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7869B1 - 레이저 치료기를 채용한 반려동물 하우스 - Google Patents

레이저 치료기를 채용한 반려동물 하우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7869B1
KR102127869B1 KR1020180136590A KR20180136590A KR102127869B1 KR 102127869 B1 KR102127869 B1 KR 102127869B1 KR 1020180136590 A KR1020180136590 A KR 1020180136590A KR 20180136590 A KR20180136590 A KR 20180136590A KR 102127869 B1 KR102127869 B1 KR 1021278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te
companion animal
laser
hous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65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53223A (ko
Inventor
정다운
Original Assignee
정다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다운 filed Critical 정다운
Priority to KR10201801365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7869B1/ko
Publication of KR202000532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32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78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78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2Pigsties; Dog-kennels; Rabbit-hutches or the like
    • A01K1/03Housing for domestic or laboratory animals
    • A01K1/031Cages for laboratory animals; Cages for measuring metabolism of anima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047Air-conditioning, e.g. ventilation, of animal housings
    • A01K1/0076Arrangement of heaters or heat exchang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047Air-conditioning, e.g. ventilation, of animal housings
    • A01K1/0082Water misting or cooling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005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for pharmaceuticals, biologicals or living parts
    • A61L2/0011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for pharmaceuticals, biologicals or living parts using physical methods
    • A61L2/0029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4Apparatus using programmed or automatic op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18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13Apparatus adapted for a specific treatment
    • A61N5/0624Apparatus adapted for a specific treatment for eliminating microbes, germs, bacteria on or in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7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using laser ligh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4Means for controlling sterilisation processes, data processing, presentation and storage means, e.g. sensors, controllers, programs
    • A61N2005/067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Zo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Pat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려동물이 거주할 수 있는 하우스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반려동물이 잠자는 시간을 동안 레이저를 이용하여 반려동물을 살균하며, 반려동물의 표피조직을 치료 치유할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레이저를 이용하여 반려동물의 하우스 내부를 살균 세척하고 반려동물의 털 속에 기생하는 세균을 박멸할 수 있으며, 반려동물의 상처를 치료하여 회복시킬 수 있는 반려동물용 하우스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레이저 치료기를 채용한 반려동물 하우스{Pet House}
본 발명은 반려동물이 거주할 수 있는 하우스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반려동물이 잠자는 시간을 동안 저출력 레이저를 이용하여 치료를 병행할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현대사회에서 생활수준의 향상과 핵가족화에 따른 독신가구의 증가에 따른 정서적 요구의 증대 등 다양한 이유로 반려동물에 대한 수요가 늘어가고 있으며, 이로 인해, 애견샵, 애견카페, 동물병원 등 반려동물과 관련된 관련업종들도 발전하고 있다.
가정에서 애견, 고양이 등 각종 반려동물을 기르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으며, 특히, 인구 도시 집중화에 따른 아파트와 같은 집단 공동주택에 있어서는, 개나 고양이 등과 같은 반려동물을 집 밖에서 키울 수 없음으로 인해 자연스럽게 사람과 함께 생활하면서 집안에서 반려동물을 키우게 된다.
또한, 애견삽, 애견카페, 동물병원 등에서는 여러 마리의 반려동물이 공동생활을 한다.
사람이 사는 실내 공간에 반려동물의 하우스를 배치하면 위생상 좋지 않다. 예를 들어 반려동물이 생활하는 공간, 즉 배설하고 잠자는 공간은 단순한 세척으로만 효과적인 살균이 이루어지지 않고, 평소에 하우스에서 발생하는 공기가 사람이 사는 공간에도 퍼져 사람에게 위생상 좋지 않은 문제점을 야기할 수 있다.
반려동물을 관리하는데 있어서, 털손질 등을 게을리하는 경우에는 털이 헝클어지고 더러워져서 각종 기생충과 박테리아가 서식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게 되고, 반려동물에게 피부질환이 발생하거나 건강상태가 나빠져서 치료비용이 늘어나는 문제가 생긴다.
