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93914A - 물품대여 공유경제 플랫폼과 물품의 공유방법 - Google Patents

물품대여 공유경제 플랫폼과 물품의 공유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93914A
KR20200093914A KR1020190011234A KR20190011234A KR20200093914A KR 20200093914 A KR20200093914 A KR 20200093914A KR 1020190011234 A KR1020190011234 A KR 1020190011234A KR 20190011234 A KR20190011234 A KR 20190011234A KR 20200093914 A KR20200093914 A KR 202000939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ntal
user
borrower
information
art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12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환
Original Assignee
이승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환 filed Critical 이승환
Priority to KR10201900112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93914A/ko
Publication of KR202000939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391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45Rental transactions; Leasing transa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13Third-party assisted
    • G06Q30/0619Neutral ag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41Shopping interfa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휴자원을 타인과 공유, 소비자원의 낭비를 줄이고, 사회공동의 이익 증가에 기여하는 사회경제적 활동을 의미하는 공유경제에 있어서,
숙박, 차량, 금융, 음악/비디오 스트리밍 등의 다양한 분야의 유무헝의 재산을 공유할수 있는 공유 경제 플랫폼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공유물품 대여자와 이용자를 위한 공유어플과 거래내역데이터를 업로드하는 어플 서버,
물품 공유 어플을 통하여 대여할 물품의 상세정보와 대여조건을 업로드하는 대여자,
물품 공유 어플을 통하여 대여 물품을 검색하고 선택하여 이용하는 이용자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물품대여 공유 경제 플랫폼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플랫폼의 동작을 의하여 본 발명은
물품을 대여하는 대여자가 어플서버를 통하여 대여자의 인적사항과 대여할 물품의 상세한 문자 및 이미지 정보를 업로드하는 단계;
상기 대여자로 부터 업로드한 인적사항과 대여물품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QR 코드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저장된 데이터들을 대여자와 이용자의 무선통신단말기의 공유어플로 송출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한 대여물품에 대한 이용자가 선택한 물품의 상세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이용자가 이용기간 및 비용에 대한 리퀘스트의 이벤트를 대여자에게 송신하는 단계;
이용자의 대여신청에 대한 리퀘스트에 대응하여, 대여자가 대여물품에 대한 대여기간과 비용에 대한 승인여부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승인여부에 대한 송수신으로 대여자와 이용자 간의 이용에 대한 무선통신단말기를 통한 대여와 이용의사가 확인되면, 대여자와 이용자가 직접 만나는 장소와 시간을 상의 결정하는 단계;
대여자와 이용자의 직접 만나면, 대여자는 생성한 QR 코드를 무선통신단말기를 통하여 제시하는 단계;
이용자는 제시된 QR 코드를 인식하는 단계;
해당 대여물품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대여자의 물품대여의사를 확인하는단계;
이용자가 물품대여완료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대여물품에 대한 대여자와 이용자 간의 상기 의사와 대여완료를 확인시 해당 대여물품에 대한 이용자의 확정 및 대여기간에 대한 정보를 실시간 송신하여 어플서버의 데이터 베이스를 업데이트하여, 대여물품을 대여중으로 업데이트하는 단계,
이용자가 대여한 물품에 대한 사용기간이 종료하면, 해당 대여물품에 대한 반환을 위하여 대여자와 이용자가 직접 만나는 장소와 시간을 상의 결정하는 단계;
대여자가 반환승락을 위하여 QR 코드를 제시하는 단계;
이용자는 QR 코드를 인식하는 단계;
공유어플서버에 물품반환확인하는 단계;
물품회수시 해당 물품에 대한 QR 코드의 대여자 무선통신 단말기에 의한 인식으로 해당 물품에 대한 대여기간 종료와 해당 물품을 대여가능한 상태로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의 공유방법을 개발하였다.
본 발명은 물품을 소유한 대여자가 해당 물품을 장소와 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실시간으로 물품의 정보를 어플 서버측에 업그레이드 혹은 인서팅하여 해당 정보를 불특정 다수의 사용자가 역시 실시간으로 리딩함에 따라 공유할 물품의 다양한 상태와 정보를 누구나 공유하면서, 물품의 사용성을 극대화하는 효과를 누리게 된다.
또한 물품의 사용후에도 변경된 정보에 대한 수정 업그레이드 역시 대면시 즉시 QR 코드를 통하여 즉시 가능하여 물품의 사용 효율성과 현재의 상태를 즉시 확인 가능하여 물품의 서버상의 존재상태와 실물품 간의 불일치에 따른 분쟁의 문제도 궁극적으로 해결하게 되었다.

