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96717A - 의료 - Google Patents

의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96717A
KR20200096717A KR1020190127481A KR20190127481A KR20200096717A KR 20200096717 A KR20200096717 A KR 20200096717A KR 1020190127481 A KR1020190127481 A KR 1020190127481A KR 20190127481 A KR20190127481 A KR 20190127481A KR 20200096717 A KR20200096717 A KR 202000967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blower
lining
fixed attachment
edg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74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오히로 노다
시게키 사노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데상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9019061A external-priority patent/JP2020125561A/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데상트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데상트
Publication of KR202000967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671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02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controlled internal environment
    • A41D13/0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controlled internal environment with controlled temperature
    • A41D13/0053Cooled garments
    • A41D13/0056Cooled garments using evaporative effect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02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controlled internal environment
    • A41D13/0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controlled internal environment with controlled temperature
    • A41D13/0053Cooled garmen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28Means for ventilation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28Means for ventilation
    • A41D27/285Means for ventilation with closure adjustment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1/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 A41D31/02Layered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1/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 A41D31/04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 or us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1/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 A41D31/04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 or use
    • A41D31/14Air permeable, i.e. capable of being penetrated by gases
    • A41D31/145Air permeable, i.e. capable of being penetrated by gases using layered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30Closures
    • A41D2300/322Closures using slide 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80Friction or grip reinforcement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600/00Uses of gar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A41D2600/10Uses of gar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sport activiti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600/00Uses of gar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A41D2600/20Uses of gar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working activit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과제] 송풍기의 부착시에 겉감이 꼬이기 어려운 의료를 제공한다.
[해결수단] 겉감(11)과, 안감(12)과, 겉감(11)에 형성되는 개구부(20)와, 개구부(20)에 부착되고, 공기를 겉감(11)과 안감(12) 사이에 도입하는 송풍기(30)로서, 송풍기 본체부를 갖는 제 1 부분(31)과, 제 1 부분(31)에 결합하고 제 1 부분(31)을 개구부(20)에 고정하는 제 2 부분(32)을 갖는 송풍기(30)와, 안감(12)에 형성되고, 공기를 착용자측으로 배출하는 복수의 배기구(28)를 갖는 의료(1)이며, 개구부(20)는 이면 가장자리 부분(23)과 표면 가장자리 부분(22)을 갖고, (1) 또는 (2)을 충족시킨다.
(1)제 2 부분(32)은 이면 가장자리 부분(23)에 접하고, 이면 가장자리 부분(23)의 특정 마찰 저항은 겉감(11)의 이면측 면(25)(이면 가장자리 부분(23)을 제외한다)의 특정 마찰 저항보다 작다.
(2)제 2 부분(32)은 표면 가장자리 부분(22)에 접하고, 표면 가장자리 부분(22)의 특정 마찰 저항은 겉감(11)의 표면측 면(24)(표면 가장자리 부분(22)을 제외한다)의 특정 마찰 저항보다 작다.

Description

의료{GARMENT}
본 발명은, 겉감과 안감 사이에 공기를 통과시킴으로써 신체의 열을 밖으로 보낼 수 있는 송풍기 부착 의료에 관한 것이다.
열중증 등의 대책으로서, 현장 작업시, 운동시, 스포츠 관전시 등에 착용하는 송풍기 부착 의복이 개발되어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는 겉면과 안면 사이의 통기 덕트에 해당하는 개소에 개재하여 통기 덕트의 통기 가능 상태를 유지하는 스페이서 수단이 형성되어 있는 의복이 개시되어 있다. 이 의복은 옷단 피스에 있어서 팬 유닛을 구비하고, 팬 유닛은, 옷단 피스에 팬 유닛의 하우징이 고정되어, 하우징 내에 공기 입구로부터 공기를 빨아들여 공기 출구로 배출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팬 본체가 수용되어 있다.
일본 특허공개 2015-212447호 공보
그러나, 송풍기 본체부를 갖는 제 1 부분과 제 1 부분에 결합되는 제 2 부분을 갖는 송풍기를 의료의 겉감에 형성된 개구부에 부착할 때에, 제 1 부분 또는 제 2 부분과 겉감 사이에 마찰이 생기기 때문에, 제 1 부분과 제 2 부분의 결합에 따라 겉감의 개구부 주위가 꼬이는 경우가 있었다. 특히 제 1 부분과 제 2 부분으로 겉감의 개구부 주위를 끼워서, 제 1 부분과 제 2 부분을 서로 회전시킴으로써 체결할 경우에 겉감이 꼬이기 쉬웠다(제 1 과제). 또, 겉감에 부착된 송풍기가 겉감에 대하여 미끄러짐으로써 송풍기의 위치 어긋남이나 회전 어긋남이 일어나는 경우가 있었다(제 2 과제). 또한, 종래의 송풍기 부착 의료는, 신체를 구부리거나 비틀거나 하는 등, 착용자의 움직임이나 자세에 따라서는 공기의 흐름이 악화되어 부분적으로 냉각이 불가능할 우려가 있거나, 의료 전체가 부풀어서 살이 쪄 보이는 경우가 있었다. 또한, 그러한 송풍기 부착 의료는, 송풍기를 쉽게 분리할 수 없기 때문에 세탁하기 어렵다는 문제도 있었다(제 3 과제).
그래서,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서는, 송풍기의 부착시에 겉감이 꼬이기 어려운 의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제 2 관점에서는, 겉감에 부착된 송풍기의 위치 어긋남이나 회전 어긋남을 방지할 수 있는 의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3 관점에서는, 착용자가 움직이거나 자세를 바꾸어도 의료 전체를 냉각하면서 슬림한 실루엣도 얻어지는 송풍기 부착 의료로서, 송풍기의 적어도 일부를 분리하기 쉬운 의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제 1 과제를 해결할 수 있었던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따른 의료의 일실시형태는, 겉감과, 겉감보다 착용자의 피부측에 배치되어 있는 안감과, 겉감에 형성되어 있는 개구부와, 개구부에 부착되어 있고, 외부의 공기를 겉감과 안감 사이로 들여오는 송풍기로서, 송풍기 본체부를 갖는 제 1 부분과, 제 1 부분에 결합되어 있고 제 1 부분을 개구부에 고정하는 제 2 부분을 갖는 송풍기와, 안감에 형성되어 있고, 겉감과 안감 사이의 공기를 착용자측으로 배출하는 복수의 배기구를 갖고 있는 의료이며, 개구부는 그 가장자리 부분이고 안감에 대향하고 있는 이면 가장자리 부분과, 이면 가장자리 부분과는 반대측의 표면 가장자리 부분을 갖고 있고, 하기 (1) 또는 (2) 중 어느 하나를 충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1)제 2 부분은 이면 가장자리 부분에 접하고 있고, 이면 가장자리 부분의 특정 마찰 저항은 겉감의 이면측 면(이면 가장자리 부분을 제외한다)의 특정 마찰 저항보다 작다.
(2)제 2 부분은 표면 가장자리 부분에 접하고 있고, 표면 가장자리 부분의 특정 마찰 저항은 겉감의 표면측 면(표면 가장자리 부분을 제외한다)의 특정 마찰 저항보다 작다.
상기 (1) 또는 (2)의 요건을 충족시킴으로써, 제 2 부분에 대한 겉감의 슬라이딩성이 양호해지기 때문에, 개구부로의 송풍기의 부착시, 제 1 부분과 제 2 부분의 결합에 따라 겉감이 꼬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따른 의료에 있어서, 제 2 부분은 제 1 부분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제 2 부분을 제 1 부분에 결합시키기 쉬워지기 때문에 겉감에 송풍기를 부착하기 쉬워진다.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따른 의료에 있어서, 가장자리 부분의 최소 외경은 제 2 부분의 최대 외경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제 2 부분과 가장자리 부분의 접촉 면적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제 2 부분에 대하여 겉감이 과도하게 미끄러지는 것에 의한 송풍기의 위치 어긋남이나 회전 어긋남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따른 의료에 있어서, 이면 가장자리 부분 또는 표면 가장자리 부분에 합성 피혁이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합성 피혁의 표면은 적당한 슬라이딩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이와 같이 합성 피혁이 배치됨으로써 제 2 부분에 대한 겉감의 슬라이딩성을 높일 수 있다. 이 때문에, 의료의 개구부로의 송풍기의 부착시, 제 1 부분과 제 2 부분의 결합에 따라 겉감이 꼬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따른 의료에 있어서, 개구부의 가장자리 단부에 있어서 합성 피혁의 단부가 노출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합성 피혁의 단부는 송풍기에 면하도록 배치된다. 합성 피혁의 단부는 적당한 요철을 갖고 있기 때문에, 제 1 부분과 제 2 부분의 결합시에 합성 피혁의 단부와 송풍기가 접촉함으로써 합성 피혁의 단부는 미끄럼 저항으로서 기능한다. 이 때문에, 개구부에 부착된 송풍기의 위치 어긋남이나 회전 어긋남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 2 과제를 해결할 수 있었던 본 발명의 제 2 관점에 따른 의료의 일실시형태는, 겉감과, 겉감보다 착용자의 피부측에 배치되어 있는 안감과, 겉감에 형성되어 있는 개구부와, 개구부에 부착되어 있고, 외부의 공기를 겉감과 안감의 사이로 들여오는 송풍기와, 안감에 형성되고 있고, 겉감과 안감 사이의 공기를 착용자측으로 배출하는 복수의 배기구와, 겉감과 안감 사이 또는 겉감보다 표면측에 형성되어 있고, 수지를 포함하는 미끄럼 방지층을 갖고 있고, 개구부의 가장자리 단부에 있어서 미끄럼 방지층이 노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미끄럼 방지층이 송풍기에 면하도록 배치된다. 미끄럼 방지층은 수지를 포함하기 때문에, 겉감으로의 송풍기 부착시에 미끄럼 방지층과 송풍기가 접촉함으로써 미끄럼 방지층은 미끄럼 저항으로서 기능한다. 이 때문에, 개구부에 부착된 송풍기의 위치 어긋남이나 회전 어긋남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관점에 따른 의료에 있어서, 미끄럼 방지층은 송풍기가 부착되어 있는 개구부의 가장자리 부분에만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미끄럼 방지층과 송풍기의 접촉 면적을 적당하게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송풍기에 대한 겉감의 슬라이딩성이 적당하게 확보된다. 이 때문에, 미끄럼 방지층과 송풍기 사이의 마찰 저항이 과도하게 커짐으로써 개구부로의 송풍기의 부착시에 겉감이 꼬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관점에 따른 의료에 있어서, 미끄럼 방지층은 섬유층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섬유층의 섬유가 미끄럼 방지층의 뼈대로서 기능하기 때문에 미끄럼 방지층의 강도를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관점에 따른 의료에 있어서, 미끄럼 방지층은 수지층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미끄럼 방지층의 강도를 높이거나, 탄력성, 슬라이딩성이나 감촉을 부가하거나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관점에 따른 의료에 있어서, 개구부는 겉감과 미끄럼 방지층의 적층체를 레이저 재단해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개구부를 형성함으로써 미끄럼 방지층을 노출시킬 수 있기 때문에 개구부의 가장자리 단부에 있어서 미끄럼 방지층의 단부를 송풍기와 접촉시킬 수 있다. 또, 레이저 열에 의해 적층체의 절단면이 융착되기 때문에 적층체의 흐트러짐을 막을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 2 관점에 따른 의료에 있어서, 미끄럼 방지층은 겉감보다 두꺼운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미끄럼 방지층의 단부에 있어서 미끄럼 방지층과 송풍기의 접촉 면적을 크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미끄럼 방지층의 미끄럼 저항 효과를 보다 한층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는, 상기 제 2 관점에 따른 의료를 제조하는 방법도 포함된다. 본 발명의 의료의 제조 방법의 일실시형태는, 겉감과 겉감에 형성되어 있는 미끄럼 방지층을 갖는 적층체를 준비하는 공정과, 적층체를 레이저 재단해서 개구부를 형성하는 공정과, 개구부에 송풍기를 부착하는 공정을 갖는다. 이와 같이 개구부를 형성함으로써 미끄럼 방지층을 노출시킬 수 있기 때문에 미끄럼 방지층을 송풍기와 접촉시킬 수 있다. 또 레이저 열에 의해 적층체의 절단면이 융착되기 때문에 적층체의 흐트러짐을 막을 수도 있다.
