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2275A - Apparatus for railway vehicle maintenance platforms based on condition monitoring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railway vehicle maintenance platforms based on condition monitor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2275A
KR20200102275A KR1020190020713A KR20190020713A KR20200102275A KR 20200102275 A KR20200102275 A KR 20200102275A KR 1020190020713 A KR1020190020713 A KR 1020190020713A KR 20190020713 A KR20190020713 A KR 20190020713A KR 20200102275 A KR20200102275 A KR 202001022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network
data
management unit
railroad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071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167258B1 (en
Inventor
임준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글로비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글로비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글로비즈
Priority to KR10201900207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7258B1/en
Priority to PCT/KR2020/002530 priority patent/WO2020171643A1/en
Publication of KR202001022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227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72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725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15/00Indicators provided on the vehicle or vehicle train for signalling purposes ; On-board control or communication systems
    • B61L15/0081On-board diagnosis or mainten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15/00Indicators provided on the vehicle or vehicle train for signalling purposes ; On-board control or communication systems
    • B61L15/0018Communication with or on the vehicle or vehicle train
    • B61L15/0036Conductor-based, e.g. using CAN-Bus, train-line or optical fib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30Transportation; Communications
    • G06Q50/40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0Bus networks
    • H04L12/40006Architecture of a communication node
    • H04L12/40013Details regarding a bus controll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0Bus networks
    • H04L12/4013Management of data rate on the b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2205/00Communication or navigation systems for railway traff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0Bus networks
    • H04L2012/40267Bus for use in transportation systems
    • H04L2012/40273Bus for use in transportation systems the transportation system being a vehicle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a railroad vehicle maintenance platform based on state monitor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pparatus comprises: a first control management unit connected to a plurality of first control devices detecting whether there is a failure by generating point data based on sensor data, via a first network in charge of transmitting the point data, to support control and management of a railroad vehicle; a second control management unit connected to a plurality of second control devices each connected to the first network and performing failure prediction using the point data and wave data, via a second network in charge of transmitting the wave data, to support control and management of the railroad vehicle; and an integrated operation unit for integrally supporting control and management of the railroad vehicle through data exchang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devices by determining an operation mode for selective use of the first and second networks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railroad vehicle.

Description

상태 모니터링 기반의 철도차량 유지보수 플랫폼용 장치{APPARATUS FOR RAILWAY VEHICLE MAINTENANCE PLATFORMS BASED ON CONDITION MONITORING}Equipment for rail vehicle maintenance platform based on condition monitoring {APPARATUS FOR RAILWAY VEHICLE MAINTENANCE PLATFORMS BASED ON CONDITION MONITORING}

본 발명은 상태 모니터링 기반의 철도차량 유지보수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존 시스템을 확장하여 철도차량의 주요 장치에 대한 고장 진단 및 예지를 수행할 수 있는 상태 모니터링 기반의 철도차량 유지보수 플랫폼용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dition monitoring-based railway vehicle maintenance technology, and more particularly, a condition monitoring-based railway vehicle maintenance platform capable of performing failure diagnosis and prediction for major devices of a railway vehicle by extending an existing system. It relates to a dragon device.

고속철도는 대량 수송 체계로서 사고 발생시 대형 사고로 이어질 확률이 높아 철도차량의 결함을 조기에 검출할 수 있는 시스템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전세계적으로 사고예방 및 유지보수에 소요되는 비용 절감을 위해 주기 정비에서 상태기반 유지보수(Condition Based Maintenance, CBM)으로 전환되고 있다. 기존의 유지보수 시스템은 다양한 제어 장치들이 내부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철도차량을 안전하게 운영하기 위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고 있으나, 통신 네트워크의 밴드폭이 좁아 많은 센서 데이터를 통신하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As high-speed rail is a mass transportation system, the need for a system capable of early detection of defects in railroad vehicles is emerging as it has a high probability of leading to a large accident in case of an accident. In order to prevent accidents and reduce maintenance costs around the world, it is shifting from periodic maintenance to condition-based maintenance (CBM). In the existing maintenance system, various control devices are connected through an internal communication network to perform various functions to safely operate railroad vehicles, but it has a problem that it is impossible to communicate a lot of sensor data due to the narrow bandwidth of the communication network. have.

한국등록특허 제10-0540162(2005.12.23)호는 철도차량의 유지보수를 위한 정보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정보화 인프라 구축을 통하여 철도차량의 운영기관에서 분산되어 진행되는 업무 프로세스 및 자료관리 등을 통합관리 운영이 가능하여 철도분야의 운영 효율성을 증대시키고, 철도차량분야의 운영 유지보수 체계의 표준화/정보화 구축을 통해 철도차량 분야의 생산성 및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540162 (2005.12.23) relates to an information system for maintenance and repair of railroad vehicles, and integrates business processes and data management that are distributed in the operating institutions of railroad vehicles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information infrastructure. It is possible to manage and operate to increase the operational efficiency of the railway field, and improve productivity and competitiveness in the railway vehicle field through standardization/informatization of the operation and maintenance system in the railway vehicle field.

한국등록특허 제10-1231836(2013.02.04)호는 철도차량 출입문 유지보수를 위한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철도차량의 출입문이 고장 시 출입문을 제어하는 DCU의 상태정보를 직접 휴대가 가능한 노트북이나 산업용 컴퓨터 등의 이동식 컴퓨터를 케이블로 직접 연결하여 출입문의 제어 및 감시 이력 등의 상태 정보를 확인하고 그 고장 등이 발생시에 고장 원인의 분석이 용이하고 그로 인해 유지 보수 장비 및 유비보수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231836 (2013.02.04) relates to a real-time monitoring system for the maintenance of the door of a railroad vehicle. When the door of a railroad vehicle breaks down, it is possible to directly carry the status information of the DCU that controls the door. By directly connecting a mobile computer such as an industrial computer with a cable, it is easy to check the status information such as control and monitoring history of the door, and when the failure occurs, it is easy to analyze the cause of the failure, thereby reducing maintenance equipment and maintenance time. I can.

한국등록특허 제10-0540162(2005.12.23)호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540162 (2005.12.23) 한국등록특허 제10-1231836(2013.02.04)호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231836 (2013.02.04)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기존 시스템을 확장하여 철도차량의 주요 장치에 대한 고장 진단 및 예지를 수행할 수 있는 상태 모니터링 기반의 철도차량 유지보수 플랫폼용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pparatus for a railroad vehicle maintenance platform based on condition monitoring capable of performing failure diagnosis and prediction for major devices of a railroad vehicle by extending an existing system.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데이터 용량이 큰 웨이브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독립된 통신 네트워크를 추가하여 주요 장치의 고장 예지 및 잔류수명 예측을 효과적으로 수행함으로써 철도차량에 대한 효과적인 예방정비가 가능한 상태 모니터링 기반의 철도차량 유지보수 플랫폼용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adding an independent communication network capable of transmitting wave data having a large data capacity,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predict the failure of major devices and predict the remaining life of the railroad vehicle. It is intended to provide a device for vehicle maintenance platform.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철도차량의 상태에 따라 운영 모드를 동적으로 결정함으로써 하나의 통신 네트워크가 고장난 경우에도 별도의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철도차량의 상태에 관한 실시간 감시를 유지할 수 있는 상태 모니터링 기반의 철도차량 유지보수 플랫폼용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based on a condition monitoring capable of maintaining real-time monitoring of the condition of a railway vehicle through a separate communication network even when one communication network fails by dynamically determining an operation mode according to the condition of the railway vehicle. We intend to provide a device for a rail vehicle maintenance platform.

실시예들 중에서, 상태 모니터링 기반의 철도차량 유지보수 플랫폼용 장치는 센서 데이터를 기초로 포인트 데이터를 생성하여 고장 유무를 감지하는 복수의 제1 제어 장치들과, 상기 포인트 데이터의 전송을 담당하는 제1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철도차량의 제어 및 관리를 지원하는 제1 제어관리부, 상기 제1 네트워크와 각각 연결되고 상기 포인트 데이터와 웨이브 데이터를 이용하여 고장 예지를 수행하는 복수의 제2 제어 장치들과, 상기 웨이브 데이터의 전송을 담당하는 제2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상기 철도차량의 제어 및 관리를 지원하는 제2 제어관리부 및 상기 철도차량의 상태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네트워크들의 선택적 사용에 관한 운영 모드를 결정하여 상기 제1 및 제2 장치들 간의 데이터 교환을 통해 상기 철도차량의 제어 및 관리를 통합 지원하는 통합 운영부를 포함한다.Among the embodiments, the apparatus for a railroad vehicle maintenance platform based on condition monitoring includes a plurality of first control devices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failure by generating point data based on sensor data, and a first controlling device for transmitting the point data. 1 A first control management unit connected through a network to support control and management of a railroad vehicle, a plurality of second control devices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first network and performing failure prediction using the point data and wave data, and , A second control management unit connected through a second network in charge of transmitting the wave data to support control and management of the railway vehicle, and the selective use of the first and second networks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railway vehicle. And an integrated operation unit that determines an operation mode and supports the control and management of the railway vehicle through data exchang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devices.

