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1276A - 롤 유지반 - Google Patents

롤 유지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1276A
KR20200101276A KR1020200002129A KR20200002129A KR20200101276A KR 20200101276 A KR20200101276 A KR 20200101276A KR 1020200002129 A KR1020200002129 A KR 1020200002129A KR 20200002129 A KR20200002129 A KR 20200002129A KR 20200101276 A KR20200101276 A KR 202001012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t plate
concave portion
side wall
wall
conca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21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쇼타 니시무라
Original Assignee
산고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고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고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1012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127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66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jumbo rolls; for rolls of floor cov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1/00Bundles of articles held together by packaging elements for convenience of storage or transport, e.g. portable segregating carrier for plural receptacles such as beer cans or pop bottles; Bales of material
    • B65D71/02Arrangements of flexible binders
    • B65D71/04Arrangements of flexible binders with protecting or supporting elements arranged between binder and articles or materials, e.g. for preventing chafing of bind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ing Of Machine Parts And Wound Products (AREA)

Abstract

밴드 훅부의 파손이나 밴드가 닳아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롤 유지반을 제공하기 위해, 롤 유지반(1)은 롤 형상의 유지 대상물(100)의 단측 평면(102)과 대향하는 평판부(10)와, 평판부(10)의 대략 중앙에 마련되고, 유지 대상물(100)의 심재(104)를 지지하는 심재 지지부(20)와, 평판부(10)의 두께 방향 D로 연장하는 것에 의해서 평판부(10)의 둘레면을 구성하는 측벽부(40)와, 평판부(10)에서 평판부(10)의 두께 방향 D로 움푹 패인 오목부(50)와, 밴드 B가 걸어지는 밴드 훅부(70)를 구비한다. 오목부(50)는 평판부(10)의 두께 방향 D에 평행한 오목부 측벽(52)과, 오목부 측벽(52)의 단면(40A)의 측에서 오목부 측벽(52)으로 연속하는 오목부 저벽(54)과, 오목부 측벽(52)과 오목부 저벽(54)에 걸쳐 형성되고, 오목부(50)의 바깥쪽으로 비어져 나온 곡면부(56)를 구비한다. 밴드 훅부(70)는 오목부 측벽(52), 오목부 저벽(54) 및 곡면부(56)로 구성된다.

Description

롤 유지반{A roll keeping plate}
본 발명은 롤 유지반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밴드 훅(걺)이 실행되는 롤 유지반에 관한 것으로서, 각종 기술이 제안되고 있다. 예를 들면, 하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롤 제품용 프로텍터는 광폭의 띠형상 제품을 중공 심부에 두루 감아 이루어지는 롤 제품을 수송·보관하기 위한 프로텍터에 있어서, 이면에서 상기 롤 제품의 단면을 누르는 방형의 기판부와, 상기 롤 제품의 중공 심부의 중공 구멍에 삽입 가능하게 상기 기판부의 이면 중앙에 돌출설치한 원통부로 이루어지고, 해당 원통부 내주에 복수개의 보강 리브를 축 방향으로 마련한 롤 제품 지지용 원통부와, 상기 기판부의 이면 사각에 돌출설치한 삼각형의 단면 형상을 갖는 통형상체로 이루어지는 단쌓기용 다리부와, 해당 다리부의 선단을 삽입 가능하게 상기 기판부의 표면 사각에 마련한 단쌓기용 오목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경질 합성 수지 성형체로서, 상기 기판부의 각 변 길이를 상기 롤 제품의 외경보다 길게 하는 동시에, 상기 다리부의 다리 길이를 상기 원통부의 전체 길이보다 길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 상기 기판부의 각 측면 중앙에 곤포용(패키지용) 밴드 홈을 마련하면, 수송이나 보관 중의 적하물 붕괴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구성의 프로텍터를 롤 제품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한 쌍의 프로텍터의 기판부 이면에서 롤 제품의 양 단면을 눌러 협지하는 동시에, 원통부를 롤 제품의 중공 심부의 중공 구멍에 삽입하여 롤 제품을 지지하고, 필요에 따라, 밴드 홈에 2개의 곤포용 밴드를 십자형상으로 걸어 전체를 긴장 체결한다. 이 작업은 기판부와 원통부가 일체로 성형되어 있으므로 간단하다. 이와 같이, 프로텍터를 적용한 롤 제품은 수평 상태로 단쌓기했을 때, 상단의 프로텍터의 기판부 및 다리부의 하면이 대응하는 하단의 프로텍터의 기판부 및 다리부의 상면에 실린다. 그 때문에, 롤 제품끼리가 수평 방향으로 조금 어긋나도 적하물 붕괴의 우려는 없다. 사용하지 않은 프로텍터는 단쌓기하여 수송·보관한다. 그 때, 상단의 프로텍터의 다리부 선단을 하단의 프로텍터의 기판부 표면에 마련한 오목부에 삽입하고, 필요에 따라, 밴드 홈에 곤포용 밴드를 걸어 전체를 긴장 체결해 둔다. 이것에 의해, 프로텍터끼리의 어긋남이 없어지고, 적하물 붕괴가 방지된다. 또한, 프로텍터는 경질 합성 수지로 이루어지므로 내구성이 풍부하다.