상기 제 3 과제를 해결할 수 있었던 본 발명의 제 3 관점에 따른 의료의 일실시형태는, 겉감과, 상기 겉감보다 착용자의 피부측에 배치되어 있는 안감과, 겉감의 가장자리부와 안감이 서로 고정 부착되어 있는 제 1 고정 부착부와, 겉감에 부착되어 있고 외부의 공기를 겉감과 안감 사이로 도입하는 송풍기와, 안감에 형성되어 있고 겉감과 안감 사이의 공기를 착용자측으로 배출하는 복수의 배기구를 갖고 있는 의료이며, 제 1 고정 부착부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위치에 있어서 겉감과 안감이 서로 고정 부착되어 있는 복수의 제 2 고정 부착부가 형성되어 있고, 또한 하기 (1)∼(3)에 규정하는 조건을 충족시키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1)송풍기는 겉감의 적어도 일부를 구성하는 영역(X)에 부착되어 있다.
(2)영역(X)은 제 1 고정 부착부 또는 제 2 고정 부착부에 의해 둘러싸여져 있는 영역이다. 단, 영역(X)을 구획하고 있는 제 2 고정 부착부끼리의 사이에 있는 간극, 영역(X)을 구획하고 있는 제 2 고정 부착부와 제 1 고정 부착부 사이에 있는 간극이 있음으로써 겉감과 안감이 서로 고정 부착되어 있지 않은 부분이 존재하고 있어도, 간극의 크기가 간극의 부분을 송풍기가 빠져 나가지 않는 것을 조건으로 해서, 간극의 부분에 제 2 고정 부착부가 존재하고 있는 것으로 간주해서 영역(X)을 획정한다.
(3)안감은 영역(X)에 서로 대향하는 영역(Y)을 갖고 있고, 영역(X) 및 영역(Y) 중 적어도 한쪽에는 개폐 가능한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 3 관점에 따른 의료에 의하면, 제 2 고정 부착부가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겉감과 안감 사이의 공기의 흐름을 적당하게 분기시킬 수 있기 때문에, 착용자가 움직이거나 자세를 바꾸어도 의료 전체를 냉각할 수 있다. 또한, 제 2 고정 부착부를 복수 형성함으로써 의료의 부풂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슬림한 실루엣을 얻을 수도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송풍기와 개구부가 배치되어 있음으로써 개구부를 경유하여 송풍기의 적어도 일부를 외부로 꺼내기 쉬워진다. 이에 따라, 송풍기의 적어도 일부가 의료로부터 분리되기 때문에 의료를 세탁하기 쉬워진다.
본 발명의 제 3 관점에 따른 의료에 있어서, 개구부는 영역(Y)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안감측의 개구부로부터 송풍기의 적어도 일부를 외부로 꺼낼 수 있음과 아울러, 의료의 착용시에 개구부를 눈에 띄기 어렵게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 3 관점에 따른 의료에 있어서, 송풍기의 전부 또는 일부는 개구부를 경유해서 외부로 인출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송풍기의 전부 또는 일부를 의료로부터 분리할 수 있기 때문에 의료를 세탁하기 쉬워진다.
본 발명의 제 3 관점에 따른 의료에 있어서, 개구부에는 지퍼가 구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퍼를 슬라이드시킴으로써 개구부의 개폐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따른 의료에 의하면, 송풍기의 제 2 부분에 대한 겉감의 슬라이딩성이 양호해지기 때문에, 개구부로의 송풍기의 부착시에 제 1 부분과 제 2 부분의 결합에 따라 겉감이 꼬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관점에 따른 의료에 의하면, 미끄럼 방지층이 송풍기에 면하도록 배치된다. 미끄럼 방지층은 수지를 포함하기 때문에, 겉감으로의 송풍기의 부착시에 미끄럼 방지층과 송풍기가 접촉함으로써 미끄럼 방지층은 미끄럼 저항으로서 기능한다. 이 때문에, 개구부에 부착된 송풍기의 위치 어긋남이나 회전 어긋남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3 관점에 따른 의료는, 제 2 고정 부착부가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겉감과 안감 사이의 공기의 흐름을 적절하게 분기시킬 수 있기 때문에, 착용자가 움직이거나 자세를 바꾸어도 의료 전체를 냉각할 수 있다. 또한, 제 2 고정 부착부를 복수 형성하고 있음으로써 의료의 부풂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슬림한 실루엣을 얻을 수도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송풍기와 개구부가 배치되어 있음으로써, 개구부를 경유하여 송풍기의 적어도 일부를 외부로 꺼내기 쉬워진다. 이에 따라, 송풍기의 적어도 일부가 의료로부터 분리되기 때문에 의료를 세탁하기 쉬워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따른 의료의 앞길을 표면측에서 본 정면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앞길을 이면측에서 본 정면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낸 의료의 뒷길을 표면측에서 본 정면도를 나타낸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낸 의료의 뒷길을 이면측에서 본 정면도를 나타낸다.
도 5는 도 3의 V-V선을 따른 단면도를 나타내고, 개구부에 있어서의 송풍기와 겉감의 부착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6은 도 5에 나타낸 단면도의 변형예를 나타낸다.
도 7은 도 5에 나타낸 단면도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낸다.
도 8은 도 5에 나타낸 단면도의 또 다른 변형예를 나타낸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관점에 따른 의료의 단면도를 나타내고, 개구부에 있어서의 송풍기와 겉감의 부착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0은 도 9에 나타낸 단면도의 변형예를 나타낸다.
도 11은 도 9에 나타낸 의료의 겉감과 미끄럼 방지층의 적층체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 3 관점에 따른 의료의 뒷길을 표면측에서 본 정면도를 나타낸다.
도 13은 도 12에 나타낸 의료의 뒷길을 이면측에서 본 정면도를 나타낸다.
도 14는 도 12에 나타낸 의료의 뒷길을 표면측에서 본 정면도의 변형예를 나타낸다.
도 15는 도 14에 나타낸 의료의 뒷길을 이면측에서 본 정면도를 나타낸다.
도 16은 도 12에 나타낸 의료의 뒷길을 표면측에서 본 정면도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낸다.
도 17은 도 16에 나타낸 의료의 뒷길을 이면측에서 본 정면도를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의료에 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물론 도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상·하기의 취지에 적합할 수 있는 범위에서 적당히 변경을 추가해서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며, 그것들은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의료란 몸에 착용하는 것이며, 코트·재킷·점퍼 등의 상의, 바지·치마 등의 하의, 원피스·점프 수트 등의 상의와 하의가 일체화된 연결복을 포함한다. 상의에는, 착용자의 두부 및 목을 덮는 후드가 부착되어 있는 것도 포함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의료는 방서용, 스포츠용, 아웃도어용으로서 적합하게 사용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의료의 이면측이란, 의료를 착용했을 때의 착용자의 피부를 향하는 측을 의미하고, 의료의 표면측이란, 의료를 착용했을 때의 착용자와는 반대측을 의미한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 체폭 방향이란 착용자의 좌우 방향을 의미하고, 신장 방향이란 착용자의 신장 방향으로 상하 방향을 의미한다.
(제 1 관점에 따른 의료)
도 1∼도 6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따른 의료(1)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도 2는 각각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따른 의료(1)의 앞길(3)을 표면측과 이면측에서 본 정면도를 나타내고, 도 3∼도 4는 각각 도 1에 나타낸 의료(1)의 뒷길(4)을 표면측과 이면측에서 본 정면도를 나타낸다. 도 5∼도 6은 도 3의 V-V선을 따른 단면도를 나타내고, 개구부(20)에 있어서의 송풍기(30)와 겉감(11)의 부착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1 및 도 2에 있어서, 체폭 방향(x)의 일방측(x1)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우측 앞길(3R), 타방측(x2)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좌측 앞길(3L)이다. 도 1∼도 4에서는, 의료(1)가 소매가 없는 베스트인 예를 사용하여 설명하지만, 의료(1)의 형태는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소매가 있는 것이라도 좋다. 소매부는 안감(12)이 없고, 겉감(11) 1장으로 구성되는 것이라도 좋다.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따른 의료(1)는, 겉감(11)과, 안감(12)과, 개구부(20)와, 송풍기(30)와, 복수의 배기구(28)를 갖고 있다.
