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4007A - 거치형 센서모듈 모니터링 시스템 - Google Patents

거치형 센서모듈 모니터링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4007A
KR20200104007A KR1020190022319A KR20190022319A KR20200104007A KR 20200104007 A KR20200104007 A KR 20200104007A KR 1020190022319 A KR1020190022319 A KR 1020190022319A KR 20190022319 A KR20190022319 A KR 20190022319A KR 20200104007 A KR20200104007 A KR 202001040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module
sensor
module
unique identifica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23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04053B1 (ko
Inventor
한기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드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드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드주
Priority to KR10201900223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4053B1/ko
Publication of KR202001040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40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40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40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38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 G06F13/40Bus structure
    • G06F13/4063Device-to-bus coupling
    • G06F13/4068Electrical coup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38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 G06F13/382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using universal interface adapter
    • G06F13/385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using universal interface adapter for adaptation of a particular data processing system to different peripheral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gital computers each having at least an arithmetic unit, a program unit and a register, e.g. for a simultaneous processing of several progra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2213/0042Universal serial bus [US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Arrangements For Transmission Of Measured Sig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여러 센서모듈이 탈부착되게 거치되는 본체부에서, 거치되는 센서모듈에 따라 자동으로 연결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거치형 센서모듈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센서별 고유식별정보를 갖는 USB디바이스부를 포함하는 센서 모듈, 및 상기 센서 모듈이 접속되는 USB 호스트(Universal Serial Bus Host)가 마련된 거치 장치 본체 간의 모니터링 시스템으로서, 검출 센서를 구비하며, 접속 시 하기 거치 본체 장치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센서 모듈; 상기 센서 모듈이 탈착가능하게 거치되며, 상기 센서 모듈에서 검출된 정보를 표시 또는 알림하는 거치 본체 장치; 상기 센서 모듈과 상기 거치 본체 장치 간을 인터페이스 시키며, 공통 고유식별정보를 갖는 USB 인터페이스 모듈; 및 상기 센서 모듈의 센서 리스트 정보 및 실행을 위한 실행 정보를 포함하는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거치 본체 장치는 상기 센서 모듈의 실행을 위한 명령어가 저장되어 있고, 연결되는 상기 센서모듈의 센서별 고유식별번호와 상기 USB 인터페이스 모듈의 공통 고유식별정보에 기반하여 그 센서 모듈에 상응하는 컨트롤 명령을 실행하며 상응하는 컨트롤 명령이 없는 경우 상기 서버로부터 해당 센서 모듈의 컨트롤 명령어를 자동 전송받아 컨트롤 명령을 실행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형 센서모듈 모니터링 시스템이 제공된다.

Description

거치형 센서모듈 모니터링 시스템{MONITORING SYSTEM COMPRISING ATTACHABLE SESNOR MODULE}
본 발명은 거치형 센서모듈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양한 형태와 종류의 센서모듈이 탈부착되게 거치되는 본체 장치에서, 거치되는 센서모듈에 따라 자동으로 연결 관리할 수 있도록 하여 누구나 쉽게 사용할 수 있어 사용성과 범용성을 증대시킬 수 있고, 나아가 연동 애플리케이션이 마련된 스마트폰에도 겸용으로 적용할 수 있어 이동 활용성도 확보할 수 있는 거치형 센서모듈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센서 무선 모니터링 장치들은 특정한 센서를 선택하고 그 센서에 대해서만 센싱하고 디스플레이하거나 무선으로 전송한다.
따라서 더 성능이 좋은 새로운 센서로 교체하거나, 다른 종류의 센서로 교체하려면 무선 센서 모니터링 장치 자체를 교체하거나, 교체하려는 사용자가 센서를 임의로 교체하고 무선 프로토콜에 새로운 센서에 대한 정보를 추가해야 하는 불편함이 발생할 수 밖에 없다.
