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3573A - 단열 간봉 - Google Patents

단열 간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3573A
KR20200103573A KR1020200035148A KR20200035148A KR20200103573A KR 20200103573 A KR20200103573 A KR 20200103573A KR 1020200035148 A KR1020200035148 A KR 1020200035148A KR 20200035148 A KR20200035148 A KR 20200035148A KR 20200103573 A KR20200103573 A KR 202001035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body portion
side wall
polyurethane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51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76825B1 (ko
Inventor
정재욱
정병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티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티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티웰
Priority to KR10202000351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6825B1/ko
Publication of KR202001035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35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68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68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66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 E06B3/677Evacuating or filling the gap between the panes ; Equilibration of inside and outside pressure; Preventing condensation in the gap between the panes; Cleaning the gap between the p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7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used
    • C08G18/72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 C08G18/74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 C08G18/76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aromatic
    • C08G18/7657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aromatic containing two or more aromatic rings
    • C08G18/7664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aromatic containing two or more aromatic rings containing alkylene polyphenyl groups
    • C08G18/7671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aromatic containing two or more aromatic rings containing alkylene polyphenyl groups containing only one alkylene bisphenyl group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having four or more carbon atoms
    • C08L23/2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having four or more carbon atoms having four to nine carbon atoms
    • C08L23/22Copolymers of isobutene; Butyl rubber ; Homo- or copolymers of other iso-olef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5/00Compositions of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5/04Polyureth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83/00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54Fixing of glass panes or like plates
    • E06B3/5409Means for locally spacing the pane from the surrounding fram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66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 E06B3/6612Evacuated glazing uni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단열 간봉은 두 장의 유리 사이에 끼워지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를 덮는 커버부; 상기 몸체부의 양측면에 적층되고 상기 각각의 유리와 상기 몸체부 사이에 배치되는 측벽부; 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단열 간봉{THERMAL INSULATION SPACER}
본 발명은 복층 유리의 빈 공간에 삽입되어 복층 유리의 간격을 유지하는 단열 간봉에 관한 것이다.
단열 간봉은 복층 유리 또는 삼중 유리에서 유리와 유리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여 공기층을 만드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유리 두 장 사이의 공간에 기체나 공기를 채워 단열성을 조절하고 엣지 부분의 단열 효과를 극대화해 결로 및 열 손실을 해결해 줄 수 있다.
복층 유리의 단열 성능 구현에 있어서 유리면의 구성도 중요하지만, 유리와 유리를 연결하는 간봉의 단열 성능도 중요할 수 있다.
복층 유리에서 단열에 가장 취약한 부분이 간봉 부분이다. 따라서 단열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단열 간봉이 필요할 수 있다.
한국특허출원 제10-2009-7002258호에 따르면, 단열 간봉의 화학적 조성만 기재될 뿐, 단열성이나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시스템 기술에 대한 언급은 기재되지 않는다.
한국특허출원 제10-2009-7002258호
본 발명은 단열성이 우수하고 시공이 간편한 단열 간봉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단열 간봉은, 두 장의 유리 사이에 끼워지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를 덮는 커버부; 상기 몸체부의 양측면에 적층되고 상기 각각의 유리와 상기 몸체부 사이에 배치되는 측벽부; 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단열 간봉은 재질이나 조성물의 배합비에 따라 창호의 단열 성능이 천차만별로 나타나기 때문에 에너지 절감에 최적화된 구성을 갖도록 설계되었다.
한편, 종래의 단열 간봉은 알루미늄 압출 등으로 제작되었으나, 본 발명은 롤투롤(roll to roll) 방식으로 대량 생산할 수 있는 합성수지 재질의 테이프 구조를 취할 수 있다.
합성수지 재질의 테이프 구조로 된 단열 간봉은 색상 구현이 용이하고, 양산성이 좋으며, 단열성이 우수하고, 유리 조립이 용이하며, 유리 사이의 간극을 정확하게 유지할 수 있고, 설치 공정이 쉬우며, 금속 재질에 비하여 내구성이 우수하고, 가격이 저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단옅 간봉이 적용된 복층 유리를 도시한 일부 절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로서, 복층 유리에 조립되기 전의 단열 간봉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단열 간봉을 복층 유리에 조립하는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로서, 복층 유리에 조립되기 전의 단열 간봉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단열 간봉을 복층 유리에 조립하는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로서, 복층 유리에 조립되기 전의 단열 간봉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단열 간봉을 복층 유리에 조립하는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단열 간봉을 복층 유리의 둘레 전체에 조립 시 복층 유리의 코너부에 해당하는 단열 간봉의 접힘 구조를 형성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9는 도 8의 일부 절개된 단열 간봉이 복층 유리의 코너부에 구비되기 위해 접혀진 형상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단열 간봉이 적용된 복층 유리(11)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서, 복층 유리(11)에 조립되기 전의 단열 간봉(200)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단열 간봉(200)은 유리(11)와 유리(11) 사이의 공간에 삽입될 수 있다. 단열 간봉(200)은 일체형 에지-실로서 작용할 수 있다. 수증기 차단벽, 기체 차단벽, 유리(11)들 사이의 실란트(190), 간격 유지 수단, 복층 유리(11)를 창틀에 고정시키는 고정 수단 또는 조립 수단으로 기능할 수 있다.
