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94789A - 온라인 커뮤니티를 이용한 취업중개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온라인 커뮤니티를 이용한 취업중개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94789A
KR20020094789A KR1020010033232A KR20010033232A KR20020094789A KR 20020094789 A KR20020094789 A KR 20020094789A KR 1020010033232 A KR1020010033232 A KR 1020010033232A KR 20010033232 A KR20010033232 A KR 20010033232A KR 20020094789 A KR20020094789 A KR 200200947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ob
information
server
preparation
online commun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332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영민
Original Assignee
권영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영민 filed Critical 권영민
Priority to KR10200100332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94789A/ko
Publication of KR200200947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94789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구인자와 취업준비자에게 온라인 커뮤니티를 제공하여 보다 다양한 정보교환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인력채용과정을 보다 신속하고 투명하게 진행하도록 개선된 온라인 커뮤니티를 이용한 취업중개방법은 다양한 경로를 통해 입수된 취업준비자정보를 분류하여 저장하는 단계, 구인자서버로부터 입수된 구인정보를 채용조건별로 분류하여 저장하는 단계, 구인정보의 각 채용조건을 취업준비자의 평가자료의 해당항목과 비교하여 적합한 취업준비자를 선정하는 단계, 구인정보를 선정된 취업준비자의 이메일주소로 전송하는 단계, 및 구인정보에 응한 취업준비자와 구인정보를 제공한 구인자를 대상으로 한 온라인 커뮤니티를 개설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온라인 커뮤니티를 이용한 취업중개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EMPLOYMENT INTERMEDIATION USING ON-LINE COMMUNITY}
본 발명은 취업중개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구인자와 취업준비자에게 온라인 커뮤니티를 제공하여 보다 다양한 정보교환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인력채용과정을 보다 신속하고 투명하게 진행하도록 개선된 온라인 커뮤니티를 이용한 취업중개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회사를 경영하는데 있어서 인적자원은 가장 핵심적인 요소 중 하나이며, 따라서 인력채용과정은 구인자와 구직자 모두에게 매우 중요하면서도 민감한 사안이 된다. 따라서, 경영자 측에서는 신입사원을 선발할 때 지원자들을 정확히 평가하기 위해서 보다 많은 샘플을 통해서 보다 광범위한 분석을 하고 싶어한다.
그러나 많은 사람을 정확히 평가하기 위해서는 매우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며, 또한 인력채용에 투자한 시간과 노력이 반드시 결과에 반영되는 것도 아니다.
예를 들어, 최근 대기업을 중심으로 단순한 서류전형, 시험, 면접으로 이어지는 선발기준 외에, 기존사원과 입사지원자가 사석에서 만나 대화를 하거나, 팀 단위의 난상토론 등을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서류상으로는 판단할 수 없는 개개인의 품성 및 능력을 보다 면밀히 검증하고자 하는 시도가 있었다. 이러한 채용방식은 지원자에 대한 평가가 보다 명확하고 그 효과도 이미 검증되었으나, 이에 따른 회사측의 손실 또한 적지 않기 때문에 크게 확산되고 있지는 못하고 있다.
최근 컴퓨터와 인터넷이 보급되면서 기존에 오프라인으로 진행되던 인력채용과정을 인터넷을 통해 수행하는 사례가 많이 있었다. 인터넷에 인력채용이 처음 도입되었을 때에는 이메일을 통해 입사지원서를 전송받거나, 웹페이지 형태의 입사지원서 테이블을 제공하여 지원자가 직접 필요한 자료를 입력하는 방식 등이 대부분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단지 인편 또는 우편으로 접수하던 입사지원서를 온라인으로 주고받을 수 있다는 장점은 있으나, 그 이외의 과정은 종래와 별반 차이가 없는 것이었다.
또한, 인터넷의 보급은 구인자에게도 많은 도움을 주게 되는데, 정보의 바다라 불리는 인터넷을 통해 사용자는 수많은 채용관련 정보를 광범위하게 수집할 수 있게 된 것이다. 또한, 이러한 수많은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일목요연하게 사용자에게 제공하려는 시도도 많이 있었으며, 한 예로서 2000년 4월 24일에 출원된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2001-7690에 개시된 "취업정보 제공시스템 및 제공방법"은 구직자와 구인자에게 자신의 정보를 입력하게 하여 이를 토대로 평가점수를 산출하여 공개함으로써, 보다 용이하게 인력채용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한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또한, 2000년 4월 22일에 출원된 대한민국 특허공개번호 제2000-49681호에는 설문조사를 통해 구직자와 구인자의 가치를 평가하여 쌍방에 추천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단순 정보제공 차원을 넘어서, 보다 최근에는 인터넷을 통해 단순한 취업정보 제공 외에도 인력채용과정을 종합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기술도 제안되었는데, 2000년 5월 9일에 출원된 대한민국 특허공개번호 제2001-34970호의 "네트워크를 이용한 구인 구직 중계처리 방법 및 장치 그리고 그 방법이 기록된 기록매체"를 살펴보면, 구직자가 등록한 구직정보를 구인자가 직접 채점하여 채점결과를 토대로 사원을 채용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기술들은 모두 구인자 및 구직자에게 보다 많은 자료를 손쉽게 얻을수 있는 혜택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종래보다 진보되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위의 기술로는 인터넷을 통해 정보를 손쉽게 교류할 수는 있으나, 여전히 인력채용에 필요한 실무작업은 오프라인에 의존하지 않을 수 없다. 따라서, 복잡하고 난해한 인력채용과정을 구인자와 구직자 모두에게 보다 빠르고 보다 편리하게 수행하도록 하는 기술에 대한 필요성이 여전히 남아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취업에 필요한 취업준비자의 각종 서류를 미리 저장하여 필요한 시점에 자동으로 제공해주고, 다수의 취업준비자 정보를 이용하여 구인정보에 적합한 취업준비자에게 선별적으로 제공하며, 구인자와 적합한 취업준비자를 위한 온라인 커뮤니티를 구축하여 실질적인 채용과정이 온라인 커뮤니티 상에서 실시간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온라인 커뮤니티를 이용한 취업중개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이와 같은 취업중개방법을 실현할 수 있는 온라인 커뮤니티를 이용한 취업중개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취업중개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간략하게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취업중개서버의 각 프로그램모듈 및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3은 도 2의 취업준비자정보 입수모듈에서 취업준비자정보를 입수하는 다양한 경로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취업준비자정보를 획득하여 취업준비자 DB를 구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
