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2582A - 전동공구 - Google Patents
전동공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00102582A KR20200102582A KR1020190020499A KR20190020499A KR20200102582A KR 20200102582 A KR20200102582 A KR 20200102582A KR 1020190020499 A KR1020190020499 A KR 1020190020499A KR 20190020499 A KR20190020499 A KR 20190020499A KR 20200102582 A KR20200102582 A KR 2020010258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ool
- lever
- power
- battery
- main body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F—COMBINATION OR MULTI-PURPOSE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TAILS OR COMPONENTS OF PORTABLE POWER-DRIVEN TOOLS NOT PARTICULARLY RELATED TO THE OPERATIONS PERFORMED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F5/00—Details or components of portable power-driven tools not particularly related to the operations performed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7/00—Arrangements for regulating or controlling the speed or torque of electric DC mo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rtable Power Tool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동공구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전동공구를 이루는 본체의 일부에(예컨대, 공구레버의 주변에), 공구 컨트롤러와 통신하는 동작 스위치를 추가 설치하는 조치>, <공구레버와 함께, 동작 스위치가 추가 설치된 상황 하에서, 동작레버 및 동작 스위치가 모두 눌리는 경우에만, 모터를 구동시키는 조치> 등을 유연하게 취하고, 이를 통해, 공구 컨트롤러 측에서, 공구 사용자의 오 조작 등의 원인으로 인하여, 공구레버가 잘못 눌리게 되더라도, 동작 스위치가 함께 눌리지 않는 한, 전동공구의 불필요한 피삭물 가공/피삭 절차를 진행시키지 않도록 유도함으로써, 결국, 공구 사용자 측에서, 전동공구의 오동작에 따른 심각한 피해를 손쉽게 회피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함은 물론, 공구 생산주체 측에서도, 자사 제품의 경쟁력 저하에 따른 심각한 피해를 손쉽게 회피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전동공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동공구를 이루는 본체의 일부에(예컨대, 공구레버의 주변에), 공구 컨트롤러와 통신하는 동작 스위치를 추가 설치하는 조치>, <공구레버와 함께, 동작 스위치가 추가 설치된 상황 하에서, 동작레버 및 동작 스위치가 모두 눌리는 경우에만, 모터를 구동시키는 조치> 등을 유연하게 취하고, 이를 통해, 공구 컨트롤러 측에서, 공구 사용자의 오 조작 등의 원인으로 인하여, 공구레버가 잘못 눌리게 되더라도, 동작 스위치가 함께 눌리지 않는 한, 전동공구의 불필요한 피삭물 가공/피삭 절차를 진행시키지 않도록 유도함으로써, 결국, 공구 사용자 측에서, 전동공구의 오동작에 따른 심각한 피해를 손쉽게 회피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함은 물론, 공구 생산주체 측에서도, 자사 제품의 경쟁력 저하에 따른 심각한 피해를 손쉽게 회피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할 수 있는 전동공구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동공구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면서, 다양한 기능을 구비한 전동공구 제품들이 폭 넓게 개발/보급되고 있다.
예를 들어, 일본공개특허 특개2016-168643(명칭: 전동 공구)(2016.09.23.자 공개), 대한민국공개실용신안 제20-2010-1648호(명칭: 전동공구용 과부하 제한장치)(2010.2.17.자 공개),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6-146052호(명칭: 과부하 경고수단을 구비한 휴대용 전동공구)(2016.12.21.자 공개),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0-12975호(명칭: 전동공구의 절삭부하 표시 및 과부하 차단장치)(2000.3.6.자 공개) 등에는 이러한 종래의 기술에 따른 전동공구 제품들의 일례가 좀더 상세하게 개시되어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전동공구(1)는 본체(2)와, 본체(2)에 설치되면서, 예를 들어, <공구레버(5)의 동작절차>, <모터(7)의 동작절차>, <기어부(6)의 동작절차>, <배터리(3)를 통한 전원의 공급절차> 등을 전체적으로 총괄 제어하는 공구 컨트롤러(4)와, 이 공구 컨트롤러(4)에 의해 제어되면서, 배터리(3)로부터 공급된 전원을 기반으로 하여, 선단공구 장착부(8)와 연결된 출력축(도시 안됨)으로 일련의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모터(7)와, 모터(7)와 연결되면서, 모터(7)로부터 전달받은 회전력을 가/감한 후, 가/감된 회전력을 출력축으로 전달하는 기어부(6) 등이 체계적으로 조합된 구성을 취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배터리(3)는 두 개가 하나의 쌍을 이루는 듀얼 타입을 형성하게 된다.
