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99831A - 의류를 처리하는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의류를 처리하는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99831A
KR20200099831A KR1020190017962A KR20190017962A KR20200099831A KR 20200099831 A KR20200099831 A KR 20200099831A KR 1020190017962 A KR1020190017962 A KR 1020190017962A KR 20190017962 A KR20190017962 A KR 20190017962A KR 20200099831 A KR20200099831 A KR 202000998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nitoring device
drum
clothing
clothes
mov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79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인
변성호
안상원
함성일
신재식
이현진
정준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179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99831A/ko
Priority to PCT/KR2020/002168 priority patent/WO2020167067A1/en
Priority to US16/791,526 priority patent/US11479896B2/en
Publication of KR202000998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983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04Signal transfer or data transmission arrangements
    • D06F34/05Signal transfer or data transmission arrangements for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components, e.g. for remote monitoring or control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30Control of wash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32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50Control of washer-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52Control of the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06F34/18Condition of the laundry, e.g. nature or weigh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30Driving arrangements 
    • D06F37/30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electric moto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0Drying process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2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4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2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4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58/36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for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06F58/38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for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of drying, e.g. to achieve the target humidit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02Characteristics of laundry or load
    • D06F2103/08Humidit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24Spin speed; Drum mov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46Drum speed; Actuation of motors, e.g. starting or interrupting
    • D06F2105/48Drum speed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56Remaining operation time; Remaining operational cycles
    • D06F2204/065
    • D06F2210/00
    • D06F2212/02
    • D06F2216/00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50Control of washer-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52Control of the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06F33/60Control of the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of centrifugal separation of water from the laundr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50Control of washer-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70Control of the operating time, e.g. reduction of overall operating tim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2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 D06F39/024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mounted on the agitator or the rotating drum; Free body dispens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Abstract

의류를 처리하는 장치 및 방법이 제공된다. 의류 처리 장치가 상기 의류 처리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은, 상기 의류 처리 장치의 드럼 내로 투입된 모니터링 장치와 무선 통신을 형성하는 동작;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동작; 상기 드럼이 회전하는 도중에, 상기 모니터링 장치로부터, 상기 모니터링 장치의 이동에 관련된 이동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 및 상기 수신된 이동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드럼의 회전을 제어하는 동작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의류를 처리하는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TREATING GARMENT}
본 개시는 의류를 처리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모니터링 장치와 통신함으로써 의류를 처리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류 처리 장치는 의류를 처리하기 위한 가전 기기로서, 세탁기, 건조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의류 처리 장치는 드럼이 수직방향으로 세워진 장치와, 드럼이 수평방향으로 눕혀진 장치로 구분될 수 있다. 이러한 의류 처리 장치는 의류를 수용하는 드럼을 회전시키며, 의류를 처리하는 강도 및 처리 시간 등을 제어함으로써 의류를 효과적으로 처리할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의류를 처리하는 동안에, 드럼 내의 의류의 상태를 보다 정확하게 모니터링함으로써 드럼 내의 의류를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는, 의류와 함께 드럼 내에서 이동하는 모니터링 장치의 이동 정보를 이용하여, 의류를 처리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는, 의류와 함께 드럼 내에서 이동하는 모니터링 장치의 이동 정보를 이용하여, 드럼의 동작을 조정할 수 있는 의류 처리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는, 의류와 함께 드럼 내에서 이동하는 모니터링 장치의 이동 정보를 이용하여, 의류 처리 시간을 조정할 수 있는 의류 처리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는, 의류와 함께 드럼 내에서 이동하는 모니터링 장치의 이동 정보를 이용하여, 의류의 엉킴을 풀 수 있는 의류 처리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개시의 한 측면은, 의류 처리 장치의 드럼 내로 투입된 모니터링 장치와 무선 통신을 형성하는 동작; 상기 의류를 처리하기 위하여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동작; 상기 드럼이 회전하는 도중에, 상기 모니터링 장치로부터, 상기 모니터링 장치의 이동에 관련된 이동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 및 상기 수신된 이동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드럼의 회전을 제어하는 동작;을 포함하며, 상기 모니터링 장치는, 상기 의류 처리 장치 내의 의류와 함께, 상기 회전하는 드럼 내에서 이동하는 것인, 의류 처리 장치가 상기 의류 처리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다른 측면은, 모니터링 장치와 무선 통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 의류 및 상기 모니터링 장치를 수용하는 드럼;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인스트럭션을 실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드럼 내로 투입된 상기 모니터링 장치와 무선 통신을 형성하고, 상기 의류를 처리하기 위하여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고, 상기 드럼이 회전하는 도중에, 상기 모니터링 장치로부터, 상기 모니터링 장치의 이동에 관련된 이동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이동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드럼의 회전을 제어하며, 상기 모니터링 장치는, 상기 의류 처리 장치 내의 의류와 함께, 상기 회전하는 드럼 내에서 이동하는 것인, 의류 처리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또 다른 측면은, 상기 의류 처리 장치와 무선 통신하는 통신부; 센서부;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인스트럭션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의류 처리 장치와 무선 통신을 형성하고, 상기 의류 처리 장치의 드럼이 회전하는 도중에, 상기 드럼이 회전에 의해 이동하는 상기 모니터링 장치의 이동을 센싱하고, 상기 모니터링 장치의 이동에 관련된 센싱 데이터를 상기 의류 처리 장치에게 제공하며, 상기 모니터링 장치는, 상기 의류 처리 장치 내의 의류와 함께, 상기 회전하는 드럼 내에서 이동하며, 상기 제공된 센싱 데이터는, 상기 의류 처리 장치가 상기 의류를 처리하기 위하여 상기 드럼의 회전을 제어하는데 이용되는 것인, 의류 처리 장치 내에 투입되는 모니터링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1000)가 모니터링 장치(2000)를 이용하여 의류를 처리하는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100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1000)의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 장치(2000)의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부(2200)의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 장치(2000)가 의류 처리 장치(1000) 내에서 이동하는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1000)가 모니터링 장치(2000)와 연동함으로써 의류 처리 장치(1000)의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1000)가 모니터링 장치(2000)의 이동 방향 및 이동 속도에 기초하여, 의류 처리 장치(1000)의 드럼(1030)의 회전 속도를 변경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1000)가 모니터링 장치(2000)의 가속도에 기초하여, 의류 처리 장치(1000)의 건조 시간을 변경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1000)가 모니터링 장치(2000)의 가속도 변화에 기초하여, 의류 처리 장치(1000) 내의 의류의 엉킴을 풀기 위한 동작을 실행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1000)가 모니터링 장치(2000) 주변의 습도에 기초하여, 의류 처리 장치(1000)의 건조 시간을 변경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1000)가 모니터링 장치(2000)를 충전하는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1000)가 모니터링 장치(2000)를 충전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개시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개시는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개시를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개시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1000)가 모니터링 장치(2000)를 이용하여 의류를 처리하는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의류 처리 장치(1000)는 의류를 처리하기 위한 장치로서, 의류 처리 장치(1000) 내에 투입된 의류를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의류 처리 장치(1000)는, 예를 들어, 세탁기 및 건조기와 같은 가전 기기일 수 있으며, 회전 가능한 드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의류 처리 장치(1000), 예를 들어, 건조, 세탁, 헹굼 및 탈수 등의 기능을 실행함으로써, 의류를 처리할 수 있다.
