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1697A - 조개류 자동탈각장치 - Google Patents

조개류 자동탈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1697A
KR20200101697A KR1020190019884A KR20190019884A KR20200101697A KR 20200101697 A KR20200101697 A KR 20200101697A KR 1020190019884 A KR1020190019884 A KR 1020190019884A KR 20190019884 A KR20190019884 A KR 20190019884A KR 20200101697 A KR20200101697 A KR 202001016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llfish
vibration
unit
feeder
vibr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98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91530B1 (ko
Inventor
배기수
Original Assignee
배기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기수 filed Critical 배기수
Priority to KR10201900198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1530B1/ko
Publication of KR202001016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16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15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15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29/00Processing shellfish or bivalves, e.g. oysters, lobsters; Devices therefor, e.g. claw locks, claw crushers, grading devices; Processing lines
    • A22C29/04Processing bivalves, e.g. oysters
    • A22C29/046Opening or shucking bivalv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 Processing Of Meat And 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개류 자동탈각장치에 있어서, 지지부(110)의 지지프레임(111) 상측에 메인압축스프링(133)으로 바이브로피더(131)를 결합하는 진동부(130)와, 상기 진동부(130)의 바이브로피더(131) 상부 중앙에 바이브레이트 모터(141)를 설치하여 진동을 인가하는 진동발생부(140), 및 상기 진동부(130)의 바이브로피더(131) 하측에서 하향으로 인장스프링(152)을 형성하고 인장스프링(152)의 하단에 분리다공판(151)을 결합하는 알갱이분리이송부(150)로 구성하되, 상기 알갱이분리이송부(150)는 분리다공판(151)에서 폐각을 분리시킨 알갱이가 하향으로 빠져나가도록 다수개의 배출공을 순차적으로 천공하여 형성하되 분리다공판(151)의 가장자리에 다수개의 인장스프링(152)을 세워 결합하고 인장스프링(152)의 상단을 바이브로피더(131)에 체결하여 분리다공판(151)을 매달아 탄력설치하도록 구성하므로, 바이브레이트 모터의 저 진동에도 분리용 타공판의 진동효율을 향상시켜 조개류의 탈각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바이브레이트 모터의 무리한 운전을 억제하고 이로 인하여 각부의 진동에 따른 응력의 최소화하여 크랙이나 파손을 방지하므로 제품의 수명을 최대로 연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조개류 자동탈각장치{Shells separating device of bivalve}
본 발명은 조개류 자동 탈각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분리용 타공판의 진동효율을 향상시켜 조개류의 탈각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바이브레이트 모터의 무리한 운전을 억제함과 동시에 이로 인한 각부의 진동에 따른 응력의 최소화하여 제품의 수명을 최대로 연장할 수 있도록 하는 조개류 자동탈각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패각을 갖는 조개류는 가리비, 대합, 꼬막, 맛조개, 모시조개, 키조개, 피조개 등 그 종류가 매우 다양하며, 좌각과 우각으로 구성된 2장의 껍데기인 패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이와 같은 조개류는 신선한 상태의 조개살을 얻기 위해서는 두장의 패각을 벌려 내부에 있는 조개살을 분리 인출하는 탈각작업을 수작업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수작업으로 조개류의 탈각작업을 진행하는 경우 두장의 패각이 서로 붙어있는 뒤쪽 끝부분과 반대쪽에 위치하는 앞쪽 끝부분을 벌리고 패각의 내면에 붙은 부분을 분리한 후 인출하도록 되어 있어 탈각작업에 많은 숙련도가 요구될 뿐만 아니라 대량 탈각 작업이 어려워 생산성이 매우 떨어지고 제품의 신선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이에 따라 조개살을 대량으로 분리하는 생산공장에서는 자숙처리방식으로 대량의 조개류가 투입된 용기에 스팀을 가하여 조개류의 패각이 자연적으로 벌어지도록 하면서 패각에 붙어 있는 폐각근(관자)이 떨어지도록 하여 조개살과 패각이 분리되도록 하였다.
