에서 띠 형태로 파인 형태를 형성한다. 즉, 띠형홈(101)은 몸통(100)의 측면과 유사한 곡선면 1개, 곡선면의 위쪽과 아래쪽에서 몸통(100)의 측면과 곡선면을 각각 연결하는 평면 2개를 형성한다.
띠형홈(101)에 입사되는 빛은 상술한 3개의 면에서 각각 몸통(100)의 매끄러운 측면과는 다른 방향으로 반사된다. 이로 인해 난반사 또는 확산반사 형태의 반사광을 형성하게 된다. 외부에서 볼 때 곡선면 및 띠형홈(101)은 줄 형태의 반사광을 각각 형성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목홈(102)도 난반사 또는 확산반사 형태의 반사광을 형성하는 부분으로서, 몸통(100)의 상측 및 하측에 각각 길이방향으로 긴 형태로 음각 형성된다.
오목홈(102)에 입사되는 빛은 상술한 3개의 면에서 몸통(100)의 매끄러운 곡면과는 다른 방향으로 반사된다. 이로 인해 난반사 또는 확산반사 형태의 반사광을 형성하게 된다. 오목홈(102)은 작은 폭을 형성한다. 외부에서 볼 때 오목홈(102)의 반사광은 1개의 줄 형태로 관찰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킷(120)은 팽팽히 당겨진 상태에서 몸통(100)을 감싼 형태를 형성한다. 재킷(120)은 띠형홈(101)과 오목홈(102) 내부에 인입되지 않고 몸통(100)의 외면을 덮게 된다. 아래쪽 오목홈(102)에서는 재킷(120)이 내부로 인입되어 오목홈(102) 내면에 부착될 수 있다.
현재 매끄러운 몸통에 속지가 부착된 일반적인 형태의 에기가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일반적인 타입의 에기는 몸통 표면이 매끄러우므로, 속지에 반사된 빛이 몸통 길이방향의 한 줄로밖에 표시되지 못하므로 속지에 반사된 빛에 의한 가시성이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7-0001827호보다 떨어진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사구조 향상형 에기(10)는, 띠형홈(101) 및 오목홈(102)이 몸통(100)의 상하좌우에서 몸통(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띠 또는 줄 형태의 긴 반사광(난반사광 또는 확산반사광 형태)을 형성함으로써,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게 된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사구조 향상형 에기(10)는, 몸통(100)의 위쪽 및 아래쪽 시선 방향으로는 몸통(100) 상부(하부) 1개, 측면 2개(곡선면 1개 및 평면 1개)의 난반사줄을 형성하고, 몸통(100)의 앞쪽 및 뒤쪽 시선 방향으로는 몸통(100) 상부 1개, 몸통(100) 하부 1개, 측면 3개(곡선면 1개 및 평면 2개)의 난반사줄을 형성한다.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통(100)의 좌측 및 우측에는 각각 깃(130)이 결합된다. 깃(130)은 몸통(100)의 직진성을 유지하고 좌우 균형을 형성하는 구성으로서, 축광안료가 혼합된 실리콘으로 이루어져 물속에서 발광한다.
종래 깃의 소재로는 고가의 멧돼지털과 저가의 새의 깃털이 있다. 그러나 멧돼지털은 에기의 가격을 높여 소수의 고급 에기에만 사용되고, 새의 깃털은 조류독감, 알레르기 등의 위험성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사구조 향상형 에기(10)는, 깃(130)이 축광안료가 혼합된 실리콘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게 된다. 깃(130)은 실리콘(경도 30)에 스카이블루 축광안료(30% 중량비)을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깃(130)은 결합부(131), 상부연장부(132), 하부연장부(133) 및 가새부(13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결합부(131)는 몸통(100)에 결합되는 부분으로, 핀 형태의 결합부재(P1)에 의해 몸통(100)에 결합된다. 몸통(100)에는 결합부재(P1)가 삽입결합되는 홈이 형성된다.
