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3433A - Special vehicle capable of displaying outrigger installation position - Google Patents

Special vehicle capable of displaying outrigger installation posi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3433A
KR20200103433A KR1020190021932A KR20190021932A KR20200103433A KR 20200103433 A KR20200103433 A KR 20200103433A KR 1020190021932 A KR1020190021932 A KR 1020190021932A KR 20190021932 A KR20190021932 A KR 20190021932A KR 20200103433 A KR20200103433 A KR 202001034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rigger
unit
sensor unit
display unit
special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193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184187B1 (en
Inventor
오창훈
Original Assignee
서울특별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특별시 filed Critical 서울특별시
Priority to KR10201900219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4187B1/en
Publication of KR202001034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343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41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418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9/00Ground-engaging vehicle fittings for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the vehicle, wholly or in part, e.g. built-in jacks
    • B60S9/02Ground-engaging vehicle fittings for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the vehicle, wholly or in part, e.g. built-in jacks for only lifting or supporting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7/00Fire-fighting lan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4Mounting of cameras operative during driv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relative to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00/0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 B60R2300/3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image processing
    • B60R2300/301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image processing combining image information with other obstacle sensor information, e.g. using RADAR/LIDAR/SONAR sensors for estimating risk of colli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1Sensors for position or displac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1Sensors for position or displacement
    • B60Y2400/3015Optical camer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1Sensors for position or displacement
    • B60Y2400/3017Rad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Jib Cran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pecial vehicle capable of minimizing damage of human life at a disaster site by allowing a driver of a special vehicle to quickly determine whether an outrigger can be installed in a narrow place or the disaster site and to quickly install the outrigger. The special vehicle includes: a vehicle body; at least a pair of outriggers that are deployed on both sides of the vehicle body and include horizontal and vertical bars; a driving unit that drives the outriggers; a sensor unit that senses an abnormal object in the deployment space of the outriggers; a display unit that projects an identification mark on the ground at an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outriggers; and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display unit and the driving unit based on the abnormal object sensing data sensed by the sensor unit.

Description

아우트리거 설치 위치의 표시가 가능한 특수차{SPECIAL VEHICLE CAPABLE OF DISPLAYING OUTRIGGER INSTALLATION POSITION}SPECIAL VEHICLE CAPABLE OF DISPLAYING OUTRIGGER INSTALLATION POSITION}

본 발명은 아우트리거 설치 위치의 표시가 가능한 특수차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pecial vehicle capable of displaying an outrigger installation position.

일반적으로, 소방차와 같은 특수차량이 작업현장에 도착하면, 상기 특수차량의 차체가 흔들리지 않도록 아우트리거(outrigger)를 전개하여 지면에 착지시키므로 차체의 수평(레벨 링leveling)을 맞추게 된다.In general, when a special vehicle such as a fire engine arrives at a work site, an outrigger is deployed and lands on the ground so that the vehicle body of the special vehicle does not shake, so that the leveling of the vehicle body is adjusted.

특히, 고층건물의 화재를 진압하기 위해 사용되는 고가 사다리가 설치된 소방차의 경우에는 고가 사다리를 펼친 상태에서 운용되기 때문에 차체가 지면과 안정적인 수평 상태를 유지하지 못할 경우에는 전복(顚覆)의 위험성이 따르므로 아우트리거의 설치 작업은 무엇보다 중요한 일이다.In particular, in the case of fire engines equipped with elevated ladders used to extinguish fires in high-rise buildings, the risk of overturning occurs when the vehicle body cannot maintain a stable level with the ground because it is operated in the extended state. Therefore, the installation work of the outrigger is the most important thing.

아우트리거를 이용하여 차체를 안정된 상태로 고정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아우트리거의 수평바를 적절히 신장시킨 후 상기 아우트리거의 수직바를 하강시켜 지면과 완전히 접촉되도록 함으로써 차체가 안정된 상태로 유지된다.In the case of fixing the vehicle body in a stable state using an outrigger, the vehicle body is maintained in a stable state by properly extending the horizontal bar of the outrigger and then lowering the vertical bar of the outrigger to make it completely contact with the ground.

그러나, 종래의 아우트리거의 설치는 화재와 같은 매우 급박한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작업자가 작업위치를 일일이 확인한 후 상기 아우트리거의 수평바 및 수직바를 작동시켜야 하기 때문에 아우트리거의 설치가 매우 더딜 뿐만 아니라, 상기 아우트리거의 수평바 및 수직바의 조작도 숙련된 작업자의 경험에 의해 설치되어야 하기 때문에 특수차량의 미숙련자는 아우트리거의 설치시간이 더 소요될 뿐만 아니라, 아우트리거의 설치미숙으로 대형 사고를 유발하는 등의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spite of a very urgent situation such as a fire, the conventional outrigger installation is not only very slow because the operator must operate the horizontal bar and the vertical bar of the outrigger after checking the working position one by one. Since the operation of the horizontal bar and the vertical bar of the outrigger must be installed according to the experience of an experienced operator, the unskilled person of a special vehicle not only takes more time to install the outrigger, but also causes a large accident due to the incomplete installation of the outrigger. There were many problems such as.

본 발명은 특수차의 운전요원 또는 보조요원이 좁은 장소나 재난 현장에서 아우트리거의 설치 가능 여부를 신속히 판단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아우트리거를 신속히 설치할 수 있어 재난 현장에서 인명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특수차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river or assistant of a special vehicle can quickly determine whether an outrigger can be installed in a narrow place or a disaster site, and through this, an outrigger can be quickly installed, thereby minimizing personal injury at a disaster site. It aims to provide special vehicles.

