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97925A - 스마트 기기에 의한 통신이 가능한 반려동물 케어유닛 - Google Patents

스마트 기기에 의한 통신이 가능한 반려동물 케어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97925A
KR20200097925A KR1020190015362A KR20190015362A KR20200097925A KR 20200097925 A KR20200097925 A KR 20200097925A KR 1020190015362 A KR1020190015362 A KR 1020190015362A KR 20190015362 A KR20190015362 A KR 20190015362A KR 20200097925 A KR20200097925 A KR 202000979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anion animal
unit
care unit
internal space
compan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53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20829B1 (ko
Inventor
정다운
Original Assignee
정다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다운 filed Critical 정다운
Priority to KR10201900153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0829B1/ko
Publication of KR202000979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79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08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08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9/00Other apparatus for animal husbandry
    • A01K29/005Monitoring or measuring activity, e.g. detecting heat or mat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15Floor coverings, e.g. bedding-down sheets ; Stable floors
    • A01K1/0158Floor heating or cooling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DVETERINARY INSTRUMENTS, IMPLEMENTS, TOOLS, OR METHODS
    • A61D7/00Devices or methods for introducing solid, liquid, or gaseous remedies or other materials into or onto the bodies of anim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18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7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using laser ligh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G03B17/561Support related camera access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H04N5/2257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28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associated with devices performing functions other than acoustics, e.g. electric candles
    • A61N2005/067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Zoology (AREA)
  • Pathology (AREA)
  • Multimedia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Epidemi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스마트 기기에 의한 통신이 가능한 반려동물 케어유닛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반려동물 케어유닛에 주인의 스마트 기기와 연동가능한 통신 장치가 설치되어 주인이 원격으로 반려동물을 케어할 수 있는 반려동물 케어유닛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반려동물이 주인과 떨어져 있더라도 주인이 실시간으로 반려동물을 케어할 수 있게 함으로써 반려동물이 불안감이나 우울감을 느끼지 않도록 하는 반려동물 케어유닛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스마트 기기에 의한 통신이 가능한 반려동물 케어유닛{Pet Care Unit That Can Communicate by Smart Device}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스마트 기기에 의한 통신이 가능한 반려동물 케어유닛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반려동물 케어유닛에 주인의 스마트 기기와 연동가능한 통신 장치가 설치되어 주인이 원격으로 반려동물을 케어할 수 있는 반려동물 케어유닛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최근 반려동물을 키우는 가정이 급속도로 늘어나면서 반려동물은 단순한 동물이 아닌 반려자로서 매우 소중한 존재가 되어 가고 있다. 즉, 가장 자연적이면서 인간과 의사를 소통하고 따뜻한 마음을 교감할 수 있는 반려동물이 이제는 가족 구성원의 일원으로 실내 공간에서 인간과 생활을 같이 하면서 반려동물의 수요가 급격하게 늘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사람들은 병을 치료하거나 예방하기 위해 반려동물을 병원에 데려가고, 미용실에도 데려가서 털을 예쁘게 깎거나, 매일 산책을 시켜주는 등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즉, 사람들은 모든 정성과 금전적인 비용을 들여 반려동물을 키우게 되며 마치 자식처럼 생각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관계로 가까운 거리는 반려동물을 데리고 외출하는 경우가 빈번하지만 그와 반대로 장시간의 외출이나 특정 장소로 반려동물을 데리고 나갈 수 없는 경우가 자주 발생한다.
현대인들은 혼자 사는 사람들이나 맞벌이 부부가 많기 때문에 사람들이 직장에 있는 동안 반려동물이 집에 혼자 남게 되는 경우가 많이 생기고 있다. 다시 말해, 외출이 잦은 현대인의 생활 양상으로 인해 반려동물이 빈집에 방치되고 있는 상황이 늘어나고 있어 분리 불안 증세와 같은 반려동물의 정서적 문제가 가정 내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개 또는 고양이와 같은 반려동물은 혼자서 스트레스를 받아 불안해지거나 우울증에 걸리는 등 병에 걸리기 쉽다.
특히, 반려동물이 병에 걸리는 등 아픈 경우 동물병원에 입원하게 되는데 사람과 같은 심리를 갖고 있는 반려동물은 심리적으로 불안감, 우울감을 느끼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상황에서, 반려동물의 주인이 집 밖에 있을 때나, 반려동물이 동물병원 등에 입원하여 주인과 떨어져 있는 경우에도 주인이 반려동물의 상태를 확인하고, 반려동물과 주인의 잦은 교감을 제공함으로써 반려동물을 마치 옆에 있는 것처럼 보호하는 것이 요청된다.