상부연장부(132)와 하부연장부(133)는 결합부(131)에서 각각 연장되어 훅(300)과 반대쪽에서 서로 연결된다. 가새부(134)는 상부연장부(132)와 하부연장부(133)를 연결하여 간격을 유지시킨다. 또한, 가새부(134)는 상부연장부(132)와 하부연장부(133)의 꺾임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사구조 향상형 에기(10)는, 깃(130)을 결합부(131), 상부연장부(132), 하부연장부(133) 및 가새부(134)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깃(130)이 물의 항력에 의해 꺾이지 않는 최소한의 강도를 형성하면서도, 중량을 감소시키(152)고 항력을 최소화하여 챔질시 손목의 무리를 방지하게 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통(100)에는 관통홀(103)이 형성되어 양쪽 눈(140)이 서로 반대쪽에서 삽입결합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한 쌍의 눈(140)에는 각각 관통홀(103)에 삽입결합되는 연결부(미도시)가 형성된다. 한 쌍의 연결부는 관통홀(103)에 삽입결합된 상태에서 초음파 융착에 의해 결합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통(100)의 하부에는 무게추(150)의 상부(이하 '삽입부')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된다. 삽입홈에는 재킷(120)과 삽입부(151)가 함께 삽입된다.
무게추(150)의 상부에는 몸통(100)의 길이방향으로 긴 키(152)가 형성되며, 몸통(100)의 하부에는 키(152)가 억지 끼움되는 키홈이 형성된다. 삽입홈 및 키홈에는 도면부호를 표기하지 않았으나 삽입부(151) 및 키(152)가 삽입된 홈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종래 무게추는 몸통의 아래쪽 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핀 등에 의해 몸통에 고정되는데, 하부 홈에 무게추와 함께 삽입되는 외피에 의해 무게추가 쉽게 흔들리는 문제가 있다. 무게추가 흔들리면 에기가 뒤뚱거려 오징어류를 유인하는 효과가 떨어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사구조 향상형 에기(10)는, 무게추(150)의 상부에 몸통(100)의 길이방향으로 긴 키(152)를 형성하고, 몸통(100)의 하부에 키(152)가 억지 끼움되는 키홈을 형성함으로써, 무게추(150)의 흔들림을 차단하여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게 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통(100)의 앞쪽에는 낚싯줄 연결용 고리(200)가 결합된다. 고리(200)는 고리부(210), 상부보강부(220) 및 하부보강부(2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고리부(210)는 낚싯줄(FL)이 연결되는 부분으로, 몸통(100)의 전단에서 고리(200) 형태를 형성한다. 상부보강부(220)와 하부보강부(230)는 각각 고리부(210)에서 연장되어 몸통(100) 내부에 배치된다. 상부보강부(220)와 하부보강부(230)는 몸통(100) 사출시 금형에 인서트되어 몸통(100) 내부에 배치된다.
상부보강부(220)는 몸통(100) 내부에서 관통홀(103)의 위쪽을 지나 결합부재(P1)에 접촉되고, 하부보강부(230)는 몸통(100) 내부에서 관통홀(103)의 아래쪽을 지나 결합부재(P1)에 삽입부(151)에 접촉된다.
