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93500A - 재활용이 가능한 합성피혁 또는 타포린용 적층직물 - Google Patents

재활용이 가능한 합성피혁 또는 타포린용 적층직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93500A
KR20200093500A KR1020200093889A KR20200093889A KR20200093500A KR 20200093500 A KR20200093500 A KR 20200093500A KR 1020200093889 A KR1020200093889 A KR 1020200093889A KR 20200093889 A KR20200093889 A KR 20200093889A KR 20200093500 A KR20200093500 A KR 202000935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tarpaulin
pbt
fabric
laminated fab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38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호영
이충진
Original Assignee
이호영
이충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호영, 이충진 filed Critical 이호영
Priority to KR10202000938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93500A/ko
Publication of KR202000935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3500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next to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32B27/2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using plasticis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2Synthetic macromolecular fibres
    • B32B2262/0276Polyester fibres

Landscapes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재활용이 가능한 합성피혁 또는 타포린용 적층직물에 관한 것으로서, 폴리에스터 섬유재(polyester fabric)에 PBT(polybutylene terephthalate)엘라스토머를 일정 두께로 적층, 구성하여 재활용이 가능하고 내열성, 내한성, 내후성, 인쇄성, 접착성이 우수한 PBT엘라스토머 수지의 합성피혁 또는 타포린용 적층직물(laminated fabric)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재활용이 가능한 합성피혁 또는 타포린용 적층직물{RECYCLABLE LAMINATED FABRIC FOR SYNTHETIC LEATHER OR TARPAULIN}
본 발명은 재활용이 가능한 합성피혁 또는 타포린용 적층직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재활용이 가능하고 내열성, 내한성, 내후성, 인쇄성, 접착성이 우수한 PBT에라스토머수지의 합성피혁 또는 타포린용 적층직물(laminated fabric)에 관한 것이다.
현재 일반적으로 적층직물의 섬유재는 면, 나이롱, 폴리에스터계가 주류이며 수지로는 PVC수지와 폴리우레탄, PP, PE, PVC가 주로 사용된다. PVC수지는 가공성, 인쇄성, 접착성, 내후성과 인장강도와 신율같은 물리적 물성도 우수하여 적층직물의 주원료로 사용하였으나 독성이나 환경문제로 포리우레탄, PP, PE 같은 다른 종류의 수지로 많이 대체가 되었으나 폴리우레탄수지의 불량한 가공성, 가수분해로 인한 물성 저하현상, PP나 PE 혹은 올레핀계의 에라스토머의 인쇄성, 접착성 불량, 스티렌계 불럭코폴리머의 접착성, 내후성, 내유성 불량으로 인하여 PVC수지 적층직물을 완전히 대체하지 못하고 있으며 재활용도 거의 불가능하여 소각등의 방법으로 폐기 처리되고 있다.
적층직물의 섬유재는 일반적으로 면, 나이롱, 폴리에스터 섬유재를 사용하며 수지는 PVC, 폴리우레탄, PE, PP를 주로 사용한다. 이중 폴리에스터 섬유재와 PVC수지로 이루어지는 적층직물은 PVC수지의 독성과 환경문제로 타 수지로 많은 대체가 이루어졌으나 PVC수지의 우수한 물성으로 아직도 많은 부분 사용되고 있으며 폴리우레탄이나 PE, PP 같은 친환경 수지로 구성되는 합성피혁이나 타포린 같은 적층직물도 극히 일부분 재활용이 가능하나 거의 재활용이 불가하여 비닐레더나 타포린 같은 적층직물의 환경문제가 심각하다. PBT에라스토머는 PBT수지를 주원료로 하여 PET-G, TPEE, 스티렌계 불럭코폴리머, 식물성 오일, 가소제같은 물질로 조성된 친환경 수지로 PBT에라스토머와 폴리에스터계 섬유재로 이루어진 적층직물은 100% 재활용이 가능하며 우수한 물성으로 PVC수지로 이루어지는 적층직물의 대체가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로는 특허등록 제1004614호 "PVC와 유사한 성형성을 갖는 PETG계 성형용데코시트"(특허문헌 1)이 있다. 상기 배경기술에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글리콜(PETG) 수지에 엘라스토머(elastomer) 수지를 용융혼합(alloy)한 PETG 얼로이 수지를 포함하고, 엘라스토머 수지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수지에 폴리에테르 글리콜(Polyether Glycol)을 공중합한 엘라스토머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코시트'를 제안한다.
