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2498Y1 - 신축 공사장의 임시 가설용 안전문 - Google Patents
신축 공사장의 임시 가설용 안전문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960002498Y1 KR960002498Y1 KR2019930017807U KR930017807U KR960002498Y1 KR 960002498 Y1 KR960002498 Y1 KR 960002498Y1 KR 2019930017807 U KR2019930017807 U KR 2019930017807U KR 930017807 U KR930017807 U KR 930017807U KR 960002498 Y1 KR960002498 Y1 KR 960002498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oor
- building
- construction site
- safety
- present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18—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adjustable in heigh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oor And Window Frames Mounted To Opening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제1도는 본 고안이 닫힌 상태의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부분 확대도
제3도는 본 고안이 열린 상태의 사시도이다
본 고안은 신축되는 고층건물, 고층아파트등의 건설현장에서 건설자재를 고층으로 운반하는 작업용 엘리베이터(일명 호이스트라 지칭됨)가 작동되는 공간부 입구에 설치되어 평상시 즉, 엘리베이터가 정지할때는 개방되어지는 건설공사 현장의 임시가설 안전문에 관한 것이다.
10층 이상의 고층건물이나 5층 미만의 저층건물을 막론하고 건물을 신출할 때 건물 외측에 건설자재를 운반하는 작업용 엘리베이터를 설치하고 있다. 이와 같은 작업용 엘리베이터는 건설자재 및 사람의 이동수단으로도 사용되어지고 있다.
건물을 신축할 때 제일먼저 골조 (기둥)에 천정 및 바닥을 형성한 다음 건물의 외벽은 가장 늦게 공사하고 있다. 따라서, 천정 및 바닥의 콘크리트 공사가 끝난 직후의 건물에 있어서는 작업자나 건물자재의 추락을 방지하기 위하여 임시 난간을 외벽위치에 가설하게 되나, 건설자재를 운반하는 작업용 엘리베이터의 출입구 부위에는 임시 난간을 설치할 수 없어 항시 개방된 상태를 유지해야 했으므로 자재의 낙하나 작업자의 실족추락의 위험요소를 갖고 있었다.
이와 같은 것을 감안하여 본 고안이 안출된 것으로 작업용 엘리베이터가 정지하는 곳에 개폐되는 문을 설치하되 건물 외측에 설치된 엘리베이터에서 건물내로 진입코자 할때에는 문을 밀어 건물에 들어올 수 있게 하며, 건물 내측에는 문을 앞으로 잡아 당겨야만 문이 개방되게 하여 건물 내측에 있는 작업자가 안전하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되며, 설치 및 철거를 간단히 수공구로 수행할 수 있게 한 것으로, 이를 첨부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면(2)과 저면(3)에 각각 고무판(4)을 부착한 높이 조절이 가능한 파이프지주(1)에 유(U) 볼트(5)로 기둥(6)의 상, 하를 체결 고정하며, 상기 기둥(6)에 부착된 플랜지(7)와 문(13)의 테두리(8)에 부착된 플랜지(9)를 스프링(10)이 삽치된 볼트(11)와 너트(12)로 관통시켜 체결하며 문(13)의 하단 테두리(14)에는 완충용 고무링(15)을 삽치한 것이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고안을 보다 상세히 설명함과 동시에 그 작용 및 효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있어 기둥(6)을 유(U) 볼트(5)로 상, 하에 체결하는 파이프지주(1)는 임의로 신축조절이 가능하며, 상면(2)과 저면(3)에 고무판(4)을 각각 부착한 것이라면 무난히 사용될 수 있으므로 건물의 신축공사장에서 버팀대 또는 거푸집을 지지하여 주는 수단으로 사용되는 파이프지주(1)(보통 아시바라 호칭됨)에 상면(2)과 저면(3)에 고무판(4)을 부착한 다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파이프지주(1) 상면(2)과 저면(3)에 부착된 고무판(4)는 탄성을 갖기 때문에 파이프지주(1)를 건물의 천정 및 바닥에 견고하게 부착할 수 있게 하며, 마감작업이 끝난 천정이나 바닥에 파이프지주(1)를 설치하거나 해체할 경우 천정이나 바닥 표면에 흠집을 갖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상, 하면에 고무판이 부착되며, 신축이 용이한 파이프지주(1)에 유(U) 볼트(5)로 기둥(6)의상, 하를 체결하면 모든 설치가 간단히 완료된다.
상기 기둥(6)과 문(13)의 테두리(8)는 각각 돌출된 플랜지(7)와 플랜지(9)를 스프링(10)을 삽치하는 볼트(11)와 너트(12)로 체결하여 문(13)을 일방향으로만 개폐할 수 있게 하였고, 개방된 문은 스프링(10)에 의해 복귀되어 닫혀지게 하였다.
또한, 문(13)의 하단 테두리(14)에는 고무링(15)을 삽치하여 스프링(1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자동으로 문이 닫힐경우 완충작용을 하여 충격을 흡수할 수 있게 하였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도면에서 도시한 것과 같이 좌, 우 대칭된 2개를 1개조로 사용하는 것이 가장 무난하나 필요에 따라 1개만으로 충분히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작업용 앨리베이터가 정지하고자 하는 각층의 개구부에 설치되어 지며, 엘리베이터가 각층의 개구부 입구에 설치된 본 고안 외측에 당도했을때 엘리베이터의 전면을 앞으로 열게되면 본 고안인 안전문은 건물의 내측으로 90°회전되어 열리게 된다.
