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0438A - 블록체인 기반의 채용 추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 Google Patents

블록체인 기반의 채용 추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0438A
KR20200100438A KR1020190018729A KR20190018729A KR20200100438A KR 20200100438 A KR20200100438 A KR 20200100438A KR 1020190018729 A KR1020190018729 A KR 1020190018729A KR 20190018729 A KR20190018729 A KR 20190018729A KR 20200100438 A KR20200100438 A KR 202001004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ob
terminal
recruitment
job seeker
fi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87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동원
Original Assignee
(주)제니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제니엘 filed Critical (주)제니엘
Priority to KR10201900187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00438A/ko
Publication of KR202001004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043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8Au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1Scheduling, planning or task assignment for a person or group
    • G06Q10/063112Skill-based matching of a person or a group to a tas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5Human resources
    • G06Q10/1053Employment or hi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06Q30/0215Including financial accounts
    • G06Q30/0216Investment account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conom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블록체인 기반의 채용 추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인 기업의 채용 관리자가 소지하며 채용 공고를 업로드하는 구인기업 단말, 구직을 원하는 개인이 소지하며, 개인 이력서를 포함한 개인 데이터를 블록 체인 형태로 상기 구인 기업 단말 및 다른 구직자 단말과 공유하는 구직자 단말, 상기 구인 기업 단말에게 상기 구직을 원하는 개인을 추천해주는 추천자가 소지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직자 단말로부터 구직을 원하는 개인의 개인 이력서를 포함한 개인 데이터를 블록체인 형태로 수집하여 저장하고, 상기 구인 기업 단말에서 업로드되는 채용 공고와 상기 구직자 단말로부터 업로드되는 구직자의 개인 데이터를 데이터 마이닝하여 구인 기업에 매칭되는 개인 데이터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구인 기업 단말로 상기 구직을 원하는 개인을 추천해주는 추천자 단말 및 상기 추천자 단말의 추천에 의해 구직을 원하는 개인과 구인 기업 간에 채용이 성사될 경우에 그 보상으로 보상 토큰을 상기 추천자 단말로 지급하는 채용 추천 서비스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블록체인 기반의 채용 추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System for Providing Acquaintance Recommending Recruiting service Based on Block Chain and Driv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채용 추천 서비스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블록체인 기반의 채용 추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취업 사이트를 이용한 채용 시스템에서는 구직을 원하는 개인과 구인을 원하는 구인 기업으로부터 정보를 입력받아 일방적으로 유통하는 방식이다.
이 같은 기존의 채용 방식에 따르면 구직을 원하는 개인이 입력하는 데이터가 최종 채용 이전에는 가치를 제공하지 못한다는 한계가 따른다. 또한 개인의 이력서를 검색하는 비용을 개인이 아닌 채용 기업에서 부담하여 그 수익을 중개 업체인 취업 사이트 제공자가 취하는 형태이다.
또한, 기존 취업 사이트를 이용한 채용 시스템에서는 구직자가 이력서를 올려놓고 수동적으로 구인 기업으로부터의 연락을 기다려야 한다. 또한 구인 기업의 경우 채용 공고를 올려놓고 구직자의 지원을 기다려야 한다.
한편, 이력서 검색에 소요되는 시간(기회비용)이 과도하게 발생한다. 또한 구인 기업으로부터 업로드 해놓은 이력서에 대한 반응으로 면접 요청을 받은 구직자가 면접에 참여하지 않는 비참여자 비중이 매우 높은 실정이다.
뿐만 아니라 구직을 원하는 개인에 대한 기업의 평가가 명확하지 않고, 특히 개별 기업이 아닌 공공 성격의 기관들은 채용에 있어서 그 기준이 보다 명확하고 투명해야 할 사회적 합의가 높음에도 불구하고 기대에 부응하는 데에 한계가 있다.