이에 따라 장착된 센서를 자동으로 인식하여 처리할 수 있으며 고정형과 이동형에 모두 채택될 수 있는 센서 자동 인식형 무선 모니터링 장치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센서모듈과 이 센서모듈이 연결되는 단말장치(거치형 본체부) 간은 일 예로 유에스비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될 수 있으며, 이러한 되는 유에스비 인터페이스를 통해 신호를 송수신하고, 해당 신호는 입력부에서 입력되는 사용자의 조작신호에 따라 연산처리함과 동시에 화면 상에 출력하게 된다.
따라서 단말장치의 제어부는 연결되는 다수개의 구성과 신호를 인터페이스하도록 각 구성의 유에스비를 구분하기 위하여 각 유에스비 디바이스(Device#01~03)마다 서로 다른 벤더 아이디(VID/PID#01~03)를 설정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벤더아이디(VID/PID), 구체적으로는 VID/PID(Vendor ID/Product ID)로서 제품의 응용은 다르지만 동일한 칩셋(Chip Set)을 사용하는 경우 충돌나는 경우를 방지하기 위하여 제조업체에서 벤더아이디(VID/PID)를 해당 디바이스(Device#01~03)에 설치하는 일종의 제품을 구분해주는 아이디이다.
따라서 이러한 유에스비 인터페이스방법은 각 유에스비 디바이스(Device#01~03)마다 서로 다른 벤더아이디(VID/PID)를 설정해주고, 각 디바이스(Device#01~03)별로 드라이버(.sys파일#01~03)이나 설치파일(.inf#01~03)을 다르게 구성하여 설치하는 방식이다.
이와 같이 센서 모듈을 단말장치의 USB 포트에 연결되게 되면어, 단말장치에 설치된 드라이버가 접속된 센서 모듈을 인식하게 되고, 이후 단말장치에서 센서모듈의 이용을 위한 별도의 응용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함으로써, 연결된 센서 모듈을 이용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센서모듈별로 전용 아이디가 부여되어 있고, 이에 따라 해당 센서모듈만이 적용되는 인터페이스 구조로 되어 있어 제품 디바이스의 확장성에 한계가 있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3-0089713(2013.08.13. 공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5-0060299(2015.06.03. 공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1-0047341(2011.05.09. 공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1-0047341(2011.05.09. 공개)
따라서,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와 종류의 센서모듈이 탈부착되게 거치되는 본체부에서, 거치되는 센서모듈에 따라 자동으로 연결 관리할 수 있도록 하여 누구나 쉽게 사용할 수 있어 사용성과 범용성을 증대시킬 수 있고, 나아가 연동 애플리케이션이 마련된 스마트폰에도 겸용으로 적용할 수 있어 이동 활용성도 확보할 수 있는 거치형 센서모듈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센서 모듈에 그 센서 모듈 고유의 통신스택만을 갖도록 구성시킴으로써 센서 모듈의 전기회로적 및 소프트웨어적 구성을 상대적으로 단순하게 구성할 수 있는 거치형 센서모듈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들 및 다른 특징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센서별 고유식별정보를 갖는 USB디바이스부를 포함하는 센서 모듈, 및 상기 센서 모듈이 접속되는 USB 호스트(Universal Serial Bus Host)가 마련된 거치 장치 본체 간의 모니터링 시스템으로서, 검출 센서를 구비하며, 접속 시 하기 거치 본체 장치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센서 모듈; 상기 센서 모듈이 탈착가능하게 거치되며, 상기 센서 모듈에서 검출된 정보를 표시 또는 알림하는 거치 본체 장치; 상기 센서 모듈과 상기 거치 본체 장치 간을 인터페이스 시키며, 공통 고유식별정보를 갖는 USB 인터페이스 모듈; 및 상기 센서 모듈의 센서 리스트 정보 및 실행을 위한 실행 정보를 포함하는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거치 본체 장치는 상기 센서 모듈의 실행을 위한 명령어가 저장되어 있고, 연결되는 상기 센서모듈의 센서별 고유식별번호와 상기 USB 인터페이스 모듈의 공통 고유식별정보에 기반하여 그 센서 모듈에 상응하는 컨트롤 명령을 실행하며 상응하는 컨트롤 명령이 없는 경우 상기 서버로부터 해당 센서 모듈의 컨트롤 명령어를 자동 전송받아 컨트롤 명령을 실행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형 센서모듈 모니터링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센서 모듈의 센서별 