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93480A - 주문과 배송 서비스를 연계한 모바일 구매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주문과 배송 서비스를 연계한 모바일 구매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93480A
KR20200093480A KR1020200088552A KR20200088552A KR20200093480A KR 20200093480 A KR20200093480 A KR 20200093480A KR 1020200088552 A KR1020200088552 A KR 1020200088552A KR 20200088552 A KR20200088552 A KR 20200088552A KR 20200093480 A KR20200093480 A KR 202000934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information
seller
delivery
purch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85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도훈
천정서
이주상
Original Assignee
이도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도훈 filed Critical 이도훈
Priority to KR10202000885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93480A/ko
Publication of KR202000934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348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3Lists, e.g. purchase orders, compilation or proces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4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using light without selection of wavelength, e.g. sensing reflected white light
    • G06K7/1404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20Point-of-sale [POS] network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7Short range or proximity payments by means of M-devices
    • G06Q20/3278RFID or NFC payments by means of M-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G06Q20/401Transaction verification
    • G06Q20/4014Identity check for transa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G06Q20/401Transaction verification
    • G06Q20/4015Transaction verification using location inform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2Hotels or restaura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2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distribution or shipping

Abstract

본 발명은 역결제 POS 단말을 이용한 POS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구매자 단말과, 상기 구매자 단말이 모바일 통신 채널로 접속되는 판매자 메인단말, 상기 판매자 메인단말(sales main terminal)과 통신 채널을 통해 연결되는 판매자 부단말(sales sub-terminal) 및 배송 단말(delivery terminal)로 구성된 주문과 배송 서비스를 연계한 모바일 구매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결제 서버를 중심으로 판매자 단말과 구매자 단말 간에 역결제 POS 단말을 구비하고 구매자 단말이 역결제를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분산된 구매자 단말로부터의 동시 다발적인 대량의 역결제 요청에 대해서도 각각의 역결제가 단일의 판매자 단말로 수행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로부터 결제 서버측에서 단일의 판매자 단말에 대한 결제 처리를 수행함으로써 판매자측의 결제 정보 관리가 용이하도록 하는 기술적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주문과 배송 서비스를 연계한 모바일 구매 시스템 및 그 방법 {Mobile purchase system connecting orders to delivery service, and the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주문과 배송 서비스를 연계한 모바일 구매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매자의 단말로써 구매되고 결제된 물건이나 식음료를 구매자가 요구하는 위치로 서빙하거나 배송하도록 함으로써 판매자측의 서빙이나 배송 관리를 용이하게 할 뿐만 아니라 판매 관리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주문과 배송 서비스를 연계한 모바일 구매 시스템 및 그 방법을 기술 분야로 한다.
모바일을 이용하여 물품이나 서비스 대금을 결제하는 배경 기술로서 도면 제1도에 도시된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973790호의 무선통신 기반 클러스터 데이터를 이용한 매장의 와이파이 검색 및 메뉴 주문 서비스 제공 방법 기술이 있다. 이 기술은, 무선통신 기반 클러스터 데이터를 이용한 매장의 와이파이 검색 및 메뉴 주문 서비스 제공 방법이 제공되며, 매장 내의 적어도 하나의 지점에서 신호가 강한순으로 측정된 와이파이 AP, GPS, 및 매장의 메뉴를 클러스터링한 제 1 클러스터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 고객 단말이 매장에 입장할 때 고객 단말에서 감지되는 와이파이 다이렉트 맥 어드레스 또는 블루투스 비콘 맥 어드레스를 매장에 설치된 매장 단말을 경유하여 수신 및 저장하는 단계, 고객 단말에서 메뉴봇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경우, 고객 단말의 와이파이 다이렉트 맥 어드레스 또는 블루투스 비콘 맥 어드레스와, GPS, 고객 단말에서 신호가 강한순으로 감지된 와이파이 AP를 클러스터링한 제 2 클러스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제 1 클러스터 데이터와 제 2 클러스터 데이터가 동일한 경우, TCP/IP 또는 UDP 통신연결을 형성하고, 제 1 클러스터 데이터에 포함된 메뉴를 고객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및 고객 단말에서 메뉴의 선택 및 결제가 진행되는 경우, 매장 단말로 고객 단말의 정보 및 메뉴의 결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출원 발명에 관한 다른 배경 기술로서 도면 제2도에 도시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14427호의 맞춤형 음식 메뉴 주문을 위한 서버 및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기술이 있다. 이 기술은, 음식 메뉴를 구성하는 반찬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통신모듈 및 주문자가 선택한 음식 메뉴를 구성하는 반찬 정보를 주문자에게 전송하고 주문자 반찬 정보를 전송 받아 음식점 단말기에 전송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 주문자 맞춤형 도시락 제공 서버 및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특징으로 한다.
KR 10-1973790 B1 KR 10-2017-0014427 A
본 발명은, 구매자 단말(100)과 판매자 메인단말(200)간의 역결제 및 순결제 방식을 수용하며, 구매자의 요구에 따라 주문된 물건이나 식음료가 매장내의 구매자에게 전달(서빙)하거나, 요청된 주소지로 배달될 수 있으며, 주문된 물건이나 식음료가 매장에 도착한 구매자를 식별하여 전달(서빙)될 수 있고, 구매자가 주소를 모르는 구매자의 위치로 배달을 요청하는 경우, 주문된 물건이나 식음료를 구매자의 위치로 배달될 수 있도록 하는 주문과 배송 서비스를 연계한 모바일 구매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구매자 단말(100)과, 상기 구매자 단말(100)이 통신 채널로 접속되는 판매자 메인단말(200), 상기 판매자 메인단말(200 : sales main terminal)과 통신 채널을 통해 연결되는 판매자 부단말(400 : sales sub-terminal) 및 배송 단말(500 : delivery terminal)로 구성되는 주문과 배송 서비스를 연계한 모바일 구매 시스템 및 그 방법을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 제공한다.