유리(11)와 유리(11) 사이의 간극(130)은 아르곤 가스, 헬륨 가스 등의 불활성 가스로 채워질 수 있다. 따라서, 복층 유리(11) 내면에 습기가 차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단열 간봉(200)의 산화를 최대한 억제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두 장의 유리(11) 사이에 끼워지는 몸체부(210), 몸체부(210)를 덮는 커버부(220), 몸체부(210)의 양측면에 적층되고 각각의 유리(11)와 몸체부(210) 사이에 배치되는 측벽부(230)로 이루어질 수 있다.
몸체부(210)는 폴리우레탄을 포함할 수 있다. 단열 간봉(200)은 두 장의 유리(11) 사이의 간극(130)을 유지하는 기능과 단열 기능을 하므로 폴리우레탄의 발포된 구조는 금속 재질로 된 경우에 비하여 단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폴리우레탄은 탄성을 가지므로 시공이 용이하며 쉽게 구부러질 수 있으므로 유리창 사이의 곡선 부위에 시공하기 좋을 수 있다. 폴리우레탄은 탄성을 갖지만 강성도 가지므로, 유리창 사이의 간극(130) 유지에 필요한 지지력을 충분히 받아줄 수 있다. 폴리우레탄을 눌렀을 때, 폴리우레탄 사이에 함유된 공극으로 인하여 잘 눌러지는 탄성은 단열성을 향상시키는 요소가 될 수 있다. 폴리우레탄의 폭 방향 강성은 유리창 사이의 간극(130) 지지력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요인이 될 수 있다.
본 발명과 비교를 위하여 몸체부(210)가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경우를 가정하면, 오히려 금속의 지나친 강성으로 인하여 금속재 몸체부(210)에 부착된 유리(11)가 조그마한 충격에도 쉽게 깨질 수 있다. 유리창의 곡선 부위에 금속재 몸체부(210)는 시공이 매우 곤란할 수 있다. 단열성의 측면에서도 폴리우레탄보다 금속 재질이 더 불리할 수 있다.
폴리우레탄 단열 간봉(200) 시공 현장에서 즉각적 필요에 따라 금속 간봉 보다 빠르게 시공 가능한 장점을 가지고 있다. 금속 간봉 현장 작업시 자르고 용접해야 하므로 미세한 실수에도 작업시간 지체되는 반면 본 발명인 폴리우레탄 재질의 단열 간봉(200)은 보다 수월한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실리콘을 포함함으로 인해 폴리우레탄과 제올라이트 혼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공극률의 최소화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유리(11) 사이 간극(130)에 채워 넣은 불활성기체의 누기를 지연시킬 수 있다.
몸체부(210)를 금속 재질이 아니라 폴리우레탄을 포함한 합성수지 재질로 하는 경우, 열전달률이 금속 재질 간봉에 비해 낮음으로 보다 효율적인 단열을 기대할 수 있다.
실리콘, 폴리우레탄 및 흡습제 혼합으로 인하여 금속 또는 플라스틱 재질의 간봉 보다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진동과 소음의 차폐성능을 기대할 수 있다.
몸체부(210)는 폴리우레탄 외에도 흡습제를 포함할 수 있다. 흡습제로서 실리카겔, 활성탄, 염화칼슘, 제올라이트 중 하나 또는 둘 이상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별히 제올라이트(Zeolite)를 선택하는 경우, 제올라이트에 결합되는 양이온 K, Na, Ca을 용도에 따라 생성되는 다양한 세공 크기를 활용하여 분자의 종류에 따른 선택적 흡수, 흡착을 할 수 있다. 이를 분말로 하는 이유는 몸체부(210)의 제올라이트 입자 사이의 공극 효과를 이용하여 흡습성을 향상시키기 위함일 수 있고, 제올라이트를 이용함으로써 단열간봉이 시공된 복층 유리 내면의 1 ~ 10 옴스트롱 크기를 갖는 습기를 효과적으로 흡습할 수 있다.
