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94133A - 내부 캐리어 시트를 갖는 용량성 터치 패널 유닛 - Google Patents

내부 캐리어 시트를 갖는 용량성 터치 패널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94133A
KR20200094133A KR1020207011876A KR20207011876A KR20200094133A KR 20200094133 A KR20200094133 A KR 20200094133A KR 1020207011876 A KR1020207011876 A KR 1020207011876A KR 20207011876 A KR20207011876 A KR 20207011876A KR 20200094133 A KR20200094133 A KR 202000941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panel
panel unit
capacitive touch
control system
carrier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118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머렉 우즈니악
마리우스 카지크
Original Assignee
메릿 오토모티브 일렉트로닉스 시스템즈 에스.엘.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메릿 오토모티브 일렉트로닉스 시스템즈 에스.엘.유 filed Critical 메릿 오토모티브 일렉트로닉스 시스템즈 에스.엘.유
Publication of KR202000941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413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94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control signals are generated
    • H03K17/96Touch switches
    • H03K17/962Capacitive touch switches
    • H03K17/9622Capacitive touch switches using a plurality of detectors, e.g. keyboar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2217/00Indexing scheme related to 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or -breaking covered by H03K17/00
    • H03K2217/94Indexing scheme related to 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or -breaking covered by H03K17/00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control signal is generated
    • H03K2217/96Touch switches
    • H03K2217/9607Capacitive touch switches
    • H03K2217/960755Constructional details of capacitive touch and proximity switch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2217/00Indexing scheme related to 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or -breaking covered by H03K17/00
    • H03K2217/94Indexing scheme related to 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or -breaking covered by H03K17/00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control signal is generated
    • H03K2217/96Touch switches
    • H03K2217/9607Capacitive touch switches
    • H03K2217/960785Capacitive touch switches with illumin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witches That Are Operated By Magnetic Or Electric Field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어 시스템의 용량성 터치 패널 유닛(1)에 관한 것으로 이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활성화하는 영역(21)으로 표시된 커버(2), 상기 커버(2) 아래에 소정의 거리에 배치되고 제어 시스템의 다른 구성요소들과 상기 유닛을 접속하기 위한 전기 인터페이스가 제공되는 강성 지지체(4), 상기 활성화하는 영역(21) 아래에서 그것의 내부 측에서 상기 커버와 인접하고 상기 지지체(4)의 상기 전기 인터페이스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적어도 하나의 도전성의 용량성 영역(383)을 포함한다. 비용면에서 효율적이고 제작 및 조립이 간단한 터치 패널 유닛을 제공하기 위해, 그것은 도전성 패턴(38)으로 코팅되고 적어도 하나의 폴딩 라인(A)을 가지는 캐리어 시트(3)를 포함하고, 이러한 폴딩 라인(A)은 상기 폴딩 라인(A)의 일 측에 배치되는 앞 섹션(31)과 상기 폴딩 라인(A)의 다른 측에 배치되는 뒤 섹션(32)을 규정하고, 상기 앞 섹션(31)에서는 상기 패턴(38)이 용량성 영역(383)을 포함하고, 상기 뒤 섹션(32)에서는 패턴(38)이 상기 용량성 패턴(383)과 접속된 적어도 하나의 접속 패드(381)를 포함하며, 상기 접속 패드(381)는 상기 지지체(4)의 상기 전기 인터페이스의 접속 패드(41)와 접속되기 쉽고, 상기 캐리어 시트(3)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폴딩 라인(A)을 따라 접히며 용량성 터치 패널 유닛(1)이 조립된다.

Description

내부 캐리어 시트를 갖는 용량성 터치 패널 유닛
본 발명은 제어 시스템의 용량성 터치 패널 유닛에 관한 것으로, 이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활성화하는 영역이 표시된 커버, 상기 커버 아래의 소정 거리에 배치되고 상기 유닛을 제어 시스템의 다른 구성요소들과 연결하기 위한 전기 인터페이스가 제공되는 강성 지지체, 상기 활성화하는 영역 아래에서 그것의 내부 측에서 상기 커버와 인접하고 상기 지지체의 상기 전기 인터페이스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적어도 하나의 도전성의 용량성 영역을 포함한다.