이에, 반려동물 하우스를 사람이 사는 실내 공간과 떨어진 공간에 배치하는 것을 생각해 볼 수 있겠으나 그 경우 사람의 손길이 멀어져 반려동물의 위생상태를 살펴보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주기적으로 하우스의 내부 및 반려동물의 털 등에 서식하는 세균을 살균할 필요가 있지만 이에 대한 연구는 미진한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일 측면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레이저를 이용하여 반려동물의 하우스 내부를 살균 세척하고 반려동물의 털 속에 기생하는 세균을 박멸할 수 있으며, 반려동물의 상처를 치료할 수 있는 반려동물용 하우스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위에 제기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반려동물이 거주할 수 있도록 내부공간이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내부공간에 상기 반려동물이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이산화탄소감지부;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내부공간에서 상기 반려동물이 거동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모션감지부;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내부공간에 냉난방을 공급하는 냉난방공급부;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내부공간에 살균을 수행하고, 상기 반려동물에 살균을 수행하는 레이저생성부; 및
상기 이산화탄소감지부와 상기 모션감지부 각각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고, 이를 기초로 상기 레이저생성부와 상기 냉난방공급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살균 기능을 가지는 반려동물 하우스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하우징 내부의 이산화탄소 농도를 센싱하여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반려동물이 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반려동물 유무감지단계;
상기 유무감지단계 이후에 상기 하우징 내부의 상기 반려동물의 거동이 있는지 여부를 센싱하여,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상기 반려동물의 수면 여부를 감지하는 반려동물 수면감지단계;
상기 유무감지단계와 상기 수면감지단계를 종합하여 상기 반려동물이 상기 하우징 내부에 없는 제1 상태를 결정하거나, 상기 반려동물이 상기 하우징 내부에 있되 깨어있는 제2 상태를 결정하거나, 상기 반려동물이 상기 하우징 내부에 있되 수면중인 제3 상태를 결정하는 상태결정단계;
상기 상태결정단계를 통하여 상기 제1 상태인 경우 상기 하우징 내부를 살균하고, 상기 제2 상태인 경우 상기 반려동물을 살균하며, 상기 제3 상태인 경우는 살균을 수행하지 않는 살균제어단계;
를 포함하는 반려동물 하우징의 살균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레이저를 이용하여 반려동물의 하우스 내부를 살균 세척할 수 있고 반려동물의 털 속에 기생하는 세균을 박멸할 수 있는 반려동물용 하우스를 제공한다.
이외에도, 본 발명의 효과는 실시예에 따라서 우수한 범용성을 가지는 등 다양한 효과를 가지며, 그러한 효과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실시예의 설명 부분에서 명확하게 확인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전술된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하우스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하우징의 살균 제어 방법을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하우스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하우스(100)는 반려동물이 거주할 수 있도록 내부공간이 형성된 하우징(110);
상기 하우징(110)에 설치되어, 상기 내부공간에 상기 반려동물이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이산화탄소감지부;
상기 하우징(110)에 설치되어, 상기 내부공간에서 상기 반려동물이 거동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모션감지부; 상기 하우징(110)에 설치되어 상기 내부공간에 냉난방을 공급하는 냉난방공급부;
상기 하우징(110)의 내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내부공간에 멸균을 수행하고, 상기 반려동물에 살균을 수행하는 레이저생성부; 및
상기 이산화탄소감지부와 상기 모션감지부 각각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고, 이를 기초로 상기 레이저생성부와 상기 냉난방공급부를 제어하는 제어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산화탄소감지부는 반려동물 하우징(110)의 내부에 설치되며, 반려동물이 숨을 내쉴 때 방출하는 이산화탄소를 감지하여 반려동물이 하우징(110) 내부에 있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해준다. 이산화탄소감지부는 실시예에 따라서 비분산 적외선 방식으로 이산화탄소의 농도를 측정하고, 그 측정된 신호를 선형의 전류 또는 전압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120)에 전송하는 것일 수 있다.