몸체부를 단일의 합성 수지인 폴리우레탄으로 발포시키는 이유는 자동화 때문일 수 있다. 합성 수지 발포에 의하면 별도의 가공 공정이 필요없고, 벨트 금형부만으로 원하는 치수를 연속적으로 얻을 수 있기 때문일 수 있다.
합성 수지로서 폴리우레탄이 선택되는 이유는 상술한 바와 같이 다수의 공극을 포함하기 때문일 수 있다. 공극은 유리 사이의 습기를 제거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고, 적당한 탄성을 발휘하는데 필요할 수 있다.
몸체부의 구성 물질로서 합성 수지 이외에 강력한 흡습제를 추가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유리 사이에는 불활성 기체로 채워지는데 불활성 기체사 소진되면 유리 사이가 음압이 될 수 있고, 이 공간에 외부 공기가 들어가서 습기가 발생할 수 있으며, 습기는 온도 차이에 의하여 유리를 뿌옇게 만들 수 있다.
따라서, 유리 사이의 불활성 기체는 제거하지 않으면서 습기 발생시 습기를 빨아들이는 수단이 마련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공극을 다수 함유하는 물질이 추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공극이 많을수록 습기를 빨아들일 확률이 높아지고 습기 흡수 공간이 많아지며 공극의 물리적인 특성, 전하 특성, 화학적 특성에 의해 불활성 기체와는 친화성이 없고 습기 또는 물분자에만 친화성이 있는 공극을 가능한 다수 함유하는 재질이 흡습제로서 적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불활성 기체의 크기를 제1 크기, 습기 또는 물 분자의 크기를 제2 크기라고 했을 때, 제1 크기는 제2 크기보다 크다. 흡습제의 공극의 크기는 제1 크기보다 작고 제2 크기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유리 사이의 불활성 기체는 몸체부의 흡습제의 공극에 침투되지 못하고 유리 사이의 습기 또는 물분자는 몸체부의 흡습제의 공극에 침투될 수 있도록, 흡습제의 공극의 크기가 결정되며, 이러한 조건을 만족하는 흡습제는 위의 다양한 물질 중에서 제올라이트가 최적일 수 있다. 대표적인 흡습제로서 실리카겔 등이 있지만 위의 요구 기능 때문에 탈락할 수 있고, 폴리우레탄과의 혼합성이 떨어져서 탈락할 수 있다.
흡습제의 공극의 크기는 10 옴스트롱보다 크고, 유리 사이에 주입되는 불활성 기체의 크기보다 작을 수 있으며, 제올라이트가 바람직할 수 있다.
한편, 흡습제 포함 시점이 문제가 될 수 있다. 몸체부(210)의 용이한 제조 및 제올라이트의 균일한 배합을 위하여 2 액상 공정을 발명하였다. 본 발명의 몸체부(210) 제작시 흡습제 혼합과정을 거침으로서 내부에 흡습제를 별도 첨가해야 하는 다른 간봉에 비해 작업 시간을 줄일 수 있다.
탄성이 양호한 합성수지 재질로 인하여, 고체형태의 간봉에 비해 다양한 곡선 처리 가능하므로 원하는 형태의 복층 유리(11)를 제작할 수 있다.
몸체부(210) 혼합물을 제작시 노즐 발포에 윤활 역할을 하여 보다 수월하게 몸체부(210)의 롤투롤 공법 형성에 기여할 수 있다. 몸체부(210)는 제1 액상 및 제2 액상을 혼합하여 이루어진 것이고, 제1 액상은 폴리우레탄, 실리콘, 제올라이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액상은 MDI경화제를 포함할 수 있다. 평상시에 각각의 조성물은 액상을 유지하다가 몸체부(210)의 제조 직전에 이들 두 물질이 혼합되면서 즉각적인 경화를 달성할 수 있다. 제1 액상과 제2 액상을 혼합하면 폴리우레탄이 경화되면서 몸체부(210)를 형성할 수 있다. 경화 시간은 경화 촉매제를 사용하거나 또는 각 조성물의 배합비에 따라 조절 가능할 수 있다. 2 액상 공법에 의하고 즉각적인 경화를 달성할 수 있으므로, 폴리우레탄 발포를 위한 금형의 세척이나 유지 보수도 간결해질 수 있다.
측벽부(230)는 부틸 러버를 포함할 수 있다.
