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96595A - 핸들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문합기 - Google Patents

핸들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문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96595A
KR20200096595A KR1020207019342A KR20207019342A KR20200096595A KR 20200096595 A KR20200096595 A KR 20200096595A KR 1020207019342 A KR1020207019342 A KR 1020207019342A KR 20207019342 A KR20207019342 A KR 20207019342A KR 20200096595 A KR20200096595 A KR 202000965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slide groove
position limiting
slider
limiting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193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70078B1 (ko
Inventor
지 첸
이 궈
지앙 린
샤오웨이 쉬
Original Assignee
터치스톤 인터내셔널 메디컬 사이언스 씨오.,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CN201721847008.7U external-priority patent/CN208958211U/zh
Priority claimed from CN201721849603.4U external-priority patent/CN208464168U/zh
Application filed by 터치스톤 인터내셔널 메디컬 사이언스 씨오., 엘티디. filed Critical 터치스톤 인터내셔널 메디컬 사이언스 씨오.,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2000965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65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00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00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1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performing anastomosis; Buttons for anastomosis
    • A61B17/115Staplers for performing anastomosis in a single operation
    • A61B17/1155Circular staplers comprising a plurality of stap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1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performing anastomosis; Buttons for anastomosis
    • A61B17/111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performing anastomosis; Buttons for anastomosis of the digestive tract, e.g. bowels or oesophag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1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performing anastomosis; Buttons for anastomosis
    • A61B17/115Staplers for performing anastomosis in a single op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2Surgical cutting instruments
    • A61B17/326Circumcision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367Details of actuation of instruments, e.g. relations between pushing buttons, or the like, and activation of the tool, working tip,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4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with special provisions for gripp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46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with a releasable handle; with handle and operating part separable
    • A61B2017/0046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with a releasable handle; with handle and operating part separable for use with different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68Surgical staplers, e.g. containing multiple staples or clamps
    • A61B17/072Surgical staplers, e.g. containing multiple staples or clamps for applying a row of staples in a single action, e.g. the staples being applied simultaneously
    • A61B2017/07214Stapler heads
    • A61B2017/07257Stapler heads characterised by its anvi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68Surgical staplers, e.g. containing multiple staples or clamps
    • A61B17/072Surgical staplers, e.g. containing multiple staples or clamps for applying a row of staples in a single action, e.g. the staples being applied simultaneously
    • A61B2017/07214Stapler heads
    • A61B2017/07271Stapler heads characterised by its cartridg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68Surgical staplers, e.g. containing multiple staples or clamps
    • A61B17/072Surgical staplers, e.g. containing multiple staples or clamps for applying a row of staples in a single action, e.g. the staples being applied simultaneously
    • A61B2017/07214Stapler heads
    • A61B2017/07285Stapler heads characterised by its cutt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1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performing anastomosis; Buttons for anastomosis
    • A61B2017/1132End-to-end connec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1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performing anastomosis; Buttons for anastomosis
    • A61B2017/1135End-to-side connections, e.g. T- or Y-connec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8Surgical forceps
    • A61B17/29Forceps for use in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61B2017/2946Lock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03Automatic limiting or abutting means, e.g. for safety
    • A61B2090/033Abutting means, stops, e.g. abutting on tissue or skin
    • A61B2090/034Abutting means, stops, e.g. abutting on tissue or skin abutting on parts of the device itsel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08Accessories or related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B2090/0807Indication means
    • A61B2090/0811Indication means for the position of a particular part of an instrument with respect to the rest of the instrument, e.g. position of the anvil of a stapling instru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ology (AREA)
  • Portable Nailing Machines And Staplers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핸들 어셈블리 및 핸들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문합기를 제공하고, 핸들 어셈블리는 슬라이드 홈(41)이 구비되고, 슬라이드 홈(41)에 슬라이더(42)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구비되며, 슬라이더(42)의 일단에 제 1 위치 제한 구조(43)가 구비되고, 슬라이드 홈(41)의 제 2 세그먼트(412)에 제 2 위치 제한 구조(44)가 구비되며, 2 개의 위치 제한 구조(43, 44) 사이에 압축 스프링(45)이 구비되는 제 1 핸들 부재와, 제 1 단이 제 1 핸들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2 핸들(2)을 포함하고, 슬라이더(42)가 외력을 받아 슬라이드 홈(41)의 제 2 세그먼트(412)로 이동하고 제 1 핸들 부재가 제 1 방향으로 회전하면, 압축 스프링(45)이 변형되고 슬라이더(42)가 제 2 핸들(2)에 접촉하며 제 2 핸들(2)을 밀어 회전시키고, 슬라이더(42)가 외력에서 벗어나면, 압축 스프링(45)이 슬라이더(42)를 밀어 복귀시킨다. 핸들 어셈블리는 핸들을 제 1 핸들 부재 및 제 2 핸들(2)로 분할하고, 슬라이더(42)의 위치 이동을 통해 양자의 연동 상태를 제어하며, 슬라이더(42)는 외력에서 벗어난 후 압축 스프링(45)의 작용 하에서 복귀할 수 있고, 압축 스프링(45)의 위치는 슬라이더(42)의 제 1 위치 제한 구조(43) 및 제 1 핸들 부재의 제 2 위치 제한 구조(44)에 의해 제한된다.

Description

핸들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문합기
본 발명은 의료기구의 기술 분야, 특히 문합기의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핸들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문합기에 관한 것이다.
소화관 종양은 인간에게 가장 흔한 질환 중 하나이며, 치료 과정에서 소화관 등의 생리학적 조직의 문합을 위해 의사의 수동 조작을 대신하여 튜브식 문합기가 종종 사용된다. 튜브식 문합기는 일반적인 외과 수술기구이며, 대부분 축 방향 내부 스테이플링 방식을 채용하여 수술 시 식도, 위, 장 등의 생리학적 조직의 엔드 투 엔드 또는 엔드 투 사이드의 문합을 형성하고 문합 시 조직의 두 세그먼트가 수렴하여 문합기에 수용되며, 트리거가 완료된 후 조직에 원형의 문합부가 형성되며 조직 채널이 재건된다.
종래 기술에서는 튜브식 문합기는 문합기 본체와, 상기 문합기 본체에 가동 연결되는 핸들 어셈블리와, 상기 본체와 협동하는 스테이플 앤빌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상기 문합기 본체는 원위단에 구비되며 환형 스테이플 카트리지와 커터를 포함하는 스테이플 카트리지 어셈블리와, 본체의 근위단에 구비되며 본체에 대해 회전 가능한 노브를 포함한다. 여기서, 원위단과 근위단은 조작자에 대해 상대적인 것으로, 조작자에 가까운 쪽이 근위단이고, 조작자로부터 먼 쪽, 즉 수술 위치에 더 가까운 쪽이 원위단이다. 상기 스테이플 앤빌 어셈블리는 스테이플 앤빌과, 스테이플 앤빌의 상부에 구비되는 스테이플 앤빌 캡과, 스테이플 앤빌의 내부에 구비되는 커터 앤빌과, 문합기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스테이플 앤빌 축을 포함한다. 수술 과정에서 종양 조직을 절단하여 제거한 후, 스테이플 앤빌 축은 조직의 일단에서 쌈지를 관통하고 문합기 본체의 원위단에 배치되며, 노브를 돌려 스테이플 앤빌과 스테이플 카트리지 사이의 거리를 적절한 거리까지 점차 감소한 후 트리거 가능한 상태에 도달해야만 핸들을 파지하고 기구를 트리거하며 문합을 완료할 수 있다. 의료기구의 지속적인 발전과 함께, 튜브식 문합기는 치질 등 질환의 치료에도 점점 널리 사용되고 있다.
동시에, 지나치게 긴 포피 및 포경을 치료하는 비뇨기과 분야의 수술에서는 다른 형태의 튜브식 문합기, 즉 포피 문합기도 등장했다. 포피 문합기도 종래 기술에 기재되어 있으며, 그 구조는 귀두 캡 어셈블리가 상기 본체와 협동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소화관 튜브식 문합기와 유사하다. 마찬가지로, 상기 귀두 캡 어셈블리는 스테이플 앤빌과, 스테이플 앤빌에 고정 연결되는 귀두 캡 및 커터 앤빌과, 문합기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중앙 로드를 포함한다. 수술 과정에서 절제할 포피 조직을 귀두 캡에 고정한 다음 중앙 로드를 문합기 본체의 원위단에 배치하고, 노브를 돌려 귀두 캡과 스테이플 카트리지 사이의 거리를 적절한 거리까지 점차 감소한 후 트리거 가능한 상태에 도달해야만 핸들을 파지하고 기구를 트리거하며 문합을 완료할 수 있다.
기술의 발전에 따라 사람들은 튜브식 문합기의 트리거 전동 기구를 개선하고 안전 메커니즘을 추가하였으며, 문합기가 트리거 가능한 상태에 도달하지 않은 경우에는 의사가 핸들을 눌러도 안전 메커니즘의 작용에 의해 핸들이 눌러지지 않고, 이를 통해 기구의 트리거로 인한 수술 실패를 피할 수 있다. 그러나 실제 상황에서는 의사의 사용 경험이 높지 않은 등의 단점이 여전히 존재하며, 또한 의사가 핸들을 세게 누르면 문합기 하우징이 깨질 수도 있다.