그러나 상기 배경기술은 PVC와 유사한 성형성을 갖도록 하나 주로 경질시트, 품용기 등으로 이용되고 있으나 연질화(softening)의 어려움으로 연질필름이나 연질시트 제조에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등록 제1004614호 "PVC와 유사한 성형성을 갖는 PETG계 성형용데코시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가구나 가방 등 일반적인 용도뿐 아니라 PBT엘라스토머의 우수한 가공성, 접착성, 인쇄성, 내후성과 PVC보다 양호한 내열성, 내한성을 보유한 PBT엘라스토머 수지와 폴리에스터계 섬유재로 구성된 적층직물은 폴리우레탄이나 PP, PE나 올레핀계의 엘라스토머와 각종 섬유재로 구성된 적층직물이 PVC수지 적층직물을 대체하지 못한 부분까지 대체가 가능한 재활용이 가능한 합성피혁 또는 타포린용 적층직물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에어보트나 에어튜브는 고무나 PVC타포린으로 제조하며, 우수한 내수성과 접착성이 요구되어 폴리우레탄의 가수분해성과 PP나 PE, 올레핀계 엘라스토머의 불량한 접착성으로 이들 수지는 사용 불가하고, 고무와 섬유재로 제조된 에어보트나 에어튜브는 중량이 무거우며 PVC수지 타포린으로 제조된 에어보트나 에어튜브는 불량한 내한성으로 동절기 사용에 어려움이 있으며 인쇄용 광고판으로 사용하고 있는 타포린도 일부 PP나 PE를 오레핀계 엘라스토머와 혼합하여 사용하고 있으나 접착성과 인쇄성의 불량으로 극히 일부분 사용되며 대부분 PVC타포린을 사용하고 있었다. PVC나 폴리우레탄 같은 우수한 물성을 소유한 수지로 구성되는 적층직물의 섬유재는 면이나 폴리에스터계의 섬유재로 구성되는데 섬유재와 수지의 이질성으로 인하여 재활용이 불가능하였지만, 본 발명의 재활용이 가능한 적층직물은 100% 재활용이 가능한 합성피혁 또는 타포린용 적층직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폴리에스터 섬유재(polyester fabric)에 PBT(polybutylene terephthalate)엘라스토머를 일정 두께로 적층하여 구성되는 재활용이 가능한 합성피혁 또는 타포린용 적층직물에서,
PBT 엘라스토머는,
PBT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가소제 10 내지 120중량부와, TPEE(Thermoplastic copolyester elastomer)수지 10중량부 내지 120중량부를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상기 공지된 기술인 폴리에스터 섬유재 엘라스토머 PBT수지, 가소제, TPEE로 형성된 재활용이 가능한 합성피혁 또는 타포린용 적층직물에 있어서,
적층직물이 물과 접촉하도록 설계된 제품의 일부임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이 가능한 적층직물,
상기 제품이 에어보트나 에어튜브임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이 가능한 적층직물,
적층직물이 인쇄용 직물이거나 그의 일부임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이 가능한 합성피혁 또는 타포린용 적층직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재활용이 가능한 합성피혁 또는 타포린용 적층직물은 가구나 가방 등 일반적인 용도뿐 아니라 PBT엘라스토머의 우수한 가공성, 접착성, 인쇄성, 내후성과 PVC보다 양호한 내열성, 내한성을 보유한 PBT엘라스토머 수지와 폴리에스터계 섬유재로 구성된 적층직물은 폴리우레탄이나 PP, PE나 올레핀계의 엘라스토머와 각종 섬유재로 구성된 적층직물이 PVC수지 적층직물을 대체하지 못한 부분까지 대체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에어보트나 에어튜브는 고무나 PVC타포린으로 제조하며, 우수한 내수성과 접착성이 요구되어 