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96018A - 차량용 무선 충전 모듈의 검출 기기 및 이의 검출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용 무선 충전 모듈의 검출 기기 및 이의 검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96018A
KR20200096018A KR1020190030414A KR20190030414A KR20200096018A KR 20200096018 A KR20200096018 A KR 20200096018A KR 1020190030414 A KR1020190030414 A KR 1020190030414A KR 20190030414 A KR20190030414 A KR 20190030414A KR 20200096018 A KR20200096018 A KR 202000960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power transmission
aiming
transmission plat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04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06143B1 (ko
Inventor
셍 친 추앙
밍 치 리
치 춘 왕
치 위안 차이
Original Assignee
크로마 에이티이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크로마 에이티이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크로마 에이티이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2000960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60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61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61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3/00Electric devices on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safety purpos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e.g. speed, deceleration or energy consumption
    • B60L3/0023Detecting, eliminating, remedying or compensating for drive train abnormalities, e.g. failures within the drive tra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30Constructional details of charging stations
    • B60L53/35Means for automatic or assisted adjustment of the relative position of charging devices and vehic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9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detection or optimisation of position, e.g. align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2Hybrid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4Plug-in 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무선 충전 모듈의 검출 기기 및 이의 검출 방법에 관한 것으로, 즉 먼저 충전 모듈 위치 맞춤 장치를 통해 전원 송신판과 전원 수신판의 위치를 교정하여 양자가 완전히 조준될 수 있도록 한 다음 검출하는 것이다. 하지만, 실제 검출 시, 다축 변위 플랫폼을 통해 전원 송신판과 전원 수신판의 위치 어긋남 거리를 조정하고, 각각의 위치 어긋남 거리의 전원 이동 효율을 측정 및 계산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위치를 정확하게 교정 측정하여 정확한 검출 결과를 획득할 수 있고, 반자동화 또는 전자동화 검출을 제공할 수 있으며, 시간과 힘을 절약하고, 검출 효율을 크게 향상시킨다.

Description

차량용 무선 충전 모듈의 검출 기기 및 이의 검출 방법{TES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WIRELESS CHARGING MODULE OF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무선 충전 모듈의 검출 기기 및 이의 검출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량용 무선 충전 모듈의 검출에 적용되는 검출 기기 및 이의 검출 방법에 관한 것이다.
환경보호 의식이 높아지면서, 자동차 산업도 에너지 절약과 탄소 감축을 지향하는 추세이다. 따라서 전기차나 하이브리드(hybrid) 자동차는 이미 주요 자동차 업체의 주력 사업이 되었다. 하지만, 전기차에 있어서, 배터리의 충전 방식과 효율성이 사용자가 전기차를 사용하고 구매하려는 의향에 크게 영향을 미치므로, 전체 전기차 산업에서 더 편리한 충전 방식과 더 나은 충전 효율을 찾고 있다.
무선 충전 기술이 출시된 지 십여 년이 되었지만, 자동차 산업에서의 응용은 최근 몇 년 발전하기 시작했고, 2016년 5월에 미국자동차기술회(Society of Automotive Engineers, SAE)에서 차량용 무선 충전 표준안인 "SAE TIR J2954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자동차(PH)/전기차(EV)의 무선 충전 전환 및 교정 방법"을 공식 발표하였다. 하지만, 상기 표준안의 발표로 차량의 무선 충전 기술이 표준화되고 보편화되었다. 다시 말해서, 대중은 미래에 자동차를 동일 규격에 부합하는 기기가 장착된 주차 공간에 주차하기만 쉽게 충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준안은 전원 송신판과 전원 수신판 사이의 전원 이동 효율을 명확하게 표준화하였다. 즉, 전원 송신판과 전원 수신판 사이의 X축 방향(자동차 폭 방향) 옵셋(offset)을 ±7 cm 및 Y축 방향(자동차 길이 방향) 옵셋을 ±10 cm 이내로 요구할 경우, 전원 이동 효율은 적어도 80%에 도달해야 한다. 또한, 전원 송신판과 전원 수신판이 완전히 조준된 상태일 경우, 전원 이동 효율은 85% 이상에 도달해야 한다.
따라서, 무선 충전 모듈 또는 심지어 상기 모듈이 장착되어 있는 차량은 개발 과정 및 생산이 끝나 공장 출하되기 전에, 모두 그 전원 이동 효율을 검출해야 한다. 검출 방법은 상당히 복잡한데, 이는 반드시 전원 송신판과 전원 수신판이 상이한 옵셋일 경우 나타나는 효율을 검출해야 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상이한 방향 또는 높이에서 위치가 1 cm씩 어긋날 때마다 그 효율을 측정 및 계산해야 한다.
