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96483A - 토크 전달 유닛 및 구동 트레인 - Google Patents

토크 전달 유닛 및 구동 트레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96483A
KR20200096483A KR1020207008891A KR20207008891A KR20200096483A KR 20200096483 A KR20200096483 A KR 20200096483A KR 1020207008891 A KR1020207008891 A KR 1020207008891A KR 20207008891 A KR20207008891 A KR 20207008891A KR 20200096483 A KR20200096483 A KR 202000964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rque transmission
disk
transmission unit
torque
disk carr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088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39407B1 (ko
Inventor
토마스 후얼레
디륵 라임닛츠
Original Assignee
섀플러 테크놀로지스 아게 운트 코.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섀플러 테크놀로지스 아게 운트 코. 카게 filed Critical 섀플러 테크놀로지스 아게 운트 코. 카게
Publication of KR202000964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64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94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94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13/00Friction clutches
    • F16D13/58Details
    • F16D13/60Clutching elements
    • F16D13/64Clutch-plates; Clutch-lamellae
    • F16D13/69Arrangements for spreading lamellae in the released st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6/00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 B60K6/20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the prime-movers consisting of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e.g. HEVs
    • B60K6/22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the prime-movers consisting of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e.g. HEVs characterised by apparatus, components or means specially adapted for HEVs
    • B60K6/38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the prime-movers consisting of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e.g. HEVs characterised by apparatus, components or means specially adapted for HEVs characterised by the driveline clutches
    • B60K6/387Actuated clutches, i.e. clutches engaged or disengaged by electric, hydraulic or mechanical actua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6/00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 B60K6/20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the prime-movers consisting of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e.g. HEVs
    • B60K6/42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the prime-movers consisting of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e.g. HEVs characterised by the architecture of the hybrid electric vehicle
    • B60K6/48Parallel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13/00Friction clutches
    • F16D13/58Details
    • F16D13/60Clutching elements
    • F16D13/64Clutch-plates; Clutch-lamellae
    • F16D13/68Attachments of plates or lamellae to their supports
    • F16D13/683Attachments of plates or lamellae to their supports for clutches with multiple lamella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1/00Systems comprising a plurality of actuated clutches
    • F16D21/02Systems comprising a plurality of actuated clutches for interconnecting three or more shafts or other transmission members in different ways
    • F16D21/06Systems comprising a plurality of actuated clutches for interconnecting three or more shafts or other transmission members in different ways at least two driving shafts or two driven shafts being concentric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5/00Fluid-actuated clutches
    • F16D25/08Fluid-actuated clutches with fluid-actuated member not rotating with a clutching member
    • F16D25/082Fluid-actuated clutches with fluid-actuated member not rotating with a clutching member the line of action of the fluid-actuated members co-inciding with the axis of rot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5/00Fluid-actuated clutches
    • F16D25/10Clutch systems with a plurality of fluid-actuated clut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6/00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 B60K6/20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the prime-movers consisting of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e.g. HEVs
    • B60K6/42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the prime-movers consisting of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e.g. HEVs characterised by the architecture of the hybrid electric vehicle
    • B60K6/48Parallel type
    • B60K2006/4825Electric machine connected or connectable to gearbox input shaf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1/00Systems comprising a plurality of actuated clutches
    • F16D21/02Systems comprising a plurality of actuated clutches for interconnecting three or more shafts or other transmission members in different ways
    • F16D21/06Systems comprising a plurality of actuated clutches for interconnecting three or more shafts or other transmission members in different ways at least two driving shafts or two driven shafts being concentric
    • F16D2021/0661Hydraulically actuated multiple lamellae clutch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1/00Systems comprising a plurality of actuated clutches
    • F16D21/02Systems comprising a plurality of actuated clutches for interconnecting three or more shafts or other transmission members in different ways
    • F16D21/06Systems comprising a plurality of actuated clutches for interconnecting three or more shafts or other transmission members in different ways at least two driving shafts or two driven shafts being concentric
    • F16D2021/0692Systems comprising a plurality of actuated clutches for interconnecting three or more shafts or other transmission members in different ways at least two driving shafts or two driven shafts being concentric with two clutches arranged axially without radial overla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62Hybrid vehicles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구동 트레인을 위한 토크를 마찰 결합 방식으로 전달하기 위한 토크 전달 유닛 및 구동 트레인 자체에 관한 것이다. 토크 전달 유닛은 특히, 자동차의 구동 트레인을 위한 클러치 장치로서 설계되고, 자동차의 구동 트레인을 위한 토크를 마찰 결합 방식으로 전달하기 위해 이용되며, 토크 전달 유닛의 카운터 디스크(30)와 함께 마찰 팩(31)을 형성하기 위해 함께 압착될 수 있는 복수의 디스크(20)를 구비한 디스크 캐리어(10), 및 상기 디스크 캐리어(10)로부터 상기 디스크 캐리어(10)에 연결된 또는 연결될 수 있는 기계 요소로, 예컨대 트랜스미션 입력 샤프트(80)로, 토크를 전달할 수 있는 토크 전달 요소(60)를 포함하며, 이 경우 디스크들(20)은 디스크 캐리어(10)의 한 성형 요소 상에서, 특히 톱니부 상에서 슬라이딩 운동을 실행하면서 축방향으로 변위될 수 있도록 디스크 캐리어(10) 상에 배치되며, 이 경우 토크 전달 유닛은 축방향으로 작용하는 하나 이상의 스프링 장치(70)를 더 구비하며, 이 스프링 장치에 의해 하나 이상의 디스크(20)가 슬라이딩 운동에 추가로 토크 전달 요소(60)에 대해 축방향으로 변위될 수 있다.

Description

토크 전달 유닛 및 구동 트레인
본 발명은, 자동차의 구동 트레인을 위한 토크를 마찰 결합 방식으로 전달하기 위한 토크 전달 유닛, 특히 클러치 장치 및 구동 트레인 자체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에는, 특히 하이브리드화의 범주에서, 건식 듀얼 클러치를 전반적으로 회전자에 통합하여 제공해야 하는 요건이 공지되어 있는데, 이 경우 건식 디스크 클러치의 사용은 작은 직경에서 필요한 토크를 전달할 수 있는 유일하고 실용적인 해결책이다. 하지만, 건식 디스크 클러치는 무엇보다 디스크 캐리어의 톱니부 내에서 습식 디스크 클러치에 비해 많은 마찰 손실을 야기하는데, 그 이유는 습식 클러치는 오일로 윤활되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디스크의 변위를 위해 더 큰 힘이 필요해지거나, 작동력이 동일할 때 전달될 토크가 더 작아지게 된다. 건식 마찰 클러치의 디스크의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 및 이와 연관된 높은 접선력으로 인해, 상기와 같은 상황은 비교적 큰 손실이다.
디스크 클러치 내의 디스크는 인접한, 클러치의 구동부 또는 출력부에 할당된 클러치 부분들과 통상 회전 고정적이면서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클러치의 인접 부품과 디스크 사이에서 토크를 전달하기 위한 형상 결합 방식의 연결은 통상적으로 톱니부에 의해서 실현된다. 클러치의 개방 상태에서, 클러치 구동부와 클러치 출력부 사이에 토크가 전달되지 않는 경우에는, 구동부의 디스크와 출력부의 디스크가 축방향으로 상호 이격되어 있거나 갈라져 있다. 클러치가 닫히면 디스크의 마찰면이 접촉하여, 그 마찰에 의해 구동부에 할당된 디스크와 출력부에 할당된 디스크 사이에서 토크가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디스크들이 함께 압착된다.