KR 2002-0094789 A KR 2002-0067755 A
본 발명은 이 같은 배경에서 도출된 것으로 개인이 소유하고 있는 구직 데이터는 개인의 자산으로 개인 가치를 증진시키는 방안을 제공할 수 있는 채용 추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채용 정보에 관한 구직자의 개인 데이터의 주권을 구직자가 갖도록 하고, 이에 대한 반대 급부로 이력서를 포함하는 개인 데이터와 채용 공고 데이터 시장에서 거래되는 거래수수료가 확보될 수 있도록 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채용 추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나아가 인적 네트워크를 시스템화하여 채용 공고에 대한 구직자 추천과 보상을 활성화 시킬 수 있는 보안성, 투명성,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채용 추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구성을 포함한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채용 추천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구인 기업의 채용 관리자가 소지하며 채용 공고를 업로드하는 구인기업 단말, 구직을 원하는 개인이 소지하며, 개인 이력서를 포함한 개인 데이터를 블록 체인 형태로 상기 구인 기업 단말 및 다른 구직자 단말과 공유하는 구직자 단말, 상기 구인 기업 단말에게 상기 구직을 원하는 개인을 추천해주는 추천자가 소지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직자 단말로부터 구직을 원하는 개인의 개인 이력서를 포함한 개인 데이터를 블록체인 형태로 수집하여 저장하고, 상기 구인 기업 단말에서 업로드되는 채용 공고와 상기 구직자 단말로부터 업로드되는 구직자의 개인 데이터를 데이터 마이닝하여 구인 기업에 매칭되는 개인 데이터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구인 기업 단말로 상기 구직을 원하는 개인을 추천해주는 추천자 단말 및 상기 추천자 단말의 추천에 의해 구직을 원하는 개인과 구인 기업 간에 채용이 성사될 경우에 그 보상으로 보상 토큰을 상기 추천자 단말로 지급하는 채용 추천 서비스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블록체인 기반의 채용 추천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동방법은 구인 기업의 채용 관리자가 소지하는 구인기업 단말이 채용 공고를 블록체인 형태로 다른 구인 기업 단말 및 구직자 단말과 공유하는 단계, 구직을 원하는 개인이 소지하는 구직자 단말이 개인 이력서를 포함한 개인 데이터를 블록 체인 형태로 상기 구인 기업 단말 및 다른 구직자 단말과 공유하는 단계, 상기 구인 기업 단말에게 상기 구직을 원하는 개인을 추천해주는 추천자가 소지하는 추천자 단말이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직자 단말로부터 구직을 원하는 개인의 개인 이력서를 포함한 개인 데이터를 블록체인 형태로 수집하여 저장하는 단계, 상기 추천자 단말이 상기 구인 기업 단말에서 업로드되는 채용 공고와 상기 구직자 단말로부터 업로드되는 구직자의 개인 데이터를 데이터 마이닝하여 구인 기업에 매칭되는 개인 데이터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천자 단말이 상기 추출된 매칭되는 개인 데이터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구인 기업 단말로 상기 구직을 원하는 개인을 추천해주는 단계 및 채용 추천 서비스 서버가 상기 추천자 단말의 추천에 의해 구직을 원하는 개인과 구인 기업 간에 채용이 성사될 경우에 그 보상으로 상기 추천자 단말로 보상 토큰을 지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개인이 소유하고 있는 구직 데이터는 개인의 자산으로 개인 가치를 증진시키는 방안을 제공할 수 있는 채용 추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채용 추천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채용 정보에 관한 구직자의 개인 데이터의 주권을 구직자가 갖도록 하고, 이에 대한 반대 급부로 이력서를 포함하는 개인 데이터와 채용 공고 데이터 시장에서 거래되는 거래수수료가 확보되도록 할 수 있다.
나아가 인적 네트워크를 시스템화하여 채용 공고에 대한 구직자 추천과 보상을 활성화 시킬 수 있는 보안성, 투명성,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채용 추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 은 기존의 채용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채용 추천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드 간 연결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채용 추천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 구직자와 구인 기업의 매칭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채용 추천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그 구동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발명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기존의 채용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 에서 알 수 있듯이, 현재 이용되는 채용 시스템은, 일예로 구인 기업은 채용 공고를 제공하고, 구직자는 이력서 정보를 제공하여 인터넷 취업 사이트에서 정보를 일방적으로 유통시키는 방식이다.
이 같은 기존의 채용 시스템은 채용 절차가 단순하고 단방향 직선적인 정보 제공, 활용 과정에 따라 단순한 광고 노출 위주의 일방 통행적 서비스라는 한계가 있다. 즉 구인 기업과 구직자 간의 정보 참여와 공유가 제한된다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구인 기업의 채용 공고와 구직자의 이력서를 연결시키는 경우에 미스매칭 확률이 높았다.
종래의 시스템에서는 구직을 원하는 개인이 입력하는 데이터가 최종 채용 이전에는 어떤 가치를 제공하지 못했다. 즉, 개인의 이력서를 검색하는데 구인 기업이 지불하는 금액이 개인에게 전달되지 못하고 정보들을 개시하는 역할에 불과한 취업 사이트에 귀속되어왔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채용 추천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록체인 기반의 채용 추천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구인 기업 단말(10), 구직자 단말(20), 및 채용 추천 서비스 서버(30)를 포함한다. 개인이 소지하는 구직자 단말(20)들 중 일부를 지인인 구직자를 구인 기업에 추천해주는 추천자 역할을 하는 개인이 소지하는 추천자 단말(25)로 구분하여 설명한다.
구인 기업 단말(10)은 구인 기업의 채용 관리자가 소지하며 채용 공고를 업로드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구인 기업 단말(10)은 PC, 팜탑(palmtops), 피디에이(Personal Digital Assistants;PDAs),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스마트폰과 같은 통신 단말 장치, 휴대용 멀티미디어 재생기(PMP), 또는 UMPC(Ultra-mobile PC) 및 MID(Mobile Internet Device) 등 다양한 단말에 적용할 수 있다.
구직자 단말(20)은 구직을 원하는 개인이 소지하며, 개인 이력서를 포함한 개인 데이터를 블록 체인 형태로 구인 기업 단말(10) 및 다른 구직자 단말(20)과 공유한다.
구직자 단말(20)은 PC, 팜탑(palmtops), 피디에이(Personal Digital Assistants;PDAs),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스마트폰과 같은 통신 단말 장치, 휴대용 멀티미디어 재생기(PMP), 또는 UMPC(Ultra-mobile PC) 및 MID(Mobile Internet Device) 등 다양한 단말에 적용할 수 있다.
