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98700A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물리 계층 기능을 분리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물리 계층 기능을 분리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98700A
KR20200098700A KR1020207022215A KR20207022215A KR20200098700A KR 20200098700 A KR20200098700 A KR 20200098700A KR 1020207022215 A KR1020207022215 A KR 1020207022215A KR 20207022215 A KR20207022215 A KR 20207022215A KR 20200098700 A KR20200098700 A KR 202000987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sage
phy entity
physical layer
processing operation
ph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222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48504B1 (ko
Inventor
문지철
권오진
전남열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000987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87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85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85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30Definitions, standards or architectural aspects of layered protocol stacks
    • H04L69/32Architecture of open systems interconnection [OSI] 7-layer type protocol stacks, e.g. the interfaces between the data link level and the physical level
    • H04L69/322Intralayer communication protocols among peer entities or protocol data unit [PDU] definitions
    • H04L69/323Intralayer communication protocols among peer entities or protocol data unit [PDU] definitions in the physical layer [OSI layer 1]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 H04B7/2603Arrangements for wireless physical layer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29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receiver end
    • H04L1/1861Physical mapp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02Signal structure
    • H04L27/2605Symbol extensions, e.g. Zero Tail, Unique Word [UW]
    • H04L27/2607Cyclic extens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26Arrangements specific to the transmitter only
    • H04L27/2627Modulators
    • H04L27/2628Inverse Fourier transform modulators, e.g. 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 [IFFT] or inverse discrete Fourier transform [IDFT] modulators
    • H04L29/10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1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up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th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 H04W74/0833Random access procedures, e.g. with 4-step acc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16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5Access point devices with remote compon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iscrete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4G 시스템 이후 보다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지원하기 위한 5G 통신 시스템을 IoT 기술과 융합하는 통신 기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는 5G 통신 기술 및 IoT 관련 기술을 기반으로 지능형 서비스 (예를 들어, 스마트 홈, 스마트 빌딩, 스마트 시티, 스마트 카 혹은 커넥티드 카, 헬스 케어, 디지털 교육, 소매업, 보안 및 안전 관련 서비스 등)에 적용될 수 있다. 본 개시는 기지국의 물리계층 기능을 분리하는 방법과 장치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물리 계층 기능을 분리하는 방법
본 개시는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 시스템에 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개시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물리 계층의 기능을 분리하여 구현하는 방법과 장치에 관한 것이다.
4G 통신 시스템 상용화 이후 증가 추세에 있는 무선 데이터 트래픽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개선된 5G 통신 시스템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5G 통신 시스템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은 4G 네트워크 이후 (Beyond 4G Network) 통신 시스템 또는 LTE(long term evolution) 시스템 이후 (post LTE) 시스템이라 불리어지고 있다.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달성하기 위해, 5G 통신 시스템은 초고주파(mmWave) 대역 (예를 들어, 60기가(60GHz) 대역과 같은)에서의 구현이 고려되고 있다. 초고주파 대역에서의 전파의 경로손실 완화 및 전파의 전달 거리를 증가시키기 위해,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빔포밍(beamforming), 거대 배열 다중 입출력(massive MIMO), 전차원 다중입출력(Full Dimensional MIMO: FD-MIMO), 어레이 안테나(array antenna), 아날로그 빔형성(analog beam-forming), 및 대규모 안테나 (large scale antenna) 기술들이 논의되고 있다.
또한 시스템의 네트워크 개선을 위해,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진화된 소형 셀, 개선된 소형 셀 (advanced small cell),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cloud radio access network: cloud RAN), 초고밀도 네트워크 (ultra-dense network), 기기 간 통신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D2D), 무선 백홀 (wireless backhaul), 이동 네트워크 (moving network), 협력 통신 (cooperative communication), CoMP (Coordinated Multi-Points), 및 수신 간섭제거 (interference cancellation) 등의 기술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 밖에도, 5G 시스템에서는 진보된 코딩 변조(Advanced Coding Modulation: ACM) 방식인 FQAM (Hybrid FSK and QAM Modulation) 및 SWSC (Sliding Window Superposition Coding)과, 진보된 접속 기술인 FBMC(Filter Bank Multi Carrier), NOMA(non-orthogonal multiple access), 및 SCMA(sparse code multiple access) 등이 개발되고 있다.
한편, 인터넷은 인간이 정보를 생성하고 소비하는 인간 중심의 연결 망에서, 사물 등 분산된 구성 요소들 간에 정보를 주고 받아 처리하는 IoT(Internet of Things, 사물인터넷) 망으로 진화하고 있다. 클라우드 서버 등과의 연결을 통한 빅데이터(Big data) 처리 기술 등이 IoT 기술에 결합된 IoE (Internet of Everything) 기술도 대두되고 있다. IoT를 구현하기 위해서, 센싱 기술, 유무선 통신 및 네트워크 인프라, 서비스 인터페이스 기술, 및 보안 기술과 같은 기술 요소 들이 요구되어, 최근에는 사물간의 연결을 위한 센서 네트워크(sensor network), 사물 통신(Machine to Machine, M2M),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등의 기술이 연구되고 있다. IoT 환경에서는 연결된 사물들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수집, 분석하여 인간의 삶에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지능형 IT(Internet Technology)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IoT는 기존의 IT(information technology)기술과 다양한 산업 간의 융합 및 복합을 통하여 스마트홈, 스마트 빌딩, 스마트 시티, 스마트 카 혹은 커넥티드 카, 스마트 그리드, 헬스 케어, 스마트 가전, 첨단 의료 서비스 등의 분야에 응용될 수 있다.
이에, 5G 통신 시스템을 IoT 망에 적용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어, 센서 네트워크(sensor network), 사물 통신(Machine to Machine, M2M),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등의 기술이 5G 통신 기술이 빔포밍, MIMO, 및 어레이 안테나 등의 기법에 의해 구현되고 있는 것이다. 앞서 설명한 빅데이터 처리 기술로써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cloud RAN)가 적용되는 것도 5G 기술과 IoT 기술 융합의 일 예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통신 시스템이 진화함에 따라 기지국을 분리하여 구현하는 방안에 대한 요구가 날로 증대되고 있다.
종래의 LTE 시스템의 무선 프로토콜은 PHY(physical) 계층, MAC(medium access control) 계층, RLC(radio link control) 계층, PDCP(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계층, RRC(radio resource control) 계층 등으로 이루어진다. 이 중 PHY 계층은 물리 계층이라고도 불리며, 전송채널을 물리채널로 매핑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PHY 계층은 정보 비트에 대한 코딩/디코딩, 변조(modulation)/복조(demodulation), HARQ(hybrid automatic request) 처리, 신호의 시간-주파수 자원으로의 매핑 등 RF(radio frequency) 신호를 생성하고 전송하기 위한 일련의 과정을 담당한다.
이러한 종래 LTE 시스템의 프로토콜에 따른 계층 구조는 통신 시스템의 발전에 따라 급속도로 증가하는 안테나 개수와 채널 대역폭을 효율적으로 지원할 수 없는 문제가 있어, 이에 대한 개선방안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개시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사항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이하 설명할 본 개시의 실시 예들로부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고려될 수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PHY(physical) 엔티티가 제2 PHY 엔티티와 통신하는 방법은, 제2 PHY 엔티티와의 프론트홀(fronthaul) 인터페이스를 통해 메시지를 송신 또는 수신함으로써 제2 PHY 엔티티와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제1 PHY 엔티티는 기지국의 하위 물리계층 처리 동작을 수행하고, 제2 PHY 엔티티는 기지국의 상위 물리계층 처리 동작을 수행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PHY 엔티티는 하위 물리계층 처리 동작 및 RF(radio frequency) 신호 처리 동작을 수행하고, 하위 물리계층 처리 동작은 FFT(Fast Fourier Transform), CP(Cyclic Prefix) 추가/제거, 프리코딩, 빔포밍 또는 PRACH(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 필터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위 물리계층 처리 동작은 채널 코딩/디코딩, 변조/복조, 레이어 매핑, RE(Resource Element) 매핑, 채널 추정 또는 PRACH 검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잇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메시지는 사용자 평면 메시지 및 제어 평면 메시지를 포함하고, 사용자 평면 메시지는 하향링크 IQ(in-phase/quadrature) 메시지, 상향링크 IQ 메시지, SRS(sounding reference signal) 메시지 또는 PRACH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제어 평면 메시지는 RE 비트맵 메시지, PRB(physical resource block) 비트맵 메시지, 스케쥴링 정보 메시지 또는 단말 채널 정보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 평면 메시지의 종류는 서브타입 필드 값에 의해 지시되고, 제어 평면 메시지의 종류는 데이터 필드의 제어타입 필드 값과 서브타입 필드 값에 의해 지시될 수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제2 PHY 엔티티와 통신하는 제1 PHY 엔티티는,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도록 설정되는 송수신부 및 제2 PHY 엔티티와의 프론트홀(fronthaul) 인터페이스를 통해 메시지를 송신 또는 수신함으로써 제2 PHY 엔티티와 통신을 수행하도록 설정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제1 PHY 엔티티는 기지국의 하위 물리계층 처리 동작을 수행하고, 제2 PHY 엔티티는 기지국의 상위 물리계층 처리 동작을 수행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제2 PHY 엔티티가 제1 PHY 엔티티와 통신하는 방법은, 제1 PHY 엔티티와의 프론트홀(fronthaul) 인터페이스를 통해 메시지를 송신 또는 수신함으로써 제1 PHY 엔티티와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제1 PHY 엔티티는 기지국의 하위 물리계층 처리 동작을 수행하고, 제2 PHY 엔티티는 기지국의 상위 물리계층 처리 동작을 수행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PHY 엔티티와 통신하는 제2 PHY 엔티티는,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도록 설정되는 송수신부 및 제1 PHY 엔티티와의 프론트홀(fronthaul) 인터페이스를 통해 메시지를 송신 또는 수신함으로써 제1 PHY 엔티티와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제1 PHY 엔티티는 기지국의 하위 물리계층 처리 동작을 수행하고, 제2 PHY 엔티티는 기지국의 상위 물리계층 처리 동작을 수행한다.