상기 제1 제어관리부는 차량 내 통신버스(Multifunction Vehicle Bus, MVB), 차량 간 통신버스(Wired Train Bus, WTB) 및 RS485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제1 네트워크로서 사용할 수 있다.The first control management unit may use any one of a multifunction vehicle bus (MVB), a wired train bus (WTB), and RS485 as the first network.

상기 제2 제어관리부는 상기 제1 네트워크와 독립적으로 동작하면서 상기 웨이브 데이터의 처리를 위해 상기 제1 네트워크보다 더 큰 전송량 및 더 짧은 전송 주기를 가진 통신 네트워크를 상기 제2 네트워크로서 사용할 수 있다.The second control management unit may operate independently of the first network and use a communication network having a larger transmission amount and a shorter transmission period than the first network for processing the wave data as the second network.

상기 제2 제어관리부는 IoT 통신 모듈과 스위칭 허브를 포함하는 제어 장치 및 아날로그 센서와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ADC)를 포함하는 제어 장치 중 어느 하나를 제2 제어 장치로서 사용할 수 있다.The second control management unit may use any one of a control device including an IoT communication module and a switching hub, and a control device including an analog sensor and an analog-digital converter (ADC) as the second control device.

상기 통합 운영부는 상기 철도차량의 상태에 따라 상기 제1 네트워크만 동작하는 제1 운영 모드, 상기 제2 네트워크만 동작하는 제2 운영 모드, 상기 제1 및 제2 네트워크가 함께 동작하는 제3 운영 모드 중 어느 하나를 결정할 수 있다.The integrated operation unit operates in a first operation mode in which only the first network operates, a second operation mode in which only the second network operates, and a third operation mode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networks operate together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railway vehicle. You can decide either.

상기 통합 운영부는 상기 제3 운영 모드에 따라 상기 포인트 데이터에 상기 센서 데이터를 추가하여 상기 제1 또는 제2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제2 제어관리부에 전송할 수 있다.The integrated operation unit may add the sensor data to the point data according to the third operation mode and transmit it to the second control management unit through the first or second network.

상기 통합 운영부는 상기 운영 모드에 따라 상기 복수의 제1 제어 장치들이 생성하는 상기 포인트 데이터를 상기 제1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복수의 제2 제어 장치들에 전송하거나 또는 상기 복수의 제2 제어 장치들이 생성하는 웨이브 데이터에 관한 포인트 데이터를 상기 제1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복수의 제1 제어 장치들에 전송할 수 있다.The integrated operation unit transmits the point data generated by the plurality of first control devices to the plurality of second control devices through the first network or generates the plurality of second control devices according to the operation mode. Point data related to the desired wave data may be transmitted to the plurality of first control devices through the first network.

상기 통합 운영부는 상기 운영 모드에 따라 상기 복수의 제2 제어 장치들이 생성하는 제어 신호를 상기 제1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제1 제어관리부에 전송하거나 또는 상기 제2 제어관리부에서 생성하는 제어 신호를 상기 제2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제1 제어관리부에 전송할 수 있다.The integrated operation unit transmits a control signal generated by the plurality of second control devices according to the operation mode to the first control management unit through the first network or transmits a control signal generated by the second control management unit to the second control unit. 2 It can be transmitted to the first control management unit through a network.

개시된 기술은 다음의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다만, 특정 실시예가 다음의 효과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다음의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The disclosed technology can have the following effects. However, since it does not mean that a specific embodiment should include all of the following effects or only the following effects, it should not be understood that the scope of the rights of the disclosed technology is limited thereby.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태 모니터링 기반의 철도차량 유지보수 플랫폼용 장치는 데이터 용량이 큰 웨이브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독립된 통신 네트워크를 추가하여 주요 장치의 고장 예지 및 잔류수명 예측을 효과적으로 수행함으로써 철도차량에 대한 효과적인 예방정비가 가능할 수 있다.The device for a railroad vehicle maintenance platform based on condition monitor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dds an independent communication network capable of transmitting wave data with a large data capacity to effectively predict the failure of major devices and predict the remaining life of the railroad. Effective preventive maintenance of the vehicle may be possibl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태 모니터링 기반의 철도차량 유지보수 플랫폼용 장치는 철도차량의 상태에 따라 운영 모드를 동적으로 결정함으로써 하나의 통신 네트워크가 고장난 경우에도 별도의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철도차량의 상태에 관한 실시간 감시를 유지할 수 있다.The device for a railroad vehicle maintenance platform based on condition monitor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ynamically determines an operation mode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railroad vehicle, so that even when one communication network fails, the railroad vehicle is Real-time monitoring of the status can be maintain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태 모니터링 기반의 철도차량 유지보수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있는 철도차량 유지보수 플랫폼용 장치의 기본 시스템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있는 철도차량 유지보수 플랫폼용 장치의 기능적 구성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1에 있는 철도차량 유지보수 플랫폼용 장치에서 수행되는 상태 모니터링 기반의 철도차량 유지보수 과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태 모니터링 기반의 철도차량 유지보수 플랫폼용 장치의 전체적인 개념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 내지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태 모니터링 기반의 철도차량 유지보수 플랫폼용 장치에서 사용되는 데이터 유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railroad vehicle maintenance system based on condition monitor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basic system configuration of the apparatus for a railroad vehicle maintenance platform shown in FIG. 1.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functional configuration of the apparatus for a railroad vehicle maintenance platform shown in FIG. 1.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dition monitoring-based rail vehicle maintenance process performed in the device for a rail vehicle maintenance platform in FIG. 1.
5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verall concept of the device for a railroad vehicle maintenance platform based on condition monitor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to 8 are diagrams for explaining data types used in the device for a railroad vehicle maintenance platform based on condition monitor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Since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erely an embodiment for structural or functional descriptio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by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text. That is, since the embodiments can be variously changed and have various forms,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equivalents capable of realizing the technical idea. In addition, since the object or effect presented in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mean that a specific embodiment should include all of them or only those effects,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understood as being limited thereto.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Meanwhile, the meaning of terms describ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should be understood as follows.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are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and the scope of rights is not limited by these terms. For example, a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a second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although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another component may exist in the middle.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mentioned that a component is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is no other component in the middle. On the other hand, other expressions describ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stituent elements, that is, "between" and "just between" or "neighboring to" and "directly neighboring to" should be interpreted as well.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Singular expressions are to be understood as including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and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refer to implemented features,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It is to be understood that it is intended to designate that a combination exists and does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In each step, the identification code (for example, a, b, c, etc.) is used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d the identification code does not describe the order of each step, and each step has a specific sequence clearly in context. Unless otherwise stated, it may occur differently from the stated order. That is, each of the steps may occur in the same order as specified, may be performed substantially simultaneously, or may be performed in the reverse order.

본 발명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될 수 있고,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as computer-readable codes o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and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s all types of recording devices storing data that can be read by a computer system. .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ROM, RAM, CD-ROM, magnetic tape, floppy disk, and optical data storage devices. Further,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s distributed over a computer system connected by a network, so that the computer-readable code can be stored and executed in a distributed manner.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All terms used herein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unless otherwise defined. Terms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construed as having meanings in the context of related technologies, and cannot be construed as having an ideal or excessive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태 모니터링 기반의 철도차량 유지보수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railroad vehicle maintenance system based on condition monitor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상태 모니터링 기반의 철도차량 유지보수 시스템(100)은 철도차량(110), 철도차량 유지보수 플랫폼용 장치(130), 데이터베이스(150) 및 사용자 단말(170)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railroad vehicle maintenance system 100 based on condition monitoring may include a railroad vehicle 110, an apparatus 130 for a railroad vehicle maintenance platform, a database 150, and a user terminal 170. have.

철도차량(110)은 철도의 선로 위를 운행할 목적으로 제조된 동력차, 객차, 화차 및 특수차 등에 해당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철도차량(110)은 운행 과정에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복수의 제어 장치들을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철도차량(110)은 BCU(Brake Control Unit), MTR(주변압기), HVAC(Heating, Ventilation, and Air Conditioning), DCU(Door Control Unit), VVVF(Propulsion Inverter), CMPR(Compressor), BTA(Battery), HSCB(High Speed Circuit Breaker), SIV(Static Inverter), BSM(Bogie Sensor Module), WSM(Wheel Sensor Module), SBM(Switch Board Module), MBM(Motor Block Module), ATS/ATC/ATP/ATO(차상신호장치), WLC(열차무선장치), TCMS&COM(CCTV), CPL(커플러) 및 PIS(승객 정보 시스템)을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The railroad vehicle 110 may correspond to a power car, a passenger car, a freight car, a special car, etc. manufactured for the purpose of running on a railroad track. In one embodiment, the railroad vehicle 110 may be implemented by including a plurality of control devices that perform various functions during a driving process. For example, the railway vehicle 110 is a brake control unit (BCU), a peripheral transformer (MTR), heating, ventilation, and air conditioning (HVAC), a door control unit (DCU), a propulsion inverter (VVVF), and a compressor (CMPR). ), BTA(Battery), HSCB(High Speed Circuit Breaker), SIV(Static Inverter), BSM(Bogie Sensor Module), WSM(Wheel Sensor Module), SBM(Switch Board Module), MBM(Motor Block Module), ATS /ATC/ATP/ATO (onboard signaling device), WLC (train radio device), TCMS&COM (CCTV), CPL (coupler), and PIS (passenger information system).