즉, 원격으로 반려동물과 언제든지 어디서든지 마주보고 대화할 수 있는 정보통신기술(ICT: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y) 기기의 도입이 시급한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일 측면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반려동물이 주인과 떨어져 있더라도 주인이 실시간으로 반려동물을 케어할 수 있게 함으로써 반려동물이 불안감이나 우울감을 느끼지 않도록 하는 반려동물 케어유닛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위에 제기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반려동물을 케어하는 반려동물 케어유닛에 있어서, 반려동물이 거주할 수 있도록 내부공간이 형성된 본체부;
상기 내부공간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온도감지부; 상기 내부공간의 습도를 유지시키는 습도유지부; 상기 내부공간에 상기 반려동물의 유무를 확인하는 이산화탄소감지부;
상기 내부공간에 냉난방을 공급하는 냉난방공급부; 상기 내부공간에 살균을 수행하고, 상기 반려동물에 치료를 수행하는 레이저조사부; 상기 내부공간을 촬영하는 영상카메라부; 상기 반려동물에게 소리를 제공하는 음성스피커부; 및
상기 영상카메라부를 제어하여 상기 반려동물을 촬영한 영상정보 또는 음성정보를 스마트기기로 전송하고, 상기 음성스피커부를 제어하여 상기 스마트기기로부터 상기 반려동물에게 소리정보를 전달하는 통신제어모듈;을 포함하는 반려동물 케어유닛을 제공한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상기 영상카메라부는 영상카메라와 카메라 지지대를 포함하되, 상기 영상카메라는 구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카메라 지지대는 ㄷ 자 형상으로 절곡 형성되어 상기 영상카메라를 둘러싸며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영상카메라부는 상기 본체부 상면의 귀퉁이에 위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반려동물 케어유닛은 상기 반려동물에게 외부로부터의 영상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모니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영상카메라부는 마이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니터부는 상기 반려동물이 인식할 수 있는 색체로 구성된 영상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영상카메라부는 상기 반려동물이 이미 설정된 행동패턴을 보이는 경우에 촬영을 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영상카메라부는 상기 반려동물이 특정 패턴의 행동을 보이는 경우 해당 특정 패턴이 반복된다면 이를 인지하고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영상카메라부는 상기 인지하고 저장한 후에 다시 상기 특정 패턴의 행동을 인지하면 주인에게 영상통화를 시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통신제어모듈은 상기 스마트기기로부터 명령을 전달받아서 상기 음성스피커부를 제어하여 상기 반려동물의 가청주파수 영역 대의 음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음성스피커부의 음성출력은 페이드 인 방식으로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반려동물이 주인과 떨어져 있더라도 주인이 실시간으로 반려동물을 케어할 수 있게 함으로써 반려동물이 불안감이나 우울감을 느끼지 않도록 하는 반려동물 케어유닛을 제공할 수 있다.
이외에도, 본 발명의 효과는 실시예에 따라서 우수한 범용성을 가지는 등 다양한 효과를 가지며, 그러한 효과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실시예의 설명 부분에서 명확하게 확인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전술된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케어유닛을 나타낸다.
도 2는 도 1의 반려동물 케어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반려동물 케어유닛의 상면을 나타내는 분해도이다.
도 4는 도 1의 반려동물 케어유닛의 우측면을 나타내는 분해도이다.
도 5는 도 1의 반려동물 케어유닛의 좌측면을 나타내는 분해도이다.
도 6은 도 1의 반려동물 케어유닛의 전면부를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케어유닛을 나타낸다. 도 2는 도 1의 반려동물 케어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반려동물 케어유닛의 상면을 나타내는 분해도이다.
도 4는 도 1의 반려동물 케어유닛의 우측면을 나타내는 분해도이다. 도 5는 도 1의 반려동물 케어유닛의 좌측면을 나타내는 분해도이다. 그리고 도 6은 도 1의 반려동물 케어유닛의 전면부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케어유닛은 반려동물이 거주할 수 있도록 내부공간이 형성된 본체부; 상기 내부공간의 온습도를 감지하기 위한 온습도감지부;
상기 내부공간의 습도를 감지하는 습도유지부; 상기 내부공간에 상기 반려동물의 유무를 확인하는 반려동물유무확인부; 상기 내부공간에 냉난방을 공급하는 냉난방공급부(110);
상기 내부공간에 살균을 수행하고, 상기 반려동물에 치료를 수행하는 레이저조사부; 상기 내부공간을 촬영하는 영상카메라(170); 상기 반려동물에게 소리를 제공하는 음성스피커부(185); 및
상기 온습도감지부, 상기 반려동물유무확인부 및 상기 영상카메라(170) 각각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고, 이를 기초로 상기 레이저조사부와 상기 냉난방공급부(110)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상기 반려동물의 케어를 위하여 상기 내부공간에 음이온을 공급하는 음이온생성부를 추가로 포함할 수도 있다. 음이온생성부는 음이온을 내부공간으로 생성시켜 반려동물의 모피를 살균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제어부는 온습도감지부, 반려동물유무확인부 및 영상카메라(170) 각각으로부터 측정 신호를 수신하며, 이를 기초로 습도유지부, 냉난방공급부(110), 음성스피커부(185), 음이온생성부 등을 작동시킬 수 있다.
사용자가 조작하기 위한 제어패널은 내함(100) 전면부 외측에 노출되어 설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내함(100) 전면부의 도어 상단에 제어패널이 설치될 수 있는 설치부(160)가 형성된다.
영상카메라부는 반려동물의 상태를 촬영하여 주인의 스마트기기로 전송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영상카메라부는 영상카메라와 카메라 지지대(180)와 영상전송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영상카메라는 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카메라 지지대(180)는 플레이트가 ㄷ 자 형상으로 절곡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구 형상의 영상카메라를 카메라 지지대(180)가 둘러싸며 지지하고, 카메라 지지대(180)의 양단이 내함 상면에 고정되는 형태로 영상카메라를 지지한다.
