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99861A -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99861A
KR20200099861A KR1020190018030A KR20190018030A KR20200099861A KR 20200099861 A KR20200099861 A KR 20200099861A KR 1020190018030 A KR1020190018030 A KR 1020190018030A KR 20190018030 A KR20190018030 A KR 20190018030A KR 20200099861 A KR20200099861 A KR 202000998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inet
heat exchanger
frame
fastening hole
light em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80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영헌
서범수
오지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180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99861A/ko
Publication of KR202000998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986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13/2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for evacuating condens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88Ventilating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2013/228Treatment of condensate, e.g. sterili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Blowing Cold Air, Devices For Blowing Warm Air, And Means For Preventing Water Condensation In Air 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일면이 벽에 설치되는 베이스와, 베이스의 타면에 설치되어 공기를 흡입하는 송풍팬과, 일측이 베이스의 타면에 설치되되, 송풍팬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 열교환기와, 열교환기의 타측을 수용하되, 열교환기에서 생성되는 응축수를 집수하는 집수홈과, 열교환기를 통과한 공기를 외부로 토출시키는 송풍구를 구비하는 드레인 팬과, 송풍팬과 열교환기의 측면을 둘러싸되, 베이스와 드레인 팬을 연결하는 캐비닛과, 드레인 팬에 인접하는 캐비닛의 내측의 소정 영역에 설치되어 열교환기와 드레인 팬의 적어도 일부에 자외선을 조사하는 발광부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를 개시한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AIR CONDITIONER}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공기조화기의 내부에 설치되는 열교환기와 드레인 팬을 살균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공기조화기는 공기를 흡입하여 토출하는 송풍팬과, 흡입된 공기와 열을 교환하는 열교환기를 구비하여, 흡입된 공기는 저온 또는 고온의 냉매와 열을 교환한 후 이를 실내로 토출하는 것을 반복하는 작용에 의해 실내를 냉방하거나 또는 난방하는 냉/난방 시스템으로써, 압축기와, 응축기, 팽창밸브 및 증발기로 이루어지는 일련의 사이클을 형성하는 기기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에 흡입된 공기 중의 수분은 열교환기와 열을 교환하는 과정에서 응축되어 열교환기 표면에 응축수로 맺히게 된다. 때문에, 공기조화기의 내부에는 응축수를 집수하기 위한 드레인 팬과, 드레인 팬에 모아진 응축수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드레인 펌프가 설치된다.
이러한 드레인 펌프가 드레인 팬으로부터 일정 높이 떨어져서 설치될 경우 드레인 팬에는 응축수가 잔류할 수 밖에 없다. 뿐만 아니라, 드레인 펌프의 구동이 정지한 뒤 드레인 펌프 내부에 남아 있던 응축수가 역류하여 공기조화기 내부에 잔류하게 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잔류한 응축수로 인해 공기조화기 내부에 습한 환경이 조성될 수 있고, 나아가 잔류한 응축수에서 세균이 증식하여 실내로 토출되는 공기와 함께 세균도 토출되어 위생 상의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공기조화기의 내부에 구비되는 열교환기와 드레인 팬을 살균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실시예들은 공기조화기 내부의 공기 흐름을 간섭하지 않는 상태에서 열교환기와 드레인 팬을 살균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실시예들은 열교환기와 드레인 팬을 살균하는 발광부를 사용자가 쉽게 설치 및 분리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실시예들은 열교환기를 지나 외부로 토출되는 공기를 살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발광부를 캐비닛의 내측에 설치하되, 열교환기와 드레인 팬을 향해 자외선을 조사할 수 있도록 설치함으로써 공기조화기의 내부에 구비되는 열교환기와 드레인 팬을 살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일면이 벽에 설치되는 베이스와, 베이스의 타면에 설치되어 공기를 흡입하는 송풍팬과, 일측이 베이스의 타면에 설치되되, 송풍팬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 열교환기와, 열교환기의 타측을 수용하되, 열교환기에서 생성되는 응축수를 집수하는 집수홈과, 열교환기를 통과한 공기를 외부로 토출시키는 송풍구를 구비하는 드레인 팬과, 송풍팬과 열교환기의 측면을 둘러싸되, 베이스와 드레인 팬을 연결하는 캐비닛과, 드레인 팬에 인접하는 캐비닛의 내측의 소정 영역에 설치되어 열교환기와 드레인 팬의 적어도 일부에 자외선을 조사하는 발광부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를 개시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송풍팬을 통해 흡입된 공기는 송풍팬과 열교환기 및 송풍구를 순차적으로 통과하고, 발광부는 열교환기의 하류 측 및 송풍구의 상류 측에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발광부는, 캐비닛의 둘레 방향을 따라 소정 길이 연장되는 프레임과, 프레임에 설치되어 열교환기와 드레인 팬의 적어도 일부에 자외선을 조사하는 하나 이상의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프레임을 캐비닛의 내측의 소정 영역에 고정시키는 제1 체결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캐비닛은 체결부재가 관통하는 제1 체결홀을 포함하고, 프레임은 제1 체결홀을 관통한 체결부재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는 제2 체결홀을 포함하며, 제1 체결부재는 제1 체결홀과 제2 체결홀에 순차적으로 결합됨으로써 캐비닛과 프레임을 결합시키고, 제1 체결부재는 제2 체결홀으로부터 분리됨으로써 캐비닛과 프레임을 분리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프레임은, 