본 발명의 주문과 배송 서비스를 연계한 모바일 구매 시스템 및 그 방법은, 구매자 단말(100)과 판매자 메인단말(200)간의 역결제 및 순결제 방식을 수용하며, 구매자의 요구에 따라 주문된 물건이나 식음료가 매장내의 구매자에게 전달(서빙)하거나, 요청된 주소지로 배달될 수 있으며, 주문된 물건이나 식음료가 매장에 도착한 구매자를 식별하여 전달(서빙)될 수 있고, 구매자가 주소를 모르는 구매자의 위치로 배달을 요청하는 경우, 주문된 물건이나 식음료를 구매자의 위치로 배달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적 효과를 제공한다.
도면 제1도는 배경 기술로서 무선통신 기반 클러스터 데이터를 이용한 매장의 와이파이 검색 및 메뉴 주문 서비스 제공 방법 기술의 구성
도면 제2도는 다른 배경 기술로서 맞춤형 음식 메뉴 주문을 위한 서버 및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기술의 구성
도면 제3도는 기존의 VAN(value added network)과 PG(payment gateway)를 통한 POS 단말과 구매자 단말간의 결제 구조
도면 제4도는 본 발명의 전체 구성
도면 제5도는 본 발명의 판매자 메인단말의 세부 구성
도면 제6도는 본 발명의 판매자 부단말의 세부 구성
도면 제7도는 본 발명의 배송 단말의 세부 구성
도면 제8도는 본 발명의 구매자 단말의 세부 구성
도면 제9도는 본 발명의 주문과 배송 서비스를 연계한 모바일 구매 시스템의 구동 방법
도면 제10도는 본 발명의 구매자 단말, 판매자 메인단말, 판매자 부단말 및 배송 단말간 전송되는 정보의 구성
이하의 내용은 단지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한다. 이에 따라 당업자는 비록 본 명세서에 명확히 설명되거나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원리를 구현하고 본 발명의 개념과 범위에 포함된 다양한 장치를 발명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 열거된 모든 조건부 용어 및 실시예들은 원칙적으로, 본 발명의 개념이 이해되도록 하기 위한 목적으로만 명백히 의도되고, 이와 같이 특별히 열거된 실시예 들 및 상태들에 제한적이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원리, 관점 및 실시예들 뿐만 아니라 특정 실시예를 열거하는 모든 상세한 설명은 이러한 사항의 구조적 및 기능적 균등물을 포함하도록 의도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서 구매자 단말, 판매자 메인단말, 판매자 부단말 및 배송 단말은 근거리 통신을 포함하는 Bluetooth, WIFI, 4G 이상의 모바일 통신 채널 등의 무선 채널을 통해 접속될 수 있음을 별도로 특정하지 않아도 명확한 것이다. 다만 본 발명에서는 발명의 특징적 구성을 명확히 하기 위해 단말들이 무선 채널을 통해 상호 접속되는 구성을 근거리 통신과 모바일 통신 채널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더욱 분명해 질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가입 및 등록하는 절차와 구성, 본 발명의 정보 교환 구성에서 정보의 암호화 및 복호화를 위한 절차와 구성은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의 필요에 따라 용이하게 채택될 수 있는 구성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어 그 구성과 설명이 생략되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 제3도는 기존의 VAN(value added network)과 PG(payment gateway)를 통한 POS 단말과 구매자 단말간의 결제 구조를 도시한다. 도면에서 판매자는 POS 단말을 구비하고 구매자는 이동통신단말기를 구매자 단말로서 구비하며, 판매와 구매에 따른 결제는 신용카드와 같은 현금 대체수단을 사용한다. 이러한 결제 구조는, 구매자 단말이 근거리 통신 채널로 POS 단말에 접속되고, POS 단말을 통해 결제가 이루어지는 순방향 결제와 구매자 단말에서 결제가 진행되는 역결제 방식이 있다.
순방향 결제에서는, POS 단말로부터 구매 내역과 금액을 포함하는 결제 정보가 구매자 단말로 전송되면, 구매자 단말은 결제 수단 정보를 POS 단말에 제공한다.
상기 POS 단말은 도면의 상단과 같이, VAN 사를 통해 결제 정보를 전송하여 승인 요청을 하고, 상기 승인 요청은 구매자 단말의 결제 수단에 해당하는 신용카드사로 승인 요청 정보를 제공하여 결제가 진행되도록 한다. 신용카드사에서 거래가 승인되면 VAN 사를 통해 거래 승인 정보를 POS 단말로 전송함으로써 거래가 완료된다.
역방향 결제에서는, POS 단말로부터 구매 내역과 금액, 판매자의 정보를 포함하는 결제 요청 정보가 구매자 단말로 전송된다.
상기 구매자 단말은 도면의 하단과 같이, PG 서비스사로 결제 요청 정보를 전송하여 승인 요청을 하고, PG 서비스사는 VAN 사를 통해 결제 정보를 전송하여 승인 요청을 하고, 상기 승인 요청은 구매자 단말의 결제 수단에 해당하는 신용카드사로 승인 요청 정보를 제공하여 결제가 진행되도록 한다. 신용카드사에서 거래가 승인되면 VAN 사를 통해 거래 승인 정보를 PG 서비스사를 통해 구매자 단말이나 POS 단말로 전송함으로써 거래가 완료된다.