모션감지부 역시 반려동물 하우징(110)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으며, 반려동물의 거동을 감지하여 반려동물이 하우징(110) 내부에서 거동하고 있는지 아니면 수면 중에 있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반려동물이 수면 중에 있다는 것의 의미는 반려동물이 아프거나 거동이 불편하여 움직이지 않고 가만히 있는 경우를 포함하는 의미이다. 따라서 잠을 자고 있는 경우로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예에 따라서 모션감지부는 마이크로웨이브 센서, PIR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냉난방공급부는 하우징(110) 내부 공간에 온풍 또는 냉풍을 공급하기 위해서 하우징(110)에 설치되는 냉난방공급시스템을 의미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냉난방공급부는 하우징(110) 내부로 외부의 공기를 유입시키거나 또는 하우징(110) 내부의 공기를 배출시키도록 기능하는 블로어와, 이 블로어에 의하여 생성되는 바람을 유도하는 바람유도부와, 상기 바람유도부에 설치되어 상기 바람유도부를 통과하는 공기를 가열하거나 냉각시키는 열전소자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 중 하나는 레이저생성부를 채용한 점에 있다. 레이저생성부는 실시예에 따라서 LED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레이저생성부는 저출력 레이저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저출력 레이저는 적색 근적외선 저출력 레이저로서 500mW 이내의 저출력을 이용하여 생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저출력 레이저는 파장이 600-1000nm 의 적색광에서부터 근적회선(NIR)에 이르는 레이저를 포함한다.
레이저생성부는 하우징(110)의 천장에 설치되어 하방향으로 레이저를 생성시켜 조사하는 구성일 수 있다. 레이저생성부는 조건에 따라서 두 종류의 레이저 즉, 강한 레이저 또는 약한 레이저를 선택적으로 생성 조사할 수 있다. 여기서 말한 조건은 후술할 제1 상태, 제2 상태를 의미한다.
레이저생성부는 강한 레이저를 조사하여 반려동물 하우징(110)의 내면을 소독할 수 있다. 반려동물 하우징(110)의 내면은 동물들의 배변으로 오염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반려동물이 하우징(110)의 내부에 들어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레이저생성부는 하우징(110) 내부를 소독할 수 있으며, 반려동물이 하우징(110) 내부에 들어 있는 경우에는 반려동물의 털을 살균할 수 있고, 반려동물의 만성 또는 급성 통증을 치료할 수 있으며, 반려동물의 표피 조직에 열손상을 주지 않으면서 필요한 영양분을 공급하고 단백질 생성을 촉진할 수 있다.
또한 반려동물의 표피 조직의 혈관 확장 및 표피 조직의 혈류량을 증가시킴으로써 탈모를 방지하고, 모낭세포에 산소와 영양분을 공급할 수 있다.
레이저생성부는 하우징(110)의 천정에 설치될 수 있으며, 유리커버 등으로 보호되어. 반려동물이 하우징(110) 내부에서 격하게 거동하더라도 파손되지 않도록 설치된다.
제어부(120)는 이산화탄소감지부와 모션감지부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이산화탄소감지부로부터는 반려동물이 숨을 내쉴 때 방출하는 이산화탄소의 양과 관련한 정보를 전송 받을 수 있고, 모션감지부로부터는 반려동물이 하우징(110) 내부공간에 있을 때 거동과 관련한 정보를 전송 받을 수 있다.
제어부(120)는 냉난방공급부와 레이저생성부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냉난방공급부에 제어신호를 전송하여 냉난방공급부가 냉방 또는 난방을 공급하도록 제어할 수 있고, 레이저생성부에 제어신호를 전송하여 레이저생성부가 하우징(110) 내부로 레이저를 생성하여 조사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제어부(120)는 이산화탄소감지부와 모션감지부 각각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반려동물이 하우징(110)의 내부공간에 있는지 여부 및 반려동물이 수면 중인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반려동물이 수면 중이라 함은 전술한 바와 같이 반려동물이 아프거나 피곤하여 거동을 하지 않는 비거동 상태를 포함한다.