하지만, 선행기술에 있어서, 모두 여전히 인위적으로 육안으로 검출하고 수동으로 이동하는 방식으로 진행하므로, 인위적인 수동의 방식은 검출 기기를 이동해야 하는데 이는 상당한 힘을 소모하고, 위치도 완전히 정확도에 도달하지 못하게 된다. 이 밖에, 매번 간격을 측정하는 동안에 전자파로 인해 작업자의 안전을 고려하여 반드시 먼저 전원을 끄고 몇 분간 기다려야 한다. 따라서, 기존의 검출 방식은 정확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시간과 인력 자원을 소모하므로, 검출 효율을 향상시킬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주요 목적은 위치를 정확하게 교정 측정하여 정확한 검출 결과를 획득할 수 있고, 반자동화 또는 전자동화 검출을 제공할 수 있으며, 검출 효율을 현저하게 향상시키는 차량용 무선 충전 모듈의 검출 기기 및 이의 검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에 도달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차량용 무선 충전 모듈의 검출 기기를 제공하고, 상기 차량용 무선 충전 모듈은 전원 송신판, 및 차량 또는 고정 프레임에 조립 설치되는 전원 수신판을 포함하며, 상기 검출 기기는 주로 다축 변위 플랫폼, 충전 모듈 위치 맞춤 장치 및 메인 제어기를 포함한다. 여기서, 전원 송신판은 상기 다축 변위 플랫폼에 고정되고, 충전 모듈 위치 맞춤 장치는 다축 변위 플랫폼에 조립 설치되며, 충전 모듈 위치 맞춤 장치는 제1 조준 모듈 및 제2 조준 모듈을 포함하고, 메인 제어기는 다축 변위 플랫폼, 전원 송신판 및 상기 전원 수신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여기서, 제1 조준 모듈이 전원 송신판의 제1 사전 설정 위치에 조준되도록 한 후, 메인 제어기는 다축 변위 플랫폼을 제어하여 제2 조준 모듈이 전원 수신판의 제2 사전 설정 위치에 조준되도록 하고, 메인 제어기는 다축 변위 플랫폼을 제어하여 전원 송신판을 점진적으로 이동시키며, 전원 수신판과 전원 송신판 사이의 전원 이동 효율을 측정 및 계산한다.
다시 말하면, 본 발명의 검출 기기는 충전 모듈 위치 맞춤 장치를 통해 전원 송신판과 전원 수신판의 위치를 교정하여 양자가 완전히 조준되도록 한다. 실제 검출 시, 다축 변위 플랫폼을 통해 전원 송신판과 전원 수신판의 위치 어긋남 거리를 조정하고, 상이한 위치 어긋남 거리의 전원 이동 효율을 검출한다.
상기 목적에 도달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차량용 무선 충전 모듈의 검출 방법을 제공하고, 차량용 무선 충전 모듈은 전원 송신판 및 전원 수신판을 포함하며, 전원 수신판은 차량 또는 고정 프레임에 조립 설치되고, 전원 송신판은 다축 변위 플랫폼에 고정되며, 다축 변위 플랫폼에 제1 조준 모듈 및 제2 조준 모듈을 포함하는 충전 모듈 위치 맞춤 장치가 더 조립 설치된다. 본 발명의 차량용 무선 충전 모듈의 검출 방법은, 제1 조준 모듈을 전원 송신판의 제1 사전 설정 위치에 조준하는 단계(A); 다축 변위 플랫폼이 전원 송신판과 제2 조준 모듈을 동기화 이동시켜, 제2 조준 모듈이 전원 수신판의 제2 사전 설정 위치에 조준되도록 하는 단계(B); 및 다축 변위 플랫폼이 전원 송신판을 점진적으로 이동시키고, 전원 수신판과 전원 송신판 사이의 전원 이동 효율을 측정 및 계산하는 단계(C)를 포함한다.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검출 방법은 상기 단계를 통해 먼저 전원 송신판과 전원 수신판에 대해 위치 결정을 진행하여 양자가 완전히 조준될 수 있도록 한 다음, 다축 변위 플랫폼을 통해 전원 송신판에 대해 위치 어긋남 변위를 진행하고, 각각의 위치 어긋남 거리의 전원 이동 효율을 측정 및 계산한다.