한편,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Meanwhile, the technical problems to be achiev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that are not mentioned are clearly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It will be understandabl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특수차는 차체; 차체의 양측으로 전개되며, 수평바와 수직바를 포함하는 적어도 한 쌍의 아우트리거; 상기 아우트리거를 구동하는 구동부; 상기 아우트리거의 전개 공간 내 이상 물체를 센싱하는 센서부; 지면 상에서 상기 아우트리거의 설치 위치에 식별 마크를 투영하는 표시부; 및 상기 센서부에서 센싱한 이상 물체 센싱 데이터를 기준으로, 상기 표시부 및 상기 구동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할 수 있다.A special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vehicle body; At least a pair of outriggers that are deployed to both sides of the vehicle body and include a horizontal bar and a vertical bar; A driving unit driving the outrigger; A sensor unit sensing an abnormal object in the deployment space of the outrigger; A display unit for projecting an identification mark on the ground at an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outrigger;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control operations of the display unit and the driving unit based on the abnormal object sensing data sensed by the sensor unit. It may include.

상기 센서부는 상기 수평바의 수평 방향의 전개 공간 내 이상 물체를 센싱하는 제1센서부; 및 상기 아우트리거의 전개 공간을 촬영하여,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는 제2센서부; 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nsor unit comprises: a first sensor unit configured to sense an abnormal objec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horizontal bar; And a second sensor unit for obtaining image data by photographing a space in which the outrigger is deployed. It may include.

상기 제1센서부는 거리 측정 센서일 수 있다.The first sensor unit may be a distance measurement sensor.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센서부에서 측정된 상기 아우트리거의 수평 방향의 거리 값이 기 설정된 제1거리 값 미만인 경우, 상기 아우트리거의 전개 공간 내에서 이상 물체가 배치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표시부 및 상기 구동부의 동작을 억제할 수 있다.When the distance valu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outrigger measured by the first sensor unit is less than a preset first distance value, the control unit determines that an abnormal object is disposed in the deployment space of the outrigger, and the display unit and the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unit can be suppressed.

상기 제1센서부는 상기 아우 트리거와 인접한 차체 또는 상기 아우트리거의 수직바 상에 수직 방향으로 복수 개가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A plurality of first sensor units may b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in a vertical direction on a vehicle body adjacent to the outrigger or on a vertical bar of the outrigger.

상기 제1센서부는 상기 아우트리거와 인접한 차체 또는 상기 아우트리거의 수직바 상에 배치되며, 수직 방향으로 이동 가능할 수 있다.The first sensor unit may be disposed on a vehicle body adjacent to the outrigger or on a vertical bar of the outrigger, and may be movable in a vertical direction.

상기 표시부는 지면 상에서 상기 아우트리거의 설치 위치에 점 형상의 식별 마크를 투영하는 제1표시부 또는 지면 상에서 상기 아우트리거의 설치 위치에 라인 형상의 식별 마크를 투영하는 제2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display unit may include a first display unit for projecting a dot-shaped identification mark on the ground at an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outrigger or a second display unit for projecting a line-shaped identification mark on the ground at an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outrigger.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특수차의 운전요원 또는 보조요원이 좁은 장소나 재난 현장에서 아우트리거의 설치 가능 여부를 신속히 판단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아우트리거를 신속히 설치할 수 있어 재난 현장에서 인명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river or an assistant of a special vehicle can quickly determine whether an outrigger can be installed in a narrow place or a disaster site, and through this, an outrigger can be quickly installed, resulting in personal injury at a disaster site. Can be minimized.

한편,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effects obtainable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effects,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I will be able to.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특수차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특수차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특수차에서 아우트리거의 설치 위치 표시 계통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특수차에서 제1센서부의 동작 과정을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특수차에서 제1표시부의 동작 과정을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특수차에서 제1표시부 및 제2표시부의 동작 과정을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특수차에서 제2센서부의 동작 과정을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8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특수차에서 아우트리거의 설치 위치 표시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특수차에서 제1센서부의 동작 과정을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14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특수차에서 제1센서부의 동작 과정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pecial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a special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n installation position indication system of an outrigger in a special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 operation process of a first sensor unit in a special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 operation process of a first display unit in a special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 operation process of a first display unit and a second display unit in a special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 operation process of a second sensor unit in a special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to 11 are exemplary views sequentially showing a process of displaying an installation position of an outrigger in a special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and 13 are exemplary diagrams showing an operation process of a first sensor unit in a special vehic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to 16 are exemplary views showing an operation process of a first sensor unit in a special vehic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의 실시 예들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 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 과장되었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dified in various form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following embodiments. This embodiment is provided to more complete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with average knowledge in the art. Therefore, the shape of the element in the drawings has been exaggerated to emphasize a clearer description.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의 해결 방안을 명확하게 하기 위한 발명의 구성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근거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여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있더라도 동일 참조번호를 부여하였으며 당해 도면에 대한 설명 시 필요한 경우 다른 도면의 구성요소를 인용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The configuration of the invention for clarifying the solution to 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ased o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he same in assign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mponents of the drawings For the components, even if they are on different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given, and it should be noted in advance that components of other drawings may be referred to when necessary when describing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특수차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특수차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특수차에서 아우트리거의 설치 위치 표시 계통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pecial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a special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system for indicating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outrigger in the following special vehicle.

우선,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특수차(1)(예를 들어, 고가사다리 소방차)는 대형 특장트럭의 샤시(5) 위에 고가사다리 장치(2)와 방수총(8) 등 소화설비를 장착한 구조로 되어 있으며, 상기 고가사다리 장치(2)는 턴테이블(6) 위에 설치되어서 사방으로 회전하면서 전개될 수 있다. First, referring to FIGS. 1 to 2, a special vehicle 1 (for example, an elevated ladder fire tru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levated ladder device 2 on the chassis 5 of a large special truck. It has a structure equipped with fire extinguishing equipment such as a waterproof gun 8, and the elevated ladder device 2 is installed on the turntable 6 and can be deployed while rotating in all directions.