제어부(120)는 반려동물이 하우징(110)의 내부공간에 없는 제1 상태, 반려동물이 하우징(110)의 내부공간에 있고 깨어있는 제2 상태 또는 상기 반려동물이 상기 내부공간에 있고 수면중인 제3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여기의 제1 상태는 제어부(120)가 이산화탄소감지부로부터 전송받은 신호를 분석한 결과, 하우징(110)의 내부 공간에 이산화탄소의 농도가 기준값 이하로 적은 경우 반려동물이 하우징(110) 내부에 없는 것으로 판단한 상태를 말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상태는 제어부(120)가 이산화탄소감지부로부터 하우징(110) 내부공간의 이산화탄소 농도가 기준값 이상으로 충분한 경우 반려동물이 하우징(110) 내무에 있는 것으로 판단하였고, 모션감지부로부터 거동이 감지되어 반려동물이 현재 깨어있다고 또는 거동하고 있다고 판단한 상태를 말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제3 상태는 제어부(120)가 이산화탄소감지부로부터 하우징(110) 내부공간의 이산화탄소 농도가 기준값 이상으로 많아서 반려동물이 하우징(110) 내부에 있다고 판단하였지만, 모션감지부에 의하여 반려동물의 거동이 감지되지 않아서 반려동물이 수면중에 있거나 아프거나 피곤해서 비거동 상태에 있다고 판단한 상태를 말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상기 제1 상태, 상기 제2 상태 및 상기 제3 상태 각각을 고려하여 레이저생성부와 냉난방공급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제1 상태로 결정한 경우, 상기 레이저생성부가 제1 기준값 이상의 레이저를 생성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2 상태로 결정한 경우, 상기 레이저생성부가 제2 기준값 이상 상기 제1 기준값 이하로 레이저를 생성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제3 상태로 결정한 경우, 상기 레이저생성부가 상기 제2 기준값 이하로 레이저를 생성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기준값은 제2 기준값보다 큰 값이다. 즉 제1 기준값 이상으로 레이저를 생성한다는 것과 제2 기준값 이상, 제1 기준값 이하로 레이저를 생성한다는 것은 전자가 후자보다 더 살균력이 강하게 레이저를 생성한다는 의미이다. 마찬가지로 제2 기준값 이상, 제1 기준값 이하로 레이저를 생성한다는 것과 제2 기준값 이하로 레이저를 생성한다는 것은 전자가 후자보다 더 살균력이 강하게 레이저를 생성한다는 의미이다. 레이저를 강하게 생성하기 위해서는 실시예에 따라서 레이저생성부에 더욱 높은 전압을 인가하는 등의 방법으로 가능하다.
제어부(120)는 반려동물이 하우징(110) 내부공간에 없는 제1 상태에서는 제어부(120)는 하우징(110) 내부 공간의 살균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20)는 레이저생성부를 강하게 구동시켜 반려동물이 하우스(100)에 들어오기 전에 하우징(110)의 내부공간을 살균한다. 반려동물이 내부공간에 없으므로 충분한 양의 레이저를 생성 조사하도록 제어한다. 하우징(110) 내부공간은 반려동물이 거주하는 곳이므로 자주 세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우징(110) 내부공간을 미리 청결히 함으로써 반려동물이 하우징(110)에 들어갔을 때 쾌적한 느낌을 가질 수 있다.
제어부(120)는 반려동물이 하우징(110) 내부공간에 들어가서 거동하는 제2 상태에서는 제1 상태보다는 적은 양의 레이저가 생성 조사되도록 레이저생성부를 제어한다. 반려동물이 하우징(110)의 내부 공간에 있으므로 제1 상태와 같이 강하게 레이저를 생성하면 반려동물에게 과도하게 살균력이 작용되어 반려동물이 오히려 불편함을 느낄 수 있다. 따라서 거동하는 반려동물에게 적절한 살균력이 제공되도록 하는 것이다.
제어부(120)는 반려동물이 하우징(110) 내부공간에 들어가서 비거동하는 제3 상태에서는 제2 상태보다 더 적은 양의 레이저가 생성 조사되도록 레이저생성부를 제어한다. 반려동물이 수면중인 경우 등 비거동 상태에서는 특정부위에 너무 집중적으로 레이저가 조사될 수 있다. 이는 반려동물에게 오히려 불쾌감을 줄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 더욱 적은 양의 레이저를 조사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제어부(120)는, 하우징(110)의 내부공간의 상태를 제2 상태로 결정한 경우에는 상기 제 1상태에서 상기 제 2상태로 변환된 시점부터 소정 시간 동안 상기 제2 기준값 이상, 상기 제1 기준값 이하로 레이저를 생성하도록 상기 레이저생성부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기준값은 제1 기준값보다 작은 값이다. 즉, 제2 기준값으로부터 제1 기준값까지의 범위 내에서 레이저가 생성되도록 레이저생성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는 상기 제어부(120)는, 하우징(110)의 내부공간의 상태를 제3 상태로 결정한 경우에는
상기 제 1상태에서 상기 제 3상태로 변환된 시점부터 소정 시간 동안 상기 제2 기준값 이하로 레이저를 생성하도록 상기 레이저생성부를 제어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제어부(120)는 제2 상태에서 제3 상태로 변환되는 경우는 레이저 생성을 억제할 수 있다.