캐비닛의 내측 표면과 접촉하는 제1 서브프레임과, 캐비닛과 소정 간격 이격되는 제2 서브프레임을 포함하고, 제2 체결홀은 제1 서브프레임에 형성되고, 발광 다이오드는 제2 서브프레임에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적어도 일부가 캐비닛과 제2 서브프레임 사이에 개재되는 단열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캐비닛의 내측 표면에 설치되되, 적어도 일부가 캐비닛과 프레임의 사이에 개재되는 단열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단열부재는 송풍팬에서 캐비닛을 향하는 방향으로 소정 간격 함몰되되, 캐비닛의 둘레 방향을 따라 소정 길이 연장되는 안착홈을 포함하고, 프레임은 안착홈에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프레임을 캐비닛과 단열부재에 고정시키는 제2 체결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캐비닛은 제2 체결부재가 관통하는 제1 체결홀을 포함하고, 프레임은 제1 체결홀을 관통한 제2 체결부재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는 제2 체결홀을 포함하며, 단열부재는 제1 체결홀을 관통한 제2 체결부재가 관통하는 제3 체결홀을 포함하고, 제2 체결부재는 제1 체결홀과 제2 체결홀 및 제3 체결홀에 순차적으로 결합됨으로써 캐비닛과 단열부재 및 프레임을 결합시키고, 제2 체결부재는 제3 체결홀으로부터 분리됨으로써 단열부재와 프레임을 분리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단열부재는 송풍팬에서 캐비닛을 향하는 방향으로 관통되되, 캐비닛의 둘레 방향을 따라 소정 길이 연장되는 안착홀을 포함하고, 프레임은 안착홀에 삽입되어 캐비닛의 내측 표면에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발광 다이오드는 복수개가 구비되고, 복수개의 발광 다이오드들은 프레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 이격되어 프레임에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복수개의 발광 다이오드들은 서로 일정하거나 상이한 간격으로 이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송풍팬과 열교환기 및 발광부는 베이스와 캐비닛 및 드레인 팬이 서로 결합됨으로써 형성되는 내부 공간에 배치되고, 발광부는 송풍구를 통해 외부에서 조작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공기조화기에 의하면,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발광부를 캐비닛의 내측에 설치하되, 열교환기와 드레인 팬을 향해 자외선을 조사할 수 있도록 설치함으로써 공기조화기의 내부에 구비되는 열교환기와 드레인 팬을 살균할 수 있다.
또한, 발광부가 캐비닛 내측 소정 영역에 설치됨으로써 송풍팬과 열교환기를 지나 외부로 인도되는 공기의 흐름을 간섭하지 않는 상태에서 열교환기와 드레인 팬을 살균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공기조화기의 외부에서 발광부와 캐비닛의 체결을 해제하고, 토출구를 통해 발광부에 접근하여 발광부를 캐비닛에 설치하거나 캐비닛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어, 공기조화기를 분해하지 않고도 발광부를 사용자가 쉽게 설치 및 분리할 수 있다.
또한, 발광부가 열교환기의 하류 측에 설치됨에 따라, 열교환기를 지나 외부로 토출되는 공기를 살균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효과들에 의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음의 자세한 설명과 그에 수반되는 도면들의 결합으로 쉽게 이해될 수 있으며, 참조 번호(reference numerals)들은 구조적 구성요소(structural elements)를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공기조화기의 각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공기조화기에서 전면판넬을 분리한 후 일측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공기조화기에서 흡입그릴과, 루버, 오리피스 및 드레인 팬을 분리한 모습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4는 캐비닛의 내부에 발광부가 설치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A에 도시된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내되, 발광부가 캐비닛에 설치되는 다른 변형예를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되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시된 각 구성 부재의 크기 및 형상은 과장되거나 축소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공기조화기의 각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개념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공기조화기에서 전면판넬을 분리한 후 일측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공기조화기(100)는 일면이 벽에 설치되는 베이스(110)와, 베이스(110)의 타면에 설치되어 공기를 흡입하는 송풍팬(120)과, 일측이 베이스(110)의 타면에 설치되되, 송풍팬(120)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 열교환기(130)와, 열교환기(130)의 타측을 수용하되, 열교환기(130)에서 생성되는 응축수를 집수하는 집수홈(141)과, 열교환기를 통과한 공기를 외부로 토출시키는 송풍구(142)를 구비하는 드레인 팬(140)과, 송풍팬(120)과 열교환기(130)의 측면을 둘러싸되, 베이스(110)와 드레인 팬(140)을 연결하는 캐비닛(150)과, 드레인 팬(140)에 인접하는 캐비닛(150)의 내측의 소정 영역에 설치되어 열교환기(130)와 드레인 팬(140)의 적어도 일부에 자외선(ultraviolet radiation)을 조사하는 발광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공기조화기(100)는 하면 외관의 테두리부를 형성하는 전면판넬(101)과, 전면판넬(101)의 중앙부에 설치되어 실내 공기가 공기조화기(100)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는 흡입그릴(10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베이스(110)는 벽에 설치됨으로써 베이스(110)를 제외한 나머지 공기조화기(100)의 각 구성들을 고정 및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캐비닛(150)의 일단은 베이스(110)와 결합되어 공기조화기(100)의 측면을 둘러쌀 수 있으며, 전면판넬(101)과 흡입그릴(102)은 베이스(110)와 소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는 동시에 캐비닛(150)의 타단과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전면판넬(101)과 흡입그릴(102), 캐비닛(150) 및 베이스(110)는 공기조화기(100)의 전체적인 외관을 형성하는 동시에 안쪽에 내부 공간을 형성할 수 있으며, 송풍팬(120)과 열교환기(130), 드레인 팬(140) 및 발광부(160)와 같은 공기조화기(100)의 나머지 구성품들이 이러한 내부 공간에 설치될 수 있다.