음성스피커부(185)는 MP3 모듈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반려동물이 심리적으로 편안함을 느낄 수 있도록 음악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음성스피커부(185)와 영상카메라(170)는 주인이 원격으로 케어유닛 내부의 반려동물과 화상통화를 가능하게 한다. 반려동물은 주인의 음성 또는 음악을 스피커를 통하여 듣고 편안함을 느낄 수 있으며, 주인은 이러한 상황을 영상카메라(170)를 통하여 확인할 수 있다.
내함(100)의 측면에는 공기순환장치가 설치될 수 있다. 공기순환장치의 일례를 설명하면, 내함(100)의 측면에 배기구(210)와 흡기구(220)가 각각 형성될 수 있으며, 배기구(210)에는 환풍팬이 설치될 수 있다. 하우징(200)의 상기 배기구(210) 및 흡기구(220)가 형성된 부분과 대응하는 하우징(200)의 일측면에는 공기소통 그릴(230)이 형성될 수 있다. 배기구(210)의 환풍팬이 강제로 케어유닛의 내부공간에 공기를 배출시키면 흡기구(220)를 통하여 자연적으로 신기가 흡입되는 구조이다.
이러한 구조는 케어유닛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기능을 한다. 즉, 내부의 습도가 높거나 이산화탄소 농도가 높을 때 제어부의 명령에 의하여 실내를 환기시킴으로써 내부를 쾌적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산화탄소감지부는 케어유닛의 실내의 이산화탄소 농도를 측정하며, 제어부는 이산화탄소감지부의 측정신호를 기초로 실내에 배기구를 작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실시예에 따라서 온습도감지부와는 기능이 다른 체온감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온습도감지부는 케어유닛의 내부공간의 온습도를 측정하여 제어부로 송신하며, 제어부는 온습도감지부로부터 온습도 정보를 전송받아서 이를 기초로 냉난방공급부(110)를 작동시킬 수 있다.
반면에 체온감지부는 내부공간의 온도 측정이 아닌 반려동물의 체온을 측정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체온감지부는 적외선 온도측정계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체온감지부는 상기 반려동물의 콧등 부위와 모피 부위를 구별할 수 있으며, 반려동물의 모피 부위 대신에 상기 콧등 부위의 체온을 수집하여 반려동물의 체온을 측정할 수 있다.
반려동물의 모피 부위의 온도를 측정하는 것은 체온과는 오차가 크다. 반려동물의 체온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반려동물의 외부와 내부를 연결하는 콧등을 측정하는 것이 정확할 수 있다. 따라서 콧등 부위만을 타겟으로 이부분에 적외선을 조사하여 반려동물의 체온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것이다. 콧등 부위와 모피 부위를 구별하기 위해서는 난반사 여부를 검출하여 난반사가 발생하는 부분은 모피 부위로 판단하고 난반사가 발생하지 않는 부분은 콧등 부위로 판단하여 측정값을 수집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체온감지부는 상기 반려동물의 먹이통 또는 물통 위치에 위치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내부공간의 반려동물의 먹이통 또는 물통 위치에서 반려동물의 콧등 부위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체온감지부는 선택적으로 반려동물이 움직이는 경우 난반사 정도 등을 이용하여 콧등 부위를 찾아내어 측정할 수 있으며, 반려동물이 먹이나 물을 먹기 위해서 내부공간의 특정위치에 머무는 경우에는 해당 위치에 배치된 체온감지부가 반려동물의 콧등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체온감지부에 포함되는 체온감지센서는 내부공간에 복수 개가 설치될 수 있다.
케어유닛의 본체부는 내함(100)과 하우징(200)과 커버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내함(100)의 전면측에 도어부(150)가 형성되어 반려동물의 출입이 가능하다. 하우징(200)은 내함(100)을 둘러싸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양 단에 구멍이 뚤려 있는 형상일 수 있다. 하우징(200)의 일측단은 내함(100)이 결합되면서 내함(100)의 돌출된 도어부(150)가 폐쇄하고, 타측단은 커버부(300)가 폐쇄하는 방식으로 조립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습도유지부는 내함(100)의 외측 측면에 설치될 수 있다. 습도유지부는 습도조절물통(130)과 수분컨테이너(1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습도조절물통(130)은 물을 저장하는 물탱크의 일종이며, 수분컨테이너(140)는 용기에 스폰지 등 수분을 머금을 수 있는 재질을 담고 있는 구조로서 일정한 양의 수분이 계속 발산되도록 한다. 수분컨테이너(140)가 머금은 수분량이 일정 수준 이하로 떨어지면 수분컨테이너(140)는 수분조절물통으로부터 물을 공급받아서 충전할 수 있다. 수분컨테이너(140)는 상기 습도조절물통(130)으로부터 물을 계속적으로 공급받아서 설정된 양만큼 상기 내부공간으로 수분을 공급할 수 있는 것이다.
냉난방공급부(110)는 한 쌍의 열전소자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열전소자 모듈은 펠티에 소자에 열전달 구조와 팬이 조립되는 형태일 수 있다. 한 쌍의 열전소자 모듈은 각각 상기 내함(100)의 외측 상면에 대각선 방향으로 대향하여 설치될 수 있다.