종래 몸통은 파손을 억제하기 위해 경질의 플라스틱 재질로 제조된다. 몸통을 연질의 발포 우레탄과 같은 유연한 재질로 제조하면, 눈이 끼워진 구멍을 중심으로 몸통이 쉽게 파괴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사구조 향상형 에기(10)는, 고리(200)가 관통홀(103)의 위쪽과 아래쪽에서 몸통(100)의 강도를 보강함으로써, 눈(140)이 끼워진 구멍을 중심으로 몸통(100)이 쉽게 파괴되는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게 된다.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보강부(220)는 몸통(100) 내부에서 관통홀(103)의 위쪽을 지나 결합부재(P1)에 접촉되고, 하부보강부(230)는 몸통(100) 내부에서 관통홀(103)의 아래쪽을 지나 결합부재(P1)에 삽입부(151)에 접촉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R)에는 상부보강부(220)가 삽입되어 내면에 밀착되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삽입부(151)에는 하부보강부(230)가 삽입되어 내면에 밀착되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오징어가 에기를 촉수로 가져갔을 때 공명음이 낚시인의 손까지 전달된다. 오징어 촉수가 에기 몸통을 취했을 때 몸통에서 울리는 공명음은 고리, 낚싯줄, 낚싯대를 통해 낚시인의 손으로 전달되며, 공명음에 의해 오징어가 먹이로 알고 덮친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공명음이 약할 경우 알아채기 어려워 오징어를 놓히기 쉽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사구조 향상형 에기(10)는, 고리(200)가 오징어 및 해저면의 충격에 의한 공명음을 결합부재(P1) 및 무게추(150)로부터 낚싯줄(FL)로 전달함으로써, 공명음이 플라스틱 재질의 몸통(100)을 거친 후 고리(200)에 전달되는 것이 아니라, 금속 재질의 고리(200)에 직접 전달됨으로써, 공명음이 약할 경우 알아채기 어려워 오징어를 놓히기 쉬운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게 된다.
도 1,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통(100)의 후단에는 오징어류가 걸리는 훅(300)이 결합된다. 훅(300)은 끝이 뾰족한 다수의 철선으로 제작된다. 다수의 철선은 몸통(100)의 후단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방사상으로 벌어져 오징어류가 걸리는 구조를 형성한다. 다수의 철선은 몸통(100) 후단부에 원주방향으로 결합되어 가운데에 홀 형태를 형성한다.
고리(200)와 반대쪽에는 방향키부재(160)가 결합된다. 방향키부재(160)는 캐스팅시는 물론 물속에서 몸통(100)의 흔들림을 억제하는 구성으로서, 축광안료가 혼합된 수지 재질로 이루어져 물속에서 발광한다. 깃(130)은 수지(연질 플라스틱, 실리콘 또는 고무)에 스카이블루 축광안료(20~40% 중량비)을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향키부재(160)는 허브(161), 복수의 날개(162) 및 끼움부(16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허브(161)는 훅(300)의 끝 부분에 결합되는 부분으로, 원통 형태로 형성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허브(161)의 구멍 부분과 훅(300)의 홀에는 핀 등이 삽입결합되어 허브(161)와 훅(300) 간 결합력을 형성할 수 있다.
복수의 날개(162)는 허브(161)로부터 반경방향으로 각각 연장된다. 복수의 날개(162)는 로켓의 날개(162)와 유사한 형태를 형성한다. 복수의 날개(162)는 공기 중과 물속에서 항력과 양력을 형성하여 몸통(100)의 흔들림을 억제하고 직진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끼움부(163)는 캐스팅 전에 낚싯줄(FL)이 끼워지는 부분으로, 허브(161)로부터 반경방향으로 돌출된 형태를 형성한다. 끼움부(163)에는, 낚싯줄(FL)이 통과하는 통과홀(H1)과, 통과홀(H1)을 통과한 낚싯줄(FL)이 위치하는 안착홀(H2)이 형성된다. 즉, 캐스팅 전에 낚싯줄(FL)은 통과홀(H1)을 통과하여 안착홀(H2) 내에 끼워진다.
에기를 캐스팅하면, 에기는 평균 50미터 정도의 비거리로 날아간다. 이때, 에기는 최초 훅이 앞쪽에 위치한 상태로 날아가다가 공기의 저항에 의해 고리가 앞쪽을 위치한 상태로 회전하여 날아가게 된다. 그러나 캐스팅시 에기의 회전은 공기 저항에 의한 캐스팅 비거리 감소를 야기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사구조 향상형 에기(10)는, 방향키부재(160)에 캐스팅 전에 낚싯줄(FL)이 끼워지는 끼움부(163)를 형성함으로써,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게 된다.
즉, 끼움부(163)에 낚싯줄(FL)이 끼워진 상태에서 캐스팅하게 되면, 몸통(100)이 끼움부(163)에 끼워진 낚싯줄(FL)에 의해 회전하지 않아 고리(200)가 앞쪽에 위치한 상태에서 날아감으로써, 캐스팅시 공기 저항에 의한 캐스팅 비거리 감소를 방지하게 된다.