부틸 러버는 반고체 상태로서 제1 유리(11)와 제2 유리(11) 사이의 간격 조절에 있어 유동성 있게 대처할 수 있고, 복층 유리용으로 특수하게 만들어진 일체형 무용제 실란트(190)가 될 수 있다. 폴리우레탄의 2 액상 공법에 의한 발포 이후에, 부틸 러버의 공정은 반고체 상태로 진행하는 것이 효율적일 수 있다. 부틸 러버는 최소량의 수증기 및 가스 침투와 UV에 대한 Ageing 저항성 및 유리(11)와 금속에 우수한 접착성이 있다.
부틸 러버는 절연과 밀폐에 뛰어난 성능을 보이고, 습기나 이물질에 대한 불투과성을 가지며, 우수한 플렉스 특성을 제공할 수 있다.
커버부(220)는 알루미늄, 폴리카보네이트, 파이버 글라스(fiberglass),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이소부틸렌(isobutylen), PET 필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부(220)는 유리(11) 간극(130) 사이 채워진 불활성기체의 누기 방지 및 정전기 발생을 예방할 수 있다.
커버부(220)는 알루미늄 호일, PET 필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부(220)는 단층 레이어 또는 멀티 레이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버부(220)가 멀티 레이어 구조라면, 몸체부(210), 알루미늄 호일, 접착제, PET 필름의 순서대로 적층된 구조일 수 있다. 즉, 커버부는 알루미늄 호일, 알루미늄 호일과 PET 필름 사이에 접착제가 추가된 멀티 레이어 구조일 수 있다.
커버부(220)의 두께는 0.01 ~ 1 mm 일 수 있다. 알루미늄 호일 또는 PET 필름의 두께가 상기 범위 내에 있기 때문이다.
커버부(220)의 존재 자체로 누기 방지 및 습기 침투 방지를 기대할 수 있다. 심지어 커버부(220)가 마련되면 유리(11)와 단열 간봉(200) 사이에 기타의 실란트(190) 처리 과정을 생략할 수도 있다.
제조 공정이 끝난 단열 간봉(200)은 롤(roll) 형태로 유리 제조 공정 또는 건설 현장에 공급될 수 있다. 몸체부(210), 커버부(220), 측벽부(230) 중 어느 하나가 다른 물체에 달라붙거나 접착에 의한 파손 방지를 위하여 이들의 접착성을 차단하는 부재가 필요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이형지(250)가 사용될 수 있다.
유리창에 부착하기 전에는 이형지(250)에 의하여 측벽부(230)의 접착성이 차단될 수 있다. 이형지(250)의 이탈 방지 수단으로서, 측벽부(230)의 외측 노출면에 접착층(240)를 바른 후 이형지(250)를 부착하거나, 접착층(240)이 발라진 이형지(250)를 측벽부(230) 외측에 부착할 수 있다.
몸체부(210) 및 유리(11)의 접착 수단은 측벽부(230)일 수 있다. 측벽부(230) 및 이형지의 접착 수단은 접착층(240)일 수 있다.
이형지(250)는 점착면을 오염으로부터 보호하고 점착 이형지(250) 처리가 되어 있지 않은 간봉에 비해서 추가적인 점착제 처리 작업에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몸체부(210)는 폭 3 ~ 30mm, 두께 3 ~ 10 mm로 제작할 수 있고, 커버부(220)는 몸체부(210)의 폭보다 0.1 ~ 5mm 여유있게 제작하여 몸체부(210)의 폭 일면을 감쌀 수 있다. 커버부(220)의 두께는 몸체부(210)보다 작으며, 측벽부(230)의 높이는 몸체부(210)의 두께보다 0.1 ~ 5mm 작거나 클 수 있다.
몸체부(210)가 납작하며 폭보다 작은 높이 부분을 유리창에 부착시키는 구조일 수 있다. 간극(130) 유지 성능을 유지하면서, 유리(11)가 몸체부(210)에 가려지는 면적을 줄일 수 있고, 몸체부(210)의 유연성으로 인하여 유리창에 불균일 부착에 의한 공사성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몸체부(210)는 폭보다 높이가 작은 납작한 구조일 수 있다. 몸체부(210)를 유리에 강력하게 부착시키는 수단이 필요하며, 몸체부 및 유리의 부착 수단은 측벽부일 수 있다. 한편, 몸체부 및 측벽부의 물성이 다르므로 측벽부를 몸체부에 고정시키는 추가 수단이 필요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프라이머가 사용될 수 있다. 프라이머는 액체 또는 반고체일 수 있고, 적당한 유동성이 있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프라이머는 몸체부에 측벽부를 단단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몸체부에 액체 또는 반고체 상태의 프라이머를 도포하고, 프라이머가 도포된 몸체부에 이형지가 부착된 측벽부를 고정시키는 합지 공정이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단열 간봉(200)을 유리(11)사이 간극(130)에 시공 후 바깥면에 노출되는 커버부(220)에 실란트(190) 처리하여 커버부(220)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보호할 수 있다.
