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98834A - 공동주택의 자재반출시스템 - Google Patents

공동주택의 자재반출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98834A
KR20200098834A KR1020190016430A KR20190016430A KR20200098834A KR 20200098834 A KR20200098834 A KR 20200098834A KR 1020190016430 A KR1020190016430 A KR 1020190016430A KR 20190016430 A KR20190016430 A KR 20190016430A KR 20200098834 A KR20200098834 A KR 202000988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terials
apartment house
vertical frame
vertical
scaff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64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88308B1 (ko
Inventor
이동운
김대건
Original Assignee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0164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8308B1/ko
Publication of KR202000988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88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83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83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14Conveying or assembling building elements
    • E04G21/16Tools or apparatu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7/00Temporary arrangements for giving access from one level to another for men or vehicles, e.g. steps, ramp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8Scaffold boards or plank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14Railings
    • E04G5/141Railings with an access door or the like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 Control And Safety Of Cranes (AREA)

Abstract

본발명은 공동주택의 자재반출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발판(10)과, 상기 발판(10)에 수직상부방향으로 설치되는 수직프레임(20)과 상기 수직프레임(20)에 설치되는 개폐문(30)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본발명은 타워크레인을 이용한 반출자재의 추락위험을 사전방지할 수 있으며, 자재반출시 발생되는 안전난간대 해체사고를 차단할 수 있으므로 공동주택 현장작업환경 개선효과가 상승되고 최상층 골조공사 후 내부 유로폼 반출에 대한 안전한 작업장치가 될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공동주택의 자재반출시스템 { material unloading system of apartment house }
본발명은 공동주택의 자재반출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타워크레인을 이용한 반출자재의 추락위험을 사전방지할 수 있으며, 자재반출시 발생되는 안전난간대 해체사고를 차단할 수 있으므로 공동주택 현장작업환경 개선효과가 상승되고 최상층 골조공사 후 내부 유로폼 반출에 대한 안전한 작업장치가 될 수 있는 공동주택의 자재반출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을 지을시 자재를 건물내부에서 외부로 반출해야 하며, 이때 자재 반출 및 반입구조물을 임시로 사용하며, 이에 대한 종래기술로서, 공개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 20-2018-0002766호에는 길이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2개의 제1 H빔; 상기 2개의 제1 H빔의 서로 대향하는 하부 플랜지 상에 걸치도록 가로 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H빔; 상기 제2 H빔 상에 위치하며 상기 제1 H빔의 상부 플랜지의 상면과 같은 레벨(level)의 상면을 갖도록 배치되는 데크(deck); 상기 2개의 제1 H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H빔, 및 데크로 이루어진 구조체를 콘크리트 슬래브에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제1 H빔의 상부 플랜지와 결합되는 하부 플랜지를 갖는 2개의 제3 H빔; 일측의 제1 H빔의 상부 플랜지와 상기 일측의 제3 H빔의 하부 플랜지를 결합시키고, 타측의 제1 H빔의 상부 플랜지와 상기 타측의 제3 H빔의 하부 플랜지를 각각 결합시키는 복수의 제1 체결 수단; 및 상기 2개의 제3 H빔을 상기 콘크리트 슬래브에 고정시키는 복수의 제2 체결 수단으로 구성되는 건설 자재 반출 및 반입용 구조물이 공개되어 있다.
또한,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20-0226710호에는 건물 공사 현장에서 자재를 운반하기 위한 가설 덱크에 있어서, 층별 슬래브 상의 단부에 고정 설치되는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에 의해 밑면 중앙이 지지되도록 설치되되, 상기 받침대를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덱크판과, 상기 덱크판의 회동시 상기 덱크판의 일측을 구속하면서 회동 경로를 안내하기 위해 상기 슬래브 상에고정 설치되는 가이드 프레임, 및 상기 가이드 프레임의 윗면과 천장 슬래브 간에 설치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지주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덱크가 공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들은 작업자 및 자재, 동바리시스템 전체 추락위험이 있고, 최상층 내부자재의 반출시 다양한 크기의 자재반출로 인해 위험성이 증가하며, 4면이 철판으로 설치되어 경제성이 없고 비용이 상승하므로 골조업체 현장사용성이 미비하였다.