겉감(11)은 의료(1)의 표면측에 배치되어 있는 천이며, 안감(12)은 겉감(11)보다 착용자의 피부측에 배치되어 있는 천이다. 겉감(11)과 안감(12)은 각각 1장의 천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고, 복수의 천을 적층함으로써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배기구(28)와는 별도로 안감(12)으로부터 착용자측으로 공기를 배출함으로써 냉각 효과를 한층 향상시키기 위해서, 안감(12)은 겉감(11)보다 높은 통기성을 갖고 있어도 좋다.
겉감(11)이나 안감(12)을 구성하는 천의 재료는, 의료(1)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직물(직포, 편물, 부직포 등), 수지가 적층되어 있는 직물, 수지 필름, 이것들을 조합시킨 재료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직물을 구성하는 섬유로서는, 예를 들면, 면·비단 등의 천연 섬유, 폴리에스테르·폴리에틸렌·나일론 등의 합성 섬유를 들 수 있다. 천끼리는 봉합, 접착제에 의한 접착, 열 융착, 초음파 융착 등에 의해 접합할 수 있다.
겉감(11)은 안감(12)에 비해서 통기도(프레이저 통기도:JIS L 1096)가 낮은 천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에 따라, 겉감(11)으로부터 외부로 공기가 빠지는 것에 기인하는 공기의 도입 효율이 떨어질 일이 없고, 또 안감(12)으로부터 전체적으로 신체에 공기를 부여할 수 있다. 겉감(11)의 통기도는 낮을수록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프레이저 통기도를 제로(측정 한계 이하)로 할 수 있다.
의료(1)에서는, 겉감(11)의 가장자리부(11a)와 안감(12)이 서로 고정 부착되어 있다. 이와 같이 겉감(11)의 가장자리부(11a)가 안감(12)에 고정 부착되어 있음으로써, 겉감(11)과 안감(12) 사이로 공기를 통과시키는 유로의 베이스가 되는 부분을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겉감(11)과 안감(12)을 서로 고정 부착함으로써 의료(1)에 포켓이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겉감(11)의 가장자리(11a)부는 겉감(11)의 가장자리로부터 5cm 이내의 범위이며, 바람직하게는 3cm 이내, 더 바람직하게는 1cm 이내의 범위이다. 이하에서는, 겉감(11)의 가장자리부(11a)와 안감(12)이 서로 고정 부착되어 있는 부분을 제 1 고정 부착부(15)라고 칭한다.
제 1 고정 부착부(15)에서는, 겉감(11)의 가장자리부(11a)와 안감(12)의 가장자리부가 서로 고정 부착되어 있어도 좋다. 도 1∼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고정 부착부(15)에 있어서 겉감(11)의 둘레 가장자리부와 안감(12)의 둘레 가장자리부가 서로 고정 부착되어 있어도 좋다. 제 1 고정 부착부(15)의 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복수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제 1 고정 부착부(15)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위치에 있어서, 겉감(11)과 안감(12)이 서로 고정 부착되어 있는 복수의 제 2 고정 부착부(16)가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에 따라, 겉감(11)과 안감(12) 사이의 공기의 흐름을 적절하게 분기시킬 수 있기 때문에, 송풍기(30)로부터의 공기는 복수의 루트를 통해 배기구(28)로부터 배출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 결과, 착용자가 신체를 구부리거나 비틀거나 하는 등, 자세를 바꾸어도 공기의 흐름을 막지 않고 유지할 수 있어, 의료(1) 전체를 냉각할 수 있다. 또한, 제 2 고정 부착부(16)를 복수 형성함으로써 의료(1)의 부풂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슬림한 실루엣을 얻을 수도 있다.
제 2 고정 부착부(16)의 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체폭 방향(x)의 일방측(x1)과 타방측(x2)에 각각 복수 형성할 수 있다. 제 2 고정 부착부(16)는 체폭 방향(x)의 일방측(x1)과 타방측(x2)의 각각에 있어서, 신장 방향(y)으로 이격해서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복수의 제 2 고정 부착부(16)는 체폭 방향(x)으로 이격해서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제 2 고정 부착부(16)의 연장 방향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신장 방향(y)이나 체폭 방향(x)으로 연장되어 있어도 좋고, 신장 방향(y) 또는 체폭 방향(x)에 대하여 경사져 있어도 좋다. 제 2 고정 부착부(16)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띠 형상 또는 선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복수의 제 2 고정 부착부(16)의 길이나 폭은, 동일해도 좋고, 서로 달라도 좋다.
제 2 고정 부착부(16)는 의료(1)의 신장 방향(y)의 전체에 걸쳐 형성되어 있어도 좋고, 신장 방향(y)의 일부에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제 1 고정 부착부(15) 및 제 2 고정 부착부(16)에 있어서 겉감(11)과 안감(12)은, 봉합, 접착제의 도포, 가열 밀봉이나 열 음파 융착 등의 열 융착, 압정 고정, 또는 이것들의 조합에 의해 고정 부착할 수 있다.
겉감(11)에는 개구부(20)가 형성되어 있다. 송풍기(30)는 개구부(20)에 부착되어 있고, 외부의 공기를 겉감(11)과 안감(12) 사이로 도입한다. 송풍기(30)는 송풍기 본체부를 갖는 제 1 부분(31)과, 제 1 부분(31)에 결합되어 있고 제 1 부분(31)을 개구부(20)에 고정하는 제 2 부분(32)을 갖는다. 복수의 배기구(28)는 안감(12)에 형성되어 있고, 겉감(11)과 안감(12) 사이의 공기를 착용자측으로 배출한다. 이 때문에, 배기구(28)는 겉감(11)에는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것이 바람직하다. 배기구(28)는 안감(12)의 표면측에서 이면측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송풍기(30)에 의해 겉감(11)과 안감(12) 사이에 도입된 공기가 배기구(28)로부터 배출됨으로써, 예를 들면 땀이 증발할 때의 기화열을 이용해서 신체의 열을 내보낼 수 있다.
개구부(20)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원형상, 타원형상, 다각형상, 또는 이것들의 조합으로 할 수 있다.
송풍기(30)의 제 1 부분(31)과 제 2 부분(32)은 서로 결합되는 구조를 갖고 있으면 좋다. 예를 들면, 제 2 부분(32)은 제 1 부분(31)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제 2 부분(32)을 제 1 부분(31)에 결합시키기 쉬워지기 때문에, 겉감(11)에 송풍기(30)를 부착하기 쉬워진다.
도 5에서는 송풍기(30)의 제 1 부분(31)과 제 2 부분(32)의 구성예를 나타내고 있다. 송풍기(30)의 제 1 부분(31)은 안감(12)측(피부측)을 향해서 돌출되어 있고, 개구부(20)를 관통하고 있는 삽입부(31a)와, 겉감(11)보다 표면측에 존재하고, 삽입부(31a)의 기단측에 접속되어서, 개구부(20)보다 외경이 큰 두부(31b)를 갖고 있다. 삽입부(31a)의 선단측의 표면의 둘레 방향의 일부에는 볼록부(31aa)가 형성되어 있다. 송풍기(30)의 제 2 부분(32)은 겉감(11)보다 피부측에 존재하고, 제 1 부분(31)의 삽입부(31a)를 수납하는 구멍(32a)을 갖고 있다. 예를 들면, 제 2 부분(32)은 링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 2 부분(32)의 구멍(32a) 내벽의 둘레 방향의 일부에는, 삽입부(31a)의 볼록부(31aa)와 결합되는 홈(32aa)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 1 부분(31)의 삽입부(31a)를 제 2 부분(32)의 구멍(32a)에 삽입하고, 제 1 부분(31)에 대하여 제 2 부분(32)을 회전시킴으로써 제 1 부분(31)의 볼록부(31aa)와 제 2 부분(32)의 홈(32aa)이 결합하여, 제 1 부분(31)과 제 2 부분(32)을 체결할 수 있다.
도 6은 도 5에 나타낸 단면도의 변형예를 나타낸다. 도 6에서는, 겉감(11)으로부터 안감(12)을 향하는 방향에 있어서, 제 1 부분(31)과 제 2 부분(32)의 위치가 도 5와는 반대가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즉, 도 6에서는, 겉감(11)보다 피부측에 제 1 부분(31)의 두부(31b)가 존재하고, 겉감(11)보다 표면측에 제 2 부분(32)이 존재하고 있다.
제 1 부분(31)과 제 2 부분(32)의 구조는 상기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제 1 부분(31)이 오목부를 갖고 있고, 제 2 부분(32)이 제 1 부분(31)의 오목부와 결합되는 볼록부를 갖고 있어도 좋다. 또한, 제 1 부분(31)과 제 2 부분(32)이 볼트와 너트와 같은 구조를 갖고 있어도 좋다.
송풍기(30)는 의료(1)를 착용했을 때에 방해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면 좋다. 예를 들면 의료(1)가 상의(2)인 경우, 송풍기(30)는 앞길(3)과 뒷길(4)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뒷길(4)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송풍기(30)는 신장 방향(y)에 있어서 견갑골보다 하방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착용자의 허리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또한, 소매에는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것이 바람직하다.
송풍기(30)의 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신체 전체를 효율적으로 냉각하기 위해서, 송풍기(30)는 체폭 방향(x)의 일방측(x1)과 타방측(x2)에 각각 부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뒷길(4)의 좌측과 우측에 각각 부착되어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송풍기(30)는 체폭 방향(x)으로 이격해서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또,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따른 의료(1)에 있어서 체폭 방향(x)의 일방측(x1)과 타방측(x2)은 각각 체폭 방향(x)의 중앙선(C)의 우측과 좌측을 의미한다.
의료(1)는 앞길(3)과 뒷길(4)을 갖는 상의(2)이며, 송풍기(30)는 뒷길(4)에 부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송풍기(30)를 의료(1)의 착용시에 방해되지 않는 위치에 배치하면서, 제 2 고정 부착부(16)에 의해 앞길(3)과 뒷길(4) 양쪽에서 공기의 흐름 방향이 제어되기 때문에, 의료(1) 전체를 효율적으로 냉각할 수 있다.
신장 방향(y)에 있어서, 송풍기(30)의 중심부는 가장 하방측에 배치되어 있는 제 2 고정 부착부(16)의 하방단보다 상방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송풍기(30)로부터의 공기는 가장 하방측에 나란히 배치되어 있는 2개의 제 2 고정 부착부(16) 사이를 지나기 쉬워지기 때문에, 공기가 다양한 방향으로 흐르기 쉬워져서 의료(1) 전체에 널리 퍼지기 쉬워진다.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신장 방향(y)에 있어서 송풍기(30)의 중심부는, 가장 하방측에 배치되어 있는 제 2 고정 부착부(16)의 하방단보다 하방에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이에 따라, 송풍기(30)로부터의 공기는 체폭 방향(x)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는 2개의 제 2 고정 부착부(16) 사이를 지나, 신장 방향(y)을 따라 흐르기 쉬워진다.
