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1462A - 골전도 발성 장치 - Google Patents

골전도 발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1462A
KR20200101462A KR1020207022491A KR20207022491A KR20200101462A KR 20200101462 A KR20200101462 A KR 20200101462A KR 1020207022491 A KR1020207022491 A KR 1020207022491A KR 20207022491 A KR20207022491 A KR 20207022491A KR 20200101462 A KR20200101462 A KR 202001014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ne conduction
support surface
hinge
rotation shaft
protruding lu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224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58064B1 (ko
Inventor
인초우 류
하오펑 장
레이 장
융지엔 리
웨치앙 왕
치엔 천
Original Assignee
션젼 복스테크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션젼 복스테크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션젼 복스테크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001014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14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80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80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91Detail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4R1/1008 - H04R1/1083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5/00Stereophonic arrangements
    • H04R5/033Headphones for stereophonic communication
    • H04R5/0335Earpiece support, e.g. headbands or neckrest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11/00Non-optical adjuncts; Attachment thereof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11/00Non-optical adjuncts; Attachment thereof
    • G02C11/06Hearing aid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14Side-members
    • G02C5/143Side-members having special ear piec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14Side-members
    • G02C5/20Side-members adjustable, e.g. telescopic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22Hinges
    • G02C5/2209Pivot bearings and hinge bolts other than screw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58Manufacture or assembly
    • H04R1/1066Constructional aspects of the interconnection between earpiece and earpiece suppor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1/00Transducers of moving-armature or moving-core type
    • H04R11/04Microphon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2200/00Generic mechanical aspects applicable to one or more of the groups G02C1/00 - G02C5/00 and G02C9/00 - G02C13/00 and their subgroups
    • G02C2200/16Frame or frame portions made from rubb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0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covered by H04R1/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10Details of 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earphones or monophonic headphones covered by H04R1/1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60/00Details of hearing devices, i.e. of ear- or headphones covered by H04R1/10 or H04R5/033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their subgroups, or of hearing aids covered by H04R25/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460/13Hearing devices using bone conduction transducers

Abstract

본 발명은 골전도 발성 장치를 공개하고, 상기 골전도 발성 장치는 발성 수단 및 고정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 수단은 상기 발성 수단에 작용하여, 적어도 상기 발성 수단이 사용 상태일 경우 상기 발성 수단을 사용자의 이개 배면에 접합시킨다. 상기 방식을 통해 본 발명은 골전도 발성 장치의 음질을 개선하고 청음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골전도 발성 장치
본 발명은 이어폰 기술 분야에 관한 것이고, 특히 골전도 발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리는 공기전도와 골전도 두가지 전달 경로를 통해 귀에 전달되어 청각을 발생시킨다.
골전도 경로에서, 골전도 진동 스피커는 오디오 전기 신호를 기계적 진동 신호로 전황시키고, 진동 신호를 생체 조직 및 뼈를 통해 달팽이관에 전달하여 사용자가 소리를 들을 수 있도록 한다. 진동 필름을 통해 음파를 발생하는 기존의 소리 전달 방식에 비해, 골전도는 많은 음파 전달 단계를 생략하여 시끄러운 환경에서 명확한 소리 환원을 실현할 수 있고, 음파가 공기 중에서 확산되어 타인에게 영향주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발명자는 장기 연구 과정에서 현재 흔히 보는 골전도 발성 장치는 통상적으로 골전도 스피커를 꼭지돌기(예를 들면 골전도 보청기), 이주 선단(예를 들면 골전도 스테레오 이어폰), 머리뼈의 다른 위치(예를 들면 골전도 통신 헬멧) 등에 접합하는데, 상술한 골전도 전달 경로는 모두 소리/진동이 피부 및 피하 연조직을 통과한 후 경골에 전달되고 이어서 달팽이관에 전달되어 골전도 청각을 발생하는 것으로서, 골전도 소리/진동의 주파수 대역을 축소하여 음질이 차하고 청음 체험이 좋지 못한 문제가 존재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이 주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어떻게 골전도 발성 장치의 음질을 개선할 수 있겠는가 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이 사용하는 하나의 과제 해결 수단은 골전도 스피커 수단; 및 상기 골전도 스피커 수단에 작용하여, 적어도 상기 골전도 스피커 수단이 사용 상태일 경우 상기 골전도 스피커 수단을 사용자의 이개 배면에 접합시키는 고정 수단을 포함하는 골전도 발성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유리한 효과는, 선행 기술의 경우와 달리 본 발명의 골전도 발성 장치는 사용자 사용 시 발성 수단을 사용자의 이개 배면에 접합함으로써 이개의 귀 연골을 이용하여 골전도 소리/진동을 전달하는데, 귀 연골의 강도가 작기에 저주파 소리/진동에 대한 전달 효율이 높고 저주파가 전달 과정에서 소실되는 것을 감소할 수 있으며; 이개 자체 및 이에 연결된 조직도 상응하게 진동하여 상응한 공기 전달음을 발생하여 골전도 소리/진동이 전달 과정에서의 저주파 소실과 피부 및 피하 연조직에 의한 고주파 소실을 보상함으로써 골전도 발생 장치의 음질을 개선할 수 있다.
도 1은 선행기술에 따른 골전도 소리/진동의 전달 경로 모식도이다.
도 2는 피부 및 피하 조직이 있는 경우와 피부 및 피하 조직이 없는 경우의 소리/진동 전달에 대한 진폭-주파수 곡선이다.
도 3은 경골과 연골이 소리/진동 전달에 대한 진폭-주파수 곡선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골전도 발성 장치의 일 실시형태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골전도 소리/진동의 전달 경로 모식도이다.
도 6은 선행기술 중 발성 수단의 전통적인 접합 방식과 본 발명 중 발성 수단이 이개에 접합되는 방식이 소리/진동 전달에 대한 진폭-주파수 곡선이다.
도 7은 인체 귀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8은 도 7 중 귀의 A-A 축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골전도 발성 장치의 일 실시형태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골전도 발성 장치의 일 실시형태 중 골전도 스피커 수단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골전도 발성 장치의 일 실시형태 중 골전도 스피커 수단이 이개에 대한 압력 테스트 모식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골전도 발성 장치의 일 실시형태 중 관련면의 모식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골전도 발성 장치의 일 실시형태 중 관련면의 모식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골전도 발성 장치의 일 실시형태 중 관련면의 모식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골전도 발성 장치의 일 실시형태 중 관련면의 모식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골전도 안경의 일 실시형태 중 관련 소자 사이의 거리 모식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골전도 발성 장치의 일 실시형태의 국부 단면 모식도이다.
도 18은 도 17 중 A 부분의 확대 구조 모식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골전도 발성 장치의 일 실시형태 중 회전축 어셈블리와 연결선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골전도 발성 장치의 일 실시형태 중 제1 회전축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골전도 발성 장치의 일 실시형태의 국부 분해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골전도 발성 장치의 일 실시형태 중 안경 프레임과 안경 렌즈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에 따른 골전도 발성 장치의 일 실시형태 중 안경 다리의 국부 구조 모식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에 따른 골전도 발성 장치의 일 실시형태의 국부 구조 모식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에 따른 골전도 발성 장치의 일 실시형태의 국부 구조 분해도이다.
도 26은 도 24 중 골전도 발성 장치의 B-B 축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27은 본 발명에 따른 골전도 발성 장치의 일 실시형태의 국부 구조 모식도이다.
도 28은 본 발명에 따른 골전도 발성 장치의 일 실시형태 중 보호 케이싱관의 원시 상태도이다.
도 29는 본 발명에 따른 골전도 발성 장치의 일 실시형태 중 보호 케이싱관의 원시 상태의 국부 단면도이다.
도 30은 본 발명에 따른 골전도 발성 장치의 일 실시형태 중 보호 케이싱관의 만곡 상태도이다.
도 31은 본 발명에 따른 골전도 발성 장치의 일 실시형태 중 보호 케이싱관의 만곡 상태의 국부 단면도이다.
도 32는 본 발명에 따른 골전도 발성 장치의 일 실시형태의 국부 구조 단면도이다.
도 33은 도 32 중 B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34는 도 33 중 C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35는 본 발명에 따른 골전도 발성 장치의 일 실시형태의 국부 구조 단면도이다.
도 36은 도 35 중 D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37은 본 발명에 따른 골전도 발성 장치의 일 실시형태의 국부 구조 분해도이다.
본 발명의 각 실시형태를 설명하기 전에 관련 선행기술에 대해 간단히 소개한다.
공기 전달 경로와 달리, 골전도 경로가 소리/진동을 전달하는 매체는 고체 또는 고체와 액체의 혼합체로서, 전달 경로의 특성은 골전도 음질에 대해 현저한 영향이 있다. 따라서 적절한 골전도 전달 경로를 선택하고, 전달 경로의 특성을 조절 및 제어하는 것은 골전도 음질을 개선하는 중요한 수단이다.
흔히 보는 해결수단은 골전도 스피커를 꼭지돌기(예를 들면 골전도 보청기), 이주 선단(예를 들면 골전도 스테레오 이어폰), 머리뼈의 다른 위치(예를 들면 골전도 통신 헬멧) 등에 접합하는데, 상술한 골전도 전달 경로는 모두 소리/진동이 피부 및 피하 연조직을 통과한 후 경골에 전달되고 달팽이관에 전달되어 골전도 청각을 발생하며, 구체적인 전달 경로는 도 1을 참조하기 바란다. 이러한 전달 경로는 골전도 음질에 아래 2가지 방면의 주요한 영향을 가져다 준다. (1) 피부 및 피하 연조직은 큰 기계적 감쇠 작용이 있기에, 고주파 소리/진동에 대한 전달 효율이 낮아, 골전도 소리의 고주파가 약해지거나 소실된다. (2) 전달 경로 상의 경골은 강도가 크기에, 저주파 소리/진동에 대한 전달 효율이 낮아, 골전도 소리의 저주파가 약해지거나 소실된다.
이밖에, 수학적 계산 방법을 이용하여 피부 및 피하 조직, 경골의 강도가 전달 경로의 주파수 영역 특성에 대한 영향을 계산할 수 있다. 우선 도 2를 참조하면, 도 2에서 피부 및 피하 조직의 작용이 전달 경로의 진폭-주파수 곡선이 고주파 대역에서 현저히 내려가는 것을 보아낼 수 있는데 이는 피부 및 피하 조직이 골전도 소리 중 고주파에 대해 감쇠 작용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밖에, 도 3을 참조하면 경골의 강도가 변하면 전달 경로의 진폭-주파수 곡선이 전 주파수 대역에서 모두 변화된다. 특히 이는 중저주파 전달 특성에 현저한 영향을 미치고, 경골의 강도가 높아지면 중저주파의 진폭-주파수 곡선이 내려가는데, 이는 경골의 강도가 골전도 소리 중 중저주파에 대해 감쇠 작용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상기 2개의 요소로 인해 골전도 소리/진동의 대역폭이 축소되고 음질이 차해지며 청음 체험이 좋지 못하다.
아래, 본 발명의 실시예 중의 도면을 결부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 중의 과제의 해결 수단에 대해 명확하고 완전한 설명을 진행한다. 물론, 기술된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이고 전부 실시예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진보성 창출에 힘쓰지 않는 전제하에 얻은 모든 기타 실시에는 모두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골전도 발성 장치의 일 실시형태의 구조 모식도이다.
언급해야 할 것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중의 골전도 발성 장치는 골전도의 이어폰 기능을 구비하는 다양한 기기로서, 골전도 이어폰일 수 있고, 골전도 발성 기능을 구비하는 안경, 모자, 헤어 악세사리 또는 다른 머리 착용 공정 용품, 머리 착용 군공 용품 또는 보청기 등 보청 장치일 수도 있으며, 여기서는 구체적으로 한정하지 않는다.
여기서, 상기 골전도 발성 장치는 고정 수단(10) 및 골전도 스피커 수단(20)을 포함한다. 여기서, 고정 수단(10)은 골전도 스피커 수단(20)에 작용하여, 적어도 골전도 스피커 수단(20)이 사용 상태일 경우 골전도 스피커 수단(20)을 사용자의 이개 배면에 접합시킨다.
언급해야 할 것은, 이개는 외이의 일부분으로서 주로 연골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형태에서, 골전도 스피커 수단(20)을 이개 배면에 접합시키고, 이개의 연골을 이용하여 골전도 소리/진동을 전달할 수 있다.
경골에 비해, 귀 연골은 강도가 작기에 저주파 소리/진동에 대한 전달 효율이 높아 저주파를 잘 전달할 수 있고 저주파가 전달 과정에서 소실되는 것을 감소한다. 또한 이개는 부채꼴이므로 골전도 소리/진동 전달 과정에서 이개 자체 및 이에 연결된 조직도 상응하게 진동하여 상응한 공기 전달음을 발생한다. 아울러 외이도 내에서 이개의 진동에 의한 외이도 벽면 진동이 외이도 내의 공기 소리가 고주파 공진을 발생하도록 한다. 이런 공기 전달 소리는 골전도 소리/진동이 전달 과정에서의 저주파 소실과 피부 및 피하 연조직에 의한 고주파 소실을 보상한다. 구체적으로, 골전도 스피커가 이개에 접합될 경우, 골전도 소리/진동의 전달 경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고, 즉 전달 경로에 이개 연골 전달 과정이 추가된다.
이밖에, 도 6을 더 참조하면 수학적 계산 방법으로 골전도 스피커 수단(20)이 이개 배면에 접합되는 방안과 관련 선행기술 중 접합 방안에 따른 전달 경로의 주파수 영역 특성을 계산할 수 있다. 선행기술 중의 접합 방안에 비해, 전달 경로에 이개 연골 부분을 추가하였기에 전달 경로의 진폭-주파수 곡선이 중저주파에서 현저히 올라가고, 이는 본 실시형태에서 골전도 스피커 수단(20)과 사용자 이개 배면의 접합이 전달 과정에서의 저주파 소실을 감소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골전도 스피커 수단(20)이 이개 배면에 접합되면 음질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소리 전달 과정에서 외이도에 대한 영향을 감소할 수 있고, 아울러 골전도 스피커 수단(20)이 이개 배면에 접합되면 골전도 스피커 수단(20)이 귀 뒤에 숨겨져 보여지지 않기에 사용자의 상이한 요구를 만족할 수 있다.
선택 가능하게, 고정 수단(10)은 골전도 스피커 수단(20)에 작용하여, 골전도 스피커 수단(20)을 사용자의 이개 배면의 기설정 영역에 접합시킨다. 또한, 귀 둘레 다리와 마주한 이개 배면 영역이 비교적 평평하기에, 골전도 스피커 수단(20)이 큰 면적으로 접합되기 적절하여 더 높은 진동 전달 효율 및 더 큰 음량을 얻을 수 있다. 이밖에, 상기 영역 내의 연골층이 두껍기에 내이도에 더 접근하고 인성이 더 강하며 더 좋은 음질을 얻는 동시에 이개 가장자리 진동에 의한 진동, 가려움 등 불편한 느낌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귀 둘레 다리와 마주한 이개 배면의 영역을 기설정 영역으로 하고 구체적인 것은 도 7 및 도 8을 참조하기 바란다. 구체적으로, 기설정 영역은 귀 둘레 다리 위치와 마주한 이개 배면 위치를 중심으로 면적이 20cm2인 영역일 수 있고, 귀 둘레 다리 위치와 마주한 이개 배면 위치를 중심으로 면적이 10cm2인 영역, 즉 이개 배면에서 귓바퀴를 제외한 부분일 수도 있으며, 또는 귀 둘레 다리 위치와 마주한 이개 배면 위치를 중심으로 면적이 5cm2인 영역, 즉 이갑강에 대응되는 이개 배면 영역일 수도 있다.
이밖에, 고정 수단(10)은 전문적으로 골전도 발성 장치를 고정하기 위한 수단일 수 있고, 사용자가 골전도 발성 장치를 사용하고자 할 경우 상기 고정 수단(10)을 사용자 귀 근처에 고정하여 골전도 스피커 수단(20)이 이개 배면에 접합되도록 하거나; 또는, 고정 수단(10)은 골전도 스피커 수단(20)와 연결되는 독립적인 기능을 구비하는 다른 기기일 수도 있고, 사용자가 상기 기기를 착용할 경우 직접 또는 일정한 수단을 통해 간접적으로 골전도 스피커 수단(20)을 사용자의 이개 배면에 접합시킴으로써, 사용자가 상기 물품의 다른 기능을 사용 시 골전도 발성 장치의 기능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계속하여 도 4를 참조하면, 일 응용 상황에서, 고정 수단(10)은 안경테(30)이고, 안경테(30)는 안경 프레임(31) 및 안경 다리(32)를 포함하며, 안경 다리(32)는 안경 프레임(31)에 연결되는 렌즈 다리 몸체(321) 및 렌즈 다리 몸체(321)의 안경 프레임(31)과 멀리 떨어진 단부와 힌지(40)를 통해 힌지 연결되는 연결 부재(322)를 포함한다. 골전도 스피커 수단(20)은 또한 연결 부재(322)에 설치된다.
여기서, 본 응용 상황 중의 안경테(30)는 근시 안경, 원시 안경, 선그라스, 3D 안경, 스마트 안경, 가상현실 안경, 홀로렌즈, 증강현실 안경 등 다양한 안경의 안경테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 한정하지 않는다.
선택 가능하게, 연결 부재(322)는 골전도 스피커 수단(20)이 렌즈 다리 몸체(321)에 대해 제1 상대 고정 위치 및 제2 상대 고정 위치 사이에서 전환되고, 골전도 스피커 수단(20)이 제1 상대 고정 위치에 위치할 경우 사용자의 이개 배면에 접합될 수 있도록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골전도 스피커 수단(20)이 렌즈 다리 몸체(321)에 대한 제1 상대 고정 위치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고, 골전도 스피커 수단(20)이 렌즈 다리 몸체(321)에 대한 제2 상대 고정 위치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다. 언급해야 할 것은, 본 응용 상황 중 골전도 스피커 수단(20)이 렌즈 다리 몸체(321)에 대해 상술한 위치 중 하나의 상대 고정 위치에 위치할 경우, 힌지(40)에 기설정 크기의 힘을 인가해야만 골전도 스피커 수단(20)을 다른 하나의 상대 고정 위치로 전환시킬 수 있고, 골전도 스피커 수단(20) 자체의 중력 등 원인으로 인해 골전도 스피커 수단(20)의 상대 고정 위치가 저절로 변화되지 않기에, 사용자가 골전도 스피커 수단(20)의 위치를 정확하게 결정할 수 있도록 한다.