철도차량 유지보수 플랫폼용 장치(130)는 운영 모드에 따라 수집된 다양한 정보들을 기초로 철도차량(110)의 고장 진단 및 예지를 수행함으로써 철도차량(110)의 제어 및 관리를 통합 지원할 수 있는 컴퓨터 또는 프로그램에 해당하는 서버로 구현될 수 있다. 철도차량 유지보수 플랫폼용 장치(130)는 철도차량(110)과 블루투스, WiFi 등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을 통해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고, 네트워크를 통해 철도차량(110)과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The railway vehicle maintenance platform device 130 is a computer that can support integrated control and management of the railway vehicle 110 by performing failure diagnosis and prediction of the railway vehicle 110 based on various information collected according to the operating mode. Alternatively, it may be implemented as a server corresponding to the program. The device 130 for a railroad vehicle maintenance platform can be wirelessly connected to the railroad vehicle 110 through the Internet of Things (Internet of Thing) such as Bluetooth and WiFi, and can exchange data with the railroad vehicle 110 through a network. have.

일 실시예에서, 철도차량 유지보수 플랫폼용 장치(130)는 철도차량(110)에 포함된 복수의 센서들로부터 센싱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또는 실시간으로 수신할 수 있고, 운영 모드에 따라 철도차량(110)의 제어 및 관리에 필요한 정보들을 철도차량(110)에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철도차량 유지보수 플랫폼용 장치(130)는 철도차량(110)에 포함되어 구현될 수 있고, 고장진단 및 예지를 위해 필요한 다양한 정보들을 사용자 단말(170)에 제공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device 130 for a railroad vehicle maintenance platform may periodically or in real time receive sensing data from a plurality of sensors included in the railroad vehicle 110, and according to the operating mode, the railroad vehicle 110 ) Can be provided to the railroad vehicle 110 with information necessary for control and management. In another embodiment, the apparatus 130 for a railroad vehicle maintenance platform may be implemented by being included in the railroad vehicle 110, and various information necessary for diagnosis and prediction of a failure may be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170.

일 실시예에서, 철도차량 유지보수 플랫폼용 장치(130)는 데이터베이스(150)와 연동하여 철도차량(110)의 제어 및 관리를 통합 지원하기 위하여 필요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철도차량 유지보수 플랫폼용 장치(130)는 도 1과 달리, 데이터베이스(150)를 내부에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철도차량 유지보수 플랫폼용 장치(130)는 프로세서, 메모리, 사용자 입출력부 및 네트워크 입출력부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고, 이에 대해서는 도 2에서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In one embodiment, the apparatus 130 for a railroad vehicle maintenance platform may store information necessary to support integrated control and management of the railroad vehicle 110 in connection with the database 150. Meanwhile, unlike FIG. 1, the apparatus 130 for a railroad vehicle maintenance platform may be implemented including the database 150 inside. In addition, the railway vehicle maintenance platform device 130 may be implemented including a processor, a memory, a user input/output unit, and a network input/output unit, which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in FIG. 2.

데이터베이스(150)는 철도차량(110)의 제어 및 관리를 통합 지원하기 위해 필요한 다양한 정보들을 저장할 수 있는 저장장치이다. 데이터베이스(150)는 철도차량(110) 및 다양한 제어 장치들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고, 철도차량(110)으로부터 수신한 복수의 센싱 데이터들을 저장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복수의 센싱 데이터들을 기초로 운영 모드를 결정하여 철도차량(110)의 제어 및 관리를 통합 지원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형태로 수집 또는 가공된 정보들을 저장할 수 있다.The database 150 is a storage device capable of storing various pieces of information necessary to support integrated control and management of the railway vehicle 110. The database 150 may store information on the railroad vehicle 110 and various control devices, and may store a plurality of sensing data received from the railroad vehicle 110,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a plurality of sensing data The information collected or processed in various forms may be stored in the process of determining an operation mode based on the information and integrated support for controlling and managing the railway vehicle 110.

사용자 단말(170)은 철도차량 유지보수 플랫폼용 장치(130)로부터 철도차량(110)의 제어 및 관리에 필요한 정보들을 수신하여 다양한 인터페이스를 통해 표시할 수 있는 컴퓨팅 장치에 해당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70)은 스마트폰, 노트북 또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태블릿 PC 등 다양한 디바이스로도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70)은 철도차량 유지보수 플랫폼용 장치(130)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고, 복수의 사용자 단말(170)들은 철도차량 유지보수 플랫폼용 장치(130)와 동시에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170)은 철도차량(110) 및/또는 철도차량 유지보수 플랫폼용 장치(130)에 미리 등록되어 데이터들을 송수신하거나 확인할 수 있는 제한된 권한을 획득할 수 있다.The user terminal 170 may correspond to a computing device capable of receiving information necessary for control and management of the railroad vehicle 110 from the device 130 for a railroad vehicle maintenance platform and displaying it through various interfaces. The user terminal 170 may be implemented as a smart phone, a notebook computer, or a computer,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implemented as various devices such as a tablet PC. The user terminal 170 may be connected to the device 130 for a railroad vehicle maintenance platform through a network, and a plurality of user terminals 170 may be simultaneously connected with the device 130 for a railroad vehicle maintenance platform. In one embodiment, the user terminal 170 may be registered in advance in the railroad vehicle 110 and/or the railroad vehicle maintenance platform device 130 to obtain limited authority to transmit and receive data or to check.

도 2는 도 1에 있는 철도차량 유지보수 플랫폼용 장치의 기본 시스템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basic system configuration of the apparatus for a railroad vehicle maintenance platform shown in FIG. 1.

도 2를 참조하면, 철도차량 유지보수 플랫폼용 장치(130)는 프로세서(210), 메모리(230), 사용자 입출력부(250) 및 네트워크 입출력부(27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apparatus 130 for a railroad vehicle maintenance platform may include a processor 210, a memory 230, a user input/output unit 250, and a network input/output unit 270.

프로세서(210)는 운영 모드에 따라 수집된 다양한 정보들을 기초로 철도차량(110)의 고장 진단 및 예지를 수행함으로써 철도차량(110)의 제어 및 관리를 통합 지원하기 위한 각 프로시저를 실행할 수 있고, 그 과정 전반에서 읽혀지거나 작성되는 메모리(230)를 관리할 수 있으며, 메모리(230)에 있는 휘발성 메모리와 비휘발성 메모리 간의 동기화 시간을 스케줄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철도차량 유지보수 플랫폼용 장치(130)의 동작 전반을 제어할 수 있고, 메모리(230), 사용자 입출력부(250) 및 네트워크 입출력부(2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이들 간의 데이터 흐름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철도차량 유지보수 플랫폼용 장치(130)의 CPU(Central Processing Unit)로 구현될 수 있다.The processor 210 can execute each procedure to support integrated control and management of the railroad vehicle 110 by performing fault diagnosis and prediction of the railroad vehicle 110 on the basis of various information collect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mode, and , It is possible to manage the memory 230 that is read or written throughout the process, and a synchronization time between the volatile memory and the nonvolatile memory in the memory 230 can be scheduled. The processor 210 can control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device 130 for a railroad vehicle maintenance platform,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emory 230, the user input/output unit 250, and the network input/output unit 270 to provide data between them. You can control the flow. The processor 210 may be implemented as a CPU (Central Processing Unit) of the apparatus 130 for a railroad vehicle maintenance platform.

메모리(230)는 SSD(Solid State Disk) 또는 HDD(Hard Disk Drive)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로 구현되어 철도차량 유지보수 플랫폼용 장치(130)에 필요한 데이터 전반을 저장하는데 사용되는 보조기억장치를 포함할 수 있고, RAM(Random Access Memory)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로 구현된 주기억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The memory 230 is implemented as a nonvolatile memory such as a solid state disk (SSD) or a hard disk drive (HDD), and includes an auxiliary storage device used to store all data required for the device 130 for a railroad vehicle maintenance platform. In addition, a main memory device implemented with volatile memory such as RAM (Random Access Memory) may be included.