이 경우, 클러치가 닫힐 때 전달 가능한 토크의 증가 및 클러치가 열릴 때 전달 가능한 토크의 감소는 급격하지 않게 이루어진다. 클러치가 맞물려 있거나 닫혀있는 동안, 또는 클러치가 풀려 있거나 열려 있는 동안에는, 연속적인 토크 증가 또는 토크 감소가 발생한다. 연속적인 토크 변동은, 디스크가 이미 또는 계속 토크를 전달하는 동안에는 디스크가 축방향으로 변위되는 작동 상태가 존재하는 결과를 낳는다. 이로써, 움직이는 디스크와 축방향으로 고정된 클러치 부품들 사이에서 토크를 전달하고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형상 결합식 연결이 이루어지면, 축방향 운동과 반대 방향으로 향하는 마찰력이 생성된다. 이 마찰력은, 전달된 토크에 의해 연결 지점에서 야기되는 접선력이 클수록, 그리고 연결 지점에 작용하는 마찰 계수가 높을수록, 더 높다. 연결 지점에 생성된 접선력 및 마찰 계수는 대부분 약간만 변동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상기 접선력 및 마찰 계수가 클러치의 기본 기능, 마찰 디스크에 사용된 재료, 및 마찰 디스크가 형상 결합 방식으로 그러나 축방향으로 제한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맞물리는 클러치 부품(예컨대 톱니부)의 재료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이다.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연결 지점에서 축방향 운동을 저지하는 마찰력은, 전달 가능한 특정 토크를 위해 필요한 클러치 작동력을 증가시킨다. 또한, 발생하는 마찰력의 결과로, 클러치 제어 가능성의 감소 및 클러치 내로의 불균일한 에너지 도입이 나타난다.
이를 근거로, 본 발명의 과제는, 낮은 제조 비용 및 에너지 효율적 작동과 긴 사용 수명을 조합하는 토크 전달 유닛 및 이러한 토크 전달 유닛이 장착된 자동차의 구동 트레인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는, 청구항 1에 명시된 본 발명에 따른 토크 전달 유닛에 의해 해결된다. 토크 전달 유닛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종속 청구항 2 내지 9에 명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구동 트레인은 청구항 10에 따라 제공된다.
청구범위의 특징부들은 기술적으로 합리적인 임의의 유형 및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이와 관련해서 이하의 설명 그리고 본 발명의 보완 구성들을 포함하는 도면들에 명시된 특징들도 참고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토크 또는 회전 운동을 마찰 결합 방식으로 전달하기 위한 토크 전달 유닛에 관한 것으로, 이 토크 전달 유닛은 특히 자동차의 구동 트레인을 위한 클러치 장치로서 설계된다. 토크 전달 유닛은, 클러치 디스크 또는 마찰 디스크로도 지칭되는 복수의 디스크를 갖는 디스크 캐리어를 포함하며, 이들 디스크는 마찰 팩을 형성하기 위해 토크 전달 유닛의 카운터 디스크와 함께 압착될 수 있다. 토크 전달 유닛은, 디스크 캐리어로부터 디스크 캐리어에 연결된 또는 연결될 수 있는 기계요소(예컨대 트랜스미션 입력 샤프트) 토크를 전달할 수 있는 토크 전달 요소를 더 포함하며, 이 경우 디스크는 디스크 캐리어 상에서, 예컨대 스플라인 또는 스플라인 축 톱니부와 같이 토크를 형상 결합 방식으로 전달할 수 있는 디스크 캐리어의 하나 이상의 성형 요소, 특히 톱니부 상에서 슬라이딩 운동 또는 미끄럼 운동을 실행하면서 축방향으로 변위될 수 있도록, 배치된다. 본 발명에 따라, 토크 전달 유닛이 축방향으로 작용하는 하나 이상의 스프링 장치를 더 구비하고, 이 스프링 장치에 의해 하나 이상의 디스크가 슬라이딩 운동에 추가로 토크 전달 요소에 대해 축방향으로 변위될 수 있다.
축방향이라는 방향 지시는, 디스크가 회전할 때 중심이 되는 토크 전달 유닛의 회전축과 관련이 있다. 이로써, 축방향은 디스크의 마찰면에 직교하도록 배향된다. 따라서, 접선 방향은 회전축을 중심으로 주연 방향으로 연장되는 방향을 지시한다.
이 경우,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토크 전달 유닛으로서의 클러치 장치만 지향하지 않으며, 토크 전달 유닛은 본 발명에 따른 특징들을 갖는 브레이크일 수도 있고, 이 경우에는 인가되는 토크를 통해 도입된 기계 에너지가 열로 변환된다.
이 경우, 토크를 형상 결합 방식으로 전달할 수 있는 성형 요소는 토크를 전달하고 축방향 변위를 실현할 수 있는 연결부이며, 이 연결부는 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스플라인 축 연결을 실현하기 위한 톱니부로서 구현될 수 있고, 이 경우 예컨대 개구 내로의 연장부 또는 돌출부의 축방향 안내 또는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보어 내에서의 핀의 축방향 안내와 같은 다른 가능성도 배제되지 않아야 한다.
다시 말하자면, 이로써 디스크는 성형 요소 상에서의 슬라이딩 운동에 추가로, 스프링 장치에 의해 가능해진 축방향 변위도 실행할 수 있으며, 그 결과 축방향 슬라이딩 운동을 방지하는 마찰력에도 불구하고 디스크는 계속해서 축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토크 전달 유닛이, 토크 전달 요소와 회전 고정 방식으로 연결되어 하나 이상의 디스크에 할당된 웨브를 더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서, 스프링 장치는, 개별 디스크의 마찰면과 웨브 사이의 토크 전달 경로 내에 추가 구성 요소로서 배치된다. 이 경우, 웨브는 바람직하게 토크 전달 요소에 축방향으로 고정 배치되어 있다. 토크 전달 요소는 또한 세그먼트 캐리어로서도 지칭될 수 있다.
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디스크 캐리어가 개별 성형 요소, 특히 톱니부를 가진 복수의 디스크 캐리어 세그먼트를 구비하며, 상기 톱니부 상에는 각각 하나 이상의 디스크가 회전 고정 방식으로 배치되고, 슬라이딩 운동을 실행하면서 축방향으로 변위될 수 있다.
여기서 디스크 캐리어 세그먼트란, 디스크 캐리어를 형성하는 시스템의 일부분으로서 이해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디스크 캐리어는 축방향으로 복수의 구성 부품, 소위 세그먼트들로 분할된다.
클러치의 디스크들에 상이한 힘이 작용하고, 클러치의 디스크들이 상이한 축방향 운동도 수행하기 때문에, 각각의 디스크에 하나의 디스크 캐리어 세그먼트를 할당하는 것이 합리적이다. 하지만, 디스크 캐리어 섹션이 축방향 운동 시 인접한 디스크 캐리어 섹션과 접촉하는 상황은 가급적 방지되어야 한다.
하지만, 매우 많은 디스크를 갖는 디스크 클러치의 경우에는, 디스크 캐리어 세그먼트의 수를 제한하기 위해, 그리고 이로써 설치 공간 및 비용을 절약하기 위해, 유사한 축방향 운동을 실시하는 디스크들이 하나의 디스크 캐리어 세그먼트 상에 함께 배치되는 것도 합리적일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에 따라 그리고 축방향으로 변위 가능한 연결 지점에서 간섭성 마찰력의 영향을 감소시키기 위해, 축방향으로 탄성적인 여러 섹션을 갖는 특수 디스크 캐리어가 사용된다. 이들 섹션은 상이한 디스크에 할당된다. 디스크들은 이전과 마찬가지로, 축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고 토크를 전달하는 형상 결합 방식 연결부에 의해, 디스크 캐리어의 섹션들과 연결된다.