바람직하게는, 전술한 제1 사전 설정 위치는 전원 송신판의 상면의 중심 위치일 수 있고, 제2 사전 설정 위치는 전원 수신판의 하면의 중심 위치일 수 있으며, 제1 조준 모듈과 제2 조준 모듈은 수평면에 수직되는 세로방향 축을 따라 설치된다. 즉, 본 발명은 전원 송신판과 전원 수신판의 표면 중심점을 통해 위치를 맞출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제1 조준 모듈과 상기 제2 조준 모듈은 각각 레이저 포인터(Laser Pointer)이고, 상기 레이저 포인터가 발사한 포인터 패턴은 십자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십자 패턴의 위치 맞춤을 통해, 수평의 2개의 축 방향의 옵셋을 교정할 수 있는 외에, 편향, 경사 또는 높이 낙차 등을 모두 교정할 수 있는데, 즉, X, Y, Z, Ψ, θ, Φ 등 6개의 축 방향의 위치 어긋남 변위 또는 각도 교정을 진행할 수 있다.
이 밖에, 본 발명의 메인 제어기는 제2 조준 모듈이 전원 수신판의 제2 사전 설정 위치에 조준되도록 할 경우 다축 변위 플랫폼의 변위량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고, 메인 제어기는 변위량에 따라 다축 변위 플랫폼을 제어하여 전원 송신판을 점진적으로 이동시키고 검출을 진행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전원 송신판과 전원 수신판이 조준된 후, 즉, 위치 어긋남 오차가 0이 된 후, 상기 0이 된 위치에 기반하여, 원래의 0이 되는 과정에서의 이동량을 기준치로 하여, 위치 어긋남 거리를 점진적으로 누가(Cumulative)하고 전원 송신판을 이동시켜 검출한다.
이 밖에, 본 발명의 충전 모듈 위치 맞춤 장치는 메인 제어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충전 모듈 위치 맞춤 장치는 구동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조준 모듈과 제2 조준 모듈은 각각 제1 촬영 모듈과 제2 촬영 모듈일 수 있고, 저장 유닛은 위치 교정 영상을 저장할 수 있으며, 메인 제어기는 제1 촬영 모듈이 전원 송신판의 영상을 촬영하도록 제어하고, 구동 모듈이 제1 촬영 모듈에 의해 촬영된 영상과 위치 교정 영상을 중첩시키도록 제어하며, 메인 제어기는 제2 촬영 모듈이 전원 수신판의 영상을 촬영하도록 제어할 수 있고, 다축 변위 플랫폼이 제2 촬영 모듈에 의해 촬영된 영상과 위치 교정 영상을 중첩시키도록 제어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구동 모듈을 통해 제1 촬영 모듈을 위치 이동시킬 수 있고, 영상 비교 방식으로 제1 촬영 모듈이 전원 송신판의 제1 사전 설정 위치에 자동으로 조준되도록 하며, 마찬가지로, 영상 비교 방식을 통해 다축 변위 플랫폼과 매칭하여 제2 촬영 모듈이 전원 송신판의 제2 사전 설정 위치에 자동으로 조준되도록 하여 자동화 위치 맞춤을 실현한다.
상기 목적에 도달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차량용 무선 충전 모듈의 검출 기기를 제공하고, 상기 차량용 무선 충전 모듈은 전원 송신판, 및 차량 또는 고정 프레임에 조립 설치되는 전원 수신판을 포함하며, 상기 검출 기기는 주로 다축 변위 플랫폼 및 충전 모듈 위치 맞춤 장치를 포함하고, 다축 변위 플랫폼은 전원 송신판에 고정되며, 충전 모듈 위치 맞춤 장치는 다축 변위 플랫폼에 조립 설치되어 상대적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다. 충전 모듈 위치 맞춤 장치는 제1 조준 모듈 및 제2 조준 모듈을 포함하고, 제1 조준 모듈과 제2 조준 모듈은 수평면에 수직되는 세로방향 축을 따라 각각 하방 및 상방을 향해 십자 패턴을 포함하는 포인터 패턴을 발사하고 각각 상기 전원 송신판의 상면 및 상기 전원 수신판의 하면에 투사되며, 여기서, 상기 다축 변위 플랫폼은 전원 송신판과 충전 모듈 위치 맞춤 장치를 동기화 이동시켜 전원 송신판이 전원 수신판에 위치 맞춤되거나 위치가 서로 어긋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검출 기기는 전원 송신판이 전원 수신판에 위치 맞춤되도록 할 경우 상기 다축 변위 플랫폼의 변위량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 유닛을 포함하는 메인 제어기를 더 포함할 수 있고, 메인 제어기는 상기 변위량에 따라 다축 변위 플랫폼을 이동시켜 전원 송신판과 전원 수신판의 위치가 서로 어긋나도록 제어하고 검출을 진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사용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축 변위 플랫폼과 충전 모듈 위치 맞춤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충전 모듈 위치 맞춤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 촬영 모듈에 의해 촬영된 영상과 위치 교정 영상의 위치 맞춤 모식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차량용 무선 충전 모듈의 검출 기기 및 이의 검출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하기 전에, 특별히 유의해야 할 것은, 아래의 설명에서,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구성 요소 부호로 표시된다. 