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97928A - 진단이 용이한 반려동물 케어유닛 - Google Patents

진단이 용이한 반려동물 케어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97928A
KR20200097928A KR1020190015367A KR20190015367A KR20200097928A KR 20200097928 A KR20200097928 A KR 20200097928A KR 1020190015367 A KR1020190015367 A KR 1020190015367A KR 20190015367 A KR20190015367 A KR 20190015367A KR 20200097928 A KR20200097928 A KR 202000979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ompanion animal
internal space
humidity
car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53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38404B1 (ko
Inventor
정다운
Original Assignee
정다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다운 filed Critical 정다운
Priority to KR10201900153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8404B1/ko
Publication of KR202000979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79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84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84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9/00Other apparatus for animal husbandry
    • A01K29/005Monitoring or measuring activity, e.g. detecting heat or mat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047Air-conditioning, e.g. ventilation, of animal housings
    • A01K1/0076Arrangement of heaters or heat exchang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2Pigsties; Dog-kennels; Rabbit-hutches or the like
    • A01K1/03Housing for domestic or laboratory animals
    • A01K1/031Cages for laboratory animals; Cages for measuring metabolism of anim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DVETERINARY INSTRUMENTS, IMPLEMENTS, TOOLS, OR METHODS
    • A61D7/00Devices or methods for introducing solid, liquid, or gaseous remedies or other materials into or onto the bodies of anim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18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7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using laser ligh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3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single remote sour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28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associated with devices performing functions other than acoustics, e.g. electric candles
    • A61N2005/067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Zo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Epidemiology (AREA)
  • Multimedia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반려동물의 진단이 용이한 반려동물 케어유닛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이산화탄소감지 모듈과 영상카메라가 설치되어 반려동물의 존부 및 생존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반려동물 케어유닛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진단이 용이한 반려동물 케어유닛{Easy-to-diagnose Pet Care Unit}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반려동물의 진단이 용이한 반려동물 케어유닛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이산화탄소감지 모듈과 영상카메라가 설치되어 반려동물의 존부 및 생존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반려동물 케어유닛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최근 반려동물을 키우는 가정이 급속도로 늘어나면서 반려동물은 단순한 동물이 아닌 반려자로서 매우 소중한 존재가 되어 가고 있다. 즉, 가장 자연적이면서 인간과 의사를 소통하고 따뜻한 마음을 교감할 수 있는 반려동물이 이제는 가족 구성원의 일원으로 실내 공간에서 인간과 생활을 같이 하면서 반려동물의 수요가 급격하게 늘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사람들은 병을 치료하거나 예방하기 위해 반려동물을 병원에 데려가고, 미용실에도 데려가서 털을 예쁘게 깎거나, 매일 산책을 시켜주는 등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즉, 사람들은 모든 정성과 금전적인 비용을 들여 반려동물을 키우게 되며 마치 자식처럼 생각하게 되는 것이다.
반려동물용 케어유닛은 사람이 거주하는 공간 내에 마련되거나 동물병원 동물호텔 등에 마련되어 반려동물이 잠 또는 휴식을 취하거나 먹이를 먹거나 치료 회복을 받을 수 있는 장치로서 역할을 한다.
