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99451A - 공구가방 - Google Patents

공구가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99451A
KR20200099451A KR1020190025103A KR20190025103A KR20200099451A KR 20200099451 A KR20200099451 A KR 20200099451A KR 1020190025103 A KR1020190025103 A KR 1020190025103A KR 20190025103 A KR20190025103 A KR 20190025103A KR 20200099451 A KR20200099451 A KR 202000994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l bag
filling members
housings
tool
ope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51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인호
고명찬
Original Assignee
문인호
주식회사 테크니카
고명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인호, 주식회사 테크니카, 고명찬 filed Critical 문인호
Publication of KR202000994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945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HWORKSHOP EQUIPMENT, e.g. FOR MARKING-OUT WORK; STORAGE MEANS FOR WORKSHOPS
    • B25H3/00Storage means or arrangements for workshops facilitating access to, or handling of, work tools or instruments
    • B25H3/02Box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05Hing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2Interior fittings; Means, e.g. inserts, for holding and packing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30Straps; Ba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공구가방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구가방은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면이 개구되며, 내부에 제1 수납공간이 형성되는 제1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에 대응하여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면이 개구되고, 일측이 적어도 하나의 힌지를 통해 상기 제1 하우징에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며, 내부에 제2 수납공간이 형성되는 제2 하우징; 및 상기 제1, 및 제2 하우징의 개구된 각 일면을 통하여 상기 제1, 및 제2 수납공간에 각각 삽입되며, 투입된 공구를 가압하면 상기 공구의 외측 둘레를 일정부분 감싸도록 변형되면서 상기 제1, 및 제2 수납공간의 내부에서 상기 공구들을 안착 및 고정시키는 제1, 및 제2 충전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공구가방{TOOL BAG}
본 발명은 공구가방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내부에 다양한 공구들의 형상 및 크기에 관계없이 안정적으로 수납 및 안착시키고, 공구가방의 이동 시에는 수납 및 안착된 공구들이 내부에서 이탈 및 유동되는 것을 차단하여 공구들 간의 접촉으로 인한 파손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공구가방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구가방은 드라이버, 펜치, 인두 또는 렌치 등과 같은 다양한 공구를 수용하여 보관하거나, 수용된 공구들을 사용자가 쉽게 운반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러한 공구가방은 알루미늄 등의 금속, 또는 합성수지 피혁 등의 외피로 구성된 딱딱한 재질의 하드케이스로서, 내부에 수용공간이 각각 형성되어 일측에 구비된 하나 이상의 힌지에 의해 회동 개폐되도록 상호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 제1, 및 제2 하우징을 포함하며, 필요에 따라 손잡이 또는 어깨걸이, 및 잠금부재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공구가방은 각 하우징의 수용공간에 수납되는 공구들이 고정되지 않는 구조로 형성되는 바, 운반 또는 사용 시에 수납된 공구들이 흔들림에 의해 유동되면서 소음을 유발하거나, 각각의 공구들이 서로 접촉되면서 충격에 의해 공구들이 손상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방지하고자 종래에는 특정 공구를 위한 전용 케이스를 수용공간에 구비하여 공구를 고정할 수 있었지만, 이 경우, 다양한 형태의 공구를 수납하지 못하여 공구가방을 범용으로 사용하기 어려운 문제점도 내포하고 있다.