상기와 같은 순방향 결제 구조에서 VAN사는 판매자의 POS 단말과 유선 전용 채널로 접속되고, 역방향 결제 구조에서 구매자 단말은 모바일 통신 채널을 경유해 인터넷으로 접속된다. 따라서, PG 서비스사로 온라인 접속을 하기 위해서는 인터넷 주소로사 URL이나 IP 주소 정보가 제공되어야 하고, 순방향 결제 구조에서는 VAN사에 접속하기 위한 전화번호와 같은 정보가 필요하다. 근래에는 PG 서비스사에 접속되는 POS 단말도 제공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결제 구조는, POS 단말과 구매자 단말간의 거리가 제한되지 않기 때문에 구매자의 주문과 결제가 완료된 이후 배송 서비스가 다양하게 요구될 수 있다.
물건이나 식음료를 주문하고 결제한 경우를 예로 들면,
- 구매자가 POS 단말이 위치한 매장에서 물건이나 식음료를 주문하여 매장에서 사용하거나 취식하는 경우, 주문된 물건이나 식음료가 매장내의 구매자에게 전달(서빙)되어야 한다.
- 구매자가 POS 단말이 위치한 매장에서 물건이나 식음료를 주문하여 다른 곳으로 배달을 요청하는 경우, 주문된 물건이나 식음료를 요청된 주소지로 배달하여야 한다.
- 구매자가 매장에서 이격된 먼 위치에서 주문하고 매장에서 사용하거나 취식하고자 하는 경우, 주문된 물건이나 식음료가 매장에 도착한 구매자를 식별하여 전달(서빙)되어야 한다.
- 구매자가 매장에서 이격된 먼 위치에서 주문하고 요청된 주소지로 배달을 요청하는 경우, 주문된 물건이나 식음료를 요청된 주소지로 배달하여야 한다.
- 구매자가 매장이 아닌 주소를 모르는 위치(예를 들면 여행지나 관광지)에서 주문하고 구매자의 위치로 배달을 요청하는 경우, 주문된 물건이나 식음료를 구매자의 위치로 배달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구매자의 요구를 충족하고 아울러 판매자측의 서빙이나 배송 관리를 용이하게 할 뿐만 아니라 판매 관리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주문과 배송 서비스를 연계한 모바일 구매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한다.
도면 제4도는 본 발명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다. 본 발명의 주문과 배송 서비스를 연계한 모바일 구매 시스템은, 구매자 단말(100)과, 상기 구매자 단말(100)이 모바일 통신 채널로 접속되는 판매자 메인단말(200), 상기 판매자 메인단말(200 : sales main terminal)과 통신 채널을 통해 연결되는 판매자 부단말(400 : sales sub-terminal) 및 배송 단말(500 : delivery terminal)을 기본 구성으로 한다.
상기의 구매자 단말(100), 판매자 메인단말(200), 판매자 부단말(400) 및 배송 단말(500)은 모바일 기기, 휴대용 컴퓨터, 태블릿 등의 기기로 구성될 수 있으며, 또한 하나의 단말이 구매자 단말(100), 판매자 메인단말(200), 판매자 부단말(400) 및 배송 단말(500)들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구성을 구비하여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물품이나 식음료를 판매하는 판매자 메인단말(200)에 구매자 단말(100) 구성을 구비함으로써, 판매하는 물품이나 식음료, 또는 그 재료를 구매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구매자 단말(100)의 기능으로써 구매 및 결제가 수행되도록 구성될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구매자 단말(100), 판매자 메인단말(200), 판매자 부단말(400) 및 배송 단말(500)은 이격 거리에 따라서는 근거리 통신 채널로써 접속할 수도 있으며, 각 단말간의 배치가 근거리 통신 영역 이상인 경우에는 모바일 통신 채널을 통해 연결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의 판매자 메인단말(200)은 유무선 통신 수단을 통해 POS 단말(300)과 접속되어 판매 정보가 POS 단말(300)로 전달되고 연동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으며, 상기 POS 단말(300)의 기능을 판매자 메인단말(200)에 통합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아울러 상기의 구성을 통해 매장의 휴무일 여부, 매장을 포함하는 지역적 재난 정보의 전파 수단으로서 이용도 가능하다.
도면의 구성으로부터, 구매자 단말(100)이 모바일 통신 채널을 통해 판매자의 URL(uniform resource locator)로써 판매자의 물품이나 식음료 등의 정보와 결제를 위한 판매자의 정보를 포함하는 판매 정보를 제공받아 구매하고 도면 3도에서 설명된 것과 같이 순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결제함으로써 구매-결제가 완료될 수 있다.
① 구매 및 결제가 완료된 구매자 단말(100)은, 주문 결제 정보를 모바일 통신 채널을 경유하여 판매자 메인 단말(200)로 전송하여 구매한 물품이나 식음료 정보와 결제 완료된 정보, 그리고 배송받을 위치를 전송한다. 이때 구매자는 구매한 물품이나 식음료를 서빙 또는 배송받기 위한 매장내 지점, 지정된 주소 또는 구매자의 위치를 선택할 수 있다.
② 판매자 메인 단말(200)은 구매자 단말(100)에서 구매되고 결제된 물품이나 식음료 정보를 판매자 부단말(400)로 전송하고, 상기 판매자 부단말(400)은, 구매된 물품이 보관되어 있는 매대(sales shelf)나 창고에 배치되어 구매 물품을 출하하도록 하거나 식음료를 주문하는 경우 주방에 주문 정보를 제공한다. 상기 판매자 부단말(400)이 위치한 매대/창고, 주방에서는 주문된 물품이나 식음료를 준비하여 서빙이나 배송을 대기한다. 이때 주문 정보가 매장에서 사용하거나 취식하는 경우에는 주문된 물품이나 식음료를 판매자 메인 단말(200)의 위치로 서빙할 수도 있다.