특허문헌 1: 일본국 등록 실용신안공보 제2604907호
그러나, 곤포용 밴드는 전체를 긴장 체결하기 때문에, 밴드 홈에 걸어지면, 밴드 홈내에 있는 기판부의 코너 부분에서 닳아 떨어질 우려가 있었다. 또, 밴드 홈내에 있는 기판부의 코너 부분이 곤포용 밴드에서 변형되어 파손될 우려가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상술한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밴드 훅부의 파손이나 밴드가 닳아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롤 유지반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이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청구항 1에 관한 발명은 롤 유지반으로서, 롤 형상의 유지 대상물의 단측 평면과 대향하는 평판부와, 평판부의 대략 중앙에 마련되고, 유지 대상물의 심재를 지지하는 심재 지지부와, 평판부의 두께 방향으로 연장하는 것에 의해서 평판부의 둘레면을 구성하는 측벽부와, 평판부에서 평판부의 두께 방향으로 움푹 패인 오목부와, 밴드가 걸어지는 밴드 훅부를 구비하고, 오목부는, 평판부의 두께 방향에 대해 대략 평행한 오목부 측벽과, 오목부 측벽의 단면의 측에서 오목부 측벽으로 연속되는 오목부 저벽과, 오목부 측벽과 오목부 저벽에 걸쳐 형성되고, 오목부의 바깥쪽으로 비어져 나온 곡면부를 구비하고, 밴드 훅부는 오목부 측벽, 오목부 저벽 및 곡면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2에 관한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롤 유지반으로서, 오목부 측벽은 측벽부의 일부인 오목부 겸용벽을 구비하고, 오목부는 오목부 겸용벽의 단면 또는 단면의 근방까지 평판부의 두께 방향으로 움푹 패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3에 관한 발명은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기재된 롤 유지반으로서, 오목부 측벽은, 측벽부에 대향하는 오목부 대향벽과, 오목부 측벽과 오목부 대향벽을 연결하는 오목부 연결벽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4에 관한 발명은 청구항 3에 기재된 롤 유지반으로서, 평판부는, 유지 대상물의 단측 평면과 대향하는 측과는 반대측의 외면에 있어서 격자형상으로 세워 마련된 격자 리브와, 외면의 대략 중앙에 세워 마련된 원형상 리브와, 격자 리브의 일부로서, 원형상 리브와 오목부 대향벽 사이에 걸처 마련된 연결 리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5에 관한 발명은 청구항 3 또는 청구항 4에 기재된 롤 유지반으로서, 평판부의 모서리에 있어서, 평판부의 두께 방향을 따라 마련된 다리부를 구비하고, 다리부의 일부는 오목부 연결벽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6에 관한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롤 유지반으로서, 평판부는 유지 대상물의 단측 평면과 서로 마주보는 대향 영역이 하나 또는 복수의 평탄 영역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에 관한 발명의 롤 유지반에 있어서, 롤 형상의 유지 대상물이 유지될 때에는 평판부에 유지 대상물의 단측 평면을 대향시키는 동시에, 심재 지지부에 의해 유지 대상물의 심재를 지지시킨 상태에서, 밴드 훅부에 밴드가 걸린다. 밴드 훅부를 구성하는 곡면부는 그 걸린 밴드가 압접하는 것이지만, 오목부 측벽과 오목부 저벽에 걸쳐 형성되고, 오목부의 바깥쪽으로 비어져 나온 비교적 큰 곡면이다. 이것에 의해, 청구항 1에 관한 발명의 롤 유지반은 밴드 훅부의 파손이나 밴드가 닳아 떨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청구항 2에 관한 발명의 롤 유지반에 있어서, 오목부 측벽은 측벽부의 일부인 오목부 겸용벽을 구비하고 있으며, 측벽부의 바깥쪽으로부터 밴드 훅부에 밴드가 걸어지기 때문에, 밴드를 거는 것이 용이하다.
