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0542A - 가열 및 에어컨 시스템용 유체 도관 - Google Patents

가열 및 에어컨 시스템용 유체 도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0542A
KR20200100542A KR1020200016857A KR20200016857A KR20200100542A KR 20200100542 A KR20200100542 A KR 20200100542A KR 1020200016857 A KR1020200016857 A KR 1020200016857A KR 20200016857 A KR20200016857 A KR 20200016857A KR 20200100542 A KR20200100542 A KR 202001005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bead
fluid conduit
wall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68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28153B1 (ko
Inventor
츠비넥 트린차크
올드리쉬 코라리크
토마스 닥칼레크
Original Assignee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001005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05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81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81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57Details of ducts or cables
    • B60H1/00571Details of ducts or cables of liquid ducts, e.g. for coolant liquids or refrigera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3/00Non-disconnectible pipe-joints, e.g. soldered, adhesive or caulked joints
    • F16L13/14Non-disconnectible pipe-joints, e.g. soldered, adhesive or caulked joints made by plastically deforming the material of the pipe, e.g. by flanging, rolling
    • F16L13/16Non-disconnectible pipe-joints, e.g. soldered, adhesive or caulked joints made by plastically deforming the material of the pipe, e.g. by flanging, rolling the pipe joint consisting of overlapping extremities having mutually co-operating colla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7/00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 F16L47/02Welded joints; Adhesive joi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9/00Rigid pipes
    • F16L9/12Rigid pipes of plastics with or without reinforc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9/00Rigid pipes
    • F16L9/12Rigid pipes of plastics with or without reinforcement
    • F16L9/127Rigid pipes of plastics with or without reinforcement the walls consisting of a single layer
    • F16L9/128Reinforced pi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9/00Rigid pipes
    • F16L9/14Compound tubes, i.e. made of material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preceding grou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Rigid Pipes And Flexible Pipes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 Non-Disconnectible Joints And Screw-Threaded J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관 개구(3)의 영역에 적어도 주로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관 접속부(2)를 포함하는 가열 및 에어컨 시스템용 유체 도관(1)에 관한 것이며, 관 원주를 따라 연장하며 외부로 돌출한 플라스틱 비드(4)가 상기 관 접속부(2) 내에 형성되고, 마찬가지로 관 원주를 따라 연장하는, 금속 또는 금속 합금으로 이루어진 링(5)이 상기 비드(4) 상에 제공된다. 폴리머 재료로 이루어진 비드 상에 형성된 링은 상이한 열적 및 기계적 조건 하에서 관 접속부의 저항성을, 높은 온도 및 높은 압력에서도 비드의 정확한 기능을 보장하기 위한 필요한 정도로 높인다.

Description

가열 및 에어컨 시스템용 유체 도관{FLUID CONDUIT FOR A HEATING AND AIR CONDITIONING SYSTEM}
본 발명은 특히 자동차내의 가열 및 에어컨 시스템용 유체 도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주요 적용 분야는 플라스틱 가열 관, 즉 적어도 주로 폴리머 재료로 이루어지는 가열 관이다. 이들은 점점 더 금속 관, 및 예컨대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진 관 접속부를 대체한다. 종래 기술에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유체 라인이 개시되어 있으며, 상기 유체 라인은 통상적으로 가요성 튜브, 예를 들면 고무 튜브를 통해 다른 조립체 또는 라인에 연결된다.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이런 유체 라인은 그 개구에 바로 인접하게 원주비드를 포함하고, 상기 비드 위로 가요성 튜브가 밀려진다.
DE 20 2004 000 045 U1은 변형 예로서,개구 측 원주 플랜지 대신에 적어도 개구에 인접하지 않고 유체 라인의 개구를 한정하는 선단(front edge)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외부로 돌출한 원주벌징(bulging)을 구비한 플라스틱-금속 복합 관의 형태인 유체 라인을 제안한다. 이러한 유체 라인들을 서로 또는 유체 라인을 차량의 조립체에 연결하기 위해, 탄성 튜브가 관 상으로 그리고 상기 벌징 위로 밀려진다.
폴리머 재료의 사용의 문제점은 일반적으로 상기 폴리머 재료가 온도 및/또는 압력의 증가에 따라 불안정한 상태로 된다는 것이다. 퀵 커넥터(quick connector)와의 연결을 위한,비드를가진 관 접속부를 구비한 플라스틱 유체 도관을 사용하면, 특히 높은 온도 및/또는 높은 압력에서, 마찬가지로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비드가 종종 퀵 커넥터로부터 비드의 바람직하지 않은 분리에 대한 충분한 내성을 갖지 않을 위험이 있다. 이를 피하기 위해, 지금까지는 복잡한 정밀 제조가 필요했다.