이러한 종류의 용량성 터치 패널들은 자동차 산업에서 차량의 다양한 구성요소들 및 서브 시스템들을 제어하는 패널들로서 자주 사용된다. 그것들은 일반적으로 차량 조립 라인에서 차량 대시보드(dashboard)에 기계적으로 고정되고 차량 배선에 전기적으로 고정되는 소형의 사전 조립된 유닛들을 형성한다. 이를 위해, 지지체는 보통 이러한 사전 조립된 유닛을 적절한 슬롯 소켓으로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는 에지를 구비한 인쇄 회로 기판의 형태를 가지며, 용량성 영역은 보통 커버 바로 아래에 위치된 신축성 있는 포일(flexible foil) 상에 각인된다(imprinted).
공보 US2015268756은 각각 별개의 제1 분리 영역 및 제2 분리 영역들 및 제1 층 에지 및 제2 층 에지들을 갖는 기판 및 마이크로-와이어 층을 포함하는 다중-영역 마이크로-와이어 구조를 개시한다. 제2 층 에지는 제1 층 에지와는 상이하고 제2 영역은 제1 영역보다 크다. 하나 이상의 제1 마이크로-와이어 전극들과 하나 이상의 제1 접속 패드들은 제1 영역에서 마이크로-와이어 층에 위치한다. 하나 이상의 제2 마이크로-와이어 전극들과 하나 이상의 제2 접속 패드들은 제2 영역에서 마이크로-와이어 층에 위치한다. 각각의 마이크로-와이어 전극들은 하나 이상의 전기적으로 연결된 마이크로-와이어들을 포함한다. 각각의 제1 접속 패드 또는 제2 접속 패드는 제1 층 에지 또는 제2 층 에지에 인접하게 위치되고 각각 대응하는 제1 마이크로-와이어 전극 또는 제2 마이크로-와이어 전극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일 실시예에서 기판과 마이크로-와이어 층은 기판이 제1 영역과 제2 영역 사이에 있도록 간격 영역(spacing area)에서 접힌다. 이 실시예에서 접힌 간격 부분은 절단선(cut line)을 따라 절단함으로써 잘려진다.
공보 US2017139511은 복수의 센서 전극들, 센서 전극들로부터 연장하는 와이어들, 및 기판으로의 연결을 위한 연결부를 갖는 센서 시트를 포함하는 터치 센서를 개시한다. 센서 시트는 센서 전극들이 형성되는 몸체부와, 몸체부로부터 돌출하고 단자(terminal)를 포함하는 꼬리부(tail portion)로 형성된다. 꼬리부의 적어도 한 부분 상에는 보호층이 쌓인다. 센서 시트가 영구적으로 구부러진 접힌 부분이 보호층이 쌓이는 꼬리부에 형성된다.
그러므로 비용면에서 효율적이고 제작 및 조립이 간단한 용량성 터치 패널 유닛을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이다.
본 발명에 따른, 처음에 언급된 정류의 용량성 터치 패널 유닛은 도전성 패턴으로 코팅되고 적어도 하나의 폴딩 라인(folding line)을 가지는 캐리어 시트(carrier sheet)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이러한 폴딩 라인은 상기 폴딩 라인의 일 측에 배치된 앞 섹션과 상기 폴딩 라인의 다른 측에 배치된 뒤 섹션을 규정하며, 상기 앞 섹션에서는 상기 패턴이 용량성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뒤 섹션에서는 패턴이 상기 용량성 영역과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접속 패드를 포함하며, 상기 접속 패드는 상기 지지체의 상기 전기 인터페이스의 접속 패드와 연결되기 쉬운데 반해, 상기 캐리어 시트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폴딩 라인을 따라 접히고 용량성 터치 패널 유닛이 조립된다.
접속 패드들이 프리텐션(pretension) 하에서 강성 지지체와 협력하고 추가 커넥터가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본 발명은 구별되는 부품의 개수를 최소화하여 비용들을 낮춘다. 조립 또한 간단한 선형 공정인데, 이는 특별한 구성요소들이 (포일(foil)) 연결기들에서 기존의 오류가 발생하기 쉬운 스틱(stick)을 사용할 필요성 없이 하나씩 조립되기 때문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도전성 패턴은 패드 인쇄, 레이저 인쇄, 잉크 인쇄, 스프레이(spray) 인쇄 또는 스크린 인쇄 공정에서 도전성 잉크, 페인트(paint) 또는 래커(lacquer)로 코팅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캐리어 시트는 탄성중합체이고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투명하다.