일 구체적인 응용 상황에서, 골전도 스피커 수단(20)은 렌즈 다리 몸체(321)에 대해 제1 상대 고정 위치 및 제2 상대 고정 위치만 구비하고 중간 과도 상태가 없다. 예를 들면 골전도 스피커 수단(20)이 렌즈 다리 몸체(321)에 대해 도 4에 도시된 제2 상대 고정 위치에 위치할 경우, 상기 골전도 안경은 정상적인 안경으로 사용할 수 있고, 이때 사용자는 수동으로 힌지(40)에 대해 기설정 크기보다 큰 힘을 인가하여 연결 부재(322)를 잡아당길 수 있고, 연결 부재(322)와 골전도 스피커 수단(20)이 렌즈 다리 몸체(321)에 대해 접철이 발생하여 골전도 스피커 수단(20)이 렌즈 다리 몸체(321)에 대해 제1 상대 고정 위치에 위치하여, 골전도 스피커 수단(20)의 접합면(21)이 사용자의 이개 배면에 접합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상기 골전도 안경의 안경 기능과 이어폰 기능을 동시에 사용하도록 하기에 제1 상대 고정 위치 및 제2 상대 고정 위치 사이에 개재된 다른 위치가 나타나지 않는다.
물론, 다른 응용 상황에서, 사용자의 상이한 사용 요구를 만족하기 위해 골전도 스피커 수단(20)이 렌즈 다리 몸체(321)에 대해 상기 제1 상대 고정 위치 및 제2 상대 고정 위치를 제외한 하나 또는 다수의 다른 상대 고정 위치를 구비할 수도 있다.
선택 가능하게, 골전도 스피커 수단(20)은 골전도 스피커 수단(20)이 사용 상태일 경우 사용자의 이개 배면에 접합되어 소리/진동이 이개 배면을 통해 전달되도록 하기 위한 접합면(21)을 포함한다.
여기서, 접합면(21)은 적어도 일부가 곡면이고, 예를 들면 이개 배면을 향해 돌출된 호형면일 수 있으며, 이로써 골전도 스피커 수단(20)이 형상이 불규칙적인 이개 배면과 양호하게 접합될 수 있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접합면(21)은 돌출되고 곡률이 1보다 크지 않은 호형면을 포함하여 골전도 스피커 수단(20)과 이개 배면이 더 충분히 접촉되도록 함으로써, 골전도 스피커 수단(20)이 이개 배면을 통한 소리/진동의 전달 효과를 향상시킨다.
이밖에, 도 10을 참조하면 일 응용 상황에서, 접합면(21)은 중부에 위치한 평면(21a), 및 평면의 둘레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곡면(21b)을 포함하고, 상기 평면(21a) 및 곡면(21b)은 공통으로 이개 배면을 향해 돌출된 호형면을 형성한다.
선택 가능하게, 접합면(21)의 면적은 0.5cm2보다 작지 않거나 1cm2보다 작지 않다. 본 실시형태에서 접합면(21) 면적이 충분히 크기에 골전도 스피커 수단(20)과 이개 배면의 접촉 면적이 충분히 크도록 하여, 한편으로 골전도 스피커 수단(20)의 접합면(21)이 사용자 이개 배면에 대한 압력 크기를 감소하여 사용자가 상기 골전도 발성 장치를 착용하는 편안함을 향상시키고, 다른 한편으로 골전도 소리/진동의 전달 효율을 향상시키고 소리의 음량이 충분히 크도록 하여 사용자의 사용 요구를 만족시킨다.
일 응용 상황에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부재(322)는 이개와 매칭되는 오목한 호형일 수 있고, 오목한 부분은 사용자의 귀 앞부분을 향하여 사용자가 골전도 발성 장치를 사용 시 연결 부재(322)는 사용자의 이개 배면을 에워싸고 설치된다.
여기서, 연결 부재(322)는 탄성을 구비한 연성 연결 로드일 수 있고, 상기 연성 연결 로드는 고무 재질 또는 고무와 탄성 금속사의 복합 구조일 수 있으며, 예를 들면 고무와 철사 또는 티타늄 합금사의 복합 구조, 또는 고무와 기억합금사의 복합 구조일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골전도 발성 장치를 착용하고 골전도 발성 장치가 사용 상태일 경우, 안경테(30)의 지지에 의해 연결 부재(322)가 골전도 스피커 수단(20)에 탄력을 인가하여 상기 골전도 스피커 수단(20)이 기설정 압력으로 사용자의 이개 배면에 접합되도록 한다.
여기서, 기설정 압력은 사용자가 골전도 발생 장치를 정상적으로 착용하여 사용할 경우, 접합면(21)이 접합면(21)에 수직되는 방향에서 사용자의 귀에 접합되는 압력을 가리킨다. 연결 부재(322)의 상이한 탄성 계수 재료, 및 연결 부재(322)의 상이한 형상, 규격 등은 모두 골전도 스피커 수단(20)이 사용자의 이개 배면에 인가하는 기설정 압력의 크기에 영향을 준다. 구체적으로 테스트를 통해 접합면(21)이 사용자 이개 배면에 대한 압력 크기를 얻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1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정상적으로 사용하는 상태에서 골전도 스피커 수단(20)의 접합면(21)과 이개 배면의 접합이 양호하다. 렌즈 다리 몸체(321)가 연결 부재(322)와 연결되는 중심점은 고정점으로서 힌지(40)를 고정하고, 힘 측정 장치를 사용하여 접합면(21)과 수직되는 방향을 따라 골전도 스피커 수단(20)를 당겨 이개 배면으로부터 멀어지게 한다. 골전도 스피커 수단(20)이 마침 이개 배면과 분리될 시 측정된 힘을 골전도 스피커 수단(20)이 사용자의 이개 배면에 인가하는 압력으로 결정한 다음, 측정된 압력 값에 따라 적절한 연결 부재(322)의 재료 및 형상, 규격 등을 결정하여 대응되는 압력이 적절한 범위 내에 있도록 조절한다.
물론, 기설정 압력은 반드시 고정값일 필요는 없고, 예를 들면 사용자가 골전도 발성 장치를 착용할 경우 상이한 착용 상태 및 상이한 머리 모양의 사람이 착용하면 그게 대응되는 기설정 압력 값도 상이하다. 이때, 연결 부재(322)가 연성 연결 로드이기에, 상이한 모리 모양 등에 따라 상이한 정도로 변형을 진행하여 상이한 상황에 적응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설정 압력의 상한은 1N일 수 있고, 상기 압력 상한은 골전도 스피커 수단(20)이 압력이 너무 큼으로 인해 큰 변형이 발생하여 사용자가 아픔 등 다른 불편함을 느끼지 않도록 한다. 하한은 0.1N일 수 있고, 골전도 스피커 수단(20)이 작동 시 접합면(21)이 항상 이개 배면에 접합하여 골전도 스피커 진동으로 인해 골전도 스피커 수단(20)과 이개 배면이 이탈하는 상황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선택 가능하게, 기설정 압력의 상한은 0.8N일 수도 있고, 이개의 변형을 더 감소하여 사용자가 장시간 착용시에도 불편함을 느끼지 않도록 한다. 아울러 하한값은 0.3N일 수도 있고, 골전도 스피커 수단(20)이 사용자 이개 배면에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고정되는 동시에, 이개 배면과 골전도 스피커 수단(20)의 접촉 면적이 이개의 적절한 변형으로 인해 커져, 골전도 소리/진동을 전달할 수 있는 충분히 큰 접촉 면적이 있도록 함으로써, 골전도 발성 장치가 충분히 큰 음량을 구비할 수 있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기설정 압력의 상한 및 하한은 예를 들면 서양인, 아시사인, 남성, 여성 등 사람들의 상이한 요구에 적용되기 위해 0.1N~1N 사이의 다른 수치일 수 있고, 여기서는 구체적으로 한정하지 않는다.
선택 가능하게, 힌지(40)의 힌지 회전축(41)의 수직 이등분면α, 연결 부재(322)의 대칭면β 및 골전도 스피커 수단(20)이 귀에 접합되는 접합면(21) 중심점O은 하나의 평면 내에 위치하거나, 또는 평면에 대한 기설정 오차 범위 내에 위치한다.
여기서, 힌지 회전축(41)의 수직 이등분면α은 힌지 회전축(41)의 축방향에 수직되고 상기 힌지 회전축(41)을 대칭되게 분할하는 면으로서 구체적으로 도 12를 참조하기 바란다.
연결 부재(322)의 대칭면β은 연결 부재(322)을 대칭되게 분할하는 면으로서, 연결 부재(322)의 대칭면β 양측에서 연결 부재(322)는 대칭되게 분포되고 구체적으로 도 13을 참조하기 바란다.
여기서, 기설정 오차 범위는 경험 및 연결 부재의 재료, 규격 및 귀의 형상의 통계 데이터 등에 따라 종합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언급해야 할 것은, 힌지 회전축(41)의 수직 이등분면α, 연결 부재(322)의 대칭면β 및 골전도 스피커 수단(20)이 귀에 접합되는 접합면(21) 중심점이 하나의 평면 내에 위치할 경우, 연결 부재(322)에 연결되는 골전도 스피커 수단(20)이 사용자의 이개 배면에 직접 접합되도록 할 수 있고, 연결 부재(322)가 힘을 받아 형상이 변할 경우 형상 변형 방향 및 골전도 스피커 수단(20)의 이동 방향이 일치하고, 모두 상기 평면 내에 위치하기에, 상기 각 면과 점이 동일한 평면 내에 위치하지 않는 상황을 방지하고; 연결 부재(322)가 힘을 받아 형상이 변할 경우, 연결 부재(322) 및 골전도 스피커 수단(20)이 비틀림이 발생하여 골전도 스피커 수단(20)이 접합될 수 없거나 사용자의 이개 배면에 완전히 접합되지 못하여 소리/진동 전달 효율이 덜어지고 골전도 발성 장치의 음질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물론 힌지 회전축(41)의 수직 이등분면α, 연결 부재(322)의 대칭면β 및 골전도 스피커 수단(20)이 귀에 접합되는 접합면(21) 중심점은 평면에 대한 기설정 오차 범위 내에 위치할 수 있고, 이로써 실제 사용 과정에서 사용자에게 과도한 영향을 주지 않는다. 그러나 언급해야 할 것은, 이때 일정한 정도에서 골전도 스피커 수단(20)의 접합면(21)과 사용자 이개 배면의 접합 효과에 영향을 준다.
선택 가능하게, 골전도 스피커 수단(20)이 렌즈 다리 몸체(321)에 대해 제1 상대 고정 위치에 위치할 경우, 2개의 렌즈 다리 몸체(321)의 최상부에 의해 정의된 수평 기준 평면γ과 연결 부재(322)의 대칭면β 사이의 끼인 각은 65°~85°이다.
여기서, 2개의 렌즈 다리 몸체(321)의 최상부에 의해 정의된 수평 기준 평면γ은 2개의 렌즈 다리 몸체(321)의 최상부와 동시에 접하는 평면을 가리키고, 일 응용 상황에서, 상기 평면은 안경 프레임(31)의 대칭면에 더 수직되며, 구체적으로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부재(322)의 대칭면β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고 여기서는 더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이해해야 할 것은, 골전도 스피커 수단(20)이 렌즈 다리 몸체(321)에 대해 제1 상대 고정 위치에 위치할 경우, 2개의 렌즈 다리 몸체(321)의 최상부에 의해 정의된 수평 기준 평면γ과 연결 부재(322)의 대칭면β 사이의 끼인 각이 크면, 골전도 스피커 수단(20)이 이개 배면의 외측에 접근하고, 많이 크면 이개에 접합될 수 없으며; 상기 끼인 각이 작으면 이개 배면의 내측에 너무 접근하고 나아가 머리의 두개골을 압박하여 한편으로 사용자의 편안함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다른 한편으로 골전도 스피커가 귀 연골을 통해 소리/진동을 전달하는 것에 영향을 주고, 골전도 스피커 수단(20)의 음질이 떨어진다. 상기 끼인각이 65°~85°범위 내에 있으면 골전도 스피커 수단(20)이 사용자 이개 배면의 적절한 위치에 접합될 수 있다.
이밖에, 골전도 스피커 수단(20)이 렌즈 다리 몸체(321)에 대해 제1 상대 고정 위치에 위치할 경우, 2개의 렌즈 다리 몸체(321)의 최상부에 의해 정의된 수평 기준 평면γ과 연결 부재(322)의 대칭면β 사이의 끼인 각은 70°~82°일 수도 있고, 골전도 스피커 수단(20)의 접합면(21)이 귀 둘레 다리 위치와 마주한 이개 배면 영역에 더 접근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골전도 스피커 수단(20)이 렌즈 다리 몸체(321)에 대해 제1 상대 고정 위치에 위치할 경우, 2개의 렌즈 다리 몸체(321)의 최상부에 의해 정의된 수평 기준 평면γ과 연결 부재(322)의 대칭면β 사이의 끼인 각은 상술한 범위 내의 임의의 각도일 수 있고, 예를 들면 70°, 75°, 80°, 82°등 모두 가능하며 여기서는 구체적으로 한정하지 않는다.
선택 가능하게, 골전도 스피커 수단(20)이 렌즈 다리 몸체(321)에 대해 제1 상대 고정 위치에 위치할 경우, 안경 프레임(31)의 대칭면λ과 연결 부재(322)의 대칭면β 사이의 끼인 각은 5°~30°이다.
여기서, 안경 프레임(31)의 대칭면λ은 안경 프레임(31)을 대칭되게 분할하는 대칭 평면이고, 구체적으로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다. 연결 부재(322)의 대칭면β은 상기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고 여기서는 더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여기서, 상기 안경 프레임(31)의 대칭면λ과 연결 부재(322)의 대칭면β 사이의 끼인 각은 사용자의 머리 모양과 관련된다. 예를 들면 서양인과 아시아인에 대응되는 상기 각도는 상이하다. 사용자가 착용 시 한편으로 사용자의 귀에 의해 렌즈 다리 몸체(321)의 밑면을 지지하고, 다른 판면으로 렌즈 다리 몸체(321)의 측면이 사용자의 머리의 측면에 당접하는 것을 통해 골전도 스피커 수단(20)을 적절한 위치에 고정시킨다. 상기 각도가 크면 렌즈 다리 몸체(321)의 앞 부분이 머리에서 떨어지고 뒤부분이 머리에 당접되며, 두가지 경우 렌즈 다리 몸체(321)는 모두 머리와 잘 접촉될 수 없으므로, 골전도 스피커 수단(20)의 접합면(21)이 이개 배면을 이탈하기 쉬워 골전도 스피커 수단(20)의 음질이 떨어지고 사용자의 사용이 불편하다.
여기서, 골전도 스피커 수단(20)이 렌즈 다리 몸체(321)에 대해 제1 상대 고정 위치에 위치할 경우, 안경 프레임(31)의 대칭면λ과 연결 부재(322)의 대칭면β 사이의 끼인 각은 10°~25°일 수도 있고, 구체적으로 10°, 15°, 20°, 25° 등일 수도 있으며 여기서는 한정하지 않는다.
선택 가능하게, 도 16을 참조하면 2개의 안경 다리(32)에 대응되는 힌지 회전축(41)의 중심점 사이의 거리 H1는 90~150mm일 수 있다. 상기 거리 H1는 사용자 머리의 좌우폭에 대응된다.
이해해야 할 것은, 2개의 안경 다리(32)가 사용자의 귀의 상부에 안착되어 머리 양측을 붙들고 있기에, 2개의 안경 다리(32)에 대응되는 힌지 회전축(41)의 중심점 사이의 거리 H1가 크면, 안경 다리(32)가 사용자 머리에 대한 그립력이 작아 “잘 붙들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여 사용자 머리에서 떨어지기 쉽고 나아가 골전도 스피커 수단(20)이 이개 배면의 위치를 이탈하고; 상기 안으로 향하는 각이 작으면 안경 다리(32)가 사용자의 머리를 너무 꽉 잡아 사용자가 불편함을 느끼기 쉽다.
여기서, 2개의 안경 다리(32)에 대응되는 힌지 회전축(41)의 중심점 사이의 거리 H1는 100~130mm일 수도 있고, 구체적으로 100mm, 110mm, 120mm, 130mm 등일 수도 있다. 언급해야 할 것은, 상이한 사용자의 머리 모양이 다르기에 상기 거리 H1를 선택하여 적절한 이어폰으로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남성용 거리 H1는 115~130mm일 수 있고, 여성용 범위는 100~115mm일 수 있으며, 두 부류의 사람들에게 모두 적용될 수 있도록 2개의 범위의 중간값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
선택 가능하게, 계속하여 도 16을 참조하면, 안경 프레임(31)의 대칭 중심점으로부터 2개의 힌지 회전축(41)의 중심점의 연결선의 수직 거리 H2는 105~170mm이다.
언급해야 할 것은, 안경 프레임(31)의 대칭 중심점은 안경 프레임(31) 중간에위치한 콧마루의 중점 위치하고, 상기 수직 거리는 사용자 머리의 전후 길이에 대응된다.
상기 수직 거리 H2가 크면, 골전도 스피커 수단(20)의 접합면(21)이 이개 배면에 접합 시, 안경 프레임(31)이 사용자의 눈에서 멀리 떨어져 이어폰 안경 프레임(31)을 적절히 착용하면 골전도 스피커 수단(20)의 접합면(21)이 이개 배면에서 멀리 떨어져 이개 배면에 적절히 접합될 수 없다. 상기 거리가 작으면 안경 기능 및 이어폰 기능을 동시에 사용 시 안경 프레임(31) 및 골전도 스피커 수단(20)이 동시에 사용자 머리 전후에서 머리를 너무 꽉 조여 사용자가 불편함을 느끼거나, 거리가 너무 작으면 2개의 기능을 동시에 사용하기 어렵다.
여기서, 안경 프레임(31)의 대칭 중심점으로부터 2개의 힌지 회전축(41)의 중심점의 연결선의 수직 거리 H2는 130~150mm일 수도 있고, 구체적으로 130mm, 140mm, 150mm등 일 수 있다. 언급해야 할 것은, 상이한 사용자는 상이한 거리 범위에 대응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남성용 거리 H2는 140~160mm일 수 있고, 여성용 범위는 105~135mm일 수 있으며, 두 부류의 사람들에게 모두 적용될 수 있도록 2개의 범위의 중간값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
선택 가능하게, 도 16 및 도 10을 함께 참조하면 각각의 힌지 회전축(41)의 중심점으로부터 대응되는 골전도 스피커 수단(20)의 접합면(21)의 중심점O 사이의 거리 H3과 안경 프레임(31)의 대칭 중심점으로부터 2개의 힌지 회전축(41)의 중심점의 연결선의 수직 거리 H2의 비율 H3/H2은 0.1~1.5이다.
여기서, 각각의 힌지 회전축(41)의 중심점으로부터 대응되는 골전도 스피커 수단(20)의 접합면(21)의 중심점O 사이의 거리 H3는 힌지 회전축(41)의 중심점으로부터 접합면(21)과 사용자 이개 배면의 접합 부분의 거리에 대응된다. 안경 프레임(31)의 대칭 중심점으로부터 2개의 힌지 회전축(41)의 중심점의 연결선의 수직 거리 H2는 사용자 머리의 앞 부분으로부터 귀 뒤의 수직 거리에 대응된다. 사용자 머리의 앞 부분으로부터 귀 뒤의 수직 거리가 일정할 경우, 힌지 회전축(41)의 중심점으로부터 접합면(21)과 사용자 이개 배면의 접합 부분의 거리가 크면, 즉 상기 비율이 크면, 힌지 회전축(41)의 중심점으로부터 대응되는 골전도 스피커 수단(20)의 접합면(21)의 중심점O 사이의 거리가 크다는 것을 설명하고, 골전도 스피커 수단(20)이 이개 배면의 약간 아래 쪽 부위에 접합되기 쉽고; 상기 비율이 작으면 힌지 회전축(41)의 중심점으로부터 대응되는 골전도 스피커 수단(20)의 접합면(21)의 중심점O 사이의 거리가 작다는 것을 설명하고, 골전도 스피커 수단(20)이 이개 배면의 약간 윗쪽 부위에 접합되기 쉬우므로, 골전도 스피커 수단(20)이 소리/진동에 대한 전달 효율에 영향을 주고 나아가 음질에 영향을 준다.
