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1720A - 케이블의 경면처리용 치구 및 이를 이용한 케이블의 경면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케이블의 경면처리용 치구 및 이를 이용한 케이블의 경면처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1720A
KR20200101720A KR1020190019939A KR20190019939A KR20200101720A KR 20200101720 A KR20200101720 A KR 20200101720A KR 1020190019939 A KR1020190019939 A KR 1020190019939A KR 20190019939 A KR20190019939 A KR 20190019939A KR 20200101720 A KR20200101720 A KR 202001017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surface treatment
insulating layer
mirror surface
ji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99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06755B1 (ko
Inventor
이수봉
강채홍
김성윤
정의환
홍성표
조동식
Original Assignee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199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6755B1/ko
Publication of KR202001017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17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67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67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 H01B13/06Insulating conductors or cab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4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joining or terminating cab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rocessing Of Termi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케이블의 경면처리용 치구 및 이를 이용한 케이블의 경면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케이블, 특히 고압 또는 초고압 직류 케이블의 중간접속시 접속되는 한 쌍의 케이블 각각의 접속되는 말단에서 도체와 절연층을 부분적으로 노출시키기 위해 이들을 탈피시키는 펜슬링(penciling) 공정을 수행하게 되는데 이러한 공정을 수행하는 도중에 발생하는 절연층 표면의 돌기, 주름 등의 펜슬링 자국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동시에 절연층 표면에 추가적인 자국을 생성시키지 않고 절연층을 열화시키지 않는 경면처리용 치구 및 이를 이용한 케이블의 경면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케이블의 경면처리용 치구 및 이를 이용한 케이블의 경면처리 방법{Device for surface treatment of cable and method for surface treatment of cabl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케이블의 경면처리용 치구 및 이를 이용한 케이블의 경면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케이블, 특히 고압 또는 초고압 직류 케이블의 중간접속시 접속되는 한 쌍의 케이블 각각의 접속되는 말단에서 도체와 절연층을 부분적으로 노출시키기 위해 이들을 탈피시키는 펜슬링(penciling) 공정을 수행하게 되는데 이러한 공정을 수행하는 도중에 발생하는 절연층 표면의 돌기, 주름 등의 펜슬링 자국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동시에 절연층 표면에 추가적인 자국을 생성시키지 않고 절연층을 열화시키지 않는 경면처리용 치구 및 이를 이용한 케이블의 경면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초고압 직류 케이블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고압 직류 케이블은 도체(210), 내부반도전층(212), 절연층(214), 외부반도전층(216), 금속시스(218), 내부시스(220) 등을 포함하고, 복수 개의 이러한 초고압 직류 케이블들이 중간접속함 등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장거리 송전 선로를 구성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케이블의 중간접속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 중간접속함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한 쌍의 케이블 각각은 접속되는 말단에서 각각의 도체(210), 절연층(214) 및 외부 반도전층(216)을 탈피시켜 부분적으로 노출시킨 후 상기 한 쌍의 케이블 중 하나의 말단을 상온에서 수축 가능한 탄성 재질로 이루어진 조인트 슬리브(320) 내로 삽입한다.
다음으로, 노출된 한 쌍의 도체(210)를 도체 슬리브(310) 양 말단에 각각 삽입하고 상기 도체 슬리브(310)를 압착시켜 한 쌍의 도체(210)를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시킨 후, 미리 삽입한 상기 조인트 슬리브(320)가 상기 도체 슬리브(310) 및 노출된 절연층(214) 및 외부 반도전층(216)을 커버할 수 있도록 배치한다.
그러나, 상기 절연층(214)을 부분적으로 노출시키기 위해 펜슬링(penciling) 공정을 통해 이를 탈피시킬 대 상기 절연층(214)의 표면에는 돌기, 주름 등의 펜슬링 자국이 남게 되고, 이러한 펜슬링 자국은 상기 조인트 슬리브(320)의 이동을 어렵게 하거나 또는 케이블 운용시 전계가 상기 돌기 등에 집중되어 절연파괴가 유발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종래에는 각각의 케이블에서 펜슬링 공정을 수행한 후 서로 연결시키기 전에 노출된 절연층(214) 표면에 잔존하는 돌기 등을 사포질 등으로 제거했으나 이러한 과정에서 사포로부터의 모래, 금속가루 등이 절연층에 잔존하여 절연층의 절연내력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유발되었다.