폴리우레탄의 가수분해성과 PP나 PE, 올레핀계 엘라스토머의 불량한 접착성으로 이들 수지는 사용 불가하고, 고무와 섬유재로 제조된 에어보트나 에어튜브는 중량이 무거우며 PVC수지 타포린으로 제조된 에어보트나 에어튜브는 불량한 내한성으로 동절기 사용에 어려움이 있으며 인쇄용 광고판으로 사용하고 있는 타포린도 일부 PP나 PE를 오레핀계 엘라스토머와 혼합하여 사용하고 있으나 접착성과 인쇄성의 불량으로 극히 일부분 사용되며 대부분 PVC타포린을 사용하고 있었다. PVC나 폴리우레탄 같은 우수한 물성을 소유한 수지로 구성되는 적층직물의 섬유재는 면이나 폴리에스터계의 섬유재로 구성되는데 섬유재와 수지의 이질성으로 인하여 재활용이 불가능하였지만, 본 발명의 재활용이 가능한 합성피혁 또는 타포린용 적층직물은 100% 재활용이 가능한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아래에서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일반적으로 적층직물(laminated fabric)이란 섬유재에 필름형태로 이루어진 수지로 접합된 두겹이상의 직물로 합성피혁(비닐레더), 타포린 등을 말한다. 따라서 섬유재와 수지와의 접착성과 인쇄성이 적층직물의 중요 요소이다. 이러한 물성을 보유한 수지 조성물를 구성하고저 PBT수지를 주 원료로 하고 PET-G, TPEE, 스티렌계 불럭코폴리머, 가소제, 식물성오일, 가공조제, 난연제, 충진제, 내후성보강제, 상용화제같은 기타 첨가제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재활용이 가능한 합성피혁 또는 타포린용 적층직물은 폴리에스터 섬유재(polyester fabric)에 PBT(polybutylene terephthalate)엘라스토머를 일정 두께로 적층하여 구성된다.
< 실험 예1>
본 발명은 PBT수지 엘라스토머로 제조되는 필름과 폴리에스터계 섬유재를 2겹이상 접착하여 이루어지는 적층직물 제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PVC적층직물에 사용되는 PVC수지는 가소제의 함량이 PVC 100중량부에 40내지 60중량부 혼합되는 연질 PVC로 A경도 9585 정도의 필름이 주로 사용된다. 본 실험에서는 적층직물에 주로 사용되는 PVC, LDPE, LLDPE수지와 PBT 엘라스토머와의 물성을 비교 검토하였다.
수지종류 A경도 비중 인장강도kgf/㎟ 연신율(%)
실시예 1 :PVC 95±3 1.25 2.06 327
실시예 2 :PVC 88±3 1.23 1.78 356
실시예 3 :PVC 85±3 1.21 1.60 354
실시예 4 :PBT 엘라스토머 95±3 1.14 2.14 349
실시예 5 :PBT 엘라스토머 88±3 1.14 1.52 430
실시예 6 :PBT 엘라스토머 85±3 1.12 1.33 419
실시예 7 :LDPE 94±3 0.92 1.14 290
실시예 8 :LLDPE(한화;3120) 96±3 0.94 1.34 184
실시예 9 :올레핀계엘라스토머 85±3 0.99 1.46 710
LDPE ; 722(한화석유화학 품목번호) LLDPE; 3120(한화석유화학 품목번호)
실시예 1 내지 9와 같이 적층직물 제조에 주로 사용되는 수지의 물성을 비교검토하였다. 일반적으로 필름의 두께가 두꺼우면 경도가 낮은 부드러운 수지를 선택한다.
실시예 1에서 실시예 6까지 PVC와 PBT엘라스토머와 비교한 결과 A경도 95는 PBT엘라스토머가 PVC보다 물성이 우수하였으나 A경도 88과 85와 같이 저 경도에서는 PVC수지가 PBT엘라스토머보다 우수하였으며 LDPE나 LLDPE보다는 PVC수지나 PBT엘라스토머가 우수하였다. 올레핀계 엘라스토머는 저경도 제품제조에 주로 사용되며 저경도에서는 우수한 물성을 나타냈다. 주로 적층직물의 인장강도는 섬유재의 인장강도에 따라 결정되는 경향이 있다.
표1의 실험과 같이 PBT엘라스토머로 구성되는 적층직물의 물성은 PVC수지 적층직물과 유사할 것으로 판단된다.
<실험 예 2>
본 실험에서는 섬유재 중에서 폴리에스터계 부직포(nonwoven faric)를 선정하여 적층직물의 물성실험을 실시하였다.