이에, 다양한 공구들을 범용으로 쉽고 간편하게 수납하고, 내부에 수납된 공구들을 안정적으로 고정하여 공구가방의 운반 시에 공구들의 흔들림 및 유동을 차단하여 공구들이 충격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기술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 배경기술 부분에 기재된 사항은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기 위하여 작성된 것으로서,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 기술이 아닌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내부에 다양한 공구들의 형상 및 크기에 관계없이 안정적으로 수납 및 안착시키고, 공구가방의 이동 시에는 수납 및 안착된 공구들이 내부에서 이탈 및 유동되는 것을 차단하여 공구들 간의 접촉으로 인한 파손발생을 방지하도록 하는 공구가방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구가방은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면이 개구되며, 내부에 제1 수납공간이 형성되는 제1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에 대응하여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면이 개구되고, 일측이 적어도 하나의 힌지를 통해 상기 제1 하우징에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며, 내부에 제2 수납공간이 형성되는 제2 하우징; 및 상기 제1, 및 제2 하우징의 개구된 각 일면을 통하여 상기 제1, 및 제2 수납공간에 각각 삽입되며, 투입된 공구를 가압하면 상기 공구의 외측 둘레를 일정부분 감싸도록 변형되면서 상기 제1, 및 제2 수납공간의 내부에서 상기 공구들을 안착 및 고정시키는 제1, 및 제2 충전부재;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충전부재는 상기 제1, 및 제2 수납공간의 내주면에 대응하는 외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공구에 가해지는 가압력에 의해 변형되도록 실리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충전부재에는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변형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변형공간은 상기 제1, 및 제2 충전부재에 공구가 가압될 경우, 상기 제1, 및 제2 충전부재가 상기 제1, 및 제2 수납공간으로부터 외부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변형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충전부재에는 상기 제1, 및 제2 하우징의 개구된 일면에 대응하는 각각의 일면에 돌기와 홈이 규칙 또는 불규칙적으로 반복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기들과 상기 홈들은 상기 제1, 및 제2 충전부재에 공구가 가압될 경우, 상기 제1, 및 제2 충전부재가 상기 제1, 및 제2 수납공간으로부터 외부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변형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충전부재는 상기 제1, 및 제2 수납공간의 깊이에 대응하여 서로 다른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하우징에는 개구된 각각의 일면에 개폐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제1, 및 제2 수납공간에 각각 수납된 상기 공구들이 상기 제1, 및 제2 충전부재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각각 장착되는 제1, 및 제2 고정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고정유닛은 상기 제1, 및 제2 수납공간의 각 내측면에 외측면이 각각 개폐 가능하게 압입되는 사각형상의 제1, 및 제2 고정 플레이트; 및 상기 제1, 및 제2 충전부재를 향하는 상기 제1, 및 제2 고정 플레이트의 각 일면에 각각 장착되는 제1, 및 제2 지지부재;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고정 플레이트에는 상기 힌지에 대응하는 일측에 각각 적어도 하나의 연결 힌지가 각각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고정 플레이트는 상기 연결 힌지를 통하여 상기 제1, 및 제2 하우징에 각각 개폐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고정 플레이트의 타면에는 상기 연결 힌지에 대향하는 타측에 제1, 및 제2 개폐고리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지지부재는 그 재질이 스펀지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 충전부재에 대응하는 일면에 다수개의 지지돌기들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하우징에는 개구된 각각의 일면에 제1, 및 제2 고정밴드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고정밴드는 각각 한 쌍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 하우징의 개구된 일면에서 상기 제1, 및 제2 하우징의 길이방향 중앙을 기준으로 일측 2개의 모서리부와 타측 2개의 모서리부에 각각의 일단과 타단이 연결되며, 상기 제1, 및 제2 수납공간의 중앙에서 연결후크를 통해 선택적으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하우징은 상기 제1, 및 제2 충전부재에 안착된 상기 공구들에 외부로부터 발생된 충격력이 최소로 전달되도록 경성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구가방에 의하면, 내부에 다양한 공구들의 형상 및 크기에 관계없이 안정적으로 수납 및 안착시키고, 공구가방의 이동 시에는 수납 및 안착된 공구들이 내부에서 이탈 및 유동되는 것을 차단하여 공구들 간의 접촉으로 인한 파손발생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내부에 충전부재와 함께 공구의 안정적인 고정과 편리한 수납을 위하여 별도의 고정유닛을 구비함으로써, 공구들의 수납이 용이해지고, 공구가방을 열고 닫을 경우, 공구들의 자중에 의해 충전부재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여 전체적인 상품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구성을 단순화하고 제조가공의 효율성을 도모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각 구성요소들을 분리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유지보수성 향상 및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구가방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구가방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구가방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B-B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구가방에 적용되는 고정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구가방에 적용되는 충전부재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 부분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그리고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유닛", "...수단", "...부", "...부재"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하는 포괄적인 구성의 단위를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구가방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구가방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구가방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3의 B-B 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구가방에 적용되는 고정유닛의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구가방(1)은 경질의 하드 케이스 내부에 다양한 공구들을 수납하는 동시에, 수납된 공구들이 유동되지 않도록 안착시킴으로써, 공구가방(1)의 이동 시에는 수납 및 안착된 공구들이 내부에서 이탈 및 유동되는 것을 차단하여 공구들 간의 접촉으로 인한 파손발생을 방지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구가방(1)은, 도 1 내지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하우징(10), 제2 하우징(20), 제1 충전부재(30), 및 제2 충전부재(40)를 포함한다.