이러한 문제로, 사포질 대신 노출된 절연층(214)에 은박지를 감싸고 그 위에 온도센서를 위치한 상태로 벨트히터를 횡권하여 약 160℃에서 약 1시간 30분 동안 가열처리를 수행하는 등 상기 노출된 절연층(214) 표면의 돌기, 주름 등을 제거하여 표면을 고르게 하는 경면처리를 수행했다.
그러나, 이렇게 절연층(214)의 경면처리를 수행하는 경우 상기 절연층(214)의 표면에는 돌기, 주름 등 펜슬링 자국이 제거된다고 하더라도 벨트히터가 감긴 부분과 감기지 않은 부분 사이의 온도 불균일 등에 의한 벨트히터 자국이 추가로 생성되거나 가열에 의해 절연층이 열화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케이블 접속을 위한 펜슬링(penciling) 공정을 수행하는 도중에 발생하는 절연층 표면의 돌기, 주름 등의 펜슬링 자국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동시에 절연층 표면에 추가적인 자국을 생성시키지 않고 절연층을 열화시키지 않는 경면처리용 치구 및 이를 이용한 케이블의 경면처리 방법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케이블 접속을 위한 펜슬링(penciling) 공정을 수행하는 도중에 발생하는 절연층 표면의 돌기, 주름 등의 펜슬링 자국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경면처리용 치구 및 이를 이용한 케이블의 경면처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절연층의 경면처리시 경면처리에 의한 추가적인 자국을 생성시키지 않고 절연층을 열화시키지 않는 경면처리용 치구 및 이를 이용한 케이블의 경면처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케이블의 접속을 위해 상기 케이블의 일 말단에서 도체, 절연층 및 외부 반도전층을 부분적으로 노출시키는 펜슬링 공정을 수행함에 따라 발생하는 절연층 표면의 돌기 또는 주름의 펜슬링 자국을 제거하기 위한 케이블 절연층의 경면처리 방법에 이용되는 케이블의 경면처리용 치구로서, 내부에 상기 케이블의 일 말단이 실장될 수 있는 중공부가 구비된 본체; 상기 본체의 둘레에 구비된 하나 이상의 개구부; 및 상기 본체의 일 말단에 배치되고 상기 중공부에 삽입되는 상기 케이블의 노출된 도체를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케이블의 경면처리용 치구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본체는 원통형 형상이고, 상기 본체의 내경은 상기 부분적으로 노출된 외부 반도전층의 외경과 동일하거나 유사하며, 상기 본체의 길이는 상기 노출된 절연층 전체를 커버할 수 있는 길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의 경면처리용 치구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본체는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의 경면처리용 치구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하나 이상의 개구부는 복수개의 개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개구부는 상기 본체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인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의 경면처리용 치구를 제공한다.
나아가, 상기 고정부의 중심에는 상기 노출된 도체가 삽입될 수 있는 홀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의 경면처리용 치구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고정부는 불소수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의 경면처리용 치구를 제공한다.
아래 a) 내지 c) 단계를 포함하는 케이블의 경면처리 방법을 제공한다.
a) 접속대상인 케이블의 일 말단에서 펜슬링 공정을 통해 도체, 절연층 및 외부 반도전층을 각각 부분적으로 노출시키는 단계,
b) 상기 케이블의 일 말단을 상기 케이블의 경면처리용 치구의 본체 내부의 중공부에 삽입하는 단계, 및
c) 상기 케이블의 경면처리용 치구의 외부에 구비된 별도의 열원으로부터 상기 치구를 통해 상기 치구의 본체 내부 중공부에 삽입된 케이블의 절연층을 가열함으로써 상기 절연층 표면에 잔존하는 돌기 또는 주름의 펜슬링 자국을 제거하는 단계.