배기구(28)는 땀을 흘리기 쉬운 곳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두부, 목, 겨드랑이, 가슴, 좌우의 견갑골 사이, 무릎 뒤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복수의 배기구(28)는 좌우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도 2 및 도 4에서는, 배기구(28)가 앞길(3) 및 뒷길(4)의 겨드랑이에 대응하는 위치, 뒷길(4)의 좌우의 견갑골 사이에 대응하는 위치(특히 도 4에서는 체폭 방향(x)의 중앙선(C)에 겹치는 위치), 앞길(3)의 흉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배기구(28)의 개구 면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1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20㎟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30㎟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또한 3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28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250㎟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배기구(28)가 원형일 경우, 배기구(28)의 직경은 5㎜ 이상, 바람직하게는 7㎜ 이상으로 할 수 있고, 20㎜ 이하, 바람직하게는 15㎜의 범위로 해도 좋다.
배기구(28)의 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신체 전체를 효율적으로 냉각하기 위해서, 배기구(28)는 체폭 방향(x)의 일방측(x1)과 타방측(x2)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뒷길(4)의 좌측과 우측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복수의 배기구(28)는 체폭 방향(x)의 일방측(x1)과 타방측(x2)에 각각에 있어서 신장 방향(y)으로 이격해서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배기구(28)가 체폭 방향(x)의 일방측(x1)과 타방측(x2)의 각각에 있어서 적어도 2개씩 배치되어 있고, 체폭 방향(x)의 일방측(x1)과 타방측(x2)의 각각에 있어서, 배기구(28)의 개구 면적은 공기의 흐름 방향의 하류측일수록 큰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공기의 흐름 방향의 하류측에서 공기를 적극적으로 배출하기 쉬워지기 때문에, 공기의 유속이 높아져서 의료(1)를 재빠르게 냉각할 수 있다.
신장 방향(y)에 있어서 의료(1)를 상측(y1)과 하측(y2)으로 이등 분할했을 때에, 상측(y1)에 복수의 배기구(28)가 배치되고 있고, 하측(y2)에 송풍기(30)가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송풍기(30)를 의료(1)의 착용시에 방해되지 않는 위치에 배치하면서, 신장 방향(y)의 하방으로부터 상방을 향해서 공기를 흐르게 함으로써 의료(1) 전체를 효율적으로 냉각할 수 있다.
체폭 방향(x)의 일방측(x1)과 타방측(x2)의 각각에 있어서, 체폭 방향(x)으로 배열되어 있는 하나의 제 2 고정 부착부(16)와 다른 제 2 고정 부착부(16) 사이에 복수의 배기구(28)가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체폭 방향(x)으로 배열되어 있는 제 2 고정 부착부(16) 사이로 유도된 공기를 효율적으로 배기구(28)로부터 배출할 수 있기 때문에, 의료(1)의 냉각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신장 방향(y)에 있어서 가장 상방에 배치되어 있는 배기구(28)의 상방단은, 가장 상방에 배치되어 있는 제 2 고정 부착부(16)의 상방단보다 하방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신장 방향(y)에 있어서 가장 하방에 배치되어 있는 배기구(28)의 하방단은, 가장 하방에 배치되어 있는 제 2 고정 부착부(16)의 하방단보다 상방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제 2 고정 부착부(16)로 공기의 흐름 방향을 제어하면서, 공기를 효율적으로 배기구(28)로부터 배출할 수 있다.
개구부(20)는 그 가장자리 부분(21)이며 안감(12)에 대향하고 있는 이면 가장자리 부분(23)과, 상기 이면 가장자리 부분(23)과는 반대측의 표면 가장자리 부분(22)을 갖고 있고, 하기 (1) 또는 (2) 중 어느 하나를 충족시키고 있다.
(1)제 2 부분(32)은 이면 가장자리 부분(23)에 접하고 있고, 이면 가장자리 부분(23)의 특정 마찰 저항은 겉감(11)의 이면측 면(25)(이면 가장자리 부분(23)을 제외한다)의 특정 마찰 저항보다 작다.
(2) 제 2 부분(32)은 표면 가장자리 부분(22)에 접하고 있고, 표면 가장자리 부분(22)의 특정 마찰 저항은 겉감(11)의 표면측 면(24)(표면 가장자리 부분(22)을 제외한다)의 특정 마찰 저항보다 작다.
도 5, 도 6은 각각 상기 (1), (2)의 조건을 나타내고 있다. 상기 (1) 또는 (2)의 요건을 충족시킴으로써, 제 2 부분(32)에 대한 겉감(11)의 슬라이딩성이 양호해지기 때문에, 개구부(20)로의 송풍기(30) 부착시에 제 1 부분(31)과 제 2 부분(32)의 결합에 따라 겉감(11)이 꼬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1) 및 (2)에 있어서 특정 마찰 저항이란, 시마즈 세이사쿠쇼제 정밀만능 시험기 오토그래프의 마찰계수 측정 장치(형번: AGS-X)로 계측되는 정마찰계수 및 동마찰계수를 이용하여 산출되는 마찰력(단위: N)이다.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따른 의료(1)에 있어서, 개구부(20)의 가장자리 부분 (21)은 개구부(20)의 가장자리 단부(26)(가장자리)로부터 5cm 이내의 범위를 가리키는 것으로 한다.
도 5∼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구부(20)의 가장자리 부분(21)이 송풍기(30)의 제 1 부분(31)과 제 2 부분(32)에 의해 협지되어 있어도 좋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개구부(20)로의 송풍기(30)의 부착 및 분리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가장자리 부분(21)의 최소 외경은 제 2 부분(32)의 최대 외경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제 2 부분(32)과 가장자리 부분(21)의 접촉 면적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제 2 부분(32)에 대하여 겉감(11)이 과도하게 미끄러지는 것에 의한 송풍기(30)의 위치 어긋남이나 회전 어긋남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도 8을 이용하여, 겉감(11)의 가장자리 부분(21)에 합성 피혁(40)이 배치되어 있는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도 8은 도 5에 나타낸 단면도의 변형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이 이면 가장자리 부분(23) 또는 표면 가장자리 부분(22)에 합성 피혁(40)이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합성 피혁(40)의 표면은 적당한 슬라이딩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이와 같이 합성 피혁(40)이 배치됨으로써 제 2 부분(32)에 대한 겉감(11)의 슬라이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의료(1)의 개구부(20)로의 송풍기(30) 부착시에 제 1 부분(31)과 제 2 부분(32)의 결합에 따라 겉감(11)이 꼬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겉감(11)의 표면 가장자리 부분(22)의 표면 상 또는 이면 가장자리 부분(23)의 표면 상에 합성 피혁(40)이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즉, 겉감(11)의 가장자리 부분(21)에서는 겉감(11)과 합성 피혁(40)의 적층체가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에 따라, 겉감(11)의 표면 상에 합성 피혁(40)을 적층하는 것 만으로 합성 피혁(40)의 배치를 행할 수 있다. 또한, 가장자리 부분(21)에 있어서의 천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에, 송풍기(30)의 부착 및 분리를 반복하여 행하는 것에 적합하다.
또한,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장자리 부분(21)이 합성 피혁(40)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즉, 가장자리 부분(21)이 합성 피혁(40)만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에 따라, 겉감(11)과 합성 피혁(40)의 적층이 불필요하게 되기 때문에, 가장자리 부분(21)의 두께의 증대를 억제하면서 겉감(11)의 꼬임을 방지할 수 있다.
개구부(20)의 가장자리 단부(26)에 있어서 합성 피혁(40)의 단부(41)가 노출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합성 피혁(40)의 단부(41)는 송풍기(30)에 면하도록 배치된다. 합성 피혁(40)의 단부(41)는 적당한 요철을 갖고 있기 때문에, 제 1 부분(31)과 제 2 부분(32)의 결합시에 합성 피혁(40)의 단부(41)와 송풍기(30)가 접촉함으로써 합성 피혁(40)의 단부(41)는 미끄럼 저항으로서 기능한다. 이 때문에, 개구부(20)에 부착된 송풍기(30)의 위치 어긋남이나 회전 어긋남을 방지할 수 있다.
개구부(20)의 가장자리 단부(26)와 합성 피혁(40)의 단부(41)가 동일 높이의 면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개구부(20)의 가장자리 부분(21)에 있어서 겉감(11)과 합성 피혁(40)의 적층체의 두께가 균일해지기 쉽기 때문에, 겉감(11)과 합성 피혁(40)의 적층체를 송풍기(30)의 제 1 부분(31)과 제 2 부분(32)으로 협지하기 쉬워진다.
개구부(20)의 가장자리 단부(26)보다 합성 피혁(40)의 단부(41)가 개구부(20)의 안쪽에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이에 따라, 합성 피혁(40)의 단부(41)가 송풍기(30)에 접촉하기 쉬워지기 때문에 미끄럼 저항의 효과를 보다 한층 높일 수 있다.