청구항 3에 관한 발명의 롤 유지반에 있어서, 밴드 훅부를 구성하는 곡면부가 형성된 오목부 측벽은 측벽부에 대향하는 오목부 대향벽과, 오목부 측벽과 오목부 대향벽을 연결하는 오목부 연결벽을 구비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청구항 3에 관한 발명의 롤 유지반에 있어서, 밴드 훅부는 강도가 높아지므로, 밴드가 걸어지는 것에 의해서 힘이 작용해도, 변형 파손되기 어렵다.
청구항 4에 관한 발명의 롤 유지반에서는 평판부의 외면에 마련된 격자 리브, 원형상 리브 및 연결 리브에 의해서, 밴드 훅부의 강도가 한층 높아지므로, 밴드 훅부가 변형·파손되기 어렵다.
청구항 5에 관한 발명의 롤 유지반에서는 평판부의 모서리에 있어서, 오목부 연결벽이 평판부의 두께 방향을 따라 마련된 다리부의 일부이다. 그 때문에, 밴드 훅부에 대해 밴드가 걸어지는 것에 의해서 힘이 작용해도, 그 힘은 오목부 연결벽을 통해, 다리부로 분산된다. 따라서, 청구항 6에 관한 발명의 롤 유지반에서는 밴드 훅부의 변형 등이 억제된다.
청구항 6에 관한 발명의 롤 유지반에서는 평판부에 있어서, 유지 대상물의 단측 평면과 마주보는 대향 영역이 하나 또는 복수의 평탄 영역으로 구성되므로, 유지 대상물의 단측 평면이 손상되는 것이 방지된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의 롤 유지반에 의해 유지 대상물을 유지할 때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실시형태의 롤 유지반의 평판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실시형태의 롤 유지반의 평판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실시형태의 롤 유지반의 평판부의 외면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프레임 A를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6은 본 실시형태의 롤 유지반의 평판부의 외면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실시형태의 롤 유지반의 평판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실시형태의 롤 유지반을 단쌓기에서 사용한 상태의 일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실시형태의 롤 유지반의 사용 상태의 일예를 도 8의 선 C-C에 상당하는 선으로 절단한 단면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사용 상태에 있는 롤 유지반을 도 8의 선 C-C에 상당하는 선으로 절단한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실시형태의 롤 유지반이 적층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적층 상태에 있는 본 실시형태의 롤 유지반을 도 11의 선 E-E로 절단한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실시형태의 롤 유지반의 변경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한 롤 유지반에 대해, 구체화한 본 실시형태에 의거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롤 유지반(1)은 롤 형상의 유지 대상물(100)을 그 단측 평면(102)으로부터 한 쌍 사이에 배치한 상태에서 유지하는 것으로서, 폴리프로필렌 등의 수지를 재료로 해서 금형 성형된 것이다. 유지 대상물(100)은 원통 형상의 심재(104)에 대해, 예를 들면 필름 등이 두루 감긴 것이다. 심재(104)는 유지 대상물(100)에 있어서, 단측 평면(102)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또한, 도 1 내지 도 4, 도 8 내지 도 11 및 도 13에 있어서, 부호 D의 방향은 후술하는 평판부(10)의 두께 방향을 나타내고 있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롤 유지반(1)은 평판부(10), 심재 지지부(20), 다리부(30), 측벽부(40) 및 오목부(50) 등을 구비하고 있다. 평판부(10)는 그 두께 방향 D에서 보아 대략 정방 형상을 이루고 있다. 심재 지지부(20)는 원통 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평판부(10)의 대략 중앙에 있어서, 평판부(10)의 두께 방향 D로 돌출되어 마련되어 있다. 다리부(30)는 평판부(10)의 4개의 모서리에 있어서, 심재 지지부(20)와 동일 방향으로 돌출되어 마련되어 있다. 즉, 다리부(30)는 평판부(10)의 두께 방향 D를 따라 마련되어 있다. 다리부(30)에는 평판부(10)의 두께 방향 D에서 보아, 반원형상의 평면 볼록부(31)가 돌출설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다리부(30)는 본 실시형태의 롤 유지반(1)의 자립 안정성을 확보하고 있다.