제안된 실시 예에 따르면, 기지국의 기능을 분리 구현함으로써 통신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됨은 물론이고, 기지국의 구현 부담을 낮추면서 관리 또한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실시 예와 관련된 무선 네트워크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실시 예와 관련된 기지국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실시 예와 관련된 단말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실시 예와 관련된 기지국의 물리 계층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와 관련된 분리된 물리 계층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A는 본 개시의 또 다른 일 실시 예와 관련된 분리된 물리 계층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B는 본 개시의 또 다른 일 실시 예와 관련된 분리된 물리 계층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또 다른 일 실시 예와 관련된 분리된 물리 계층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또 다른 일 실시 예와 관련된 분리된 물리 계층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또 다른 일 실시 예와 관련된 분리된 물리 계층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와 관련된 PHY 엔티티들 간의 메시지 송수신 과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와 관련된 메시지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 예와 관련된 메시지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 예와 관련된 메시지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 예와 관련된 메시지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5는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 예와 관련된 메시지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6은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 예와 관련된 메시지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7은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 예와 관련된 메시지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8은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 예와 관련된 메시지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9는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 예와 관련된 메시지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0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와 관련된 물리 계층 메시지의 송수신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1은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 예와 관련된 물리 계층 메시지의 송수신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2는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 예와 관련된 물리 계층 메시지의 송수신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3은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 예와 관련된 물리 계층 메시지의 송수신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4는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 예와 관련된 물리 계층 메시지의 송수신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 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개시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본 개시에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개시와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개시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또는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였다.
본 개시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개시는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개시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개시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개시는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개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 때, 처리 흐름도 도면들의 각 블록과 흐름도 도면들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은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행 예들에서는 블록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때, 본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본 개시 전체에 걸쳐 사용된 특정 단어 및 문구를 정의한다. 용어 "결합(couple)" 및 이의 파생어는 둘 이상의 요소가 서로 물리적으로 접촉하는지의 여부와 관계없이 둘 이상의 요소 간의 어떤 직접 또는 간접 통신을 지칭한다. 용어 "송신한다", "수신한다" 및 "통신한다" 뿐만 아니라 이의 파생어는 직접 및 간접 통신 모두를 포함한다. 용어 "또는"은 포괄적인 의미로, 및/또는(and/or)을 의미할 수 있다. 문구 "와 관련된(associated with)" 뿐만 아니라 이의 파생어는 포함하고(include), 내에 포함되고(included within), 와 상호 연결하고(interconnect with), 함유하고(contain), 내에 함유되고(be contained within), 에 또는 와 연결하고(connect to or with), 에 또는 와 결합하고(couple to or with), 와 통신 가능하고(be communicable with), 와 협력하고(cooperate with), 인터리브하고(interleave), 병치하고(juxtapose), 에 가까이 있고(be proximate to), 에 또는 와 바운딩되고(be bound to or with), 가지고(have), 소유하고 있고(have a property of), 에 또는 와 관계를 가지고(have a relationship to or with) 등을 의미할 수 있다. 문구 "적어도 하나(at least one of)"는, 항목의 리스트와 함께 사용될 때, 나열된 항목 중 하나 이상의 상이한 조합이 사용될 수 있고, 리스트 내에는 하나의 항목만을 포함하는 경우를 의미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는 다음의 조합: A만, B만, C만, A 및 B, A 및 C, B 및 C, 및 A 및 B 및 C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실시 예와 관련된 무선 네트워크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은 본 개시에 따른 예시적인 무선 네트워크(100)를 도시한다. 도 1에 도시된 무선 네트워크(100)는 네트워크 배치(deployment)의 일 예를 도시하며, 본 개시의 범위를 벗어나는 다른 방식의 배치 또한 얼마든지 고려될 수 있다.
도 1에서, 무선 네트워크(100)는 기지국(101, 102, 103)을 포함한다. 기지국 101은 기지국 102 및 103과 통신을 수행하며,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130)와 통신할 수 있다. 기지국 102, 103은 각각 자신의 커버리지(120, 125) 내에 위치한 복수의 단말(111, 112, 113, 114, 115, 116)에 대한 무선 접속을 제공한다. 도 1에서 기지국(101, 102, 103)과 단말(111, 112, 113, 114, 115, 116)은 5G, NR(new radio), LTE, LTE-A, HSPA(high speed packet access), WiMAX, WiFi를 포함하는 다양한 종류의 무선 접속 방식(RAT: Radio Access Technology)에 기반하여 서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 용어 "기지국"은 송신 포인트(TP: transmission point), 송수신 포인트(TRP: transmission and reception point), 강화된 기지국(enhanced Node B: eNB), gNB, 매크로 셀, 펨토 셀, WiFi AP(Access Point) 등 다양한 객체를 의미할 수 있으며, 용어 "단말"은 사용자 장치(UE: user equipment), 이동국(mobile station), 가입자국(subscriber station), 무선 송수신기(WTRU: wireless transmission reception unit), 사용자 디바이스 등 다양한 객체를 의미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무선 네트워크(100)의 구성에 다양한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앞서 설명한 바 있다. 예를 들어, 무선 네트워크(100)는 임의의 수의 기지국 및 단말을 포함할 수 있으며, 각 기지국은 하나 이상의 단말과 직접 통신하며 네트워크(130)에 대한 단말의 접속을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본 개시의 실시 예와 관련된 기지국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기지국(102)의 구조의 일 예를 도시하며, 기지국(102)은 도 2에 도시된 구성 외에 다른 구성을 더 포함하도록 구현되거나 도시된 구성 중 일부를 생략하도록 구현되는 등 다양한 구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기지국(102)의 다양한 구성은 서로 통합되거나, 각각의 구성이 더 세분화되어 분리될 수도 있다.
도 2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 기지국(102)은 다수의 안테나(205a-205n), 다수의 RF 송수신기(210a-210n), 송신(TX) 처리 회로(215) 및 수신(RX) 처리 회로(220)를 포함한다. 기지국(102)은 또한 제어기/프로세서(225), 메모리(230) 및 백홀/네트워크 인터페이스(235)를 포함한다.
RF 송수신기(210a-210n)는 안테나(205a-205n)를 통해서 다른 디바이스(예를 들어, 단말, 다른 기지국 등)에 의해 송신된 RF 신호를 수신한다. RF 송수신기(210a-210n)는 기저 대역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서 RF 신호를 하향 변환시킨다. 하향 변환된 신호는 필터링, 디코딩 및/또는 디지털화를 통해 기저 대역 신호를 생성하는 RX 처리 회로(220)로 송신된다. RX 처리 회로(220)는 처리된 기저 대역 신호를 추가적으로 처리하기 위한 제어기/프로세서(225)로 송신한다.
TX 처리 회로(215)는 제어기/프로세서(225)로부터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데이터를 수신한다. TX 처리 회로(215)는 기저 대역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기저 대역 데이터를 인코딩, 다중화 및/또는 디지털화한다. RF 송수신기(210a-210n)는 TX 처리 회로(215)로부터 전송된 처리된 기저 대역 신호를 수신하고, 기저 대역 신호를 안테나(205a-205n)를 통해 송신되는 RF 신호로 상향 변환한다.
상술한 RF 송수신기(210a-210n), TX 처리 회로(215) 및 RX 처리 회로(220) 중 하나 이상이 통합되어 송수신부(transceiver)로 불릴 수도 있다.
제어기/프로세서(225)는 기지국(102)의 전체 동작을 제어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기/프로세서(225)는 RF 송수신기(210a-210n), RX 처리 회로(220) 및 TX 처리 회로(215)에 의해 순방향 채널 신호를 수신하고 역방향 채널 신호를 송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기/프로세서(225)는 업링크(UL: uplink) 채널 및/또는 다운링크(DL: downlink) 채널의 처리를 위한 회로, 프로그래밍 또는 이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기/프로세서(225)는 제어기/프로세서로 하여금 신호를 처리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메모리(230)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instructions)를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어기/프로세서(225)는 백홀(backhaul)/네트워크 인터페이스(235)와 연결된다. 백홀/네트워크 인터페이스(235)는 기지국(102)이 백홀 연결 또는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디바이스 또는 시스템과 통신하도록 허용한다. 백홀/네트워크 인터페이스(235)는 유선 또는 무선 연결을 통한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메모리(230)는 제어기/프로세서(225)에 결합된다. 메모리(230)는 기지국(102)에서 처리되는 다양한 정보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실시 예와 관련된 단말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단말(116)의 구조의 일 예를 도시하며, 단말(116)은 도 3에 도시된 구성 외에 다른 구성을 더 포함하도록 구현되거나 도시된 구성 중 일부를 생략하도록 구현되는 등 다양한 구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단말(116)의 다양한 구성은 서로 통합되거나, 각각의 구성이 더 세분화되어 분리될 수도 있다.