그런데, 종래의 반려동물 케어유닛은 계절 또는 케어유닛 주변의 온도에 따라 관리자가 일일이 케어유닛 내부의 환경을 만들어주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또한, 반려동물의 관리자 또는 주인은 반려동물이 동물병원 등에 입원해 있는 등의 사유로 자신이 반려동물과 떨어져 있는 경우 반려동물이 어떠한 상태로 있는지 확인하고 싶어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를 효과적으로 확인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한편, 반려동물이 동물병원 등에 입원해 있는 경우에 진단, 치료 또는 회복을 위한 케어유닛의 도입이 시급한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일 측면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내부에 거주하는 반려동물의 건강 상태를 적절한 시점에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반려동물 케어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반려동물의 행동에 따라 하우스 내부의 냉난방을 자동적으로 조절할 수 있으며, 관리자의 부재시에 반려동물의 영상을 관리자에게 전송하거나 저장매체에 별도로 저장함으로써, 관리자가 반려동물의 상태를 쉽게 확인할 수 있는 반려동물 케어유닛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위에 제기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반려동물을 케어하는 반려동물 케어유닛에 있어서, 반려동물이 거주할 수 있도록 내부공간이 형성된 본체부;
상기 내부공간의 온습도를 감지하기 위한 온습도감지부; 상기 내부공간의 습도를 감지하는 습도유지부; 상기 내부공간에 상기 반려동물의 유무를 확인하는 반려동물유무확인부;
상기 내부공간에 냉난방을 공급하는 냉난방공급부; 상기 내부공간에 살균을 수행하고, 상기 반려동물에 치료를 수행하는 레이저조사부; 상기 내부공간을 촬영하는 영상카메라부; 상기 반려동물에게 소리를 제공하는 음성스피커부; 및
상기 온습도감지부, 상기 반려동물유무확인부 및 상기 영상카메라부 각각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고, 이를 기초로 상기 레이저조사부와 상기 냉난방공급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반려동물 케어유닛을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상기 반려동물의 케어를 위하여 상기 내부공간에 음이온을 공급하는 음이온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반려동물의 체온을 감지하기 위한 체온감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체온감지부는 적외선 온도측정계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체온감지부는 상기 반려동물의 콧등 부위와 모피 부위를 구별하여 상기 콧등 부위의 체온을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체온감지부는 상기 내부공간의 상기 반려동물의 먹이통 또는 물통 위치에서 상기 콧등 부위의 온도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본체부는 내함과 하우징과 커버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내함의 전면측에 도어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습도유지부는 상기 내함의 외측 측면에 설치되고, 습도조절물통과 수분컨테이너를 포함하되, 상기 수분컨테이너는 상기 습도조절물통으로부터 물을 계속적으로 공급받아서 설정된 양만큼 상기 내부공간으로 수분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냉난방공급부는 한 쌍의 열전소자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열전소자 모듈은 각각 상기 내함의 외측 상면에 대각선 방향으로 대향하여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반려동물유무확인부는 상기 내부공간에 상기 반려동물의 유무 또는 생존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내부공간의 이산화탄소의 양을 감지하는 이산화탄소감지 모듈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내부에 거주하는 반려동물의 건강 상태를 적절한 시점에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반려동물 케어유닛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반려동물의 행동에 따라 하우스 내부의 냉난방을 자동적으로 조절할 수 있으며, 관리자의 부재시에 반려동물의 영상을 관리자에게 전송하거나 저장매체에 별도로 저장함으로써, 관리자가 반려동물의 상태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이외에도, 본 발명의 효과는 실시예에 따라서 우수한 범용성을 가지는 등 다양한 효과를 가지며, 그러한 효과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실시예의 설명 부분에서 명확하게 확인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전술된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케어유닛을 나타낸다.
도 2는 도 1의 반려동물 케어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반려동물 케어유닛의 상면을 나타내는 분해도이다.
도 4는 도 1의 반려동물 케어유닛의 우측면을 나타내는 분해도이다.
도 5는 도 1의 반려동물 케어유닛의 좌측면을 나타내는 분해도이다.
도 6은 도 1의 반려동물 케어유닛의 전면부를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케어유닛을 나타낸다. 도 2는 도 1의 반려동물 케어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반려동물 케어유닛의 상면을 나타내는 분해도이다.