먼저, 상기 제1 하우징(10)은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면이 개구되며, 내부에 제1 수납공간(11)이 형성된다.
상기 제2 하우징(20)은 상기 제1 하우징(10)에 대응하여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면이 개구된다. 이러한 제2 하우징(20)의 일측은 적어도 하나의 힌지(H)를 통해 상기 제1 하우징(10)에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며, 내부에 제2 수납공간(21)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상기 제1, 및 제2 하우징(10, 20) 중, 어느 하나에는 필요에 따라 손잡이(3), 어깨걸이(미도시), 잠금부재(5)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및 제2 충전부재(30, 40)는 상기 제1, 및 제2 하우징(10, 20)의 개구된 각 일면을 통하여 상기 제1, 및 제2 수납공간(11, 21)에 각각 삽입된다.
이러한 제1, 및 제2 충전부재(30, 40)는 투입된 공구들을 가압하면 상기 공구의 외측 둘레를 일정부분 감싸도록 변형되면서 상기 제1, 및 제2 수납공간(11, 21)의 내부에서 상기 공구들을 안착 및 고정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및 제2 충전부재(30, 40)는 상기 제1, 및 제2 수납공간(11, 21)의 내주면에 대응하는 외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공구에 가해지는 가압력에 의해 변형되도록 실리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및 제2 충전부재(30, 40)는 공구들을 수용하기 위해 유연한 재질로 형성되되, 빈번한 사용에도 그 형상을 유지하고, 충분한 압착력과 복원력을 갖는 실리콘 재질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상기 제1, 및 제2 충전부재(30, 40)는 상기 제1, 및 제2 하우징(10, 20)에 형성된 상기 제1, 및 제2 수납공간(11, 21)에 삽입된 상태로 고정되도록 그 외형이 각각 상기 제1, 및 제2 수납공간(11, 21)의 내주면 형상과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및 제2 충전부재(30, 40)는 상기 제1, 및 제2 수납공간(11, 21)에 별도의 접착제를 통해 고정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및 제2 충전부재(30, 40)에는, 도 4 내지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변형공간(S)이 형성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및 제2 충전부재(30, 40)의 내부에 규칙 또는 불규칙적으로 다수개의 변형공간(S)이 형성된다.
상기 변형공간(S)은 상기 제1, 및 제2 충전부재(30, 40)에 공구들이 각각 가압될 경우, 상기 제1, 및 제2 충전부재(30, 40)가 상기 제1, 및 제2 수납공간(11, 21)으로부터 외부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변형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 또는 제2 충전부재(30, 40)에 각각 안착된 공구들에 사용자의 가압력이 가해지면, 상기 제1, 또는 제2 충전부재(30, 40)는 공구가 위치된 부분이 함몰되고, 공구가 위치되지 않는 부분이 돌출되면서 공구들의 외측 둘레를 일정부분 감싸도록 변형됨으로써, 공구들이 좌우 또는 상하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변형공간(S)들은 그 크기가 작아지면서, 공구들에 의해 함몰되는 상기 제1, 및 제2 충전부재(30, 40)들을 쉽게 변형시키는 동시에, 상기 제1, 및 제2 수납공간(11, 21)의 외부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는 반대로, 사용자가 상기 제1, 및 제2 충전부재(30, 40)에 안착된 공구들을 빼낼 경우, 상기 변형공간(S)들은 초기 상태로 복원됨으로써, 상기 제1, 및 제2 충전부재(30, 40)들이 신속하게 초기 형상으로 복원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상기 제1, 및 제2 충전부재(30, 40)는 상기 제1, 및 제2 수납공간(11, 21)의 깊이, 또는 수납될 공구의 크기에 따라 서로 다른 두께로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및 제2 충전부재(30, 40)는 상기 제1, 및 제2 수납공간(11, 21)의 내형과는 동일한 외형을 가지면서, 다양한 두께를 갖도록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제1, 및 제2 수납공간(11, 21)에 수납될 공구의 크기를 고려하여 알맞은 두께를 갖는 상기 제1, 및 제2 충전부재(30, 40)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다양한 두께의 제1, 및 제2 충전부재(30, 40)를 구비하여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제1, 및 제2 수납공간(11, 21)에 적용함으로써, 공구의 크기 및 형상에 관계없이 범용으로 상기 공구가방(1)을 사용할 수 있는 유리함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공구가방(1)의 외형을 형성하는 상기 제1, 및 제2 하우징(10, 20)은 상기 제1, 및 제2 수납공간(11, 21)의 내부에서 상기 제1, 및 제2 충전부재(30, 