한편, 상기 고가사다리 장치(2)는 차체에 부착된 메인사다리 부분(3)과 텔레스코프 식으로 신축 가능하게 결합된 서브사다리 부분(4)으로 구성되며, 붐 실린더(9)에 의해 기립 및 전개와 수축이 가능하다. On the other hand, the elevated ladder device 2 is composed of a main ladder part 3 attached to the vehicle body and a sub-ladder part 4 that is telescopically coupled in a telescopic manner, and is erected and deployed by a boom cylinder 9. And contractions are possible.

여기서, 턴테이블(6)이 수평으로 회전가능하기 때문에, 고가사다리 소방차(1)의 위치가 고정된 상태에서도 사다리 장치(2)는 원하는 방향으로 조종될 수 있다. Here, since the turntable 6 is horizontally rotatable, the ladder device 2 can be manipulated in a desired direction even when the position of the elevated ladder fire truck 1 is fixed.

한편, 턴테이블(6) 위 혹은 차체 상부의 적당한 장소에는 고가사다리 장치(2)와 소화설비 등 상부구조물들의 조작을 위한 붐 조 작반(14)이 마련된다.On the other hand, a boom control panel 14 for operating upper structures such as an elevated ladder device 2 and fire extinguishing equipment is provided at a suitable place above the turntable 6 or above the vehicle body.

상기 소방차(1) 차체의 좌우 측면에 각각 설치된 아우트리거(11)들은 차체를 안정되게 지지하여 고가사다리 장치(2)를 사용할 때에 차체가 전복되는 것을 방지한다.Outriggers 11 install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ire engine 1, respectively, stably support the vehicle body to prevent the vehicle body from overturning when using the elevated ladder device 2.

여기서, 아우트리거(11)는 유압 실린더에 의해 신축작용을 하는 수평바(11a)와 수직바(11b)로 이루어져 있으며, 수평바(11a)는 도면상 미 도시 되어 있으나 차체의 메인 프레임인 크로스멤버와 일체를 이루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을 수 있다.Here, the outrigger 11 is composed of a horizontal bar 11a and a vertical bar 11b that expand and contract by a hydraulic cylinder, and the horizontal bar 11a is not shown in the drawing, but the cross member is the main frame of the vehicle body. It may consist of a structure that is integral with.

도 1에서 미설명부호 12는 소방차의 바퀴를 가리키며, 13은 운전자가 탑승할 수 있는 탑을 가리킨다.In FIG. 1, reference numeral 12 denotes a wheel of a fire engine, and 13 denotes a tower on which a driver can ride.

한편,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특수차에서 아우트리거의 설치 위치 표시 계통(100)은 제1센서부(110), 제1표시부(120), 제2표시부(130), 제2센서부(140) 및 제어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referring to FIGS. 1 to 3, the system 100 for indicating an installation position of an outrigger in a special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sensor unit 110, a first display unit 120, and a second display unit. A display unit 130, a second sensor unit 140, and a control unit 150 may be included.

또한, 아우트리거(11)의 전개 동작을 담당하는 구동부(10)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t may include a driving unit 10 in charge of the deployment operation of the outrigger (11).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특수차에서 제1센서부의 동작 과정을 나타낸 예시도이다.4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 operation process of a first sensor unit in a special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함께 참조하면, 제1센서부(110)는 아우트리거(11)에 직접 배치되거나, 또는 아우트리거(11)와 인접한 차체에 배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together, the first sensor unit 110 may be disposed directly on the outrigger 11 or may be disposed on a vehicle body adjacent to the outrigger 11.

제1센서부(110)는 거리 측정 센서로 아우트리거(11)로부터 수평 방향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The first sensor unit 110 may measure a distanc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from the outrigger 11 as a distance measurement sensor.

여기서, 제1센서부(110)는 발광부와 수광부를 구비함으로써, 발광부는 레이저 광원일 수 있으며, 발광부에서 조사된 광원이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수광부에서 센싱하는 방식으로 거리를 측정할 수 있거나, 초음파를 발사한 후,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초음파를 수신하는 초음파 센서 등으로 변형되어 구현될 수 있다.Here, since the first sensor unit 110 includes a light emitting unit and a light receiving unit, the light emitting unit may be a laser light source, and the distance can be measured by sensing at a light receiving unit that is reflected and returned by the light source irradiated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or After the ultrasonic wave is emitted, it may be transformed into an ultrasonic sensor that receives the reflected and returned ultrasonic wave.

제1센서부(110)는 아우트리거(11)로부터 수평 방향의 거리(D)를 측정하며, 아우트리거(11)의 수평바(11a)가 수평 방향으로 전개되는 공간(거리) 내에 이상 물체가 존재하는 지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The first sensor unit 110 measures the distance 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from the outrigger 11, and an abnormal object is located in the space (distance) in which the horizontal bar 11a of the outrigger 11 is develop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t can sense whether it exists or not.

예컨대, 제1센서부(110)는 아우트리거(11)로부터 수평 방향의 거리(D)를 측정하며 수평바(11a)의 전개 공간(거리) 내에 위치한 이상 물체를 센싱하면, 제어부(150)는 이를 기반으로 아우트리거(11)의 전개 공간 내에 이상 물체가 배치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first sensor unit 110 measures the distance 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from the outrigger 11 and senses an abnormal object located in the deployment space (distance) of the horizontal bar 11a, the controller 150 Based on this, it may be determined that an abnormal object is disposed in the deployment space of the outrigger 11.

제1센서부(110)에서의 이상 물체 센싱 여부에 따른 제어부(150)의 제어 과정은 후술할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The control process of the control unit 150 depending on whether the first sensor unit 110 senses an abnormal object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8 to 11 to be described later.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특수차에서 제1표시부의 동작 과정을 나타낸 예시도이다.5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 operation process of a first display unit in a special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함께 참조하면, 제1표시부(120)는 아우트리거(11)에 직접 배치되거나, 또는 아우트리거(11)와 인접한 차체에 배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together, the first display unit 120 may be directly disposed on the outrigger 11 or may be disposed on a vehicle body adjacent to the outrigger 11.