도 5는 구인정보를 획득하여 적합한 취업준비자를 선정한 후 해당 취업준비자의 이메일주소로 구인정보를 전송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
도 6은 구인정보에 참여하는 취업준비자의 1차 합격여부를 판단하여 결과를전송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
도 7은 인력채용 과정에서 온라인 커뮤니티를 활용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
도 8은 취업준비자에게 전송되는 구인정보 송부용 이메일의 한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9는 취업준비자에게 전송되는 합격축하 이메일의 한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인터넷 200..취업준비자 단말
300..구인자서버 400..기관서버
500..취업중개서버 520..취업준비자정보 입수모듈
525..구인자정보 입수모듈 530..취업준비자정보 관리모듈
535..구인정보 입수모듈 540..취업준비자 평가모듈
545..구인정보 관리모듈 550..취업준비자 선정모듈
555..이메일 관리모듈 560..커뮤니티 관리모듈
582..취업준비자 DB 586..취업준비자 평가DB
588..구인정보 DB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커뮤니티를 이용한 취업중개방법은, 다수의 취업준비자 단말, 다수의 구인자서버 및 증명서와 같은 취업준비자료를 발부하는 다수의 기관서버가 인터넷을 통해 취업중개서버와 서로 연결되어 있는 환경 하에서, (a) 상기 취업준비자 단말 및 상기 기관서버로부터 전송된 취업준비자의 이메일주소와 같은 신상정보, 평가자료 및 취업준비자료를 포함하는 취업준비자정보를 입수하고, 해당 취업준비자의 평가자료를 평가항목별로 분류하여 각각의 평가항목에 대한 데이터를 취업준비자 데이터베이스의 해당 영역에 저장하는 단계; (b) 상기 구인자서버로부터 입력된 구인정보를 채용조건별로 분류하여 각각의 채용조건 데이터를 구인정보 데이터베이스의 해당 영역에 저장하는 단계; (c) 상기 구인정보의 각 조건을 상기 취업준비자의 평가자료의 해당항목과 비교하여 상기 구인정보에 적합한 취업준비자를 선정하는 단계; (d) 상기 취업준비자 신상정보로부터 상기 선정된 취업준비자의 이메일주소를 추출하여 상기 구인정보를 해당 이메일주소로 전송하는 단계; 및 (e) 상기 구인정보에 응한 취업준비자와 상기 구인정보를 제공한 구인자를 대상으로 한 온라인 커뮤니티를 개설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취업중개방법은 상기 온라인 커뮤니티를 통해 구인자와 취업준비자 사이의 인력채용과정이 종료되면 상기 온라인 커뮤니티를 폐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d)단계에서 취업준비자에게 전송되는 이메일은 상기 취업중개서버로 해당 구인정보에 대한 참가요청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입사지원버튼을 포함하고, 상기 (d)단계 이후, 상기 입사지원버튼의 클릭에 의해 참가요청 데이터가 전송되면 해당 취업준비자에 대한 신상정보, 평가정보 및 취업준비자료를 상기 구인자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e)단계는 상기 신상정보 및 평가정보를 수신한 구인자서버로부터 합격통지를 받은 취업준비자만을 대상으로 상기 구인자와 함께 해당 온라인 커뮤니티에 접속할 권한을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취업중개방법은 상기 구인자서버로부터 합격통지를 받은 취업준비자의 이메일주소로 합격축하 이메일을 발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합격축하 이메일에는 클릭에 의해 해당 온라인 커뮤니티로의 접속을 허용하는 접속버튼이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구인자 및 취업준비자를 위한 온라인 커뮤니티는 상기 구인자의 홍보자료 및 안내문 등을 게시하기 위한 구인자 게시판; 상기 구인자와 상기 취업준비자 사이의 온라인 면접을 가능하게 하는 온라인 대화방; 및 상기 취업준비자 사이의 정보교환을 가능하게 하는 입사지원자 자유기고란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와 같은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온라인 커뮤니티를 이용한 취업중개시스템이 제공되는데, 상기 취업중개시스템의 취업중개서버는 상기 취업준비자 단말 및 상기 기관서버로부터 전송된 취업준비자의 신상정보, 평가자료 및 취업준비자료를 포함하는 취업준비자정보를 항목별로 분류하고 각각의 항목을 취업준비자 데이터베이스의 해당 영역에 저장하여 관리하는 취업준비자정보 관리수단; 상기 구인자서버로부터 입력된 구인정보를 조건별로 분류하고 각각의 조건을 구인정보 데이터베이스의 해당 영역에 저장하여 관리하는 구인정보 관리수단; 상기 구인정보의 각 조건을 상기 취업준비자 평가자료의 해당 항목과 비교하여 상기 구인정보에 적합한 취업준비자를 선정하는 취업준비자 평가수단; 상기 구인정보를 특정 이메일 포맷에 삽입하여 상기 선정된 취업준비자의 이메일주소로 전송하는 이메일 관리수단; 및 상기 구인정보에 응한 취업준비자와 상기 구인정보를 제공한 구인자 사이의 온라인 인력채용과정을 수행하기 위한 온라인 커뮤니티를 개설하고 인력채용과정이 종료되면 상기 온라인 커뮤니티를 폐쇄하는 온라인 커뮤니티 관리수단을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커뮤니티를 이용한 취업중개시스템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온라인 취업중개시스템은 바람직하게 인터넷(100)을 통해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한 다수의 취업준비자 단말(200)과, 인터넷(100)을 통해 구인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인력을 채용하기를 희망하는 다수의 구인자서버(300)와, 취업 또는 채용에 필요한 각종 정보 및 자료를 관리하며 이러한 각종 정보 및 자료를 인터넷(100)을 통해 전송할 수 있는 다수의 기관서버(400)를 포함하고, 이러한 각 서버 및 단말과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는 취업중개서버(500) 및 커뮤니티 관리서버(600)가 또한 인터넷(100)을 통해 연결되어 있다.
취업준비자 단말(200)은 일반적으로 개인용 컴퓨터로 대표되며,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통신모듈과 운영체계 프로그램 및 이메일 수신을 위한 프로그램을 탑재하고 있다.