Description

물품대여 공유경제 플랫폼과 물품의 공유방법{Sharing economy platform for sharing all things and its sharing method }
본 발명은 유휴자원을 타인과 공유, 소비자원의 낭비를 줄이고, 사회공동의 이익 증가에 기여하는 사회경제적 활동을 의미하는 공유경제에 있어서,
숙박, 차량, 금융, 음악/비디오 스트리밍 등의 다양한 분야의 유무헝의 재산을 공유할수 있는 공유 결제 플랫폼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유휴 재산을 무선 통신 단말기를 통하여, 물품의 등록, 검색, 거래 그리고 회수가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통하여 가능하게 하는 물품 대여 공유경제 플렛폼과 물품의 공유 방법에 관한 것이다.
숙박, 차량, 금융, 음악/비디오 스트리밍 등의 분야를 중심으로 활성화되고 있는 공유경제 시장규모가 2025년경 3,350억 달러에 이를 전망되고 있다((PwC, 2015; World Economic Forum, 2015)
공유경제는 도 1에 도시하듯이, 국내외 주요 연구자들은 ‘유휴자산의 사용’, ‘ICT 플랫폼’ 등을 핵심키워드로 하여 공유경제를 정의하고 있다.
개인이나 기업이 혹은 공공기관들이 보유하고 있으면서, 장시간 유휴상태로 놓여있는 유형 혹음 무형의 재산을 단기간만 필요한 수요자에게 해당 재산을 대여하기 위한 다양한 방식들이 논의되고 있으며, 가장 일반적 형태로 가정용품이나 아기 용품, 책, 음반, 차량 등으로 점차 대여 물품의 형태를 넓혀가고 있다.
공유 경제의 한 형태로 중고 물품의 온라인 혹은 오프라인을 통한 거래행위가 널리 이용되고 있으나, 단순 중고 거래 시장은 해당 중고 물품의 소유권이 이전되어질 뿐, 진정한 공유 경제의 형태인 물품의 공유경제라기 보다는 또다른 판매의 한 형태에 불과하다. 또한 물품의 대여에 의한 시장도 형성이 되어 있지만, 이들 대여자와 사용자간의 매칭되면서 공유하는 공간이 부족한 실정이다.
KT 경제경영연구소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렌탈시장규모는 지난 2011년 19조 5000억원에서 2017년 28조 7000억원으로 6년사이에 무려 47.1%나 커졌다. 1인 가구 증가, 고령화 가속, 구매보다는 경험을 중시하는 소배패턴의 변화, 가심비(價心比) 증시 등의 영향으로 렌탈시장은 무한 성장을 거듭할 것이라는 전망이 힘을 얻으면서 대기업들까지 가세하는 형국이다. 기업들이 불꽃튀는 경쟁을 하고 있지만, 소비자들은 저렴한 비용을 편익을 누리는 시대가 열리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혼수용품을 마련하느라 수천만원을 써야 하는 신혼부부들의 부담이 줄어드는 것도 렌탈시대가 준 새로운 혜택이다.
본 발명자는 한국 특허 등록 10-1862747-00-00 "QR 코드를 이용한 도서 릴레이 시스템 및 방법"으로 릴레이 대상 도서 이용을 위한 도서 이용 예약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릴레이 대상 도서에 부착된 QR 코드를 인식하여 대여 요청 및 소유권 이전 요청을 생성하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 및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집된 각 사용자들의 도서 이용 예약 정보를 근거로 사용자 정보, 도서 정보 및 사용자가 등록한 도서 이용 일정 정보를 포함하는 도서 릴레이 일정을 도서별로 그룹화하여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도서 릴레이 일정을 근거로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의 도서 릴레이 대여를 관리하는 도서 관리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도서 관리 서버는 상기 도서 릴레이 일정을 근거로 최초 사용자인 제1 사용자 단말로 도서 이용 알람을 전송하고,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대여 요청을 근거로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 상기 릴레이 대상 도서의 소유권을 설정하고,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의 이용 일정이 종료되면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과 다음 사용자인 제2 사용자 단말로 소유권 이전 알람을 전송하고,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이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 접근한 상태에서 상기 릴레이 대상 도서의 QR 코드를 인식하여 소유권 이전 요청이 생성 및 전송되면, 상기 제 2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소유권 이전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소유권 이전 요청에 기반하여 소유권 이이전 승인 여부를 판단하되, 상기 소유권 이전 요청으로부터 검출한 사용자 정보와 상기 도서 릴레이 일정에 포함된 다음 사용자 정보가 일치하고,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 정보가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 정보와 동일한 그룹이면 소유권 이전 1차 승인을 성공으로 판단하고,