종래 기술의 문제점에 대해, 본 발명의 목적은 핸들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문합기를 제공하는 것이며, 핸들을 제 1 핸들 부재 및 제 2 핸들로 분할하고, 슬라이더의 위치 이동을 통해 제 1 핸들 부재와 제 2 핸들의 연동 상태를 제어하며, 슬라이더는 지침의 작용력으로부터 벗어난 후 압축 스프링의 작용 하에서 복귀할 수 있고, 압축 스프링의 위치는 슬라이더의 제 1 위치 제한 구조 및 제 1 핸들 부재의 제 2 위치 제한 구조에 의해 제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문합기의 트리거에 사용되는 핸들 어셈블리를 제공하고,
제1 핸들 부재 및 제2 핸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핸들 부재에는 슬라이드 홈이 구비되고, 상기 슬라이드 홈은 서로 연통되는 제 1 세그먼트와 제 2 세그먼트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드 홈에는 슬라이더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슬라이더의 일단에는 제 1 위치 제한 구조가 구비되고, 상기 슬라이드 홈의 제 2 세그먼트의 단부에는 제 2 위치 제한 구조가 구비되며, 상기 제 1 위치 제한 구조와 제 2 위치 제한 구조 사이에 압축 스프링이 구비되고,
상기 제2 핸들의 제 1 단이 상기 제 1 핸들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슬라이드 홈의 제 1 세그먼트에 위치하고 상기 제 1 핸들 부재가 제 1 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제 2 핸들에 접촉하지 않고 상기 제 2 핸들은 회전하지 않으며,
상기 슬라이더가 외력을 받아 상기 슬라이드 홈의 제 2 세그먼트로 이동하고 상기 제 1 핸들 부재가 제 1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압축 스프링이 변형되고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제 2 핸들에 접촉하며 상기 제 2 핸들을 밀어 회전시키고, 상기 슬라이더가 외력에서 벗어나면, 상기 압축 스프링의 복원력이 상기 슬라이더를 밀어 복귀시킨다.
선택적으로, 제 1 위치 영역과 제 2 위치 영역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지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지침이 제 1 위치 영역에서 제 2 위치 영역으로 이동하면, 상기 슬라이더를 밀어 상기 슬라이드 홈의 제 1 세그먼트에서 제 2 세그먼트로 이동시킨다.
선택적으로, 상기 슬라이더는 2 개의 슬라이드 부와, 2 개의 슬라이드 부 사이의 접촉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핸들 부재는 내부 캐비티를 포함하며, 상기 캐비티의 양측 측벽에는 상기 슬라이드 홈이 각각 개구되어 있고, 상기 2 개의 슬라이드 부는 양측의 슬라이드 홈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각 슬라이드 홈의 제 2 세그먼트의 단부에는 상기 제 2 위치 제한 구조가 각각 구비되고, 상기 2 개의 슬라이드 부의 일단에는 상기 제 1 위치 제한 구조가 각각 구비되며, 상기 제 1 위치 제한 구조와 대응하는 제 2 위치 제한 구조 사이에는 상기 압축 스프링이 각각 구비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 1 핸들 부재는 제 1 핸들을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드 홈은 상기 제 1 핸들에 구비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 1 핸들 부재는 제 1 핸들 및 핸들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핸들 하우징은 상기 제 1 핸들의 외부에 삽입되며, 상기 슬라이드 홈은 서로 연통되는 제 1슬라이드 홈과 제 2 슬라이드 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슬라이드 홈 및 제 2 슬라이드 홈은 대응하는 제 1 세그먼트 및 제 2 세그먼트를 각각 포함하며, 상기 제 1 슬라이드 홈은 상기 제 1 핸들에 구비되고, 상기 제 2 슬라이드 홈은 상기 핸들 하우징에 구비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슬라이더의 일단은 상기 제 2 슬라이드 홈에 끼워지고, 상기 제 2 위치 제한 구조는 상기 제 2 슬라이드 홈의 제 2 세그먼트의 단부에 구비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 1 핸들의 양측에는 상기 제 1 슬라이드 홈이 각각 구비되고, 상기 핸들 하우징에는 2 개의 상기 제 2 슬라이드 홈이 대응하여 구비되며, 상기 슬라이더는 양단의 2 개의 슬라이드 부와, 2 개의 슬라이드 부 사이의 접촉부를 포함하고, 상기 각 슬라이드 부는 대응하는 제 2 슬라이드 홈에 각각 끼워지며,
상기 각 제 2 슬라이드 홈의 제 2 세그먼트의 단부에는 상기 제 2 위치 제한 구조가 각각 구비되고, 상기 2 개의 슬라이드 부의 일단에는 상기 제 1 위치 제한 구조가 각각 구비되며, 상기 제 1 위치 제한 구조와 대응하는 제 2 위치 제한 구조 사이에는 상기 압축 스프링이 각각 구비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슬라이드 홈의 연장 방향을 따른 상기 슬라이드 부의 길이는 상기 슬라이드 홈의 연장 방향을 따른 상기 접촉부의 길이보다 길다.
선택적으로, 상기 핸들 하우징의 원위단에는 상기 제 2 슬라이드 홈이 개구되어 있고, 상기 제 2 슬라이드 홈은 상기 핸들 하우징의 상단면까지 연통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핸들 하우징의 원위단의 제 1 측은 상기 문합기의 하우징에 접촉하고, 상기 핸들 하우징의 원위단의 제 2 측에 대응하는 상기 문합기의 하우징의 위치에는 제 1 방향으로 회전할 때 핸들 하우징의 원위단을 수용하기 위한 핸들 개구가 구비되어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 1 위치 제한 구조 및 제 2 위치 제한 구조는 각각 주상 돌기이고, 상기 압축 스프링의 양단은 상기 제 1 위치 제한 구조 및 제 2 위치 제한 구조에 각각 삽입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슬라이드 홈의 제 2 세그먼트의 높이는 상기 슬라이드 홈의 제 1 세그먼트의 높이보다 높고, 상기 제 1 세그먼트와 제 2 세그먼트 사이는 원활하게 이행되며, 상기 제 2 세그먼트의 내벽에는 주상 돌기 지지대가 구비되고, 상기 주상 돌기 지지대에는 상기 제 2 위치 제한 구조가 구비되며, 상기 주상 돌기 지지대의 높이는 상기 제 2 위치 제한 구조의 높이보다 높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 1 위치 제한 구조 및 제 2 위치 제한 구조는 각각 후크이고, 상기 압축 스프링의 양단은 상기 제 1 위치 제한 구조 및 제 2 위치 제한 구조에 각각 걸린다.
선택적으로, 제1 비틀림 스프링, 제1 핀 샤프트, 제2 비틀림 스프링 및 제2 핀 샤프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핀 샤프트는 상기 제 1 핸들 부재 및 제 2 핸들을 관통하고, 상기 제1 핀 샤프트는 상기 문합기의 하우징에 고정되고, 상기 제1 비틀림 스프링은 상기 제 1 핀 샤프트에 삽입되고, 상기 제1 비틀림 스프링의 양단이 상기 문합기의 하우징 및 상기 제 2 핸들에 각각 접촉하고,
상기 제2 핀 샤프트는 상기 문합기의 하우징에 고정되고, 상기 제2 비틀림 스프링은 상기 제 2 핀 샤프트에 삽입되고, 상기 제2 비틀림 스프링의 양단이 상기 문합기의 하우징 및 상기 제 1 핸들 부재에 각각 접촉한다.
선택적으로, 제1 비틀림 스프링, 제1 핀 샤프트 및 압축 스프링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핀 샤프트는 상기 제 1 핸들 부재 및 제 2 핸들을 관통하고,상기 제1 핀 샤프트는 상기 문합기의 하우징에 고정되고, 상기 제1 비틀림 스프링은 상기 제 1 핀 샤프트에 삽입되고, 상기 제1 비틀림 스프링의 양단이 상기 문합기의 하우징 및 상기 제 2 핸들에 각각 접촉하고,
상기 압축 스프링은 상기 제 1 핸들 부재와 상기 문합기의 하우징 사이에 구비된다.
선택적으로, 제1 비틀림 스프링, 제1 핀 샤프트, 제2 비틀림 스프링 및 제2 핀 샤프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핀 샤프트는 상기 제 1 핸들 부재를 관통하고 상기 제 2 핸들에 고정되고, 상기 제1 비틀림 스프링은 상기 제 1 핀 샤프트에 삽입되고, 상기 제1 비틀림 스프링의 양단이 상기 제 1 핸들 부재 및 상기 제 2 핸들에 각각 접촉하고,
상기 제2 핀 샤프트는 상기 제 2 핸들을 관통하고 상기 문합기의 하우징에 고정되고, 상기 제2 비틀림 스프링은 상기 제 2 핀 샤프트에 삽입되고, 상기 제2 비틀림 스프링의 양단이 상기 제 2 핸들 및 상기 문합기의 하우징에 각각 접촉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지침은 풀 탭의 원위단에 연결되고, 상기 풀 탭의 근위단은 리드 스크류에 삽입되며, 상기 리드 스크류의 원위단에는 노브가 구비되고, 상기 노브를 돌려 상기 풀 탭을 문합기의 근위단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풀 탭이 상기 지침을 제 1 위치 영역에서 제 2 위치 영역으로 이동시킨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 핸들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문합기를 더 제공한다.
본 발명에 제공되는 핸들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문합기는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핸들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문합기를 제공하고, 핸들을 제 1 핸들 부재 및 제 2 핸들로 분할하고, 슬라이더의 위치 이동을 통해 제 1 핸들 부재와 제 2 핸들의 연동 상태를 제어하며, 제 2 핸들의 회전 만이 문합기를 트리거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문합기가 트리거 조건을 충족하지 않는 경우의 오 트리거를 피할 수 있고, 무효 상태에서도 하우징이 깨지지 않게 제 1 핸들 부재를 파지할 수 있으며, 슬라이더와 슬라이드 홈 사이에 압축 스프링이 구비되고, 압축 스프링의 위치는 슬라이더의 제 1 위치 제한 구조 및 제 1 핸들 부재의 제 2 위치 제한 구조에 의해 제한되며, 슬라이더는 외력으로부터 벗어난 후 압축 스프링의 작용에 의해 복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목적 및 장점은 다음의 도면을 참조하여 비 제한적인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을 읽음으로써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합기에서 사용되는 핸들 어셈블리의 개략 구조도이다.