또한, 본 발명의 도면은 단지 예시적으로 설명되는 것이고, 반드시 비율에 따라 제작되는 것이 아니며, 모든 세부사항이 반드시 모두 도면에 나타나는 것도 아니다.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사용 모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실제 자동차로 테스트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개발 단계 또는 품질 관리 검증 단계에서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더 간단하게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서, 차량용 무선 충전 모듈은 전원 송신판(GA) 및 전원 수신판(VA)을 포함하고, 전원 수신판(VA)은 차량(M)의 섀시(chassis) 하방에 조립 설치되지만, 다른 실시예에서는 이를 고정 프레임에 조립 설치할 수도 있다(미도시).
또한, 도면에 다축 변위 플랫폼(2)이 도시되며, 이는 X, Y, Z 등 공간 중 3개의 축 방향 변위를 제공할 수 있고, Ψ, θ, Φ 등 3개의 각도의 회전방향을 제공하므로, 모두 6개의 축 방향의 변위 또는 각도 조정을 제공할 수 있으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다. 하지만, 전원 송신판(GA)은 다축 변위 플랫폼(2)에 배치되고, 다축 변위 플랫폼(2)은 차량(M)의 섀시 하방에 설치된다.
도 3과 함께 다시 참조하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축 변위 플랫폼(2)과 충전 모듈 위치 맞춤 장치(3)의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의 충전 모듈 위치 맞춤 장치(3)는 지지 프레임(33), 슬라이딩 베이스(34), 제1 조준 모듈(31) 및 제2 조준 모듈(32)을 포함하고, 지지 프레임(33)은 상기 다축 변위 플랫폼(2)의 양측변에 브리징(bridging) 연결되며 상대적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다. 지지 프레임(33)에는 수평 슬라이딩 레일(331)이 설치되고, 슬라이딩 베이스(34)는 상기 수평 슬라이딩 레일(331)에 커플링되며 상대적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다.
또한, 제1 조준 모듈(31) 및 제2 조준 모듈(32)은 수평면에 수직되는 세로방향 축(Z축)을 따라 슬라이딩 베이스(34)에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조준 모듈(31)과 제2 조준 모듈(32)은 각각 십자 패턴을 발사할 수 있는 레이저 포인터(Laser Pointer)이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서 십자 패턴을 사용하는 의도는, 십자 패턴의 위치 맞춤, 비교를 통하여 수평면에서의 2개의 축 방향(X, Y) 변위 및 회전 편차(Ψ)를 교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십자 패턴이 나타내는 길이 및 그 대응관계를 통해 높이(Z) 및 경사 각도(θ, Φ)의 편차를 교정할 수 있는데, 즉, X, Y, Z, Ψ, θ, Φ 등 6개의 축 방향의 위치 어긋남 변위 또는 각도 조정을 진행할 수 있는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제어기(4)는 다축 변위 플랫폼(2), 전원 송신판(GA) 및 전원 수신판(VA)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 메인 제어기(4)는 저장 유닛(41)을 포함하는 공업용 컴퓨터 및 다른 필요한 전원 공급 또는 측정 장치일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직류/교류 전원 공급 장치, 오실로스코프(oscilloscope), 디지털 전력계 및 직류 전자 부하 등일 수 있다.
아래 본 실시예에 따른 검출 단계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제1 조준 모듈(31)을 상기 전원 송신판(GA)의 제1 사전 설정 위치(CGA)에 조준하되, 여기서, 제1 사전 설정 위치(CGA)는 전원 송신판(GA)의 상면의 중심 위치이다. 하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인위적인 수동의 방식으로 지지 프레임(33)과 슬라이딩 베이스(34)를 이동시켜 제1 조준 모듈(31)이 발사한 십자 패턴이 전원 송신판(GA) 상면 중심 위치에 미리 형성된 십자 패턴(Pc1)에 조준되도록 한다.