40)에 안착된 공구들에 외부로부터 발생된 충격력이 최소로 전달되도록 비교적 딱딱한 성질을 갖는 경성의 재질인 금속, 또는 합성수지 피혁 등의 외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1, 및 제2 충전부재(130, 140)를 첨부한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구가방에 적용되는 충전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1, 및 제2 충전부재(130, 140)에는 상기 제1, 및 제2 하우징(10, 20)의 개구된 일면에 대응하는 각각의 일면에 돌기(P)와 홈(G)이 규칙 또는 불규칙적으로 반복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돌기(P)들과 상기 홈(G)들은 상기 제1, 및 제2 충전부재(130, 140)에 공구들이 각각 가압될 경우, 상기 제1, 및 제2 충전부재(130, 140)가 상기 제1, 및 제2 수납공간(11, 21)으로부터 외부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변형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 또는 제2 충전부재(130, 140)에 각각 안착된 공구들에 사용자의 가압력이 가해지면, 상기 제1, 또는 제2 충전부재(130, 140)는 공구가 위치된 부분이 함몰되고, 공구가 위치되지 않는 부분이 돌출되면서 공구들의 외측 둘레를 일정부분 감싸도록 변형됨으로써, 공구들이 좌우 또는 상하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돌기(P)들과 상기 홈(G)들은 상기 제1, 및 제2 충전부재(30, 40)의 일면에서 함몰 또는 돌출되면서, 공구들에 의해 함몰되는 상기 제1, 및 제2 충전부재(30, 40)들을 쉽게 변형시키는 동시에, 상기 제1, 및 제2 수납공간(11, 21)의 외부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는 반대로, 사용자가 상기 제1, 및 제2 충전부재(30, 40)에 안착된 공구들을 빼낼 경우, 상기 돌기(P)들과 상기 홈(G)들이 초기 상태로 복원됨으로써, 상기 제1, 및 제2 충전부재(30, 40)들이 신속하게 초기 형상으로 복원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및 제2 하우징(10, 20)에는 개구된 각각의 일면에 개폐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제1, 및 제2 수납공간(11, 21)에 각각 수납된 상기 공구들이 상기 제1, 및 제2 충전부재(30, 4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각각 장착되는 제1, 및 제2 고정유닛(50, 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고정유닛(50, 60)은, 도 3과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고정 플레이트(51, 61)와, 제1, 및 제2 지지부재(53, 63)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상기 제1, 및 제2 고정 플레이트(51, 61)는 상기 제1, 및 제2 수납공간(11, 21)의 내주면과 동일한 사각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1, 및 제2 수납공간(11, 21)의 각 내측면에 외측면이 각각 개폐 가능하게 압입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및 제2 고정 플레이트(51, 61)에는 상기 힌지에 대응하는 일측에 각각 적어도 하나의 연결 힌지(55, 65)가 각각 장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고정 플레이트(51, 61)는 상기 연결 힌지(55, 65)들을 통하여 상기 제1, 및 제2 하우징(10, 20)에 각각 개폐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상기 제1, 및 제2 고정 플레이트(51, 61)는 상기 제1, 및 제2 충전부재(30, 40)에 각각 안착된 공구들이 상기 제1 및 제2 충전부재(30, 40)의 복원력에 의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제1, 및 제2 수납공간(11, 21)을 각각 구획하여 보다 효율적인 공구의 수납을 도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및 제2 하우징(10, 20)에는 상기 연결 힌지(55, 65)에 대응하여 상기 연결 힌지(55, 65)들을 고정하기 위한 별도의 고정홈(13, 23)들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고정 플레이트(50, 60)의 타면에는 상기 연결 힌지(55, 65)에 대향하는 타측에 제1, 및 제2 개폐고리(57, 67)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상기 제1 개폐고리(57) 또는 상기 제2 개폐고리(67)를 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상기 연결 힌지(57, 67)를 중심으로 상기 제1 고정 플레이트(51), 또는 및 제2 고정 플레이트(61)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제1 수납공간(11), 또는 상기 제2 수납공간(21)을 손쉽게 개방 또는 폐쇄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지지부재(53, 63)는 상기 제1, 및 제2 충전부재(30, 40)를 향하는 상기 제1, 및 제2 고정 플레이트(51, 61)의 각 일면에 각각 장착된다.