실란트(190)는 유리(11)와 창호 사이의 끼우기 또는 이동 및 층간 변위를 대응하기 위한 공간으로 생길 수 있는 냉기대류를 적절히 차단할 수 있다. 불활성기체가 누기되지 않도록 2차적 보호, 단열 및 밀봉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유리(11)와 창호의 종합 열관류율을 향상시키고 기존의 단열 간봉(200)들이 가지고 있는 단열성을 유지시킬 수 있다.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며,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실시 예와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한다. 함몰부(270)를 마련하여 유리(11)의 접착성과 실링 성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몸체부(210)의 양측면에 함몰부(270)가 형성되고, 함몰부(270)에 측벽부(230)가 삽입될 수 있다. 몸체부(210)의 바깥면(212)과 측벽부(230)의 바깥면(232)이 일직선상에 정렬될 수 있다. 이형지(250)가 분리되고 측벽부(230)가 노출되면, 몸체부(210)의 바깥면(212)에 위치한 측벽부(230)가 유리(11)에 접착될 수 있다.
몸체부(210) 측면이 평면으로 이루어진 경우에 비하여, 함몰부(270)에 부틸 러버등의 소재를 활용함으써 부틸 러버가 가지는 유동성을 최소화하여 본 발명의 간봉의 탄성을 활용 절연 밀폐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7을 참고하며 또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한다. 측벽부(230)의 접착 면적을 더욱 확장시킨 경우가 될 수 있다.
몸체부(210)의 일부를 절개한 함몰부(270)가 형성되고, 몸체부(210)의 양측면은 몸체부(210)의 바깥면(212)과 함몰부(270)를 포함한 계단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측벽부(230)의 돌출턱(237)은 몸체부(210)의 함몰부(270)에 끼워지고, 몸체부(210)의 바깥면(212)은 측벽부(230)의 일부에 대면 될 수 있다.
측벽부(230) 중 어느 하나가 2개의 유리(11)중 한쪽 유리(11)인 제1 유리(11)에 부착되고, 측벽부(230) 중 나머지 하나는 제2 유리(11)에 부착될 수 있다.
측벽부(230)가 제1 유리(11) 및 제2 유리(11)에 부착되면 제1 유리(11) 및 제2 유리(11) 사이에 간극(130)이 형성되며, 간극(130)에 불활성 가스가 채워질 수 있다. 커버부(220)는 간극(130)의 반대쪽인 제1 유리(11) 및 제2 유리(11)의 외측으로 노출될 수 있다. 커버부(220), 제1 유리(11) 및 제2 유리(11) 사이에 실란트(190)가 도포될 수 있다.
단열 간봉(200)의 주변은 폴리설파이드, 폴리우레탄 또는 실리콘과 같은 실란트(190)에 의하여 창틀에 메꾸어질 수 있다. 경화된 실리콘은 부가적인 에지-실로서 작용할 수 있으며, 단열 간봉(200)의 밀봉 및 결합(접착) 작용을 할 수 있다.
중앙부에 본 발명인 열전도율이 낮은 소재의 간봉을 삽입하면, 단열성과 구조적 안전성을 향상시키면서 플라스틱 소재의 단점인 휨 현상 및 뒤틀림을 보강하고, 유리(11)의 진동으로 단부가 깨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몸체부(210)는 제1 유리(11)와 제2 유리(11) 사이의 공간에 삽입될 수 있다. 경화된 몸체부(210)는 일체형 에지-실로서 작용할 수 있다. 몸체부(210)에 추가 적층되는 실란트(190)는 경화된 생성물의 밀봉 및 결합 작용을 추가로 지지한다.
몸체부(210)는 폴리우레탄, 실리콘, 흡습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폴리우레탄의 중량을 100으로 잡았을 때, 폴리우레탄에 중량 5~30의 실리콘이 추가될 수 있으며, 폴리우레탄에 중량 15~40의 흡습제가 추가될 수 있다.
