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95274A - Sliding elastic supporting apparatus for construction - Google Patents

Sliding elastic supporting apparatus for construc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95274A
KR20200095274A KR1020190013163A KR20190013163A KR20200095274A KR 20200095274 A KR20200095274 A KR 20200095274A KR 1020190013163 A KR1020190013163 A KR 1020190013163A KR 20190013163 A KR20190013163 A KR 20190013163A KR 20200095274 A KR20200095274 A KR 202000952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sliding
elastic support
construction
intermediat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316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태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디씨컨스트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디씨컨스트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디씨컨스트룩
Priority to KR10201900131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95274A/en
Publication of KR202000952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5274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4Bearings; Hinges
    • E01D19/042Mechanical bearings
    • E01D19/045Line and point rocker bea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liding elastic support for building. The sliding elastic support for building includes: a lower plate fixed to an upper surface of a pier; an upper plate fixed to a lower surface of a bridge deck in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lower plate; and a middle plate arranged on a lower portion of the upper plate to be slid on the lower plate. Therefore, the sliding elastic support for building can measure deformation of the bridge deck in a bridge axis direction and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bridge axis direction.

Description

건축용 슬라이딩 탄성받침{SLIDING ELASTIC SUPPORTING APPARATUS FOR CONSTRUCTION}Sliding elastic support for construction {SLIDING ELASTIC SUPPORTING APPARATUS FOR CONSTRUCTION}

본 발명은 건축용 슬라이딩 탄성받침에 관한 발명으로써 구체적으로는 상부플레이트의 하부에 배치되어 하부플레이트 상에서 슬라이딩하는 중간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건축용 슬라이딩 탄성받침에 관한 발명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liding elastic support for construction and specifically relates to a sliding elastic support for construction including an intermediate plate that is disposed under the upper plate and slides on the lower plate.

일반적으로 교량의 교각과 교량의 상판 사이에는 교량 상판에서 전달되는 하중을 교각에 전달하고 자중에 의한 처짐, 콘크리트의 크리프 및 건조수축과 같은 교량 내부적 요인과 지진, 바람, 온도 변화 외부적 요인에 의한 교량 상판의 변화를 안전하게 적응시키는 슬라이딩 받침이 설치된다.In general, between the bridge piers and the bridge deck, the load transmitted from the bridge deck is transmitted to the pier, and internal factors such as deflection due to its own weight, creep and shrinkage of concrete, and earthquakes, wind, temperature changes and external factors. Sliding feet are installed to safely adapt to changes in the bridge deck.

교량의 상판은 차량의 통행에 의한 동적 하중 및 주위온도의 변화에 따른 열팽창이 나타나게 되므로 교축방향 (차량의 진행방향) 및 교축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변형이 일어나게 된다.Since the upper plate of the bridge exhibits thermal expansion due to changes in the dynamic load and ambient temperature due to the passage of the vehicle, the deformation occurs in the direction of the bridge axis (the direction of travel of the vehicle) and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of the bridge axis.

종래기술에 의한 교량용 탄성받침은 상부 구조물에 앵커로 고정되는 상부플레이트와 교각에 앵커로 고정되는 하부플레이트 그리고 상, 하부플레이트 사이에 설치되고 내부에 보강판이 등간격으로 배치되는 탄성체로 구성된다. 따라서, 수직하중이 가해졌을 때에는 탄성체가 팽출하면서 완충력 및 저항력을 발휘하고, 수평하중이 발생할 때 탄성체가 전단병형됨으로써 수평하중에 저항하도록 되어 있는 것이다.The elastic support for a bridge according to the prior art is composed of an upper plate anchored to an upper structure, a lower plate anchored to a pier, and an elastic body installe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plates and reinforcing plates disposed therein at equal intervals. Therefore, when a vertical load is applied, the elastic body swells to exert a buffering force and a resistance force, and when a horizontal load is generated, the elastic body is sheared in parallel to resist horizontal load.

한편, 온도변화에 의해 상부구조물의 신장 또는 수축이 발생함에 따라, 교대 또는 교각과 상부구조물 사이에는 상대변위가 발생하는데, 이러한 상대변위는 1차원이 아닌 2차원으로 발생한다.On the other hand, as elongation or contraction of the upper structure occurs due to temperature change, a relative displacement occurs between the alternating or bridge pier and the upper structure, and this relative displacement occurs in two dimensions instead of one dimension.