그러한 탄성중합체 캐리어 시트는 고무 또는 실리콘으로부터 편리하게 그리고 비용면에서 효율적이게 제작될 수 있는 데 반해, 투명성은 배면광(backlit)이 활성화하는 영역(activating area)들로 옮겨지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캐리어 시트의 두께는 실질적으로 상기 커버와 상기 지지체 사이의 거리의 절반에 대응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캐리어 시트의 상기 앞 섹션과 상기 뒤 섹션은 적어도 하나의 폴딩 브릿지(folding bridge)로 상기 폴딩 라인의 영역에서 연결된다.
바람직하게 그러한 경우 상기 폴딩 브릿지의 두께는 상기 캐리어 시트의 상기 앞 섹션과 상기 뒤 섹션의 두께보다 좁다.
바람직하게 상기 강성 지지체는 상기 커버에 고정된 인쇄 회로 기판(printed circuit board)의 형태를 가진다.
바람직하게 상기 도전성 패턴은 가딩 패턴(guarding pattern)을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캐리어 시트의 상기 앞 섹션과 상기 뒤 섹션에는 적어도 하나의 배면광 개구가 제공되고 상기 강성 지지체에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접힌 캐리어 시트의 상기 배면광 개구에 배치된, 발광 다이오드의 형태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광원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그러한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면광 개구는 렌즈, 다이어프램(diaphragm) 및/또는 필터 층으로 덮인다.
바람직하게 상기 캐리어 시트의 상기 앞 섹션과 상기 뒤 섹션에는 서로 매칭되는 돌출부들과 함몰부들이 제공되고 상기 캐리어 시트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폴딩 라인을 따라 접힌다.
바람직하게 상기 캐리어 시트의 상기 앞 섹션 및/또는 상기 뒤 섹션에는 원주형 실링 플랜지(circumferential sealing flange)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공된다.
이러한 종류의 플랜지들은 지지층과 커버의 위치 선정을 용이하게 하고 추가적인 물 및 먼지 보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들과 관련되어 아래에서 기술되고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용량성 터치 패널의 개략적인 사시 분해도(도 1a) 및 저면도(도 1b).
도 2는 접히지 않은 상태에 있는 탄력 있는 지지층을 예시하고, 각각 외부도(도 2a), 측면도(도 2b), 내부도(도 2c) 및 저면도(도 2d)를 예시하는 도면.
도 3은 접힌 상태에 있는 탄력 있는 지지층을 예시하고, 각각 정면도(도 3a), 측면도(도 3b), 배면도(도 3c) 및 저면도(도 3c)를 예시하는 도면.
도 4는 접히지 않은 상태(도 4a)와 접힌 상태(도 4b)에 있는 탄력 있는 지지층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5는 용량성 터치 패널의 또 다른 실시예의 개략적인 단면도.
본 발명에 따른 용량성 터치 패널 유닛(1, 1a)의 제시된 실시예들은 자동차의 다양한 구성요소들과 서브시스템들을 제어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널 유닛(1)은 플라스틱 커버(2), 탄성중합체 캐리어 시트(3) 및 인쇄 회로 기판의 형태를 갖는 강성 지지체(4)를 포함한다. 커버(2)는 그것의 외부측에서 차량의 설정들, 네비게이션, 통신 등과 같은 차량의 서브시스템들의 기능성을 턴 온 및 턴 오프 또는 변경하기 위해 차량의 운전자 또는 승객에 의해 터치되도록 이용 가능한 개략적으로 도시된 활성화하는 영역(21)들로 표시된다(marked). 활성화하는 영역(21)들이 단지 접촉(활성화)될 수 있는 커버(2)의 영역들을 구별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일상의 페인트로 페인트되고, 에칭되고, 엠보싱되고, 투영되고, 배면광되고(backlit), 조명되고 또는 관련 분야 기술로부터 알려진 방식으로 딴 방법으로 마킹될 수 있다.