제1표시부(120)는 아우트리거(11)의 수직바(11b)의 하단이 지지되는 지면 상에 식별 마크(P)를 투영할 수 있다.The first display unit 120 may project the identification mark P on the ground on which the lower end of the vertical bar 11b of the outrigger 11 is supported.

제1표시부(120)는 점 형상의 식별 마크(P)를 투영할 수 있는 레이저빔을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display unit 120 may include a laser beam capable of projecting a dot-shaped identification mark P.

예컨대, 제1표시부(120)는 아우트리거(11)가 전개되어 지지되는 위치를 지면 상에 표시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first display unit 120 may display a position where the outrigger 11 is deployed and supported on the ground.

이를 통해, 아우트리거(11)의 설치 위치에 이상 물체가 위치하여 아우트리거(11)의 전개가 불가능한 상황인지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어, 아우트리거(11)의 전개 과정에서 발생되는 불필요한 시간 소요를 방지할 수 있다.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easily identify whether an abnormal object is located at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outrigger 11 and it is impossible to deploy the outrigger 11, thereby reducing unnecessary time required during the deployment process of the outrigger 11 Can be prevented.

또한, 아우트리거(11)의 설치 위치를 미리 식별할 수 있어, 보조 요원이 아우트리거(11)의 설치 위치에 신속하게 지지판(미도시)을 배치할 수 있어, 아우트리거(11)의 전개를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identify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outrigger 11 in advance, so that auxiliary personnel can quickly place a support plate (not shown) at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outrigger 11, so that the outrigger 11 can be deployed. It can be done quickly.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특수차에서 제1표시부 및 제2표시부의 동작 과정을 나타낸 예시도이다.6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 operation process of a first display unit and a second display unit in a special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함께 참조하면, 제2표시부(130)는 아우트리거(11)에 직접 배치되거나, 또는 아우트리거(11)와 인접한 차체에 배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together, the second display unit 130 may be directly disposed on the outrigger 11 or may be disposed on a vehicle body adjacent to the outrigger 11.

제2표시부(130)는 아우트리거(11)의 수직바(11b)의 하단이 지지되는 지면 상에 식별 마크(L)를 투영할 수 있다.The second display unit 130 may project the identification mark L on the ground on which the lower end of the vertical bar 11b of the outrigger 11 is supported.

제2표시부(130)는 라인 형상의 식별 마크(L)를 투영할 수 있는 레이저빔을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display unit 130 may include a laser beam capable of projecting the line-shaped identification mark L.

예컨대, 제2표시부(130)는 아우트리거(11)가 전개되어 지지되는 위치를 포함한 라인을 지면 상에 표시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second display unit 130 may display a line including a position at which the outrigger 11 is deployed and supported on the ground.

여기서, 라인 형상의 식별 마크(L)는 차체와 평행한 것이 바람직하다.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line-shaped identification mark L is parallel to the vehicle body.

이를 통해, 아우트리거(11)의 설치 위치에 이상 물체가 위치하여 아우트리거(11)의 전개가 불가능한 상황인지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어, 아우트리거(11)의 전개 과정에서 발생되는 불필요한 시간 소요를 방지할 수 있다.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easily identify whether an abnormal object is located at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outrigger 11 and it is impossible to deploy the outrigger 11, thereby reducing unnecessary time required during the deployment process of the outrigger 11 Can be prevented.

또한, 아우트리거(11)의 설치 위치를 미리 식별할 수 있어, 보조 요원이 아우트리거(11)의 설치 위치에 신속하게 지지판(미도시)을 배치할 수 있어, 아우트리거(11)의 전개를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identify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outrigger 11 in advance, so that auxiliary personnel can quickly place a support plate (not shown) at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outrigger 11, so that the outrigger 11 can be deployed. It can be done quickly.

한편, 제1표시부(120)의 점 형상의 식별 마크(P)는 외부 상황에 따라 식별성이 저하될 수 있으나, 제2표시부(130)의 라인 형상의 식별 마크(L)는 보다 식별성이 우수할 수 있어 외부 상황(예컨대, 야간)에서 보다 용이하게 식별하여 대처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identification mark (P) in the shape of a dot of the first display unit 120 may be deteriorated according to external circumstances, but the identification mark (L) in the line shape of the second display unit 130 may have better identification. It can be more easily identified and cope with external situations (eg, at night).

제2표시부(130)는 제1표시부(120)와 함께 동작하는 것이 정확한 아우트리거(11)의 설치 위치를 확인하는 측면에서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for the second display unit 130 to operate together with the first display unit 120 in terms of confirming the correct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outrigger 11.

한편, 도시하지 않았지만, 제2표시부(130)가 2개의 식별 마크(L)를 직교하는 형태로 지면 상에 투영할 수 있으며, 2개의 식별 마크(L)가 교차하는 지점을 아우트리거(11)의 설치 위치로 반영하는 것이 가능하다.Meanwhile, although not shown, the second display unit 130 may project the two identification marks L on the ground in a form orthogonal to each other, and the point where the two identification marks L intersect is the outrigger 11 It is possible to reflect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특수차에서 제2센서부의 동작 과정을 나타낸 예시도이다.7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 operation process of a second sensor unit in a special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함께 참조하면, 제2센서부(140)는 아우트리거(11)에 직접 배치되거나, 또는 아우트리거(11)와 인접한 차체에 배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together, the second sensor unit 140 may be directly disposed on the outrigger 11 or may be disposed on a vehicle body adjacent to the outrigger 11.

제2센서부(140)는 광각 카메라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아우트리거(11)가 전개되는 측면 영상과 후방 영상 및 전방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The second sensor unit 140 may be configured with a wide-angle camera or the like, and may acquire a side image, a rear image, and a front image in which the outrigger 11 is deployed.