이때, 선단공구 장착부(8)에는 피삭물을 가공/피삭하기 위한 선단공구(예컨대, 드라이버, 비트 등)가 추가 장착된다(물론, 이러한 전동공구(1)의 구성은 상황에 따라 다양한 변형을 이룰 수 있다).
이러한 종래의 체제 하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공구 컨트롤러(4) 측에서는 공구 사용자가 공구레버(5)를 누르게 되면, 일련의 제어신호를 통해 모터(7), 기어부(6) 등을 제어함으로써, 전동공구(1)를 통한 피삭물의 가공/피삭 절차가 개시될 수 있도록 유도하게 된다.
그러나, 이 상황 하에서, 공구 사용자의 오 조작 등의 원인으로 인하여, 공구레버(5)가 잘못 눌리게 되는 경우, 공구 컨트롤러(4) 측에서는 해당 상황을 전혀 인지하지 못한 체, 모터(7), 기어부(6) 등을 무모하게 제어하여, 전동공구(1)를 통한 피삭물의 가공/피삭 절차를 그대로 진행할 수밖에 없게 되며, 결국, 공구 사용자 측에서는 그에 상응하는 여러 가지 심각한 피해를 고스란히 감수할 수밖에 없게 된다.
물론, 이러한 피해 상황 하에서, 공구 사용자의 전동공구 사용효율은 크게 저하될 수밖에 없게 되며, 결국, 별다른 조치가 취해지지 않는 한, 공구 생산주체 측에서는 자사 제품의 경쟁력이 크게 저하되는 피해를 고스란히 감수할 수밖에 없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동공구를 이루는 본체의 일부에(예컨대, 공구레버의 주변에), 공구 컨트롤러와 통신하는 동작 스위치를 추가 설치하는 조치>, <공구레버와 함께, 동작 스위치가 추가 설치된 상황 하에서, 동작레버 및 동작 스위치가 모두 눌리는 경우에만, 모터를 구동시키는 조치> 등을 유연하게 취하고, 이를 통해, 공구 컨트롤러 측에서, 공구 사용자의 오 조작 등의 원인으로 인하여, 공구레버가 잘못 눌리게 되더라도, 동작 스위치가 함께 눌리지 않는 한, 전동공구의 불필요한 피삭물 가공/피삭 절차를 진행시키지 않도록 유도함으로써, 결국, 공구 사용자 측에서, 전동공구의 오동작에 따른 심각한 피해를 손쉽게 회피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함은 물론, 공구 생산주체 측에서도, 자사 제품의 경쟁력 저하에 따른 심각한 피해를 손쉽게 회피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과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동작레버 및 듀얼 타입(Dual type)의 배터리를 구비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 내에 내장되는 모터와; 상기 모터를 구동하는 공구 컨트롤러와; 상기 본체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공구 컨트롤러와 통신하는 동작 스위치를 포함하며, 상기 공구 컨트롤러는 상기 동작레버 및 동작 스위치가 모두 눌리는 경우에만, 상기 모터를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공구를 개시한다.
이때, 상기 본체 내에는, 상기 동작레버 및 동작 스위치, 그리고, 상기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상기 동작레버 및 동작 스위치가 눌려지고, 상기 배터리가 상기 본체에 장착된 경우, 턴-온 상태를 이루어, 상기 공구 컨트롤러 측으로 상기 배터리 측 전원이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전원공급 스위치가 내장된다.