기판(4)은 기판(4)과 커버의 내부 표면(23) 사이의 거리(T)(도 5 참조)가 동일하게 남아 있는 방식으로 커버(2)의 장착 구멍(22)들 내부에서 나사 조임이 이루어진 다수의 장착 나사(24)들(도 5 참조)에 의해 커버에 고정된다. 탄성중합체 시트로부터 모양이 만들어진 탄성중합체 캐리어 시트(3)는 아래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기판(4)과 커버(2) 사이의 이러한 공간에 배치된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탄성중합체 캐리어 시트(3)는 거의 일정한 두께(t)를 가지고 2개의 거의 직사각형인 평행한 섹션들, 즉 섹션들(31, 32)의 더 긴 변들로부터 돌출된 2개의 폴딩 브릿지(33)들에 의해 폴딩 라인(A)을 따라 서로 연결된 앞 섹션(31)과 뒤 섹션(32)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앞 섹션(31)은 커버(2)의 장착 구멍(22)들 내로 나사조임이 이루어진 장착 나사(24)들을 수용하기 위한 2개의 개구(34)들을 포함한다. 앞 섹션(31)은 또한 그것의 내부 측에서 그것의 표면에 대해 직각으로 돌출하도록 모양이 정해지고 뒤 섹션(32) 안쪽의 오목하게 된 부분으로서 모양이 정해진 2개의 고정 슬롯(36)들과 협력하도록 구성되는 2개의 고정 핀(35)들을 포함한다. 또 시트(3)는 앞 섹션(31)과 뒤 섹션(32)에서 2개의 컬럼(column)들에 배치된 4쌍의 배면광 스루 개구(backlit through opening)(37)들을 포함한다. 핀(35)들, 슬롯(36)들 및 개구(37)들의 기능성은 아래에서 설명될 것이다.
시트(3)의 외부 측은 인쇄된 패턴(38)을 형성하기 위해 패드 인쇄(탐포-프린팅(tampo-printing)이라고도 알려진) 공정에서 도전성 페인트로 코팅되었다. 앞 섹션(31)에서 패턴(38)은 각각 대응하는 배면광 개구(37)를 둘러싸는 4개의 고리 모양의 용량성 영역(383)들과, 그라운드(ground), 용량성 영역(383)들 사이의 공간들에 배치된 가딩 패턴(guarding pattern)(384)을 포함한다. 뒤 섹션(32)에서는 패턴(38)이 5개의 거의 동일 직선상의 접속 패드(381)들을 포함하고, 이 경우 각각의 접속 패드(381)는 4개의 용량성 영역(383)들 중 하나 또는 폴딩 브릿지(33)들을 통과하는 연결 트랙(382)에 의해 캐리어 시트(3)의 앞 섹션(31)에서 코팅된 가딩 패턴(384)과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2개의 최상단(도면에 대하여) 용량성 영역(383)들 및 가딩 패턴(384)에 대응하는 3개의 트랙(382)들이 상부 폴딩 브릿지(33)를 통해 안내되고, 나머지 것들은 하부 폴딩 브릿지(33)를 통해 안내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앞 섹션(31) 또는 뒤 섹션(32)의 두께(t)들의 합인 두께(T)를 가지는 소형의 구성요소를 형성하기 위해, 도 2d에 도시된 폴딩 브라켓(5)을 사용하여, 캐리어 시트(3)가 폴딩 라인(A)을 따라 조립 전에 접힌다.
폴딩 동작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폴딩 브릿지(33)들의 두께는 앞 섹션(31)과 뒤 섹션(32)에서 캐리어 시트(3)의 두께(t)보다 좁다. 폴딩 후 고정 핀(35)들이 접힌 캐리어 시트(3)를 프리텐션(pretension)하는 고정 슬롯(36)들에 수용된다.
접힌 캐리어 시트(3)는 커버(2)와 인쇄 회로 기판(4) 사이에 고정되고 접속 패드(381)들은 기판(4)에 제공된 접속 패드(41)들과 인접한다.
본 실시예에서, 인쇄 회로 기판(4)에는 커버(2)의 활성화하는 영역(21)들에 대응하는 4개의 발광 다이오드(42)들이 제공된다. 각 다이오드(42)는 접힌 캐리어 시트(3)의 배면광 개구(37)에 배치되어, 내부 표면(23)과 또한 커버(2)의 활성화하는 영역(21)들을 비추기 위해 개구(37)를 통해 광이 지나가는 것을 허용한다.
차량의 운전자 또는 승객에 의한 커버(2)의 터치는 전기장에 영향을 미치고, 그것의 커패시턴스는 쉽게 측정될 수 있다. 가딩 패턴(384)은 특히 커버(2)의 특별한 활성화하는 영역(21)들 사이의 여역들에서 기생 용량의 제거를 가능하게 한다.