사용자 입출력부(250)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환경 및 사용자에게 특정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환경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출력부(250)는 터치 패드, 터치 스크린, 화상 키보드 또는 포인팅 장치와 같은 어댑터를 포함하는 입력장치 및 모니터 또는 터치스크린과 같은 어댑터를 포함하는 출력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입출력부(250)는 원격 접속을 통해 접속되는 컴퓨팅 장치에 해당할 수 있고, 그러한 경우, 철도차량 유지보수 플랫폼용 장치(130)는 서버로서 수행될 수 있다.The user input/output unit 250 may include an environment for receiving a user input and an environment for outputting specific information to a user. For example, the user input/output unit 250 may include an input device including an adapter such as a touch pad, a touch screen, an on-screen keyboard, or a pointing device, and an output device including an adapter such as a monitor or a touch screen. In one embodiment, the user input/output unit 250 may correspond to a computing device connected through a remote connection, and in such a case, the device 130 for a railroad vehicle maintenance platform may be performed as a server.

네트워크 입출력부(270)은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장치 또는 시스템과 연결하기 위한 환경을 포함하고, 예를 들어, LAN(Local Area Network),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및 VAN(Value Added Network) 등의 통신을 위한 어댑터를 포함할 수 있다.The network input/output unit 270 includes an environment for connecting to an external device or system through a network, and includes, for example, a local area network (LAN), a metropolitan area network (MAN), a wide area network (WAN), and a VAN ( Value Added Network) may include an adapter for communication.

도 3은 도 1에 있는 철도차량 유지보수 플랫폼용 장치의 기능적 구성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functional configuration of the apparatus for a railroad vehicle maintenance platform shown in FIG. 1.

도 3을 참조하면, 철도차량 유지보수 플랫폼용 장치(130)는 제1 제어관리부(310), 제2 제어관리부(330), 통합 운영부(350) 및 제어부(37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the apparatus 130 for a railroad vehicle maintenance platform may include a first control management unit 310, a second control management unit 330, an integrated operation unit 350, and a control unit 370.

제1 제어관리부(310)는 센서 데이터를 기초로 포인트 데이터를 생성하여 고장 유무를 감지하는 복수의 제1 제어 장치들과, 포인트 데이터의 전송을 담당하는 제1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철도차량(110)의 제어 및 관리를 지원할 수 있다. 제1 제어관리부(310)는 포인트 데이터를 처리하는 포워딩 서버(Forwarding Server, FWSV)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철도차량(110)의 내부에 기본적으로 설치되는 TCMS(Train Control and Management System)에 해당할 수 있다. 포인트 데이터는 압력, 온도 및 전력량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control management unit 310 is connected to a plurality of first control devices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fault by generating point data based on sensor data, and a railroad vehicle 110 by being connected through a first network in charge of transmitting the point data. ) Can support the control and management. The first control management unit 310 may serve as a forwarding server (FWSV) that processes point data, and, for example, a train control and control unit (TCMS) that is basically installed inside the railway vehicle 110. Management System). The point data may include pressure, temperature, and power.

즉, 제1 제어관리부(310)는 복수의 제1 제어 장치들에 포함된 각종 제어기(ECU)들과 연결되어 제어 장치의 고장 여부와 제어 장치의 측정 데이터를 수신하여 기관사나 관제부서에 철도차량(110)의 상태를 제공하여 철도차량(110)을 안전하게 운영할 수 있게 지원할 수 있다. 제1 제어 장치는 내부에 제어기(ECU)를 포함할 수 있고, 제어기(ECU)는 장치 제어를 위해 내부적으로 다양한 센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기(ECU)는 장치 제어에 활용하는 것이 주 목적이기 때문에 센서의 정상 여부를 판단하여 제1 제어관리부(310)에 고장코드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어기(ECU)는 철도차량(110)의 운영에 참고할 수 있도록 센서 데이터의 극히 일부분이나 주요 값만을 선별하여 제1 제어관리부(310)에 전송할 수 있다.That is, the first control management unit 310 is connected to various controllers (ECUs) included in the plurality of first control devices to receive the control device failure and measurement data of the control device, It is possible to support the safe operation of the railroad vehicle 110 by providing the state of (110). The first control device may include a controller (ECU) therein, and the controller (ECU) may include various sensors internally for device control. Since the controller (ECU) is mainly used for device control, it may determine whether the sensor is normal and transmit a fault code to the first control management unit 310. In addition, the controller (ECU) may select only a small part or main value of the sensor data and transmit it to the first control management unit 310 so as to refer to the operation of the railway vehicle 110.

일 실시예에서, 제1 제어관리부(310)는 차량 내 통신버스(Multifunction Vehicle Bus, MVB), 차량 간 통신버스(Wired Train Bus, WTB) 및 RS485 중 어느 하나를 제1 네트워크로서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제어관리부(310)가 TCMS에 해당하는 경우 제1 네트워크는 TCMS 백본(Backbone)에 해당할 수 있고, 일반적으로 MVB, WTB 및 RS485 등의 통신 네트워크를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the first control management unit 310 may use any one of a multifunction vehicle bus (MVB), a wired train bus (WTB), and RS485 as the first network. For example, when the first control management unit 310 corresponds to the TCMS, the first network may correspond to a TCMS backbone, and may generally be implemented using a 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MVB, WTB, and RS485. .

제1 네트워크는 통신 네트워크의 밴드폭이 좁아서 대용량의 데이터를 전송하는데 제한이 있으며, 예를 들어, 1024 바이트 이하(Byte or less)의 데이터를 1000 ms 주기로 전송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제1 제어관리부(310)는 제1 네트워크를 통해 복수의 제1 제어 장치들로부터 제한된 용량의 포인트 데이터만을 수신하여 처리함으로써 철도차량(110)의 제어 및 관리에 관한 제한된 역할만을 수행할 수 있다.The first network has a limitation in transmitting large amounts of data due to the narrow bandwidth of the communication network, and for example, data of 1024 bytes or less (byte or less) may be transmitted in a period of 1000 ms. As a result, the first control management unit 310 receives and processes only point data of a limited capacity from a plurality of first control devices through the first network, thereby performing only a limited role in control and management of the railroad vehicle 110. I can.

제2 제어관리부(330)는 제1 네트워크와 각각 연결되고 포인트 데이터와 웨이브 데이터를 이용하여 고장 예지를 수행하는 복수의 제2 제어 장치들과, 웨이브 데이터의 전송을 담당하는 제2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철도차량(110)의 제어 및 관리를 지원할 수 있다. 제2 제어관리부(330)는 웨이브 데이터를 처리하는 로컬 프로세싱 서버(Local Processing Server, LPSV)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The second control management unit 330 is connected to a first network, and is connected through a second network in charge of transmitting wave data with a plurality of second control devices that perform failure prediction using point data and wave data.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support the control and management of the railway vehicle 110. The second control management unit 330 may serve as a local processing server (LPSV) that processes wave data.

또한, 제2 제어관리부(330)는 기존의 TCMS의 역할보다 확장된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며, 포인트 데이터보다 용량은 크지만 더 많은 정보를 가진 웨이브 데이터를 수신하여 처리함으로써 제어 장치의 단순 고장 여부 뿐만 아니라 고장에 임박하는 징후나 향후 잔류한 수명 등을 예측하여 예방 정비를 효과적으로 지원할 수 있다. 웨이브 데이터는 진동 신호, 전류/전압 파형 신호 등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control management unit 330 may perform an extended role than that of the existing TCMS, and by receiving and processing wave data having a larger capacity than point data, but having more information, whether or not the control device has a simple failure. In addition, it can effectively support preventive maintenance by predicting signs of impending failure or remaining life in the future. The wave data may include a vibration signal, a current/voltage waveform signal, and the like.

일 실시예에서, 제2 제어관리부(330)는 제1 네트워크와 독립적으로 동작하면서 웨이브 데이터의 처리를 위해 제1 네트워크보다 더 큰 전송량 및 더 짧은 전송 주기를 가진 통신 네트워크를 제2 네트워크로서 사용할 수 있다. 제2 네트워크는 제1 네트워크와 연결된 독립적인 통신 백본에 해당할 수 있고, 복수의 제2 제어 장치들과 연결되어 동작할 수 있다. 제2 네트워크는 웨이브 데이터의 전송을 위해 1 기가 바이트 이하(Giga Byte or Less)의 데이터를 100 ms 주기로 전송할 수 있는 성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2 제어관리부(330)는 향상된 네트워크 성능에 대응하여 제1 제어관리부(310)와 비교하여 더 큰 데이터 저장 용량과 더 긴 데이터 저장 기간을 제공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second control management unit 330 operates independently of the first network and may use a communication network having a larger transmission amount and a shorter transmission period than the first network for processing wave data as the second network. have. The second network may correspond to an independent communication backbone connected to the first network, and may operate in connection with a plurality of second control devices. The second network may provide a performance capable of transmitting data of 1 gigabyte or less (Giga Byte or Less) in a 100 ms cycle for transmission of wave data. In addition, the second control management unit 330 may provide a larger data storage capacity and a longer data storage period compared to the first control management unit 310 in response to improved network performance.

