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2290A - 조경용 돌망태에 구비되는 배부름 방지구 - Google Patents

조경용 돌망태에 구비되는 배부름 방지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2290A
KR20200102290A KR1020190020749A KR20190020749A KR20200102290A KR 20200102290 A KR20200102290 A KR 20200102290A KR 1020190020749 A KR1020190020749 A KR 1020190020749A KR 20190020749 A KR20190020749 A KR 20190020749A KR 20200102290 A KR20200102290 A KR 202001022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bion
hook
grid
rotation shaft
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07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우형
김영오
임연국
김모아
육아름
Original Assignee
지평토건(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평토건(주) filed Critical 지평토건(주)
Priority to KR10201900207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02290A/ko
Publication of KR202001022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229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08Gab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3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having at least a mesh por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돌이나 자갈 등의 채움재가 수납되는 돌망태에 구비되어 배부름 을 방지하는 지지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축물 벽체나 콘크리트 구조물 등의 외측에 지지프레임을 설치하고 그 외부면에 채움재를 채운 돌망태를 설치하여 외벽이 형성되는 개비온 벽체에 있어, 상기 돌망태는 다수의 설치로드를 이용해 가로와 세로로 엮어 격자를 형성되는 전면부와 후면부, 양측면부 및 상하면부의 육면체로 이루어지며, 이들이 서로 대향하는 면부 사이에 각각의 설치로드를 그 중앙부측으로 당겨 고정시킬 수 있도록 거리조절부와 설치로드걸이부로 된 지지구를 설치하여, 거리조절부를 당겨 서로 대향되는 면부의 간격을 지지해 줌으로써 육면체로 된 돌망태가 채움재에 의한 하중에 의해 외측으로 불룩하게 나오는 배부름 현상을 방지하는 조경용 돌망태에 구비되는 배부름 방지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조경용 돌망태에 구비되는 배부름 방지구{A Gabion Wall Supporter}
본 발명은 돌이나 자갈 등의 채움재가 수납되는 돌망태에 구비되어 배부름 을 방지하는 지지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축물 벽체나 콘크리트 구조물 등의 외측에 지지프레임을 설치하고 그 외부면에 채움재를 채운 돌망태를 설치하여 외벽이 형성되는 개비온 벽체에 있어, 상기 돌망태는 다수의 설치로드를 이용해 가로와 세로로 엮어 격자를 형성되는 전면부와 후면부, 양측면부 및 상하면부의 육면체로 이루어지며, 이들이 서로 대향하는 면부 사이에 각각의 설치로드를 그 중앙부측으로 당겨 고정시킬 수 있도록 거리조절부와 설치로드걸이부로 된 지지구를 설치하여, 거리조절부를 당겨 서로 대향되는 면부의 간격을 지지해 줌으로써 육면체로 된 돌망태가 채움재에 의한 하중에 의해 외측으로 불룩하게 나오는 배부름 현상을 방지하는 조경용 돌망태에 구비되는 배부름 방지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천이나 경사도로 등에는 하천개량이나 토목공사 등을 통해 옹벽이나 호안블럭과 같은 콘크리트 구조물이 설치된다.
이와 같은 옹벽(Retaining Wall)은, 콘크리트 구조물로서 토압에 저항하여 흙이 무너지지 않도록 예방하는 벽체 구조물을 가리킨다. 이는 벽 자체의 무게와 바닥면의 마찰력 등을 이용하여 안정을 유지하는 항토압 구조물이며, 벽에 작용하는 토압과 그 흙 위에 실린 하중, 지지력, 지반의 지지력 등을 조건으로 하여 구조부재의 안전성과 벽 전체가 쓰러지거나 미끄러지는 것에 대한 안정성이 확보되도록 설계된다.
또한 호안블럭은, 콘크리트 구조물로서 하안(河岸)·해안(海岸)·둑을 보호해서 유수에 의한 물가선의 침식을 방지하기 위하여 그 비탈면에 시설하는 구조물을 가리킨다.
상기 옹벽 및 호안블럭 등을 구성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은 시멘트를 이용하여 제작하게 되는데, 이러한 시멘트에는 라돈, 암모니아, 포름알데히드 등의 독성 성분이 함유되어 있어 콘크리트 구조물의 노출면을 통해 상기의 독성 성분들이 유출되며, 이로 인해 환경오염을 유발시키고 자연생태계에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도로변이나 하천변 또는 건축물 등에 콘크리트 구조물을 축조함에 있어서, 최근에는 친환경적인 공법으로 돌망태 공법 즉, 개비온(Gabion, 돌망태 또는 철망태라고도 함) 공법이 많이 적용되고 있다.