도 3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 단말(116)은 하나 이상의 안테나(305a-305n), 하나 이상의 RF 송수신기(310a-310n), 송신(TX) 처리 회로(315) 및 수신(RX) 처리 회로(325)를 포함한다. 단말(116)은 또한 마이크로폰(320), 스피커(330), I/O IF(In and Out Interface, 345) 프로세서(340), 터치스크린(350), 디스플레이(355), 및 메모리(360)를 포함하며, 메모리(360)는 운영 체제(OS: operating system, 361) 및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362)을 포함한다.
RF 송수신기(310a-310n)는 안테나(305a-305n)를 통해서 네트워크의 기지국에 의해 송신된 RF 신호를 수신한다. RF 송수신기(310a-310n)는 기저 대역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서 RF 신호를 하향 변환시킨다. 하향 변환된 신호는 필터링, 디코딩 및/또는 디지털화를 통해 기저 대역 신호를 생성하는 RX 처리 회로(325)로 송신된다. RX 처리 회로(325)는 처리된 기저 대역 신호를 추가적으로 처리하기 위한 프로세서(340)로 송신하거나 스피커(330)로 전송하여 음향 신호로 출력할 수 있다.
TX 처리 회로(325)는 프로세서(340)로부터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마이크로폰(320)으로부터 아날로그 또는 음향 데이터를 입력받을 수 있다. TX 처리 회로(325)는 기저 대역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기저 대역 데이터를 인코딩, 다중화 및/또는 디지털화한다. RF 송수신기(310a-310n)는 TX 처리 회로(325)로부터 전송된 처리된 기저 대역 신호를 수신하고, 기저 대역 신호를 안테나(305a-305n)를 통해 송신되는 RF 신호로 상향 변환한다.
상술한 RF 송수신기(310a-310n), TX 처리 회로(315) 및 RX 처리 회로(325) 중 하나 이상이 통합되어 송수신부(transceiver)로 불릴 수도 있다.
프로세서(340)는 단말(116)의 전체 동작을 제어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340)는 RF 송수신기(310a-310n), RX 처리 회로(325) 및 TX 처리 회로(315)에 의해 순방향 채널 신호를 수신하고 역방향 채널 신호를 송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340)는 업링크(UL: uplink) 채널 및/또는 다운링크(DL: downlink) 채널의 처리를 위한 회로, 프로그래밍 또는 이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340)는 프로세서로 하여금 신호를 처리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메모리(360)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instructions)를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프로세서(340)는 메모리(360)에 기록된 다른 프로세스나 및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으며, 메모리(360)로 데이터를 기록하거나 메모리(360)로부터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 프로세서(340)는 OS(361)에 기초하여 애플리케이션(362)을 실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340)는 단말(116)을 다른 디바이스에 연결하는 능력을 제공하는 I/O IF(345)에 결합된다. I/O IF(345)는 다른 디바이스와 프로세서(340) 간의 통신 경로이다.
프로세서(340)는 또한 터치스크린(350) 및 디스플레이(355)에 결합된다. 단말(116)의 사용자는 터치스크린(350)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단말(116)에 입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355)는 단말(116)이 처리한 정보와 데이터를 텍스트 및/또는 그래픽 처리하여 시각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메모리(360)는 프로세서(340)에 결합된다. 메모리(360)는 단말(116)에서 처리되는 다양한 정보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실시 예와 관련된 기지국의 물리 계층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의 위쪽에는 기지국의 물리 계층에서 하향링크 신호를 전송하는 일련의 과정을 도시하며, 도 4의 아래쪽에는 기지국의 물리 계층에서 수신된 상향링크 신호를 처리하는 일련의 과정을 도시한다.
도 4에서 기지국의 물리 계층은 RF 기능을 담당하는 RU(RF unit)와 RF 기능을 제외한 물리 계층의 나머지 기능을 담당하는 DU(Digital unit)를 포함한다.
도 4에서, 기지국의 DU는 하향링크 신호 전송을 위해 데이터 채널, 제어 채널, PBCH(physical broadcast channel)에 대해 채널 코딩(channel coding), 변조(modulation), 레이어 매핑(layer mapping)을 수행하며, 단말 특정 DMRS(UE-specific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를 생성하여 레이어 매핑을 수행한다. 이어서, DU는 레이어 당 RE 매핑(resource element mapping per layer), 프리코딩& 디지털 BF(precoding & digital beamforming), iFFT/CP 부가(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 / cyclic prefix addition)를 수행하며, RU는 DU로부터 처리된 결과를 전달받아 RF 신호를 생성하고 안테나를 통해 하향링크 RF 신호를 전송한다.
도 4에서, 기지국의 RU는 단말로부터 상향링크 신호를 수신하며, 수신된 신호를 처리하여 DU로 전송한다. 이어서, DU는 수신된 신호에 대하여 FFT/CP 제거, 디지털 BF(digital beamforming), RE 디매핑(RE de-mapping), 채널추정/등화(channel estimation/equalization), iDFT(inverse discrete Fourier transform), 복조(demodulation), 디코딩을 거쳐 데이터 채널과 제어 채널을 획득하거나, FFT/CP 제거된 데이터로부터 SRS(sounding reference signal)에 기반한 상향링크 채널 추정을 수행하거나, RU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PRACH(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 필터링과 프리 필터링(pre-filtering)를 거쳐 PRACH 검출을 수행한다.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표준이 발전함에 따라 무선 통신에 사용되는 채널 대역폭이 점차 증가하고 있을 뿐 아니라, 6GHz 를 넘는 초고주파 대역을 이용하는 NR(new radio) 통신 시스템에서 massive MIMO(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안테나 구조 또한 고려되고 있다. 이에 따라, 상술한 기지국 물리 계층의 RU-DU 구조에 따르면 RU와 DU 간의 프론트홀(fronthaul) 대역폭이 급속히 증가하게 된다. 특히 이러한 차세대 통신 시스템에서 제공되는 서비스는 처리해야 할 정보의 양과 종류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면서도 통신의 응답성과 신호처리의 신속성을 요구하는 특징이 있다. 이러한 통신 환경의 특성을 반영하여 효율적인 통신을 수행하기 위하여, 기지국 물리 계층에 대한 새로운 제안이 필요하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와 관련하여 분리된 물리 계층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실시 예에 따르면, 기지국의 물리 계층(500)이 기능 분리(functional split)를 통해 2개의 엔티티로써 구현된다.
물리 계층(500)이 수행하는 다양한 기능에 대해서 도 4에서 설명한 바 있듯이, 물리 계층(500)에서 기능을 분리하기 위한 다양한 방안이 고려될 수 있다. 물리 계층(500)은 복수의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1 PHY 엔티티(510)와 복수의 기능 중 또 다른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2 PHY 엔티티(520)로써 분리 구현될 수 있으며, 제1 PHY 엔티티(510)와 제2 PHY 엔티티(520) 간의 인터페이스를 프론트홀(fronthaul) 인터페이스(530)라 부를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PHY 엔티티(510)는 안테나와 연결되어 RF 기능을 담당하는 엔티티로써, 하위 물리 계층(low PHY layer)라 불릴 수 있다. 제2 PHY 엔티티(520)는 제1 엔티티(510)가 담당하는 기능을 제외한 나머지 기능을 담당하는 엔티티로써, 상위 물리 계층(high PHY layer)이라 불릴 수 있다.
이하에서는 구체적으로 제1 PHY 엔티티(510)와 제2 PHY 엔티티(520)가 어떻게 구성되는지에 대해 설명한다.
도 6A는 본 개시의 또 다른 일 실시 예와 관련된 분리된 물리 계층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6B는 본 개시의 또 다른 일 실시 예와 관련된 분리된 물리 계층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A은 도 5에서 설명한 제1 PHY 엔티티(510)의 구체적인 구성을 도시한다. 기지국의 물리계층 기능 중 RF 기능을 포함한 하나 이상의 기능을 담당하는 제1 PHY 엔티티는 MMU(massive MIMO unit, 610)라 불릴 수 있으며, MMU(610)는 안테나(614)와 연결되어 RF 처리를 수행하는 RF 처리 블록(614), 물리 계층의 일부 기능(즉, 하위 물리 계층의 기능)을 담당하는 PHY-L 처리 블록(616), 제2 PHY 엔티티와 통신하기 위한 프론트홀 인터페이스 블록(618)을 포함한다.
RF 처리 블록(614)과 PHY-L 처리 블록(616)이 수행하는 각각의 동작에 대해서는 앞서 도 2, 도 4에서 상세히 기술한 바 있다. 예를 들어, RF 처리 블록(614)은 전력 증폭, LNA(low noise amplifier), ADC/DAC 변환, 상향/하향 변환 등 RF 프론트엔드(frontend) 동작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제1 PHY 엔티티(610)는 PHY-L 처리 블록(616)을 통해 FFT/iFFT, 프리코딩, 디지털 빔포밍, PRACH 필터링 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제1 PHY 엔티티(또는 MMU, 610)는 프론트홀 인터페이스 블록(618)을 통해 제2 PHY 엔티티(또는 후술할 LDU)와 메시지를 주고받으며 통신을 수행한다. 프론트홀 인터페이스 블록(618)은 제1 PHY 엔티티(610)가 RF 신호를 처리하면 처리된 신호를 제2 PHY 엔티티로 전송할 수 있으며, 제2 PHY 엔티티가 전송한 신호를 수신하고 처리하여 RF 신호를 생성하도록 RF 처리 블록(614)으로 전송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PHY 엔티티(610)의 프론트홀 인터페이스 블록(618)은 제2 PHY 엔티티(620)와 주고받는 메시지를 패킷화(packetization)/역패킷화(de-packetization)할 수 있으며, 이더넷(Ethernet) 프로토콜로써 송수신할 수 있다.