구직자들 중 구인 기업 단말(10)에게 구직을 원하는 개인을 추천해주는 추천자가 소지하는 단말을 추천자 단말(25)로 구분하여 설명한다. 추천자 단말(25)과 구직자 단말(20)은 기술적으로 동일한 구성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설명의 편의를 위해 그 역할에 따라 구분한 것이다.
추천자 단말(25)은 구인 기업 단말(10)에게 구직을 원하는 개인 즉 동료나 회사 후배를 구인 기업에 추천해주는 추천자가 소지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직자 단말(20)로부터 구직을 원하는 개인의 개인 이력서를 포함한 개인 데이터를 블록체인 형태로 수집하여 저장한다.
그리고 추천자 단말(25)은 구인 기업 단말(10)에서 업로드되는 채용 공고와 구직자 단말(20)로부터 업로드되는 구직자의 개인 데이터를 데이터 마이닝하여 구인 기업에 매칭되는 개인 데이터 정보를 추출하여 구인 기업 단말(10)로 구직을 원하는 개인을 추천해준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데이터마이너인 추천자 단말(25)은 구직자로부터의 개인 데이터와 구인 기업으로부터의 채용 공고 데이터를 원하는 형태로 바꾸고 분석해서 필요한 정보를 찾아낸다. 즉, 추천자 단말(25)은 정보를 분석하는 도구(소프트웨어)를 통해 데이터를 다양한 차원과 관점에서 분류하고 요약하고 분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추천자 단말(25)은 데이터마이닝을 하기에 앞서 목적을 파악하고, 어떤 형식으로 데이터마이닝을 할지 결정한다. 그 다음 필요한 데이터를 결정하고, 분석 목적에 맞는 형태로 데이터를 바꿀수 있다. 데이터마이닝을 실행하여 필요한 정보를 찾아낸 뒤, 그 결과가 유용한지를 판단하고, 유용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필요한 정보들을 이용하는 것이다.
추가적으로 분석을 통해 데이터에 오류가 있지는 않은지를 알아내기도 한다. 이때, 학문적인 이론이나 상식과 관계없이 순수하게 데이터의 연관성을 분석하기도 한다.
채용 추천 서비스 서버(30)는 추천자 단말(25)의 추천에 의해 구직을 원하는 개인과 구인 기업 간에 채용이 성사될 경우에 그 보상으로 보상 토큰을 추천자 단말(25)로 지급한다.
채용 추천 서비스 서버(30)는 블록체인 형태로 개인 데이터와 구인 기업의 채용 정보가 분산화되어 저장되는 데 필요한 전반적인 동작을 수행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채용 추천 서비스 서버(30)는 암호 화폐(토큰)를 발행한다. 즉 채용 추천 서비스 서버(30)는 마이닝(채굴 or 가공)프로그램을 저장한다.
이 같은 마이닝 프로그램을 다운받은 사용자 하나하나를 노드(Node, 단말)라고 부르는데, 이 노드들이 서로 연결되어 컴퓨팅파워(cpu나 그래픽카드의 연산력의 합)를 제공하여 일반 지갑들 사이에 이루어지는 암호화폐의 전송기록들을 블록체인에 일일이 기록하고 암호화하는 작업을 수행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블록체인에 구직을 희망하는 개인의 이력서와 같은 개인 데이터와 구인 기업의 채용정보가 분산화되어 저장된다.
채용 추천 서비스 서버(30)는 구직자 단말(20)과 구인 기업 단말(10), 추천자 단말(25)로 구현되는 노드들에게 각자가 제공한 컴퓨팅 파워(Hash, 해쉬)에 비례하여 확률적으로 신규코인을 생성하여 나누어 주기도 하고, 전송에 필요한 수수료들을 모아서 나누어주기도 한다.
이러한 신규코인(비트코인의 경우 현재 약 10분에 20개 생성)과 전송수수료들이 노드(Node)들로 하여금 이러한 블록체인의 암호화 작업에 참여하도록 하는 동기가 되는데 이러한 행위를 ‘채굴(마이닝)’ 이라고 부른다.
일예로 비트코인의 경우 신규블럭은 10분에 하나씩 생성이 되는데 이는 10분 동안 전체 네트워크에서 이루어진 전송기록들을 모두 모아 암호화시켜 놓은 것이다. 이러한 블록 하나하나가 누적적으로 기록된 것이 블록체인이다. 결론적으로 블록체인이라 함은 해당 가상화폐의 처음부터 지금까지의 거래 내역을 전부 암호화시켜 모아놓은 ‘거래장부’로 이해할 수 있다.
이러한 블록체인은 이와 연결되어 있는 일반지갑 사용자들 즉 구인 기업과 구직을 원하는 개인들이 지속적으로 동기화를 하며 자신의 컴퓨터와 네트워크상의 블록체인을 동기화시키게 되는데, 한 지갑 사용자가 코인의 전송을 네트워크에 요구하면 주변의 노드들이 순차적으로 해당 전송요청을 받아 이것이 올바른 전송 요청이라는 것을 블록체인에 기록하게 된다.
