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95118A - 장약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장약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95118A
KR20200095118A KR1020190012816A KR20190012816A KR20200095118A KR 20200095118 A KR20200095118 A KR 20200095118A KR 1020190012816 A KR1020190012816 A KR 1020190012816A KR 20190012816 A KR20190012816 A KR 20190012816A KR 20200095118 A KR20200095118 A KR 202000951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ing
charge
unit
fixing device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28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50646B1 (ko
Inventor
윤여길
Original Assignee
한화디펜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디펜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화디펜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128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0646B1/ko
Publication of KR202000951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51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06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06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BEXPLOSIVE CHARGES, e.g. FOR BLASTING, FIREWORKS, AMMUNITION
    • F42B5/00Cartridge ammunition, e.g. separately-loaded propellant charges
    • F42B5/02Cartridges, i.e. cases with charge and missile
    • F42B5/067Mounting or locking missiles in cartridge ca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BEXPLOSIVE CHARGES, e.g. FOR BLASTING, FIREWORKS, AMMUNITION
    • F42B14/00Projectiles or missil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s for guiding or sealing them inside barrels, or for lubricating or cleaning barrels
    • F42B14/06Sub-calibre projectiles having sabots; Sabots therefor
    • F42B14/061Sabots for long rod fin stabilised kinetic energy projectiles, i.e. multisegment sabots attached midway on the projectil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약 고정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상기 바디부를 따라 선형 운동하는 슬라이딩부와, 상기 바디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상기 슬라이딩의 운동에 따라 회전하여 장약을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장약 고정장치{Charge fixing apparatus}
본 발명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장약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장약을 포신에 배치하기 위해서는 밀대 장치(push loading device)로 밀어주어서 장약을 포신 내부로 삽입하거나 장약을 흡입하여 밀대장치에 고정시킨 후 장약을 포신에 삽입하는 방법이 있다.
장약을 단순한 밀대장치로 밀어서 포신에 삽입하는 경우 포신 내부에서 장약의 관성에 의해 장약이 움직임으로써 격발을 위한 이격거리(stand-off)가 허용치 이상으로 커질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밀대 장치에 장약을 고정시키기 위하여 흡입장치(suction device)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별도의 동력원과 흡입장치가 필요할 뿐만 아니라 장약을 고정시키기 위하여 과도한 흡입력을 가하는 경우 장약이 파손될 위험이 있다
이러한 장약을 장착하는 장치와 관련하여서 일본등록특허 제2585082호에 구체적으로 개시되어 있습니다.
일본등록특허 제2585082호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장약 고정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상기 바디부를 따라 선형 운동하는 슬라이딩부와, 상기 바디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상기 슬라이딩의 운동에 따라 회전하여 장약을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장약 고정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부와 상기 바디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슬라이딩부의 운동 시 상기 슬라이딩부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장약을 가력하는 가력부와, 상기 가력부 및 상기 바디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링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는, 상기 가력부에 배치되어 상기 장약과 접촉하는 접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디부 또는 상기 슬라이딩부에 배치되며, 상기 슬라이딩부의 위치에 따라 상기 슬라이딩부를 고정시키는 스토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장약을 자동으로 고정시키고 장약의 장착 후 장약으로부터 자동으로 분리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장약의 장착 시 장약의 파손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약 고정장치를 포함하는 장약 공급장치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장약 고정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장약 고정장치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장약 고정장치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장약 고정장치를 통하여 장약을 장착할 때 장약 고정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장약과 장약 고정장치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2에 도시된 장약 고정장치를 통하여 장약을 장착할 때 장약 고정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장약과 장약 고정장치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2에 도시된 장약 고정장치가 장약으로부터 이탈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2에 도시된 장약 고정장치가 장약으로부터 이탈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약 고정장치를 포함하는 장약 공급장치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장약 공급장치(10)는 다양한 무기 체계에 탑재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장약 공급장치(10)는 지상 고정포, 육상 견인포, 함상 고정포, 차륜형 자주포, 궤도형 자두포 등에 탑재될 수 있다.
