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99754A - 넓은 작업공간 확보가 가능한 확장형 동바리 - Google Patents
넓은 작업공간 확보가 가능한 확장형 동바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00099754A KR20200099754A KR1020190017758A KR20190017758A KR20200099754A KR 20200099754 A KR20200099754 A KR 20200099754A KR 1020190017758 A KR1020190017758 A KR 1020190017758A KR 20190017758 A KR20190017758 A KR 20190017758A KR 20200099754 A KR20200099754 A KR 2020009975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teel pipe
- upper steel
- working space
- securing
- expandabl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3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floors, ceilings, or roofs of plane or curved surfaces end formpanels for floor shutterings
- E04G11/48—Supporting structures for shutterings or frames for floors or roofs
- E04G11/483—Supporting head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5/00—Shores or struts; Chocks
- E04G25/04—Shores or struts; Chocks telescopic
- E04G25/06—Shores or struts; Chocks telescopic with parts held together by positive means
- E04G25/061—Shores or struts; Chocks telescopic with parts held together by positive means by pi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5/00—Shores or struts; Chocks
- E04G25/04—Shores or struts; Chocks telescopic
- E04G25/06—Shores or struts; Chocks telescopic with parts held together by positive means
- E04G25/065—Shores or struts; Chocks telescopic with parts held together by positive means by a threaded nu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넓은 작업공간 확보가 가능한 확장형 동바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건축물을 시공하는 과정에서 콘크리트의 타설시 천정 거푸집을 받쳐줄 수 있으며, 천정 거푸집을 받치는 넓은 지지면을 갖는 날개부가 구비되어 동바리의 설치 간격이 증가함으로써, 넓은 작업공간 확보가 가능한 확장형 동바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부 강관의 상측에 결합된 몸체부에 고정된 날개부를 통해 넓은 면적의 천정 거푸집 하부를 지지할 수 있어, 설치되는 동바리의 수가 적어 작업자의 작업공간이 확보될 수 있으며, 아울러 상부 강관에 형성된 고정공과, 하부 강관에 형성된 장공에 고정핀이 고정되되, 하부 강관의 상부에 조절 나사산과, 조절 너트에 의해 고정핀이 고정되어 상부 강관의 세밀한 길이 조절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부 강관의 상측에 결합된 몸체부에 고정된 날개부를 통해 넓은 면적의 천정 거푸집 하부를 지지할 수 있어, 설치되는 동바리의 수가 적어 작업자의 작업공간이 확보될 수 있으며, 아울러 상부 강관에 형성된 고정공과, 하부 강관에 형성된 장공에 고정핀이 고정되되, 하부 강관의 상부에 조절 나사산과, 조절 너트에 의해 고정핀이 고정되어 상부 강관의 세밀한 길이 조절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넓은 작업공간 확보가 가능한 확장형 동바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건축물을 시공하는 과정에서 콘크리트의 타설시 천정 거푸집을 받쳐줄 수 있으며, 천정 거푸집을 받치는 넓은 지지면을 갖는 날개부가 구비되어 동바리의 설치 간격이 증가함으로써, 넓은 작업공간 확보가 가능한 확장형 동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건축구조물을 시공할 경우에는 거푸집으로 건축물의 형태를 형성한 다음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하는 과정을 통해 건축구조물을 시공한다.
또한, 건축구조물을 시공하는 과정에서 건축구조물의 천정에 해당하는 거푸집의 상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할 경우에는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무게를 충분히 지지할 수 있도록 천정 거푸집의 하부를 받쳐주는 동바리들이 설치된다.
