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99801A - 항균 성능이 개선된 치약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치약 - Google Patents

항균 성능이 개선된 치약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치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99801A
KR20200099801A KR1020190017862A KR20190017862A KR20200099801A KR 20200099801 A KR20200099801 A KR 20200099801A KR 1020190017862 A KR1020190017862 A KR 1020190017862A KR 20190017862 A KR20190017862 A KR 20190017862A KR 20200099801 A KR20200099801 A KR 202000998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thpaste composition
toothpaste
extract
present disclosure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78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96459B1 (ko
Inventor
김두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메디덴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메디덴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메디덴코
Priority to KR10201900178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6459B1/ko
Publication of KR202000998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98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64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64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65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inanimat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4Ami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e.g. aminocarboxylic acids containing sulfur; Salts; Esters or N-acylated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7Vitamins
    • A61K8/678Tocopherol, i.e. vitamin 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1/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teeth, of the oral cavity or of dentures; Dentifrices, e.g. toothpastes; Mouth rin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05Antimicrobial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2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the composition as a whole
    • A61K2800/28Rubbing or scrubbing compositions; Peeling or abrasive compositions; Containing exfoli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8Thickener, Thickening syste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항균 성능이 개선된 치약 조성물로서 물, 여기서 상기 물은 이온 미네랄 원료수를 포함하며; 연마제; 습윤제; 점증제; 토코페롤아세테이트, 아미노카프론산, 또는 이들의 조합; 및 첨가제를 포함하며, 상기 치약 조성물은 상기 치약 조성물은 구강 세균에 적용하고 24시간이 경과하였을 때 구강 세균의 배양을 95% 이상 억제하는 항균 성능이 개선된 치약 조성물 및 상기 치약 조성물을 포함하는 치약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항균 성능이 개선된 치약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치약{A toothpaste composition with improved antibacterial performance and a toothpaste comprising the composition}
본 개시는 항균 성능이 개선된 치약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양치 직후 뿐만 아니라, 양치 이후 24시간 동안 구강 세균의 번식을 우수하게 억제하는 치약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치약은 구강 및 치아의 세정을 위해 사용되는 구강전용 세정제로서 페이스트 치약, 액상 치약, 분말 치약 등 다양한 형태로 제조되고 있다. 치약은 구강 내에서 소독작용, 냄새제거작용, 치석용해작용, 충치 예방 작용 등을 수행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현대의 치약은 소비자의 니즈에 부합하기 위하여, 상기와 같은 기존의 치약의 일반적인 효과 뿐만 아니라 치주 질환의 예방, 인체의 신진대사의 촉진과 같은 추가적인 효과도 갖는 기능성 치약으로서도 상용화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또한 이러한 기능성 치약에 대한 연구 및 개발이 활발히 수행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효과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인체에 유해할 수 있는 화학 성분들이 치약 내에 다수 함유되고 있는 실정이다. 일반 소비자, 특히 인체 유해 성분들에 대한 영향이 치명적인 아이들에게 이와 같은 치약의 사용은 장래 악영향을 미칠 잠재적인 가능성을 가진다는 점에서 개선의 여지가 존재한다.
한편, 치주 질환을 예방하기 위한 기능성 치약에 있어서, 구강 세균의 성장을 억제하는 항균력 및 이러한 항균력의 지속성은 중요한 요소에 해당한다. 종래 치약은 상기 항균력에 대해서 양치 직후의 세균 제거 능력 및 짧은 시간 경과 후의 항균력에 대해서 효과를 주장하나, 이는 시험관 내에서 수행되는 실험이거나 인간이 아닌 동물을 대상으로한 실험에 불과하다. 또한, 24시간 정도의 긴 시간 동안 유지되는 항균력을 갖는 치약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 없다.
예컨대, 선행기술 KR 10-1221074의 경우, 구강 항균 효과를 제공하는 천연항균 어린이 치약 조성물을 개시한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 KR 10-1221074의 경우, 인간에 대한 임상 실험 결과를 개시하지 않으며, 항균 실험에 대하여는 체내에서의 경과를 관찰하지 않았고, 관찰 시간도 18시간에 불과하였다.
또한 상기 선행기술의 치약 조성물의 경우, SiO2 성분을 63% 이상으로 과량 포함하는데, SiO2는 종래 치약 내에서 연마제인 덴탈타입실리카의 형태로 첨가되고 있으나, 이러한 SiO2의 과량 첨가는 양치 시 치아의 마모를 유발할 수 있어, 장기적인 관점에서 치아의 건강에 바람직하지 않다.
이와 같은 배경 하에, 화학 물질의 공포로부터 해방되면서 보다 친환경적이고, 항균 성능이 개선된 치약의 개발 및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KR 10-1221074
따라서, 본 개시의 제1 관점은 인체에 유해하지 않고, 친환경적이며, 항균 성능이 개선된 고기능성 치약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개시의 제2 관점은 제1 관점의 치약 조성물을 포함하는 고기능성 치약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개시의 제1 관점을 달성하기 위한 항균 성능이 개선된 치약 조성물은 물, 여기서 상기 물은 이온 미네랄 원료수를 포함하며; 연마제; 습윤제; 점증제; 토코페롤아세테이트, 아미노카프론산, 또는 이들의 조합; 및 첨가제를 포함하며, 상기 치약 조성물은 상기 치약 조성물은 구강 세균에 적용하고 24시간이 경과하였을 때 구강 세균의 배양을 95% 이상 억제한다.
본 개시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이온 미네랄 원료수는 마그네슘, 규소, 칼슘, 및 칼륨을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이온 미네랄 원료수는 SiO2를 이온 미네랄 원료수 1L 당 2 내지 5 mg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치약 조성물은 치약 조성물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10 내지 20 중량%의 연마제, 60 내지 70 중량%의 습윤제, 0.5 내지 2 중량%의 점증제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연마제는 덴탈타입실리카이고; 습윤제는 D-소르비톨액, 농글리세린, 또는 이들의 조합이며; 점증제는 잔탄검이다.
