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4336B1 - 래칫부재가 마련된 렌치 - Google Patents

래칫부재가 마련된 렌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4336B1
KR101464336B1 KR1020090061205A KR20090061205A KR101464336B1 KR 101464336 B1 KR101464336 B1 KR 101464336B1 KR 1020090061205 A KR1020090061205 A KR 1020090061205A KR 20090061205 A KR20090061205 A KR 20090061205A KR 101464336 B1 KR101464336 B1 KR 1014643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tchet
ratchet member
head
entire
wren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12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3765A (ko
Inventor
남덕현
Original Assignee
더블유스테이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더블유스테이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더블유스테이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612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4336B1/ko
Priority to US12/577,221 priority patent/US20110000343A1/en
Priority to PCT/KR2010/004372 priority patent/WO2011004997A2/ko
Publication of KR201100037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37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43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43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3/00Spanners; Wrenches
    • B25B13/02Spanners; Wrenches with rigid jaws
    • B25B13/08Spanners; Wrenches with rigid jaws of open jaw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3/00Spanners; Wrenches
    • B25B13/46Spanners; Wrenches of the ratchet type, for providing a free return stroke of the hand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Spanners, Wrenches, And Screw Drivers And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핸들과, 상기 핸들과 결합되며 피회전체를 수용 및 접촉하는 헤드로 이루어진 렌치에 있어서, 상기 헤드는, 상기 핸들의 일단과 연결된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일측으로부터 연장형성되며 걸림부가 마련되는 제1조 및 상기 베이스부의 타측으로부터 연장형성되며 상기 제1조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제2조를 포함하되, 상기 제1조에는, 상기 걸림부와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헤드의 내측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며, 돌출된 면이 상기 헤드 내에 수용되는 피회전체와 접촉되는 제1래칫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제2조에는, 일부분이 상기 헤드 내에서 위치 이동되도록 돌출되게 구비되는 제2래칫부재; 및 상기 제2래칫부재의 일부분을 상기 헤드 내에서 돌출되게 이동하도록 탄성가압하는 제2탄성부재가 결합되되, 상기 헤드가 일방향으로 회전시에는 상기 걸림부와 상기 제2래칫부재에 상기 피회전체가 구속되어 상기 피회전체가 상기 헤드와 함께 회전하고, 상기 헤드가 상기 일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한 후에 다시 일방향으로 재회전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1래칫부재와 상기 제2래칫부재에 의해 상기 피회전체가 구속되어 상기 피회전체가 상기 헤드와 함게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칫부재가 마련된 렌치를 제공한다.
따라서, 제1조와 제2조에 각각 구비되는 제1래칫부재와 제2래칫부재에 의해 피회전체의 죄임동작을 수행할 수 있어 협소한 작업공간에서도 피회전체의 죄임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래칫부재, 렌치, 걸림부, 제1조, 제2조

Description

래칫부재가 마련된 렌치{Wrench with ratchet}
본 발명은 래칫부재가 마련된 렌치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회전각을 줄일 수 있는 래칫부재가 마련된 렌치에 대한 것이다.
렌치는 기계 부품 등의 조립이나 분해시에 흔히 사용되는 볼트나 너트 등을 조이거나 푸는 공구로, 스패너(spanner)라고도 하며, 그 헤드의 모양에 따라 개구형과 폐구형으로 구분하고, 개구형은 편구형, 양구형으로 구분된다. 구체적으로는 일방향으로 회전시에는 상기 볼트 또는 너트를 조이고, 그 일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에는 그 볼트 또는 너트를 풀게 되는 것이다.
통상의 렌치는 핸들과 헤드를 구비하며, 핸들은 작업자가 파지할 수 있는 바의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헤드는 상기 핸들의 일단에서 확장되어 형성된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양측에서 서로 나란하게 연장되되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된 제1 조와 제2 조를 포함한다.
이러한 렌치는 볼트나 너트 등을 일방향 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조이거나 풀 때, 핸들을 360도로 완전히 회전시킬 충분한 공간이 확보되지 않으면 여러 번의 회전 스트로크가 적용되어야 하고, 각각의 스트로크 이후에는 상기 렌치를 볼트 또는 너트로부터 이탈시켜 스트로크 가능한 최초의 위치에 놓이도록 하고 상기 렌치를 다시 회전시키는 등 번거로운 작업을 수행하였어야 한다.