따라서 블록체인 기술을 적용함으로써 투명하게 그 거래내역을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채용 추천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이력서를 포함하는 개인의 중요 데이터를 분산저장 기술화하며(IPFS) 블록체인에는 인터랙션에 대한 데이터를 담아 민감한 개인 데이터에 대한 보안을 강화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블록체인의 비가역성에 의해 개인 데이터를 분산 저장함으로써 추천자의 채용 추천 체인을 정확하게 트래깅 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토큰들이 진정한 추천 및 거래가 이루어졌을때 거래되기 때문에 거래의 신뢰성을 보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허구의 인재 추천으로 인해 사기를 당하지 않도록 보장하여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떠한 본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공개 데이터를 제공하는 다양한 공공기관 정보와 필요시 개인 인증기관과의 강력한 네트워크 구축을 통해 신원 검증을 할 수 있다.
일 예로 구직을 희망하는 개인의 학력사항과 경력 정보등 신원 검증을 블록화하여 추천 상에 강력한 신원보장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신원 보장 데이터는 비가역적인 블록체인의 특성상 누구라도 쉽게 위변조를 할 수 없다는 강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개인적이고 예민한 정보를 블록체인 기술의 분산형 데이터 저장기술을 적용함으로써, 대규모의 해킹에 대비한 강력한 보안성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일 실시예에 따른 채용 추천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블록체인에 기반함으로써 구인 기업과 구직자들의 지속적인 참여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
특히 보상 토큰을 통해 추천에 대한 보상을 받으면 신뢰도가 높아지는 것이 눈에 보이기 때문에 신뢰도를 높일 경우에 받게될 차별화 요소 즉 커뮤니티에 미칠 파급력의 상승에 관심을 높일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커뮤니티는 성장할 수 있고, 커뮤니티의 성장에 따라 더 넓은 범위에서 참여자들을 유도할 수 있는 가능성을 내포할 수 있는 것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드 간 연결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기존의 일방향 커뮤니케이션 방식이 아닌 다방향 커뮤니케이션으로 발생하는 노드 연결의 효과가 있다.
다수의 노드 간의 커뮤니케이션은 연결 확률을 높이고, 노드 간 커뮤니케이션의 증가는 중간에 인플루언서를 양산하는 구조의 기초가 될 수 있다. 이때 인플루언서는 구직자들 중 구직자 정보와 구인 기업 정보를 매칭하여 구인 기업에 맞는 구직자의 추천 횟수가 많은, 추천자 역할을 수행하는 구직자일 수 있다.
또 여기서 인플루언서는 인스타그램이나 유튜브와 같은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서 수십만 명의 구독자(팔로어)를 보유한 ‘SNS 유명인’을 말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인플루언서(influencer)인 추천자가 핵심 노드로 작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채용 추천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따르면 개인 구직 데이터를 데이터 마이너로 고려하여 이에 대한 보상을 주고, 누군가 데이터를 확인할 경우 확인에 대한 수수료를 데이터 마이너에게 주는 방식으로 개인이 보유한 데이터를 디지털 자산화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채용 시스템에 블록 체인 기술을 도입하여 채용 프로세스의 투명화가 가능하다. 이에 따라 투명한 채용 절차 진행을 담보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용 추천 서비스 서버 즉 서비스 플랫폼에 의하면 개인 데이터에 대한 주권이 개인에게 있으므로, 기업은 구직을 원하는 개인들의 개인 데이터에 대한 열람과 컨택을 위해 플랫폼에서 제공하는 토큰을 구매하고 개인에게 지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보상 토큰은 구직자의 개인 데이터에 대한 반대급부 개념인 것으로, 채용 추천 서비스 서버(30)가 구직자의 개인 데이터를 열람하는 구인 기업 단말(10)로부터 수취하여, 개인 데이터를 제공한 구직자 단말(20)에게 참여에 대한 보상으로 지급하거나 추천자 단말(25)에게 채용 성사에 활용한 보상으로 지급하도록 설계되는 유틸리티 토큰이다.
유틸리티 토큰은 유틸리티 단어 그대로 유용성이 있는 토큰이다. 즉, 유틸리티 토큰은 어떤 서비스나 시스템을 사용하는 목적으로 사용되는 토큰이라 할 수 있다. 탈중앙화된 연산 비용을 지급하는 수단으로 디앱의 다양한 서비스에 접근하여 생산자에게는 보상을, 소비자에게는 소비를 위한 결제로 사용할 수 있게 설계된 토큰이다. 즉, 웹상의 자산을 실물 자산과 연결시켜 준다는 점에서 유용성이 있다고 할 수 있다.
토큰을 이용하여 추천에 대한 보상을 받음으로써 신뢰도가 높아지는 것을 가시적으로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고, 신뢰도를 높일 경우에 받게될 차별화 요소, 즉 커뮤니티에 미칠 파급력의 상승에 관심을 갖게 된다. 이런 과정을 통해 커뮤니티는 성장할 수 있고, 성장되는 커뮤니티는 더 넓은 범위에서 참여자들을 유도할 수 있는 가능성을 내포하게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채용 추천 서비스 서버(30)는 구직을 원하는 개인이 특정 구인 기업의 면접 요청에 대해 면접 참여 의사를 밝혔음에도 불구하고 면접에 참석하지 못하는 경우, 특정 구인 기업으로부터 개인 데이터에 대한 열람권으로 지급 받은 토큰을 다시 특정 구인 기업으로 환급시키는 내용의 스마트 계약을 진행시킨다.