전면판넬(101)의 중앙부에는 흡입구(101a)가 마련될 수 있다. 흡입구(101a)에는 흡입그릴(102)이 설치될 수 있으며, 흡입그릴(102)은 흡입구(101a)를 통해 공기조화기(100)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 중의 이물을 선택적으로 필터링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흡입그릴(102)의 하류 측에는 공기조화기(100) 내부로 이물이 포함된 공기가 유입되지 않도록 에어필터(102f)가 설치될 수 있다. 에어필터(102f)는 흡입그릴(102)을 통과하여 공기조화기(100) 내부로 유입된 공기에서 이물만을 선택적으로 걸러내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에어필터(102f)에는 복수개의 미세구멍(미도시)들이 천공될 수 있다. 따라서, 흡입구(101a)를 통해서 공기조화기(100) 내부로 유입된 공기 중의 이물은 미세구멍을 통과하지 못하고 잔류하여 에어필터(102f)에 부착됨으로써 공기조화기(100) 내부에는 이물의 적재가 미연에 방지될 수 있다.
즉, 흡입그릴(102)은 실내 공기가 공기조화기(10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이를 위해 흡입그릴(102)의 전면에는 등간격으로 길게 공기유동공(102h)이 형성될 수 있다.
공기유동공(102h)은 흡입그릴(102)을 공기의 유동 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며, 공기조화기(100) 내부 중앙의 공간이 실내와 연통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공기조화기(100)의 작동 시 실내 공기는 공기유동공(102h)을 통해 공기조화기(100) 내부로 유입될 수 있고, 동시에 에어필터(102f)에 의해 정화될 수 있다.
그리고, 전면판넬(101)에는 하나 이상의 토출구(101b)가 형성될 수 있다. 토출구(101b)는 흡입구(101a)를 통해 공기조화기(100) 내부로 흡입된 실내 공기가 다시 실내로 토출될 수 있도록 안내하기 위한 구성으로, 공기조화기(100)의 내부가 실내와 연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토출구(101b) 내부에는 토출구(101b)를 통해서 실내로 토출되는 공기의 유동 방향을 강제하는 루버(103)가 설치될 수 있다. 루버(103)는 토출구(101b)의 형상 및 크기와 대응하는 모양을 가지며, 양단부를 기준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루버(103)의 일단부에는 루버모터(미도시)가 결합될 수 있다. 루버모터는 전원이 인가될 때 회전동력을 발생하는 구성으로, 루버(103)와 축결합됨으로써 루버(103)에 회전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루버모터는 루버(103)와 대응되는 수량으로 구비될 수 있다. 즉, 1개의 루버(103)에 1개의 루버모터가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개의 루버모터를 선택적으로 작동시킴으로써 복수개의 루버(103)를 독립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게 된다.
예컨대, 4개의 루버모터 중에서 1개만 작동시켜 이와 축결합된 1개의 루버(103) 만 일정각도만큼 반복 회동하도록 할 수도 있으며, 4개의 루버모터를 모두 작동시켜 모든 루버(103)를 회동시킬 수도 있다.
루버(103)의 상면과 토출구(101b)를 통해서 토출되는 공기가 서로 접촉하게 되면, 루버모터의 회동에 의해 루버(103)와 토출 공기의 접촉각이 시시각각 변하게 되며, 이에 따라 루버(103)는 공기조화기(100)에서 토출되는 공기를 여러 방향으로 안내할 수 있다.
한편, 전면판넬(101)의 일측에는 드레인 팬(140)이 설치될 수 있다. 드레인 팬(140)은 아래에서 설명할 열교환기(130)의 내부를 경유하는 냉매와, 열교환기(130)를 지나는 실내 공기가 열교환할 때 열교환기(130)의 표면에서 발생하는 응축수를 집수하기 위한 구성으로, 중력 방향에서 바라본 열교환기(130)의 외곽 크기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드레인 팬(140)에는 중력 방향으로 함몰된 집수홈(141)이 형성될 수 있다. 집수홈(141)에는 열교환기(130)가 수용 및 안착됨으로써, 열교환기(130)의 외면에 형성된 응축수는 중력 방향으로 흘러내려 집수홈(141)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그리고, 드레인 팬(140)은 에어필터(102f)에 의해 정화된 공기가 드레인 팬(140)을 관통하여 송풍팬(120) 측으로 유동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역할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공기가 유동하는 공간을 마련하기 위해, 드레인 팬(140)의 중앙부에는 관통구(140h)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실내 공기는 흡입구(101a)와 관통구(140h)를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송풍팬(120) 측으로 유동할 수 있다.
