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3146B1 - 핸들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문합기 - Google Patents

핸들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문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3146B1
KR102443146B1 KR1020207019499A KR20207019499A KR102443146B1 KR 102443146 B1 KR102443146 B1 KR 102443146B1 KR 1020207019499 A KR1020207019499 A KR 1020207019499A KR 20207019499 A KR20207019499 A KR 20207019499A KR 102443146 B1 KR102443146 B1 KR 1024431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guide
slider
pin shaft
anastomos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194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96604A (ko
Inventor
지 첸
이 궈
지앙 린
샤오웨이 슈
Original Assignee
터치스톤 인터내셔널 메디컬 사이언스 씨오.,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CN201721849153.9U external-priority patent/CN208876647U/zh
Priority claimed from CN201721846423.0U external-priority patent/CN208404704U/zh
Priority claimed from CN201711451948.9A external-priority patent/CN109953794B/zh
Priority claimed from CN201711431490.0A external-priority patent/CN109953788B/zh
Application filed by 터치스톤 인터내셔널 메디컬 사이언스 씨오., 엘티디. filed Critical 터치스톤 인터내셔널 메디컬 사이언스 씨오.,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2000966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66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31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31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1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performing anastomosis; Buttons for anastomosis
    • A61B17/115Staplers for performing anastomosis in a single operation
    • A61B17/1155Circular staplers comprising a plurality of stap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1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performing anastomosis; Buttons for anastomosis
    • A61B17/115Staplers for performing anastomosis in a single op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1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performing anastomosis; Buttons for anastomosis
    • A61B17/111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performing anastomosis; Buttons for anastomosis of the digestive tract, e.g. bowels or oesophag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2Surgical cutting instruments
    • A61B17/326Circumcision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367Details of actuation of instruments, e.g. relations between pushing buttons, or the like, and activation of the tool, working tip,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4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with special provisions for gripp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4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with special provisions for gripping
    • A61B2017/00455Orientation indicators, e.g. recess on the hand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46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with a releasable handle; with handle and operating part separa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46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with a releasable handle; with handle and operating part separable
    • A61B2017/0046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with a releasable handle; with handle and operating part separable for use with different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831Material properties
    • A61B2017/00862Material properties elastic or resili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1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performing anastomosis; Buttons for anastomosis
    • A61B2017/1132End-to-end connec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1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performing anastomosis; Buttons for anastomosis
    • A61B2017/1135End-to-side connections, e.g. T- or Y-connec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8Surgical forceps
    • A61B17/29Forceps for use in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61B17/2909Handles
    • A61B2017/2912Handles transmission of forces to actuating rod or pist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8Surgical forceps
    • A61B17/29Forceps for use in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61B17/2909Handles
    • A61B2017/2912Handles transmission of forces to actuating rod or piston
    • A61B2017/2919Handles transmission of forces to actuating rod or piston details of linkages or pivot poi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08Accessories or related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B2090/0807Indication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08Accessories or related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B2090/0807Indication means
    • A61B2090/0811Indication means for the position of a particular part of an instrument with respect to the rest of the instrument, e.g. position of the anvil of a stapling instru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ology (AREA)
  • Portable Nailing Machines And Staplers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핸들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문합기를 제공하고, 핸들 어셈블리는 슬라이드 홈(41) 및 슬라이더(42)가 구비되는 제 1 핸들(1), 및 제 2 핸들(2)과, 제 1 지침(81) 및 제 2 지침(82)을 포함하고, 슬라이더(42)가 슬라이드 홈(41)의 제 2 세그먼트(412)에 위치하고 제 2 핸들(2)이 슬라이더(42)에 접촉할 때까지 제 1 핸들(1)이 제 2 방향으로 회전하면, 제 2 핸들(2)이 제 1 핸들(1)과 연동하고 슬라이더(42)가 제 2 지침(82)의 제 2 단(822)을 밀어 제 2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핸들 어셈블리를 제 1 핸들(1) 및 제 2 핸들(2)로 분할하고 문합기가 트리거 가능한 상태에 도달하지 않은 경우, 제 1 핸들(1)을 누를 수 있지만 제 2 핸들(2)은 회전하지 않고 문합기가 트리거되지 않는다. 지침을 제 1 지침(81) 및 제 2 지침(82)으로 분할하고 제 1 핸들(1) 및 제 2 핸들(2)이 함께 회전하면, 슬라이더(42)는 제 2 지침(82)을 밀어 회전시킬 수 있으므로 지침은 핸들 어셈블리의 회전을 가로막지 않고, 문합기가 트리거될 때 기구의 원활한 이동을 보장하고 사용자의 사용 경험을 향상시킨다.

Description

핸들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문합기
본 발명은 의료기구의 기술 분야, 특히 문합기의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핸들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문합기에 관한 것이다.
소화관 종양은 인간에게 가장 흔한 질환 중 하나이며, 치료 과정에서 소화관 등의 생리학적 조직의 문합을 위해 의사의 수동 조작을 대신하여 튜브식 문합기가 종종 사용된다. 튜브식 문합기는 일반적인 외과 수술기구이며, 대부분 축 방향 내부 스테이플링 방식을 채용하여 수술 시 식도, 위, 장 등의 생리학적 조직의 엔드 투 엔드 또는 엔드 투 사이드의 문합을 형성하고 문합 시 조직의 두 세그먼트가 수렴하여 문합기에 수용되며, 트리거가 완료된 후 조직에 원형의 문합부가 형성되며 조직 채널이 재건된다.
종래 기술에서는 튜브식 문합기는 문합기 본체와, 상기 문합기 본체에 가동 연결되는 핸들 어셈블리와, 상기 본체와 협동하는 스테이플 앤빌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상기 문합기 본체는 원위단에 구비되며 환형 스테이플 카트리지와 커터를 포함하는 스테이플 카트리지 어셈블리와, 본체의 근위단에 구비되며 본체에 대해 회전 가능한 노브를 포함한다. 여기서, 원위단과 근위단은 조작자에 대해 상대적인 것으로, 조작자에 가까운 쪽이 근위단이고, 조작자로부터 먼 쪽, 즉 수술 위치에 더 가까운 쪽이 원위단이다. 상기 스테이플 앤빌 어셈블리는 스테이플 앤빌과, 스테이플 앤빌의 상부에 구비되는 스테이플 앤빌 캡과, 스테이플 앤빌의 내부에 구비되는 커터 앤빌과, 문합기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스테이플 앤빌 축을 포함한다. 수술 과정에서 종양 조직을 절단하여 제거한 후, 스테이플 앤빌 축은 조직의 일단에서 쌈지를 관통하고 문합기 본체의 원위단에 배치되며, 노브를 돌려 스테이플 앤빌과 스테이플 카트리지 사이의 거리를 적절한 거리까지 점차 감소한 후 트리거 가능한 상태에 도달해야만 핸들을 파지하고 기구를 트리거하며 문합을 완료할 수 있다. 의료기구의 지속적인 발전과 함께, 튜브식 문합기는 치질 등 질환의 치료에도 점점 널리 사용되고 있다.
동시에, 지나치게 긴 포피 및 포경을 치료하는 비뇨기과 분야의 수술에서는 다른 형태의 튜브식 문합기, 즉 포피 문합기도 등장됐다. 포피 문합기도 종래 기술에 기재되어 있으며, 그 구조는 귀두 캡 어셈블리가 상기 본체와 협동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소화관 튜브식 문합기와 유사하다. 마찬가지로, 상기 귀두 캡 어셈블리는 스테이플 앤빌과, 스테이플 앤빌에 고정 연결되는 귀두 캡 및 커터 앤빌과, 문합기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중앙 로드를 포함한다. 수술 과정에서 절제할 포피 조직을 귀두 캡에 고정한 다음 중앙 로드를 문합기 본체의 원위단에 배치하고, 노브를 돌려 귀두 캡과 스테이플 카트리지 사이의 거리를 적절한 거리까지 점차 감소한 후 트리거 가능한 상태에 도달해야만 핸들을 파지하고 기구를 트리거하며 문합을 완료할 수 있다.
기술의 발전에 따라 사람들은 튜브식 문합기의 트리거 전동 기구를 개선하고 안전 메커니즘을 추가하였으며, 문합기가 트리거 가능한 상태에 도달하지 않은 경우에는 의사가 핸들을 눌러도 안전 메커니즘의 작용에 의해 핸들이 눌러지지 않고, 이를 통해 기구의 트리거로 인한 수술 실패를 피할 수 있다. 그러나 실제 상황에서는 의사의 사용 경험이 높지 않은 등의 단점이 여전히 존재하며, 또한 의사가 핸들을 세게 누르면 문합기 하우징이 깨질 수도 있다.