또한, 고층빌딩이 주를 이루는 현대 건축물에서는 외장마감재로 하이테크의 상징을 위한 유리, 석재, 금속패널 등의 커튼월 외장재가 사용되고 있고, 저층빌딩 및 주거건축물에서는 외장 마감재로 경제성을 위한 도장재 및 타일 등이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이러한 외장 마감재들만으로는 다양한 건축물의 설계목적을 만족시키지 못하였으며, 특히 기능적인 공간보다는 예술적인 공간에 해당하는 미술관, 공연장 등에는 공간특성을 살리지 못하였다.
따라서 종래의 건축물 외장 마감재로 하여 채움석재가 채워진 돌망태를 채택하여 활용하게 되었다.
이와 같이 종래의 채움재가 수납된 돌망태는 도로변 또는 하천변에 축조된 콘크리트 벽체 또는 옹벽 등의 외벽체나 일반 건축물의 외장 마감재 등으로 설치하여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돌망태 구조는 철망을 이용하여 제작한 격자형 육면체로 소정 크기의 채움용 석재를 채우고, 이러한 채움용 석재가 채워진 상기 돌망태를 경사면에 계단식 또는 수직하게 축조하여 외벽을 형성하게 된다.
그런데, 이와 같이 다수개의 돌망태를 적재하여 소정 높이의 옹벽을 축조하는 경우 토압을 견딜 수 있을 정도의 두께를 갖도록 설치하게 되는데, 설치 높이가 높은 경우, 높이에 따라 하부에 발생되는 토압 및 자체하중으로 인해 하부에 설치되는 돌망태의 두께도 두꺼워져야만 하므로 경제적이지 못하다.
또한 종래의 돌망태를 이용한 개비온 벽체는 그 내부에 채움용 석재를 채울 경우 전면 또는 측면으로 불룩하게 나오면서 휘어지는 배부름 현상이 발생되는 경우가 많아 이를 방지하기 위해 철망의 전면부와 후면부를 연결하는 다양한 지지구 등을 설치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종래에는 상기와 같은 돌망태의 배부름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공개특허 제10-2013-0083196호의 '배부름 방지 돌망태', 등록특허 10-1673292호의 '돌망태에 구비되는 배부름 방지용 지지구' 등이 공지 되어 있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배부름 방지 돌망태'는 육면체로 구성되는 돌망태를 구성하되, 상하부망의 전면부 지주철선을 외향으로 절곡시켜 돌출된 삼각꼴형상의 돌출부로 이루어지는 상하부망과, 상기 돌출부의 절곡부를 기점으로 양측으로 분할된 분할망을 체결함과 또는 상기 전면의 절곡부와 대응하도록 절곡된 절곡전면망을 체결시켜 구성되되, 상기 상하부망과 양측망 및 전면망과 분할망을 묶음철선, 클립 또는 권선체결(일명 돼지꼬리체결) 중 어느하나로 체결시켜 전면으로 삼각꼴형상의 돌출부가 형성되는 배부름 방지돌망태를 구성하여 이 돌망태에 채움되는 돌, 자갈 등의 채움돌로 받은 하중에 의해 돌망태의 전면망이 외향되게 휨되는 배부름현상을 방지하고 견고성과 외관에서 미려성을 증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돌망태에 구비되는 배부름 방지용 지지구'는 전면부와 후면부, 양측면부 및 상하면부의 육면체로 형성되되 이들 일부의 면부에는 이를 구성하는 각각의 설치로드를 그 중앙부측으로 당겨 고정시킬 수 있도록 설치로드끼움부와 연결고정부로 된 지지구를 설치하여, 이들의 연결고정부를 각각 체결 고정함으로써 돌망태의 각 면부가 채움재에 의해 불룩하게 되는 배부름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KR 10-2013-0083196 (공개번호) 2013.07.22. KR 10-1673292 (등록번호) 2016.11.01. KR 10-0744635 (등록번호) 2007.07.31.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배부름 방지용 돌망태는 그 외형을 확장하는 경우에 배부름 현상을 막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상기 '돌망태에 구비되는 배부름 방지용 지지구'는 각면의 격자설치로드를 지지부의 끼움부에 설치할 때 이를 벌려서 끼우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고, 또 연결부의 길이 조절 작업시 일일이 볼트를 풀어 간격을 조정한 후 다시 볼트를 체결하는 작업시간이 많이 요구되어 매우 불편하다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건축물 벽체나 콘크리트 구조물 등의 외측에 지지프레임을 설치하고 그 외부면에 채움재를 채운 돌망태를 설치하여 외벽이 형성되는 개비온 벽체에 있어, 상기 돌망태는 다수의 설치로드를 이용해 가로와 세로로 엮어 형성되는 전면부와 후면부, 양측면부 및 상하면부의 육면체로 이루어지며, 이들이 서로 대향하는 면부 사이에 각각의 설치로드를 그 중앙부측으로 당겨 고정시킬 수 있도록 거리조절부와 설치로드걸이부로 된 지지구를 설치하여, 거리조절부를 당겨 서로 대향되는 면부의 간격을 지지해 줌으로써 육면체로 된 돌망태가 채움재에 의한 하중에 의해 외측으로 불룩하게 나오는 배부름 현상을 방지하는 조경용 돌망태에 구비되는 배부름 방지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지지구의 거리조절부를 간편하게 턴버클 방식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설치로드 설치면 사이의 거리를 간편하고 신속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설치로드를 고정하는 걸이부를 다단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하여 신속하게 설치로드를 