도 4는 도 1의 반려동물 케어유닛의 우측면을 나타내는 분해도이다. 도 5는 도 1의 반려동물 케어유닛의 좌측면을 나타내는 분해도이다. 그리고 도 6은 도 1의 반려동물 케어유닛의 전면부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케어유닛은 반려동물이 거주할 수 있도록 내부공간이 형성된 본체부; 상기 내부공간의 온습도를 감지하기 위한 온습도감지부;
상기 내부공간의 습도를 감지하는 습도유지부; 상기 내부공간에 상기 반려동물의 유무를 확인하는 반려동물유무확인부; 상기 내부공간에 냉난방을 공급하는 냉난방공급부(110);
상기 내부공간에 살균을 수행하고, 상기 반려동물에 치료를 수행하는 레이저조사부; 상기 내부공간을 촬영하는 영상카메라(170); 상기 반려동물에게 소리를 제공하는 음성스피커부(185); 및
상기 온습도감지부, 상기 반려동물유무확인부 및 상기 영상카메라(170) 각각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고, 이를 기초로 상기 레이저조사부와 상기 냉난방공급부(110)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상기 반려동물의 케어를 위하여 상기 내부공간에 음이온을 공급하는 음이온생성부를 추가로 포함할 수도 있다. 음이온생성부는 음이온을 내부공간으로 생성시켜 반려동물의 모피를 살균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제어부는 온습도감지부, 반려동물유무확인부 및 영상카메라(170) 각각으로부터 측정 신호를 수신하며, 이를 기초로 습도유지부, 냉난방공급부(110), 음성스피커부(185), 음이온생성부 등을 작동시킬 수 있다.
사용자가 조작하기 위한 제어패널은 내함(100) 전면부 외측에 노출되어 설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내함(100) 전면부의 도어 상단에 제어패널이 설치될 수 있는 설치부(160)가 형성된다.
영상카메라부는 반려동물의 상태를 촬영하여 주인의 스마트기기로 전송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영상카메라부는 영상카메라와 카메라 지지대(180)와 영상전송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영상카메라는 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카메라 지지대(180)는 플레이트가 ㄷ 자 형상으로 절곡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구 형상의 영상카메라를 카메라 지지대(180)가 둘러싸며 지지하고, 카메라 지지대(180)의 양단이 내함 상면에 고정되는 형태로 영상카메라를 지지한다.
음성스피커부(185)는 MP3 모듈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반려동물이 심리적으로 편안함을 느낄 수 있도록 음악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음성스피커부(185)와 영상카메라(170)는 주인이 원격으로 케어유닛 내부의 반려동물과 화상통화를 가능하게 한다. 반려동물은 주인의 음성 또는 음악을 스피커를 통하여 듣고 편안함을 느낄 수 있으며, 주인은 이러한 상황을 영상카메라(170)를 통하여 확인할 수 있다.
내함(100)의 측면에는 공기순환장치가 설치될 수 있다. 공기순환장치의 일례를 설명하면, 내함(100)의 측면에 배기구(210)와 흡기구(220)가 각각 형성될 수 있으며, 배기구(210)에는 환풍팬이 설치될 수 있다. 하우징(200)의 상기 배기구(210) 및 흡기구(220)가 형성된 부분과 대응하는 하우징(200)의 일측면에는 공기소통 그릴(230)이 형성될 수 있다. 배기구(210)의 환풍팬이 강제로 케어유닛의 내부공간에 공기를 배출시키면 흡기구(220)를 통하여 자연적으로 신기가 흡입되는 구조이다.
이러한 구조는 케어유닛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기능을 한다. 즉, 내부의 습도가 높거나 이산화탄소 농도가 높을 때 제어부의 명령에 의하여 실내를 환기시킴으로써 내부를 쾌적하게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실시예에 따라서 온습도감지부와는 기능이 다른 체온감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온습도감지부는 케어유닛의 내부공간의 온습도를 측정하여 제어부로 송신하며, 제어부는 온습도감지부로부터 온습도 정보를 전송받아서 이를 기초로 냉난방공급부(110)를 작동시킬 수 있다.
반면에 체온감지부는 내부공간의 온도 측정이 아닌 반려동물의 체온을 측정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체온감지부는 적외선 온도측정계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체온감지부는 상기 반려동물의 콧등 부위와 모피 부위를 구별할 수 있으며, 반려동물의 모피 부위 대신에 상기 콧등 부위의 체온을 수집하여 반려동물의 체온을 측정할 수 있다.