이어서, 다축 변위 플랫폼(2)은 전원 송신판(GA)과 충전 모듈 위치 맞춤 장치(3)를 동기화 이동시켜 제2 조준 모듈(32)이 상기 전원 수신판(VA)의 제2 사전 설정 위치(CVA)에 조준되도록 한다(도 1을 참조). 하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인위적인 수동의 방식으로 다축 변위 플랫폼(2)을 조작하여 제2 조준 모듈(32)이 발사한 십자 패턴이 전원 수신판(VA) 상면 중심 위치에 미리 형성된 십자 패턴(Pc2)에 조준되도록 한다.
상기 단계를 거쳐, 정면 투영되는 시각으로부터 보면, 전원 송신판(GA)과 전원 수신판(VA)은 완전히 중첩된 상태에 있다. 물론, 상기 단계에서 다축 변위 플랫폼(2)을 통해 전원 송신판(GA)과 전원 수신판(VA) 사이의 높이 거리를 조절 제어할 수도 있다. 이 밖에, 메인 제어기(4)의 저장 유닛(41)은 상기 제2 조준 모듈(32)이 상기 전원 수신판(VA)의 중심 위치에 조준되도록 할 경우 상기 다축 변위 플랫폼(2)의 변위량(Moffset)을 저장하여 후속적인 위치 어긋남 측정의 기반으로 한다.
추가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단계는 위치 어긋남 오차가 0이 되는 단계라고 할 수 있고, 0이 된 후, 상기 0이 된 위치에 기반하여, 원래의 0이 되는 과정에서의 변위량(Moffset)을 기준치로 하여, 위치 어긋남 거리를 누가(Cumulative)하면 실제 검출 위치를 얻을 수 있다.
마지막으로, 실제로 검출하고, 즉, 전원 송신판(GA)을 점진적으로 이동시키는데, 예를 들어, 1 cm를 위치 어긋남 거리로 하고, 1 cm씩 이동할 때마다, 메인 제어기(4)는 상기 위치 어긋남 위치의 전원 이동 효율을 측정 및 계산한다.
계속하여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구성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충전 모듈 위치 맞춤 장치의 사시도이다. 제2 실시예와 상기 제1 실시예의 주요 차이점은, 본 실시예에서 영상 비교 방식을 사용하여 전자동화 검출을 실현하는 것이다.
추가적으로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서, 충전 모듈 위치 맞춤 장치(3)는 제1 조준 모듈(31)과 제2 조준 모듈(32)이 적어도 수평의 2개의 축 방향(X축, Y축)에서의 변위를 진행하도록 구동하기 위한 구동 모듈(30)을 더 포함하고, 상기 구동 모듈(30)은 지지 프레임(33)과 슬라이딩 베이스(34)가 이동하도록 구동할 수도 있으며, 구동 수단은 도 4에 도시된 나사축일 수 있고, 벨트, 기어 또는 래크 등 공지된 구동 또는 전동 수단일 수도 있다.
이 밖에, 본 실시예의 제1 조준 모듈(31)과 제2 조준 모듈(32)은 각각 제1 촬영 모듈(310)과 제2 촬영 모듈(320)이다. 또한, 저장 유닛(41)은 위치 교정 영상(Sp)을 더 저장하고, 도 6과 함께 다시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위치 교정 영상(Sp)은 투명한 이미지의 정중심 위치에 점선으로 이루어진 십자 패턴이 구비되는 것이다.
아래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검출 단계를 설명한다. 먼저, 메인 제어기(4)는 제1 촬영 모듈(310)이 전원 송신판(GA)의 영상을 실시간으로 촬영하도록 제어하고, 동시에, 구동 모듈(30)이 지지 프레임(33)과 슬라이딩 베이스(34)의 이동을 구동하도록 제어하여, 제1 촬영 모듈(310)에 의해 촬영된 영상 중의 제1 사전 설정 위치(CGA)에서의 십자 패턴(Pc1)과 위치 교정 영상(Sp)에서의 십자 패턴이 완전히 중첩되도록 한다.