모니터링 장치(2000)는 의류와 함께 의류 처리 장치(1000) 내에 투입되는 장치로서, 드럼의 회전에 따라 의류와 함께 드럼 내에서 이동할 수 있다. 모니터링 장치(2000)는 의류 처리 장치(1000)와 통신 연결될 수 있으며, 의류 처리 장치(1000)에 의해 의류가 처리되는 도중에, 모니터링 장치(2000)의 이동에 관련된 이동 정보를 의류 처리 장치(10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모니터링 장치(2000)는 구형에 가까운 형상을 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공(ball)과 같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의류 처리 장치(1000)는 드럼 내에서 의류와 함께 이동하는 모니터링 장치(2000)의 이동 정보에 기초하여, 기 설정된 기준에 따라 의류를 처리하기 위한 동작을 실행하거나 변경할 수 있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1000)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1000)의 블록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1000)는 캐비닛(1010), 도어(1020), 드럼(1030), 사용자 입력부(1100), 디스플레이부(1200), 통신부(1300), 충전부(1400), 건조부(1500), 제어부(1600) 및 메모리(1700)를 포함할 수 있다.
캐비닛(1010)은 의류 처리 장치(1000)의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일 수 있으며, 캐비닛(1010)의 일측면에 설치된 도어(1020)는 캐비닛(1010)의 일측면의 개구를 개폐할 수 있다. 캐비닛(1010)의 일측면에 설치된 도어(1020)가 열리면, 캐비닛(1010)의 개구를 통해 외부의 의류 및 모니터링 장치(2000)가 드럼(1030) 내로 투입될 수 있다. 드럼(1030)은 캐비닛(1010)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으며, 드럼(1030)이 회전함으로써 드럼(1030) 내의 의류 및 모니터링 장치(2000)가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100)는, 사용자가 의류 처리 장치(1000)를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를 입력하는 수단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부(1100)에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접촉식 정전 용량 방식, 압력식 저항막 방식, 적외선 감지 방식, 표면 초음파 전도 방식, 적분식 장력 측정 방식, 피에조 효과 방식 등),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이 있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사용자 입력부(1100)는, 의류 처리 장치(1000)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100)는 회전 가능한 놉(knob)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1100)를 통해 의류 처리 장치(1000)에 전원을 인가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1100)를 회전 조작함으로써, 의류 처리 코스를 선택하고 의류 처리 장치를 구동시킬 수 있다. 의류 처리 코스는, 예를 들어, 표준 건조, 급속 건조, 이불 털기, 세탁, 헹굼 및 탈수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1100)를 통해 건조 강도, 드럼(1030)의 회전 속도, 건조 시간 등을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디스플레이부(1200)는 의류 처리 장치(10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200)는, 의류 처리 장치(1000)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의류 처리 코스와 관련된 정보 및 의류 처리 상태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200)와 터치패드가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200)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200)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기영동 디스플레이(electrophoretic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300)는 모니터링 장치(2000), 모바일 디바이스(미도시) 및 서버(미도시)와의 통신을 위한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1300)는 근거리 통신부(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및 이동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부는, 블루투스 통신부, BLE(Bluetooth Low Energy) 통신부,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통신부, 와이파이(WiFi) 통신부, 지그비(Zigbee) 통신부, 적외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통신부, WFD(Wi-Fi Direct) 통신부, UWB(ultra wideband) 통신부, Ant+ 통신부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동 통신부는,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충전부(1400)는 모니터링 장치(2000)를 충전할 수 있다. 충전부(1400)는 드럼(1030) 내의 충전 홈에 안착된 모니터링 장치(2000)를 무선 충전 또는 유선 충전할 수 있다. 충전부(1400)가 모니터링 장치(2000)를 유선 충전 하는 경우에, 충전부(1400)는 드럼(1030) 내의 충전 홈 내의 충전 단자 및 모니터링 장치(2000)의 충전 단자를 통하여, 모니터링 장치(2000)를 충전할 수 있다.
건조부(1500)는 의류를 건조시킬 수 있다. 건조부(1500)는, 제어부(1600)의 제어에 의해, 드럼(1030) 내로 열풍을 제공할 수 있다. 건조부(1500)는, 제어부(1600)의 제어에 의해, 소정의 제습 기능을 통해 드럼(1030) 내의 습기를 제거할 수 있다.
메모리(1700)는, 의류 처리 장치(1000)의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의류 처리 장치(1000)로 입력되거나 의류 처리 장치(1000)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도 있다. 메모리(170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OM,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700)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은 그 기능에 따라 복수 개의 모듈들로 분류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UI 모듈, 터치 스크린 모듈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제어부(1600)는, 의류 처리 장치(10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600)는, 메모리(1700)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도어(1020), 드럼(1030), 사용자 입력부(1100), 디스플레이부(1200), 통신부(1300), 충전부(1400), 건조부(1500)및 메모리(1700)를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600)는, 도어(1020), 드럼(1030), 사용자 입력부(1100), 디스플레이부(1200), 통신부(1300), 충전부(1400), 건조부(1500)및 메모리(1700)를 제어함으로써,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의류 처리 장치(1000)의 동작들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600)는 드럼(1030) 내에 투입된 모니터링 장치(2000)로부터, 모니터링 장치(2000)의 이동에 관한 이동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1600)가 의류 처리를 위한 동작을 실행하면, 의류 처리 장치(1000)의 드럼(1030)이 회전할 수 있다. 또한, 드럼(1030)이 회전함에 따라, 드럼(1030) 내의 의류 및 모니터링 장치(2000)는 이동할 수 있다. 모니터링 장치(2000)는 모니터링 장치(2000) 내의 센서를 이용하여, 모니터링 장치(2000)의 이동 방향, 이동 속도, 가속도 및 가속도의 변화 등을 나타내는 이동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모니터링 장치(2000)는 획득된 이동 정보를 의류 처리 장치(1000)에게 실시간으로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1600)는 수신된 이동 정보에 기초하여, 드럼(1030)의 회전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600)는 모니터링 장치(2000)로부터 수신된 이동 정보에 기초하여, 드럼(1030)의 회전 속도, 드럼(1030)을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의 속도, 드럼(1030)의 회전 방향, 및 드럼(1030)의 회전 패턴을 변화시킬 수 있다.
제어부(1600)는 의류 처리를 위한 동작이 시작되면, 드럼(1030) 내의 의류의 양을 추정하기 위하여 드럼(1030)을 소정 시간 동안 회전시키고 정지시키는 동작을 반복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600)는 추정된 의류의 양을 모니터링 장치(2000)로부터 수신된 이동 정보와 함께 고려함으로써, 드럼(1030)의 회전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600)는 드럼(1030)의 회전 속도를 변경할 수 있다. 제어부(1600)는 건조 기능을 시작함에 따라, 드럼(1030) 내의 의류의 양을 추정할 수 있으며, 추정된 의류의 양에 기초하여 드럼(1030)의 회전 속도 및 회전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600)는 결정된 드럼(1030)의 회전 속도 및 회전 방향에 따른 의류의 이동 속도 및 이동 방향을 추정할 수 있다. 또한, 드럼(1030)이 회전하는 도중에, 제어부(1600)는 모니터링 장치(2000)로부터 수신된 이동 방향 및 이동 속도에 기초하여, 드럼(1030)의 회전 속도 또는 회전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할 수 있다. 모니터링 장치(2000)의 이동 속도가 추정된 의류의 이동 속도와 상이한 경우에, 제어부(1600)는 드럼(1030)의 회전 속도를 변경할 수 있다.