그리고 자재 및 작업자 동시추락위험이 있고, 불안정한 상태와 행동 동시유발하며, 추락에 따른 하부작업자 대형사고 위험이 있으며, 작업자 1인에 의한 안전난간대 해체 및 재설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발명은 텐션을 유지한 상태에서 슬라이딩 및 충격하중 없이 안전하게 자재의 인양이 가능하며 그에 따른 캔틸레버식 발판과 그 발판이 자재하중에 견딜 수 있는 공동주택의 자재반출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본발명은 타워크레인을 이용한 반출자재의 추락위험을 사전방지할 수 있으며, 자재반출시 발생되는 안전난간대 해체사고를 차단할 수 있으므로 공동주택 현장작업환경 개선효과가 상승되고 최상층 골조공사 후 내부 유로폼 반출에 대한 안전한 작업장치가 될 수 있는 공동주택의 자재반출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발명은 공동주택의 자재반출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발판(10)과, 상기 발판(10)에 수직상부방향으로 설치되는 수직프레임(20)과 상기 수직프레임(20)에 설치되는 개폐문(30)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발명은 타워크레인을 이용한 반출자재의 추락위험을 사전방지할 수 있으며, 자재반출시 발생되는 안전난간대 해체사고를 차단할 수 있으므로 공동주택 현장작업환경 개선효과가 상승되고 최상층 골조공사 후 내부 유로폼 반출에 대한 안전한 작업장치가 될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발명의 공동주택의 자재반출시스템의 개략도
도 2는 본발명의 공동주택의 자재반출시스템의 상세도
도 3은 도 2의 단면도
도 4는 본발명의 공동주택의 자재반출시스템의 수직프레임과 발판 결합도
도 5는 본발명의 공동주택의 자재반출시스템의 죄임구 상세도
본발명은 공동주택의 자재반출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발판(10)과, 상기 발판(10)에 수직상부방향으로 설치되는 수직프레임(20)과 상기 수직프레임(20)에 설치되는 개폐문(30)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개폐문(30)은 좌우측 개폐문(31, 32)이 각각 좌우측수직프레임(21, 22)에 힌지결합되되 건물내부인 후방으로만 열리게 스토퍼가 힌지부위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발판(10)은 사람이 올라설 수 있는 수평부(11)와, 상기 수평부(11)의 후방에 설치되며 하방으로 경사면이 형성되는 경사부(12)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발판의 수평부(11) 하단에는 전방지지부(13)가 경사지게 형성되어 그 끝단이 수직프레임(20) 하단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직프레임(20)은 좌우측수직프레임(21, 22)이 나란히 설치된 것으로, 하부는 각각 구조물(40)의 수직부 후면에 접촉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발판의 수평부(11)와 경사부(12)가 만나는 지점 하부에는 후방지지부(14)가 설치되며, 전방지지부(14) 선단은 죄임구(15)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발명을 첨부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발명의 공동주택의 자재반출시스템의 개략도, 도 2는 본발명의 공동주택의 자재반출시스템의 상세도, 도 3은 도 2의 단면도, 도 4는 본발명의 공동주택의 자재반출시스템의 수직프레임과 발판 결합도, 도 5는 본발명의 공동주택의 자재반출시스템의 죄임구 상세도이다.
본발명은 발판(10)과, 상기 발판(10)에 수직상부방향으로 설치되는 수직프레임(20)과 상기 수직프레임(20)에 설치되는 개폐문(3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개폐문(30)은 좌우측 개폐문(31, 32)이 각각 좌우측수직프레임(21, 22)에 힌지결합되되 안전사고 예방을 위해 건물내부인 후방으로만 열리게 관용의 스토퍼가 힌지부위에 설치되어 있다. 다른 실시례로서 개폐문(30)에는 내장밧데리에 의해 작동되는 자동락장치가 설치되고 개폐문에는 인체감지센서가 설치되어 사람이 발판에 서면 센서가 이를 감지하여 내장된 제어기에 전송하면 제어기는 자동적으로 문을 내부로만 열리게 락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상기 신호에 의해 내외측 일방향만 열리게 하는 자동문 자체는 관용기술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발명의 개폐문은 일방향 개폐문이므로 건물 내부로만 열린다. 그리고 관용의 스프링 힌지를 설치하여 자동으로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닫히게 한다.
그리고 규격자재만 반출토록 반출구 너비를 제한한다.
톤마대 최대너비는 1100mm,발출개구부 너비는 1300mm로 한다.
또한, 상기 발판(10)은 사람이 올라설 수 있는 수평부(11)와, 상기 수평부(11)의 후방에 설치되며 하방으로 경사면이 형성되는 경사부(12)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발판의 수평부(11) 하단에는 전방지지부(13)가 경사지게 형성되어 그 끝단이 수직프레임(20) 하단에 설치된다.
상기 수직프레임(20)은 좌우측 수직프레임(21, 22)이 나란히 설치된 것으로, 하부는 각각 구조물(40)의 수직부 후면에 접촉되게 설치된다.
또한, 상기 발판의 수평부(11)와 경사부(12)가 만나는 지점 하부에는 후방지지부(14)가 설치되며, 전방지지부(14) 선단은 죄임구(15)가 결합된다.
상기 죄임구(15)의 하부수평부에는 두 개의 고정나사(16)가 나란히 관통되어 구조물 벽면에 고정되어 있어서, 나사 손잡이를 돌리면 전방지지부가 벽면에 밀착된다. 또한 상기 죄임구(15)의 손잡이 부근 내부에는 압력센서가 설치되어 압력이 갑자기 해제되면 죄임구 또는 타구조물이 파손되었다고 판단하여 센서부는 자체에 내장된 얼람수단을 발생하여 주위 사람들에게 경고를 하게 하여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한다. 또는 충격감지센서가 설치되어 일정충?별? 이상이 감지되면 얼람을 발생하여 과도한 반출자재 부하가 발판에 가해지지 않게 한다.
따라서 본발명은 타워크레인을 이용한 반출자재의 추락위험을 사전방지할 수 있으며, 자재반출시 발생되는 안전난간대 해체사고를 차단할 수 있으므로 공동주택 현장작업환경 개선효과가 상승되고 최상층 골조공사 후 내부 유로폼 반출에 대한 안전한 작업장치가 될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10 : 발판 11 : 수평부
12 : 경사부 13 : 전방지지부
14 : 후방지지부 15 : 죄임구
20 : 수직프레임
21, 22 : 좌우측수직프레임
30 : 개폐문
31, 32 : 좌우측 개폐문