예컨대, 제2센서부(140)는 어라운드뷰 카메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차량의 전방, 후방, 우측, 및 좌측에 각각에 설치되어, 차량의 전방, 후방, 좌측, 및 우측을 촬영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second sensor unit 140 may be configured as an around-view camera, and may be installed at each of the front, rear, right and left sides of the vehicle to take pictures of the front, rear, left, and right sides of the vehicle.

제2센서부(140)는 촬영된 전방 영상(21), 좌측 영상(22), 우측 영상(23) 및 후방 영상(24)을 제어부(150)에 전송할 수 있으며, 제어부(150)는 좌측 영상(22), 우측 영상(23) 및 후방 영상(24)을 조합하여 하나의 평면 영상(20)을 형성하고, 이 평면 영상(20)을 운전석의 화면 또는 보조 요원이 구비한 휴대용 단말의 화면에 띠울 수 있다.The second sensor unit 140 may transmit the captured front image 21, left image 22, right image 23, and rear image 24 to the controller 150, and the controller 150 (22), the right image 23 and the rear image 24 are combined to form a single plane image 20, and this plane image 20 is placed on the screen of the driver's seat or the screen of a portable terminal equipped with an assistant agent. It can be worn.

이로써, 운전 요원 또는 보조 요원은 특수차(1)의 전후좌우측면을 실시간으로 확인하며, 아우트리거(11) 전개 시 발생할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As a result, the driver or assistant can check the front, rear,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pecial vehicle 1 in real time, and solve problems that occur when the outrigger 11 is deployed.

제어부(150)는 제1센서부(110), 제1표시부(120), 제2표시부(130), 제2센서부(140) 및 구동부(1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ler 150 may control operations of the first sensor unit 110, the first display unit 120, the second display unit 130, the second sensor unit 140, and the driving unit 10.

도 8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특수차에서 아우트리거의 설치 위치 표시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예시도이다.8 to 11 are exemplary views sequentially showing a process of displaying an installation position of an outrigger in a special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 내지 도 11을 함께 참조하면, 제어부(150)는 제1센서부(110) 및 제2센서부(140)에서 센싱한 이상 물체 센싱 데이터를 기준으로, 제1표시부(120), 제2표시부(130), 제2센서부(140) 및 구동부(1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8 to 11 together, the control unit 150 is based on the abnormal object sensing data sensed by the first sensor unit 110 and the second sensor unit 140, the first display unit 120, the second Operations of the display unit 130, the second sensor unit 140, and the driving unit 10 may be controlled.

도 8 부터 순차적으로 살펴보면, 제어부(150)는 제1센서부(110)에서 센싱된 아우트리거(11)로부터 수평 방향의 거리가 기설정된 제1거리 값(D1) 이상인 경우, 아우트리거(11)의 수평바(11a)의 수평 방향의 전개에 부딪히거나 걸림이 되는 물체가 없다고 판단하고, 제1표시부(120), 제2표시부(130) 또는 제2센서부(140) 각각이 동작되도록 할 수 있다.Looking at sequentially from FIG. 8, when the distanc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from the outrigger 11 sensed by the first sensor unit 110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set first distance value D1, the outrigger 11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no object that collides or is jamm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horizontal bar 11a of the horizontal bar, and the first display unit 120, the second display unit 130, or the second sensor unit 140 are each operated. I can.

이후, 도 9를 참조하면, 제어부(150)는 제1표시부(120)를 통해, 아우트리거(11)가 전개되는 위치에 식별 마크(P)를 투영하여 식별 가능하도록 표시할 수 있다.Thereafter, referring to FIG. 9, the control unit 150 may project the identification mark P onto a position where the outrigger 11 is deployed through the first display unit 120 and display the identification mark P to be identified.

한편, 도시하지 않았지만 제어부(150)는 제2표시부(130) 또는 제2센서부(140)를 통해, 아우트리거(11)의 수평바(11a) 및 수직바(11b)가 전개되는 위치를 식별 가능하도록 표시 또는 실시간으로 제공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lthough not shown, the control unit 150 identifies the position at which the horizontal bar 11a and the vertical bar 11b of the outrigger 11 are deployed through the second display unit 130 or the second sensor unit 140 It can be displayed or provided in real time as possible.

이후, 도 10을 참조하면, 제어부(150)는 구동부(10)를 통해, 아우트리거(11)의 수평바(11a) 및 수직바(11b)의 전개하여, 설정된 지면(SP) 상에 아우트리거(11)가 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Thereafter, referring to FIG. 10, the control unit 150 expands the horizontal bar 11a and the vertical bar 11b of the outrigger 11 through the driving unit 10, and the outrigger on the set ground SP. (11) is to be supported.

한편, 도 11을 참조하면, 제어부(150)는 제1센서부(110)에서 센싱된 아우트리거(11)로부터 수평 방향의 거리(D2)가 기설정된 제1거리 값(D1) 미만인 경우, 아우트리거(11)의 수평바(11a)의 수평 방향의 전개에 걸림이 되는 이상 물체(30)가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1차적으로 해당 위치에서는 아우트리거(11)의 전개가 불가능하다는 에러 메시지를 운전석의 화면 또는 보조 요원이 구비한 휴대용 단말의 화면에 띠울 수 있다.Meanwhile, referring to FIG. 11, when the distance D2 in the horizontal direction from the outrigger 11 sensed by the first sensor unit 110 is less than a preset first distance value D1, the control unit 150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an abnormal object 30 that is obstruct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horizontal bar 11a of the trigger 11, and the driver's seat primarily displays an error message stating that the outrigger 11 cannot be deployed at the corresponding position. It can be displayed on the screen of a mobile device or a portable terminal equipped by an assistant agent.