제어부(1600)는 건조 시간을 변경할 수 있다. 제어부(1600)는 건조 기능을 시작함에 따라, 드럼(1030) 내의 의류의 양을 추정할 수 있으며, 추정된 의류의 양에 기초하여 건조 동작을 실행하는 건조 시간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600)는 추정된 의류의 양 및 드럼(1030)의 회전 속도에 기초하여, 의류의 가속도를 추정할 수 있다. 의류는 드럼(1030) 내에서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드럼(1030) 내에서 높은 위치에서 낮은 위치로 떨어질 수 있다. 또한, 드럼(1030)이 회전하는 도중에, 제어부(1600)는 모니터링 장치(2000)로부터 수신된 모니터링 장치(2000)의 가속도에 기초하여, 의류 처리 장치(1000)의 건조 시간을 변경할 수 있다. 모니터링 장치(2000)의 가속도가 추정된 의류의 가속도와 상이한 경우에, 제어부(1600)는 건조 시간을 변경할 수 있다.
제어부(1600)는 모니터링 장치(2000)의 가속도의 변화를 식별할 수 있다. 제어부(1600)는 모니터링 장치(2000)로부터 수신되는 모니터링 장치(2000)의 가속도 데이터들을 누적하여 저장할 수 있으며, 누적하여 저장된 가속도 데이터들을 비교할 수 있다.
제어부(1600)는 모니터링 장치(2000)의 이동 이력을 분석할 수 있다. 제어부(1600)는 모니터링 장치(2000)의 이동 방향 및 이동 속도의 이력에 기초하여, 의류 처리 장치(1000)가 건조 기능을 실행하는 동안에 모니터링 장치(2000)가 어떻게 이동하였는지에 관한 이동 이력을 분석할 수 있다.
제어부(1600)는 드럼(1030)의 회전 패턴을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1600)는 모니터링 장치(2000)의 이동 방향 및 이동 속도에 관한 이력 정보에 기초하여, 드럼(1030) 내의 의류가 어떻게 엉켰는지를 추정할 수 있다. 제어부(1600)는 모니터링 장치(2000)의 이동 방향 및 이동 속도에 관한 이력 정보에 기초하여, 드럼(1030) 내에서 엉킨 의류를 풀기 위한 드럼(1030)의 회전 패턴을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1600)는 엉킨 의류를 풀기 위한 드럼(1030)의 회전 패턴을 결정하기 위한 소정의 학습 모델을 이용하여, 드럼(1030)의 회전 패턴을 결정할 수 있다. 엉킨 의류를 풀기 위한 드럼(1030)의 회전 패턴을 결정하기 위한 소정의 학습 모델은, 인공 지능 알고리즘으로서, 예를 들어, 기계학습, 신경망, 유전자, 딥러닝, 분류 알고리즘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학습된 학습 모델일 수 있다.
제어부(1600)는 의류의 엉킴을 풀기 위한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 제어부(1600) 획득된 드럼(1030)의 회전 패턴에 따라, 의류 처리 장치(1000) 내의 드럼(1030)의 회전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600)는 모니터링 장치(2000)로부터 수신되는 습도 정보에 기초하여, 의류 처리 장치(1000)의 건조 시간을 변경할 수 있다. 제어부(1600)는 건조 동작을 실행하는 도중에, 의류 처리 장치(1000)의 습도 센서에 의해 측정된 습도 및 모니터링 장치(2000)에 의해 측정된 습도를 함께 고려하여, 건조 동작을 실행하는 건조 시간을 변경할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 장치(2000)의 블록도이며,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부(2200)의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모니터링 장치(2000)는 통신부(2100), 센서부(2200), 충전부(2300), 메모리(2400), 프로세서(2500) 및 배터리(260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2100)는 의류 처리 장치(1000) 및 모바일 디바이스(미도시) 와의 통신을 위한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2100)는 근거리 통신부(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를 포함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부는, 블루투스 통신부, BLE(Bluetooth Low Energy) 통신부,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통신부, 와이파이(WiFi) 통신부, 지그비(Zigbee) 통신부, 적외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통신부, WFD(Wi-Fi Direct) 통신부, UWB(ultra wideband) 통신부, Ant+ 통신부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센서부(2200)는 모니터링 장치(2000)의 상태 또는 모니터링 장치(2000) 주변의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센서부(2200)는, 자이로 센서(2210), 가속도 센서(2220), 습도 센서(2230) 및 세제 검출 센서(224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센서부(2200)는 지자기 센서(Magnetic sensor) 및 온도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세제 검출 센서(2240)는, 예를 들어, 후각 센서 및 분광 측정 센서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각 센서들의 기능은 그 명칭으로부터 당업자가 직관적으로 추론할 수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모니터링 장치(2000)는 구형(spherical)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센서부(2200)는 모니터링 장치(2000) 내에 내장될 수 있다. 센서부(2200)에 포함된 일부 센서는 모니터링 장치(2000)의 중앙 부분에 위치하도록 설치될 수 있으며, 센서부(2200)에 포함된 나머지 센서는 모니터링 장치(2000)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자기 센서(Magnetic sensor),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자이로스코프 센서는 모니터링 장치(2000)의 중앙 부분에 설치될 수 있으며, 온도 센서 및 습도 센서는 모니터링 장치(2000)의 외주면 부분에 노출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충전부(2300)는 배터리(2600)를 충전할 수 있다. 충전부(2300)는 의류 처리 장치(1000)로부터 제공되는 전류에 기초하여 배터리(2600)를 유선 충전 또는 무선 충전할 수 있다.
메모리(2400)는, 모니터링 장치(2000)의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모니터링 장치(2000)에 의해 획득되거나 모니터링 장치(2000)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도 있다. 메모리(240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OM,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2500)는 모니터링 장치(20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500)는, 메모리(2400)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통신부(2100), 센서부(2200), 충전부(2300), 메모리(2400) 및 배터리(2600)를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2500)는, 통신부(2100), 센서부(2200), 충전부(2300), 메모리(2400) 및 배터리(2600)를 전반적으로 제어함으로써, 본 명세서에 개시된 모니터링 장치(2000)의 동작들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2500)는 모니터링 장치(2000)와 통신 연결할 수 있다. 프로세서(2500)는, 예를 들어, 블루투스 통신 또는 와이파이 통신을 통해 의류 처리 장치(1000)와 통신 연결할 수 있다.
의류 처리 장치(1000)는 모니터링 장치(2000)의 모니터링 동작을 개시하라는 신호를 모니터링 장치(2000)에게 전송할 수 있으며, 프로세서(2500)는 의류 처리 장치(1000)의 활성화 명령에 따라, 드럼(1030) 내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기능을 활성화할 수 있다.
프로세서(2500)는 모니터링 장치(2000)의 이동 방향을 측정할 수 있다. 의류 처리 장치(1000)의 드럼(1030)이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모니터링 장치(2000)는 의류와 함께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2500)는 센서를 이용하여 모니터링 장치(2000)의 이동을 모니터링할 수 있으며, 모니터링 장치(2000)의 이동 방향에 관한 센싱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프로세서(2500)는, 예를 들어, 모션 센서, 자이로 센서를 이용하여 모니터링 장치의 이동 방향에 관한 센싱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프로세서(2500)는 소정 주기에 따라 주기적으로 모니터링 장치(2000)의 이동 방향을 측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2500)는 소정 시간 범위 동안 모니터링 장치(2000)의 이동 방향을 측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2500)는 모니터링 장치(2000)의 이동 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2500)는 센서를 이용하여 모니터링 장치(2000)의 이동을 모니터링할 수 있으며, 모니터링 장치(2000)의 이동 속도에 관한 센싱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프로세서(2500)는, 예를 들어, 모션 센서, 자이로 센서를 이용하여 모니터링 장치의 이동 속도에 관한 센싱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프로세서(2500)는 소정 주기에 따라 주기적으로 모니터링 장치(2000)의 이동 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2500)는 소정 시간 범위 동안 모니터링 장치(2000)의 이동 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2500)는 의류 처리 장치(1000)에게 이동 방향 및 이동 속도에 관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프로세서(2500)는 이동 방향 및 이동 속도에 관한 센싱 데이터를 의류 처리 장치(1000)에게 실시간으로 전송할 수 있다.