본 발명의 과제는높은 온도 및 높은 압력에서 종래 기술에 비해 연결부의 개선된 안정성을 보장하는, 퀵 커넥터에 연결을 위한 또는 유체 도관의 다른 유형의 연결을 위한 관 접속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과제는 가열 및 에어컨 시스템에 적합한, 청구항 제 1항의 특징들을 갖는 유체 도관에 의해 해결된다. 바람직한 개선들은 종속 청구항들에 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유체 도관은 관 개구의 영역에적어도 주로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관 접속부를 포함하고, 관 원주를 따라 연장하는, 외부로 돌출한 플라스틱 비드가상기 관 접속부 내에 형성되고, 마찬가지로 관 원주를 따라 연장하는, 금속 또는 금속 합금으로 이루어진 링이 상기 플라스틱 비드 상에 제공된다.
본 발명의 핵심은 퀵 커넥터 또는 다른 방식의 커넥터에 연결하기 위해 제공되는, 적어도 주로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는 관 접속부의 디자인이다. 본 발명의 구상에 따라, 관 접속부의 안정성 및 그에 따라 관 접속부와퀵 커넥터 또는 다른 유형의 커넥터 사이의 연결부의 내성을 높이기 위해, 금속 링 또는 금속 합금으로 이루어진 링이 폴리머 관의 폴리머비드, 즉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비드 상에 형성된다.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 링은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이루어진다.
폴리머 재료로 이루어진 비드 상에 형성된 링은 상이한 열적 및 기계적 조건 하에서 관 접속부의 저항성을, 높은 온도 및 높은 압력에서도 비드의 정확한 기능을 보장하기 위한 필요한 정도로 높인다. 따라서 적어도 주로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유체 도관은, 높은 온도 및/또는 높은 압력이 주어지며 플라스틱 재료, 특히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비드가퀵 커넥터 또는 다른 유형의 연결부와의 연결의 지속 시간에 따라 불안정해질 수 있는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따라서, 플라스틱 관의 사용 시, 지금까지의 문제점이 해결될 수 있다.
링은 바람직하게는 비드의 단면에 상응하는 단면을 갖기 때문에, 링은 비드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적절하게 둘러싼다. 따라서, 금속 링은 예를 들면 실질적인 U-형 단면을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비드 및 링이 관 개구를 한정하는 선단에 인접하지 않고, 상기 선단으로부터 이격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 관 개구는상기 선단의 방향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관 접속부의 나머지 직경에 비해 테이퍼되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비드는 변형 영역에서 관 벽의 변형에 의해 형성되고, 관 내벽 내의 주위 오목부는 관 외벽 상의 주위 비드에 대향한다. 바람직하게는 변형은 폴딩이므로, 변형 영역은 폴딩 구역이다. 이 경우, 상기 주위 오목부는 마찬가지로 주위의 중앙 폴딩을 갖는 주위 홈으로서 관 내벽 내의 최대 오목부의 위치에 형성된다. 관 내벽 내의 최대 오목부의 위치는 관 외벽 상의 비드 직경의 최대치의 위치에 대향하고, 중앙 폴딩 양측에서 이것에 인접한 상기 주위 홈의 면들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서로 접촉한다. 인접한 면들이 서로 완전히 접촉하는 실시 예에서, 상기 주위 홈은 3개의 주위의 평행한 폴딩을 포함하고, 중앙 폴딩 양측에서 2개의 외부 폴딩은 마찬가지로 서로 접촉하는 상기 주위 홈의 2개의 외부 가장자리에 형성된다.
본 발명의 대안적 실시 예에 따르면, 외부로 돌출한 비드는 관 둘레 상의 관 벽의 주위의 두꺼워진 부분으로서 형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세부 사항, 특징 및 장점은 관련 도면들을 참조해서 이루어지는 실시예들에 대한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나타난다.