반려동물이 스스로 하우스(100)에 들어가는 경우도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동물병원 같은 곳에서 사용하는 하우스(100)에는 보통 아픈 반려동물이 들어가는 경우도 있다. 전자의 경우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변환되는 경우이므로 그 변환시점부터 소정 시간 동안 레이저를 생성시킬 수 있고, 후자의 경우는 일반적으로 제1 상태에서 제3 상태로 변환되는 경우이므로 그 변환시점부터 소정 시간 동안 레이저를 생성시킬 수 있다. 전자 보다 후자의 경우 생성 조사되는 레이저의 양이 적다. 반려동물이 거동하는 경우에는 온 몸통에 골고루 레이저가 조사되지만 수면중인 경우는 몸통중 일부분만 집중적으로 레이저가 조사될 수 있으므로 조사되는 레이저의 양을 적게 하여 반려동물이 쾌적함을 느끼게 할 수 있다.
여기서 소정의 시간이란 약 10분 내지 15분 정도를 의미하며, 후자의 경우는 소정의 시간은 이보다 조금 더 적은 시간을 의미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제1 상태로 결정한 경우, 상기 냉난방공급부가 제1 온도범위 내에서 냉난방을 공급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2 상태로 결정한 경우, 상기 냉난방공급부가 제2 온도범위 내에서 냉난방을 공급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제3 상태로 결정한 경우, 상기 냉난방공급부가 제3 온도범위 내에서 냉난방을 공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제1 온도범위는 제2 온도범위를 포함하고, 제3 온도범위는 제2 온도범위보다 낮은 온도일 수 있다. 여기서 제1 온도범위는 예컨대 22도 내지 27도를 말할 수 있고, 제2 온도범위는 24도 내지 26도를 말할 수 있으며, 제3 온도범위는 22도 내지 23도를 말할 수 있다.
반려동물이 비거동 상태인 경우는 보통 수면 중인 상태이므로 온도범위는 거동상태일 때 보다 더 낮게 설정하는 것이 반려동물에게 쾌적한 느낌을 주게 되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는 반려동물이 거주할 수 있도록 내부공간이 형성된 하우징(110);
상기 하우징(110)에 설치되어, 상기 내부공간에 상기 반려동물이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이산화탄소감지부;
상기 하우징(110)에 설치되어, 상기 내부공간에서 상기 반려동물이 거동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모션감지부; 상기 하우징(110)에 설치되어 상기 내부공간에 냉난방을 공급하는 냉난방공급부;
상기 하우징(110)의 내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내부공간에 멸균을 수행하고, 상기 반려동물에 살균을 수행하는 레이저생성부;
상기 이산화탄소감지부와 상기 모션감지부 각각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고, 이를 기초로 상기 레이저생성부와 상기 냉난방공급부를 제어하는 제어부(120); 및
상기 반려동물의 상처가 회복되도록 저출력의 레이저를 조사하는 레이저조사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레이저조사부는 실시예에 따라서는 반려동물의 피부 또는 생체 내부를 회복시키거나 물리 치료를 위해서 레이저를 조사하는 구성으로서 조사되는 레이저는 저출력인 것이 바람직하다. 레이저조사부는 제어부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는 모션감지부와 이산화탄소감지부를 통하여 반려동물의 움직임 정보 등을 감지하여 설정된 시간 또는 간격으로 레이저조사부를 제어하여 레이저치료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반려동물 하우징의 살균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반려동물 하우징의 살균 제어 방법은 하우징 내부의 이산화탄소 농도를 센싱하여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반려동물이 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반려동물 유무감지단계;
상기 유무감지단계 이후에 상기 하우징 내부의 상기 반려동물의 거동이 있는지 여부를 센싱하여,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상기 반려동물의 수면 여부를 감지하는 수면감지단계(S110);
상기 유무감지단계(S100)와 상기 수면감지단계(S110)를 종합하여 상기 반려동물이 상기 하우징 내부에 없는 제1 상태를 결정하거나, 상기 반려동물이 상기 하우징 내부에 있되 깨어있는 제2 상태를 결정하거나, 상기 반려동물이 상기 하우징 내부에 있되 수면중인 제3 상태를 결정하는 상태결정단계(S120);
상기 상태결정단계(S120)를 통하여 상기 제1 상태인 경우 상기 하우징 내부를 강하게 살균하고, 상기 제2 상태인 경우 상기 반려동물을 약하게 살균하며, 상기 제3 상태인 경우는 상기 반려동물을 더 약하게 살균하는 살균제어단계(S1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살균 제어 방법은 전술한 반려동물 하우스(1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반려동물 하우스