종래 기술의 문제점에 대해, 본 발명의 목적은 핸들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문합기를 제공하는 것이며, 문합기가 트리거 가능한 상태에 도달하지 않은 경우, 제 1 핸들과 제 2 핸들은 연동하지 않고 문합기는 트리거되지 않으며, 지침을 2 개의 세그먼트로 분할하여 제 1 핸들이 회전해도 지침은 핸들 어셈블리의 회전을 가로막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문합기의 트리거에 사용되는 핸들 어셈블리를 제공하고,
제1 핸들, 제2 핸들, 제1 지침 및 제2 지침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핸들에는 슬라이드 홈이 구비되고, 상기 슬라이드 홈은 서로 연통되는 제 1 세그먼트와 제 2 세그먼트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드 홈에는 슬라이더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슬라이드 홈의 제 1 세그먼트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제2 핸들과 상기 제 1 핸들은 연동되지 않고,
상기 제 1 지침은 상기 제 2 지침의 제 1 단에 연결되고, 상기 제 1 지침이 제 1 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제 2 지침의 제 2 단을 제 1 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슬라이드 홈의 제 1 세그먼트에서 상기 슬라이드 홈의 제 2 세그먼트로 이동되도록 상기 슬라이더를 밀고,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슬라이드 홈의 제 2 세그먼트에 위치하고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제 2 핸들에 접촉할 때까지 상기 제 1 핸들이 제 2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제 2 핸들이 상기 제 1 핸들과 연동되고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지침의 제 2 단을 밀어 제 2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 1 지침과 상기 제 2 지침의 제 1 단은 지침 복귀 구조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지침의 제 2 단을 밀어 제 2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지침 복귀 구조는 변형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지침 복귀 구조는 제 3 핀 샤프트와, 상기 제 3 핀 샤프트에 삽입되어 구비되는 제 3 비틀림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제 3 핀 샤프트는 상기 제 2 지침의 제 1 단을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 1 지침에 고정되며, 상기 제 3 비틀림 스프링의 양단은 상기 제 1 지침 및 상기 제 2 지침에 각각 접촉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 1 지침에는 제 1 비틀림 스프링 걸림홈이 구비되고, 상기 제 2 지침의 제 1 단에는 제 2 비틀림 스프링 걸림홈이 구비되며, 상기 제 3 비틀림 스프링의 양단은 상기 제 1 비틀림 스프링 걸림홈 및 상기 제 2 비틀림 스프링 걸림홈에 각각 끼워진다.
선택적으로, 상기 지침 복귀 구조는 제 3 핀 샤프트 및 인장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제 3 핀 샤프트는 상기 제 2 지침의 제 1 단을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 1 지침에 고정되며, 상기 인장 스프링은 상기 제 1 지침과 상기 제 2 지침 사이에 구비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 2 지침은 탄성 지침이며,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지침의 제 2 단을 밀어 제 2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제 2 지침은 탄성 변형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 1 지침 및 제 2 지침은 일체로 형성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 2 지침은 탄성 수지, 고무 재료 또는 금속 재료로 형성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 2 지침의 제 2 단은 상기 제 2 지침의 제 1 단에 대해 상기 문합기의 원위단을 향해 구부러지고, 상기 제 2 지침의 제 1 단에서 제 2 단 사이는 원활하게 이행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 1 지침의 양단 사이에는 위치 결정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 1 지침은 상기 위치 결정부를 통해 상기 문합기의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위치 결정부에는 제 4 핀 샤프트가 관통되어 구비되고, 상기 제 4 핀 샤프트에는 제 4 비틀림 스프링이 삽입되어 구비되며, 상기 제 4 핀 샤프트는 상기 문합기의 하우징에 고정되고, 상기 제 4 비틀림 스프링의 양단은 상기 문합기의 하우징 및 상기 제 1 지침에 각각 접촉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 1 지침의 제 1 단과 상기 위치 결정부 사이에는 돌출부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제 1 지침의 제 2 단은 상기 제 2 지침의 제 1 단에 연결되고, 상기 돌출부는 풀 탭의 풀 후크의 위치에 대응하며, 상기 풀 탭의 근위단은 리드 스크류에 삽입되고, 상기 리드 스크류의 원위단에는 노브가 구비되며, 상기 노브를 회동시켜 상기 풀 탭을 문합기의 근위단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풀 탭은 상기 돌출부를 통해 상기 제 1 지침을 당겨 제 1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으며,
상기 제 1 핸들 또는 제 2 핸들은 풀 탭 접촉부를 가지며, 상기 제 1 핸들 및 제 2 핸들이 제 2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풀 탭 접촉부가 상기 풀 탭에 접촉해 상기 풀 탭의 풀 후크를 상기 지침에서 분리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 1 핸들에는 슬라이더 복귀 스프링이 더 구비되고,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슬라이드 홈의 제 2 세그먼트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슬라이더 복귀 스프링에 작용력을 가하여 상기 슬라이더 복귀 스프링이 변형 상태로 되도록 하고, 상기 슬라이더 복귀 스프링이 변형 상태에서 초기 상태로 복원하면, 상기 슬라이더를 상기 슬라이드 홈의 제 2 세그먼트에서 상기 슬라이드 홈의 제 1 세그먼트로 이동시킨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 1 지침과 상기 제 2 지침의 제 1 단은 지침 복귀 구조를 통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슬라이드 홈의 제 2 세그먼트에 위치하고 상기 제 2 핸들이 상기 슬라이더에 접촉할 때까지 상기 제 1 핸들이 제 2 방향으로 회전되지 않은 경우, 상기 슬라이더에 대한 상기 슬라이더 복귀 스프링의 작용력은 상기 지침에 대한 상기 지침 복귀 구조의 작용력보다 작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 2 지침은 탄성 지침이며,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슬라이드 홈의 제 2 세그먼트에 위치하고 상기 제 2 핸들이 상기 슬라이더에 접촉할 때까지 상기 제 1 핸들이 제 2 방향으로 회전되지 않은 경우, 상기 슬라이더에 대한 상기 슬라이더 복귀 스프링의 작용력은 상기 제 2 지침이 탄성 변형에 저항하는 힘보다 작다.
선택적으로, 제1 비틀림 스프링, 제1 핀 샤프트, 제2 비틀림 스프링 및 제2 핀 샤프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핀 샤프트는 상기 제 1 핸들 및 제 2 핸들을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문합기의 하우징에 고정되고, 상기 제1 비틀림 스프링은 상기 제 1 핀 샤프트에 삽입되고, 상기 제1 비틀림 스프링의 양단이 상기 문합기의 하우징 및 상기 제 2 핸들에 각각 접촉하고,
상기 제2 핀 샤프트는 상기 문합기의 하우징에 고정되고, 상기 제2 비틀림 스프링은 상기 제 2 핀 샤프트에 삽입되고, 상기 제2 비틀림 스프링의 양단이 상기 문합기의 하우징 및 상기 제 1 핸들에 각각 접촉한다.
선택적으로, 제1 비틀림 스프링, 제1 핀 샤프트 및 핸들 복귀 압축 스프링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핀 샤프트는 상기 제 1 핸들 및 제 2 핸들을 관통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1 핀 샤프트는 상기 문합기의 하우징에 고정되고, 상기 제1 비틀림 스프링은 상기 제 1 핀 샤프트에 삽입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1 비틀림 스프링의 양단이 상기 문합기의 하우징 및 상기 제 2 핸들에 각각 접촉하고,
상기 핸들 복귀 압축 스프링은 상기 제 1 핸들과 상기 문합기의 하우징 사이에 연결된다.
선택적으로, 제1 비틀림 스프링, 제1 핀 샤프트, 제2 비틀림 스프링 및 제2 핀 샤프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핀 샤프트는 상기 제 2 핸들에 고정되고 상기 제 1 핸들을 관통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1 비틀림 스프링은 상기 제 1 핀 샤프트에 삽입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1 비틀림 스프링의 양단이 상기 제 1 핸들 및 상기 제 2 핸들에 각각 접촉하고,
상기 제2 핀 샤프트는 상기 문합기의 하우징에 고정되고 상기 제 2 핸들을 관통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2 비틀림 스프링은 상기 제 2 핀 샤프트에 삽입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2 비틀림 스프링의 양단이 상기 제 2 핸들 및 상기 문합기의 하우징에 각각 접촉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 핸들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문합기를 더 제공한다.
본 발명에 제공되는 핸들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문합기는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핸들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문합기를 제공하고, 핸들 어셈블리를 제 1 핸들 및 제 2 핸들로 분할함으로써, 제 2 핸들의 이동 만이 문합기를 트리거하여 절단 및 봉합 동작을 실행시킬 수 있고, 사용 과정에서 문합기가 트리거 가능한 상태에 도달했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의사는 제 1 핸들을 누를 수 있지만, 문합기가 트리거 가능한 상태에 도달하지 않은 경우, 제 1 핸들은 제 2 핸들을 구동하지 않고 문합기는 트리거되지 않으며, 지침을 제 1 지침 및 제 2 지침으로 분할하고 제 1 핸들 및 제 2 핸들이 함께 회전하면, 슬라이더는 제 2 지침을 밀어 회전시킬 수 있으므로 지침은 핸들 어셈블리의 회전을 가로막지 않고, 문합기가 트리거될 때 기구의 원활한 이동을 보장하고 사용자의 사용 경험을 향상시킨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목적 및 장점은 다음의 도면을 참조하여 비 제한적인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을 읽음으로써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합기에서 사용되는 핸들 어셈블리의 개략 구조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존의 튜브식 문합기에서 사용되는 핸들 어셈블리의 개략 구조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피 문합기에서 사용되는 핸들 어셈블리의 개략 구조도이다.