디스크가 토크를 전혀 전달하지 않거나 아주 적은 토크만을 전달하는 작동 상태에서는, 디스크가 디스크 캐리어의 섹션 상에서 축방향으로 앞뒤로 미끄러진다.
형상 결합 방식의 연결부에서 작용하는 축방향 마찰력이 탄성적으로 연결된 디스크 캐리어 섹션의 변위를 위해 필요한 힘보다 크면, 탄성적으로 연결된 디스크 캐리어 섹션의 변위를 위해 필요한 개별적인 힘보다 큰 작동력이 인가될 때, 디스크 캐리어 섹션이 디스크와 함께 축방향으로 움직인다. 이로써, 디스크를 변위시키기 위해 제공되어야 하는 축방향 작동력은 더는 발생하는 마찰력에 좌우되는 것이 아니라, 스프링 강성 및 디스크 캐리어 섹션의 스프링 장치의 수에만 좌우된다. 따라서, 디스크를 변위시키기 위한 축방향 작동력 및 이와 같은 작동력과 결부된 클러치에 대한 단점이 대폭 감소할 수 있다.
바람직한 방식으로, 디스크 캐리어 세그먼트를 갖는 토크 전달 유닛의 설계는, 반경방향 내부에 배치된 성형 요소가 장착된 디스크 또는 내부 톱니부를 갖는 디스크에 적용된다.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르면, 외부에 상보적인 성형 요소가 제공되어 있거나 톱니부를 갖는 디스크에 디스크 캐리어 세그먼트를 적용하는 것도 배제되어서는 안 된다.
축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연결된 디스크 캐리어 세그먼트들을 갖는 토크 전달 유닛은, 반경방향 내부에 성형 요소가 장착된 디스크 또는 내부 톱니부를 갖는 디스크를 위해, 성형 요소가 마찰면 내부 직경에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는 장점을 제공하며, 이는 상기 디스크를 위해 최대로 가능한 성형 요소 피치원 직경에 상응한다. 반경방향 내부에 축방향으로 고정된 디스크 캐리어 및 내부 디스크에 축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연결된 성형 요소를 갖는 토크 전달 유닛에서는, 마찰면 내부 직경 내부에 탄성 요소를 위한 공간을 만들기 위해, 성형 요소 피치원 직경이 더 작아야 한다.
바람직하게, 스프링 장치가 복수의 제1 스프링 요소를 포함하며, 이 경우 복수의 제1 스프링 요소 중 각각 하나의 스프링 요소가 복수의 디스크 캐리어 세그먼트 각각에 배치됨으로써, 개개의 제1 스프링 요소에 의해 개별 디스크 캐리어 세그먼트의 슬라이딩 운동이 가능해진다.
이 경우, 토크 전달 유닛은 특히, 제1 스프링 요소로부터 토크 전달 요소로, 특히 간접적으로 웨브를 통해, 토크가 전달될 수 있도록, 제1 스프링 요소와 토크 전달 요소(60)가 예컨대 리벳과 같은 하나 이상의 연결 요소에 의해서,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연결 요소에 의해서, 그리고 특히 웨브를 통해서, 서로 연결되는 경우에 바람직하게 구성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토크가 개별 디스크로부터 스프링 장치를 거쳐 디스크에 할당된 웨브로 전달됨으로써, 토크 전달 유닛의 모든 디스크 상에서 이와 같은 컨셉이 실현되는 경우, 전체적으로 볼 때 토크 전달 유닛에 의해 전달될 총 토크가 마찰 결합 방식으로 디스크 캐리어 상의 모든 디스크로부터 비례적으로 관련 웨브로 전달되고, 상기 웨브로부터 토크 전달 요소로 전달되며, 이 토크 전달 요소가 다시 총 토크를 예컨대 트랜스미션 입력 샤프트로 전달한다.
이 경우, 제1 스프링 요소는 특히 복수의 리벳 연결부에 의해 디스크 캐리어 세그먼트 상에 고정 배치되어야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스프링 요소가 예컨대 리벳 연결부에 의해 개개의 웨브에 고정 연결된 구조적 구성도 배제되지 않아야 한다.
제1 스프링 요소의 유리한 구조적인 구성에서는, 스프링 요소가 특히 축방향으로 오프셋된 상태로 배열된 하나 이상의 굽힘 섹션을 구비한, 실질적으로 환형인 스파이럴 스프링이다. 스프링 요소는, 상기 굽힘 섹션에 대해 반경방향 외부에 또는 반경방향 내부에, 디스크 캐리어 세그먼트 상에서의 기계식 부착을 위한 하나 이상의, 특히 복수의 부착 섹션을 더 갖는다. 또한, 실질적으로 환형인 상기 스파이럴 스프링이 웨브 또는 토크 전달 요소 상에서의 기계식 부착을 위해 굽힘 섹션으로부터 반경방향 외부로 또는 반경방향 내부로 돌출하는 하나 이상의 부착 섹션을 구비한다.
비용 효율적인 한 실시예에서는, 적어도 마찰 팩 내에서 축방향으로 내부에 위치된 디스크 또는 디스크 캐리어 세그먼트의 경우, 각각 하나의 제1 스프링 요소가 개개의 웨브의 양측에 접함으로써, 웨브의 양측에 축방향으로 배치된 디스크 캐리어 세그먼트는 자신의 제1 스프링 요소를 통해 상기 웨브상에서 지지될 수 있고, 상기 웨브로 토크가 전달될 수 있다.
또한, 웨브와 토크 전달 요소 사이에서 비용 효율적이고 내구성 있는 연결을 실현하기 위해, 바람직하게 웨브가 토크 전달 요소와 코킹된다. 대안적으로, 웨브는 토크 전달 요소로부터 직접 성형될 수도 있으며, 이로써 토크 전달 요소의 필수 구성 부품을 형성할 수 있다. 또 다른 구조적인 일 대안에서는, 제1 스프링 요소가 토크 전달 요소 상에 직접 고정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토크 전달 유닛의 또 다른 일 실시예는, 스프링 장치가 개개의 디스크의 마찰면과 디스크의 접촉면 사이의 토크 전달 경로 내에 디스크의 구성 부품으로서의 제2 스프링 요소를 구비하며, 제2 스프링 요소에 의해, 디스크가 디스크 캐리어 세그먼트의 토크를 전달하는 성형 요소 또는 톱니부 상에서 슬라이딩한다.
특히, 상기 실시예에서는 제2 스프링 요소가 환형 스프링으로서 형성되며, 이때 환형 스프링 상에는 마찰면에 대한 기계적 연결부 및 접촉면에 대한 기계적 연결부가 형성된다. 기계적 연결부는 바람직하게 리벳 연결부로서 구현된다. 마찰면에 대한 기계적 연결은 바람직하게 환형 스프링의 둘레에 나란히 형성된 각각 2개의 연결부에 의해 구현된다. 접촉면에 대한 기계적 연결은 바람직하게 환형 스프링의 둘레에 형성된 각각 하나의 연결부에 의해서 구현되며, 이 연결부는 마찰면에 대한 2개의 인접한 연결부 쌍들 사이에 있다. 마찰면에 대한 기계적 연결은 반경방향 외부로의 기계적 연결을 실현한다. 접촉면에 대한 기계적 연결은 반경방향 내부로의 기계적 연결을 실현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디스크 캐리어 세그먼트를 사용할 때와 같이, 디스크 또는 디스크의 마찰면을 변위시키기 위해 필요한 축방향 작동력의 유사한 감소가 달성될 수 있다.