지지록킹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돌망태의 각면에 설치된 설치로드와 걸이부와의 연결(걸이)작업이 편리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돌망태의 채움 작업시 현장에서 바로 지지구를 간편하게 조립 설치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 시간과 비용을 획기적으로 절약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콘크리트 구조물(110)과, 상부면부과 하부면부, 좌측면부, 우측면부 및 전후면부가 각각 격자망체로 하여 육면체로 되고 그 내부에 채움용 석재가 수납되어 이루어지는 돌망태(120), 및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110) 또는 상기 벽체부재에 설치되는 철골 지지프레임(130)으로 구성되어 상기 돌망태(120)를 상기 철골 지지프레임(130)에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개비온 벽체(140)에 있어서, 상기 돌망태(120)의 전면부를 형성하는 전면격자망체(121)의 격자설치로드(121a)에 연결되는 제1걸이부(150)와; 상기 돌망태(120)의 후면부를 형성하는 후면격자망체(122)의 격자설치로드(122a)에 연결되는 제2걸이부(160); 및 상기 제1걸이부(150)와 상기 제2걸이부(160)를 연결하여 그 연결길이를 조절하는 거리조절부(170);를 포함하며, 상기 제1걸이부(150)는 상기 거리조절부(170)의 단부에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제1회동축(151)과 상기 제1회동축(151)의 단부에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되면서 상기 전면격자망체(121)의 격자설치로드(121a)를 걸어 고정하는 제1격자후크(152)로 구성되고, 상기 제2걸이부(160)는 상기 거리조절부(170)의 단부에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제2회동축(161)과 상기 제2회동축(161)의 단부에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되면서 상기 후면격자망체(122)의 격자설치로드(122a)를 걸어 고정하는 제2격자후크(162)로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1격자후크(152)는 상기 제1회동축(151)의 단부에서 제1선단회동핀(153)에 의해 회동되도록 연결되는 라운드 형상의 제1곡면후크부(152a)와 상기 제1회동부(152a)의 단부에서 제1후단회동핀(154)에 의해 회동되면서 상기 격자설치로드(121a)를 감아 상기 제1회동축(151)에 끼워 고정하도록 연결되는 라운드 형상의 제1록킹후크부(152b)로 구성되고, 또한 상기 제1회동축(151)에는 상기 제1록킹후크부(152b)의 단부를 끼워 록킹하는 제1록킹구멍(151a)이 형성되며, 상기 제2격자후크(162)는 상기 제2회동축(161)의 단부에서 제2선단회동핀(163)에 의해 회동되도록 연결되는 라운드 형상의 제2곡면후크부(162a)와 상기 제2회동부(162a)의 단부에서 제2후단회동핀(164)에 의해 회동되면서 상기 격자설치로드(122a)를 감아 상기 제2회동축(161)에 끼워 고정하도록 연결되는 라운드 형상의 제2록킹후크부(162b)로 구성되고, 또한 상기 제2회동축(161)에는 상기 제2록킹후크부(162b)의 단부를 끼워 록킹하는 제2록킹구멍(161a)이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1록킹후크부(152b)의 단부에는 상기 제1회동축(151)에 형성된 상기 제1록킹구멍(151a)에 탄성적으로 끼워 고정되도록 중앙부를 따라 제1탄성홈(152bc)이 형성된 제1탄성록킹부(152ba)가 구비되고, 상기 제2록킹후크부(162b)의 단부에는 상기 제2회동축(161)에 형성된 상기 제1록킹구멍(161a)에 끼워 탄성적으로 고정되도록 중앙부를 따라 제2탄성홈(162bc)이 형성된 제2탄성록킹부(162ba)가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1회동축(151)에 형성된 상기 제1록킹구멍(151a)의 직경은 상기 제1탄성록킹부(152ba)의 외경보다 작게 형성되고, 상기 제2회동축(161)에 형성된 상기 제2록킹구멍(161a)의 직경도 상기 제2탄성록킹부(162ba)의 외경보다 작게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거리조절부(170)는 상기 제1걸이부(150)의 상기 제1회동축(151)을 회동 가능하도록 일단부에 연결하는 중공의 제1연결몸체부(171)와, 상기 제2걸이부(160)의 상기 제2회동축(161)을 회동 가능하도록 일단부에 연결하는 중공의 제2연결몸체부(172), 일단부는 상기 제1연결몸체부(171)의 타단부 내측으로 나사 체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제2연결몸체부(172)의 타단부 내측으로 나사 체결되는 조절나사(173)로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조절나사(173)는 그 중앙부에 조정부(174)가 구비되고, 상기 조정부(174)의 일측으로는 우나사가 형성되며 상기 조정부(174)의 타측으로는 좌나사가 형성되어, 상기 조정부(174)를 정역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1연결몸체부(171)와 상기 제2연결몸체부(172)는 서로 가까워지거나 또는 멀어지도록 조절된다.