고유식별정보와 상기 USB 인터페이스 모듈의 공통 고유식별정보 각각은 상기 거치 장치 본체의 USB 호스트에 의해 인식되는 정보로 이루어지고, 상기 센서별 고유식별정보는 소정 기능을 실행하는 상기 센서 모듈 각각에 부여되여 상기 거치 장치 본체를 구성하는 컨트롤부에서 인식 확인될 수 있는 정보이며, 상기 공통 고유식별번호는 상기 센서별 고유식별정보에 대하여 연계되는 공통의 단일 정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USB 디바이스 모듈의 센서별 고유식별정보는 USB PID의 통신스택으로 확인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USB 인터페이스 모듈의 공통 고유식별정보는 USB VID의 통신스택으로 확인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USB 인터페이스 모듈은 상기 센서 모듈 또는 상기 거치 장치 본체에 일체로 구성되거나, 상기 센서 모듈과 거치 장치 본체와 별개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센서 모듈에 상응하는 연동 애플리케이션 및 USB 호스트(Universal Serial Bus Host)가 마련되어 상기 USB 인터페이스 모듈을 매개로 상기 센서 모듈이 접속되는 휴대용 단말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연결되는 상기 센서모듈의 센서별 고유식별정보와 상기 USB 인터페이스 모듈의 공통 고유식별정보에 기반하여 그 센서 모듈에 상응하는 컨트롤 명령을 실행하며 상응하는 컨트롤 명령이 없는 경우 상기 서버로부터 해당 센서 모듈의 컨트롤 명령어를 자동 전송받아 컨트롤 명령을 실행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거치형 센서모듈 모니터링 시스템에 의하면, 등록된 센서 모듈이 아닌 새로운 센서 모듈의 경우에도, 새로운 센서 모듈의 거치와 동시에 이를 실행하기 위한 실행 정보(실행 소프트웨어)를 자동 전송받아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누구나 쉽게 이용할 수 있어 사용성과 범용성 및 제품 경쟁력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본체부에 공통의 단일 인터페이스 모듈을 구비하여 다양한 센서 모듈의 동작이 구현되도록 할 수 있어 센서모듈의 확장성을 확보하며, 용도별 센서 모듈의 회로적 및 소프웨어적 구성을 상대적으로 단순하게 구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거치형 센서모듈 모니터링 시스템의 구성을 불록화하여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거치형 센서모듈 모니터링 시스템의 센서 모듈과 거치 본체 장치의 내부 구성을 블록화하여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거치형 센서모듈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성하는 센서 모듈과 거치 본체 장치 간의 접속 구성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거치형 센서모듈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성하는 센서 모듈과 거치 본체 장치 간의 유에스비 인식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들, 특징들 및 장점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도면으로부터 보다 명료하게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도모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아래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예시들은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거치형 센서모듈 모니터링 시스템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거치형 센서모듈 모니터링 시스템의 구성을 불록화하여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거치형 센서모듈 모니터링 시스템의 센서 모듈과 거치 본체 장치의 내부 구성을 블록화하여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거치형 센서모듈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성하는 센서 모듈과 거치 본체 장치 간의 접속 구성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거치형 센서모듈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성하는 센서 모듈과 거치 본체 장치 간의 유에스비 인식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거치형 센서모듈 모니터링 