내함(100)의 상면과 측면에는 각각 레이저조사부가 형성될 수 있다. 레이저조사부는 내함(100)의 상면과 측면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제1홈부(120)에 복수 개의 광원이 조립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레이저조사부는 저전력레이저를 천정과 양측면에서 내부를 향하여 조사함으로써 내부에 고르게 레이저가 조사될 수 있도록 한다. 그럼으로써 설정된 양만큼 정확하게 레이저가 조사될 수 있다.
내함(100)의 상면에는 레이저조사부가 설치되는 제1홈부(120)와는 별도로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제2홈부(190)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 제2홈부(190)에는 실내등 기능을 수행하는 LED 램프가 설치될 수 있다.
냉난방공급부(110)의 한 쌍의 열전소자는 내함(100)의 상면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레이저조사부가 설치되는 제1홈부(120)를 기준으로 양측에 대각선 방향의 대향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반려동물유무확인부는 상기 내부공간에 상기 반려동물의 유무 또는 생존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내부공간의 이산화탄소의 양을 감지하는 이산화탄소감지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케어유닛.
반려동물이 케어유닛의 내부공간에 있는지 여부는 이산화탄소감지부 뿐만 아니라 영상카메라(170)를 통하여 확인할 수 있다. 즉, 영상카메라를 통하여 내부공간에 반려동물이 확인된 뒤에도 이산화탄소감지부을 통하여 내부공간의 이산화탄소의 농도를 측정하여 반려동물의 생존 여부를 확인하는 등 반려동물의 건강상태를 측정할 수 있다. 수의사는 이산화탄소감지부을 통하여 반려동물의 호흡이 원활한지 여부를 확인하여 산소치료의 착수시점을 결정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화상 대화가 가능한 반려동물 케어유닛을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 대화가 가능한 반려동물 케어유닛은 본체부, 모니터, 스피커, 영상카메라, 습도조절부, 제어모듈 그리고 영상카메라 지지대를 포함한다. 여기서 습도조절부는 습도조절물통, 수분컨테이너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참고로, 본 실시예에서 기술하는 구성은 도면 번호를 표기하지 않더라도 전술한 실시예에서의 구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이다.
본체부에는 외부의 스마트기기와 무선통신이 가능한 통신모듈이 구비된다. 통신모듈은 예컨대 유무선으로 인터넷에 접속하기 위한 이더넷(Ethernet) 인터페이스 또는 와이파이(WiFi)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모니터는 본체부의 상단에 탈착 가능하게 제공된다. 본체부의 상단에는 모니터의 하단이 안착되는 모니터 거치홈이 형성된다. 모니터는 스마트기기의 사용자의 영상정보를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display)한다.
스피커는 본체부의 상면에 일측 또는 양측에 마련되는 스피커 거치대에 장착된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스피커는 모니터에 자체적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스피커는 스마트기기의 사용자의 음성정보를 실시간으로 출력한다. 스피커의 음량은 소리에 민감한 반려동물들에게 무리가 되지 않는 정도로 적절히 맞추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을 통하여, 본 발명은 반려동물 케어유닛 내부의 반려동물이 모니터와 스피커를 통해 반려동물 케어유닛 외부의 주인과 영상 및 음성을 통해 교감할 수 있게 된다.
종래에 단순히 카메라만을 내장한 반려동물 케어유닛의 경우에 주인은 반려동물의 모습을 볼 수 있을 뿐이지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반려동물이 주인의 목소리를 들을 수도 있기 때문에 반려동물을 배려한다는 측면이 더 강화되었다고 볼 수 있다.
다시 말해, 기존에는 원격지에 있는 사용자(주인)가 반려동물 케어유닛 내부에 있는 반려동물의 현재 상태를 단지 카메라 등을 통해 모니터링하는 수준이었으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원격지의 사용자가 반려동물 케어유닛과 인터넷망 등으로 연결된 스마트기기의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반려동물 케어유닛 내부에 있는 반려동물과 화상 대화를 할 수 있다.
영상카메라에는 마이크(미도시)가 내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마이크는 별도의 구성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영상카메라는 반려동물을 실시간으로 촬영하여 반려동물의 영상정보 및 음성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영상카메라는 본체부의 미리 정해진 위치에 장착될 수 있다. 일 예로, 영상카메라는 본체부의 상단의 가장자리에 위치될 수 있다. 즉, 영상카메라는 본체부의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 형상의 상단부의 전면부 귀퉁이에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배치는 영상카메라가 반려동물 케어유닛의 내부를 전체적으로 촬영할 수 있도록 하므로 반려동물이 반려동물 케어유닛의 내부에서 움직이더라도 놓치지 않고 촬영할 수 있다.
습도조절부는 본체부의 전면부에 부착되는 컨트롤패널 또는 주인의 스마트기기를 통하여 제어되어 작동할 수 있다.
습도조절부는 습도조절물통, 수분컨테이너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습도조절물통과 수분컨테이너는 본체부의 측면에 설치될 수 있다. 습도조절물통은 물이 담겨져 있으며 튜브 등을 통하여 수분컨테이너와 연결된다. 수분컨테이너는 내부에 스폰지 등 수분을 머금을 수 있는 구성을 포함한다. 따라서 수분을 머금고 항상 일정한 양의 수분을 반려동물 케어유닛 내부로 공급할 수 있다.