여기서, H3/H2는 0.125~0.35일 수도 있고 구체적으로 0.125, 0.15, 0.20, 0.25, 0.30, 0.35 등일 수도 있으며, 사용자의 상이한 요구에 따라 상이한 비율을 설계할 수 있고, 여기서는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상이한 각 파라미터에 따라 상이한 규격의 골전도 발성 장치를 설치하여 사용자가 자기의 머리 모양에 따라 선택하여 사용자의 사용 요구를 만족하게 할 수 있다.
도 17 및 도 18을 더 참조하면,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골전도 발성 장치의 일 실시형태의 국부 단면 모식도이고, 도 18은 도 17 중 A 부분의 확대 구조 모식도이다. 본 실시형태에서, 골전도 발성 장치는 제1 연결선(50)을 더 포함하고, 안경테(30)는 회전축 어셈블리(33)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제1 연결선(50)은 기계적 연결 작용 또는 전기적 연결 작용을 하는 연결선이고, 본 실시형태에서, 2개의 안경 다리(32) 내에 각각 기능 어셈블리가 설치되고, 제1 연결선(50)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특정 기능을 실현한다. 회전축 어셈블리(33)의 개수는 2개이고 각각 안경 프레임(31) 및 2개의 안경 다리(32)를 연결하여 안경 프레임(31) 및 안경 다리(32)가 회전축 어셈블리(33)를 에워싸고 상대 회전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회전축 어셈블리(33)는 축방향을 따라 회전축 배선 통로(331)가 설치되며, 제1 연결선(50)은 회전축 배선 통로(331) 내를 관통하고 각각 안경 프레임(31) 및 안경 다리(32)까지 연장된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형태에서, 제1 연결선(50)은 회전축 배선 통로(331)를 관통한 후 일단이 직접 하나의 안경 다리(32)까지 연장되고, 타단이 안경 프레임(31)에 진입하고, 제1 장착홈(111)을 따라 다른 하나의 안경 다리(32)까지 연장되며 각각 2개의 안경 다리(32) 내에 위치한 2개의 기능 어셈블리(16)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해해야 할 것은, 안경 프레임(31)과 안경 다리(32) 사이에 접철이 발생할 경우, 회전축 어셈블리(33) 근처의 구조의 상대 위치에 변화가 발생하고, 이때 안경 프레임(31)과 안경 다리(32) 사이의 연결 부분에 위치한 제1 연결선(50)은 직접 회전축 어셈블리(33)의 바깥 둘레를 에워싸고 설치되며, 이 부분의 제1 연결선(50)은 안경 프레임(31) 또는 안경 다리(32)가 접철됨에 따라 눌림 또는 당김이 발생하고 심하면 변형 또는 파열이 발생하여 제1 연결선(50)의 안정성에 영향을 주고 제1 연결선(50)의 사용 수명이 짧아진다.
본 실시형태에서, 회전축 어셈블리(33)는 축방향을 따라 회전축 배선 통로(331)가 설치되고, 안경 프레임(31)과 안경 다리(32)의 연결 부분에 위치한 제1 연결선(50)이 상기 회전축 배선 통로(331) 내부이 관통하여, 안경 프레임(31)과 안경 다리(32) 사이에 접철이 발생할 시, 회전축 배선 통로(331) 내에 위치한 제1 연결선(50)이 회전축 어셈블리(33)의 회전에 의해서만 일정량의 회전만 발생하여 제1 연결선(50)에 대한 눌림 또는 당김을 감소함으로써, 제1 연결선(50)에 대해 일정한 보호 작용을 하여 제1 연결선(50)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제1 연결선(50)의 사용 수명을 연장한다.
본 실시형태 중 회전축 배선 통로(331)의 내경은 제1 연결선(50)의 외경보다 크다. 예를 들면 회전축 배선 통로(331)의 내경은 제1 연결선(50)의 외경의 2배일 수 있고, 회전축 배선 통로(331)의 내측벽이 제1 연결선(50)에 대한 속박 작용을 감소하여, 안경 프레임(31)과 안경 다리(32) 사이에 접철이 발생할 시 제1 연결선(50)의 회전 폭을 감소한다.
도 18 및 도 19를 함께 참조하면,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골전도 발성 장치의 일 실시형태 중 회전축 어셈블리와 제1 연결선의 구조 모식도이다. 본 실시형태에서, 회전축 어셈블리(33)는 제1 회전축(332)을 포함하고, 제1 회전축(332)의 양단은 각각 안경 프레임(31) 및 안경 다리(32)에 연결되며, 회전축 배선 통로(331)는 제1 회전축(332)의 축방향을 따라 설치되고, 회전축 배선 통로(331)는 제1 회전축(332)의 적어도 일단면에 설치된 배선구(3321)를 통해 외부와 연통되며, 제1 연결선(50)은 배선구(3321)를 안경 프레임(31) 또는 안경 다리(32)까지 연장된다.
언급해야 할 것은, 본 실시형태 중 제1 회전축(332)은 안경 프레임(31) 및 안경 다리(32) 중 하나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다른 하나에 고정 연결되어, 안경 프레임(31) 및 안경 다리(32)이 제1 회전축(332)을 에워싸고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형태에서, 회전축 배선 통로(331)는 제1 회전축(332) 내에 설치되고, 배선구(3321)를 통해 외부와 연통된다.
구체적으로, 회전축 배선 통로(331)는 제1 회전축(332)의 적어도 일단면을 관통하여 회전축 배선 통로(331)의 배선구(3321)를 형성하여, 제1 연결선(50)이 제1 회전축(332)의 적어도 일단면을 통해 회전축 배선 통로(331)로부터 연장되고, 안경 프레임(31) 또는 안경 다리(32)까지 연장되도록 한다. 이해해야 할 것은, 제1 회전축(332)의 단면 바깥 둘레는 큰 활동 공간을 구비하고, 상기 제1 회전축(332)의 단면으로부터 연장된 제1 연결선(50)은 상기 활동 범위 내에 수용되어, 상기 단면 부분의 제1 회전축(332)과 대응되는 안경 프레임(31) 또는 안경 다리(32)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면, 안경 프레임(31) 및 안경 다리(32) 사이에서 접철 회전이 발생할 경우 상기 단면 상의 배선구(3321) 근처의 제1 연결선(50)이 제1 회전축(332)이 회전됨에 따라 일정한 정도의 비틀림이 발생할 시 상기 활동 공간을 통해 적절히 완충이 가능하고, 비틀림을 이동으로 변화될 수 있기에, 제1 연결선(50)의 비틀림 정도를 감소하여 제1 연결선(50)의 안정성을 향상시킨다.
도 20을 참조하면,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골전도 발성 장치의 일 실시형태 중 제1 회전축의 구조 모식도이다. 본 실시형태에서, 배선구(3321)는 제1 배선구(33211) 및 제2 배선구(33212)를 포함하고, 각각 제1 회전축(332)의 양단면에 설치되며, 회전축 배선 통로(331)는 각각 2개의 배선구(3321)를 통해 외부와 연통됨으로써, 제1 연결선(50)이 제1 회전축(332)의 양단면을 관통하고 제1 배선구(33211) 및 제2 배선구(33212)를 거쳐 각각 안경 프레임(31) 및 안경 다리(32)까지 연장되도록 한다.
다시 말하면, 본 응용 상황에서, 안경 프레임(31) 및 안경 다리(32) 사이의 연결 부분의 제1 연결선(50)이 제1 회전축(332) 내의 회전축 배선 통로(331) 중에 설치되고, 각각 제1 회전축(332)의 양단면을 통해 회전축 배선 통로(331)로부터 연장된다. 이때, 제1 회전축(332)의 양단면 바깥 둘레는 모두 큰 활동 공간을 구비하기에, 제1 회전축(332) 양단면으로부터 연장된 제1 연결선(50)이 안경 프레임(31)과 안경 다리(32) 사이에서 상대 회전이 발생할 경우 이동 또는 작은 폭의 비틀림만 발생하여 눌리거나 당겨서 변형되는 상황이 발생하지 않는다.
계속하여 도 19를 참조하면, 본 실시형태에서, 배선구(3321)는 제1 배선구(33213) 및 제2 배선구(33214)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 배선구(33213)는 제1 회전축(332)의 단면에 설치되고, 제2 배선구(33214)는 제1 회전축(332)의 측벽에 설치되어, 회전축 배선 통로(331) 일단이 축방향을 따라 제1 배선구(33213)를 통해 제1 회전축(332)의 단면를 관통하고, 타단이 제2 배선구(33214)를 통해 제1 회전축(332)의 측벽을 관통하여 외부가 연통되며, 제1 연결선(50)은 제1 배선구(33213) 및 제2 배선구(33214)를 거쳐 각각 안경 프레임(31) 및 안경 다리(32)까지 연장된다.
마찬가지로, 제1 배선구(33213)가 설치된 제1 회전축(332) 단면 근처는 큰 활동 공간을 구비하기에, 안경 프레임(31) 및 안경 다리(32) 사이에서 상대 운동이 발생할 경우, 제1 배선구(33213) 근처의 제1 연결선(50)이 상대 이동만 발생하거나 작은 폭의 비틀림만 발생한다.
일 응용 상황에서, 제1 회전축(332)은 안경 프레임(31) 및 안경 다리(32) 중 제2 배선구(33214)에 가까이 설치된 하나에 고정 연결되고, 안경 프레임(31) 및 안경 다리(32) 중 제1 배선구(33213)에 가까이 설치된 다른 하나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다시 말하면, 제1 회전축(332)은 단면에 설치된 배선구(3321) 위치에서 안경 프레임(31) 또는 안경 다리(32) 중의 하나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제1 회전축(332)은 측벽에 설치된 배선구(3321) 위치에서 안경 프레임(31) 또는 안경 다리(32) 중의 다른 하나와 고정 연결된다.
일 응용 상황에서, 제1 회전축(332)은 제1 배선구(33213) 위치에서 안경 프레임(31)에 접근하고, 안경 프레임(31)과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제1 회전축(332)은 제2 배선구(33214) 위치에서 안경 다리(32)에 접근하고, 안경 다리(32)와 고정 연결된다.
언급해야 할 것은, 본 응용 상황에서, 비록 제1 회전축(332)과 안경 프레임(31)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안경 프레임(31)과 안경 다리(32) 사이에서 상대 회전이 발생할 경우 제1 연결선(50)이 제1 배선구(33213) 위치에서 상대 운동이 발생하도록 하지만, 제1 배선구(33213)가 제1 회전축(332)의 단면에 설치되기에 상기 실시형태와 유사하게 제1 회전축(332)의 단면 위치에 큰 활동 공간이 구비되어 안경 프레임(31) 및 안경 다리(32) 사이에서 접철 회전이 발생할 경우 상기 단면 상의 배선구(3321) 근처의 제1 연결선(50)이 제1 회전축(332)이 회전됨에 따라 일정한 정도의 비틀림이 발생할 시 상기 활동 공간을 통해 적절히 완충이 가능하고, 비틀림을 이동으로 변화될 수 있기에, 연결선에 대해 눌림 또는 당김이 발생하지 않아 연결선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연결선의 사용 수명을 연장시킨다.
이밖에, 제1 회전축(332)은 제2 배선구(33214) 위치에서 안경 다리(32)와 고정 연결되는데 이해해야 할 것은, 안경 프레임(31)과 안경 다리(32) 사이에서 상대 회전이 발생할 경우, 안경 다리(32)와 제1 회전축(332) 사이는 동기화를 유지하므로, 회전축 배선 통로(331) 내의 제1 연결선(50)이 제2 배선구(33214)를 거쳐 안경 다리(32)까지 연장되면 제1 연결선(50)은 비틀림, 눌림, 당김이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이때 제2 배선구(33214)는 제1 회전축(332)의 단면에 설치되든지 아니면 제1 회전축(332)의 측벽에 설치되든지, 안경 프레임(31) 및 안경 다리(32) 사이의 상대적 회전이 모두 이 위치의 제1 연결선(50)에 대해 상기 비틀림, 눌림, 당김 등이 발생하지 않는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제2 배선구(33214) 위치에서 제1 회전축(332)과 안경 다리(32)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면. 양자 사이에서 상대 회전으로 인해 제1 연결선(50)에 이동이 발생할 경우, 제2 배선구(33214) 위치에서 제1 회전축(332)의 측벽의 제한을 받기에, 제1 연결선(50)이 제1 회전축(332)의 측벽과 안경 다리(32) 사이의 눌림을 받게 된다.
제1 회전축(332)이 제1 배선구(33213) 위치에서 안경 다리(32)에 접근하고 안경 다리(32)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며, 제1 회전축(332)이 제2 배선구(33214) 위치에서 안경 프레임(31)에 접근하고 안경 프레임(31)과 고정 연결되면, 같은 도리로 안경 프레임(31)과 안경 다리(32) 사이에서 접철이 발생할 경우 회전축 배선 통로(331) 내 및 제1 배선구(33213)와 제2 배선구(33214) 근처의 제1 연결선(50)이 여전히 작은 폭의 비틀림 또는 이동만 발생하게 된다.
계속하여 도 19를 참조하면, 일 실시형태에서, 회전축 어셈블리(33)는 제1 회전축(332)과 동축이고 이격 설치된 제2 회전축(333)을 더 포함한다.
본 실시형태에서, 제2 회전축(333)은 제1 회전축(332)의 제1 배선구(33213)에 가까운 일측에 설치된다. 물론 다른 실시형태에서, 제2 회전축(333)은 제1 회전축(332)의 제2 배선구(33214)에 가까운 일측에 설치될 수도 있다.
도 21을 참조하면,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골전도 발성 장치의 일 실시형태의 국부 구조 분해도이다. 본 실시형태에서, 안경 프레임(31)은 제1 돌출 러그(311)를 포함하고, 구체적으로 제1 돌출 러그(311)의 개수는 2개이며, 각각 안경 프레임(31)이 2개의 안경 다리(32)에 연결되는 양단에 설치되고 돌출되어 각각 대응되는 안경 다리(32)를 향한다.
안경 다리(32)는 이격 설치된 제2 돌출 러그(3201) 및 제3 돌출 러그(3202)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2 돌출 러그(3201) 및 제3 돌출 러그(3202)는 모두 위치한 안경 다리(32)에 연결된 안경 프레임(31)의 단부를 향한다. 사용자가 상기 안경을 착용할 경우, 제2 돌출 러그(3201) 및 제3 돌출 러그(3202)는 사용자의 머리와 멀리 떨어진 일측에서 하나로 연결되어, 안경이 외관상으로 하나의 전체로 보일 수 있게 하고 미관상으로 더 아름답게 한다. 일 응용 상황에서, 이격 설치된 제2 돌출 러그(3201) 및 제3 돌출 러그(3202)는 안경 다리(32)의 안경 프레임(31)을 향한 일단의 중부에 요홈을 설치하여 형성된다.
또한, 제1 회전축(332) 및 제2 회전축(333)의 서로 가까운 단부는 모두 제1 돌출 러그(311)와 연결되고, 제1 회전축(332) 및 제2 회전축(333)의 서로 멀리 떨어진 단부는 각각 제2 돌출 러그(3201) 및 제3 돌출 러그(3202)에 연결되어, 제1 돌출 러그(311)를 제2 돌출 러그(3201)와 제3 돌출 러그(3202) 사이에 유지시킨다.
여기서, 계속하여 도 19를 참조하면, 일 실시형태에서, 제1 배선구(33213)는 제1 회전축(332)의 제2 회전축(333)에 가까운 단면에 설치되고, 제2 배선구(33214)는 제1 회전축(332)의 제2 돌출 러그(3201)에 가까운 측벽에 설치되며, 제1 회전축(332)는 제1 돌출 러그(311)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제2 돌출 러그(3201)와 고정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형태에서, 회전축 배선 통로(331) 내의 제1 연결선(50)의 일단은 제1 배선구(33213)로부터 제1 회전축(332)과 제2 회전축(333) 사이의 간격을 거쳐 연장된다. 또한, 일 응용 상황에서, 제1 돌출 러그(311)에는 제1 배선구(33213)와 연통되는 배선 통로가 설치되기에, 제1 연결선(50)이 제1 돌출 러그(311)로부터 안경 프레임(31)에 진입하게 된다.
이밖에, 회전축 배선 통로(331) 내의 제1 연결선(50)의 타단은 제2 배선구(33214)로부터 연장된다. 또한, 일 응용 상황에서, 제3 돌출 러그(3202)에는 제2 배선구(33214)와 연통되는 배선 통로가 설치되기에, 제1 연결선(50)이 제3 돌출 러그(3202)의 배선 통로를 거쳐 안경 다리(32)에 진입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배선구(33214)는 제1 회전축(332)의 측벽에 설치되고 제1 회전축(332)의 단부와 관통되지 않으며 회전축 배선 통로(331)와 연통되는 통공일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제2 배선구(33214)는 또한 제1 회전축(332)의 측벽을 따라 제1 회전축(332)의 제1 배선구(33213)과 멀리 떨어진 단부까지 관통된다. 이해해야 할 것은, 본 실시형태 중의 제2 배선구(33214) 위치는 큰 공간을 구비하기에 이 부분의 제1 연결선(50)이 일부 원인으로 인해 이동이 발생할 시 제1 연결선(50)에 대한 제한을 감소하고 또한 제1 회전축(332)의 측벽의 막힘으로 인한 손상을 감소한다.
또한 도 21, 도 22 및 도 23을 함께 참조하면,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골전도 발성 장치의 일 실시형태 중 안경 프레임과 안경 렌즈의 구조 모식도이고, 도 23은 본 발명에 따른 골전도 발성 장치의 일 실시형태 중 안경 다리의 국부 구조 모식도이다. 본 실시형태에서, 제1 돌출 러그(311) 및 제2 돌출 러그(3201)는 각각 동축으로 제1 수용홀(3111) 및 제2 수용홀(32011)이 설치되고, 여기서 제1 수용홀(3111) 및 제2 수용홀(32011)의 사이즈는 제1 회전축(332)이 안경 다리(32)의 외부로부터 제2 수용홀(32011)을 거쳐 제1 수용홀(3111) 내에 삽입되도록 허용하고, 제1 회전축(332)이 제2 수용홀(32011)과 억지 끼워맞춤되고 제1 수용홀(3111)와 이격 배합되도록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제2 수용홀(32011)은 제2 돌출 러그(3201)를 관통하는 통공이고, 제1 수용홀(3111)은 제2 수용홀(32011)에 대응되게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1 돌출 러그(311)를 관통한다. 여기서, 제1 수용홀(3111)의 내경은 제2 수용홀(32011)보다 크고, 제1 회전축의 외경 사이즈는 제1 수용홀(3111)과 제2 수용홀(32011) 사이에 개재되며, 제1 회전축(332)과 안경 다리(32)를 고정 연결하여, 안경 프레임(31)과 회전 가능하게 연결 됨으로써, 안경 프레임(31)과 안경 다리(32) 사이에서 제1 회전축(332)을 에워싸고 회전하여 접히거나 열리도록 한다.