시스템은,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크게 소정 정보를 얻기 위해 검출하는 센서를 구비하며, 거치되는 하기 거치 본체 장치(20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센서 모듈(100); 상기 센서 모듈(100)이 탈착가능하게 거치되며, 상기 센서 모듈(100)에서 검출된 정보를 표시 또는 알림하는 거치 본체 장치(200); 및 상기 센서 모듈(100)의 리스트 정보 및 실행을 위한 실행 정보를 포함하는 서버(300);를 포함하며, 상기 거치 본체 장치(200)는 센서 모듈(100)별 실행을 위한 명령어를 저장하고 있고, 연결되는 센서모듈(200)에 포함되는 센서별 고유식별정보에 기반하여 그 센서 모듈(100)에 상응하는 컨트롤 명령을 실행하며 상응하는 컨트롤 명령이 없는 경우 상기 서버(300)로부터 해당 센서 모듈(100)의 컨트롤 명령어를 자동 전송받아 컨트롤 명령을 실행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센서 모듈(100)은 다양한 형태와 종류의 센서(110)를 포함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센서 모듈(100)은 온도 센서나 환경 센서(예를 들면, 미세먼지 센서)가 각각 단일 센서부로 구성되거나 둘 이상의 센서부가 함께 구성되는 모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 모듈(100)은 그 센서 모듈(100) 자체, 상기 거치 장치 본체(200) 자체 또는 별개로 구성되는 모듈에 포함되는 공통 고유식별정보와 연계되는 센서별 고유식별정보를 갖는 USB 디바이스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거치 본체 장치(200)는 공통 고유식별정보를 가지며, 상기 센서 모듈(100)의 센서별 고유식별정보를 읽어들이는 USB 인터페이스부(210)와, 상기 USB 인터페이스부(210)부에서 읽어들인 센서별 고유식별정보와 상기 USB 인터페이스부(210)의 공통 고유식별정보를 읽어들여 인식하여 인식된 공통 고유식별정보와 센서별 고유식별정보에 근거하여 해당 센서 모듈(100)의 제어를 위한 동작을 실행하도록 이루어지는 컨트롤부(220)와, 상기 컨트롤부(220)에서 실행되는 동작이나 시간 등을 표시하도록 이루어지는 디스플레이부(230), 및 상기 서버(300)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모듈부(240)를 포함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USB 인터페이스부(210)는 거치 본체 장치(200)가 아닌 별개의 USB 인터페이스 모듈로 구성되거나, 또는 센서 모듈(100)과 별개 또는 하나의 유닛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거치 본체 장치(200)는 usb cdc class(usb communications device class)를 사용하는 usb host를 갖는 장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USB 인터페이스부(210)는 센서 모듈(100)의 USB 디바이스부(120)와 i2c, spi, uart와 같은 통신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USB 디바이스부(120)와 USB 인터페이스부(210)는 i2c, spi, uart 이외에도 다른 시리얼 통신 방식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상기 USB 인터페이스부(210)에 구비되는 공통 고유식별정보는 예를 들면 usb cdc class(usb communications device class)와 연동되는 USB VID(Vender ID)의 공통 통신스택으로 인식 확인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USB 디바이스부(120)에 구비되는 센서별 고유식별정보는 USB PID(Product ID)의 개별 통신스택으로 인식 확인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USB 디바이스부(120)에 구비되는 개별 통신스택인 USB PID는 상기 USB 디바이스부(120) 각각의 소정 동작을 실행하는 디바이스를 갖고 이루어지는데, 이때 상기 USB 디바이스부(120)에는 해당 디바이스에 대한 센서별 고유식별정보로서 부여된 고유의 USB PID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USB 인터페이스부(210)는 상기 거치 장치 본체(200)와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별개의 모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 경우 거치 장치 본체(200)와 센서 모듈(100)에 USB 접속가능한 접속구를 구비하게 된다.
또한, 상기 USB 인터페이스부(210)는 거치 장치 본체(200)가 아닌, 상기 센서 모듈(100)에 일체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자세히 설명한다.