여기서, 상기 c) 단계에서 사용되는 열원은 벨트히터이고, 상기 벨트히터는 상기 치구의 본체 표면에 횡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의 경면처리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노출된 절연층은 150 내지 180℃로 1시간 내지 2시간 동안 가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의 경면처리 방법을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b) 단계를 수행하기 전에 상기 노출된 절연층 표면에 열수축튜브를 추가로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의 경면처리 방법을 제공한다.
나아가, 상기 c) 단계를 수행한 후에 롤러에 의해 상기 노출된 절연층 표면의 평탄화 공정을 추가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의 경면처리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경면처리용 치구는 케이블 절연층의 펜슬링 자국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동시에 경면처리에 의한 추가적인 자국을 생성하지 않고 절연층을 열화시키지 않는 우수한 효과를 나타낸다.
도 1은 초고압 직류 케이블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케이블의 중간접속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경면처리용 치구의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경면처리용 치구를 이용하여 케이블 절연층의 경면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상기 경면처리용 치구에 케이블 말단을 삽입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경면처리용 치구의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의 경면처리용 치구(100)는 내부에 케이블의 일 말단이 실장될 수 있는 중공부가 구비된 본체(110), 상기 본체(110)의 둘레에 구비된 하나 이상의 개구부(110) 및 상기 본체(110)의 일 말단에 배치되고 상기 중공부에 삽입되는 케이블의 노출된 도체(210)를 고정시키는 고정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110)는 케이블의 형상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원통형 형상일 수 있고, 이로써 상기 본체(110)의 둘레와 상기 본체(110)의 중공부에 삽입된 케이블의 절연층 표면과의 거리가 전체적으로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어, 상기 케이블의 절연층 경면처리를 위한 가열시 절연층 표면의 균일한 가열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110)는 케이블을 상기 중공부에 삽입한 상태로 상기 케이블을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도록 강도가 우수하고 상기 중공부에 삽입된 케이블의 절연층에 열에너지를 전달하기 위해 열전도도가 높은 금속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고, 특히 사용자가 운반하기 용이하도록 경량인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본체(110)의 내경은 접속 대상인 케이블의 펜슬링 공정을 통해 부분적으로 노출된 외부 반도전층(216)의 외경과 동일하거나 유사하여, 바람직하게는 상기 외부 반도전층(216)의 외경보다 약간 크도록 설계됨으로써 케이블이 상기 본체(110)의 중공부에 삽입시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120 내지 180 mm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110)의 길이는 접속대상인 케이블의 펜슬링에 의해 노출된 절연층의 길이 전체를 커버할 수 있는 길이로 설계됨으로써 상기 절연층 표면 전체에 대한 경면처리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고, 예를 들어 0.8 내지 1.2 m일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개구부(120)는 상기 경면처리용 치구(100)의 외부로부터 전해지는 열에너지가 상기 본체(110)의 내부 중공부에 삽입된 케이블의 절연층 표면에 단시간에 효과적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열에너지의 전달 통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이의 형상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원형인 경우 이의 직경은 35 내지 65 mm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나 이상의 개구부(120)가 복수개의 개구부를 포함하는 경우 이들은 상기 본체(110)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인 위치에 배치됨으로써 상기 본체(110)의 내부 중공부에 삽입되는 케이블의 노출된 절연층(214)이 균일하게 경면처리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나 이상의 개구부(120)는 상기 본체(110)에서 양 말단 부분, 예를 들어, 상기 본체(110)의 양 말단으로부터 길이가 80 내지 120 mm인 부분을 제외한 부분, 즉 상기 본체(110)의 일 말단으로부터 80 mm 이격된 지점에서부터 타 말단으로부터 80 mm 이격된 지점까지에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본체(110)의 양 말단의 강도를 확보하고 상기 본체(110)의 양 말단쪽에 배치될 케이블의 도체(210) 및 외부 반도전층(216)에는 열에너지가 전달되지 않고 절연층(214)에만 열에너지가 집중될 수 있도록 설계될 수 있다.