도 1은 관 접속부의 영역에서 유체 도관의 길이 방향 단면도이고,
도 2는 대안적 실시 예에 따른 관 접속부의 영역에서 유체 도관의 길이 방향 단면도이며,
도 3는 유체 도관의 관 접속부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1에는 가열 및 에어컨 시스템용 유체 도관(1)의 길이 방향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관 접속부(2)는 이 단면도에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유체 도관(1)은 적어도 주로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다. 관 접속부(2)는 관 개구(3)의 영역에 배치되고, 관 원주를 따라 연장하며 외부로 돌출하고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비드(4)는 상기 관 접속부(2) 내에 형성된다. 마찬가지로 관 원주를 따라 연장하는 링(5), 바람직하게는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이루어진 링(5)이 상기 비드(4)에 제공된다. 폴리머비드(4) 및 링(5)은 관 개구(3)를 한정하는 선단(6)에 인접하지 않고, 상기 선단(6)으로부터 이격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5)은 폴리머비드(4)의 단면에 상응하는 U-형 단면을 갖고, 비드(4)를 적절하게 둘러싼다. 유체 도관(1)과 도시되지 않은 퀵 커넥터 또는 다른 유형의 커넥터의 기존 연결 시, 비드(4) 상에 제공된 금속 링(5)은 이에 연결된 폴리머비드(4)의 강화부로 인해, 퀵 커넥터로부터 강화된 비드의 연결부의 분리를 방해한다. 따라서 링은 인장력의 적용 시에도, 높은 내부 압력에서도 또는 높은 온도에서도 비드의 정확한 기능을 대부분 보장한다.
도 1에 도시된 실시 예에 따르면, 비드(4)는 변형 영역(8)에서 관 벽(7)의 변형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변형 영역(8)에서 관 내벽(7b) 내의 원주 오목부(9)는 관 외벽(7a) 상의 원주 비드(4)에 대향한다. 변형은 도시된 실시 예에 따라 폴딩이며, 변형 영역(8)은 폴딩 구역(8)이고, 상기 원주 오목부(9)는 - 마찬가지로 원주의 - 중앙 폴딩(10)을 가진 원주 홈(9)으로서 관 내벽(7b) 내의 최대 오목부(9a)의 위치에 형성된다. 관 내벽(7b) 내의 최대 오목부(9a)의 위치는 관 외벽(7a) 상의 비드 직경(4a)의 최대치의 위치에 대향하고, 중앙 폴딩(10) 양측에서 이것에 인접하는 상기 주위 홈(9)의 면들(11a, 11b)은 대부분이 서로 접촉하거나 또는 서로 압착된다. 인접한 면들(11a, 11b)은 서로 완전히 접촉할 수도 있다. 그 경우, 주위의 홈(9)는 3개의 주위의 평행한 폴딩을 포함하고, 중앙 폴딩(10) 양측에 2개의 외부 폴딩이 마찬가지로 서로 접촉하는 상기 주위 홈(9)의 외부 가장자리(12a, 12b)의 위치에 형성된다.
도 2는 대안적 실시 예에 따른 가열 및 에어컨 시스템용 유체 도관(1)의 길이 방향 단면도를 도시한다. 이 단면도에서도 관 접속부(2)가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유체 도관(1)은 주로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다. 관 접속부(2)는 관 개구(3)의 영역에 배치되고, 관 둘레 상에서 외부로 돌출하며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주위 비드(4)가 상기 관 접속부(2) 내에 형성된다. 이 경우, 마찬가지로 관 둘레 상의, 바람직하게는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이루어진 링(5)이 상기 비드(4) 상에 부착된다. 폴리머 비드(4) 및 링(5)은 관 개구(3)를 한정하는 선단(6)에 인접하지 않고, 선단(6)으로부터 이격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5)은 폴리머 비드(4)의 단면에 상응하는 U 형 단면을 갖고, 비드(4)를 적합하게 둘러싼다. 도 1에 도시된 실시 예와는 달리, 도 2는 - 관 내벽(7b) 상의 주위 홈 없이 - 단지 관 둘레 상의 관 벽(7)의 주위의 두꺼워진 부분(13)으로서만 형성된 비드(4)를 도시한다.
도 3는 유체 도관의 관 접속부(2)의 개략적인 측면도를 도시한다. 관 개구(3)의 선단(6)으로부터 이격된 금속 링(5)은 이 도면에서 나타나지 않는 비드를 완전히 덮는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 개구(3)의 단부 영역은 상기 선단(6)의 방향으로 관 접속부(2)의 나머지 직경에 비해 테이퍼되어 형성된다.