건축구조물을 시공하는 과정에서 사용되는 종래의 동바리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939311호 “건축용 동바리”에 개시된 바에 따르면, 하단에는 받침판이 구비되어 수직으로 세워지고, 내부의 상부가 개방되어 내주면에는 오른나사홈이 형성되고, 외측 상부의 외주면에는 왼나사부가 형성되는 하부 수직관과, 외측 하부의 외주면에는 상기 오른나사홈에 체결되는 오른나사부가 형성되어 상기 하부 수직관의 내부에 회전을 통해 승강되게 체결되고, 상단에는 천정 거푸집의 하면을 받혀주는 상부 받침판이 구비되며, 상하 방향의 중간에는 상부 돌출판이 형성되며, 상부 둘레에는 손잡이봉이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상부 수직관과, 내부의 상,하부가 모두 개방되고, 내주면에는 상기 왼나사부에 체결되는 왼나사홈이 형성되며, 상단의 외측 둘레에는 나사의 풀음 회전을 통해 상승되어 상면이 상기 상부 돌출판의 하면에 밀착되는 하부 밀착 돌출판이 형성되고, 하부 밀착 돌출판의 하부 둘레에는 외측으로 돌출되는 다수의 회전 손잡인관이 방사형으로 형성되는 풀림 방지 수직관으로 구성되어, 천정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과정에서 천정 거푸집의 하면에 밀착되는 받침판의 높이가 하부로 쳐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 종래 기술은 상부 강관의 상부 끝단에 받침판이 구비되어 천정 거푸집의 하부를 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천정 거푸집의 하부를 지지하는 받침판의 면적이 작고, 많은 수의 동바리를 설치하여야만 콘크리트의 무게를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종래 기술의 천정 거푸집의 하부를 지지하는 받침판은 그 면적이 넓지 않기 때문에 천정 거푸집의 하부에 많은 수의 동바리를 설치해야 하며, 이에 따라 천정 거푸집의 아래에서 작업을 실시하는 작업자들의 이동경로의 확보가 어렵고, 작업공간 또한 협소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05748호 “파이프 서포트”에 개시된 동바리를 살펴보면, 내부에 중공을 갖고, 상부에 개구부 및 나사산부를 구비한 메인바디와, 상기 메인바디의 중공에 삽입되는 서브바디와, 상기 나사산부에 구비되어 상기 서브바디의 상기 메인바디 내 삽입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수단 및 상기 메인바디에 구비되어 상기 서브바디의 추락을 방지하는 하강방지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하강방지수단은 상기 메인바디의 외주면에서 함몰되어 상기 중공 내측으로 돌출된 하강방지돌기이고, 하강방지돌기는 기 성형된 상기 메인바디를 타격함으로써 형성되고, 복수로 구비되되, 상기 메인바디의 중심점으로부터 상호 대칭을 이루면서, 방사형으로 배치되며, 상기 하강방지돌기는 상기 서브바디와 접촉하는 위치에 형성된 상향 제1경사부 및, 이 제1경사부 내측으로 연장 형성되고 제1경사부보다 큰 경사도를 갖는 상향 제2경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경사부 또는 상기 제2경사부 또는 둘 모두에는 상기 서브바디의 하단이 삽입될 수 있도록 다수의 안착홈이 형성되어 구성된 서포트로 서브바디의 의도치 않은 추락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상기 종래 기술은 상부 강관의 추락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은 구비되어 상부 강관이 추락하는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지만, 콘크리트의 무게를 지지하는 받침판의 면적이 작아 천정 거푸집의 하면에 다수의 동바리를 설치해야 함으로써, 작업자의 작업공간이 협소한 문제점이 여전히 남아있다.
즉, 거푸집에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으며, 천정 거푸집의 하면의 넓은 면적을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동바리의 설치간격을 증가시켜 작업자들의 이동 및 작업을 위한 작업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새로운 동바리 기술이 필요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천정 거푸집의 하면을 받치는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의 일측이 연장되어 끼움돌기가 구비된 복수의 날개부와, 상측에 상기 복수의 날개부의 끼움돌기와 대응되는 복수의 요홈이 형성되고, 하측의 중앙에 삽입홈이 형성된 몸체부를 구비함으로써, 날개부를 통해 천정 거푸집의 넓은 면적을 지지할 수 있는 넓은 작업공간 확보가 가능한 확장형 동바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상부 강관이 내부에 삽입되어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한 하부 강관이 구비되고, 상부 강관의 고정공과 하부 강관의 장공에 고정핀이 삽입되고, 하부 강관에 형성된 조절 나사산과 조절 나사산에 따라 상하측으로 이동 가능한 조절 너트를 이용하여 상기 상부 강관의 섬세한 길이 조절이 가능한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천정 거푸집의 하면을 받치는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의 일측이 연장되어 끼움돌기가 구비된 복수의 날개부와; 상측에 상기 복수의 날개부의 끼움돌기와 대응되는 복수의 요홈이 형성되고, 하측의 중앙에 삽입홈이 형성된 몸체부와; 내부가 비워져 있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상측이 상기 몸체부의 삽입홈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상부 강관과; 내부가 비워져 있고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상부 강관이 내부에 삽입되어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한 하부 강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끼움돌기는, ㄱ자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날개부가 상기 몸체부의 요홈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날개부는, 상기 천정 거푸집으로부터 전해지는 하중을 견딜 수 있도록 상기 지지부재의 일측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는 받침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날개는, 상기 지지부재와 받침부재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 트러스(Truss) 구조의 보강부재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날개부는, 상기 지지부재의 상면에 형성된 결합홈 및 날개 연결부재를 더 포함하여, 상기 결합홈과 날개 연결부재의 결합에 의해서 상기 복수의 날개부가 흔들리거나 이탈되지 않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몸체부는, 원통 또는 다각형의 기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상부 강관은, 미리 설정된 간격에 따라 상기 상부 강관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복수의 고정공을 더 포함하며, 상기 하부 강관은, 상부 외주면에 