또한, 드레인 팬(140)은 송풍팬(120)을 기준으로 관통구(140h)와 집수홈(141)의 외측에 형성되어 열교환기(130)를 통과한 공기를 공기조화기(100)의 외부, 즉 공조 공간으로 토출시키는 송풍구(14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드레인 팬(140)의 일측, 보다 상세하게는 집수홈(141)의 일측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열교환기(130)가 설치될 수 있다. 열교환기(130)는 에어필터(102f)에 의해 정화된 실내 공기와 열교환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내부에는 실내 공기와 열교환하는 냉매가 유동할 수 있다.
그리고, 열교환기(130)는 캐비닛(150)의 내주면 형상에 대응하도록 여러 번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중력 방향에서 바라봤을 때 캐비닛(150)의 형상이 사각형이라면, 열교환기(130) 또한 사각형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열교환기(130)가 절곡하는 부위는 라운드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열교환기(130)는 공기와의 열교환 면적이 넓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가늘고 긴 관을 다수회 절곡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따라, 관통구(140h)를 통해 공기조화기(100)의 내부로 유입된 실내 공기는 송풍팬(120)을 거쳐 실내 열교환기(130)와 열교환하게 되며, 열교환 과정 중에 열교환기(130)의 외측 표면에서 발생되는 응축수는 집수홈(141)에 모일 수 있다.
열교환기(130)의 외측에는 캐비닛(150)이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캐비닛(150)은 열교환기(130)와는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열교환기(130)의 외측에 설치될 수 있다. 캐비닛(150)은 다수개의 판이 서로 결합되어 다각형을 이루며, 공기조화기(100)의 측면 외관을 형성함으로써 전면판넬(101), 흡입그릴(102) 및 베이스(110)와 함께 공기조화기(100)의 내부를 차폐할 수 있다.
즉, 캐비닛(150)의 일측은 전면판넬(101)의 일측 테두리부에 접촉한 상태로 결합되며, 타측은 아래에서 설명하게 될 베이스(110)와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캐비닛(150)의 양측에 각각 전면판넬(101)과 베이스(110)가 결합되면, 공기조화기(100)의 내부에는 빈 공간이 형성될 수 있고, 이러한 빈 공간에 다른 여러 가지 부품이 설치될 수 있다.
캐비닛(150)과 열교환기(130) 사이에는 단열부재(180)가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열부재(180)는 캐비닛(150)의 내측 표면에 부착될 수 있으며, 열교환기(130)의 내부에서 외측으로 유동하면서 냉매와 열교환된 공기가 캐비닛(150)의 외측으로 누설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캐비닛(150)의 내부 중앙에는 송풍팬(120)이 설치될 수 있다. 송풍팬(120)은 전원 인가시에 회전동력을 발생하는 팬모터(120m)와 연동하여 공기 유동을 강제하기 위한 구성으로, 흡입그릴(102)의 공기유동공(102h)과 드레인 팬(140)의 관통구(140h)를 통해 공기조화기(100)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를 흡입하여 열교환기(130) 측으로 인도할 수 있다.
즉, 송풍팬(120)이 팬모터(120m)로부터 회전동력을 전달받아 빠른 속도로 회동하게 되면 흡입력이 발생하고, 이 흡입력은 관통구(140h) 및 공기유동공(102h)에 전달되어 실내 공기를 흡입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송풍팬(120)의 중앙부로 흡입된 실내 공기는 외주면 방향으로 송풍되어 열교환기(130)를 관통함으로써 열교환기(130)의 내부를 흐르는 냉매에 의한 열교환이 이루어지게 된다.
즉, 송풍팬(120)을 통해 공기조화기(100)의 내부로 흡입된 공기는 송풍팬(120)을 거쳐 열교환기(130)로 인도되며, 열교환기(130)를 거친 공기는 다시 송풍구(142)를 거쳐 공조공간으로 토출될 수 있다.
여기서, 이하에서 설명할 발광부(160)는 열교환기(130)의 하류 측과 송풍구(142)의 상류 측에 설치되되, 발광부(160)가 설치된 위치에서 열교환기(130)를 향하는 방향으로 자외선을 조사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따라, 발광부(160)는 열교환기(130)를 직접적으로 비출 수 있으므로 열교환기(130)를 살균할 수 있고, 열교환기(130)에서 토출되는 공기 또한 살균할 수 있으며, 드레인 팬(140)의 일부도 함께 살균할 수 있다. 발광부(160)에 대해서는 이하 도 3 내지 5를 참조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송풍팬(120)의 상류 측, 보다 상세하게는 관통구(140h)의 내부에는 오리피스(104)가 설치될 수 있다. 오리피스(104)는 흡입구(101a)로 유입된 공기가 송풍팬(120)의 중앙부로 유입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흡입구(101a) 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증가하는 원통 형상을 가지며, 하단부가 드레인 팬(140)의 저면과 동일한 평면상에 놓이도록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오리피스(104)의 내부에는 공기의 유동 방향으로 천공되어 흡입구(101a)로 유입된 공기가 드레인 팬(140)을 관통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오리피스공(104h)이 형성될 수 있다.