예컨대, 상부구조물이 길이방향으로 신장(열팽창)하는 경우, 교각과 상부구조물 사이에는 상부구조물의 길이방향으로 대단히 큰 상대변위가 발생한다. 반면, 상부구조물이 폭방향으로 신장하는 경우, 교각과 상부구조물 사이에는 상부구조물의 폭방향으로 큰 상대변위가 발생한다. 또한, 이는 겨울철 저온으로 인한 수축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동일한 문제가 발생한다.For example, when the upper structure is elongated (thermal expans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very large relative displacement occurs between the pier and the upper structur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upper structure. On the other hand, when the upper structure extends in the width direction, a large relative displacement occurs between the pier and the upper structur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upper structure. In addition, the same problem occurs even when shrinkage due to low temperature in winter occurs.

따라서 상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기술이 필요하게 되었다.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technique for solving the above-described problem.

한편,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Meanwhile, the above-described background technology is technical information acquired by the inventor for the deriv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or acquired in the derivation proces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not necessarily a known technology disclosed to the general public before filing the present invention. .

본 발명의 건축용 슬라이딩 탄성받침을 제공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liding elastic support for construction.

본 발명은 건축용 슬라이딩 탄성받침에 관한 발명으로써, 구체적으로는 상부플레이트, 중간플레이트 및 하부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건축용 슬라이딩 탄성받침에 관한 발명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liding elastic support for construction, and specifically relates to a sliding elastic support for construction including an upper plate, an intermediate plate and a lower plate.

전술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부 플레이트 및 하부 플레이트에 계측장치를 부착하여 교량의 설치 및 유지 보수시 계측장치의 파손이 발생되지 않으며, 상시적으로 보다 정확하게 교량 상판의 변형량을 측정할 수 있게 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by attaching the measuring device to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damage to the measuring device does not occur during installation and maintenance of the bridge, and the amount of deformation of the bridge upper plate is always more accurate. Can be measured.

본 발명에 의한 변위량 측정기능이 구비된 교좌장치는 교축방향과 교축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계측장치를 설치하여 교축방향과 교축방향에 수직한 방향의 교량 상판의 변형을 측정할 수 있으며, 주위 온도의 변화에 따른 교량 상판의 허용변형량과 교량 상판의 변형량을 비교하여 교량의 유지보수 판단이 보다 용이한 계측결과를 얻을 수 있다. The bridge seating device equipped with the displacement measurement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measure the deformation of the bridge deck in the direction of the bridge axis and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of the bridge axis by installing the measurement device in the direction of the bridge axis and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bridge axis direction. By comparing the allowable deformation amount of the bridge upper plate and the deformation amount of the bridge upper plate according to the change of, it is possible to obtain a measurement result that makes it easier to determine the maintenance of the bridge.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The effects obtainable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effects,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

도 1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건축용 슬라이딩 탄성받침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슬라이딩 탄성받침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슬라이딩 탄성받침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슬라이딩 탄성받침에 포함된 중간플레이트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a sliding elastic support for constru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liding elastic support for constru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liding elastic support for constru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intermediate plate included in the sliding elastic support for build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may easily practic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In addition, in order to clear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lik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similar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be "connected" to another part, this includes not only the case of being "directly connected" but also the case of being "indirectly connected". In addition, when a par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it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included rather than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본 발명의 설명에 앞서 본 발명에서 나오는 용어에 대해서 설명한다. Prior to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여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있더라도 동일 참조번호를 부여하였으며 당해 도면에 대한 설명 시 필요한 경우 다른 도면의 구성요소를 인용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In assigning reference numbers to elements of a drawing, it has been revealed in advance that the same elements are assigned the same reference numbers even if they are on different drawings, and when necessary, elements of other drawings may be referred to when describing the drawing. Put.

이하에서 방향을 나타내는 '좌측' 및 '우측'이라는 용어는 해당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에서 해당 구성이 '좌측' 및 '우측'에 도시되어 있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실제 해당 구성이 좌측 및 우측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Hereinafter, the terms'left' and'right' indicating directions mean that the configuration is shown on the'left' and'right' in the drawings describing the configuration, and the configuration is actually arranged on the left and right. It doesn't mean it's done

또한, 이하에서 '전방'이라 함은 착용자의 발바닥으로부터 발가락을 향하는 방향이고, '후측'이라 함은 착용자의 발가락으로부터 발바닥을 향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In addition, hereinafter, "front" refers to a direction from the sole of the wearer's toe toward the toe, and "rear" refers to a direction from the wearer's toe toward the sole.