또한, 일 실시형태에서, 제1 돌출 러그(311) 및 제3 돌출 러그(3202)는 각각 동축으로 제3 수용홀(3112) 및 제4 수용홀(32021)이 설치되고, 여기서 제3 수용홀(3112) 및 제4 수용홀(32021)의 사이즈는 제2 회전축(333)이 안경 다리(32)의 외부로부터 제4 수용홀(32021)을 거쳐 제3 수용홀(3112) 내에 삽입되도록 허용하고, 제2 회전축(333)이 제3 수용홀(3112)과 억지 끼워맞춤되고 제4 수용홀(32021)과 이격 배합되거나, 또는 제2 회전축(333)이 제3 수용홀(3112)과 이격 배합되고 제4 수용홀(32021)과 억지 끼워맞춤되도록 한다.
본 실시형태에서, 제3 수용홀(3112) 및 제4 수용홀(32021)은 모두 제1 수용홀(3111) 및 제2 수용홀(32011)과 동축으로 설치된다. 여기서, 제3 수용홀(3112)은 적어도 부분적의 제1 돌출 러그(311)를 관통하고, 일 응용 상황에서, 제1 수용홀(3111)은 제3 수용홀(3112)과 동축으로 관통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실시형태에 기술된 바와 같이, 안경 프레임(31)의 제1 돌출 러그(311)에는 제1 배선구(33213)와 연통되는 배선 통로가 설치되고, 제1 수용홀(3111)과 제3 수용홀(3112)은 각각 상기 제1 돌출 러그(311) 내에 위치한 배선 통로의 양측에 설치되며, 모두 상기 배선 통로를 관통한다. 제4 수용홀(32021)은 제3 돌출 러그(3202)를 관통하게 설치된다. 여기서, 제2 회전축(333)의 외경 사이즈는 제3 수용홀(3112)과 제4 수용홀(32021)의 내경 사이에 개재되고, 제3 수용홀(3112)의 내경이 제4 수용홀(32021)보다 크거나, 또는, 제4 수용홀(32021)의 내경은 제3 수용홀(3112)보다 크기에, 제2 회전축(333)과 안경 다리(32)가 고정 연결되어 안경 프레임(31)과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거나, 또는 제2 회전축(333)과 안경 프레임(31)이 고정 연결되어, 안경 다리(32)와 회전 가느하게 연결되어, 안경 프레임(31)과 안경 다리(32) 사이가 제1 회전축(332)을 에워싸고 회전하여 접히거나 열리도록 한다.
여기서, 일 실시형태에서, 제2 회전축(333)은 속이 찬 축이고, 그 직경은 제1 회전축(332)의 직경보다 작을 수 있다. 착용 상태에서, 제2 회전축(333)은 안경 다리(32)의 상측에 위치하고, 제1 회전축(332)은 안경 다리(32)의 하측에 위치한다.
언급해야 할 것은, 회전축 배선 통로(331)는 제1 회전축(332)의 내부에 설치되기에, 제1 회전축(332)의 외경이 크므로, 사용자의 미관적 요구를 만족하기 어렵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작은 의경의 제2 회전축(333)을 더 설치하여, 사용자가 안경을 착용 시 제2 회전축(333)이 발견하기 쉬운 상부에 설치되고 제1 회전축(332)은 발견하기 어려운 하부에 설치함으로써, 제2 회전축(333)의 외경이 작기에 일정한 정도에서 안경의 전반적인 미관 효과를 개선할 수 있다.
물론, 다른 실시형태에서, 제1 회전축(332) 및 제2 회전축(333)은 다른 방식으로 설치될 수도 있는 바, 예를 들면 제2 회전축(333)은 중공 축일 수 있고, 제2 회전축(333)의 직경은 제1 회전축(332)의 직경보다 클 수도 있고, 또는 착용 상태에서 제2 회전축(333)이 안경 다리(32)의 하측에 위치하고, 제1 회전축(332)이 안경 다리(32)의 상측에 위치하는 등일 수도 있으며, 여기서는 한정하지 않는다.
이밖에, 계속하여 도 19를 참조하면, 제1 회전축(332)에서 제1 배선구(33213)가 설치되는 단면(3322)과 제1 회전축(332)에서 회전축 배선 통로(331)의 내벽면(3323)을 정의하는 연결 부분은 호형으로 설치된다. 이해해야 할 것은, 안경 프레임(31)과 안경 다리(32) 사이는 회전축 어셈블리(33)를 통해 회전 시, 제1 회전축(332)과 안경 프레임(31) 사이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기에, 제1 배선구(33213) 위치의 제1 연결선(50)이 이동한다. 본 실시형태에서, 제1 회전축(332)의 상기 단면(3322)과 내벽면(3323)의 연결 부분을 호형으로 설치하여, 제1 배선구(33213) 위치의 제1 연결선(50)의 이동하여 제1 회전축(332)과 접촉 시 상기 연결 부분이 너무 뾰족하여 제1 연결선(50)을 긁어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제1 연결선(50)에 대해 보호 작용을 한다.
일 응용 상황에서, 제1 회전축(332)에서 제2 배선구(33214)가 설치되는 단면과 제1 회전축(332)에서 회전축 배선 통로(331)의 내벽면(3323)을 정의하는 연결 부분도 호형으로 설치되고, 마찬가지로, 이런 방식을 통해서도 제1 연결선(50)에 대해 보호 작용을 한다.
도 24 및 도 25를 참조하면, 힌지(40)는 힌지 베이스(42) 및 힌지 팔(43)을 더 포함하고, 여기서, 힌지 팔(43)은 힌지 회전축(41)을 통해 힌지 베이스(42)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여기서, 힌지(40)의 힌지 베이스(42)는 렌즈 다리 몸체(321)에 연결 설치되어, 힌지(40)를 렌즈 다리 몸체(321)의 안경 프레임(31)과 멀리 떨어진 단부에 설치한다.
구체적으로, 렌즈 다리 몸체(321)는 길이 방향을 따라 렌즈 다리 몸체(321)의 안경 프레임(31)과 멀리 떨어진 단부의 단면과 연통되는 힌지 캐비티(3211)가 설치되고, 렌즈 다리 몸체(321)의 측벽에는 힌지 캐비티(3211)와 연통되는 제1 삽입홀(3212)이 설치되며, 힌지 베이스(42)의 힌지 팔(43)과 멀리 떨어진 일단은 렌즈 다리 몸체(321)의 단면으로부터 힌지 캐비티(3211)에 삽입되고, 제1 삽입홀(3212) 내에 삽입 설치된 고정 부재(323)에 의해 힌지 캐비티(3211) 내에 고정되고 힌지(40)와 렌즈 다리 몸체(321)를 연결시킨다.
여기서, 렌즈 다리 몸체(321)는 성형 과정에서 힌지 캐비티(3211)를 형성하고, 예를 들면 렌즈 다리 몸체(321)의 재질은 고무 또는 플라스틱 등일 수 있고, 이때 렌즈 다리 몸체(321)의 사출 성형 과정에서 힌지 캐비티(3211)를 형성할 수 있다. 힌지 캐비티(3211)의 형상은 힌지 베이스(42)와 매칭되기에 힌지 베이스(42)가 힌지 캐비티(3211) 내에 수용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렌즈 다리 몸체(321)는 길이 방향을 따라 길고 곧은 막대 형상일 수 있고, 대응되게 렌즈 다리 몸체(321)는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직선 로드이고 힌지 캐비티(3211)가 직선 로드에 설치되며, 또한 힌지 베이스(42)는 힌지 캐비티(3211)와 매칭되어 힌지 캐비티(3211) 내에 수용되어 힌지(40)의 장착을 실현한다. 물론, 다른 실시형태에서, 렌즈 다리 몸체(321)는 호형 로드 등 다른 형상일 수도 있다.
이밖에, 제1 삽입홀(3212)은 렌즈 다리 몸체(321)의 성형 과정에서 형성될 수도 있고, 또는 성형 후 천공 등 방법으로 렌즈 다리 몸체(321)의 측벽에 형성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형태에서, 제1 삽입홀(3212)의 형상은 원형일 수 있고, 다른 실시 형태에서 사각형, 삼각형 등 다른 형상일 수도 있다. 고정 부재(323)의 형상은 제1 삽입홀(3212)과 매칭되어 고정 부재(323)가 렌즈 다리 몸체(321)의외부로부터 제1 삽입홀(3212)에 삽입되고, 힌지 베이스(42)의 측벽을 당접되는 방식 또는 힌지 베이스(42)의 외벽을 관통하여 삽입 연결 되는 방식 등을 통해 힌지 베이스(42)를 힌지 캐비티(3211) 내에 고정한다. 구체적으로, 제1 삽입홀(3212)의 내벽과 고정 부재(323)의 외벽에 매칭되는 나사산을 설치하여 고정 부재(323)가 나사산 연결 방식으로 제1 삽입홀(3212)과 연결되어 힌지 베이스(42)를 힌지 캐비티(3211) 내에 고정할 수 있다. 물론, 예를 들면 제1 삽입홀(3212)과 고정 부재(323)의 억지 끼워맞춤 등 다른 방식을 연결할 수도 있다.
또한, 힌지 팔(43)은 연결 부재(322)과 연결되어 연결 부재(322)가 힌지 팔(43)에 연결된 후, 힌지 베이스(42)를 렌즈 다리 몸체(321)의 힌지 캐비티(3211) 내에 장착하는 것을 통해 렌즈 다리 몸체(321) 사이와 힌지 회전축(41)을 에워싸고 회전하고, 골전도 스피커 수단(20)을 힌지 팔(43)의 힌지 베이스(42)와 멀리 떨어진 일단에 연결 설치함으로써, 힌지(40)를 통해 렌즈 다리 몸체(321)의 안경 프레임(31)과 멀리 떨어진 단부에 연결할 수 있다.
상기 방식에서, 렌즈 다리 몸체(321)에 렌즈 다리 몸체(321)의 단면과 연통되는 힌지 캐비티(3211)가 설치되고, 힌지(40)는 힌지 베이스(42)를 상기 힌지 캐비티(3211) 내에 수용하는 것을 통해 고정 부재(323)를 제1 삽입홀(3212)을 통해 렌즈 다리 몸체(321)의 측벽을 관통하도록 함으로써 힌지 캐비티(3211) 내에 수용된 힌지 베이스(42)를 힌지 캐비티(3211) 내에 고정시킨다. 이로써 힌지(40)가 렌즈 다리 몸체(321)에 대한 탈착을 실현하고, 골전도 스피커 수단(20) 또는 안경 프레임(31), 렌즈 다리 몸체(321) 등이 파손될 경우 교체가 편리하다.
또한, 계속하여 도 25를 참조하면, 일 실시형태에서, 힌지 베이스(42)에는 제1 삽입홀(3212)에 대응되는 제2 삽입홀(421)이 설치되고, 고정 부재(323)는 또한 제2 삽입홀(421) 내에 삽입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제2 삽입홀(421)의 형상은 고정 부재(323)와 매칭되어, 고정 부재(323)가 제1 삽입홀(3212)을 관통한 후 제2 삽입홀(421)에 삽입되어 힌지 베이스(42)를 고정하도록 함으로써, 힌지 베이스(42)가 힌지 캐비티(3211) 내에서의 흔들림을 감소하여 힌지(40)의 고정 더 견고하게 한다. 구체적으로, 제1 삽입홀(3212)과 고정 부재(323)의 연결 방식과 유사하게, 제2 삽입홀(421)의 내측벽에는 고정 부재(323)에 대응되는 외벽에 서로 매칭되는 나사산이 설치되어 고정 부재(323)와 힌지 베이스(42)를 하나로 나사산 연결하거나; 또는, 제2 삽입홀(421)의 내벽과 고정 부재(323)의 대응되는 접촉 위치의 외측벽이 모두 평평한 면이고 고정 부재(323)와 제2 삽입홀(421)이 억지 끼워맞춤 될 수도 있으며 여기서는 구체적으로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제2 삽입홀(421)은 힌지 베이스(42)의 양측변을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고정 부재(323)가 전반 힌지 베이스(42)를 관통하여 힌지 베이스(42)를 힌지 캐비티(3211) 내에 더 견고하게 고정한다.
도 26을 더 참조하면, 본 실시형태에서, 렌즈 다리 몸체(321)의 길이 방향에 수직되는 단면에서, 힌지 베이스(42)의 단면 형상은 힌지 캐비티(3211)의 단면 형상과 매칭되어, 삽입 후 힌지 베이스(42)와 렌즈 다리 몸체(321) 사이가 밀봉 배합되도록 한다.
여기서, 도 26에 도시된 단면에서, 힌지 베이스(42)의 단면 형상과 힌지 캐비티(3211)의 단면 형상은 힌지 베이스(42)가 렌즈 다리 몸체(321)의 힌지 팔(43)과 멀리 떨어진 단면으로부터 상기 힌지 캐비티(3211)에 삽입할 수 있기만 하면 임의의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제1 삽입홀(3212)이 힌지 캐비티(3211)의 측벽에 설치되고 힌지 캐비티(3211)의 측벽을 관통하여 힌지 캐비티(3211)와 연통된다.
일 응용 상황에서, 힌지 베이스(42)의 단면 형상과 힌지 캐비티(3211)의 단면 형상은 모두 직사각형으로 설치되고, 제1 삽입홀(3212)은 직사각형의 일측변에 수직되게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본 응용 상황에서, 힌지 베이스(42) 외측벽의 모서리 또는 힌지 캐비티(3211)의 내측벽의 각에 대해 모따리 처리를 진행하여 힌지 베이스(42)와 힌지 캐비티(3211)의 접촉이 더 원활하도록 함으로써, 힌지 베이스(42)가 힌지 캐비티(3211) 내에 원활하게 삽입되게 한다.
더 언급해야 할 것은, 힌지(40)를 장착하기 전에 힌지 캐비티(3211) 내에는 일정량의 가스가 저장되어 있기에 힌지 캐비티(3211)가 일단만 개구된 캐비티일 경우 장착 과정에서 힌지 캐비티(3211) 내의 가스가 배출되기 어려워 힌지 베이스(42)의 삽입에 불리하여 장착에 영향을 준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삽입홀(3212)이 힌지 캐비티(3211)의 측벽을 관통하여 힌지 캐비티(3211)와 연통되고, 장착 과정에서 내부의 기체가 힌지 캐비티(3211)를 통해 제1 삽입홀(3212)로 배출되도록 보조함으로써 힌지(40)의 정상적인 조립에 이롭다.
도 27을 더 참조하면, 일 실시형태에서, 골전도 발성 장치는 힌지(40) 외측에 설치되는 제2 연결선(60)을 더 포함한다.
여기서, 제2 연결선(60)은 제1 연결선(50)과 유사하게 전기적 연결 작용 및/또는 기계적 연결 작용을 구비하는 연결선일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힌지(40) 등은 골전도 스피커 수단(20)을 렌즈 다리 몸체(321)의 안경 프레임(31)과 멀리 떨어진 단부에 연결시키고, 골전도 스피커 수단(20)과 관련된 제어 회로 등이 렌즈 다리 몸체(321)에 설치될 수 있으며, 이때, 제2 연결선(60)이 골전도 스피커 수단(20)과 렌즈 다리 몸체(321) 중의 제어 회로 등을 하나로 전기적으로 연결해야 한다. 구체적으로, 제2 연결선(60)은 힌지 베이스(42)와 힌지 팔(43)의 일측에 위치하여 힌지(40)와 동일한 수용 공간에 수용될 수 있고, 여기서 제2 연결선(60)과 제1 연결선(50)은 서로 연결되거나 또는 서로 독립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힌지 베이스(42)는 제1 단면(422)을 포함하고, 힌지 팔(43)은 제1 단면(422)과 대응되게 설치되는 제2 단면(431)을 포함하며, 이해해야 할 것은, 제1 단면(422)과 제2 단면(431) 사이에는 일정한 간격이 존재하여 힌지 베이스(42)와 힌지 팔(43)이 힌지 회전축(41)을 에워싸고 상대 회전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한다. 본 실시형태에서, 힌지 팔(43)과 힌지 베이스(42)가 상대 회전 과정에서 제1 단면(422)과 제2 단면(431) 사이도 따라서 상대적인 위치 변화가 발생하기에 양자 사이의 간격이 커지거나 작아진다.
본 실시형태에서, 제1 단면(422)과 제2 단면(431) 사이의 간격은 항상 제2 연결선(60)의 직경보다 크거나 같도록 유지되어, 힌지(40) 외측에 위치한 제2 연결선(60)이 힌지 베이스(42)와 힌지 팔(43)의 상대 회전 과정에서 제1 단면(422)과제2 단면(431) 사이의 간극에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여 힌지가 제2 연결선(60)에 대한 손상을 감소한다. 구체적으로, 제1 단면(422)과 제2 단면(431) 사이의 간격은 힌지 팔(43)과 힌지 베이스(42)이 상대 회전 과정에서 항상 제2 연결선(60)의 직경과 1.5보다 크거나 0.8보다 작은 비율을 유지하고, 예를 들면 1.5, 1.7, 1.9, 2.0 등보다 크거나, 또는 0.8, 0.6, 0.4, 0.2 등보다 작으며 여기서는 구체적으로 한정하지 않는다.
여기서, 일 실시형태에서, 골전도 발성 장치는 보호 케이싱관(70)을 더 포함한다. 도 4, 도 28 내지 도 31을 함께 참조하면, 상기 보호 케이싱관(70)은 힌지(40)의 바깥 둘레에 씌움 설치되고, 힌지(40)에 따라 만곡되며, 보호 케이싱관(70)은 보호 케이싱관(7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 설치되는 다수의 고리형 돌출 리지(71) 및 고리형 돌출 리지(71) 사이에 설치되어 인접 설치된 2개의 고리형 돌출 리지를 연결하는 고리형 연결부(72)를 포함하고, 고리형 돌출 리지(71)의 관벽 두께는 고리형 연결부(72)의 관벽 두께보다 크다.
여기서, 보호 케이싱관(70)의 길이 방향과 힌지(40)의 길이 방향은 일치하고, 보호 케이싱관(70)은 구체적으로 힌지 베이스(42와 힌지 팔(43)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설치된다. 상기 보호 케이싱관(70)은 연질 재료로 제조되고 예를 들면 연질 실리콘, 고무 등으로 제조된다.
고리형 돌출 리지(71)는 보호 케이싱관(70)의 외측벽으로부터 밖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고리형 돌출 리지(71)에 대응되는 보호 케이싱관(70)의 내측벽의 형상은 여기에서 구체적으로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내측벽은 평평할 수 있고, 또는 내측벽 상의 대응되는 고리형 돌출 리지(71)의 위치는 요홈 등으로 설치될 수도 있다.