구인자서버(300)는 인력채용을 희망하는 회사, 개인사무소, 일반 업소 등에 구축된 컴퓨터 시스템으로서, 구인대상의 필수요건 등을 포함하는 구인정보를 취업중개서버(500)로 전송하고, 취업중개서버(500)로부터 전송된 구직자 정보를 토대로 결정된 선발자 명단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기관서버(400)는 인력채용에 필요한 각종 증명서, 인증서 등을 온라인을 통해 제공하는 각종 기관에 구비된 컴퓨터 시스템이다. 기관서버(400)의 예로는, 취업준비자의 재학증명서, 성적증명서, 졸업증명서 등 학위관련 증명서를 제공하는 학교서버, 주민등록등본, 인감증명서 등 각종 행정관련자료를 제공하는 관공서서버, 운전면허자격 인증서, 각종 시험합격 인증서 등 각종 자격증 인증서를 발부하는 자격증관리기관서버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외에도 다양한 기관서버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인터넷(100)은 다수의 컴퓨터를 온라인으로 연결하는 네트워크를 의미하며, 인터넷이 가장 대표적인 예이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인트라넷, 엑스트라넷, 전용선망 등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취업중개서버(500)는 취업준비자정보 및 구인정보를 입수하여 구인자와 취업준비자 사이의 인력채용과정을 중개하기 위한 컴퓨터 시스템이다. 취업중개서버(500)는 다양한 경로를 통해서 취업준비자의 정보를 입수하고, 이를 구인자서버(300)로부터 입수된 구인정보와 비교 분석하여 해당 구인정보에 적합한 취업준비자를 추출하며, 추출된 취업준비자와 구인자를 온라인 커뮤니티로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취업중개서버(500)는 중앙처리장치, 램(RAM), 롬(ROM),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데이터 기억장치 등을 포함하는 대용량 컴퓨터 시스템이다. 상당한 양의 메모리와 처리능력을 가진 전통적인 개인 컴퓨터나 워크스테이션이 취업중개서버로 이용될 수 있다. 한 예로서 상기 취업중개서버(500)는 웹서버로 동작하여 취업준비자와 구인자 사이의 취업중개를 위한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취업중개서버(500)는 정보처리나 데이터베이스 탐색에 있어서 엄청난 양의 수학적 계산을 실행함으로써 대량의 업무처리를 할 수 있다. 주로 인텔사에서 생산되는 펜티엄 마이크로프로세서가 중앙처리장치로 사용될 수 있다.
커뮤니티 중개서버(600)는 웹상에 서로 매칭된 취업준비자와 구인자를 위한 커뮤니티 공간을 마련하기 위한 컴퓨터 시스템이다. 이를 위해서 커뮤니티 중개서버(600)는 커뮤니티 형성을 위한 다양한 포맷의 정보교환 영역을 제공하며, 해당 영역에 입력되는 각종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는 역할을 한다.
도 2는 취업중개서버(500)의 롬과 같은 메모리에 로드되어 있는 프로그램 모듈들과, 데이터 기억장치를 구성하는 다수의 데이터베이스(DB)를 도시하고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취업중개서버(500)는 서버엔진(510)과, 다양한 경로를 통해 취업준비자정보를 입수하는 취업준비자정보 입수모듈(520), 구인자와 관련된 경영정보, 홍보정보 등을 입수하는 구인자정보 입수모듈(525), 취업준비자정보를 적절한 형태로 분류하여 저장하는 취업준비자정보 관리모듈(530), 인력채용을 원하는 구인자로부터 구인정보를 입수하는 구인정보 입수모듈(535), 취업준비자정보와 구인정보를 비교함으로서 해당 구인정보에 대한 취업준비자의 적합성 정도를 판단하기 위한 취업준비자 평가모듈(540), 입수된 구인정보를 적절하게 분류하여 저장하는 구인정보 관리모듈(545), 다수의 취업준비자 중에서 특정 구인정보에 대한 평가점수가 높은 취업준비자를 선별하는 취업준비자 선정모듈(550), 취업준비자에게 취업을 위한 데이터를 이메일로 전송하기 위한 이메일 관리모듈(555), 구인자와 선발된 취업준비자를 인력채용관리를 위한 커뮤니티로 안내하기 위한 커뮤니티 관리모듈(560)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모듈과, 취업준비자 DB(582), 구인자 DB(584), 취업준비자 평가DB(586), 구인정보 DB(588), 이메일 포맷DB(590), 커뮤니티 DB(592) 등으로 구성되는 데이터베이스 시스템(580)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서버엔진(510)은 시스템 운영을 담당하며, 특히 URL(Uniform Resource Locator)에 의해 식별되는 웹페이지(515)에 접근하기 위한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요청을 받아 클라이언트 시스템, 즉 취업준비자 단말(200)이나 구인자서버(300)에 웹페이지(515)를 제공하기 위한 프로그램이다.
취업준비자정보 입수모듈(520)은 각종 경로를 통해서 취업준비자의 신상정보, 평가정보, 취업준비자료 등 취업에 필요한 다양한 정보를 수집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취업중개시스템에서는 취업준비자의 자료수집 단계에서 특별히 취업준비자에 대한 회원가입 요구를 하지 않고, 잠재적인 취업준비자에 대한 폭넓은 자료수집을 통해서 보다 방대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에, 단순히 사용자의 입력에 의한 정보수집에 의존하기보다는, 다양한 경로를 통해 보다 많은 취업준비자정보 샘플을 취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취업준비자정보를 입수하기 위한 다양한 경로가 도시되어 있다. 먼저, 취업준비자정보 입수모듈(520)은 취업준비자 단말(200)에 정보입력을 위해 전송된 웹페이지를 통해서 취업준비자의 신상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이때, 취업준비자는 자신의 신상정보와 함께, 이력서, 자기소개서 등 일반적으로 구인자가 요구하는 기본적인 자료를 첨부할 수 있으며, 이외에도 취업준비자 단말(200)을 통해서 전송할 수 있는 각종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취업준비자정보 입수모듈(520)은 또한 학교서버(410)를 통해서 폭넓은 취업준비자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각 학교에서는 재학생 및 졸업생에 대한 정보를 기본적으로 수집하여 관리하고 있고, 이들 재학생 및 졸업생이 실질적으로 취업준비자의 대부분을 차지하므로, 학교서버(410)는 취업준비자에 관한 정보를 입수하는 매우 유용한 경로가 된다. 또한, 학교에서 발급하는 재학/졸업증명서, 성적증명서 등 각종 증명서는 입사지원에 거의 필수적으로 첨부되는 자료이므로, 취업준비자정보 입수모듈(520)은 학교서버(410)로부터 각종 증명서는 물론, 졸업논문, 학술발표자료 등 각종 취업준비자정보를 컴퓨터 파일 형태로 전송받을 수 있다.