상기 본체(110)의 일 말단에 구비되는 상기 고정부(130)는 이의 중심에 상기 본체(110)의 내부 중공부에 삽입되는 케이블의 노출된 도체(210)가 삽입 및 관통할 수 있는 홀이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본체(110)의 내부 중공부에 삽입되는 케이블의 노출된 도체(210)가 상기 홀에 삽이되어 관통함으로써 상기 케이블은 상기 중공부 내에서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고 이러한 경우 상기 케이블의 노출된 절연층(214)의 표면과 상기 본체(110)의 둘레 사이의 거리가 일정하게 유지되어 상기 절연층(214)의 경면처리가 균일하게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부(130) 중심에 구비된 홀은 여기에 삽입되는 도체(210)의 외경보다 약간 클 수 있고, 예를 들어, 50 내지 70 mm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케이블 절연층의 경면처리를 위한 가열시에도 상기 케이블이 상기 본체(110)의 내부 중공부 내에서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변형되지 않아야 하기 때문에 내열성이 우수하고 또한 상기 케이블의 노출된 도체(210)가 상기 고중부(130)의 홀에 삽입될 때 원할하게 삽입되고 상기 도체(210)의 표면이 손상되지 않도록 매끄럽고 마찰계수가 낮은 소재, 예를 들어, 테프론(teflon) 등의 불소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경면처리용 치구를 이용한 케이블의 경면처리 방법은 아래 a) 내지 c)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a) 접속대상인 케이블의 일 말단에서 펜슬링 공정을 통해 도체(210), 절연층(214) 및 외부 반도전층(216)을 각각 부분적으로 노출시키는 단계,
b) 상기 케이블의 일 말단을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경면처리용 치구(100)의 본체(110) 내부의 중공부에 삽입하는 단계, 및
c) 상기 케이블 경면처리용 치구(100)의 외부에 구비된 별도의 열원으로부터 상기 치구(100)를 통해 상기 치구(100)의 본체(110) 내부 중공부에 삽입된 케이블의 절연층(214)을 가열함으로써 상기 절연층(214) 표면에 잔존하는 돌기, 주름 등의 펜슬링 자국을 제거하는 단계.
상기 a) 단계에서 펜슬링 공정이란 상기 도체(210), 절연층(214) 및 외부 반도전층(216)을 각각 부분적으로 노출시키기 위해 도체(210), 절연층(214) 및 외부 반도전층(216) 각각의 위에 적층된 층들을 제거하여 이들을 부분적으로 탈피시키는 공정을 의미한다.
여기서, 노출되는 도체(210), 절연층(214) 및 외부 반도전층(216)의 노출되는 길이는 케이블의 중간접속함을 구성하는 도체 슬리브, 조인트 슬리브 등의 구조와 길이에 따라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상기 b) 단계를 수행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가 될 수 있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경면처리용 치구를 이용하여 케이블 절연층의 경면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상기 경면처리용 치구에 케이블 말단을 삽입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경면처리용 치구(100)의 본체(110) 내부 중공부에는 케이블 접속을 위해 도체(210), 절연층(214) 및 외부 반도전층(216)이 부분적으로 노출된 케이블의 일 말단이 삽입되고, 상기 노출된 도체(210)는 상기 고정부(130)의 중심에 위치한 홀에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삽입되어, 상기 노출된 절연층(214)은 상기 치구(100)의 본체(110)에 전체적으로 커버될 수 있으며, 상기 외부 반도전층(216)은 상기 치구(100)의 본체(110) 말단에 위치하게 된다.
이로써, 상기 케이블 일 말단은 상기 케이블 경면처리용 치구(100)의 본체(110) 내부에 안정적으로 고정되고, 상기 케이블의 절연층(214)과 상기 본체(110)의 둘레 사이의 간격이 전체적으로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어,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절연층(214)을 가열할 때 균일하게 가열할 수 있다.
상기 c) 단계에서 사용되는 열원은 예를 들어 벨트히터일 수 있다. 상기 벨트히터는 열선을 커버하는 직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벨트(belt) 형태로 상기 치구(100)의 표면을 횡권함으로써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치구(100)에 의해 상기 벨트히터가 상기 케이블의 절연층에 직접적으로 접촉하지 않고 간접 가열을 하게 되므로 상기 벨트히터와 상기 절연층이 직접 접촉함에 따라 추가로 발생할 수 있는 가열 자국을 회피할 수 있다.