일 실시예에서, 제2 제어관리부(330)는 IoT 통신 모듈과 스위칭 허브를 포함하는 제어 장치 및 아날로그 센서와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ADC)를 포함하는 제어 장치 중 어느 하나를 제2 제어 장치로서 사용할 수 있다. 제2 제어장치는 웨이브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연산 능력을 기본적으로 구비할 수 있으며, 주요 상황에 대한 로우(Raw) 데이터와 주요 인덱스(Index)를 저장할 수 있는 별도의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제어 장치는 제1 제어 장치와 독립적으로 동작하는 별도의 장치에 해당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second control management unit 330 uses any one of a control device including an IoT communication module and a switching hub, and a control device including an analog sensor and an analog-digital converter (ADC) as a second control device. I can. The second control device may basically have an operation capability capable of processing wave data, and may include a separate database capable of storing raw data and main indexes for main situations. The second control device may correspond to a separate device that operates independently from the first control device.

또한, 제2 제어 장치는 운영 모드에 따라서 제1 네트워크 또는 제2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고, 이를 위하여 IoT 통신 모듈과 스위칭 허브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제2 제어 장치는 추가적인 웨이브 데이터의 측정 또는 수집을 위하여 새로운 아날로그 센서와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ADC)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control device may perform data communication through the first network or the second network according to the operation mode, and for this, it may be implemented including an IoT communication module and a switching hub. The second control device may include a new analog sensor and an analog-to-digital converter (ADC) for measuring or collecting additional wave data.

통합 운영부(350)는 철도차량(110)의 상태에 따라 제1 및 제2 네트워크들의 선택적 사용에 관한 운영 모드를 결정하여 제1 및 제2 장치들 간의 데이터 교환을 통해 철도차량(110)의 제어 및 관리를 통합 지원할 수 있다. 철도차량(110)의 상태는 철도차량(110)의 운행 기간, 운행 구간, 운행 조건 등을 기초로 사전에 정의될 수 있고, 통합 운영부(350)는 다양한 조건을 기초로 분류된 철도차량(110)의 상태에 따라 운영 모드를 동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The integrated operation unit 350 controls the railroad vehicle 110 through data exchang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devices by determining an operation mode for selective use of the first and second networks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railroad vehicle 110 And management can be integrated support. The state of the railroad vehicle 110 may be defined in advance based on the operating period, the operating section, and operating conditions of the railroad vehicle 110, and the integrated operation unit 350 includes the railroad vehicle 110 classified on the basis of various conditions. ), the operating mode can be dynamically determined.

예를 들어, 철도차량(110)이 운행을 개시한 상태이거나 일정 기간 이상 운행되어 노후화된 상태인 경우 철도차량(110)의 주요 제어 장치들에 대한 고장을 사전에 진단하여 사고를 예방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통합 운영부(350)는 보다 정밀한 진단이 가능한 운영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즉, 통합 운영부(350)는 단순한 정보만을 측정하거나 진단할 경우 제1 네트워크를 사용할 수 있고, 보다 정밀한 분석이 필요한 경우 제2 네트워크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통합 운영부(350)는 철도차량(110)의 상태별 운영 모드에 관한 테이블을 구축하여 운영 모드 결정에 활용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railroad vehicle 110 is in a state in which it has started operation or is in an aging state after being operate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or longer, it is necessary to prevent accidents by diagnosing failures of major control devices of the railroad vehicle 110 in advance. Therefore, the integrated operation unit 350 may determine an operation mode in which a more precise diagnosis is possible. That is, the integrated operation unit 350 may use the first network when measuring or diagnosing only simple information, and may use the second network when more precise analysis is required. In addition, the integrated operation unit 350 may build a table on the operation mode for each state of the railroad vehicle 110 and use it to determine the operation mode.

또한, 통합 운영부(350)는 운영 모드에 따라 제1 제어 장치들 및 제2 제어 장치들 간의 데이터 교환을 수행할 수 있고, 철도차량 유지보수 플랫폼용 장치(130)는 상호 보완적으로 통합된 상태 데이터를 이용하여 철도차량(110)의 상태에 관한 모니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제어 장치들 및 제2 제어 장치들 간의 데이터 교환은 통합 운영부(350)에 의해 결정되는 운영 모드에 따라 제1 네트워크를 통한 간접적인 통신에 의해 수행되거나 또는 제1 및 제2 제어 장치들 간의 직접적인 통신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및 제2 제어 장치들 간의 직접적인 통신은 사물인터넷 통신에 해당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tegrated operation unit 350 may exchange data between the first control devices and the second control devices according to the operation mode, and the railroad vehicle maintenance platform device 130 is complementarily integrated. The data may be used to monitor the condition of the railroad vehicle 110. Data exchange between the first control devices and the second control devices is performed by indirect communication through the first network or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control devices according to an operation mode determined by the integrated operation unit 350. It can be done by direct communication. In this case,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control devices may correspond to IoT communication.

일 실시예에서, 통합 운영부(350)는 철도차량(110)의 상태에 따라 제1 네트워크만 동작하는 제1 운영 모드, 제2 네트워크만 동작하는 제2 운영 모드, 제1 및 제2 네트워크가 함께 동작하는 제3 운영 모드 중 어느 하나를 결정할 수 있다. 제1 운영 모드는 철도차량(110)에 설치된 기존의 TCMS를 그대로 이용하여 동작하는 운영 모드에 해당할 수 있고, 제2 운영 모드는 더 큰 대역폭을 가진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보다 정밀한 분석이 가능한 운영 모드에 해당할 수 있으며, 제3 운영모드는 제1 및 제2 네트워크가 함께 동작하여 고장 진단 및 예지를 위한 분석을 분담하는 운영 모드에 해당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integrated operation unit 350 operates in a first operation mode in which only the first network is operated, a second operation mode in which only the second network is operated, and the first and second networks are combined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railway vehicle 110. Any one of the third operating modes to operate can be determined. The first operation mode may correspond to an operation mode in which the existing TCMS installed on the railway vehicle 110 is used as it is, and the second operation mode is an operation mode that enables more precise analysis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with a larger bandwidth. The third operation mode may correspond to an operation mode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networks operate together to share failure diagnosis and analysis for prediction.

통합 운영부(350)는 제1 제어관리부(310) 또는 제2 제어관리부(330)의 동작에 이상이 감지된 경우 운영 모드의 변경을 통해 철도차량(110)의 상태에 관한 실시간 감시 기능이 원활하게 수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통합 운영부(350)는 사용자 단말(170)로부터 수신된 제어 명령에 따라 운영 모드를 수동으로 변경할 수 있다. 또한, 통합 운영부(350)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철도차량(110)의 상태 모니터링을 위하여 다양한 운영 모드를 정의하여 활용할 수 있다.When an abnormality is detected in the operation of the first control management unit 310 or the second control management unit 330, the integrated operation unit 350 facilitates a real-time monitoring function regarding the state of the railroad vehicle 110 through change of the operation mode. It can be controlled to be performed. In another embodiment, the integrated operation unit 350 may manually change the operation mode according to a control command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170. In addition, the integrated operation unit 350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may define and utilize various operation modes for monitoring the condition of the railroad vehicle 110.

일 실시예에서, 통합 운영부(350)는 제3 운영 모드에 따라 포인트 데이터에 센서 데이터를 추가하여 제1 또는 제2 네트워크를 통해 제2 제어관리부(330)에 전송할 수 있다. 제1 네트워크와 제2 네트워크가 함께 동작하는 제3 운영 모드에 의해 동작하는 경우 통합 운영부(350)는 제1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되는 포인트 데이터에 활용 가능한 센서 데이터를 추가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통합 운영부(350)는 제1 네트워크의 밴드 폭을 증가시킬 수 있다. 제1 및 제2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되는 센서 데이터 및 관련 정보에 대해서는 도 6 내지 8에서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In an embodiment, the integrated operation unit 350 may add sensor data to the point data according to the third operation mode and transmit it to the second control management unit 330 through the first or second network. When the first network and the second network operate in a third operation mode in which the first network and the second network operate together, the integrated operation unit 350 may add sensor data that can be used to the point data transmitted through the first network. To this end, the integrated operation unit 350 may increase the bandwidth of the first network. Sensor data and related information transmitted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network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6 to 8.