프로세서(2500)는 모니터링 장치(2000)의 가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2500)는 가속도 센서를 이용하여 모니터링 장치(2000)의 가속도를 측정할 수 있으며, 모니터링 장치(2000)의 가속도를 나타내는 센싱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프로세서(2500)는 소정 주기에 따라 주기적으로 모니터링 장치(2000)의 가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2500)는 소정 시간 범위 동안 모니터링 장치(2000)의 가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2500)는 의류 처리 장치(1000)에게 가속도에 관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프로세서(2500)는 모니터링 장치(2000)의 가속도에 관한 센싱 데이터를 의류 처리 장치(1000)에게 실시간으로 전송할 수 있다.
프로세서(2500)는 모니터링 장치(2000) 주변의 습도를 측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2500)는 습도 센서를 이용하여 모니터링 장치(2000) 주변의 습도를 측정할 수 있으며, 모니터링 장치(2000) 주변의 습도를 나타내는 센싱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프로세서(2500)는 소정 주기에 따라 주기적으로 모니터링 장치(2000) 주변의 습도를 측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2500)는 의류 처리 장치(1000)에게 습도에 관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프로세서(2500)는 모니터링 장치(2000) 주변의 습도에 관한 센싱 데이터를 의류 처리 장치(1000)에게 실시간으로 전송할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 장치(2000)가 의류 처리 장치(1000) 내에서 이동하는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의류 처리 장치(1000)의 드럼(1030)은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드럼(1030)이 회전함에 따라, 드럼(1030) 내에 투입된 모니터링 장치(2000)는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모니터링 장치(2000)는, 예를 들어, 구형의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드럼(1030) 내에 투입된 의류와 함께 드럼(1030) 내에서 이동할 수 있다. 드럼(1030)의 회전 속도, 드럼(1030) 내의 의류의 양 및 드럼(1030) 내의 의류의 엉킴에 따라, 드럼(1030) 내의 모니터링 장치(2000)의 이동이 변화할 수 있다. 모니터링 장치(2000)는 모니터링 장치(2000)의 이동에 관련된 이동 정보를 의류 처리 장치(10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1000)가 모니터링 장치(2000)와 연동함으로써 의류 처리 장치(1000)의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동작 S700에서 의류 및 모니터링 장치(2000)가 드럼(1030) 내에 투입될 수 있다. 의류 및 모니터링 장치(2000)는 의류 처리 장치(1000)가 의류 처리를 위한 동작을 실행하기 전에 드럼(1030) 내에 사용자에 의해 투입될 수 있다.
동작 S710에서 의류 처리 장치(1000)는 드럼(1030) 내에 투입된 모니터링 장치(2000)로부터, 모니터링 장치(2000)의 이동에 관한 이동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의류 처리 장치(1000)가 의류 처리를 위한 동작을 실행하면, 의류 처리 장치(1000)의 드럼(1030)이 회전할 수 있다. 또한, 드럼(1030)이 회전함에 따라, 드럼(1030) 내의 의류 및 모니터링 장치(2000)는 이동할 수 있다. 모니터링 장치(2000)는 모니터링 장치(2000) 내의 센서를 이용하여, 모니터링 장치(2000)의 이동 방향, 이동 속도, 가속도 및 가속도의 변화 등을 나타내는 이동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모니터링 장치(2000)는 획득된 이동 정보를 의류 처리 장치(1000)에게 실시간으로 전송할 수 있다.
동작 S720에서 의류 처리 장치(1000)는 수신된 이동 정보에 기초하여, 드럼(1030)의 회전을 제어할 수 있다. 의류 처리 장치(1000)는 모니터링 장치(2000)로부터 수신된 이동 정보에 기초하여, 드럼(1030)의 회전 속도, 드럼(1030)을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의 속도, 드럼(1030)의 회전 방향, 및 드럼(1030)의 회전 패턴을 변화시킬 수 있다.
한편, 의류 처리 장치(1000)는 의류 처리를 위한 동작이 시작되면, 드럼(1030) 내의 의류의 양을 추정하기 위하여 드럼(1030)을 소정 시간 동안 회전시키고 정지시키는 동작을 반복할 수 있다. 또한, 의류 처리 장치(1000)는 추정된 의류의 양을 모니터링 장치(2000)로부터 수신된 이동 정보와 함께 고려함으로써, 드럼(1030)의 회전을 제어할 수 있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1000)가 모니터링 장치(2000)의 이동 방향 및 이동 속도에 기초하여, 의류 처리 장치(1000)의 드럼(1030)의 회전 속도를 변경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동작 S800에서 의류 및 모니터링 장치(2000)가 드럼(1030) 내에 투입될 수 있다. 의류 및 모니터링 장치(2000)는 의류 처리 장치(1000)가 의류 처리를 위한 동작을 실행하기 전에 드럼(1030) 내에 사용자에 의해 투입될 수 있다.
동작 S805에서 의류 처리 장치(1000)는 모니터링 장치(2000)와 통신 연결될 수 있다. 의류 처리 장치(1000)에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의류 처리 장치(1000)는 모니터링 장치(2000)와 통신 연결할 수 있다. 또는, 의류 처리 장치(1000)에서 의류 처리를 위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됨에 따라, 의류 처리 장치(1000)는 모니터링 장치(2000)와 통신 연결할 수 있다. 의류 처리 장치(1000)는, 예를 들어, 블루투스 통신 또는 와이파이 통신을 통해 모니터링 장치(2000)와 통신 연결할 수 있다.
동작 S810에서 의류 처리 장치(1000)는 건조 기능을 활성화할 수 있다. 의류 처리 장치(1000)는 건조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됨에 따라, 드럼(1030) 내의 의류를 건조시키기 위한 건조 기능을 활성화할 수 있다.
동작 S815에서 의류 처리 장치(1000)는 모니터링 장치(2000)에게 활성화 명령을 할 수 있다. 의류 처리 장치(1000)는 모니터링 장치(2000)의 모니터링 동작을 개시하라는 신호를 모니터링 장치(20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모니터링 장치(2000)는 의류 처리 장치(1000)의 활성화 명령에 따라, 드럼(1030) 내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기능을 활성화할 수 있다.
동작 S820에서 모니터링 장치(2000)는 모니터링 장치(2000)의 이동 방향을 측정할 수 있다. 의류 처리 장치(1000)의 드럼(1030)이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모니터링 장치(2000)는 의류와 함께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모니터링 장치(2000)는 센서를 이용하여 모니터링 장치(2000)의 이동을 모니터링할 수 있으며, 모니터링 장치(2000)의 이동 방향에 관한 센싱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모니터링 장치(2000)는, 예를 들어, 모션 센서, 자이로 센서를 이용하여 모니터링 장치의 이동 방향에 관한 센싱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모니터링 장치(2000)는, 예를 들어, 모니터링 장치(2000)가 시계 방향으로 이동하는지 반시계 방향으로 이동하는 지에 관련된 이동 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모니터링 장치(2000)는 소정 주기에 따라 주기적으로 모니터링 장치(2000)의 이동 방향을 측정할 수 있다. 모니터링 장치(2000)는 소정 시간 범위 동안 모니터링 장치(2000)의 이동 방향을 측정할 수 있다.