상기 소유권 이전 1차 승인에 성공하면 상기 제1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근거로 소유권 이전 2차 승인 여부를 판단하되,
상기 제1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제2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집한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간 거리를 산출하고, 상기 사용자간 거리가 제1 기준값 이하이면 소유권 이전 2차 승인 성공으로 판단하고, 상기 사용자간 거리가 상기 제1 기준값보다 큰 제2 기준값을 초과하면 소유권 이전 2차 승인 실패로 판단하고,
소유권 이전 2차 승인에 성공하면 상기 릴레이 대상 도서의 소유권을 상기 제2 사용자 단말로 이전하여 설정하고,
대여 요청 및 소유권 이전 요청을 전송한 사용자 단말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릴레이 대상 도서의 이동 경로에 해당하는 지리 정보를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서 릴레이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한 선등록 특허가 도서라는 물품에 한정되는 단점을 피하고 , 유무형의 모든 물품을 공유하여 대여자와 사용자 간에 보다 간편하면서도 정확한 대여의 활성화를 가능하게 하는 물품대여 공유경제 플랫폼과 물품의 공유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유형 혹은 무형의 재산을 소유한 대여자가, 해당 재산권 소유자의 인적사항과 해당 재산의 상세정보 그리고 임대조건을 모바일 통신수단을 통하여 등록할 수 있으며, 이렇게 등록된 유무형 재산을 사용자는 모바일 퉁신 수단을 통하여 검색후 대여와 수요자간의 조건이 충족되면. 해당 거래자가 서로 직접 대면하여 해당 재산에 대한 정보의 검색 결과물인 실제 재산의 육안확인과 QR 코드상의 정보의 일치를 상호확인하여 직접 거래가 가능하게 하는 플랫폼과 그 방법을 개발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고자,
공유물품 대여자와 이용자를 위한 어플리케이션과 거래내역데이터를 업로드하는 어플 서버,
상기 어플 서버를 통하여 다운로드 받아 설치한 물품 공유 어플을 통하여 대여할 물품의 상세정보를 업로드하는 대여자,
상기 어플 서버를 통하여 다룬로드 받은 물품 공유 어플을 통하여 대여 물품을 검색하고 선택하여 이용하는 이용자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물품대여 공유 경제 플렛폼을 개발하였다.
본 발명은 더 나아가서,
물품을 대여하는 대여자가 어플서버를 통하여 다운로드받은 어플을 통하여 대여자의 인적사항과 대여할 물품의 상세한 문자 및 이미지 정보를 업로드하는 단계,
상기 대여자로 부터 업로드한 인적사항과 대여물품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QR 코드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업로드한 대여물품들의 정보를 카테고리별로 분류하여 물품대여 플렛폼의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후, 저장된 데이터들을 대여자와 이용자의 무산통신단말기로 송출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한 대여물품에 대한 이용자의 선택한 물품, 대여기간 및 비용에 대한 리퀘스트의 이벤트를 대여자에게 송신하는 단계,
이용자의 대여신청에 대한 리퀘스트에 대응하여 대여물품에 대한 대어기간 비용에 대한 승인여부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승인여부에 대한 송수신으로 대여자와 이용자간의 이용에 대한 무선통신단말기를 통한 계약이 체결되면, 대여자와 이용자가 오프라인을 통하여 접촉하는 단계,
대여자와 이용자의 오프라인 접촉시 대여자는 생성한 QR코드를 무선통신단말기를 통하여 시연하며, 이용자는 시연된 QR코드를 인식하여 해당 대여 물품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대여물품에 대한 대여자외 이용자간의 확인시 해당 대여물품에 대한 이용자의 확정 및 대여기간에 대한 정보를 실시간 송신하여 어플 서버의 데이터 베이스를 갱신하는 단계,
이용자가 대여한 물품에 대한 사용기간이 종료하면, 해당 대여물품에 대한 환수를 위하여 대여자와 이용자의 오프라인상의 접촉하여 해당 물품을 회수하며, 회수시 해당 물품에 대한 QR코드의 대여자 무선통신 단말기에 의한 인식으로 해당 물품에 대한 대여기간 종료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형 재산의 공유 결제 방법도 개발하였다.
본 발명은 물품을 소유한 대여자가 해당 물품을 장소와 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실시간으로 물품의 정보를 어플 서버측에 업그레이드 혹은 인서팅하여 해당 정보를 불특정 다수의 사용자가 역시 실시간으로 리딩함에 따라 공유할 물품의 다양한 상태와 정보를 누구나 공유하면서, 물품의 사용성을 극대화하는 효과를 누리게 된다.