Claims (3)

  1. 발판(10)과, 상기 발판(10)에 수직상부방향으로 설치되는 수직프레임(20)과 상기 수직프레임(20)에 설치되는 개폐문(30)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의 자재반출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10)은 사람이 올라설 수 있는 수평부(11)와, 상기 수평부(11)의 후방에 설치되며 하방으로 경사면이 형성되는 경사부(12)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의 자재반출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프레임(20)은 좌우측수직프레임(21, 22)이 나란히 설치된 것으로, 하부는 각각 구조물(40)의 수직부 후면에 접촉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의 자재반출시스템
KR1020190016430A 2019-02-13 2019-02-13 공동주택의 자재반출시스템 KR1021883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6430A KR102188308B1 (ko) 2019-02-13 2019-02-13 공동주택의 자재반출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6430A KR102188308B1 (ko) 2019-02-13 2019-02-13 공동주택의 자재반출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8834A true KR20200098834A (ko) 2020-08-21
KR102188308B1 KR102188308B1 (ko) 2020-12-08

Family

ID=722358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6430A KR102188308B1 (ko) 2019-02-13 2019-02-13 공동주택의 자재반출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830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3720U (ko) * 1993-07-10 1995-02-17 박중구 재봉사 권사기의 오일공급장치
KR20110077525A (ko) * 2009-12-30 2011-07-07 주식회사 세인테크 건설현장의 승강기용 출입 가이드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3720U (ko) * 1993-07-10 1995-02-17 박중구 재봉사 권사기의 오일공급장치
KR20110077525A (ko) * 2009-12-30 2011-07-07 주식회사 세인테크 건설현장의 승강기용 출입 가이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8308B1 (ko) 2020-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00724B1 (en) Free standing elevator hoistway
US20190194957A1 (en) Telescoping Break-Away Canopy Assembly
CN104110124A (zh) 一种具有视频安全监控系统的附着式升降脚手架
KR20100138585A (ko) 화재 피난용 안전 난간대
CN110173102A (zh) 超高层建筑多作业面同步施工脚手体系及施工方法
US6421962B2 (en) Swimming pool assembly
US20140026486A1 (en) Adjustable safety barrier system
KR102188308B1 (ko) 공동주택의 자재반출시스템
CN106320716B (zh) 高层建筑施工用可调式分区卸料平台
KR20200126688A (ko) 층간 슬라브용 개구부 차폐틀
CN213418443U (zh) 一种自爬式电梯井道作业平台
KR101006364B1 (ko) 리프트용 보조발판
KR20190142582A (ko) 단부작업용 무비계 작업발판
KR20100137131A (ko) 화재 피난용 안전 난간대
AU2017101328A4 (en) Rooftop access and safety system
KR101045024B1 (ko) 고층 건물의 화재피난용 맨홀개폐장치
KR101546295B1 (ko) 피난기능을 구비한 건축용 안전난간
CN108824803A (zh) 一种巨柱爬模装置
CN216105472U (zh) 一种施工升降机安全进出踏板
KR200460307Y1 (ko) 건설리프트의 발판구조
CN2746928Y (zh) 救生吊桥
KR960002498Y1 (ko) 신축 공사장의 임시 가설용 안전문
KR101205479B1 (ko) 건설현장용 층간 세대 출입문
CN214658702U (zh) 建筑爬架防坠落装置
CN211873909U (zh) 一种用于施工电梯口的可周转防护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