도 1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건축용 슬라이딩 탄성받침(1)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슬라이딩 탄성받침(1)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슬라이딩 탄성받침(1)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슬라이딩 탄성받침(1)에 포함된 중간플레이트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a sliding elastic support for construction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liding elastic support for construction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liding elastic support for building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n internal structure of an intermediate plate included in the sliding elastic support 1 for build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figure shown.

도 1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한 건축용 슬라이딩 탄성받침(1)은 교각(3)의 상면에 고정되는 하부플레이트(20)와, 교량상판(5) 하면에 하부플레이트(20)에 대응되는 위치에 고정되는 상부플레이트(10)와, 상부플레이트(10)의 하면에 고정되며, 하부플레이트(20)의 상면에서 슬라이딩되는 중간플레이트(3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ure 1, a sliding elastic support for constru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 is a lower plate (20)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pier (3), the lower plate (20) on the lower surface of the bridge upper plate (5) And an upper plate 10 fixed to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upper plate 10, and an intermediate plate 30 fix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10 and sliding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plate 20.

상부플레이트(10)는 교량 상판(5)의 하부에 교각(3)에 설치되는 하부플레이트(20)의 위치에 대응하여 설치되는 것으로 그 하면에는, 하부플레이트(20)의 상부에서 슬라이딩되는 중간플레이트(30)가 결합된다.The upper plate 10 is installed to correspond to the position of the lower plate 20 installed on the pier 3 at the lower part of the bridge upper plate 5, and on the lower surface, the intermediate plate sliding from the upper part of the lower plate 20 (30) is combined.

하부플레이트(20)는 건축용 슬라이딩 탄성받침(1)의 기초를 이루는 부분으로 교각(3)의 상면에 앵커와 같은 체결수단과 무수축 몰탈 등을 이용하여 고정된다.The lower plate 20 is a part that forms the basis of the structural sliding elastic support 1 and is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pier 3 by using a fastening means such as an anchor and a non-shrink mortar.

상부플레이트(10)는 교량 상판(5)의 신축에 기초하여 위치가 변경되고, 하부플레이트(20)는 교각(3)의 상면에 위치가 고정된다. 따라서 기설정된 교각(3)과 교량 상판(5) 사이의 상대위치가 변경되게 되면 상부플레이트(10)와 하부플레이트(20)의 상대위치가 변화하게 되는데, 이때 상부플레이트(10)와 하부플레이트(20) 사이에 위치한 중간플레이트(30)는 과도한 응력 및 과도한 변형이 발생해서는 안된다.The position of the upper plate 10 is changed based on the extension of the bridge upper plate 5, and the lower plate 20 is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pier 3. Therefore, when the relative position between the preset piers 3 and the bridge top plate 5 is changed, the relative positions of the upper plate 10 and the lower plate 20 change. At this time, the upper plate 10 and the lower plate ( 20) Intermediate plate 30 located between the excessive stress and excessive deformation should not occur.

한편, 중간플레이트(30)는 상부위치조절키(31) 및 하부위치조절키(32)를 포함할 수 있는데, 상부위치조절키(31)는 상부홈(11)과 체결되고, 하부위치조절키(32)는 하부홈(21)에 체결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intermediate plate 30 may include an upper position adjustment key 31 and a lower position adjustment key 32, the upper position adjustment key 31 is fastened with the upper groove 11, the lower position adjustment key 32 may be fastened to the lower groove 21.

조금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중간플레이트(30)는 저면에, 하부를 향해 돌출형성된 하부위치조절키(32)를 포함하고 상면에, 상부를 향해 돌출형성된 상부위치조절키(31)를 포함할 수 있는데, 상부플레이트(10)는 상부홈(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고 이는 상부위치조절키(31)가 상부홈(11)을 따라 이동하는 것으로 보일 수 있다. 또한, 상부플레이트(10) 및 중간플레이트(30)는 하부홈(21)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데, 이때, 하부위치조절키(32)는 하부홈(21)을 따라 슬라이드운동할 수 있다.To be more specific, the intermediate plate 30 may include a lower position adjustment key 32 protruding toward a lower surface and an upper position adjusting key 31 protruding toward the upper surface. There, the upper plate 10 can mov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upper groove 11, which can be seen as the upper position adjustment key 31 moves along the upper groove (11). In addition, the upper plate 10 and the intermediate plate 30 can be mov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ower groove 21, in which case, the lower position adjustment key 32 can slide along the lower groove 21. .