110: 하우징
120: 제어부
S100: 반려동물 유무감지단계
S110: 반려동물 수면감지단계
S120: 상태결정단계
S130: 살균제어단계

Claims (8)

  1. 반려동물이 거주할 수 있도록 내부공간이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내부공간에 상기 반려동물이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이산화탄소감지부;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내부공간에서 상기 반려동물이 거동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모션감지부;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내부공간에 냉난방을 공급하는 냉난방공급부;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내부공간에 살균을 수행하고, 상기 반려동물에 치료를 수행하는 레이저생성부; 및
    상기 이산화탄소감지부와 상기 모션감지부 각각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고, 이를 기초로 상기 레이저생성부와 상기 냉난방공급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산화탄소감지부와 상기 모션감지부 각각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반려동물이 상기 내부공간에 있는지 여부 및 상기 반려동물의 수면 여부를 감지하고,
    상기 반려동물이 상기 내부공간에 없는 제1 상태, 상기 반려동물이 상기 내부공간에 있고 깨어있는 제2 상태 또는 상기 반려동물이 상기 내부공간에 있고 수면중인 제3 상태를 결정하며,
    상기 제1 상태, 상기 제2 상태 및 상기 제3 상태 각각을 고려하여 상기 레이저생성부와 상기 냉난방공급부를 제어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상태로 결정한 경우,
    상기 레이저생성부가 제1 기준값 이상의 레이저를 생성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2 상태로 결정한 경우,
    상기 레이저생성부가 제2 기준값 이상 상기 제1 기준값 이하로 레이저를 생성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제3 상태로 결정한 경우, 상기 레이저생성부가 상기 제2 기준값 이하로 레이저를 생성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1 상태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이산화탄소감지부로부터 전송받은 신호를 분석한 결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이산화탄소의 농도가 기준값 이하로 적은 경우 상기 반려동물이 상기 하우징 내부에 없는 것으로 판단한 상태를 의미하고,
    상기 제2 상태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이산화탄소감지부로부터 상기 하우징 내부공간의 이산화탄소 농도가 기준값 이상으로 충분한 경우 상기 반려동물이 상기 하우징 내부에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모션감지부로부터 거동이 감지되어 상기 반려동물이 현재 깨어있다고 또는 거동하고 있다고 판단한 상태를 의미하며,
    상기 제3 상태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이산화탄소감지부로부터 상기 하우징 내부공간의 이산화탄소 농도가 기준값 이상으로 많아서 상기 반려동물이 상기 하우징 내부에 있다고 판단하였지만, 상기 모션감지부에 의하여 상기 반려동물의 거동이 감지되지 않아서 상기 반려동물이 수면중에 있거나 아프거나 피곤해서 비거동 상태에 있다고 판단한 상태를 의미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반려동물이 상기 하우징 내부공간에 들어가서 거동하는 상기 제2 상태에서는 상기 제1 상태보다는 적은 양의 레이저가 생성 조사되도록 상기 레이저생성부를 제어하고,
    상기 반려동물이 수면중인 경우 등 비거동 상태에서는 특정부위에 너무 집중적으로 레이저가 조사되어 상기 반려동물에게 불쾌감을 주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반려동물이 거동하는 경우에는 온 몸통에 골고루 레이저가 조사되지만 수면중인 경우는 몸통중 일부분만 집중적으로 레이저가 조사되므로 이 경우 조사되는 레이저의 양을 적게 하여 반려동물이 쾌적함을 느끼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반려동물이 상기 하우징 내부공간에 들어가서 비거동하는 상기 제3 상태에서는 상기 제2 상태보다 더 적은 양의 레이저가 생성 조사되도록 상기 레이저생성부를 제어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상태로 결정한 경우,
    상기 제 1상태에서 상기 제 2상태로 변환된 시점부터 소정 시간 동안 상기 제2 기준값 이상, 상기 제1 기준값 이하로 레이저를 생성하도록 상기 레이저생성부를 제어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3 상태로 결정한 경우,