도 6B는 도 5에서 설명한 제2 PHY 엔티티(520)의 구체적인 구성을 도시한다. 기지국의 물리계층 기능 중 RF 기능을 제외한 하나 이상의 기능을 담당하는 제2 PHY 엔티티는 LDU(light digital unit, 620)라 불릴 수 있으며, LDU(620)는 제1 PHY 엔티티(또는, MMU)와 통신하기 위한 프론트홀 인터페이스 블록(622) 및 물리 계층의 일부 기능(즉, 상위 물리 계층의 기능)을 담당하는 PHY-H 처리 블록(624)을 포함한다. PHY-H 처리 블록(624)이 수행하는 구체적인 동작은 도 2 및 도 4에서 상세히 기술한 바 있다. 예를 들어, 제2 PHY 엔티티(620)는 PHY-H 처리 블록(624)을 통해 채널 코딩/디코딩, 변조/복조, 채널 추정/등화, RE 매핑/디매핑, 레이어 매핑 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제2 PHY 엔티티(또는 LDU, 620)는 프론트홀 인터페이스 블록(622)을 통해 제1 PHY 엔티티(또는 MMU)와 메시지를 주고받으며 통신을 수행한다. 프론트홀 인터페이스 블록(622)은 제1 PHY 엔티티(610)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거나, 제1 PHY 엔티티(610)를 통해 전송할 신호를 제1 PHY 엔티티(610)로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PHY 엔티티(620)의 프론트홀 인터페이스 블록(622)은 제1 PHY 엔티티(610)와 주고받는 메시지를 패킷화(packetization)/역패킷화(de-packetization)할 수 있으며, 이더넷(Ethernet) 프로토콜로써 송수신할 수 있다.
도 6A 및 도 6B에서 설명한 바에 따라 기지국의 물리 계층 기능을 분리함으로써 제1 PHY 엔티티(또는 MMU) 및 제2 PHY 엔티티(또는 LDU)로 구현하는 경우, 도 4에서 설명한 RU-DU 구조에 비하여 제1 PHY 엔티티와 제2 PHY 엔티티 간의 프론트홀 대역폭의 부담이 줄 수 있다. 뿐만 아니라, MMU가 일정 수준의 물리 계층 기능을 담당하므로, MMU가 실제로 건물의 옥상이나 전신주 등에 배치(deploy)되었을 때 표준규격의 발전에 따른 동작을 지원하기 위해서 MMU를 빈번하게 교체하는 부담 또한 덜 수 있다.
한편, 도 6A 및 도 6B에서 설명했듯이 제1 PHY 엔티티(즉, MMU) 및 제2 PHY 엔티티(즉, LDU)는 각각 기지국의 물리 계층 중 적어도 일부를 담당하는데, 제1 PHY 엔티티와 제2 PHY 엔티티는 각각 물리적으로 독립된 장치로써 분리 구현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제1 PHY 엔티티와 제2 PHY 엔티티 각각은 별도의 하드웨어 디바이스로써 구현되고, 프론트홀 인터페이스를 통해 서로 간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다. 물론, 제1 PHY 엔티티와 제2 PHY 엔티티가 하나의 하드웨어 내에서 논리적으로 구분되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7, 도 8, 도 9는 본 개시의 또 다른 일 실시 예와 관련된 분리된 물리 계층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은 하향링크 전송 상황에 대한 기지국의 물리 계층 구조의 일 예를 도시하며, 도 9는 상향링크 수신 상황에 대한 기지국의 물리 계층 구조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7은 도 6A 및 도 6B에서 설명한 실시 예가 LTE/LTE-A 통신 시스템에 적용되는 예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즉, 도 7에 도시된 분리 구조(700)는 LTE/LTE-A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인 eNB의 물리 계층이 분리되는 실시 예를 도시한다. 도 7에서 eNB의 물리 계층은 제1 PHY 엔티티(또는 MMU, 710)와 제2 PHY 엔티티(또는 LDU, 720)로 분리될 수 있으며, 제1 PHY 엔티티(710)와 제2 PHY 엔티티(720) 간에는 프론트홀(730)로 연결될 수 있다. 프론트홀(730)은 xRAN FH(xRAN fronthaul)로 불릴 수도 있다.
도 8은 도 6A 및 도 6B에서 설명한 실시 예가 NR 통신 시스템에 적용되는 예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즉, 도 8에 도시된 분리 구조(800)는 NR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인 gNB의 물리 계층이 분리되는 실시 예를 도시한다. 도 8에서 gNB의 물리 계층은 제1 PHY 엔티티(또는 MMU, 810)와 제2 PHY 엔티티(또는 LDU, 820)로 분리될 수 있으며, 도 7과 유사하게 제1 PHY 엔티티(810)와 제2 PHY 엔티티(820)는 프론트홀(830)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도 9는 도 6A 및 도 6B에서 설명한 제1 PHY 엔티티(또는 MMU, 910)와 제2 PHY 엔티티(또는 LDU, 920)가 프론트홀(930)을 통해 시그널링을 주고받으며 수행하는 세부적인 물리계층 동작들을 도시하는 또 다른 도면이다.
이상에서 물리 계층 동작 중에서 RF 기능과 일부 물리계층 동작을 담당하는 제1 PHY 엔티티와 나머지 물리계층 동작을 담당하는 제2 PHY 엔티티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였다. 한편, 제1 PHY 엔티티와 제2 PHY 엔티티의 명칭을 각각 MMU, LDU 로 예로 들어 설명하였는데, 이러한 명칭은 단순한 예시에 불과하다. 또 다른 예를 들면, 기지국의 전체 계층이 분리되는 CU-DU split(central unit - distributed unit split) 구조와 관련지어서, 제1 PHY 엔티티를 DU-L(distributed unit lower layer part), 제2 PHY 엔티티를 DU-H(distributed unit higher layer part)로 명명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를 들면, 물리계층 기능을 RU-DU 로 분리하여 설명하는 구조와 관련지어서, 제1 PHY 엔티티를 RU(radio unit), 제2 PHY 엔티티를 LLS-CU(lower layer split - central unit)로 명명할 수도 있다. 그 외에도 각 엔티티의 명칭은 얼마든지 다른 이름으로 제1 PHY 엔티티와 제2 PHY 엔티티를 명명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기지국의 물리계층 기능을 분리 구현하는 실시 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한 바 있다. 이하에서는 제1 PHY 엔티티와 제2 PHY 엔티티가 분리 구현될 때 두 엔티티 간에 주고받는 메시지와 시그널링 절차에 대해 구체적인 실시 예를 설명한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와 관련된 PHY 엔티티들 간의 메시지 송수신 과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제1 PHY 엔티티(또는 MMU, 1010)와 제2 PHY 엔티티(또는 LDU, 1020) 간에 송수신하는 메시지는 크게 사용자 평면(user plane) 메시지와 무선 특정 제어 평면(radio specific control plane) 메시지로 구분될 수 있다.
사용자 평면 메시지는 단말로 전송하거나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데이터를 제1 PHY 엔티티(1010)와 제2 PHY 엔티티(1020) 간에 주고받기 위한 메시지이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사용자 평면 메시지는 하향링크 IQ(in-phase/quadrature) 메시지(1032), 상향링크 IQ 메시지(1034), SRS(sounding reference signal) 메시지(1036), PRACH(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 메시지(1038)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한 제어 평면 메시지는 RE(resource element) 비트맵 메시지(1040), PRB(physical resource block) 비트맵 메시지(1042), 스케쥴링 정보 메시지(1044), 단말 채널 정보 메시지(1046)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메시지 각각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 평면 메시지는 IEEE 표준규격 1914.3을 기반으로 메시지 포맷이 정의된다. 사용자 평면 메시지의 종류는 ROE(radio over Ethernet) 헤더의 서브타입 필드 값에 의해 구분될 수 있다. 아래의 표 1은 이와 같은 서브타입 필드 값과 사용자 평면 메시지의 종류에 대한 구체적인 구현 예를 나타낸다.
서브타입 필드 매핑 설명
0000 0000b RoE Control sub type Control packet between the RoE control node and RoE controlled node.
0000 0001b Reserved Reserved
0000 0010b RoE Structure-agnostic data sub type Data payload packet with RoE common frame header and structure-agnostic payload.
0000 0011b RoE Structure-aware CPRI data sub type Data payload packet with RoE common frame header and structure-aware CPRI data payload.
0000 0100b RoE Slow C&M CPRI sub type C&M payload packet with common RoE frame header and structure-aware CPRI Slow C&M payload.
0000 0101b 0000 1111b Reserved Reserved for future sub types.
0001 0000b RoE Native time domain data sub type Time domain data payload packet with RoE common frame header.
0001 0001b RoE Native frequency domain data sub type Frequency domain data payload packet with RoE common frame header.