적층직물에 사용되는 폴리에스터 섬유재는 직물(woven fabric)과 부직포가 주로 사용되며 부직포는 폴리에스터 수지와 PP수지가 주류이며 수지의 특성상 폴리에스터부직포가 두께가 얇으면서 인장강도가 높고 직물에 비하여 가격도 낮고 PBT엘라스토머와의 접착력이 양호하여 폴리에스터부직포를 섬유재로 구성되는 적층직물의 물성시험을 실시예와 같이 하였다.
실 시 예 두께(mm) 인장강도(kg/5cm)
PBT엘라스토머 171
1.부직포 30g/㎡ 0.14
상부접착 0.38 208kgf/㎠
상하부접착 0.57 286
2.부직포70g/㎡
상부접착 0.39 360
상하부접착 0.66 520
3.부직포100g/㎡
상부접착 0.42 574
상하부접착 0.7 776
표 2와 같이 PBT엘라스토머와 부직포를 접착한 적층직물의 인장강도를 비교하였다. 실시예 1은 부직포 두께가 0.14mm로 뚜렷한 개선효과가 없었으나 실시예 2와 3과 같이 두께가 두꺼운 부직포로 보강한 PBT엘라스토머 적층직물은 물성보강 효과가 커 PVC나 폴리우레탄 등의 수지로 구성된 적층직물의 대체가 가능하고 재활용 효과로 환경개선에 크게 기여 할 것으로 생각된다.
<실험 예 3>
본 실험에서는 재활용 시험을 실시하였다.
수지의 재활용은 일반적으로 수지 폐기물을 분쇄하여 사출이나 압출방법으로 제품 제조가 이루어지며 압출제품보다는 사출제품이 주로 생산되고 있다. 압출가공은 재활용 수지 중에 혼합된 이물질로 인한 불량품 발생율이 높다.
본 실험에서 폴리에스터 섬유재와 PBT엘라스토머로 이루어지는 적층직물의 재활용은 반드시 컴파운드 과정을 거쳐 입자(pellet)상태로 제조되어야 재활용이 가능하다. 폴리에스터 섬유재의 가공온도와 PBT엘라스토머의 가공온도 차이가 크기 때문에 단순 분쇄품으로는 제품가공이 불가능하다.
PVC적층직물은 섬유재로 사용하는 면이나 폴리에스터섬유재와 PVC수지의 비 상용성과 융점 차이로 혼합이 불가하다. 일반적으로 PVC와 폴리우레탄의 가공온도는 200℃이하이며 폴리에스터섬유의 가공온도는 250℃~300℃이다.
직물(woven fabric)을 구성하는 섬유(fiber)의 가공 온도는 280~300℃이며 부직포용 섬유(monofilament)는 250~280℃으로 부직포용 섬유가 가공온도가 낮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PBT엘라스토머의 가공온도는 200~280℃로 가공온도 폭이 넓으며 300℃가 되어도 탄화현상이 없고 폴리에스터 섬유와 사용성도 우수하여 재활용 가공이 가능하며 PBT엘라스토머의 우수한 물성으로 물성 저하현상도 거의 없는 우수한 재활용품 제조가 가능하다. PVC수지는 재활용하여도 물성변화가 없으나 폴리우레탄수지는 심한 물성저하 현상이 있다.
구 분 컴 파 운 드 가 공 온 도(℃)
1번2번히터 3,4,5,6번히터 7,8번히터 9,10번히터 아답터,다이스
폴리에스터직물 250 300 280 250 230
폴리에스터부직포 250 280 250 230 200
실험예 3 에서는 폐 적층직물의 실험으로 직물과 부직포섬유재에 PBT엘라스토머 필름의 상부접착된 폐 적층직물의 컴파운드 가공으로 표 3과 같은 온도설정으로 실시한 결과 pellet상태의 양호한 재생 컴파운드가 형성되었으며 부직포 직물은 압출도 가능할 정도의 양호한 재생상태였다. 지금까지 직물용(fabric) 섬유재의 단독 재생은 거의 불가하였으나 PBT엘라스토머 필름과 폴리에스터 섬유재로 구성된 적층직물의 재생은 가능하여 PVC수지나 폴리우레탄 수지로 구성된 재활용이 불가한 적층직물 제품 대체가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폴리에스터 섬유재와 PBT엘라스토머로 구성되는 적층직물의 가공방법은 섬유재와 PVC수지로 구성되는 적층직물과 같은 방법으로 가능하나 캐린더 가공방법보다는 티다이스(T-dies)를 이용하는 가공방법이 선호되며 가공제품의 물성도 티다이스를 이용하는 방법이 양호하고 가공도 용이하다. 이는 PVC수지의 가공온도 보다 높은 PBT엘라스토머의 가공온도와 PVC수지보다 낮은 용융점도가 원인으로 생각된다.