도 4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들 어셈블리가 초기 상태에 있을 때의 개략 구조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침의 정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방향으로 회전하는 지침의 개략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2 방향으로 회전하는 제 2 지침의 개략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침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침의 분해도이다.
도 15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들 어셈블리가 무효 상태에 있을 때의 개략 구조도이다.
도 18 내지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들 어셈블리가 트리거 상태에 있을 때의 개략 구조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들 어셈블리가 트리거 상태에 있을 때, 슬라이더가 제 2 지침을 밀어 회전시키는 개략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풀 탭이 제 1 지침을 당겨 회전시키는 개략 구조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풀 탭이 밀려 나와 지침에서 분리되는 개략 구조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3 비틀림 스프링이 인장 스프링으로 대체된 지침의 개략 구조도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핸들 어셈블리의 개략 구조도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침의 정면도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 1 방향으로 회전하는 지침의 개략도이다.
도 2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 2 방향으로 회전하는 제 2 지침의 개략도이다.
도 3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 2 지침의 개략 구조도이다.
도 3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초기 상태의 지침의 개략 구조도이다.
도 32 및 도 3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핸들 어셈블리의 무효 상태의 개략 구조도이다.
도 34 내지 도 3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핸들 어셈블리의 트리거 상태의 개략 구조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보다 완전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예시적인 실시형태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하니되며, 오히려, 이들 실시형태는 본 발명이 포괄적이고 완전하도록 제공되며, 예시적인 실시형태의 개념은 당업자에게 완전히 전달될 것이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조를 나타내므로,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종래 기술의 기술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문합기의 트리거에 사용되는 핸들 어셈블리를 제공하고, 상기 핸들 어셈블리는 제1 핸들, 제2 핸들, 제1 지침, 제2 지침을 포함한다. 상기 제1 핸들에는 슬라이드 홈이 구비되고, 상기 슬라이드 홈에는 서로 연통되는 제 1 세그먼트와 제 2 세그먼트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드 홈에는 슬라이더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슬라이드 홈의 제 1 세그먼트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제2 핸들과 상기 제 1 핸들은 연동되지 않는다. 상기 제 1 지침은 상기 제 2 지침의 제 1 단에 연결되며, 상기 제 1 지침이 제 1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제 2 지침의 제 2 단을 제 1 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슬라이드 홈의 제 1 세그먼트에서 상기 슬라이드 홈의 제 2 세그먼트로 슬라이더를 이동시킨다.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슬라이드 홈의 제 2 세그먼트에 위치하고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제 2 핸들에 접촉할 때까지 상기 제 1 핸들이 제 2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제 2 핸들이 상기 제 1 핸들과 연동하고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지침의 제 2 단을 밀어 제 2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을 사용함으로써, 사용 과정에서 문합기가 트리거 가능한 상태에 도달했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의사는 제 1 핸들을 누를 수 있다. 그러나, 문합기가 트리거 가능한 상태에 도달하지 않은 경우, 제 1 핸들은 제 2 핸들을 구동하지 않고 문합기는 트리거되지 않는다. 지침을 제 1 지침 및 제 2 지침으로 분할하고 제 1 핸들 및 제 2 핸들이 함께 회전하면, 슬라이더는 제 2 지침을 밀어 회전시킬 수 있으므로 지침은 핸들 어셈블리의 회전을 가로막지 않고, 문합기가 트리거될 때 기구의 원활한 이동을 보장한다.
또한, 제 2 지침에 복귀 메커니즘을 더 추가할 수 있으며, 트리거시 슬라이더는 제 2 지침을 밀어 회전시키고, 트리거가 완료된 후 제 2 지침은 복귀 메커니즘의 복귀 작용에 의해 초기 위치로 다시 복귀할 수 있다. 이하, 두 가지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핸들 어셈블리 및 문합기의 구조를 구체적으로 소개한다. 여기서, 이 두 가지 실시예는 두 가지 복귀 메커니즘을 사용하고 있으며, 즉, 지침 복귀 구조, 및 제 2 지침을 탄성 지침으로 구비하는 방식을 각각 사용하고 있다.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다른 복귀 메커니즘을 사용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합기의 구조를 나타낸다. 여기서, 문합기의 원위단에는 스테이플 카트리지 어셈블리(72) 및 스테이플 앤빌 어셈블리(73)가 구비되고, 근위단에는 노브(71) 및 핸들 어셈블리가 구비되며, 핸들 어셈블리의 외부에는 핸들 하우징(16)이 구비되고, 핸들 어셈블리를 누름으로써 문합기의 트리거를 실현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들 어셈블리의 초기 상태의 구조를 나타내며, 여기서, 핸들 어셈블리의 구조와 다른 부분과의 협동을 명확하게 나타내기 위해, 하우징의 일부 또는 어셈블리의 일부는 생략되었다. 상기 목적을 실현하기 위해, 본 발명은 핸들 어셈블리를 제 1 핸들(1)과 제 2 핸들(2)로 구분하고, 제 2 핸들(2)이 회전될 때만 문합기를 트리거할 수 있다. 제 1 핸들(1) 및 제 2 핸들(2)에는 제 1 핀 샤프트(31)가 동시에 관통되며, 제 1 핀 샤프트(31)는 문합기의 하우징(74)에 고정되고 그 위에 제 1 비틀림 스프링(32)이 삽입된다. 제 1 비틀림 스프링(32)의 양단은 상기 문합기의 하우징(74) 및 상기 제 2 핸들(2)에 각각 접촉하며, 제 2 핸들(2)이 회전한 후 외력이 해제되면 제 2 핸들(2)을 복귀시킬 수 있다.
또한, 제 1 핸들(1)을 복귀시키기 위한 제 2 비틀림 스프링(34) 및 제 2 핀 샤프트(33)가 더 구비된다. 제 2 핀 샤프트(33)는 문합기의 하우징(74)에 고정되고, 제 2 비틀림 스프링(34)은 제 2 핀 샤프트(33)에 삽입되며, 제 2 비틀림 스프링(34)의 양단은 문합기의 하우징(74) 및 제 1 핸들(1)에 각각 접촉한다.
제 1 핸들(1)과 제 2 핸들(2)의 연동을 실현하기 위해, 제 1 핸들(1)에는 슬라이드 홈(41) 및 슬라이더(42)가 더 구비된다. 슬라이드 홈(41)은 서로 연통되는 제 1 세그먼트(411)와 제 2 세그먼트(412)를 포함한다. 제 2 핸들(2)은 핸들 접촉부(25)를 포함한다. 슬라이더(42)가 슬라이드 홈(41)의 제 1 세그먼트(411)에 위치하고 제 1 핸들(1)이 제 2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파지될 때, 슬라이더(42)는 핸들 접촉부(25)에 접촉하지 않고 제 2 핸들(2)은 안전 위치에 위치하며, 즉, 제 1 핸들(1)은 회전하지만 문합기는 트리거되지 않고 무효 상태에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제 2 방향은 도면에 도시된 반시계 방향이지만,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따라서, 의사가 제 1 핸들(1)을 파지하면 제 1 핸들(1)을 쉽게 회전시킬 수 있지만, 제 2 핸들(2)은 트리거되지 않는 동시에, 이 때는 허 트리거 상태이므로 제 1 핸들(1)을 파지하는 힘이 매우 작다. 의사는 또한 이 조작 경험을 통해 문합기의 현재 상태가 미트리거 상태에 있고 문합기 하우징이 파열되지는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슬라이더(42)가 슬라이드 홈(41)의 제 2 세그먼트(412)에 위치하고 제 1 핸들(1)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파지되면, 슬라이더(42)가 핸들 접촉부(25)에 접촉하고 제 2 핸들(2)을 구동하여 안전 위치에서 트리거 위치로 회전시킨다. 제 2 핸들(2)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이와 동시에 스테이플 푸시 로드(75)를 밀어 문합기의 원위단으로 이동시키며, 나아가 문합기의 트리거를 구동한다.
본 발명에서의 상기 슬라이드 홈(41)의 제 1 세그먼트(411) 및 제 2 세그먼트(412)는 상대적인 개념이며, 반드시 슬라이드 홈(41)의 2 개의 단부일 필요는 없으며, 즉, 도면에 도시된 시점에서는 슬라이드 홈(41)의 제 1 세그먼트(411)가 제 2 세그먼트(412)의 우측에 위치하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슬라이더(42)가 슬라이드 홈(41)의 제 1 세그먼트(411) 및 제 2 세그먼트(412)에 위치할 때 제 1 핸들(1)을 파지하는 경우, 슬라이더(42)와 핸들 접촉부(25) 사이의 관계는 다르다. 슬라이더(42)가 슬라이드 홈(41)의 제 1 세그먼트(411)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핸들 접촉부(25)와 간섭하지 않으며, 슬라이드 홈(41)의 제 2 세그먼트(412)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핸들 접촉부(25)와 간섭한다.