이러한 USB 인터페이스부(210)는 상기 센서 모듈(100)이 거치 장치 본체(200)에 장착되게 되면, 센서 모듈(100)은 거치 장치 본체(200)에 접속과 동시에 그 거치 장치 본체(200)로부터 동작 전원을 제공받으며, 상기 USB 인터페이스부(210)는 상기 USB 디바이스부(120)의 센서별 고유식별정보(예를 들면, 개별 통신스택)을 읽어오고, 읽어들인 센서별 고유식별정보와 상기 USB 인터페이스부(210)의 공통 고유식별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거치 장치 본체(200)의 컨트롤부(220)에서는 해당 센서 모듈(100)의 동작이 실행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거치 본체 장치(200)는 컨트롤부(220)를 통해 음성 알림할 수 있는 스피커 등 다양한 기능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USB 인터페이스부(210)를 통하여 어떠한 센서 모듈(100)이 연결되더라도 거치 본체 장치(200)에서는 그에 해당하는 동작을 실행할 수 있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센서 모듈(100)에 대한 확장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계속해서, 상기 거치 본체 장치(200)의 컨트롤부(220)에는 센서 모듈(100)에 대한 명령어 리스트가 저정되어 있으며, 연결되는 센서모듈(100)과 USB 인터페이스부(210)의 센서별 고유식별정보와 공통 고유식별정보(예를 들면, VID, PID)에 기반하여 센서모듈(100)에 맞는 컨트롤 명령어로 해당 센세모듈(100)을 관리하게 된다.
상기 컨트롤부(220)는 상기 센서모듈(100)이 연결된 후 센세 명령어 리스트에 연결된 센서모듈(100)의 명령어 리스트가 없는 경우, 연결된 센서모듈(100)의 명령어 리스트를 통신모듈부(240)를 통해 서버(300)에서 다운받아 센서 명령어 리스트에 저장하게 된다.
상기 센서 명령어에는 연결된 센서모듈 종류, 센서모듈 초기화, 센서모듈 동작 명령어 등의 센세모듈의 관리를 위한 정보, 및 거치 본체 장치(200)에서 연결된 센서값의 디스플레이 방법, 사용자 알람 방법 등의 모니터링 방법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상기 USB 인터페이스부(210)는 거치 본체 장치(200)와 별개의 모듈로 구성되어 수요처의 니즈 또는 적용 센서 모듈에 따라 해당 센서 모듈(100)이 교체가능한 형태 또는 일체형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USB 인터페이스부(210)가 마련된 접속체의 일측에 개방구 또는 개폐가능한 커버 부재가 구성되고, 상기 개방구 또는 커버 부내 내측에는 상기 센서 모듈(100)이 접속될 수 있는 접속용 접속포트가 구성되며, 상기 접속체에는 상기 접속용 접속포트에 접속되는 접속구가 구성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USB 인테페이스부(210)가 별개의 접속체로 구성되는 경우, 상기 접속체는 요철 결합 형태로 접속될 수 있으며, 특히 연동 애플리케이션이 마련된 안드로이드기반 이동통신 단말장치(스마트폰)(400)에 결합될 때에는 그 연결부의 앞부분과 뒷부분을 감싸면서 요철 결합되는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앞서 설명하였지만, 센서 모듈(100)이 갖는 센서별 고유식별정보는 PID와 같은 통신스택을 통해 인식 확인되도록 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거치 장치 본체(100)의 컨트롤러부(220)에서 어떠한 센서 모듈(100)이 접속되었는지 인식 확인할 수 있게 부여된 개별 고유정보를 의미하며, 상기 USB 인터페이스 모듈(210)이 갖는 공통 고유식별정보는 VID와 같은 통신스택을 통해 인식 확인되도록 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거치 본체 장치(100)에 접속되는 센서 모듈(100) 각각에 대하여 공통으로 인식 확인할 수 있게 부여된 고유정보를 의미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거치형 센서모듈 모니터링 시스템에 의하면, 등록된 센서 모듈이 아닌 새로운 센서 모듈의 경우에도, 새로운 센서 모듈의 거치와 동시에 이를 실행하기 위한 실행 정보(실행 소프트웨어)를 자동 전송받아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누구나 쉽게 이용할 수 있어 사용성과 범용성 및 제품 경쟁력을 