본 발명에 따른 조경용 돌망태에 구비되는 배부름 방지구는 다수의 설치로드를 이용해 가로와 세로로 엮어 형성되는 전면부와 후면부, 양측면부 및 상하면부의 육면체로 이루어지며, 이들이 서로 대향하는 면부 사이에 각각의 설치로드를 그 중앙부측으로 당겨 고정시킬 수 있도록 거리조절부와 설치로드걸이부로 된 지지구를 설치하여, 거리조절부를 당겨 서로 대향되는 면부의 간격을 지지해 줌으로써 육면체로 된 돌망태가 채움재에 의한 하중에 의해 외측으로 불룩하게 나오는 배부름 현상을 방지할 수 있어 벽면을 미려하게 하는 동시에 돌망태의 결속력을 강화시켜 내구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지지구의 거리조절부를 간편하게 턴버클 방식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설치로드 설치면 사이의 거리를 간편하고 신속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설치로드를 고정하는 걸이부를 다단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하여 신속하게 설치로드를 지지록킹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돌망태의 각면에 설치된 설치로드와 걸이부와의 연결(걸이)작업이 편리하게 이루어지는 장점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돌망태의 채움 작업시 현장에서 바로 지지구를 간편하게 조립 설치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 시간과 비용을 획기적으로 절약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경용 돌망태에 구비되는 배부름 방지구를 돌망태에 설치하고 이들을 서로 연결한 개략적인 상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경용 돌망태에 구비되는 배부름 방지구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상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경용 돌망태에 구비되는 배부름 방지구의 길이가 신축되는 개략적인 상태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조경용 돌망태에 구비되는 배부름 방지구의 걸이부에 돌망태의 설치로드를 걸어 연결하는 후크부의 확대 상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경용 돌망태에 구비되는 배부름 방지구(10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콘크리트 구조물(110) 또는 건축물의 외벽을 형성하는 벽체부재(미도시)와, 상부면부과 하부면부, 좌측면부, 우측면부 및 전후면부가 각각 격자망체로 하여 육면체로 되고 그 내부에 돌이나 자갈 등의 채움용 석재(채움재라고도 함)가 수납되어 이루어지는 돌망태(120), 및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110) 또는 상기 벽체부재에 설치되는 철골 지지프레임(130, 각관이라고도 함)으로 구성되어 상기 돌망태(120)를 상기 철골 지지프레임(130)에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개비온 벽체(140)에 있어,
상기 돌망태(120)의 전면부를 형성하는 전면격자망체(121)의 격자설치로드(121a)에 연결되는 제1걸이부(150)와,
상기 돌망태(120)의 후면부를 형성하는 후면격자망체(122)의 격자설치로드(122a)에 연결되는 제2걸이부(160), 및
상기 제1걸이부(150)와 상기 제2걸이부(160)를 연결하여 그 연결길이를 조절하는 거리조절부(1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1걸이부(150)와 상기 제2걸이부(160)는 서로 동일하게 구성되고, 상기 거리조절부(170)의 단부에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제1,2회동축(151,161)과 상기 제1,2회동축(151,161)의 단부에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되면서 상기 전면격자망체(121)의 격자설치로드와 상기 후면격자망체(122)의 격자설치로드에 각각 걸어서 설치되는 제1,2격자후크(152,162)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돌망태(120)의 전면격자망체(121)의 격자설치로드에 상기 제1걸이부(150)의 상기 제1격자후크(152)를 걸어 고정하고 상기 후면격자망체(122)의 격자설치로드에 상기 제2걸이부(160)의 상기 제2격자후크(162)를 걸어 고정한 다음 이들을 연결하는 상기 거리조절부(170)를 조절하여 상기 돌망태(120)의 전면부와 후면부 사이의 간격(거리)을 견고하게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이들 망체가 서로 당겨주게 되어 상기 돌망태(120)의 내부에 채움용 석재를 채우더라도 그 전면부 및 후면부의 외측으로 채움용 석재가 불룩하게 튀어나오는 배부름 현상을 막아줄 수 있게 된다.