이와 같이 반복하여 일방향 및 그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스트로크를 하는 과정에서 볼트 또는 너트로부터 렌치를 이탈시키는 번거로움을 해소하고자 래칫가능한 개방단부형 렌치(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6-0035783)가 개발되었다.
도 1에 나타낸 종래의 렌치(1)는 베이스 영역(19)과 연결된 제 1 조(17) 및 제 2 조(18)를 구비하고 있다. 렌치(1)는 제 2 조(18)의 지지면(31)에 평행한 이동 축선을 따르는 슬롯(21, 도 1에서 도시 생략)내에서 미끄럼이동식 후퇴가능한 조 부재(11)를 더 포함한다. 도 1에 있어서 후퇴가능한 조 부재(11)는 후퇴가능한 조 부재(11)가 베이스 영역(19)에 가장 근접한 위치에 있는 상태의 완전 확장 위치로 도시되었다. 커버 플레이트(23)는 제 2 조(18)의 오목부 내에 설치되어, 슬롯(21, 도 1에서는 도시 생략)내의 후퇴가능한 조 부재(11)의 횡방향 이동을 제한한다. 커버 플레이트(23)는 제 2 조(18) 내의 하중지지 구조 부재를 형성하기 위하여 제 2 조(18)에 용접된다.
상기 커버 플레이트(25, 도 1에서 도시 생략)는 제 2 조(18)의 대향 면으로 리세스되어, 커버 플레이트(23)와 동일한 작동을 한다. 도 2는 렌치(1)의 조 단부의 정면도이다. 상기 렌치의 내부에는 볼트가 삽입되어 소정의 죄임동작을 수행가능하게 한다. 구체적인 동작은, 렌치가 일방향으로 회전하면 조 부재는 위치고정됨과 동시에 그 볼트는 제 1 조의 내면 및 조 부재에 의하여 구속됨에 따라서 상기 렌치와 함께 일체로 회전하고, 렌치가 일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조 부재가 이동하여 상기 볼트가 렌치에 대해서 헛돌게 되게 한다. 이후에 상기 렌치를 다시 일방향으로 회전하면 볼트가 상기 제 1 조의 내면 및 조 부재에 의하여 다시 구속됨과 동시에 일체로 회전하게 된다.
이러한 종래기술에 따른 렌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종래기술에 따른 렌치는 볼트의 모서리 부분이 상기 제 1 조의 내면 및 조 부재와 접촉함에 의하여 렌치에 대해서 구속되는데, 일방향으로 회전하여 볼트의 조임동작을 수행한 후에 다음번 구속을 위하여 반대방향으로 렌치를 회전할 때 적어도 다음번 모서리를 지나도록 해야 한다. 즉, 6각 볼트의 경우에 어느 한 모서리가 렌치 내에서 구속된 후에 다음번 구속을 위해서는 적어도 60°(도 2에서 α) 이상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킨 후에 다시 일방향으로 회전시켜야 볼트 죄임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60°의 회전반경은 작업공간이 넓은 경우에는 문제가 되지 않으나 렌치가 동작되는 작업공간이 협소한 경우에는 원할한 죄임동작이 이루어지지 못하게 되는 경우가 있게 되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렌치를 좁게 회전시켜도 볼트 또는 너트 등의 죄임동작을 원할하게 수행한 수 있는 래칫부재가 마련된 렌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핸들과, 상기 핸들과 결합되며 피회전체를 수용 및 접촉하는 헤드로 이루어진 렌치에 있어서, 상기 헤드는, 상기 핸들의 일단과 연결된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일측으로부터 연장형성되며 걸림부가 마련되는 제1조 및 상기 베이스부의 타측으로부터 연장형성되며 상기 제1조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제2조를 포함하되, 상기 제1조에는, 상기 걸림부와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헤드의 내측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며, 돌출된 면이 상기 헤드 내에 수용되는 피회전체와 접촉되는 제1래칫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제2조에는, 일부분이 상기 헤드 내에서 위치 이동되도록 돌출되게 구비되는 제2래칫부재; 및 상기 제2래칫부재의 일부분을 상기 헤드 내에서 돌출되게 이동하도록 탄성가압하는 제2탄성부재가 결합되되, 상기 헤드가 일방향으로 회전시에는 상기 걸림부와 상기 제2래칫부재에 상기 피회전체가 구속되어 상기 피회전체가 상기 헤드와 함께 회전하고, 상기 헤드가 상기 일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한 후에 다시 일방향으로 재회전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1래칫부재와 상기 제2래칫부재에 의해 상기 피회전체가 구속되어 상기 피회전체가 상기 헤드와 함게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칫부재가 마련된 렌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래칫부재가 마련된 렌치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에는 상기 피회전체의 구속을 위한 제1면이 마련될 수 있고, 상기 제1래칫부재에는 상기 피회전체의 구속을 위한 