도 2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종래의 문합기에 적용된 핸들 어셈블리의 개략 구조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포피 문합기에 적용된 핸들 어셈블리의 개략 구조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핸들 어셈블리가 초기 상태에 있을 때의 개략 구조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홈의 개략 구조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핸들 어셈블리가 초기 상태에 있을 때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지침 및 슬라이더가 초기 상태에 있을 때의 개략 구조도이다.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핸들 어셈블리가 무효 상태에 있을 때의 개략 구조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지침이 제 2 위치 영역으로 이동하였을 때의 핸들 어셈블리의 개략 구조도이다.
도 13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핸들 어셈블리가 트리거 상태에 있을 때의 개략 구조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핸들 어셈블리의 초기 상태의 개략 구조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A에서의 확대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핸들 어셈블리의 분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핸들 하우징의 사시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핸들 어셈블리가 초기 상태에 있을 때의 정면도이다.
도 21 및 도 2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핸들 어셈블리의 무효 상태의 개략 구조도이다.
도 23 및 도 2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핸들 어셈블리의 트리거 상태의 개략 구조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보다 완전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예시적인 실시형태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오히려, 이들 실시형태는 본 발명이 포괄적이고 완전하도록 제공되며, 예시적인 실시형태의 개념은 당업자에게 완전히 전달될 것이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조를 나타내므로,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종래 기술의 기술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문합기의 트리거에 사용되는 핸들 어셈블리를 제공하고, 상기 핸들 어셈블리는 제 1 핸들 부재 및 제 2 핸들을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제 1 핸들 부재에는 슬라이드 홈이 구비되고, 상기 슬라이드 홈은 서로 연통된 제 1 세그먼트 및 제 2 세그먼트를 포함하며, 상기 슬라이드 홈에는 슬라이더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슬라이더의 일단에는 제 1 위치 제한 구조가 구비되고, 상기 슬라이드 홈의 제 2 세그먼트의 단부에는 제 2 위치 제한 구조가 구비되며, 상기 제 1 위치 제한 구조와 제 2 위치 제한 구조 사이에는 압축 스프링이 구비되고, 상기 제 2 핸들의 제 1 단은 상기 제 1 핸들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본 발명은 상기 핸들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튜브식 문합기를 더 제공한다.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슬라이드 홈의 제 1 세그먼트에 위치하고 상기 제 1 핸들 부재가 제 1 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제 2 핸들에 접촉하지 않고 상기 제 2 핸들은 회전하지 않으며, 상기 슬라이더가 외력을 받아 상기 슬라이드 홈의 제 2 세그먼트로 이동하고 상기 제 1 핸들 부재가 제 1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압축 스프링이 변형되고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제 2 핸들에 접촉하며 상기 제 2 핸들을 밀어 회전시키고, 상기 슬라이더가 외력에서 벗어나면 상기 압축 스프링의 복원력이 상기 슬라이더를 밀어 복귀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문합기가 트리거 조건을 충족하지 않는 경우의 오 트리거를 피할 수 있고, 무효 상태에서도 하우징이 깨지지 않게 제 1 핸들 부재를 파지할 수 있으며, 슬라이더와 슬라이드 홈 사이에 압축 스프링이 구비되고, 압축 스프링의 위치는 슬라이더의 제 1 위치 제한 구조 및 제 1 핸들 부재의 제 2 위치 제한 구조에 의해 제한되며, 슬라이더는 외력에서 벗어난 후 압축 스프링의 작용에 의해 복귀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두 가지 실시예를 각각 소개한다. 도 1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문합기 및 그 핸들 어셈블리의 구조를 나타내며, 여기서, 제 1 핸들 부재는 제 1 핸들을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드 홈은 제 1 핸들의 측벽에 구비된다. 도 16 내지 도 2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문합기 및 그 핸들 어셈블리의 구조를 나타내며, 여기서, 제 1 핸들 부재는 제 1 핸들과, 제 1 핸들의 외부에 삽입된 핸들 하우징을 포함하고, 제 1 핸들과 핸들 하우징에 모두 슬라이드 홈이 구비되며, 제 1 핸들의 제 1 슬라이드 홈과 핸들 하우징의 제 2 슬라이드 홈은 서로 연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합기의 구조를 나타낸다. 여기서, 문합기의 원위단에는 스테이플 카트리지 어셈블리(72) 및 스테이플 앤빌 어셈블리(73)가 구비되고, 근위단에는 노브(71) 및 핸들 어셈블리가 구비되며, 핸들 어셈블리의 외부에는 핸들 하우징(16)이 구비되고, 핸들 어셈블리를 누름으로써 문합기의 트리거를 실현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핸들 어셈블리의 초기 상태의 구조를 나타내며, 여기서, 핸들 어셈블리의 구조와 다른 부분과의 협동을 명확하게 나타내기 위해, 하우징의 일부 또는 어셈블리의 일부는 생략되었다. 상기 목적을 실현하기 위해, 본 발명은 핸들 어셈블리를 제 1 핸들 부재와 제 2 핸들(2)로 구분하고, 제 1 핸들 부재는 구체적으로 제 1 핸들(1)을 포함하며, 제 2 핸들(2)이 회전할 때만 문합기를 트리거할 수 있고, 제 1 핸들(1)과 제 2 핸들(2)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제 1 핸들(1)과 제 2 핸들(2)이 연동하지 않는 경우, 조작자는 제 1 핸들(1)을 누를 수 있지만 제 2 핸들(2)을 회전시킬 수 없고 문합기를 트리거할 수 없으며, 제 1 핸들(1)과 제 2 핸들(2)이 연동할 경우, 조작자가 제 1 핸들(1)을 누르면 제 2 핸들(2)도 회전시키며, 이를 통해 문합기를 트리거한다.
제 1 핸들(1)과 제 2 핸들(2)의 연동 상태를 제어하기 위해, 제 1 핸들(1)에는 제 1 슬라이드 홈(41) 및 슬라이더(42)가 더 구비되며, 제 1 슬라이드 홈(41)은 서로 연통되는 제 1 세그먼트(411) 및 제 2 세그먼트(412)를 포함하고, 제 2 핸들(2)은 핸들 접촉부를 포함하며, 슬라이더(42)가 제 1 슬라이드 홈(41)의 제 1 세그먼트(411)에 위치하고 제 1 핸들(1)이 제 1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파지될 때, 슬라이더(42)는 핸들 접촉부에 접촉하지 않고 제 2 핸들(2)은 안전 위치에 위치하며, 즉, 제 1 핸들(1)은 회전하지만 문합기는 트리거되지 않고 무효 상태에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제 1 방향은 도면에 도시된 반시계 방향이지만,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따라서, 의사가 제 1 핸들(1)을 파지하면 제 1 핸들(1)을 쉽게 회전시킬 수 있지만 제 2 핸들(2)은 트리거하지 않는 동시에, 이 때는 빈 트리거 상태이므로 제 1 핸들(1)을 파지하는 힘은 매우 작다. 의사는 또한 이 조작 경험을 통해, 문합기의 현재 상태가 미트리거 상태에 있고 문합기의 하우징이 파열되지는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슬라이더(42)가 제 1 슬라이드 홈(41)의 제 2 세그먼트(412)에 위치하고 제 1 핸들(1)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파지되면, 슬라이더(42)가 핸들 접촉부에 접촉하고 제 2 핸들(2)을 구동하여 안전 위치에서 트리거 위치로 회전시킨다. 제 2 핸들(2)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이와 동시에 스테이플 푸시 로드(75)를 밀어 문합기의 원위단으로 이동시키며, 나아가 문합기의 트리거를 구동한다.
본 발명에서의 상기 제 1 슬라이드 홈(41)의 제 1 세그먼트(411) 및 제 2 세그먼트(412)는 상대적인 개념이며, 반드시 제 1 슬라이드 홈(41)의 2 개의 단부일 필요는 없으며, 즉, 도 5에 도시된 시점에서는 제 1 슬라이드 홈(41)의 제 1 세그먼트(411)가 제 2 세그먼트(412)의 우측에 위치하면 된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슬라이더(42)가 제 1 슬라이드 홈(41)의 제 1 세그먼트(411) 및 제 2 세그먼트(412)에 위치할 때 제 1 핸들(1)을 파지하는 경우, 슬라이더(42)와 핸들 접촉부(25) 사이의 관계는 다르며, 슬라이더(42)가 제 1 슬라이드 홈(41)의 제 1 세그먼트(411)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핸들 접촉부와 간섭하지 않으며, 제 1 슬라이드 홈(41)의 제 2 세그먼트(412)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핸들 접촉부와 간섭한다.