또한, 취업관련 업무를 수행하는 인력관리회사와의 협의를 통해서, 취업준비자정보 입수모듈(520)은 인력관리회사의 관리서버(440)에 수집된 취업준비자정보를 입수할 수도 있다.
또한, 취업준비자정보 입수모듈(520)은 각종 관공서에 구비된 관공서서버(420)를 통해 주민등록등본, 인감증명서 등과 같은 각종 행정자료를 온라인으로 제공받을 수 있으며, 각종 시험관리기관 또는 자격증관리기관과 연계하여 토익성적증명서, 기사시험자격증 인증서 등과 같은 각종 증명서 및 인증서를 온라인으로 입수할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취업준비자정보 관리모듈(530)은 취업준비자정보 입수모듈(520)에서 입수한 각종 취업준비자정보를 평가항목별로 분류하여 각각의 평가항목에 대한 데이터를 취업준비자 식별코드와 함께 취업준비자 DB(582)의 해당 영역에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취업준비자정보를 분류하는 항목은 크게 신상정보, 평가자료 및 취업준비자료로 나뉘어진다. 먼저, 신상정보는 취업준비자의 성명, 주소, 전화번호, 이메일주소와 같은 개인을 식별하고 온라인/오프라인으로 접촉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포함한다. 평가자료는 취업준비자의 출신학교, 전공학과, 졸업(예정)일, 나이, 학점, 토익점수, 소지 자격증 등과 같은 취업준비자의 능력 및 요건을 평가하기 위한 데이터를 포함한다. 취업준비자료는 구인자가 취업준비자에게 요구할 수 있는 각종 증명서 또는 인증서 및 자기소개서, 논문 등과 같은 정보를 포함하며, 이러한 정보는 컴퓨터 파일 형태로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인자정보 입수모듈(525)은 취업중개서버(500)에서 제공하는 취업중개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구인자에 대한 정보를 입수한다. 이때, 구인자정보 입수모듈(525)은 구인자서버(300)에 전송된 웹페이지를 통해서 직접 정보를 입수할 수도 있으며, 기업평가기관 또는 관공서에 구비된 서버로부터 해당 구인자에 대한 정보를 입수할 수도 있다. 또한, 기존의 인력관리회사와 제휴하여 인력관리회사의 서버에서 저장된 구인자관련 자료를 입수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구인자정보 입수모듈(525)을 통해 입수된 구인자정보는 구인자 DB(584)에 적절한 형태로 분류되어 저장되며, 이후 취업준비자의 요청에 의해 취업준비자 단말(200)로 전송된다.
구인정보 입수모듈(535)은 구인자서버(300)로부터의 인력채용 요청정보를 입수한다. 이때, 구인자는 구인자서버(300)에 전송된 채용조건입력 웹페이지에서 구인자가 원하는 채용조건 항목을 입력함으로써 원하는 인력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정하며, 구인정보 입수모듈(535)은 해당 웹페이지를 통해서 구인자 식별정보 및 구인자가 입력한 각 채용조건 데이터를 추출함으로써 구인정보를 입수하게 된다.
구인정보 관리모듈(545)은 구인정보 입수모듈(535)을 통해서 입수된 구인정보를 각각의 채용조건별로 분류하여 각각의 채용조건 데이터를 구인정보 DB(588)의 해당 저장영역에 저장한다. 이때, 구인정보 관리모듈(545)에 설정된 각각의 채용조건은 취업준비자 DB(582)의 평가정보에 해당하는 각각의 평가항목과 서로 매칭된다.
취업준비자 선정모듈(550)은 입수된 구인정보의 각 채용조건을 취업준비자정보의 대응하는 평가항목과 서로 비교하여 해당 구인정보에 적합한 취업준비자를 선정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서 취업준비자 선정모듈(550)은 구인정보 DB(588)에 저장된 구인정보에서 채용조건으로 입력된 데이터를 추출하고, 취업준비자DB(582)에 저장된 취업준비자정보 중에서 추출된 채용조건에 해당하는 평가항목에 대한 데이터를 추출한다. 이와 같이 추출된 채용조건 데이터와 평가항목 데이터는 서로 비교되며, 평가항목 데이터가 채용조건에 제시된 기준에 부합되는지의 여부에 따라서 해당 취업준비자가 상기 구인정보에 적합한지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이때, 취업준비자의 적합성을 판단하는 방법은 다양한 기법이 제시될 수 있는데, 그중 한 방법은 각 채용조건에 따른 점수가 부여하는 것이다. 즉, 각각의 채용조건의 가중치를 설정하고, 취업준비자의 평가항목이 각 채용조건에 부합할 경우 가중치에 해당하는 점수를 부여하며, 이와 같이 다수의 채용조건에 대해서 부여된 점수를 합산한 후, 합산된 점수를 이용하여 해당 취업준비자가 상기 구인정보에 얼마나 적합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다.
물론, 각각의 채용조건은 경우에 따라서 필수적인 요건이 되기도 하고 선택적인 요건이 되기도 한다. 따라서, 필수요건에 해당하는 채용조건을 1차 고려대상으로 하여, 필수요건에 결격사유가 있는 취업준비자는 판단 대상에서 미리 제외할 수도 있다.
이 외에도 구인정보에 적합한 취업준비자를 선정하는 기법은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특정 구인정보에 대해서 각 취업준비자를 평가한 결과는 취업준비자 평가DB(586)에 저장된다. 취업준비자 평가DB(586)에는 구인정보를 식별하는 코드와 함께, 상기 구인정보에 적합한 취업준비자의 식별코드목록 및 해당 취업준비자의 평가결과 데이터가 저장된다.
취업준비자 선정모듈(550)은 특정 구인정보에 적합한 취업준비자를 선정한 후 구인정보 식별코드와 함께 선정된 취업준비자의 식별코드목록을 이메일 관리모듈(555)에 전송한다.
이메일 관리모듈(555)은 취업준비자 선정모듈(550)에서 선정된 취업준비자에게 구인정보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이메일 관리모듈(555)은 이메일 포맷DB(590)에 저장되어 있는 구인정보 송부용 이메일 포맷을 추출하여 해당 포맷에 필요한 정보를 삽입함으로써 이메일을 생성한다. 구인정보 송부용 이메일의 한 예가 도 8에 도시되어 있다.