본 개시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첨가제는 자몽종자 추출물, 마트리카리아 추출물, 알로에 추출물, 유칼립투스 추출물, 세이지 추출물, 자일리톨, 아스코르브산, 코코일글루타민산나트륨,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이다.
본 개시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치약 조성물은 기타 첨가제를 더욱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기타 첨가제는 포공영 추출물, 프로폴리스 추출물, 염화나트륨, 매스틱 오일, 녹차 추출물, 민트향 첨가제,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이다.
본 개시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치약 조성물은 기타 첨가제를 더욱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기타 첨가제는 카렌듈라 추출물, 스피아민트 오일, 펜넬 오일,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이다.
본 개시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치약 조성물은 유해 성분을 함유하지 않으며, 상기 유해 성분은 불소, 합성계면활성제, 트리클로산, MIT (methylisothiazolinone), CMIT (Methylchloroisothiazolinone), PEG (Polyethylene glycol), 침강탄산칼슘, 파라벤, 사카린, 및 타르 색소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구강 세균은 캄필로박터 렉투스 (Campylobacter rectus), 푸소박테리움 뉴클레아툼 (Fusobacterium nucleatum), 포르피로모나스 진지발리스 (Porphyromonas gingivalis), 아그레가티벡터 악티노마이세텀코미탄스 (Aggregatibacter actinomycetemcomitans), 스트렙토코쿠스 뮤탄스 (Streptococcus mutans), 스트렙토코쿠스 소브리누스(Streptococcus sobrinus), 아이케넬라 코로덴스(Eikenella corrodens), 및 프레보텔라 인터메디아(Prevotella intermedia)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제2 관점을 달성하기 위한 치약은 상기 제1 관점의 치약 조성물을 포함한다.
본 개시에 따른 치약 조성물은 유해 성분을 함유하지 않고, 천연 유래 성분을 이용함으로써 인체에 대한 강화된 안전성을 보장한다. 또한, 항균성의 관점에서 구강 세균을 우수하게 제거하고, 구강 세균의 배양 및 번식을 24시간 이상 억제하는 유리한 효과를 갖는다. 장기적인 관점에서는 사용자의 구강환경을 개선하여 잇몸 조직을 강화하고 치주질환을 예방할 수 있다는 유리한 효과를 갖는다.
또한, 소독작용, 냄새제거작용, 치석용해작용, 충치 예방 작용의 달성을 위해 혀가 매울 정도로 과다한 맛을 느끼게 하는 종래 치약과 달리, 본 개시에 따른 치약 조성물을 포함하는 치약의 경우, 사용자에게 양치 시 매운 맛을 전혀 느끼지 않으면서, 양치 후 텁텁함을 최소화하고 충분한 청량감을 느낄 수 있게 하여, 사용자, 특히 매운 맛에 대한 거부감이 강한 저연령층의 사용자에 대한 접근성이 용이하다는 이점을 갖는다.
도 1은 본 개시의 항균력 테스트에서 촬영된 도 2 내지 9의 dish의 촬영 이미지의 시간별 포지션을 나타내며;
도 2 내지 9는 본 개시의 항균력 테스트에서 2, 4, 6, 8, 및 24 시간 경과 후의 dish의 촬영 이미지이며;
도 10 내지 12는 본 개시의 Human saliva 테스트의 결과를 플롯한 그래프이며; 및
도 13은 본 개시의 Human-derived micro-organism 테스트의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본 개시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나, 본 개시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개시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 "미네랄 원료수"는 본 개시의 치약에 원료로서 포함되는 미네랄을 함유하는 미네랄 워터를 의미한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 "항균력"은 일반적으로 세균을 제거하거나 그 번식과 발육을 억제하는 능력을 의미하며, 본 개시에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구강 세균의 제거하거나 이의 번식 및 발육을 억제하는 능력을 의미한다.
본 개시는 항균 성능이 개선된 치약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치약 조성물은 물; 연마제; 습윤제; 점증제; 토코페롤아세테이트, 아미노카프론산, 또는 이들의 조합; 및 첨가제를 포함한다.
치약 조성물은 일반적으로 물을 함유한다. 종래의 치약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물은 통상적으로 정제수가 사용되어 왔으며 미네랄 원료수를 치약 조성물에 포함되는 물로서 활용한 사례는 아직 밝혀진 바 없다.
이와 달리, 본 개시에 따른 치약 조성물은 물을 포함하며, 상기 물은 미네랄 원료수를 포함한다. 상기 미네랄 원료수는 칼슘, 마그네슘, 칼륨, 규소 등의 미네랄이 함유되어 있는 물을 의미한다. 미네랄은 크게 이온 상태의 이온 미네랄과 단원자 분자 상태의 무기 미네랄로 구분될 수 있다. 인간은 체내에서 무기 미네랄을 이온 미네랄로 전환하지 못하며, 이에 무기 미네랄의 경우 체내에서 흡수가 되기 어려운바, 무기 미네랄 워터의 섭취는 인체에 유리한 효과를 보기 어렵다는 한계를 갖는다. 이와 달리, 이온 미네랄의 경우 물 내에 이온 형태로 미네랄이 완전히 용해되어 있기에 인체 내에서 바로 흡수될 수 있다는 유리한 이점을 갖는다. 이에, 본 개시의 치약 조성물은 미네랄 원료수 중에서도 이온 미네랄 원료수를 사용한다.
상기 이온 미네랄 원료수는 미네랄로서 마그네슘, 규소, 칼슘, 칼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그네슘은 이온 미네랄 원료수 1L 당, 예컨대 1.5 내지 4 mg, 2 내지 3.5 mg, 2 내지 3 mg, 2.5 내지 3 mg과 같이, 1 내지 5 mg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이온 미네랄 원료수 내의 마그네슘은 치아의 에나멜(법랑질)을 강화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개시의 이온 미네랄 원료수는 상기 규소를 이산화규소의 형태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산화규소는 이온 미네랄 원료수 1L 당, 예컨대 2 내지 4.5 mg, 2 내지 4 mg, 2.5 내지 4.5 mg, 2.5 내지 4 mg, 3 내지 4.5 mg, 3 내지 4 mg과 같은 2 내지 6 mg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온 미네랄 원료수 내의 규소는 치약 조성물의 구강 항균력을 강화하고 사용자의 치아의 골밀도를 보강하는 관점에서 유리하다.