실시예에서 제 1 슬라이드 홈(41)의 제 1 세그먼트(411)에서 제 2 세그먼트(412)로의 슬라이더(42)의 이동은 지침(5)에 의해 제어된다. 지침(5)은 제 1 단(51), 위치 결정부(53) 및 제 2 단(52)을 포함하고, 지침(5)의 제 1 단(51)에는 돌출부(54)가 구비되고, 이 돌출부(54)는 풀 탭(6)의 풀 후크의 위치에 대응하며, 지침(5)의 위치 결정부(53)는 문합기의 하우징(74)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다. 풀 탭(6)의 미부는 리드 스크류(76)에 고정되고, 리드 스크류(76)의 이동에 따라 이동한다. 노브(71)가 일 방향으로 회전하면, 리드 스크류(76)가 근위단으로 이동하고 풀 탭(6)을 문합기의 근위단으로 이동시키며, 풀 탭(6)의 풀 후크는 지침(5)의 제 1 단(51)을 제 2 방향으로 회전시켜, 지침(5)의 제 1 단(51)이 제 1 위치 영역에서 제 2 위치 영역으로 이동하면 지침(5)의 제 2 단(52)이 나아가 슬라이더(42)를 밀어 제 1 슬라이드 홈(41)의 제 1 세그먼트(411)에서 제 1 슬라이드 홈(41)의 제 2 세그먼트(412)로 이동시키도록 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제 2 방향은 도면에 도시된 시계 방향이지만,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여기서, 제 1 위치 영역 및 제 2 위치 영역에 대응하는 문합기 본체에는 사용 과정에서 지침의 제 1 단(51)의 위치를 관찰하기 위한 관찰 창이 구비되며, 지침의 제 1 단(51)이 제 1 위치 영역에 있을 경우에는 안전 상태에 있으며, 이 때에는 문합기를 트리거할 수 없고, 지침의 제 1 단(51)이 제 2 위치 영역에 있을 경우에는 문합기를 트리거할 수 있으며, 의사에게 보다 직관적으로 제시하기 위해, 관찰 창에서 트리거 가능에 대응하는 제 2 위치 영역은 녹색 영역이며, 이는 종래 기술에 개시되어 있다.
슬라이더(42)가 지침(5)의 작용력에서 벗어난 후의 복귀를 실현하기 위해, 슬라이더(42)에는 압축 스프링(45)이 더 추가된다. 구체적으로, 슬라이더(42)의 일단에는 제 1 위치 제한 구조(43)가 구비되고, 제 1 슬라이드 홈(41)의 제 2 세그먼트(412)의 단부에는 제 2 위치 제한 구조(44)가 구비되며, 제 1 위치 제한 구조(43)와 제 2 위치 제한 구조(44) 사이에는 압축 스프링(45)이 구비된다. 여기서, 제 1 슬라이드 홈(41)의 제 2 세그먼트(412)의 단부란, 제 2 세그먼트(412)의 제 1 세그먼트(411)에서 멀리 떨어져 있는 일단, 즉 도 5의 좌측 위치를 가리킨다. 지침(5)의 제 1 단(51)이 제 1 위치 영역에서 제 2 위치 영역으로 이동하면, 지침(5)의 제 2 단(52)이 슬라이더(42)를 밀어 제 1 슬라이드 홈(41)의 제 1 세그먼트(411)에서 제 2 세그먼트(412)로 이동시키며, 압축 스프링(45)이 압축되어 변형되고, 외력이 해제되어 지침(5)의 제 1 단(51)이 제 1 위치 영역으로 복귀하면, 지침(5)의 제 2 단(52)이 슬라이더(42)에서 분리되고 압축 스프링(45)의 복원력이 슬라이더(42)를 밀어 제 1 슬라이드 홈(41)의 제 1 세그먼트(411)로 복귀시킬 수 있다.
나아가, 이 실시예에서는 제 1 핸들(1)은 캐비티(13)를 포함하고, 캐비티(13)의 2 개의 측벽에는 제 1 슬라이드 홈(41)이 각각 구비되며, 슬라이더(42)는 2 개의 슬라이드 부(421)와, 슬라이드 부(421) 사이의 접촉부(422)를 포함하고, 2 개의 슬라이드 부(421)는 각각 제 1 슬라이드 홈(41)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구비된다. 각 제 1 슬라이드 홈(41)의 제 2 세그먼트(412)의 단부에는 제 2 위치 제한 구조(44)가 각각 구비되고, 2 개의 슬라이드 부(421)의 일단에는 제 1 위치 제한 구조(43)가 각각 구비되며, 제 1 위치 제한 구조(43)와 대응하는 제 2 위치 제한 구조(44) 사이에는 압축 스프링(45)이 각각 구비된다. 상기 제 1 슬라이드 홈(41)의 연장 방향을 따른 슬라이드 부(421)의 길이는 상기 제 1 슬라이드 홈(41)의 연장 방향을 따른 상기 접촉부(422)의 길이보다 길기 때문에, 제 1 슬라이드 홈(41)에서의 슬라이더(42)의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제 1 슬라이드 홈(41)은 제 1 핸들(1)의 캐비티(13)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한다. 즉, 제 1 핸들(1)의 외벽에서도 제 1 슬라이드 홈(41) 및 슬라이더(42)의 구조를 볼 수 있다. 압축 스프링(45)은 제 1 핸들(1)의 외부에 직접촉 설치될 수 있으며, 슬라이더(42)의 현재 위치 및 압축 스프링(45)의 압축 상태를 제 1 핸들(1)의 외부에서 볼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제 1 핸들(1)의 외부에는 핸들 하우징(16)이 더 삽입되고, 일반적으로 플라스틱 재질로 구성되며, 제 1 핸들(1)을 보호하고 매끄러운 라인을 채용하여 조작자의 사용 경험을 향상시킨다.
이 실시예에서는 제 1 위치 제한 구조(43) 및 제 2 위치 제한 구조(44)는 각각 주상 돌기이며, 압축 스프링(45)의 양단은 제 1 위치 제한 구조(43) 및 제 2 위치 제한 구조(44)에 각각 삽입된다. 따라서, 2 개의 주상 돌기의 크기는 압축 스프링(45)의 크기에 적합하며, 이를 통해 압축 스프링(45)이 주상 돌기에서 벗어나는 것을 피한다. 실제 응용에서, 압축 스프링(45)의 위치 제한 구조의 구조는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다른 구조를 채용하여도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포함된다. 예를 들어, 제 1 위치 제한 구조(43) 및 제 2 위치 제한 구조(44)는 각각 후크일 수 있으며, 압축 스프링(45)의 양단은 제 1 위치 제한 구조(43) 및 제 2 위치 제한 구조(44)에 각각 걸려 압축 스프링(45)에 대해 위치 제한을 수행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제 1 핸들(1) 및 제 2 핸들(2)에는 제 1 핀 샤프트(31)가 동시에 관통되며, 제 1 핀 샤프트(31)는 문합기의 하우징(74)에 고정되고 그 위에 제 1 비틀림 스프링(32)이 삽입된다. 제 1 비틀림 스프링(32)의 양단은 상기 문합기의 하우징(74) 및 상기 제 2 핸들(2)에 각각 접촉하며, 제 2 핸들(2)이 회전한 후 외력이 해제되면 제 2 핸들(2)을 복귀시킬 수 있다.
제 1 핸들(1)과 제 2 핸들(2)이 모두 제 1 핀 샤프트(31)를 중심으로 회전하기 때문에, 제 1 핸들(1)과 제 2 핸들(2)의 회전 중심은 통일되며 조작자의 경험이 더 좋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는 제 1 핸들(1)을 복귀시키기 위한 제 2 비틀림 스프링(34) 및 제 2 핀 샤프트(33)가 더 구비된다. 제 2 핀 샤프트(33)는 문합기의 하우징(74)에 고정되고, 제 2 비틀림 스프링(34)은 제 2 핀 샤프트(33)에 삽입되며, 제 2 비틀림 스프링(34)의 양단은 문합기의 하우징(74) 및 제 1 핸들(1)에 각각 접촉한다.
여기서는 제 1 핸들(1)과 제 2 핸들(2)의 한 가지 연결 방식 만이 주어지지만,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2 개의 핸들이 다른 방식을 채용하여 연결될 수도 있고, 이는 모두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포함된다. 예를 들어, 제 1 핸들을 복귀시키기 위한 제 2 비틀림 스프링 및 제 2 핀 샤프트는 적어도 하나의 압축 스프링으로 대체될 수 있으며, 압축 스프링은 제 1 핸들과 문합기의 하우징 사이에 연결되고, 제 1 핸들이 회전하면 압축 스프링이 압축되어 변형되고, 제 1 핸들이 해제되면 압축 스프링이 복원하여 제 1 핸들을 복귀시킨다. 나아가, 2 중 회전 중심의 방식을 채용할 수도 있으며, 예를 들어, 제 1 비틀림 스프링과 제 1 핀 샤프트, 및 제 2 비틀림 스프링과 제 2 핀 샤프트가 동일하게 구비된다. 제 1 핀 샤프트는 제 2 핸들에 고정되고 제 1 핸들을 관통하며, 제 1 비틀림 스프링은 제 1 핀 샤프트에 삽입되고, 제 1 비틀림 스프링의 양단은 제 1 핸들 및 제 2 핸들에 각각 접촉하며, 이를 통해 제 1 핸들의 복귀를 실현할 수 있고, 제 2 핀 샤프트는 문합기의 하우징에 고정되고 제 2 핸들을 관통하며, 제 2 비틀림 스프링은 제 2 핀 샤프트에 삽입되고, 제 2 비틀림 스프링의 양단은 제 2 핸들 및 문합기의 하우징에 각각 접촉하며, 이를 통해 제 2 핸들의 복귀를 실현할 수 있다. 제 1 핸들 및 제 2 핸들은 각각 제 1 비틀림 스프링 및 제 2 비틀림 스프링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본 발명은 종래의 튜브식 문합기뿐만 아니라 포피 문합기에도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핸들 어셈블리가 적용된 포피 문합기 본체(8)의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포피 문합기 본체(8)의 원위단은 스테이플 카트리지 어셈블리(81)를 포함하며, 또한 스테이플 카트리지 어셈블리(81)와 협동하는 귀두 캡 어셈블리(미도시)가 더 구비된다. 포피 문합기를 채용하는 경우, 제 2 핸들(2)은 포피 문합기의 일단에 가동 연결되고, 제 2 핸들(2)의 제 2 단은 포피 문합기의 스테이플 푸시 부품과 협동하며, 트리거 가능한 조건이 충족되면, 제 2 핸들(2)은 스테이플 푸시 부품을 밀어 포피 문합기의 트리거를 실현한다.