측벽부(40)는 평판부(10)의 4변에 있어서, 심재 지지부(20) 및 다리부(30)의 돌출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연장하는 것에 의해서, 평판부(10)의 둘레면을 구성하고 있다. 즉, 측벽부(40)는 평판부(10)의 두께 방향 D로 연장하고 있다. 측벽부(40)는 측볼록부(42), 측오목부(44), 홈(46) 및 측평부(48)를 포함하고 있다. 측볼록부(42)는 측벽부(40)에 있어서, 평판부(10)의 바깥쪽으로 돌출된 부위이다. 측오목부(44)는 측벽부(40)에 있어서, 평판부(10)의 안쪽으로 움푹 패인 부위이다. 홈(46)은 측벽부(40)에 있어서, 평판부(10)의 두께 방향 D를 따라 마련된 가늘고 긴 움푹한 부위이다. 측평부(48)는 측벽부(40)에 있어서, 평판부(10)의 두께 방향 D를 따라 마련된 평평한 부위이다.
오목부(50)는 평판부(10)에서 평판부(10)의 두께 방향 D로 움푹 패인 것이다. 오목부(50)는 평판부(10)의 4변에 있어서, 각 변의 대략 중앙의 위치와, 각 변의 양단측의 다리부(30)에 인접하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다리부(30)에 인접하는 오목부(50)에 있어서, 평판부(10)의 바깥쪽측에 위치하는 측볼록부(42)는 홈(46)을 겸용하고 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평판부(10)의 두께 방향 D를 「두께 방향 D」로 하는 경우가 있다.
도 4 내지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오목부(50)는 오목부 측벽(52), 오목부 저벽(54) 및 곡면부(56)를 구비하고 있다. 오목부 측벽(52)은 두께 방향 D에 평행한 벽으로서, 오목부 겸용벽(52A), 오목부 대향벽(52B) 및 한 쌍의 오목부 연결벽(52C)을 구비하고 있다. 오목부 겸용벽(52A)은 측벽부(40)의 일부로서, 측벽부(40)의 측볼록부(42) 또는 홈(46)을 겸용하고 있다. 오목부 대향벽(52B)은 오목부 겸용벽(52A)에 대해, 본 실시형태의 롤 유지반(1)의 안쪽측에서 대향하도록 해서 마련된 것이다. 한 쌍의 오목부 연결벽(52C)은 오목부 겸용벽(52A)과 오목부 대향벽(52B)을 두께 방향 D를 따라 연결하도록 해서 마련된 것이다.
오목부 저벽(54)은 심재 지지부(20) 및 다리부(30)의 돌출 방향과는 반대 방향에 위치하는 측벽부(40)(오목부 측벽(52))의 단면(40A)의 측에 있어서, 오목부 측벽(52)(즉, 오목부 겸용벽(52A), 오목부 대향벽(52B) 및 한 쌍의 오목부 연결벽(52C))에 연속하도록 해서 마련된 것이다. 곡면부(56)는 오목부(50)의 바깥쪽으로 비어져 나오도록 구부러진 벽으로서, 오목부 측벽(52)의 오목부 겸용벽(52A)과 오목부 저벽(54)에 걸쳐 마련된 것이다. 이와 같이 해서, 오목부(50)는 측벽부(40)의 단면(40A)까지 움푹 패여 있지만, 측벽부(40)의 단면(40A)의 근방까지 움푹 패여 있어도 좋다.
다리부(30)는 그 내부에 있어서, 다리부(30)의 돌출 방향으로 움푹 패인 다리 오목부(32)가 마련되어 있다. 다리 오목부(32)(즉, 다리부(30))를 형성하는 벽의 일부는 한 쌍의 오목부 연결벽(52C)의 한쪽을 구성하고 있다.
밴드 훅부(70)는 측벽부(40)의 일부(즉, 오목부(50)의 오목부 측벽(52)의 오목부 겸용벽(52A)), 오목부 저벽(54) 및 곡면부(56)로 구성되는 것이다.