한편, 상기와 같이 조개살과 패각이 분리된 상태에서는 패각 사이의 내측에 분리된 조개살이 담겨져 있어 이를 분리하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벌려진 패각 사이에 위치된 조개살을 꺼내거나 또는 별도의 분리장치를 사용하여 조개살만 분리하도록 하였으나 이와 같은 수작업식의 경우 조개살의 분리과정에 많은 시간 및 인건비가 소요되고 별도의 분리장치를 구비하는 경우 대형으로 복잡한 장비들이 다수 요구되어 설치 및 운용비용이 과다하게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으로 인해 국내공개특허 공개번호 제10-2011-0069997호 "조개 자동 탈각 시스템", 국내등록특허 등록번호 제10-1202492호 "조개의 자동탈각시스템"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의 "조개 자동 탈각 시스템"은 조개의 투입부터 조개살의 수거과정이 자동적으로 연속되지 않는 한계를 내포하고 있으며, 조개의 고정장치도 연속적이 아닌 단발식으로 구성되어 작업자가 하나 하나의 개별적인 조개를 손으로 일일이 투입해야만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또한, "조개의 자동탈각시스템"은 조개류의 이송이 개별적으로 이송되어 조개류를 탈각하는 시간이 오래 걸리고 구성이 복잡하여 제작단가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국내공개특허 공개번호 제10-2017-0003125호 "이중 스프링 구조의 탄성유니트 및 그를 이용한 조개류 탈각장치",도 제안되어 있으나, 프레임과 적재부 사이에 압축스프링 및 인장스프링을 갖는 탄성유니트를 구성하여 진동패턴, 진동세기 조절이 간편하고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나 이는 바이브레이트 모터로 바이브로 피더 몸체를 강하게 흔들었을 때 비로소 다공판에 원하는 진동을 얻을 수 있는 것으로, 이로 인하여 바이브레이트 모터의 진동을 강하게 설정해야하는데 특정강도 이상으로 진동하면 바이브로 피더와 다공판이 견디지 못하고 크랙이나 파손등이 발생하여 보증 수명을 이전에 훼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주 목적은 바이브레이트 모터의 저 진동에도 분리용 타공판의 진동효율을 향상시켜 조개류의 탈각을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조개류 자동탈각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바이브레이트 모터의 무리한 운전을 억제하고 이로 인하여 각부의 진동에 따른 응력의 최소화하여 크랙이나 파손을 방지하므로 제품의 수명을 최대로 연장할 수 있도록 하는 조개류 자동탈각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조개류 자동탈각장치는 지지부의 지지프레임 상측에 메인압축스프링으로 바이브로피더를 결합하는 진동부와, 상기 진동부의 바이브로피더 상부 중앙에 바이브레이트 모터를 설치하여 진동을 인가하는 진동발생부, 및 상기 진동부의 바이브로피더 하측에서 하향으로 인장스프링을 형성하고 인장스프링의 하단에 분리다공판을 결합하는 알갱이분리이송부로 구성하되, 상기 알갱이분리이송부는 분리다공판에서 폐각을 분리시킨 알갱이가 하향으로 빠져나가도록 다수개의 배출공을 순차적으로 천공하여 형성하되 분리다공판의 가장자리에 다수개의 인장스프링을 세워 결합하고 인장스프링의 상단을 바이브로피더에 체결하여 분리다공판을 매달아 탄력설치하도록 구성함을 그 기술적 구성상 기본 특징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개류 자동탈각장치는 바이브레이트모터에서 진동을 발생시키면 바이브로피더의 메인압축스프링에 의해 바이브로파더가 진동함과 동시에 바이브로피더의 하측에 인장스프링으로 매달린 알갱이분리다공판도 요통치며 진동하도록 하므로, 바이브레이트모터의 저 진동상태에서도 분리용 타공판의 진동효율을 향상시켜 조개류의 탈각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메인압축스프링의 진동에 인장스프링의 진동을 더하여 분리다공판도 요통치며 진동하므로 알갱이와 폐각의 분리효율을 크게 향상시키고, 이로 인하여 바이브레이트모터의 세기를 낮출수 있어 진동에 따른 각부의 집중하는 응력 등의 에너지를 최소화하므로 크랙발생이나 이로 인한 파손을 억제하여 제품의 수명을 최대한 연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조개류 자동탈각장치을 나타낸 전체 정면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조개류 자동탈각장치의 진동부분을 나타낸 정면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조개류 자동탈각장치의 진동 요부를 상세하게 나타낸 정면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3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조개류 자동탈각장치(100)는 지지프레임(111)을 일정 높이로 형성시킨 지지부(110)와, 상기 지지부(110)의 지지프레임(111) 상측에 메인압축스프링(133)으로 바이브로피더(131)를 결합하는 진동부(130)와, 상기 진동부(130)의 바이브로피더(131) 상부 중앙에 바이브레이트 모터(141)를 설치하여 진동을 인가하는 진동발생부(140)와, 상기 진동부(130)의 바이브로피더(131) 하측에서 하향으로 인장스프링(152)을 형성하고 인장스프링(152)의 하단에 분리다공판(151)을 결합하는 알갱이분리이송부(150)와, 상기 진동부(130)의 바이브로피더(131) 일측으로 조개류를 공급하는 공급부(120), 및 상기 진동부(130)의 바이브로피더(131) 타측으로 알맹이를 분리한 조개류의 껍질을 배출하는 껍질배출부(160)로 구성한다.