이러한 장약 공급장치(10)는 장약 고정장치(100)를 이동시키는 구동부(3), 장약(20)을 포신(1)에 공급하는 장약공급부(2) 및 구동부(3)에 연결되는 장약 공급장치(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경우 장약 고정장치(100)는 포신(1)에 포탄(B)을 삽입한 후 장약(20)을 포신(1)에 삽입 시 장약(20)을 가압할 수 있으며, 장약(20)의 배치가 완료된 후 장약 고정장치(100)는 장약(20)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때, 장약 고정장치(100)는 일부가 포신(1)에 배치된 기본링(1-1)에 일부가 걸리게 되고 이에 따라 장약(20)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서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장약 고정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장약 고정장치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장약 고정장치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장약 고정장치(100)는 바디부(110), 슬라이딩부(120), 고정부(130), 탄성부(140) 및 스토퍼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부(110)는 하우징(111)과 하우징커버(112)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11)은 내부에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11)은 슬라이딩부(120)가 삽입되어 선형 운동할 수 있다. 이때, 하우징(111)에는 슬라이딩부(120)가 삽입되도록 홀이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커버(112)는 하우징(111)을 차폐시킬 수 있다. 이때, 하우징커버(112)는 외부로 돌출되어 구동부(미도시)와 연결되는 연결부(113)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부(110)는 하우징(111) 내부에 배치되어 탄성부(140)를 지지하고, 슬라이딩부(120)의 선형 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11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가이드부(114)는 일단이 하우징커버(112)에 고정될 수 있으며, 타단은 하우징(111) 내부로 돌출될 수 있다.
슬라이딩부(120)는 하우징(111)에 삽입되어 하우징(111) 내측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다. 슬라이딩부(120)는 장약(20)의 일면에 접촉하는 지지부(121) 및 지지부(121)와 연결되며, 지지부(121)에서 하우징(111) 측으로 돌출되는 운동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121)는 장약(20)과 접촉하는 면적을 증대시키도록 운동부(122)의 단면보다 면적이 넓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지지부(121)는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장약(20)과 접촉하는 지지부(121)의 표면은 실리콘, 고무 등과 같은 탄성재질이 도포될 수 있다. 운동부(122)는 내부에 가이드부(114) 및 탄성부(140)가 삽입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운동부(122)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될 수 있으며, 다각 기둥 또는 원기둥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운동부(122)는 고정부(130)와 연결되어 고정부(130)를 회전시키도록 외주면에 랙기어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랙기어는 운동부(122)의 길이 방향(예를 들면, 운동부(122)의 운동 방향)으로 길게 배치될 수 있다.
고정부(130)는 바디부(110)에 회전 가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고정부(130)는 복수개 구비될 수 있으며, 복수개의 고정부(130)는 바디부(110)의 중심을 기준으로 인접하는 고정부(130)와 형성하는 각도가 일정할 수 있다. 즉, 복수개의 고정부(130)는 바디부(110)의 외면을 따라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고정부(130)는 바디부(1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링크부(13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고정부(130)는 링크부(131)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가력부(132)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130)는 가력부(132)에 배치되어 장약(20)에 접촉하는 접촉부(133)를 포함할 수 있다.
링크부(131)는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제1 링크(131-1)와 제2 링크(131-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링크(131-1)와 제2 링크(131-2)는 가력부(132)가 너무 빠르게 회전하거나 너무 많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가력부(132)는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가력부(132)는 표면이 만곡지게 형성되어 장약(20)의 내부면에 대응될 수 있다. 또한, 가력부(132)는 금속 재질로 형성되어 어느 정도 강도를 확보할 수 있다.
접촉부(133)는 가력부(132)의 표면에 배치되어 장약(20)과 접촉할 수 있다. 이때, 접촉부(133)는 가력부(132)가 장약(20)을 가력 시 장약(20)에 과도한 힘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가력부(132)와 장약(20) 사이의 결합력을 유지하도록 고무, 실리콘 등과 같은 탄성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고정부(130)와 슬라이딩부(120) 사이에는 기어부(160)가 배치되어 슬라이딩부(120)와 고정부(130)를 연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어부(160)는 바디부(110)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며, 슬라이딩부(120)의 랙기어와 연결되는 제1 기어(161) 및 제1 기어(161)와 연결되며, 링크부(131)와 연결되는 제2 기어(16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2 기어(162)는 바디부(110)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제1 기어(161)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여 링크부(131)를 회전시킬 수 있다.