슬라이드 홈(41) 내에서의 슬라이더(42)의 슬라이드을 실현하기 위해, 이 실시예에 따른 핸들 어셈블리는 지침을 더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지침은 제 1 지침(81) 및 제 2 지침(82)을 포함한다. 제 1 지침(81)과 제 2 지침(82)의 제 1 단(821)은 지침 복귀 구조를 통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제 1 지침(81)의 제 1 단(811)이 제 1 위치 영역에서 제 2 위치 영역으로 제 1 방향으로 회전하면, 제 2 지침(82)의 제 2 단(822)을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슬라이더(42)를 밀어 슬라이드 홈(41)의 제 1 세그먼트(411)에서 슬라이드 홈(41)의 제 2 세그먼트(412)로 이동시킨다. 이 실시예에서는 제 1 방향은 도면에 도시된 시계 방향이지만,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여기서, 제 1 위치 영역 및 제 2 위치 영역에 대응하는 문합기 본체에는 사용 과정에서 제 1 지침(81)의 제 1 단(811)의 위치를 관찰하기 위한 관찰 창이 구비되며, 제 1 지침(81)의 제 1 단(811)이 제 1 위치 영역에 있을 경우에는 안전 상태에 있으며, 이 때에는 문합기를 트리거할 수 없고, 제 1 지침(81)의 제 1 단(811)이 제 2 위치 영역에 있을 경우에는 문합기를 트리거할 수 있으며, 의사에게 보다 직관적으로 제시하기 위해, 관찰 창에서 트리거 가능에 대응하는 제 2 위치 영역은 녹색 영역이다.
본 발명은 종래의 튜브식 문합기뿐만 아니라 포피 문합기에도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핸들 어셈블리가 적용된 포피 문합기 본체(9)의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포피 문합기 본체(9)의 원위단은 스테이플 카트리지 어셈블리(91)를 포함하며, 또한 스테이플 카트리지 어셈블리(91)와 협동하는 귀두 캡 어셈블리(미도시)가 더 구비된다. 포피 문합기를 사용하는 경우, 제 2 핸들(2)은 포피 문합기의 일단에 가동 연결되고, 제 2 핸들(2)의 제 2 단은 포피 문합기의 스테이플 푸시 부품과 협동하며, 트리거 가능한 조건이 충족되면 제 2 핸들(2)은 스테이플 푸시 부품을 밀어 포피 문합기의 트리거를 실현한다.
도 10 내지 도 12는 지침의 부동한 상태의 구조를 나타낸다. 지침 복귀 구조의 작용은, 제 1 지침(81)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함과 동시에 제 2 지침(82)을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며, 즉, 지침이 도 11에서 파선으로 나타낸 위치까지 회전하도록 유지하는 것이다. 제 2 지침(82)의 제 2 단(822)이 우측을 향한 작용력을 받으면 제 1 지침(81)에 대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며, 즉, 제 2 지침(82)은 도 12에서 파선으로 나타낸 위치까지 회전할 수 있지만, 우측을 향한 작용력이 해제된 후, 제 2 지침(82)은 지침 복귀 구조의 복원력에 의해 초기의 실선 위치로 다시 복귀할 수 있다. 이렇게 구비하는 목적은, 제 1 핸들(1)과 제 2 핸들(2)이 연동되어 회전할 때 지침이 슬라이더(42)의 이동 경로를 방해하는 것을 피하기 위한 것이다. 슬라이더(42)가 슬라이드 홈(41)의 제 2 세그먼트(412)에 위치하고 제 1 핸들(1)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슬라이더(42)는 이에 따라 회전하고, 이 때, 지침은 여전히 슬라이더(42)에 대해 좌측을 향한 힘을 가지며 슬라이더(42)는 지침을 피하고, 제 1 핸들(1)이 계속 회전함에 따라 슬라이더(42)가 핸들 접촉부(25)에 접촉한 후, 슬라이더(42)는 제 2 핸들(2)에 의해 가로막혀 지침을 피할 수 없게 되고, 이 때, 변형될 수 없는 완전한 지침을 채용하면, 지침이 슬라이더(42)의 이동 경로를 방해하여 제 2 핸들(2)의 회전 및 트리거 과정이 원활하지 않으며 사용자 경험이 좋지 않다.
따라서, 본 발명은 지침을 제 1 지침(81)과 제 2 지침(82)의 두 부분으로 분할하고, 슬라이더(42)가 지침을 계속 피할 수 없는 경우, 슬라이더(42)의 작용 하에서 제 2 지침(82)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슬라이더(42)를 피하고, 이 회전 과정은 지침 복귀 구조를 변형시키며, 제 1 핸들(1)이 해제된 후, 지침 복귀 구조의 복원 작용 하에서 제 2 지침(82)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초기 위치로 다시 복귀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구조를 사용함으로써, 완전한 지침을 채용하여 문합기의 트리거 시 핸들의 이동이 원활하지 않은 문제를 해결하였고, 지침은 어느 위치에서도 제 2 핸들(2)의 정상적인 트리거에 영향을 주지 않으며, 문합기의 설계 시 지침과 다른 부품 간의 간섭을 허용하므로, 문합기의 보다 컴팩트하고 정교한 구조를 실현할 수 있다.
도 13 내지 도 14는 이 실시예에서의 지침의 구체적인 구조를 나타낸다. 제 1 지침(81)은 제 1 단(811), 돌출부(813), 위치 결정부(814) 및 제 2 단(812)을 포함한다. 돌출부(813)는 풀 탭(6)의 풀 후크(61)의 위치에 대응하며, 위치 결정부(814)는 문합기의 하우징(74)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다. 풀 탭(6)의 미부(62)는 리드 스크류(76)에 고정되고, 리드 스크류(76)의 이동에 따라 이동한다. 노브(71)가 일 방향으로 회전하면, 리드 스크류(76)가 근위단으로 이동하고 풀 탭(6)을 근위단으로 이동시키며, 풀 탭(6)의 풀 후크(61)는 돌출부(813)를 통해 제 1 지침(81)을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제 2 지침(82)도 동일하게 회전시키며, 나아가 슬라이더(42)를 슬라이드 홈(41)의 제 1 세그먼트(411)에서 슬라이드 홈(41)의 제 2 세그먼트(412)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지침 복귀 구조는 제 3 핀 샤프트(83)와, 제 3 핀 샤프트(83)의 외부에 삽입된 제 3 비틀림 스프링(84)을 포함한다. 제 3 핀 샤프트(83)는 제 2 지침(82)의 제 1 단(821)을 관통하고 제 1 지침(81)에 고정된다. 제 1 지침(81)에는 제 1 비틀림 스프링 걸림홈(841)이 구비되고, 제 2 지침(82)의 제 1 단(821)에는 제 2 비틀림 스프링 걸림홈(842)이 구비되며, 제 3 비틀림 스프링(84)의 양단은 제 1 비틀림 스프링 걸림홈(841) 및 제 2 비틀림 스프링 걸림홈(842)에 각각 끼워진다.
위치 결정부(814)에는 제 4 핀 샤프트(85)가 관통되고, 제 4 핀 샤프트(85)에는 제 4 비틀림 스프링(86)이 삽입되며, 제 4 핀 샤프트(85)는 문합기의 하우징(74)에 고정되고, 제 4 비틀림 스프링(86)의 양단은 문합기의 하우징(74) 및 제 1 지침(81)에 각각 접촉한다. 따라서, 제 1 지침(81)은 외력을 받으면 제 4 핀 샤프트(85)를 중심으로 회전하고, 외력이 해제되면 제 4 비틀림 스프링(86)을 통해 원래 위치로 복원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제 2 지침(82)의 제 2 단(822)은 제 2 지침(82)의 제 1 단(821)에 대해 문합기의 원위단을 향해 구부러지고, 제 2 지침(82)의 제 1 단(821)에서 제 2 단(822) 사이는 원활하게 이행되어 원활한 형태의 원호 윤곽을 형성하며, 회피 시의 상대 이동을 보다 원활하게 하는 데 유리하고, 제 2 지침(82)은 시트형 구조를 사용하고 있으며, 예를 들어, 문합기 내부의 좁은 공간에서 설계 및 사용 요건을 충족시킨다.