일 실시예에서, 통합 운영부(350)는 운영 모드에 따라 복수의 제1 제어 장치들이 생성하는 포인트 데이터를 제1 네트워크를 통해 복수의 제2 제어 장치들에 전송하거나 또는 복수의 제2 제어 장치들이 생성하는 웨이브 데이터에 관한 포인트 데이터를 제1 네트워크를 통해 복수의 제1 제어 장치들에 전송할 수 있다. 제1 제어 장치들과 제2 제어 장치들은 제1 네트워크를 통해 상호 보완적으로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고, 제1 네트워크를 이용하기 때문에 제2 제어 장치들에서 제1 제어 장치들로 전송되는 데이터는 포인트 데이터로서 웨이브 데이터에 대한 요약 데이터 또는 대표값에 해당할 수 있다. 기본적으로 제1 제어 장치와 제1 제어관리부(310) 간의 통신은 제1 네트워크를 통해 수행되고, 제2 제어 장치와 제2 제어관리부(330) 간의 통신은 제2 네트워크를 통해 수행될 수 있으나, 운영 모드에 따라 전송되는 데이터와 네트워크가 변경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integrated operation unit 350 transmits point data generated by a plurality of first control devices according to an operation mode to a plurality of second control devices through a first network, or a plurality of second control devices Point data related to the generated wave data may be transmitted to the plurality of first control devices through the first network. The first control devices and the second control devices can complementaryly exchange data through the first network, and because the first network is used, data transmitted from the second control devices to the first control devices is As point data, it may correspond to summary data or representative values for wave data. Basically, communication between the first control device and the first control management unit 310 is performed through the first network, and communication between the second control device and the second control management unit 330 may be performed through the second network. Depending on the operating mode, the transmitted data and the network may change.

제2 제어 장치들은 제1 네트워크와 연결되어 있고, 제1 제어 장치들이 생성한 포인트 데이터는 제1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되기 때문에 제2 제어 장치는 제1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되는 포인트 데이터를 통합 운영부(350)의 제어에 따라 선택적으로 수신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기존 TCMS를 구성하는 제1 제어 장치의 ECU 데이터들이 제2 제어 장치로 제공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속도 데이터 등은 제2 제어 장치에서도 분석을 위해 필요한 데이터 중 하나인데 기존 제1 제어 장치에서 보내주는 데이터를 제2 제어 장치가 그대로 확보할 수 있어 추가 센서의 설치를 생략할 수 있다.Since the second control devices are connected to the first network, and the point data generated by the first control devices is transmitted through the first network, the second control device integrates the point data transmitted through the first network. ) Can be selectively received. Through this, the ECU data of the first control device constituting the existing TCMS can be provided to the second control device. For example, speed data, etc., is one of the data required for analysis in the second control device. Since the data sent from the device can be secured by the second control device as it is, the installation of additional sensors can be omitted.

일 실시예에서, 통합 운영부(350)는 운영 모드에 따라 복수의 제2 제어 장치들이 생성하는 제어 신호를 제1 네트워크를 통해 제1 제어관리부(310)에 전송하거나 또는 제2 제어관리부(330)에서 생성하는 제어 신호를 제2 네트워크를 통해 제1 제어관리부(310)에 전송할 수 있다. 제2 제어 장치는 통합 운영부(350)의 제어에 따라 실시간 감시 결과로서 최종 연산의 결과만을 기존의 제1 네트워크를 통해 제1 제어관리부(310)에 전송할 수 있고, 제1 제어관리부(310)는 그에 따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2 제어관리부(330)는 제2 네트워크를 통해 제1 제어관리부(310)와 직접 연결될 수 있고, 통합 운영부(350)의 제어에 따라 제어 신호를 제1 제어 관리부(310)에 직접 전송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integrated operation unit 350 transmits a control signal generated by a plurality of second control devices according to the operation mode to the first control management unit 310 through the first network or the second control management unit 330 The control signal generated from may be transmitted to the first control management unit 310 through the second network. The second control device may transmit only the result of the final operation as a real-time monitoring result under the control of the integrated operation unit 350 to the first control management unit 310 through the existing first network, and the first control management unit 310 You can perform actions accordingly. In addition, the second control management unit 330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first control management unit 310 through a second network, and directly transmit a control signal to the first control management unit 310 under the control of the integrated operation unit 350. I can.

제어부(370)는 철도차량 유지보수 플랫폼용 장치(13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제1 제어관리부(310), 제2 제어관리부(330) 및 통합 운영부(350) 간의 제어 흐름 또는 데이터 흐름을 관리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370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apparatus 130 for a railroad vehicle maintenance platform, and controls the control flow or data flow between the first control management unit 310, the second control management unit 330, and the integrated operation unit 350. Can be managed.

도 4는 도 1에 있는 철도차량 유지보수 플랫폼용 장치에서 수행되는 상태 모니터링 기반의 철도차량 유지보수 과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dition monitoring-based rail vehicle maintenance process performed in the device for a rail vehicle maintenance platform in FIG. 1.

도 4를 참조하면, 철도차량 유지보수 플랫폼용 장치(130)는 제1 제어관리부(310)를 통해 센서 데이터를 이용하여 포인트 데이터를 생성하는 복수의 제1 제어 장치들과 포인트 데이터의 전송을 담당하는 제1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철도차량(110)의 제어 및 관리를 지원할 수 있다(단계 S410). 철도차량 유지보수 플랫폼용 장치(130)는 제2 제어관리부(330)를 통해 제1 네트워크와 각각 연결되고 센서 데이터 및 포인트 데이터를 이용하여 웨이브 데이터를 생성하는 복수의 제2 제어 장치들과 웨이브 데이터의 전송을 담당하는 제2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철도차량(110)의 제어 및 관리를 지원할 수 있다(단계 S430). 철도차량 유지보수 플랫폼용 장치(130)는 통합 운영부(350)를 통해 철도차량(110)의 상태에 따라 제1 및 제2 네트워크들의 선택적 사용에 관한 운영 모드를 결정하여 제1 및 제2 장치들 간의 데이터 교환을 통해 철도차량(110)의 제어 및 관리를 통합 지원할 수 있다(단계 S450).4, the railway vehicle maintenance platform device 130 is in charge of transmitting point data to a plurality of first control devices that generate point data using sensor data through the first control management unit 310. It is connected through the first network to support the control and management of the railroad vehicle 110 (step S410). The device 130 for a railroad vehicle maintenance platform is connected to the first network through the second control management unit 330 and generates wave data using sensor data and point data, and a plurality of second control devices and wave data. It is connected through a second network in charge of transmission of the railroad vehicle 110 to support control and management (step S430). The device 130 for a railroad vehicle maintenance platform determines an operating mode related to the selective use of the first and second networks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railroad vehicle 110 through the integrated operation unit 350,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devices are It is possible to support integrated control and management of the railroad vehicle 110 through data exchange between them (step S450).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태 모니터링 기반의 철도차량 유지보수 플랫폼용 장치의 전체적인 개념을 설명하는 도면이다.5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verall concept of the device for a railroad vehicle maintenance platform based on condition monitor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철도차량 유지보수 플랫폼용 장치(130)는 기존의 TCMS 백본(Backbone)을 제1 네트워크(513)로 사용하는 제1 제어관리부(510)와 향상된 통신 환경을 제공하는 새로운 CMB 백본을 제2 네트워크(533)로 사용하는 제2 제어관리부(5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네트워크(513)는 복수의 제1 제어 장치(511)들과 연결되어 제1 제어관리부(510)에게 포인트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고, 제2 네트워크(533)는 복수의 제2 제어 장치(531)들과 연결되어 제2 제어관리부(530)에게 웨이브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the device 130 for a railroad vehicle maintenance platform is a new CMB that provides an improved communication environment with a first control management unit 510 using an existing TCMS backbone as a first network 513. A second control management unit 530 that uses the backbone as the second network 533 may be included. The first network 513 may be connected to a plurality of first control devices 511 to transmit point data to the first control management unit 510, and the second network 533 may include a plurality of second control devices 531 ) And may transmit wave data to the second control management unit 530.

일 실시예에서, 제2 제어 장치(531)는 IoT 통신 모듈과 스위칭 허브를 포함하는 제어 장치(531b) 및 아날로그 센서와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ADC)를 포함하는 제어 장치(531a)로 구성될 수 있다. 아날로그 센서를 포함하는 제어 장치(531a)는 기존의 TCMS에서 활용하기 어려웠던 파형 데이터를 측정하거나 수집할 수 있고, 철도차량(110)의 예방정비를 위하여 정밀분석이 필요한 위치에 선택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IoT 통신 모듈과 스위칭 허브를 포함하는 제어 장치(531b)는 기존의 TCMS를 구성하는 제1 제어 장치(511)에 각각 대응하면서 웨이브 데이터의 수집과 분석이 자체적으로 가능하도록 향상된 성능을 갖춘 IoT 기반의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에 해당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econd control device 531 may include a control device 531b including an IoT communication module and a switching hub, and a control device 531a including an analog sensor and an analog-to-digital converter (ADC). have. The control device 531a including an analog sensor may measure or collect waveform data that was difficult to use in the existing TCMS, and may be selectively installed at a location where precise analysis is required for preventive maintenance of the railway vehicle 110. . In addition, the control device 531b including the IoT communication module and the switching hub corresponds to the first control device 511 constituting the existing TCMS, and has improved performance so that the collection and analysis of wave data is possible by itself. It may correspond to a condition monitoring system based.