클러치 장치로서 구현된 본 발명에 따른 토크 전달 유닛에 의해, 본 발명에 따라 듀얼 클러치 장치로서 또는 분리 클러치로서도 제공될 수 있는 클러치 장치 외에, 클러치 장치와 기계적으로 결합된 전기 기계도 구비한 하이브리드 모듈이 이용될 수 있으며, 그 결과 토크가 전기 기계로부터 토크 전달 유닛을 거쳐 트랜스미션 입력 샤프트로 그리고 그와 반대 방향으로 전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양태는, 구동 기계, 특히 내연 기관, 클러치 장치로서 형성된 본 발명에 따른 토크 전달 유닛, 및 차량 트랜스미션을 갖춘 자동차를 위한 구동 트레인이며, 상기 토크 전달 유닛은 구동 기계 및 차량 트랜스미션과 기계적으로 연결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본 발명에 따른 토크 전달 유닛에 의해서는, 내연 기관과 차량 트랜스미션 사이에서 토크가 전달될 수 있다.
전술한 발명은 하기에서, 관련된 기술에 근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여주는 관련 도면들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된다. 본 발명은 어떠한 방식으로든 순수 개략적인 도면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도면들에 도시된 실시예들이 도시된 치수로 한정되지 않는다는 점을 주지한다.
도 1은 제1 실시예에서 클러치 장치로서 설계된 본 발명에 따른 토크 전달 유닛의 일 부분 단면도이다.
도 2는 클러치 장치로서 설계된 토크 전달 유닛의 디스크 캐리어 세그먼트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토크 전달 유닛이 장착된 하이브리드 모듈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4는 토크 전달 유닛의 디스크 캐리어 세그먼트의 제1 사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토크 전달 유닛의 디스크 캐리어 세그먼트의 제2 사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토크 전달 유닛의 스프링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7은 제2 실시예에서 클러치 장치로서 설계된 본 발명에 따른 토크 전달 유닛의 일 부분 단면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다른 단면 프로파일을 갖는 클러치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클러치 장치의 일 부분 단면도이다.
도 10은 제2 실시예의 클러치 장치 내에 배치하기 위한 환형 스프링의 사시도이다.
도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클러치 장치로서 설계된 토크 전달 유닛은, 토크 전달 유닛을 이용해서 디스크(20)의 마찰면(21)을 통해 토크를 전달할 수 있도록, 마찰 팩(31)을 형성하기 위해 카운터 디스크(30)와 마찰 결합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는 복수의 디스크(20)를 포함한다.
본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종래의 마찰 클러치와 달리, 모든 디스크(20)를 지지하는 디스크 캐리어(10)의 구성 부품으로서의 디스크 캐리어 세그먼트(50)가 각각의 디스크(20)에 할당된다.
개개의 디스크(20)는, 자신에 할당된 디스크 캐리어 세그먼트(50) 상에서 그곳에 제공된 스플라인(11)으로써, 디스크 캐리어 세그먼트(50)의 톱니부(51) 상에서 축방향으로 변위될 수 있다.
이 경우, 개별 디스크(20)의 스플라인(11)에 의해 형성되고, 디스크 캐리어 세그먼트(50)의 톱니부(51)에 접하는 접촉면(22)이 톱니부(51) 상에서 축방향으로 미끄러진다. 좌측으로 향하는 화살표로 표시된 상기와 같은 축방향 슬라이딩 운동은, 디스크(10)와 카운터 디스크(30)가 마찰 팩(31)을 형성하기 위해 함께 압착될 때 발생한다. 이 상태에서 마찰 팩(31)이 토크를 전달함으로써, 디스크(20)에도 접선 방향으로 하중이 가해진다. 이는, 접촉면들(22)이 디스크 캐리어(50)의 톱니부(51)의 상보적으로 배치된 면들에 압착되게 한다. 그에 상응하게, 개별 접촉면(22)과 톱니부(51) 사이에서 발생하는 마찰력이 증가한다. 훨씬 더 높은 토크를 전달할 수 있기 위해서는, 디스크(10)와 카운터 디스크(30)가 훨씬 더 큰 축방향 힘으로 함께 압착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디스크(20)를 축방향으로 더 이동시킬 수 있도록, 디스크는 스스로 축방향으로 변위될 수 있는 개별 디스크 캐리어 세그먼트(50) 상에 배치된다. 개별 리벳 연결부(73)를 통해, 개별 디스크 캐리어 세그먼트(50)에 스프링 장치(70)가 기계적으로 연결된다. 스프링 장치(70)는 각각의 디스크(10)에 할당된 제1 스프링 요소(75)를 포함하고, 이 스프링 요소는 축방향으로 돌출되는 굽힘 섹션(71)에 의해 (축방향으로) 디스크 캐리어 세그먼트(50) 옆에 배치된 웨브(40) 상에 (지지된다). 또한, 스프링 요소(75)가 연결 지점들에서 웨브와 단단히 연결됨으로써, 스프링 요소(75)와 웨브 사이에서 그리고 이로써 스프링 요소(75)와 토크 전달 요소(60) 사이에서도 축방향, 반경방향, 및 접선 방향의 힘이 전달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스프링 요소(75)는 디스크 캐리어 세그먼트(50)와 연결된다. 웨브(40)는 다시, 예컨대 코킹 연결부(41)에 의해, 허브라고도 지칭되는 토크 전달 요소(60) 상에 고정 배치된다. 이는, 모든 디스크 캐리어 세그먼트(50)가 토크 전달 요소(60) 형태의 하나의 공통 출력부를 갖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개별 디스크 캐리어 세그먼트(50)가 자신에 일체로 회전하도록 고정 배치된 디스크(20)에 의해, 축방향으로 고정된 웨브(40) 상에서 축방향으로 탄성 지지됨으로써, 개별 디스크 캐리어 세그먼트(50)가 자신에 배치된 디스크(20)와 함께 축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이는, 마찰 팩(31)의 압축 시 이루어지는 디스크(20)의 축방향 변위가 한 편으로는 디스크 캐리어 세그먼트(50) 상에서의 디스크(20)의 축방향 변위에 의해 이루어지고, 다른 한 편으로는 디스크(20)와 카운터 디스크(30)의 밀봉 압축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디스크 캐리어 세그먼트(50)도 디스크(20)와 함께 축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음을 의미한다.
그 결과, 디스크(20)의 완전한 축방향 변위를 위해, 디스크(20)의 톱니부 상에서 더는 높은 마찰력을 극복할 필요가 없어지며, 오히려 제1 운동 단계에서 상대적으로 작은 마찰력만을, 그리고 제2 운동 단계에서는 스프링 장치(70)에 의해 가해지는 탄성 복원력만을 극복하면 된다.
도 2에는, 전체 디스크 캐리어(10)를 형성하는 디스크 캐리어 세그먼트(50)에 디스크들(20)이 배치되어 있지 않은 모습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본 도면에서는, 디스크 캐리어 세그먼트(50)의 반경방향 외측에 있는 톱니부(51)를 명확하게 볼 수 있다. 또한, 토크 전달 요소(60)와 관련 동축 구성도 확인할 수 있다.