상기 벨트히터를 상기 치구(100)의 표면에 횡권한 상태로 상기 벨트히터에 전원을 인가함으로써 발열시키고, 발열된 벨트히터로부터의 열에너지는 상기 치구(100)의 본체(110)에 구비된 하나 이상의 개구부(120)를 통해 상기 본체(110)의 내부 중공부에 배치된 케이블의 절연층(214)으로 전달되어 상기 절연층(214)은 가열되고, 결과적으로 상기 절연층(214) 표면에 잔존하는 돌기, 주름 등의 펜슬링 자국이 자연스럽게 제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절연층(214)은 약 150 내지 180℃로 가열될 수 있고, 약 1시간 내지 2시간 동안 가열될 수 있다.
한편, 상기 b) 단계를 수행하기 전에, 상기 a) 단계를 통해 노출된 절연층(214) 표면에 열수축튜브를 추가로 적용, 즉 상기 노출된 절연층(214)을 상기 열수축튜브에 삽입할 수 있다. 이렇게 노출된 절연층(214) 표면에 열수축튜브가 적용된 상태로 b) 단계 및 c) 단계를 통해 상기 열수축튜브가 가열되는 경우 상기 열수축튜브는 수축하게 되고 이러한 수축력에 의해 상기 절연층(214)의 표면이 균일하게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c) 단계를 통해 상기 노출된 절연층(214)을 가열한 후 추가로 롤러 등에 의해 상기 절연층(214) 표면의 평탄화 공정이 수행될 수 있다. 즉, 가열에 의해 연질이 된 상기 절연층(214) 표면을 롤러 등으로 문질러 상기 절연층(214) 표면에 잔존하는 돌기, 주름 등을 제거할 수 있다.
앞서 기술한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경면처리용 치구 및 이를 이용한 케이블의 경면처리 방법에 의해, 케이블 접속을 위해 일 말단에서 부분적으로 노출된 절연층 표면에 잔존하는 돌기, 주름 등의 펜슬링 자국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동시에 상기 펜슬링 자국을 제거하기 위한 절연층의 가열시 간접적이고 균일한 가열을 통해 절연층 표면에 추가적인 가열자국을 생성시키지 않고 절연층을 열화시키지 않는 우수한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본 명세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이하에서 서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변형된 실시가 기본적으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면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범주에 포함된다고 보아야 한다.
100 : 경면처리용 치구 200 : 전력케이블

Claims (11)

  1. 케이블의 접속을 위해 상기 케이블의 일 말단에서 도체, 절연층 및 외부 반도전층을 부분적으로 노출시키는 펜슬링 공정을 수행함에 따라 발생하는 절연층 표면의 돌기 또는 주름의 펜슬링 자국을 제거하기 위한 케이블 절연층의 경면처리 방법에 이용되는 케이블의 경면처리용 치구로서,
    내부에 상기 케이블의 일 말단이 실장될 수 있는 중공부가 구비된 본체;
    상기 본체의 둘레에 구비된 하나 이상의 개구부; 및
    상기 본체의 일 말단에 배치되고 상기 중공부에 삽입되는 상기 케이블의 노출된 도체를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케이블의 경면처리용 치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원통형 형상이고, 상기 본체의 내경은 상기 부분적으로 노출된 외부 반도전층의 외경과 동일하거나 유사하며, 상기 본체의 길이는 상기 노출된 절연층 전체를 커버할 수 있는 길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의 경면처리용 치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의 경면처리용 치구.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개구부는 복수개의 개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개구부는 상기 본체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인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의 경면처리용 치구.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의 중심에는 상기 노출된 도체가 삽입될 수 있는 홀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의 경면처리용 치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불소수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의 경면처리용 치구.