이 실시예에서는 제 1 핸들(1)은 양측의 측벽을 갖는 제 1 캐비티(13)를 포함하고, 제 1 캐비티(13)의 2 개의 측벽에는 슬라이드 홈(41)이 각각 구비되며, 슬라이더(42)는 2 개의 슬라이드 부(421)와, 슬라이드 부(421) 사이의 접촉부(422)를 포함하고, 2 개의 슬라이드 부(421)는 각각 슬라이드 홈(41)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구비된다. 제 1 핸들(1)의 외부에는 핸들 하우징(16)이 구비되고, 핸들 하우징(16)의 슬라이드 홈(41)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또한 슬롯이 형성되며, 슬롯의 제 1 단 및 제 2 단은 각각 슬라이드 홈(41)의 제 1 세그먼트(411) 및 제 2 세그먼트(412)에 대응한다. 이동 후의 슬라이더(42)의 위치 제한을 실현하기 위해, 슬라이드 부(421)에는 제 1 위치 제한 구조(43)가 구비되고, 슬롯의 제 2 단에는 제 2 위치 제한 구조가 구비되며, 제 1 위치 제한 구조(43)와 제 2 위치 제한 구조 사이에는 슬라이더 복귀 압축 스프링(45)이 각각 구비된다. 슬라이더(42)가 슬라이드 홈(41)의 제 1 세그먼트(411)로 이동하면, 슬라이더(42)는 슬라이더 복귀 압축 스프링(45)에 파지력을 가해 변형시킨다.
도 15 내지 도 17은 이 실시예에 따른 핸들 어셈블리가 무효 상태에 있을 때의 구조를 나타낸다. 이 상태에서, 풀 탭(6)은 제 1 지침(81)을 당기지 않으므로 제 1 지침(81)의 위치가 변화하지 않으며, 제 1 지침(81)의 제 1 단(811)이 제 1 위치 영역에 있고 슬라이더(42)에 대한 제 2 지침(82)의 작용력이 없다. 슬라이더(42)는 여전히 슬라이드 홈(41)의 제 1 세그먼트(411)에 위치하고, 제 1 핸들(1)의 회전 경로에서 슬라이더(42)와 제 2 핸들(2)의 핸들 접촉부(25)는 간섭하지 않는다. 또한 초기 위치에서, 슬라이더(42)는 슬라이더 복귀 압축 스프링(45)의 작용 하에 슬라이드 홈(41)의 제 1 세그먼트의 제 2 세그먼트에서 멀리 떨어져 있는 단부, 즉 도면에 도시된 우측 위치에 위치한다. 물론, 제 2 지침(82)의 제 2 단(822)에 의해 슬라이더(42)의 초기 위치에 대해 위치 제한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제 1 핸들(1)의 제 1 단(11)은 파지부이고 제 2 단(12)은 연결부를 포함하며, 제 2 핸들(2)의 제 1 단(21)은 연결부의 캐비티 내부에 위치하고 제 2 단(22)은 스테이플 푸시 로드(75)에 접촉한다. 이 때, 기구는 안전 상태에 있다. 제 2 비틀림 스프링(34)의 비틀림 힘은 트리거력보다 훨씬 작기 때문에, 조작자에 의한 작은 파지력을 받으면, 제 1 핸들(1)은 제 1 핀 샤프트(31)를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으며, 제 2 핸들(2)은 제 1 핸들(1)의 캐비티 내부로 계속 진입하고, 즉, 제 1 핸들(1)과 제 2 핸들(2)이 비연동 상태에 있으며 제 2 핸들(2)은 회전하지 않는다. 조작자가 제 1 핸들(1)을 파지하면 제 1 핸들(1)을 쉽게 회전시킬 수 있지만 제 2 핸들(2)은 회전시키지 않으며, 문합기의 트리거를 완료할 수 없다. 조작자는 또한 이 때 촉각 피드백을 얻을 수 있으며, 현재 제 1 지침(81)이 트리거 가능한 위치에 도달하지 않았고 트리거되지 않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외력이 해제되면 제 1 핸들(1)은 제 2 비틀림 스프링(34)의 작용 하에서 복귀한다.
동시에,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때 슬라이더(42)는 제 2 지침(82)에 접촉하지만, 슬라이더 복귀 압축 스프링(45)의 작용은 지침 복귀 구조에 의해 제 2 지침(82)에 가해지는 힘보다 작기 때문에, 슬라이더(42)는 제 2 지침(82)에 의해 밀려 도면의 화살표 방향으로 약간 변위되며, 이를 통해 지침을 피하는 것을 실현할 수 있다.
도 18 내지 도 21은 이 실시예에 따른 핸들 어셈블리가 트리거 상태에 있을 때의 구조를 나타낸다. 이 과정에서, 노브(71)를 돌려 리드 스크류(76)가 풀 탭(6)을 근위단으로 이동시키고 제 1 지침(81)을 제 2 위치 영역으로 시계 방향으로 이동시키며 핸들 접촉부(25)에 접촉할 때까지 제 2 지침(82)이 슬라이더(42)를 밀어 슬라이드 홈(41)의 제 2 세그먼트(412)으로 이동시키게 한다. 제 1 핸들(1)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파지되면, 슬라이더(42)가 핸들 접촉부(25)에 접촉하고 제 2 핸들(2)이 제 1 핸들(1)의 내부 캐비티로 계속 진입하는 것을 가로막는다. 따라서, 제 2 핸들(2)과 제 1 핸들(1)이 연동 상태가 된다. 제 2 핸들(2)은 제 1 핸들(1)과 함께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제 2 핸들(2)의 제 2 단(22)이 스테이플 푸시 로드(75)를 밀며, 스테이플 푸시 로드(75)가 나아가 문합기의 스테이플 푸시 탭 및 환상 커터를 밀어 수술할 조직에 대해 봉합 및 절단을 수행한다.
슬라이더 복귀 압축 스프링(45)은 슬라이더(42)의 이동 중에 추가로 압축된다. 제 1 핸들(1)의 회전 과정은 두 단계로 나누어지며, 우선 슬라이더(42)가 제 2 핸들(2)에 접촉하지 않은 경우에는, 제 3 비틀림 스프링(84)에 의해 제 2 지침(82)에 가해지는 작용력이 슬라이더 복귀 압축 스프링(45)에 의해 슬라이더(42)에 가해지는 힘보다 훨씬 크기 때문에, 슬라이더(42)는 제 2 지침(82)을 피하고, 슬라이더(42)가 제 2 핸들(2)에 접촉한 후에는, 제 2 핸들(2)과 제 1 핸들(1) 사이의 작용력에 의해 슬라이더(42)는 계속 피할 수 없으며, 제 2 지침(82)을 밀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제 2 지침(82)에 의해 슬라이더(42)를 회피하는 것을 실현한다. 제 2 지침(82)의 이동 궤적은 도 21 내지 도 22에 나타낸 바와 같을 수 있다. 문합기의 트리거가 완료된 후, 조작자는 제 1 핸들(1)을 해제하고, 슬라이더 복귀 압축 스프링(45)이 원래 상태로 복원할 때의 변형력은 슬라이더(42)를 밀어 다시 슬라이드 홈(41)의 제 1 세그먼트(411)로 슬라이드시키며 초기 위치로 복원시킨다. 또한, 제 2 지침(82)도 제 3 비틀림 스프링(84)의 작용력에 의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복원한다.
제 1 지침(81)의 복귀 과정은 도 23 및 도 24를 참조할 수 있다. 도 23에서, 풀 후크(61)는 돌출부(813)에 접촉하고, 제 1 지침(81)을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제 2 핸들(2)에는 풀 탭 접촉부(23)가 더 구비되고, 제 2 핸들(2)이 안전 위치에서 트리거 위치로 회전하면, 풀 탭 접촉부(23)는 밀려 나온 정점(231)에서 풀 탭(6)을 밀어 올려 풀 탭(6)의 풀 후크(61)를 돌출부(813)에서 분리한다. 분리된 상태는 도 24를 참조할 수 있으며, 이 때, 제 1 지침(81)은 제 4 비틀림 스프링(86)의 작용 하에서 자동으로 초기 위치로 복원한다. 지침(5)의 제 1 단(51)이 제 1 위치 영역으로 복귀하기 때문에, 지침(5)의 제 2 단(52)은 슬라이더(42)에서 분리된다. 그리고, 지침(8)의 추력이 사라진 후, 슬라이더(42)는 슬라이더 복귀 압축 스프링(45)의 복원력의 작용 하에서 슬라이드 홈(41)의 제 1 세그먼트(411)로 복귀하며 복귀를 완료한다. 문합기의 트리거가 완료된 후, 제 1 핸들(1)을 해제하며, 제 2 핸들(2)도 제 1 비틀림 스프링(32)의 복원력 하에서 안전 위치로 복귀하고, 제 1 핸들(1)은 슬라이더의 작용 하에서 제 2 핸들(2)과 맞물리기 때문에, 우선 제 2 핸들(2)과 함께 복귀하며, 동시에 제 2 비틀림 스프링(34)의 작용 하에서 복귀한다.