동작 S825에서 모니터링 장치(2000)는 모니터링 장치(2000)의 이동 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모니터링 장치(2000)는 센서를 이용하여 모니터링 장치(2000)의 이동을 모니터링할 수 있으며, 모니터링 장치(2000)의 이동 속도에 관한 센싱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모니터링 장치(2000)는, 예를 들어, 모션 센서, 자이로 센서를 이용하여 모니터링 장치의 이동 속도에 관한 센싱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모니터링 장치(2000)는 소정 주기에 따라 주기적으로 모니터링 장치(2000)의 이동 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모니터링 장치(2000)는 소정 시간 범위 동안 모니터링 장치(2000)의 이동 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동작 S830에서 모니터링 장치(2000)는 의류 처리 장치(1000)에게 이동 방향 및 이동 속도에 관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모니터링 장치(2000)는 이동 방향 및 이동 속도에 관한 센싱 데이터를 의류 처리 장치(1000)에게 실시간으로 전송할 수 있다.
동작 S840에서 의류 처리 장치(1000)는 드럼(1030)의 회전 속도를 변경할 수 있다. 의류 처리 장치(1000)는 건조 기능을 시작함에 따라, 드럼(1030) 내의 의류의 양을 추정할 수 있으며, 추정된 의류의 양에 기초하여 드럼(1030)의 회전 속도 및 회전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의류 처리 장치(1000)는 결정된 드럼(1030)의 회전 속도 및 회전 방향에 따른 의류의 이동 속도 및 이동 방향을 추정할 수 있다. 또한, 드럼(1030)이 회전하는 도중에, 의류 처리 장치(1000)는 모니터링 장치(2000)로부터 수신된 이동 방향 및 이동 속도에 기초하여, 드럼(1030)의 회전 속도 또는 회전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할 수 있다.
모니터링 장치(2000)의 이동 속도가 추정된 의류의 이동 속도와 상이한 경우에, 의류 처리 장치(1000)는 드럼(1030)의 회전 속도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니터링 장치(2000)의 이동 속도가 추정된 의류의 회전 속도보다 작은 경우에, 의류 처리 장치(1000)는 드럼(1030)의 회전 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니터링 장치(2000)의 이동 속도가 추정된 의류의 회전 속도보다 큰 경우에, 의류 처리 장치(1000)는 드럼(1030)의 회전 속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모니터링 장치(2000)의 이동 방향이 추정된 의류의 이동 방향과 상이한 경우에, 의류 처리 장치(1000)는 드럼(1030)의 회전 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1000)가 모니터링 장치(2000)의 가속도에 기초하여, 의류 처리 장치(1000)의 건조 시간을 변경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동작 S900 내지 동작 S915는 동작 S800 내지 동작 S815에 대응되므로, 동작 S900 내지 동작 S915에 대한 설명은 편의상 생략하기로 한다.
동작 S920에서 모니터링 장치(2000)는 모니터링 장치(2000)의 가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의류 처리 장치(1000)의 드럼(1030)이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모니터링 장치(2000)는 의류와 함께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모니터링 장치(2000)는 드럼(1030) 내에서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드럼(1030) 내에서 높은 위치에서 낮은 위치로 떨어질 수 있다. 모니터링 장치(2000)가 드럼(1030) 내의 높은 위치에서 낮은 위치로 떨어지는 동안에, 모니터링 장치(2000)의 속도가 변화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모니터링 장치(2000)는 모니터링 장치(2000)의 가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모니터링 장치(2000)는 가속도 센서를 이용하여 모니터링 장치(2000)의 가속도를 측정할 수 있으며, 모니터링 장치(2000)의 가속도를 나타내는 센싱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모니터링 장치(2000)는 소정 주기에 따라 주기적으로 모니터링 장치(2000)의 가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모니터링 장치(2000)는 소정 시간 범위 동안 모니터링 장치(2000)의 가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동작 S925에서 모니터링 장치(2000)는 의류 처리 장치(1000)에게 가속도에 관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모니터링 장치(2000)는 모니터링 장치(2000)의 가속도에 관한 센싱 데이터를 의류 처리 장치(1000)에게 실시간으로 전송할 수 있다.
동작 S930에서 의류 처리 장치(1000)는 건조 시간을 변경할 수 있다. 의류 처리 장치(1000)는 건조 기능을 시작함에 따라, 드럼(1030) 내의 의류의 양을 추정할 수 있으며, 추정된 의류의 양에 기초하여 건조 동작을 실행하는 건조 시간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의류 처리 장치(1000)는 추정된 의류의 양 및 드럼(1030)의 회전 속도에 기초하여, 의류의 가속도를 추정할 수 있다. 의류는 드럼(1030) 내에서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드럼(1030) 내에서 높은 위치에서 낮은 위치로 떨어질 수 있다. 의류가 드럼(1030) 내의 높은 위치에서 낮은 위치로 떨어지는 동안에, 의류의 가속도가 발생하게 되며, 의류 처리 장치(1000)는 추정된 의류의 양, 드럼(1030)의 용량 및 드럼(1030)의 회전 속도에 기초하여, 의류의 가속도를 추정할 수 있다.
또한, 드럼(1030)이 회전하는 도중에, 의류 처리 장치(1000)는 모니터링 장치(2000)로부터 수신된 모니터링 장치(2000)의 가속도에 기초하여, 의류 처리 장치(1000)의 건조 시간을 변경할 수 있다. 모니터링 장치(2000)의 가속도가 추정된 의류의 가속도와 상이한 경우에, 의류 처리 장치(1000)는 건조 시간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니터링 장치(2000)의 가속도가 추정된 의류의 가속도보다 작은 경우에는, 추정된 의류의 양이 드럼(1030) 내에 투입된 실제 의류의 양보다 작기 때문에, 의류 처리 장치(1000)는 건조 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니터링 장치(2000)의 가속도가 추정된 의류의 가속도보다 큰 경우에는, 추정된 의류의 양이 드럼(1030) 내에 투입된 실제 의류의 양보다 많기 때문에, 의류 처리 장치(1000)는 건조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1000)가 모니터링 장치(2000)의 가속도 변화에 기초하여, 의류 처리 장치(1000) 내의 의류의 엉킴을 풀기 위한 동작을 실행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동작 S1000 내지 동작 S1015는 동작 S800 내지 동작 S815에 대응되므로, 동작 S1000 내지 동작 S1015에 대한 설명은 편의상 생략하기로 한다.
동작 S1020에서 모니터링 장치(2000)는 모니터링 장치(2000)의 가속도를 주기적으로 측정할 수 있다. 모니터링 장치(2000)는 가속도 센서를 이용하여 모니터링 장치(2000)의 가속도를 주기적으로 측정할 수 있으며, 모니터링 장치(2000)의 가속도를 나타내는 주기적으로 센싱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모니터링 장치(2000)는 모니터링 장치(2000)의 가속도의 변화에 관한 이력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동작 S1025에서 모니터링 장치(2000)는 의류 처리 장치(1000)에게 주기적으로 측정된 가속도의 이력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모니터링 장치(2000)는 모니터링 장치(2000)의 가속도에 관한 복수의 센싱 데이터들을 의류 처리 장치(1000)에게 실시간으로 전송할 수 있다.