합성 피혁(40)은 개구부(20)의 이면 가장자리 부분(23)의 적어도 일부, 또는 표면 가장자리 부분(22)의 적어도 일부에 배치되어 있으면 좋고, 이면 가장자리 부분(23) 전체 또는 표면 가장자리 부분(22) 전체에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합성 피혁(40)은 개구부(20)의 둘레 방향의 일부에 배치되어 있어도 좋고, 둘레 방향 전체에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합성 피혁(40)의 외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원형, 타원형, 다각형, 또는 이것들을 조합시킨 형상으로 할 수 있다. 또, 합성 피혁(40)의 최대 외경이 개구부(20)의 최대 외경보다 클 경우, 합성 피혁(40)에는 개구부(20)와 연통하는 개구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합성 피혁(40)은 개구부(20)를 둘러싸고 있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개구부(20)의 주위에 복수의 합성 피혁(40)이 이격해서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합성 피혁(40)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직포, 편물 또는 부직포로 구성되어 있는 기포(基布)에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등의 수지를 도포하고, 엠보싱 가공에 의해 표면에 잔주름 모양을 붙임으로써 천연 피혁을 모방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제 2 관점에 따른 의료)
도 9∼도 11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제 2 관점에 따른 의료(1)의 일실시형태 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9∼도 10은 본 발명의 제 2 관점에 따른 의료(1)의 단면도를 나타내고, 도 11은 도 9에 나타낸 의료(1)의 겉감(11)과 미끄럼 방지층(50)의 적층체의 단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본 발명의 제 2 관점에 따른 의료(1)의 일실시형태는, 겉감(11)과, 겉감(11)보다 착용자의 피부측에 배치되어 있는 안감(12)과, 겉감(11)에 형성되어 있는 개구부(20)와, 개구부(20)에 부착되어 있고, 외부의 공기를 겉감(11)과 안감(12) 사이로 도입하는 송풍기(30)와, 안감(12)에 형성되어 있고, 겉감(11)과 안감(12) 사이의 공기를 착용자측으로 배출하는 복수의 배기구(28)와, 겉감(11)과 안감(12) 사이 또는 겉감(11)보다 표면측에 형성되고, 수지를 포함하는 미끄럼 방지층(50)을 갖고 있고, 개구부(20)의 가장자리 단부(26)에 있어서 미끄럼 방지층(50)이 노출되어 있다.
의료(1), 겉감(11), 안감(12), 개구부(20), 송풍기(30) 및 배기구(28)의 상세에 대해서는, 제 1 관점에 따른 의료와 같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기타, 제 1 관점에 따른 의료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미끄럼 방지층(50)은 겉감(11)과 안감(12) 사이 또는 겉감(11)보다 표면측에 형성되고, 수지를 포함하는 것이며, 개구부(20)의 가장자리 단부(26)에 있어서 미끄럼 방지층(50)이 노출되어 있다. 이에 따라, 미끄럼 방지층(50)이 송풍기(30)에 면하도록 배치된다. 미끄럼 방지층(50)은 수지를 포함하기 때문에 겉감(11)으로의 송풍기(30)의 부착시에 미끄럼 방지층(50)과 송풍기(30)가 접촉함으로써 미끄럼 방지층(50)은 미끄럼 저항으로서 기능한다. 이 때문에, 개구부(20)에 부착된 송풍기(30)의 위치 어긋남이나 회전 어긋남을 방지할 수 있다.
미끄럼 방지층(50)에 포함되는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우레탄 수지, 폴리에틸렌 수지, 나일론 등의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미끄럼 방지층(50)은, 송풍기(30)가 부착되어 있는 개구부(20)의 가장자리 부분(21)에만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미끄럼 방지층(50)과 송풍기(30)의 접촉 면적을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송풍기(30)에 대한 겉감(11)의 슬라이딩성이 적절하게 확보된다. 이 때문에, 미끄럼 방지층(50)과 송풍기(30) 사이의 마찰 저항이 과도하게 커짐으로써 개구부(20)로의 송풍기(30) 부착시에 겉감(11)이 꼬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미끄럼 방지층(50)은 섬유층(51)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섬유층(51)의 섬유가 미끄럼 방지층(50)의 뼈대로서 기능하기 때문에, 미끄럼 방지층(50)의 강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섬유층(51)은 적당한 요철을 갖고 있기 때문에, 섬유층(51)이 미끄럼 방지층(50)의 표면에 위치할 경우에는 미끄럼 저항으로서 기능시킬 수도 있다
섬유층(51)으로서는, 편물, 직포, 부직포 등의 직물을 사용할 수 있다. 또, 섬유층(51)에는 수지가 함침되어 있어도 좋다.
섬유층(51)을 구성하는 섬유로서는, 면, 비단 등의 천연 섬유나, 폴리우레탄, 폴리에틸렌, 폴리에스테르 등의 합성 섬유를 들 수 있다.
미끄럼 방지층(50)은 수지층(52)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미끄럼 방지층(50)의 강도를 높이거나, 탄력성, 슬라이딩성이나 감촉을 부가하거나 할 수 있다. 또한, 수지층(52)이 미끄럼 방지층(50)의 표면에 위치할 경우에는, 적당한 슬라이딩성을 확보할 수도 있다.
수지층(52)을 구성하는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우레탄 수지, 폴리에틸렌 수지, 나일론 등의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미끄럼 방지층(50)은 섬유층(51)과 섬유층(51) 상에 형성되어 있는 수지층(52)을 갖고 있어도 좋다. 그 경우, 수지층(52)이 송풍기(30)의 적어도 일부에 면하도록 배치되어 있고, 섬유층(51)이 겉감(11)에 면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수지층(52)이 송풍기(30)의 적어도 일부와 접하도록 배치되어 있고, 섬유층(51)이 겉감(11)과 접하도록 배치된다. 섬유층(51)은 적당한 요철을 갖고 있기 때문에, 개구부(20)의 가장자리 단부(26)에 있어서 섬유층(51)의 단부와 송풍기(30)가 접촉함으로써 섬유층(51)은 미끄럼 저항으로서 기능한다. 이 때문에, 개구부(20)에 부착된 송풍기(30)의 위치 어긋남이나 회전 어긋남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수지층(52)은 적당한 슬라이딩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미끄럼 방지층(50)과 송풍기(30) 사이의 마찰 저항이 과도하게 커짐으로써 개구부(20)로의 송풍기(30)의 부착시에 겉감(11)이 꼬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송풍기(30)가 송풍기 본체부를 갖는 제 1 부분(31)과, 제 1 부분(31)에 결합되어 있고 제 1 부분(31)을 개구부(20)에 고정하는 제 2 부분(32)을 갖고 있을 경우, 수지층(52)이 제 1 부분(31)에 면하도록 배치되어 있고, 섬유층(51)이 겉감(11)에 면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별도의 형태로서, 송풍기(30)가 상기 제 1 부분(31)과 제 2 부분(32)을 갖고 있을 경우, 수지층(52)이 제 2 부분(32)에 면하도록 배치되어 있고, 섬유층(51)이 겉감(11)에 면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송풍기(30)가 제 1 부분(31)과 제 2 부분(32)을 갖고 있을 경우, 미끄럼 방지층(50)이 제 1 부분(31)과 제 2 부분(32)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미끄럼 방지층(50)과 송풍기(30)가 접촉하기 쉬워지기 때문에, 개구부(20)에 부착된 송풍기(30)의 어긋남 방지 효과를 보다 한층 향상시킬 수 있다.
미끄럼 방지층(50)으로서는, 합성 피혁(40)이나 인공 피혁, 합성 섬유로 구성되는 부직포, 직포, 편물 등의 직물, 플라스틱 시트, 플라스틱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미끄럼 방지층(50)은 겉감(11)보다 두꺼운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미끄럼 방지층(50)의 단부(53)에 있어서 미끄럼 방지층(50)과 송풍기(30)의 접촉 면적을 크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미끄럼 방지층(50)의 미끄럼 저항 효과를 보다 한층 높일 수 있다.
개구부(20)의 가장자리 단부(26)와 미끄럼 방지층(50)의 단부(53)가 동일 높이 면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개구부(20)의 가장자리 부분(21)에 있어서 겉감(11)과 미끄럼 방지층(50)의 적층체의 두께가 균일해지기 쉽기 때문에, 겉감(11)과 미끄럼 방지층(50)의 적층체를 송풍기(30)의 제 1 부분(31)과 제 2 부분(32)으로 협지하기 쉬워진다.
개구부(20)의 가장자리 단부(26)보다 미끄럼 방지층(50)의 단부(53)가 개구부(20)의 안쪽에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이에 따라, 미끄럼 방지층(50)의 단부(53)가 송풍기(30)에 접촉하기 쉬워지기 때문에, 미끄럼 저항의 효과를 보다 한층 높일 수 있다.
미끄럼 방지층(50)은 개구부(20)의 이면 가장자리 부분(23)의 적어도 일부, 또는 표면 가장자리 부분(22)의 적어도 일부에 배치되어 있으면 좋고, 이면 가장자리 부분(23) 전체 또는 표면 가장자리 부분(22) 전체에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미끄럼 방지층(50)은 개구부(20)의 둘레 방향의 일부에 배치되어 있어도 좋고, 둘레 방향 전체에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미끄럼 방지층(50)의 외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원형, 타원형, 다각형 또는 이것들을 조합시킨 형상으로 할 수 있다. 또, 미끄럼 방지층(50)의 최대 외경이 개구부(20)의 최대 외경보다 클 경우, 미끄럼 방지층(50)에는 개구부(20)와 연통하는 개구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미끄럼 방지층(50)은 개구부(20)를 둘러싸고 있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개구부(20)의 주위에 복수의 미끄럼 방지층(50)이 이격해서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개구부(20)는 겉감(11)과 미끄럼 방지층(50)의 적층체를 레이저 재단해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개구부(20)를 형성함으로써 미끄럼 방지층(50)을 노출시킬 수 있기 때문에, 개구부(20)의 가장자리 단부(26)에 있어서 미끄럼 방지층(50)의 단부(53)를 송풍기(30)와 접촉시킬 수 있다. 또한, 레이저 열에 의해 적층체의 절단면이 융착되기 때문에 적층체의 흐트러짐을 막을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는 상기 제 2 관점에 따른 의료(1)를 제조하는 방법도 포함된다. 본 발명의 제 2 관점에 따른 의료(1)의 제조 방법의 일실시형태는, 겉감(11)과 겉감(11)에 형성되어 있는 미끄럼 방지층(50)을 갖는 적층체를 준비하는 공정과, 적층체를 레이저 재단해서 개구부(20)를 형성하는 공정과, 개구부(20)에 송풍기(30)를 부착하는 공정을 갖는다. 이와 같이 개구부(20)를 형성함으로써 미끄럼 방지층(50)을 노출시킬 수 있기 때문에, 미끄럼 방지층(50)을 송풍기(30)와 접촉시킬 수 있다. 또한, 레이저 열에 의해 적층체의 절단면이 융착되기 때문에 적층체의 흐트러짐을 막을 수도 있다.
(제 3 관점에 따른 의료)
도 12∼도 17을 사용하여 제 3 관점에 따른 의료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2∼도 13은 의료(101)의 뒷길(104)을 표면측과 이면측에서 본 정면도를 나타낸다. 도 12∼도 13에서는, 의료(101)가 상의(102)(소매가 없는 베스트)인 예를 사용하여 설명하지만, 의료(101)의 형태는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소매가 있는 것이라도 좋다. 소매부는 안감이 없고, 겉감 한 장으로 구성되는 것이라도 좋다.