증대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본체부에 공통의 단일 인터페이스 모듈을 구비하여 다양한 센서 모듈의 동작이 구현되도록 할 수 있어 센서모듈의 확장성을 확보하며, 용도별 센서 모듈의 회로적 및 소프웨어적 구성을 상대적으로 단순하게 구성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실시 예들은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를 기초로 다양한 기술적 수정 및 변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 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센서 모듈
110: 센서
120: USB 디바이스부
200: 거치 장치 본체
210: USB인터페이스부
220: 컨트롤부
230: 디스플레이부
240: 통신모듈부
300: 서버
400: 이동통신 단말장치(스마트폰)

Claims (5)

  1. 센서별 고유식별정보를 갖는 USB디바이스부를 포함하는 센서 모듈, 및 상기 센서 모듈이 접속되는 USB 호스트(Universal Serial Bus Host)가 마련된 거치 장치 본체 간의 모니터링 시스템으로서,
    검출 센서를 구비하며, 접속 시 하기 거치 본체 장치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센서 모듈;
    상기 센서 모듈이 탈착가능하게 거치되며, 상기 센서 모듈에서 검출된 정보를 표시 또는 알림하는 거치 본체 장치;
    상기 센서 모듈과 상기 거치 본체 장치 간을 인터페이스 시키며, 공통 고유식별정보를 갖는 USB 인터페이스 모듈; 및
    상기 센서 모듈의 센서 리스트 정보 및 실행을 위한 실행 정보를 포함하는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거치 본체 장치는 상기 센서 모듈의 실행을 위한 명령어가 저장되어 있고, 연결되는 상기 센서모듈의 센서별 고유식별번호와 상기 USB 인터페이스 모듈의 공통 고유식별정보에 기반하여 그 센서 모듈에 상응하는 컨트롤 명령을 실행하며 상응하는 컨트롤 명령이 없는 경우 상기 서버로부터 해당 센서 모듈의 컨트롤 명령어를 자동 전송받아 컨트롤 명령을 실행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형 센서모듈 모니터링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모듈의 센서별 고유식별정보와 상기 USB 인터페이스 모듈의 공통 고유식별정보 각각은 상기 거치 장치 본체를 구성하는 컨트롤부에서 인식되는 정보로 이루어지되,
    상기 센서별 고유식별정보는 소정 기능을 실행하는 상기 센서 모듈 각각에 부여되어 상기 거치 장치 본체를 구성하는 컨트롤부에서 인식 확인될 수 있는 정보이며,
    상기 공통 고유식별번호는 상기 센서별 고유식별정보에 대하여 연계되는 공통의 단일 정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형 센서모듈 모니터링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USB 디바이스 모듈의 센서별 고유식별정보는 USB PID의 통신스택으로 확인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USB 인터페이스 모듈의 공통 고유식별정보는 USB VID의 통신스택으로 확인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형 센서모듈 모니터링 시스템.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USB 인터페이스 모듈은 상기 센서 모듈 또는 상기 거치 장치 본체에 일체로 구성되거나, 상기 센서 모듈과 거치 장치 본체와 별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형 센서모듈 모니터링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모듈에 상응하는 연동 애플리케이션 및 USB 호스트(Universal Serial Bus Host)가 마련되어 상기 USB 인터페이스 모듈을 매개로 상기 센서 모듈이 접속되는 휴대용 단말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연결되는 상기 센서모듈의 센서별 고유식별정보와 상기 USB 인터페이스 모듈의 공통 고유식별정보에 기반하여 그 센서 모듈에 상응하는 컨트롤 명령을 실행하며 상응하는 컨트롤 명령이 없는 경우 상기 서버로부터 해당 센서 모듈의 컨트롤 명령어를 자동 전송받아 컨트롤 명령을 실행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형 센서모듈 모니터링 시스템.