낚싯줄(FL)은 챔질시 끼움부(163)에서 빠지게 된다. 캐스팅된 에기(10)는 물속에서 중력에 의해 침강하게 된다. 이때, 챔질을 하게 되면, 고리(200)가 있는 머리 부분은 낚싯줄(FL)에 의해 상승하는 한편, 훅(300)이 있는 꼬리 부분에는 회전하지 않으려는 항력이 작용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안착홀(H2) 내에 있던 낚싯줄(FL)은 통과홀(H1)을 통과하여 끼움부(163)에서 이탈하게 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낚싯줄(FL)은 탄성부재(E)에 의해 안착홀(H2) 내에 끼워질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사구조 향상형 에기의 꼬리부를 나타내는 부분사시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향키부재(160)는 허브(161), 복수의 날개(162) 및 림(164)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허브(161)는 훅(300)의 끝 부분에 결합되는 부분으로, 원통 형태로 형성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허브(161)의 구멍 부분과 훅(300)의 홀에는 핀 등이 삽입결합되어 허브(161)와 훅(300) 간 결합력을 형성할 수 있다.
복수의 날개(162)는 허브(161)로부터 반경방향으로 각각 연장된다. 복수의 날개(162)는 로켓의 날개(162)와 유사한 형태를 형성한다. 복수의 날개(162)는 공기 중과 물속에서 항력과 양력을 형성하여 몸통(100)의 흔들림을 억제하고 직진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림(164)은 낚싯줄(FL)이 훅(300)에 걸리는 현상을 방지하는 구성으로서, 허브(161)를 중심으로 날개(162)의 끝단을 원주방향으로 연결하는 형태를 형성한다. 림(164)의 반지름은 훅(300)의 반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따라서 낚싯줄(FL)은 에기의 침강시 림(164)의 간섭에 의해 훅(300)의 바깥쪽에 위치하게 된다. 도 7에 도시된 방향키부재(160)는 에기(10)가 20~50미터의 깊이까지 비교적 오랜 시간 동안 침강하는 버티컬 낚시에서 낚싯줄(FL)이 훅(300)에 걸리는 현상을 방지하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몸통에는 길이방향으로 긴 형태의 띠형홈 및 오목홈이 음각 형성되어 속지의 반사광이 외면과 다른 각도로 반사됨으로써, 속지에 반사된 빛에 의한 가시성이 향상되도록 이루어지는 반사구조 향상형 에기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깃이 축광안료가 혼합된 실리콘으로 이루어지고, 가새부가 상부연장부와 하부연장부를 연결하여 간격을 유지시킴으로써, 깃을 멧돼지털이나 새의 깃털을 쓰지 않더라도 오징어류를 유인하는 효과가 향상되도록 이루어지는 반사구조 향상형 에기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고리가 관통홀의 위쪽과 아래쪽에서 몸통의 강도를 보강함으로써, 몸통을 유연한 재질로 제조하더라도 눈이 끼워진 구멍을 중심으로 하는 몸통의 파손이 방지되도록 이루어지는 반사구조 향상형 에기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고리가 오징어 및 해저면의 충격에 의한 공명음을 결합부재 및 무게추로부터 낚싯줄로 전달함으로써, 낚시인이 약한 공명음도 쉽게 알아챌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반사구조 향상형 에기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몸통의 하부에 키가 억지 끼움되는 키홈이 형성됨으로써, 무게추의 흔들거림이 방지되도록 이루어지는 반사구조 향상형 에기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캐스팅 전에 낚싯줄이 끼움부에 끼워지고, 낚싯줄은 챔질시 통과홀을 지나 끼움부에서 빠짐으로써, 캐스팅시 회전이 방지되어 비거리가 향상되도록 이루어지는 반사구조 향상형 에기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 : 에기
100 : 몸통 140 : 눈
110 : 속지 150 : 무게추
120 : 재킷 151 : 삽입부
101 : 띠형홈 152 : 키
102 : 오목홈 160 : 방향키부재
130 : 깃 161 : 허브
131 : 결합부 162 : 날개
132 : 상부연장부 163 : 끼움부
133 : 하부연장부 164 : 림
134 : 가새부 H1 : 통과홀
P1 : 결합부재 H2 : 안착홀
R : 연결부 E : 탄성부재
103 : 관통홀 FL : 낚싯줄
200 : 고리 300 : 훅
210 : 고리부
220 : 상부보강부
230 : 하부보강부

Claims (10)