1: 유체 도관
2: 관 접속부
3: 관 개구
4: 비드
4a: 비드 직경의 최대치의 위치
5: 링
6: 선단
7: 관 벽
7a: 관 외벽
7b: 관 내벽
8: 변형 영역, 폴딩 구역
9: 주위 오목부, 주위 홈
9a: 최대 오목부
10: 중앙 폴딩
11a: 중앙 폴딩에 인접한 면
11b: 중앙 폴딩에 인접한 면
12a: 주위 홈의 외부 가장자리
12b: 주위 홈의 외부 가장자리
13: 주위의 두꺼워진 부분

Claims (10)

  1. 관 개구(3)의 영역에 적어도 주로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관 접속부(2)를 포함하는 가열 및 에어컨 시스템용 유체 도관(1)으로서, 관 원주를 따라 연장하며 외부로 돌출한 플라스틱 비드(4)가 상기 관 접속부(2) 내에 형성되고, 마찬가지로 관 원주를 따라 연장하는, 금속 또는 금속 합금으로 이루어진 링(5)이 상기 비드(4) 상에 제공되는, 유체 도관(1).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링은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도관(1).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링(5)은 상기 비드(4)의 단면에 상응하는 단면을 갖고, 상기 비드(4)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적절하게 둘러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도관(1).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링(5)은 U-형 단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도관(1).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비드(4) 및 상기 링(5)은 상기 관 개구(3)를 한정하는 선단(6)에 인접하지 않고, 상기 선단(6)으로부터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도관(1).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관 개구(3)는 상기 선단(6)의 방향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관 접속부(2)의 나머지 직경에 비해 테이퍼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도관(1).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비드(4)는 변형 영역(8)에서 관 벽(7)의 변형에 의해 형성되고, 관 내벽(7b) 내의 주위 오목부(9)는 관 외벽(7a) 상의 주위 비드(4)에 대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도관(1).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은 폴딩이고, 상기 변형 영역(8)은 폴딩 구역이며, 상기 주위 오목부(9)는 마찬가지로 주위의 중앙 폴딩(10)을 갖는 주위 홈(9)으로서 상기 관 내벽(7b) 내의 최대 오목부(9a)의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관 내벽(7b) 내의 상기 최대 오목부(9a)의 위치는 상기 관 외벽(7a) 상의 비드 직경(4a)의 최대치의 위치에 대향하고, 상기 중앙 폴딩(10) 양측에서 상기 중앙 폴딩(10)에 인접한 상기 주위 홈(9)의 면들(11a, 11b)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서로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도관(1).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주위 홈(9)은 3개의 주위의 평행한 폴딩을 포함하고, 상기 중앙 폴딩(10) 양측에서 2개의 외부 폴딩은 서로 접촉하는, 상기 주위 홈(9)의 2개의 외부 가장자리(12a, 12b)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도관(1).
  10. 제 1항에 있어서, 외부로 돌출한 상기 비드(4)는 관 둘레 상의, 관 벽(7)의 주위의 두꺼워진 부분(3)으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도관(1).
KR1020200016857A 2019-02-15 2020-02-12 가열 및 에어컨 시스템용 유체 도관 KR10232815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9103844.8 2019-02-15
DE102019103844.8A DE102019103844B4 (de) 2019-02-15 2019-02-15 Fluidleitungsrohr für eine Heiz- und Klimaanlag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0542A true KR20200100542A (ko) 2020-08-26
KR102328153B1 KR102328153B1 (ko) 2021-11-19

Family

ID=718442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6857A KR102328153B1 (ko) 2019-02-15 2020-02-12 가열 및 에어컨 시스템용 유체 도관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20105780A1 (ko)
KR (1) KR102328153B1 (ko)
CN (1) CN113454382B (ko)
DE (1) DE102019103844B4 (ko)
WO (1) WO2020167002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37130A (ko) * 2007-10-11 2009-04-15 주식회사 두원공조 차량용 에어컨 시스템의 배관 플랜지 연결구조
KR20180006282A (ko) * 2016-07-08 2018-01-17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플라스틱 밀봉 부속품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837103A (en) * 1929-04-17 1931-12-15 Betz Wilhelm Welded spigot-and-socket joint
US2047714A (en) * 1934-12-29 1936-07-14 Ingersoll Rand Co Hose coupling
US3494643A (en) * 1966-06-03 1970-02-10 Pacific Western Extruded Produ Beaded plastic tubing joint
US3715800A (en) * 1969-12-16 1973-02-13 Mueller Co Method of making a coupling joint
US3687167A (en) * 1970-09-04 1972-08-29 Pacific Western Extruded Produ Beaded plastic tubing joint and fabrication