이 실시예에 따른 제 1 슬라이드 홈(41)의 구조는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슬라이드 홈(41)의 제 2 세그먼트(412)의 높이는 제 1 세그먼트(411)의 높이보다 높고, 제 1 세그먼트(411)와 제 2 세그먼트(412) 사이는 경사면을 통해 원활하게 이행되며, 제 2 세그먼트(412)의 단부의 내벽에는 주상 돌기 지지대(413)가 구비되고, 주상 돌기 지지대(413)에는 제 2 위치 제한 구조(44)가 구비되며, 주상 돌기 지지대(413)의 높이는 제 2 위치 제한 구조(44)의 높이보다 높다. 제 2 위치 제한 구조(44) 자체의 높이는 압축 스프링(45)에 의해 제한되기 때문에, 너무 크게 형성되면 압축 스프링과 연결될 수 없으며, 따라서, 이 실시예에서는 주상 돌기 지지대(413)를 추가하여 제 2 위치 제한 구조(44)에 대해 더 나은 지지 역할을 수행한다.
도 9 내지 도11은 이 실시예에 따른 핸들 어셈블리가 무효 상태에 있을 때의 구조를 나타낸다. 이 상태에서, 풀 탭(6)은 지침(5)을 당기지 않으므로 지침(5)의 위치가 변화하지 않으며, 슬라이더(42)는 여전히 제 1 슬라이드 홈(41)의 제 1 세그먼트(411)에 위치하고, 제 1 핸들(1)의 회전 경로에서 슬라이더(42)와 제 2 핸들(2)의 핸들 접촉부는 간섭하지 않는다. 또한 초기 위치에서, 슬라이더(42)는 압축 스프링(45)의 작용 하에 제 1 슬라이드 홈(41)의 제 1 세그먼트(411)의 제 2 세그먼트(412)에서 멀리 떨어져 있는 단부, 즉 도면에 도시된 우측 위치에 위치한다. 물론, 지침(5)의 제 2 단(52)에 의해 슬라이더(42)의 초기 위치에 대해 위치 제한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제 1 핸들(1)의 제 1 단(11)은 파지부이고 제 2 단(12)은 연결부를 포함하며, 제 2 핸들(2)의 제 1 단(21)은 연결부의 캐비티 내부에 위치하고 제 2 단(22)은 스테이플 푸시 로드(75)에 접촉한다. 이 때, 기구는 안전 상태에 있다. 제 2 비틀림 스프링(34)의 비틀림 힘은 트리거력보다 훨씬 작기 때문에, 조작자에 의한 작은 파지력을 받으면, 제 1 핸들(1)은 제 1 핀 샤프트(31)를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으며, 제 2 핸들(2)은 제 1 핸들(1)의 캐비티 내부로 계속 진입하고, 즉, 제 1 핸들(1)과 제 2 핸들(2)이 비연동 상태에 있으며 제 2 핸들(2)은 회전하지 않는다. 조작자가 제 1 핸들(1)을 파지하면 제 1 핸들(1)을 쉽게 회전시킬 수 있지만 제 2 핸들(2)은 회전시키지 않으며, 문합기의 트리거를 완료할 수 없다. 조작자는 또한 이 때 촉각 피드백을 얻을 수 있으며, 현재 지침(5)의 제 1 단(51)이 제 2 위치 영역에 도달하지 않았고 트리거되지 않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외력이 해제되면 제 1 핸들(1)은 제 2 비틀림 스프링(34)의 작용 하에서 복귀한다.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실시예에 따른 지침(5)의 제 1 단(51)이 제 2 위치 영역으로 이동한 개략도이다. 이 과정에서, 노브(71)를 돌려 리드 스크류(76)가 풀 탭(6)을 근위단으로 이동시키고 지침(5)의 제 1 단(51)을 시계 방향으로 이동시키며 지침(5)의 제 1 단(51)이 제 1 위치 영역에서 제 2 위치 영역으로 진입하게 한다. 따라서, 지침(5)의 제 2 단(52)이 슬라이더(42)를 밀어 제 1 슬라이드 홈(41)의 제 2 세그먼트(412)로 이동시키며, 이를 통해 제 1 위치 제한 구조(43)가 제 2 위치 제한 구조(44)에 접촉근하고 압축 스프링(45)이 압축되어 변형된다. 이 때, 제 1 핸들(1)의 회전 경로에서 제 2 핸들(2)의 핸들 접촉부가 슬라이더(42)와 간섭한다.
도 13 내지 도 15는 이 실시예에 따른 핸들 어셈블리가 트리거 상태에 있을 때의 구조를 나타낸다. 제 1 핸들(1)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파지되면, 슬라이더(42)가 제 2 핸들(2)의 접촉부에 접촉하고 제 2 핸들(2)이 제 1 핸들(1)의 내부 캐비티로 계속 진입하는 것을 가로막는다. 이를 통해, 제 2 핸들(2)과 제 1 핸들(1)이 연동 상태가 된다. 제 2 핸들(2)은 제 1 핸들(1)과 함께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제 2 핸들(2)의 제 2 단(22)이 스테이플 푸시 로드(75)를 밀며, 스테이플 푸시 로드(75)가 나아가 문합기의 스테이플 푸시 탭 및 환상 커터를 밀어 수술할 조직에 대해 봉합 및 절단을 수행한다.
도면으로부터 알 수 있듯이, 압축 스프링(45)은 슬라이더(42)의 이동 중에 점차 압축된다. 나아가, 제 2 핸들(2)에는 풀 탭 접촉부(23)가 더 구비되고, 제 2 핸들(2)이 안전 위치에서 트리거 위치로 회전하면, 풀 탭 접촉부(23)는 밀려 나온 정점에서 풀 탭(6)을 밀어 올려 풀 탭(6)의 풀 후크를 지침(5)에서 분리한다. 이 때, 지침(5)은 반시계 방향으로 초기 위치로 복원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문합기의 하우징(74)에서 지침(5)의 제 1 단(51)에 대응하는 위치에 금속판(77)이 구비되어 있으며, 지침(5)이 초기 위치로 복원하면 금속판(77)에 충돌하여 소리를 내며 지침이 복귀한 것을 조작자에게 제시한다. 지침(5)의 제 1 단(51)이 제 1 위치 영역으로 복귀하기 때문에, 제 1 핸들(1)을 해제한 후 지침(5)의 제 2 단(52)은 슬라이더(42)에서 분리된다. 그리고, 지침(5)이 복귀한 후, 슬라이더(42)에 대한 지침(5)의 작용력이 사라지기 때문에, 압축 스프링(45)이 원래 상태로 복원할 때의 변형력은 슬라이더(42)를 밀어 제 1 슬라이드 홈(41)의 제 1 세그먼트(411)로 다시 슬라이드시키며 초기 위치로 복원시킬 수 있다. 제 2 핸들(2)도 제 1 비틀림 스프링(31)의 복원력에 의해 초기 위치로 복원한다. 제 1 핸들(1)은 슬라이더의 작용 하에서 제 2 핸들(2)과 맞물리기 때문에, 우선 제 2 핸들(2)과 함께 복귀하며, 동시에 제 2 비틀림 스프링(34)의 작용 하에서 복귀한다.
도 16 내지 도 2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문합기 및 그 중의 핸들 하우징의 개략 구조도를 나타낸다. 이 실시예와 제 1 실시예의 차이점은, 제 1 핸들 부재가 제 1 핸들(1) 및 핸들 하우징(16)을 포함하고, 제 1 핸들(1)에 제 1 슬라이드 홈(41)이 구비되며, 핸들 하우징(16)에 제 2 슬라이드 홈(161)이 구비되고, 제 1 핸들(1)의 제 1 슬라이드 홈(41)과 핸들 하우징(16)의 제 2 슬라이드 홈(161)이 서로 연통되며, 제 2 위치 제한 구조(44)가 제 2 슬라이드 홈(161)의 제 2 세그먼트의 단부에 구비되는 것이다.
제 2 슬라이드 홈(161)의 제 1 세그먼트는 제 1 슬라이드 홈(41)의 제 1 세그먼트(411)에 대응하고, 제 2 슬라이드 홈(161)의 제 2 세그먼트는 제 1 슬라이드 홈(41)의 제 2 세그먼트(412)에 대응하며, 슬라이더(42)는 제 1 슬라이드 홈(41)을 관통한 후 제 2 슬라이드 홈(161)에 끼워진다. 제 2 핸들(2)은 핸들 접촉부를 포함하고, 슬라이더(42)가 제 2 슬라이드 홈(161)의 제 1 세그먼트에 위치하고 제 1 핸들(1)이 제 1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파지될 때, 슬라이더(42)는 핸들 접촉부에 접촉하지 않고 제 2 핸들(2)은 안전 위치에 위치하며, 즉, 제 1 핸들(1)은 회전하지만 문합기는 트리거되지 않고 무효 상태에 있다. 따라서, 의사가 제 1 핸들(1) 및 핸들 하우징(16)을 파지하면 제 1 핸들(1) 및 핸들 하우징(16)을 쉽게 회전시킬 수 있지만 제 2 핸들(2)은 트리거하지 않는 동시에, 이 때는 빈 트리거 상태이므로 제 1 핸들(1)을 파지하는 힘은 매우 작다. 의사는 또한 이 조작 경험을 통해, 문합기의 현재 상태가 미트리거 상태에 있고 문합기의 하우징이 파열되지는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슬라이더(42)가 제 2 슬라이드 홈(161)의 제 2 세그먼트에 위치하고 제 1 핸들(1) 및 핸들 하우징(16)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슬라이더(42)가 핸들 접촉부에 접촉하고 제 2 핸들(2)을 구동하여 안전 위치에서 트리거 위치로 회전시킨다. 제 2 핸들(2)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이와 동시에 스테이플 푸시 로드(75)를 밀어 문합기의 원위단으로 이동시키며, 나아가 문합기의 트리거를 구동한다.