조절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조절 나사산의 중앙부에 상기 하부 강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장공과, 상기 조절 나사산을 따라 회전되어 상하측으로 이동 가능한 조절 너트와, 상기 상부 강관의 고정공 및 장공을 관통하여 삽입되는 고정핀을 더 포함하여, 상기 조절 너트의 이동에 따라 상기 고정핀이 상하측으로 이동되어 상기 상부 강관의 길이가 조절되고, 상부 강관이 하측으로 낙하하지 않도록 하부 강관과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하부 강관은, 상기 하부 강관이 수직으로 세워지도록 하단에 하부 받침판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하부 강관은, 상기 상부 강관의 직경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상부 강관은, 상부에 외측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의 삽입홈은 상기 돌출부와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상부 강관이 몸체부의 삽입홈에 삽입되어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상부 강관은, 일측 외주면에 형성된 상기 고정공과 대응되도록 타측 외주면에 상기 상부 강관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좌우측으로 기울어진 지그재그 형태의 장공홀로 형성된 가이드홀을 더 포함하며, 상기 하부 강관의 장공과 상기 상부 강관의 가이드홀에 고정핀이 고정되고, 상기 고정핀이 상기 가이드홀을 따라 이동되어 상기 상부 강관의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고정핀은, 바(bar)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장공과 가이드홀에 고정되어 일측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걸림홈을 더 포함하며, 상기 걸림홈의 외주면에 완충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가이드홀은, 미리 설정된 구간마다 복수의 걸림턱이 형성되어 상기 상부 강관이 승/하강될 경우, 가이드홀을 따라 이동하는 상기 고정핀이 상기 걸림턱에 걸려 상기 상부 강관의 낙하를 방지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하부 강관은, 내부의 하단에는 탄성을 갖는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을 고정하도록 내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고정턱 및 상기 스프링의 상단에 구비된 받이판을 더 포함하여 상기 상부 강관이 하강하면, 상기 받이판에 의해서 받쳐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부 강관의 상측에 결합된 몸체부에 고정된 날개부를 통해 넓은 면적의 천정 거푸집 하부를 지지할 수 있으며, 설치되는 동바리의 수를 줄일 수 있어 작업자의 작업공간이 확보될 수 있으며, 아울러 상부 강관에 형성된 고정공과, 하부 강관의 상부에 조절 나사산과, 조절 너트에 의해 고정핀이 받쳐지고, 하부 강관에 형성된 장공에 고정핀이 고정되도록 구성되어 상부 강관의 세밀한 길이 조절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넓은 작업공간 확보가 가능한 확장형 동바리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넓은 작업공간 확보가 가능한 확장형 동바리의 결합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결합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넓은 작업공간 확보가 가능한 확장형 동바리의 날개 연결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넓은 작업공간 확보가 가능한 확장형 동바리의 날개부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넓은 작업공간 확보가 가능한 확장형 동바리의 몸체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넓은 작업공간 확보가 가능한 확장형 동바리의 상부 강관과 몸체부의 결합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넓은 작업공간 확보가 가능한 확장형 동바리를 이용하여 천정 거푸집을 받치는 사용예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상부 강관 및 하부 강관의 길이조절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상부 강관과, 하부 강관 및 고정핀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상부 강관의 길이조절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상부 강관의 가이드홀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상부 강관의 가이드 홀과 하부 강관의 장공 및 고정핀의 결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가이드홀을 이용한 상부 강관의 길이 조절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하부 강관의 내부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상부 강관의 낙하시 하부 강관의 스프링의 작용을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넓은 작업공간 확보가 가능한 확장형 동바리의 결합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결합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넓은 작업공간 확보가 가능한 확장형 동바리의 날개 연결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넓은 작업공간 확보가 가능한 확장형 동바리의 날개부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넓은 작업공간 확보가 가능한 확장형 동바리의 몸체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넓은 작업공간 확보가 가능한 확장형 동바리의 상부 강관과 몸체부의 결합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넓은 작업공간 확보가 가능한 확장형 동바리를 이용하여 천정 거푸집을 받치는 사용예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상부 강관 및 하부 강관의 길이조절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상부 강관과, 하부 강관 및 고정핀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상부 강관의 길이조절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상부 강관의 가이드홀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상부 강관의 가이드 홀과 하부 강관의 장공 및 고정핀의 결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가이드홀을 이용한 상부 강관의 길이 조절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하부 강관의 내부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상부 강관의 낙하시 하부 강관의 스프링의 작용을 도시한 단면도.