이 상황 하에서, 상기 공구 컨트롤러 측에서는 상기 전원공급 스위치의 턴-온 동작에 의해, 상기 배터리 측 전원이 공급되는 경우, 상기 동작레버의 작동상태, 상기 동작 스위치의 작동상태, 상기 배터리의 장착상태, 또는, 상기 배터리의 잔량상태가 반영된 공구현황 알림메시지를 생성하고, 생성된 공구현황 알림메시지를 상기 본체에 구비된 표시 윈도우를 통해 출력 처리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전동공구를 이루는 본체의 일부에(예컨대, 공구레버의 주변에), 공구 컨트롤러와 통신하는 동작 스위치를 추가 설치하는 조치>, <공구레버와 함께, 동작 스위치가 추가 설치된 상황 하에서, 동작레버 및 동작 스위치가 모두 눌리는 경우에만, 모터를 구동시키는 조치> 등을 유연하게 취하기 때문에, 본 발명의 구현환경 하에서, 공구 컨트롤러 측에서는, 공구 사용자의 오 조작 등의 원인으로 인하여, 공구레버가 잘못 눌리게 되더라도, 동작 스위치가 함께 눌리지 않는 한, 전동공구의 불필요한 피삭물 가공/피삭 절차를 진행시키지 않게 되며, 결국, 공구 사용자 측에서는, 전동공구의 오동작에 따른 심각한 피해를 손쉽게 회피할 수 있게 되고, 나아가, 공구 생산주체 측에서도, 자사 제품의 경쟁력 저하에 따른 심각한 피해를 손쉽게 회피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전동공구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공구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공구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동공구를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동공구(11)는 본체(12)와, 본체(12)에 설치되면서, 예를 들어, <공구레버(15)의 동작절차>, <모터(17)의 동작절차>, <기어부(16)의 동작절차>, <배터리(13)를 통한 전원의 공급절차> 등을 전체적으로 총괄 제어하는 공구 컨트롤러(14)와, 이 공구 컨트롤러(14)에 의해 제어되면서, 배터리(13)로부터 공급된 전원을 기반으로 하여, 선단공구 장착부(18)와 연결된 출력축(도시 안됨)으로 일련의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모터(17)와, 모터(17)와 연결되면서, 모터(17)로부터 전달받은 회전력을 가/감한 후, 가/감된 회전력을 출력축으로 전달하는 기어부(16) 등이 체계적으로 조합된 구성을 취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배터리(13)는 두 개가 하나의 쌍을 이루는 듀얼 타입을 형성하게 된다.
이때, 선단공구 장착부(8)에는 피삭물을 가공/피삭하기 위한 선단공구(예컨대, 드라이버, 비트 등)가 추가 장착된다(물론, 이러한 전동공구(1)의 구성은 상황에 따라 다양한 변형을 이룰 수 있다).
한편, 이러한 본 발명의 체제 하에서도, 상술한 바와 같이, 공구 컨트롤러(14) 측에서는 공구 사용자가 공구레버(15)를 누르게 되면, 일련의 제어신호를 통해 모터(17), 기어부(16) 등을 제어함으로써, 전동공구(11)를 통한 피삭물의 가공/피삭 절차가 개시될 수 있도록 유도하게 된다.
그러나, 이 상황 하에서도, 별다른 조치가 취해지지 않으면, 공구 사용자의 오 조작 등의 원인으로 인하여, 공구레버(15)가 잘못 눌리게 되는 경우, 공구 컨트롤러(14) 측에서는 해당 상황을 전혀 인지하지 못한 체, 모터(17), 기어부(16) 등을 무모하게 제어하여, 전동공구(11)를 통한 피삭물의 가공/피삭 절차를 그대로 진행할 수밖에 없게 되며, 결국, 공구 사용자 측에서는 그에 상응하는 여러 가지 심각한 피해를 고스란히 감수할 수밖에 없게 된다.
이러한 민감한 상황 하에서, 본 발명에서는 <전동공구(11)를 이루는 본체(12)의 일부에(예컨대, 공구레버(15)의 주변에), 공구 컨트롤러(14)와 통신하는 동작 스위치(20)를 추가 설치하는 조치를 강구하게 된다.
이처럼, 전동공구(11)를 이루는 본체(12)의 일부에(예컨대, 공구레버(15)의 주변에), 공구 컨트롤러(14)와 통신하는 동작 스위치(20)가 추가 설치되는 환경 하에서, 공구 컨트롤러(14) 측에서는 동작레버(15) 및 동작 스위치(20)가 모두 눌리는 경우에만, 모터(17), 기어부(16) 등을 제어하여, 전동공구(11)를 통한 피삭물의 가공/피삭 절차를 진행하는 독특한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즉, 본 발명의 체제 하에서, 공구 컨트롤러(14) 측에서는 동작레버(15)만 눌리거나, 동작 스위치(20)만 눌리는 경우에는 전동공구(11)를 통한 피삭물의 가공/피삭 절차를 진행하지 아니하고, 오로지, 동작레버(15) 및 동작 스위치(20)가 모두 눌리는 경우에만, 모터(17), 기어부(16) 등을 제어하여, 전동공구(11)를 통한 피삭물의 가공/피삭 절차를 진행하게 되는 것이다.