오리피스공(104h)의 내경은 송풍팬(120)의 외경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으며, 다시 말해 공기의 유동 방향으로 오리피스(104)를 바라볼 경우 송풍팬(120)은 오리피스공(104h)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송풍팬(120)이 회동하여 흡입력을 발생시키게 되면, 드레인 팬(140)을 기준으로 공기는 오리피스공(104h)을 따라 송풍팬(120) 측으로 유동하여 송풍팬(120)의 중앙부로 유입될 수 있다.
한편, 전면판넬(101)과 오리피스(104)의 사이에는 컨트롤박스(105)가 설치될 수 있다. 컨트롤박스(105)는 공기조화기(100)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구성으로, 내부에는 일정 크기의 공간이 형성되어 인쇄회로기판(미도시)이 내장될 수 있다.
이하, 도 3 내지 5를 참조하여 발광부(160)에 대해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공기조화기에서 흡입그릴과, 루버, 오리피스 및 드레인 팬을 분리한 모습을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4는 캐비닛의 내부에 발광부가 설치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 및 4를 참조하면, 발광부(160)는 캐비닛(150)의 둘레 방향을 따라 소정 길이 연장되는 프레임(161)과, 프레임(161)에 설치되어 열교환기(130)와 드레인 팬(140)의 적어도 일부에 자외선을 조사하는 하나 이상의 발광 다이오드(162)를 포함할 수 있다.
발광부(160)는 캐비닛(150)에 제1 체결부재(170a)를 통해 결합될 수 있다. 즉, 제1 체결부재(170a)를 통해 발광부(160)의 프레임(161)은 캐비닛(150)의 내측 소정 영역에 고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캐비닛(150)은 제1 체결부재(170a)가 관통하는 제1 체결홀(150h)을 포함하고, 프레임(161)은 제1 체결홀(150h)을 관통한 제1 체결부재(170a)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는 제2 체결홀(161h)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체결부재(170a)는 제1 체결홀(150h)과 제2 체결홀(161h)에 순차적으로 결합됨으로써 캐비닛(150)과 프레임(161)을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체결부재(170a)는 제2 체결홀(161h)으로부터 분리됨으로써 캐비닛(150)과 프레임(161)을 분리시킬 수 있다.
예컨대, 제1 체결부재(170a)는 나사와 같은 체결수단일 수 있다. 만약 제1 체결부재(170a)가 나사일 경우, 제1 체결부재(170a)의 외측 표면에는 나사산(미표시)이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체결홀(150h)과 제2 체결홀(161h)에는 제1 체결부재(170a)의 나사산과 결합되는 나사홈(미표시)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1 체결부재(170a)는 상술한 바와 같이 나사인 것이 바람직하나,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른 예로써, 제1 체결부재(170a)는 제1 체결홀(150h)과 제2 체결홀(161h)에 삽입되는 몸체(미표시)와 캐비닛(150)의 외측 표면과 접촉하여 제1 체결부재(170a)가 더 이상 제1 체결홀(150h)과 제2 체결홀(161h) 측으로 삽입되지 않도록 캐비닛(150)의 외측 표면에 제1 체결부재(170a)를 고정시키는 헤드(미표시)를 포함하는 핀 커넥터(미표시)일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체결부재(170a)는 상술한 바와 같이 나사와 핀 커넥터를 포함하는 체결수단으로서, 제1 체결홀(15h)과 제2 체결홀(161h)에 순차적으로 삽입되어 발광부(160)의 프레임(161)을 캐비닛(150)의 내측 표면에 고정할 수 있는 그 어떠한 체결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캐비닛(150)의 외측 표면에 노출된 제1 체결부재(170a), 즉 제1 체결부재(170a)의 헤드를 조작하여 제1 체결부재(170a)를 제1 체결홀(150h)과 제2 체결홀(161h)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이렇게 제1 체결부재(170a)를 제1 체결홀(150h)과 제2 체결홀(161h)으로부터 분리한 뒤, 사용자는 토출구(101b)와 송풍구(142)를 통해 공기조화기(100)의 내부로 손을 넣어 발광부(160)를 캐비닛(150)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따르면, 발광 다이오드(162)가 고장 나거나 수명이 다해감에 따라 교체가 필요할 경우, 사용자는 캐비닛(150)으로부터 전면판넬(101)을 분리할 필요 없이 간단하게 제1 체결부재(170a)를 분리한 이후 공기조화기(100) 내부로 손을 넣어 교체가 필요한 발광부(160)를 캐비닛(150)으로부터 분리하여 다시 새로운 발광부(160)를 설치할 수 있다.
즉, 발광부(160)는 사용자에 의해 송풍구(142)를 통해 외부에서 조작 가능하므로, 사용자는 쉽게 발광부(160)를 공기조화기(100)에 설치하거나 공기조화기(100)에서 분리할 수 있다.