이후, 특수차(1)의 위치를 이동하거나, 해당 이상 물체(30)의 위치를 이동한 경우, 제어부(150)는 제1센서부(110)를 재 동작하여 제1센서부(110)에서 센싱된 아우트리거(11)로부터 수평 방향의 거리가 기설정된 제1거리 값(D1) 이상인 경우, 아우트리거(11)의 수평바(11a)의 수평 방향의 전개에 부딪히거나 걸림이 되는 물체가 없다고 판단하고, 제1표시부(120), 제2표시부(130) 또는 제2센서부(140) 각각이 동작되도록 할 수 있다.Thereafter, when the position of the special vehicle 1 is moved or the position of the abnormal object 30 is moved, the control unit 150 operates the first sensor unit 110 again and the first sensor unit 110 When the horizontal distance from the sensed outrigger 11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set first distance value (D1), an object that collides with or is caught in the horizontal expansion of the horizontal bar 11a of the outrigger 11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no, and each of the first display unit 120, the second display unit 130, or the second sensor unit 140 may be operated.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특수차에서 제1센서부의 동작 과정을 나타낸 예시도이다.12 and 13 are exemplary views showing an operation process of a first sensor unit in a special vehic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특수차는 도 1에 따른 특수차에 비해 제1센서부(210)의 구성이 상이하다.12 and 13, a special vehic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different configuration of the first sensor unit 210 compared to the special vehicle according to FIG. 1.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특수차는 제1센서부(210)에 대해서만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a special vehic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only with respect to the first sensor unit 210.

제1센서부(210)는 아우트리거(11)에 직접 배치되거나, 또는 아우트리거(11)와 인접한 차체에 배치될 수 있다.The first sensor unit 210 may be directly disposed on the outrigger 11 or may be disposed on a vehicle body adjacent to the outrigger 11.

여기서, 제1센서부(210)는 수직 방향으로 복수개의 제1센서부(210a, 210b, 210c, 210d)가 상호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Here, in the first sensor unit 210, a plurality of first sensor units 210a, 210b, 210c, and 210d may b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 vertical direction.

제1센서부(210a, 210b, 210c, 210d) 각각은 거리 측정 센서로 아우트리거(11)로부터 수평 방향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Each of the first sensor units 210a, 210b, 210c, and 210d may measure a distanc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from the outrigger 11 by a distance measuring sensor.

여기서, 제1센서부(210a, 210b, 210c, 210d) 각각은 발광부와 수광부를 구비함으로써, 발광부는 레이저 광원일 수 있으며, 발광부에서 조사된 광원이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수광부에서 센싱하는 방식으로 거리를 측정할 수 있거나, 초음파를 발사한 후,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초음파를 수신하는 초음파 센서 등으로 변형되어 구현될 수 있다.Here, each of the first sensor units 210a, 210b, 210c, and 210d includes a light-emitting unit and a light-receiving unit, so that the light-emitting unit may be a laser light source, and the light source irradiated from the light-emitting unit is reflected and returned by sensing the light receiving unit. The distance may be measured, or may be implemented by being transformed into an ultrasonic sensor that receives ultrasonic waves reflected and returned after emitting ultrasonic waves.

이를 통해,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방향으로 배치된 복수의 제1센서부(210a, 210b, 210c, 210d) 각각은 해당 높이에서 아우트리거(11)로부터 수평 방향의 거리(D)를 측정하며, 아우트리거(11)의 수평바(11a)가 수평 방향으로 전개되는 공간(거리) 내에 이상 물체가 존재하는 지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Through this, as shown in FIGS. 12 and 13, each of the plurality of first sensor units 210a, 210b, 210c, and 210d disposed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a distance 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from the outrigger 11 at a corresponding height. ) Is measured, and whether or not an abnormal object exists in a space (distance) in which the horizontal bar 11a of the outrigger 11 is develop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can be sensed.

한편, 제어부(150)는 복수의 제1센서부(210a, 210b, 210c, 210d) 중 적어도 하나의 제1센서부(210c)에서 센싱된 아우트리거(11)로부터 수평 방향의 거리(D3)가 기설정된 제1거리 값(D1) 미만인 경우, 아우트리거(11)의 수평바(11a)의 수평 방향의 전개에 걸림이 되는 이상 물체(31)가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1차적으로 해당 위치에서는 아우트리거(11)의 전개가 불가능하다는 에러 메시지를 운전석의 화면 또는 보조 요원이 구비한 휴대용 단말의 화면에 띠울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unit 150 has a horizontal distance D3 from the outrigger 11 sensed by at least one of the first sensor units 210a, 210b, 210c, and 210d by the first sensor unit 210c. If it is less than the preset first distance value D1,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an abnormal object 31 that is obstruct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development of the horizontal bar 11a of the outrigger 11, and is primarily An error message indicating that the trigger 11 cannot be deployed may be displayed on a screen of a driver's seat or a screen of a portable terminal equipped by an assistant agent.

이후, 특수차(1)의 위치를 이동하거나, 해당 이상 물체(30)의 위치를 이동한 경우, 제어부(150)는 제1센서부(210)를 재 동작하여 제1센서부(210)에서 센싱된 아우트리거(11)로부터 수평 방향의 거리가 기설정된 제1거리 값(D1) 이상인 경우, 아우트리거(11)의 수평바(11a)의 수평 방향의 전개에 부딪히거나 걸림이 되는 물체가 없다고 판단하고, 제1표시부(120), 제2표시부(130) 또는 제2센서부(140) 각각이 동작되도록 할 수 있다.Thereafter, when the position of the special vehicle 1 is moved or the position of the abnormal object 30 is moved, the control unit 150 operates the first sensor unit 210 again and the first sensor unit 210 When the horizontal distance from the sensed outrigger 11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set first distance value (D1), an object that collides with or is caught in the horizontal expansion of the horizontal bar 11a of the outrigger 11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no, and each of the first display unit 120, the second display unit 130, or the second sensor unit 140 may be operated.

도 14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특수차에서 제1센서부의 동작 과정을 나타낸 예시도이다.14 to 16 are exemplary views showing an operation process of a first sensor unit in a special vehic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특수차는 제1센서부(310)에 대해서만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the special vehic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only with respect to the first sensor unit 310.