상기 지지부(110)는 소정의 높이로 프레임을 결합하여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지지프레임(111)을 형성하고 지지프레임(111)의 전후 좌우에 복수개의 브래킷(112)을 형성하되 좌우의 브래킷(112) 높낮이를 다르게 하여 후술하는 바이브로피더(131)을 경사지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진동부(130)는 바이브로피더(131)의 전후 좌우로 복수개의 브래킷(132)을 형성하여 지지프레임(111)의 브래킷(112)에 대향하도록 형성하되 브래킷(132)과 브래킷(112) 사이에 메인압축스프링(133)으로 연결하여 바이브로피더(131)를 탄력설치한다.
이러한 바이브로피더(131)는 지지프레임(111)에 형성시킨 브래킷(112)의 좌우의 높낮이 차이로 경사지게 체결하므로 공급한 조개류가 진동에 따라 더욱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바이브로피더(131)의 전후에는 외향으로 절곡시킨 플랜지(134)를 형성하여 플랜지(134)의 하향으로 후술하는 분리다공판(151)을 용이하게 체결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진동발생부(140)는 바이브로피더(131)의 상단에 연결플레이트(142)를 결합하여 전후로 바이브로피더(131)를 연결하고 연결플레이트(142)의 중앙에 바이프이트모터(141)를 결합하여 바이브로피더(131)에 진동을 인가할 수 있도록 하되 일측에 조개류을 투입하는 유입구(143)를 형성하도록 한다.
상기 알갱이분리이송부(150)는 분리다공판(151)에서 폐각을 분리시킨 알갱이 가 하향으로 빠져나가도록 다수개의 배출공을 순차적으로 천공하여 형성하되. 분리다공판(151)의 가장자리에 다수개의 인장스프링(152)을 세워 결합하고 인장스프링(152)의 상단을 바이브로피더(131)의 플랜지(132)에 체결하여 분리다공판(151)을 안전하게 매달아 탄력설치하도록 함이 이상적이다.
나아가, 분리다공판(151)의 하측에는 이송켄베이어(153)를 형성하여 진동으로 폐각을 분리시켜 분리다공판(151)의 배출공을 통해 하부로 떨어지는 알갱이를 일측으로 이송할 수 있도록 하되 이송컨베이어(153)의 일측에는 세척켄베이어(154)를 연계 설치하여 이송배출하는 폐각을 분리한 알갱이를 충분하게 세척하여 이물등 제거한 다음 배출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껍질배출부(160)는 분리다공판(151)의 배출측 하부에 배출컨베이어(161)를 연계하여 외향으로 형성하므로 분리다공판(151)에서 알갱이를 분리시킨 폐각을 외향으로 신속하게 이송하여 배출하도록 한다.
상기 공급부(120)는 바이브로피더(131)의 상측에 형성시킨 진동발생부(140)의 유입구(143) 상측에 폐각 분리전 상태의 조개류를 공급할 수 있도록 이송컨베이어(122)를 일측 위치시시키고 타측을 지면에 가깝게 형성하여 이송켄베이어(122)를 경사지게 형성하되 이송켄베이어(122)의 타측 상측에 공급호퍼(121)를 형성하여 효율적으로 폐각 분리전 상태의 조개류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이송켄베이어(122)는 다수개의 간막이를 순차적으로 형성하여 이송켄베이어(122)가 경사진상태에서 폐각 분리전 상태의 조개류를 원활하게 이송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조개류를 낮은 위치에서 편리하게 공급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지지부(110)와 바이브로파더(130)과 진동발생부(140) 및 알갱이분리이송부(150)의 결합체를 연속하여 연접설치하므로 조개류의 폐각분리 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이때 알갱이분리이송부(150)의 분리다공판(151) 등은 동일 경사선상에 위치하도록 함이 당연하다할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공급호퍼(121)에 폐각 분리전 상태의 조개류를 투입하면 경사진 이송컨베이어(122)를 통해 진동발생부(140)의 유입구(143)을 공급하여 알갱이분리이송부(150)의 경사진 분리다공판(151) 최상측(도면의 우측 상부)으로 폐각 분리전 상태의 조개류를 투입한다.