③ 판매자 메인 단말(200)은 구매자 단말(100)로부터 전송된 물품이나 식음료 정보와 배송받을 위치 정보를 배송 단말(500)로 전송하고, 상기 배송 단말(500)을 참조하여 주문된 물품이나 식음료를 구매자 단말(100)로부터 지정된 지점으로 배송되도록 한다. 만약 구매자 단말(100)로부터 지정된 지점이 매장내라면, 매장 서빙으로 물품이나 식음료를 서빙한다.
도면 제5도는 본 발명의 주문과 배송 서비스를 연계한 모바일 구매 시스템에서, 구매자 단말(100)이 모바일 통신 채널로 접속되는 판매자 메인단말(200)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다.
본 발명의 판매자 메인단말(200)은;
판매자 메인단말(200)의 전체적인 제어를 수행하는 단말 콘트롤러(202); 구매자 단말(100)과 접속되어 물품이나 식음료 정보, 판매자 정보를 제공하고 구매자 단말(100)로부터 구매 정보를 전송받으며, 배송 단말(500)로 배송 정보를 전송하는 모바일 통신부(204); 구매자 단말(100)에서 결제를 수행하기 위한 판매자의 VAN(value added network)이나 PG(payment gateway) 접속 정보, 판매자의 상호, 판매자의 VAN 이나 PG 접속 ID, 판매자의 사업자 등록 번호 및 판매 물품이나 식음료와 같은 판매자 부가정보를 포함하는 판매자 정보를 저장하는 판매자 정보 저장부(206); 상기 모바일 통신부(204)를 통해 접속된 구매자 단말(100)로 제공되는 물품이나 식음료 정보를 저장하는 판매 정보 저장부(208); 상기 모바일 통신부(204)를 통해 접속된 구매자 단말(100)의 CID(caller ID)와 구매 정보를 저장하는 모바일 정보 저장부(210); 판매자 메인단말(200)의 GPS 좌표를 계측하고 구매자 단말(100)로부터 제공된 GPS 좌표와의 거리를 연산하는 GPS 연산부(212); POS 단말(300)과 접속되어 연동하기 위한 USB 인터페이스(214); 판매자 부단말(400)과 접속하여 주문 정보를 제공하고 그 처리 여부 정보를 판매자 부단말(400)로부터 수신하며, 판매자 메인단말(200)이 위치한 매장을 방문한 구매자 단말(100)로부터 구매 ID를 수신하여 구매자를 인증하기 위한 근거리 통신부(216); 구매자 단말(100)이나 판매자의 POS 단말(300)이 접속되어 결제를 수행하기 위한 판매자의 VAN(value added network)이나 PG(payment gateway) 접속 정보를 설정하여 저장하는 VAN/PG 정보 저장부(218); 판매자 메인단말(200)이 연결되는 판매자 부단말(400)과 배송 단말(500)의 접속을 위한 CID나 IP(internet protocol), 또는 ID를 저장하는 판매자 부단말(400) 및 배송 단말(500) 정보 저장부(220);로 구성된다.
도면 제6도는 본 발명의 주문과 배송 서비스를 연계한 모바일 구매 시스템에서, 판매자 메인단말(200)과 무선 접속되는 판매자 부단말(400)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다.
본 발명의 판매자 부단말(400)은;
판매자 부단말(400)의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하는 부단말 제어부(402); 판매자 메인단말(200)과 접속되어 상기 판매자 메인단말(200)로부터 주문 정보를 제공받고 그 처리 여부에 따른 주문 처리 정보를 판매자 메인단말(200)로 모바일 통신 채널을 통해 전송하기 위한 이동통신 채널 통신부(404); 상기 이동통신 채널 통신부(404)와 병행하여 판매자 메인단말(200)과 접속되어 상기 판매자 메인단말(200)로부터 주문 정보를 제공받고 그 처리 여부에 따른 주문 처리 정보를 판매자 메인단말(200)로 전송하기 위한 근거리 송수신 유닛(406); 판매자 메인단말(200)로부터 제공받은 주문 정보를 저장하는 주문 정보 저장부(408); 판매자 메인단말(200)로부터 제공받은 주문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부단말 디스플레이(410); 판매자 부단말(400)이 접속되는 판매자 메인단말(200)의 접속 정보를 저장하는 메인 단말 정보 저장부(412); 주문 정보에 따른 물품이나 식음료를 배송하기 위한 배송 단말(500)의 접속 정보를 저장하는 배송 단말 정보 저장부(414); 판매자 메인단말(200)로부터 제공받은 주문 정보의 처리 여부에 따른 주문 처리 정보를 기록 저장하는 처리 정보 저장부(416);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판매자 부단말(400)의 구성에서, 판매자 부단말(400)이 판매자 메인단말(200)로부터 이격 거리가 작은 경우에는 근거리 송수신 유닛(404)을 통해 판매자 부단말(400)을 판매자 메인단말(200)로 접속하고, 판매자 메인단말(200)로부터 이격 거리가 클 경우에는 근거리 송수신 유닛(404)을 이동통신 채널 통신부(404)로써 판매자 메인단말(200)과 접속되도록 하여 상기 판매자 메인단말(200)로부터 주문 정보를 제공받고 그 처리 여부에 따른 주문 처리 정보를 판매자 메인단말(200)로 전송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도면 제7도는 본 발명의 주문과 배송 서비스를 연계한 모바일 구매 시스템에서, 판매자 메인단말(200)과 접속되는 배송 단말(500)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다.