  7. 아래 a) 내지 c) 단계를 포함하는 케이블의 경면처리 방법.
    a) 접속대상인 케이블의 일 말단에서 펜슬링 공정을 통해 도체, 절연층 및 외부 반도전층을 각각 부분적으로 노출시키는 단계,
    b) 상기 케이블의 일 말단을 제1항 또는 제2항의 케이블의 경면처리용 치구의 본체 내부의 중공부에 삽입하는 단계, 및
    c) 상기 케이블의 경면처리용 치구의 외부에 구비된 별도의 열원으로부터 상기 치구를 통해 상기 치구의 본체 내부 중공부에 삽입된 케이블의 절연층을 가열함으로써 상기 절연층 표면에 잔존하는 돌기 또는 주름의 펜슬링 자국을 제거하는 단계.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 사용되는 열원은 벨트히터이고,
    상기 벨트히터는 상기 치구의 본체 표면에 횡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의 경면처리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노출된 절연층은 150 내지 180℃로 1시간 내지 2시간 동안 가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의 경면처리 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를 수행하기 전에 상기 노출된 절연층 표면에 열수축튜브를 추가로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의 경면처리 방법.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를 수행한 후에 롤러에 의해 상기 노출된 절연층 표면의 평탄화 공정을 추가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의 경면처리 방법.
KR1020190019939A 2019-02-20 2019-02-20 케이블의 경면처리용 치구 및 이를 이용한 케이블의 경면처리 방법 KR1026067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9939A KR102606755B1 (ko) 2019-02-20 2019-02-20 케이블의 경면처리용 치구 및 이를 이용한 케이블의 경면처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9939A KR102606755B1 (ko) 2019-02-20 2019-02-20 케이블의 경면처리용 치구 및 이를 이용한 케이블의 경면처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1720A true KR20200101720A (ko) 2020-08-28
KR102606755B1 KR102606755B1 (ko) 2023-11-24

Family

ID=722658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9939A KR102606755B1 (ko) 2019-02-20 2019-02-20 케이블의 경면처리용 치구 및 이를 이용한 케이블의 경면처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675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72712A (ja) * 1994-12-19 1996-07-02 Hitachi Cable Ltd Cvケーブル用接続部におけるケーブル処理工法
KR20020074649A (ko) * 2001-03-21 2002-10-04 엘지전선 주식회사 초고압 케이블의 아닐링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72712A (ja) * 1994-12-19 1996-07-02 Hitachi Cable Ltd Cvケーブル用接続部におけるケーブル処理工法
KR20020074649A (ko) * 2001-03-21 2002-10-04 엘지전선 주식회사 초고압 케이블의 아닐링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06755B1 (ko) 2023-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819928C (en) Process for manufacturing a jointing assembly for medium or high voltage electrical cables and jointing assembly obtainable by said process
NL1023128C2 (nl) Kabelmof.
JP2758600B2 (ja) 高電圧ケーブル間の接続部およびその形成方法
JP2001347566A (ja) 熱収縮チューブ及び熱収縮シート及びそれらの収縮方法
JP2015133777A (ja) 電力ケーブルの接続方法、及び電力ケーブルの接続構造
KR20200101720A (ko) 케이블의 경면처리용 치구 및 이를 이용한 케이블의 경면처리 방법
JP6823941B2 (ja) ケーブルの分岐構造、及び被覆処理具
JP3763762B2 (ja) 常温収縮型絶縁体の耐圧試験方法及び耐圧試験装置
JP2639649B2 (ja) 電力ケーブルの接続部の形成方法
US3778888A (en) Method of applying a field control device to an insulated conductor of a cable and an apparatus for carrying out the method
JP3700913B2 (ja) 電力ケーブルの端末処理方法
JP7479341B2 (ja) ケーブル端末構造およびその形成方法
CN110447154B (zh) 将保护套管热收缩到电连接部上的方法
JP2804688B2 (ja) コンパクト型cvケーブルの終端接続部の処理方法
JPH10125542A (ja) 電気機器用巻線
JPH0545073Y2 (ko)
JPH0124856Y2 (ko)
JPH0515032A (ja) ケーブル接続部接続処理方法
JP4309077B2 (ja) Cvケーブルモールド用加熱管及びcvケーブル端末処理方法。
JPH07170623A (ja) ケーブルの端末処理方法
JPS5827735B2 (ja) ゴム或はプラスチツク絶縁ケ−ブルの修理、接続或は端末処理法
JPH09140043A (ja) ゴムモールド部品およびケーブル端部の形成方法
JPH07193934A (ja) ケーブルの端末処理方法
JPH0311506B2 (ko)
JPS5949769B2 (ja) ケ−ブルコアの巻きぐせ修正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