여기서, 상기 제1, 및 제2 지지부재(53, 63)는 그 재질이 스펀지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 충전부재(30, 40)에 대응하는 일면에 다수개의 지지돌기(59, 69)들이 규칙 또는 불규칙적으로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돌기(59, 69)들은 상기 제1, 및 제2 충전부재(30, 40)와의 사이에 안착된 공구들과 접촉될 경우, 신속하게 변형되면서 상기 제1, 및 제2 지지부재(53, 63)들과 공구들의 접촉면적을 증가시키는 동시에, 공구들에 접촉된 상기 제1, 및 제2 지지부재(53, 63)들의 부피가 증가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지지부재(53, 63)는 공구들과 안정적으로 접촉되면서 부피의 증가가 최소화됨으로써, 상기 제1, 및 제2 충전부재(30, 40)로부터 일정부분 돌출될 수 있는 공구들에 의해 발생된 가압력이 상기 제1, 및 제2 고정 플레이트(51, 61)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상기 제1, 및 제2 지지부재(53, 63)들은 상기 제1, 및 제2 충전부재(30, 40)에 안착된 공구들이 상기 제1, 및 제2 고정 플레이트(51, 61)에 직접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제1, 및 제2 충전부재(30, 40)에 각각 안착된 공구들이 상기 제1, 및 제2 충전부재(30, 40)의 복원력에 의해 이탈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및 제2 고정유닛(50, 60)이 상기 제1, 및 제2 하우징(10, 20)에 각각 장착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고정유닛(50, 60) 중, 하나만 상기 제1 하우징(10), 또는 상기 제2 하우징(20)에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및 제2 하우징(10, 20)에는 개구된 각각의 일면에 제1, 및 제2 고정밴드(70, 80)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고정밴드(70, 80)는 탄성력을 가지며, 각각 한 쌍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제1 고정밴드(70)는 상기 제1 하우징(10)의 개구된 일면에서 상기 제1 하우징(10)의 길이방향 중앙을 기준으로 일측 2개의 모서리부와 타측 2개의 모서리부에 각각의 일단과 타단이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장착되는 상기 제1 고정밴드(70)는 상기 제1 수납공간(11)의 각 중앙에서 연결후크(90)를 통해 선택적으로 각각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고정밴드(80)는 상기 제2 하우징(20)의 개구된 일면에서 상기 제2 하우징(20)의 길이방향 중앙을 기준으로 일측 2개의 모서리부와 타측 2개의 모서리부에 각각의 일단과 타단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 고정밴드(80)도 상기 제1 고정밴드(70)와 동일하게 상기 제2 수납공간(21)의 각 중앙에서 상기 연결후크(90)를 통해 선택적으로 각각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및 제2 고정밴드(70, 80)는 그 재질이 탄성력을 갖는 소재, 예를 들어 고무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연결후크(90)는 상호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구성된 고정부(91)와 후크부(9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91)와 상기 후크부(93)는 한 쌍으로 각각 분리 구성된 상기 제1, 및 제2 고정밴드(70, 80)에 각각 장착된다.