본 발명의 배송 단말(500)은;
상기 배송 단말(500)의 전체적인 제어를 수행하는 배송 단말 프로세서(502); 판매자 메인단말(200)의 전체적인 제어를 수행하는 단말 콘트롤러(202); 판매자 메인단말(200)과 접속되어 물품이나 식음료 정보, 배송 지점 정보를 포함하는 배송 정보를 제공받고 배송 완료 보고 정보를 판매자 메인단말(200)로 전송하는 이동통신 유닛(504); 판매자 메인단말(200)로부터 수신된 배송 정보를 저장하는 배송 정보 저장부(506); 배송 완료 보고 정보를 저장하는 배송완료 정보 저장부(508); 배송 정보와 배송 지점 정보를 전자지도와 함께 표시하는 배송 단말 디스플레이(510); 판매자 메인단말(200)에 접속하기 위한 접속 정보를 저장하는 메인 단말 정보 메모리(512); 주문 정보에 따른 배송 대상 물품이나 식음료를 전달받기 위한 부단말의 접속 정보를 저장하는 부단말 정보 메모리(514); 판매자 메인단말(200)로부터 제공된 배송 지점 정보를 표시하여 상기 배송 단말 디스플레이(510)에 표시하기 위한 전자지도(516);로 구성된다.
도면 제8도는 본 발명의 주문과 배송 서비스를 연계한 모바일 구매 시스템에서, 판매자 메인단말(200)과 접속되는 구매자 단말(100)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다.
본 발명의 구매자 단말(100)은;
상기 구매자 단말(100)의 전체 제어를 수행하는 구매자 단말 프로세서(102); 구매자 단말(100)이 위치한 지점의 GPS 좌표를 계측하는 GPS 유닛(104); 구매자 단말(100)이 접속된 판매자 메인 단말(200)로부터 제공된 물품이나 식음료 정보를 저장하여 구매자 단말(100)에서 선택하고 구매할 수 있도록 하는 주문판매 정보 저장부(106); 구매자 단말(100)에서 선택하고 구매되는 물품이나 식음료와 판매자 메인단말(200)로부터 제공되는 판매자 정보, 결제 수단의 정보를 저장하는 구매-결제 정보 저장부(108); 구매자 단말(100)에서 구매된 물품이나 식음료와 판매자 정보, 결제 내역의 정보를 저장하는 구매 내역 저장부(110); 판매자 메인 단말(200)이 위치한 매장에서 구매자 단말(100)로써 물품이나 식음료를 선택하고 결제할 때 바코드로써 제공되는 판매자 정보를 판독하는 바코드 판독 유닛(112); 구매자 단말(100)을 모바일 통신 채널을 통해 판매자 메인 단말(200)에 접속시키는 이동 통신 유닛(114); 판매자 메인 단말(200)이 위치한 매장에서 구매자 단말(100)로써 구매된 물품이나 식음료를 수령할 때 판매자 메인 단말(200)에 대해 구매 ID를 판매자 메인 단말(200)로 전송하여 구매자 단말(100)을 인증하기 위한 근거리 통신 유닛(116); 구매자 단말(100)로부터 판매자 메인 단말(200)로 구매-결제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판매자 메인 단말(200)로부터 전송받은 구매 ID를 저장하는 구매 ID 저장부(118); 구매자 단말(100)로써 구매된 물품이나 식음료를 배송받기 위한 주소를 저장하는 배송 주소 저장부(120);으로 구성된다.
도면 제9도는 본 발명의 주문과 배송 서비스를 연계한 모바일 구매 시스템에서, 구매자 단말(100), 판매자 메인단말(200), 판매자 부단말(400) 및 배송 단말(500)간의 구동 방법을 단계별로 도시한다.
본 발명의 주문과 배송 서비스를 연계한 모바일 구매 시스템의 구동 방법은;
- S100 : 모바일 통신 채널을 통해 구매자 단말(100)이 판매자 메인 단말(200)에 접속되면 상기 판매자 메인단말(200)의 단말 콘트롤러(202)에 의해 판매자 정보 저장부(206)에 저장된 판매자 정보를 구매자 단말(100)로 전송하는 단계;
- S110 : 상기 판매자 정보를 제공받은 구매자 단말(100)은 구매자 단말 프로세서(102)에 의해 상기 판매자 정보로부터 구매자의 선택에 따라 물품이나 식음료를 구매하고 결제를 완료한 뒤, 구매-결제 정보 저장부(108)에 저장된 구매 내역과 결제 정보, 배송 지점 정보를 판매자 메인단말(200)로 전송하는 단계;
- S120 : 상기 구매 내역과 결제 정보를 제공받은 판매자 메인단말(200)로부터 구매에 대한 고유 ID를 구매자 단말(100)로 전송하는 단계;
- S130 : 판매자 메인단말(200)로부터 구매 내역과 구매 ID, 배송 지점 정보를 포함하는 주문 정보가 판매자 부단말(400)로 전송되어 상기 판매자 부단말(400)의 부단말 제어부(402)에 의해 주문 정보 저장부(408)에 저장되고, 매대, 창고 또는 주방에서 주문된 물품이나 식음료가 준비되는 단계;
- S140 : 상기 물품이나 식음료가 준비 완료되면 판매자 부단말(400)로부터 배송 단말(500)로 구매 내역과 구매 ID, 배송 지점 정보를 포함하는 주문 정보를 배송 정보로 전송하여 배송 단말 프로세서(502)에 의해 배송 정보 저장부(506)에 저장되는 단계;
- S150 : 판매자 부단말(400)로 처리 완료 정보가 입력되어 부단말 제어부(402)에 의해 처리 정보 저장부(416)에 저장되고, 이동통신 채널 통신부(404)를 통해 판매자 메인단말(200)로 주문 처리 완료 정보를 전송되는 단계;
- S160 : 상기 배송 단말(500)의 배송 정보를 참조하여 주문된 물품이나 식음료를 구매자 단말(100)에서 지정한 매장내 위치(테이블 번호), 주소, 또는 구매자 단말(100)에서 지정한 GPS 지점으로 전자지도(516)를 참조하여 배송되거나 서빙되는 단계;
- S170 : 주문된 물품이나 식음료의 배송 또는 서빙의 완료시 배송 단말(500)에 입력되는 배송완료 정보가 배송 단말(500)의 배송 단말 프로세서(502)에 의해 배송완료 정보 저장부(506)에 저장되고, 판매자 메인단말(200)로 배송완료 정보가 전송되는 단계;
- S180 : 주문과 결제, 그리고 배송 서비스가 완료되는 단계; 로 구성된다.