0001 0010b RoE Native PRACH data sub type PRACH IQ data payload with common frame header
0001 0011b SRS subtype SRS IQ data payload
0001 0100b 0001 0111b Reserved Reserved for future sub types.
0001 1000b Radio specific control subtype Radio specific control information
0001 0101b 1111 1011b Reserved Reserved for future sub types.
1111 1100b - 1111 1111b Experimental Reserved for experimental types.
위 표 1에서 서브타입 필드 값이 00010001b, 00010010b, 00010011b 인 경우, 각각 사용자 평면 메시지 중에서 IQ 메시지, PRACH 메시지, SRS 메시지임을 나타낼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 평면 메시지 또한 IEEE 표준규격 1914.3을 기반으로 메시지 포맷이 정의된다. 제어 평면 메시지의 종류는 ROE(radio over Ethernet) 헤더의 서브타입 필드 값과 함께 데이터 내의 RS(radio specific) 제어헤더 내의 RS 제어타입 (radio specific control header) 필드 값에 의해 구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 1에서 서브타입 필드 값이 00011000b인 경우 메시지 포맷이 제어 평면 메시지임을 나타낼 수 있으며, 제어 평면 메시지 중에서 세부적인 종류는 아래의 표 2에 따라 RS 제어타입 필드 값에 의해 구분될 수 있다.
RS 제어 타입 필드 매핑 설명
0000 0000b RE bitmap Information about beam weights per RE
0000 0001b PRB bitmap Information for indicating whether each RB is used for cell-specific beamforming or for UE-specific beamforming
0000 0010b Scheduling information Information for indicating which UE is allocated to each RB
0000 0011b UE channel information UE’s channel information obtained from SRS data
0000 0100b 1111 1111b Reserved For future use
위 표 1 및 표 2는 제1 PHY 엔티티와 제2 PHY 엔티티 간의 메시지 종류를 구분하기 위한 일 실시 예이다. 다시 말해서, 제1 PHY 엔티티와 제2 PHY 엔티티 간의 프론트홀 인터페이스를 통해 송수신되는 메시지는 다른 방식, 다른 필드, 다른 값에 의해 구분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11 내지 도 19를 통해 상술한 실시 예에 따른 구체적인 메시지 구조를 설명한다.
도 11은 사용자 평면 메시지의 구조에 대한 일 실시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에 도시된 메시지 구조에서 ROE 헤더의 서브타입 필드(1120) 값이 소정의 값을 나타내는 경우, 메시지의 데이터 필드(1130)에는 사용자 평면 메시지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서브타입필드(1120)가 지시하는 구체적인 값에 따라 사용자 평면 메시지의 종류 또한 달라질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예에서 서브타입 필드(1120) 값이 17(표 1에서 00010001b)을 나타내는 경우 데이터 필드(1130)는 IQ 메시지(1142)를 포함하고, 18(표 1에서 00010010b)을 나타내는 경우 데이터 필드(1130)는 PRACH 메시지(1144)를 포함하고, 19(표 1에서 00010011b)을 나타내는 경우 데이터 필드(1130)는 SRS 메시지(1146)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2는 제어 평면 메시지의 구조에 대한 일 실시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2에 도시된 메시지 구조에서 ROE 헤더의 서브타입 필드(1220) 값이 소정의 값을 나타내는 경우, 메시지의 데이터 필드(1230)에는 제어 평면 메시지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서브타입 필드(1220)가 제어평면 메시지임을 지시하면(예를 들어, 표 1에서 00011000b), 데이터필드(1230) 내의 RS 제어타입 필드(1240) 값에 따라 페이로드(1250) 내에 포함된 데이터의 종류 또한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RS 제어타입 필드(1240)가 표 2에 기재된 값을 가지는 경우, 각각의 값에 따라 페이로드(1250)에 포함된 메시지가 RE 비트맵 메시지(1262), PRB 비트맵 메시지(1264), 스케쥴링 정보 메시지(1266), 단말 채널 정보 메시지(1268)임을 나타낼 수 있다.
도 13은 IQ 메시지의 구체적인 포맷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IQ 메시지(1300)는 주파수 도메인 IQ 샘플을 하향링크 방향 또는 상향링크 방향으로 전달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IQ 메시지(1300)의 데이터 필드(1310)에는 첫번째 RB(resource block)의 첫번째 서브캐리어로부터 N번째 RB의 12번째 서브캐리어까지의 IQ 값이 패킷화되어 순차적으로 포함되며, 각각의 IQ 값을 나타내는 비트의 수는 30 비트 미만이 될 수 있다. IQ 값을 나타내는 비트의 수는 제1 PHY 엔티티와 제2 PHY 엔티티 간에 미리 설정될 수 있으며, 셀 셋업 시점에 설정될 수 있다.
도 14는 PRACH 메시지의 구체적인 포맷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PRACH 메시지(1400)는 상향링크 방향으로의 시간 도메인(또는 주파수 도메인)의 PRACH IQ 샘플을 전달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PRACH 메시지(1400)의 데이터 필드(1410)에는 시간 도메인 샘플링 순서로 IQ 샘플이 패킷화되어 포함될 수 있으며, 각각의 IQ 값을 나타내는 비트의 수는 30 비트 미만이 될 수 있다. IQ 값을 나타내는 비트의 수는 제1 PHY 엔티티와 제2 PHY 엔티티 간에 미리 설정될 수 있으며, 셀 셋업 시점에 설정될 수 있다.
도 15는 SRS 메시지의 구체적인 포맷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SRS 메시지(1500)는 상향링크 방향으로의 주파수 도메인의 SRS IQ 샘플을 전달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SRSR 메시지(1500)의 데이터 필드(1510)에는 첫번째 RB의 첫번째 서브캐리어로부터 N 번째 RB의 12번재 서브캐리어까지의 IQ 값이 패킷화되어 순차적으로 포함되며, 각각의 IQ 값을 나타내는 비트의 수는 30 비트 미만이 될 수 있다. IQ 값을 나타내는 비트의 수는 제1 PHY 엔티티와 제2 PHY 엔티티 간에 미리 설정될 수 있으며, 셀 셋업 시점에 설정될 수 있다.
도 16은 RE 비트맵 메시지의 구체적인 포맷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RE 비트맵 메시지(1600)는 각각의 RE에 대해 적용될 빔 가중치(beam weight)의 종류를 지시하는 가중치 인덱스를 포함할 수 있다. RE 비트맵 메시지(1600)의 데이터 필드(1610) 내의 페이로드(1615)는 첫번째 RB의 첫번째 심볼의 첫번째 RE에 대한 가중치 인덱스로부터 N 번째 RB의 14번째 심볼의 12번째 RE에 대한 가중치 인덱스까지 패킷화되어 순차적으로 포함될 수 있으며, RB의 크기 N은 제1 PHY 엔티티와 제2 PHY 엔티티 간에 미리 설정될 수 있으며, 셀 셋업 시점에 설정될 수 있다.
도 17은 PRB 비트맵 메시지의 구체적인 포맷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PRB 비트맵 메시지(1700)는 각각의 RB가 셀 특정적 빔포밍(cell-specific beamforming) 또는 단말 특정적 빔포밍(UE-specific beamforming)을 위해 사용되는지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PRB 비트맵 메시지(1700)의 데이터 필드(1710) 내의 페이로드(1715)는 첫번째 RB를 위한 셀-특정적 빔포밍 지시자로부터 N 번째 RB를 위한 셀-특정적 빔포밍 지시자까지 순차적으로 패킷화되어 포함될 수 있다. 셀-특정적 지시자는 1비트 길이로 0b 값은 단말-특정적 빔포밍을 지시하며 1b 값은 셀-특정적 빔포밍을 지시한다. RB의 크기 N은 제1 PHY 엔티티와 제2 PHY 엔티티 간에 미리 설정될 수 있으며, 셀 셋업 시점에 설정될 수 있다.
도 18은 스케쥴링 정보 메시지의 구체적인 포맷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스케쥴링 정보 메시지(1800)는 각각의 RB에 어떠한 단말이 할당되는지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스케쥴링 정보 메시지(1800)의 데이터 필드(1810) 내의 페이로드(1815)는 상향링크/하향링크 지시자로부터 시작되어 암호화(encapsulated)되며, 지시자의 0값은 하향링크를 나타내고 1 값은 상향링크를 나타낸다. 상향링크/하향링크 지시자에 이어서, 페이로드(1815)에는 첫번째 레이어에서 첫번째 RB에 할당된 단말 ID로부터 L번째 레이어에서 N 번째 RB에 할당된 단말 ID까지 순차적으로 패킷화되어 포함될 수 있다. RB의 크기 N과 레이어의 크기 L은 제1 PHY 엔티티와 제2 PHY 엔티티 간에 미리 설정될 수 있으며, 셀 셋업 시점에 설정될 수 있다.