도 3에는, 듀얼 클러치 장치(90) 내에 클러치 장치로서 형성된 본 발명에 따른 2개의 토크 전달 유닛을 구비한, 본 발명에 포함되는 하이브리드 모듈의 일 부분 단면이 도시되어 있다.
또한, 하이브리드 모듈은, 듀얼 클러치 장치(90)의 입력측과 기계적으로 결합된 회전자 캐리어(91)를 포함한다. 마찬가지로, 회전자 캐리어(91)와 전기 기계의 회전자(102)가 단단히 연결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전기 기계(100)의 고정자(101) 및 회전자(102)에 의해 발생한 토크는 회전자 캐리어(91)를 통해 듀얼 클러치 장치(90)에 공급될 수 있으며, 듀얼 클러치 장치는 토크 경로의 폐쇄에 의해, 요컨대 개별 디스크(20) 및 카운터 디스크(30)가 마찰 팩(31)에 대해 압착됨으로써, 프로파일 톱니부(61)를 통해 개별 토크 전달 요소(60)와 연결된 제1 트랜스미션 입력 샤프트(80) 또는 제2 트랜스미션 입력 샤프트(81)로 토크를 안내할 수 있다. 또한, 하이브리드 모듈은, 연결된 내연 기관에 의해 제공된 토크를, 도시된 크랭크 샤프트(150)를 거쳐서, 그리고 그곳에 나사 연결부(51)를 통해 연결된 듀얼 매쓰 플라이 휠(130)을 거쳐서 회전자 캐리어(91)로 전달할 수 있는 분리 클러치(140)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내연 기관에 의해 제공된 토크는 듀얼 클러치 장치(90)를 거쳐서 2개의 트랜스미션 입력 샤프트(80, 81)에 공급될 수 있다. 또한, 도시된 하이브리드 모듈은, 분리 클러치(140) 및 듀얼 클러치 장치(90)의 부분 클러치들을 작동시키기 위해 이용되는 작동 장치(110)를 포함한다. 언급된 구성 요소 또는 장치는 하우징(120) 내에 수용되며, 이 경우 회전자 캐리어(91)가 회전 베어링(141)에 의해 제1 트랜스미션 입력 샤프트(80) 상에 지지된다. 제1 트랜스미션 입력 샤프트(80)는 다시 회전 베어링(142)에 의해 하우징(120) 상에 지지된다.
전체 구성 요소는 공통 회전축(1)에 대해 회전 대칭으로 배치된다. 도 4 및 도 5에는 토크 전달 유닛의 일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지만, 상이한 단면 프로파일을 갖는 도면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 경우, 도 4는, 도 1에도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제1 스프링 요소(75)가 복수의 리벳 연결부(73)에 의해 개별 디스크 캐리어 세그먼트(50) 상에 배치되어 있는 일 실시예를 보여준다. 도 4는, 제1 스프링 요소(75)가 자신에 할당된 디스크 캐리어 세그먼트와 어떻게 연결되어 있는지를 절단 평면에서 보여준다. 각각의 제1 스프링 요소(75)에서는, 굽힘 섹션으로부터 반경방향 외부로, 축방향으로 오프셋되어 돌출하는 몇몇 부착 섹션(72)이 디스크 캐리어 세그먼트와 리벳 연결되어 있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실시예를 다른 절단 프로파일로 도시한 것이다. 특히 도 5에서는, 제1 스프링 요소(75)가 토크 전달 요소와 어떻게 연결되어 있는지를 알 수 있다. 여기서는, 마찬가지로 굽힘 섹션으로부터 반경방향 외부로 그리고 축방향으로 오프셋되어 돌출하는 제1 스프링 요소(75)의 고정 섹션(77)이, 토크 전달 요소(60)와 연결된 웨브(40)와 리벳 연결되어 있다. 디스크 캐리어 세그먼트(50)와 연결된 부착 섹션(72)과, 토크 전달 요소(60)에 연결된 제1 스프링 요소(75)의 고정 섹션(77)은, 제1 스프링 요소의 굽힘 섹션의 둘레에서 교대된다. 다시 말해,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제1 스프링 요소(75)를 디스크 캐리어 세그먼트(50) 상에 부착하기 위한 부착 섹션(72)과, 제1 스프링 요소(75)를 웨브(40) 상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 섹션(77)이 교대로 배열되어 있다. 이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의 단부면에서도 알 수 있는데, 단부면에서는 부착 섹션(72)을 디스크 캐리어 세그먼트(50) 상에 고정시키는 리벳 연결부(73)가 디스크 캐리어 세그먼트(50) 내의 홀들(52)과 교대되고, 상기 홀들은 고정 섹션(77)과 웨브(40) 사이의 리벳 연결을 위한 조립 접근 가능성을 가능하게 한다. 대안적으로, 개별 스프링 요소(75)와 디스크 캐리어 세그먼트(50) 사이의 연결, 그리고 제1 스프링 요소(75)와 토크 전달 요소(60) 사이의 연결은 다른 순서로도 또는 다른 위치에서도 수행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제1 스프링 요소(75)와 디스크 캐리어 세그먼트(50) 사이의 연결 및 제1 스프링 요소와 토크 전달 요소(60) 사이의 연결은 다른 부착 요소 또는 다른 부착 방식에 의해서도 수행될 수 있다.
도 6에서는 사용된 제1 스프링 요소(75)를 볼 수 있으며, 이 경우 굽힘 섹션(71)이 반경방향 내측에 배치되고, 개별 리벳 연결부를 이용한 고정을 위해 복수의 러그 형상의 부착 섹션(72)이 상기 굽힘 섹션으로부터 반경방향 외부로 연장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마찬가지로, 반경방향 외측에는, 역시 리벳 연결부로서 구현될 수 있는 복수의 연결 요소를 이용해서 제1 스프링 요소(75)를 웨브(40) 상에 기계적으로 고정하기 위한 복수의 고정 섹션(77)이 배열되어 있다. 부착 섹션(72)과 고정 섹션(77)은 굽힘 섹션(71)의 둘레에 교대로 배열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배열은 간단한 방식으로, 제1 스프링 요소에 의해 연결된 두 부분, 즉, 디스크 캐리어 세그먼트와 토크 전달 요소가 곧바로 접촉하지 않고 서로에 대해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은, 본 도면에 도시된 스프링 장치(70)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오히려 디스크(20)에 대한 디스크 캐리어 세그먼트(50)의 연결 구조와, 토크 전달 요소의 구동측 또는 출력측에 대한 토크 전달 요소(60)의 연결 구조 사이에서 축방향으로 작용하는 스프링 작용은 다른 방식으로도, 예컨대 제1 스프링 요소(75)가 디스크 캐리어 세그먼트(50) 및/또는 웨브(40) 및/또는 토크 전달 요소(60)로부터 형성됨으로써도 실현될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은, 디스크 캐리어 세그먼트(50)와 웨브(40) 사이에 스프링 장치를 배치하는 구성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오히려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 전체 토크 전달 유닛 또는 그의 마찰 팩(31)에 축방향 연성을 부여하기 위해] 스프링 장치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별 디스크(20) 내에 또는 개별 디스크(20) 자체에 형성되는 구성도 제안될 수 있다.
도 8 및 도 9는,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디스크의 축방향 변위를 가능하게 하는, 결합 장치로서 설계된 본 발명에 따른 토크 전달 유닛을 보여준다.