스폰지에 수분이 부족한 경우에는 습도조절물통에서 수분을 공급받아 항상 일정한 양의 수분을 머금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즉, 수분컨테이너는 반려동물 케어유닛 내부가 항상 설정된 습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기능하는 일종의 버퍼와 같은 역할을 한다.
제어모듈은 본체부의 내부에 배치된다. 제어모듈은 통신모듈, 모니터, 스피커 및 영상카메라를 제어한다. 더불어, 제어모듈은 영상카메라로부터 전달받은 반려동물의 영상정보 및 음성정보를 통신모듈을 통해 주인이 소지하는 스마트 기기로 전송하도록 제어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반려동물의 주인인 사용자가 외부에서 스마트기기를 통해 반려동물과 화상 대화가 가능하다.
스마트기기에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 대화가 가능한 반려동물 케어유닛과 화상통화가 가능한 소프트웨어(프로그램)나 애플리케이션이 탑재된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은 원격지의 사용자가 반려동물 케어유닛 내부에 설치된 영상카메라, 스피커, 인터넷에 연결된 스마트폰기기의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집에 있는 반려동물과 화상 대화가 가능하고, 반려동물 또한 스피커를 통해 주인의 목소리를 알아듣고 모니터를 통해 주인의 영상을 볼 수 있게 된다.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의 제어모듈은 원격지 제어를 위한 콘트롤러(controller), 화상 대화를 구현하기 위해 오픈 하드웨어인 라즈베리파이2(Raspberry Pi 2) 및 오드로이드C1+(Odroid C1+)를 안드로이드(Android) 및 라즈비안(Raspbian) 등 여러 오픈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제어모듈은 화상통화 소프트웨어(프로그램)를 구비할 수 있다. 제어모듈은 화상통화 소프트웨어에 의해 유무선 인터넷을 통해 서버에 접속할 수 있다.
제어모듈은 외부의 스마트기기로부터 화상통화 요청을 받은 서버가 이를 알려오면, 제어모듈 내의 화상통화 프로그램이 화상통화 요청을 한 스마트기기와 직접 P2P(Peer to Peer) 연결하여 화상통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어느 한쪽의 단말로부터 화상통화 요청메시지를 받은 서버는 요청한 측에 요청받은 측의 IP 주소를 알려주고 요청한 측은 이를 바탕으로 해당 IP 주소로 직접 화상통화 요청을 함으로써 P2P 방식으로 화상통화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는 후술하는 반려동물용 호출기를 통해 외부의 스마트기기에 화상 대화를 시도하는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본 발명에서 인터넷을 통해 화상통화가 이루어지려면 유무선 연결 수단을 통해 본 발명의 화상 대화가 가능한 반려동물 케어유닛이 인터넷망에 연결되어 있어야 하고, 이를 제어하려는 외부의 스마트기기 역시 인터넷망에 연결되어 있어야 함은 당연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제어모듈은 디스플레이되는 사용자의 영상정보의 프레임 속도(Frame Rate)가 미리 정해진 수치의 범위 내에서 설정되도록 모니터를 제어한다.
더불어, 제어모듈은 사용자의 영상정보가 미리 정해진 색채로 디스플레이되도록 모니터를 제어한다.
개나 고양이 등이 인식할 수 있는 색깔 수는 사람보다 적다. 일반적으로 눈의 망막에는 색깔을 구별하는 원추세포가 있다. 사람은 적색, 녹색 및 청색 빛을 인식하는 3가지 원추세포를 갖고 있어 대부분의 색을 인지하는 반면에, 개나 고양이 등의 반려동물은 적색과 녹색을 위한 시각세포가 거의 없다. 즉, 개는 노란색과 보라색 빛을 인식하는 2가지만 가지고 있다.
한편, 개나 고양이는 동체시력(빠르게 움직이는 사물을 식별해내는 능력)이 뛰어나 일반적인 모니터로 영상을 보면 화면이 끊어지듯이 보일 가능성이 있다.
현재 아날로그 방송은 1초에 화면이 30번 바뀌는 30프레임(frame)으로, 디지털 지상파 방송은 60프레임(frame)(60회/초)으로 서비스되고 있다. 사람의 원추세포는 이 정도 수준의 변화는 인지하지 못해 영상을 연속적인 것으로 받아들이지만, 개는 1초에 70~80번의 변화를 알아차릴 수 있어 정지된 화면이 빠르게 움직이는 것처럼 느낄 수 있다(점멸융합률 초당 70~80회).
다시 말해, 반려동물은 적색과 녹색을 위한 시각세포가 거의 없고, 일반 모니터의 비디오 프레임 속도(Frame Rate)인 초당 60회보다 높은 프레임 속도를 인식하므로 반려동물을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가 마련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어모듈은 모니터에서 현시되는 사용자의 영상정보의 프레임 속도(Frame Rate)가 70~80Hz의 범위 내에서 설정되도록 상기 모니터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모듈은 모니터의 화면 색채(컬러)를 보정하는 제어를 수행함으로써, 사용자의 영상정보가 미리 정해진 색채(예: 노란색 및 보라색 등)로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인간과 다른 반려동물의 시각에 따른 맞춤형 디스플레이를 제공하여 반려동물을 배려하면서도 집중력이나 호기심을 높일 수 있다.