또한, 본 개시의 이온 미네랄 원료수는 상기 칼슘을 이온 미네랄 원료수 1L 당, 4 내지 10 mg, 보다 바람직하게는 4 내지 9 mg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온 미네랄 원료수 내의 칼슘은 치약 사용자의 치아 강도의 유지 및 회복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이온 미네랄 원료수는 상기 칼륨을 이온 미네랄 원료수 1L 당, 예컨대 0.2 내지 1.9 mg, 0.2 내지 1.8 mg, 0.2 내지 1.7 mg, 0.2 내지 1.6 mg, 0.2 내지 1.5 mg, 0.2 내지 1.4 mg, 0.3 내지 1 mg, 0.3 내지 0.9 mg, 0.3 내지 0.8 mg, 0.3 내지 0.7 mg, 0.3 내지 0.6 mg, 0.3 내지 0.5 mg, 0.3 내지 0.4 mg와 같은 0.2 내지 2 mg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칼륨은 치약 사용자의 구강 내 면역력을 강화시켜주는 효과를 갖는다.
본 개시의 이온 미네랄 원료수는 스트론튬을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트론튬은 치약 사용자의 골밀도 및 연골에 긍정적인 효과를 가지며, 골다공증 예방에 기여한다.
하기 표 1은 본 개시의 일 구체예에 따른 치약 조성물에 포함되는 이온 미네랄 원료수 1L당 미네랄 함유량을 나타낸다. 상기 각 미네랄 성분들의 단위는 mg이다. 하기 표 1의 구체예는 예시적인 것이며, 본 개시의 이온 미네랄 원료수의 조성은 이에 국한되지 않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성분 함량(mg)
K 0.33
Na 4.08
Ca 8.69
Mg 2.72
SiO2 3.83
Li 0.01 미만
Sr 0.17
Fe 0.03 미만
Mn 0.01 미만
Cu 0.03 미만
Pb 0.02 미만
Zn 0.25
F- 1.32
Cl- 5.34
SO42- 36.8
본 개시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치약 조성물에 포함되는 물은 이온 미네랄 원료수일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물은 정제수 및 이온 미네랄 원료수의 혼합물일 수 있다. 이 경우, 정제수와 이온 미네랄 원료수는 부피비로 10 내지 14 대 1, 바람직하게는 11 내지 13 대 1, 보다 바람직하게는 12 대 1의 비율로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치약 조성물은 연마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마제'는 구강 내에서 플라그를 제거하는 기능을 하는 물질로서, 치아 플러그의 제거 효율을 높이고 단단한 이물 등을 제거하기 위하여 통상적으로 치약에 포함되는 물질을 의미한다. 상기 연마제는 예컨대 인산일수소칼슘, 무수인산일수소칼슘, 칼슘피로인산염, 불용성메타인산염, 실리카, 덴탈타입실리카, 실리카겔, 침강 실리카, 흄드실리카, 콜로이드성실리카, 지르코늄실리케이트, 알루미늄실리케이트, 제올라이트, 규산 칼슘, 규산 알루미늄, 산화 알루미늄, 수산화 알루미늄, 규산 지르코늄, 탄산 칼슘, 함수 알루미나, 카오린, 및 이들의 혼합물 등일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상기 연마제는 바라직하게는 덴탈타입실리카일 수 있다. 상기 덴탈타입실리카는 짠 맛이 없고 pH도가 중성에 해당하여 구강 내 점막을 자극하지 않으므로 치약 사용자에 특별한 제한 없이 남녀노소 모두 사용 가능하다는 이점을 갖는다. 나아가 상기 덴탈타입실리카는 치약 조성물의 항균력을 강화하고, 사용자의 잇몸질환을 예방에도 긍정적인 효과를 갖는다.
본 개시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연마제는 치약 조성물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10 내지 20 중량%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연마제는 치약 조성물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바라직하게는 10 내지 18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5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12 내지 15 중량%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연마제를 10 중량% 미만으로 포함하는 경우, 치약 조성물에 포함되는 연마제의 양이 너무 적어 치아의 플러그 제거에 효과적이지 못하다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반면, 상기 연마제를 20 중량% 초과하여 포함하는 경우, 연마제가 치아 플러그 뿐만이 아니라 치아 자체를 마모시켜 치아 건강에 위해를 가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특히 12세 이하의 아이의 경우 장기적인 치아 건강 관리를 위하여 상기 연마제의 함량이 약 12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개시의 치약 조성물은 또한 습윤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습윤제'란 치약 조성물에 포함되는 물을 흡수하여, 치약 조성물의 수분을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본 개시에 있어서 적용가능한 습윤제는 상기와 같은 역할을 수행가능하면서 동시에 본 개시의 치약 조성물이 갖는 효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컨대 상기 습윤제로는 농글리세린, 글리세린, 소르비톨, 비결정성 소르비톨, 폴리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에틸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습윤제는 D-소르비톨액, 농글리세린,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치약 조성물은 상기 습윤제를 치약 조성물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60 내지 70 중량%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습윤제는 바람직하게는 치약 조성물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62 내지 68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65 내지 68 중량%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치약 조성물은 습윤제로서 D-소르비톨액을 포함하며, 상기 습윤제는 치약 조성물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68 중량%일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치약 조성물은 습윤제로서 D-소르비톨액 및 농글리세린을 포함하며, 치약 조성물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상기 D-소르비톨액의 함량은 65 중량%이고, 상기 농글리세린의 함량은 3 중량%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치약 조성물은 점증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점증제'는 치약의 고체 성분과 액체 성분의 분리를 방지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와 같은 역할을 수행가능하면서 동시에 본 개시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치약 조성물의 효과 달성을 방해하지 않는다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점증제는 예컨대, 메틸 셀루로오스, 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에틸 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프로필 셀룰로스, 및 잔탄검 등이 사용가능하다. 