이와 반대로 열려진 엘리베이터의 전면을 잡아당겨 닫음과 동시 앞으로 90°회전되어 개방된 안전문은 반대 방향으로 90°회전하여 닫혀지게 된다.
이와 같이 엘리베이터가 당도 했을때 비로소 개방하고 평시에는 닫아둘때 작업자의 실족 및 건설자재의 추락등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작업용 엘리베이터가 설치되는 건물의 외측면은 벽면이 형성되는 자리이므로 콘크리트로 구축된 턱을 갖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콘크리트턱 내측에 본 고안을 설치할 경우 본 고안의 하단 테두리(14)는 콘크리트턱 내측에 걸리게 되므로 건물의 바깥 방향으로는 열려지지 않고 건물의 내측으로만 개방되어 지기 때문에 설령 작업자가 본 고안에 기대어 섰다 하더라도 문은 열려지지 않게 작업자의 안전에 크게 기여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건설공사장에서 사용하는 임시 가설용 안전문이므로 신축 및 설치 공정이 용이한 파이프 기둥(일명 아시바)에 유(U)볼트로 용이하게 체결할 수 있게 고안되었으며, 그 구조가 간단하여 고장등의 염려가 없게되며, 작업자의 안전에 크게 기여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 상면(2)과 저면(3)에 각각 고무판(4)을 부착한 높이 조절이 가능한 통상의 파이프지주(1)에 유(U)볼트(5)로 기둥(6)의 상, 하를 체결 고정하며, 상기 기둥(6)에 부착된 플랜지(7)와 문(3)의 테두리(8)에 부착된 플랜지(9)를 스프링(10)이 삽치된 볼트(11)와 너트(12)로 관통시켜 체결하며, 문(13)의 하단 테두리(14)에는 완충용 고무링(15)을 삽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공사장의 임시 가설용 안전문.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30017807U KR960002498Y1 (ko) | 1993-09-08 | 1993-09-08 | 신축 공사장의 임시 가설용 안전문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30017807U KR960002498Y1 (ko) | 1993-09-08 | 1993-09-08 | 신축 공사장의 임시 가설용 안전문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50009116U KR950009116U (ko) | 1995-04-19 |
KR960002498Y1 true KR960002498Y1 (ko) | 1996-03-25 |
Family
ID=193629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930017807U KR960002498Y1 (ko) | 1993-09-08 | 1993-09-08 | 신축 공사장의 임시 가설용 안전문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960002498Y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23945B1 (ko) * | 2007-12-14 | 2009-10-29 | 주식회사 근하기공 | 갱폼용 작업자 추락 방지 도어 |
KR100945240B1 (ko) * | 2007-12-04 | 2010-03-03 | 주식회사 근하기공 | 갱폼의 작업자 추락 방지 도어 |
-
1993
- 1993-09-08 KR KR2019930017807U patent/KR960002498Y1/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45240B1 (ko) * | 2007-12-04 | 2010-03-03 | 주식회사 근하기공 | 갱폼의 작업자 추락 방지 도어 |
KR100923945B1 (ko) * | 2007-12-14 | 2009-10-29 | 주식회사 근하기공 | 갱폼용 작업자 추락 방지 도어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50009116U (ko) | 1995-04-1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3662993A (en) | Protective guard fixture | |
US9624681B2 (en) | Guardrail stanchion and system | |
EP2122068B1 (en) | An improved fall safety barrier | |
KR20180070956A (ko) | 내진보강 구조 | |
KR20200126688A (ko) | 층간 슬라브용 개구부 차폐틀 | |
KR960002498Y1 (ko) | 신축 공사장의 임시 가설용 안전문 | |
KR20080075624A (ko) | 공사장 리프트의 출입시 추락을 방지하는 안전발판 | |
KR20090113042A (ko) | 갱폼 어셈블리 | |
KR101568030B1 (ko) | 사다리용 안전 출입문 | |
JP2021181735A (ja) | シャフト壁ユニット及びシャフト空間形成方法 | |
AU2014101174A4 (en) | Safety Barrier | |
KR20090051796A (ko) | 거리조절 낙하물 방지망 시스템 | |
KR102188308B1 (ko) | 공동주택의 자재반출시스템 | |
KR20080045595A (ko) | 낙하방지 망 고정부재 | |
KR102431423B1 (ko) | 사다리 개구부 추락방지 장치 | |
DK181637B1 (en) | Reinforced adjustable frame, method and system with the frame | |
RU2116413C1 (ru) | Навесная площадка для работ на фасадах зданий | |
KR102461550B1 (ko) | 건축물 외벽의 다양한 공법에 사용할 수 있는 확장수축형 곤도라 | |
KR102486620B1 (ko) | 화재방지를 위한 데크로드 | |
JPH0447298Y2 (ko) | ||
KR100908411B1 (ko) | 건설현장의 승강기용 안전문 | |
RU127730U1 (ru) | Универсальное защитное ограждение дверного проема шахты лифта "узо-1" | |
KR960008843Y1 (ko) | 발코니 방호장치 | |
KR950003717Y1 (ko) | 가설안전 난간 | |
AU723480B3 (en) | Scaffolding apparatu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NORF |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