몸체부(210)는 폴리우레탄, 실리콘 및 제올라이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폴리우레탄 중량이 100 중량%일때, 폴리우레탄 중량에 5~30 중량%의 실리콘이 추가되고, 폴리우레탄에 15~40 중량%의 제올라이트가 추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몸체부(210)가 폴리우레탄 100g, 실리콘 5g, 흡습제 15g를 포함하는 경우, 폴리우레탄은 83 중량%, 실리콘은 4 중량 %, 흡습제는 13 중량% 가 될 수 있다. 한편, 몸체부(210)가 폴리우레탄 100g, 실리콘 30g, 흡습제 40g를 포함하는 경우, 폴리우레탄은 59 중량%, 실리콘은 18 중량 %, 흡습제는 24 중량% 가 될 수 있다.
몸체부(210)는 이액형 조성물과 같은 다액형 조성물로서 제형화 될 수 있다. 제1 액상은 제올라이트, 실리콘 및 폴리우레탄 중 적어도 하나를 배합시킨 것일 수 있다. 제1 액상은 성분들을 전단력 작용하에 혼합시키는 공정에 의해 제조될 수 있고, 성분들은 진공, 건조 불할성 기체 또는 둘 모두 하에 혼합될 수 있으며, 성분들은 주변 온도, 승온 또는 이들의 조합하에 혼합될 수 있다.
제2 액상은 MDI 경화제를 포함할 수 있다.
2 액상에 의하여 폴리우레탄을 발포시키면, 공극의 형성 비율을 높일 수 있고, 열전도율이 낮아 우수한 단열 성능을 보이고, 방수성이 우수하며, 화재시 적은량의 유독가스를 배출하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이액형 조성물로 폴리우레탄을 발포하는 공정은 2가지 부분을 용융시키고, 이들을 적합한 수단(예를 들어, 고온 용융 펌프 또는 압출기와 같은 통상적인 장치)에 의해 가열된 정적 또는 동적 혼합기에 공급하고, 가열된 호스를 통해 도포 노즐로 공급하는 것을 포함한다.
MDI(메틸렌 디페닐 디이소시아네이트, Methylene Diphenyl Diisocyanate)는 방향족 디이소시아네이트류 화학 물질이다. 메틸렌 디페닐 디이소시아네이트는 크게 MDI monomer와 Polymeric MDI로 구분되는데, MDI monomer는 2,2’-MDI, 2,4’-MDI, 4,4’-MDI 세 가지 이성질체로 구성되어 있다. 이중 4,4’-이성질체를 pure MDI 또는 Monomeric MDI라고 하며, Polymeric MDI는 monomeric MDI와 더 높은 분자량의 다핵체 메틸렌 디페닐 디이소시아네이트의 혼합물질이다.
아닐린과 포름알데히드가 축합되어 생성된 디페닐메탄디아민(MDA)에 phosgene를 처리하여 조-MDI를 제조하고, 이것을 증류나 결정화 공정을 통해 정제하여 pure MDI (또는 Monomeric MDI)와 Polymeric MDI로 분리된다.
Polymeric MDI는 경질 폴리우레탄 제조에 매우 적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1톤의 폴리우레탄 폼 제조를 위하여 0.616톤의 MDI, 0.386톤의 폴리올, 그리고 발포제로서 0.054톤의 펜탄이 필요할 수 있다. 경질 폴리우레탄폼은 단열성이 우수하여 냉동창고, 냉장고, 건물 등의 보온재로 사용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며 창틀에 대한 단열 간봉(200)의 시공 방법 또는 창틀의 코너(15) 부분에 대한 시공 방법을 설명한다.
이중 유리(11)를 제조하기 위해 사용되는 하나의 공정은 당해 단열 간봉을 제1 유리(11)의 주변 둘레에 접착시키고, 제2 유리(11)를 제1 유리(11)에 매우 근접하게 평행한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유리(11)간 공간을 기체(예를 들어, 아르곤)로 충전시키고, 제1 유리(11) 상에 형성된 단열 간봉 실에 대해 제2 유리(11)를 압착시킴으로써 이중 유리(11)를 밀폐시킬 수 있다.
복합 유리창을 제조하기 위해 사용되는 하나의 공정은 당해 조성물을 제1 유리(11)의 주변 둘레에 실 필라멘트로서 도포 하고, 제2 유리(11)를 제1 유리(11)에 매우 근접하게 평행한 위치로 이동시키고, 임의로 유리(11)간 공간을 기체(예를 들어, 아르곤)로 충전시킬 수 있다.