이와 동시에 바이브레이트모터(141)를 동작시켜 바이브로피더(131)에 진동을 인가하면, 바이브로피더(131)가 메인압축스프링(133)에 의해 바이브레이트모터(141)의 세기에 따라 진동함과 동시에 바이브로피더(131)의 하측에 인장스프링(152)으로 매달린 알갱이분리이송부(150)의 경사진 분리다공판(151)도 요통치며 크게 진동한다.
따라서 폐각 분리전 상태의 조개류는 경사진 분리다공판(151)의 하측으로 이동하며 진동에 의해 폐각과 알갱이를 분리시키고 분리시킨 알갱이는 분리다공판(151)에 천공한 배출공을 통해 하부로 떨어져 이송켄베이어(153)와 세척컨베이어(154)를 거치면서 이물질 등을 제거하여 외부로 배출한다.
또한, 분리시킨 폐각은 분리다공판(151)의 최하측(도면의 좌측 하부)으로 이동하여 떨어지면 배출건베이어(161)에 의해 외부로 배출한다.
특히, 본 발명의 탈각장치(100)는 바이브레이트모터(141)에서 진동을 발생시키면 바이브로피더(131)의 메인압축스프링(133)에 의해 바이브로파더(131)가 진동함과 동시에 바이브로피더(131)의 하측에 인장스프링(152)으로 매달린 알갱이분리다공판(151)도 요통치며 진동하는 것으로, 메인압축스프링(133)의 진동에 인장스프링(152)의 진동을 더하여 분리다공판(151)이 요통치며 진동하므로 조개류의 알갱이와 폐각의 분리효율을 크게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바이브레이트모터(141)의 세기를 낮출수 있어 진동에 따른 각부분으로 집중하는 응력 등의 에너지를 최소화하여 크랙발생이나 이로 인한 파손을 억제하므로 제품의 수명을 최대한 연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상의 설명에서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00 : 탈각장치 110 : 지지부
111 : 지지프레임 112 : 브래킷
120 : 공급부 121 : 공급호퍼
122 : 이송컨베이어 130 : 진동부
131 : 바이브로 피더 132 : 브래킷
133 : 메인압축스프링 134 : 플랜지
140 : 진동발생부 141 : 바이브레이트 모터
142 : 연결플레이트 143 : 유입구
150 : 알갱이분리이송부 151 : 분리다공판
152 : 인장스프링 153 : 이송컨베이어
154 : 세척컨베이어 160 : 껍질배출부
161 : 배출컨베이어

Claims (3)

  1. 지지프레임(111)을 일정 높이로 형성시킨 지지부(110)와,
    상기 지지부(110)의 지지프레임(111) 상측에 메인압축스프링(133)으로 바이브로피더(131)를 결합하는 진동부(130)와,
    상기 진동부(130)의 바이브로피더(131) 상부 중앙에 바이브레이트 모터(141)를 설치하여 진동을 인가하되, 바이브로피더(131)의 상단에 연결플레이트(142)를 결합하여 전후로 바이브로피더(131)를 연결하고 연결플레이트(142)의 중앙에 바이프이트모터(141)를 결합하며 일측에 조개류을 투입하는 유입구(143)를 형성하는 진동발생부(140)와,
    상기 진동부(130)의 바이브로피더(131) 하측에서 하향으로 인장스프링(152)을 형성하고 인장스프링(152)의 하단에 분리다공판(151)을 결합하는 알갱이분리이송부(150)와,
    상기 진동부(130)의 바이브로피더(131) 일측으로 조개류를 공급하는 공급부(120), 및
    상기 진동부(130)의 바이브로피더(131) 타측으로 알맹이를 분리한 조개류의 껍질을 배출하는 껍질배출부(160)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개류 자동탈각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110)는 지지프레임(111)의 전후 좌우에 복수개의 브래킷(112)을 형성하고 좌우의 브래킷(112) 높낮이를 다르게 형성하며, 상기 진동부(130)는 바이브로피더(131)의 전후 좌우로 복수개의 브래킷(132)을 형성하여 지지프레임(111)의 브래킷(112)에 대향하도록 형성하되 브래킷(132)과 브래킷(112) 사이에 메인압축스프링(133)으로 연결하여 바이브로피더(131)를 경사지게 탄력설치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개류 자동탈각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발생부(140)는 바이브로피더(131)의 상단에 연결플레이트(142)를 결합하여 전후로 바이브로피더(131)를 연결하고 연결플레이트(142)의 중앙에 바이프이트모터(141)를 결합하고 일측에 조개류을 투입하는 유입구(143)를 형성하며, 상기 알갱이분리이송부(150)는 분리다공판(151)에서 폐각을 분리시킨 알갱이가 하향으로 빠져나가도록 다수개의 배출공을 순차적으로 천공하여 형성하되 분리다공판(151)의 가장자리에 다수개의 인장스프링(152)을 세워 결합하고 인장스프링(152)의 상단을 바이브로피더(131)에 체결하여 분리다공판(151)을 매달아 탄력설치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개류 자동탈각장치.