이에 따라, 상기 연결후크(90)는 분리된 한 쌍의 제1 고정밴드(70)와, 분리된 한 쌍의 제2 고정밴드(80)를 상기 고정부(91)와 상기 후크부(93)의 결합을 통해 각각 연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각각 한 쌍으로 구성된 상기 제1, 및 제2 고정밴드(70, 80)는 상기 제1, 및 제2 하우징(10, 20)의 개구된 일면에서 상기 연결후크(90)를 통해 X 자 형상으로 상호 결합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및 제2 고정밴드(70, 80)는 개구된 상기 제1, 및 제2 하우징(10, 20)에 장착되어 상기 제1, 및 제2 수납공간(11, 21)의 중앙에서 상기 연결후크(90)를 통해 각각 결합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상기 제1, 및 제2 고정유닛(50, 60)이 상기 제1, 및 제2 수납공간(11, 21)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및 제2 고정밴드(70, 80)가 상기 제1, 및 제2 고정유닛(50, 6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적용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상기 제1, 및 제2 고정유닛(50, 60)을 적용하지 않거나, 하나만 적용할 경우에는 상기 제1, 또는 제2 충전부재(30, 40)에 안착된 공구들이 상기 제1, 또는 제2 충전부재(30, 4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구가방(1)을 적용하면, 내부에 다양한 공구들의 형상 및 크기에 관계없이 안정적으로 수납 및 안착시키고, 상기 공구가방(1)의 이동 시에는 수납 및 안착된 공구들이 내부에서 이탈 및 유동되는 것을 차단하여 공구들 간의 접촉으로 인한 파손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내부에 제1, 및 제2 충전부재(30, 40)와 함께 공구의 안정적인 고정과 편리한 수납을 위하여 별도의 상기 제1, 및 제2 고정유닛(50, 60)과, 상기 제1, 및 제2 고정밴드(70, 80)를 구비함으로써, 공구들의 수납이 용이해지고, 공구가방(1)을 열고 닫을 경우, 공구들의 자중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 충전부재(30, 4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여 전체적인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구성을 단순화하고 제조가공의 효율성을 도모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각 구성요소들을 분리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유지보수성 향상 및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 : 공구가방
10, 20 : 제1, 및 제2 하우징
11, 21 : 제1, 및 제2 수납공간
30, 40 : 제1, 및 제2 충전부재
50, 60 : 제1, 및 제2 고정유닛
51, 61 : 제1, 및 제2 고정 플레이트
53, 63 : 제1, 및 제2 지지부재
55, 65 : 연결 힌지
57, 67 : 제1, 및 제2 개폐고리
59, 69 : 지지돌기
70, 80 : 제1, 및 제2 고정밴드
90 : 연결후크
P : 돌기
G : 홈
S : 변형공간

Claims (16)

  1.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면이 개구되며, 내부에 제1 수납공간이 형성되는 제1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에 대응하여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면이 개구되고, 일측이 적어도 하나의 힌지를 통해 상기 제1 하우징에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며, 내부에 제2 수납공간이 형성되는 제2 하우징; 및
    상기 제1, 및 제2 하우징의 개구된 각 일면을 통하여 상기 제1, 및 제2 수납공간에 각각 삽입되며, 투입된 공구를 가압하면 상기 공구의 외측 둘레를 일정부분 감싸도록 변형되면서 상기 제1, 및 제2 수납공간의 내부에서 상기 공구들을 안착 및 고정시키는 제1, 및 제2 충전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구가방.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충전부재는
    상기 제1, 및 제2 수납공간의 내주면에 대응하는 외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공구에 가해지는 가압력에 의해 변형되도록 실리콘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구가방.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충전부재에는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변형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구가방.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공간은
    상기 제1, 및 제2 충전부재에 공구가 가압될 경우, 상기 제1, 및 제2 충전부재가 상기 제1, 및 제2 수납공간으로부터 외부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변형되도록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구가방.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충전부재에는
    상기 제1, 및 제2 하우징의 개구된 일면에 대응하는 각각의 일면에 돌기와 홈이 규칙 또는 불규칙적으로 반복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구가방.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들과 상기 홈들은
    상기 제1, 및 제2 충전부재에 공구가 가압될 경우, 상기 제1, 및 제2 충전부재가 상기 제1, 및 제2 수납공간으로부터 외부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변형되도록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구가방.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충전부재는