나아가, 이 실시예에서는 문합기의 하우징(74)에서 제 1 지침(81)의 제 1 단(811)에 대응하는 위치에 하나의 금속판(77)이 구비되어 있으며, 제 1 지침(81)이 초기 위치로 복원하면 금속판(77)에 충돌하여 소리를 내며 지침이 복귀한 것을 조작자에게 제시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제 1 핸들(1)과 제 2 핸들(2)이 모두 제 1 핀 샤프트(31)를 중심으로 회전하기 때문에, 제 1 핸들(1)과 제 2 핸들(2)의 회전 중심은 통일되며 조작자의 경험이 더 좋고, 무효 상태 및 트리거 상태에서 회전 중심이 변화하지 않는 동시에 핸들의 개구를 더 작게 설계할 수 있으며, 더욱 미관적이고 핸들 어셈블리 및 문합기의 구조도 더 안정적이다. 동시에, 풀 탭 접촉부(23)가 풀 탭 접촉 지점에 더 가깝고, 풀 탭(6)이 더욱 밀려 나오기 쉬우며, 밀려 나오기 실패로 인해 지침이 복귀하지 않는 현상이 발생하기 어렵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제 1 핸들(1)과 제 2 핸들(2)은 다른 방식을 채용하여 연결될 수도 있고, 이는 모두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포함된다. 예를 들어, 제 1 핸들을 복귀시키기 위한 제 2 비틀림 스프링 및 제 2 핀 샤프트는 적어도 하나의 압축 스프링으로 대체될 수 있으며, 압축 스프링은 제 1 핸들과 문합기의 하우징 사이에 연결되고, 제 1 핸들이 회전하면 압축 스프링이 압축되어 변형되고, 제 1 핸들이 해제되면 압축 스프링이 복원하여 제 1 핸들을 복귀시킨다. 나아가, 2 중 회전 중심의 방식을 사용할 수도 있으며, 예를 들어, 제 1 비틀림 스프링과 제 1 핀 샤프트, 및 제 2 비틀림 스프링과 제 2 핀 샤프트가 동일하게 구비된다. 제 1 핀 샤프트는 제 2 핸들에 고정되고 제 1 핸들을 관통하며, 제 1 비틀림 스프링은 제 1 핀 샤프트에 삽입되고, 제 1 비틀림 스프링의 양단은 제 1 핸들 및 제 2 핸들에 각각 접촉하며, 이를 통해 제 1 핸들의 복귀를 실현할 수 있고, 제 2 핀 샤프트는 문합기의 하우징에 고정되고 제 2 핸들을 관통하며, 제 2 비틀림 스프링은 제 2 핀 샤프트에 삽입되고, 제 2 비틀림 스프링의 양단은 제 2 핸들 및 문합기의 하우징에 각각 접촉하며, 이를 통해 제 2 핸들의 복귀를 실현할 수 있다. 제 1 핸들 및 제 2 핸들은 각각 제 1 비틀림 스프링 및 제 2 비틀림 스프링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여기서는 지침의 한 가지 선택 가능한 구조 만이 주어지지만,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다른 구조 변형을 채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2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3 비틀림 스프링(84)은 인장 스프링(87)으로 대체될 수도 있으며, 인장 스프링(87)은 제 1 지침(81)과 제 2 지침(82) 사이에 구비된다. 제 2 지침(82)이 제 1 지침(81)에 대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인장 스프링(87)이 당겨져 변형되며, 외력이 해제된 후, 인장 스프링(87)이 복원하여 제 2 지침(82)을 당겨 복귀시킨다.
도 26 내지 도 3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핸들 어셈블리의 개략 구조도이다. 이 실시예와 이전 실시예의 차이점은, 제 2 지침(82)에 지침 복귀 구조가 구비되지 않은 것, 즉, 제 2 지침(82)의 제 1 단에 제 3 핀 샤프트(83) 및 제 3 비틀림 스프링(84)이 구비되지 않은 것이다. 이 실시예에서는 제 2 지침(82)의 복귀 메커니즘은 제 2 지침(82)이 탄성 지침인 것이다.
도 27 내지 도 30은 지침의 부동한 상태의 구조를 나타낸다. 제 1 지침(81)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함과 동시에 제 2 지침(82)을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으며, 즉, 지침은 도 28에서 파선으로 나타낸 위치까지 회전할 수 있다. 제 2 지침(82)의 제 2 단(822)이 우측을 향한 작용력을 받으면 제 1 지침(81)에 대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제 2 지침(82)을 탄성 변형시키며, 즉, 제 2 지침(82)은 도 29에서 파선으로 나타낸 위치까지 회전할 수 있지만, 우측을 향한 작용력이 해제된 후, 제 2 지침(82)은 자체의 탄성 특성에 의해 도 29에서 실선으로 나타낸 원래 상태로 다시 복원할 수 있다. 이렇게 구비하는 목적은, 제 1 핸들(1) 및 제 2 핸들(2)이 회전할 때 지침이 슬라이더(42)의 이동 경로를 방해하는 것을 피하기 위한 것이다. 슬라이더(42)가 슬라이드 홈(41)의 제 2 세그먼트(412)에 위치하고 제 1 핸들(1)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슬라이더(42)는 이에 따라 회전하고, 이 때, 지침은 여전히 슬라이더(42)에 대해 좌측을 향한 힘을 가지며 슬라이더(42)는 지침을 피하고, 제 1 핸들(1)이 계속 회전함에 따라 슬라이더(42)가 핸들 접촉부(25)에 접촉한 후, 슬라이더(42)는 제 2 핸들(2)에 의해 가로막혀 지침을 계속 피할 수 없게 되고, 이 때, 탄성 변형될 수 없는 완전한 지침을 사용하면, 지침이 슬라이더(42)의 이동 경로를 방해하여 제 2 핸들(2)의 회전 및 트리거 과정이 원활하지 않으며 사용자 경험이 좋지 않다.
따라서, 본 발명은 지침을 제 1 지침(81)과 제 2 지침(82)의 두 부분으로 분할하고, 슬라이더(42)가 지침을 계속 피할 수 없는 경우, 슬라이더(42)의 작용 하에서 제 2 지침(82)의 제 2 단(822)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슬라이더(42)를 피하고, 이 회전 과정은 제 2 지침(82)을 탄성 변형시키며, 제 1 핸들(1)이 해제된 후, 제 2 지침(82) 자체의 탄성 특성의 작용 하에서 제 2 지침(82)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초기 위치로 다시 복귀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구조를 채용함으로써, 전에 완전한 지침을 채용하여 문합기의 트리거 시 핸들의 이동이 원활하지 않은 문제를 해결하였고, 지침은 어느 위치에서도 제 2 핸들(2)의 정상적인 트리거에 영향을 주지 않으며, 문합기의 설계 시 지침과 다른 부품 간의 간섭을 허용하므로, 문합기의 보다 컴팩트하고 정교한 구조를 실현할 수 있다. 제 2 지침(82)은 탄성 수지, 고무 재료 또는 금속 재료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필요에 따라 일정한 강성 및 탄성 특성을 갖는 다른 재료를 선택할 수도 있다.
도 26 및 도 31은 이 실시예에 따른 핸들 어셈블리가 초기 상태에 있을 때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32 및 도 33은 이 실시예에 따른 핸들 어셈블리가 무효 상태에 있을 때의 구조를 나타낸다. 무효 상태에서, 풀 탭(6)은 제 1 지침(81)을 당기지 않으므로 제 1 지침(81)의 위치가 변화하지 않으며, 제 1 지침(81)의 제 1 단(811)이 제 1 위치 영역에 있고 슬라이더(42)에 대한 제 2 지침(82)의 작용력이 없다. 슬라이더(42)는 여전히 슬라이드 홈(41)의 제 1 세그먼트(411)에 위치하고, 제 1 핸들(1)의 회전 경로에서 슬라이더(42)와 제 2 핸들(2)의 핸들 접촉부(25)는 간섭하지 않는다. 이 때, 기구는 안전 상태에 있다. 조작자가 제 1 핸들(1)을 파지하면 제 1 핸들(1)을 쉽게 회전시킬 수 있지만 제 2 핸들(2)은 회전시키지 않으며, 문합기의 트리거를 완료할 수 없다. 조작자는 또한 이 때 촉각 피드백을 얻을 수 있으며, 현재 제 1 지침(81)이 트리거 가능한 위치에 도달하지 않았고 트리거되지 않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때 슬라이더(42)는 제 2 지침(82)에 접촉하지만, 슬라이더 복귀 압축 스프링(45)의 작용은 제 2 지침(82)이 탄성 변형에 저항하는 힘보다 작기 때문에, 슬라이더(42)는 제 2 지침(82)에 의해 밀려 도면의 화살표 방향으로 약간 변위되며, 이를 통해 지침을 피하는 것을 실현할 수 있다.
도 34 내지 도 36은 이 실시예에 따른 핸들 어셈블리가 트리거 상태에 있을 때의 구조를 나타낸다. 이 과정에서, 노브(71)를 돌려 리드 스크류(76)가 풀 탭(6)을 근위단으로 이동시키고 제 1 지침(81)을 제 2 위치 영역으로 시계 방향으로 이동시키며 핸들 접촉부(25)에 접촉할 때까지 제 2 지침(82)이 슬라이더(42)를 밀어 슬라이드 홈(41)의 제 2 세그먼트(412)로 이동시키게 한다. 제 1 핸들(1)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파지되면, 슬라이더(42)가 핸들 접촉부(25)에 접촉하고 제 2 핸들(2)이 제 1 핸들(1)의 내부 캐비티로 계속 진입하는 것을 가로막는다. 따라서, 제 2 핸들(2)과 제 1 핸들(1)이 연동 상태가 된다. 제 2 핸들(2)은 제 1 핸들(1)과 함께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제 2 핸들(2)의 제 2 단(22)이 스테이플 푸시 로드(75)를 밀며, 스테이플 푸시 로드(75)가 나아가 문합기의 스테이플 푸시 탭 및 환상 커터를 밀어 수술할 조직에 대해 봉합 및 절단을 수행한다.