이하, 도면 1 내지 1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넓은 작업공간 확보가 가능한 확장형 동바리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넓은 작업공간 확보가 가능한 확장형 동바리의 결합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결합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넓은 작업공간 확보가 가능한 확장형 동바리의 날개 연결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넓은 작업공간 확보가 가능한 확장형 동바리의 날개부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넓은 작업공간 확보가 가능한 확장형 동바리의 몸체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넓은 작업공간 확보가 가능한 확장형 동바리의 상부 강관과 몸체부의 결합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넓은 작업공간 확보가 가능한 확장형 동바리를 이용하여 천정 거푸집을 받치는 사용예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상부 강관 및 하부 강관의 길이조절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상부 강관과, 하부 강관 및 고정핀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상부 강관의 길이조절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상부 강관의 가이드홀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상부 강관의 가이드 홀과 하부 강관의 장공 및 고정핀의 결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이며,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가이드홀을 이용한 상부 강관의 길이 조절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며,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하부 강관의 내부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상부 강관의 낙하시 하부 강관의 스프링의 작용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먼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정 거푸집(1)의 하면을 받치는 지지부재(11)와, 상기 지지부재(11)의 일측이 연장되어 끼움돌기(12)가 구비된 복수의 날개부(10)와, 상측에 상기 복수의 날개부의 끼움돌기(11)와 대응되는 복수의 요홈(21)이 형성되고, 하측의 중앙에 삽입홈(22)이 형성된 몸체부(20)로 구성된다.
또한, 내부가 비워져 있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상측이 상기 몸체부(20)의 삽입홈(22)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상부 강관(30)과, 내부가 비워져 있고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상부 강관(30)이 내부에 삽입되어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한 하부 강관(40)을 한다.
여기서 상기 끼움돌기(12)는, ㄱ자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날개부가 상기 몸체부(20)의 요홈(21)에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복수의 날개부(10)가 몸체부(20)에 고정되어 상기 천정 거푸집(1)의 하부면을 지지할 수 있으며, 상기 날개부(10)의 지지부재(11)의 길이에 따라 상기 천정 거푸집(1)의 하부면을 지지하는 면적을 넓히려는 경우, 상기 지지부재(11)의 길이를 적절하게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날개부(10)는, 상기 천정 거푸집(1)으로부터 전해지는 하중을 견딜 수 있도록 상기 지지부재(11)의 일측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는 받침부재(13)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받침부재(13)는 상기 지지부재(11)의 일측에서 하측으로 대각선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몸체부(20)에 닿아 지지되도록 하여 상기 지지부재(11)의 가장 외측부분에 전달되는 하중을 견딜 수 있도록 보강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날개부(10)는, 상기 지지부재(11)와 받침부재(13)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 트러스(Truss) 구조의 보강부재(14)가 더 포함된다.
즉, 상기 지지부재(11)와 받침부재(13) 및 몸체부(20)의 외측면에 의해 삼각형 형태의 공간이 형성되는데, 여기에 보강부재(14)가 채워지도록 구성되어, 상기 거푸집(1)에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무게를 상기 날개부(10)가 지지할 수 있도록 보강한다.
또한, 상기 복수의 날개부(10)는, 상기 지지부재(11)의 상면에 형성된 결합홈(15) 및 날개 연결부재(16)를 더 포함하여 상기 결합홈(15)과 날개 연결부재(16)의 결합에 의해서 상기 복수의 날개부(10)가 흔들리거나 외력에 의해 이탈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의 상기 복수의 날개부(10)가 몸체부(20)에 결합될 수 있으며, 여기서 상기 날개부(10)의 각각의 지지부재(11)에는 V자 형상의 결합홈(15)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날개 연결부재(16)는 날개부(10)의 설치 개수에 대응되는 다각형의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날개부(10)가 4개 설치될 경우, 날개 연결부재(16)가 내부가 비어있는 사각형의 형태로 형성되어 각각의 모서리 부분이 상기 V자 형상의 결합홈(15)에 끼워져 상기 날개부(10)들이 흔들리지 않고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날개부(10)의 사이에 공간을 채워주는 역할을 하여 상기 천정 거푸집(1)의 하면의 넓은 면적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부(20)는, 팔각형의 기둥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원통 또는 다각형의 기둥으로 형성되어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날개부(10)의 개수는 4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더 추가될 수 있으며, 상기 몸체부(20)는 날개부(10)의 개수에 대응되는 다각형으로 형성되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 강관(30)은, 미리 설정된 간격에 따라 상기 상부 강관(30)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복수의 고정공(31)을 더 포함하며, 상기 하부 강관(40)은, 상부 외주면에 조절 나사산(41)이 형성되고, 상기 조절 나사산(41)의 중앙부에 상기 하부 강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장공(42)과, 상기 조절 나사산(41)을 따라 회전되어 상하측으로 이동 가능한 조절 너트(43)와, 상기 고정공(31) 및 장공(42)을 관통하는 고정핀(44)을 더 포함하여, 상기 조절 너트(43)의 이동에 따라 상기 고정핀(44)이 상하측으로 이동되어 상기 상부 강관(30)의 길이가 조절되고, 상부 강관(30)이 하측으로 낙하하지 않도록 하부 강관(40)과 고정되도록 한다.
여기서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자면, 상기 조절 너트(43)를 회전시켜 상측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상기 고정핀(44)의 양측단을 상기 조절 너트(43)가 받치는 상태가 된다.