또한 물품의 사용후에도 변경된 정보에 대한 수정 업그레이드 역시 대면시 즉시 QR 코드를 통하여 즉시 가능하여 물품의 사용 효율성과 현재의 상태를 즉시 확인 가능하여 물품의 서버상의 존재상태와 실물품간의 불일치에 따른 분쟁의 문제도 궁극적으로 해결하게 되었다.
도 1 은 공유경제의 보유자, 수요자 그리고 플렛폼의 상호 연관 관계를 도시한 연관도이며,
도 2 는 본 발명의 무선통신 단말기에 디스플레이된 공유어플의 로그인 상태,
도 3 은 대여자의 대여물품 등록 화면,
도 4 는 대여자의 대여물품 등록으로 생성된 QR 코드,
도 5 는 대여물품의 리스트를 순차로 표시한 화면,
도 6 은 대여물품 리스트에서 선택한 이용신청 물품의 상세한 정보를 표시한 화면,
도 7 은 이용신청한 대여물품의 이용비용과 이용시간에 대한 정보를 기재하고 신청할 수 있는 상태를 표시한 화면,
도 8 은 이용자가 대여물품을 신청완료한 상태의 화면,
도 9 는 대여자만의 무선통신 단말기에 표시되는 QR 코드의 화면,
도 10 은 도 9 에 표시된 QR 코드를 이용자가 인식하는 상태를 표시하는 화면,
도 11 은 이용자에 의한 인식완료로 대여물품이 대여완료되었음을 표시하는 화면,
도 12 는 대여물품 회수시, 대여자가 이용자에게 제시하는 QR 코드의 화면,
도 13 은 이용자의 대여물품 회수완료시 물품반환확인을 표시하는 화면,
도 14 는 본 발명의 공유방법의 전체적인 흐름도임.
이하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발명에서 명명하는 수단은 PC, 무선통신단말기 들을 통하여 동작되는 소프트웨어와 함께 디스플레이상에 구현되는 반응형 웹페이지, 위젯, 이미지 인식, 문자인식 등을 포함하는 것이며, 물리적 수단과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동작하는 모든 표현과 동작을 포함한다. 또한 부(部)로 명명하는 것은 단일의 혹은 다수의 부품들이 어셈블리된 구조로, 이러한 구성의 예시로 인한 기술적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오로지 기술적 설명을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 "구성하다" , "구비하다" 또는 "이루어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본 발명에서 어플이란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하여 작동하는 어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의 약칭이며, 공유어플이란 이러한 어플을 이용하여 개발한 본 발명자의 공유경제를 위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통칭한다. 또한 물품이란 임의로 이전이 가능한 유형 혹은 무형의 모든 재산을 의미하며, 어플과 물품이란 용어의 한정은 발명의 설명을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의 사용으로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대표적 공유어플의 설치후에 표시되는 무선통신단말기상의 초기화면을 도 2에 도시한다.
본 발명은
공유물품 대여자와 이용자를 위한 공유어플과 거래내역데이터를 업로드하는 어플 서버,
물품 공유 어플을 통하여 대여할 물품의 상세정보와 대여조건을 업로드하는 대여자,
물품 공유 어플을 통하여 대여 물품을 검색하고 선택하여 이용하는 이용자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물품대여 공유 경제 플랫폼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 무선통신 단말기는 일반적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는 안드로이드기반 혹은 Ios기반의 무선통신 스마트폰, 태블릿 혹은 노트북과 PC를 모두 포함한다.
상기 어플 서버는 무선통신 단말기에 의하여 접속하여, 대여자의 인적사항, 대여물품정보, 대여물품 거래 이력장보, 사용자의 인적사항, 거래정보 등을 저장하고, 대여자와 사용자의 등록, 검색, 거래확인, 수정, 삭제 등의 모든 이벤트 발생에 대응하여 반응할 수 있는 통신수단을 포함한 데이터베이스자료 구조와 이를 운행하는 쿼리 수행 기능을 갖는 수단을 포함한다.
초기에 공유어플의 설치후에 표시된 화면에는 일반적인 공유어플 화면의 일정 위치에 이용자, 대여자 그리고 커뮤니티에 대한 이벤트 클릭 정보를 받아 다음 단계로 진행가능한 아이콘 혹은 버튼 들을 표시한다.