즉, 제2 제어 장치(531)는 로우(raw) 데이터 수집과 데이터베이스 구축이 가능하고, 특징 추출과 참조 특징(reference feature)을 분류할 수 있으며, 분류된 특징 분포에 의한 진단과 빅데이터 처리에 의한 예지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2 제어 장치(531)는 제1 제어관리부(510)로 핵심 데이터를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That is, the second control device 531 is capable of collecting raw data and building a database, extracting features and classifying reference features, and is capable of diagnosing and processing big data based on the classified feature distribution. You can perform foresight by In addition, the second control device 531 may perform a role of transmitting core data to the first control management unit 510.

도 6 내지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태 모니터링 기반의 철도차량 유지보수 플랫폼용 장치에서 사용되는 데이터 유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6 to 8 are diagrams for explaining data types used in the device for a railroad vehicle maintenance platform based on condition monitor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 내지 8을 참조하면, 철도차량 유지보수 플랫폼용 장치(130)는 제1 및 제2 네트워크들을 통해 다양한 정보들을 수집 및 분석하여 철도차량(110)의 제어 및 관리를 지원할 수 있다. 복수의 센서를 포함하여 센싱 데이터를 수집하는 제어 장치는 운영 모드에 따라 제1 및 제2 네트워크를 통해 선별적으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6 to 8, the apparatus 130 for a railroad vehicle maintenance platform may support control and management of the railroad vehicle 110 by collecting and analyzing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networks. A control device including a plurality of sensors and collecting sensing data may selectively transmit data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networks according to the operation mode.

도 6 내지 8에서, 철도차량(110)에 설치되는 주요 제어 장치별 명칭, 고장/기본정보, 자체 센서 정보 중 기본 TCMS 센서 데이터, 자체 센서 정보 중 추가/전송 가능 데이터, IoT 정밀 진단 및 예지 정보, 참조 데이터(Reference Data)를 확인할 수 있다. 각 장치에 대응되는 제1 및 제2 제어 장치들은 운영 모드에 따라 제1 및 제2 네트워크를 통해 각각의 정보를 제1 제어관리부(310), 제2 제어관리부(330) 및 철도차량 유지보수 플랫폼용 장치(130)에 전송할 수 있다.6 to 8, names of major control devices installed in the railroad vehicle 110, fault/basic information, basic TCMS sensor data among self-sensor information, additional/transferable data among self-sensor information, and precise IoT diagnosis and predictive information. , You can check the reference data. The first and second control devices corresponding to each device transmit each information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networks according to the operation mode, the first control management unit 310, the second control management unit 330, and the railroad vehicle maintenance platform. It can be transmitted to the device 130 for.

예를 들어, BCU(브레이크 제어 유닛)는 제1 네트워크를 통해 고장 코드(failure code) 및 기본 TCMS 센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기본 TCMS 센서 데이터는 실린더 압력, 적재하중, 회생재동력요구, 회생제동달성, 공기제동감쇄, 지령, BCP 범위 고장, BCP 일관성 고장, 부품고장, WSP 신호, MR 압력 고장 등을 포함할 수 있다. BCU는 운영 모드에 따라 실린더 압력, 적재하중, AC압력, BC압력, Anti skid valve, MR 압력, AS 압력, BC 압력적용, 작동 횟수 등을 추가적으로 전송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1 제어관리부(310) 또는 제2 제어관리부(330)가 해당 데이터들을 수신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BCU (Brake Control Unit) may transmit a failure code and basic TCMS sensor data through the first network. At this time, the basic TCMS sensor data includes cylinder pressure, loading load, regenerative power demand, regenerative braking achievement, air brake attenuation, command, BCP range failure, BCP consistency failure, component failure, WSP signal, MR pressure failure, etc. I can. The BCU can additionally transmit cylinder pressure, loading load, AC pressure, BC pressure, anti skid valve, MR pressure, AS pressure, BC pressure application, number of operations, etc., depending on the operating mode. In this case, the first control management unit 310 Alternatively, the second control management unit 330 may receive corresponding data.

또한, BCU는 제2 네트워크를 통해 IoT 정밀 진단 및 예지 정보를 전송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실린더 작동 압력, 파형, 적재하중, Valve 작동 전류 파형, 실린더 압력, 적재하중, AC압력, BC압력, Anti skid valve, MR 압력, AS 압력, BC 압력적용, 작동 횟수, 외기온도, 속도, 감속도, 운행거리, 운행시간, 운행구간 등을 전송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BCU can transmit IoT precision diagnostic and predictive information through the second network, for example, cylinder operating pressure, waveform, load load, valve operating current waveform, cylinder pressure, load load, AC pressure, BC pressure, Anti skid valve, MR pressure, AS pressure, BC pressure application, number of operations, outside temperature, speed, deceleration, driving distance, driving time, driving section, etc. can be transmitted.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variously modify and change the present invention within the scope no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following claims. You will understand that you can do it.

100: 상태 모니터링 기반의 철도차량 유지보수 시스템
110: 철도차량
130: 철도차량 유지보수 플랫폼용 장치
150: 데이터베이스 170: 사용자 단말
210: 프로세서 230: 메모리
250: 사용자 입출력부 270: 네트워크 입출력부
310: 제1 제어관리부 330: 제2 제어관리부
350: 통합 운영부 370: 제어부
510: 제1 제어관리부 511: 제1 제어장치
513: 제1 네트워크 530: 제2 제어관리부
531: 제2 제어장치 533: 제2 네트워크
100: rail vehicle maintenance system based on condition monitoring
110: railway vehicle
130: device for rail vehicle maintenance platform
150: database 170: user terminal
210: processor 230: memory
250: user input/output unit 270: network input/output unit
310: first control management unit 330: second control management unit
350: integrated operation unit 370: control unit
510: first control management unit 511: first control device
513: first network 530: second control management unit
531: second control device 533: second network

Claims (8)

센서 데이터를 기초로 포인트 데이터를 생성하여 고장 유무를 감지하는 복수의 제1 제어 장치들과, 상기 포인트 데이터의 전송을 담당하는 제1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철도차량의 제어 및 관리를 지원하는 제1 제어관리부;
상기 제1 네트워크와 각각 연결되고 상기 포인트 데이터와 웨이브 데이터를 이용하여 고장 예지를 수행하는 복수의 제2 제어 장치들과, 상기 웨이브 데이터의 전송을 담당하는 제2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상기 철도차량의 제어 및 관리를 지원하는 제2 제어관리부; 및
상기 철도차량의 상태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네트워크들의 선택적 사용에 관한 운영 모드를 결정하여 상기 제1 및 제2 장치들 간의 데이터 교환을 통해 상기 철도차량의 제어 및 관리를 통합 지원하는 통합 운영부를 포함하는 상태 모니터링 기반의 철도차량 유지보수 플랫폼용 장치.
A plurality of first control devices that generate point data based on sensor data to detect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failure, and a first that is connected through a first network in charge of transmitting the point data to support control and management of railway vehicles Control management unit;
A plurality of second control devices that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first network and perform failure prediction using the point data and wave data, and are connected through a second network in charge of transmitting the wave data. A second control management unit supporting control and management; And
An integrated operation unit that integrally supports the control and management of the railroad vehicle through data exchang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devices by determining an operating mode for selective use of the first and second networks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railroad vehicle Device for a railroad vehicle maintenance platform based on condition monitoring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관리부는
차량 내 통신버스(Multifunction Vehicle Bus, MVB), 차량 간 통신버스(Wired Train Bus, WTB) 및 RS485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제1 네트워크로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태 모니터링 기반의 철도차량 유지보수 플랫폼용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first control management unit
For a rail vehicle maintenance platform based on condition monitoring, characterized in that any one of an in-vehicle communication bus (Multifunction Vehicle Bus, MVB), a Wired Train Bus (WTB), and RS485 is used as the first network.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제어관리부는
상기 제1 네트워크와 독립적으로 동작하면서 상기 웨이브 데이터의 처리를 위해 상기 제1 네트워크보다 더 큰 전송량 및 더 짧은 전송 주기를 가진 통신 네트워크를 상기 제2 네트워크로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태 모니터링 기반의 철도차량 유지보수 플랫폼용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econd control management unit
A railroad based on condition monitoring, characterized in that a communication network having a larger transmission amount and a shorter transmission period than the first network is used as the second network for processing the wave data while operating independently of the first network. Device for vehicle maintenance platfor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제어관리부는
IoT 통신 모듈과 스위칭 허브를 포함하는 제어 장치 및 아날로그 센서와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ADC)를 포함하는 제어 장치 중 어느 하나를 제2 제어 장치로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태 모니터링 기반의 철도차량 유지보수 플랫폼용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econd control management unit
Condition monitoring-based railway vehicle maintenance, characterized in that any one of a control device including an IoT communication module and a switching hub and a control device including an analog sensor and an analog-digital converter (ADC) is used as a second control device. Device for platfor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운영부는
상기 철도차량의 상태에 따라 상기 제1 네트워크만 동작하는 제1 운영 모드, 상기 제2 네트워크만 동작하는 제2 운영 모드, 상기 제1 및 제2 네트워크가 함께 동작하는 제3 운영 모드 중 어느 하나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태 모니터링 기반의 철도차량 유지보수 플랫폼용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integrated operation unit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railroad vehicle, any one of a first operation mode in which only the first network is operated, a second operation mode in which only the second network is operated, and a third operation mode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networks operate together Device for a railroad vehicle maintenance platform based on condition monitoring, characterized in that to determin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운영부는
상기 제3 운영 모드에 따라 상기 포인트 데이터에 상기 센서 데이터를 추가하여 상기 제1 또는 제2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제2 제어관리부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태 모니터링 기반의 철도차량 유지보수 플랫폼용 장치.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integrated operation unit
A condition monitoring-based railway vehicle maintenance platform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sensor data is added to the point data according to the third operating mode and transmitted to the second control management unit through the first or second network.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운영부는
상기 운영 모드에 따라 상기 복수의 제1 제어 장치들이 생성하는 상기 포인트 데이터를 상기 제1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복수의 제2 제어 장치들에 전송하거나 또는 상기 복수의 제2 제어 장치들이 생성하는 웨이브 데이터에 관한 포인트 데이터를 상기 제1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복수의 제1 제어 장치들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태 모니터링 기반의 철도차량 유지보수 플랫폼용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integrated operation unit
Transmitting the point data generated by the plurality of first control devices according to the operating mode to the plurality of second control devices through the first network or to wave data generated by the plurality of second control devices A condition monitoring-based railway vehicle maintenance platform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ransmitting point data related to the first network to the plurality of first control devic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운영부는
상기 운영 모드에 따라 상기 복수의 제2 제어 장치들이 생성하는 제어 신호를 상기 제1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제1 제어관리부에 전송하거나 또는 상기 제2 제어관리부에서 생성하는 제어 신호를 상기 제2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제1 제어관리부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태 모니터링 기반의 철도차량 유지보수 플랫폼용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integrated operation unit
Depending on the operating mode, a control signal generated by the plurality of second control devices is transmitted to the first control management unit through the first network or a control signal generated by the second control management unit is transmitted through the second network. Device for a railroad vehicle maintenance platform based on condition monitor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transmission to the first control management unit.