도 19는 단말 채널 정보 메시지의 구체적인 포맷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단말 채널 정보 메시지(1900)는 특정한 단말의 채널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 채널 정보 메시지(1900)의 데이터 필드(1910) 내의 페이로드(1915)는 단말 ID, RB 위치, RB 크기 순서로 암호화되며, 단말 ID는 12비트로 특정 단말을 지시하고, RB 위치는 10 비트로 특정 단말의 SRS RB 위치를 지시하고, RB 크기는 10 비트로 특정 단말의 SRS RB 크기를 지시한다. 단말 ID, RB 위치, RB 크기에 이어서, 페이로드(1915)에는 첫번째 안테나의 RB 위치에 대한 IQ 값으로부터 M번째 안테나의 RB크기+RB위치에 대한 IQ 값까지 순차적으로 포함될 수 있다. 각각의 IQ 값을 나타내는 비트의 수는 30 비트 미만이 될 수 있고, IQ 값을 나타내는 비트의 크기와 안테나의 수 M은 제1 PHY 엔티티와 제2 PHY 엔티티 간에 미리 설정될 수 있으며, 셀 셋업 시점에 설정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앞서 도 11 내지 도 19에서 설명한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가 제1 PHY 엔티티와 제2 PHY 엔티티 간에 전달되는 과정을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0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와 관련된 물리 계층 메시지의 송수신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으로, 앞서 설명한 PRACH 메시지의 송수신 절차를 도시한다. 도 20에는 단말(2010), 제1 PHY 엔티티(즉, MMU, 2022), 제 2 PHY 엔티티(즉, LDU, 2024), CU(2026) 간의 송수신 절차가 도시된다. CU(2026)는 기지국(2020)의 물리계층을 제외한 적어도 하나의 계층을 담당하는 엔티티를 의미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CU(2026)는 MAC, RLC, PDCP, RRC 계층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담당하는 엔티티일 수 있다. 도 20에서 제1 PHY 엔티티(2022)와 제2 PHY 엔티티(2024)는 각각 기지국(2020)의 물리 계층 기능 중 적어도 일부를 담당하며, 제1 PHY 엔티티(2022)와 제2 PHY 엔티티(2024)가 함께 기지국(2020)의 물리계층 전체의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제1 PHY 엔티티(2022), 제2 PHY 엔티티(2024), CU(2026)가 연결되어 기지국(2020)의 전체 계층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도 20에서 단말(2010)은 기지국(2020)과의 초기접속을 위해 기지국(2020)으로 랜덤 액세스 프리엠블을 전송한다(2030). 단말(2010)이 기지국(2020)으로 전송하는 랜덤 액세스 프리엠블은 소정의 기준에 따라 선택된 PRACH 상에서 전송될 수 있다. 기지국(2020)의 RF 기능을 담당하는 제1 PHY 엔티티(2022)는 단말이(2010)이 전송한 랜덤 액세스 프리엠블을 수신하며, 도 6A에서 설명한 PHY-L 처리 블록(616)은 랜덤 액세스 프리엠블을 검출하기 위해 단말이 전송한 신호에 대해 PRACH 필터링을 수행한다. 이어서, 제1 PHY 엔티티(2022)는 제2 PHY 엔티티(2024)로 PRACH 메시지(2040)를 전송한다. 제1 PHY 엔티티(2022)가 전송하는 PRACH 메시지(2040)는 도 14에서 설명한 포맷을 가질 수 있다.
제2 PHY 엔티티(2024)는 수신한 PRACH 메시지(2040)를 처리하여 단말(2010)의 초기접속을 허용할 것인지 결정하며(2050), 단말의 접속이 허용되는 경우 RAR(random access response) 메시지(2060)를 단말(2010)로 전달하기 위해 제1 PHY 엔티티(2022)로 전송한다(2060). 이어서, 제1 PHY 엔티티(2022)는 랜덤 액세스 응답(RAR)을 단말(2010)로 전송할 수 있다(2070).
도 21은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 예와 관련된 물리 계층 메시지의 송수신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으로, 앞서 설명한 SRS 메시지의 송수신 절차를 도시한다. 도 21에는 단말(2110), 제1 PHY 엔티티(즉, MMU, 2122), 제 2 PHY 엔티티(즉, LDU, 2124), CU(2126) 간의 송수신 절차가 도시된다. CU(2126)는 기지국(2120)의 물리계층을 제외한 적어도 하나의 계층을 담당하는 엔티티를 의미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CU(2126)는 MAC, RLC, PDCP, RRC 계층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담당하는 엔티티일 수 있다. 도 21에서 제1 PHY 엔티티(2122)와 제2 PHY 엔티티(2124)는 각각 기지국(2120)의 물리 계층 기능 중 적어도 일부를 담당하며, 제1 PHY 엔티티(2122)와 제2 PHY 엔티티(2124)가 함께 기지국(2120)의 물리계층 전체의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제1 PHY 엔티티(2122), 제2 PHY 엔티티(2124), CU(2126)가 연결되어 기지국(2120)의 전체 계층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도 21에서 단말(2110)은 기지국(2120)이 상향링크 채널을 추정할 수 있도록 기지국(2120)으로 SRS를 전송한다(2130). 제1 PHY 엔티티(2122)는 단말(2110)이 전송한 SRS를 수신하며, 도 6B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SRS에 대한 처리는 제2 PHY 엔티티(2124)의 PHY-H 처리 블록(624)에 의해 수행되기 때문에, 제1 PHY 엔티티(2122)는 제2 PHY 엔티티(2124)로 자신이 수신한 SRS를 전달한다. 즉, 제1 PHY 엔티티(2122)는 제2 PHY 엔티티(2124)로 SRS 메시지를 전송한다(2140). 제1 PHY 엔티티(2122)가 전송하는 SRS 메시지(2140)는 도 15에서 설명한 포맷을 가질 수 있다.
제2 PHY 엔티티(2124)는 수신한 SRS 메시지(2140)를 처리함으로써 상향링크 채널을 추정할 수 있으며(2150), 이러한 과정은 도 6B에서 설명한 제2 PHY 엔티티(2124)의 PHY-H 처리 블록(624)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22는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 예와 관련된 물리 계층 메시지의 송수신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으로, 앞서 설명한 RE 비트맵 메시지, PRB 비트맵 메시지, 스케쥴링 정보 메시지, UE 채널 정보 메시지의 송수신 절차를 도시한다. 도 22에는 단말(2210), 제1 PHY 엔티티(즉, MMU, 2222), 제 2 PHY 엔티티(즉, LDU, 2224), CU(2226) 간의 송수신 절차가 도시된다. CU(2226)는 기지국(2220)의 물리계층을 제외한 적어도 하나의 계층을 담당하는 엔티티를 의미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CU(2226)는 MAC, RLC, PDCP, RRC 계층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담당하는 엔티티일 수 있다. 도 22에서 제1 PHY 엔티티(2222)와 제2 PHY 엔티티(2224)는 각각 기지국(2220)의 물리 계층 기능 중 적어도 일부를 담당하며, 제1 PHY 엔티티(2222)와 제2 PHY 엔티티(2224)가 함께 기지국(2220)의 물리계층 전체의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제1 PHY 엔티티(2222), 제2 PHY 엔티티(2224), CU(2226)가 연결되어 기지국(2220)의 전체 계층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도 22에서 제2 PHY 엔티티(2224)는 네트워크와 접속한 단말에 대한 제어 정보로써 RE 비트맵 메시지(2230), PRB 비트맵 메시지(2240), 스케쥴링 정보 메시지(2250), 단말 채널 정보 메시지(2260)를 제1 PHY 엔티티(2222)로 전송할 수 있다. 제2 PHY 엔티티(2224)는 도 22에 도시된 메시지들을 제1 PHY 엔티티(2222)로 함께 전송할 수 있으며, 각각의 메시지들을 독립적으로 다른 시점에 전송할 수도 있다. 또는, 제2 PHY 엔티티(2224)는 도 22에 도시된 메시지 중 RE 비트맵 메시지(2230)와 PRB 비트맵 메시지(2240)를 먼저 제1 PHY 엔티티(2222)로 전송하고, 스케쥴링 정보 메시지(2250)와 UE 채널 정보 메시지(2260)를 이어서 제1 PHY 엔티티(2222)로 전송하는 등 둘 이상의 일부 메시지를 먼저 전송하고 다른 메시지를 이어서 전송할 수도 있다.
한편, 제1 PHY 엔티티(2222)는 제2 PHY 엔티티(2224)로부터 수신한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단말로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빔포밍/프리코딩 웨이트(weight)를 결정할 수 있다(2270). 제1 PHY 엔티티(2222)는 제2 PHY 엔티티(2224)로부터 수신한 메시지 중 예를 들어 RE 비트맵 메시지와 PRB 비트맵 메시지에 기초하여 빔포밍/프리코딩 웨이트를 결정할 때, 스케쥴링 정보 메시지를 함께 고려하여 어떠한 무선 자원에 어떠한 단말이 할당되는지 참조할 수 있다. 또한, 제1 PHY 엔티티(2222)는 빔포밍/프리코딩 웨이트를 결정하는 과정에서 단말의 채널 정보 또한 함께 고려할 수 있다.
도 22의 실시 예에서, 제2 PHY 엔티티(2224)가 전송하는 RE 비트맵 메시지, PRB 비트맵 메시지, 스케쥴링 정보 메시지, UE 채널 정보 메시지는 각각 도 16 내지 도 19에서 설명한 포맷을 가질 수 있다.