상기와 달리,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은 제어모듈이 아닌 디스플레이 장치인 모니터 자체적으로 프레임 속도 및/또는 색채(컬러)를 설정할 수도 있다.
반려동물용 호출기는 반려동물 케어유닛의 일측에 설치된다. 반려동물용 호출기는 버튼(button)이나 버저(buzzer) 등으로 제공될 수 있다.
반려동물용 호출기(800)는 반려동물이 스마트기기와 화상 대화가 가능하도록 스마트기기로 호출정보를 전송한다. 반려동물이 반려동물용 호출기를 앞발 등으로 누르면 저장된 고유번호로 화상 전화를 호출한다. 사용자(주인)가 스마트기기를 통해 대화를 수락하면 화상 전화가 연결된다.
즉, 제어모듈은 반려동물용 호출기로부터 전달받은 호출정보를 통신모듈을 이용하여 스마트기기를 호출하도록 제어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집안의 반려동물도 외부에 있는 주인의 스마트기기로 영상전화를 걸 수 있는 채널을 제공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반려동물도 주인에게 화상 대화를 시도할 수 있는 채널을 열어 줌으로써 사용자(주인)는 스마트폰 등의 스마트기기의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반려동물로부터의 대화 요청을 수락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반려동물도 주인에게 전화하는 동물IoT(Internet of Things)의 실현을 가능하게 한다.
반려동물이 주인을 호출하는 방법은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버튼이나 버저 등 외에 반려동물 행동 패턴분석기를 통하여 제공될 수도 있다.
패턴분석기는 영상카메라를 통하여 반려동물을 촬영하여 반려동물의 행동패턴을 분석하되, 반려동물의 거동이 일정한 이미 입력된 패턴을 따르면 주인에게 영상통화가 걸려질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다. 반려동물이 케어유닛 내부에서 이상 행동을 보이는 등의 경우 패턴분석기가 이를 분석하여 반려동물의 불안감 또는 우울감을 감지하고 주인에게 영상통화를 걸어 반려동물을 안심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영상카메라는 카메라 지지대에 설치될 수 있다. 카메라 지지대는 본체부의 상단에 제공된다.
카메라 지지대는 모니터 거치홈에 놓여지는 모니터의 후면 및 상단을 지지할 수 있다.
카메라 지지대는 플레이트가 ㄷ 자 형상으로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절곡된 카메라 지지대는 구 형상의 영상카메라의 전부 또는 일부를 효율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영상카메라는 구 형상을 할 수 있다. 이는 작업자가 본체부에 영상카메라를 설치할 때 손쉽게 적절한 각도로 조절하여 설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케어유닛의 제조단계에서 조립시간을 단축하여 단가를 낮출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 반려동물이 집에 홀로 방치되어 있더라도 인터넷을 통해 주인이 외부에서 스마트기기를 이용하여 언제 어디서나 집안의 반려동물과 서로 얼굴을 보면서 화상 대화를 통해 반려동물의 현재 상태를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친밀한 교감을 나눌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반려동물도 외부에 있는 주인에게 전화를 걸 수 있는 채널을 제공하여 동물IoT(Internet of Things)을 실현할 수 있어 완전한 양방향 화상 통화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Face to Pet).
따라서, 본 발명은 반려동물을 키우는 많은 사람들이 반려동물을 집에 두고 외출할 경우 공통적으로 느끼는 불안감을 해소 시키는 것은 물론 외부에서 반려동물이 보고 싶을 때 언제든지 전화를 걸어 볼 수 있어 편리하다.