본 발명에서의 상기 제 2 슬라이드 홈(161)의 제 1 세그먼트 및 제 2 세그먼트도 상대적인 개념이며, 반드시 제 2 슬라이드 홈(161)의 2 개의 단부일 필요는 없으며, 즉, 도 17에 도시된 시점에서는 제 2 슬라이드 홈(161)의 제 1 세그먼트가 제 2 세그먼트의 우측에 위치하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슬라이더(42)가 제 2 슬라이드 홈(161)의 제 1 세그먼트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핸들 접촉부와 간섭하지 않으며, 제 2 슬라이드 홈(161)의 제 2 세그먼트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핸들 접촉부와 간섭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제 2 슬라이드 홈(161)의 제 1 세그먼트에서 제 2 세그먼트로의 슬라이더(42)의 이동도 지침(5)을 채용하여 제어할 수 있다. 노브(71)가 일 방향으로 회전하면, 리드 스크류(76)가 근위단으로 이동하고 풀 탭(6)을 문합기의 근위단으로 이동시키며, 풀 탭(6)의 풀 후크는 지침(5)의 제 1 단(51)을 제 2 방향으로 회전시켜, 지침(5)의 제 1 단(51)이 제 1 위치 영역에서 제 2 위치 영역으로 이동하면 지침(5)의 제 2 단(52)이 나아가 슬라이더(42)를 밀어 제 2 슬라이드 홈(161)의 제 1 세그먼트에서 제 2 세그먼트로 이동시키도록 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슬라이더(42)의 일단에는 제 1 위치 제한 구조(43)가 구비되고, 제 2 슬라이드 홈(161)의 제 2 세그먼트의 단부에는 제 2 위치 제한 구조(44)가 구비되며, 제 1 위치 제한 구조(43)와 제 2 위치 제한 구조(44) 사이에는 압축 스프링(45)이 구비된다. 여기서, 제 2 슬라이드 홈(161)의 제 2 세그먼트의 단부란, 제 2 세그먼트의 제 2 슬라이드 홈(161)의 제 1 세그먼트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는 일단, 즉 도 17의 좌측 위치를 가리킨다. 지침(5)의 제 1 단(51)이 제 1 위치 영역에서 제 2 위치 영역으로 이동하면, 지침(5)의 제 2 단(52)이 슬라이더(42)를 밀어 압축 스프링(45)을 압축하여 변형시키며, 외력이 해제되어 지침(5)의 제 1 단(51)이 제 1 위치 영역으로 복귀하면, 압축 스프링(45)의 복원력이 슬라이더(42)를 밀어 제 2 슬라이드 홈(161)의 제 1 세그먼트로 복귀시킬 수 있다.
나아가, 이 실시예에서는 제 1 핸들(1)은 제 1 캐비티(13)를 포함하고, 제 1 캐비티(13)의 2 개의 측벽에는 제 1 슬라이드 홈(41)이 각각 구비되며, 핸들 하우징(16)에는 2 개의 제 2 슬라이드 홈(161)이 대응하여 구비되고, 슬라이더(42)는 2 개의 슬라이드 부(421)와, 슬라이드 부(421) 사이의 접촉부(422)를 포함하고, 2 개의 슬라이드 부(421)는 각각 제 2 슬라이드 홈(161)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구비된다. 각 제 2 슬라이드 홈(161)의 제 2 세그먼트의 단부에는 제 2 위치 제한 구조(44)가 각각 구비되고, 2 개의 슬라이드 부(421)의 일단에는 제 1 위치 제한 구조(43) 각각 구비되며, 제 1 위치 제한 구조(43)와 대응하는 제 2 위치 제한 구조(44) 사이에는 압축 스프링(45)이 각각 구비된다. 또한, 제 2 슬라이드 홈(161)의 연장 방향을 따른 슬라이드 부(421)의 길이는 제 2 슬라이드 홈(161)의 연장 방향을 따른 상기 접촉부(422)의 길이보다 길기 때문에, 슬라이드 홈(41)에서의 슬라이더(42)의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 따르면, 압축 스프링(45)을 핸들 하우징(16)과 슬라이더(42) 사이에 구비함으로써, 핸들 하우징(16)의 외부에서 압축 스프링(45)의 작동 상태를 직접촉 볼 수 있으며, 점검에 편리하고 설치 및 교환 시 핸들 하우징(16)을 제거하지 않고 실행할 수 있으며, 핸들 어셈블리, 나아가서는 문합기의 설치 및 유지가 보다 경제적이고 효율적이게 된다.
핸들 하우징(16)의 구조와 문합기의 협동 관계는 도 18 및 도 19를 구체적으로 참조할 수 있다. 핸들 하우징(16)의 근위단은 파지단이고 원위단은 문합기의 하우징(74)과 협동한다. 제 2 슬라이드 홈(161)은 핸들 하우징(16)의 원위단에 개구되며 핸들 하우징(16)의 상단면까지 연통되어 있다. 여기서, 핸들 하우징(16)의 상단면은 도 5의 시점에서의 핸들 하우징(16)의 선단의 단면이다. 즉, 제 2 슬라이드 홈(161)은 상단이 개방된 홈이며, 압축 스프링(45)은 핸들 하우징(16)의 상방에서 직접촉 탈착 가능하다. 또한, 2 개의 위치 제한 구조의 위치 제한 작용에 의해, 정상적인 사용 중의 압축 스프링(45)의 위치 편차를 걱정할 필요도 없다. 핸들 하우징(16)의 원위단의 일측은 문합기의 하우징(74)에 접촉하고, 핸들 하우징(16)의 원위단의 타측에 대응하는 문합기의 하우징(74)의 위치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때 핸들 하우징(16)을 수용하기 위한 핸들 개구(749)가 구비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제 1 위치 제한 구조(43) 및 제 2 위치 제한 구조(44)는 각각 주상 돌기이며, 압축 스프링(45)의 양단은 제 1 위치 제한 구조(43) 및 제 2 위치 제한 구조(44)에 각각 삽입된다. 따라서, 2 개의 주상 돌기의 크기는 압축 스프링(45)의 크기에 적합하며, 이를 통해 압축 스프링(45)이 주상 돌기에서 벗어나는 것을 피한다. 실제 응용에서, 압축 스프링(45)의 위치 제한 구조의 구조는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다른 구조를 채용하여도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포함된다. 예를 들어, 제 1 위치 제한 구조(43) 및 제 2 위치 제한 구조(44)는 각각 후크일 수 있으며, 압축 스프링(45)의 양단은 제 1 위치 제한 구조(43) 및 제 2 위치 제한 구조(44)에 각각 걸려 압축 스프링(45)에 대해 위치 제한을 수행한다.
도 21 및 도 22는 이 실시예에 따른 핸들 어셈블리가 무효 상태에 있을 때의 구조를 나타낸다. 이 상태에서, 풀 탭(6)은 지침(5)을 당기지 않으므로 지침(5)의 위치가 변화하지 않으며, 슬라이더(42)는 여전히 제 2 슬라이드 홈(161)의 제 1 세그먼트에 위치하고, 제 1 핸들(1)의 회전 경로에서 슬라이더(42)와 제 2 핸들(2)의 핸들 접촉부는 간섭하지 않는다. 또한 초기 위치에서, 슬라이더(42)는 압축 스프링(45)의 작용 하에 제 2 슬라이드 홈(161)의 제 1 세그먼트의 제 2 세그먼트에서 멀리 떨어져 있는 단부, 즉 도면에 도시된 우측 위치에 위치한다. 물론, 지침(5)의 제 2 단(52)에 의해 슬라이더(42)의 초기 위치에 대해 위치 제한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 때, 기구는 안전 상태에 있다. 제 2 비틀림 스프링(34)의 비틀림 힘은 트리거력보다 훨씬 작기 때문에, 조작자에 의한 작은 파지력을 받으면, 제 1 핸들(1)은 제 1 핀 샤프트(31)를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으며, 제 2 핸들(2)은 제 1 핸들(1)의 캐비티 내부로 계속 진입하고, 즉, 제 1 핸들(1)과 제 2 핸들(2)이 비연동 상태에 있으며 제 2 핸들(2)은 회전하지 않는다. 조작자가 제 1 핸들(1)을 파지하면 제 1 핸들(1)을 쉽게 회전시킬 수 있지만 제 2 핸들(2)은 회전시키지 않으며, 문합기의 트리거를 완료할 수 없다. 조작자는 또한 이 때 촉각 피드백을 얻을 수 있으며, 현재 지침(5)의 제 1 단(51)이 제 2 위치 영역에 도달하지 않았고 트리거되지 않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외력이 해제되면 제 1 핸들(1)은 제 2 비틀림 스프링(34)의 작용 하에서 복귀한다.
도 23 및 도 24는 이 실시예에 따른 핸들 어셈블리가 트리거 상태에 있을 때의 구조를 나타낸다. 이 과정에서, 노브(71)를 돌려 리드 스크류(76)가 풀 탭(6)을 근위단으로 이동시키고 지침(5)의 제 1 단(51)을 시계 방향으로 이동시키며 지침(5)의 제 1 단(51)이 제 1 위치 영역에서 제 2 위치 영역으로 진입하게 하고, 지침(5)의 제 2 단(52)은 제 1 위치 제한 구조(43) 및 제 2 위치 제한 구조(44)에 접촉할 때까지 슬라이더(42)를 밀어 제 2 슬라이드 홈(161)의 제 2 세그먼트로 이동시킨다. 제 1 핸들(1)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슬라이더(42)가 핸들 접촉부(25)에 접촉하고 제 2 핸들(2)이 제 1 핸들(1)의 내부 캐비티로 계속 진입하는 것을 가로막는다. 따라서, 제 2 핸들(2)과 제 1 핸들(1)이 연동 상태가 된다. 제 2 핸들(2)은 제 1 핸들(1)과 함께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제 2 핸들(2)의 제 2 단(22)이 스테이플 푸시 로드(75)를 밀며, 스테이플 푸시 로드(75)가 나아가 문합기의 스테이플 푸시 탭 및 환상 커터를 밀어 수술할 조직에 대해 봉합 및 절단을 수행한다.