배면광 개구(37)들은 도 5에 도시된 패널(1a)의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371)로 덮일 수 있다. 여기서 렌즈(371)는 앞 섹션(31)에 성형되고 개략적으로 예시된 바와 같이 LED(42)에 의해 발생된 광의 원뿔체(cone)를 연장시켜 활성화하는 영역(21)의 조명도를 증가시킨다. 명백히 그러한 렌즈 층은 각 배면광 개구(37)를 위해 따로따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패널(1a)의 이러한 실시예에서는 뒤 섹션(32)에 PCB(4)의 위치 선정을 용이하게 하는 실링 플랜지(321)가 제공된다.
명백히, 본 발명의 용량성 터치 패널은 2개 이상의 캐리어 시트(3)를 포함할 수 있고, 각각의 캐리어 시트(sheer)에는 다수의 앞 섹션 및 뒤 섹션(31, 32)을 규정하는 2개 이상의 폴딩 라인(A)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앞 및 뒤 섹션(31, 32)은 접힌 캐리어 시트(3)의 내부 측에서 서로 인접할 필요는 없고 일부 추가 층, 특히 배면광 개구(37)들의 영역들에서 렌즈 층에 의해 분리될 수 있다.
또 지지체(4)의 접속 패드(41)들에는 전도도를 증가시키는 선택적인(optional) 돌출부(projection)들이 제공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이들 및 다른 실시예들은 단지 예시적이다. 도면들은 반드시 실제 비율로 그려진 것은 아니고, 일부 특징들은 과장되거나 최소화될 수 있다. 하지만 이들 및 다른 요인들은 본 발명의 취지를 제한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서는 안 되고, 본 발명의 의도된 보호 범주는 첨부된 청구항들에 나타나 있다.
1: 용량성 터치 패널 유닛
2: 커버
21: 활성화하는 영역
22: 장착 구멍
23: 내부 표면
24: 장착 나사
3: 탄성중합체 캐리어 시트
31: 앞 섹션
32: 뒤 섹션
321: 실링 플랜지
33: 폴딩 브릿지
34: 장착 개구
35: 고정 핀
36: 고정 슬롯
37: 배면광 개구
371: 렌즈 층
38: 인쇄된 패턴
381: 접속 패드
382: 연결 트랙
383: 용량성 영역
384: 가딩 패턴
4: 강성 지지체(인쇄 회로 기판)
41: 접속 패드
42: 광원(LED)
5: 폴딩 브라켓

Claims (12)

  1. 제어 시스템의 용량성 터치 패널 유닛(1)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외부의 활성화하는 영역(activating area)(21)으로 표시된 커버(2), 상기 커버(2) 아래에 소정의 거리에 배치되고 제어 시스템의 다른 구성요소들과 상기 유닛을 접속하기 위한 전기 인터페이스가 제공되는 강성 지지체(rigid support)(4), 상기 활성화하는 영역(21) 아래에서 그것의 내부 측에서 상기 커버와 인접하고 상기 지지체(4)의 상기 전기 인터페이스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적어도 하나의 도전성의 용량성 영역(conductive, capacitive area)(383)을 포함하고,
    도전성 패턴(38)으로 코팅되고 적어도 하나의 폴딩 라인(folding line)(A)을 가지는 캐리어 시트(3)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폴딩 라인(A)는 상기 폴딩 라인(A)의 일 측에 배치되는 앞 섹션(front section)(31)과 상기 폴딩 라인(A)의 다른 측에 배치되는 뒤 섹션(rear section)(32)을 규정하며,
    상기 앞 섹션(31)에서는 상기 패턴(38)이 용량성 영역(383)을 포함하고 상기 뒤 섹션(32)에서는 패턴(38)이 상기 용량성 영역(383)과 접속되는 적어도 하나의 접속 패드(381)를 포함하고,
    상기 캐리어 시트(3)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폴딩 라인(A)을 따라 접혀 용량성 터치 패널 유닛(1)이 조립되면서(assembled), 상기 접속 패드(381)는 상기 지지체(4)의 상기 전기 인터페이스의 접속 패드(41)와 접속되기 쉽고,
    상기 캐리어 시트(3)의 상기 앞 섹션(31) 및 상기 뒤 섹션(32)에는 적어도 하나의 배면광 개구(backlit opening)(37)가 제공되고 상기 강성 지지체(4)에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접히는 캐리어 시트(3)의 상기 배면광 개구(37)에 배치된 발광 다이오드(LED)의 형태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광원(42)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시스템의 용량성 터치 패널 유닛.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패턴(38)은 패턴 인쇄, 레이저 인쇄, 잉크 인쇄, 스프레이 인쇄(spray printing) 또는 스크린 인쇄 공정에서 도전성 잉크, 페인트 또는 래커(lacquer)로 코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시스템의 용량성 터치 패널 유닛.