제2면이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제2래칫부재에는 상기 제1면과 상기 제2면에 대하여 각각 평행한 방향으로 놓으지며 상기 피회전체의 구속을 위한 제3면 및 제4면이 마련될 수 있고, 상기 제2면은 상기 제1래칫부재의 일면에서 일측으로 절곡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래칫부재는 일단에 상기 제2면이 구비되며 상기 피회전체와 접촉 가능한 제1래칫몸체와, 상기 제1래칫몸체의 일단과 피벗식으로 결합되며 상기 제1래칫몸체를 수용할 수 있는 제1수용공간이 마련되는 제1래칫하우징과, 상기 제1수용공간의 내부에 배치되고, 일단이 상기 제1래칫하우징과 접촉하고, 타단은 상기 제1래칫몸체와 접촉되며, 상기 제1래칫부재를 상기 제1조 및 헤드 내측에서 위치이동 하도록 탄성가압하는 제1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조의 내측면에는 상기 제1래칫하우징이 수용되는 제1홈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래칫하우징은 상기 제1홈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래칫몸체의 일측에는 걸림턱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1래칫하우징에는 상기 걸림턱에 걸림에 따라 상기 제1래칫몸체의 회전각도를 제한하는 걸림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조에는 일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구멍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2래칫부재는 상기 관통구멍에 삽입되어 일방향으로 이동가능할 수 있으며, 상기 제2탄성부재는 일측이 관통구멍을 폐쇄하는 막음부재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고, 그 타측은 상기 제2래칫부재와 접촉하면서 상기 제2래칫부재를 탄성 가압할 수 있다.
상기 제2조에는 제2홈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2홈에는 내부에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수용공간이 형성되되 그 제2수용공간에 상기 제2래칫부재가 삽입되어 슬라이드 이동가능한 제2래칫하우징이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제2탄성부재는 상기 제2수용공간 내부에 배치되며 일측은 상기 제2래칫하우징과 접촉하고 타측은 상기 제2래칫부재와 접촉하면서 상기 제2래칫부재를 탄성 가압할 수 있다.
상기 제1래칫부재와 제2래칫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는 피회전체가 걸릴 수 있도록 그 피회전체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요철이 형성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른 래칫부재가 마련된 렌치에 의하면, 제1조와 제2조에는 피회전체를 구속하기 위한 구속부분이 적어도 각각 2 부분이 마련되어 있어 피회전체가 최소한의 회전각을 가지면서도 피회전체의 죄임동작을 수행할 수 있어 협소한 작업공간에서도 작업이 이루어지기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제2조에는 하나의 래칫부재로서 제1조의 2개의 구속부분과 대응되어 죄임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구조가 간단해지는 장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래칫부재가 마련된 렌치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도 3의 분리도면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래칫부재가 마련된 렌치(100)는, 핸들(101), 헤드(110)로 구성되며, 상기 헤드(110)는 제1조(120), 제2조(130)를 포함하고, 제1래칫부재(150), 제2래칫부재(170), 제2탄성부재(180)가 마련되고, 제1탄성부재(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핸들(101)은 작업자가 손에 파지할 수 있는 형태를 가지고 있으며 전체적으로 일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바의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핸들(101)은 고경도의 금속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헤드(110)는 주조작업으로 일체로 제작되고 상기 핸들(101)과 일체로 결합되어 있으며, 볼트 또는 너트 등의 피회전체(190)를 수용하고 접촉하는 것이다. 그 헤드(110)는 일측이 개구가 형성된 "C"의 형태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헤드(110)는 제1조(120), 제2조(130) 및 베이스부(140)로 이루어진다.
상기 베이스부(140)는 개구의 타측을 이루고 있는 부분으로서, 핸들(101)의 일단에서 확장되어 형성된 부분이다.