이때 상기 상부 강관(30)은 무게에 의해 상기 고정핀(44)에 밀착되게 되며, 상기 조절 너트(43)를 상측으로 계속 회전시키면, 상기 하부 강관(40)의 조절 나사산(41)에 의해 조절 너트(43)는 상승하게 되고, 상기 고정핀(44) 또한 상기 하부 강관(40)의 장공(42)을 따라 상승하게 된다.
즉, 상기 조절 너트(43)에 의해 고정핀(44)이 승/하강함에 따라 상기 고정핀(44)에 의해 고정된 상부 강관(30)이 이동하게 되어 세밀한 길이 조절이 가능하며, 동바리의 해체 작업시 상부 강관 또는 천정 거푸집(1)을 받치는 날개부(10)가 추락하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하부 강관(40)은, 상기 하부 강관(40)이 수직으로 세워지도록 하단에 하부 받침판(45)이 구비되어, 상기 하부 강관(40)이 기울어져 무너지지 않도록 한다.
또한, 상기 하부 강관(40)은, 상기 상부 강관(30)의 직경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어 상기 상부 강관(30)이 하부 강관(40)에 삽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 강관(30)은, 상부에 외측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32)를 더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20)의 삽입홈(22)은 상기 돌출부(32)와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상부 강관(30)이 몸체부(20)의 삽입홈(22)에 삽입되어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돌출부(32)는 상부 강관(30)의 하면에 복수개 구비될 수 있으며, 돌출부(32)의 개수에 맞게 상기 몸체부(20) 하부에 형성되어있는 삽입홈(22)의 개수가 형성되어 사용될 수 있다.
즉, 상기 상부 강관(30)은 상부 외주면에 돌출부(32)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20)의 삽입홈(22)의 형태는 상기 돌출부(32)에 대응되도록 형성됨으로써, 동바리의 설치 또는 해체 작업시 상기 상부 강관(30)과 몸체부(20)이 결합된 상태에서 서로 회전하거나, 상기 몸체부(20)가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되도록 하여,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상부 강관(30)은, 일측 외주면에 형성된 상기 고정공(31)과 대응되도록 타측 외주면에 상기 상부 강관(30)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좌우측으로 기울어진 지그재그 형태의 장공홀로 형성된 가이드홀(33)을 더 포함하여, 상기 하부 강관(40)의 장공(42)과 상기 상부 강관(30)의 가이드홀(33)에 고정핀(44)이 고정되고, 상기 고정핀(44)이 상기 가이드홀(33)을 따라 이동되어 상기 상부 강관(30)의 길이가 조절되거나, 고정되도록 한다.
여기서, 도 11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홀(33)은, 미리 설정된 구간마다 복수의 걸림턱(33a)이 형성되어 상기 상부 강관(30)이 하강할 경우, 가이드홀(33)을 따라 이동하는 상기 고정핀(44)이 상기 걸림턱(33a)에 걸려 상기 상부 강관(30)이 낙하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를 자세히 설명하자면, 상기 상부 강관(30)의 일측 외주면에는 상기 고정공(3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 강관(30)의 타측 외주면에는 상기 고정공(31)과 대응되는 위치에 장공홀의 형태로 가이드홀(33)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홀(33)은 상기 고정공(31)에 대응되는 반대편의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상부 강관(30)의 상측으로 연장되는 장공으로 형성되고, 상기 장공은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지그재그 형태로 기울어져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상부 강관(30)의 일측 외주면에 구비된 고정공(31)과, 타측 외주면에 구비된 상기 가이드홀(33) 및 하부 강관(40)에 형성된 장공(42)을 동시에 관통되도록 고정핀(44)이 삽입되고, 상기 하부 강관(40)에 구비된 조절 너트(43)에 의해 고정핀(44)이 받쳐짐으로써, 상기 상부 강관(30)이 하부 강관(40)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핀(44)을 상기 상부 강관(30)의 고정공(31)에서 빼내고 상기 하부 강관(40)의 장공(42)과 상부 강관(30)의 가이드홀(33)에 고정된 상태로 유지하여 상기 상부 강관(30)을 지그재그 방향으로 형성된 상기 가이드홀(33)을 따라 좌우로 회전시켜 승하강할 수 있다.
상기 상부 강관(30)을 상승시키려면 먼저 상기 하부 강관(40)의 장공(42)과, 상기 상부 강관(30)의 고정공(31) 및 반대편에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홀(33)의 상단 고정핀(44)을 삽입하여 상부 강관(30)과 하부 강관(40)을 고정시킨다.
이후,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핀(44)을 상부 강관(30)의 고정공(31)에서 빼내어 상기 하부 강관(40)의 장공(42)과, 상부 강관(30)의 가이드홀(33)에만 고정된 상태로 상기 상부 강관(30)을 가이드홀(33)이 형성된 대각선 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도록 좌우로 비틀어 올리며 상기 날개부(10)가 천정 거푸집(1)의 하면에 밀착되도록 상승시킨다.