  3.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시트(3)는 탄성중합체 성질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시스템의 용량성 터치 패널 유닛.
  4. 제1 항 내지 제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시트(3)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투명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시스템의 용량성 터치 패널 유닛.
  5. 제1 항 내지 제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시트(3)의 두께(t)는 상기 커버(2)와 상기 지지체(4) 사이의 거리(T)의 절반에 실질적으로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시스템의 용량성 터치 패널 유닛.
  6. 제1 항 내지 제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시트(3)의 상기 앞 섹션(31) 및 상기 뒤 섹션(32)은 적어도 하나의 폴딩 브릿지(folding bridge)(33)로 상기 폴딩 라인(A)의 영역에서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시스템의 용량성 터치 패널 유닛.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폴딩 브릿지(33)의 두께는 상기 캐리어 시트(3)의 상기 앞 섹션(31) 및 상기 뒤 섹션(32)의 두께(t)보다 좁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시스템의 용량성 터치 패널 유닛.
  8. 제1 항 내지 제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강성 지지체(4)는 상기 커버(2)에 고정되는 인쇄 회로 기판의 형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시스템의 용량성 터치 패널 유닛.
  9. 제1 항 내지 제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패턴(38)은 가딩 패턴(guarding pattern)(384)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시스템의 용량성 터치 패널 유닛.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면광 개구(37)는 렌즈(371), 다이어프램(diaphragm) 및/또는 필터 층으로 덮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시스템의 용량성 터치 패널 유닛.
  11. 제1 항 내지 제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시트(3)의 상기 앞 섹션(31) 및 상기 뒤 섹션(32)에는 서로 매칭되는 프로젝션(projection)(35)들과 리세션(recession)(36)들이 제공되고 상기 캐리어 시트(31)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폴딩 라인(A)을 따라 접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시스템의 용량성 터치 패널 유닛.
  12. 제1 항 내지 제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시트(3)의 상기 앞 섹션(31) 및/또는 상기 뒤 섹션(32)에는 원주형 실링 플랜지(circumferential sealing flange)(321)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시스템의 용량성 터치 패널 유닛.
KR1020207011876A 2017-09-25 2017-09-25 내부 캐리어 시트를 갖는 용량성 터치 패널 유닛 KR2020009413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PL2017/000093 WO2019059787A1 (en) 2017-09-25 2017-09-25 CAPACITIVE TOUCH PANEL UNIT WITH INTERNAL SUPPORT SHEE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4133A true KR20200094133A (ko) 2020-08-06

Family

ID=604527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1876A KR20200094133A (ko) 2017-09-25 2017-09-25 내부 캐리어 시트를 갖는 용량성 터치 패널 유닛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200321962A1 (ko)
EP (1) EP3688872B1 (ko)
JP (1) JP6997874B2 (ko)
KR (1) KR20200094133A (ko)
CN (1) CN111480297A (ko)
BR (1) BR112020005925A2 (ko)
ES (1) ES2938916T3 (ko)
MX (1) MX2020003077A (ko)
WO (1) WO2019059787A1 (ko)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23604A (ja) * 1994-10-24 1996-05-17 Fujitsu Ltd 座標入力装置
JPH08152952A (ja) * 1994-11-29 1996-06-11 Sharp Corp キー入力装置
US7439962B2 (en) * 2005-06-01 2008-10-21 Synaptics Incorporated Touch pad with flexible substrate
US8166649B2 (en) * 2005-12-12 2012-05-01 Nupix, LLC Method of forming an electroded sheet
JP5480193B2 (ja) * 2011-03-31 2014-04-23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タッチパネルおよびタッチパネル付き表示装置