KR1020190022319A 2019-02-26 2019-02-26 거치형 센서모듈 모니터링 시스템 KR1022040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2319A KR102204053B1 (ko) 2019-02-26 2019-02-26 거치형 센서모듈 모니터링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2319A KR102204053B1 (ko) 2019-02-26 2019-02-26 거치형 센서모듈 모니터링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4007A true KR20200104007A (ko) 2020-09-03
KR102204053B1 KR102204053B1 (ko) 2021-01-18

Family

ID=724501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2319A KR102204053B1 (ko) 2019-02-26 2019-02-26 거치형 센서모듈 모니터링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4053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17092A (ja) * 2006-11-02 2008-05-22 Sony Corp 通信方法およびインターフェース装置並びに電子機器
KR20110047341A (ko) 2009-10-30 2011-05-09 주식회사 지인모바일 모바일 디바이스의 컴퓨터 접속 방법
KR20130084002A (ko) * 2012-01-16 2013-07-24 허홍 터치위치와 방향에 따라 제공하는 메뉴를 달리하도록 터치스크린이 구비된 텔레비전 리모콘 및 이를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KR20130089713A (ko) 2011-12-29 2013-08-13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환경모니터링 센서노드, 장치 및 방법
KR20150060299A (ko) 2013-11-26 2015-06-03 주식회사 옥타컴 통합센서 모니터링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17092A (ja) * 2006-11-02 2008-05-22 Sony Corp 通信方法およびインターフェース装置並びに電子機器
KR20110047341A (ko) 2009-10-30 2011-05-09 주식회사 지인모바일 모바일 디바이스의 컴퓨터 접속 방법
KR20130089713A (ko) 2011-12-29 2013-08-13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환경모니터링 센서노드, 장치 및 방법
KR20130084002A (ko) * 2012-01-16 2013-07-24 허홍 터치위치와 방향에 따라 제공하는 메뉴를 달리하도록 터치스크린이 구비된 텔레비전 리모콘 및 이를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KR20150060299A (ko) 2013-11-26 2015-06-03 주식회사 옥타컴 통합센서 모니터링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4053B1 (ko) 2021-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56933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on basis of information of accessory device and accessory device related thereto
RU2682911C2 (ru) Двусторонний разъем для вспомогательных устройств
RU2729057C2 (ru) Мобильные устройства связи с дополнительными функциями и способы их реализации
AU2014265168B2 (en) Modular tablet case
KR102417004B1 (ko) 전자 장치의 소프트웨어의 업데이트를 관리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EP2911375B1 (en) Electronic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JP4103623B2 (ja) 車載制御装置
KR20190101171A (ko) 근거리 통신 회로의 멀티 모달 운영방법 및 장치
KR102446172B1 (ko)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EP3654182B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in-vehicle infotainment service
CN101573676B (zh) 串行总线外围设备的功率控制
KR102204053B1 (ko) 거치형 센서모듈 모니터링 시스템
US11564285B2 (en) Electronic device for transmitting, to cover device, data acquired from external electronic device, on basis of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cover device, and control method
US11225143B2 (en) System having an infotainment system
KR20210046426A (ko) 어플리케이션의 최적화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CN115718538A (zh) 电子装置和控制电子装置的方法
KR20120131438A (ko) 스마트폰과 접속된 블루투스 통신모듈을 이용한 주변기기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618386B1 (ko) 보안 요소를 통해 보안이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KR102027202B1 (ko) 안드로이드 기반 휴대용 단말기의 유에스비 인식방법 및 안드로이드 기반 휴대용 단말기의 유에스비 인식장치
CN104166818A (zh) 权限控制方法、装置和系统
KR20120008216U (ko) 스마트폰 원격제어 애플리케이션 및 디스플레이 장치
US20190090288A1 (en) Communication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nd storage medium
US9997061B2 (en) Multi-device system with simplified communication
KR20190096076A (ko)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