도면으로부터 알 수 있듯이, 압축 스프링(45)은 슬라이더(42)의 이동 중에 점차 압축된다. 문합기가 트리거되면 제 2 핸들(2)의 풀 탭 접촉부(23)는 밀려 나온 정점에서 풀 탭(6)을 밀어 올려 풀 탭(6)의 풀 후크를 지침(5)에서 분리한다. 이 때, 지침(5)은 반시계 방향으로 초기 위치로 복원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문합기의 하우징(74)에서 지침(5)의 제 1 단(51)에 대응하는 위치에 금속판(77)이 구비되어 있으며, 지침(5)이 초기 위치로 복원하면 금속판(77)에 충돌하고 소리를 내며 지침이 복귀한 것을 조작자에게 제시한다. 지침(5)의 제 1 단(51)이 제 1 위치 영역으로 복귀하기 때문에, 제 1 핸들(1)을 해제한 후 지침(5)의 제 2 단(52)은 슬라이더(42)에서 분리된다. 그리고, 지침(5)의 외력이 사라진 후, 압축 스프링(45)이 원래 상태로 복원할 때의 변형력은 슬라이더(42)를 밀어 제 2 슬라이드 홈(161)의 제 1 단으로 다시 슬라이드시키며 초기 위치로 복원시킨다. 제 2 핸들(2)도 제 1 비틀림 스프링(31)의 복원력에 의해 초기 위치로 복원한다. 제 1 핸들(1)은 슬라이더의 작용 하에서 제 2 핸들(2)과 맞물리기 때문에, 우선 제 2 핸들(2)과 함께 복귀하며, 동시에 제 2 비틀림 스프링(34)의 작용 하에서 복귀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 핸들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문합기를 더 제공한다. 문합기가 트리거 가능한 상태에 도달하지 않은 경우, 제 1 핸들은 제 2 핸들을 구동하지 않고 문합기는 트리거되지 않으며, 의사는 또한 조작 경험을 통해 트리거 상태를 판단할 수 있고, 문합기가 트리거 가능한 상태에 도달한 경우에만 제 1 핸들의 이동이 제 2 핸들을 이동시키고, 나아가 문합기를 트리거한다. 이를 통해, 문합기가 오 트리거되는 것을 피하는 동시에 문합기 하우징이 깨지는 것을 피한다. 이 문합기는 슬라이더의 위치 이동을 통해 제 1 핸들과 제 2 핸들의 연동 상태를 제어하며, 트리거가 완료된 후, 슬라이더는 압축 스프링의 복귀 작용에 의해 초기 위치로 다시 복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제공되는 핸들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문합기는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핸들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문합기를 제공하고, 핸들을 제 1 핸들 부재 및 제 2 핸들로 분할하고, 슬라이더의 위치 이동을 통해 제 1 핸들 부재와 제 2 핸들의 연동 상태를 제어하며, 제 2 핸들의 회전 만이 문합기를 트리거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문합기가 트리거 조건을 충족하지 않는 경우의 오 트리거를 피할 수 있고, 무효 상태에서도 하우징이 깨지지 않게 제 1 핸들 부재를 파지할 수 있으며, 슬라이더와 슬라이드 홈 사이에 압축 스프링이 구비되고, 압축 스프링의 위치는 슬라이더의 제 1 위치 제한 구조 및 제 1 핸들 부재의 제 2 위치 제한 구조에 의해 제한되며, 슬라이더는 외력으로부터 벗어난 후 압축 스프링의 작용에 의해 복귀할 수 있다.
상기는 특정 바람직한 실시형태와 관련한 본 발명의 추가의 상세한 설명이며, 본 발명의 특정 구현이 이러한 설명으로 제한되는 것으로 가정될 수 없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본 발명의 개념을 벗어나지 않고 몇 가지 간단한 추론 또는 대체가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Claims (18)

  1. 문합기의 트리거에 사용되는 핸들 어셈블리에 있어서,
    제 1 핸들 부재 및 제 2 핸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핸들 부재에는 슬라이드 홈이 구비되고, 상기 슬라이드 홈은 서로 연통되는 제 1 세그먼트와 제 2 세그먼트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드 홈에는 슬라이더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슬라이더의 일단에는 제 1 위치 제한 구조가 구비되고, 상기 슬라이드 홈의 제 2 세그먼트의 단부에는 제 2 위치 제한 구조가 구비되며, 상기 제 1 위치 제한 구조와 제 2 위치 제한 구조 사이에 압축 스프링이 구비되고,
    상기 제 2 핸들의 제 1 단이 상기 제 1 핸들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슬라이드 홈의 제 1 세그먼트에 위치하고 상기 제 1 핸들 부재가 제 1 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제 2 핸들에 접촉하지 않고 상기 제 2 핸들은 회전하지 않으며,
    상기 슬라이더가 외력을 받아 상기 슬라이드 홈의 제 2 세그먼트로 이동하고 상기 제 1 핸들 부재가 제 1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압축 스프링이 변형되고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제 2 핸들에 접촉하며 상기 제 2 핸들을 밀어 회전시키고, 상기 슬라이더가 외력에서 벗어나면, 상기 압축 스프링의 복원력이 상기 슬라이더를 밀어 복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 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제 1 위치 영역과 제 2 위치 영역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지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지침이 제 1 위치 영역에서 제 2 위치 영역으로 이동하면, 상기 슬라이더를 밀어 상기 슬라이드 홈의 제 1 세그먼트에서 제 2 세그먼트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 어셈블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는 2 개의 슬라이드 부와, 2 개의 슬라이드 부 사이의 접촉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핸들 부재는 내부 캐비티를 포함하며, 상기 캐비티의 양측 측벽에는 상기 슬라이드 홈이 각각 개구되어 있고, 상기 2 개의 슬라이드 부는 양측의 슬라이드 홈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각 슬라이드 홈의 제 2 세그먼트의 단부에는 상기 제 2 위치 제한 구조가 각각 구비되고, 상기 2 개의 슬라이드 부의 일단에는 상기 제 1 위치 제한 구조가 각각 구비되며, 상기 제 1 위치 제한 구조와 대응하는 제 2 위치 제한 구조 사이에는 상기 압축 스프링이 각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 어셈블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핸들 부재는 제 1 핸들을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드 홈은 상기 제 1 핸들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 어셈블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핸들 부재는 제 1 핸들 및 핸들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핸들 하우징은 상기 제 1 핸들의 외부에 삽입되며, 상기 슬라이드 홈은 서로 연통되는 제 1 슬라이드 홈과 제 2 슬라이드 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슬라이드 홈 및 제 2 슬라이드 홈은 대응하는 제 1 세그먼트 및 제 2 세그먼트를 각각 포함하며, 상기 제 1 슬라이드 홈은 상기 제 1 핸들에 구비되고, 상기 제 2 슬라이드 홈은 상기 핸들 하우징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 어셈블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의 일단은 상기 제 2 슬라이드 홈에 끼워지고, 상기 제 2 위치 제한 구조는 상기 제 2 슬라이드 홈의 제 2 세그먼트의 단부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 어셈블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핸들의 양측에는 상기 제 1 슬라이드 홈이 각각 구비되고, 상기 핸들 하우징에는 2 개의 상기 제 2 슬라이드 홈이 대응하여 구비되며, 상기 슬라이더는 양단의 2 개의 슬라이드 부와, 2 개의 슬라이드 부 사이의 접촉부를 포함하고, 상기 각 슬라이드 부는 대응하는 제 2 슬라이드 홈에 각각 끼워지며,
    상기 각 제 2 슬라이드 홈의 제 2 세그먼트의 단부에는 상기 제 2 위치 제한 구조가 각각 구비되고, 상기 2 개의 슬라이드 부의 일단에는 상기 제 1 위치 제한 구조가 각각 구비되며, 상기 제 1 위치 제한 구조와 대응하는 제 2 위치 제한 구조 사이에는 상기 압축 스프링이 각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 어셈블리.
  8. 제3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홈의 연장 방향을 따른 상기 슬라이드 부의 길이는 상기 슬라이드 홈의 연장 방향을 따른 상기 접촉부의 길이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 어셈블리.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 하우징의 원위단에는 상기 제 2 슬라이드 홈이 개구되어 있고, 상기 제 2 슬라이드 홈은 상기 핸들 하우징의 상단면까지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 어셈블리.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 하우징의 원위단의 제 1 측은 상기 문합기의 하우징에 접촉하고, 상기 핸들 하우징의 원위단의 제 2 측에 대응하는 상기 문합기의 하우징의 위치에는 제 1 방향으로 회전할 때 핸들 하우징의 원위단을 수용하기 위한 핸들 개구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 어셈블리.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위치 제한 구조 및 제 2 위치 제한 구조는 각각 주상 돌기이고, 상기 압축 스프링의 양단은 상기 제 1 위치 제한 구조 및 제 2 위치 제한 구조에 각각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 어셈블리.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홈의 제 2 세그먼트의 높이는 상기 슬라이드 홈의 제 1 세그먼트의 높이보다 높고, 상기 제 1 세그먼트와 제 2 세그먼트 사이는 원활하게 이행되며, 상기 제 2 세그먼트의 내벽에는 주상 돌기 지지대가 구비되고, 상기 주상 돌기 지지대에는 상기 제 2 위치 제한 구조가 구비되며, 상기 주상 돌기 지지대의 높이는 상기 제 2 위치 제한 구조의 높이보다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 어셈블리.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위치 제한 구조 및 제 2 위치 제한 구조는 각각 후크이고, 상기 압축 스프링의 양단은 상기 제 1 위치 제한 구조 및 제 2 위치 제한 구조에 각각 걸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 어셈블리.