본 개시의 치약 조성물에 있어서는, 특히 사탕수수에서 추출한 천연 성분의 점증제인 잔탄검이 친환경적이고 인체 유해한 성분을 최소화하고자 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상기 점증제는 치약 조성물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0.5 내지 2 중량%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점증제는 바람직하게는 치약 조성물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0.5 내지 1.5 중량% 포함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8 중량%, 0.9 중량%와 같이 0.7 내지 1.0 중량% 포함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치약 조성물은 토코페롤아세테이트, 아미노카프론산,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토코페롤아세테이트(비타민 E)는 잇몸에서 콜라겐을 생성해 잇몸의 상처 회복을 도우며, 혈액을 응고시키는 단백질 분해 효소를 활성화해 지혈을 돕는 기능을 한다. 본 개시의 치약 조성물에 포함되는 토코페롤아세테이트는 잇몸의 염증, 붓기, 통증 및 출혈 등 잇몸 질환 증상의 완화에 기여하며, 나아가 충치 및 잇몸 질환 예방에도 기여한다. 또한, 상기 아미노카프론산은 항출혈, 항염증 효능이 우수한바, 본 개시의 치약 조성물에 포함됨으로써 잇몸 출혈 및 잇몸 질환을 예방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치약 조성물은 토코페롤아세테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치약 조성물은 토코페롤아세테이트 및 아미노카프론산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치약 조성물 내 토코페롤아세테이트, 아미노카프론산, 및 이들의 조합의 함량은 치약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05 내지 0.5 중량%,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0.3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0.2 중량%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치약 조성물은 0.1 중량%의 아미노카프론산 및 0.01 중량%의 토코페롤아세테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치약 조성물은 0.1 중량%의 토코페롤아세테이트를 포함하고, 아미노카프론산은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본 개시의 치약 조성물은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첨가제는 자몽종자 추출물, 마트리카리아 추출물, 알로에 추출물, 유칼립투스 추출물, 세이지 추출물, 자일리톨, 아스코르브산(비타민 C), 코코일글루타민산나트륨,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개시의 치약 조성물은 첨가제로서 자몽종자 추출물, 마트리카리아 추출물, 알로에 추출물, 유칼립투스 추출물, 세이지 추출물, 자일리톨, 아스코르브산(비타민 C), 및 코코일글루타민산나트륨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치약 조성물에 첨가되는 첨가제로서, 자몽종자 추출물은 구강 세균을 억제하고 치석, 충치, 치은염을 예방하는 천연 유래 방부제로서 기능한다. 또한, 마트리카리아 추출물은 카모마일 꽃에서 추출되며, 자정, 항알러지의 기능을 갖고 사용자에게 치약에 의한 자극을 완화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또한, 알로에 잎에서 추출되는 알로에 추출물은 항균, 항바이러스, 진통, 상처 치유 및 항염 기능을 갖는다. 유칼립투스 추출물은 충치 및 잇몸질환을 예방하는 기능을 하며, 세이지 추출물은 방부, 항균, 항염의 기능을 한다. 또한, 자일리톨은 충치 예방에 기여하고, 비타민 C인 아스코르브산은 잇몸질환을 예방하고 항산화 기능을 갖는다. 또한 코코일글루타민산나트륨은 치아 세정 및 천연 기포제로서 기능한다.
상기 치약 조성물은 첨가제를 치약 조성물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 초과 내지 6 중량% 이하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첨가제는 1 초과 내지 5.8 중량% 이하의 함량으로 치약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개시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치약 조성물은 자몽종자 추출물 0 초과 내지 0.3 중량% 이하, 마트리카리아 추출물 0 초과 내지 0.1 중량% 이하, 알로에 추출물 0 초과 내지 0.1 중량% 이하, 유칼립투스 추출물 0 초과 내지 0.1 중량% 이하, 세이지 추출물 0 초과 내지 0.1 중량% 이하, 자일리톨 0 초과 내지 2 중량% 이하, 아스코르브산 0 초과 내지 0.05 중량% 이하, 및 코코일글루타민산나트륨 1 초과 내지 3 중량% 이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치약 조성물은 기타 첨가제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타 첨가제는 포공영 추출물, 프로폴리스 추출물, 염화나트륨, 매스틱오일, 녹차 추출물, 민트향 첨가제, 카렌듈라 추출물, 스피아민트 오일, 및 펜넬 오일을 포함할 수 있다.
포공영에는 타락신, 콜린, 이눌린, 펙틴, 아킬린, 류코딘 등의 물질이 함유되어 있으며, 이 중 아킬린 및 류코딘에는 알레르기 반응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 한방에서는 종기 등의 치료제로서 열을 식혀주는 포공영을 사용하였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포공영은 본 개시의 치약 조성물에 포함됨으로써 항알러지 및 열 완화의 기능을 한다.
프로폴리스 추출물은 잇몸을 강화 및 항염 효과를 갖는다. 본 개시의 치약 조성물에 포함됨으로써 상기 프로폴리스 추출물은 충치 예방, 치은염, 치주염의 예방에 기여하고, 나아가 치태 제거, 미백 효과, 구취 제거 등의 추가적인 효과에도 기여한다.