이들 도면에서, 스프링 장치(70)는 복수의 제2 스프링 요소를 포함하며, 이들 스프링 요소는 클러치 장치의 마찰면(21)과 축방향 변위를 가능하게 하는 스플라인(11) 사이에 반경방향으로 위치한다.
도 8은, 3개의 카운터 디스크(30) 사이에 있는 2개의 디스크(20)를 보여준다. 디스크들(20)은 각각 맞물림 바디(53)에 의해, 디스크 캐리어(10) 상에, 본 도면에서는 내부 디스크 캐리어 상에 회전 고정식이면서 축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이를 위해, 맞물림 바디(53)의 내부 톱니부가 디스크 캐리어(10)의 외부 톱니부 내에 맞물린다. 반경방향으로, 클러치 디스크에서는 통상적인, 일 클러치 디스크의 2개의 라이닝 사이에서의 라이닝 서스펜션을 보장해주는 디스크(20)의 라이닝 서스펜션 세그먼트(54)와 맞물림 바디(53) 사이에, 본 도면에서 개별 디스크(20)에 할당된 제2 스프링 요소(76)의 형태로 스프링 유닛(70)이 존재한다. 상기 제2 스프링 요소(76)는, 실질적으로 클러치 라이닝 및 라이닝 서스펜션으로 구성된 라이닝 링과 맞물림 바디(53) 사이에서, 라이닝 서스펜션 세그먼트(54)의 탄성 축방향 변위를 가능하게 한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2 스프링 요소(76)는 각각 탄성 스프링 링으로서 구현되어 있으며, 이 스프링 링은 주연부에서 맞물림 바디 및 라이닝 서스펜션 세그먼트(54)와 교대로 연결되어 있다. 도 8 및 도 9는 각각 좌측에서, 단면이 맞물림 바디(53)와 제2 스프링 요소(76) 사이의 연결 지점을 통과하는 디스크(20)를 보여준다. 연결부는 리벳 연결부(73)로서 구현되며, 이 경우 주연부에서 오프셋된 각각의 리벳 상에서 맞물림 바디(53)와 제2 스프링 요소(76) 사이에 간격 유지 와셔(55)가 각각 하나씩 배치되어 함께 리벳 연결되어 있다. 상기 간격 유지 와셔(55)에 의해, 리벳 연결 지점 외부에서 맞물림 바디(53)와 제2 스프링 요소(76) 사이에 공기가 생성되고, 이로 인해 제2 스프링 요소(76)는 맞물림 바디(53)에 충돌하지 않으면서 고정 지점들 사이에서 축방향으로 변형될 수 있다.
도 8에서는 또한, 디스크 캐리어(10) 및 토크 전달 요소(60)가 하나의 공통 부품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는 것도 알 수 있다.
도 8 및 도 9는 각각 우측에서, 단면이 제2 스프링 요소와 개별 라이닝 서스펜션 세그먼트(54) 사이의 연결 지점을 통과하는 디스크(20)를 보여준다. 상기 연결부도 리벳 연결부(73)로서 구현되어 있으며, 이 리벳 연결부에서는 주연부 상에 밀착하여 서로 연속으로 배열된 2개의 리벳이 각각 하나의 라이닝 서스펜션 세그먼트(54)를 제2 스프링 요소(76)와 연결한다. 이들 리벳이 맞물림 바디(53)에 충돌할 수 없도록 하기 위해, 맞물림 바디(53)는 상기 리벳 뒤에 리세스(56)를 구비하며, 제2 스프링 요소(76)가 축방향으로 탄성 변형될 때 리벳이 맞물림 바디(53)와 접촉하지 않으면서 상기 리세스 내로 스윙할 수 있다. 카운터 디스크들(30) 사이에 클램핑될 수 있는 디스크(20)의 부분이 축방향으로 변위되고, 디스크 캐리어(10)에 대한 톱니부가 축방향 변위를 허용하지 않으면, 제2 스프링 요소(76)가 탄성 변형된다. 이 경우, 실질적으로 평평하게 구현된 제2 스프링 요소(76)는 물결 형상으로 가압된다. 대안적으로, 제2 스프링 요소(76)는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샤프트 영역을 구비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2 스프링 요소(76)의 이와 같은 구성에서는, 축방향 변위 시 개별 샤프트 영역의 샤프트 높이가 변동한다.
상기 주연 물결 형상은, 제2 스프링 요소(76)의 주연부에서 교대로 또는 다른 패턴으로 반복되는, 맞물림 바디(53)로의 연결 지점 및 라이닝 서스펜션 세그먼트(54)로의 연결 지점이 축방향으로 서로를 향해 변위됨으로써 생성되거나 변한다. 디스크(10)를 통해 전달된 토크는, 제2 스프링 요소(76)에 의해 인장력 및 압축력에 의해 주연 방향으로 전달된다. 그렇기 때문에, 더 큰 토크가 예상될 수 있는 토크 방향에서 장력을 받는 제2 스프링 요소(76)의 섹션은 평평한 기본 형상으로 설치되고, 적은 토크가 예상될 수 있는 토크 방향에서만 장력을 받는 다른 스프링 섹션은 물결형 영역(78)을 갖는 기본 형상으로 구현하는 구성이 제안된다. 이로 인해, 제2 스프링 요소(76)의 물결형 영역(78)은 주연 방향으로 길이 보상을 실현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길이 보상은 축방향으로 특히 유연한 스프링 장치 및/또는 특히 큰 스프링 트래블을 가능하게 하는 데 필요하다.
제2 스프링 요소(76)가 장착된 디스크(10)는 도시된 실시예에서 라이닝 디스크로서, 즉, 라이닝 재료로 이루어진 마찰면(21)을 갖는 디스크로서 구현되어 있다. 그러나 제2 스프링 요소(76)는, 마찰면(21)이 금속 링 또는 다른 재료로 제조된 하나 또는 복수의 바디에 의해 형성되는 방식으로 디스크와 조합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2 스프링 요소(76)가 라이닝 서스펜션 세그먼트(54) 상에 부착되는 대신에, 마찰면(21)을 형성하는 바디의 연장부 상에 부착되거나, 또 다른 중간 요소에 의해 마찰면(21)과 연결된다.
도 10은, 주연부에 통합된 물결형 영역(78)을 갖는 환형의 제2 스프링 요소(76)를 보여준다. 주연부에서 개별 물결형 영역(78)의 양측에 리벳 연결부를 수용하기 위한 홀(52)이 배치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리벳 연결부는, 개별 물결형 영역(78)의 일 측에서는 제2 스프링 요소(76)를 맞물림 바디(53)와 연결하기 위한 리벳 연결부이고, 주연부 상의 또 다른 측에서는 제2 스프링 요소(76)를 라이닝 서스펜션 세그먼트(54)와 기계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리벳 연결부이다.
본원에서 도시되었거나 기술된 모든 변형예는, 외부 디스크에도 또는 외부 디스크와 외부 디스크 캐리어 사이의 연결 지점에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클러치 또는 브레이크의 내부 디스크 및 외부 디스크에서 탄성 디스크 연결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며, 몇몇 용례의 경우에는 합리적이기도 하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는, 클러치 또는 브레이크 내에서 축방향으로 유연한 디스크와 축방향으로 유연한 디스크 캐리어를 조합하는 것도 포함되어 있다. 특히 합리적인 조합은, 축방향으로 유연한 내부 디스크 캐리어 상에 장착된 내부 디스크를 축방향으로 유연한 외부 디스크와 조합하거나, 축방향으로 유연한 내부 디스크를 축방향으로 유연한 외부 디스크 캐리어 상에 장착된 외부 디스크와 조합하는 것이다.