상기 제1걸이부(150)는 상기 거리조절부(170)의 단부에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제1회동축(151)과 상기 제1회동축(151)의 단부에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되면서 상기 전면격자망체(121)의 격자설치로드(121a)를 걸어 고정하는 제1격자후크(152)로 구성된다.
상기 제1걸이부(150)는 상기 거리조절부(170)의 단부에서 360도 회동이 가능함으로써 그 단부에 구비된 상기 제1격자후크(152)를 적절히 회동하여 상기 전면격자망체(121)를 구성하는 상기 격자설치로드(121a)의 가로방향 또는 세로방향에 관계없이 어디에라도 간편하게 걸어 연결할 수 있는 편리함이 있다.
또한 상기 제1격자후크(152)는 상기 제1회동축(151)의 단부에서 제1선단회동핀(153)에 의해 회동되도록 연결되는 라운드 형상의 제1곡면후크부(152a)와 상기 제1회동부(152a)의 단부에서 제1후단회동핀(154)에 의해 회동되면서 상기 격자설치로드(121a)를 감아 상기 제1회동축(151)에 끼워 고정하도록 연결되는 라운드 형상의 제1록킹후크부(152b)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회동축(151)에는 상기 제1록킹후크부(152b)의 단부를 끼워 록킹하는 제1록킹구멍(151a)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제1록킹후크부(152b)의 단부에는 상기 제1회동축(151)에 형성된 상기 제1록킹구멍(151a)에 탄성적으로 끼워 고정되도록 중앙부를 따라 제1탄성홈(152bc)이 형성된 제1탄성록킹부(152ba)가 구비되어 있다.
즉, 상기 제1회동축(151)에 형성된 상기 제1록킹구멍(151a)의 직경(내경)은 상기 제1탄성록킹부(152ba)의 외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어 상기 제1탄성록킹부(152ba)가 상기 제1탄성홈(152bc)에 의해 탄성적으로 수축되면서 상기 제1록킹구멍(151a)으로 끼운 다음 다시 탄성적으로 복원되어 상기 제1탄성록킹부(152ba)가 임의로 상기 제1록킹구멍(151a)에서 빠지지 않아 록킹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록킹구멍(151a)으로부터 상기 제1탄성록킹부(152ba)의 록킹을 해제하기 위해서는 상기 제1탄성록킹부(152ba)를 상기와 같이 탄성적으로 수축시키면서 그 단부를 밀어주면 상기 제1록킹구멍(151a)으로부터 상기 제1탄성록킹부(152ba)가 용이하게 빠져 나오면서 록킹이 해제된다.
한편, 상기 제2걸이부(160)는 상기 거리조절부(170)의 단부에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제2회동축(161)과 상기 제2회동축(161)의 단부에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되면서 상기 후면격자망체(122)의 격자설치로드(122a)를 걸어 고정하는 제2격자후크(162)로 구성된다.
상기 제2걸이부(160)는 상기 거리조절부(170)의 단부에서 360도 회동이 가능함으로써 그 단부에 구비된 상기 제2격자후크(162)를 적절히 회동하여 상기 후면격자망체(122)를 구성하는 상기 격자설치로드(122a)의 가로방향 또는 세로방향에 관계없이 어디에라도 간편하게 걸어 연결할 수 있는 편리함이 있다.
또한 상기 제2격자후크(162)는 상기 제2회동축(161)의 단부에서 제2선단회동핀(163)에 의해 회동되도록 연결되는 라운드 형상의 제2곡면후크부(162a)와 상기 제2회동부(162a)의 단부에서 제2후단회동핀(164)에 의해 회동되면서 상기 격자설치로드(122a)를 감아 상기 제2회동축(161)에 끼워 고정하도록 연결되는 라운드 형상의 제2록킹후크부(162b)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2회동축(161)에는 상기 제2록킹후크부(162b)의 단부를 끼워 록킹하는 제2록킹구멍(161a)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제2록킹후크부(162b)의 단부에는 상기 제2회동축(161)에 형성된 상기 제1록킹구멍(161a)에 끼워 탄성적으로 고정되도록 중앙부를 따라 제2탄성홈(162bc)이 형성된 제2탄성록킹부(162ba)가 구비되어 있다.