한편, 프레임(161)은 캐비닛(150)의 내측 표면과 접촉하는 제1 서브프레임(161a)과, 캐비닛(150)과 소정 간격 이격되는 제2 서브프레임(161b)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체결홀(161h)은 제1 서브프레임(161a)에 형성될 수 있고, 발광 다이오드(162)는 제2 서브프레임(161b)에 설치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광 다이오드(162)는 복수개가 구비되어 프레임(16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3개의 발광 다이오드(162a, 162b, 162c)들은 제2 서브프레임(161b)에 각각이 서로 이격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예컨대, 복수개의 발광 다이오드(162)는 서로 일정한 간격(L1과 L2가 동일)으로 이격되도록 제2 서브프레임(161b)에 설치될 수 있으나,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이한 간격으로 이격(L1과 L2가 상이)되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발광 다이오드(162)들이 등간격으로 이격된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공기조화기(100)는 캐비닛(150)의 내측 표면에 설치되되, 적어도 일부가 캐비닛(150)과 제2 서브프레임(161b) 사이에 개재되는 단열부재(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열부재(180)는 송풍팬(120)에서 캐비닛(150)을 향하는 방향으로 관통되되, 캐비닛(150)의 둘레 방향을 따라 소정 길이 연장되는 안착홀(180h)을 포함하고, 프레임(161)은 안착홀(180h)에 삽입되어 제1 서브프레임(161a)이 캐비닛(150)의 내측 표면과 접촉한 상태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체결부재(170a)를 통해 캐비닛(150)에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열부재(180)는 송풍팬(120)에서 캐비닛(150)을 향하는 방향으로 소정 간격 함몰되되, 캐비닛(150)의 둘레 방향을 따라 소정 길이 연장되는 안착홈(181)을 포함할 수 있고, 프레임(161)은 안착홈(181)에 설치될 수 있다.
도 5는 도 3의 A에 도시된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내되, 발광부가 캐비닛에 설치되는 다른 변형예를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단열부재(180)는 송풍팬(120)에서 캐비닛(150)을 향하는 방향으로 소정 간격 함몰되되, 캐비닛(150)의 둘레 방향을 따라 소정 길이 연장되는 안착홈(180r)을 포함하고, 프레임(161)은 안착홈(180r)에 삽입되어 제1 서브프레임(161a)이 단열부재(180)의 내측 표면과 접촉한 상태에서 제2 체결부재(170b)를 통해 단열부재(180)에 고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캐비닛(150)은 제2 체결부재(170b)가 관통하는 제1 체결홀(150h)을 포함하고, 프레임(161)은 제1 체결홀(150h)을 통과한 제2 체결부재(170b)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는 제2 체결홀(161h)을 포함하며, 단열부재(180)는 제1 체결홀(150h)을 관통한 제2 체결부재(170b)가 관통하는 제3 체결홀(180c)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체결부재(170b)는 제1 체결홀(150h)과 제3 체결홀(180c) 및 제2 체결홀(161h)에 순차적으로 결합됨으로써 캐비닛(150)과 단열부재(180) 및 프레임(161)을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제2 체결부재(170b)는 제2 체결홀(161h)으로부터 분리됨으로써 단열부재(180)와 프레임(161)을 분리시킬 수 있다.
예컨대, 제2 체결부재(170b)는 제1 체결부재(170a)와 마찬가지로 나사와 같은 체결수단일 수 있다. 만약 제2 체결부재(170b)가 나사일 경우, 제2 체결부재(170b)의 외측 표면에는 나사산(미표시)이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체결홀(150h)과 제2 체결홀(161h) 및 제3 체결홀(180c)에는 제2 체결부재(170b)의 나사산과 결합되는 나사홈(미표시)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2 체결부재(170b)는 상술한 바와 같이 나사인 것이 바람직하나,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른 예로써, 제2 체결부재(170b)는 제1 체결홀(150h)과 제2 체결홀(161h) 및 제3 체결홀(180c)에 삽입되는 몸체(미표시)와 캐비닛(150)의 외측 표면과 접촉하여 제2 체결부재(170b)가 더 이상 제1 체결홀(150h)과 제2 체결홀(161h) 및 제3 체결홀(180c) 측으로 삽입되지 않도록 캐비닛(150)의 외측 표면에 제2 체결부재(170b)를 고정시키는 헤드(미표시)를 포함하는 핀 커넥터(미표시)일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체결부재(170b)는 상술한 바와 같이 나사와 핀 커넥터를 포함하는 체결수단으로서, 제1 체결홀(15h)과 제2 체결홀(161h) 및 제3 체결홀(180c)에 순차적으로 삽입되어 발광부(160)의 프레임(161)을 단열부재(180)의 내측 표면에 고정할 수 있는 그 어떠한 체결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캐비닛(150)의 외측 표면에 노출된 제2 체결부재(170b), 즉 제2 체결부재(170b)의 헤드를 조작하여 제2 체결부재(170b)를 제1 체결홀(150h)과 제2 체결홀(161h) 및 제3 체결홀(180c)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이렇게 제2 체결부재(170b)를 제1 체결홀(150h)과 제2 체결홀(161h) 및 제3 체결홀(180c)으로부터 분리한 뒤, 사용자는 토출구(101b)와 송풍구(142)를 통해 공기조화기(100)의 내부로 손을 넣어 발광부(160)를 단열부재(180)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따르면, 발광 다이오드(162)가 고장 나거나 수명이 다해감에 따라 교체가 필요할 경우, 사용자는 캐비닛(150)으로부터 전면판넬(101)을 분리할 필요 없이 간단하게 제2 체결부재(170b)를 분리한 이후 공기조화기(100) 내부로 손을 넣어 교체가 필요한 발광부(160)를 캐비닛(150)으로부터 분리하여 다시 새로운 발광부(160)를 설치할 수 있다.