도 23은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 예와 관련된 물리 계층 메시지의 송수신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으로, 앞서 설명한 하향링크 IQ 메시지의 송수신 절차를 도시한다. 도 23에는 단말(2310), 제1 PHY 엔티티(즉, MMU, 2322), 제 2 PHY 엔티티(즉, LDU, 2324), CU(2326) 간의 송수신 절차가 도시된다. CU(2326)는 기지국(2320)의 물리계층을 제외한 적어도 하나의 계층을 담당하는 엔티티를 의미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CU(2326)는 MAC, RLC, PDCP, RRC 계층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담당하는 엔티티일 수 있다. 도 23에서 제1 PHY 엔티티(2322)와 제2 PHY 엔티티(2324)는 각각 기지국(2320)의 물리 계층 기능 중 적어도 일부를 담당하며, 제1 PHY 엔티티(2322)와 제2 PHY 엔티티(2324)가 함께 기지국(2320)의 물리계층 전체의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제1 PHY 엔티티(2322), 제2 PHY 엔티티(2324), CU(2326)가 연결되어 기지국(2320)의 전체 계층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도 23에서 CU(2326)는 상위 계층으로부터 처리된 하향링크 사용자 데이터를 제2 PHY 엔티티(2324)로 전송하며(2330), 이러한 하향링크 사용자 데이터는 상위계층 기능을 담당하는 엔티티인 CU(2326)와 제2 PHY 엔티티(2324) 간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인터페이스는 F1 인터페이스라 불릴 수 있으며, 앞서 제1 PHY 엔티티와 제2 PHY 엔티티 간의 인터페이스를 프론트홀 인터페이스라 명명한 것을 참고하여 미드홀(mid-haul) 인터페이스라 불릴 수도 있다.
제2 PHY 엔티티(2324)는 수신한 하향링크 사용자 데이터를 IQ 데이터로 변환처리하고, 변환된 하향링크 IQ 메시지를 단말로 전송하기 위해 IQ 메시지를 제1 PHY 엔티티(2322)로 전송할 수 있다(2340). 제2 PHY 엔티티(2324)가 전송하는 IQ 메시지는 도 13에서 설명한 포맷을 가질 수 있으며, 제1 PHY 엔티티(2322)는 수신한 IQ 데이터에 기초하여 RF 신호를 생성하여 하향링크 신호를 단말(2310)로 전송할 수 있다(2350). 이때, 제1 PHY 엔티티(2322)는 앞서 도 22에서 설명한 절차에 따라 결정된 빔포밍/프리코딩 웨이트를 적용하여 신호를 생성하고 전송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24는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 예와 관련된 물리 계층 메시지의 송수신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으로, 앞서 설명한 상향링크 IQ 메시지의 송수신 절차를 도시한다. 도 24에는 단말(2410), 제1 PHY 엔티티(즉, MMU, 2422), 제 2 PHY 엔티티(즉, LDU, 2424), CU(2426) 간의 송수신 절차가 도시된다. CU(2426)는 기지국(2420)의 물리계층을 제외한 적어도 하나의 계층을 담당하는 엔티티를 의미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CU(2426)는 MAC, RLC, PDCP, RRC 계층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담당하는 엔티티일 수 있다. 도 24에서 제1 PHY 엔티티(2422)와 제2 PHY 엔티티(2424)는 각각 기지국(2420)의 물리 계층 기능 중 적어도 일부를 담당하며, 제1 PHY 엔티티(2422)와 제2 PHY 엔티티(2424)가 함께 기지국(2420)의 물리계층 전체의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제1 PHY 엔티티(2422), 제2 PHY 엔티티(2424), CU(2426)가 연결되어 기지국(2420)의 전체 계층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도 24에서 단말(2420)은 상향링크 신호를 생성하고 기지국(2420)으로 전송하며(2430), 기지국(2420)의 제1 PHY 엔티티(2422)는 수신한 신호를 IQ 데이터로 변환 처리한 후 제2 PHY 엔티티(2424)로 전송한다. 제1 PHY 엔티티(2422)는 IQ 데이터를 제2 PHY 엔티티(2424)로 전송하기 위해 IQ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으며(2440), 이러한 상향링크 IQ 메시지는 도 13에서 설명한 포맷을 따를 수 있다. 또한, 제1 PHY 엔티티(2422)는 단말(2410)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IQ 데이터로 변환하는 과정에서 앞서 도 22에서 설명한 절차에 따라 결정된 빔포밍/프리코딩 웨이트를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2 PHY 엔티티(2424)는 수신한 IQ 데이터를 처리한 뒤, 상향링크 사용자 데이터를 CU(2426)로 전송하며(2450), 이러한 상향링크 사용자 데이터는 상위계층 기능을 담당하는 엔티티인 CU(2426)와 제2 PHY 엔티티(2424) 간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인터페이스는 F1 인터페이스라 불릴 수 있으며, 앞서 제1 PHY 엔티티와 제2 PHY 엔티티 간의 인터페이스를 프론트홀 인터페이스라 명명한 것을 참고하여 미드홀(mid-haul) 인터페이스라 불릴 수도 있다.
한편, 본 개시와 도면에는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개시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그 내용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개시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 예 외에도 본 개시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Claims (15)

  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1 PHY(physical) 엔티티가 제2 PHY 엔티티와 통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2 PHY 엔티티와의 프론트홀(fronthaul) 인터페이스를 통해 메시지를 송신 또는 수신함으로써 상기 제2 PHY 엔티티와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PHY 엔티티는 기지국의 하위 물리계층 처리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제2 PHY 엔티티는 상기 기지국의 상위 물리계층 처리 동작을 수행하는 것인,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PHY 엔티티는 상기 하위 물리계층 처리 동작 및 RF(radio frequency) 신호 처리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하위 물리계층 처리 동작은 FFT(Fast Fourier Transform), CP(Cyclic Prefix) 추가/제거, 프리코딩, 빔포밍 또는 PRACH(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 필터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상위 물리계층 처리 동작은 채널 코딩/디코딩, 변조/복조, 레이어 매핑, RE(Resource Element) 매핑, 채널 추정 또는 PRACH 검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는 사용자 평면 메시지 및 제어 평면 메시지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평면 메시지는 하향링크 IQ(in-phase/quadrature) 메시지, 상향링크 IQ 메시지, SRS(sounding reference signal) 메시지 또는 PRACH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평면 메시지는 RE 비트맵 메시지, PRB(physical resource block) 비트맵 메시지, 스케쥴링 정보 메시지 또는 단말 채널 정보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평면 메시지의 종류는 서브타입 필드 값에 의해 지시되고,
    상기 제어 평면 메시지의 종류는 데이터 필드의 제어타입 필드 값과 상기 서브타입 필드 값에 의해 지시되는 것인, 방법.
  5.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2 PHY 엔티티와 통신하는 제1 PHY 엔티티에 있어서,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도록 설정되는 송수신부; 및
    제2 PHY 엔티티와의 프론트홀(fronthaul) 인터페이스를 통해 메시지를 송신 또는 수신함으로써 상기 제2 PHY 엔티티와 통신을 수행하도록 설정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PHY 엔티티는 기지국의 하위 물리계층 처리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제2 PHY 엔티티는 상기 기지국의 상위 물리계층 처리 동작을 수행하는 것인, 제1 PHY 엔티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PHY 엔티티는 상기 하위 물리계층 처리 동작 및 RF(radio frequency) 신호 처리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하위 물리계층 처리 동작은 FFT(Fast Fourier Transform), CP(Cyclic Prefix) 추가/제거, 프리코딩, 빔포밍 또는 PRACH(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 필터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상위 물리계층 처리 동작은 채널 코딩/디코딩, 변조/복조, 레이어 매핑, RE(Resource Element) 매핑, 채널 추정 또는 PRACH 검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제1 PHY 엔티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는 사용자 평면 메시지 및 제어 평면 메시지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평면 메시지는 하향링크 IQ(in-phase/quadrature) 메시지, 상향링크 IQ 메시지, SRS(sounding reference signal) 메시지 또는 PRACH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평면 메시지는 RE 비트맵 메시지, PRB(physical resource block) 비트맵 메시지, 스케쥴링 정보 메시지 또는 단말 채널 정보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제1 PHY 엔티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평면 메시지의 종류는 서브타입 필드 값에 의해 지시되고,
    상기 제어 평면 메시지의 종류는 데이터 필드의 제어타입 필드 값과 상기 서브타입 필드 값에 의해 지시되는 것인, 제1 PHY 엔티티.
  9.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2 PHY 엔티티가 제1 PHY 엔티티와 통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1 PHY 엔티티와의 프론트홀(fronthaul) 인터페이스를 통해 메시지를 송신 또는 수신함으로써 상기 제1 PHY 엔티티와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PHY 엔티티는 기지국의 하위 물리계층 처리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제2 PHY 엔티티는 상기 기지국의 상위 물리계층 처리 동작을 수행하는 것인,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PHY 엔티티는 상기 하위 물리계층 처리 동작 및 RF(radio frequency) 신호 처리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하위 물리계층 처리 동작은 FFT(Fast Fourier Transform), CP(Cyclic Prefix) 추가/제거, 프리코딩, 빔포밍 또는 PRACH(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 필터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상위 물리계층 처리 동작은 채널 코딩/디코딩, 변조/복조, 레이어 매핑, RE(Resource Element) 매핑, 채널 추정 또는 PRACH 검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는 사용자 평면 메시지 및 제어 평면 메시지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평면 메시지는 하향링크 IQ(in-phase/quadrature) 메시지, 상향링크 IQ 메시지, SRS(sounding reference signal) 메시지 또는 PRACH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평면 메시지는 RE 비트맵 메시지, PRB(physical resource block) 비트맵 메시지, 스케쥴링 정보 메시지 또는 단말 채널 정보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평면 메시지의 종류는 서브타입 필드 값에 의해 지시되고,
    상기 제어 평면 메시지의 종류는 데이터 필드의 제어타입 필드 값과 상기 서브타입 필드 값에 의해 지시되는 것인, 방법.