특히, 본 발명에서의 PBT 엘라스토머는, PBT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가소제 10 내지 120중량부와, TPEE(Thermoplastic copolyester elastomer)수지 10중량부 내지 120중량부를 혼합하여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PBT 엘라스토머 조성물에서는 내한성, 내열성, 내후성이 우수한 PBT수지를 기제수지로하고 가소제를 혼합하여 경도를 낮추고 내열성, 내후성, 내한성이 양호하고 타 수지와의 혼합성과 상용성이 우수한 TPEE수지를 혼합하여 인장강도, 신율같은 물성을 보완하도록 한다.
PBT(Polybutylene Terehpthalate)수지는 테레프탈산이 1,4-부탄디올과 반응하여 만들어지며 각종 EP(engineering plastic)중에서 내열성, 내약품성, 전기적 특성이 우수한 결정성 수지로 결정화 속도가 빠르므로 성형 사이클이 짧고 내후성, 내마찰, 내마모 특성과 치수안정성이 우수하며 전기, 전자, 자동차부품 등에 주로 사용된다. 특히 내열성이 우수한 수지이며 고온에서도 물성 저하폭이 좁고 120~130℃에서도 장시간 사용이 가능하고 고온, 고하중에서도 변형이 없다. 융점은 220~225℃이다. TPEE(Thermoplastic copolyester elastomer)수지는 하드세그먼트와 소프트세그먼트로 이루어지는 불럭코폴리머로 고무와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의 특징을 모두 가지고 있고 내열성, 내한성 및 기계적 물성이 우수하다.
TPEE(Thermoplastic copolyester elastomer)수지 10중량부 미만으로 혼합시에는 인장강도 및 신율의 물성보강 효과가 나타나지 않고, 120중량부를 초과하여 혼합시에는 경제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10중량부 내지 120중량부를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소제는 10중량부 미만으로 혼합 시에는 경도를 낮추는 효과가 없으며, 120중량부를 초과하여 혼합 시에는 내구성을 약화시키기 때문에 10~120중량부를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PBT수지는 일부 내지 전체를 상용성과 가공성이 양호한 PET-G(Glycol modified polyethylene terephthalate)수지로 대체하도록 하여 가공성을 향상시키도록 할 수 있다.
PET-G수지 20중량부 미만으로 PBT수지를 대체하면, 가공성 향상 효과가 나타나지 않기 때문에 PBT수지는 20중량% 내지 100중량%를 PET-G(Glycol modified polyethylene terephthalate)수지로 대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PET-G수지는 그리콜 변성PET수지(glycol-modified polyethylene terephthalate)로 PET수지의 물성, 가공성 개선을 위하여 공단량체로 CHDM(1,4-cyclohexanedimethanol)를 첨가하여 공중합한 비결정 수지로 투명하고 우수한 광택, 인쇄성, 내충격성, 내화학성이 뛰어나며 가공성 폭이 넓으며 환경호르몬 물질를 포함하지 않고 소각 폐기할 때 유해물질이 발생하지 않는 친환경 수지이고 가격도 비교적 저가이며 경질시트, 식품용기 등으로 이용되고 있있으며 가공온도도 190∼200℃ 정도로 낮다. 일반적으로 적당한 고주파가공 온도는 160∼180℃이며 발포제의 발포온도는 160∼190℃가 적당하다.
또한, PBT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식물성오일을 10중량부 내지 120중량부를 추가 혼합하도록 할 수 있다.
식물성오일은 10 중량부 미만으로 혼합시에는 경도를 낮추는 효과가 없으며, 120중량부를 초과하여 혼합시에는 내구성을 약화시키기 때문에 10~120중량부를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PBT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스티렌(Styrene)계 블록코폴리머를 5중량부 내지 100중량부와, 파라핀계오일 5중량부 내지 100중량부를 추가 혼합하도록 할 수 있다.