즉, 상기 제2회동축(161)에 형성된 상기 제2록킹구멍(161a)의 직경(내경)은 상기 제2탄성록킹부(162ba)의 외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어 상기 제2탄성록킹부(162ba)가 상기 제2탄성홈(162bc)에 의해 탄성적으로 수축되면서 상기 제2록킹구멍(161a)으로 끼운 다음 다시 탄성적으로 복원되어 상기 제2탄성록킹부(162ba)가 임의로 상기 제2록킹구멍(161a)에서 빠지지 않아 록킹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록킹구멍(161a)으로부터 상기 제2탄성록킹부(162ba)의 록킹을 해제하기 위해서는 상기 제2탄성록킹부(162ba)를 상기와 같이 탄성적으로 수축시키면서 그 단부를 밀어주면 상기 제2록킹구멍(161a)으로부터 상기 제2탄성록킹부(162ba)가 용이하게 빠져 나오면서 록킹이 해제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상기 제1걸이부(150)와 상기 제2걸이부(160)는 서로 구성이 동일하여 상호 대체하여 설치 구성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거리조절부(170)는 상기 제1걸이부(150)와 상기 제2걸이부(160)의 일단부를 연결하여 그 연결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제1걸이부(150)의 상기 제1회동축(151)을 회동 가능하도록 일단부에 연결하는 중공의 제1연결몸체부(171)와, 상기 제2걸이부(160)의 상기 제2회동축(161)을 회동 가능하도록 일단부에 연결하는 중공의 제2연결몸체부(172), 일단부는 상기 제1연결몸체부(171)의 타단부 내측으로 나사 체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제2연결몸체부(172)의 타단부 내측으로 나사 체결되는 조절나사(173)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조절나사(173)는 그 중앙부에 조정부(174)가 구비되고 상기 조정부(174)의 일측으로는 우나사가 형성되고 상기 조정부(174)의 타측으로는 좌나사가 형성되어 상기 조정부(174)를 정역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1연결몸체부(171)와 상기 제2연결몸체부(172)는 서로 가까워지거나 또는 멀어지도록 하여 상기 제1걸이부(150)와 상기 제2걸이부(160)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조정부(174)의 외형은 육각형상으로 형성하여 스패너 등의 도구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방지구는 용접하지 않고 상기 돌망태(120)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누구나 쉽게 작업할 수 있고 비용도 절감할 수 있어 매우 경제적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경용 돌망태에 구비되는 배부름 방지구는 건축물 벽체나 콘크리트 구조물 등의 외측에 지지프레임을 설치하고 그 외부면에 채움재를 채운 돌망태를 설치하여 외벽이 형성되는 개비온 벽체에 있어, 상기 돌망태는 다수의 설치로드를 이용해 가로와 세로로 엮어 격자를 형성되는 전면부와 후면부, 양측면부 및 상하면부의 육면체로 이루어지며, 이들이 서로 대향하는 면부 사이에 각각의 설치로드를 그 중앙부측으로 당겨 고정시킬 수 있도록 거리조절부와 설치로드걸이부로 된 지지구를 설치하여, 거리조절부를 당겨 서로 대향되는 면부의 간격을 지지해 줌으로써 육면체로 된 돌망태가 채움재에 의한 하중에 의해 외측으로 불룩하게 나오는 배부름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돌망태를 이용한 개비온 벽체 설치 시 용접을 실시하는 작업을 배제하고 현장에서 바로 방지구를 조립 설치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 시간과 비용을 획기적으로 절약할 수 있게 된다.