상기 제1조(120) 및 제2조(130)는 상기 베이스부(140)의 양측에서 서로 나란하게 연장되어 형성되되 서로 마주보도록 대향하여 형성된 것이다. 이러한 제1조(120) 및 제2조(130)는 서로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필요에 따라 서로 다른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은 가능하다. 한편, 상기 제1조(120) 및 제2조(130)는 전체적으로 원형 또는 타원형의 형태로 이루어져 있게 된다. 상기 베이스부(140), 제1조(120) 및 제2조(130)의 내측면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공간에 개구를 통하여 삽입된 볼트 또는 너트 등의 피회전체(190)의 머리부가 수용되어 서로 맞물릴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제1조(120)에는 걸림부(121)와 제1홈(122)이 형성된다. 상기 걸림부(121)는 상기 제1조(120)의 단부와 근접한 부분에 형성되며 내측을 향하여 돌출된 형태를 가진다. 이러한 걸림부(121)에는 제1면(121a)이 마련되는데, 제1면(121a)에는 피회전체(190)의 구속을 위해서 형성된 면이다. 구체적으로는 제1면(121a)은 후술하는 제2래칫부재(170)와 함께 피회전체(190)를 구속하기 위하여 그 피회전체(190)와 접촉하는 면으로서, 베이스부(140)를 바라보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홈(122)은 후술되는 제1래칫부재(150) 및 제1탄성부재(160) 등이 함께 삽입되는 부분으로서, 상기 걸림부(121)와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며 제1조(120)의 내측면으로부터 외측면 방향으로 패어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2조(130)에는 그 제2조(130)의 단부로부터 베이스부(140)를 향하는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구멍(131)이 형성된다. 상기 관통구멍(131)의 내주면에는 내측으로 돌출된 걸림턱부(132)가 형성되어 있어 그 내부에 삽입되는 제2래칫부재(170)가 관통구멍(131)으로부터 완전하게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제1래칫부재(150)는, 상기 걸림부(121)와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피회전체(190)의 외주면과 접촉하면서 상기 피회전체(190)를 구속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는 그 제1래칫부재(150)의 일부분이 헤드(110) 내에 수용된 피회전체(190)와 접촉되게 상기 헤드(110)의 내측으로 돌출되게 구비된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제1래칫부재(150)의 돌출된 일부분이 상기 피회전체(190)의 회전반경 내부 및 외부 사이를 위치이동하게 된다. 이때, 피회전체(190)의 회전반경의 내부로 상기 제1래칫부재(150)의 일부분이 위치 이동하는 상기 피회전체(190)의 회전을 막아서 상기 피회전체(190)와 상기 헤드(110)가 동시에 일체로 회전가능하게 한다. 이때 제1래칫부재(150)는 피회전체(190)와의 접촉시 상기 피회전체(190)의 가압력에 의하여 눌려서 위치고정되며 그 상태에서 상기 피회전체(190)를 구속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제1래칫부재(150)에서 상기 피회전체(190)의 구속을 위하여 접촉하는 면을 제2면(151a)이라고 하며, 상기 제2면(151a)은 상기 제1래칫부재(150)의 일면에서 일측으로 절곡되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제1래칫부재(150)와 상기 제1조(120)가 별물로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제1래칫부재(150)와 상기 제1조(120)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래칫부재(150)는 제1래칫몸체(151)와 제1래칫하우징(152)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래칫몸체(151)는 일부분이 상기 피회전체(190)와 접촉되는 부분으로서, 상기 제2면(151a)이 마련된 부분이다.
상기 제1래칫하우징(152)은 상기 제1래칫몸체(151)의 일측과 피벗식으로 결합되어 상기 제1래칫몸체(151)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그 일부분이 상기 피회전체(190)의 회전반경 내부 및 외부 사이를 이동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제1래칫하우징(152)에는 제1수용공간(152a)이 마련되어 있어 상기 회전이동하는 제1래칫몸체(151)가 그 내부로 수용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제1래칫하우징(152)은 상기 제1홈(122)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탄성부재(160)는 상기 제1래칫부재(150)의 일부분이 그 회전반경 내부로 이동할 수 있도록 탄성가압하는 것이다. 이러한 제1탄성부재(160)는, 압축코일 스프링이 사용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판형 스프링 및 기타 탄성소재의 물질이 충전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제1탄성부재(160)는 상기 제1수용공간(152a) 내에 배치되되 일측은 상기 제1래칫하우징(152)과 접촉하고 타측은 상기 제1래칫몸체(151)와 접촉되어 있다.