탄성부(140)는 가이드부(114)와 운동부(122) 사이에 배치되어 운동부(122)에 삽입될 수 있다. 이때, 탄성부(140)는 운동부(122)의 운동 시 압축됨으로써 운동부(122)의 운동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운동부(122)에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탄성부(140)는 코일 스프링, 고무, 실리콘 등으로 형성된 탄성바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스토퍼부(150)는 바디부(110) 또는 슬라이딩부(120)에 배치되어 슬라이딩부(120)의 운동에 따라 슬라이딩부(120)를 고정시킬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바디부(110) 또는 슬라이딩부(120) 중 다른 하나에는 슬라이딩부(120)가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삽입홈(123)이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스토퍼부(150)가 바디부(110)에 배치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스토퍼부(150)는 바디부(110)에 선형 운동하도록 배치되는 스토퍼(151) 및 스토퍼(151)와 바디부(110) 사이에 배치되어 스토퍼(151)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토퍼탄성부(15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스토퍼(151)는 바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끝단이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스토퍼탄성부(152)는 상기에서 설명한 탄성부(140)와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스토퍼탄성부(152)는 스토퍼(151)의 끝단과 바디부(11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써 스토퍼탄성부(152)는 스토퍼(151)의 외면을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스토퍼(151)에는 스토퍼탄성부(152)의 일단을 지지하도록 돌기 등이 형성될 수 있다.
운동부(122)에는 스토퍼(151)의 끝단이 선택적으로 결합하는 삽입홈(123)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삽입홈(123)의 내면은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삽입홈(123)은 반구 형태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장약 고정장치(100)의 작동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장약 고정장치를 통하여 장약을 장착할 때 장약 고정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장약과 장약 고정장치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2에 도시된 장약 고정장치를 통하여 장약을 장착할 때 장약 고정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장약과 장약 고정장치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8을 참고하면, 장약(20)을 장착하는 경우 장약공급부(미도시)는 장약(20)을 포신(1)의 후면 개구부에 배치할 수 있다. 이후 구동부(미도시)가 작동하면, 장약 고정장치(100)는 장약(20)을 포신(1) 내부로 공급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장약(20)은 외부 표면을 형성하는 소진케이스(21), 소진케이스(21) 내부에 배치되는 추진제(22) 및 추진제(22) 내부에 배치되는 점화제(2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소진케이스(21)는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추진제(22)의 후단보다 일부가 장약 고정장치(100) 측으로 더 돌출되는 소진케이스돌출부(21-1)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소진케이스돌출부(21-1)는 내부 공간을 형성할 수 있으며, 장약 고정장치(100)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가 작동하여 장약 고정장치(100)를 선형 운동시키는 경우 장약 고정장치(100)는 장약(20)과 함께 포신(1)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이후 장약(20)이 포신(1)의 내부에서 움직임을 멈추는 경우 장약(20)에 접촉한 지지부(121)에 장약(20)이 힘을 가할 수 있다.
지지부(121)에 힘이 가해지면, 지지부(121)의 움직임은 멈추고, 상기 구동부의 작동에 따라 바디부(110)가 계속해서 포신(1) 내부로 진입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운동부(122)는 바디부(110) 내부로 더 삽입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슬라이딩부(120)가 바디부(110)에 대해서 상대 운동하는 경우 탄성부(140)는 압축될 수 있다. 탄성부(140)는 가이드부(114)를 따라 압축됨으로써 형상이 변하거나 압축 경로를 이탈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슬라이딩부(120)가 상기와 같이 바디부(110)에 대해서 상대 운동하는 경우 스토퍼(미도시)는 바디부(110) 내부에 삽입된 상태일 수 있다. 이때, 스토퍼탄성부(미도시)는 상기 스토퍼에 탄성력을 지속적으로 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운동부(122)가 바디부(110)에 대해서 상대 운동하는 경우 운동부(122) 표면의 랙기어는 제1 기어(161)를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기어(161)는 제2 기어(162)를 회전시키고, 제2 기어(162)는 제1 링크(131-1)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때, 제1 링크(131-1)의 회전에 따라서 제2 링크(131-2)도 회전하고, 가력부(132) 및 접촉부(133)도 회전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가력부(132) 및 접촉부(133)는 소진케이스돌출부(21-1)에 근접하도록 이동할 수 있다. 즉, 상기와 같은 경우 가력부(132)와 접촉부(133)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경우 접촉부(133)는 소진케이스돌출부(21-1)의 내면에 접촉할 수 있다. 이때, 복수개의 고정부(130)의 접촉부(133)는 동시에 소진케이스돌출부(21-1)의 내면에 접촉할 수 있다. 또한, 지지부(121)는 장약(20)에 완전히 밀착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지지부(121)와 접촉부(133)은 장약(20)에 완전히 고정될 뿐만 아니라 장약(20)과의 접촉면적이 증대됨으로써 장약(20)이 움직이거나 장약(20)의 위치가 변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장약(20)이 포신(1)의 일정 위치에 배치되면서 장약 고정장치(100)가 포신(1)을 완전히 고정시키면 상기 스토퍼의 끝단은 운동부(122)에 배치된 삽입홈(미도시)에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스토퍼탄성부는 상기 스토퍼를 상기 삽입홈 내부로 가력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경우 상기 스토퍼는 운동부(122)의 위치를 고정시킴으로써 슬라이딩부(120)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도 9는 도 2에 도시된 장약 고정장치가 장약으로부터 이탈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2에 도시된 장약 고정장치가 장약으로부터 이탈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고하면,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장약(20)을 포신(1) 내부의 공간에 배치한 후 장약 고정장치(100)를 포신(1) 외부로 인출할 수 있다.