이때, 상기 고정핀(44)이 가이드홀(33)에 대각선 방향을 따라 상승하며 미리 설정된 구간에 형성되어있는 걸림턱(33a)에 걸려 고정되도록 하여, 상기 상부 강관(30)이 상기 가이드홀(33)을 따라 슬라이딩되어 낙하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그 후, 상기 하부 강관(40)에 형성된 장공(42)과, 상부 강관(30)의 가이드홀(33)에 상기 고정핀(44)이 관통되어 삽입된 상태에서 다시 상부 강관(30)의 고정공(31)으로 밀어 넣어 관통되도록 삽입하여 상부 강관(30)을 고정시킨다.
이후, 상기 하부 강관(40)에 구비된 조절 너트(43)를 회전하여 상기 고정핀(44)을 받치도록 한 후, 상기 조절 너트(43)가 상승하도록 회전시키면, 상기 상부 강관(30)을 상승시킬 수 있으며, 더욱 미세한 길이 조절을 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상부 강관(30)을 하측방향으로 하강시킬 경우, 상기 조절 너트(43)를 이용하여 상기 천정 거푸집(1)의 하면과 밀착된 날개부(10)를 하강시키고, 상기 고정핀(44)을 상부 강관(30)의 고정공(31)에서 빼내어 상기 상부 강관(30)이 가이드홀(33)을 따라 슬라이딩되어 하강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가이드홀(33)에 따라 상부 강관(30)을 좌우로 비틀며 하강시키게 되는데, 가이드홀(33)이 대각선 방향으로 형성되어있어, 날개부(10) 및 몸체부(20)의 무게에도 느린 속도로 하강시킬 수 있으며, 상기 가이드홀(33)의 대각선 방향이 끝나는 부분에 형성된 복수의 걸림턱(33a)에 의해 상기 고정핀(44)이 걸리도록 되어있어 상부 강관(30)이 급격하게 하강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고정핀(44)에 의해 상기 상부 강관(30)이 하부 강관(40)에 고정된 상태로 상기 가이드홀(33)을 따라 이동되어 상기 상부 강관(30)의 길이 조절이 가능하며, 상기 동바리의 해체 작업시 상기 상부 강관(30)이 의도치 않게 낙하하여 발생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고정핀(44)은, 바(bar)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장공(42)과 가이드홀(33)에 고정되도록 걸림홈(44a)을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고정핀(44)은 중앙 부분에 형성되어있는 걸림홈(44a)은, 상부 강관(30)의 무게에 의해 가이드홀(33)이 상기 걸림홈(44a)에 밀착되게 되어 상기 상부 강관(30)의 흔들림에도 고정핀(44)이 외력에 의해 일측 방향으로 이탈되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고정핀(44)의 걸림홈(44a)에는 완충부재(44b)가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홀(33)을 따라 상부 강관(30)이 하강할 경우, 상기 고정핀(44)과 가이드홀(33)에 미리 구비된 상기 걸림턱(33a)의 충돌에 의해 큰 소음이 발생되거나 가이드홀(33)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 강관(40)은, 내부의 하단에는 탄성을 갖는 스프링(46)과, 상기 스프링(46)을 고정하도록 내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고정턱(47) 및 상기 스프링(46)의 상단에 구비된 받이판(48)을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상부 강관(30)이 낙하하면, 상기 받이판(48)에 의해서 받쳐지고, 상기 스프링(46)의 탄성에 의해 상기 날개부(10) 및 몸체부(20)의 낙하로 인한 속도를 감소시키며, 상기 상부 강관(30)이 다시 상측으로 상승하도록 하여 동바리의 하부에서 작업하는 작업자가 상기 상부 강관(30)의 낙하로 인해 상기 날개부(10) 또는 몸체부(20)와 부딪히는 사고가 일어나지 않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넓은 작업공간 확보가 가능한 확장형 동바리는 해체작업 시 상기 상부 강관(30)을 고정하고 있는 고정핀(44)이 상기 상부 강관(30)의 가이드홀(33)을 따라 지그재그 방향으로 이동하고, 가이드홀(33)에 형성되어있는 걸림턱(33a)에 걸려 급격하게 하강하지 않도록 걸림과 동시에 상기 날개부(10)와, 몸체부(20) 및 상부 강관(30)의 무게로 인한 낙하속도를 상기 하부 강관(40)의 하부에 구비된 받이판(48)에 받쳐진 상태로 스프링(46)에 의해 감쇠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상부 강관(30)에 지그재그 형태의 장공으로 형성된 상기 가이드홀(33)에 따라 상기 고정핀(44)이 이동하며, 상기 가이드홀(33)에 형성된 복수의 걸림턱(33a)에 의해 상기 고정핀(44)이 미리 설정된 구간마다 걸리게 되고, 상기 상부 강관(30)을 좌측 또는 우측방향으로 비틀어 회전하여야 하강할 수 있도록 되어 있어, 상기 상부 강관(30)이 하측으로 낙하하여 발생하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전술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넓은 작업공간 확보가 가능한 확장형 동바리는, 상부 강관의 상측에 결합된 몸체부에 고정된 날개부를 통해 넓은 면적의 천정 거푸집 하부를 지지할 수 있어, 설치되는 동바리의 수가 적어 작업자의 작업공간이 확보될 수 있으며, 아울러 상부 강관에 형성된 고정공과, 하부 강관에 형성된 장공에 고정핀이 고정되되, 하부 강관의 상부에 조절 나사산과, 조절 너트에 의해 고정핀이 고정되어 상부 강관의 세밀한 길이 조절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에 관한 설명은 단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개시된 기술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로 제1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나아가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사이에”또는 “~에 이웃하는” 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 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은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 : 거푸집