즉, 발광부(160)는 사용자에 의해 송풍구(142)를 통해 외부에서 조작 가능하므로, 사용자는 쉽게 발광부(160)를 공기조화기(100)에 설치하거나 공기조화기(100)에서 분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발광부(160)가 캐비닛(150)이나 캐비닛(150)의 내측에 설치된 단열부재(180)의 내측에 설치되는 구조에 따르면, 공기유동공(102h)과 송풍팬(120) 및 열교환기(130)를 순차적으로 통과한 이후 캐비닛(150)의 내측에 마련된 유로를 따라 송풍구(142)와 토출구(101b)를 따라 공조 공간으로 토출되는 공기의 흐름을 간섭하지 않는 상태에서, 발광부(160)는 열교환기(130)와 드레인 팬(140) 및 열교환기(130)에서 토출되는 공기를 동시에 살균할 수 있다.
한편, 발광부(160)에서 조사되는 자외선은 일정한 조사각(a1, a2, a3)을 갖고, 조사범위(R1, R2, R3)를 형성할 수 있다. 각각의 발광 다이오드(162)들은 각각의 조사각을 가질 수 있으며, 제1 발광 다이오드(162a)는 조사각(a1)을, 제2 발광 다이오드(162b)는 조사각(a2)을 갖고, 제3 발광 다이오드(162c)는 은 조사각(a3)을 가질 수 있다.
각각의 조사각은 바람직하게는 각각 120도를 형성하여 자외선이 조사되는 범위를 중첩시킬 수 있으나, 발광부(160)가 조사하는 자외선의 범위에 따라 가변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열교환기(130)와 드레인 팬(140)이 대략 사각형 형상으로 절곡됨에 따라 발생하는 각 모서리 부분에 근접하게 위치하는 발광 다이오드(미표시)는 모서리 부분에 자외선을 조사하기 위해 나머지 발광 다이오드들과 다른 조사각을 가질 수도 있다.
한편, 자외선의 조사범위(R1, R2, R3)는 각각의 발광 다이오드(162)들에서 조사되는 자외선이 모두 중첩되는 범위(R1)와, 발광 다이오드(162)들 중 서로 다른 2개의 발광 다이오드(162)에서 조사되는 자외선이 중첩되는 범위(R2)와, 하나의 발광 다이오드(162)에서 조사되어 자외선이 중첩되지 않는 범위(R3)가 형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2 발광 다이오드(162b)에서 조사되는 자외선의 조사범위를 기준으로, 제2 발광 다이오드(162b)에서 조사되는 자외선 중 일부는 제1 발광 다이오드(162a) 및 제3 발광 다이오드(162c)에서 조사되는 자외선과 중첩되는 범위(R1)를 형성할 수 있고, 제2 발광 다이오드(162b)에서 조사되는 자외선 중 나머지 일부는 제1 발광 다이오드(162a) 또는 제3 발광 다이오드(162c) 중 어느 하나에서 조사되는 자외선과 중첩되는 범위(R2)를 형성할 수 있고, 제1 발광 다이오드(162a) 및 제3 발광 다이오드(162c)는 각각에서 조사되어 다른 발광 다이오드(162)들에서 조사하는 자외선과 중첩되지 않는 범위(R3)를 형성할 수 있다.
열교환기(130)에서 생성된 응축수가 집수되는 드레인 팬(140)의 집수홈(141)과 열교환기(130)의 부분 중 드레인 팬(140)과 가장 근접하게 위치한 열교환기(130)의 일부에는 모든 자외선이 중첩되는 범위(R1)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열교환기(130)의 부분 중 응축수가 생성되거나, 응축수가 생성되어 드레인 팬(140)으로 이동하는 부분에는 2개의 자외선이 중첩되는 범위(R2)와 1개의 자외선이 조사되는 범위(R1)가 형성되어 열교환기(130)와 드레인 팬(140)의 집수홈(141) 및 열교환기(130)에서 토출되는 공기를 효과적으로 살균할 수 있다.