복합 유리창은 i)제1 유리(11)와 제2 유리(11)를 유리(11)간 공간에 의해 이격된 평행한 위치로 이동시키는 단계, ii) 몸체부(210)를 제1 유리(11) 및 제2 유리(11)의 주변을 따라 유리(11)간 공간 내로 부착시키는 단계 및 iii) 상기 제2 유리(11)를 밀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공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9는 이중접합유리(11) 제작시 유리(11)의 코너(15) 부분 시공단계에서 본 발명의 단열 간봉 활용 모습을 보여주는 것이다.
본 발명인 단열 간봉(200)에 쐐기형 절삭 도구(20)를 활용하여 커버부(220)에 평행한 방향으로 홈 절삭면이 서로 맞닿게 굽힘으로써 이중접합유리(11) 코너(15)를 처리할 수 있다.
단열 간봉(200)의 구성 부분인 커버부(220)를 손상시키지 않고 활용할 수 있어 이중접합유리(11) 간극(130)사이의 가스 누기를 방지할 수 있고, 코너(15) 깊숙히 단열 간봉을 시공할 수 있어 라운딩 방식 시공보다 유리(11)면 시야 확보에 도움이 될 수 있다.
11...유리 15...코너
20...절삭 도구 130...간극
190...실란트 200...단열 간봉
210...몸체부 212...몸체부의 바깥면
220...커버부 230...측벽부
232...측벽부의 바깥면 237...측벽부의 돌출턱
240...접착층 250...이형지
270...함몰부

Claims (11)

  1. 두 장의 유리 사이에 끼워지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를 덮는 커버부;
    상기 몸체부의 양측면에 적층되고 상기 각각의 유리와 상기 몸체부 사이에 배치되는 측벽부; 를 포함하는 단열 간봉.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폴리우레탄 및 흡습제를 포함하고, 상기 흡습제는 제올라이트 분말을 포함하는 단열 간봉.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폴리우레탄, 실리콘 및 제올라이트 분말을 포함하고,
    상기 폴리우레탄의 중량을 100으로 잡았을 때, 상기 폴리우레탄에 중량 5~30의 실리콘이 추가되고, 상기 폴리우레탄에 중량 15~40의 제올라이트 분말이 추가되는 단열 간봉.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제1 액상 및 제2 액상을 혼합하여 이루어진 것이고,
    상기 제1 액상은 폴리우레탄, 실리콘, 제올라이트 분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액상은 MDI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액상과 제2 액상을 혼합하면 상기 폴리우레탄이 경화되면서 상기 몸체부를 형성하는 단열 간봉.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부는 부틸 러버로 이루어지는 단열 간봉.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알루미늄 호일 또는 PET 필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커버부의 두께는 0.01 ~ 1 mm인 단열 간봉.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폭은 3~30mm이고, 상기 몸체부의 두께는 3~10mm이며,
    상기 커버부의 폭은 상기 몸체부의 폭 이상이고, 상기 커버부의 두께는 상기 몸체부 보다 작으며,
    상기 측벽부의 높이는 상기 몸체부의 두께보다 0.1~5mm 작거나 큰 단열 간봉.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의 중앙 부분은 상기 몸체부를 커버하고,
    상기 커버부의 양단부는 상기 몸체부의 가장자리에서 접혀지며,
    상기 몸체부의 가장자리에서 접혀진 상기 커버부의 양단부 위에 상기 측벽부가 적층되는 단열 간봉.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양측면에 함몰부가 형성되고,
    상기 함몰부에 상기 측벽부가 삽입되며,
    상기 몸체부의 바깥면과 상기 측벽부의 바깥면이 일직선상에 정렬되고,
    상기 몸체부의 바깥면과 상기 측벽부의 바깥면에 접착층이 도포되며,
    상기 접착층에 부착된 이형지가 분리되고 상기 접착층이 노출된 상태에서, 상기 몸체부의 바깥면과 상기 측벽부의 바깥면이 상기 유리에 접착되는 단열 간봉.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일부를 절개한 함몰부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의 양측면은 상기 몸체부의 바깥면과 상기 함몰부를 포함한 계단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측벽부의 돌출턱은 상기 몸체부의 함몰부에 끼워지고,
    상기 몸체부의 바깥면은 상기 측벽부의 일부에 대면되며,
    상기 측벽부의 바깥면에 접착층이 적층되고,
    상기 접착층에 부착된 이형지가 분리되고 상기 접착층이 노출된 상태에서 상기 측벽부의 바깥면이 상기 유리에 접착되는 단열 간봉.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부 중 어느 하나가 제1 유리에 부착되고,
    상기 측벽부 중 나머지 하나는 제2 유리에 부착되며,
    상기 측벽부가 상기 제1 유리 및 제2 유리에 부착되면 상기 제1 유리 및 제2 유리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며,
    상기 간극에 불활성 가스가 채워지고,
    상기 커버부는 상기 간극의 반대쪽인 상기 제1 유리 및 제2 유리의 외측으로 노출되며,
    상기 커버부, 상기 제1 유리 및 상기 제2 유리 사이에 실란트가 도포되는 단열 간봉.