100:조경용 돌망태에 구비되는 배부름 방지구
110:콘크리트구조물
120:돌망태
121:전면격자망체 121a,122a:격자설치로드 122:후면격자망체
130:철골지지프레임 140:개비온 벽체
150:제1걸이부 151:제1회동축 151a:제1록킹구멍
152:제1격자후크 152a:제1곡면후크부 152b:제1록킹후크부
152ba:제1탄성록킹부 152bc:제1탄성홈
160:제2걸이부 161:제1회동축 161a:제2록킹구멍
162:제2격자후크 162a:제2곡면후크부 162b:제2록킹후크부
162ba:제2탄성록킹부 162bc:제2탄성홈
170:거리조절부
171:제1연결몸체부 172:제2연결몸체부 173:조절나사
174:조정부

Claims (6)

  1. 콘크리트 구조물(110)과, 상부면부과 하부면부, 좌측면부, 우측면부 및 전후면부가 각각 격자망체로 하여 육면체로 되고 그 내부에 채움용 석재가 수납되어 이루어지는 돌망태(120), 및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110) 또는 상기 벽체부재에 설치되는 철골 지지프레임(130)으로 구성되어 상기 돌망태(120)를 상기 철골 지지프레임(130)에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개비온 벽체(140)에 있어서,
    상기 돌망태(120)의 전면부를 형성하는 전면격자망체(121)의 격자설치로드(121a)에 연결되는 제1걸이부(150)와;
    상기 돌망태(120)의 후면부를 형성하는 후면격자망체(122)의 격자설치로드(122a)에 연결되는 제2걸이부(160); 및
    상기 제1걸이부(150)와 상기 제2걸이부(160)를 연결하여 그 연결길이를 조절하는 거리조절부(170);를 포함하며,
    상기 제1걸이부(150)는 상기 거리조절부(170)의 단부에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제1회동축(151)과 상기 제1회동축(151)의 단부에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되면서 상기 전면격자망체(121)의 격자설치로드(121a)를 걸어 고정하는 제1격자후크(152)로 구성되고,
    상기 제2걸이부(160)는 상기 거리조절부(170)의 단부에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제2회동축(161)과 상기 제2회동축(161)의 단부에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되면서 상기 후면격자망체(122)의 격자설치로드(122a)를 걸어 고정하는 제2격자후크(162)로 구성되는 조경용 돌망태에 구비되는 배부름 방지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격자후크(152)는 상기 제1회동축(151)의 단부에서 제1선단회동핀(153)에 의해 회동되도록 연결되는 라운드 형상의 제1곡면후크부(152a)와 상기 제1회동부(152a)의 단부에서 제1후단회동핀(154)에 의해 회동되면서 상기 격자설치로드(121a)를 감아 상기 제1회동축(151)에 끼워 고정하도록 연결되는 라운드 형상의 제1록킹후크부(152b)로 구성되고,
    또한 상기 제1회동축(151)에는 상기 제1록킹후크부(152b)의 단부를 끼워 록킹하는 제1록킹구멍(151a)이 형성되며,
    상기 제2격자후크(162)는 상기 제2회동축(161)의 단부에서 제2선단회동핀(163)에 의해 회동되도록 연결되는 라운드 형상의 제2곡면후크부(162a)와 상기 제2회동부(162a)의 단부에서 제2후단회동핀(164)에 의해 회동되면서 상기 격자설치로드(122a)를 감아 상기 제2회동축(161)에 끼워 고정하도록 연결되는 라운드 형상의 제2록킹후크부(162b)로 구성되고,
    또한 상기 제2회동축(161)에는 상기 제2록킹후크부(162b)의 단부를 끼워 록킹하는 제2록킹구멍(161a)이 형성되는 조경용 돌망태에 구비되는 배부름 방지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록킹후크부(152b)의 단부에는 상기 제1회동축(151)에 형성된 상기 제1록킹구멍(151a)에 탄성적으로 끼워 고정되도록 중앙부를 따라 제1탄성홈(152bc)이 형성된 제1탄성록킹부(152ba)가 구비되고,
    상기 제2록킹후크부(162b)의 단부에는 상기 제2회동축(161)에 형성된 상기 제1록킹구멍(161a)에 끼워 탄성적으로 고정되도록 중앙부를 따라 제2탄성홈(162bc)이 형성된 제2탄성록킹부(162ba)가 구비되는 조경용 돌망태에 구비되는 배부름 방지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회동축(151)에 형성된 상기 제1록킹구멍(151a)의 직경은 상기 제1탄성록킹부(152ba)의 외경보다 작게 형성되고,
    상기 제2회동축(161)에 형성된 상기 제2록킹구멍(161a)의 직경도 상기 제2탄성록킹부(162ba)의 외경보다 작게 형성되는 조경용 돌망태에 구비되는 배부름 방지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리조절부(170)는 상기 제1걸이부(150)의 상기 제1회동축(151)을 회동 가능하도록 일단부에 연결하는 중공의 제1연결몸체부(171)와, 상기 제2걸이부(160)의 상기 제2회동축(161)을 회동 가능하도록 일단부에 연결하는 중공의 제2연결몸체부(172), 일단부는 상기 제1연결몸체부(171)의 타단부 내측으로 나사 체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제2연결몸체부(172)의 타단부 내측으로 나사 체결되는 조절나사(173)로 구성되는 조경용 돌망태에 구비되는 배부름 방지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나사(173)는 그 중앙부에 조정부(174)가 구비되고, 상기 조정부(174)의 일측으로는 우나사가 형성되며 상기 조정부(174)의 타측으로는 좌나사가 형성되어, 상기 조정부(174)를 정역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1연결몸체부(171)와 상기 제2연결몸체부(172)는 서로 가까워지거나 또는 멀어지도록 조절하는 조경용 돌망태에 구비되는 배부름 방지구.