고리형 연결부(72)는 인접한 고리형 돌출 리지(71)를 연결하기 위한 것이고, 구체적으로 고리형 돌출 리지(71)의 보호 케이싱관(70) 내부에 가까운 가장자리 영역에 연결되어, 보호 케이싱관(70)의 외측벽 일측에서 고리형 돌출 리지(71)에 대해 요홈 모양으로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고리형 돌출 리지(71) 및 고리형 연결부(72)의 개수는 실제 사용 상황에 따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보호 케이싱관(70)의 길이, 고리형 돌출 리지(71) 및 고리형 연결부(72) 자체가 보호 케이싱관(70) 길이 방향에서의 폭 등 상황에 따라 설정한다.
또한, 고리형 돌출 리지(71) 및 고리형 연결부(72)의 관벽 두께는 각각 고리형 돌출 리지(71) 및 고리형 연결부(72)에 대응되는 보호 케이싱관(70)의 내측벽과 외측벽 사이의 두께를 가리킨다. 본 실시형태에서, 고리형 돌출 리지(71)의 관벽 두께는 고리형 연결부(72)의 관벽 두께보다 크다.
이해해야 할 것은, 힌지(40)의 힌지 베이스(42) 및 힌지 팔(43) 사이가 힌지 회전축(41)을 에워싸고 상대 회전 시, 힌지 베이스(42) 및 힌지 팔(43) 사이의 각도가 변하여 보호 케이싱관(70)에 만곡이 발생하며 도 30 및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다. 구체적으로, 보호 케이싱관(70)이 힌지(40)에 따라 만곡이 발생하면, 보호 케이싱관(70)이 형상한 만곡 형상의 외측 영역의 고리형 돌출 리지(71) 및 고리형 연결부(72)는 연신 상태에 처하고, 만곡 형상의 내측 영역에 위치한 고리형 돌출 리지(71) 및 고리형 연결부(72)는 눌린 상태에 처한다.
본 실시형태에서, 고리형 돌출 리지(71)의 관벽 두께는 고리형 연결부(72)의 관벽 두께보다 크기에, 고리형 돌출 리지(71)가 고리형 연결부(72)에 비해 더 단단하고, 보호 케이싱관(70)이 만곡 상태일 경우, 만곡 형상의 외부 일측의 보호 케이싱관(70)이 연신 상태이고, 고리형 돌출 리지(71)가 보호 케이싱관(70)을 위해 강도 지지를 제공할 수 있다. 아울러 만곡 상태의 내부 일측의 보호 케이싱관(70) 영역이 눌려, 고리형 돌출 리지(71)가 일정한 눌림 힘을 버틸 수 있기에 보호 케이싱관(70)에 대해 보호 작용을 하고 보호 케이싱관(70)의 안정성을 향상시키며 보호 케이싱관(70)의 수명을 연장시킨다.
또한, 언급해야 할 것은, 보호 케이싱관(70)의 형상과 힌지(40)이 처한 상태가 일치하다. 일 응용 상황에서, 보호 케이싱관(70)은 길이 방향에서 회전축을 에워싸고 회전하는 양측이 모두 당김 또는 눌림을 받을 수 있다. 다른 일 응용 상황에서, 힌지(40)의 힌지 베이스(42) 및 힌지 팔(43)은 힌지 회전축(41)을 에워싸고 180°보다 작거나 같은 범위 내에서만 회전을 진행한다. 다시 말하면, 보호 케이싱관(70)은 일측을 향해서만 만곡을 진행하기에 보호 케이싱관(70)의 길이 방향에서의 양측에는 일측이 눌리면 타측도 당겨질 수 있다. 이때 보호 케이싱관(70) 양측이 받는 힘이 다르기에 보호 케이싱관(70)이 받는 힘이 다른 양측을 상이한 구조로 설치한다.
일 실시형태에서, 고리형 돌출 리지(71)는 보호 케이싱관(70)이 만곡 상태일때 보호 케이싱관(70)이 형성한 만곡 형상 외부 일측을 향한 보호 케이싱관(70) 길이 방향에서의 폭이 만곡 형상 내부 일측을 향한 보호 케이싱관(70) 길이 방향에서의 폭보다 크다.
여기서, 보호 케이싱관(70) 길이 방향에서 고리형 돌출 리지(71)의 폭을 증가하면 보호 케이싱관의 강도를 더 향상시킬 수 있다. 아울러, 본 실시형태에서, 힌지 베이스(42)와 힌지 팔(43) 사이의 초기 끼인 각의 각도는 180°보다 작고, 이때, 보호 케이싱관(70)의 고리형 돌출 리지(71)가 균일하게 설치되면, 보호 케이싱관(70)이 원시 상태에서 눌리게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 만곡 상태에서 만곡 형상의 외측 영역 일측을 향한 고리형 돌출 리지(71)의 폭이 크기에, 상기 측 보호 케이싱관(70)의 길이를 확대하여, 보호 케이싱관(70)의 강도를 향상시키는 동시에 보호 케이싱관(70)이 만곡 시 일정한 정도에서 연신 측의 연신 정도를 감소할 수 있다. 아울러 고리형 돌출 리지(71)는 보호 케이싱관(70) 위치에서 만곡 상태 시 만곡 형상의 내측 영역 일측을 향한 보호 케이싱관(70) 길이 방향에서의 폭이 작기에 눌린 고리형 연결부(72)가 보호 케이싱관(70) 길이 방향에서의 공간을 증가하여 일정한 정도에서 눌리는 측의 눌림을 완화할 수 있다.
또한, 일 응용 상황에서, 고리형 돌출 리지(71)의 폭은 만곡 형상의 외측 영역 일측을 향한 곳으로부터 만곡 형상의 내부 영역 일측을 향한 곳으로 가면서 점점 작아지기에, 보호 케이싱관(70)이 만곡 상태 시 보호 케이싱관(70)이 형성한 만곡 형상의 외측 영역 일측의 폭이 만곡 형상의 내측 영역 일측의 폭보다 크다.
이해해야 할 것은, 고리형 돌출 리지(71)가 보호 케이싱관(70)의 바깥 둘레에 둘러싸고 설치되고, 보호 케이싱관(70)의 길이 방향에서 일측이 연신 측에 대응되고 타측이 눌림측에 대응된다. 본 실시형태에서, 고리형 돌출 리지(71)의 폭은 만곡 형상 외측 영역 일측을 향한 곳으로부터 만곡 형상 내측 영역 일측을 향한 곳으로 가면서 점점 작아지기에, 폭이 균일하게 되어 일정한 정도에서 보호 케이싱관(70)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일 실시형태에서, 고리형 돌출 리지(71)는 보호 케이싱관(70)이 만곡상태일 경우 보호 케이싱관(70)이 형성한 만곡 형상 외측 영역 일측의 보호 케이싱관(70) 내부의 내환면에 요홈(711)을 설치한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형태 중의 요홈(711)이 보호 케이싱관(70)에 수직되는 길이 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대응되는 고리형 돌출 리지(71)가 보호 케이싱관(70)에서 길이 방향에서 연신될 경우 적절한 신전(extension)이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보호 케이싱관(70)이 만곡 상태일 경우, 보호 케이싱관(70)이 형성한 만곡 형상 외부 일측의 보호 케이싱관(70)이 연신 상태이고, 본 실시형태에서, 대응되는 고리형 돌출 리지(71)에 대응되는 보호 케이싱관(70) 내부의 내환면에 요홈(711)을 설치하기에, 상기 측 보호 케이싱관이 연신 시 요홈(711)에 대응되는 고리형 돌출 리지(71)가 적절히 신전되어 일부 연신을 부담하기에 상기 측 보호 케이싱관이 받는 견인력을 감소하여 보호 케이싱관(70)에 대해 보호 작용을 한다.
언급해야 할 것은, 보호 케이싱관(70)이 만곡 상태일 경우, 만곡 형상의 내측 영역 일측을 향한 고리형 돌출 리지(71)는 대응되는 보호 케이싱관(70)의 내측벽에 요홈(711)을 설치하지 않을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요홈(711)의 보호 케이싱관(70) 길이 방향에서의 폭은 만곡 형상 외측 영역 일측을 향한 곳으로부터 만곡 형상 내측 영역 일측을 향한 곳으로 가면서 점점 작아지기에, 만곡 형상 내측 영역 일측의 고리형 돌출 리지(71)에 대응되는 보호 케이싱관(70)의 내측벽에 요홈(711)이 설치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보호 케이싱관(70)은 보호 케이싱관(70)의 길이 방향 상의 양측에 각각 설치된 렌즈 다리 몸체(321) 및 골전도 스피커 수단(20)에 하나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응용 상황에서, 보호 케이싱관(70)은 골전도 발성 장치 중의 다른 구조, 예를 들면 일부 부재의 보호 덮개층 등과 일체로 성형되어 골전도 발성 장치가 더 밀폐되고 일체를 형성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도 32 내지 도 36을 함께 참조하면, 일 실시형태에서, 힌지(40)의 힌지 팔(43)은 서로 연결된 제1 지지면(432) 및 제2 지지면(433)을 구비한다. 힌지(40)는 지지 부재(44) 및 탄성 부재(45)를 포함한다. 지지 부재(44)는 힌지 베이스(42)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제3 지지면(441)을 구비하며, 탄성 부재(45)는 지지 부재(44)가 힌지 팔(43)을 향해 탄성 편의되도록 하여, 제3 지지면(441)이 각각 제1 지지면(432) 및 제2 지지면(433)에 탄성 당접되도록 한다.
여기서, 골전도 스피커 수단(20) 또는 연결 부재(322)가 외력의 작용을 받아 힌지 팔(43)이 힌지 베이스(42)에 대해 회전 시, 제1 지지면(432) 및 제2 지지면(433)의 연결 부분(434)이 지지 부재(44)를 밀어 탄성 부재(45)의 탄성 편의를 극복하고 역방향으로 이동하며, 제3 지지면(441)이 제1 지지면(432) 및 제2 지지면(433) 중의 하나에 탄성 당접된 상태로부터 제1 지지면(432) 및 제2 지지면(433) 중의 다른 하나에 탄성 당접된 상태로 전환된다.
일 응용 상황에서, 지지 부재(44)는 탄성 부재(45)의 힌지 팔(43)을 향한 일단에 연결 설치되고, 제3 지지면(441)의 힌지 팔(43)을 향한 일측이 힌지 팔(43)이 외력의 작용을 받아 힌지 회전축(41)이 힌지 베이스(42)에 대해 상대 회전하는 과정에서, 제3 지지면(441)을 밀어 지지 부재(44)가 탄성 부재(45)를 압박하도록 하고, 탄성 부재(45)의 작용에서 탄성 편의가 발생하도록 한다. 물론, 지지 부재(44)는 탄성 부재(45)와 연결되지 않고, 지지 부재(44)의 일측에 당접되기만 할 수도 있으며, 지지 부재(44)가 상기 탄성 편의를 실현할 수 있기만 하면 된다.
여기서, 제1 지지면(432) 및 제2 지지면(433)은 각각 적어도 일부가 힌지 회전축(41)의 중축선과 평행되는 힌지 팔(43)의 인접한 2개의 측면이거나, 또는 2개의 측면의 일부분이고, 힌지 팔(43)이 힌지 베이스(42)에 대해 회전 시, 제1 지지면(432) 및 제2 지지면(433)은 힌지 팔(43)에 따라 힌지 회전축(41)을 에워싸고 회전이 발생하므로, 힌지 팔(43)이 상이한 측면이 힌지 베이스(42)를 향하도록 하고, 힌지 팔(43)이 힌지 베이스(42)에 대해 상이한 상대 위치 관계를 구비하도록 할 수 있다.
이밖에, 탄성 부재(45)는 탄성을 제공할 수 있고 탄성 방향에서 압축되어 일정한 압축 공간을 제공할 수 있는 부재이다. 예를 들면, 탄성 부재(45)는 스프링일 수 있고, 스프링의 일단은 지지 부재(44)에 당접되며, 지지 부재(44)의 제3 지지면(441)이 탄성 부재(45)의 미는 작용을 받을 경우, 탄성 부재(45)가 지지 부재(44)에 대해 반대되는 힘을 발생하여 압축되고 지지 부재(44)의 제3 지지면(441)이 향하는 방향을 위해 공간을 제공하여 힌지 회전축(41)의 상대 위치가 변하지 않을 경우에도 여전히 충분한 공간을 구비하여 힌지 팔(43)이 상이한 측면이 힌지 회전축(41)와 제3 지지면(441) 사이까지 회전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힌지 팔(43)이 힌지 베이스(42)에 대해 회전 시, 힌지 회전축(41)의 상대 위치는 변하지 않고, 힌지 팔(43)과 힌지 베이스(42)의 제3 지지면(441)의 접촉 위치가 변하는데, 힌지 팔(43)의 상이한 위치로부터 힌지 회전축(41)까지의 거리가 다르기에, 힌지 팔(43)의 상이한 위치, 예를 들면 제1 지지면(432) 및 제2 지지면(433)의 상이한 위치와 제3 지지면(441)이 접촉 시, 상기 필요한 힌지 회전축(41)으로부터 힌지 팔(43)과 제3 지지면(441)의 접촉점 사이의 공간이 다르다. 탄력 작용 및 공간 등의 제한을 받아, 탄성 부재(45)가 압축되어 제공하는 공간은 제한될 수 있다. 따라서 힌지 팔(43)이 힌지 베이스(42)에 대해 회전하는 과정에서 힌지 회전축(41)의 중축선에 수직되는 단면에서 힌지 팔(43)의 어느 위치와 힌지 회전축(41)의 거리가 너무 크면, 상기 위치는 회전 과정에서 제3 지지면의 다른 위치에 걸려 힌지 팔(43)이 계속하여 회전하지 못하게 하므로, 힌지 팔(43) 및 힌지 베이스(42)가 일정한 범위 내에서만 상대 회전하도록 한다. 일 응용 상황에서, 힌지 팔(43)과 힌지 베이스(42) 사이가 힌지 회전축(41)을 에워싸고 상대 회전하는 과정에서, 제1 지지면(432)과 제2 지지면(433) 및 제1 지지면(432)과 제2 지지면(433)의 연결 부분(434)에 대응되는 영역만 제3 지지면(441)과 당접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 제1 지지면(432) 및 제2 지지면(433)은 모두 평면일 수 있고, 힌지(40)는 제3 지지면(441)이 제1 지지면(432)에 당접되거나 제3 지지면(441)이 제2 지지면(433)에 당접되는 두가지 상대적이 안정 상태를 구비할 수 있다.
물론, 본 실시형태에서, 제1 지지면(432) 및 제2 지지면(433)은 일정한 라디안을 구비하는 곡면일 수도 있고, 또는 상이한 서브 지지면을 더 포함할 수도 있으며, 힌지 팔(43)과 힌지 베이스(42) 사이의 위치 관계가 대응되는 적어도 두가지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상태를 구비하기만 하면 되고 여기서는 구체적으로 한정하지 않는다. 이밖에, 힌지 팔(43)에 다른 더 많은 지지면을 설치하여 힌지 팔(43)이 외력을 받아 힌지 회전축(41)을 에워싸고 힌지 베이스(42)와의 사이에서 상대 회전이 발생할 경우, 힌지 팔(43)의 상이한 지지면을 통해 제3 지지면(441)과 탄성 당접이 발생하여 힌지 팔(43)과 힌지 베이스(42) 사이가 다양하고 상이한 위치 관계를 구비하도록 할 수도 있으나 여기서는 구체적으로 한정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초기 상태가 제1 지지면(432)과 지지 부재(44)의 제3 지지면(441)이 당접되는 것을 예로 들면, 구체적으로 도 32 및 도 33에 도시된 바와 같다. 이때 탄성 부재(45)는 탄성 압축 변형이 발생할 수 있고, 원시 자연 상태일 수도 있으며, 여기서는 한정하지 않는다. 힌지(40)가 외력의 작용을 받아 힌지 팔(43)이 힌지 회전축(41)을 에워싸고 힌지 베이스(42)와 상대 회전이 발생하여 제2 지지면(433)이 점점 제3 지지면(441)에 가까워질 경우, 제1 지지면(432) 및 제2 지지면(433)의 연결 부분(434)이 제3 지지면(441)과 접촉한다. 연결 부분(434)으로부터 힌지 회전축(41)까지의 거리가 제1 지지면(432)으로부터 힌지 회전축(41)까지의 거리보다 크기에, 연결 부분(434)이 지지 부재(44)에 당접되고 지지 부재(44)를 밀어 탄성 부재(45)를 향한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탄성 부재(45)가 추력을 극복하여 압축이 발생한다. 또한 힌지 팔(43)이 힘을 더 받을 경우, 연결 부분(434)은 점점 힌지 회전축(41)의 제3 지지면(441)와의 사이 영역에 가까워 지고, 이 과정에서 힌지 회전축(41)으로부터 제3 지지면(441) 사이의 거리가 점점 커진다. 이해해야 할 것은, 연결 부분(434)과 힌지 회전축(41)의 연결선이 제3 지지면(441)에 수직될 경우, 힌지 회전축(41)의 중축선에 수직되는 단면에서 힌지 회전축(41)으로부터 제3 지지면(441)까지의 거리가 힌지 회전축(41)으로부터 연결 부분(434)까지의 거리와 같고, 이때 힌지 회전축(41)은 제3 지지면(441)에서 가장 멀리 떨어져있다. 이때 만약 계속하여 힌지(40)에 대해 힘을 인가하면 힌지 회전축(41)으로부터 제3 지지면(441) 까지의 거리가 점점 작이지기에, 필요한 탄성 부재(45)의 압축 공간도 감소하고, 연결 부분(434)이 제3 지지면(441)을 떠나 제2 지지면(433)과 제3 지지면(441)이 당접될 때까지 탄성 부재(45)가 점점 탄력을 내보내 회복함으로써, 제1 지지면(432)과 제3 지지면(441)이 당접된 상태로부터 제2 지지면(433)과 제3 지지면(441)이 당접된 상태로 전환된다.
마찬가지로, 초기 상태가 제2 지지면(433)과 지지 부재(44)의 제3 지지면(441)이 당접될 경우, 제1 지지면(432)과 지지 부재(44)의 제3 지지면(441)이 당접된 상태로 전환하는 과정(구체적으로 도 35 및 도 36을 참조)은 상술한 과정과 유사하다.
언급해야 할 것은, 제3 지지면(441)이 제1 지지면(432) 및 제2 지지면(433) 중의 하나에 탄성 당접된 상태로부터 제1 지지면(432) 및 제2 지지면(433) 중의 다른 하나에 탄성 당접된 상태로 전환될 경우, 힌지(40)가 골전도 스피커 수단(20)이 렌즈 다리 몸체(321)에 대해 제1 상대 고정 위치 및 제2 상대 고정 위치 사이에서 전환되도록 하고, 골전도 스피커 수단(20)이 제1 상대 고정 위치에 위치할 경우 사용자의 이개 배면에 접합된다.