KR1020200035148A 2020-03-23 2020-03-23 단열 간봉 KR1022768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5148A KR102276825B1 (ko) 2020-03-23 2020-03-23 단열 간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5148A KR102276825B1 (ko) 2020-03-23 2020-03-23 단열 간봉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3573A true KR20200103573A (ko) 2020-09-02
KR102276825B1 KR102276825B1 (ko) 2021-07-14

Family

ID=724499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5148A KR102276825B1 (ko) 2020-03-23 2020-03-23 단열 간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6825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30477A (ja) * 1997-10-31 1999-05-18 Central Glass Co Ltd 複層ガラス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4359220A (ja) * 2003-05-12 2004-12-24 Teijin Chem Ltd シート状窓部材および窓構造体
KR100707478B1 (ko) * 2005-05-16 2007-04-23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보강재가 결합된 슈퍼창용 스페이서
KR20140064450A (ko) * 2012-11-20 2014-05-28 주식회사 케이씨씨 단열 복층유리 및 그 제조방법
KR20150092884A (ko) * 2014-02-06 2015-08-17 최문열 복층유리용 단열간봉 및 그 제조방법
KR20160095129A (ko) * 2013-12-12 2016-08-10 쌩-고벵 글래스 프랑스 압출된 프로파일링된 밀봉체를 포함하는, 절연 글레이징 유닛용 스페이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30477A (ja) * 1997-10-31 1999-05-18 Central Glass Co Ltd 複層ガラス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4359220A (ja) * 2003-05-12 2004-12-24 Teijin Chem Ltd シート状窓部材および窓構造体
KR100707478B1 (ko) * 2005-05-16 2007-04-23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보강재가 결합된 슈퍼창용 스페이서
KR20140064450A (ko) * 2012-11-20 2014-05-28 주식회사 케이씨씨 단열 복층유리 및 그 제조방법
KR20160095129A (ko) * 2013-12-12 2016-08-10 쌩-고벵 글래스 프랑스 압출된 프로파일링된 밀봉체를 포함하는, 절연 글레이징 유닛용 스페이서
KR20150092884A (ko) * 2014-02-06 2015-08-17 최문열 복층유리용 단열간봉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6825B1 (ko) 2021-07-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67665B2 (en) Spacer for insulating glazing units, comprising extruded profiled seal
US4831799A (en) Multiple layer insulated glazing units
US5007217A (en) Multiple pane sealed glazing unit
JP4121150B2 (ja) 熱可塑性バリヤー部材を組み入れた断熱組立品
EP0843770B1 (en) Insulated assembly incorporating a thermoplastic barrier member
EP2930296A1 (en) Glazing spacer bar
US20070243358A1 (en) Highly Thermo and Acoustic Insulating Vacuum Panel
KR20190057430A (ko) 단열 글레이징 유닛용 스페이서
US20170328119A1 (en) Insulating glazing unit
EP2218862A2 (en) Spacer for a double glazing
KR20000069330A (ko) 일체형 다중창유리 창유니트 및 창틀
KR20160095128A (ko) 개선된 밀봉을 갖는 이중 글레이징
KR20200133241A (ko) 보강 요소를 갖는 스페이서
CA3163021C (en) Spacer having improved adhesion
KR102276825B1 (ko) 단열 간봉
CA2303464C (en) Spacer for insulated glass assembly
KR102300607B1 (ko) 몸체부 제조 장치 및 단열 간봉 제조 방법
CN111771078A (zh) 真空隔热件、使用它的隔热结构体、以及使用该材料或结构的家电产品、住宅墙壁和运输设备
JP2020138894A (ja) 複層ガラス
CA3142978C (en) Spacer for insulated glass units
CN114585793B (zh) 压缩配合槽式间隔件
CN114364857B (zh) 绝热玻璃面板
JP3132139B2 (ja) 断熱体
KR20220158284A (ko) 보강 프로파일을 갖는 스페이서를 포함하는 단열 글레이징
OA13037A (en) Sealing system for an energy efficient window.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