본 개시의 치약 조성물에 포함되는 염화 나트륨은 치은염 및 치주염 예방에 기여하고, 매스틱오일은 헬리코박터균 및 치주질환균을 예방하는 역할을 한다. 또, 녹차 추출물은 폴리 페놀이라는 산화 방지 성분이 함유되어 있어 구취 제거에 효과적이며, 플라보노이드 성분이 구강 세균의 증식을 억제한다. 민트향 첨가제는 사용자에게 청량감을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치약 조성물에 기타 첨가제로서 포함될 수 있는 카렌듈라 추출물은 항산, 항균의 효과를 지니며, 치약의 투명도와 거품력, 및 안정성의 향상 및 충치, 잇몸 질환 예방 특성에 기여한다. 나아가 상기 카렌듈라 추출물은 잇몸의 상처 치유에도 도움을 준다. 또한, 스피아민트 오일은 청량감을 제공하며, 페퍼민트에 비해 순하고 덜 자극적이어서 어린 아이가 사용자인 경우에 보다 적합할 수 있다. 또한, 펜넬 오일의 경우, 천연 허브 성분으로서 청량감을 제공하면서 종래의 인공적인 과일향을 대체할 수 있어서 아이들용 치약에 있어서 인공 첨가제의 함량을 보다 감소시켜줄 수 있다. 나아가 상기 펜넬 오일은 식욕 부진 및 수족 냉증 개선 등의 부수적인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기타 첨가제는 포공영 추출물, 프로폴리스 추출물, 염화나트륨, 매스틱오일, 녹차 추출물, 민트향 첨가제,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일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기타 첨가제는 카렌듈라 추출물, 스피아민트 오일, 펜넬 오일,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치약 조성물은 기타 첨가제를 상기 치약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 초과 내지 2 중량%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기타 첨가제는 0 초과 내지 1.75 중량% 포함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기타 첨가제는 0 초과 내지 1 중량% 포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개시의 일 구체예를 따르면, 상기 치약 조성물은 기타 첨가제로서, 포공영 추출물 0 초과 내지 0.05 중량%, 프로폴리스 추출물 0 초과 내지 0.05 중량%, 염화나트륨 0 초과 내지 0.2 중량%, 매스틱오일 0 초과 내지 0.05 중량%, 녹차 추출물 0 초과 내지 0.1 중량%, 민트향 첨가제 0 초과 내지 1 중량%, 카렌듈라 추출물 0 초과 내지 0.1 중량%, 스피아민트 오일 0 초과 내지 0.1 중량%, 및 펜넬 오일 0 초과 내지 0.1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치약 조성물은 유해 성분을 함유하지 않는다. 상기 유해 성분은 인체에 해로운 것으로 알려진 성분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본 개시에서는 특히 불소, 합성계면활성제, 트리클로산, MIT (Methylisothiazolinone), CMIT (Methylchloroisothiazolinone), PEG (Polyethylene glycol), 침강탄산칼슘, 파라벤, 사카린, 및 타르 색소를 포함한다.
불소는 종래의 치약에서 충치 예방을 위해 함유되었으나, 이러한 불소는 사용자, 특히 어린이들이 과다 섭취하는 경우 치아 표면이 얼룩지거나 심하게 변색되는 치아불소증을 야기할 우려가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합성계면활성제의 경우 종래 치약에서 거품을 내는 기능을 하지만, 이러한 합성계면활성제를 구강 내에서 세척을 통해 완전히 제거하지 않는다면 구강 내 점막을 건조시켜 구취의 원인이 될 수 있다는 문제점을 갖는다. 트리클로산은 구강 내 미생물의 증식을 억제하기 위해 사용되는 살균제로서 종래 치약에서 많이 사용되었으나, 이 트리클로산은 면역력을 떨어뜨리고 호르몬의 올바른 작용을 방해하는 내분비 교란 물질, 즉 환경 호르몬에 해당한다. 상기 트리클로산은 불임, 유방암, 간암, 갑상선 기능 저하 등을 유발할 가능성이 있다. MIT 및 CMIT는 가습기 살균제의 원료로 잘 알려져 있는 유해 성분으로서 독성이 강하고 피부에 부식을 유발하는 문제가 있다. PEG는 계면활성제로서 종래 치약에 사용되나 상기 PEG의 세정력 및 유화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공정에서 1,4 다이옥산과 같은 발암 물질이 잔류하는 경우가 많아 문제된다. 치약에 색을 넣기 위하여 종래 치약에서는 타르 색소가 사용되었으나, 상기 타르 색소는 발암물질이 함유된 경우가 많아 문제되었다. 본 개시의 치약 조성물은 상기와 같은 유해 성분을 필수적으로 배제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본 개시의 치약 조성물을 이용하여 양치를 한 경우, 구강 내 세균을 우수한 성능으로 제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강 내 항균력을 종래 치약에 비하여 긴 시간 동안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개시에 있어서, 구강 세균이란 인간의 구강 내에 존재하는 세균으로서 충치 및 치주 질환을 유발할 수 있는 유해 세균을 의미한다. 본 개시에 있어서, 상기 구강 세균은 캄필로박터 렉투스 (Campylobacter rectus), 푸소박테리움 뉴클레아툼 (Fusobacterium nucleatum), 포르피로모나스 진지발리스 (Porphyromonas gingivalis), 아그레가티벡터 악티노마이세텀코미탄스 (Aggregatibacter actinomycetemcomitans), 스트렙토코쿠스 뮤탄스 (Streptococcus mutans), 스트렙토코쿠스 소브리누스(Streptococcus sobrinus), 아이케넬라 코로덴스(Eikenella corrodens), 및 프레보텔라 인터메디아(Prevotella intermedia)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캄필로박터 렉투스는 치주낭, 치근막질환, 급성치주질환을 야기하며, 후소박테리움 뉴클레아툼, 포르피로모나스 진지발리스, 아그레가티벡터 악티노마이세텀코미탄스, 아이케넬라코로덴스, 및 프레보텔라 인터메디아는 치주염을 유발하고, 스트렙토코쿠스 뮤탄스 및 스트렙토코쿠스 소브리누스는 충치 및 치아 우식을 야기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편, 너무 잦은 양치는 치아의 마모를 야기하여 치아 건강에 오히려 부정적일 수 있고, 양치를 해야하는 사용자의 번거로움을 수반한다. 이에, 양치 직후의 항균력 뿐만 아니라 양치 후 항균력이 유지되는 항균력 지속성 또한 매우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할 사항이다. 종래 치약들의 경우, 우수한 항균력을 가짐을 나타낸바 있으나 이는 10 시간 이하의 경과 관찰 또는 15 시간 이하의 경과 관찰에 불과하였으며, 24 시간 이상 경과 후에도 우수한 항균력을 갖는 치약 조성물에 대해서는 아직 시사된바 없다.