본 발명의 제 3 관점에 따른 의료(101)의 일실시형태는, 겉감(111)과, 상기 겉감(111)보다 착용자의 피부측에 배치되어 있는 안감(112)과, 겉감(111)의 가장자리부(111a)와 안감(112)이 서로 고정 부착되어 있는 제 1 고정 부착부(121)와, 겉감(111)에 부착되어 있고, 외부의 공기를 겉감과 안감 사이에 도입하는 송풍기 (115)와, 안감(112)에 형성되어 있고, 겉감(111)과 안감(112) 사이의 공기를 착용자측으로 배출하는 복수의 배기구(116)를 갖고 있는 의료(101)이며, 제 1 고정 부착부(121)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위치에 있어서 겉감(111)과 안감(112)이 서로 고정 부착되어 있는 복수의 제 2 고정 부착부(122)가 형성되어 있고, 또한, 하기 (1)∼(3)에 규정하는 조건을 충족시키고 있다.
(1)송풍기(115)는 겉감(111)의 적어도 일부를 구성하는 영역(X)에 부착되어 있다.
(2)영역(X)은, 제 1 고정 부착부(121) 또는 제 2 고정 부착부(122)에 의해 둘러싸여 있는 영역이다. 단, 영역(X)을 구획하고 있는 제 2 고정 부착부(122)끼리의 사이에 있는 간극(130), 영역(X)을 구획하고 있는 제 2 고정 부착부(122)와 제 1 고정 부착부(121)의 사이에 있는 간극(130)이 있음으로써 겉감(111)과 안감(112)이 서로 고정 부착되어 있지 않은 부분이 존재하고 있어도, 간극(130)의 크기가 간극(130)의 부분을 송풍기(115)가 빠져 나가지 않는 것을 조건으로 해서, 간극(130)의 부분에 제 2 고정 부착부(122)가 존재하고 있는 것으로 간주해서 영역(X)을 획정한다.
(3)안감(112)은 영역(X)에 서로 대향하는 영역(Y)을 갖고 있고, 영역(X) 및 영역(Y) 중 적어도 한쪽에는 개폐 가능한 개구부(117)가 형성되어져 있다.
상기와 같이 송풍기(115)와 개구부(117)가 배치되어 있음으로써, 개구부(117)를 경유해서 송풍기(115)의 적어도 일부를 외부로 꺼내기 쉬워진다. 이에 따라, 송풍기(115)의 적어도 일부가 의료(101)로부터 분리되기 때문에 의료(101)를 세탁하기 쉬워진다. 도 12에서는, 영역(X)을 좌하향의 해칭으로 나타내고 있고, 도 13에서는 영역(Y)을 교차하는 해칭으로 나타내고 있다.
겉감(111), 안감(112), 배기구(116), 제 1 고정 부착부(121), 제 2 고정 부착부(122)의 구성에 대해서는, 제 1∼제 2 관점에 따른 의료(1)의 겉감(11), 안감(12), 배기구(28), 제 1 고정 부착부(15), 제 2 고정 부착부(16)의 설명을 각각 참조할 수 있다.
송풍기(115)는 겉감(111)에 부착되어 있고, 외부의 공기를 겉감(111)과 안감(112) 사이에 도입한다. 복수의 배기구(116)는 안감(112)에 형성되어 있고, 겉감(111)과 안감(112) 사이의 공기를 착용자측으로 배출한다. 배기구(116)는 안감(112)의 표면측에서 이면측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겉감(111)과 안감(112) 사이에 도입된 공기가 배기구(116)로부터 배출됨으로써, 예를 들면 땀이 증발할 때의 기화열을 이용해서 신체의 열을 내보낼 수 있다. 그 외, 송풍기(115)의 구성에 대해서는, 제 1 관점에 따른 의료(1)의 송풍기(30)의 설명을 참조할 수 있다.
영역(X)을 구획하고 있는 제 2 고정 부착부(122)끼리의 사이에 있는 간극(130)을 제 1 간극(131), 영역(X)을 구획하고 있는 제 2 고정 부착부(122)와 제 1 고정 부착부(121) 사이에 있는 간극(130)을 제 2 간극(132)이라고 하면, 상기 (2)의 조건의 단서는, 「영역(X)을 구획하고 있는 제 2 고정 부착부(122)끼리의 사이에 있는 제 1 간극(131), 영역(X)을 구획하고 있는 제 2 고정 부착부(122)와 제 1 고정 부착부(121)의 사이에 있는 제 2 간극(132)이 있음으로써 겉감(111)과 안감(112)이 서로 고정 부착되어 있지 않은 부분이 존재하고 있어도, 제 1 간극(131) 및 제 2 간극(132)의 크기가 제 1 간극(131) 및 제 2 간극(132)의 부분을 송풍기(115)가 빠져 나가지 않는 것을 조건으로 해서, 제 1 간극(131) 및 제 2 간극(132)의 부분에 제 2 고정 부착부(122)가 존재하고 있는 것으로 간주해서 영역(X)을 획정한다」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또한, 조건 (2)의 단서인 「간극(130)의 크기가 간극(130)의 부분을 송풍기(115)가 빠져 나가지 않는 것이다」란, 제 1 간극(131) 및 제 2 간극(132)의 크기가 겉감(111) 또는 안감(112)의 면에 대하여 평행 이동시켰을 때에 이들 제 1 간극(131) 및 제 2 간극(132)의 부분을 송풍기(115)가 빠져 나가지 않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개구부(117)는 1개만 형성되어 있어도 좋고, 복수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그 중에서도, 개구부(117)와 송풍기(115)의 수가 같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송풍기(115)에 대응하는 개구부(117)가 각각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송풍기(115)를 외부로 꺼내기 쉬워진다.
개구부(117)는 신장 방향(y)으로 연장되어 있어도 좋고, 체폭 방향(x)으로 연장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개구부(117)는 신장 방향(y)에 대하여 3도 이상, 5도 이상, 또는 10도 이상 경사져 있어도 좋고, 또한 30도 이하, 25도 이하, 또는 20도 이하 경사져 있어도 좋다.
개구부(117)의 연장 길이는 송풍기(115)의 외경보다 긴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개구부(117)를 경유해서 송풍기(115)를 외부로 꺼내기 쉬워진다.
도 12∼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구부(117)는 영역(Y)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개구부(117)는 영역(Y)에 형성되어 있고, 영역(X)에는 형성되어 있지 않아도 좋다. 이에 따라, 안감(112)측의 개구부(117)로부터 송풍기(115)의 적어도 일부를 외부로 꺼낼 수 있음과 아울러, 의료(101)의 착용시에 개구부(117)를 눈에 띄기 어렵게 할 수도 있다.
도 14∼도 15를 참조하면서, 도 12∼도 13과는 다른 개구부(117)의 배치예 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4는 도 12에 나타낸 의료(101)의 뒷길(104)을 표면측에서 본 정면도의 변형예를 나타내고, 도 15는 도 14에 나타낸 의료(101)의 뒷길(104)을 이면측으로부터 본 정면도의 변형예를 나타낸다. 도 14∼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구부(117)는 영역(X)에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에 따라, 겉감(111)측의 개구부(117)를 경유해서 송풍기(115)의 적어도 일부를 외부로 꺼낼 수 있다. 개구부(117)를 영역(X)에 형성함으로써 개구부(117)가 표면측에 면하고, 눈에 띄기 쉬워진다.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개구부(117)는 영역(X)과 영역(Y)에 각각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에 따라, 영역(X)과 영역(Y)에 형성되어 있는 개구부(117) 중, 사용자가 꺼내기 쉬운 측으로부터 송풍기(115)를 외부로 꺼낼 수 있게 된다.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의료(101)에는 개구부(117)와는 별도로 포켓을 형성할 수도 있다. 포켓을 형성함으로써 의료(101)에 소품 등을 수용할 수 있다. 포켓은 겉감(111)에 형성되어 있어도 좋고, 안감(112)에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포켓의 위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개구부(117)가 안감(112)의 영역(Y)에 형성되어 있고, 포켓이 겉감(111)의 영역(X)에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송풍기(115)의 전부 또는 일부는, 개구부(117)를 경유해서 외부로 인출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송풍기(115)의 전부 또는 일부를 의료(101)로부터 분리할 수 있기 때문에 의료(101)를 세탁하기 쉬워진다.
개구부(117)에는 지퍼, 후크 앤드 루프 패스너, 스냅 단추 등의 잠금쇠가 구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의료(101)의 착용시에 개구부(117)를 닫을 수 있고, 의료(101)의 세탁시에 개구부(117)를 열 수 있다. 그 중에서도, 개구부(117)에는 지퍼가 구비되어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지퍼를 슬라이드시킴으로써 개구부(117)의 개폐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도 12∼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고정 부착부(122)는 신장 방향(y)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공기를 신장 방향(y)을 따라 흐르기 쉽게 할 수 있기 때문에, 공기의 유속이 높아져서 의료(101)를 재빠르게 냉각할 수 있다.
제 2 고정 부착부(122)는 체폭 방향(x)에 대하여 경사져 있어도 좋다. 예를 들면, 제 2 고정 부착부(122)는 체폭 방향(x)에 대하여 45도 이상 경사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60도 이상 경사져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70도 이상 경사져 있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또 135도 이하 경사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120도 이하 경사져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10도 이하 경사져 있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의료(101) 전체로서는 공기가 대략 신장 방향(y)으로 흐르게 된다.
이하에서는, 체폭 방향(x)에 대하여 45도 이상 120도 이하 경사진 방향 또는 신장 방향(y)으로 연장되어 있는 제 2 고정 부착부(122)를 제 2-1 고정 부착부(122A)라고 칭한다. 도 1∼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1 고정 부착부(122A)는 체폭 방향(x)의 일방측(x1)과 타방측(x2)의 각각에 배치되어 있고, 송풍기(115)는 각각의 제 2-1 고정 부착부(122A)보다 체폭 방향(x)의 바깥쪽에 있는 영역(X)에 각각 부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송풍기(115)로부터의 공기를 스무스하게 제 2-1 고정 부착부(122A)에 유도하면서, 체폭 방향(x)의 내방측의 부풂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슬림한 실루엣을 얻을 수 있다.