동작 S1030에서 의류 처리 장치(1000)는 모니터링 장치(2000)의 가속도의 변화를 식별할 수 있다. 의류 처리 장치(1000)는 모니터링 장치(2000)로부터 수신되는 모니터링 장치(2000)의 가속도 데이터들을 누적하여 저장할 수 있으며, 누적하여 저장된 가속도 데이터들을 비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니터링 장치(2000)의 가속도가 점차적으로 감소하였으면, 의류 처리 장치(1000)는 드럼(1030) 내의 의류가 엉켰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모니터링 장치(2000)의 가속도가 점차적으로 증가하였으면, 의류 처리 장치(1000)는 드럼(1030) 내에서 엉킨 의류가 풀어졌다고 판단할 수 있다.
동작 S1035에서 의류 처리 장치(1000)는 모니터링 장치(2000)의 이동 이력을 분석할 수 있다. 의류 처리 장치(1000)는 모니터링 장치(2000)의 이동 방향 및 이동 속도에 관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신할 수 있다. 의류 처리 장치(1000)는 모니터링 장치(2000)의 이동 방향 및 이동 속도의 이력에 기초하여, 의류 처리 장치(1000)가 건조 기능을 실행하는 동안에 모니터링 장치(2000)가 어떻게 이동하였는지에 관한 이동 이력을 분석할 수 있다.
동작 S1040에서 의류 처리 장치(1000)는 드럼(1030)의 회전 패턴을 결정할 수 있다. 의류 처리 장치(1000)는 모니터링 장치(2000)의 이동 방향 및 이동 속도에 관한 이력 정보에 기초하여, 드럼(1030) 내의 의류가 어떻게 엉켰는지를 추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의류 처리 장치(1000)는 모니터링 장치(2000)의 이동 이력, 건조 기능을 수행하는 동안의 드럼(1030)의 회전 패턴, 드럼(1030) 내의 의류의 양에 기초하여, 드럼(1030) 내의 의류가 어떻게 엉켰는지를 추정할 수 있다.
또한, 의류 처리 장치(1000)는 모니터링 장치(2000)의 이동 방향 및 이동 속도에 관한 이력 정보에 기초하여, 드럼(1030) 내에서 엉킨 의류를 풀기 위한 드럼(1030)의 회전 패턴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의류 처리 장치(1000)는 모니터링 장치(2000)의 이동 이력, 건조 기능을 수행하는 동안의 드럼(1030)의 회전 패턴, 드럼(1030) 내의 의류의 양, 드럼(1030) 내의 의류의 종류에 기초하여, 드럼(1030) 내에서 엉킨 의류를 풀기 위한 드럼(1030)의 회전 패턴을 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의류 처리 장치(1000)는 엉킨 의류를 풀기 위한 드럼(1030)의 회전 패턴을 결정하기 위한 소정의 학습 모델을 이용하여, 드럼(1030)의 회전 패턴을 결정할 수 있다. 엉킨 의류를 풀기 위한 드럼(1030)의 회전 패턴을 결정하기 위한 소정의 학습 모델은, 인공 지능 알고리즘으로서, 예를 들어, 기계학습, 신경망, 유전자, 딥러닝, 분류 알고리즘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학습된 학습 모델일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의류 처리 장치(1000)는 의류 처리 장치(1000)는 모니터링 장치(2000)의 이동 이력, 건조 기능을 수행하는 동안의 드럼(1030)의 회전 패턴, 드럼(1030) 내의 의류의 양, 드럼(1030) 내의 의류의 종류에 관한 데이터를 학습 모델에 입력함으로써, 학습 모델로부터 출력되는 드럼(1030)의 회전 패턴을 획득할 수 있다.
동작 S1045에서 의류 처리 장치(1000)는 의류의 엉킴을 풀기 위한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 의류 처리 장치(1000)는, 동작 S1040에서 획득된 드럼(1030)의 회전 패턴에 따라, 의류 처리 장치(1000) 내의 드럼(1030)의 회전을 제어할 수 있다. 의류 처리 장치(1000)는 동작 S1040에서 획득된 드럼(1030)의 회전 패턴에 따라 드럼(1030)의 회전을 제어하는 도중에, 모니터링 장치(2000)로부터 모니터링 장치(2000)의 가속도에 관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의류 처리 장치(1000)는 실시간으로 수신되는 가속도 정보에 기초하여, 드럼(1030) 내의 의류의 엉킴이 풀렸는지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만약, 소정 시간 동안 의류의 엉킴이 풀리지 않는 경우에는, 의류 처리 장치(1000)는 드럼(1030)의 회전 패턴을 변경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0에서는 의류 처리 장치(1000)가 건조 기능을 실행하는 경우에 의류 처리 장치(1000)가 모니터링 장치(2000)와 연동하는 동작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의류 처리 장치(1000)가 세탁 기능, 헹굼 기능 등과 같은 의류 처리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에도 도 8 내지 도 10의 동작들이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의류 처리 장치(1000)가 세탁 기능 및 헹굼 기능을 실행하는 경우에, 모니터링 장치(2000)는 센서를 이용하여 세탁 세제의 농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세탁 세제의 농도를 의류 처리 장치(10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의류 처리 장치(1000)는 모니터링 장치(2000)로부터 수신된 농도에 기초하여, 의류를 처리하는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의류 처리 장치(1000)는 세탁 시간, 세탁 강도 및 헹굼 시간을 조정할 수 있다. 의류 처리 장치(1000)가 헹굼 기능 및 탈수 기능을 실행하는 경우에, 모니터링 장치(2000)는, 세제 검출 센서를 이용하여 의류의 잔류 세제량을 검출할 수 있다. 의류 처리 장치(1000)는 검출된 잔류 세제량의 수치가 소정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에, 잔류 세제량이 많음을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한 알림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의류 처리 장치(1000)가 건조 기능을 실행하는 경우에, 모니터링 장치(2000)는, 후각 센서 및 분광 측정 센서와 같은 세제 검출 센서를 이용하여 의류의 잔류 세제량을 검출할 수 있다. 의류 처리 장치(1000)는 검출된 잔류 세제량의 수치가 소정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에, 잔류 세제량이 많음을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한 알림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도 1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1000)가 모니터링 장치(2000) 주변의 습도에 기초하여, 의류 처리 장치(1000)의 건조 시간을 변경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동작 S1100 내지 동작 S1115는 동작 S800 내지 동작 S815에 대응되므로, 동작 S1100 내지 동작 S1115에 대한 설명은 편의상 생략하기로 한다.
동작 S1120에서 모니터링 장치(2000)는 모니터링 장치(2000) 주변의 습도를 측정할 수 있다. 모니터링 장치(2000)는 습도 센서를 이용하여 모니터링 장치(2000) 주변의 습도를 측정할 수 있으며, 모니터링 장치(2000) 주변의 습도를 나타내는 센싱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모니터링 장치(2000)는 소정 주기에 따라 주기적으로 모니터링 장치(2000) 주변의 습도를 측정할 수 있다.
동작 S1125에서 모니터링 장치(2000)는 의류 처리 장치(1000)에게 습도에 관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모니터링 장치(2000)는 모니터링 장치(2000) 주변의 습도에 관한 센싱 데이터를 의류 처리 장치(1000)에게 실시간으로 전송할 수 있다.