반려동물의 모피 부위의 온도를 측정하는 것은 체온과는 오차가 크다. 반려동물의 체온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반려동물의 외부와 내부를 연결하는 콧등을 측정하는 것이 정확할 수 있다. 따라서 콧등 부위만을 타겟으로 이부분에 적외선을 조사하여 반려동물의 체온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것이다. 콧등 부위와 모피 부위를 구별하기 위해서는 난반사 여부를 검출하여 난반사가 발생하는 부분은 모피 부위로 판단하고 난반사가 발생하지 않는 부분은 콧등 부위로 판단하여 측정값을 수집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체온감지부는 상기 반려동물의 먹이통 또는 물통 위치에 위치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내부공간의 반려동물의 먹이통 또는 물통 위치에서 반려동물의 콧등 부위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체온감지부는 선택적으로 반려동물이 움직이는 경우 난반사 정도 등을 이용하여 콧등 부위를 찾아내어 측정할 수 있으며, 반려동물이 먹이나 물을 먹기 위해서 내부공간의 특정위치에 머무는 경우에는 해당 위치에 배치된 체온감지부가 반려동물의 콧등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체온감지부에 포함되는 체온감지센서는 내부공간에 복수 개가 설치될 수 있다.
케어유닛의 본체부는 내함(100)과 하우징(200)과 커버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내함(100)의 전면측에 도어부(150)가 형성되어 반려동물의 출입이 가능하다. 하우징(200)은 내함(100)을 둘러싸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양 단에 구멍이 뚤려 있는 형상일 수 있다. 하우징(200)의 일측단은 내함(100)이 결합되면서 내함(100)의 돌출된 도어부(150)가 폐쇄하고, 타측단은 커버부(300)가 폐쇄하는 방식으로 조립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습도유지부는 내함(100)의 외측 측면에 설치될 수 있다. 습도유지부는 습도조절물통(130)과 수분컨테이너(1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습도조절물통(130)은 물을 저장하는 물탱크의 일종이며, 수분컨테이너(140)는 용기에 스폰지 등 수분을 머금을 수 있는 재질을 담고 있는 구조로서 일정한 양의 수분이 계속 발산되도록 한다. 수분컨테이너(140)가 머금은 수분량이 일정 수준 이하로 떨어지면 수분컨테이너(140)는 수분조절물통으로부터 물을 공급받아서 충전할 수 있다. 수분컨테이너(140)는 상기 습도조절물통(130)으로부터 물을 계속적으로 공급받아서 설정된 양만큼 상기 내부공간으로 수분을 공급할 수 있는 것이다.
냉난방공급부(110)는 한 쌍의 열전소자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열전소자 모듈은 펠티에 소자에 열전달 구조와 팬이 조립되는 형태일 수 있다. 한 쌍의 열전소자 모듈은 각각 상기 내함(100)의 외측 상면에 대각선 방향으로 대향하여 설치될 수 있다.
내함(100)의 상면과 측면에는 각각 레이저조사부가 형성될 수 있다. 레이저조사부는 내함(100)의 상면과 측면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제1홈부(120)에 복수 개의 광원이 조립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레이저조사부는 저전력레이저를 천정과 양측면에서 내부를 향하여 조사함으로써 내부에 고르게 레이저가 조사될 수 있도록 한다. 그럼으로써 설정된 양만큼 정확하게 레이저가 조사될 수 있다.
내함(100)의 상면에는 레이저조사부가 설치되는 제1홈부(120)와는 별도로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제2홈부(190)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 제2홈부(190)에는 실내등 기능을 수행하는 LED 램프가 설치될 수 있다.
냉난방공급부(110)의 한 쌍의 열전소자는 내함(100)의 상면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레이저조사부가 설치되는 제1홈부(120)를 기준으로 양측에 대각선 방향의 대향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반려동물유무확인부는 상기 내부공간에 상기 반려동물의 유무 또는 생존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내부공간의 이산화탄소의 양을 감지하는 이산화탄소감지 모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케어유닛.