스프링 장치(70)를 위해 도시된 두 가지 배열 변형예는, 주요 구성 요소들이 토크 흐름의 방향으로 배열되는 순서에 의해서 기술될 수 있다.
제1 변형예에서는, 전달 가능한 클러치 토크를 조절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이웃 부품과 함께 압착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마찰면(21) 뒤에 축방향으로 변위 가능한 연결부가 후속하며, 이 연결부를 통해 토크가 전달될 수 있고, 상기 연결부는 2개 부품 간의 상대 변위를 허용한다. 그 다음에는, 축방향으로 탄성 변위가 가능한 연결부가 후속하며, 이 연결부를 통해 토크가 전달될 수 있고, 마찬가지로 2개 부품 간의 상대 변위를 허용한다. 더 합리적으로는, 기술된 배열 상태로 위치된 구성 요소들을 통해 양방향으로 토크가 전달될 수 있다. 다시 말해, 토크는 축방향으로 탄성적인 연결부(이 연결부를 통해 토크가 전달될 수 있고, 마찬가지로 2개 부품 간의 상대 변위를 허용함)로부터 축방향 변위 가능 연결부(이 연결부를 통해 토크가 전달될 수 있고, 상기 연결부는 2개 부품 간의 상대 변위를 허용함)로 전달될 수 있고, 그곳으로부터, 전달 가능한 클러치 토크를 조절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이웃 부품과 함께 압착될 수 있 하나 이상의 마찰면으로 전달될 수 있다.
제2 변형예에서는, 전달 가능한 클러치 토크를 조절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이웃 부품과 함께 압착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마찰면(21) 뒤에 축방향 탄성 연결부가 후속하며, 이 연결부를 통해 토크가 전달될 수 있고, 상기 연결부는 2개 부품 간의 상대 변위를 허용한다. 그 다음에는, 축방향으로 변위 가능한 연결부가 후속하며, 이 연결부를 통해 토크가 전달될 수 있고, 상기 연결부도 마찬가지로 2개 부품 간의 상대 변위를 허용한다. 더 합리적으로는, 기술된 배열 상태로 위치된 구성 요소들을 통해 양방향으로 토크가 전달될 수 있다. 다시 말해, 토크는 축방향으로 변위 가능한 연결부(이 연결부를 통해 토크가 전달될 수 있고, 상기 연결부는 2개 부품 간의 상대 변위를 허용함)로부터 축방향 탄성 연결부(이 연결부를 통해 토크가 전달될 수 있음)로 전달될 수 있고, 그곳으로부터, 전달 가능한 클러치 토크를 조절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이웃 부품과 함께 압착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마찰면)으로 전달될 수 있다.
본원에 제안된 토크 전달 유닛에 의해, 상대적으로 적은 작동력으로 마찰 팩의 압축 및 이에 따른 토크의 신뢰성 있는 전달을 실현하는 구조적 가능성이 제공된다.
1: 회전축
10: 디스크 캐리어
11: 스플라인
20: 디스크
21: 마찰면
22: 접촉면
30: 카운터 디스크
31: 마찰 팩
40: 웨브
41: 코킹 연결부
50: 디스크 캐리어 세그먼트
51: 디스크 캐리어 세그먼트의 톱니부
52: 홀
53: 맞물림 바디
54: 라이닝 서스펜션 세그먼트
55: 간격 유지 와셔
56: 리세스
60: 토크 전달 요소
61: 프로파일 톱니부
70: 스프링 장치
71: 굽힘 섹션
72: 부착 섹션
73: 리벳 연결부
74: 연결 요소
75: 제1 스프링 요소
76: 제2 스프링 요소
77: 고정 섹션
78: 물결형 영역
79: 홀
80: 제1 트랜스미션 입력 샤프트
81: 제2 트랜스미션 입력 샤프트
90: 듀얼 클러치 장치
91: 회전자 캐리어
100: 전기 기계
101: 고정자
102: 회전자
110: 작동 장치
120: 하우징
130: 듀얼 매쓰 플라이 휠
140: 분리 클러치
141: 제1 회전 베어링
142: 제2 회전 베어링
150: 크랭크 샤프트
151: 나사 연결부

Claims (10)

  1. 토크를 마찰 결합 방식으로 전달하기 위한, 특히 자동차의 구동 트레인을 위한 클러치 장치로서 설계된 토크 전달 유닛으로서,
    상기 토크 전달 유닛은, 토크 전달 유닛의 카운터 디스크(30)와 함께 마찰 팩(31)을 형성하기 위해 함께 압착될 수 있는 복수의 디스크(20)를 구비한 디스크 캐리어(10); 그리고 상기 디스크 캐리어(10)로부터 상기 디스크 캐리어(10)에 연결된 또는 연결될 수 있는 기계 요소로, 예컨대 트랜스미션 입력 샤프트(80)로, 토크를 전달할 수 있는 토크 전달 요소(60);를 포함하며, 디스크들(20)은 토크를 형상 결합 방식으로 전달할 수 있는 디스크 캐리어(10)의 하나 이상의 성형 요소 상에서, 특히 톱니부 상에서 슬라이딩 운동을 실행하면서 축방향으로 변위될 수 있도록 디스크 캐리어(10) 상에 배치되는, 토크 전달 유닛에 있어서,
    토크 전달 유닛은, 축방향으로 작용하는 하나 이상의 스프링 장치(70)를 더 구비하며, 이 스프링 장치에 의해 하나 이상의 디스크(20)가 슬라이딩 운동에 추가로 토크 전달 요소(60)에 대해 축방향으로 변위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크 전달 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토크 전달 유닛은, 토크 전달 요소(60)와 회전 고정 방식으로 연결되어 하나 이상의 디스크(20)에 할당된 웨브(40)를 더 구비하며, 개별 디스크(20)의 마찰면(21)과 웨브(40) 사이의 토크 전달 경로 내에 추가 구성 요소로서 스프링 장치(70)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크 전달 유닛.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디스크 캐리어(10)가 개별 성형 요소, 특히 톱니부(51)를 가진 복수의 디스크 캐리어 세그먼트(50)를 구비하며, 톱니부 상에는 각각 하나 이상의 디스크(10)가 회전 고정 방식으로 배치되고, 슬라이딩 운동을 실행하면서 축방향으로 변위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크 전달 유닛.
  4. 제3항에 있어서, 스프링 장치가 복수의 제1 스프링 요소(75)를 포함하며, 복수의 제1 스프링 요소(75) 중 각각 하나의 스프링 요소가 복수의 디스크 캐리어 세그먼트(50) 각각에 배치됨으로써, 개개의 제1 스프링 요소(75)에 의해 개별 디스크 캐리어 세그먼트(50)의 슬라이딩 운동이 가능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크 전달 유닛.
  5. 제4항에 있어서, 제1 스프링 요소(75)로부터 토크 전달 요소(60)로, 특히 간접적으로 웨브(40)를 통해, 토크가 전달될 수 있도록, 제1 스프링 요소(75)와 토크 전달 요소(60)가 예컨대 리벳과 같은 하나 이상의 연결 요소(74)에 의해서,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연결 요소에 의해서, 그리고 특히 웨브(40)를 통해서,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크 전달 유닛.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제1 스프링 요소(75)가 특히 복수의 리벳 연결부(73)에 의해 디스크 캐리어 세그먼트(50) 상에 고정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크 전달 유닛.