KR1020190019884A 2019-02-20 2019-02-20 조개류 자동탈각장치 KR1021915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9884A KR102191530B1 (ko) 2019-02-20 2019-02-20 조개류 자동탈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9884A KR102191530B1 (ko) 2019-02-20 2019-02-20 조개류 자동탈각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1697A true KR20200101697A (ko) 2020-08-28
KR102191530B1 KR102191530B1 (ko) 2020-12-15

Family

ID=722658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9884A KR102191530B1 (ko) 2019-02-20 2019-02-20 조개류 자동탈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153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9176B1 (ko) * 2022-04-13 2022-10-25 조기준 굴껍질 분리장치의 진동분리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2492B1 (ko) * 2012-01-02 2012-11-16 임영철 조개의 자동탈각시스템
KR20130068214A (ko) * 2011-12-15 2013-06-26 신승진 조갯살분리장치
KR20160103292A (ko) * 2015-02-24 2016-09-01 우리씨앤푸드 주식회사 조개 분리 시스템용 탈각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조개 분리 시스템
KR20170003125A (ko) * 2015-06-30 2017-01-09 종 문 정 이중 스프링 구조의 탄성유니트 및 그를 이용한 조개류 탈각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68214A (ko) * 2011-12-15 2013-06-26 신승진 조갯살분리장치
KR101202492B1 (ko) * 2012-01-02 2012-11-16 임영철 조개의 자동탈각시스템
KR20160103292A (ko) * 2015-02-24 2016-09-01 우리씨앤푸드 주식회사 조개 분리 시스템용 탈각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조개 분리 시스템
KR20170003125A (ko) * 2015-06-30 2017-01-09 종 문 정 이중 스프링 구조의 탄성유니트 및 그를 이용한 조개류 탈각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9176B1 (ko) * 2022-04-13 2022-10-25 조기준 굴껍질 분리장치의 진동분리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1530B1 (ko) 2020-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68214A (ko) 조갯살분리장치
CN107377384B (zh) 一种用于农业的选种设备及其方法
KR20110103561A (ko) 잣 자동 탈각 장치
KR102191530B1 (ko) 조개류 자동탈각장치
CN202436031U (zh) 鲜玉米高速风干分选机
CN208592069U (zh) 一种具备双重筛选的筛分机构
CN204448585U (zh) 一种精制茶叶的风选分级机
JP2017212936A (ja) 貝受け具、貝受け搬送装置、貝受け洗浄装置、貝受け選別装置
US11325158B2 (en) Sieve device for fine cleaning of grainy material
CN206184767U (zh) 一种用于分选莲子的分选机
CN207615165U (zh) 一种饲料智能筛选送料装置
CN209597659U (zh) 一种土豆分选系统
CN107737726A (zh) 一种搅拌式分目筛
CN211637253U (zh) 一种茶叶筛选机
KR20170003125A (ko) 이중 스프링 구조의 탄성유니트 및 그를 이용한 조개류 탈각장치
JP2007238249A (ja) 浸漬原料の移送装置
CN210357950U (zh) 用于造纸废渣的筛分装置
CN110613152A (zh) 一种低温混流循环花生干燥机及其干燥方法
CN210017773U (zh) 一种腰果脱衣机
CN114042625A (zh) 一种花生加工用智能筛选机
CN209424065U (zh) 一种高分子物料粉末颗粒去杂震动筛选箱
CN108095136B (zh) 一种生花生脱皮的工艺
CN207805944U (zh) 一种多级筛分装置
CN215695678U (zh) 一种具有多级分层的平面筛
CN213468572U (zh) 一种多产品输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