더불어, 본 발명은 반려동물이 반려동물 케어유닛에 혼자 장시간 있을 경우 생길 수 있는 불안감과 스트레스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본 발명에서 반려동물의 심리적 안정감을 부여할 수 있는 반려동물용 케어유닛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케어유닛은, 반려동물을 케어하기 위한 케어유닛에 있어서, 설정된 공간 내부로 반려동물의 진입여부를 판단하는 이산화탄소감지부; 상기 반려동물의 특정 행위을 감지하는 패턴분석 모듈 또는 설정위치로의 반려동물의 터치 행위를 판단하는 스위칭 모듈; 상기 이산화탄소감지부과 스위칭 모듈의 동시 검출 여부를 판단하고, 이미 등록된 사용자의 휴대 단말기로 영상통화의 연결을 지시하는 제어모듈; 상기 제어모듈의 영상통화의 연결 지시에 응답하여 사용자 휴대 단말기와의 영상통화를 수행하며, 영상 통화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을 동작 제어하고, 카메라 모듈 및 마이크, 스피커를 기동시키는 영상통화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주인과 반려동물이 이격된 상태에서도 반려동물의 심리적 안정감을 유도함으로써, 반려동물의 정신적 건강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주인이 존재하지 않는 공간에서 심리적 불안감을 해소하거나, 은닉 공간 내에서 반려동물의 특정 동작에 기반하여 반려동물이 주인의 휴대폰으로 영상통화를 연결함으로써, 반려동물에 의한 주인과의 온라인 커뮤니티를 유도하여 심리적 안정감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반려동물 케어유닛에 설치되는 스피커 모듈은 반려동물의 가청 주파수 대역으로 구성된 음향을 제공하는데, 사용자의 스마트폰 앱을 이용하여 음향의 선곡 및 재생모드 선택이 가능하다. 상기 재생모드는 기 선곡된 음향을 반복하거나, 지속적으로 재생할 수 있으며, 랜덤하게 선곡되어 재생될 수 있다. 상기 음향은 반려동물의 심리적 안정감을 도모하기 위한 음악으로 스마트폰 앱을 이용하여 다운로드 받거나 임의 음향을 저장 및 재생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반려동물의 행동패턴 또는 반려동물에 의한 스위칭 동작을 토대로 사용자의 스마트폰과의 영상통화가 가능하며, 케어유닛에서 쉬고 있는 반려동물이 주인과의 영상통화를 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이는 실시예에 따라서는 반려동물의 특정한 기 행동패턴을 분석하여 자동으로 영상통화가 시도되도록 할 수 있다. 즉, 반려동물이 아프거나 불안한 경우 특정한 거동을 보인다면 케어유닛은 이러한 행동패턴을 학습하거나 작업자의 패턴 저장을 통하여 기 저장된 특정 행동 패턴과 비교하여 일치한다면 반려동물이 불안한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고 즉각적으로 영상통화가 시도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서는 반려동물에 대한 교육을 토대로 영상통화가 시도될 수 있으며, 반려동물의 반복 학습에 의해 영상통화가 시도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 케어박스의 내부 일측으로 반려동물의 모션 예컨대, 특정 램프의 상단으로 반려동물의 발이 터치되거나, 반려동물의 앞발이 임의 공간으로 진입할 때, 사용자와의 영상통화가 시도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반려동물을 위한 음향 신호는 케어유닛 내부로 반려동물이 진입한 후, 설정된 시간동안 진입 상태를 유지하는 경우에 설정된 음향이 출력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물론, 반려동물이 케어유닛을 이탈하는 경우에는 음향출력이 정지되고 초기화가 이루어진다. 상기 음향출력은 페이드 인 방식으로 출력되도록 함으로써, 갑작스러운 음향 출력으로 인한 반려동물의 불안감을 사전에 제거할 수 있다.
상기 케어유닛의 출입문을 통해 반려동물이 인입되면, 상기 제어장치는 이산화탄소감지부로부터 반려동물의 진입상태를 인지한다. 이때, 상기 제어장치는 스위칭 모듈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램프를 점등시킬 수 있다. 상기 램프는 휘도가 높지 않도록 LED를 점등시키며, 동시에 LED의 점등으로 인해 반려동물의 영상통화 유도를 안내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내함
110: 냉난방공급부
120: 레이저조사부 설치를 위한 제1홈부
130: 습도조절물통
140: 수분컨테이너
150: 도어부
160: 제어패널 설치부
170: 영상카메라
180: 영상카메라 지지대
185: 스피커부
190: 실내등 설치를 위한 제2홈부
200: 하우징
210: 배기구
220: 흡기구
230: 공기소통 그릴
300: 커버부

Claims (10)

  1. 반려동물을 케어하는 반려동물 케어유닛에 있어서,
    반려동물이 거주할 수 있도록 내부공간이 형성된 본체부;
    상기 내부공간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온도감지부;
    상기 내부공간의 습도를 유지시키는 습도유지부;
    상기 내부공간에 상기 반려동물의 유무를 확인하는 이산화탄소감지부;
    상기 내부공간에 냉난방을 공급하는 냉난방공급부;
    상기 내부공간에 살균을 수행하고, 상기 반려동물에 치료를 수행하는 레이저조사부;
    상기 내부공간을 촬영하는 영상카메라부;
    상기 반려동물에게 소리를 제공하는 음성스피커부; 및
    상기 영상카메라부를 제어하여 상기 반려동물을 촬영한 영상정보 또는 음성정보를 스마트기기로 전송하고, 상기 음성스피커부를 제어하여 상기 스마트기기로부터 상기 반려동물에게 소리정보를 전달하는 통신제어모듈;
    을 포함하는 반려동물 케어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카메라부는 영상카메라와 카메라 지지대를 포함하되, 상기 영상카메라는 구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카메라 지지대는 ㄷ 자 형상으로 절곡 형성되어 상기 영상카메라를 둘러싸며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케어유닛.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카메라부는 상기 본체부 상면의 귀퉁이에 위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케어유닛.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려동물에게 외부로부터의 영상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모니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케어유닛.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는 상기 반려동물이 인식할수 있는 색체로 구성된 영상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케어유닛.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카메라부는 상기 반려동물이 이미 설정된 행동패턴을 보이는 경우에 촬영을 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케어유닛.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카메라부는 상기 반려동물이 특정 패턴의 행동을 보이는 경우 상기 특정 패턴의 행동이 반복되는 경우에는 이를 인지하고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케어유닛.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카메라부는 상기 인지하고 저장한 후에 다시 상기 특정 패턴의 행동을 인지하면 주인에게 영상통화를 시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케어유닛.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제어모듈은 상기 스마트기기로부터 명령을 전달받아서 상기 음성스피커부를 제어하여 상기 반려동물의 가청주파수 영역 대의 음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케어유닛.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스피커부의 음성출력은 페이드 인 방식으로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케어유닛.