도 8을 참조하여 구인정보 송부용 이메일을 생성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이메일 관리모듈(555)은 이메일 포맷DB(590)에 저장된 구인정보 송부용 이메일 포맷(800)을 추출한 다음, 취업준비자 선정모듈(550)로부터 전송받은 취업준비자 식별코드를 이용하여 취업준비자 DB(582)로부터 해당 취업준비자의 이메일주소를 추출한다. 이렇게 추출된 취업준비자의 이메일주소는 이메일 포맷의 해당영역(802)에 삽입된다. 또한, 이메일의 내용을 담는 영역(804)에는 이메일의 의도를 설명하는 안내문과 함께, 구인정보 식별코드를 이용하여 구인정보 DB(588)로부터 추출된 구인정보가 삽입된다. 이때 삽입되는 구인정보는 취업준비자가 구인정보를 식별할 수 있는 최소한의 정보만을 담아서 이메일 내용을 한눈에 확인한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메일 포맷에는 또한 '구인광고' 버튼(806)과 '입사지원' 버튼(808)을 준비한다. 만약 취업준비자의 이메일주소로 송부된 구인광고 이메일을 취업준비자가확인하여 구인광고 버튼(806)을 클릭하게 되면, 해당 구인정보에 대한 상세설명 데이터가 구인정보 DB(588)로부터 추출되어 적절한 포맷으로 가공된 후 취업준비자 단말(200)로 전송되어 디스플레이된다. 즉, 취업준비자는 간략한 구인정보에 대한 상세한 내역을 확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만약 취업준비자가 입사지원 버튼(808)을 클릭하게 되면, 취업중개서버(500)로 취업준비자를 식별할 수 있는 로그데이터와 함께 해당 구인정보에 대한 취업준비자의 참가요청데이터가 전송된다.
또한, 이메일 포맷(800)에는 '닫기' 버튼(810)이 구비되어 취업준비자가 이메일 확인창을 한번의 클릭으로 닫을 수 있다.
또한, 이메일 포맷(800)에 구인자DB(584)에 저장된 구인자정보를 취업준비자가 확인하도록 제공하기 위한 추가의 버튼을 마련할 수도 있다.
취업준비자가 입사지원 버튼(808)을 클릭하여 참가요청데이터가 전송되면, 취업준비자정보 관리모듈(530)은 로그데이터를 통해 취업준비자를 식별하여 해당 취업준비자의 신상정보, 평가정보 및 취업준비자료를 구인자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구인자서버(300)로 전송되는 신상정보, 평가정보(또는 평가결과정보) 및 취업준비자료는 통상적으로 구인자가 입사지원자에게 요구하는 자료이므로, 취업준비자의 입사지원서를 대신하게 된다. 다시 말해서, 취업준비자는 단지 이메일을 확인하고 버튼을 클릭하는 것만으로도 자신이 원하는 회사를 찾아 입사지원서를 작성하여 제출하는 번거로운 모든 절차를 끝낼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구인자서버(300)로 전송된 평가정보 또는 평가결과정보는 구인자가 취업준비자를 선별할 수 있는 근거가 될 수 있다. 따라서, 구인자는 구인자서버(300)로 전송된 취업준비자의 평가정보 또는 평가결과정보를 직접 분석하여 자신이 원하는 지원자를 취사선택 할 수 있다. 이 경우, 구인자는 구인자서버(300)를 통해서 취업준비자에 대한 합격/불합격 여부를 취업중개서버(500)로 통지할 수 있다.
구인자서버(300)로부터 취업준비자에 대한 합격통지를 받게 되면, 이메일 관리모듈(555)은 해당 취업준비자의 식별코드를 이용하여 이메일주소를 추출한 후, 해당 취업준비자에게 합격축하 이메일을 발송한다. 이때에도 상기와 유사한 이메일 생성과정이 이루어지며, 도 9를 참조하면, 합격축하 이메일 포맷(820)에는 이메일을 전송받을 취업준비자의 주소를 삽입하는 영역, 즉 수신자주소 영역(822)과, 합격축하 메시지 및 온라인 커뮤니티 참여를 유도하는 메시지를 담는 영역(824), 그리고 클릭에 의해 온라인 커뮤니티로의 접속을 허용하는 '인력채용 커뮤니티 참여' 버튼(이하 접속버튼이라 함;826)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이메일 포맷(820)에는 사용자가 이메일 확인창을 닫기 위한 닫기 버튼(828)도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온라인 커뮤니티는 커뮤니티 관리서버(600)에서 구직자와 취업준비자 사이의 인력채용과정을 온라인 상에서 수행할 수 있도록 제공한 가상공간을 의미한다. 커뮤니티 관리서버(600)에서 제공하는 온라인 커뮤니티는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구인자가 인력채용과정에 필요한 공지사항이나 자사에 대한 호감도를 높이기 위한 홍보정보 등을 업로드하여 취업준비자가 읽을 수 있도록 하는 구인자 게시판, 구인자와 취업준비자 사이의 정보교류 및 온라인 면접 등을 수행할 수 있는 문자 또는 화상 채팅방, 취업준비자 사이에서 취업준비에 필요한 정보 등을 서로 교류할 수 있는 취업준비자 자유기고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커뮤니티 관리모듈(560)은 구인정보가 입수되었을 때 커뮤니티 관리서버(600)에 온라인 커뮤니티 개설을 명령하고, 커뮤니티 관리서버(600)로부터 개설된 온라인 커뮤니티에 대한 주소를 입수하여, 해당 구인정보의 식별코드와 함께 온라인 커뮤니티의 주소를 커뮤니티 DB(592)에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커뮤니티 관리모듈(560)은 해당 커뮤니티에 접속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진 취업준비자의 식별코드를 입수하여 해당 온라인 커뮤니티의 주소정보와 함께 저장하고, 이후 해당 커뮤니티에 접속하고자 하는 취업준비자의 식별코드를 통해 접속권한을 가지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권한을 가진 취업준비자에게만 접속을 허용하고, 권한이 없는 사용자에게는 접속권한이 없음을 통지하는 메시지를 전송한다.