  1. 외면에 속지가 부착되고 나서 재킷으로 감싸진 몸통; 및
    상기 몸통에 결합되고, 오징어류가 걸리는 훅을 포함하고,
    상기 속지의 반사광이 상기 외면과 다른 각도로 반사되도록, 상기 몸통의 좌측 및 우측에는 각각 길이방향으로 긴 형태의 띠형홈이 음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구조 향상형 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속지의 반사광이 상기 외면과 다른 각도로 반사되도록, 상기 몸통의 상측 및 하측에는 각각 길이방향으로 긴 형태의 오목홈이 음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구조 향상형 에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통의 좌측 및 우측에는 각각 깃이 결합되고,
    상기 깃은, 축광안료가 혼합된 실리콘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구조 향상형 에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통의 좌측 및 우측에는 각각 깃이 결합되고,
    상기 깃은,
    상기 몸통에 결합된 결합부;
    상기 결합부에서 각각 연장되고, 상기 훅과 반대쪽에서 서로 연결된 상부연장부와 하부연장부; 및
    상기 상부연장부와 상기 하부연장부를 연결하여 간격을 유지시키는 가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구조 향상형 에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통에는 관통홀이 형성되어 양쪽 눈이 서로 반대쪽에서 삽입결합되고,
    상기 몸통에는 낚싯줄 연결용 고리가 결합되며,
    상기 고리는,
    상기 낚싯줄이 연결되는 고리부;
    상기 고리부에서 연장되고, 상기 몸통 내부에서 상기 관통홀의 위쪽을 지나는 상부보강부; 및
    상기 고리부에서 연장되고, 상기 몸통 내부에서 상기 관통홀의 아래쪽을 지나는 하부보강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리는 상기 관통홀의 위쪽과 아래쪽에서 상기 몸통의 강도를 보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구조 향상형 에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몸통의 좌측 및 우측에는 깃이 각각 결합부재에 의해 결합되고,
    상기 몸통의 하부에는 무게추의 상부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상부보강부는 상기 몸통 내부에서 상기 결합부재에 접촉되고,
    상기 하부보강부는 상기 몸통 내부에서 상기 무게추의 상부에 접촉되며,
    상기 고리는, 오징어 및 해저면의 충격에 의한 공명음을 상기 결합부재 및 상기 무게추로부터 상기 낚싯줄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구조 향상형 에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홈에는 상기 재킷과 무게추의 상부가 함께 삽입되고,
    상기 무게추의 상부에는 상기 몸통의 길이방향으로 긴 키가 형성되며,
    상기 몸통의 하부에는, 상기 키가 억지 끼움되는 키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구조 향상형 에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통에는 낚싯줄 연결용 고리가 결합되고,
    상기 고리와 반대쪽에는 방향키부재가 결합되며,
    상기 방향키부재는,
    상기 훅에 결합되는 허브; 및
    상기 허브로부터 반경방향으로 각각 연장된 복수의 날개를 포함하고,
    상기 방향키부재는, 축광안료가 혼합된 수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구조 향상형 에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키부재는,
    상기 허브로부터 반경방향으로 돌출되고, 캐스팅 전에 상기 낚싯줄이 끼워지는 끼움부를 포함하고,
    상기 끼움부에는, 상기 낚싯줄이 통과하는 통과홀과, 상기 통과홀을 통과한 낚싯줄이 위치하는 안착홀이 형성되며,
    상기 낚싯줄은 챔질시 상기 통과홀을 지나 상기 끼움부에서 빠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구조 향상형 에기.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키부재는,
    상기 허브를 중심으로 상기 날개의 단부를 원주방향으로 연결하는 림을 포함하고,
    상기 낚싯줄이 상기 훅에 걸리는 현상이 방지되도록, 상기 림의 반지름은 상기 훅의 반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구조 향상형 에기.