즉, 구직자 개인은 자신의 데이터 열람 기업에게 채용 프로세스 참가에 대한 명확한 피드백을 제공해줘야 하고 면접 참여에 의사를 밝힐 경우 꼭 참석해야한다. 그러나 참석하지 못할 경우에 데이터에 대한 열람권으로 지급받은 구인 기업에서 제공한 토큰을 다시 구인 기업에게 환급해주는 스마트 컨트랙트를 진행하게 된다.
스마트 컨트랙트는 계약 조건을 블록체인에 기록하고 조건이 충족됐을 경우 자동으로 계약이 실행되게 하는 프로그램이다.
스마트 컨트랙트는 문서로 작성된 기존의 계약서로 계약 이행시, 예상치 못한 계약서 파손, 분실과 같은 문제가 발생할 우려가 있고, 실제 계약서를 작성하는 등의 계약 수행시간이 걸리는 단점을 보완하여 컴퓨터 명령어로 계약을 작성하는 방법이다. 이는 계약을 체결하고 즉시 계약이 시행되어 시간절약 효과가 탁월하고, 명확한 계약 결과 및 신속한 진행을 장점으로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블록체인의 스마트 컨트랙트는 내용을 수정할 수 없기 때문에 구인 기업과 구직자 간의 보상 토큰의 지급 구조에 강제성을 가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스마트 컨트랙트에 의해 계약 내용에 따라서 자동으로 계약이 실행되기 때문에 제 3 자의 개입이나 협상의 여지가 없다. 스마트 컨트랙트에 포함된 조건이 충족되면 즉각적으로 그 보상을 받을 수 있다. 다시 말해 채용 프로세서 그 보상 지급 프로세스의 신뢰성과 투명성을 보장할 수 있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보상 토큰은 초기에 ICO 를 통해 미리 구매하고자 하는 사람들에게 판매되는 형태로도 구현될 수도 있다. 원천적으로는 서비스 플랫폼에서 구동되는 유틸리티 토큰이므로 실제로 개인 데이터에 대한 반대급부 개념이므로 참여 및 활용에 대한 보상의 개념으로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예를들어 구인 기업이 구직자의 개인 데이터를 열람 및 컨택 시 받게 되는 1 토큰이 있고, 면접 참여 시 받게 되는 2 토큰이 있으며, 채용성사 시에 받게 되는 20 토큰이 있을 수 있다.
이같이 전반적인 채용 프로세스에서 발생하는 결정의 순간을 보상 토큰으로 보상받게 되므로 이것을 산정하여 토큰의 발행량은 시기에 따라 증가하는 방식으로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용 추천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구직자가 자신의 이력서를 포함하는 개인 데이터를 올리고, 구인 기업은 제공되는 개인 데이터를 확인하여 채용 기준에 적합한 구직자를 채용한다. 그리고 구인 기업은 개인데이터에 대한 열람 비용을 제공하고, 인터뷰 후에 채용결정에 따라 약속된 비용을 토큰 형태로 지급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라 일 실시예에 따른 추천자 단말(25)은 소셜네트워크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s/sites, SNS) 서버로부터 구직을 원하는 개인의 계정에 업로드되는 게시물을 수집하고, 수집된 게시물을 데이터마이닝하여 구직을 원하는 개인의 개인 데이터에 더 반영한다.
즉, 페이스북과 같은 SNS에 기반하여 확보된 사용자들의 개인 데이터에 기반하여 구직을 희망하는 개인들에 대한 가치, 관심, 직업등을 반영한 성향을 분석하여 개인 성향에 맞는 일자리 정보를 제공해주는 것이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추천자 단말(25)은 SNS 서버로부터 수집된 게시물에 기반하여 구직을 희망하는 개인들의 인성, 경험, 스토리, 특기, 취미, 성향, 관심사, 전공, 개인 활동, 학점, 학력, 친구관계, 정치관 중 적어도 하나의 항목에 대한 분석이 가능하다.
이러한 양상에 따라 가입된 구직을 희망하는 개인들의 성향을 매핑하여 성향이 유사한 사람들과의 교류를 희망하는 사람들에게 유사 관심 기반의 커뮤니티를 구축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에 따라 성향이 유사한 사람들 간에 취업 스터디를 결성하거나, 취업 동아리와 같은 커뮤니티를 형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같은 커뮤니티 구축과정에서 유사 관심 집단 커뮤니티에 추천자의 추천 활동이 운영되는 것이 가능하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채용 추천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 구직자와 구인 기업의 매칭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데이터마이너인 추천자 단말 또는 채용 추천 서비스 서버는 구직자로부터의 개인 데이터와 구인 기업으로부터의 채용 공고 데이터를 원하는 형태로 바꾸고 분석해서 필요한 정보를 찾아낸다. 즉, 추천자 단말 또는 채용 추천 서비스 서버는 정보를 분석하는 도구(소프트웨어)를 통해 데이터를 다양한 차원과 관점에서 분류하고 요약하고 분석할 수 있다.
일 예로 개인 데이터에 포함되는 이력서의 경력, 기술, 자격, 직무능력, 전문기술, 지인 추천 항목에 대한 기록 내용을 분석하여 능동형인지, 진취적인지, 충돌형인지, 수동형인지, 등등의 세부 항목에 따른 평가를 수행하여 구직을 원하는 개인의 성격이나, 성향을 파악할 수 있다.