외면(12)은 상기의 평판부(10)의 이면이다. 외면(12)에는 격자 리브(14A), 원형상 리브(14B), 연결 리브(14C) 및 경사 리브(14D) 등이 심재 지지부(20) 및 다리부(30)의 돌출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해서 수직으로 마련되어 있다. 격자 리브(14A)는 세로 리브와 가로 리브가 교차한 상태에서 마련된 것이다. 원형상 리브(14B)는 외면(12)의 대략 중앙에 마련된 것으로서, 원통형상을 이루며, 심재 지지부(20)에 대략 연속되어 있다. 연결 리브(14C)는 격자 리브(14A)의 일부로서, 원형상 리브(14B)와, 측벽부(40)의 대략 중앙에 위치하는 오목부(50)의 오목부 대향벽(52B) 사이에 걸쳐 마련된 것이다. 경사 리브(14D)는 원형상 리브(14B)와 다리부(30) 사이에 걸쳐 마련된 것이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평판부(10)에는 도넛 형상의 대향 영역(16)이 포함되어 있다. 대향 영역(16)은 평평한 면이 연속된 평탄 영역으로서, 본 실시형태의 롤 유지반(1)에 의해 유지 대상물(100)이 유지되었을 때에 있어서, 유지 대상물(100)의 단측 평면(102)이 서로 마주보는 것이다. 대향 영역(16)은 각 밴드 훅부(70)(및 오목부(50))에서 거리적으로 이간되어 있다.
또한, 상기의 외면(12)은 상술한 바와 같이, 평판부(10)의 이면이므로, 평판부(10)에 있어서, 유지 대상물(100)의 단측 평면(102)과 대향하는 측과는 반대측에 있다.
본 실시형태의 롤 유지반(1)은 예를 들면,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개의 유지 대상물(100)을 단쌓기 상태에서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혹은 도 9 및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롤 유지반(1)은 1개의 유지 대상물(100)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를 위해서는 본 실시형태의 롤 유지반(1)은 평판부(10)의 두께 방향 D가 유지 대상물(100)의 심재(104)의 원통 높이 방향을 따른 상태에 있어서, 심재 지지부(20)가 유지 대상물(100)의 심재(104)에 끼워 넣어지고, 평판부(10)가 유지 대상물(100)의 심재(104)에 맞닿거나 또는 근접할 때까지, 유지 대상물(100)의 단측 평면(102)을 향해 이동시켜진다. 이것에 의해, 심재 지지부(20)가 유지 대상물(100)의 심재(104)를 지지하는 동시에, 평판부(10)의 대향 영역(16)이 유지 대상물(100)의 단측 평면(102)과 거리적으로 이간된 상태에서 대향한다.
이와 같이 해서, 유지 대상물(100)은 한 쌍의 롤 유지반(1) 사이에 배치된다. 또한, 한 쌍의 롤 유지반(1) 사이에는 각 측벽부(40)의 대략 중앙에 있어서, 서로 대향하는 밴드 훅부(70)에 밴드 B가 걸쳐진다. 이것에 의해, 밴드 훅부(70)를 구성하는 측벽부(40)의 일부(즉, 오목부(50)의 오목부 측벽(52)의 오목부 겸용벽(52A)), 오목부 저벽(54) 및 곡면부(56)에는 밴드 B가 압접한 상태에서 걸어지므로, 유지 대상물(100)은 한 쌍의 롤 유지반(1) 사이에 배치된 상태에서 긴장 체결된다. 무엇보다도, 밴드 B는 각 측벽부(40)의 단측(다리부(30)의 측)에 있어서, 서로 대향하는 밴드 훅부(70)에 걸쳐져도 좋다.
또한, 유지 대상물(100)은 한 쌍의 롤 유지반(1) 사이에 배치된 상태에서, 골판지로 곤포되어도 좋다. 그러한 경우에는 유지 대상물(100)은 한 쌍의 롤 유지반(1)에 의해서, 골판지내에서 들뜬 상태가 되므로, 외부로부터의 충격에서 보호받아, 손상이 방지된다.
상기의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롤 유지반(1)이 2개의 유지 대상물(100)을 단쌓기 상태에서 유지하는 경우에는 상단의 롤 유지반(1)과 하단의 롤 유지반(1) 사이에 있어서, 밴드 B가 걸쳐진다. 또한, 상단의 롤 유지반(1)과 하단의 롤 유지반(1) 사이에 있어서, 측벽부(40)의 측볼록부(42) 및 측오목부(44)가 끼워 맞춰지는 것에 의해서, 단쌓기 상태의 덜컹거림이 방지된다. 이 점은 본 실시형태의 롤 유지반(1)이 3개 이상의 유지 대상물(100)을 단쌓기 상태에서 유지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또, 본 실시형태의 롤 유지반(1)이 복수개의 유지 대상물(100)을 좌우 방향으로 배열한 상태에서 유지하는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본 실시형태의 롤 유지반(1)은 예를 들면,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두께 방향 D가 상하 방향을 따른 상태에서 적층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도 11 및 도 12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측의 롤 유지반에 관한 부호에는 「X」를 붙이고, 하측의 롤 유지반에 관한 부호에는 「Y」를 붙인다.