도 2 내지 도 4 를 참조하여 중간플레이트(30)와 상, 하부플레이트(10, 20)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The intermediate plate 30 and the upper and lower plates 10 and 2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2 to 4.

우선, 상부플레이트(10) 및 하부플레이트(20)에는 각각 홈(11, 21)이 형성될 수 있는데, 상부홈(11) 및 하부홈(21)은 서로 수직하게 형성될 수 있다.First, grooves 11 and 21 may be formed in the upper plate 10 and the lower plate 20, respectively, and the upper groove 11 and the lower groove 21 may be formed perpendicular to each other.

상부플레이트(10)는 중간플레이트(30)에 고정형성된 상부위치조절키(31)가 상부홈(11)에 관통결합된 상태에서 상부홈(11)의 길이방향을 향해 움직일 수 있도록 배치될 수 있다.The upper plate 10 may be arranged to mov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upper groove 11 in a state in which the upper position adjustment key 31 fixed to the intermediate plate 30 is penetratingly coupled to the upper groove 11. .

또한, 하부플레이트(20)는 중간플레이트(30)에 고정형성된 하부위치조절키(32)가 하부홈(21)에 관통결합된 상태에서 하부홈(21)의 길이방향을 향해 움직일 수 있도록 배치될 수 있다. 교량 상판(5)의 위치가 변형되게 되면 중간플레이트(30)가 움직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lower plate 20 is disposed so as to be able to mov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ower groove 21 in a state in which the lower positioning key 32 fixed to the intermediate plate 30 is penetratingly coupled to the lower groove 21. I can. When the position of the bridge upper plate 5 is deformed, the intermediate plate 30 may move.

하부플레이트(20) 및 상부플레이트(10)가 이동하는 경우, 마찰력에 의해 각각의 플레이트(10, 20, 30)가 잘 움직이지 않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각각의 플레이트(10, 20, 30)는 플레이트(10, 20, 30) 사이에서 마찰력이 발생하고 이로 인해 교량의 변형이 있더라도 플레이트(10, 20,30)가 제대로 이동하지 않아 파손의 위험성이 있다.When the lower plate 20 and the upper plate 10 move, each plate 10, 20, and 30 may not move well due to frictional force. Specifically, each plate (10, 20, 30) generates a frictional force between the plates (10, 20, 30), and due to this, even if the bridge is deformed, the plates (10, 20, 30) do not move properly. There is a risk of breakage.

이에 마찰력을 줄여줄 수 있는 구성이 필요한데, 본 발명에서 상부플레이트(10) 및 하부플레이트(20)에는 미끄럼판(12, 22)이 배치될 수 있다.Accordingly, a configuration capable of reducing the frictional force is required. In the present invention, sliding plates 12 and 22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plate 10 and the lower plate 20.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미끄럼판(12, 22)은 중간플레이트(30)와 접촉하여 상부플레이트(10) 및 중간플레이트(30)가 이동할 때 다른 재질에 비해서 마찰력이 적게 발생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미끄럼판(12, 22)은 PTFE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Specifically, when the sliding plates 12 and 22 come into contact with the intermediate plate 30 and move the upper plate 10 and the intermediate plate 30, frictional force may be generated less than that of other materials. To this end, the sliding plates 12 and 22 may be made of a PTFE material.

다시말해, 상부미끄럼판(12)은 상부플레이트(10)의 저면에, 하부미끄럼판(22)은 하부플레이트(20)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는데, 각각의 미끄럼판(12, 22)은 중간플레이트(30)와 접촉하는 동안 중간플레이트(30)가 미끄럼판(12, 22)없이 각각의 플레이트(10, 20)와 접촉하는 것에 비해서 마찰력을 줄일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upper sliding plate 12 may be dispos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upper plate 10, and the lower sliding plate 22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plate 20, each of the sliding plates 12 and 22 While in contact with the plate 30, the frictional force can be reduced compared to the intermediate plate 30 contacting the respective plates 10 and 20 without the sliding plates 12 and 22.