슬라이더 복귀 압축 스프링(45)은 슬라이더(42)의 이동 중에 점차 압축된다. 슬라이더(42)의 이동 과정은 두 단계로 나누어지며, 우선 슬라이더(42)가 제 2 핸들(2)에 접촉하지 않은 경우에는, 제 2 지침(82)이 탄성 변형에 저항하는 힘이 슬라이더 복귀 압축 스프링(45)에 의해 슬라이더(42)에 가해지는 힘보다 훨씬 크기 때문에, 슬라이더(42)는 제 2 지침(82)을 피하고, 슬라이더(42)가 제 2 핸들(2)에 접촉한 후에는, 제 2 핸들(2)과 제 1 핸들(1) 사이의 작용력에 의해 슬라이더(42)는 계속 피할 수 없으며, 제 2 지침(82)의 제 2 단(822)을 밀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제 2 지침(82)에 의해 슬라이더(42)를 회피하는 것을 실현한다. 제 2 지침(82)의 변형 과정은 도 35 및 도 36에 나타낸 바와 같을 수 있다. 문합기의 트리거가 완료된 후, 제 1 핸들(1)을 해제하며, 슬라이더 복귀 압축 스프링(45)이 원래 상태로 복원할 때의 변형력은 슬라이더(42)를 밀어 다시 슬라이드 홈(41)의 제 1 세그먼트(411)로 슬라이드시키며 초기 위치로 복원시킨다. 또한, 제 2 지침(82)은 슬라이더(42)의 추력을 더 이상 받지 않으며, 자신의 탄성 변형 복원 작용에 의해 원래 상태로 복원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의 탄성의 제 2 지침(82)의 구조는 또한, 이전 실시예에서의 다양한 특징과 결합되어 새로운 기술적 해결책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는 모두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포함된다. 제 1 핸들(1) 및 제 2 핸들(2)의 트리거 및 복귀 과정 또한 이전 실시예와 유사하며, 여기서 반복되지 않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 핸들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문합기를 더 제공한다. 문합기가 트리거 가능한 상태에 도달하지 않은 경우, 제 1 핸들은 제 2 핸들을 구동하지 않고 문합기는 트리거되지 않으며, 의사는 또한 조작 경험을 통해 트리거 상태를 판단할 수 있고, 문합기가 트리거 가능한 상태에 도달한 경우에만 제 1 핸들의 이동이 제 2 핸들을 이동시키고, 나아가 문합기를 트리거한다. 이를 통해, 문합기가 오 트리거되는 것을 피하는 동시에 문합기 하우징이 깨지는 것을 피한다. 또한, 지침을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1 지침 및 제 2 지침으로 분할함으로써, 완전한 지침을 채용하여 문합기의 트리거 시 핸들의 이동이 원활하지 않은 문제를 해결하였고, 지침은 어느 위치에서도 제 2 핸들의 정상적인 트리거에 영향을 주지 않으며, 문합기의 설계 시 지침과 다른 부품 간의 간섭을 허용하므로, 문합기의 보다 컴팩트하고 정교한 구조, 및 보다 원활한 트리거 과정을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제공되는 핸들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문합기는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핸들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문합기를 제공하고, 핸들 어셈블리를 제 1 핸들과 제 2 핸들로 분할함으로써, 제 2 핸들의 이동 만이 문합기를 트리거하여 절단 및 봉합 동작을 실행시킬 수 있고, 사용 과정에서 문합기가 트리거 가능한 상태에 도달했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의사는 제 1 핸들을 누를 수 있지만, 문합기가 트리거 가능한 상태에 도달하지 않은 경우, 제 1 핸들은 제 2 핸들을 구동하지 않고 문합기는 트리거되지 않으며, 지침을 제 1 지침 및 제 2 지침으로 분할하고 제 1 핸들 및 제 2 핸들이 함께 회전하면, 슬라이더는 제 2 지침을 밀어 회전시킬 수 있으므로 지침은 핸들 어셈블리의 회전을 가로막지 않고, 문합기가 트리거될 때 기구의 원활한 이동을 보장하고 사용자의 사용 경험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트리거가 완료되면, 제 2 지침은 지침 복귀 구조를 통해 초기 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
상기는 특정 바람직한 실시형태와 관련한 본 발명의 추가의 상세한 설명이며, 본 발명의 특정 구현이 이러한 설명으로 제한되는 것으로 가정될 수 없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본 발명의 개념을 벗어나지 않고 몇 가지 간단한 추론 또는 대체가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Claims (19)

  1. 문합기의 트리거에 사용되는 핸들 어셈블리에 있어서,
    제1 핸들, 제2 핸들, 제1 지침 및 제2 지침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핸들에는 슬라이드 홈이 구비되고, 상기 슬라이드 홈은 서로 연통되는 제1 세그먼트와 제2 세그먼트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드 홈에는 슬라이더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슬라이드 홈의 제1 세그먼트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제2 핸들과 상기 제1 핸들은 연동되지 않고,
    상기 제1 지침은 상기 제2 지침의 제 1 단에 연결되고, 상기 제 1 지침이 제 1 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제 2 지침의 제 2 단을 제 1 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슬라이드 홈의 제 1 세그먼트에서 상기 슬라이드 홈의 제 2 세그먼트로 이동되도록 상기 슬라이더를 밀고,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슬라이드 홈의 제2 세그먼트에 위치하고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제2 핸들에 접촉할 때까지 상기 제1 핸들이 제 2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제 2 핸들이 상기 제 1 핸들과 연동되고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지침의 제 2 단을 밀어 제 2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 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침과 상기 제2 지침의 제 1 단은 지침 복귀 구조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지침의 제 2 단을 밀어 제 2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지침 복귀 구조는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 어셈블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침 복귀 구조는 제 3 핀 샤프트와, 상기 제 3 핀 샤프트에 삽입되어 구비되는 제 3 비틀림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제 3 핀 샤프트는 상기 제 2 지침의 제 1 단을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 1 지침에 고정되며, 상기 제 3 비틀림 스프링의 양단은 상기 제 1 지침 및 상기 제 2 지침에 각각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 어셈블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지침에는 제 1 비틀림 스프링 걸림홈이 구비되고, 상기 제 2 지침의 제 1 단에는 제 2 비틀림 스프링 걸림홈이 구비되며, 상기 제 3 비틀림 스프링의 양단은 상기 제 1 비틀림 스프링 걸림홈 및 상기 제 2 비틀림 스프링 걸림홈에 각각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 어셈블리.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침 복귀 구조는 제 3 핀 샤프트 및 인장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제 3 핀 샤프트는 상기 제 2 지침의 제 1 단을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 1 지침에 고정되며, 상기 인장 스프링은 상기 제 1 지침과 상기 제 2 지침 사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 어셈블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지침은 탄성 지침이며,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지침의 제 2 단을 밀어 제 2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제 2 지침은 탄성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 어셈블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지침 및 제 2 지침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 어셈블리.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지침은 탄성 수지, 고무 재료 또는 금속 재료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 어셈블리.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지침의 제 2 단은 상기 제 2 지침의 제 1 단에 대해 상기 문합기의 원위단을 향해 구부러지고, 상기 제 2 지침의 제 1 단에서 제 2 단 사이는 원활하게 이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 어셈블리.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지침의 양단 사이에는 위치 결정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 1 지침은 상기 위치 결정부를 통해 상기 문합기의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 어셈블리.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결정부에는 제 4 핀 샤프트가 관통되어 구비되고, 상기 제 4 핀 샤프트에는 제 4 비틀림 스프링이 삽입되어 구비되며, 상기 제 4 핀 샤프트는 상기 문합기의 하우징에 고정되고, 상기 제 4 비틀림 스프링의 양단은 상기 문합기의 하우징 및 상기 제 1 지침에 각각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 어셈블리.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지침의 제 1 단과 상기 위치 결정부 사이에는 돌출부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제 1 지침의 제 2 단은 상기 제 2 지침의 제 1 단에 연결되고, 상기 돌출부는 풀 탭의 풀 후크의 위치에 대응하며, 상기 풀 탭의 근위단은 리드 스크류에 삽입되고, 상기 리드 스크류의 근위단에는 노브가 구비되며, 상기 노브를 회동시켜 상기 풀 탭을 문합기의 근위단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풀 탭은 상기 돌출부를 통해 상기 제 1 지침을 당겨 제 1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으며,
    상기 제 1 핸들 또는 제 2 핸들은 풀 탭 접촉부를 가지며, 상기 제 1 핸들 및 제 2 핸들이 제 2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풀 탭 접촉부가 상기 풀 탭에 접촉해 상기 풀 탭의 풀 후크를 상기 지침에서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 어셈블리.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핸들에는 슬라이더 복귀 스프링이 더 구비되고,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슬라이드 홈의 제 2 세그먼트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슬라이더 복귀 스프링에 작용력을 가하여 상기 슬라이더 복귀 스프링이 변형 상태로 되도록 하고, 상기 슬라이더 복귀 스프링이 변형 상태에서 초기 상태로 복원하면, 상기 슬라이더를 상기 슬라이드 홈의 제 2 세그먼트에서 상기 슬라이드 홈의 제 1 세그먼트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 어셈블리.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지침과 상기 제 2 지침의 제 1 단은 지침 복귀 구조를 통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슬라이드 홈의 제 2 세그먼트에 위치하고 상기 제 2 핸들이 상기 슬라이더에 접촉할 때까지 상기 제 1 핸들이 제 2 방향으로 회전되지 않은 경우, 상기 슬라이더에 대한 상기 슬라이더 복귀 스프링의 작용력은 상기 지침에 대한 상기 지침 복귀 구조의 작용력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 어셈블리.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지침은 탄성 지침이며,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슬라이드 홈의 제 2 세그먼트에 위치하고 상기 제 2 핸들이 상기 슬라이더에 접촉할 때까지 상기 제 1 핸들이 제 2 방향으로 회전되지 않은 경우, 상기 슬라이더에 대한 상기 슬라이더 복귀 스프링의 작용력은 상기 제 2 지침이 탄성 변형에 저항하는 힘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 어셈블리.