이러한 어플 서버는,
대여자의 인적사항과 대여할 물품정보에 대한 문자 및 이미지 정보를 서버측에 업로드가능하게 하는 무선통신용 등록(인서트)수단,
이용자의 인적사항과 이용할 물품에 대한 검색, 이용기간, 이용비용 정보를 서버측에 업로드하는 무선 통신용 등록(리퀘스트)수단을 포함한다.
어플 서버에는 대여 물품의 대여 동작 이벤트의 발생시, 해당 물품에 대한 대여 정보와 사용자 정보에 대한 히스토리를 어플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 업데이트하는 업그레이드 수단을 포함한다. 특정한 물품이 대여가 이루어지면, 대여 물품에 대한 대여 기간, 임대비, 사용자, 사용중 발생한 변동상황들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입력받아 해당 정보를 어플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 업그레이드하여 해당 물품의 대여와 사용 히스토리를 항상 최선의 상태로 유지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 등록(리스트업) 수단이란 도 3에 도시하듯이,
대여자의 공유어플에는
대여할 물품의 카테고리, 대여물품의 이미지, 거래장소, 대여기간, 비용에 대한 상세한 대여등록정보를 리스트업하여 통신을 통하여 업로드하며,
상기 업로드에 의하여 해당 대여 물품에 대한 QR코드를 생성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대여자의 공유할 물품의 등록이 완료되면, 도 4에 도시하듯이 해당 물품에 대한 정보와 함께 대여자의 인적사항 및 대여에 대한 조건 등이 QR 코드로 변환저장된다.
대여자의 공유할 물품이 다수개 저장이 이루어지면, 이용자는 다운 받아 설치한 공유어플의 실행으로 등록된 물품들을 검색하여 이용을 신청하게 된다.
이용자의 공유어플에는, 도 5와 같이 대여가능한 물품을 조건별로 검색할 수 있는 검색수단이 표시되며,
검색한 물품에 대한 대여 기간, 물품의 상태, 이미지, 대여 비용, 대여 장소 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 상세정보를 확인하는 상세정보 확인 수단을 포함한다.
이용자의 물품을 검색하면, 해당 물품이 이용자의 물품의 종류, 기간, 물품의 상태정보등에 최적화된 정보를 추출하여 이용자의 무선통신단말기에 표시하여 선택을 대기한다.
선택을 대기하는 다양한 물품이 표시되면, 이용자는 표시물품중에서 사용을 원하는 물품을 선택하여 해당물품의 상세한 정보를 도 6과 같이 확인한다.
상세한 정보를 확인후 해당 물품이 사용자가 원하는 경우 이용신청하는 버튼 혹은 아이콘을 클릭하는 신호를 송신하면, 사용자의 무선통신단말기에 물품 대여를 위한 기간 비용등의 정보를 입력 수정가능한 화면을 도 7과 같이 디스플레이하며,
사용을 신청하면, 해당 신청 이벤트를 대여자에게 실시간 송신하여 대여자의 응답을 받도록 한다(도 8).
이러한 신청 이벤트로 사용자와 대여자가 무선통신을 통하여 대화를 이루면서 직접적인 전화통화 혹은 문자 등의 수단을 통하여 미팅 장소와 시간을 상의 결정한다.
오프라인에서 대여자와 사용자가 대면하게 되면,
대여자에만 표시되는 QR 코드를 제시하며(도9), 무선통신 단말기를 통하여 사용자는 대여 물품에 대한 QR 코드를 리딩하여, 제시된 대여자의 단말기의 QR 코드와 제시된 실물을 사용자는 도 10 및 11과 같이 QR 코드의 리딩과 함께 실물을 육안으로 확인하여 제시한 조건의 적합성을 검증하며, 물품의 인수와 물품대여완료의 이벤트 동작으로 어플 서버에 해당하는 물품의 대여중으로 업데이트하여, 실시간 접촉하는 모든 사용자에게 해당 물품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인식가능하게 한다.
사용이 완료된 물품에 대한 반환은 해당 물품의 사용자가 도 12와 13에 도시하듯이 해당 물품에 대한 QR 코드를 단말기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제시하며, 사용자는 이 QR 코드를 단말기로 리딩하여 해당 물품의 적접적인 전달과 리딩의 이벤트 동작이 어플 서버에 전달되도록 하여 해당 물품의 인수인계가 왼료되어, 다시 제 3자의 사용을 대기가능한 상태로 어플 서버의 데이터베이스를 업그레이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본 발명의 대여자와 이용자간의 공유 방법에 관한 것이다. 대여자와 이용자가 공유어플을 설치하여 회원가입과 로그인을 진행한 상태에서 공유방법을 설명한다.