상측의 롤 유지반(1X)이 하측의 롤 유지반(1Y)에 적층되면, 상측의 롤 유지반(1X)의 다리부(30X)의 다리 오목부(32X)에 대해, 하측의 롤 유지반(1Y)의 다리부(30Y)의 평면 볼록부(31)가 들어간다. 그 때, 상측의 롤 유지반(1X)의 다리부(30X)에서는 다리 오목부(32X)의 벽면 및 다리 오목부(32X)의 벽면으로부터 서로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다리부(30X)의 안쪽으로 돌출된 2개의 규제 리브(34X)의 단면이 하측의 롤 유지반(1Y)의 다리부(30Y)의 평면 볼록부(31)에 근접한다. 이것에 의해, 상측의 롤 유지반(1X)과 하측의 롤 유지반(1Y)이 적층된 상태에 있어서, 상측의 롤 유지반(1X)과 하측의 롤 유지반(1Y)의 상대적인 위치 결정이 이루어지는 동시에, 덜컹거림이 방지된다. 이 점은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내는 상측의 롤 유지반(1X)과 하측의 롤 유지반(1Y)의 적층 상태가 상하 방향에서 반대로 되어도, 마찬가지이다.
이상 상세하게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롤 유지반(1)에 있어서, 롤 형상의 유지 대상물(100)이 유지될 때에는 평판부(10)에 유지 대상물(100)의 단측 평면(102)을 대향시키는 동시에, 심재 지지부(20)에서 유지 대상물(100)의 심재(104)를 지지시킨 상태에서, 밴드 훅부(70)에 밴드 B가 걸어진다. 밴드 훅부(70)를 구성하는 곡면부(56)는 그 걸어진 밴드 B가 압접하는 것이지만, 오목부 측벽(52)(의 오목부 겸용벽(52A))과 오목부 저벽(54)에 걸쳐 형성되고, 오목부(50)의 바깥쪽으로 비어져 나온 비교적 큰 곡면이다. 이것에 의해, 본 실시형태의 롤 유지반(1)은 밴드 훅부(70)의 파손이나 밴드 B가 닳아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이 점에서, 밴드 B가 압접하는 부위는 오목부 측벽(52)과 오목부 저벽(54)에 미치는 경우도 있다. 그러나, 그러한 경우에도, 오목부 측벽(52)과 오목부 저벽(54)은 도 5 및 도 9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평면을 갖는 벽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곡면부(56)와 협동하도록 하여, 밴드 B가 닳아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의 롤 유지반(1)에 있어서, 오목부 측벽(52)은 측벽부(40)의 일부인 오목부 겸용벽(52A)을 구비하고 있으며, 측벽부(40)의 바깥쪽으로부터 밴드 훅부(70)에 밴드 B가 걸어지기 때문에, 밴드 B를 거는 것이 용이하다.
본 실시형태의 롤 유지반(1)에 있어서, 밴드 훅부(70)를 구성하는 곡면부(56)가 형성된 오목부 측벽(52)은 측벽부(40)(의 일부인 오목부 겸용벽(52A))에 대향하는 오목부 대향벽(52B)과, 측벽부(40)(오목부 겸용벽(52A))와 오목부 대향벽(52B)을 연결하는 한 쌍의 오목부 연결벽(52C)에 의해서, 사면의 프레임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본 실시형태의 롤 유지반(1)에 있어서, 밴드 훅부(70)는 강도가 높아지므로, 밴드 B가 걸어지는 것에 의해서 힘이 작용해도, 변형·파손되기 어렵다.
본 실시형태의 롤 유지반(1)에서는 평판부(10)의 외면(12)에 마련된 격자 리브(14A), 원형상 리브(14B), 및 연결 리브(14C)에 의해서, 밴드 훅부(70)의 강도가 한층 높아지므로, 밴드 훅부(70)가 변형·파손되기 어렵다.