    상기 제1, 및 제2 수납공간의 깊이에 대응하여 서로 다른 두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구가방.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하우징에는
    개구된 각각의 일면에 개폐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제1, 및 제2 수납공간에 각각 수납된 상기 공구들이 상기 제1, 및 제2 충전부재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각각 장착되는 제1, 및 제2 고정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구가방.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고정유닛은
    상기 제1, 및 제2 수납공간의 각 내측면에 외측면이 각각 개폐 가능하게 압입되는 사각형상의 제1, 및 제2 고정 플레이트; 및
    상기 제1, 및 제2 충전부재를 향하는 상기 제1, 및 제2 고정 플레이트의 각 일면에 각각 장착되는 제1, 및 제2 지지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구가방.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고정 플레이트에는
    상기 힌지에 대응하는 일측에 각각 적어도 하나의 연결 힌지가 각각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구가방.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고정 플레이트는
    상기 연결 힌지를 통하여 상기 제1, 및 제2 하우징에 각각 개폐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구가방.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고정 플레이트의 타면에는
    상기 연결 힌지에 대향하는 타측에 제1, 및 제2 개폐고리가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구가방.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지지부재는
    그 재질이 스펀지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 충전부재에 대응하는 일면에 다수개의 지지돌기들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구가방.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하우징에는
    개구된 각각의 일면에 제1, 및 제2 고정밴드가 각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구가방.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고정밴드는
    각각 한 쌍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 하우징의 개구된 일면에서 상기 제1, 및 제2 하우징의 길이방향 중앙을 기준으로 일측 2개의 모서리부와 타측 2개의 모서리부에 각각의 일단과 타단이 연결되며, 상기 제1, 및 제2 수납공간의 중앙에서 연결후크를 통해 선택적으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구가방.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하우징은
    상기 제1, 및 제2 충전부재에 안착된 상기 공구들에 외부로부터 발생된 충격력이 최소로 전달되도록 경성의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구가방.
KR1020190025103A 2019-02-14 2019-03-05 공구가방 KR2020009945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7035 2019-02-14
KR20190017035 2019-02-1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9451A true KR20200099451A (ko) 2020-08-24

Family

ID=722353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5103A KR20200099451A (ko) 2019-02-14 2019-03-05 공구가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9945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5239Y1 (ko) * 2020-12-17 2022-04-08 주식회사 한국가스기술공사 Cctv 진단 도구 어셈블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5239Y1 (ko) * 2020-12-17 2022-04-08 주식회사 한국가스기술공사 Cctv 진단 도구 어셈블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54714B2 (en) Waterproof container having a lock unit
CA2894249C (en) Toolbox
US8944476B1 (en) Latch assemblies and transportation containers using the same
EP3484133B1 (en) Mobile terminal holder
KR20200099451A (ko) 공구가방
US5676253A (en) Combination-type tool box
TWM507697U (zh) 可伸縮之把手結構、把手裝置及其包裝載具
US10376029B2 (en) Luggage
JP3219690U (ja) 弁当容器
KR101931778B1 (ko) 착탈 가능형태의 바퀴수단을 갖는 여행용 가방
KR101464336B1 (ko) 래칫부재가 마련된 렌치
US10138032B2 (en) Fastener assembly
KR20110125623A (ko) 커넥터블 스탬프
TWI510327B (zh) 裝夾裝置
US9050841B1 (en) Portable stamp with an easily removable ink part
JP6830643B2 (ja) 収納ケース
JP4707094B2 (ja) 化粧料容器
KR200485180Y1 (ko) 이동통신 단말기용 보호케이스
JP6987694B2 (ja) コンパクト容器
US20030151269A1 (en) Cushioned gripping device for a hand tool
CN111417814A (zh) 锁定机构
KR101903422B1 (ko) 다용도 수납함
JP2003180443A (ja) コンパクト容器
TWI688351B (zh) 小型容器
JP2016209119A (ja) コンパクト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