제1센서부(310)는 아우트리거(11)에 직접 배치되거나, 또는 아우트리거(11)와 인접한 차체에 배치될 수 있다.The first sensor unit 310 may be directly disposed on the outrigger 11 or may be disposed on a vehicle body adjacent to the outrigger 11.

여기서, 제1센서부(310)는 수직 방향으로 배치된 가이드 부재(311)와 가이드 부재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한 제1센서(311)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first sensor unit 310 may include a guide member 311 disposed in a vertical direction and a first sensor 311 that is movable in a vertical direction along the guide member.

가이드 부재(311)는 물체를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레일 또는 랙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guide member 311 may be configured as a rail or rack capable of moving an object in one direction or another direction.

제1센서(311)는 가이드 부재(311)를 따라 상부 방향 또는 하부 방향으로 왕복 직선 운동하도록 가이드 부재(311)에 배치될 수 있다.The first sensor 311 may be disposed on the guide member 311 to reciprocate linearly in an upper direction or a lower direction along the guide member 311.

제1센서(311)는 거리 측정 센서로 아우트리거(11)로부터 수평 방향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The first sensor 311 is a distance measuring sensor and may measure a distanc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from the outrigger 11.

여기서, 제1센서(311)는 발광부와 수광부를 구비함으로써, 발광부는 레이저 광원일 수 있으며, 발광부에서 조사된 광원이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수광부에서 센싱하는 방식으로 거리를 측정할 수 있거나, 초음파를 발사한 후,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초음파를 수신하는 초음파 센서 등으로 변형되어 구현될 수 있다.Here, the first sensor 311 is provided with a light-emitting unit and a light-receiving unit, so that the light-emitting unit may be a laser light source, and the distance can be measured by sensing at the light-receiving unit that is reflected and returned from the light source. After firing, it may be transformed into an ultrasonic sensor that receives the reflected and returned ultrasonic waves.

이를 통해, 도 14 내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배치된 제1센서(311)는 선택된 범위의 높이에서 아우트리거(11)로부터 수평 방향의 거리(D)를 측정하며, 아우트리거(11)의 수평바(11a)가 수평 방향으로 전개되는 공간(거리) 내에 이상 물체가 존재하는 지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Through this, the first sensor 311 disposed to be mov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as shown in FIGS. 14 to 16 measures the distance 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from the outrigger 11 at the height of the selected range, It is possible to sense whether an abnormal object exists in a space (distance) in which the horizontal bar 11a of the outrigger 11 is develop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한편, 제어부(150)는 제1센서(311)가 수직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는 과정에서 센싱된 아우트리거(11)로부터 수평 방향의 거리(D4)가 기설정된 제1거리 값(D1) 미만인 경우, 아우트리거(11)의 수평바(11a)의 수평 방향의 전개에 걸림이 되는 이상 물체(32)가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1차적으로 해당 위치에서는 아우트리거(11)의 전개가 불가능하다는 에러 메시지를 운전석의 화면 또는 보조 요원이 구비한 휴대용 단말의 화면에 띠울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first sensor 311 reciprocates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horizontal distance D4 from the sensed outrigger 11 is less than a preset first distance value D1,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an abnormal object 32 that is obstruct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development of the horizontal bar 11a of the outrigger 11, and an error message indicating that the outrigger 11 cannot be deployed at the corresponding position is primarily displayed. It can be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driver's seat or the screen of a portable terminal equipped by an assistant agent.

이후, 특수차(1)의 위치를 이동하거나, 해당 이상 물체(32)의 위치를 이동한 경우, 제어부(150)는 제1센서(311)를 재 동작하여 제1센서(311)에서 센싱된 아우트리거(11)로부터 수평 방향의 거리가 기설정된 제1거리 값(D1) 이상인 경우, 아우트리거(11)의 수평바(11a)의 수평 방향의 전개에 부딪히거나 걸림이 되는 물체가 없다고 판단하고, 제1표시부(120), 제2표시부(130) 또는 제2센서부(140) 각각이 동작되도록 할 수 있다.Thereafter, when the position of the special vehicle 1 is moved or the position of the abnormal object 32 is moved, the control unit 150 re-operates the first sensor 311 to be sensed by the first sensor 311. When the horizontal distance from the outrigger 11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preset first distance value (D1),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no object that collides with or interferes with the horizontal expansion of the horizontal bar 11a of the outrigger 11 And, each of the first display unit 120, the second display unit 130, or the second sensor unit 140 may be operated.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나타내어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다양한 다른 조합, 변경 및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의 개념의 범위, 저술한 개시 내용과 균등한 범위 및/또는 당업계의 기술 또는 지식의 범위내에서 변경 또는 수정이 가능하다. 저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최선의 상태를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적용 분야 및 용도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변경도 가능하다. 따라서 이상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개시된 실시 상태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또한 첨부된 청구범위는 다른 실시 상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detailed description above is to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he above description shows and describes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in various other combinations, modifications and environments. That is, changes or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in the scope of the concept of the invention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cope equivalent to the disclosed contents, and/or the skill or knowledge of the ar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describe the best state for implementing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changes required in the specific application fields and us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ossible. Therefore,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o the disclosed embodiment. In addition, the appended claims should be construed as including other embodiments.