이렇게 중간플레이트(30)가 하부홈(21)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하고, 상부플레이트(10)가 상부홈(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함으로써, 상부플레이트(10), 중간플레이트(20) 및 하부플레이트(30)가 서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나아가 어떠한 방향으로 교량 상판(5)이 이동하더라도 상부플레이트(10) 및 중간플레이트(30)가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어 응력집중 또는 모멘트 등이 발생하지 않는다.In this way, by allowing the intermediate plate 30 to mov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ower groove 21 and the upper plate 10 to mov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upper groove 11, the upper plate 10, the intermediate plate ( 20) and the lower plate 30 can be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furthermore, even if the bridge upper plate 5 moves in any direction, the upper plate 10 and the intermediate plate 30 can easily move, thereby concentrating stress or No moment or the like occurs.

한편, 중간플레이트(30)는 적층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중간플레이트(30)는 하중에 의해 변형되는 탄성부(33)로 형성될 수 있는데, 탄성부(33)는 외부의 힘에 의해 변형될 수 있는 재질, 예를 들어 고무 또는 탄성이 있는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Meanwhile, the intermediate plate 30 may be formed in a stacked structure. Specifically, the intermediate plate 30 may be formed of an elastic portion 33 that is deformed by a load, and the elastic portion 33 is a material that can be deformed by an external force, for example, rubber or elasticity. It can be composed of a material with.

그런데, 중간플레이트(30)가 탄성부(33)로만 구성될 경우, 외력에 의해 중간플레이트(30)가 파손될 수 있다. 따라서 탄성부(33)가 파손되지 않도록 중간플레이트(30)에는 인장 및 전단에 강한 소재가 배치될 수 있다.However, when the intermediate plate 30 is composed of only the elastic portion 33, the intermediate plate 30 may be damaged by an external force. Therefore, a material that is strong against tension and shear may be disposed on the intermediate plate 30 so that the elastic portion 33 is not damaged.

구체적으로 중간플레이트(30)는 탄성부(33)를 포함하고, 탄성부(33)의 내부에는 탄성부(33)가 쉽게 파손되지 않도록 탄성부(33)를 보강하는, 철 소재의 고정부(34)가 배치될 수 있는데, 탄성부(33)와 고정부(34)는 적층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고정부(34)의 소재를 철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일 뿐이고, 고정부(34)는 탄성부(33)가 파손될 정도의 변형을 방지하는, 상대적으로 고무보다 외력에 강해 파손이 쉽게 되지않는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intermediate plate 30 includes an elastic portion 33, and the inside of the elastic portion 33 reinforces the elastic portion 33 so that the elastic portion 33 is not easily damaged, a fixing portion of iron material ( 34) may be disposed, and the elastic part 33 and the fixing part 34 may be disposed in a stacked form. Although the material of the fixing part 34 has been described as iron, this is only an example, and the fixing part 34 is a material that is relatively stronger against external forces than rubber and is not easily damaged, which prevents deformation to the extent that the elastic part 33 is damaged. It can be composed of.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The abov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illustration only,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modified into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type may be implemented in a distributed manner, and similarly, components described as distributed may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ed form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 concept of equality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o.

1: 건축용 슬라이딩 탄성받침
3: 교각
5: 교량 상판
10: 하부플레이트
11: 하부홈
20: 상부플레이트
21: 상부홈
30: 중간플레이트
31: 상부위치조절키
32: 하부위치조절키
1: Sliding elastic support for construction
3: pier
5: bridge deck
10: lower plate
11: lower groove
20: upper plate
21: upper groove
30: middle plate
31: upper position adjustment key
32: lower position adjustment key

Claims (6)