10 : 날개부
20 : 몸체부
30 : 상부 강관
40 : 하부 강관
10 : 날개부
20 : 몸체부
30 : 상부 강관
40 : 하부 강관
Claims (10)
- 천정 거푸집(1)의 하면을 받치는 지지부재(11)와, 상기 지지부재(11)의 일측이 연장되어 끼움돌기(12)가 구비된 복수의 날개부(10)와;
상측에 상기 복수의 날개부의 끼움돌기(12)와 대응되는 복수의 요홈(21)이 형성되고, 하측의 중앙에 삽입홈(22)이 형성된 몸체부(20)와;
내부가 비워져 있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상측이 상기 몸체부(20)의 삽입홈(22)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상부 강관(30)과;
내부가 비워져 있고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상부 강관(30)이 내부에 삽입되어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한 하부 강관(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넓은 작업공간 확보가 가능한 확장형 동바리.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돌기(12)는,
ㄱ자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날개부(10)가 상기 몸체부(20)의 요홈(21)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넓은 작업공간 확보가 가능한 확장형 동바리.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날개부(10)는,
상기 천정 거푸집(1)으로부터 전달되는 하중을 견딜 수 있도록 상기 지지부재(11)의 일측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는 받침부재(1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넓은 작업공간 확보가 가능한 확장형 동바리.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날개부(10)는,
상기 지지부재(11)와 받침부재(13)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 트러스(Truss) 구조의 보강부재(14)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넓은 작업공간 확보가 가능한 확장형 동바리.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날개부(10)는,
상기 지지부재(11)의 상면에 형성된 결합홈(15) 및 날개 연결부재(16)를 더 포함하여,
상기 결합홈(15)과 날개 연결부재(16)의 결합에 의해서 상기 복수의 날개부(10)가 흔들리거나 이탈되지 않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넓은 작업공간 확보가 가능한 확장형 동바리.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20)는,
원통 또는 다각형의 기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넓은 작업공간 확보가 가능한 확장형 동바리.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강관(30)은,
미리 설정된 간격에 따라 상기 상부 강관(30)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복수의 고정공(31)을 더 포함하며,
상기 하부 강관(40)은,
상부 외주면에 조절 나사산(41)이 형성되고, 상기 조절 나사산(41)의 중앙부에 상기 하부 강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장공(42)과, 상기 조절 나사산(41)을 따라 회전되어 상하측으로 이동 가능한 조절 너트(43)와, 상기 상부 강관(30)의 고정공(31) 및 장공(42)을 관통하여 삽입되는 고정핀(44)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넓은 작업공간 확보가 가능한 확장형 동바리.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 너트(43)는
내측면에 상기 조절 나사산(41)에 대응되는 암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조절 너트(43)의 회전에 의해 상기 고정핀(44)이 상하측으로 이동 및 고정되어 상부 강관(30)의 길이가 조절되고, 상기 고정핀(44)이 상기 조절 너트(43)의 상면에 지지되어 상부 강관(30)이 하측으로 낙하하지 않도록 하부 강관(40)과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넓은 작업공간 확보가 가능한 확장형 동바리.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강관(40)은,
상기 하부 강관(40)이 수직으로 세워지도록 하단에 하부 받침판(45)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넓은 작업공간 확보가 가능한 확장형 동바리.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강관(40)은,
상기 상부 강관(30)의 직경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넓은 작업공간 확보가 가능한 확장형 동바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17758A KR102191959B1 (ko) | 2019-02-15 | 2019-02-15 | 넓은 작업공간 확보가 가능한 확장형 동바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17758A KR102191959B1 (ko) | 2019-02-15 | 2019-02-15 | 넓은 작업공간 확보가 가능한 확장형 동바리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99754A true KR20200099754A (ko) | 2020-08-25 |