반려동물이 케어유닛의 내부공간에 있는지 여부는 이산화탄소감지 모듈 뿐만 아니라 영상카메라(170)를 통하여 확인할 수 있다. 즉, 영상카메라를 통하여 내부공간에 반려동물이 확인된 뒤에도 이산화탄소감지 모듈을 통하여 내부공간의 이산화탄소의 농도를 측정하여 반려동물의 생존 여부를 확인하는 등 반려동물의 건강상태를 측정할 수 있다. 수의사는 이산화탄소감지 모듈을 통하여 반려동물의 호흡이 원활한지 여부를 확인하여 산소치료의 착수시점을 결정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내함
110: 냉난방공급부
120: 레이저조사부 설치를 위한 제1홈부
130: 습도조절물통
140: 수분컨테이너
150: 도어부
160: 제어패널 설치부
170: 영상카메라
180: 영상카메라 지지대
185: 스피커부
190: 실내등 설치를 위한 제2홈부
200: 하우징
210: 배기구
220: 흡기구
230: 공기소통 그릴
300: 커버부

Claims (10)

  1. 반려동물을 케어하는 반려동물 케어유닛에 있어서,
    반려동물이 거주할 수 있도록 내부공간이 형성된 본체부;
    상기 내부공간의 온습도를 감지하기 위한 온습도감지부;
    상기 내부공간의 습도를 감지하는 습도유지부;
    상기 내부공간에 상기 반려동물의 유무를 확인하는 반려동물유무확인부;
    상기 내부공간에 냉난방을 공급하는 냉난방공급부;
    상기 내부공간에 살균을 수행하고, 상기 반려동물에 치료를 수행하는 레이저조사부;
    상기 내부공간을 촬영하는 영상카메라부;
    상기 반려동물에게 소리를 제공하는 음성스피커부; 및
    상기 온습도감지부, 상기 반려동물유무확인부 및 상기 영상카메라부 각각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고, 이를 기초로 상기 레이저조사부와 상기 냉난방공급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반려동물 케어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려동물의 케어를 위하여 상기 내부공간에 음이온을 공급하는 음이온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케어유닛.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려동물의 체온을 감지하기 위한 체온감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케어유닛.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체온감지부는 적외선 온도측정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케어유닛.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체온감지부는 상기 반려동물의 콧등 부위와 모피 부위를 구별하여 상기 콧등 부위의 체온을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케어유닛.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체온감지부는 상기 내부공간의 상기 반려동물의 먹이통 또는 물통 위치에서 상기 콧등 부위의 온도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케어유닛.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내함과 하우징과 커버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내함의 전면측에 도어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케어유닛.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습도유지부는 상기 내함의 외측 측면에 설치되고, 습도조절물통과 수분컨테이너를 포함하되, 상기 수분컨테이너는 상기 습도조절물통으로부터 물을 계속적으로 공급받아서 설정된 양만큼 상기 내부공간으로 수분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케어유닛.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냉난방공급부는 한 쌍의 열전소자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열전소자 모듈은 각각 상기 내함의 외측 상면에 대각선 방향으로 대향하여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케어유닛.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려동물유무확인부는 상기 내부공간에 상기 반려동물의 유무 또는 생존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내부공간의 이산화탄소의 양을 감지하는 이산화탄소감지 모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케어유닛.