US20130141340A1 (en) * 2011-12-05 2013-06-06 Esat Yilmaz Multi-Surface Touch Sensor
US20130180841A1 (en) * 2012-01-17 2013-07-18 Esat Yilmaz Sensor Stack with Opposing Electrodes
TWI483165B (zh) * 2012-09-21 2015-05-01 Au Optronics Corp 電容式觸控感測結構及其應用
TW201413514A (zh) * 2012-09-24 2014-04-01 Wintek Corp 觸控面板
CN105074863B (zh) * 2013-04-01 2017-03-08 株式会社电装 静电电容式开关
US20150268756A1 (en) 2013-09-11 2015-09-24 Ronald Steven Cok Multi-area micro-wire structure
JP6864187B2 (ja) 2014-03-28 2021-04-28 積水ポリマテック株式会社 タッチセンサ
US20150305147A1 (en) * 2014-04-16 2015-10-22 Thomas Nathaniel Tombs Wrap-around micro-wire circuit structure
DE112015001971T5 (de) * 2014-04-23 2016-12-29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Eingabe-/Ausgabe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Betreiben derEingabe-/Ausgabevorrichtung
JP6403484B2 (ja) * 2014-08-08 2018-10-10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冷蔵庫
US10359871B2 (en) * 2014-09-26 2019-07-23 Lg Display Co., Ltd. Display pane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GB2523216B (en) * 2014-10-17 2016-01-27 Novalia Ltd Capacitive touch device
KR102241773B1 (ko) * 2014-12-18 2021-04-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센서 장치
PL3121965T3 (pl) * 2015-07-21 2020-12-28 E.G.O. Elektro-Gerätebau GmbH Urządzenie obsługowe dla urządzenia elektrycznego oraz urządzenie elektryczne i sposób wytwarzania urządzenia elektrycznego
US10193549B2 (en) * 2015-12-29 2019-01-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Sensing apparatus
KR102501142B1 (ko) * 2015-12-31 2023-02-1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표시 장치
KR102456154B1 (ko) * 2016-01-29 2022-10-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센서, 터치 센서 및 표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1506036A (ja) 2021-02-18
MX2020003077A (es) 2020-08-17
EP3688872B1 (en) 2022-12-07
JP6997874B2 (ja) 2022-01-18
WO2019059787A1 (en) 2019-03-28
US20200321962A1 (en) 2020-10-08
BR112020005925A2 (pt) 2020-10-06
ES2938916T3 (es) 2023-04-17
CN111480297A (zh) 2020-07-31
EP3688872A1 (en) 2020-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4636B1 (ko) 터치 스위치 유니트 및 이를 구비하는 차량 실내 조명 장치
US8258987B2 (en) Icon illumination for capacitive touch switch
JP5255547B2 (ja) 静電容量式タッチパッド入力装置
JPWO2010090263A1 (ja) 静電容量型入力スイッチ
CN103619637A (zh) 包括电阻类型背光键的控制面板
US20210138905A1 (en) Motor vehicle control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 motor vehicle control device
KR101905851B1 (ko) 정전식 스위치
KR20200094133A (ko) 내부 캐리어 시트를 갖는 용량성 터치 패널 유닛
WO2019066666A1 (en) CAPACITIVE TOUCH PANEL UNIT OF A MOTOR VEHICLE CONTROL SYSTEM
CN106971894A (zh) 组合开关手柄
JP5799404B2 (ja) 静電容量式接触スイッチを使用した電子機器
KR20110085166A (ko) 차량용 터치 스위치 장치
US9919601B2 (en) Electronic device and operating assembly having an electronic device
JP2018041690A (ja) 電子機器スイッチおよび弾性体
JP6040925B2 (ja) 静電容量式スイッチ
JP2006248297A (ja) 車両用照明装置及びルーフトリム組立体
US20200108718A1 (en) Motor vehicle operating device
JP6829875B2 (ja) 静電容量式タッチスイッチ
JP6697329B2 (ja) 静電容量式照光スイッチ
WO2016006216A1 (ja) スイッチおよびそれを用いた入力装置
JP7454966B2 (ja) インジケータ装置
JP2019081479A (ja) 車両用照明装置および照明モジュール
WO2014162668A1 (ja) 静電容量式スイッチ
JP6166635B2 (ja) 車両用スイッチ装置
CN114981114A (zh) 操作单元和遮盖元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