대여자와 이용자가 로그인하면, 대여 혹은 이용의 선택여부를 대기하는 단계(S100);
물품을 대여하는 대여자가 어플서버를 통하여 대여자의 인적사항과 대여할 물품의 상세한 문자 및 이미지 정보를 업로드하는 단계(S110);
상기 대여자로 부터 업로드한 인적사항과 대여물품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QR 코드를 생성하는 단계(S120);
상기 저장된 데이터들을 대여자와 이용자의 무선통신단말기의 공유어플로 송출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S130);
상기 디스플레이한 대여물품에 대한 이용자가 선택한 물품의 상세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S200);
이용자가 이용기간 및 비용에 대한 리퀘스트의 이벤트를 대여자에게 송신하는 단계(S200);
이용자의 대여신청에 대한 리퀘스트에 대응하여, 대여자가 대여물품에 대한 대여기간과 비용에 대한 승인여부를 송신하는 단계(S210);
상기 승인여부에 대한 송수신으로 대여자와 이용자 간의 이용에 대한 무선통신단말기를 통한 대여와 이용의사가 확인되면, 대여자와 이용자가 직접 만나는 장소와 시간을 상의 결정하는 단계(S220);
대여자와 이용자의 직접 만나면, 대여자는 생성한 QR 코드를 무선통신단말기를 통하여 제시하는 단계(S230);
이용자는 제시된 QR 코드를 인식하는 단계(S231);
해당 대여물품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S232);
대여자의 물품대여의사를 확인하는 단계(S233);
이용자가 물품대여완료를 확인하는 단계(S234);
상기 대여물품에 대한 대여자와 이용자 간의 상기 의사와 대여완료를 확인시 해당 대여물품에 대한 이용자의 확정 및 대여기간에 대한 정보를 실시간 송신하여 어플서버의 데이터 베이스를 업데이트하여, 대여물품을 대여중으로 업데이트하는 단계(S240),
이용자가 대여한 물품에 대한 사용기간이 종료하면, 해당 대여물품에 대한 반환을 위하여 대여자와 이용자가 직접 만나는 장소와 시간을 상의 결정하는 단계(S310);
대여자가 반환승락을 위하여 QR 코드를 제시하는 단계(S311);
이용자는 QR 코드를 인식하는 단계(S312);
공유어플서버에 물품반환확인하는 단계(S313);
물품회수시 해당 물품에 대한 QR 코드의 대여자 무선통신 단말기에 의한 인식으로 해당 물품에 대한 대여기간 종료와 해당 물품을 대여가능한 상태로 업데이트하는 단계(S3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의 공유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공유 방법에 있어서,
대여자와 이용자의 직접 만나서 거래시,
QR 코드를 대여자의 무선통신 단말기만 생성된 QR 코드를 이용자에게 제시하는 단계,
이용자는 QR 코드의 리딩에 의하여 대여할 물품에 대한 상세정보를 대여물품과 QR코드로 리딩한 데이터를 직접 확인하는 단계
상기 QR 코드를 이용자가 무선통신 단말기의 공유어플에 의하여 리딩하면, 대여자의 입력된 데이터를 이용자의 무선통신단말기의 공유어플로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대여자와 이용자간에 실물의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하는 방식이 종래의 경우 사용자 혹은 대여자가 저장한 사진을 일일히 대조하는 육안식별방식에 한하였지만, 본 발명은 해당 물품에 대한 상세정보를 이미 저장된 데이터 베이스상의 QR 코드를 통하여 객관적으로 사용자와 대여자간에 이미 확인된 상태이므로, 대여자의 대여시 발생한 QR 코드에 의하여 해당 물품의 정보를 사용자와 대면한 상태에서 제시하고, 이 QR 코드를 사용자도 그래도 리딩하여 해당 정보에 기초한 물품의 상태를 확인하여 정보에 대한 수정작업이 현장에서 실시간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이렇게 수정된 정보는 어플 서버에 실시간 업그레이드 됨에 따라 대여자는 해당 물품에 대한 또 다른 수정, 업데이트의 동작이 필요없이 실시간으로, 해당 물품의 대여가능상태 혹은 대여상태를 확인할 수 있게 하였다.
S110:업로드하는 단계, S200:대여자에게 송신하는 단계, S310:상의 결정하는 단계, S340:업데이트하는 단계

Claims (6)

  1. 공유물품 대여자와 이용자를 위한 공유어플과 대여내역데이터를 업로드하는 어플 서버,
    물품 공유 어플을 통하여 대여할 물품의 상세정보와 대여조건을 업로드하는 대여자,
    물품 공유 어플을 통하여 대여 물품을 검색하고 선택하여 이용하는 이용자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물품대여 공유 경제 플랫폼.