  16. 제1항에 있어서,
    제1 비틀림 스프링, 제1 핀 샤프트, 제2 비틀림 스프링 및 제2 핀 샤프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핀 샤프트는 상기 제 1 핸들 및 제 2 핸들을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문합기의 하우징에 고정되고, 상기 제1 비틀림 스프링은 상기 제1 핀 샤프트에 삽입되고, 상기 제1 비틀림 스프링의 양단이 상기 문합기의 하우징 및 상기 제 2 핸들에 각각 접촉하고,
    상기 제2 핀 샤프트는 상기 문합기의 하우징에 고정되고, 상기 제2 비틀림 스프링은 상기 제2 핀 샤프트에 삽입되고, 상기 제2 비틀림 스프링의 양단이 상기 문합기의 하우징 및 상기 제 1 핸들에 각각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 어셈블리.
  17. 제1항에 있어서,
    제1 비틀림 스프링, 제1 핀 샤프트 및 핸들 복귀 압축 스프링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핀 샤프트는 상기 제 1 핸들 및 제 2 핸들을 관통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1 핀 샤프트는 상기 문합기의 하우징에 고정되고, 상기 제1 비틀림 스프링은 상기 제1 핀 샤프트에 삽입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1 비틀림 스프링의 양단이 상기 문합기의 하우징 및 상기 제 2 핸들에 각각 접촉하고,
    상기 핸들 복귀 압축 스프링은 상기 제 1 핸들과 상기 문합기의 하우징 사이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 어셈블리.
  18. 제1항에 있어서,
    제1 비틀림 스프링, 제1 핀 샤프트, 제2 비틀림 스프링 및 제2 핀 샤프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핀 샤프트는 상기 제 2 핸들에 고정되고 상기 제 1 핸들을 관통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1 비틀림 스프링은 상기 제1 핀 샤프트에 삽입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1 비틀림 스프링의 양단이 상기 제 1 핸들 및 상기 제 2 핸들에 각각 접촉하고,
    상기 제2 핀 샤프트는 상기 문합기의 하우징에 고정되고 상기 제 2 핸들을 관통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2 비틀림 스프링은 상기 제2 핀 샤프트에 삽입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2 비틀림 스프링의 양단이 상기 제 2 핸들 및 상기 문합기의 하우징에 각각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 어셈블리.
  19. 제1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핸들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합기.
KR1020207019499A 2017-12-26 2018-12-12 핸들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문합기 KR10244314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721849153.9U CN208876647U (zh) 2017-12-26 2017-12-26 把手组件及包括其的吻合器
CN201721846423.0U CN208404704U (zh) 2017-12-26 2017-12-26 把手组件及包括其的吻合器
CN201721846423.0 2017-12-26
CN201711431490.0 2017-12-26
CN201721849153.9 2017-12-26
CN201711451948.9A CN109953794B (zh) 2017-12-26 2017-12-26 把手组件及包括其的吻合器
CN201711431490.0A CN109953788B (zh) 2017-12-26 2017-12-26 把手组件及包括其的吻合器
CN201711451948.9 2017-12-26
PCT/CN2018/120698 WO2019128720A1 (zh) 2017-12-26 2018-12-12 把手组件及包括其的吻合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6604A KR20200096604A (ko) 2020-08-12
KR102443146B1 true KR102443146B1 (ko) 2022-09-14

Family

ID=670665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9499A KR102443146B1 (ko) 2017-12-26 2018-12-12 핸들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문합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1471160B2 (ko)
EP (1) EP3733089A4 (ko)
JP (1) JP7029547B2 (ko)
KR (1) KR102443146B1 (ko)
AU (1) AU2018393322B2 (ko)
CA (1) CA3086804C (ko)
RU (1) RU2738427C1 (ko)
WO (1) WO201912872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831701B (zh) * 2022-03-11 2023-03-24 广州德脉医疗器械有限公司 一种电驱动包皮切割吻合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192916A1 (en) 2006-01-31 2016-07-07 Ethicon Endo-Surgery, Llc Endoscopic surgical instrument with a handle that can articulate with respect to the shaft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432915C2 (ru) * 2005-05-17 2011-11-10 Этикон Эндо-Серджери, Инк. Хирургический сшивающий аппарат с алюминиевой головкой
CN2868208Y (zh) * 2005-12-14 2007-02-14 苏州天臣国际医疗科技有限公司 设有自动保险机构的圆管型装订仪
US7819297B2 (en) * 2008-02-14 2010-10-26 Ethicon Endo-Surgery, Inc. Surgical stapling apparatus with reprocessible handle assembly
US7819298B2 (en) * 2008-02-14 2010-10-26 Ethicon Endo-Surgery, Inc. Surgical stapling apparatus with control features operable with one hand
US8231042B2 (en) * 2008-11-06 2012-07-31 Tyco Healthcare Group Lp Surgical stapler
US9603599B2 (en) 2011-12-16 2017-03-28 Ethicon Endo-Surgery, Llc Feature to reengage safety switch of tissue stapler
CN103142278B (zh) * 2012-12-28 2014-12-03 苏州天臣国际医疗科技有限公司 圆管型吻合器
RU145252U1 (ru) 2014-05-07 2014-09-10 Михаил Александрович Судаков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наложения циркулярного анастомоза полых трубчатых органов
US10772627B2 (en) 2014-12-11 2020-09-15 Covidien Lp Stapler with auto-matic lockout mechanism
CN206261635U (zh) 2016-08-25 2017-06-20 江苏明朗医疗器械科技有限公司 一次性使用管型吻合器
CN106388948A (zh) * 2016-10-08 2017-02-15 佛山市兴兴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外科手术医疗器械
CN107485429B (zh) 2017-09-08 2023-04-25 江苏孜航精密五金有限公司 一次性包皮切割吻合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192916A1 (en) 2006-01-31 2016-07-07 Ethicon Endo-Surgery, Llc Endoscopic surgical instrument with a handle that can articulate with respect to the shaf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029547B2 (ja) 2022-03-03
WO2019128720A1 (zh) 2019-07-04
EP3733089A1 (en) 2020-11-04
EP3733089A4 (en) 2021-10-27
CA3086804A1 (en) 2019-07-04
JP2021509855A (ja) 2021-04-08
US11471160B2 (en) 2022-10-18
CA3086804C (en) 2022-06-21
KR20200096604A (ko) 2020-08-12
RU2738427C1 (ru) 2020-12-14
US20200323532A1 (en) 2020-10-15
BR112020012558A2 (pt) 2020-11-24
AU2018393322A1 (en) 2020-07-16
AU2018393322B2 (en) 2020-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10828B1 (ko) 핸들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스테이플러
KR102470078B1 (ko) 핸들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문합기
KR102443146B1 (ko) 핸들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문합기
KR102403452B1 (ko) 핸들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스테이플러
KR102443145B1 (ko) 핸들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한 문합기
JP7441842B2 (ja) 触発機構及びステープラー
CN109953788B (zh) 把手组件及包括其的吻合器
KR20210095922A (ko) 노브 어셈블리 및 원형 스테이플러
JP7167162B2 (ja) ハンドルアセンブリ及びそれを含むステープラー
CN109953794B (zh) 把手组件及包括其的吻合器
JP7029537B2 (ja) ハンドルアセンブリ及びそれを含む吻合器
CN109953791B (zh) 把手组件及包括其的吻合器
BR112020012558B1 (pt) Conjunto de manípulos e grampeador que inclui o mesm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