DE2200874A1 (de) * 1971-07-19 1973-08-30 Aristovoulos George Petzetakis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anbringen von innenkalibrierten einsteckmuffen mit dichtungsmittelsicke an rohren aus thermoplastischem kunststoff
US3994515A (en) * 1975-11-21 1976-11-30 Cotten Roger C Joinder of plastic pipe
DE3739626C2 (de) * 1987-11-23 1996-03-07 Schaefer Stettiner Schrauben Steckverbindung
US4850621A (en) * 1988-03-22 1989-07-25 Usui Kokusai Sangyo Kabushiki Kaisha Structure having interconnected metal tubes
JP2544194B2 (ja) * 1988-11-26 1996-10-16 史朗 金尾 耐圧螺旋波形管
KR950005493Y1 (ko) * 1992-10-30 1995-07-12 이주형 보강철판이 매입된 내압 합성수지 나선관
KR950007033Y1 (ko) * 1992-11-09 1995-08-24 이주형 내압 나선관
US5297586A (en) * 1993-03-16 1994-03-29 Mcintosh Robert Flexible metal hose assembly incorporating modified braid ring with annular member having tools flats
US5622394A (en) * 1995-03-15 1997-04-22 Bundy Corporation Corrosion-resistant joint
US6016842A (en) * 1996-01-17 2000-01-25 Titeflex Corporation End fittings for metal hose assemblies and method of attachment
US6851723B2 (en) * 2001-09-28 2005-02-08 Usui Kokusai Sangyo Kaisha, Ltd. Ring joint, connection structure for connecting piping and ring joint, and method of connecting ring joint and piping
JP4298357B2 (ja) * 2003-04-08 2009-07-15 三桜工業株式会社 管の接続構造
KR20110096650A (ko) * 2010-02-23 2011-08-31 주식회사 화승알앤에이 튜브-소켓 어셈블리 및 그 제조 방법
GB2546669B (en) * 2015-07-24 2018-02-28 Hydra Ring Ltd A Conduit connecting ferrule with inwardly directed protrusions
DE102016114462A1 (de) * 2016-08-04 2018-02-08 Veritas Ag Verbindungsvorrichtung mit einer haltemanschette
DE102018121047A1 (de) * 2018-08-29 2020-03-05 Stiebel Eltron Gmbh & Co. Kg Verbindungsanordnung eines Rohranschlusses an einem Haustechnikgerät sowie Haustechnikgerät mit einer solchen Verbindungsanordnung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37130A (ko) * 2007-10-11 2009-04-15 주식회사 두원공조 차량용 에어컨 시스템의 배관 플랜지 연결구조
KR20180006282A (ko) * 2016-07-08 2018-01-17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플라스틱 밀봉 부속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3454382A (zh) 2021-09-28
DE102019103844B4 (de) 2021-02-25
DE102019103844A1 (de) 2020-08-20
WO2020167002A1 (en) 2020-08-20
CN113454382B (zh) 2023-09-05
KR102328153B1 (ko) 2021-11-19
US20220105780A1 (en) 2022-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93483A (en) Composite gasket and fitting including same
US5791696A (en) Hose with a protector
RU2622341C2 (ru) Зажимное соединение для труб
US6460897B1 (en) Connector for flexible pipes having at least one resilient sealing ring
US10563802B2 (en) Device for hose fitting
US7806442B2 (en) Hose coupling with molded seal insert
EP3513109B1 (en) Seal
GB2328259A (en) Push-fit tube coupling
ITTO20090978A1 (it) Tubo con connessione perfezionata preferibilmente per un circuito di aria condizionata
US4637618A (en) Composite gasket and fitting including same
EP0661490B1 (en) Hose with protector
US5700041A (en) Radially engageable leakproof coupling
KR102328153B1 (ko) 가열 및 에어컨 시스템용 유체 도관
US6447026B2 (en) Arrangement for connecting two pipes
EP0032824B1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pipe joints and pipe couplings
CN110892186B (zh) 流体管道
US6902486B2 (en) Tripod joint assembly
JP7413006B2 (ja) 合成樹脂フランジ管継手
JP4103777B2 (ja) 配管継手のシール構造
EP3875826B1 (en) Coupling assembly for an air conditioning unit of a vehicle
EP2990710B1 (en) Ducting apparatus
CN218152922U (zh) 空调管路组件及空调管路系统
US8955886B2 (en) Hydraulic ducts and connecting assemblies
HUT57882A (en) Self-sealing joint between tube and sleeve
CN209540272U (zh) 一种汽车温控系统的管路接头及汽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