본 개시의 치약 조성물은 구강 세균에 적용 시 구강 세균의 배양을 90% 이상, 바람직하게는 95%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97% 이상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개시의 일 구체예를 따르면, 상기 치약 조성물은 구강 세균에 적용 후 2시간이 경과하였을 때 구강 세균의 배양을 99% 이상 억제할 수 있다. 본 개시에 있어서 상기 구강 세균의 배양을 억제하는 정도를 "항균력"이라 표현하며, 이는 "항균력 = 특정 시간 경과 후 측정된, 치약 조성물 및 특정 구강 세균의 혼합물의 OD(Optical Density)/ (치약 조성물의 초기 OD + 특정 구강 세균의 초기 OD)"와 같이 계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항균력은 99.5%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99.9% 이상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치약 조성물은 구강 세균에 적용하고 24 시간이 경과하였을 때 구강 세균의 배양을 95% 이상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치약 조성물은 구강 세균에 적용하고 24 시간이 경과하였을 때 구강 세균의 배양을 바람직하게는 97%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97.5%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97.9% 이상 억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치약 조성물은 사용자의 치약 사용량을 감소시키고 과다한 양치 빈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본 개시는 상기 전술한 치약 조성물을 포함하는 치약을 제공한다. 상기 치약이 담기는 용기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컨대 종래 치약과 같이 튜브형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튜브형 치약에 있어서, 일반 소비자에게 제공되는 치약 조성물의 양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본 개시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튜브형 치약의 튜브 내 치약 조성물의 양은 25g일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치약 튜브 내 치약 조성물의 양은 95g일 수 있다.
이하, 본 개시의 이해를 돕기 위해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지만, 하기의 실시예는 본 개시를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본 개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실시예 1 및 2. 치약의 제조
하기 표 2의 성분 함량을 갖는 치약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성분 함량은 중량% 단위이다. 물은 정제수와 이온 미네랄 원료수가 12 대 1의 부피비로 혼합되어 사용되었으며, 이온 미네랄 원료수의 조성은 전술한 표 1의 구체예의 조성과 동일하게 하였다.
성분 실시예 1 실시예 2
덴탈타입실리카 12.0 15
아미노카프론산 0.1
토코페롤아세테이트 0.1 0.01
농글리세린 3.0
D-소르비톨액 68.0 65.0
잔탄검 0.8 0.9
자몽종자 추출물 0.2 0.2
마트리카리아 추출물 0.05 0.05
알로에 추출물 0.05 0.05
유칼립투스 추출물 0.05 0.05
세이지 추출물 0.05 0.05
카렌듀라 추출물 0.05
녹차 추출물 0.05
포공영 추출물 0.01
프로폴리스 추출물 0.01
염화나트륨 0.1
자일리톨 0.2 1.0
매스틱 오일 0.005
스피아민트 오일 0.05
펜넬 오일 0.05
아스코르브산 0.01 0.01
코코일글루타민산 나트륨 0.2 1.5
민트향 첨가제 0.4
18.14 12.505
2. 항균력 테스트
본 개시의 치약 조성물의 시간 경과에 따른 항균력을 테스트하였다.
먼저, 비교 실험예 1로서 Spectrometer optical density(OD) 값 약 0.002를 갖는 인체 유래 구강질환 유발 미생물 8종을 준비하였다. 상기 미생물들을 각 100Φ dish에 도말 후 2, 4, 6, 8, 24시간 배양한 뒤 각 시간 당 dish의 배양 상태를 촬영하고, Spectrometer로 OD를 측정하였다.
실험예 1로서 비교 실험예 1의 각 미생물이 도말된 각 dish에 실시예 1의 치약 조성물을 10 mg/ml의 농도로 적용하였다. 이 때 관찰된 실시예 1의 치약 조성물의 OD 값은 약 2.3636이었다. 상기 치약 조성물이 적용된 dish를 2, 4, 6, 8, 24시간 배양한 뒤 각 시간 당 dish의 배양 상태를 촬영하고, Spectrometer로 OD를 측정하였다
실험예 2로서 실시예 1을 실시예 2로 변경한 것 외에는 실험예 1과 동일하게 실험을 하였다. 실시예 2의 치약 조성물의 OD 값은 약 2.575이었다.
상기 OD 값은 Spectrophotometer(600nm)에 의해 측정되었다.
촬영된 dish의 배양 상태를 도 2 내지 9에 나타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2 내지 5의 촬영된 dish의 각 사분면은 2, 4, 6, 8h 경과에 따른 dish의 배양 상태를 나타낸다. 또한 도 6 내지 9는 24h 경과에 따른 dish의 배양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또한, 하기 표 3에 시험예 1 및 2의 시간 경과에 따른 항균력을 나타냈다. 상기 항균력은 dish OD / (초기 치약 조성물 OD + 초기 미생물 OD)로 계산된다.
2시간 경과 후
실험예 1 실험예 2
Campylobacter retus 99.477 99.447
Streptococcus sorbrinus 99.867 99.940
Eikenella corrodens 99.596 99.533
Streptococcus mutans 99.501 99.456
Prevotella intermedia 99.809 99.906
Porphyomonas gingivalis 99.793 99.507
Aggregatibacter actinomycetemcomitans 99.485 99.472
Fusobacterium nucleatum 99.875 99.917
4시간 경과 후
실험예 1 실험예 2
Campylobacter retus 99.71 99.465
Streptococcus sorbrinus 99.548 99.907
Eikenella corrodens 99.584 99.881
Streptococcus mutans 99.619 99.856
Prevotella intermedia 99.560 99.619
Porphyomonas gingivalis 99.649 99.609
Aggregatibacter actinomycetemcomitans 99.462 99.592
Fusobacterium nucleatum 99.620 99.535
6시간 경과 후
실험예 1 실험예 2
Campylobacter retus 99.478 99.482
Streptococcus sorbrinus 99.509 99.499
Eikenella corrodens 99.763 99.501
Streptococcus mutans 99.678 99.975
Prevotella intermedia 99.918 99.962
Porphyomonas gingivalis 99.614 99.516
Aggregatibacter actinomycetemcomitans 99.458 99.643
Fusobacterium nucleatum 99.840 99.681
8시간 경과 후
실험예 1 실험예 2
Campylobacter retus 99.949 98.424
Streptococcus sorbrinus 98.425 98.316
Eikenella corrodens 98.537 98.451
Streptococcus mutans 98.883 98.752
Prevotella intermedia 98.845 98.826
Porphyomonas gingivalis 98.827 98.381
Aggregatibacter actinomycetemcomitans 98.618 99.008
Fusobacterium nucleatum 98.715 98.569
24시간 경과 후
실험예 1 실험예 2
Campylobacter retus 98.395 98.068
Streptococcus sorbrinus 97.087 97.050
Eikenella corrodens 97.407 97.622
Streptococcus mutans 98.669 98.701
Prevotella intermedia 98.371 98.726
Porphyomonas gingivalis 98.285 98.292
Aggregatibacter actinomycetemcomitans 98.299 98.714
Fusobacterium nucleatum 98.510 98.761
도 2 내지 9를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2, 4, 6, 8, 24시간 동안 미생물을 관찰한 결과, 2 내지 8 시간 동안에는 미생물이 관찰되지 않았으나 24시간이 경과한 후에는 비교실험예 1의 경우 미생물이 육안으로 관찰되는 경우가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상기 표 3의 결과로부터, 본 개시의 치약 조성물의 2시간 후의 항균력은 각 미생물 평균 99.9%로 측정되고, 4시간, 6시간 후의 항균력은 평균 99.6%로 측정되며, 8시간 후의 항균력은 평균 98.7%로 측정되고, 24시간 후의 항균력은 평균 97.9%로 측정됨을 확인하였다.