교각의 상면에 고정되는 하부플레이트;
교량 상판 하면에 상기 하부플레이트에 대응되는 위치에 고정되는 상부플레이트; 및
상기 상부플레이트의 하부에 배치되되, 하부플레이트 상에서 슬라이딩하는, 중간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건축용 슬라이딩 탄성받침.
A lower plate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pier;
An upper plate fix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lower plate on a lower surface of the bridge upper plate; And
Doedoe disposed under the upper plate, sliding on the lower plate, a sliding elastic support for construction including an intermediate pla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플레이트는,
상기 중간플레이트의 저면에, 상기 하부플레이트를 향해 하부위치조절키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위치조절키는,
상기 하부위치조절키가 상기 하부플레이트에 형성된 하부홈에 끼워짐에 따라, 상기 하부위치조절키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드운동하는 건축용 슬라이딩 탄성받침.
The method of claim 1,
The intermediate plate,
On the lower surface of the intermediate plate, a lower position control key is formed toward the lower plate,
The lower position control key,
As the lower position adjustment key is fitted into the lower groove formed in the lower plate, a sliding elastic support for construction that slide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ower position adjustment key.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플레이트는,
상기 중간플레이트의 상면에, 상부를 향해 돌출형성되되, 상기 상부플레이트에 형성된 상부홈에 결합되는 상부위치조절키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플레이트는,
상기 상부플레이트에 형성된 상부홈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드운동하는 건축용 슬라이딩 탄성받침.
According to claim 2,
The intermediate plat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intermediate plate, doedoe formed protruding toward the upper portion, and including an upper position control key coupled to the upper groove formed in the upper plate,
The upper plate,
Sliding elastic support for construction that slide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upper groove formed in the upper plate.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홈 및 하부홈은,
서로 수직하게 형성되는 건축용 슬라이딩 탄성받침
The method of claim 3,
The upper groove and the lower groove,
Sliding elastic support for buildings formed perpendicular to each other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플레이트의 저면에는,
PTFE 재질로 형성된 상부미끄럼판이 배치되고,
상기 하부플레이트의 상면에는,
PTFE 재질로 형성된 하부미끄럼판이 배치되는 건축용 슬라이딩 탄성받침.
The method of claim 4,
On the bottom of the upper plate,
An upper sliding plate made of PTFE is arrang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plate,
Sliding elastic support for construction on which the lower sliding plate formed of PTFE is placed.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플레이트는,
하중을 흡수하는 탄성부 및 탄성부가 파괴될 정도로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고정부가 적층형태로 배치되는 건축용 슬라이딩 탄성받침.
The method of claim 5,
The intermediate plate,
Sliding elastic support for construction in which an elastic portion that absorbs a load and a fixing portion that prevents the elastic portion from being deformed to the extent that it is deformed are arranged in a stacked form.
KR1020190013163A 2019-01-31 2019-01-31 Sliding elastic supporting apparatus for construction KR20200095274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3163A KR20200095274A (en) 2019-01-31 2019-01-31 Sliding elastic supporting apparatus for constru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3163A KR20200095274A (en) 2019-01-31 2019-01-31 Sliding elastic supporting apparatus for construc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5274A true KR20200095274A (en) 2020-08-10

Family

ID=720492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3163A KR20200095274A (en) 2019-01-31 2019-01-31 Sliding elastic supporting apparatus for construc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95274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teelman et al. Shear and friction response of nonseismic laminated elastomeric bridge bearings subject to seismic demands
KR101695323B1 (en) Measure Apparatus For Safety Check-Up Of Bridge
CA2296228C (en) Expansion and seismic joint covers
KR102279940B1 (en) Rail attachment system for junction areas
KR20060114589A (en) Apparatus for pulling up a structure and height adjustable bridge bearing utilizing the same
KR101356134B1 (en) Height Adjustable And Excellent Fixing Of The Bridge Bearing
KR101920698B1 (en) Elastic bearing for easy maintenance
KR20200095274A (en) Sliding elastic supporting apparatus for construction
KR20140103464A (en) A bridge bearing apparatus of a friction type and a rubber type reinforced a horizontal stiffness
US4033005A (en) Bearing pad assembly
KR102138940B1 (en) Elastic friction damper using wedge and damping structure using the same
KR102088819B1 (en) Presetting method for bearing and presetting bearing
KR102443244B1 (en) GAP adjustable pedestal shear key
RU2558553C2 (en) Structure support
KR101968531B1 (en) Apparatus for measuring bridge deflection and system having the same
KR102077326B1 (en) Elastic bearing for easy maintenance with a slope resistance function
KR20150062636A (en) height control device
JP7050553B2 (en) Supporting equipment for structures
KR101326640B1 (en) Auto free-setting elastic bearing for bridge and construction method
KR101953013B1 (en) A device for compensating displacement of bridge bearing
KR20120136132A (en) Elastic device and mechanism to control horizontal displacement utilizing a horizontal component of elastic force and bridge bearing using the same
KR102077321B1 (en) Elastic bearing for easy maintenance utilizing wedge members
KR101409400B1 (en) Laminated rubber bearing having hat-shaped steel damper
KR101962665B1 (en) Preset bridge supporter assembly
Revell Quasi-isolated highway bridges: influence of bearing anchorage strength on seismic performan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