이어서, 메인 제어기(4)는 제2 촬영 모듈(320)이 전원 수신판(VA)의 영상을 실시간으로 촬영하도록 제어하고, 동시에, 다축 변위 플랫폼(2)이 이동하도록 제어하여, 제2 촬영 모듈(320)에 의해 촬영된 영상과 위치 교정 영상(Sp)이 중첩되도록 함으로써, 편차 위치의 0이 되는 단계를 완성한다. 이어서, 본격적인 검출 단계를 진행하되, 이의 상세 과정은 전술한 제1 실시예와 유사하므로, 이에 대해 더 설명하지 않는다. 이로써, 본 실시예는 위치 교정으로부터 위치 어긋남 검출까지 모두 메인 제어기(4)를 통해 완성함으로써, 완전한 자동화 검출을 실현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는 단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예를 든 것이고, 본 발명이 주장하는 보호범위는 응당 출원특허범위에 기재된 것을 기준으로 해야 하며,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2: 다축 변위 플랫폼
3: 충전 모듈 위치 맞춤 장치
30: 구동 모듈
31: 제1 조준 모듈
310: 제1 촬영 모듈
32: 제2 조준 모듈
320: 제2 촬영 모듈
33: 지지 프레임
331: 슬라이딩 레일
34: 슬라이딩 베이스
4: 메인 제어기
41: 저장 유닛
CGA: 제1 사전 설정 위치
CVA: 제2 사전 설정 위치
GA: 전원 송신판
VA: 전원 수신판
M: 차량
Moffset: 변위량
Sp: 위치 교정 영상
Pc1, Pc2: 십자 패턴

Claims (12)

  1. 차량용 무선 충전 모듈의 검출 기기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무선 충전 모듈은 전원 송신판, 및 차량 또는 고정 프레임에 조립 설치되는 전원 수신판을 포함하고,
    상기 검출 기기는,
    상기 전원 송신판이 고정되는 다축 변위 플랫폼;
    상기 다축 변위 플랫폼에 조립 설치되고, 제1 조준 모듈 및 제2 조준 모듈을 포함하는 충전 모듈 위치 맞춤 장치; 및
    상기 다축 변위 플랫폼, 상기 전원 송신판 및 상기 전원 수신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메인 제어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조준 모듈이 상기 전원 송신판의 제1 사전 설정 위치에 조준되도록 한 후, 상기 메인 제어기는 상기 다축 변위 플랫폼을 제어하여 상기 제2 조준 모듈이 상기 전원 수신판의 제2 사전 설정 위치에 조준되도록 하고, 상기 메인 제어기는 상기 다축 변위 플랫폼을 제어하여 상기 전원 송신판을 점진적으로 이동시키며, 상기 전원 수신판과 상기 전원 송신판 사이의 전원 이동 효율을 측정 및 계산하는 차량용 무선 충전 모듈의 검출 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전 설정 위치는 상기 전원 송신판의 상면의 중심 위치이고, 상기 제2 사전 설정 위치는 상기 전원 수신판의 하면의 중심 위치이며,
    상기 제1 조준 모듈과 상기 제2 조준 모듈은 수평면에 수직되는 세로방향 축을 따라 설치되는 차량용 무선 충전 모듈의 검출 기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조준 모듈과 상기 제2 조준 모듈은 각각 레이저 포인터이고, 상기 레이저 포인터가 발사한 포인터 패턴은 십자 패턴을 포함하는 차량용 무선 충전 모듈의 검출 기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제어기는 상기 제2 조준 모듈이 상기 전원 수신판의 상기 제2 사전 설정 위치에 조준되도록 할 경우 상기 다축 변위 플랫폼의 변위량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메인 제어기는 변위량에 따라 상기 다축 변위 플랫폼을 제어하여 상기 전원 송신판을 점진적으로 이동시키고 검출을 진행하는 차량용 무선 충전 모듈의 검출 기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모듈 위치 맞춤 장치는 상기 메인 제어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충전 모듈 위치 맞춤 장치는 구동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조준 모듈과 상기 제2 조준 모듈은 각각 제1 촬영 모듈과 제2 촬영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저장 유닛은 위치 교정 영상을 더 저장하며,
    상기 메인 제어기는 상기 제1 촬영 모듈이 상기 전원 송신판의 영상을 촬영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구동 모듈이 상기 제1 촬영 모듈에 의해 촬영된 영상과 상기 위치 교정 영상을 중첩시키도록 제어하며,
    상기 메인 제어기는 상기 제2 촬영 모듈이 상기 전원 수신판의 영상을 촬영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다축 변위 플랫폼이 상기 제2 촬영 모듈에 의해 촬영된 영상과 상기 위치 교정 영상을 중첩시키도록 제어하는 차량용 무선 충전 모듈의 검출 기기.