    상기 제 1상태에서 상기 제 3상태로 변환된 시점부터 소정 시간 동안 상기 제2 기준값 이하로 레이저를 생성하도록 상기 레이저생성부를 제어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상태로 결정한 경우, 상기 냉난방공급부가 제1 온도범위 내에서 냉난방을 공급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2 상태로 결정한 경우, 상기 냉난방공급부가 제2 온도범위 내에서 냉난방을 공급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제3 상태로 결정한 경우, 상기 냉난방공급부가 제3 온도범위 내에서 냉난방을 공급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1 온도범위는 상기 제2 온도범위를 포함하고, 상기 제3 온도범위는 상기 제2 온도범위보다 낮은 온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 치료 기능을 가지는 반려동물 하우스.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80136590A 2018-11-08 2018-11-08 레이저 치료기를 채용한 반려동물 하우스 KR1021278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6590A KR102127869B1 (ko) 2018-11-08 2018-11-08 레이저 치료기를 채용한 반려동물 하우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6590A KR102127869B1 (ko) 2018-11-08 2018-11-08 레이저 치료기를 채용한 반려동물 하우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3223A KR20200053223A (ko) 2020-05-18
KR102127869B1 true KR102127869B1 (ko) 2020-06-29

Family

ID=709127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6590A KR102127869B1 (ko) 2018-11-08 2018-11-08 레이저 치료기를 채용한 반려동물 하우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786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5552Y1 (ko) 2017-08-31 2018-01-24 박희철 애완동물용 돌침대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6009B1 (ko) * 2014-11-08 2016-07-04 최유필 애완동물 케어 시스템
KR101905092B1 (ko) * 2016-02-22 2018-11-28 열사람 주식회사 반려동물용 체온 관리 장치
KR101845359B1 (ko) * 2016-08-03 2018-04-12 주식회사 제이컨텐츠 반려동물용 케어 시스템
KR20180017413A (ko) * 2016-08-09 2018-02-21 이원석 스마트 펫하우스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5552Y1 (ko) 2017-08-31 2018-01-24 박희철 애완동물용 돌침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3223A (ko) 2020-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35378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tection, Treatment, Prevention, and Protection
KR102238404B1 (ko) 진단이 용이한 반려동물 케어유닛
CN112034757B (zh) 一种消毒控制方法、装置、空气消毒器及可读存储介质
KR20160070195A (ko) 공간 개방형 살균소독 시스템
KR20180017413A (ko) 스마트 펫하우스
KR102127869B1 (ko) 레이저 치료기를 채용한 반려동물 하우스
JPH1014429A (ja) 動物収容箱
KR20110077421A (ko) 감지센서와 연계된 살균 정화장치
KR20200118982A (ko) 스마트 반려동물 에코 하우스
KR200300258Y1 (ko) 애완동물용 인큐베이터
KR20220071998A (ko) 반려동물용 온열 마사지기
KR102238405B1 (ko) 반려동물 케어유닛의 컨트롤 패널
KR20210099786A (ko) 4가지 파장을 조합한 반려동물 전용 led 살균 및 미용 조사 시스템
KR102360606B1 (ko) 스마트 펫 하우스
KR102522292B1 (ko) 착탈이 용이한 근적외선 좌욕기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2328366B1 (ko) 반려 동물의 헬스 케어 장치
KR102382559B1 (ko) 레이저를 이용한 자동 손소독장치
TWM520245U (zh) 寵物屋結構
CN115474797B (zh) 一种基于智能床垫的杀菌方法及相关产品
KR200436201Y1 (ko) 자동 온/오프 스위치가 구비된 저출력 레이저 조사기
TWM620337U (zh) 用於友善環境的殺菌系統
JP3135501U (ja) 殺菌装置内蔵温熱健康器具
Chi et al. Application of Aging-Appropriate Smart Home in Indoor Living Space
TW202101352A (zh) 運用物聯網的智慧殺菌系統
KR20230091208A (ko) 사용자 최적모드 분석형 인공지능 욕실케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