  7. 제6항에 있어서, 제1 스프링 요소(75)는, 하나 이상의 굽힘 섹션(71) 및 이 굽힘 섹션에 대하여 반경방향으로 오프셋되어, 디스크 캐리어 세그먼트(50) 또는 웨브 또는 토크 전달 요소로의 기계식 부착을 위한 하나 이상의, 특히 복수의 부착 섹션(72)을 구비한, 실질적으로 환형인 스파이럴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크 전달 유닛.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스프링 장치(70)가, 개개의 디스크(20)의 마찰면(21)과 디스크(20)의 접촉면(22) 사이의 토크 전달 경로 내에 디스크(20)의 구성 부품으로서의 제2 스프링 요소(76)를 구비하며, 제2 스프링 요소에 의해, 디스크(20)가 디스크 캐리어 세그먼트(50)의 성형 요소 상에서, 특히 톱니부(51) 상에서 슬라이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크 전달 유닛.
  9. 제8항에 있어서, 제2 스프링 요소(76)가 환형 스프링으로서 형성되며, 이때, 환형 스프링 상에는 마찰면(21)에 대한 기계적 연결부 및 접촉면(22)에 대한 기계적 연결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크 전달 유닛.
  10. 클러치 장치로서 형성된,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토크 전달 유닛 및 차량 트랜스미션을 포함하는, 구동 기계, 특히 내연 기관을 갖춘 자동차용 구동 트레인으로서,
    토크 전달 유닛이 구동 기계 및 차량 트랜스미션과 기계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자동차용 구동 트레인.
KR1020207008891A 2017-12-19 2018-11-13 토크 전달 유닛 및 구동 트레인 KR10263940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7130444.4A DE102017130444A1 (de) 2017-12-19 2017-12-19 Drehmomentübertragungseinheit und Antriebsstrang
DE102017130444.4 2017-12-19
PCT/DE2018/100921 WO2019120366A1 (de) 2017-12-19 2018-11-13 Drehmomentübertragungseinheit und antriebsstra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6483A true KR20200096483A (ko) 2020-08-12
KR102639407B1 KR102639407B1 (ko) 2024-02-23

Family

ID=644567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08891A KR102639407B1 (ko) 2017-12-19 2018-11-13 토크 전달 유닛 및 구동 트레인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3728889B1 (ko)
KR (1) KR102639407B1 (ko)
CN (1) CN111417791B (ko)
DE (2) DE102017130444A1 (ko)
WO (1) WO201912036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9118972A1 (de) * 2019-07-12 2021-01-14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Lamellenkupplung mit einer Rotationsachse für einen Antriebsstrang
EP3951203B1 (de) * 2020-08-04 2023-11-15 Centa-Antriebe Kirschey GmbH Überlastkupplung
DE102020131761A1 (de) * 2020-12-01 2022-06-02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Kupplungsscheibenzusammenbau für eine mehrscheibige Trennkupplung eines Hybridmoduls, Hybridmodul und Verfahren zur Montage eines Kupplungsscheibenzusammenbau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519343A (ja) * 1999-12-30 2003-06-17 ヴァレオ 摩擦クラッチのためのトーションダンパー装置
EP2161466A2 (de) * 2008-09-09 2010-03-10 Zf Friedrichshafen Ag Mehrfachkupplungseinrichtung, insbesondere Doppelkupplungseinrichtung, mit mittels eines Lamellenträgers betätigbarer Lamellen-Kupplungsanordnung
WO2015070859A1 (de) * 2013-11-13 2015-05-21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Reibungskupplung
DE102015205574A1 (de) * 2015-03-27 2016-09-29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Doppelkupplung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311258A (en) * 1971-09-29 1973-03-28 Ford Motor Co Clutch disc
DE4334374A1 (de) * 1993-10-08 1995-04-13 Fichtel & Sachs Ag Reibungskupplung mit erhöhter Übertragungsfähigkeit
DE112013002771T5 (de) * 2012-06-04 2015-04-30 Kabushiki Kaisha F.C.C. Leistungsübertragungsvorrichtung
CN106104043B (zh) * 2014-03-17 2019-08-27 舍弗勒技术股份两合公司 离合器片支架和具有这种离合器片支架的离合器装置
CN106795923B (zh) * 2014-08-29 2019-09-10 舍弗勒技术股份两合公司 双离合器
US9651097B2 (en) * 2015-03-24 2017-05-16 American Axle & Manufacturing, Inc. Friction clutch assembly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519343A (ja) * 1999-12-30 2003-06-17 ヴァレオ 摩擦クラッチのためのトーションダンパー装置
EP2161466A2 (de) * 2008-09-09 2010-03-10 Zf Friedrichshafen Ag Mehrfachkupplungseinrichtung, insbesondere Doppelkupplungseinrichtung, mit mittels eines Lamellenträgers betätigbarer Lamellen-Kupplungsanordnung
WO2015070859A1 (de) * 2013-11-13 2015-05-21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Reibungskupplung
US20160327101A1 (en) * 2013-11-13 2016-11-10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Friction clutch
DE102015205574A1 (de) * 2015-03-27 2016-09-29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Doppelkuppl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417791A (zh) 2020-07-14
EP3728889B1 (de) 2022-07-20
CN111417791B (zh) 2022-05-13
WO2019120366A1 (de) 2019-06-27
KR102639407B1 (ko) 2024-02-23
EP3728889A1 (de) 2020-10-28
DE102017130444A1 (de) 2019-06-19
DE112018006454A5 (de) 2020-09-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43557B2 (en) Hybrid module and drive arrangement for a motor vehicle
US6830139B2 (en) Multi-clutch arrangement
US7416067B2 (en) Power transmission unit
KR102639407B1 (ko) 토크 전달 유닛 및 구동 트레인
JP2021517618A (ja) ねじり振動ダンパー、クラッチディスクおよびクラッチ
US9097292B2 (en) Dry double clutch
CN105299134B (zh) 用于离合器和/或减振器装置的转动组件及扭矩传递装置
KR20180040682A (ko) 하이브리드 구동 시스템용 클러치 장치
CN109931339B (zh) 离合器装置、多重离合器装置、电驱动单元和用于机动车的驱动组件
CN214367510U (zh) 扭振减振器、离合器片和离合器
US11590836B2 (en) Multiple disc clutch, in particular for a hybrid drive train
CN109790877B (zh) 离合器盘、摩擦离合器装置和传动系
KR20200072470A (ko) 자동차용 멀티 클러치 장치 및 하이브리드 모듈
JP2019518919A (ja) 摩擦が最小化された連結ピンを備える遠心クラッチおよびパワートレーン
CN110914089B (zh) 混合动力模块
US6523662B1 (en) Clutch disk arrangement for a multi-disk clutch
CN107850180B (zh) 离心力摆和具有离心力摆的液力变矩器
JPH0141848B2 (ko)
KR102381201B1 (ko) 모터 차량의 구동트레인용 토크 전달 장치 및 그러한 토크 전달 장치를 포함하는 구동트레인
CN113614405A (zh) 具有优化的移动摩擦的多片式离合器;混动模块,双离合器装置以及动力总成
KR20070030694A (ko) 자동차용 마찰 클러치
US8382597B2 (en) Vibration damper
CN110809524B (zh) 混合动力模块
JP7472166B2 (ja) マルチプレートクラッチ、特にハイブリッドドライブトレイン用の特に乾式マルチプレートクラッチ
US7650975B2 (en) Clutch disk arrangement for a multi-disk clutc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