본 실시형태의 롤 유지반(1)에서는 평판부(10)의 4개의 모서리에 있어서, 오목부 연결벽(52C)이 평판부(10)의 두께 방향 D를 따라 마련된 다리부(30)의 일부로 되어 있다. 그 때문에, 밴드 훅부(70)에 대해, 밴드 B가 걸어지는 것에 의해서 힘이 작용해도, 그 힘은 오목부 연결벽(52C)을 통해, 다리부(30)에 분산된다. 이것에 의해, 본 실시형태의 롤 유지반(1)에서는 밴드 훅부(70)의 변형 등이 억제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롤 유지반(1)에서는 평판부(10)에 있어서, 유지 대상물(100)의 단측 평면(102)과 서로 마주보는 대향 영역(16)이 하나의 평탄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유지 대상물(100)의 단측 평면(102)이 손상되는 것이 방지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롤 유지반(1)에서는 대향 영역(16)이 각 밴드 훅부(70)에서 거리적으로 이간되어 있으므로, 각 밴드 훅부(70)에 걸린 밴드 B에 의해서 유지 대상물(100)이 손상되는 일이 없다.
본 실시형태의 롤 유지반(1)에서는 평판부(10)에 마련된 오목부(50)에 의해서, 밴드 훅부(70)에 대응하는 부위의 후육화가 방지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롤 유지반(1)의 수지 성형 후의 변형이 방지되는 동시에, 롤 유지반(1)의 경량화가 도모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취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평판부(10)의 대향 영역(16)과 심재 지지부(20) 사이에 있어서, 도넛 형상의 대좌부(110)가 마련되어도 좋다. 대좌부(110)는 평판부(10)에서 심재 지지부(20)의 돌출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해서 마련되어 있으며, 유지 대상물(100)의 심재(104)와 맞닿거나 또는 근접하는 것에 의해서, 유지 대상물(100)의 심재(104)와 평판부(10)를 거리적으로 이간시킨 상태로 한다. 이것에 의해, 유지 대상물(100)(의 단측 평면(102))과 평판부(10)의 접촉 방지성이 높아진다.
또, 롤 유지반(1)(즉, 평판부(10))은 원형 또는 그 밖의 다각형 등이어도 좋다. 평판부(10)에는 복수의 관통구멍이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 밴드 훅부(70)는 측벽부(40) 이외에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 격자 리브(14A) 등의 리브가 측벽부(40)와 오목부 측벽(52) 사이에 있어도 좋다.
또, 대향 영역(16)은 예를 들면, 복수의 오목부를 포함하는 것에 의해서, 복수의 평평한 면(즉, 평탄 영역)이 연속된 것이어도 좋다.
또, 심재 지지부(20)는 평판부(10)의 안쪽으로 들어간 만입부라도 좋으며, 평판부(10)에 마련된 구멍이어도 좋다. 그 구멍은 관통되어 있어도 좋고, 관통되어 있지 않아도 좋다.
1; 롤 유지반 10; 평판부
12; 외면 14A; 격자 리브
14B; 원형상 리브 14C; 연결 리브
16; 대향 영역 20; 심재 지지부
30; 다리부 40; 측벽부
40A; 단면 50; 오목부
52; 오목부 측벽 52A; 오목부 겸용벽
52B; 오목부 대향벽 52C; 오목부 연결벽
54; 오목부 저벽 56; 곡면부
70; 밴드 훅부 100; 유지 대상물
102; 단측 평면 104; 심재
B; 밴드 D; 평판부의 두께 방향

Claims (6)

  1. 롤 형상의 유지 대상물의 단측 평면과 대향하는 평판부와,
    상기 평판부의 대략 중앙에 마련되고, 상기 유지 대상물의 심재를 지지하는 심재 지지부와,
    상기 평판부의 두께 방향으로 연장하는 것에 의해서 상기 평판부의 둘레면을 구성하는 측벽부와,
    상기 평판부에서 상기 평판부의 두께 방향으로 움푹 패인 오목부와,
    밴드가 걸어지는 밴드 훅부를 구비하고,
    상기 오목부는,
    상기 평판부의 두께 방향에 대해 대략 평행한 오목부 측벽과,
    상기 오목부 측벽의 단면의 측에서 상기 오목부 측벽으로 연속되는 오목부 저벽과,
    상기 오목부 측벽과 상기 오목부 저벽에 걸쳐 형성되고, 상기 오목부의 바깥쪽으로 비어져 나온 곡면부를 구비하고,
    상기 밴드 훅부는 상기 오목부 측벽, 상기 오목부 저벽 및 상기 곡면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 유지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 측벽은 상기 측벽부의 일부인 오목부 겸용벽을 구비하고,
    상기 오목부는 상기 오목부 겸용벽의 단면 또는 상기 단면의 근방까지 상기 평판부의 두께 방향으로 움푹 패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 유지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 측벽은,
    상기 측벽부에 대향하는 오목부 대향벽과,
    상기 오목부 측벽과 상기 오목부 대향벽을 연결하는 오목부 연결벽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 유지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평판부는,