상기 제2래칫부재(170)는 일부분이 상기 회전반경 내부 및 외부사이에서 위치이동되는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상기 제2조(130)의 관통구멍(131)에 삽입되어 그 내부를 따라서 슬라이드 이동된다. 이러한 제2래칫부재(170)는 전체적으로 사각단면을 가지면 일방향으로 연장된 핀의 형태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2래칫부재(170)는 일부는 제2조(130)의 내부에 삽입되어 있고 일부는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피회전체(190)와 접촉될 수 있다. 이러한 제2래칫부재(170)에는 상기 관통구멍(131)의 내부에 마련된 걸림턱부(132)와 대응되는 래칫걸림부(171)가 마련되며 상기 걸림부가 상기 걸림턱부(132)에 걸림에 따라서 상기 제2래칫부재(170)가 상기 관통구멍(131)으로부터 완전하게 빠져나가는 것이 방지된다.
이러한 제2래칫부재(170)에는 상기 제1면(121a)에 대해서 평행하게 놓이는 제3면(170a)이 형성되고, 상기 제2면(151a)에 대해서 평행하게 놓이는 제4면(170b)이 형성된다. 상기 헤드(110) 내에 수용되는 피회전체(190)는 제1면(121a)과 제3면(170a)에 접촉함에 의하여 헤드(110) 내에서 구속되고, 상기 제2면(151a)과 제4면(170b)에 접촉함에 의하여 상기 헤드(110) 내에 구속되게 된다.
상기 제2탄성부재(180)는 상기 제2래칫부재(170)의 일부분을 그 회전반경의 내부로 이동하도록 탄성가압하는 것으로서, 일측이 관통구멍(131)을 폐쇄하는 막음부재(172)에 의하여 지지되고, 그 타측은 상기 제2래칫부재(170)와 접촉하면서 상기 제2래칫부재(170)를 탄성가압하게 된다. 이러한 제2탄성부재(180)는 압축코일스프링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탄성물질이 충진되어 채워지는 등 다양한 수단이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헤드(110)가 일방향으로 회전시에는 상기 걸림부(121)와 상기 제2래칫부재(170)에 상기 피회전체(190)가 구속되어 그 피회전체(190)가 상기 헤드(110)와 함께 회전하고, 상기 헤드(110)가 상기 일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한 후에 다시 일방향으로 재회전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1래칫부재(150)와 상기 제2래칫부재(170)에 의하여 상기 피회전체(190)가 구속되어 그 피회전체(190)가 상기 헤드(110)와 함께 회전하게 된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래칫부재가 마련된 렌치는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회전체(190)가 걸림부(121)의 제1면(121a)과 제2래칫부재의 제3면(170a)에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헤드(110)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피회전체(190)는 상기 헤드(110)와 함께 일체로 회전하게 된다. 즉, 헤드(110)에 의하여 함께 회전함에 따라 상기 피회전체(190)인 볼트를 일방향으로 회전시켜 조이거나 또는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풀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제2래칫부재(170)는 상기 피회전체(190)에 의하여 가압되어 위치고정이 되어 있으므로 상기 피회전체(190)는 상기 제2래칫부재(170) 및 걸림부(121)에 의하여 구속될 수 있다.
이후에 상기 헤드(110)를 일방향 또는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피회전체(190)는 상기 제1래칫부재(150) 및 제2래칫부재(170)가 상기 제1탄성부재(160) 및 제2탄성부재(180)에 의해 이동하여 상기 피회전체(190)의 회전반경으로부터 벗어나고, 그로 인하여 상기 헤드(110)는 상기 피회전체(190)의 상대회전을 허용한다. 즉, 피회전체(190)는 상기 헤드(110)에 대해서 헛돌게 된다.