110: 제1센서부 120: 제1표시부
130: 제2표시부 140: 제2센서부
150: 제어부
110: first sensor unit 120: first display unit
130: second display unit 140: second sensor unit
150: control unit

Claims (7)

차체;
차체의 양측으로 전개되며, 수평바와 수직바를 포함하는 적어도 한 쌍의 아우트리거;
상기 아우트리거를 구동하는 구동부;
상기 아우트리거의 전개 공간 내 이상 물체를 센싱하는 센서부;
지면 상에서 상기 아우트리거의 설치 위치에 식별 마크를 투영하는 표시부; 및
상기 센서부에서 센싱한 이상 물체 센싱 데이터를 기준으로, 상기 표시부 및 상기 구동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특수차.
Car body;
At least a pair of outriggers that are deployed to both sides of the vehicle body and include a horizontal bar and a vertical bar;
A driving unit driving the outrigger;
A sensor unit sensing an abnormal object in the deployment space of the outrigger;
A display unit for projecting an identification mark on the ground at an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outrigger; And
A control unit controlling operations of the display unit and the driving unit based on the abnormal object sensing data sensed by the sensor unit; Special car including a.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수평바의 수평 방향의 전개 공간 내 이상 물체를 센싱하는 제1센서부; 및
상기 아우트리거의 전개 공간을 촬영하여,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는 제2센서부; 를 포함하는 특수차.
The method of claim 1,
The sensor unit
A first sensor unit for sensing an abnormal object in a space of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horizontal bar; And
A second sensor unit for obtaining image data by photographing the deployment space of the outrigger; Special car including a.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센서부는 거리 측정 센서인 특수차.
The method of claim 2,
The first sensor unit is a distance measuring sensor special vehicl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센서부에서 측정된 상기 아우트리거의 수평 방향의 거리 값이 기 설정된 제1거리 값 미만인 경우, 상기 아우트리거의 전개 공간 내에서 이상 물체가 배치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표시부 및 상기 구동부의 동작을 억제하는 특수차.
The method of claim 3,
When the distance valu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outrigger measured by the first sensor unit is less than a preset first distance value, the control unit determines that an abnormal object is disposed within the deployment space of the outrigger, and the display unit and the A special vehicle that suppresses the operation of the drive unit.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센서부는 상기 아우트리거와 인접한 차체 또는 상기 아우트리거의 수직바 상에 수직 방향으로 복수 개가 이격되어 배치되는 특수차.
The method of claim 4,
The first sensor unit is a vehicle body adjacent to the outrigger or on a vertical bar of the outrigger, a plurality of vertically spaced apart from a special vehicl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센서부는 상기 아우트리거와 인접한 차체 또는 상기 아우트리거의 수직바 상에 배치되며, 수직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특수차.
The method of claim 4,
The first sensor unit is disposed on a vehicle body adjacent to the outrigger or on a vertical bar of the outrigger, and is movable in a vertical direc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지면 상에서 상기 아우트리거의 설치 위치에 점 형상의 식별 마크를 투영하는 제1표시부 또는
지면 상에서 상기 아우트리거의 설치 위치에 라인 형상의 식별 마크를 투영하는 제2표시부를 포함하는 특수차.
The method of claim 1,
The display unit
A first display unit that projects a point-shaped identification mark on the ground at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outrigger or
A special vehicle comprising a second display unit for projecting a line-shaped identification mark on the ground at an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outrigger.
KR1020190021932A 2019-02-25 2019-02-25 Special vehicle capable of displaying outrigger installation position KR10218418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1932A KR102184187B1 (en) 2019-02-25 2019-02-25 Special vehicle capable of displaying outrigger installation posi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1932A KR102184187B1 (en) 2019-02-25 2019-02-25 Special vehicle capable of displaying outrigger installation posi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3433A true KR20200103433A (en) 2020-09-02
KR102184187B1 KR102184187B1 (en) 2020-11-27

Family

ID=724498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1932A KR102184187B1 (en) 2019-02-25 2019-02-25 Special vehicle capable of displaying outrigger installation posi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4187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34129A1 (en) * 2022-08-12 2024-02-15 株式会社モリタホールディングス Display unit-equipped operation vehicl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1700U (en) * 1993-09-24 1995-04-21 株式会社アイチコーポレーション Outrigger jack overhang device
JP2014237430A (en) * 2013-05-07 2014-12-18 イフェコ マギルス アーゲー Utility vehicle with assistance system for positioning lateral ground support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1700U (en) * 1993-09-24 1995-04-21 株式会社アイチコーポレーション Outrigger jack overhang device
JP2014237430A (en) * 2013-05-07 2014-12-18 イフェコ マギルス アーゲー Utility vehicle with assistance system for positioning lateral ground support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34129A1 (en) * 2022-08-12 2024-02-15 株式会社モリタホールディングス Display unit-equipped operation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4187B1 (en) 2020-1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51371C2 (en) Utility vehicle with assistance system for positioning lateral ground supports
US9336660B2 (en) Overhead hazard warning systems
JP5002756B2 (en) In-vehicle remote inspection device
US5361217A (en) Position measuring/plotting apparatus
JP2001289638A (en) Mobile working equipment
US11913775B2 (en) Intra-hoistway measurement system
KR101402881B1 (en) A locating machine of outrigger for industrial construction vehicle
JP6830584B2 (en) Building inspection robot
KR102184187B1 (en) Special vehicle capable of displaying outrigger installation position
ES2964753T3 (en) Procedure to monitor at least one crane
KR102004261B1 (en) Safety device for high work place platform and work safety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ing the same
KR102212413B1 (en) Multipurpose smart warning lighting appat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2237088B1 (en) Smart tower and safety solution system including the same
KR101270998B1 (en) Vehicle provided with aerial ladder
WO2020244010A1 (en) Crane boom apparatus, and safety early-warning device and method for crane boom apparatus
CN212503672U (en) Monitoring system for erecting hard cross beam of overhead contact system of electrified railway based on BIM technology
KR20230078189A (en) Safety Tower Crane
JP2018039074A (en) Attic inspection method of architectural structure
KR102046812B1 (en) Installation point measuring instrument for spring cooler injection nozzle
CN111359126A (en) Rescue fire-extinguishing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21017790A (en) Support construction method and support construction system
KR102260353B1 (en) Multipurpose smart warning lighting appatatus
KR102547368B1 (en) Robot for anchor installation
CN220485177U (en) Safety monitoring equipment of tower crane
KR100625092B1 (en) Automatic safety extent designating system for ladder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