물론, 이러한 본 발명의 독특한 조치 하에서, 공구 사용자 측에서는, 자신의 오 조작 등의 원인으로 인하여, 공구레버(15)가 잘못 눌리게 되더라도, 그에 상응하는 피해를 손쉽게 회피할 수 있게 되며, 결국, 전체적인 전동공구의 사용효율이 크게 향상되는 이점을 폭 넓게 향유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전동공구(11)를 이루는 본체(12)의 일부에(예컨대, 공구레버(15)의 주변에), 공구 컨트롤러(14)와 통신하는 동작 스위치(20)를 추가 설치하는 조치>, <공구레버(15)와 함께, 동작 스위치(20)가 추가 설치된 상황 하에서, 동작레버(15) 및 동작 스위치(20)가 모두 눌리는 경우에만, 모터(17)를 구동시키는 조치> 등을 유연하게 취하기 때문에, 본 발명의 구현환경 하에서, 공구 컨트롤러(14) 측에서는, 공구 사용자의 오 조작 등의 원인으로 인하여, 공구레버(15)가 잘못 눌리게 되더라도, 동작 스위치(20)가 함께 눌리지 않는 한, 전동공구(11)의 불필요한 피삭물 가공/피삭 절차를 진행시키지 않게 되며, 결국, 공구 사용자 측에서는, 전동공구(11)의 오동작에 따른 심각한 피해를 손쉽게 회피할 수 있게 되고, 나아가, 공구 생산주체 측에서도, 자사 제품의 경쟁력 저하에 따른 심각한 피해를 손쉽게 회피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전동공구(11)의 본체(12) 내에는 상기 동작레버(15) 및 동작 스위치(20), 그리고, 상기 배터리(13)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상기 동작레버(15) 및 동작 스위치(20)가 눌려지고, 상기 배터리(13)가 상기 본체(12)에 장착된 경우, 일련의 턴-온 상태를 이룸으로써, 상기 공구 컨트롤러(14) 측으로 상기 배터리(13) 측 전원이 공급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전원공급 스위치(21)가 추가로 내장된다.
이 상황 하에서, 상기 공구 컨트롤러(14) 측에서는 상기 전원공급 스위치(21)의 턴-온 동작에 의해, 상기 배터리(13) 측 전원이 공급되는 경우, 일련의 정보체크루틴을 통해, 상기 동작레버(15)의 작동상태, 상기 동작 스위치(20)의 작동상태, 상기 배터리(13)의 장착상태, 상기 배터리(13)의 잔량상태 등을 체크한 후, 일련의 정보생성루틴을 진행시켜, 상기 동작 스위치(20)의 작동상태, 상기 배터리(13)의 장착상태, 상기 배터리(13)의 잔량상태 등이 반영된 공구현황 알림메시지(예컨대, 불빛 메시지, 문자메시지, 그림 메시지, 표 메시지 등)를 생성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
이렇게 하여, 상기 동작 스위치(20)의 작동상태, 상기 배터리(13)의 장착상태, 상기 배터리(13)의 잔량상태 등이 반영된 공구현황 알림메시지(예컨대, 불빛 메시지, 문자메시지, 그림 메시지, 표 메시지 등)가 생성 완료되면, 공구 컨트롤러(14) 측에서는 일련의 정보출력루틴을 통해, 생성 완료된 공구현황 알림메시지(예컨대, 불빛 메시지, 문자메시지, 그림 메시지, 표 메시지 등)를 본체(12)에 구비된 표시 윈도우(22)를 통해 출력 처리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
물론, 이러한 전원공급 스위치(21), 공구 컨트롤러(14) 등의 연계 동작에 의해, 동작 스위치(20)의 작동상태, 상기 배터리(13)의 장착상태, 상기 배터리(13)의 잔량상태 등이 반영된 공구현황 알림메시지(예컨대, 불빛 메시지, 문자메시지, 그림 메시지, 표 메시지 등)가 표시 윈도우(22)를 통해 출력되는 경우, 공구 사용자 측에서는 상기 전동공구 사고방지 이점 이외에도, 동작 스위치(20)의 작동상태, 상기 배터리(13)의 장착상태, 상기 배터리(13)의 잔량상태 등을 일목 요연하게 신속/파악할 수 있는 이점을 폭 넓게 향유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은 특정 분야에 국한되지 아니하며, 여러 종류의 공업용 공구에서, 전반적으로 유용한 효과를 발휘한다.