KR1020190020713A 2019-02-21 2019-02-21 Apparatus for railway vehicle maintenance platforms based on condition monitoring KR102167258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0713A KR102167258B1 (en) 2019-02-21 2019-02-21 Apparatus for railway vehicle maintenance platforms based on condition monitoring
PCT/KR2020/002530 WO2020171643A1 (en) 2019-02-21 2020-02-21 State monitoring-based device for railway vehicle maintenance platfor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0713A KR102167258B1 (en) 2019-02-21 2019-02-21 Apparatus for railway vehicle maintenance platforms based on condition monitori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2275A true KR20200102275A (en) 2020-08-31
KR102167258B1 KR102167258B1 (en) 2020-10-20

Family

ID=722343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0713A KR102167258B1 (en) 2019-02-21 2019-02-21 Apparatus for railway vehicle maintenance platforms based on condition monitor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7258B1 (en)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801468A (en) * 2021-01-14 2021-05-14 深联无限(北京)科技有限公司 Intelligent management and decision-making auxiliary method for intelligent community polymorphic discrete information
KR20220071995A (en) * 2020-11-23 2022-06-02 한국철도기술연구원 Axlebox temperature monitoring device
CN114987582A (en) * 2022-06-24 2022-09-02 株洲嘉成科技发展股份有限公司 Distributed network control system of rail engineering vehicle
KR102486415B1 (en) * 2021-11-11 2023-01-10 주식회사 주은기공 Testing apparatus for Electronic Control Unit of train
KR102510661B1 (en) 2021-12-07 2023-03-16 (주)메트로텍 Smart maintenance support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 detection of abnormal state in railroad vehicles
KR102552170B1 (en) * 2022-07-22 2023-07-06 주식회사 뉴플랫폼 Tram Train Total control Syste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4655B1 (en) * 2022-07-22 2023-05-26 (주)위드샤인코리아 Railway vehicle parts life prediction system using switchboard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60979A (en) * 2003-12-17 2005-06-22 한국철도기술연구원 Signal measurement system for using train communication network
KR100540162B1 (en) 2003-12-16 2005-12-29 한국철도기술연구원 Information system for railway maintenance
KR20060072978A (en) * 2004-12-24 2006-06-28 한국철도기술연구원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fault tolerance by standby double onboard equipment of train in rcbtc system
KR101231836B1 (en) 2010-05-17 2013-02-21 흥일기업주식회사 Real time monitoring system for maintenance of railway vehicle door
KR20140129788A (en) * 2013-04-30 2014-11-07 한국철도기술연구원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a railroad car using wireless and self-generation sensor
KR20190003245A (en) * 2017-06-30 2019-01-09 (주)에스티와이드 Real time monitoring system for railway vehicles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0162B1 (en) 2003-12-16 2005-12-29 한국철도기술연구원 Information system for railway maintenance
KR20050060979A (en) * 2003-12-17 2005-06-22 한국철도기술연구원 Signal measurement system for using train communication network
KR20060072978A (en) * 2004-12-24 2006-06-28 한국철도기술연구원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fault tolerance by standby double onboard equipment of train in rcbtc system
KR101231836B1 (en) 2010-05-17 2013-02-21 흥일기업주식회사 Real time monitoring system for maintenance of railway vehicle door
KR20140129788A (en) * 2013-04-30 2014-11-07 한국철도기술연구원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a railroad car using wireless and self-generation sensor
KR20190003245A (en) * 2017-06-30 2019-01-09 (주)에스티와이드 Real time monitoring system for railway vehicles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1995A (en) * 2020-11-23 2022-06-02 한국철도기술연구원 Axlebox temperature monitoring device
CN112801468A (en) * 2021-01-14 2021-05-14 深联无限(北京)科技有限公司 Intelligent management and decision-making auxiliary method for intelligent community polymorphic discrete information
KR102486415B1 (en) * 2021-11-11 2023-01-10 주식회사 주은기공 Testing apparatus for Electronic Control Unit of train
KR102510661B1 (en) 2021-12-07 2023-03-16 (주)메트로텍 Smart maintenance support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 detection of abnormal state in railroad vehicles
CN114987582A (en) * 2022-06-24 2022-09-02 株洲嘉成科技发展股份有限公司 Distributed network control system of rail engineering vehicle
CN114987582B (en) * 2022-06-24 2023-02-21 株洲嘉成科技发展股份有限公司 Distributed network control system of rail engineering vehicle
KR102552170B1 (en) * 2022-07-22 2023-07-06 주식회사 뉴플랫폼 Tram Train Total control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7258B1 (en) 2020-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67258B1 (en) Apparatus for railway vehicle maintenance platforms based on condition monitoring
JP6889057B2 (en) Information processing equipment,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s and computer programs
JP2019018755A (en) Abnormality detection device, abnormality detection method, and computer program
CN112519836B (en) Automatic train operation system switching method and system
US10259327B2 (en) Vehicle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102527319B1 (en) System and method for machine learning prognostics and health management(phm) based on feature vector data of rolling stock parts
CN201016001Y (en) Passenger train operation monitoring and on-line fault diagnosis system
JP6713765B2 (en) Railway vehicle inspection system
WO2014061518A1 (en) Maintenance device, maintenance system, and maintenance program
CN111830927A (en) Vehicle fault monitoring method and device and vehicle-mounted diagnosis equipment
CN110027952B (en) Method and software program for diagnosing and/or maintaining a transportation system
JP2020202684A (en) Emergency power supply system, emergency power supply method, and program
KR100991633B1 (en) Fault data transferring and analysis system for railway vehicles
CN113479237A (en) Intelligent railway wagon system
CN110264585B (en) Bus after-sale diagnosis system
KR102257598B1 (en) Server, method and system for monitoring of batter of electric multiple unit
KR102529926B1 (en) Method and system of diagnosing defect and calculating remaining life of door of railway vehicle
KR20220129755A (en) Method and system of diagnosing defect and calculating remaining life of gearbox
JP7136760B2 (en) Emergency power supply system, emergency power supply method, and program
CN112158237B (en) Deep fusion system integrating TCMS and ATO functions and train
JP2016130110A (en) State monitoring device, state monitoring system, and organized train
JPH11240429A (en) Data analysis communication unit, data analysis communication method, and media recorded with data analysis communication program
KR102334220B1 (en) Method and system of diagnosing defect and calculating remaining life of components of railway vehicle
CN112744261A (en) Rail vehicle fault emergency processing method and system
RU2787310C1 (en) Onboard analytical complex for vehic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