이후에, 상기 헤드(110)를 다시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피회전체(190)는 제1래칫부재(150)의 제2면(151a)과 제2래칫부재(170)의 제4면(170b)과 접촉한 상태로 놓이게 된다. 이때 상기 제1래칫부재(150) 및 제2래칫부재(170)는 그 위치가 고정됨과 동시에 상기 피회전체(190)를 구속시킨다. 이에 따라 상기 피회전체(190)는 상기 헤드(110)와 함께 일체로 회전하여 조여지거나 또는 풀릴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래칫부재가 마련된 렌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먼저, 종래기술에서는 제1조 측의 어느 일 부분과 제2조 측의 어느 한 부분이 피회전체와 접촉함에 의하여 상기 피회전체를 구속하여 회전시켰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은 육각단면을 가진 볼트를 조이기 위해서 적어도 60°이상을 반대방향으로 렌치 회전을 시켜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그러나, 본 실시 예에서는 제1조(120) 측의 제1면(121a), 제2면(151a)이 제2조(130) 측의 제3면(170a) 및 제4면(170b)에 각각 접촉함에 의하여 2번의 조임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그 회전각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다. 즉,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30°정도만 회전시키면 피회전체(190)인 볼트의 모서리측이 제1면(121a)에서 제2면(151a) 측으로 이동하게 되며 이에 따라 적은 회전각으로도 충분히 조임 또는 풀림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되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는 인장력을 받는 제2조(130)의 부분에는 슬라이드 방식의 래칫부재를 사용하였으나, 압축력을 받는 제1조(120)의 부분에는 피벗식으로 이동하는 래칫부재를 사용함에 따라서 효과적으로 공간활용을 할 수 있다. 피벗식은 슬라이드 방식에 비해서 하중에 대해서 견디는 능력은 적으나 회전하여 내부로 들아감에 따라서 최소한의 공간으로 슬라이드 방식과 유사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는 제2래칫부재(170)에 제3면(170a)과 제4면(170b)을 마련함에 따라서 하나의 부재로 2개의 구속역할을 수행할 수 있어 편리하다. 즉, 제1조(120)의 경우에는 걸림부(121)와 제1래칫부재(150)가 피회전체(190)의 구속을 담당하고 있으나, 상기 제2래칫부재(170)는 하나의 구성만으로 피회전체(190)에 대한 2번의 구속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어 전체적인 구조가 간단해지는 장점이 있다.
도 9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이러한 본 발명에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래칫부재가 마련된 렌치는 다음과 같이 변형되는 것도 가능하다.
먼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래칫몸체(151)의 일측에는 걸림턱(151b)이 형성되고, 상기 제1래칫하우징(152)에는, 상기 걸림턱(151b)에 걸림에 따라 상기 제1래칫몸체(151)의 회전각도를 제한하는 걸림부(152b)가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걸림턱(151b)과 걸림부(152b)가 서로 걸림에 따라서 상기 제1래칫몸체(151)는 일정이상 회전되는 것이 확실하게 방지되고 이와 함께 걸림턱(151b)에 의하여 스프링이 삽입될 공간을 더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조(130)에 관통구멍(131)을 형성하지 않고 홈만을 형성하여 상기 제2래칫부재(170)를 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상기 제2조(130)에는 제2홈(133)이 형성되고, 상기 제2홈(133)에는 제2래칫하우징(173)이 수용될 수 있다. 이러한 래칫하우징(173)에는 그 내부에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수용공간(173a)이 형성되되 그 제2수용공간(173a)에 상기 제2래칫부재(170)가 삽입되어 슬라이드 이동가능한 제2래칫하우징(173)이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제2탄성부재(180)는 상기 제2수용공간(173a) 내부에 배치되며 일측은 상기 제2래칫하우징(173)과 접촉하고 타측은 상기 제2래칫부재(170)와 접촉하면서 상기 제2래칫부재(170)를 탄성가압하고 있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래칫부재(170)에 피회전체(190)가 걸릴 수 있는 요철(174)이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4의 실시 예에서는 제2래칫부재(170)의 모서리를 면가공하여 피회전체(190)가 그 면에 접촉할 수 있도록 하였으나,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래칫부재(170)에 그 피회전체(190)의 모서리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단턱(174)를 형성하고 상기 피회전체(190)가 그 단턱(174)에 걸려 제2래칫부재(170)에 구속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래칫부재(150)에도 피회전체(190)가 걸릴 수 있는 요철(151c)가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요철(151c)은 상기 피회전체(190)의 모서리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고 있어 그 요철(151c)에 상기 피회전체(190)가 수용됨으로서 상기 피회전체(190)가 구속되는 것이다.
또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래칫부재(150) 및 제2래칫부재(170)에 각각 요철(151c, 174)이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술한 도 10 내지 도 12에서는 요철의 수가 제한되어있으나, 이외에 복수의 요철이 제1래칫부재(150) 및 제2래칫부재(170)에 각각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며, 이 경우에는 렌치의 회전각이 더 감소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렌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도 1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렌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도 3의 분리도면.
도 5 내지 도 7은 도 3의 작동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1래칫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제2래칫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분리도.
도 10은 도 9의 결합도.
도 1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래칫부재가 마련된 렌치의 도면.