내한성, 내열성, 내유성은 물론 특히 내후성이 우수한 조성물를 구성하기 위하여 styrene계 블럭코폴리머(Polystyrene-elastomer block copolymer; TPR)에 비교적 상용성이 좋고 혼합성이 양호한 PBT수지와 파라핀계오일를 혼합하도록 할 수도 있다.
블록코폴리머를 5중량부 미만으로 혼합시에는 상용성 및 혼합성 상승 효과가 나타나지 않으며 100중량부를 초과하여 혼합하면 경제성이 떨어진다.
가공성 개선과 저경도화를 위하여 가소제 또는 식물성 오일 대신 파라핀계 오일을 사용하도록 하며 100중량부 이상 혼합도 가능하지만 내구성 및 경제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10중량부에서 100중량부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PBT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아크릴고무나 아크릴고무계 코폴리머 또는 부타디엔고무나 부타디엔고무계 코폴리머 10중량부 내지 100중량부를 선택적으로 혼합하도록 할 수 있다.
코아셀형 코폴리머(core-shell type copolymer)는 주로 PVC 충격보강제(impact modifier)로 사용되며 셀(shell)부분과 코아(core)부분의 2중구조로 구성되어 있으며 셀부분은 주로 아크릴이나 SAN수지 같은 수지이고 코아부분은 아크릴고무(acrylic rubber), 부타디엔고무(butadiene rubber), 시리콘고무 같은 고무로 구성된다.
부타디엔계 코폴리머는 타수지와의 상용성이 우수하여 광범위하게 사용되며 아크릴계나 시리콘계 코폴리머는 주로 내후성 향상을 위한 충격보강제로 사용한다. 이들 코폴리머는 구형(원형)의 분말상태로 오일이나 가소제의 흡수성이 양호하며 PBT, PET-G, TPEE수지와 상용성이 양호하다. 10중량부 미만으로 혼합시에는 상용성 및 혼합성 상승 효과가 나타나지 않으며 100중량부를 초과하여 혼합하면 경제성이 떨어진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재활용이 가능한 합성피혁 또는 타포린용 적층직물은 가구나 가방 등 일반적인 용도뿐 아니라 PBT엘라스토머의 우수한 가공성, 접착성, 인쇄성, 내후성과 PVC보다 양호한 내열성, 내한성을 보유한 PBT엘라스토머 수지와 폴리에스터계 섬유재로 구성된 적층직물은 폴리우레탄이나 PP, PE나 올레핀계의 엘라스토머와 각종 섬유재로 구성된 적층직물이 PVC수지 적층직물을 대체하지 못한 부분까지 대체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에어보트나 에어튜브는 고무나 PVC타포린으로 제조하며, 우수한 내수성과 접착성이 요구되어 폴리우레탄의 가수분해성과 PP나 PE, 올레핀계 엘라스토머의 불량한 접착성으로 이들 수지는 사용 불가하고, 고무와 섬유재로 제조된 에어보트나 에어튜브는 중량이 무거우며 PVC수지 타포린으로 제조된 에어보트나 에어튜브는 불량한 내한성으로 동절기 사용에 어려움이 있으며 인쇄용 광고판으로 사용하고 있는 타포린도 일부 PP나 PE를 오레핀계 엘라스토머와 혼합하여 사용하고 있으나 접착성과 인쇄성의 불량으로 극히 일부분 사용되며 대부분 PVC타포린을 사용하고 있었다. PVC나 폴리우레탄 같은 우수한 물성을 소유한 수지로 구성되는 적층직물의 섬유재는 면이나 폴리에스터계의 섬유재로 구성되는데 섬유재와 수지의 이질성으로 인하여 재활용이 불가능하였지만, 본 발명의 재활용이 가능한 합성피혁 또는 타포린용 적층직물은 100% 재활용이 가능한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변형 및 수정 발명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며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

Claims (3)

  1. 폴리에스터 섬유재(polyester fabric)에 PBT(polybutylene terephthalate)엘라스토머를 일정 두께로 적층하여 구성되는 재활용이 가능한 합성피혁 또는 타포린용 적층직물에서,
    PBT 엘라스토머는,
    PBT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가소제 10 내지 120중량부와, TPEE(Thermoplastic copolyester elastomer)수지 10중량부 내지 120중량부를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상기 공지된 기술인 폴리에스터 섬유재, 엘라스토머 PBT수지, 가소제, TPEE로 형성된 재활용이 가능한 합성피혁 또는 타포린용 적층직물에 있어서,
    적층직물이 물과 접촉하도록 설계된 제품의 일부임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이 가능한 합성피혁 또는 타포린용 적층직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품이 에어보트나 에어튜브임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이 가능한 합성피혁 또는 타포린용 적층직물.