또한, 구인자서버(300)로부터 온라인 커뮤니티 상에서의 인력채용과정이 종료했음을 알리는 명령이 수신될 경우, 커뮤니티 관리모듈(560)은 커뮤니티 관리서버(600)에 커뮤니티 폐쇄를 요청하고, 커뮤니티 DB(592)로부터 관련 정보를 삭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커뮤니티를 이용한 취업중개시스템에서 수행되는 취업중개방법의 대표적인 한 예를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플로우차트를 이용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취업준비자정보를 획득하여 취업준비자 DB(582)를 구축하는 과정을 도시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취업준비자정보 입수모듈(520)은 다양한 경로를 통해서 다수의 취업준비자에 대한 정보를 획득한다(S700). 그러면, 취업준비자정보 관리모듈(530)은 획득된 취업준비자 정보를 신상정보 및 평가정보로 분류하고(S702), 또한 신상정보 및 평가정보를 분류표에 의해서 구분된 각각의 항목별로 분류하여 취업준비자 DB(582)에 저장한다(S704). 여기서 특히 평가정보는 이후에 구인정보에 적합한 취업준비자를 선정할 때 활용되어야 하므로, 적절한 평가항목으로 분류되어야 한다.
다양한 경로를 통해 입수된 취업준비자정보는 그 자체로는 불완전할 수 있으므로, 추가적인 보완이 필요할 수 있다. 따라서, 취업준비자정보 관리모듈(530)은 획득한 취업준비자정보를 적절한 포맷으로 가공하여 취업준비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확인요청 메시지와 함께 취업준비자의 이메일주소로 전송한다(S706). 이후 취업준비자가 취업준비자 단말(200)을 통해서 해당 데이터를 전송하면, 취업준비자정보 관리모듈(530)은 정정되거나 추가된 항목에 대한 데이터를 확인하여 취업준비자 DB(582)의 해당 영역에 저장 또는 갱신하고(S708), 분류표의 모든 항목이 입력되었는지를 확인하여(S710) 모두 입력된 경우 취업준비자정보 획득과정을 종료한다. 그러나, 여전히 미입력 데이터가 남아있는 경우, 정보확인요청 이메일을 발송하는 단계(S706)를 다시 수행하게 된다.
도 5는 구인자서버(300)로부터 구인정보를 획득하여 적합한 취업준비자를 선정한 후 해당 취업준비자의 이메일주소로 구인정보를 전송하는 과정을 도시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구인정보 입수모듈(535)이 구인자서버(300)로부터 구인정보를 입수한 후(S720), 구인정보 관리모듈(545)은 해당 구인정보를 취업준비자를 평가하기 위한 채용조건별로 분류하여 구인정보 DB(588)에 저장한다.
그 후 취업준비자 평가모듈(540)은 취업준비자 DB(582)로부터 취업준비자의 항목별 평가정보 데이터를 추출하고(S724), 또한 구인정보 DB(588)로부터 해당 구인정보의 각 채용조건 데이터를 추출하여 구인정보의 각 채용조건을 취업준비자 평가정보의 해당 항목과 비교한다(S726). 구인정보의 채용조건과 취업준비자의 평가정보를 비교한 결과 평가정보가 채용조건을 만족하거나 비교결과가 기설정된 기준치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여(S728), 구인정보에 적합하다고 판단된 취업준비자에 대한 평가결과를 취업준비자 평가DB(586)에 저장한다(S728). 또한, 취업준비자 평가모듈(540)은 모든 취업준비자의 평가항목을 구인정보의 채용조건과 비교하였는지를 판단하여(S732), 평가되지 않은 취업준비자가 남아있는 경우 평가과정을 계속해서 되풀이함으로써(S724 내지 S732) 모든 취업준비자에 대한 평가를 완료한다.
모든 취업준비자에 대한 평가가 끝나면, 평가과정에서 적합하다고 판단되어 선정된 취업준비자에 대한 이메일정보를 취업준비자 DB(582)의 신상정보 저장영역에서 추출하여(S734), 해당 이메일주소로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은 이메일을 송부함으로써 구인정보를 해당 취업준비자가 확인할 수 있게 한다(S736).
도 6은 구인정보에 참여하는 취업준비자의 1차 합격여부를 판단하여 결과를 전송하는 과정을 도시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취업준비자는 먼저 자신의 이메일주소로 전송된 구인정보 송부용 이메일을 통해서 구인정보를 확인하게 된다(S740). 그러면, 취업준비자는 이메일의 내용에서 간략한 구인정보를 확인한 후 입사지원을 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한다(S724). 이때, 취업준비자는 이메일의 구인광고버튼을클릭하여 상세한 구인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입사지원을 원할 경우, 취업준비자는 이메일에 포함된 입사지원버튼을 클릭하여 취업중개서버(500)로 구인정보에 대한 참가요청데이터를 전송하게 된다(S744). 물론, 취업준비자가 입사지원을 원하지 않으면 취업중개과정은 더 이상 진행되지 않고 종료된다.
취업준비자 단말(200)로부터 구인정보에 대한 참가요청데이터를 전송받으면, 취업중개서버(500)는 참가요청데이터와 함께 전송된 이메일주소 등의 정보를 담은 로그데이터를 확인하여 취업준비자를 식별하고(S746), 취업준비자정보 관리모듈(S530)은 취업준비자 DB(582)로부터 해당 취업준비자의 신상정보 및 평가정보를 추출한 후(S748), 이를 구인자서버(300)로 전송한다(S750).
구인자는 취업중개서버(500)로부터 구인자서버(300)로 전송된 취업준비자의 신상정보 및 평가정보를 접수하여(S752), 자체적인 심사기준에 의거하여 취업준비자의 1차 합격여부를 결정한 후(S754), 합격여부에 관한 결과를 취업중개서버(500)로 전송한다.
그러면, 취업중개서버(500)는 구인자서버(300)로부터 전송된 합격/불합격 결과데이터를 접수하여(S758), 합격여부를 판단한 후(S760), 합격한 취업준비자의 이메일주소로 도 9에 도시된 것과 같은 1차 합격축하 이메일을 전송한다(S762). 대안으로서 이러한 합격축하 메세지는 온라인 커뮤니티 상에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 7은 인력채용 과정에서 온라인 커뮤니티를 활용하는 과정을 도시한다. 도 7을 참조하면, 구인자서버(300)로부터 구인정보가 전송되면(S770), 취업중개서버(500)의 커뮤니티 관리모듈(560)은 이를 확인하여 커뮤니티 관리서버(600)로 새로운 구인정보가 등록되었음을 통지한다(S772).
새로운 구인정보 등록을 통지 받은 커뮤니티 관리서버(600)는 상기 구인정보에 대한 인력채용과정을 수행할 온라인 커뮤니티를 생성하고(S794), 해당 커뮤니티에 대한 주소데이터를 커뮤니티 관리모듈(560)에 전송한다(S776).