본 실시형태에서, 힌지 회전축(41)으로부터 연결 부분(434) 까지의 거리는 모두 제1 지지면(432) 및 제2 지지면(433)까지의 수직 거리보다 크기에, 제3 지지면(441)에서 제1 지지면(432) 및 제2 지지면(433) 중의 하나와 탄성 당접된 상태로부터 제1 지지면(432) 및 제2 지지면(433) 중의 다른 하나와 탄성 당접된 상태로 과정에서 힌지(40)의 상태가 일정한 정도의 변동이 발생한다.
제1 지지면(432)과 제3 지지면(441)이 탄성 당접된 상태로부터 제2 지지면(433)과 제3 지지면(441)이 탄성 당접된 상태로 전환되는 경우를 예로 들면, 힌지 회전축(41)으로부터 연결 부분(434)까지의 최대 거리 H1과 힌지 회전축(41)으로부터 제1 지지면(432)까지의 최단 거리 H2 사이의 비율이 상이하면 전환 과정에서 변동이 발생하는 정도가 다르다.
일 실시형태에서, 힌지 회전축(41)의 중축선에 수직되는 단면에서, 힌지 회전축(41)으로부터 연결 부분(434)까지의 최대 거리 H1와 힌지 회전축(41)으로부터 제1 지지면(432)까지의 최단 거리 H2 사이의 비율은 1.1에서 1.5 사이이다.
구체적으로, 힌지 회전축(41)을 제2 지지면(433)에서 멀리 떨어지게 하고 제2 지지면(433)에 대응되는 힌지 팔(43)의 일측면에 가깝게 설치하면, 힌지 회전축(41)으로부터 연결 부분(434)까지의 최대 거리 H1가 힌지 회전축(41)으로부터 제1 지지면(432)까지의 최단 거리 H2보다 크기에 상기 비율을 만족할 수 있다.
언급해야 할 것은, H1와 H2 사이의 비율이 너무 크면 변동이 현저하지만, 큰 힘을 인가하여야만, 제1 지지면(432)과 제3 지지면(441)이 탄성 당접된 상태로부터 제2 지지면(433)과 제3 지지면(441)이 탄성 당접된 상태로 전환될 수 있어, 일정한 정도에서 사용이 불편하다. H1와 H2 사이의 비율이 너무 작으면 상태의 전환이 쉽기는 하나 변동 정도가 작고, 예를 들면 사용자가 힌지(40)를 잡아당길 경우 현저한 손의 감촉이 없기에 역시 사용이 불편하다. 본 실시형태에서 H1와 H2의 비율을 1.1와 1.5 사이로 설정하면, 제3 지지면(441)이 제1 지지면(432)과 탄성 당접된 상태로로부터 제2 지지면(433)과 탄성 당접된 상태로 전환될 경우, 힌지(40)가 현저한 변동을 구비하여 사용 과정에서 사용자가 힌지(40)를 잡아당길 경우 현저한 손의 감촉을 느낄 수 있고, 아울러 변동 상태가 너무 갑작스러워 사용자가 힌지(40)의 상태를 전환하기 어려운 상황이 발생하지 않는다.
일 응용 상황에서, H1과 H2의 비율은 1.2에서 1.4 사이일 수도 있고, 구체적으로, H1과 H2의 비율은 1.1, 1.2, 1.3, 1.4, 1.5 등일 수도 있으며 여기서는 구체적으로 한정하지 않는다.
이밖에, 제1 지지면(432)과 제2 지지면(433)이 힌지 팔(43) 상에서의 위치의 설정은 제3 지지면(441)이 제1 지지면(432) 또는 제2 지지면(433) 중의 하나와 당접 시 힌지 팔(43)과 힌지 베이스(42) 사이의 끼인 각의 각도에 영향을 주기에, 구체적인 사용 요구에 따라 제1 지지면(432)과 제2 지지면(433)이 힌지 팔(43) 상에서의 위치를 상이하게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힌지 팔(43)과 힌지 베이스(42) 사이의 끼인 각은 구체적으로 도 32 및 도 35에 도시된 바와 같고, ω1은 제3 지지면(441)과 제1 지지면(432)이 당접 시 힌지 팔(43)과 힌지 베이스(42) 사이의 끼인 각이고, ω2는 제3 지지면(441)과 제2 지지면(433)이 당접 시 힌지 팔(43)과 힌지 베이스(42) 사이의 끼인 각이다. 일 실시형태에서, 힌지 팔(43)과 힌지 베이스(42)는 모두 일정한 길이를 구비하고, 힌지 팔(43)은 힌지 베이스(42)의 길이 방향에서의 단부 일측에 설치되고, 제1 지지면(432)은 힌지 팔(43) 길이 방향에서 힌지 베이스(42)에 가까운 단부에 설치되며, 제2 지지면(433)은 힌지 팔(43) 폭 방향에서의 일단에 설치되고 모두 힌지 회전축(41)의 중축선에 평행되게 설치된다. 이때, 제3 지지면(441)과 제1 지지면(432)이 탄성 당접 시, 힌지 팔(43)과 힌지 베이스(42) 사이의 끼인 각이 제일 크고, 제3 지지면(441)과 제2 지지면(433)이 탄성 당접 시, 힌지 팔(43)과 힌지 베이스(42) 사이의 끼인 각이 제일 작다. 따라서 제3 지지면(441)이 제1 지지면(432)과 탄성 당접된 상태로부터 제2 지지면(433)과 탄성 당접된 상태로 전환될 경우, 힌지 베이스(42)와 힌지 팔(43) 사이의 끼인 각은 ω1로부터 ω2로 변하면서 작아진다.
더 언급해야할 것은, 제3 지지면(441)이 제1 지지면(432)과 탄성 당접된 상태로부터 제2 지지면(433)과 탄성 당접된 상태로 전환될 경우, 힌지 팔(43)에 인가하는 힘의 방향은 힌지 팔(43) 자체의 중력 방향과 일치하다. 따라서 상기 상태의 전환은 힌지 베이스(42)와 힌지 팔(43) 사이의 끼인 각이 작아질 경우, 본 실시형태에서 상기 H1와 H2 사이의 비율의 설정에 의해 제3 지지면(441)이 제1 지지면(432)과 탄성 당접 시 골전도 스피커 수단(20)이 힌지 팔(43)에 따라 자체 중력에 의해 자발적으로 이와 힌지 베이스(42) 사이의 각도를 감소하지 않도록 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골전도 발성 장치의 일 실시형태에서 도 34를 참조하면 힌지 회전축(41)의 중축선에 수직되는 단면에서 제1 지지면(432) 및 제2 지지면(433) 사이의 끼인 각ω3는 둔각이다.
여기서, 힌지(40)는 제1 지지면(432)과 제3 지지면(441)이 탄성 당접된 상태로부터 제2 지지면(433)과 제3 지지면(441)이 탄성 당접된 상태로 전환될 경우, 제1 지지면(432) 및 제2 지지면(433) 사이의 끼인 각ω3이 점점 작이지고, 상태 전환될 경우 힌지 베이스(42)와 힌지 팔(43) 사이의 상대 회전은에 필요되는 각도는 점점 커진다. 다시 말하면, 힌지 베이스(42)가 고정하여 움직이지 않을 경우 사용자는 힌지 팔(43)을 큰 각도로 잡아당겨야만 힌지(40)의 상태를 전환할 수 있기에 사용자가 필요한 힘이 크므로 사용자의 사용이 불편하다.
힌지 팔(43)이 일정한 길이를 구비하고 제1 지지면(432)이 힌지 팔(43)의 길이 방향에서의 일단에 설치되며, 제2 지지면(433)과 제1 지지면(432)이 힌지 팔(43)의 폭 방향에 인접 설치된다. 통상적인 경우, 제1 지지면(432)과 제2 지지면(433)는 수직되게 설치되고, 이때, 힌지(40)가 상기 두가지 상태 사이에서 전환될 경우 힌지 팔(43)를 힌지 베이스(42)에 대해 90°도 잡아당기면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 힌지 회전축(41)의 중축선에 수직되는 단면에서 제1 지지면(432) 및 제2 지지면(433) 사이의 끼인 각ω3는 둔각이기에, 힌지(40)가 두가지 상태 사이에서 전환될 경우 힌지 팔(43)과 힌지 베이스(42)에 대해 잡아당겨야 하는 각도가 90°보다 작다. 구체적으로, 힌지(40)는 렌즈 다리 몸체(321) 및 골전도 스피커 수단(20)을 하나로 연결하고, 힌지(40)가 제2 지지면(433)과 제3 지지면(441)이 탄성 당접된 제2 상태일 경우, 골전도 스피커 수단(20)이 제1 상대 고정 위치에 위치하여 사용자의 이개 배면에 접합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안경을의 골전도 스피커 수단(20) 기능을 사용하고자 할 경우, 골전도 스피커 수단(20)을 90°보다 작은 각도로 잡아당기기만 하면 이를 사용자의 이개 배면에 접합시킬 수 있다. 이밖에, 힌지(40)가 제1 지지면(432)과 제3 지지면(441)이 탄성 당접된 제1 상태일 경우, 힌지 팔(43) 및 연결된 골전도 스피커 수단(20)이 일정한 각도를 형성하기에 사용자가 안경을 착용 시, 힌지 팔(43) 및 연결된 골전도 스피커 수단(20)이 사용자 귀뒤에 위치하여 사용자의 귀를 향해 설치되므로, 안경에 대해 일정한 저지, 고정 작용을 하고 사용자의 머리로부터 쉽게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언급해야 할 것은, 제1 지지면(432) 및 제2 지지면(433) 사이의 끼인 각ω3의 구체적인 각도는 실제 필요에 따라 설정할 수 있다. 상기 끼인 각의 각도가 너무 클 경우, 힌지 팔(43) 및 힌지 팔(43)의 힌지 베이스(42)와 멀리 떨어진 단부에 연결된 기능 부재(20)와 힌지 베이스(42) 사이의 끼인 각이 작이지기에, 사용자가 착용 시 힌지 팔(43)과 골전도 스피커 수단(20)은 사용자의 귀에 너무 접근하여 사용자의 귀를 압박하여 사용자의 편안함이 떨어진다. 만약 끼인 각의 각도가 너무 작으면 한편으로 사용자가 골전도 스피커 수단(20)을 잡아당겨 이를 제1 상대 위치와 제2 상대 위치 사이에서 전환될 경우, 잡아당겨야 하는 각도가 너무 커 사용자가 불편함을 느끼고, 다른 한편 렌즈 다리 몸체(321)와 힌지(40) 및 골전도 스피커 수단(20) 사이에 형성된 끼인 각이 안경에 대한 저지, 고정 작용을 하기 어려워, 사용자가 안경을 착용 시 안경이 사용자의 머리 앞 부분으로 떨어지기 쉽다. 구체적으로, 사용자의 머리 모양에 따라 제1 지지면(432) 및 제2 지지면(433) 사이의 끼인 각의 구체적인 각도를 설정한다.
구체적으로, 일 응용 상황에서, 힌지 회전축(41)의 중축선에 수직되는 단면에서, 제1 지지면(432) 및 제2 지지면(433) 사이의 끼인 각ω3의 각도는 100°와 120° 사이이고, 구체적으로 100°, 110°, 120° 등일 수 있다. 상기 각도의 설정은 사용자가 착용하고 골전도 스피커 수단(20)이 제1 상대 고정 위치에 위치할 경우, 골전도 스피커 수단(20)이 사용자의 귀에 너무 접근하여 사용자의 귀가 불편한 상황이 발생하지 않고, 골전도 스피커 수단(20)의 두가지 상대 위치에 대해 전환될 경우 힌지를 너무 큰 각도로 회전시킬 필요도 없기에 사용자의 사용이 편리하다.
여기서, 제3 지지면(441)이 제1 지지면(432) 및 제2 지지면(433) 중 하나에 탄성 당접된 상태로부터 제1 지지면(432) 및 제2 지지면(433) 중의 다른 하나에 탄성 당접된 상태로 전환되는 과정에서, 제1 지지면(432) 및 제2 지지면(433) 사이의 연결 부분(434)이 제3 지지면(441)에 당접되고, 지지 부재(44)를 밀어 탄성 부재(45)의 탄성 편의를 극복하고 역방향으로 이동한다. 전환 전에 제3 지지면(441)과 제1 지지면(432)이 탄성 당접되는 것을 예로 들면, 초기 전환될 경우 제1 지지면(432)이 점점 제3 지지면(441)에서 멀어지는 동시에, 연결 부분(434)은 점점 제3 지지면(441)에 당접되고, 전환 과정에서 제3 지지면(441)의 일측으로부터 제3 지지면(441)의 타측으로 슬라이딩 되고, 마지막으로 제2 지지면(433)과 제3 지지면(441)이 탄성 당접된 상태로 과도된다. 상태 전환 과정에서, 연결 부분(434)은 항상 제3 지지면(441)과 당접되어 서로 작용하고, 연결 부분(434)의 형상은 상태 전환 과정에 대해 일정한 영향을 발생한다. 예를 들면 제1 지지면(432)과 제2 지지면(433) 사이가 선 연결이면, 연결 부분(434)은 상대적으로 뾰족한 각도를 구비하기에, 사용자가 힌지 베이스(42) 및/또는 힌지 팔(43)을 잡아당겨 힌지(40)의 상태를 전환시키는 과정에서, 한편으로 연결 부분(434)과 제3 지지면(441)이 당접된 상태로부터 연결 부분(434)과 제1 지지면(432) 및 제2 지지면(433)이 당접된 상태로 전환될 경우, 완충이 작고 전환이 갑작스러워 힌지(40)를 잡아당기는 손의 감촉이 좋지 못하다. 다른 한편, 연결 부분(434)이 날카로워 반복적인 전환 과정에서 제3 지지면(441)에 일정한 마손이 발생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힌지 회전축(41)의 중축선에 수직되는 단면에서 연결 부분(434)은 호형으로 설치된다. 따라서 제1 지지면(432)과 제2 지지면(433)의 연결은 호형면으로 연결되고, 힌지(40)의 상태 전환 과정에서 제3 지지면(441)과 당접된 연결 부분(434)은 매끄럽기에, 사용자가 힌지(40)를 잡아당길 시 손의 감촉이 더 좋고, 반복적인 전환 과정에서도 제3 지지면(441)에 대한 손상이 없다.
구체적으로, 일 실시형태에서, 연결 부분(434)은 원호 형상으로 설치되고, 원호의 곡률이 상이하면 이가 가져오는 효과도 상이하며, 구체적인 곡률 값은 실제 사용 상황을 결부하여 설정한다. 본 실시형태 중 원호의 곡률은 5과 30 사이이고 구체적으로 5, 10, 15, 20, 25, 30 등일 수도 있으며, 여기서는 한정하지 않는다.
언급해야 할 것은, 본 실시형태에서, 원호로 설치된 연결 부분(434)의 곡률은 사용자가 힌지(40)를 잡아당겨 골전도 스피커 수단(20)이 제1 상대 고정 위치와 제2 상대 고정 위치 사이에서 전환될 경우 손의 감촉이 좋게 한다.
일 실시형태에서, 제3 지지면(441)이 제1 지지면(432)과 탄성 당접된 상태로부터 제2 지지면(433)과 탄성 당접된 상태로 전환될 경우 필요한 외력은 제3 지지면(441)이 제2 지지면(433)과 탄성 당접된 상태로부터 제1 지지면(432)과 탄성 당접된 상태로 전환될 경우 필요한 외력과 다르다.
언급해야 할 것은, 힌지(40)의 상태 전환은 골전도 스피커 수단(20)이 렌즈 다리 몸체(321)에 대해 제1 상대 고정 위치 및 제2 상대 고정 위치 사이에서 전환되도록 한다. 대응되게, 두가지 상대 고정 위치는 각각 사용자가 골전도 스피커 수단(20)을 사용하는 상황과 사용자가 골전도 스피커 수단(20)을 사용하지 않는 두가지 상황에 대응된다. 사용자가 안경을 착용 시 손이 머리 후측에서 힘을 인가하여 두가지 상태 전환될 경우 힘을 인가하는 난이도가 다르기에, 대응되게 상이한 상태의 전환은 상이한 외력을 인가하도록 하여 사용자의 사용이 편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일 실시형태에서, 제3 지지면(441)이 제1 지지면(432)과 탄성 당접된 상태로부터 제2 지지면(433)과 탄성 당접된 상태로 전환될 경우, 골전도 스피커 수단(20)이 제2 상대 고정 위치로부터 제1 상대 고정 위치로 잡아당겨져 사용자의 이개 배면에 접합되는 것에 대응된다.
골전도 스피커 수단(20)을 사용할 경우, 제3 지지면(441)을 제1 지지면(432)과 탄성 당접된 상태로부터 제2 지지면(433)과 탄성 당접된 상태로 전환해야 하고, 골전도 스피커 수단(20)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 제3 지지면(441)을 제2 지지면(433)과 탄성 당접된 상태로부터 제3 지지면(441)과 탄성 당접된 상태로 전환해야 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사용자가 골전도 스피커 수단(20)을 사용할 경우 인가해야 하는 힘은 골전도 스피커 수단(20)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 인가해야 하는 힘보다 작기에, 일정한 정도에서 사용자가 안경의 골전도 스피커 수단(20)의 기능을 사용하기 편리해질 수있다.
구체적으로, 도 34 및 도 36을 함께 참조하면, 일 응용 상황에서, 제3 지지면(441)이 제1 지지면(432)과 탄성 당접된 상태로부터 제2 지지면(433)과 탄성 당접된 상태로 전환될 경우, 연결 부분(434)은 초기에 제3 지지면(441)의 제1 위치(4411)에 접촉되고, 제3 지지면(441)이 제2 지지면(433)과 탄성 당접된 상태로부터 제1 지지면(432)과 탄성 당접된 상태로 전환될 경우, 연결 부분(434)은 초기에 제3 지지면(441)의 제2 위치(4412)에 접촉되며, 힌지 회전축(41)의 중축선에 수직되는 단면에서, 제1 위치(4411)와 탄성 부재(45) 및 지지 부재(44)의 접촉점이 탄성 부재(45)의 탄성 편의 방향에서의 거리d1는 제2 위치(4412)와 접촉점이 탄성 편의 방향에서의 거리d2보다 작다.