    상기 유지 대상물의 상기 단측 평면과 대향하는 측과는 반대측의 외면에 있어서 격자형상으로 세워 마련된 격자 리브와,
    상기 외면의 대략 중앙에 세워 마련된 원형상 리브와,
    상기 격자 리브의 일부로서, 상기 원형상 리브와 상기 오목부 대향벽 사이에 걸쳐 마련된 연결 리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 유지반.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평판부의 모서리에 있어서, 상기 평판부의 두께 방향을 따라 마련된 다리부를 구비하고,
    상기 다리부의 일부는 상기 오목부 연결벽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 유지반.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평판부는 상기 유지 대상물의 상기 단측 평면과 서로 마주보는 대향 영역이 하나 또는 복수의 평탄 영역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 유지반.
KR1020200002129A 2019-02-19 2020-01-07 롤 유지반 KR2020010127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9027157A JP7237348B2 (ja) 2019-02-19 2019-02-19 ロール保持盤
JPJP-P-2019-027157 2019-02-1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1276A true KR20200101276A (ko) 2020-08-27

Family

ID=722373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2129A KR20200101276A (ko) 2019-02-19 2020-01-07 롤 유지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7237348B2 (ko)
KR (1) KR2020010127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25076A1 (ko) * 2021-04-21 2022-10-27 유명일 롤필름 홀더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04907Y2 (ja) 1993-12-01 2000-06-12 村▲ずみ▼株式会社 ロール製品用プロテクター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132442A1 (de) * 1991-09-28 1993-04-01 Hoechst Ag Stirnwand aus spanlos verformbarem material fuer eine wickelrolle
JP5215918B2 (ja) * 2009-03-30 2013-06-19 三甲株式会社 バンド緊締用パレット装置、該装置に用いられるパレットおよび天板部材
JP5806896B2 (ja) * 2011-09-21 2015-11-10 三甲株式会社 ロール状資材の運搬保管用部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04907Y2 (ja) 1993-12-01 2000-06-12 村▲ずみ▼株式会社 ロール製品用プロテクタ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25076A1 (ko) * 2021-04-21 2022-10-27 유명일 롤필름 홀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237348B2 (ja) 2023-03-13
JP2020132216A (ja) 2020-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00577B2 (ja) コーナーパッド
JP5328862B2 (ja) 包装用容器の蓋体、及び、これを用いた包装用容器
US10947032B2 (en) Packaging box for liquid crystal panel
KR101959622B1 (ko) 박스 모서리 보강구
KR20200101276A (ko) 롤 유지반
TWI406797B (zh) 板材包裝系統及其板材承托盤
JP5683078B2 (ja) ロール製品用プロテクター
KR20110123147A (ko) 골판지 포장박스
JPH06286877A (ja) 射出成形材料製の巻きロール用端壁
JP4130406B2 (ja) ウェブロール端面支持構造
JP3151025U (ja) 果実包装用容器
JP5403667B2 (ja) ロール製品用プロテクター
JP7412751B2 (ja) ロール保持盤
JP2018103997A (ja) パレット
JP2604907Y2 (ja) ロール製品用プロテクター
KR20120117391A (ko) 롤 운반박스용 판넬 지지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롤 운반용기
JP3207271U (ja) 物品用収納トレー、果菜用収納トレー、およびこれを備えた包装材
JP6691413B2 (ja) 集合包装容器及びその積層体
JPH068235U (ja) 段積みした巻テープの荷崩れ防止構造
JPH092471A (ja) 合成樹脂製パレット
CN220097198U (zh) 一种钢卷外包装
JP2018034809A (ja) 集合包装容器
JP6576284B2 (ja) 平パレット
KR101747596B1 (ko) 박스 모서리 보강구
KR200304380Y1 (ko) 스티로폼 박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