  2. 제 1 항에 있어서,
    어플 서버는,
    대여자의 인적사항과 대여할 물품정보에 대한 문자 및 이미지 정보를 어플 서버에 등록하는 수단,
    이용자의 인적사항과 물품에 대한 검색 결과, 이용 기간, 이용 비용 정보를 어플 서버에 등록하는 수단,
    대여 공급 정보와 대여 수요 정보를 매칭시켜주고, 대여거래시 히스토리를 어플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 업데이트하는 업그레이드 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대여 공유 경제 플렛폼.
  3. 제 1 항에 있어서,
    대여자의 공유어플에는
    대여할 물품의 카테고리, 대여물품의 이미지, 거래장소, 대여기간, 비용에 대한 상세한 대여등록정보를 리스트업하여 업로드하며,
    상기 업로드에 의하여 해당 대여 물품에 대한 QR 코드를 대여자의 무선통신단말기에서만 생성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대여 공유 경제 플렛폼.
  4. 제 1 항에 있어서,
    이용자의 공유어플에는,
    대여가능한 물품을 조건별로 검색할 수 있는 검색수단,
    검색한 물품에 대한 이용 가능 기간, 물품의 상태, 이미지, 이용 비용, 대여 장소 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 상세정보를 확인하는 상세정보 확인 수단,
    이용자가 대여자의 QR 코드를 인식하는 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대여 공유 경제 플렛폼.
  5. 물품을 대여하는 대여자가 어플서버를 통하여 대여자의 인적사항과 대여할 물품의 상세한 문자 및 이미지 정보를 업로드하는 단계;
    상기 대여자로 부터 업로드한 인적사항과 대여물품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등록물품마다 고유한 QR 코드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저장된 데이터들을 대여자와 이용자의 무선통신단말기의 공유어플로 송출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한 대여물품에 대한 이용자가 선택한 물품의 상세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이용자가 이용기간 및 비용에 대한 리퀘스트의 이벤트를 대여자에게 송신하는 단계;
    이용자의 대여신청에 대한 리퀘스트에 대응하여, 대여자가 대여물품에 대한 대여기간과 비용에 대한 승인여부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승인여부에 대한 송수신으로 대여자와 이용자 간의 이용에 대한 무선통신단말기를 통한 대여와 이용의사가 확인되면, 대여자와 이용자가 직접 만나는 장소와 시간을 상의 결정하는 단계;
    대여자와 이용자의 직접 만나면, 대여자는 무선통신 단말기를 통하여 생성한 QR 코드를 무선통신단말기를 통하여 제시하는 단계;
    이용자는 제시된 QR 코드를 인식하는 단계;
    해당 대여물품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대여자의 물품대여의사를 최종 확인하는 단계;
    이용자가 물품대여완료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대여물품에 대한 대여자와 이용자 간의 상기 의사와 대여완료를 확인시 해당 대여물품에 대한 이용자의 확정 및 대여기간에 대한 정보를 실시간 송신하여 어플서버의 데이터 베이스를 업데이트하여, 대여물품을 대여중으로 업데이트하는 단계,
    이용자가 대여한 물품에 대한 사용기간이 종료하면, 해당 대여물품에 대한 반환을 위하여 대여자와 이용자가 직접 만나는 장소와 시간을 상의 결정하는 단계;
    대여자가 반환승락을 위하여 해당 물품의 QR 코드를 제시하는 단계;
    이용자는 QR 코드를 인식하여 반환하는 단계;
    대여자가 물품반환을 최종 확인하는 단계;
    물품반환시 해당 물품에 대한 QR 코드의 이용자 무선통신 단말기에 의한 인식으로 해당 물품에 대한 대여기간 종료와 해당 물품을 대여가능한 상태로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의 공유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대여자와 이용자의 직접 만나서 거래시,
    QR 코드를 대여자의 무선통신 단말기에만 생성되는 QR 코드를 이용자에게 제시하는 단계,
    이용자는 묾품의 대여와 반환시, QR 코드의 리딩에 의하여 인증하는 단계,
    상기 QR 코드를 이용자가 무선통신 단말기의 공유어플에 의하여 리딩하면, 대여자의 입력된 데이터를 이용자의 무선통신단말기의 공유어플로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의 공유 방법.