도면 제10도는 본 발명의 주문과 배송 서비스를 연계한 모바일 구매 시스템에서, 구매자 단말(100), 판매자 메인단말(200), 판매자 부단말(400) 및 배송 단말(500)간 전송되는 정보의 구성을 일례로 도시한다.
도면의 (a)는 모바일 통신 채널을 통해 구매자 단말(100)이 판매자 메인 단말(200)에 접속되면 상기 판매자 메인단말(200)이 구매자 단말(100)로 전송하는 구매와 결제를 위한 판매자 정보의 일례를 도시한다.
상기 구매자 단말(100)이 판매자 메인 단말(200)이 위치한 매장에서 구매와 결제를 수행하는 경우, 상기 판매자 정보는 변동이 없는 정보이므로 바코드로써 제공될 수도 있으며 이를 구매자 단말(100)이 판독하여 판매자 정보를 제공받을 수도 있다. 또한 구매자 단말(100)이 판매자 메인 단말(200)이 위치한 매장에서 구매와 결제를 수행하는 경우에는, 도면 3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구매자 단말(100) 결제를 수행하는 역결제 방식과, 판매자 메인 단말(200) 또는 상기 판매자 메인 단말(200)에 연결되어 연동되는 POS 단말(300)을 통해 순결제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판매자 정보는;
구매자 단말(100)에서 결제를 수행하기 위한 판매자의 VAN(value added network)이나 PG(payment gateway) 접속 정보, 판매자의 상호, 판매자의 VAN 이나 PG 접속 ID, 판매자의 사업자 등록 번호 및 판매 물품이나 식음료 메뉴와 같은 판매자 부가정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면의 (b)는 판매자 정보를 제공받은 구매자 단말(100)에서 물품이나 식음료가 선택되고 결제된 뒤 판매자 메인단말(200)로 전송되는 구매 정보의 일례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구매 정보는;
구매자의 성명과 구매자 단말(100)의 번호(CID)로 구성되는 구매자 정보;와, 결제가 수행된 신용카드의 번호와 승인번호 및 카드사 정보가 포함된 승인 정보; 구매된 물품이나 식음료 메뉴, 수량, 금액의 정보로 구성되는 구매내역;과, 구매자 단말(100)에서 선택되는 배송 지점 정보;가 포함된다. 이때 상기 배송 지점 정보는, 구매자 단말(100)로 입력되며 판매자 메인단말(200) 위치한 매장내에서 물품이나 식음료를 제공받고자 하는 경우에는 테이블 번호, 구매자 단말(100)이 지정하는 지점으로 배송받고자 하는 경우에는 구매자 단말(100)로 입력된 배송지 주소, 구매자 단말(100)이 위치한 지점으로 주소 정보 없이 배송받고자 하는 경우에는 GPS 좌표로 입력된다. 이 때 상기 배송 지점 정보는, 테이블 번호, 배송지 주소, GPS 좌표의 필드(field) 각각에 대해 선두 비트를 플래그 비트(flag bit)로 설정하여 구매자 단말(100)로 지정되는 필드의 플래그 비트가 '1'로 셋(set)되도록 함으로써 테이블 번호, 배송지 주소, GPS 좌표의 필드(field)들 중 하나가 선택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구매 정보의 배송 지점 정보 필드에 의해 구매자 단말(100)이 지정하는 배송 지점이 구매자의 선택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도면의 (c)는 구매자 단말(100)에서 물품이나 식음료가 선택되고 결제된 뒤 판매자 메인단말(200)로 구매 정보가 전송되면, 상기 판매자 메인단말(200)로부터 구매자 단말(100)로 제공되는 구매 ID 정보의 일례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구매 ID 정보는;
구매 정보의 승인 정보를, 판매자 메인단말(200)에서 매 구매별로 부여되는 구매 ID로 치환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구매 ID 정보를 수신한 구매자 단말(100)에서는 상기 구매 ID 정보로부터, 구매자 정보, 구매 내역, 배송 지점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매 ID 정보를 수신한 구매자 단말(100)은, 구매 ID를 저장하여 판매자 메인단말(200)이 위치한 매장에서 물품이나 식음료를 수령(예: take-out 등)하는 경우 구매자 단말(100)을 인증하거나 확인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설명된 본 발명의 주문과 배송 서비스를 연계한 모바일 구매 시스템 및 그 방법에 의하면, 구매자 단말(100)과 판매자 메인단말(200)간의 역결제 및 순결제 방식을 수용하며, 구매자의 요구에 따라 주문된 물건이나 식음료가 매장내의 구매자에게 전달(서빙)하거나, 요청된 주소지로 배달될 수 있으며, 주문된 물건이나 식음료가 매장에 도착한 구매자를 식별하여 전달(서빙)될 수 있고, 구매자가 주소를 모르는 구매자의 위치로 배달을 요청하는 경우, 주문된 물건이나 식음료를 구매자의 위치로 배달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적 효과를 제공한다.