  3. 청구항 1에 있어서,
    적층직물이 인쇄용 직물이거나 그의 일부임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이 가능한 합성피혁 또는 타포린용 적층직물.
KR1020200093889A 2020-07-28 2020-07-28 재활용이 가능한 합성피혁 또는 타포린용 적층직물 KR2020009350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3889A KR20200093500A (ko) 2020-07-28 2020-07-28 재활용이 가능한 합성피혁 또는 타포린용 적층직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3889A KR20200093500A (ko) 2020-07-28 2020-07-28 재활용이 가능한 합성피혁 또는 타포린용 적층직물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5996A Division KR20190088143A (ko) 2018-01-17 2018-01-17 재활용이 가능한 친환경 적층직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3500A true KR20200093500A (ko) 2020-08-05

Family

ID=720415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3889A KR20200093500A (ko) 2020-07-28 2020-07-28 재활용이 가능한 합성피혁 또는 타포린용 적층직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9350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538177A (zh) * 2021-06-30 2022-12-30 三芳化学工业股份有限公司 皮革及其制造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4614B1 (ko) 2007-01-23 2010-12-28 (주)엘지하우시스 Pvc와 유사한 성형성을 갖는 petg계 성형용데코시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4614B1 (ko) 2007-01-23 2010-12-28 (주)엘지하우시스 Pvc와 유사한 성형성을 갖는 petg계 성형용데코시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538177A (zh) * 2021-06-30 2022-12-30 三芳化学工业股份有限公司 皮革及其制造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646563B (zh) 卡用贴面板芯
KR200470687Y1 (ko) 바이오 폴리머 수지를 구비하는 바닥재
KR100915000B1 (ko) 도로표지판용 플라스틱 복합 쉬트 및 그 제조방법
KR20200093500A (ko) 재활용이 가능한 합성피혁 또는 타포린용 적층직물
KR102518411B1 (ko) 내열성이 우수한 pbt에라스토머 조성물
JP5346502B2 (ja) 樹脂組成物及びこれを用いたフィルム、積層体
JP5623479B2 (ja) 樹脂組成物及びこれを用いたフィルム、積層体
Kwietniewski et al. Review of elastomeric materials for application to composites reinforced by auxetics fabrics
CN110791060A (zh) 具有耐热性的聚对苯二甲酸丁二醇酯弹性体组合物
KR20200035386A (ko) 재활용이 가능한 적층직물
KR20190088143A (ko) 재활용이 가능한 친환경 적층직물
KR102162574B1 (ko) 재활용이 가능하고 접착력이 우수한 포장용필름 조성물
JP3598474B2 (ja) 樹脂組成物、その製造方法、およびそれからなるホットメルト接着剤
CN110563917A (zh) 一种在线改性ppc树脂及其制备工艺
KR20080045436A (ko) 고주파 가공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엘라스토머블렌드 조성물
JP4665393B2 (ja) 熱可塑性エラストマ樹脂組成物および成形体
JP4665392B2 (ja) 熱可塑性エラストマ樹脂組成物および成形体
KR20220120900A (ko) 연질 친환경 접착필름
JPH08142290A (ja) 繊維補強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2291449B1 (ko) PET를 이용한 Non-PVC 타입 친환경 타일
JP2005325166A (ja) ポリエステル樹脂シートおよびその積層シート並びにそれを用いるカード
JP6121125B2 (ja) ジョイント用ブーツ
US20240059834A1 (en) Thermoplastic polyester resin composition, and extrusion-molded article composed thereof
JP2004211068A (ja) 熱可塑性エラストマ樹脂組成物および成形体
GB2332436A (en) Soft thermoplastic composi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