동작 S1130에서 의류 처리 장치(1000)는 건조 시간을 변경할 수 있다. 의류 처리 장치(1000)는 건조 동작을 실행하는 도중에, 의류 처리 장치(1000)의 습도 센서에 의해 측정된 습도 및 모니터링 장치(2000)에 의해 측정된 습도를 함께 고려하여, 건조 동작을 실행하는 건조 시간을 변경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의류 처리 장치(1000)는, 드럼(1030) 내의 공간 중에서 드럼(1030)의 외측 부분의 습도 및 드럼(1030)의 중앙 부분의 습도를 함께 고려하여, 건조 시간을 조정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의류 처리 장치(1000)의 습도 센서에 의해 측정된 습도 및 모니터링 장치(2000)에 의해 측정된 습도가 소정 임계치보다 작은 경우에, 의류 처리 장치(1000)는 건조 시간을 줄이거나 실행 중인 건조 동작을 종료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의류 처리 장치(1000)의 습도 센서에 의해 측정된 습도가 소정 임계치보다 크고, 모니터링 장치(2000)에 의해 측정된 습도가 소정 임계치보다 작은 경우에, 의류 처리 장치(1000)는 건조 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의류 처리 장치(1000)의 습도 센서에 의해 측정된 습도가 소정 임계치보다 작고, 모니터링 장치(2000)에 의해 측정된 습도가 소정 임계치보다 큰 경우에, 의류 처리 장치(1000)는 건조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1000)가 모니터링 장치(2000)를 충전하는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드럼(1030)은 충전 홈(1040) 및 가이드부(1050)를 포함할 수 있다. 충전 홈(1040)은 모니터링 장치(2000)를 고정하고 모니터링 장치(2000)를 충전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가이드부(1050)는 모니터링 장치(2000)가 충전 홈(1040) 내로 이동할 수 있도록 모니터링 장치(2000)를 안내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의류 처리 장치(1000)의 의류 처리 동작()이 종료되고, 사용자가 드럼(1030) 내의 의류를 드럼(1030) 밖으로 뺀 이후에, 의류 처리 장치(1000)는 드럼(1030)을 천천히 회전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모니터링 장치(2000)는 가이드부(1050)를 따라 굴러서 충전 홈(1040) 내로 이동할 수 있다. 모니터링 장치(2000)가 충전 홈(1040) 내에 위치함에 따라, 의류 처리 장치(1000)는 모니터링 장치(2000)의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기능을 활성화할 수 있다.
도 1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1000)가 모니터링 장치(2000)를 충전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동작 S1300에서 의류 처리 장치(1000)는 의류 처리 동작을 종료할 수 있다. 의류 처리 장치(1000)는 의류 처리를 완료한 이후에 의류 처리 동작을 종료할 수 있다. 사용자는 의류 처리 동작이 종료된 이후에, 드럼(1030) 내의 의류를 의류 처리 장치(1000) 밖으로 꺼낼 수 있다.
동작 S1310에서 의류 처리 장치(1000)는 드럼(1030)을 소정 속도로 회전시킬 수 있다. 의류 처리 장치(1000)는 드럼(1030) 내의 의류가 없어졌음을 감지하고, 의류 처리 장치(1000)의 드럼(1030)을 소정 속도 이하로 천천히 회전시킬 수 있다. 또는, 의류 처리 장치(1000)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의류 처리 장치(1000)의 드럼(1030)을 소정 속도 이하로 천천히 회전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모니터링 장치(2000)는 드럼(1030)의 내주면을 따라 굴러서 가이드부(1050)를 경유하여 충전 홈(1040) 내에 안착할 수 있다.
동작 S1320에서 의류 처리 장치(1000)는 충전 홈(1040) 내에 모니터링 장치(2000)가 위치하는지를 식별할 수 있다. 의류 처리 장치(1000)는 모니터링 장치(2000)가 충전 홈(1040) 내에 위치함에 따라, 모니터링 장치(2000)가 충전 홈(1040) 내에 위치하는지를 식별할 수 있다.
동작 S1330에서 의류 처리 장치(1000)는 충전 기능을 활성화할 수 있다. 의류 처리 장치(1000)는 무선 충전 기능을 활성화함으로써, 모니터링 장치(2000) 내의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다. 또는, 의류 처리 장치(1000)는 유선 충전 기능을 활성화함으로써, 모니터링 장치(2000) 내의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다. 모니터링 장치(2000)에 구비된 충전 단자(미도시)가 충전 홈(1040) 내의 충전 단자(미도시)가 접촉된 경우에, 의류 처리 장치(1000)는 모니터링 장치(2000)를 유선 충전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또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부”는 프로세서 또는 회로와 같은 하드웨어 구성(hardware component), 및/또는 프로세서와 같은 하드웨어 구성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구성(software component)일 수 있다.
전술한 본 개시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개시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20)

  1. 의류 처리 장치가 상기 의류 처리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의류 처리 장치의 드럼 내로 투입된 모니터링 장치와 무선 통신을 형성하는 동작;
    상기 의류를 처리하기 위하여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동작;
    상기 드럼이 회전하는 도중에, 상기 모니터링 장치로부터, 상기 모니터링 장치의 이동에 관련된 이동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 및
    상기 수신된 이동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드럼의 회전을 제어하는 동작;
    을 포함하며,
    상기 모니터링 장치는, 상기 의류 처리 장치 내의 의류와 함께, 상기 회전하는 드럼 내에서 이동하는 것인,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은, 상기 모니터링 장치의 이동 속도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드럼의 회전을 제어하는 동작은, 상기 모니터링 장치의 이동 속도에 기초하여 상기 드럼의 회전 속도를 제어하는 것인, 방법.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은, 상기 모니터링 장치의 이동 방향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드럼의 회전을 제어하는 동작은, 상기 모니터링 장치의 이동 속도 및 이동 방향에 기초하여 상기 드럼의 회전 속도를 제어하는 것인, 방법.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은, 상기 모니터링 장치의 가속도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모니터링 장치의 가속도에 기초하여, 상기 의류 처리 장치의 동작 시간을 변경하는 동작;
    을 더 포함하는 것인, 방법.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은, 상기 모니터링 장치의 가속도에 관한 정보를 주기적으로 수신하며,
    상기 모니터링 장치의 가속도의 변화 이력에 기초하여, 상기 의류의 엉킴을 풀기 위한 기능을 실행하는 동작;
    을 더 포함하는 것인, 방법.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장치의 이동 이력에 기초하여, 상기 의류의 엉김을 풀기 위한 상기 드럼의 회전 패턴을 결정하는 동작;
    을 더 포함하며,
    상기 의류의 엉킴을 풀기 위한 기능을 실행하는 동작은, 상기 결정된 드럼의 회전 패턴에 따라 상기 드럼의 회전을 제어하는 것인, 방법.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장치의 주변 습도에 관한 습도 정보를, 상기 모니터링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동작; 및
    상기 수신된 습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의류 처리 장치의 동작 시간을 변경하는 동작;
    을 더 포함하는 것인, 방법.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의류를 처리가 종료된 이후에, 상기 드럼을 소정 속도로 회전시키는 동작;
    상기 드럼 내의 충전 홈으로 상기 모니터링 장치가 위치하는지를 식별하는 동작; 및
    상기 모니터링 장치가 상기 충전 홈 내에 위치함에 따라, 상기 모니터링 장치를 충전하기 위한 기능을 활성화하는 동작;
    을 더 포함하는, 방법.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속도로 회전하는 상기 드럼의 내주면을 따라 형성된 가이드부에 의해, 상기 모니터링 장치가 상기 충전 홈으로 이동하는 것인, 방법.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의류 처리 장치는, 세탁기 또는 건조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11. 모니터링 장치와 통신하는 의류 처리 장치에 있어서,
    모니터링 장치와 무선 통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
    의류 및 상기 모니터링 장치를 수용하는 드럼;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인스트럭션을 실행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드럼 내로 투입된 상기 모니터링 장치와 무선 통신을 형성하고,
    상기 의류를 처리하기 위하여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고,
    상기 드럼이 회전하는 도중에, 상기 모니터링 장치로부터, 상기 모니터링 장치의 이동에 관련된 이동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이동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드럼의 회전을 제어하며,
    상기 모니터링 장치는, 상기 의류 처리 장치 내의 의류와 함께, 상기 회전하는 드럼 내에서 이동하는 것인, 의류 처리 장치.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모니터링 장치의 이동 속도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모니터링 장치의 이동 속도에 기초하여 상기 드럼의 회전 속도를 제어하는 것인, 의류 처리 장치.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모니터링 장치의 이동 방향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모니터링 장치의 이동 속도 및 이동 방향에 기초하여 상기 드럼의 회전 속도를 제어하는 것인, 의류 처리 장치.