신설된 커뮤니티에 대한 주소데이터를 전송받은 커뮤니티 관리모듈(560)은 해당 커뮤니티 주소데이터를 구인정보 식별정보와 함께 커뮤니티 DB(592)에 저장한다. 그 후, 커뮤니티 관리모듈(560)은 해당 구인정보에 대한 취업준비자 선정 및 통지과정, 또는 해당 구인정보를 선택한 취업준비자에 대한 구인자의 1차 합격자 결정과정이 진행되었는지를 판단한다(S780). 구인자서버(300)로부터 1차 합격자 판단결과를 전송받으면, 커뮤니티 관리모듈(560)은 온라인 커뮤니티를 통한 인력채용과정을 수행할 시점이 되었다고 판단하여, 취업준비자의 이메일주소로 발송되는 합격축하 이메일의 접속버튼(826)에 해당 온라인 커뮤니티에 대한 주소링크를 삽입하고(S782), 취업준비자는 취업준비자 단말(200)로 합격이메일을 확인한 후(S784), 해당 이메일에 포함된 접속버튼을 클릭함으로써 온라인 커뮤니티로 접속하게 된다(S786).
한편, 1차 합격자 결정을 확인한 단계(S78) 이후, 커뮤니티 관리모듈(560)은 구인자서버(300)로 커뮤니티가 개설되었음을 통보하며(S783), 이때 통보를 위한 메시지에는 해당 온라인 커뮤니티의 주소를 삽입한다. 그러면, 구인자는 구인자서버(200)에 전송된 커뮤니티 개설통보 메시지를 읽음으로서 커뮤니티 개설을 확인하고(S790), 메시지와 함께 전송된 커뮤니티 주소를 이용하여 해당 온라인커뮤니티에 접속한다(S792).
이와 같이 취업준비자 및 구인자가 온라인 커뮤니티 공간으로 접속하게 되면(S794), 온라인 커뮤니티 상에서 취업준비자와 구인자 사이의 정보교환, 화상면접 등을 통해 인력채용과정이 수행된다(S796).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커뮤니티를 이용한 취업중개방법은 취업중개서버가 잠재적인 다수의 취업준비자에 대한 정보를 여러 경로를 통해 입수하여 구인정보에 대한 적절한 취업준비자를 선별하여 취업정보를 제공해줌으로서, 구인자 입장에서는 보다 우수한 인재를 선발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취업준비자 입장에서는 일일이 취업관련정보를 찾아야하는 번거로움을 덜게 해준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취업중개서버가 취업에 필요한 취업준비자의 각종 서류를 미리 저장하여 필요한 시점에 자동으로 제공해 줌으로서, 취업을 원하는 취업준비자는 단순히 이메일을 확인하고 버튼을 클릭하는 동작만으로도 입사지원서를 작성하여 제출하는 모든 과정을 대행하므로 사용자 입장에서 매우 편리하다.
또한, 구인자와 적합한 취업준비자를 위한 온라인 커뮤니티를 구축하여 실질적인 채용과정이 온라인 커뮤니티 상에서 실시간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취업준비자와 구인자 모두에게 인력채용과정에 소요되는 인력 및 시간을 대폭적으로 줄일 수 있게 된다.

Claims (11)

  1. 다수의 취업준비자 단말, 다수의 구인자서버 및 증명서와 같은 취업준비자료를 발부하는 다수의 기관서버가 인터넷을 통해 취업중개서버와 서로 연결되어 있는 취업중개시스템의 취업중개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취업준비자 단말 및 상기 기관서버로부터 전송된 취업준비자의 이메일주소와 같은 신상정보, 평가자료 및 취업준비자료를 포함하는 취업준비자정보를 입수하고, 해당 취업준비자의 평가자료를 평가항목별로 분류하여 각각의 평가항목에 대한 데이터를 취업준비자 데이터베이스의 해당 영역에 저장하는 단계;
    (b) 상기 구인자서버로부터 입력된 구인정보를 채용조건별로 분류하여 각각의 채용조건 데이터를 구인정보 데이터베이스의 해당 영역에 저장하는 단계;
    (c) 상기 구인정보의 각 조건을 상기 취업준비자의 평가자료의 해당항목과 비교하여 상기 구인정보에 적합한 취업준비자를 선정하는 단계;
    (d) 상기 취업준비자 신상정보로부터 상기 선정된 취업준비자의 이메일주소를 추출하여 상기 구인정보를 해당 이메일주소로 전송하는 단계; 및
    (e) 상기 구인정보에 응한 취업준비자와 상기 구인정보를 제공한 구인자를 대상으로 한 온라인 커뮤니티를 개설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커뮤니티를 이용한 취업중개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f) 상기 온라인 커뮤니티를 통해 구인자와 취업준비자 사이의 인력채용과정이 종료되면 상기 온라인 커뮤니티를 폐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커뮤니티를 이용한 취업중개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d)단계에서 취업준비자에게 전송되는 이메일은 상기 취업중개서버로 해당 구인정보에 대한 참가요청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입사지원버튼을 포함하고,
    상기 (d)단계 이후, 상기 입사지원버튼의 클릭에 의해 참가요청 데이터가 전송되면 해당 취업준비자에 대한 신상정보, 평가정보 및 취업준비자료를 상기 구인자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커뮤니티를 이용한 취업중개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e)단계는 상기 신상정보 및 평가정보를 수신한 구인자서버로부터 합격통지를 받은 취업준비자만을 대상으로 상기 구인자와 함께 해당 온라인 커뮤니티에 접속할 권한을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커뮤니티를 이용한 취업중개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구인자서버로부터 합격통지를 받은 취업준비자의 이메일주소로 합격축하 이메일을 발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합격축하 이메일에는 클릭에 의해 해당 온라인 커뮤니티로의 접속을 허용하는 접속버튼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커뮤니티를 이용한 취업중개방법.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인자 및 취업준비자를 위한 온라인 커뮤니티는,
    상기 구인자의 홍보자료 및 안내문 등을 게시하기 위한 구인자 게시판;
    상기 구인자와 상기 취업준비자 사이의 온라인 면접을 가능하게 하는 온라인 대화방; 및
    상기 취업준비자 사이의 정보교환을 가능하게 하는 입사지원자 자유기고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커뮤니티를 이용한 취업중개방법.