KR1020190011234A 2019-01-29 2019-01-29 물품대여 공유경제 플랫폼과 물품의 공유방법 KR2020009391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1234A KR20200093914A (ko) 2019-01-29 2019-01-29 물품대여 공유경제 플랫폼과 물품의 공유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1234A KR20200093914A (ko) 2019-01-29 2019-01-29 물품대여 공유경제 플랫폼과 물품의 공유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3914A true KR20200093914A (ko) 2020-08-06

Family

ID=720403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1234A KR20200093914A (ko) 2019-01-29 2019-01-29 물품대여 공유경제 플랫폼과 물품의 공유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93914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049678A1 (en) * 2019-08-15 2021-02-18 Charles Isgar Personal property sharing system
CN113506151A (zh) * 2021-07-02 2021-10-15 北京紫清智慧科技有限公司 一种提供服务的共享方法和系统
KR102411564B1 (ko) * 2021-10-15 2022-06-22 주식회사 엠케이렌탈 렌탈 및 금융 대행 플랫폼 시스템
KR20220110933A (ko) 2021-02-01 2022-08-09 (주)라드피온 민간 문화재의 보존과 유통을 위한 사이버 수장고 시스템
KR20230023980A (ko) 2021-08-11 2023-02-20 김종현 물품 공유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240012150A (ko) 2022-07-20 2024-01-29 박상욱 공구 공유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049678A1 (en) * 2019-08-15 2021-02-18 Charles Isgar Personal property sharing system
WO2022040032A1 (en) * 2019-08-15 2022-02-24 Charles Isgar Personal property sharing system
KR20220110933A (ko) 2021-02-01 2022-08-09 (주)라드피온 민간 문화재의 보존과 유통을 위한 사이버 수장고 시스템
KR20220111216A (ko) * 2021-02-01 2022-08-09 (주)라드피온 민간 문화재의 보존과 유통을 위한 사이버 수장고 시스템
CN113506151A (zh) * 2021-07-02 2021-10-15 北京紫清智慧科技有限公司 一种提供服务的共享方法和系统
KR20230023980A (ko) 2021-08-11 2023-02-20 김종현 물품 공유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2411564B1 (ko) * 2021-10-15 2022-06-22 주식회사 엠케이렌탈 렌탈 및 금융 대행 플랫폼 시스템
KR20240012150A (ko) 2022-07-20 2024-01-29 박상욱 공구 공유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93914A (ko) 물품대여 공유경제 플랫폼과 물품의 공유방법
KR100982253B1 (ko) 개인식별매체를 이용한 온라인 정보입력 및 금융거래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온라인 정보입력 및 금융거래 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KR101721006B1 (ko) 무선단말기를 이용한 스마트 커머스 정보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US11830048B1 (en) Computer implemented systems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a for testing and purchase of goods
KR20130109912A (ko) 스마트 단말과 콜센터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전자상거래 제공방법 및 이를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US20100185528A1 (en) Method for electronic commerce using points, system and recording medium thereof
CN105427145A (zh) 消费者和供应商的交易匹配系统及其方法
CN108346095B (zh) 联合系统的管控方法、装置、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20200024438A (ko) 매장 무인 판매 시스템
KR20220009791A (ko) Ai를 이용한 부동산 직거래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150170238A1 (en) Computerized retail exchange system and method
KR20010090362A (ko) 통합 인터넷 대출 조회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대출 조회방법
KR102269643B1 (ko) 블록체인을 이용한 o2o 기반의 종합 이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KR20220165017A (ko) 예술작품 대여 네트워크 플랫폼 및 그 대여방법
US20200265962A1 (en) Objects of things system
JP2002236731A (ja) 認証システムおよびその方法
KR101376252B1 (ko) 소셜 네트워크를 이용한 비상장사의 구주 오픈트레이딩 시스템 및 구주 오픈트레이딩 방법
KR102339708B1 (ko) 횡령 방지를 위한 그룹 계좌 제공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050015439A (ko) 인터넷을 이용한 인테리어 정보 및 서비스 방법
KR20060024301A (ko) 이미지패턴코드 인식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를이용한 정품인증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20230025630A (ko) 예술공간과 작품 및 음향ㆍ조명, 운송ㆍ설치 전문가 대여 및 연결, 작품 대여 네트워크 플랫폼 및 그 대여방법
WO2001093145A1 (en) Electronic commerce system and method
KR100439157B1 (ko) 자동 모드전환이 가능한 복수의 모드로 구동되는 경매방법
KR102461944B1 (ko) 감정 이력에 따른 감정 서비스를 제공하는 실시간 매물 감정 거래 시스템
WO2017192521A1 (en) Preference based data collection and discount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