이상과 같이 설명된 본 발명의 주문과 배송 서비스를 연계한 모바일 구매 시스템 및 그 방법은,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 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 청구 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 구매자 단말 102 : 구매자 단말 프로세서
104 : GPS 유닛 106 : 주문판매 정보 저장부
108 :구매-결제 정보 저장부 110 : 구매 내역 저장부
112 : 바코드 판독 유닛 114 : 이동통신 유닛
116 : 근거리 통신 유닛 118 : 구매 ID 저장부
120 : 배송 주소 저장부 200 : 판매자 메인단말
202 : 단말 콘트롤러 204 : 모바일 통신부
206 : 판매자 정보 저장부 208 : 판매 정보 저장부
210 : 모바일 정보 저장부 212 : GPS 연산부
214 : USB 인터페이스 216 : 근거리 통신부
218 : VAN/PG 정보 저장부
220 : 판매자 부단말(400) 및 배송 단말(500) 정보 저장부
300 : POS 단말 400 : 판매자 부단말
402 : 부단말 제어부 404 : 이동통신 채널 통신부
406 : 근거리 송수신 유닛 408 : 주문 정보 저장부
410 : 부단말 디스플레이 412 : 메인 단말 정보 저장부
414 : 배송 단말 정보 저장부 416 : 처리 정보 저장부
500 : 배송 단말 502 : 배송 단말 프로세서
504 : 이동통신 유닛 506 : 배송 정보 저장부
508 : 배송완료 정보 저장부 510 : 배송단말 디스플레이
512 : 메인 단말 정보 메모리 514 : 부단말 정보 메모리
516 : 전자지도

Claims (10)

  1. 구매자 단말(100)과, 상기 구매자 단말(100)이 모바일 통신 채널로 접속되는 판매자 메인단말(200), 상기 판매자 메인단말(200 : sales main terminal)과 모바일 통신 채널을 통해 연결되는 판매자 부단말(400 : sales sub-terminal) 및 배송 단말(500 : delivery terminal)로 구성된 주문과 배송 서비스를 연계한 모바일 구매 시스템에 있어서,

    구매자 단말(100)이 모바일 통신 채널을 통해 판매자의 물품이나 식음료 등의 정보와 결제를 위한 판매자의 정보를 포함하는 판매 정보를 제공받아 구매하고 결제함으로써 구매-결제가 완료되고,
    구매 및 결제가 완료된 구매자 단말(100)은, 주문 결제 정보를 모바일 통신 채널을 경유하여 판매자 메인 단말(200)로 전송하여 구매한 물품이나 식음료 정보와 결제 완료된 정보, 그리고 배송받을 위치를 구매 정보로 전송하며,
    판매자 메인 단말(200)은 구매자 단말(100)로 구매 ID 정보를 전송하고, 구매자 단말(100)에서 구매되고 결제된 물품이나 식음료 정보를 판매자 부단말(400)로 전송하며,
    상기 판매자 부단말(400)은, 매대/창고, 주방에서는 주문된 물품이나 식음료를 준비하여 서빙이나 배송을 대기하며,
    판매자 메인 단말(200)은 구매자 단말(100)로부터 전송된 물품이나 식음료 정보와 배송받을 위치 정보를 배송 단말(500)로 전송하여 주문된 물품이나 식음료를 구매자 단말(100)로부터 지정된 지점으로 배송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문과 배송 서비스를 연계한 모바일 구매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매자 메인단말(200)은;

    판매자 메인단말(200)의 전체적인 제어를 수행하는 단말 콘트롤러(202); 구매자 단말(100)과 접속되어 물품이나 식음료 정보, 판매자 정보를 제공하고 구매자 단말(100)로부터 구매 정보를 전송받으며, 배송 단말(500)로 배송 정보를 전송하는 모바일 통신부(204);
    구매자 단말(100)에서 결제를 수행하기 위한 판매자의 VAN(value added network)이나 PG(payment gateway) 접속 정보, 판매자의 상호, 판매자의 VAN 이나 PG 접속 ID, 판매자의 사업자 등록 번호 및 판매 물품이나 식음료와 같은 판매자 부가정보를 포함하는 판매자 정보를 저장하는 판매자 정보 저장부(206);
    상기 모바일 통신부(204)를 통해 접속된 구매자 단말(100)로 제공되는 물품이나 식음료 정보를 저장하는 판매 정보 저장부(208); 상기 모바일 통신부(204)를 통해 접속된 구매자 단말(100)의 CID(caller ID)와 구매 정보를 저장하는 모바일 정보 저장부(210);
    판매자 메인단말(200)의 GPS 좌표를 계측하고 구매자 단말(100)로부터 제공된 GPS 좌표와의 거리를 연산하는 GPS 연산부(212); POS 단말(300)과 접속되어 연동하기 위한 USB 인터페이스(214);
    판매자 부단말(400)과 접속하여 주문 정보를 제공하고 그 처리 여부 정보를 판매자 부단말(400)로부터 수신하며, 판매자 메인단말(200)이 위치한 매장을 방문한 구매자 단말(100)로부터 구매 ID를 수신하여 구매자를 인증하기 위한 근거리 통신부(216);
    구매자 단말(100)이나 판매자의 POS 단말(300)이 접속되어 결제를 수행하기 위한 판매자의 VAN(value added network)이나 PG(payment gateway) 접속 정보를 설정하여 저장하는 VAN/PG 정보 저장부(218);
    판매자 메인단말(200)이 연결되는 판매자 부단말(400)과 배송 단말(500)의 접속을 위한 CID나 IP(internet protocol), 또는 ID를 저장하는 판매자 부단말(400) 및 배송 단말(500) 정보 저장부(220);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문과 배송 서비스를 연계한 모바일 구매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매자 부단말(400)은;

    판매자 부단말(400)의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하는 부단말 제어부(402);