언급해야 할 것은, 제3 지지면(441)과 제1 지지면(432)이 탄성 당접 시, 연결 부분(434)은 제3 지지면(441)의 일단에 접근하는 위치에 위치하고, 제3 지지면(441)과 제2 지지면(433)이 탄성 당접 시, 연결 부분(434)은 제3 지지면(441)의 타단에 접근하는 위치에 위치한다. 따라서 상기 제1 위치(4411)와 제2 위치(4412)는 각각 제3 지지면(441)의 양단에 접근하는 위치에 위치한다. 다시 말하면, 본 실시형태에서, 지지 부재(44)의 제3 지지면(441)의 양단에 접근하는 위치와 탄성 부재(45) 및 지지 부재(44)의 접촉점은 탄성 부재(45)의 탄성 편의 방향에서의 거리가 다르고, 제2 위치(4412)에 대응되는 거리는 제1 위치(4411)에 대응되는 거리보다 작다. 이때, 제3 지지면(441)이 제1 지지면(432)과 탄성 당접된 상태로부터 제2 지지면(433)과 탄성 당접된 상태로 전환될 경우, 연결 부분(434)은 초기에 제3 지지면(441)에 곧 바로 당접하지 않아 탄성 부재(45)의 반작용력을 받고 전환 과정에서 점점 제3 지지면(441)에 당접하여 탄성 부재(45)의 반작용력을 받는다. 제3 지지면(441)이 제2 지지면(433)과 탄성 당접된 상태로부터 제1 지지면(432)과 탄성 당접된 상태로 전환될 경우, 연결 부분(434)이 초기부터 제3 지지면(441)에 당접하여 탄성 부재(45)의 반작용력을 받거나, 또는 적어도 제3 지지면(441)이 제2 지지면(433)과 탄성 당접된 상태로부터 제1 지지면(432)과 탄성 당접된 상태로 전환될 경우에 비해 탄성 부재(45)의 반작용력을 더 일찍 받게 된다. 따라서 이런 경우 힌지(40)가 제1 지지면(432)와 탄성 당접된 상태로부터 제2 지지면(433)와 탄성 당접된 상태로 전환될 경우 필요한 힘이 작기에, 사용자는 골전도 스피커 수단(20)을 사용 시 골전도 스피커 수단(20)을 잡아당기는데 필요한 힘이 작아 사용자의 사용이 편리하다.
또한, 제3 지지면(441)은 제1 서브 지지면(4413) 및 제2 서브 지지면(4414)을 포함하고, 제1 위치(4411)는 제1 서브 지지면(4413)에 설치되고, 제2 위치(4412)는 제2 서브 지지면(4414)에 설치된다. 즉 제1 서브 지지면(4413) 및 제2 서브 지지면(4414)은 각각 제3 지지면(441)의 양단에 접근하는 위치에 설치된다.
여기서, 제2 서브 지지면(4414)은 평면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 제1 지지면(432) 또는 제2 지지면(433)이 제3 지지면(441)와 탄성 당접 시, 제2 서브 지지면(4414)은 제1 지지면(432) 또는 제2 지지면(433)과 평행될 수 있다. 제1 서브 지지면(4413)은 평면일 수 있고 호형면일 수도 있으며, 여기서는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제1 서브 지지면(4413)이 제2 서브 지지면(4414)와 동일한 평면에 위치하지 않고, 제1 서브 지지면(4413)은 제2 서브 지지면(4414)에 대해 경사지게 설치되며, 양자 사이의 끼인 각은 10°보다 크지 않을 수 있으며, 예를 들면 2°, 4°, 6°, 8°, 10° 등 보다 크지 않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서브 지지면(4413)이 힌지 팔(43)과 멀리 떨어진 방향을 향해 설치되기에, 힌지 회전축(41)의 중축선에 수직되는 단면에서, 제1 위치(4411)와 탄성 부재(45) 및 지지 부재(44)와의 접촉점이 탄성 부재(45)의 탄성 편의 방향에서의 거리는 제2 위치(4412)와 접촉점이 탄성 편의 방향에서의 거리보다 작다. 여기서, 제1 서브 지지면(4413)이 호형면이고 제2 서브 지지면(4414)이 평면일 경우, 제1 서브 지지면(4413)과 제2 서브 지지면(4414) 사이의 끼인 각은 양자가 교차되는 위치와 제1 서브 지지면(4413)이 접하는 평면과 제2 서브 지지면(4414) 사이의 끼인 각이다.
도 37을 더 참조하면, 일 실시형태에서, 힌지 베이스(42)는 베이스 본체(423) 및 베이스 본체(423)로부터 돌출되고 서로 이격되게 설치된 제4 돌출 러그(424) 및 제5 돌출 러그(425)를 포함하고, 힌지 팔(43)은 팔 본체(435) 및 팔 본체(435)로부터 돌출되게 설치된 제6 돌출 러그(436)를 포함하며, 제6 돌출 러그(436)는 제4 돌출 러그(424) 및 제5 돌출 러그(425) 사이의 이격 영역에 삽입되고, 힌지 회전축(41)을 통해 제4 돌출 러그(424) 및 제5 돌출 러그(425)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제1 지지면(432) 및 제2 지지면(433)은 제6 돌출 러그(436)에 설치되고, 지지 부재(44)는 적어도 일부가 이격 영역 내에 설치되거 제6 돌출 러그(436)의 베이스 본체(423)를 향한 일측에 위치하며, 베이스 본체(423)에는 이격 영역과 연통되는 수용 캐비티(4231)가 설치되고, 탄성 부재(45)는 수용 캐비티(4231) 내에 설치되며, 지지 부재(44)가 제6 돌출 러그(436)를 향해 탄성 편의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제4 돌출 러그(424), 제5 돌출 러그(425) 및 제6 돌출 러그(436)의 대응되는 위치에는 각각 각각 동일 축방향에 위치하는 제1 통공, 제2 통공 및 제3 통공이 설치되고, 3개의 통공의 내경은 모두 힌지 회전축(41)의 외경보다 작지 않을 수 있으며, 이로써 힌지 회전축(41)이 대응되는 통공에 관통될 경우 제4 돌출 러그(424) 및 제5 돌출 러그(425)가 위치한 힌지 베이스(42)는 제6 돌출 러그(436)가 위치한 힌지 팔(43)과 회전 가능하게 하나로 연결된다.
여기서, 제1 지지면(432) 및 제2 지지면(433)은 모두 제6 돌출 러그(436)에 설치되고 힌지 회전축(41)의 중축선에 평행되기에, 힌지 팔(43)이 힌지 회전축(41)을 에워싸고 힌지 베이스(42)에 대해 회전 시, 제1 지지면(432) 및 제2 지지면(433)이 모두 제4 돌출 러그(424) 및 제5 돌출 러그(425) 사이의 이격 영역에 진입할 수 있다.
또한, 지지 부재(44)가 베이스 본체(423)의 제4 돌출 러그(424) 및 제5 돌출 러그(425) 사이에 위치하고, 지지 부재(44)의 제3 지지면(441)이 제6 돌출 러그(436)를 향해 설치된다. 일 응용 상황에서, 탄성 부재(45)가 완전히 수용 캐비티(4231) 내에 설치되고, 제4 돌출 러그(424) 및 제5 돌출 러그(425) 사이의 이격 영역을 향한 일측에서 지지 부재(44)와 접촉한다. 탄성 부재(45)가 자연 상태일 경우, 지지 부재(44)의 탄성 부재(45)에 가까운 영역은 적어도 일부가 수용 캐비티(4231) 내에 위치한다. 언급해야 할 것은, 지지 부재(44)가 수용 캐비티(4231) 내에 위치한 부분의 형상은 수용 캐비티(4231)와 매칭되기에, 탄성 부재(45)가 지지 부재(44)를 탄성 편의시킬 경우, 지지 부재(44)가 수용 캐비티(4231)에 위치한 부분은 수용 캐비티(4231) 내에서 안정적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다.
일 응용 상황에서, 힌지 베이스(42)의 길이 방향에 수직되는 단면에서 수용 캐비티(4231)의 단면 면적이 제4 돌출 러그(424) 및 제5 돌출 러그(425) 사이의 이격 영역의 단면 면적보다 작고, 지지 부재(44)가 수용 캐비티(4231) 밖의 영역에 위치하는 형상은 이격 영역과 매칭되기에, 지지 부재(44)가 탄성 부재(45) 일측을 향해 이동 시 전부 수용 캐비티(4231) 내에 진입하지 않는다.
물론, 다른 실시형태에서, 힌지 베이스(42)의 길이 방향에 수직되는 단면에서, 수용 캐비티(4231)의 단면 형상은 제4 돌출 러그(424) 및 제5 돌출 러그(425) 사이의 이격 영역과 같을 수도 있고, 이때, 지지 부재(44)는 수용 캐비티(4231) 내에 완전히 수용될 수 있기에, 지지 부재(44)에 미는 힘이 작용 시 전반 수용 캐비티(4231) 내에서 슬라이딩 하게 된다.
또한, 힌지 베이스(42)의 제1 단면(422)은 제4 돌출 러그(424) 및 제5 돌출 러그(425)의 힌지 팔(43)을 향한 단면이고, 팔 본체(435)로부터 돌출 설치된 제6 돌출 러그(436)가 제4 돌출 러그(424) 및 제5 돌출 러그(425) 사이의 이격 영역 내에 위치하기에, 제4 돌출 러그(424) 및 제5 돌출 러그(425)의 제1 단면(422)이 팔 본체(435)를 향해 설치된다. 힌지 회전축(41)의 중축선 방향의 단면에서, 팔 본체(435)는 제6 돌출 러그(436)에 더 돌출되어 힌지 베이스(42)를 향한 제4 돌출 러그(424) 및 제5 돌출 러그(425)의 제2 단면(431)을 형성한다.
본 실시형태에서, 힌지 팔(43)과 힌지 베이스(42)의 상대 회전 과정에서, 제4 돌출 러그(424) 및 제5 돌출 러그(425)의 제1 단면(422)과 팔 본체(435)의 제2 단면(431) 사이의 간격은 항상 제2 연결선(60)의 직경보다 크거나 작기에, 제2 연결선(60)이 힌지 베이스(42)와 힌지 팔(43)의 상대 회전 과정에서 제4 돌출 러그(424) 및 제5 돌출 러그(425)와 팔 본체(435) 사이에 끼우는 상황이 발생하지 않고, 힌지(40)가 제2 연결선(60)에 대한 손상을 감소한다.
일 응용 상황에서, 제4 돌출 러그(424) 및 제5 돌출 러그(425)의 제2 단면(431)과 팔 본체(435)의 제1 단면(422) 사이의 간격은 힌지 팔(43)과 힌지 베이스(42)의 상대 회전 과정에서 항상 제2 연결선(60)의 직경보다 훨씬 크거나 작은 크기를 유지하기에, 힌지(40)가 제2 연결선(60)에 대한 손상을 감소할 수 있다.
언급해야 할 것은, 본 실시형태에서, 제1 단면(422)과 제2 단면(431) 사이의 간격은 사이즈가 동일하고 균일한 간격이기에, 모두 상기 제2 연결선(60)의 직경보다 크거나 작다는 조건을 만족하고, 또는 다른 일 실시형태에서 2개의 단면이 제2 연결선(60)에 접근하는 위치의 간격은 제2 연결선(60)의 직경보다 크거나 작다는 조건을 만족할 수 있으며, 2개의 단면의 다른 위치의 간격은 상기 조건을 만족하지 않아도 된다.
구체적으로, 일 응용 상황에서, 힌지 회전축(41)의 중축선에 수직되는 단면에서, 제4 돌출 러그(424) 및 제5 돌출 러그(425)의 힌지 팔(43)을 향한 단면과 팔 본체(435)의 힌지 베이스(42)를 향한 단면 중 적어도 하나는 모따기 설치 방식을 사용하여, 힌지 팔(43)과 힌지 베이스(42)가 상대 회전하는 과정에서 양자 사이의 간격이 제2 연결선(60)에 접근하는 위치에서 항상 제2 연결선(60)의 직경보다 크도록 유지된다.
여기서, 모따기 설치는 원형 모따기일 수 있고 직접 챔퍼링일 수도 있다.
본 응용 상황에서, 제2 연결선(60)에 접근하는 위치의 제4 돌출 러그(424) 및 제5 돌출 러그(425)의 힌지 팔(43)을 향한 단면과 팔 본체(435)의 힌지 베이스(42)를 향한 단면 중의 적어도 하나를 모따기 설치하기만 하면, 힌지 팔(43)과 힌지 베이스(42)가 상대 회전하는 과정에서 제2 연결선(60)이 2개의 단면 사이의 간극에 끼우는 상황이 발생하지 않는다.
상술한 내용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일 뿐 본 발명의 특허범위를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개시된 등가 구조 또는 등가 흐름 변환 또는 직접적이거나 간접적으로 다른 관련 기술분야에 응용하는 것은 모두 본 발명의 특허보호범위 내에 속한다.

Claims (47)

  1. 골전도 발성 장치에 있어서,
    상기 골전도 발성 장치는
    골전도 스피커 수단; 및
    상기 골전도 스피커 수단에 작용하여, 적어도 상기 골전도 스피커 수단이 사용 상태일 경우 상기 골전도 스피커 수단을 사용자의 이개 배면에 접합시키는 고정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전도 발성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수단은 안경테이고, 상기 안경테는 안경 프레임 및 2개의 안경 다리를 포함하며, 상기 안경 다리는 상기 안경 프레임에 연결되는 렌즈 다리 몸체 및 상기 렌즈 다리 몸체의 상기 안경 프레임과 멀리 떨어진 단부와 힌지를 통해 힌지 연결되는 연결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골전도 스피커 수단은 상기 연결 부재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전도 발성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골전도 스피커 수단은 접합면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골전도 스피커 수단이 상기 렌즈 다리 몸체에 대해 제1 상대 고정 위치 및 제2 상대 고정 위치 사이에서 전환되고, 상기 골전도 스피커 수단이 상기 제1 상대 고정 위치에 위치할 경우 상기 접합면이 사용자의 이개 배면에 접합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전도 발성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골전도 스피커 수단이 사용자의 이개 배면의 기설정 영역에 접합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기설정 영역은 귀 둘레 다리 위치와 마주한 이개 배면 위치를 중심으로 면적이 20cm2, 10cm2, 또는 5cm2인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전도 발성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의 힌지 회전축의 수직 이등분면, 상기 연결 부재의 대칭면 및 상기 골전도 스피커 수단의 상기 접합면의 중심점은 모두 하나의 평면 내에 위치하거나, 또는 상기 평면에 대한 기설정 오차 범위 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전도 발성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면은 돌출되고 곡률이 1보다 크지 않은 호형면을 포함하고;
    상기 접합면의 면적은 0.5cm2보다 작지 않거나 1cm2보다 작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전도 발성 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골전도 스피커 수단이 상기 렌즈 다리 몸체에 대해 상기 제1 상대 고정 위치에 위치할 경우, 2개의 상기 렌즈 다리 몸체의 최상부에 의해 정의된 수평 기준 평면과 상기 연결 부재의 대칭면 사이의 끼인 각은 65°~85°, 또는 70°~8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전도 발성 장치.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골전도 스피커 수단이 상기 렌즈 다리 몸체에 대해 상기 제1 상대 고정 위치에 위치할 경우, 상기 연결 부재의 대칭면과 상기 안경 프레임의 대칭면 사이의 끼인 각은 5°~30°, 또는 10°~2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전도 발성 장치.
  9. 제3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힌지 회전축의 중심점으로부터 대응되는 상기 골전도 스피커 수단의 상기 접합면의 중심점 사이의 거리와, 상기 안경 프레임의 대칭 중심점으로부터 2개의 상기 힌지 회전축의 중심점의 연결선의 수직 거리의 비율은 0.1~1.5, 또는 0.125~0.3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전도 발성 장치.
  10. 제3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골전도 스피커 수단이 상기 렌즈 다리 몸체에 대해 상기 제1 상대 고정 위치에 위치할 경우 상기 골전도 스피커 수단이 기설정 압력으로 사용자의 이개 배면에 접합될 수 있도록 하는 탄성 구조이고;
    상기 기설정 압력은 0.1N~1N, 또는 0.3N~0.8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전도 발성 장치.
  11. 제2항에 있어서,
    2개의 상기 안경 다리에 대응되는 상기 힌지 회전축의 중심점 사이의 거리는 90~150mm, 100~130mm, 115~130mm 또는 100~115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전도 발성 장치.
  12.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안경 프레임의 대칭 중심점으로부터 2개의 상기 힌지 회전축의 중심점의 연결선의 수직 거리는 105~170mm, 130~150mm, 140~160mm 또는 105~135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전도 발성 장치.
  1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골전도 발성 장치는 제1 연결선을 더 포함하고,
    상기 안경테는 회전축 어셈블리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축 어셈블리는 상기 안경 프레임과 상기 안경 다리를 연결하여, 상기 안경 프레임과 상기 안경 다리가 상기 회전축 어셈블리를 에워싸고 상대 회전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회전축 어셈블리는 축방향을 따라 회전축 배선 통로가 설치되며, 상기 제1 연결선은 상기 회전축 배선 통로 내를 관통하고 각각 상기 안경 프레임 및 상기 안경 다리까지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전도 발성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 어셈블리는 제1 회전축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회전축의 양단은 각각 상기 안경 프레임 및 상기 안경 다리에 연결되며, 상기 회전축 배선 통로는 상기 제1 회전축의 축방향을 따라 설치되고, 상기 회전축 배선 통로는 상기 제1 회전축의 적어도 일단면에 설치된 배선구(wiring port)를 통해 외부와 연통되며, 상기 제1 연결선은 상기 배선구를 거쳐 상기 안경 프레임 또는 상기 안경 다리까지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전도 발성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 배선 통로는 각각 상기 제1 회전축의 양단면에 설치된 제1 배선구와 제2 배선구를 통해 외부와 연통되고, 상기 제1 연결선은 상기 제1 배선구와 제2 배선구를 거쳐 각각 상기 안경 프레임과 상기 안경 다리까지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전도 발성 장치.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 배선 통로는 상기 제1 회전축의 단면에 설치된 제1 배선구 및 상기 제1 회전축의 측벽에 설치된 제2 배선구를 통해 외부와 연통되고, 상기 제1 연결선은 상기 제1 배선구와 제2 배선구를 거쳐 각각 상기 안경 프레임과 상기 안경 다리까지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전도 발성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전축은 상기 안경 프레임과 상기 안경 다리중 상기 제2 배선구에 가까이 설치된 하나와 고정 연결되고, 상기 안경 프레임과 상기 안경 다리중 상기 제1 배선구에 가까이 설치된 다른 하나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전도 발성 장치.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 어셈블리는, 상기 제1 회전축과 동축이고 이격 설치된 제2 회전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안경 프레임은 제1 돌출 러그를 포함하며, 상기 안경 다리는 이격 설치된 제2 돌출 러그 및 제3 돌출 러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회전축과 상기 제2 회전축이 서로 접근하는 단부는 모두 상기 제1 돌출 러그에 연결되고, 상기 제1 회전축과 상기 제2 회전축이 서로 멀리 떨어진 단부는 각각 상기 제2 돌출 러그 및 제3 돌출 러그에 연결되어, 상기 제1 돌출 러그를 상기 제2 돌출 러그와 상기 제3 돌출 러그 사이에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전도 발성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배선구는 상기 제1 회전축의 상기 제2 회전축에 가까운 단면에 설치되고, 상기 제2 배선구는 상기 제1 회전축의 상기 제2 돌출 러그에 가까운 측벽에 설치되며, 상기 제1 회전축은 상기 제1 돌출 러그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2 돌출 러그와 고정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전도 발성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돌출 러그와 상기 제2 돌출 러그는 동축으로 제1 수용홀 및 제2 수용홀이 설치되고, 상기 제1 수용홀 및 제2 수용홀의 사이즈는 상기 제1 회전축이 상기 안경 다리의 외부로부터 상기 제2 수용홀을 거쳐 상기 제1 수용홀 내에 삽입되도록 허용하고, 상기 제1 회전축이 상기 제2 수용홀과 억지 끼워맞춤되고 상기 제1 수용홀과 이격 배합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전도 발성 장치.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돌출 러그와 상기 제3 돌출 러그는 동축으로 제3 수용홀 및 제4 수용홀이 설치되고, 상기 제3 수용홀 및 제4 수용홀의 사이즈는 상기 제2 회전축이 상기 안경 다리의 외부로부터 상기 제4 수용홀을 거쳐 상기 제3 수용홀 내에 삽입되도록 허용하고, 상기 제2 회전축이 상기 제3 수용홀과 억지 끼워맞춤되고 상기 제4 수용홀과 이격 배합되거나, 상기 제2 회전축이 상기 제3 수용홀과 이격 배합되고 상기 제4 수용홀과 억지 끼워맞춤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전도 발성 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회전축은 속이 찬 축이고, 상기 제2 회전축의 직경은 상기 제1 회전축의 직경보다 작으며, 착용 상태에서 상기 제2 회전축은 상기 안경 다리의 상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1 회전축은 상기 안경 다리의 하측에 위치하며; 상기 제1 회전축에서 상기 제1 배선구가 설치되는 단면과 상기 제1 회전축에서 상기 회전축 배선 통로의 내벽면을 정의하는 연결 부분은 호형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전도 발성 장치.