KR1020190020749A 2019-02-21 2019-02-21 조경용 돌망태에 구비되는 배부름 방지구 KR2020010229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0749A KR20200102290A (ko) 2019-02-21 2019-02-21 조경용 돌망태에 구비되는 배부름 방지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0749A KR20200102290A (ko) 2019-02-21 2019-02-21 조경용 돌망태에 구비되는 배부름 방지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2290A true KR20200102290A (ko) 2020-08-31

Family

ID=722341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0749A KR20200102290A (ko) 2019-02-21 2019-02-21 조경용 돌망태에 구비되는 배부름 방지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0229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164797A (zh) * 2021-12-01 2022-03-11 安平县昊昌丝网制造有限公司 一种石笼防护网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4635B1 (ko) 2006-08-18 2007-08-01 (재)대구경북과학기술연구원 전기화학장치용 산화물 반도체 전극의 제조방법
KR20130083196A (ko) 2012-01-12 2013-07-22 노정협 배부름 방지 돌망태
KR101673292B1 (ko) 2016-05-30 2016-11-08 주식회사 레티아 돌망태에 구비되는 배부름 방지용 지지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4635B1 (ko) 2006-08-18 2007-08-01 (재)대구경북과학기술연구원 전기화학장치용 산화물 반도체 전극의 제조방법
KR20130083196A (ko) 2012-01-12 2013-07-22 노정협 배부름 방지 돌망태
KR101673292B1 (ko) 2016-05-30 2016-11-08 주식회사 레티아 돌망태에 구비되는 배부름 방지용 지지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164797A (zh) * 2021-12-01 2022-03-11 安平县昊昌丝网制造有限公司 一种石笼防护网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466726B1 (en) Improvements relating to building and shoring blocks
CA2058045C (en) Earth reinforcement and embankment building systems
US3555751A (en) Expansible construction form and method of forming structures
KR101058561B1 (ko) 배수기능이 향상된 옹벽 및 옹벽의 시공방법
CA2676369A1 (en) Wall with decorative facing
KR101826476B1 (ko) 스트러트 지보구조를 이용한 대면적 터파기 시공방법
KR20160050939A (ko) 앵커와 메쉬를 이용한 조적식 벽체 보강구조 및 보강공법
KR20200102290A (ko) 조경용 돌망태에 구비되는 배부름 방지구
KR101826475B1 (ko) 수평 다각형 구조를 가진 흙막이 벽체 단위 지보구조물
KR101031583B1 (ko) 발파대석과 콘크리트 저항블록을 이용한 자연석 옹벽구조물및 이의 시공방법
KR102434456B1 (ko) 다목적용 영구 고정앙카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0931922B1 (ko) 배부름 방지기능을 갖는 개비온 및 그 시공방법
KR101673292B1 (ko) 돌망태에 구비되는 배부름 방지용 지지구
JP2003119787A (ja) 構造物の緑化構造
JP2007224597A (ja) 擁壁ユニットとその擁壁ユニットを用いた石積み擁壁及びその構築方法
KR200412589Y1 (ko) 건주공사용 지선근가의 기계화 시공을 위한 오거크레인용 확장형 굴착유니트
KR100710649B1 (ko) 건주공사용 지선근가의 기계화 시공법 및 이를 위한 오거크레인용 확장형 굴착유니트
KR200375686Y1 (ko) 옹벽의 철판망 개비온 구조
KR102272014B1 (ko) 지반앵커 어셈블리를 이용한 하천호안 및 하상보호 구조물
KR100975404B1 (ko) 블록담장용 지주 및 이의 시공방법
KR100705934B1 (ko) 식생 블록과 앵커 블록의 간격조절장치
KR100383124B1 (ko) 호안스톤옹벽의 축조방법
JPH09195289A (ja) 補強土壁面ブロックおよび補強土壁面構造
KR101539400B1 (ko) 태양광 패널이 설치된 방음기능 개비온
KR200273547Y1 (ko) 보강토옹벽 축조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