복수의 제 2-1 고정 부착부(122A)는 체폭 방향(x)의 일방측(x1)과 타방측(x2)의 각각에 있어서 신장 방향(y)으로 이격해서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제 2-1 고정 부착부(122A)가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겉감(111)과 안감(112) 사이의 공기의 흐름을 보다 다수로 분기시킬 수 있다.
송풍기(115)가 체폭 방향(x)의 일방측(x1)과 타방측(x2)에 각각 부착되어 있고, 개구부(117)가 체폭 방향(x)의 일방측(x1)과 타방측(x2)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송풍기(115)에 대응하는 개구부(117)가 각각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송풍기(115)를 외부로 꺼내기 쉬워진다.
제 2-1 고정 부착부(122A)는 체폭 방향(x)의 일방측(x1)과 타방측(x2)의 각각에 배치되어 있고, 송풍기(115)는 각각의 제 2-1 고정 부착부(122A)보다 체폭 방향(x)의 바깥쪽에 있는 영역(X)에 각각 부착되어 있고, 개구부(117)는 각각의 송풍기(115)보다 체폭 방향(x)의 바깥쪽에 있는 영역(Y)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송풍기(115)에 대응하는 개구부(117)가 각각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송풍기(115)를 외부로 꺼내기 쉬워진다.
공기 유통성의 향상의 관점으로부터, 제 1 고정 부착부(121)와 제 2-1 고정 부착부(122A)의 이격 거리는, 1c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3cm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5cm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의료(101)의 부풂 억제의 관점으로부터, 제 1 고정 부착부(121)와 제 2-1 고정 부착부(122A)의 이격 거리는, 30c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25cm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20cm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제 2-1 고정 부착부(122A)는 제 1 고정 부착부(121)보다 체폭 방향(x)의 안쪽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특히 팽창하기 쉬운 위치에서의 팽창 억제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제 2-1 고정 부착부(122A)의 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제 2-1 고정 부착부(122A)는 체폭 방향(x)의 일방측(x1)과 타방측(x2)의 각각에 있어서 적어도 3개씩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적어도 4개씩 배치되어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제 2-1 고정 부착부(122A)의 체폭 방향(x)의 일방측(x1)과 타방측(x2)의 각각에 있어서, 제 2-1 고정 부착부(122A)는 15개 이하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12개 이하 배치되어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겉감(111)과 안감(112) 사이의 공기의 흐름을 보다 다수로 분기시킬 수 있게 된다.
의료(101)는 앞길와 뒷길(104)을 갖는 상의(102)이며, 송풍기(115)는 뒷길(104)에 부착되어 있고, 복수의 제 2-1 고정 부착부(122A)는 앞길의 체폭 방향(x)의 일방측(x1)과 타방측(x2)과, 뒷길(104)의 체폭 방향(x)의 일방측(x1)과 타방측(x2)에 각각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송풍기(115)를 의료(101)를 착용했을 때에 방해되지 않는 위치에 배치하면서, 제 2-1 고정 부착부(122A)에 의해 앞길와 뒷길(104)의 양쪽에서 공기의 흐름 방향이 제어되기 때문에, 의료(101) 전체를 효율적으로 냉각할 수 있다.
복수의 제 2-1 고정 부착부(122A)는 체폭 방향(x)의 일방측(x1)과 타방측(x2)의 각각에 있어서, 체폭 방향(x)으로도 이격해서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공기의 흐름을 보다 다수로 분기시킬 수 있다.
제 2-1 고정 부착부(122A)가 체폭 방향(x)의 일방측(x1)과 타방측(x2)의 각각에 있어서 적어도 3개씩 배치되어 있고, 체폭 방향(x)의 일방측(x1)과 타방측(x2)의 각각에 있어서, 이웃하는 제 2-1 고정 부착부(122A) 사이의 신장 방향(y)의 거리는, 공기의 흐름 방향의 하류측일수록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하류측에서의 공기의 흐름 방향을 제어하기 쉬워져 의료(101) 전체를 적합하게 냉각할 수 있다. 여기에서, 이웃하는 제 2-1 고정 부착부(122A) 사이의 신장 방향(y)의 거리는, 신장 방향(y)에 있어서 상측에 위치하는 제 2-1 고정 부착부(122A)의 하방단과, 하측에 위치하는 제 2-1 고정 부착부(122A)의 상방단의 최단 거리를 의미한다.
하나의 제 2-1 고정 부착부(122A)가 체폭 방향(x)으로 이웃하는 다른 제 2-1 고정 부착부(122A)와의 거리는, 하나의 제 2-1 고정 부착부(122A)가 신장 방향(y)으로 이웃하는 또 다른 제 2-1 고정 부착부(122A)와의 거리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공기를 체폭 방향(x)보다 신장 방향(y)으로 우선적으로 흐르기 쉽게 할 수 있다. 여기에서, 하나의 제 2-1 고정 부착부(122A)가 체폭 방향(x)으로 이웃하는 다른 제 2-1 고정 부착부(122A)와의 거리(즉, 체폭 방향(x)에 있어서 이웃하는 제 2-1 고정 부착부(122A) 사이의 거리)는, 체폭 방향(x)에 있어서 좌측에 위치하는 제 2-1 고정 부착부(122A)의 우방단과, 우측에 위치하는 제 2-1 고정 부착부(122A)의 좌방단의 최단 거리를 의미한다.
이웃하는 제 2-1 고정 부착부(122A) 사이의 체폭 방향(x)의 거리는 신장 방향(y)에 있어서 일정해도 좋다. 이에 따라, 공기의 흐름 방향을 제어하기 쉬워져 의료(101)의 대량 생산에도 적합하다.
이웃하는 제 2-1 고정 부착부(122A) 사이의 체폭 방향(x)의 거리는, 공기의 흐름 방향의 하류측일수록 작아져 있어도 좋다. 이에 따라, 하류측에서의 공기의 흐름 방향을 제어하기 쉬워져 의료(101) 전체를 적합하게 냉각할 수 있다.
도 16∼도 17을 참조하면서, 도 12∼도 15와는 다른 개구부의 배치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6은 도 12에 나타낸 의료(101)의 정면도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내고, 도 17은 도 16에 나타낸 의료(101)의 뒷길(104)을 이면측으로부터 본 정면도를 나타낸다. 도 12∼도 15에서는, 개구부(117)가 신장 방향(y)으로 연장하도록 형성되어 있었지만, 도 16∼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구부(117)는 체폭 방향(x)으로 연장하도록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송풍기(115)가 체폭 방향(x)의 일방측(x1)과 타방측(x2)에 각각 부착되어 있을 경우, 개구부(117)는 체폭 방향(x)의 중심선(C)과 교차하고, 또한 체폭 방향(x)에 있어서 2개의 송풍기(115)의 내방단보다 바깥쪽으로 연장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체폭 방향(x)의 중심선(C)과 교차하고, 또한 체폭 방향(x)에 있어서 2개의 송풍기(115)의 외방단보다 바깥쪽으로 연장 되어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개구부(117)를 배치함으로써 개구부(117)의 수가 송풍기(115)의 수보다 적어도 개구부(117)를 경유해서 외부로 송풍기(115)를 꺼내기 쉬워진다.
도 16∼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신장 방향(y)에 있어서 개구부(117)는 제 2 고정 부착부(122)의 하방단보다 하방에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이에 따라, 의료(101)의 착용시에 개구부(117)를 눈에 띄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또, 개구부(117)가 체폭 방향(x)으로 연장되어 있을 경우, 개구부(117)는 의료(101)의 신장 방향(y)의 하방단으로부터 20cm 이내의 범위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15cm 이내의 범위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0cm 이내의 범위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도 12∼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고정 부착부(122)는 체폭 방향(x)으로 연장하도록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이에 따라, 신장 방향(y)에 있어서의 공기의 흐름이 막히기 때문에, 공기가 흐르는 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
신장 방향(y)에 있어서의 공기의 흐름을 막기 위해서 형성되는 제 2 고정 부착부(122)는, 체폭 방향(x)에 대하여 3도 이상, 5도 이상, 또는 10도 이상 경사져 있어도 좋고, 또한 30도 이하, 25도 이하, 또는 20도 이하 경사져 있어도 좋다.
이하에서는, 체폭 방향(x)에 대하여 3도 이상 20도 이하 경사진 방향 또는 체폭 방향(x)으로 연장되어 있는 제 2 고정 부착부(122)를 제 2-2 고정 부착부(122B)라고 칭한다. 공기를 막는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 제 2-2 고정 부착부(122B)는 복수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제 2-2 고정 부착부(122B)의 연장 방향은 제 2-1 고정 부착부(122A)의 연장 방향과 다른 것이 바람직하다.
송풍기(115)는 제 2-2 고정 부착부(122B)보다 신장 방향(y)의 상방에 부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제 2-2 고정 부착부(122B)가 배치되어 있음으로써 겉감(111)과 안감(112) 사이의 공기의 흐름을 더욱 다수로 분기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제 2-2 고정 부착부(122B)에 의해 공기의 흐름이 막혀서, 송풍기(115)로부터의 공기를 제 2-2 고정 부착부(122B)보다 신장 방향(y)의 상방으로 우선적으로 흐르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옷단부가 팽창하기 어려워져 허리 둘레를 깔끔하게 한 디자인으로 할 수 있다.
복수의 제 2-2 고정 부착부(122B)는 체폭 방향(x)의 일방측(x1)과 타방측(x2)의 각각에 있어서, 체폭 방향(x)으로 이격해서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제 2-2 고정 부착부(122B)가 배치되어 있음으로써 겉감(111)과 안감(112) 사이의 공기의 흐름을 더욱 다수로 분기할 수 있다.
신장 방향(y)에 있어서, 복수의 제 2-2 고정 부착부(122B)는 복수의 제 2-1 고정 부착부(122A)보다 하방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복수의 제 2-2 고정 부착부(122B)에 의해 공기의 흐름이 막혀, 송풍기(115)로부터의 공기를 공기의 흐름을 적절하게 분기시킬 수 있는 제 2-1 고정 부착부(122A)에 우선적으로 흐르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의료(101) 전체의 냉각 효과를 한층 더 높일 수 있다. 같은 이유로부터, 신장 방향(y)에 있어서 제 2-2 고정 부착부(122B)는 송풍기(115)보다 하방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의료(101)에는, 또한, 제 2-2 고정 부착부(122B)보다 체폭 방향(x)의 바깥쪽이며 제 2-1 고정 부착부(122A)보다 신장 방향(y)의 하방에 겉감(111)과 안감(112)이 서로 고정 부착되어 있는 제 2 고정 부착부(122)(이하, 제 2-3 고정 부착부(122C)라고 칭한다)가 형성되어 있고, 제 2-3 고정 부착부(122C)의 외방단이 제 1 고정 부착부(121)와 접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제 2-3 고정 부착부(122C)가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겉감(111)과 안감(112) 사이의 공기의 흐름을 막을 수 있다.