  12.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1 PHY 엔티티와 통신하는 제2 PHY 엔티티에 있어서,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도록 설정되는 송수신부; 및
    제1 PHY 엔티티와의 프론트홀(fronthaul) 인터페이스를 통해 메시지를 송신 또는 수신함으로써 상기 제1 PHY 엔티티와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PHY 엔티티는 기지국의 하위 물리계층 처리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제2 PHY 엔티티는 상기 기지국의 상위 물리계층 처리 동작을 수행하는 것인, 제2 PHY 엔티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PHY 엔티티는 상기 하위 물리계층 처리 동작 및 RF(radio frequency) 신호 처리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하위 물리계층 처리 동작은 FFT(Fast Fourier Transform), CP(Cyclic Prefix) 추가/제거, 프리코딩, 빔포밍 또는 PRACH(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 필터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상위 물리계층 처리 동작은 채널 코딩/디코딩, 변조/복조, 레이어 매핑, RE(Resource Element) 매핑, 채널 추정 또는 PRACH 검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제2 PHY 엔티티.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는 사용자 평면 메시지 및 제어 평면 메시지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평면 메시지는 하향링크 IQ(in-phase/quadrature) 메시지, 상향링크 IQ 메시지, SRS(sounding reference signal) 메시지 또는 PRACH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평면 메시지는 RE 비트맵 메시지, PRB(physical resource block) 비트맵 메시지, 스케쥴링 정보 메시지 또는 단말 채널 정보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제2 PHY 엔티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평면 메시지의 종류는 서브타입 필드 값에 의해 지시되고,
    상기 제어 평면 메시지의 종류는 데이터 필드의 제어타입 필드 값과 상기 서브타입 필드 값에 의해 지시되는 것인, 제2 PHY 엔티티.
KR1020207022215A 2018-01-08 2019-01-07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물리 계층 기능을 분리하는 방법 KR10264850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862614711P 2018-01-08 2018-01-08
US62/614,711 2018-01-08
PCT/KR2019/000224 WO2019135656A1 (ko) 2018-01-08 2019-01-07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물리 계층 기능을 분리하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8700A true KR20200098700A (ko) 2020-08-20
KR102648504B1 KR102648504B1 (ko) 2024-03-18

Family

ID=671436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2215A KR102648504B1 (ko) 2018-01-08 2019-01-07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물리 계층 기능을 분리하는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11456833B2 (ko)
EP (2) EP3723348B1 (ko)
KR (1) KR102648504B1 (ko)
CN (2) CN117220763A (ko)
WO (1) WO201913565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9240A (ko) * 2020-09-01 2022-03-08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무선 엑세스 네트워크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791690A4 (en) * 2018-05-07 2022-01-19 Mavenir Network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FRONT LINK COMPRESSION IN A CLOUD RAN
US11722269B2 (en) * 2018-10-03 2023-08-08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Compressing user data transmitted between a lower layer split central unit and a radio unit using bitmap representations
WO2020109892A1 (en) * 2018-11-30 2020-06-04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s for separating reference symbols and user data in a lower layer split
EP3888261A1 (en) * 2018-11-30 2021-10-06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Communicating using beamforming weights determined at a radio unit
US11546124B2 (en) 2019-10-11 2023-01-03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on using fronthaul interface
CN112203306B (zh) * 2020-10-09 2023-01-17 哲库科技(北京)有限公司 终端、通信方法、装置及存储介质
CN112636807B (zh) * 2020-12-29 2023-02-28 京信网络系统股份有限公司 基带拉远传输装置、基站、拉远覆盖单元及无线覆盖系统
WO2023164480A1 (en) * 2022-02-22 2023-08-31 Commscope Technologies Llc Fronthaul bandwidth reduction in radio access network
WO2023249356A1 (ko) * 2022-06-23 2023-12-28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프론트홀 전송을 위한 장치 및 방법
WO2024025172A1 (ko) * 2022-07-24 2024-02-01 삼성전자주식회사 프론트홀 인터페이스에서 srs 설정을 제공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97052B1 (en) * 2001-06-11 2007-03-27 Cisco Technology, Inc. Technique for interfacing MAC and physical layers of access networks
KR101674209B1 (ko) 2010-01-27 2016-11-08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장치와 rf 장치간에 이더넷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그 장치
KR101929516B1 (ko) * 2011-12-26 2018-12-1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방식의 신호 송신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장치
US10499409B2 (en) * 2012-02-02 2019-12-03 Genghiscomm Holdings, LLC Cooperative and parasitic radio access networks
EP3050397B1 (en) * 2013-09-24 2019-04-17 Andrew Wireless Systems GmbH Distributed processing in a centralized radio access network
US9596707B2 (en) 2014-03-13 2017-03-14 Intel Corporation Bearer mobility and splitting in a radio access network-based,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network having an integrated wireless local area network
KR102263688B1 (ko) 2014-10-07 2021-06-10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다른 무선 접속 기술을 이용한 다중 연결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10313208B2 (en) 2014-12-17 2019-06-04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Flexible assignment of network functions for radio access
BR112017012744A2 (pt) * 2014-12-17 2018-03-13 Ericsson Telefon Ab L M atribuição flexível de funções de rede para acesso via rádio
CN106134272B (zh) 2015-01-30 2020-01-31 华为技术有限公司 通信方法、网络设备、用户设备和通信系统
CN106031237A (zh) 2015-02-13 2016-10-12 瑞典爱立信有限公司 双连接的建立
US10383024B2 (en) * 2015-03-10 2019-08-13 Analog Devices, Inc. System and method for efficient fronthaul communication for wireless communication
EP3269118B8 (en) * 2015-03-11 2021-03-17 CommScope, Inc. of North Carolina Distributed radio access network with adaptive fronthaul
US10007634B2 (en) 2015-12-07 2018-06-26 Intel Corporation Method to enable intel mini-mezz open compute project (OCP) plug-and-play network phy cards
KR102118072B1 (ko) * 2015-12-17 2020-06-02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프로토콜 변환 방법 및 장치
EP3310123B1 (en) 2015-12-21 2019-11-06 Huawei Technologies Co., Ltd. Data transmission method, remote radio unit (rru) and baseband unit (bbu)
WO2017175606A1 (ja) * 2016-04-08 2017-10-12 株式会社Nttドコモ 中央集約装置と張出装置との間のインタフェース方法及び無線ネットワーク制御システム
WO2017196126A1 (en) 2016-05-12 2017-11-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Light connec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us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10995773B (zh) 2016-05-24 2021-01-05 华为技术有限公司 QoS控制方法及设备
US9999057B2 (en) * 2016-09-01 2018-06-12 Hon Hai Precision Industry Co., Ltd. Resource allocation method of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mechanism thereof
US10831760B2 (en) * 2016-09-13 2020-11-10 Viavi Solutions Inc. Data stream monitoring
US10886976B2 (en) * 2017-07-31 2021-01-05 Mavenir Network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flexible fronthaul physical layer split for cloud radio access networks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TR38.801 v14.0.0*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9240A (ko) * 2020-09-01 2022-03-08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무선 엑세스 네트워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8504B1 (ko) 2024-03-18
US20200358575A1 (en) 2020-11-12
EP3723348B1 (en) 2022-12-28
US11824626B2 (en) 2023-11-21
US11456833B2 (en) 2022-09-27
CN117220763A (zh) 2023-12-12
EP4167538A1 (en) 2023-04-19
WO2019135656A1 (ko) 2019-07-11
CN111567018B (zh) 2023-10-10
CN111567018A (zh) 2020-08-21
EP3723348A4 (en) 2020-12-09
US20220407593A1 (en) 2022-12-22
EP3723348A1 (en) 2020-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48504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물리 계층 기능을 분리하는 방법
US1197430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control messag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122405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llocating dynamic resources of integrated access and backhaul node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22077202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managing ml processing model
US11711194B2 (en) Multi-branch NOMA wireless communication
WO2018053692A1 (zh) 数据传输方法、装置及系统
WO2020029996A1 (zh) 检测dci的方法、配置pdcch的方法和通信装置
WO2020191587A1 (zh) 同步信号块传输方法、装置及存储介质
US11917648B2 (en)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for MIMO system
EP3847777B1 (en) Apparatus for signaling of control messages for fronthaul interface
WO2018230191A1 (ja) 送信装置、受信装置、送信方法、受信方法及び記録媒体
US20210243773A1 (en) Communication device
US11228667B2 (en) Base station, method, and device for data transmission
CN110278061A (zh) 一种被用于无线通信的用户设备、基站中的方法和装置
KR20200083049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20140602A (ko) V2x 통신에서 사이드 링크 측정을 수행하는 사용자 장치 및 방법
US10912077B2 (en) Base station and transmission method
TW201733297A (zh) 裝置及方法
WO2023236003A1 (en) Spatial multiplexing by backscatter device with multiple antennas
KR102673083B1 (ko) 통신 시스템의 스펙트럼 쉐어링을 위한 방법 및 장치
WO2021099008A1 (en) Scheduling and signalling communication resources
CN116633479A (zh) 波束训练方法及通信装置
CN117480750A (zh) 具有不同物理层优先级的上行链路控制信息增强型复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