장약 고정장치(100)를 포신(1) 외부로 인출하는 경우 장약(20)은 장약 고정장치(100)와 함께 이동할 수 있다. 이때, 포신(1)에는 기본링(1-1)이 배치된 상태이므로 장약(20)이 더 이상 포신(1)의 외부로 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본링(1-1)의 내경은 포신(1)의 내경보다 작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기본링(1-1)은 포신(1)의 내면과 기본링(1-1) 내면 사이에서는 단차가 발생할 수 있다. 이때, 장약(20)이 포신(1)에 삽입되는 경우 장약(20)은 기본링(1-1)에 삽입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소진케이스(21)는 포신(1)에 먼저 삽입되는 부분이 다른 부분보다 작게 형성되거나 포신(1)의 후단에 배치되는 기본링(1-1)의 개구부가 기본링(1-1)의 다른 부분보다 더 크게 형성됨으로써 장약(20)이 포신(1)에 자유롭게 삽입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기본링(1-1)을 통과한 장약(20)은 장약 고정장치(100)가 후퇴하는 경우 소진케이스돌출부(21-1)가 기본링(1-1)과 포신(1) 사이의 단차에 걸릴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소진케이스돌출부(21-1)는 기본링(1-1)에 의해 움직이지 않을 수 있다.
장약(20)이 포신(1)에 걸리는 경우 구동부(미도시)는 장약 고정장치(100)에 지속적으로 힘을 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구동부의 작동에 따라 바디부(110)는 후퇴할 수 있다.
바디부(110)의 후퇴에 따라 바디부(110)와 운동부(122)는 서로 상대 운동을 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스토퍼(미도시)는 삽입홈(미도시)로부터 이탈되어 바디부(110)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스토퍼의 끝단은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라운드지게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은 상기 스토퍼의 끝단에 대응되도록 형성됨으로써 바디부(110)와 운동부(122)의 상대 운동 시 일정한 힘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삽입홈 내부로부터 자연스럽게 인출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는 바디부(110) 내부로 삽입되고 스토퍼탄성부(미도시)는 다시 압축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가 상기 삽입홈으로부터 이탈되면 탄성부(140)는 초기 길이로 복귀하면서 운동부(122)에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지지부(121)는 바디부(110)로부터 멀어질 수 있다.
운동부(122)와 바디부(110) 사이의 상대 운동에 의하여 운동부(122)의 표면에 배치된 랙기어는 제1 기어(161)를 회전시키고 제1 기어(161)는 제2 기어(162)를 회전시킬 수 있다.
제2 기어(162)는 제1 링크(131-1)와 연결되어 제1 링크(131-1)를 회전시키고, 제1 링크(131-1)의 회전에 따라 제2 링크(131-2), 가력부(132) 및 접촉부(133)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부(133)는 소진케이스돌출부(21-1)의 내면으로부터 이탈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경우 장약 고정장치(100)는 장약(20)으로부터 이탈이 가능한 상태가 되며, 상기 구동부의 작동에 따라 장약(20)은 포신(1) 내부에 배치한 상태로 후퇴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장약 고정장치(100)는 다양한 방향에서 장약(20)과 접촉하여 장약(20)을 고정시킴으로써 안정적으로 장약(20)의 위치 및 자세를 유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장약 고정장치(100)는 소진케이스(21) 내면을 복수개의 부분에서 접촉하므로 소진케이스(21)의 파손이나 손상을 방지할 수잇다.