그리고 구인 기업에서 업로드하는 채용 공고에 기반하여 기업의 성향, 원하는 인재상에 대한 분석을 수행한다. 그리고 원하는 인재상이 능동형인지, 진취적인지, 충돌형인지, 수동형인지, 등등의 세부 항목에 대한 기준을 파악할 수 있다.
그리고 개인 데이터에 기반하여 파악된 구직을 원하는 개인의 성격, 성향과 인재상이 일치하는지를 평가 항목별로 매칭시켜 비교한다. 이에 따라 매칭도가 높은 구직자를 구인 기업에 추천해줄 수 있다.
특히 이때, 구직자의 개인 데이터는 지인 추천에 의한 래퍼런스가 평가 항목으로 포함한다. 추천자로부터의 추천수가 많을 수록 해당 항목의 점수가 높게 평가될 수 있다. 여기서 추천자는 구직을 원하는 개인의 직장 동료나 선배, 헤드헌터, 잡컨설턴드, 취업코치 중 한명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채용 추천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채용 정보에 관한 구직자의 개인 데이터의 주권을 구직자가 갖도록 하고, 이에 대한 반대 급부로 이력서를 포함하는 개인 데이터와 채용 공고 데이터 시장에서 거래되는 거래수수료가 확보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토큰 발행을 통해 개인 데이터에 대한 주권을 확보하게하고, 토큰화된 개인 데이터 자산 가치를 기축 크립토커런시로 변환하여 아톰 세계에서 변환하도록 할 수도 있다.
향후에 더 큰 생태계를 위한 토큰을 추가로 발행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한 초기 참여자들의 토큰 발행에 되한 합의에 대한 의사 결정에 대한 판단을 할 수 있도록 토큰 스테이킹을 보장해야 한다.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채용 추천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그 구동방법의 흐름도이다.
먼저, 구인 기업의 채용 관리자가 소지하는 구인기업 단말이 채용 공고를 블록체인 형태로 다른 구인 기업 단말 및 구직자 단말과 공유한다(S500)
그리고 구직을 원하는 개인이 소지하는 구직자 단말이 개인 이력서를 포함한 개인 데이터를 블록 체인 형태로 구인 기업 단말 및 다른 구직자 단말과 공유한다(S510).
이때 구인 기업 단말에게 구직을 원하는 개인을 추천해주는 추천자가 소지하는 추천자 단말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직자 단말로부터 구직을 원하는 개인의 개인 이력서를 포함한 개인 데이터를 블록체인 형태로 수집하여 저장한다(S520).
그리고 추천자 단말이 구인 기업 단말에서 업로드되는 채용 공고와 구직자 단말로부터 업로드되는 구직자의 개인 데이터를 데이터 마이닝하여 구인 기업에 매칭되는 개인 데이터 정보를 추출한다(S530).
이 후에 추천자 단말이 추출된 매칭되는 개인 데이터 정보에 기반하여 구인 기업 단말로 구직을 원하는 개인을 추천한다(S540). 채용 추천 서비스 서버가 추천자 단말의 추천에 의해 구직을 원하는 개인과 구인 기업 간에 채용이 성사될 경우에 그 보상으로 추천자 단말로 보상 토큰을 지급한다(S550).
일 양상에 따르면 여기서 토큰은, 구직자의 개인 데이터에 대한 반대급부 개념인 것으로, 구직자의 개인 데이터를 열람하는 구인 기업 단말로부터 수취하여, 개인 데이터를 제공한 구직자 단말에게 참여에 대한 보상으로 지급하거나 추천자 단말에게 채용 성사에 활용한 보상으로 지급하도록 설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용 추천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구직자가 자신의 이력서를 포함하는 개인 데이터를 올리고, 구인 기업은 제공되는 개인 데이터를 확인하여 채용 기준에 적합한 구직자를 채용한다. 그리고 구인 기업은 개인데이터에 대한 열람 비용을 제공하고, 인터뷰 후에 채용결정에 따라 약속된 비용을 토큰 형태로 지급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라 채용 추천 서비스 서버는 구직을 원하는 개인이 특정 구인 기업의 면접 요청에 대해 면접 참여 의사를 밝혔음에도 불구하고 면접에 참석하지 못하는 경우, 특정 구인 기업으로부터 개인 데이터에 대한 열람권으로 지급 받은 토큰을 다시 특정 구인 기업으로 환급시키는 내용의 스마트 계약을 진행한다.
즉, 구직자 개인은 자신의 데이터 열람 기업에게 채용 프로세스 참가에 대한 명확한 피드백을 제공해줘야 하고 면접 참여에 의사를 밝힐 경우 꼭 참석해야한다. 그러나 참석하지 못할 경우에 데이터에 대한 열람권으로 지급받은 구인 기업에서 제공한 토큰을 다시 구인 기업에게 환급해주는 스마트 컨트랙트를 진행하게 된다.
스마트 컨트랙트에 포함된 조건이 충족되면 즉각적으로 그 보상을 받을 수 있다. 다시 말해 채용 프로세서 그 보상 지급 프로세스의 신뢰성과 투명성을 보장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다르면 소셜네트워크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s/sites, SNS) 서버로부터 구직을 원하는 개인의 계정에 업로드되는 게시물을 수집하고, 수집된 게시물을 데이터마이닝하여 상기 구직을 원하는 개인의 개인 데이터에 더 반영할 수 있다.