본 실시예와 관련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기된 기재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공기조화기 142: 송풍구
101: 전면판넬 150: 캐비닛
101a: 흡입구 150h: 제1 체결홀
101b: 토출구 160: 발광부
102: 흡입그릴 161: 프레임
102f: 에어필터 161a: 제1 서브프레임
102h: 공기유동공 161b: 제2 서브프레임
103: 루버 161h: 제2 체결홀
104: 오리피스 162: 발광 다이오드
105: 컨트롤박스 170a: 제1 체결부재
110: 베이스 170b: 제2 체결부재
120: 송풍팬 180: 단열부재
130: 열교환기 180c: 제3 체결홀
140: 드레인 팬 180h: 안착홀
141: 집수홈 180r: 안착홈

Claims (15)

  1. 일면이 벽에 설치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타면에 설치되어 공기를 흡입하는 송풍팬;
    일측이 상기 베이스의 타면에 설치되되, 상기 송풍팬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 열교환기;
    상기 열교환기의 타측을 수용하되, 상기 열교환기에서 생성되는 응축수를 집수하는 집수홈과, 상기 열교환기를 통과한 공기를 외부로 토출시키는 송풍구를 구비하는 드레인 팬;
    상기 송풍팬과 상기 열교환기의 측면을 둘러싸되, 상기 베이스와 상기 드레인 팬을 연결하는 캐비닛; 및
    상기 드레인 팬에 인접하는 상기 캐비닛의 내측의 소정 영역에 설치되어 상기 열교환기와 상기 드레인 팬의 적어도 일부에 자외선을 조사하는 발광부;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팬을 통해 흡입된 공기는 상기 송풍팬과 상기 열교환기 및 상기 송풍구를 순차적으로 통과하고,
    상기 발광부는 상기 열교환기의 하류 측 및 상기 송풍구의 상류 측에 설치되는, 공기조화기.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는,
    상기 캐비닛의 둘레 방향을 따라 소정 길이 연장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열교환기와 상기 드레인 팬의 적어도 일부에 자외선을 조사하는 하나 이상의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을 상기 캐비닛의 내측의 소정 영역에 고정시키는 제1 체결부재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은 상기 제1 체결부재가 관통하는 제1 체결홀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은 상기 제1 체결홀을 관통한 상기 제1 체결부재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는 제2 체결홀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체결부재는 상기 제1 체결홀과 상기 제2 체결홀에 순차적으로 결합됨으로써 상기 캐비닛과 상기 프레임을 결합시키고,
    상기 제1 체결부재는 상기 제2 체결홀으로부터 분리됨으로써 상기 캐비닛과 상기 프레임을 분리시키는, 공기조화기.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캐비닛의 내측 표면과 접촉하는 제1 서브프레임과,
    상기 캐비닛과 소정 간격 이격되는 제2 서브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체결홀은 상기 제1 서브프레임에 형성되고,
    상기 발광 다이오드는 상기 제2 서브프레임에 설치되는, 공기조화기.
  7. 제6 항에 있어서,
    적어도 일부가 상기 캐비닛과 상기 제2 서브프레임 사이에 개재되는 단열부재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8.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의 내측 표면에 설치되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캐비닛과 상기 프레임의 사이에 개재되는 단열부재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부재는 상기 송풍팬에서 상기 캐비닛을 향하는 방향으로 소정 간격 함몰되되, 상기 캐비닛의 둘레 방향을 따라 소정 길이 연장되는 안착홈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은 상기 안착홈에 설치되는, 공기조화기.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을 상기 캐비닛과 상기 단열부재에 고정시키는 제2 체결부재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은 상기 제2 체결부재가 관통하는 제1 체결홀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은 상기 제1 체결홀을 관통한 상기 제2 체결부재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는 제2 체결홀을 포함하며,
    상기 단열부재는 상기 제1 체결홀을 관통한 상기 제2 체결부재가 관통하는 제3 체결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체결부재는 상기 제1 체결홀과 상기 제3 체결홀 및 상기 제2 체결홀에 순차적으로 결합됨으로써 상기 캐비닛과 상기 단열부재 및 상기 프레임을 결합시키고,
    상기 제2 체결부재는 상기 제2 체결홀으로부터 분리됨으로써 상기 단열부재와 상기 프레임을 분리시키는, 공기조화기.
  12.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부재는 상기 송풍팬에서 상기 캐비닛을 향하는 방향으로 관통되되, 상기 캐비닛의 둘레 방향을 따라 소정 길이 연장되는 안착홀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은 상기 안착홀에 삽입되어 상기 캐비닛의 내측 표면에 설치되는, 공기조화기.
  13.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다이오드는 복수개가 구비되고,
    상기 복수개의 발광 다이오드들은 상기 프레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 이격되어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는, 공기조화기.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발광 다이오드들은 서로 일정하거나 상이한 간격으로 이격되는, 공기조화기.
  1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팬과 상기 열교환기 및 상기 발광부는 상기 베이스와 상기 캐비닛 및 상기 드레인 팬이 서로 결합됨으로써 형성되는 내부 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발광부는 상기 송풍구를 통해 외부에서 조작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KR1020190018030A 2019-02-15 2019-02-15 공기조화기 KR2020009986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8030A KR20200099861A (ko) 2019-02-15 2019-02-15 공기조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8030A KR20200099861A (ko) 2019-02-15 2019-02-15 공기조화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9861A true KR20200099861A (ko) 2020-08-25

Family

ID=722422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8030A KR20200099861A (ko) 2019-02-15 2019-02-15 공기조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9986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442006T3 (es) Humidificador
US9393338B2 (en) Air purification devices methods and systems
US6782707B2 (en) Air conditioner
US11454408B2 (en) Air condition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JP4033885B2 (ja) 空気調和機
JP2007205711A (ja) 空気調和機
CN114322091B (zh) 空调室内机及空调器
KR20200085100A (ko) 공기조화기
KR20200102864A (ko)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JP2020132032A (ja) 車両用空調機
KR20200099861A (ko) 공기조화기
KR20080059752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1555199B1 (ko) 공기조화기
JP2007017150A (ja) 空気調和機
CN215490044U (zh) 一种室内空调器
KR102454764B1 (ko) 공기조화기
JP2021177837A (ja) 殺菌装置付き空気循環装置
KR20100062668A (ko) 벽걸이형 증발식 가습기
KR20200109016A (ko) 공기조화기
CN111237864A (zh) 风管机
JP4807815B2 (ja) 空気調和装置
EP4339522A1 (en) Air conditioner
KR102412251B1 (ko) 공기조화기
US11160896B1 (en) Light blocking apparatus and air purifier
CN215446659U (zh) 一种室内空调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