3. 구강 환경 개선 테스트
(1) Human saliva test
실시예 2의 치약 조성물로 이루어진 치약을 사용하여 아침, 점심, 저녁으로 하루 3회 3분씩, 2 주간 양치를 실시하였다. 매주 금요일 오전 10시 타액(saliva)을 샘플링하였다. 타액의 샘플링 전에만 담배, 커피, 및 음료의 섭취를 금지하였다. 타액은 가글 용액을 이용하여 수집되었으며, 분석은 Periogen CO., Ltd.의 real-time PCR로 수행되었다. 데이터 분석은 STATVIEW 소프트웨어에 의한 ANOVA analysis of variance를 이용하여 수행되었다.
수집된 타액 내 미생물 수의 변화를 도 10 내지 12에 플롯하였다.
(2) Human-derived micro-organism test
Aggregatibacter actinomycetemcomitans(Aa), Streptococcus sobriums(Ss), Streptococcus mutans(Sm) 배양액 각 0.2ml와 증류수에 희석된 0.5 mg/ml의 실시예 1 및 2의 치약 조성물을 3분간 반응시킨 후, 각 배양액을 1분 및 5분 동안 재배양하였다. 실시예 1 또는 2와 반응하지 않은 배양액을 1분 및 5분 동안 재배양한 것을 대조군으로 하였다.
각 시간별로 측정된 미생물의 수 및 감소율을 도 13에 나타냈다. 상기 감소율은 (A-B)/(A) * 100 으로 계산되었으며, 여기서 (A)는 대조군의 미생물 수, (B)는 실험예의 미생물 수를 의미한다.
도 10 내지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1)의 테스트 결과 총 10 종의 구강 세균이 검출되었으며, 2주간 각 구강 세균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도 13에 나타난 감소율을 살펴보면, 본 개시의 치약 조성물을 처치한 경우 인체 유래 미생물을 재배양한 배지에서의 미생물의 수가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다.
결론적으로 상기 (1) 및 (2)의 테스트 결과로부터 본 개시의 치약 조성물이 구강 세균의 일시적 감소 뿐만 아니라 장기적 관점에서의 감소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개시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개시의 영역에 속하는 것이며, 본 개시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Claims (10)

  1. 항균 성능이 개선된 치약 조성물로서,
    상기 치약 조성물은 물, 여기서 상기 물은 이온 미네랄 원료수를 포함하며; 연마제; 습윤제; 점증제; 토코페롤아세테이트, 아미노카프론산, 또는 이들의 조합; 및 첨가제를 포함하며,
    상기 치약 조성물은 구강 세균에 적용하고 24시간이 경과하였을 때 구강 세균의 배양을 95% 이상 억제하는 항균 성능이 개선된 치약 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온 미네랄 원료수는 마그네슘, 규소, 칼슘, 및 칼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성능이 개선된 치약 조성물.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온 미네랄 원료수는 SiO2를 이온 미네랄 원료수 1L 당 2 내지 5 mg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성능이 개선된 치약 조성물.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치약 조성물은 치약 조성물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10 내지 20 중량%의 연마제, 60 내지 70 중량%의 습윤제, 0.5 내지 2 중량%의 점증제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연마제는 덴탈타입실리카이고; 습윤제는 D-소르비톨액, 농글리세린, 또는 이들의 조합이며; 점증제는 잔탄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성능이 개선된 치약 조성물.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첨가제는 자몽종자 추출물, 마트리카리아 추출물, 알로에 추출물, 유칼립투스 추출물, 세이지 추출물, 자일리톨, 아스코르브산, 코코일글루타민산나트륨,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성능이 개선된 치약 조성물.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치약 조성물은 기타 첨가제를 더욱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기타 첨가제는 포공영 추출물, 프로폴리스 추출물, 염화나트륨, 매스틱 오일, 녹차 추출물, 민트향 첨가제,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성능이 개선된 치약 조성물.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치약 조성물은 기타 첨가제를 더욱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기타 첨가제는 카렌듈라 추출물, 스피아민트 오일, 펜넬 오일,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성능이 개선된 치약 조성물.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치약 조성물은 유해 성분을 함유하지 않으며, 상기 유해 성분은 불소, 합성계면활성제, 트리클로산, MIT (methylisothiazolinone), CMIT (Methylchloroisothiazolinone), PEG (Polyethylene glycol), 침강탄산칼슘, 파라벤, 사카린, 및 타르 색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성능이 개선된 치약 조성물.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강 세균은 캄필로박터 렉투스 (Campylobacter rectus), 푸소박테리움 뉴클레아툼 (Fusobacterium nucleatum), 포르피로모나스 진지발리스 (Porphyromonas gingivalis), 아그레가티벡터 악티노마이세텀코미탄스 (Aggregatibacter actinomycetemcomitans), 스트렙토코쿠스 뮤탄스 (Streptococcus mutans), 스트렙토코쿠스 소브리누스(Streptococcus sobrinus), 아이케넬라 코로덴스(Eikenella corrodens), 및 프레보텔라 인터메디아(Prevotella intermedia)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성능이 개선된 치약 조성물.