즉, 페이스북과 같은 SNS에 기반하여 확보된 사용자들의 개인 데이터에 기반하여 구직을 희망하는 개인들에 대한 가치, 관심, 직업등을 반영한 성향을 분석하여 개인 성향에 맞는 일자리 정보를 제공해주는 것이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추천자 단말은 SNS 서버로부터 수집된 게시물에 기반하여 구직을 희망하는 개인들의 인성, 경험, 스토리, 특기, 취미, 성향, 관심사, 전공, 개인 활동, 학점, 학력, 친구관계, 정치관 중 적어도 하나의 항목에 대한 분석이 가능하다.
이러한 양상에 따라 가입된 구직을 희망하는 개인들의 성향을 매핑하여 성향이 유사한 사람들과의 교류를 희망하는 사람들에게 유사 관심 기반의 커뮤니티를 구축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에 따라 성향이 유사한 사람들 간에 취업 스터디를 결성하거나, 취업 동아리와 같은 커뮤니티를 형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10 : 구인 기업 단말 20 : 구직자 단말
30 : 채용 추천 서비스 서버 25 : 추천자 단말

Claims (8)

  1. 구인 기업의 채용 관리자가 소지하며 채용 공고를 업로드하는 구인기업 단말;
    구직을 원하는 개인이 소지하며, 개인 이력서를 포함한 개인 데이터를 블록 체인 형태로 상기 구인 기업 단말 및 다른 구직자 단말과 공유하는 구직자 단말;
    상기 구인 기업 단말에게 상기 구직을 원하는 개인을 추천해주는 추천자가 소지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직자 단말로부터 구직을 원하는 개인의 개인 이력서를 포함한 개인 데이터를 블록체인 형태로 수집하여 저장하고, 상기 구인 기업 단말에서 업로드되는 채용 공고와 상기 구직자 단말로부터 업로드되는 구직자의 개인 데이터를 데이터 마이닝하여 구인 기업에 매칭되는 개인 데이터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구인 기업 단말로 상기 구직을 원하는 개인을 추천해주는 추천자 단말; 및
    상기 추천자 단말의 추천에 의해 구직을 원하는 개인과 구인 기업 간에 채용이 성사될 경우에 그 보상으로 보상 토큰을 상기 추천자 단말로 지급하는 채용 추천 서비스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채용 추천 서비스 제공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토큰은,
    구직자의 개인 데이터에 대한 반대급부 개념인 것으로,
    상기 채용 추천 서비스 서버가 구직자의 개인 데이터를 열람하는 구인 기업 단말로부터 수취하여, 상기 개인 데이터를 제공한 구직자 단말에게 참여에 대한 보상으로 지급하거나 상기 추천자 단말에게 채용 성사에 활용한 보상으로 지급하도록 설계되는 유틸리티 토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채용 추천 서비스 제공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채용 추천 서비스 서버는 구직을 원하는 개인이 특정 구인 기업의 면접 요청에 대해 면접 참여 의사를 밝혔음에도 불구하고 면접에 참석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특정 구인 기업으로부터 개인 데이터에 대한 열람권으로 지급 받은 토큰을 다시 상기 특정 구인 기업으로 환급시키는 내용의 스마트 계약을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채용 추천 서비스 제공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추천자 단말은,
    소셜네트워크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s/sites, SNS) 서버로부터 상기 구직을 원하는 개인의 계정에 업로드되는 게시물을 수집하고, 수집된 게시물을 데이터마이닝하여 상기 구직을 원하는 개인의 개인 데이터에 더 반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채용 추천 서비스 제공 시스템.
  5. 구인 기업의 채용 관리자가 소지하는 구인기업 단말이 채용 공고를 블록체인 형태로 다른 구인 기업 단말 및 구직자 단말과 공유하는 단계;
    구직을 원하는 개인이 소지하는 구직자 단말이 개인 이력서를 포함한 개인 데이터를 블록 체인 형태로 상기 구인 기업 단말 및 다른 구직자 단말과 공유하는 단계;
    상기 구인 기업 단말에게 상기 구직을 원하는 개인을 추천해주는 추천자가 소지하는 추천자 단말이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직자 단말로부터 구직을 원하는 개인의 개인 이력서를 포함한 개인 데이터를 블록체인 형태로 수집하여 저장하는 단계;
    상기 추천자 단말이 상기 구인 기업 단말에서 업로드되는 채용 공고와 상기 구직자 단말로부터 업로드되는 구직자의 개인 데이터를 데이터 마이닝하여 구인 기업에 매칭되는 개인 데이터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천자 단말이 상기 추출된 매칭되는 개인 데이터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구인 기업 단말로 상기 구직을 원하는 개인을 추천해주는 단계; 및
    채용 추천 서비스 서버가 상기 추천자 단말의 추천에 의해 구직을 원하는 개인과 구인 기업 간에 채용이 성사될 경우에 그 보상으로 상기 추천자 단말로 보상 토큰을 지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채용 추천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동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토큰은,
    구직자의 개인 데이터에 대한 반대급부 개념인 것으로,
    상기 구직자의 개인 데이터를 열람하는 구인 기업 단말로부터 수취하여, 상기 개인 데이터를 제공한 구직자 단말에게 참여에 대한 보상으로 지급하거나 상기 추천자 단말에게 채용 성사에 활용한 보상으로 지급하도록 설계되는 유틸리티 토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채용 추천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동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채용 추천 서비스 서버는 구직을 원하는 개인이 특정 구인 기업의 면접 요청에 대해 면접 참여 의사를 밝혔음에도 불구하고 면접에 참석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특정 구인 기업으로부터 개인 데이터에 대한 열람권으로 지급 받은 토큰을 다시 상기 특정 구인 기업으로 환급시키는 내용의 스마트 계약을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채용 추천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동방법.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추천자 단말은,
    소셜네트워크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s/sites, SNS) 서버로부터 상기 구직을 원하는 개인의 계정에 업로드되는 게시물을 수집하고, 수집된 게시물을 데이터마이닝하여 상기 구직을 원하는 개인의 개인 데이터에 더 반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채용 추천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동방법.