  23.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는 힌지 베이스, 힌지 팔, 지지 부재, 탄성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힌지 팔은 상기 힌지 베이스와 회전축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서로 연결되는 제1 지지면 및 제2 지지면을 구비하며, 상기 힌지의 상기 힌지 베이스와 상기 힌지 팔 중의 하나는 상기 렌즈 다리 몸체의 상기 안경 프레임과 멀리 떨어진 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힌지 베이스와 상기 힌지 팔 중의 다른 하나는 상기 연결 부재의 상기 골전도 스피커 수단과 멀리 떨어진 일단에 연결되며;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힌지 베이스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제3 지지면을 구비하며;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지지 부재가 상기 힌지 팔을 향해 탄성 편의(튤零, offset)되도록 하여, 상기 제3 지지면이 각각 상기 제1 지지면 및 제2 지지면에 탄성 당접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힌지 팔이 외력의 작용을 받아 상기 힌지 베이스에 대해 회전 시, 상기 제1 지지면과 제2 지지면의 연결 부분이 상기 지지 부재를 밀어 상기 탄성 부재의 탄성 편의를 극복하고 역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제3 지지면이 상기 제1 지지면 및 제2 지지면 중 하나에 탄성 당접된 상태로부터 상기 제3 지지면이 상기 제1 지지면 및 제2 지지면 중 다른 하나에 탄성 당접된 상태로 전환되어, 상기 골전도 스피커 수단이 상기 렌즈 다리 몸체에 대해 제1 상대 고정 위치 및 제2 상대 고정 위치 사이에서 전환되로록 하고, 상기 골전도 스피커 수단이 상기 제1 상대 고정 위치에 위치할 경우 사용자의 이개 배면에 접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전도 발성 장치.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지지면이 상기 제1 지지면에 탄성 당접된 상태로부터 상기 제2 지지면에 탄성 당접된 상태로 전환될 경우, 상기 힌지 베이스와 상기 힌지 팔 사이의 끼인 각이 작아지고, 상기 회전축의 중축선에 수직되는 단면에서,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상기 연결 부분까지의 최대 거리와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상기 제1 지지면까지의 최단 거리 사이의 비율이 1.1에서 1.5 사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전도 발성 장치.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비율이 1.2에서 1.4 사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전도 발성 장치.
  26.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의 중축선에 수직되는 단면에서, 상기 연결 부분은 호형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전도 발성 장치.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분은 원호 형상으로 설치되고 상기 원호의 곡률은 5에서 30 사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전도 발성 장치.
  28.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의 중축선에 수직되는 단면에서, 상기 제1 지지면과 상기 제2 지지면 사이의 끼인 각은 둔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전도 발성 장치.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둔각은 100도에서 120도 사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전도 발성 장치.
  30.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지지면은 상기 제3 지지면이 상기 제1 지지면에 탄성 당접된 상태로부터 상기 제2 지지면에 탄성 당접된 상태로 전환되는데 필요한 외력이, 상기 제3 지지면상기 제2 지지면에 탄성 당접된 상태로부터 상기 제1 지지면에 탄성 당접된 상태로 전환되는데 필요한 외력과 다르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전도 발성 장치.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지지면이 상기 제1 지지면에 탄성 당접된 상태로부터 상기 제2 지지면에 탄성 당접된 상태로 전환될 경우, 상기 힌지 베이스와 상기 힌지 팔 사이의 끼인 각이 작아지고, 상기 제3 지지면은 상기 제3 지지면이 상기 제1 지지면에 탄성 당접된 상태로부터 상기 제2 지지면에 탄성 당접된 상태로 전환되는데 필요한 외력이 상기 제3 지지면상기 제2 지지면에 탄성 당접된 상태로부터 상기 제1 지지면에 탄성 당접된 상태로 전환되는데 필요한 외력보다 작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전도 발성 장치.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지지면이 상기 제1 지지면에 탄성 당접된 상태로부터 상기 제2 지지면에 탄성 당접된 상태로 전환될 경우, 상기 연결 부분은 초기에 상기 제3 지지면의 제1 위치에 접촉되고,
    상기 제3 지지면이 상기 제2 지지면에 탄성 당접된 상태로부터 상기 제1 지지면에 탄성 당접된 상태로 전환될 경우, 상기 연결 부분은 초기에 상기 제3 지지면의 제2 위치에 접촉되며,
    상기 회전축의 중축선에 수직되는 단면에서, 상기 제1 위치와 상기 탄성 부재 및 상기 지지 부재의 접촉점이 상기 탄성 부재의 탄성 편의 방향에서의 거리는 상기 제2 위치와 상기 접촉점이 상기 탄성 편의 방향에서의 거리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전도 발성 장치.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지지면은 제1 서브 지지면 및 제2 서브 지지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위치는 상기 제1 서브 지지면에 설치되고, 상기 제2 위치는 상기 제2 서브 지지면에 설치되며; 상기 제2 서브 지지면은 평면이고, 상기 제1 서브 지지면은 상기 제2 서브 지지면에 대해 경사지게 설치되며, 상기 제1 서브 지지면과 상기 제2 서브 지지면 사이의 끼인 각은 10°보다 크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전도 발성 장치.
  3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베이스는 베이스 본체 및 상기 베이스 본체로부터 돌출되고 서로 이격되게 설치된 제4 돌출 러그와 제5 돌출 러그를 포함하고, 상기 힌지 팔은 팔 본체 및 상기 팔 본체로부터 돌출되게 설치된 제6 돌출 러그를 포함하며, 상기 제6 돌출 러그는 상기 제4 돌출 러그 및 제5 돌출 러그 사이의 이격 영역에 삽입되고, 상기 회전축을 통해 상기 제4 돌출 러그 및 제5 돌출 러그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제1 지지면 및 상기 제2 지지면은 상기 제6 돌출 러그에 설치되고, 상기 지지 부재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이격 영역 내에 설치되고 상기 제6 돌출 러그의 상기 베이스 본체를 향한 일측에 위치하며, 상기 베이스 본체에는 상기 이격 영역과 연통되는 수용 캐비티가 설치되고,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수용 캐비티 내에 설치되며, 상기 지지 부재가 상기 제6 돌출 러그를 향해 탄성 편의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전도 발성 장치.
  35.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골전도 발성 장치는 상기 힌지 외측에 설치되는 제2 연결선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4 돌출 러그 및 상기 제5 돌출 러그의 상기 힌지 팔을 향한 단면과 상기 팔 본체의 상기 힌지 베이스를 향한 단면 사이의 간격은 상기 힌지 팔과 상기 힌지 베이스가 상대 회전하는 과정에서 항상 상기 제2 연결선의 직경보다 크거나 작도록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전도 발성 장치.
  36.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돌출 러그 및 상기 제5 돌출 러그의 상기 힌지 팔을 향한 단면과 상기 팔 본체의 상기 힌지 베이스를 향한 단면 사이의 간격은 상기 힌지 팔과 상기 힌지 베이스가 상대 회전하는 과정에서 항상 상기 제2 연결선의 직경과 1.5보다 크거나 0.8보다 작은 비율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전도 발성 장치.
  37.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의 중축선에 수직되는 단면에서, 상기 제4 돌출 러그 및 상기 제5 돌출 러그의 상기 힌지 팔을 향한 단면과 상기 팔 본체의 상기 힌지 베이스를 향한 단면 중 적어도 하나는 모따기 설치 방식을 사용하여, 상기 힌지 팔과 상기 힌지 베이스가 상대 회전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4 돌출 러그 및 상기 제5 돌출 러그의 상기 힌지 팔을 향한 단면과 상기 팔 본체의 상기 힌지 베이스를 향한 단면 사이의 간격이 항상 상기 제2 연결선의 직경보다 크도록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전도 발성 장치.
  38.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다리 몸체는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안경 프레임과 멀리 떨어진 단면과 연통되는 힌지 캐비티가 설치되고, 상기 렌즈 다리 몸체의 측벽에는 상기 힌지 캐비티와 연통되는 제1 삽입홀이 설치되며, 상기 힌지 베이스의 상기 힌지 팔과 멀리 떨어진 일단은 상기 렌즈 다리 몸체의 단면으로부터 상기 힌지 캐비티에 삽입되고, 상기 제1 삽입홀 내에 삽입 설치된 고정 부재에 의해 상기 힌지 캐비티 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전도 발성 장치.
  39.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베이스에는 상기 제1 삽입홀과 대응되는 제2 삽입홀이 설치되고, 상기 고정 부재는 또한 상기 제2 삽입홀 내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전도 발성 장치.
  40.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다리 몸체의 길이 방향에 수직되는 단면에서, 상기 힌지 베이스의 단면 형상은 상기 힌지 캐비티의 단면 형상과 매칭되어, 삽입 후 상기 힌지 베이스와 상기 렌즈 다리 몸체 사이가 밀봉 배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전도 발성 장치.
  41.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베이스의 단면 형상과 상기 힌지 캐비티의 단면 형상은 모두 직사각형으로 설치되고, 상기 제1 삽입홀은 상기 직사각형의 일측변에 수직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전도 발성 장치.
  42.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골전도 발성 장치는 보호 케이싱관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보호 케이싱관은 상기 힌지의 바깥 둘레에 씌움 설치되고, 상기 힌지에 따라 만곡되며, 상기 보호 케이싱관은 상기 보호 케이싱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 설치되는 다수의 고리형 돌출 리지 및 상기 고리형 돌출 리지 사이에 설치되어 인접 설치된 2개의 고리형 돌출 리지를 연결하는 고리형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리형 돌출 리지의 관벽 두께는 상기 고리형 연결부의 관벽 두께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전도 발성 장치.
  43.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고리형 연결부는 상기 고리형 돌출 리지의 상기 보호 케이싱관 내부에 가까운 가장자리 영역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전도 발성 장치.
  44.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고리형 돌출 리지는 상기 보호 케이싱관이 만곡 상태일 경우, 상기 보호 케이싱관이 형성한 만곡 형상 외부 일측을 향한 상기 보호 케이싱관 길이 방향에서의 폭이 상기 만곡 형상 내부 일측을 향한 상기 보호 케이싱관 길이 방향에서의 폭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전도 발성 장치.
  45. 제44항에 있어서,
    상기 고리형 돌출 리지의 폭은 상기 만곡 형상 외부 일측을 향한 곳으로부터 상기 만곡 형상 내부 일측을 향한 곳으로 가면서 점점 작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전도 발성 장치.
  46.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고리형 돌출 리지는 상기 보호 케이싱관이 만곡 상태일 경우, 상기 보호 케이싱관이 형성한 만곡 형상 외부 일측을 향한 상기 보호 케이싱관 내부의 내환면에 요홈을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전도 발성 장치.
  47. 제46항에 있어서,
    상기 요홈이 상기 보호 케이싱관 길이 방향에서의 폭은 상기 만곡 형상 외부 일측을 향한 곳으로부터 상기 만곡 형상 내부 일측을 향한 곳으로 가면서 점점 작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전도 발성 장치.
KR1020207022491A 2018-01-08 2018-08-24 골전도 발성 장치 KR10235806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810017175.1A CN110022503A (zh) 2018-01-08 2018-01-08 骨传导发声装置
CN201810017175.1 2018-01-08
PCT/CN2018/102360 WO2019134377A1 (zh) 2018-01-08 2018-08-24 骨传导发声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1462A true KR20200101462A (ko) 2020-08-27
KR102358064B1 KR102358064B1 (ko) 2022-02-08

Family

ID=671434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2491A KR102358064B1 (ko) 2018-01-08 2018-08-24 골전도 발성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11310584B2 (ko)
EP (1) EP3739900A4 (ko)
KR (1) KR102358064B1 (ko)
CN (1) CN110022503A (ko)
WO (1) WO201913437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73372A (zh) 2018-08-24 2018-11-23 深圳市韶音科技有限公司 一种铰链及眼镜
US11582565B2 (en) 2014-01-06 2023-02-14 Shenzhen Shokz Co., Ltd. Systems and methods for suppressing sound leakage
US11558698B2 (en) 2014-01-06 2023-01-17 Shenzhen Shokz Co., Ltd. Systems and methods for suppressing sound leakage
CN110312181B (zh) 2014-12-18 2020-12-15 株式会社精好 自行车行驶用接听装置及自行车系统
WO2020038485A1 (zh) 2018-08-24 2020-02-27 深圳市韶音科技有限公司 一种扬声器装置
JP2020053948A (ja) * 2018-09-28 2020-04-02 株式会社ファインウェル 聴取装置
CN112305757B (zh) * 2019-07-31 2023-11-03 华为技术有限公司 头戴式显示装置
FR3104365B1 (fr) 2019-12-04 2022-05-06 Audiome Dispositif amplificateur d’écoute de type casque d’écout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57318A (ja) * 2004-11-29 2006-06-15 Nec Tokin Corp 骨伝導スピーカーユニット
KR20080082171A (ko) * 2007-03-07 2008-09-11 김성준 견착식 헤드셋
CN205720956U (zh) * 2016-06-08 2016-11-23 王泽玲 一种无线骨传导眼镜
KR101786613B1 (ko) * 2016-05-16 2017-10-18 주식회사 정글 스피커가 장착된 안경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88497A (en) * 1978-12-25 1980-07-0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Ear receiver
US4791673A (en) * 1986-12-04 1988-12-13 Schreiber Simeon B Bone conduction audio listening device and method
US6099117A (en) * 1998-12-15 2000-08-08 Ppg Industries Ohio, Inc. Hinge with wire extending therethrough
US6163926A (en) * 1999-11-12 2000-12-26 Ppg Industries Ohio, Inc. Split-pin hinge with wire extending therethrough
KR100769289B1 (ko) * 2006-09-22 2007-10-24 최성식 귓바퀴를 진동시키는 진동 스피커 및 이를 구비한 이어셋
CN101753221A (zh) * 2008-11-28 2010-06-23 新兴盛科技股份有限公司 蝶颞骨传导通讯与/或助听装置
US20130136279A1 (en) * 2010-08-09 2013-05-30 Jeremy A Brown Personal Listening Device
US8553910B1 (en) * 2011-11-17 2013-10-08 Jianchun Dong Wearable computing device with behind-ear bone-conduction speaker
TWI571133B (zh) * 2012-06-29 2017-02-11 Rohm Co Ltd stereophone
WO2014097744A1 (ja) * 2012-12-17 2014-06-26 株式会社テムコジャパン 骨導レシーバ
US8761431B1 (en) * 2013-08-15 2014-06-24 Joelise, LLC Adjustable headphones
CN103428601A (zh) * 2013-08-19 2013-12-04 倪晓旺 一种基于双声道骨传导技术的智能眼镜
CN204119448U (zh) * 2014-08-25 2015-01-21 钟小燕 骨传导耳机设备以及应用骨传导耳机设备的眼镜架和服饰
CN205179304U (zh) * 2015-11-04 2016-04-20 东莞泉声电子有限公司 自由调节的人体工学骨导耳机架及其骨导耳机
CN205176414U (zh) * 2015-12-04 2016-04-20 深圳市易特科信息技术有限公司 带有骨传导耳机的运动型太阳眼镜
CN105425425A (zh) * 2015-12-04 2016-03-23 深圳市易特科信息技术有限公司 具有骨传导功能的智能眼镜
CN206421112U (zh) * 2016-10-18 2017-08-18 深圳市看见智能科技有限公司 转轴构件改良型智能眼镜
KR101853248B1 (ko) * 2017-06-19 2018-04-30 (주)시선 사운드 입출력 기능을 갖는 안경
US10852562B2 (en) * 2017-10-31 2020-12-01 Snap Inc. Conductive connection through eyewear hing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57318A (ja) * 2004-11-29 2006-06-15 Nec Tokin Corp 骨伝導スピーカーユニット
KR20080082171A (ko) * 2007-03-07 2008-09-11 김성준 견착식 헤드셋
KR101786613B1 (ko) * 2016-05-16 2017-10-18 주식회사 정글 스피커가 장착된 안경
CN205720956U (zh) * 2016-06-08 2016-11-23 王泽玲 一种无线骨传导眼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739900A4 (en) 2021-08-04
WO2019134377A1 (zh) 2019-07-11
US11310584B2 (en) 2022-04-19
CN110022503A (zh) 2019-07-16
US20200344542A1 (en) 2020-10-29
US20220210540A1 (en) 2022-06-30
EP3739900A1 (en) 2020-11-18
KR102358064B1 (ko) 2022-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58064B1 (ko) 골전도 발성 장치
US11899284B2 (en) Eyeglasses
US20210165243A1 (en) Glasses
EP2385414B1 (en) Detachable and adjustable electronics module
WO2009116272A1 (ja) 骨伝導スピーカ及びそれを用いた聴取装置
US20220295167A1 (en) Smart Head-Mounted Device
CN208783039U (zh) 一种骨传导耳机及眼镜
JPWO2007069784A1 (ja) 骨伝導受話装置
JPWO2004013679A1 (ja) メガネフレームのツル接続構造
US20080273163A1 (en) Structure for Installing Bone Conduction Device on Eyeglasses
JP6630930B1 (ja) 調整可能な骨伝導音響装置を有する頭部装着デバイス
US20080002145A1 (en) Adaptor For Signal Communicative Members For Eyewear
CN116018821A (zh) 入耳式音频设备的包括柔性部分和刚性部分的管口
WO2019104494A1 (zh) 一种可灵活调节骨传导耳机位置的太阳眼镜
CN208780926U (zh) 一种铰链及眼镜
CN108873374A (zh) 一种铰链组件及眼镜
WO2019104503A1 (zh) 一种带有骨传导耳机的太阳眼镜
CN108776394B (zh) 一种铰链及眼镜
CN208847982U (zh) 一种铰链组件及眼镜
CN208780927U (zh) 一种铰链及眼镜
CN108873373B (zh) 一种铰链及眼镜
CN108873375B (zh) 一种铰链及眼镜
CN110213687A (zh) 蓝牙耳机及耳塞
CN208847984U (zh) 一种铰链组件及眼镜
CN218068483U (zh) 耳机组件、眼镜架及眼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