<도면부호의 상세한 설명>
100... 렌치 101...헨들
110...헤드 120...제1조
121...걸림부 121a...제1면
122...제1홈 130...제2조
131...관통구멍 132...걸림턱부
133...제2홈 140...베이스부
150...제1래칫부재 151...제1래칫몸체
151a...제2면 151b...걸림턱
152...제1래칫하우징 152a...제1수용공간
152b...걸림부 160...제1탄성부재
170...제2래칫부재 170a...제3면
170b...제4면 171...래칫걸림부
172...막음부재 173...제2래칫하우징
173a...제2수용공간 180...제2탄성부재
190...피회전체

Claims (8)

  1.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핸들과, 상기 핸들과 결합되며 피회전체를 수용 및 접촉하는 헤드로 이루어진 렌치에 있어서,
    상기 헤드는, 상기 핸들의 일단과 연결된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일측으로부터 연장형성되며 걸림부가 마련되는 제1조 및 상기 베이스부의 타측으로부터 연장형성되며 상기 제1조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제2조를 포함하되,
    상기 제1조에는, 상기 걸림부와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헤드의 내측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며, 돌출된 면이 상기 헤드 내에 수용되는 피회전체와 접촉되는 제1래칫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제2조에는, 일부분이 상기 헤드 내에서 위치 이동되도록 돌출되게 구비되는 제2래칫부재; 및 상기 제2래칫부재의 일부분을 상기 헤드 내에서 돌출되게 이동하도록 탄성가압하는 제2탄성부재가 결합되되,
    상기 헤드가 일방향으로 회전시에는 상기 걸림부와 상기 제2래칫부재에 상기 피회전체가 구속되어 상기 피회전체가 상기 헤드와 함께 회전하고,
    상기 헤드가 상기 일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한 후에 다시 일방향으로 재회전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1래칫부재와 상기 제2래칫부재에 의해 상기 피회전체가 구속되어 상기 피회전체가 상기 헤드와 함게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칫부재가 마련된 렌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에는 상기 피회전체의 구속을 위한 제1면이 마련되고,
    상기 제1래칫부재에는 상기 피회전체의 구속을 위한 제2면이 마련되며,
    상기 제2래칫부재에는 상기 제1면과 상기 제2면에 대하여 각각 평행한 방향으로 놓으지며 상기 피회전체의 구속을 위한 제3면 및 제4면이 마련되고,
    상기 제2면은 상기 제1래칫부재의 일면에서 일측으로 절곡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칫부재가 마련된 렌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래칫부재는,
    일단에 상기 제2면이 구비되며 상기 피회전체와 접촉 가능한 제1래칫몸체와,
    상기 제1래칫몸체의 일단과 피벗식으로 결합되며 상기 제1래칫몸체를 수용할 수 있는 제1수용공간이 마련되는 제1래칫하우징과,
    상기 제1수용공간의 내부에 배치되고, 일단이 상기 제1래칫하우징과 접촉하고, 타단은 상기 제1래칫몸체와 접촉되며, 상기 제1래칫부재를 상기 제1조 및 헤드 내측에서 위치이동 하도록 탄성가압하는 제1탄성부재를 포함하는 래칫부재가 마련된 렌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조의 내측면에는 상기 제1래칫하우징이 수용되는 제1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1래칫하우징은 상기 제1홈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칫부재가 마련된 렌치.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래칫몸체의 일측에는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제1래칫하우징에는,
    상기 걸림턱에 걸림에 따라 상기 제1래칫몸체의 회전각도를 제한하는 걸림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칫부재가 마련된 렌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조에는 일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제2래칫부재는 상기 관통구멍에 삽입되어 일방향으로 이동가능하며, 상기 제2탄성부재는 일측이 관통구멍을 폐쇄하는 막음부재에 의하여 지지되고, 그 타측은 상기 제2래칫부재와 접촉하면서 상기 제2래칫부재를 탄성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칫부재가 마련된 렌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조에는 제2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홈에는, 내부에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수용공간이 형성되되 그 제2수용공간에 상기 제2래칫부재가 삽입되어 슬라이드 이동가능한 제2래칫하우징이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제2탄성부재는 상기 제2수용공간 내부에 배치되며 일측은 상기 제2래칫하우징과 접촉하고 타측은 상기 제2래칫부재와 접촉하면서 상기 제2래칫부재를 탄성가압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칫부재가 마련된 렌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래칫부재와 제2래칫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는, 피회전체가 걸릴 수 있도록 그 피회전체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요철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칫부재가 마련된 렌치.