  10. 청구항 1 내지 9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치약 조성물을 포함하는 치약.
KR1020190017862A 2019-02-15 2019-02-15 항균 성능이 개선된 치약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치약 KR1021964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7862A KR102196459B1 (ko) 2019-02-15 2019-02-15 항균 성능이 개선된 치약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치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7862A KR102196459B1 (ko) 2019-02-15 2019-02-15 항균 성능이 개선된 치약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치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9801A true KR20200099801A (ko) 2020-08-25
KR102196459B1 KR102196459B1 (ko) 2020-12-30

Family

ID=722927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7862A KR102196459B1 (ko) 2019-02-15 2019-02-15 항균 성능이 개선된 치약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치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645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99175A (ko) * 2021-01-05 2022-07-13 주식회사 케이보은제약 생약 복합물을 함유하는 구강용 조성물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05914B1 (ko) * 1999-07-24 2001-09-13 서경배 송염의 제조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송염을 함유하는구강용 조성물
KR20080079776A (ko) * 2007-02-28 2008-09-02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식물의 꽃 절편을 포함하는 치약 조성물
KR20110135678A (ko) * 2010-06-11 2011-12-19 (주)네오메디컬 고기능성 자연친화형 치약조성물
KR101221074B1 (ko) 2012-07-06 2013-01-11 주식회사 시라이트 무독성,무자극성 구강항균 및 신경,정신 안정 효과를 가지는 천연항균 어린이 치약 조성물
KR20140082504A (ko) * 2012-12-24 2014-07-02 이종걸 구취제거, 플라그제거 및 항균효과가 우수한 치약 조성물
KR20160012257A (ko) * 2014-07-23 2016-02-03 원유용 양구방산백토 추출 화이트이온미네랄(sy2220)과 화이트이온미네랄 증류수(sy2216)를 이용한 액상치약과 조성물
WO2017188513A1 (ko) * 2016-04-25 2017-11-02 주식회사 수호천사엔젤 액상치약이 코팅된 일회용 칫솔
KR101841181B1 (ko) * 2016-09-27 2018-03-22 셀포원(주)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치약 조성물
JP2018052969A (ja) * 2017-11-29 2018-04-05 有限会社漢方歯科医学研究所 抗菌性口腔用組成物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05914B1 (ko) * 1999-07-24 2001-09-13 서경배 송염의 제조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송염을 함유하는구강용 조성물
KR20080079776A (ko) * 2007-02-28 2008-09-02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식물의 꽃 절편을 포함하는 치약 조성물
KR20110135678A (ko) * 2010-06-11 2011-12-19 (주)네오메디컬 고기능성 자연친화형 치약조성물
KR101221074B1 (ko) 2012-07-06 2013-01-11 주식회사 시라이트 무독성,무자극성 구강항균 및 신경,정신 안정 효과를 가지는 천연항균 어린이 치약 조성물
KR20140082504A (ko) * 2012-12-24 2014-07-02 이종걸 구취제거, 플라그제거 및 항균효과가 우수한 치약 조성물
KR20160012257A (ko) * 2014-07-23 2016-02-03 원유용 양구방산백토 추출 화이트이온미네랄(sy2220)과 화이트이온미네랄 증류수(sy2216)를 이용한 액상치약과 조성물
WO2017188513A1 (ko) * 2016-04-25 2017-11-02 주식회사 수호천사엔젤 액상치약이 코팅된 일회용 칫솔
KR101841181B1 (ko) * 2016-09-27 2018-03-22 셀포원(주)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치약 조성물
JP2018052969A (ja) * 2017-11-29 2018-04-05 有限会社漢方歯科医学研究所 抗菌性口腔用組成物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99175A (ko) * 2021-01-05 2022-07-13 주식회사 케이보은제약 생약 복합물을 함유하는 구강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6459B1 (ko) 2020-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98779B2 (en) Compositions for the relief of xerostomia and the treatment of associated disorders
US20080031831A1 (en) Oral anti-calculus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e thereof
Vranic et al. Formulation ingredients for toothpastes and mouthwashes
CN100361646C (zh) 橄榄油在制备用于消除或减少口腔中菌斑和/或细菌的口腔卫生产品中的应用
US20090269288A1 (en) Black pearl toothpaste
WO2013075920A2 (en) An oral care composition
KR101449453B1 (ko) 구취제거, 플라그제거 및 항균효과가 우수한 치약 조성물
KR101624764B1 (ko) 치아 연마제 조성물
KR102090119B1 (ko) 생약추출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치약 조성물
KR101216427B1 (ko) 카렌듈라 치약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RU2457829C2 (ru) Минерально-витаминный комплекс для укрепления эмали зубов, композиция для гигиены полости рта и зубная паста
KR102196459B1 (ko) 항균 성능이 개선된 치약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치약
WO2005072691A1 (en) Composition for inhibiting halitosis
KR102502829B1 (ko) 티트리 오일 및 알로에베라 겔을 포함하는 가글용 액상 조성물
RU2334522C1 (ru) Лечебно-профилактический эликсир для ухода за полостью рта
WO2020095099A1 (ru) Коcметическое средство для ухода за полостью рта
JP2003012483A (ja) 口腔用組成物
KR102649635B1 (ko) 폴리크레줄렌을 함유하는 구강용 조성물
KR20170037230A (ko) 카사바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용 조성물
KR100704585B1 (ko) 치약 조성물
Abuladze et al. Development of Formulas and Technology of Dental Elixirs with the Use of Plant Resources and Thermal Mineral Waters of Georgia
CN108853487A (zh) 一种治疗口腔溃疡的口腔护理液及其制备方法
KR20170037231A (ko) 퍼슬린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용 조성물
KR101963215B1 (ko) 미강, 볏짚 및 기장을 포함하는 구강세정용조성물
CA3050693A1 (en) Oral care composition and use and method for the prevention and control of plaque formation, bad breath, gingivitis, periodontal diseases and/or dental cari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