제 2-3 고정 부착부(122C)는 체폭 방향(x)으로 연장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 2-3 고정 부착부(122C)는 체폭 방향(x)의 일방측(x1)과 타방측(x2)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2-3 고정 부착부(122C)의 연장 방향은 제 2-2 고정 부착부(122B)의 연장 방향과 마찬가지로 할 수 있다.
제 2-1 고정 부착부(122A), 제 2-2 고정 부착부(122B), 제 2-3 고정 부착부(122C)의 형상은, 제 1∼제 2 관점에 따른 제 2 고정 부착부(16)와 마찬가지로, 띠 형상 또는 선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고, 연속적 또는 단속적인 띠 형상 또는 선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복수의 제 2-1 고정 부착부(122A), 복수의 제 2-2 고정 부착부(122B), 복수의 제 2-3 고정 부착부(122C)의 길이나 폭은, 각각 동일해도 달라도 좋다.
1 : 의료
2 : 상의
3 : 앞길
3L : 좌측 앞길
3R : 우측 앞길
4 : 뒷길
11 : 겉감
12 : 안감
15 : 제 1 고정 부착부
16 : 제 2 고정 부착부
20 : 개구부
21 : 가장자리 부분
22 : 표면 가장자리 부분
23 : 이면 가장자리 부분
24 : 겉감의 표면측 면(표면 가장자리 부분을 제외한다)
25 : 겉감의 이면측 면(이면 가장자리 부분을 제외한다)
26 : 개구부의 가장자리 단부
28 : 배기구
30 : 송풍기
31 : 제 1 부분
31a : 삽입부
31aa : 볼록부
3lb : 두부
32 : 제 2 부분
32a : 구멍
32aa : 홈
40 : 합성 피혁
41 : 합성 피혁의 단부
50 : 미끄럼 방지층
51 : 섬유층
52 : 수지층
53 : 미끄럼 방지층의 단부
101 : 의료
102 : 상의
104 : 뒷길
111 : 겉감
112 : 안감
115 : 송풍기
116 : 배기구
117 : 개구부
121 : 제 1 고정 부착부
122 : 제 2 고정 부착부
122A : 제 2-1 고정 부착부
122B : 제 2-2 고정 부착부
122C : 제 2-3 고정 부착부
130 : 간극
131 : 제 1 간극
132 : 제 2 간극
X, Y : 영역
x : 체폭 방향
x1 : 체폭 방향의 일방측
x2 : 체폭 방향의 타방측
y : 신장 방향
y1 : 신장 방향의 상측
y2 : 신장 방향의 하측

Claims (16)

  1. 겉감과,
    상기 겉감보다 착용자의 피부측에 배치되어 있는 안감과,
    상기 겉감에 형성되어 있는 개구부와,
    상기 개구부에 부착되어 있고, 외부의 공기를 상기 겉감과 상기 안감 사이에 도입하는 송풍기로서, 송풍기 본체부를 갖는 제 1 부분과, 상기 제 1 부분에 결합하고 있고 상기 제 1 부분을 상기 개구부에 고정하는 제 2 부분을 갖는 송풍기와,
    상기 안감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겉감과 상기 안감 사이의 공기를 착용자측으로 배출하는 복수의 배기구를 갖고 있는 의료로서,
    상기 개구부는, 그 가장자리 부분이며 상기 안감에 대향하고 있는 이면 가장자리 부분과, 상기 이면 가장자리 부분과는 반대측의 표면 가장자리 부분을 갖고 있고, 하기 (1) 또는 (2) 중 어느 하나를 충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1)상기 제 2 부분은 상기 이면 가장자리 부분에 접하고 있고, 상기 이면 가장자리 부분의 특정 마찰 저항은 상기 겉감의 이면측 면(상기 이면 가장자리 부분을 제외한다)의 특정 마찰 저항보다 작다.
    (2)상기 제 2 부분은 상기 표면 가장자리 부분에 접하고 있고, 상기 표면 가장자리 부분의 특정 마찰 저항은 상기 겉감의 표면측 면(상기 표면 가장자리 부분을 제외한다)의 특정 마찰 저항보다 작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부분은 상기 제 1 부분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는 의료.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장자리 부분의 최소 외경은 상기 제 2 부분의 최대 외경보다 작은 의료.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면 가장자리 부분 또는 상기 표면 가장자리 부분에 합성 피혁이 배치되어 있는 의료.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의 가장자리 단부에 있어서 상기 합성 피혁의 단부가 노출되어 있는 의료.
  6. 겉감과,
    상기 겉감보다 착용자의 피부측에 배치되어 있는 안감과,
    상기 겉감에 형성되어 있는 개구부와,
    상기 개구부에 부착되어 있고, 외부의 공기를 상기 겉감과 상기 안감 사이에 도입하는 송풍기와,
    상기 안감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겉감과 상기 안감 사이의 공기를 착용자측로 배출하는 복수의 배기구와,
    상기 겉감과 상기 안감 사이 또는 상기 겉감보다 표면측에 형성되어 있고, 수지를 포함하는 미끄럼 방지층
    을 갖고 있고, 상기 개구부의 가장자리 단부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 방지층이 노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 방지층은 상기 송풍기가 부착되어 있는 개구부의 가장자리 부분에만 형성되어 있는 의료.
  8.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 방지층은 섬유층을 갖는 의료.
  9. 제 6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 방지층은 수지층을 갖는 의료.
  10. 제 6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는 상기 겉감과 상기 미끄럼 방지층의 적층체를 레이저 재단해서 형성된 것인 의료.
  11. 제 6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 방지층은 상기 겉감보다 두꺼운 의료.
  12. 제 6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의료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겉감과 상기 겉감에 형성되어 있는 미끄럼 방지층을 갖는 적층체를 준비하는 공정과,
    상기 적층체를 레이저 재단해서 개구부를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개구부에 송풍기를 부착하는 공정을 갖는 방법.
  13. 겉감과,
    상기 겉감보다 착용자의 피부측에 배치되어 있는 안감과,
    상기 겉감의 가장자리부와 상기 안감이 서로 고정 부착되어 있는 제 1 고정 부착부와,
    상기 겉감에 부착되어 있고, 외부의 공기를 상기 겉감과 상기 안감 사이에 도입하는 송풍기와,
    상기 안감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겉감과 상기 안감 사이의 공기를 착용자측로 배출하는 복수의 배기구를 갖고 있는 의료로서,
    상기 제 1 고정 부착부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위치에 있어서 상기 겉감과 상기 안감이 서로 고정 부착되어 있는 복수의 제 2 고정 부착부가 형성되어 있고,
    또한 하기 (1)∼(3)에 규정하는 조건을 충족시키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1)상기 송풍기는 상기 겉감의 적어도 일부를 구성하는 영역(X)에 부착되어 있다.
    (2)상기 영역(X)은, 상기 제 1 고정 부착부 또는 상기 제 2 고정 부착부에 의해 둘러싸여 있는 영역이다. 단, 상기 영역(X)을 구획하고 있는 상기 제 2 고정 부착부끼리의 사이에 있는 간극, 상기 영역(X)을 구획하고 있는 상기 제 2 고정 부착부와 상기 제 1 고정 부착부의 사이에 있는 간극이 있음으로써 상기 겉감과 상기 안감이 서로 고정 부착되어 있지 않은 부분이 존재하고 있어도, 상기 간극의 크기가 상기 간극의 부분을 상기 송풍기가 빠져 나가지 않는 것을 조건으로 해서, 상기 간극의 부분에 상기 제 2 고정 부착부가 존재하고 있는 것으로 간주해서 영역(X)을 획정한다.
    (3)상기 안감은 상기 영역(X)에 서로 대향하는 영역(Y)을 갖고 있고, 상기 영역(X) 및 상기 영역(Y) 중 적어도 한쪽에는 개폐 가능한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다.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는 상기 영역(Y)에 형성되어 있는 의료.
  15. 제 13 항 또는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기의 전부 또는 일부는 상기 개구부를 경유해서 외부로 인출 가능한 의료.
  16. 제 13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에는 지퍼가 구비되어 있는 의료.


KR1020190127481A 2019-02-05 2019-10-15 의료 KR2020009671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9-019061 2019-02-05
JPJP-P-2019-019062 2019-02-05
JP2019019061A JP2020125561A (ja) 2019-02-05 2019-02-05 衣料
JP2019019062 2019-02-0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6717A true KR20200096717A (ko) 2020-08-13

Family

ID=719728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7481A KR20200096717A (ko) 2019-02-05 2019-10-15 의료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00096717A (ko)
CN (2) CN212185186U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212447A (ja) 2014-05-02 2015-11-26 孟華 喩 放熱機能付き衣服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212447A (ja) 2014-05-02 2015-11-26 孟華 喩 放熱機能付き衣服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528548A (zh) 2020-08-14
CN212185186U (zh) 2020-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88952B2 (en) Three-dimensional fabric with porous layer
US20210337888A1 (en) Trousers with multilayer internal abdominal support panels
CN109788813B (zh) 保温服装
JP6403223B2 (ja) 装着可能かつ脱着可能な素子を備えた層状衣類
CN115003183A (zh) 快干轻质文胸
AU2002226518A1 (en) Three-dimensional fabric with porous layer
CN107846993B (zh) 具有隐藏式拉伸背面层的外套服装
CN109640722B (zh) 通风服装
US20060162050A1 (en) Article of apparel incorporating a pleated structure
KR20200096717A (ko) 의료
JP6970714B2 (ja) 衣料
JP6945577B2 (ja) 衣料
JP2020125561A (ja) 衣料
KR20200059143A (ko) 의료
JP3226094U (ja) 衣料
CN212185187U (zh) 衣服
JP7328952B2 (ja) 衣服
JP7141994B2 (ja) スポーツ用の衣料
JP2020084348A (ja) 衣料
JP2023004741A (ja) 空調衣服
JP2022155081A (ja) 冷却服
JP2022155082A (ja) 冷却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