KR102191959B1 KR102191959B1 (ko) | 2020-12-16 |
Family
ID=722421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17758A KR102191959B1 (ko) | 2019-02-15 | 2019-02-15 | 넓은 작업공간 확보가 가능한 확장형 동바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91959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4961237A (zh) * | 2022-06-23 | 2022-08-30 | 中建八局第一建设有限公司 | 一种建筑施工用固顶支撑框架及其安装方法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670248B1 (ko) | 2022-04-15 | 2024-05-28 | 현대엔지니어링 주식회사 | 동바리 간격 조절용 추가 멍에재 |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293002A (ja) * | 1994-04-22 | 1995-11-07 | Mitsuo Sasaki | 昇降式移動組立型枠機 |
KR0152385B1 (ko) * | 1995-08-31 | 1998-10-15 | 김재연 | 건축용 슬라브 폼 |
KR0162033B1 (ko) * | 1995-09-12 | 1998-12-15 | 김재연 | 건축용 슬라브 폼 지지장치 |
KR101705748B1 (ko) | 2016-05-19 | 2017-02-13 | 주식회사 스틸코리아 | 파이프 서포트 |
KR20180107401A (ko) * | 2017-03-20 | 2018-10-02 | 백희정 | 프롭헤드가 구비된 서포터 및 그를 이용한 시공방법 |
KR200488131Y1 (ko) * | 2018-07-11 | 2018-12-18 | 조규현 | 자동 조심형 슬리브를 구비하는 파이프 서포트 |
KR101939311B1 (ko) | 2018-05-30 | 2019-01-16 | 주식회사 바탕건축사사무소 | 건축용 동바리 |
-
2019
- 2019-02-15 KR KR1020190017758A patent/KR102191959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293002A (ja) * | 1994-04-22 | 1995-11-07 | Mitsuo Sasaki | 昇降式移動組立型枠機 |
KR0152385B1 (ko) * | 1995-08-31 | 1998-10-15 | 김재연 | 건축용 슬라브 폼 |
KR0162033B1 (ko) * | 1995-09-12 | 1998-12-15 | 김재연 | 건축용 슬라브 폼 지지장치 |
KR101705748B1 (ko) | 2016-05-19 | 2017-02-13 | 주식회사 스틸코리아 | 파이프 서포트 |
KR20180107401A (ko) * | 2017-03-20 | 2018-10-02 | 백희정 | 프롭헤드가 구비된 서포터 및 그를 이용한 시공방법 |
KR101939311B1 (ko) | 2018-05-30 | 2019-01-16 | 주식회사 바탕건축사사무소 | 건축용 동바리 |
KR200488131Y1 (ko) * | 2018-07-11 | 2018-12-18 | 조규현 | 자동 조심형 슬리브를 구비하는 파이프 서포트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4961237A (zh) * | 2022-06-23 | 2022-08-30 | 中建八局第一建设有限公司 | 一种建筑施工用固顶支撑框架及其安装方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191959B1 (ko) | 2020-12-1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191959B1 (ko) | 넓은 작업공간 확보가 가능한 확장형 동바리 | |
US3991964A (en) | Self-locking device for telescopic props | |
KR200425807Y1 (ko) | 인양형 갱폼 | |
EP0389256A1 (en) | Jacks for building supports | |
CN110094049A (zh) | 一种建筑工程快速早拆支撑 | |
KR200394607Y1 (ko) | 거푸집 수평 조절장치 | |
KR101705748B1 (ko) | 파이프 서포트 | |
KR102497770B1 (ko) | 시스템 서포트용 유 헤드 잭 | |
KR20080097735A (ko) | 거푸집 받침용 샤프트 | |
KR100641412B1 (ko) | 엘리베이터 하우징 내부거푸집 시공구조 | |
KR102069702B1 (ko) | 건물 벽체 공사용 클라이밍 장치 | |
GB2533142A (en) | Hook arrangement | |
KR20060037137A (ko) | 건축용 서포트의 간격유지장치 | |
KR20210002045U (ko) | 건축용 가설 지지대 | |
CN108915283A (zh) | 一种建筑施工用高空作业安全围栏 | |
KR102252215B1 (ko) | 슬라브 패널 지지체용 드롭 다운장치 | |
KR102250673B1 (ko) | 건축용 외장패널 수평조절장치 및 설치방법 | |
JP6497655B2 (ja) | クレーン設置構造体 | |
GB2533141A (en) | Hydraulic lifting arrangement | |
KR102701599B1 (ko) | 베이스 잭 | |
KR101997352B1 (ko) | 동작 소음이 감소되는 동바리 | |
KR200222302Y1 (ko) | 콘크리트 거푸집 지주 조립체 | |
JP5914175B2 (ja) | 解体防護部材と解体防護工法 | |
KR102322705B1 (ko) | 갱폼 안전 인양장치 | |
KR100705608B1 (ko) | 슬래브거푸집의 조기탈형이 가능한 시스템동바리의가변지지재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