KR1020190015367A 2019-02-11 2019-02-11 진단이 용이한 반려동물 케어유닛 KR1022384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5367A KR102238404B1 (ko) 2019-02-11 2019-02-11 진단이 용이한 반려동물 케어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5367A KR102238404B1 (ko) 2019-02-11 2019-02-11 진단이 용이한 반려동물 케어유닛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7928A true KR20200097928A (ko) 2020-08-20
KR102238404B1 KR102238404B1 (ko) 2021-04-08

Family

ID=722930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5367A KR102238404B1 (ko) 2019-02-11 2019-02-11 진단이 용이한 반려동물 케어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840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9115A (ko) * 2020-07-20 2020-11-17 난징 즈진 테크놀로지 이노베이션 서비스 센터 스마트 애완동물 사육 장치
KR20220055178A (ko) * 2020-10-26 2022-05-03 (주)메디너스코리아 애완동물용 인큐베이터
KR20220089572A (ko) 2020-12-21 2022-06-28 임청연 자동 반려동물 멀티 미용기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53133A (ko) 2022-04-28 2023-11-06 주식회사 카르만라인 반려동물용 사진촬영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5881Y1 (ko) * 2003-12-30 2004-03-22 김미라 애완동물 보관대
KR20120053441A (ko) * 2010-11-17 2012-05-25 김덕원 애완동물용 디지털 하우스
KR20170003154A (ko) * 2015-06-30 2017-01-09 김익환 동물관리용 자동제어시스템
KR20180051785A (ko) * 2016-11-09 2018-05-17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대가축 모니터링 시스템
KR101922697B1 (ko) * 2018-05-10 2018-11-27 김상길 무인 위탁 가능한 애완동물용 호텔 시스템 및 무인 위탁 가능한 애완동물용 호텔 시스템의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5881Y1 (ko) * 2003-12-30 2004-03-22 김미라 애완동물 보관대
KR20120053441A (ko) * 2010-11-17 2012-05-25 김덕원 애완동물용 디지털 하우스
KR20170003154A (ko) * 2015-06-30 2017-01-09 김익환 동물관리용 자동제어시스템
KR20180051785A (ko) * 2016-11-09 2018-05-17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대가축 모니터링 시스템
KR101922697B1 (ko) * 2018-05-10 2018-11-27 김상길 무인 위탁 가능한 애완동물용 호텔 시스템 및 무인 위탁 가능한 애완동물용 호텔 시스템의 제어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9115A (ko) * 2020-07-20 2020-11-17 난징 즈진 테크놀로지 이노베이션 서비스 센터 스마트 애완동물 사육 장치
KR20220055178A (ko) * 2020-10-26 2022-05-03 (주)메디너스코리아 애완동물용 인큐베이터
KR20220089572A (ko) 2020-12-21 2022-06-28 임청연 자동 반려동물 멀티 미용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8404B1 (ko) 2021-04-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38404B1 (ko) 진단이 용이한 반려동물 케어유닛
US9198402B2 (en) Small animal incubator with a removable drawer
US4332214A (en) Heated bed for animals
KR102220829B1 (ko) 스마트 기기에 의한 통신이 가능한 반려동물 케어유닛
KR102096181B1 (ko) 수면캡슐
KR20210014376A (ko) 스마트 펫 하우스
KR102238405B1 (ko) 반려동물 케어유닛의 컨트롤 패널
JPH1014429A (ja) 動物収容箱
CN111226821A (zh) 一种智能猫舍用实时数据监测系统
KR102098269B1 (ko) 온도조절부가 구비된 펫하우스
KR200268407Y1 (ko) 애완동물집
CN108926722A (zh) 图书杀菌装置及书架
KR20210090431A (ko) 반려동물 이송용 캐리어 어셈블리
KR102484210B1 (ko) 애완동물용 인큐베이터
KR20220059762A (ko) 생장 환경 제어가 가능한 곤충 사육 장치
CN205756324U (zh) 一种动物养殖箱
KR20200129786A (ko) 반려동물 냉난방 매트
KR102360606B1 (ko) 스마트 펫 하우스
GB2400564A (en) Hoodless incubator
KR102630141B1 (ko) 환기 제어시스템
KR20200097833A (ko) 펫 하우스
KR102514297B1 (ko) 살균 기능을 갖춘 조명 장치
Uemura Ventilation rate impacts on tom turkey temperature and performance
TWI755288B (zh) 太陽能自動溫控蜂箱
KR102127869B1 (ko) 레이저 치료기를 채용한 반려동물 하우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