KR1020090061205A 2009-07-06 2009-07-06 래칫부재가 마련된 렌치 KR1014643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1205A KR101464336B1 (ko) 2009-07-06 2009-07-06 래칫부재가 마련된 렌치
US12/577,221 US20110000343A1 (en) 2009-07-06 2009-10-12 Wrench with ratchet
PCT/KR2010/004372 WO2011004997A2 (ko) 2009-07-06 2010-07-06 래칫부재가 마련된 렌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1205A KR101464336B1 (ko) 2009-07-06 2009-07-06 래칫부재가 마련된 렌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3765A KR20110003765A (ko) 2011-01-13
KR101464336B1 true KR101464336B1 (ko) 2014-12-04

Family

ID=434119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1205A KR101464336B1 (ko) 2009-07-06 2009-07-06 래칫부재가 마련된 렌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10000343A1 (ko)
KR (1) KR101464336B1 (ko)
WO (1) WO2011004997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357851A (zh) * 2011-09-19 2012-02-22 浙江亿洋工具制造有限公司 一种棘轮式呆扳手及其生产工艺
JP3181599U (ja) * 2012-10-26 2013-02-14 志拓有限公司 簡易型メガネレンチ
US9227306B2 (en) 2013-08-30 2016-01-05 Stark Professional Tool, LLC Ratcheting torque wrench head
KR102283003B1 (ko) * 2020-04-17 2021-07-28 주식회사 툴엔텍 조임 기능이 향상된 스패너
KR102593713B1 (ko) * 2023-06-12 2023-10-25 (주)영산볼트 볼트 너트 조립 자동화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02517B1 (ko) * 1996-06-04 1999-07-01 유화열 이동 톱니형 스패너
US20030196525A1 (en) * 2002-04-19 2003-10-23 Hsiu-Ching Huang Quick-release wrench for driving two different bolts
KR20030086940A (ko) * 2003-09-16 2003-11-12 임재광 단일 톱니부 이동형 렌치
US20040031359A1 (en) * 2002-08-09 2004-02-19 Darren Kady Ratchetable wrench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00315A (en) * 1953-06-15 1955-01-25 Tubing Appliance Company Inc Open-end ratchet wrench
JPS5345798A (en) * 1976-10-07 1978-04-24 Kitarou Kojima Univeral monkey spanner capable of making continuous operation by slide
KR200296751Y1 (ko) * 2002-08-28 2002-12-05 이영호 렌치
US7111529B2 (en) * 2003-07-25 2006-09-26 Pradelski William W Ratchetable open-ended wrench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02517B1 (ko) * 1996-06-04 1999-07-01 유화열 이동 톱니형 스패너
US20030196525A1 (en) * 2002-04-19 2003-10-23 Hsiu-Ching Huang Quick-release wrench for driving two different bolts
US20040031359A1 (en) * 2002-08-09 2004-02-19 Darren Kady Ratchetable wrench
KR20030086940A (ko) * 2003-09-16 2003-11-12 임재광 단일 톱니부 이동형 렌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004997A2 (ko) 2011-01-13
KR20110003765A (ko) 2011-01-13
WO2011004997A3 (ko) 2011-04-14
US20110000343A1 (en) 2011-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4336B1 (ko) 래칫부재가 마련된 렌치
US20050260893A1 (en) Connector assembly for clamping tool and system utilizing same
JP5668148B2 (ja) アイボルト
TWI287490B (en) Large self-forming socket
CN106256672B (zh) 保持器
EP1440767A2 (en) Apparatus for securing a workpiece
US9884409B2 (en) Pipe wrench
CN110842382B (zh) 焊接夹具
US20160129580A1 (en) Wrench Extender
US6286398B1 (en) Combination wrench with adjustable heads
KR200444641Y1 (ko) 헤드작동형 다기능 스패너
WO2006068362A1 (en) Spanner
WO2003031832A1 (en) Fastener and its handling tool
KR20110008638U (ko) 헤드 작동용 다기능 스패너
JP5565942B2 (ja) キーホルダ
JP2022048536A (ja) 収容容器、間隔保持具、収容容器と間隔保持具との構造体
KR20160026525A (ko) 가변형 스패너
KR102670302B1 (ko) 원툴 다규격 라쳇 렌치
JP2008213076A (ja) ラチエットレンチ
KR20100008294U (ko) 걸림돌기가 구비된 스패너
KR101881109B1 (ko) 인서트 캐리어 래치 오픈 디바이스
CA2967023C (en) Spanner wrench
JP2017030060A (ja) 工具とそれを用いた締結具の着脱方法
KR200383436Y1 (ko) 스패너
KR100504600B1 (ko) 스패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