  14.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모니터링 장치의 가속도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모니터링 장치의 가속도에 기초하여, 상기 의류 처리 장치의 동작 시간을 변경하는 것인, 의류 처리 장치.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모니터링 장치의 가속도에 관한 정보를 주기적으로 수신하며,
    상기 모니터링 장치의 가속도의 변화 이력에 기초하여, 상기 의류의 엉킴을 풀기 위한 기능을 실행하는 것인, 의류 처리 장치.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모니터링 장치의 이동 이력에 기초하여, 상기 의류의 엉김을 풀기 위한 상기 드럼의 회전 패턴을 결정하며,
    상기 결정된 드럼의 회전 패턴에 따라 상기 드럼의 회전을 제어하는 것인, 의류 처리 장치.
  17.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모니터링 장치의 주변 습도에 관한 습도 정보를, 상기 모니터링 장치로부터 수신하며,
    상기 수신된 습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의류 처리 장치의 동작 시간을 변경하는 것인, 의류 처리 장치.
  18.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의류를 처리가 종료된 이후에, 상기 드럼을 소정 속도로 회전시키고, 상기 드럼 내의 충전 홈으로 상기 모니터링 장치가 위치하는지를 식별하며, 상기 모니터링 장치가 상기 충전 홈 내에 위치함에 따라, 상기 모니터링 장치를 충전하기 위한 기능을 활성화하는 것인, 의류 처리 장치.
  19.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속도로 회전하는 상기 드럼의 내주면을 따라 형성된 가이드부에 의해, 상기 모니터링 장치가 상기 충전 홈으로 이동하는 것인, 의류 처리 장치.
  20. 의류 처리 장치 내에 투입되는 모니터링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의류 처리 장치와 무선 통신하는 통신부;
    센서부;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인스트럭션을 실행하는 프로세서;
    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의류 처리 장치와 무선 통신을 형성하고, 상기 의류 처리 장치의 드럼이 회전하는 도중에, 상기 드럼이 회전에 의해 이동하는 상기 모니터링 장치의 이동을 센싱하고, 상기 모니터링 장치의 이동에 관련된 센싱 데이터를 상기 의류 처리 장치에게 제공하며,
    상기 모니터링 장치는, 상기 의류 처리 장치 내의 의류와 함께, 상기 회전하는 드럼 내에서 이동하며, 상기 제공된 센싱 데이터는, 상기 의류 처리 장치가 상기 의류를 처리하기 위하여 상기 드럼의 회전을 제어하는데 이용되는 것인, 모니터링 장치.
KR1020190017962A 2019-02-15 2019-02-15 의류를 처리하는 장치 및 방법 KR20200099831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7962A KR20200099831A (ko) 2019-02-15 2019-02-15 의류를 처리하는 장치 및 방법
PCT/KR2020/002168 WO2020167067A1 (en) 2019-02-15 2020-02-14 Apparatus and method for treating garments
US16/791,526 US11479896B2 (en) 2019-02-15 2020-02-14 Apparatus and method for treating garment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7962A KR20200099831A (ko) 2019-02-15 2019-02-15 의류를 처리하는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9831A true KR20200099831A (ko) 2020-08-25

Family

ID=720413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7962A KR20200099831A (ko) 2019-02-15 2019-02-15 의류를 처리하는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479896B2 (ko)
KR (1) KR20200099831A (ko)
WO (1) WO2020167067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19104A1 (ko) * 2020-12-01 2022-06-09 삼성전자주식회사 건조기 및 그 제어 방법
WO2023249137A1 (ko) * 2022-06-22 2023-12-28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기 액세서리 및 건조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1157A (ko) * 2020-12-08 2022-06-15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센서볼 등록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58693B2 (en) 2002-05-24 2005-10-25 Procter & Gamble Company Sensor device and methods for using same
KR100651921B1 (ko) * 2005-02-02 2006-12-01 엘지전자 주식회사 드럼세탁기의 밸런싱 조절장치 및 밸런싱 조절방법
KR101456208B1 (ko) 2008-08-29 2014-11-03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기 및 건조기 제어방법
ES2396941T3 (es) * 2009-02-17 2013-03-01 Henkel Ag & Co. Kgaa Procedimiento de funcionamiento de un instrumento dosificador dispuesto dentro de una electrodoméstico
JP5326842B2 (ja) 2009-06-11 2013-10-30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洗濯機
KR101980854B1 (ko) * 2012-10-31 2019-05-22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284360B1 (ko) * 2014-10-02 2021-08-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CN106480682B (zh) 2015-08-31 2019-11-05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高效的直排式热泵干衣机
BR112018070147A2 (pt) * 2016-03-30 2019-04-30 Unilever N.V. dispositivo para a lavagem, método de comunicação com um dispositivo para a lavagem e uso de bluetooth
JP2018143646A (ja) * 2017-03-08 2018-09-20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乾燥検知デバイスおよびこれを用いた衣類乾燥検知システム
KR101957166B1 (ko) 2017-08-23 2019-07-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물 처리기기
KR101939089B1 (ko) * 2017-08-23 2019-01-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물 처리기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19104A1 (ko) * 2020-12-01 2022-06-09 삼성전자주식회사 건조기 및 그 제어 방법
WO2023249137A1 (ko) * 2022-06-22 2023-12-28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기 액세서리 및 건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167067A1 (en) 2020-08-20
US20200263339A1 (en) 2020-08-20
US11479896B2 (en) 2022-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99831A (ko) 의류를 처리하는 장치 및 방법
KR101709478B1 (ko) 가전기기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KR102284360B1 (ko) 의류처리장치
RU2544824C2 (ru) Бытовое устройство, системы бытового устройства и способ приведения их в действие
CN106012416B (zh) 衣物处理方法及装置
JP6006255B2 (ja) 家電機器、家電機器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
JP5969532B2 (ja) 洗濯機制御システム及び洗濯機制御システムの制御方法
KR102124932B1 (ko) 세탁기 및 세탁기 제어방법
KR102024086B1 (ko) 세탁기 및 세탁기 제어방법
KR101709483B1 (ko) 가전기기 및 그 동작방법
KR102217559B1 (ko) 세탁기의 제어 장치 및 그의 방법
US9558653B2 (en) Home applian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20180266034A1 (en) Washer dryer machine and control method
KR101709480B1 (ko) 가전기기 및 그 동작방법
US11384467B2 (en) Detection and/or monitoring of the load on a textile piece during a treatment cycle
US20180087212A1 (en) Clothes Dryer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101939089B1 (ko) 세탁물 처리기기
KR20220077045A (ko) 건조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230112476A (ko) 건조기, 서버 및 그 제어 방법
KR20240075633A (ko) 필터장치 및 필터장치의 관리방법
JP2023090465A (ja) ランドリー機器
CN112376207A (zh) 用于衣物处理设备的控制方法
CN102918196B (zh) 家电设备、家电设备系统及其动作方法
CN115522368A (zh) 一种衣物处理设备及烘干控制方法
KR20200082342A (ko) 세탁물 처리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