  6. 차량용 무선 충전 모듈의 검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무선 충전 모듈은 다축 변위 플랫폼에 고정되는 전원 송신판, 및 차량 또는 고정 프레임에 조립 설치되는 전원 수신판을 포함하고, 상기 다축 변위 플랫폼에 제1 조준 모듈 및 제2 조준 모듈을 포함하는 충전 모듈 위치 맞춤 장치가 더 조립 설치되며,
    상기 차량용 무선 충전 모듈의 검출 방법은,
    상기 제1 조준 모듈을 상기 전원 송신판의 제1 사전 설정 위치에 조준하는 단계(A);
    상기 다축 변위 플랫폼이 상기 전원 송신판과 상기 제2 조준 모듈을 동기화 이동시켜, 상기 제2 조준 모듈이 상기 전원 수신판의 제2 사전 설정 위치에 조준되도록 하는 단계(B); 및
    상기 다축 변위 플랫폼이 상기 전원 송신판을 점진적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전원 수신판과 상기 전원 송신판 사이의 전원 이동 효율을 측정 및 계산하는 단계(C)를 포함하는 차량용 무선 충전 모듈의 검출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전 설정 위치는 상기 전원 송신판의 상면의 중심 위치이고, 상기 제2 사전 설정 위치는 상기 전원 수신판의 하면의 중심 위치이며,
    상기 제1 조준 모듈과 상기 제2 조준 모듈은 수평면에 수직되는 세로방향 축을 따라 설치되는 차량용 무선 충전 모듈의 검출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조준 모듈과 상기 제2 조준 모듈은 각각 레이저 포인터이고, 상기 레이저 포인터가 발사한 포인터 패턴은 십자 패턴을 포함하는 차량용 무선 충전 모듈의 검출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메인 제어기를 이용하여 상기 단계(A) 내지 단계(C)를 수행하고,
    상기 메인 제어기는 상기 단계(B)에서 상기 제2 조준 모듈이 상기 전원 수신판의 상기 제2 사전 설정 위치에 조준되도록 할 경우 상기 다축 변위 플랫폼의 변위량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 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단계(C)에서, 상기 메인 제어기는 변위량에 따라 상기 다축 변위 플랫폼이 상기 전원 송신판을 점진적으로 이동시키고 검출을 진행하도록 제어하는 차량용 무선 충전 모듈의 검출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모듈 위치 맞춤 장치는 상기 메인 제어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충전 모듈 위치 맞춤 장치는 구동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조준 모듈과 상기 제2 조준 모듈은 각각 제1 촬영 모듈과 제2 촬영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저장 유닛은 위치 교정 영상을 더 저장하며,
    상기 단계(A)에서, 상기 메인 제어기는 상기 제1 촬영 모듈이 상기 전원 송신판의 영상을 촬영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구동 모듈이 상기 제1 촬영 모듈에 의해 촬영된 영상과 상기 위치 교정 영상을 중첩시키도록 제어하며,
    상기 단계(B)에서, 상기 메인 제어기는 상기 제2 촬영 모듈이 상기 전원 수신판의 영상을 촬영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다축 변위 플랫폼이 상기 제2 촬영 모듈에 의해 촬영된 영상과 상기 위치 교정 영상을 중첩시키도록 제어하는 차량용 무선 충전 모듈의 검출 방법.
  11. 차량용 무선 충전 모듈의 검출 기기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무선 충전 모듈은 전원 송신판, 및 차량 또는 고정 프레임에 조립 설치되는 전원 수신판을 포함하고,
    상기 검출 기기는,
    상기 전원 송신판에 고정되는 다축 변위 플랫폼; 및
    상기 다축 변위 플랫폼에 조립 설치되어 상대적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고, 수평면에 수직되는 세로방향 축을 따라 각각 하방 및 상방을 향해 십자 패턴을 포함하는 포인터 패턴을 발사하고 각각 상기 전원 송신판의 상면 및 상기 전원 수신판의 하면에 투사되는 제1 조준 모듈 및 제2 조준 모듈을 포함하는 충전 모듈 위치 맞춤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다축 변위 플랫폼은 상기 전원 송신판과 상기 충전 모듈 위치 맞춤 장치를 동기화 이동시켜 상기 전원 송신판이 상기 전원 수신판에 위치 맞춤되거나 위치가 서로 어긋나도록 하는 차량용 무선 충전 모듈의 검출 기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송신판이 상기 전원 수신판에 위치 맞춤되도록 할 경우 상기 다축 변위 플랫폼의 변위량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 유닛을 포함하는 메인 제어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메인 제어기는 상기 변위량에 따라 상기 다축 변위 플랫폼을 이동시켜 상기 전원 송신판과 상기 전원 수신판의 위치가 서로 어긋나도록 제어하고 검출하는 차량용 무선 충전 모듈의 검출 기기.