  7. 다수의 취업준비자 단말, 다수의 구인자서버 및 증명서와 같은 취업준비자료를 발부하는 다수의 기관서버가 인터넷을 통해 취업중개서버와 서로 연결되어 있는 취업중개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취업중개서버는,
    상기 취업준비자 단말 및 상기 기관서버로부터 전송된 취업준비자의 신상정보, 평가자료 및 취업준비자료를 포함하는 취업준비자정보를 항목별로 분류하고 각각의 항목을 취업준비자 데이터베이스의 해당 영역에 저장하여 관리하는 취업준비자정보 관리수단;
    상기 구인자서버로부터 입력된 구인정보를 조건별로 분류하고 각각의 조건을구인정보 데이터베이스의 해당 영역에 저장하여 관리하는 구인정보 관리수단;
    상기 구인정보의 각 조건을 상기 취업준비자 평가자료의 해당 항목과 비교하여 상기 구인정보에 적합한 취업준비자를 선정하는 취업준비자 평가수단;
    상기 구인정보를 특정 이메일 포맷에 삽입하여 상기 선정된 취업준비자의 이메일주소로 전송하는 이메일 관리수단; 및
    상기 구인정보에 응한 취업준비자와 상기 구인정보를 제공한 구인자 사이의 온라인 인력채용과정을 수행하기 위한 온라인 커뮤니티를 개설하고 인력채용과정이 종료되면 상기 온라인 커뮤니티를 폐쇄하는 온라인 커뮤니티 관리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커뮤니티를 이용한 취업중개시스템.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이메일 관리수단은 상기 선정된 취업준비자에게 전송되는 이메일에 해당 구인정보에 대한 참가요청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입사지원버튼을 포함하고,
    상기 취업준비자정보 관리수단은 상기 입사지원버튼의 클릭에 의해 참가요청 데이터를 전송한 취업준비자에 대한 신상정보, 평가정보 및 취업준비자료를 포함하는 취업준비자정보를 상기 구인자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커뮤니티를 이용한 취업중개시스템.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커뮤니티 관리수단은 상기 취업준비자정보를 수신한 구인자서버로부터합격통지를 받은 취업준비자만을 대상으로 상기 구인자와 함께 해당 온라인 커뮤니티에 접속할 권한을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커뮤니티를 이용한 취업중개시스템.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이메일 관리수단은 상기 구인자서버로부터 합격통지를 받은 취업준비자의 이메일주소로 합격축하 이메일을 발송하고,
    상기 합격축하 이메일에는 클릭에 의해 해당 온라인 커뮤니티로의 접속을 허용하는 접속버튼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커뮤니티를 이용한 취업중개시스템.
  11. 제 7항 내지 제 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인자 및 취업준비자를 위한 온라인 커뮤니티는,
    상기 구인자의 홍보자료 및 안내문 등을 게시하기 위한 구인자 게시판;
    상기 구인자와 상기 취업준비자 사이의 온라인 면접을 가능하게 하는 온라인 대화방; 및
    상기 취업준비자 사이의 정보교환을 가능하게 하는 입사지원자 자유기고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커뮤니티를 이용한 취업중개시스템.
KR1020010033232A 2001-06-13 2001-06-13 온라인 커뮤니티를 이용한 취업중개방법 및 시스템 KR2002009478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3232A KR20020094789A (ko) 2001-06-13 2001-06-13 온라인 커뮤니티를 이용한 취업중개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3232A KR20020094789A (ko) 2001-06-13 2001-06-13 온라인 커뮤니티를 이용한 취업중개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4789A true KR20020094789A (ko) 2002-12-18

Family

ID=277089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33232A KR20020094789A (ko) 2001-06-13 2001-06-13 온라인 커뮤니티를 이용한 취업중개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94789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0438A (ko) 2019-02-18 2020-08-26 (주)제니엘 블록체인 기반의 채용 추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KR20210034560A (ko) 2021-03-15 2021-03-30 (주)제니엘 블록체인 기반의 채용 추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KR102442694B1 (ko) * 2022-03-22 2022-09-08 정원우 인력 매칭 시스템
KR20230050560A (ko) 2021-10-08 2023-04-17 세컨드하프 주식회사 채용 중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방법 및 프로그램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0438A (ko) 2019-02-18 2020-08-26 (주)제니엘 블록체인 기반의 채용 추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KR20210034560A (ko) 2021-03-15 2021-03-30 (주)제니엘 블록체인 기반의 채용 추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KR20230050560A (ko) 2021-10-08 2023-04-17 세컨드하프 주식회사 채용 중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방법 및 프로그램
KR102442694B1 (ko) * 2022-03-22 2022-09-08 정원우 인력 매칭 시스템
WO2023182724A1 (ko) * 2022-03-22 2023-09-28 정원우 인력 매칭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ansen et al. Digitalization, street‐level bureaucracy and welfare users' experiences
US20020111843A1 (en) System and method for matching employment opportunities with job-seekers using the internet
Al-Omari E-government architecture in Jordan: a comparative analysis
CN101720470A (zh) 职涯验证系统、利用该系统的职涯验证方法,以及具有经储存于其内以供执行职涯验证方法的程序的记录媒体
Ngai et al. Importance of the internet to human resource practitioners in Hong Kong
EP3789952A1 (en) Talent and work experience-centered credit recognition academic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talent contribution bank service using same
KR101609717B1 (ko) 장학금 통합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장학금 운영 방법
JP2004355502A (ja) 人材配置支援システム、人材配置支援方法、サーバ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Ohkubo et al. Lessons learned from the use of the most significant change technique for adaptive management of complex health interventions
Hunter et al. Internal intellectual assets: A management interpretation
KR20020094789A (ko) 온라인 커뮤니티를 이용한 취업중개방법 및 시스템
Rhee Explo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archival appraisal practice and user studies: US state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programs
Chiao et al. Continuous Improvement in Regional Household Travel Surveys: New York Metropolitan Transportation Council Experience
Kestenbaum et al. Paperless grants via the Internet
Davison et al. Web-based data collection in China
Kesar et al. E–government implementation challenges in the UK: a case study at the Trading Standards Department
Wyld Bits and paper: The emerging employment market in cyberspace
Lääveri Consumer acceptance and usage of digital signature technologies
Liu The evaluation of worldwide digital reference services in libraries
Ugah et al. Enhancing the 21st Century school management through ICT
Lamøy et al. May I Borrow a Stapler? Is This All Students Ask at the Service Desk in a University Library?
ARMSTRONG et al. Administrative Matters
Sihidi et al. Jempol paten: A technology-based public service innovation
Agustin et al. Information Support in the Parliament Environment: Information Audit on E-PAPER Service by the Library of the Indonesian House of Representatives
Straight Paperle Gran via the Intern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