KR1020190018729A 2019-02-18 2019-02-18 블록체인 기반의 채용 추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KR2020010043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8729A KR20200100438A (ko) 2019-02-18 2019-02-18 블록체인 기반의 채용 추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8729A KR20200100438A (ko) 2019-02-18 2019-02-18 블록체인 기반의 채용 추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3545A Division KR20210034560A (ko) 2021-03-15 2021-03-15 블록체인 기반의 채용 추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0438A true KR20200100438A (ko) 2020-08-26

Family

ID=722932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8729A KR20200100438A (ko) 2019-02-18 2019-02-18 블록체인 기반의 채용 추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00438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8170A (ko) * 2020-10-30 2022-05-09 주식회사 그라운드엑스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자격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KR102442694B1 (ko) * 2022-03-22 2022-09-08 정원우 인력 매칭 시스템
KR20220139480A (ko) * 2021-04-07 2022-10-17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클라우드 환경기반 비접촉식 바이오메트릭스 기술을 적용한 구인구직 중재 서비스 플랫폼 시스템 및 방법
WO2023188039A1 (ja) * 2022-03-29 2023-10-05 三菱電機株式会社 データ検証装置、クライアントアプリケーション、ブロックチェーンシステム、データ検証方法、及びデータ検証プログラム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7755A (ko) 2001-02-19 2002-08-24 주식회사 비전캐리어 전문가 추천 구인구직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통한구인구직 서비스 방법
KR20020094789A (ko) 2001-06-13 2002-12-18 권영민 온라인 커뮤니티를 이용한 취업중개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7755A (ko) 2001-02-19 2002-08-24 주식회사 비전캐리어 전문가 추천 구인구직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통한구인구직 서비스 방법
KR20020094789A (ko) 2001-06-13 2002-12-18 권영민 온라인 커뮤니티를 이용한 취업중개방법 및 시스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8170A (ko) * 2020-10-30 2022-05-09 주식회사 그라운드엑스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자격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KR20220139480A (ko) * 2021-04-07 2022-10-17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클라우드 환경기반 비접촉식 바이오메트릭스 기술을 적용한 구인구직 중재 서비스 플랫폼 시스템 및 방법
KR102442694B1 (ko) * 2022-03-22 2022-09-08 정원우 인력 매칭 시스템
WO2023182724A1 (ko) * 2022-03-22 2023-09-28 정원우 인력 매칭 시스템
WO2023188039A1 (ja) * 2022-03-29 2023-10-05 三菱電機株式会社 データ検証装置、クライアントアプリケーション、ブロックチェーンシステム、データ検証方法、及びデータ検証プログラ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ashideh Blockchain technology framework: Current and future perspectives for the tourism industry
US20240046391A1 (en) Methods and system for managing intellectual property using a blockchain
Yan et al. InsurTech and FinTech: banking and insurance enablement
CN117610062A (zh) 用于生成区块链存储数据的定制视图的系统、方法和介质
KR20200100438A (ko) 블록체인 기반의 채용 추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KR102297192B1 (ko) 위치 기반 일자리 추천 시스템 및 방법
Rangone et al. Managing charity 4.0 with Blockchain: a case study at the time of Covid-19
Symons et al. Me, my data and I: The future of the personal data economy
Turi Technologies for modern digital entrepreneurship
Menon et al. Blockchain: A non-technical primer for marketing academics
Erman Financial technologies effect on financial services from an open innovation perspective
Puaschunder Data fiduciary in order to alleviate principal–agent problems in the artificial big data age
Sulaiman et al. Reshaping the future of recruitment through talent reputation and verifiable credentials using blockchain technology
KR20210034560A (ko) 블록체인 기반의 채용 추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Baku Digitalisation and new public management in Africa
Roosendaal et al. Personal data markets
Moro-Visconti The impact of technology on microfinance
Badhani et al. Blockchain-based Financial Enterprises Credit Value Information System Using Federated AI
Hoque Microfinance challenges and the potential benefits of blockchain technology and mobile money
Stratmann Data: a multifaceted, multilayered analysis of the concept of data: a qualitative approach
Kirillova et al. The legal status of tokens and their inheritance
Isaacs et al. Leveraging Blockchain Technology for the Empowerment of Women Micro-entrepreneurs
WO2022061231A1 (en) Methods, systems, apparatuses, and devices for monetizing contributions made by users to a social media platform
Al-Ahwal Utilization of Blockchain Technologies in Marketing
Bieser et al. Hype or Help? The Real Benefits of Blockchai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