  14. 제1항에 있어서,
    제1 비틀림 스프링, 제 1 핀 샤프트, 제2 비틀림 스프링 및 제 2 핀 샤프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핀 샤프트는 상기 제 1 핸들 부재 및 제 2 핸들을 관통하고, 상기 제1 핀 샤프트는 상기 문합기의 하우징에 고정되고, 상기 제1 비틀림 스프링은 상기 제 1 핀 샤프트에 삽입되고, 상기 제1 비틀림 스프링의 양단이 상기 문합기의 하우징 및 상기 제 2 핸들에 각각 접촉하고,
    상기 제2 핀 샤프트는 상기 문합기의 하우징에 고정되고, 상기 제2 비틀림 스프링은 상기 제 2 핀 샤프트에 삽입되고, 상기 제2 비틀림 스프링의 양단이 상기 문합기의 하우징 및 상기 제 1 핸들 부재에 각각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 어셈블리.
  15. 제1항에 있어서,
    제1 비틀림 스프링, 제 1 핀 샤프트 및 압축 스프링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핀 샤프트는 상기 제 1 핸들 부재 및 제 2 핸들을 관통하고, 상기 제1 핀 샤프트는 상기 문합기의 하우징에 고정되고, 상기 제1 비틀림 스프링은 상기 제 1 핀 샤프트에 삽입되고, 상기 제1 비틀림 스프링의 양단이 상기 문합기의 하우징 및 상기 제 2 핸들에 각각 접촉하고,
    상기 압축 스프링은 상기 제 1 핸들 부재와 상기 문합기의 하우징 사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 어셈블리.
  16. 제1항에 있어서,
    제1 비틀림 스프링, 제 1 핀 샤프트, 제 2 비틀림 스프링 및 제 2 핀 샤프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핀 샤프트는 상기 제 1 핸들 부재를 관통하고 상기 제 2 핸들에 고정되고, 상기 제1 비틀림 스프링은 상기 제 1 핀 샤프트에 삽입되고, 상기 제1 비틀림 스프링의 양단이 상기 제 1 핸들 부재 및 상기 제 2 핸들에 각각 접촉하고,
    상기 제2 핀 샤프트는 상기 제 2 핸들을 관통하고 상기 문합기의 하우징에 고정되고, 상기 제2 비틀림 스프링은 상기 제 2 핀 샤프트에 삽입되고, 상기 제 2 비틀림 스프링의 양단이 상기 제 2 핸들 및 상기 문합기의 하우징에 각각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 어셈블리.
  1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침은 풀 탭의 원위단에 연결되고, 상기 풀 탭의 근위단은 리드 스크류에 삽입되며, 상기 리드 스크류의 원위단에는 노브가 구비되고, 상기 노브를 돌려 상기 풀 탭을 문합기의 근위단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풀 탭이 상기 지침을 제 1 위치 영역에서 제 2 위치 영역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 어셈블리.
  18.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핸들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합기.
KR1020207019342A 2017-12-26 2018-12-12 핸들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문합기 KR10247007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721847008.7U CN208958211U (zh) 2017-12-26 2017-12-26 把手组件及包括其的吻合器
CN201721849603.4U CN208464168U (zh) 2017-12-26 2017-12-26 把手组件及包括其的吻合器
CN201721847008.7 2017-12-26
CN201721849603.4 2017-12-26
PCT/CN2018/120699 WO2019128721A1 (zh) 2017-12-26 2018-12-12 把手组件及包括其的吻合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6595A true KR20200096595A (ko) 2020-08-12
KR102470078B1 KR102470078B1 (ko) 2022-11-23

Family

ID=670664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9342A KR102470078B1 (ko) 2017-12-26 2018-12-12 핸들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문합기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11337703B2 (ko)
EP (1) EP3733091A4 (ko)
JP (1) JP7029548B2 (ko)
KR (1) KR102470078B1 (ko)
AU (1) AU2018396743B2 (ko)
BR (1) BR112020012322B1 (ko)
CA (1) CA3085637C (ko)
RU (1) RU2738840C1 (ko)
WO (1) WO201912872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9080B1 (ko) * 2022-01-11 2022-07-12 주식회사 프리메디텍 그립력을 완충할 수 있는 수술용 인스트루먼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472186A (zh) * 2020-11-30 2021-03-12 常州安康医疗器械有限公司 一种管型吻合器用吻切组件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19800A (ko) * 2005-05-17 2006-11-24 에디컨 엔도-서저리 인코포레이티드 알루미늄 헤드를 갖는 외과용 스테이플러
US20160192916A1 (en) * 2006-01-31 2016-07-07 Ethicon Endo-Surgery, Llc Endoscopic surgical instrument with a handle that can articulate with respect to the shaft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51466A (en) * 1980-10-16 1982-09-28 United States Surgical Corporation Disposable instrument for surgical fastening
US5376098A (en) * 1992-10-09 1994-12-27 United States Surgical Corporation Fragmentable anastomosis ring applier
US6050472A (en) 1996-04-26 2000-04-18 Olympus Optical Co., Ltd. Surgical anastomosis stapler
CA2542532C (en) * 2003-10-17 2012-08-14 Tyco Healthcare Group, Lp Surgical stapling device with independent tip rotation
CN100443059C (zh) 2005-03-24 2008-12-17 上海创亿医疗器械技术有限公司 消化道管型吻合器
US7770775B2 (en) * 2006-01-31 2010-08-10 Ethicon Endo-Surgery, Inc. Motor-driven surgical cutting and fastening instrument with adaptive user feedback
CN100463659C (zh) 2006-12-06 2009-02-25 梁振星 一种外科用吻合器
US7658311B2 (en) * 2007-06-22 2010-02-09 Ethicon Endo-Surgery, Inc. Surgical stapling instrument with a geared return mechanism
CN201098164Y (zh) 2007-07-18 2008-08-13 马剑文 医用吻合器到位保险开启装置
US7819298B2 (en) 2008-02-14 2010-10-26 Ethicon Endo-Surgery, Inc. Surgical stapling apparatus with control features operable with one hand
WO2010048811A1 (zh) 2008-10-28 2010-05-06 Ma Jianwen 具有保险装置的管型吻合器及其吻合器主体
US9603599B2 (en) 2011-12-16 2017-03-28 Ethicon Endo-Surgery, Llc Feature to reengage safety switch of tissue stapler
US9549738B2 (en) * 2012-01-05 2017-01-24 Ethicon Endo-Surgery, Llc Ratcheting feature on tissue staple trigger to prevent premature jaw opening
US20140263548A1 (en) * 2013-03-15 2014-09-18 Covidien Lp Surgical fastener applying apparatus
US9445810B2 (en) * 2013-06-12 2016-09-20 Covidien Lp Stapling device with grasping jaw mechanism
RU145252U1 (ru) 2014-05-07 2014-09-10 Михаил Александрович Судаков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наложения циркулярного анастомоза полых трубчатых органов
CN105310747B (zh) * 2015-12-05 2017-09-12 北京天钥医疗器械有限公司 一种带凹形座锁止机构的包皮环切吻合器
CN206261635U (zh) * 2016-08-25 2017-06-20 江苏明朗医疗器械科技有限公司 一次性使用管型吻合器
CN106388948A (zh) 2016-10-08 2017-02-15 佛山市兴兴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外科手术医疗器械
CN106994034B (zh) * 2017-02-04 2023-12-22 芜湖圣大医疗器械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旋钮开启装置和包皮环切器,其组装方法以及使用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19800A (ko) * 2005-05-17 2006-11-24 에디컨 엔도-서저리 인코포레이티드 알루미늄 헤드를 갖는 외과용 스테이플러
US20160192916A1 (en) * 2006-01-31 2016-07-07 Ethicon Endo-Surgery, Llc Endoscopic surgical instrument with a handle that can articulate with respect to the shaf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9080B1 (ko) * 2022-01-11 2022-07-12 주식회사 프리메디텍 그립력을 완충할 수 있는 수술용 인스트루먼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18396743B2 (en) 2020-11-26
EP3733091A1 (en) 2020-11-04
US20200390445A1 (en) 2020-12-17
BR112020012322B1 (pt) 2023-11-07
RU2738840C1 (ru) 2020-12-17
US11337703B2 (en) 2022-05-24
JP7029548B2 (ja) 2022-03-03
WO2019128721A1 (zh) 2019-07-04
JP2021509856A (ja) 2021-04-08
KR102470078B1 (ko) 2022-11-23
EP3733091A4 (en) 2021-09-15
BR112020012322A2 (pt) 2020-11-24
CA3085637C (en) 2021-12-14
CA3085637A1 (en) 2019-07-04
AU2018396743A1 (en) 2020-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70078B1 (ko) 핸들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문합기
JP7029538B2 (ja) ハンドルアセンブリ及びそれを含む吻合器
KR102443146B1 (ko) 핸들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문합기
KR102410828B1 (ko) 핸들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스테이플러
KR102403452B1 (ko) 핸들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스테이플러
KR102443144B1 (ko) 핸들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한 문합기
KR102519963B1 (ko) 핸들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스테이플러
CN109953792B (zh) 把手组件及包括其的吻合器
CN109953789B (zh) 把手组件及包括其的吻合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