장약 고정장치(100)는 장약(20)을 포신(1)에 배치한 후 자동으로 장약(20)으로 이탈하는 것이 가능하다.
장약 고정장치(100)는 기구적으로 장약(20)을 고정시키거나 장약(20)으로부터 해제됨으로써 장약(20)을 고정시키기 위한 별도의 장치가 불필요하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에는 본 발명의 요지에 속하는 한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1: 포신 122: 운동부
10: 장약 공급장치 123: 삽입홈
20: 장약 130: 고정부
21: 소진케이스 131: 링크부
100: 장약 고정장치 132: 가력부
110: 바디부 133: 접촉부
114: 가이드부 140: 탄성부
120: 슬라이딩부 150: 스토퍼부
121: 지지부 160: 기어부

Claims (5)

  1. 바디부;
    상기 바디부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상기 바디부를 따라 선형 운동하는 슬라이딩부; 및
    상기 바디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상기 슬라이딩의 운동에 따라 회전하여 장약을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장약 고정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부와 상기 바디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슬라이딩부의 운동 시 상기 슬라이딩부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를 더 포함하는 장약 고정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장약을 가력하는 가력부; 및
    상기 가력부 및 상기 바디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링크부;를 포함하는 장약 고정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가력부에 배치되어 상기 장약과 접촉하는 접촉부;를 더 포함하는 장약 고정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 또는 상기 슬라이딩부에 배치되며, 상기 슬라이딩부의 위치에 따라 상기 슬라이딩부를 고정시키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장약 고정장치.
KR1020190012816A 2019-01-31 2019-01-31 장약 고정장치 KR1026506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2816A KR102650646B1 (ko) 2019-01-31 2019-01-31 장약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2816A KR102650646B1 (ko) 2019-01-31 2019-01-31 장약 고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5118A true KR20200095118A (ko) 2020-08-10
KR102650646B1 KR102650646B1 (ko) 2024-03-25

Family

ID=720496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2816A KR102650646B1 (ko) 2019-01-31 2019-01-31 장약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064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85082Y2 (ja) 1993-06-29 1998-11-11 三菱農機株式会社 代掻同時植付機における代掻ローター
EP2898281B1 (de) * 2012-09-19 2016-11-09 Krauss-Maffei Wegmann GmbH & Co. KG Treibladungsansetzer, waffe und verfahren zum ansetzen von treibladunge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85082Y2 (ja) 1993-06-29 1998-11-11 三菱農機株式会社 代掻同時植付機における代掻ローター
EP2898281B1 (de) * 2012-09-19 2016-11-09 Krauss-Maffei Wegmann GmbH & Co. KG Treibladungsansetzer, waffe und verfahren zum ansetzen von treibladung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50646B1 (ko) 2024-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7116826A5 (ko)
US9541361B2 (en) Shell
KR101335628B1 (ko) 전자기기용 팝업 모듈
RU2482424C2 (ru) Опорный узел для удержания снаряда в стволе орудия, заряжаемого с казенной части, и способ его крепления
KR20200086308A (ko) 지지 구조체
KR20200095118A (ko) 장약 고정장치
KR100230722B1 (ko) 쐐기형 전기콘넥터를 전기배분네트워크의 도선들에 적용하기 위한구
KR101824009B1 (ko) 유도탄 케이블 분리장치
KR20170072648A (ko) 포탄 및 장약을 위한 복합장전장치 및 복합장전방법
CN106640869B (zh) 锁紧装置
GB2484536A (en) Magazine
CA2910962A1 (en) Minigun with improved access door
KR101853264B1 (ko) 무장 장착대
KR200479508Y1 (ko) 스터드 용접기용 리프팅유닛
US11577031B2 (en) Automatic injection device with improved syringe retention
KR100256535B1 (ko) 전차용 탄의 자동장전장치 및 클램프장치
KR20110081652A (ko) 탄 고정장치
JP6207450B2 (ja) 抜弾装置及び方法
US11117211B2 (en) Spot welding electrode housing apparatus
US3144775A (en) Arm holding and extending means
WO2021086275A1 (en) Capacity increasing magazine extension in semi-automatic and pump-action hunting rifles
US11137238B2 (en) Magazine retention assembly and associated accessories
KR101310234B1 (ko) 전자기기용 팝업 모듈
JP5942072B1 (ja) 充電装置
CN220626830U (zh) 一种快拆把手及保护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