KR1020190030414A 2019-01-31 2019-03-18 차량용 무선 충전 모듈의 검출 기기 및 이의 검출 방법 KR1022061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TW108103727 2019-01-31
TW108103727A TWI695561B (zh) 2019-01-31 2019-01-31 車輛用無線充電模組之檢測設備及其檢測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6018A true KR20200096018A (ko) 2020-08-11
KR102206143B1 KR102206143B1 (ko) 2021-01-22

Family

ID=717386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0414A KR102206143B1 (ko) 2019-01-31 2019-03-18 차량용 무선 충전 모듈의 검출 기기 및 이의 검출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6733001B1 (ko)
KR (1) KR102206143B1 (ko)
TW (1) TWI69556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191122A1 (en) 2020-07-28 2023-06-07 Nitto Denko Corporation Surface illuminating device, space including surface illuminating device, and illumination method
CN113619888B (zh) * 2021-06-24 2023-12-26 杭州长川科技股份有限公司 接料模组及剥单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319644A1 (en) * 2011-06-15 2012-12-20 Chih-Kuei Hu Contactless charging system
KR20180085923A (ko) * 2017-01-20 2018-07-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전력 전송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523368B (zh) * 2010-01-05 2016-02-21 通路實業集團國際公司 電動車之感應充電系統及其支撐結構
US9379571B2 (en) * 2011-07-11 2016-06-28 Delphi Technologies, Inc. Electrical charging system having energy coupling arrangement for wireless energy transmission therebetween
US9409490B2 (en) * 2013-09-27 2016-08-09 Qualcomm Incorporated Device alignment in inductive power transfer systems
CN103633697A (zh) * 2013-11-22 2014-03-12 北京航空航天大学 电磁感应式非接触充电系统及其对准方法
EP3364522B1 (en) * 2017-02-17 2020-05-20 Hyundai Motor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position alignment using low-frequency antennas in wireless power transfer system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319644A1 (en) * 2011-06-15 2012-12-20 Chih-Kuei Hu Contactless charging system
KR20180085923A (ko) * 2017-01-20 2018-07-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전력 전송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733001B1 (ja) 2020-07-29
TW202030956A (zh) 2020-08-16
JP2020127349A (ja) 2020-08-20
KR102206143B1 (ko) 2021-01-22
TWI695561B (zh) 2020-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2352146B (zh) 用于传感器校准的车辆对准
US20210197841A1 (en) Device and method for calibrating vehicle assistance systems
CN107886545B (zh) 电动汽车换电的视觉系统、标定方法及电池定位方法
KR102206143B1 (ko) 차량용 무선 충전 모듈의 검출 기기 및 이의 검출 방법
CN112432610A (zh) 一种列车限界检测装置及检测方法
JP2013545083A (ja) 照明ドライビング補助システムを試験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CN108469663B (zh) 一种镜头组件与芯片组件的组装工艺和对位装置
US20230243676A1 (en) Vehicular alignment for sensor calibration
CN109945782A (zh) 超长白车身关键位置检测方法
CN208239091U (zh) 一种用于hud光学检测的五轴光学平台
CN110954874B (zh) 车辆检查装置
EP0547269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optical axis deflection
CN111260734B (zh) 一种XYθ平台机器视觉对位系统的标定方法
KR20230051576A (ko) 센서 교정을 위한 차량 바닥 표적 정렬
CN112834239B (zh) Aebs下线检测方法及系统
KR20080111653A (ko) 카메라를 이용하여 측정 프로브의 원점을 보정하는 3차원측정장치
KR101095781B1 (ko) 검사 장치 및 검사 방법
CN114923410B (zh) 一种纵梁孔位在线检测方法及装置
CN111505402B (zh) 车辆用无线充电模块的检测设备及其检测方法
JP2012127930A (ja) 車両用ヘッドライトの測定方法とその装置
CN212921203U (zh) 换电设备的定位控制系统
CN217637931U (zh) 光学投射器测试装置
KR20060036331A (ko) 연속컨베이어 기반 차체 위치계측시스템 및 그 방법
CN110146159B (zh) 一种tof光投射模块的光功率检测装置和方法
CN216326370U (zh) 一种自动对位锁螺丝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