KR1020190023510A 2019-02-27 2019-02-27 반사구조 향상형 에기 KR1022067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3510A KR102206738B1 (ko) 2019-02-27 2019-02-27 반사구조 향상형 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3510A KR102206738B1 (ko) 2019-02-27 2019-02-27 반사구조 향상형 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4756A true KR20200104756A (ko) 2020-09-04
KR102206738B1 KR102206738B1 (ko) 2021-01-25

Family

ID=724711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3510A KR102206738B1 (ko) 2019-02-27 2019-02-27 반사구조 향상형 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673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04028A (ko) 2022-07-04 2024-01-11 이성영 낚시용 에기
KR20240004029A (ko) 2022-07-04 2024-01-11 이성영 낚시용 에기의 제조방법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41488Y1 (ko) * 1996-02-26 1999-03-20 데루히로 스스미 물고기 형상 인조 미끼
JP2002204635A (ja) * 2001-01-11 2002-07-23 Daiwa Seiko Inc 魚釣用ルアー
JP2005192471A (ja) * 2004-01-07 2005-07-21 Lucky Craft:Kk 輝度性ルアー
JP2016049031A (ja) * 2014-08-29 2016-04-11 卓二 中村 ルアー
KR20170001827A (ko) 2015-06-25 2017-01-0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180002179U (ko) * 2017-01-06 2018-07-16 이천용 루어낚시용 인조미끼
JP2019092468A (ja) * 2017-11-27 2019-06-20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魚釣用疑似餌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41488Y1 (ko) * 1996-02-26 1999-03-20 데루히로 스스미 물고기 형상 인조 미끼
JP2002204635A (ja) * 2001-01-11 2002-07-23 Daiwa Seiko Inc 魚釣用ルアー
JP2005192471A (ja) * 2004-01-07 2005-07-21 Lucky Craft:Kk 輝度性ルアー
JP2016049031A (ja) * 2014-08-29 2016-04-11 卓二 中村 ルアー
KR20170001827A (ko) 2015-06-25 2017-01-0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180002179U (ko) * 2017-01-06 2018-07-16 이천용 루어낚시용 인조미끼
JP2019092468A (ja) * 2017-11-27 2019-06-20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魚釣用疑似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6738B1 (ko) 2021-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04237B2 (en) Rubber or soft plastic fishing spoon lure
US5678350A (en) Fish lure
US2575248A (en) Fish lure
US9253966B2 (en) Fishing lure
US4074455A (en) Fishing lure
US8978289B2 (en) Chain skirt fishing lures and associated manufacturing methods
US8898951B2 (en) Double fishing lure
US5918406A (en) Wiggling fishing lure
US4912871A (en) Crab lure
US20090211144A1 (en) Jig lure assembly
KR100760354B1 (ko) 청각 유인 수단이 구비된 밑 걸림 방지 루어
KR101144267B1 (ko) 평행한 이중의 바늘허리가 구비되는 루어낚시용 지그헤드
KR102206738B1 (ko) 반사구조 향상형 에기
US20140259869A1 (en) Fishing jig attachment systen
US6910295B2 (en) Free-bending lure
KR200484089Y1 (ko) 루어 낚시용 인조 미끼
US8196336B2 (en) Fishing lure and accessory
KR20180002179U (ko) 루어낚시용 인조미끼
US20210000094A1 (en) Fishing Lure with Spinning Device
US20130239458A1 (en) Counter Rotating Fishing Lure
US20120066955A1 (en) Fishing Lure Having Fully Rotatable Shank
KR20100000457U (ko) 낚시용 인조미끼.
US20030233782A1 (en) Spinner bait fishing lure
US7111426B2 (en) Device for winding and unwinding the lower part of fishing line
US20170325435A1 (en) Rattling fishing ji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