그리고,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 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이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가능성이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 안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1,11: 전동공구
2,12: 본체
3,13: 배터리
4,14: 공구 컨트롤러
5,15: 동작레버
6,16: 기어부
7,17: 모터
8,18: 선단공구 장착부
20: 동작 스위치
21: 전원공급 스위치
22: 표시 윈도우
2,12: 본체
3,13: 배터리
4,14: 공구 컨트롤러
5,15: 동작레버
6,16: 기어부
7,17: 모터
8,18: 선단공구 장착부
20: 동작 스위치
21: 전원공급 스위치
22: 표시 윈도우
Claims (3)
- 동작레버 및 듀얼 타입(Dual type)의 배터리를 구비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 내에 내장되는 모터와;
상기 모터를 구동하는 공구 컨트롤러와;
상기 본체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공구 컨트롤러와 통신하는 동작 스위치를 포함하며,
상기 공구 컨트롤러는 상기 동작레버 및 동작 스위치가 모두 눌리는 경우에만, 상기 모터를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공구.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내에 내장되며, 상기 동작레버 및 동작 스위치, 그리고, 상기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상기 동작레버 및 동작 스위치가 눌려지고, 상기 배터리가 상기 본체에 장착된 경우, 턴-온 상태를 이루어, 상기 공구 컨트롤러 측으로 상기 배터리 측 전원이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전원공급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공구.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공구 컨트롤러 측에서는 상기 전원공급 스위치의 턴-온 동작에 의해, 상기 배터리 측 전원이 공급되는 경우, 상기 동작레버의 작동상태, 상기 동작 스위치의 작동상태, 상기 배터리의 장착상태, 또는, 상기 배터리의 잔량상태가 반영된 공구현황 알림메시지를 생성하고, 생성된 공구현황 알림메시지를 상기 본체에 구비된 표시 윈도우를 통해 출력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공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20499A KR20200102582A (ko) | 2019-02-21 | 2019-02-21 | 전동공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20499A KR20200102582A (ko) | 2019-02-21 | 2019-02-21 | 전동공구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102582A true KR20200102582A (ko) | 2020-09-01 |
Family
ID=724508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20499A KR20200102582A (ko) | 2019-02-21 | 2019-02-21 | 전동공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00102582A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00012975A (ko) | 2008-07-30 | 2010-02-09 | 삼성전자주식회사 | 반도체 메모리 장치 |
KR20100001648U (ko) | 2008-08-06 | 2010-02-17 | 김학구 | 전동공구용 과부하 제한장치 |
JP2016168643A (ja) | 2015-03-12 | 2016-09-23 |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 電動工具 |
KR20160146052A (ko) | 2015-06-11 | 2016-12-21 | 주식회사 아임삭 | 과부하 경고수단을 구비한 휴대용 전동공구 |
-
2019
- 2019-02-21 KR KR1020190020499A patent/KR20200102582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00012975A (ko) | 2008-07-30 | 2010-02-09 | 삼성전자주식회사 | 반도체 메모리 장치 |
KR20100001648U (ko) | 2008-08-06 | 2010-02-17 | 김학구 | 전동공구용 과부하 제한장치 |
JP2016168643A (ja) | 2015-03-12 | 2016-09-23 |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 電動工具 |
KR20160146052A (ko) | 2015-06-11 | 2016-12-21 | 주식회사 아임삭 | 과부하 경고수단을 구비한 휴대용 전동공구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1825964B1 (en) | Electric power tool | |
US9492921B2 (en) | Robot controller having detachable teaching pendant | |
CN101633057B (zh) | 钻孔机和用于控制钻孔机的方法 | |
EP1219751A4 (en) | HYBRID BUILDING MACHINE AND CONTROL DEVICE FOR THIS CONSTRUCTION MACHINE | |
US9230761B2 (en) | Emergency stop system for a hybrid excavator | |
EP2674260B1 (en) | Electric tool | |
WO2016006423A1 (ja) | 機械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遠隔操作装置および主操作装置 | |
CN103522262A (zh) | 用电池运行的手持式设备的控制 | |
EP3552768A1 (en) | Power tool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power tool | |
JP2008173714A (ja) | 電動工具 | |
US20130341058A1 (en) | Power tool | |
JP2002224972A (ja) | 内部発熱温度検知機能を備えた電動回転工具 | |
KR20200102582A (ko) | 전동공구 | |
KR20180039796A (ko) | 과부하 조건 하에서 자동정지 기능을 제공하는 전동공구 | |
CN111745604B (zh) | 电源供给装置、电动作业机系统 | |
CN210246640U (zh) | 一种三相电输入稳定型固态继电器模块 | |
JP2008183689A (ja) | 電動工具 | |
CN105553228A (zh) | 机器人 | |
KR102340675B1 (ko) | 전동공구 | |
CN210476387U (zh) | 防断刀系统 | |
CN218161778U (zh) | 一种用于切割机的保护装置 | |
US20050052083A1 (en) | Method for identifying faulty antivalent key or switch signals | |
KR20240139620A (ko) | 전동공구 동작제어장치 | |
CN112952759A (zh) | 上电保护电路及电动工具 | |
US12036655B2 (en) | Electric working machin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