KR1020190015362A 2019-02-11 2019-02-11 스마트 기기에 의한 통신이 가능한 반려동물 케어유닛 KR1022208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5362A KR102220829B1 (ko) 2019-02-11 2019-02-11 스마트 기기에 의한 통신이 가능한 반려동물 케어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5362A KR102220829B1 (ko) 2019-02-11 2019-02-11 스마트 기기에 의한 통신이 가능한 반려동물 케어유닛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7925A true KR20200097925A (ko) 2020-08-20
KR102220829B1 KR102220829B1 (ko) 2021-02-25

Family

ID=722930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5362A KR102220829B1 (ko) 2019-02-11 2019-02-11 스마트 기기에 의한 통신이 가능한 반려동물 케어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082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7536A (ko) * 2020-08-27 2022-03-08 이종배 반려동물 분리불안 완화를 위한 스마트 스피커 시스템 및 제어 방법
KR20220055178A (ko) * 2020-10-26 2022-05-03 (주)메디너스코리아 애완동물용 인큐베이터
KR20220066687A (ko) * 2020-11-16 2022-05-24 장아람 반려동물용 공 자동 공급기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7111Y1 (ko) * 2005-03-30 2005-06-17 김정만 듀얼 안전창이 구비된 애완동물 보호기
JP2006042670A (ja) * 2004-08-04 2006-02-16 Daikin Ind Ltd ペット健康管理システム
KR20120053441A (ko) * 2010-11-17 2012-05-25 김덕원 애완동물용 디지털 하우스
KR20180051785A (ko) * 2016-11-09 2018-05-17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대가축 모니터링 시스템
KR101922697B1 (ko) * 2018-05-10 2018-11-27 김상길 무인 위탁 가능한 애완동물용 호텔 시스템 및 무인 위탁 가능한 애완동물용 호텔 시스템의 제어방법
KR20190000446A (ko) * 2017-06-23 2019-01-03 유성원 반려견 행동분석 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42670A (ja) * 2004-08-04 2006-02-16 Daikin Ind Ltd ペット健康管理システム
KR200387111Y1 (ko) * 2005-03-30 2005-06-17 김정만 듀얼 안전창이 구비된 애완동물 보호기
KR20120053441A (ko) * 2010-11-17 2012-05-25 김덕원 애완동물용 디지털 하우스
KR20180051785A (ko) * 2016-11-09 2018-05-17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대가축 모니터링 시스템
KR20190000446A (ko) * 2017-06-23 2019-01-03 유성원 반려견 행동분석 시스템
KR101922697B1 (ko) * 2018-05-10 2018-11-27 김상길 무인 위탁 가능한 애완동물용 호텔 시스템 및 무인 위탁 가능한 애완동물용 호텔 시스템의 제어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7536A (ko) * 2020-08-27 2022-03-08 이종배 반려동물 분리불안 완화를 위한 스마트 스피커 시스템 및 제어 방법
KR20220055178A (ko) * 2020-10-26 2022-05-03 (주)메디너스코리아 애완동물용 인큐베이터
KR20220066687A (ko) * 2020-11-16 2022-05-24 장아람 반려동물용 공 자동 공급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0829B1 (ko) 2021-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20829B1 (ko) 스마트 기기에 의한 통신이 가능한 반려동물 케어유닛
US20210074138A1 (en) Area monitoring and communication
US10709335B2 (en) Infant monitoring system with observation-based system control and feedback loops
US20180110106A1 (en) Smart device with integrated conditional lighting
KR102238404B1 (ko) 진단이 용이한 반려동물 케어유닛
KR101413043B1 (ko) 실시간 양방향 통신을 이용한 애완 동물 보호 시스템 및 방법
KR101256054B1 (ko) 양방향 통신을 이용한 애완 동물 보호 시스템 및 방법
US10721088B2 (en) Multi-modal interactive home-automation system
CN112567434A (zh) 智能门铃中的热管理
KR20190041185A (ko) 반려동물용 스마트홈을 이용한 반려동물 관리 시스템
KR20210014376A (ko) 스마트 펫 하우스
KR20120053441A (ko) 애완동물용 디지털 하우스
US20170363314A1 (en) System and method for a controlled environment
US20160367194A1 (en) Illumination system for mobile devices
US10646685B2 (en) Luminous roof for NICU incubators for regulating circadian rhythms in infants and for providing high visibility of infant anatomy for healthcare staff
KR20170066110A (ko) 실내 환경 자동제어 시스템 및 제어방법
JP2019531566A (ja) スマートタイプのホームセキュリティ装置
WO2020191755A1 (zh) 智慧家庭的实现方法及智能装置
CN106737724A (zh) 一种家庭社交服务型机器人系统
CN113826445A (zh) 基于相机的照明控制
CN110825146A (zh) 一种智慧酒店客房的控制系统
KR101976359B1 (ko) 단말기를 이용한 맞춤형 테라피 시스템
KR102238405B1 (ko) 반려동물 케어유닛의 컨트롤 패널
CN108536032A (zh) 一种基于人体电阻的智能家居调节系统
CN212182870U (zh) 机器人智能弱电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