    판매자 메인단말(200)과 접속되어 상기 판매자 메인단말(200)로부터 주문 정보를 제공받고 그 처리 여부에 따른 주문 처리 정보를 판매자 메인단말(200)로 모바일 통신 채널을 통해 전송하기 위한 이동통신 채널 통신부(404);
    상기 이동통신 채널 통신부(404)와 병행하여 판매자 메인단말(200)과 접속되어 상기 판매자 메인단말(200)로부터 주문 정보를 제공받고 그 처리 여부에 따른 주문 처리 정보를 판매자 메인단말(200)로 전송하기 위한 근거리 송수신 유닛(406);
    판매자 메인단말(200)로부터 제공받은 주문 정보를 저장하는 주문 정보 저장부(408);
    판매자 메인단말(200)로부터 제공받은 주문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부단말 디스플레이(410);
    판매자 부단말(400)이 접속되는 판매자 메인단말(200)의 접속 정보를 저장하는 메인 단말 정보 저장부(412);
    주문 정보에 따른 물품이나 식음료를 배송하기 위한 배송 단말(500)의 접속 정보를 저장하는 배송 단말 정보 저장부(414);
    판매자 메인단말(200)로부터 제공받은 주문 정보의 처리 여부에 따른 주문 처리 정보를 기록 저장하는 처리 정보 저장부(416);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문과 배송 서비스를 연계한 모바일 구매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판매자 부단말(400)은,
    판매자 부단말(400)이 판매자 메인단말(200)로부터 이격 거리가 작은 경우에는 근거리 송수신 유닛(404)을 통해 판매자 부단말(400)을 판매자 메인단말(200)로 접속하고,
    판매자 메인단말(200)로부터 이격 거리가 클 경우에는 근거리 송수신 유닛(404)을 이동통신 채널 통신부(404)로써 판매자 메인단말(200)과 접속되도록 하여 상기 판매자 메인단말(200)로부터 주문 정보를 제공받고 그 처리 여부에 따른 주문 처리 정보를 판매자 메인단말(200)로 전송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문과 배송 서비스를 연계한 모바일 구매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송 단말(500)은;

    상기 배송 단말(500)의 전체적인 제어를 수행하는 배송 단말 프로세서(502);
    판매자 메인단말(200)의 전체적인 제어를 수행하는 단말 콘트롤러(202);
    판매자 메인단말(200)과 접속되어 물품이나 식음료 정보, 배송 지점 정보를 포함하는 배송 정보를 제공받고 배송 완료 보고 정보를 판매자 메인단말(200)로 전송하는 이동통신 유닛(504);
    판매자 메인단말(200)로부터 수신된 배송 정보를 저장하는 배송 정보 저장부(506); 배송 완료 보고 정보를 저장하는 배송완료 정보 저장부(508);
    배송 정보와 배송 지점 정보를 전자지도와 함께 표시하는 배송 단말 디스플레이(510);
    판매자 메인단말(200)에 접속하기 위한 접속 정보를 저장하는 메인 단말 정보 메모리(512);
    주문 정보에 따른 배송 대상 물품이나 식음료를 전달받기 위한 부단말의 접속 정보를 저장하는 부단말 정보 메모리(514);
    판매자 메인단말(200)로부터 제공된 배송 지점 정보를 표시하여 상기 배송 단말 디스플레이(510)에 표시하기 위한 전자지도(516);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문과 배송 서비스를 연계한 모바일 구매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매자 단말(100)은;

    상기 구매자 단말(100)의 전체 제어를 수행하는 구매자 단말 프로세서(102);
    구매자 단말(100)이 위치한 지점의 GPS 좌표를 계측하는 GPS 유닛(104);
    구매자 단말(100)이 접속된 판매자 메인 단말(200)로부터 제공된 물품이나 식음료 정보를 저장하여 구매자 단말(100)에서 선택하고 구매할 수 있도록 하는 주문판매 정보 저장부(106);
    구매자 단말(100)에서 선택하고 구매되는 물품이나 식음료와 판매자 메인단말(200)로부터 제공되는 판매자 정보, 결제 수단의 정보를 저장하는 구매-결제 정보 저장부(108);
    구매자 단말(100)에서 구매된 물품이나 식음료와 판매자 정보, 결제 내역의 정보를 저장하는 구매 내역 저장부(110); 판매자 메인 단말(200)이 위치한 매장에서 구매자 단말(100)로써 물품이나 식음료를 선택하고 결제할 때 바코드로써 제공되는 판매자 정보를 판독하는 바코드 판독 유닛(112);
    구매자 단말(100)을 모바일 통신 채널을 통해 판매자 메인 단말(200)에 접속시키는 이동 통신 유닛(114);
    판매자 메인 단말(200)이 위치한 매장에서 구매자 단말(100)로써 구매된 물품이나 식음료를 수령할 때 판매자 메인 단말(200)에 대해 구매 ID를 판매자 메인 단말(200)로 전송하여 구매자 단말(100)을 인증하기 위한 근거리 통신 유닛(116);
    구매자 단말(100)로부터 판매자 메인 단말(200)로 구매-결제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판매자 메인 단말(200)로부터 전송받은 구매 ID를 저장하는 구매 ID 저장부(118);
    구매자 단말(100)로써 구매된 물품이나 식음료를 배송받기 위한 주소를 저장하는 배송 주소 저장부(120);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문과 배송 서비스를 연계한 모바일 구매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매자 정보는,
    구매자 단말(100)에서 결제를 수행하기 위한 판매자의 VAN(value added network)이나 PG(payment gateway) 접속 정보, 판매자의 상호, 판매자의 VAN 이나 PG 접속 ID, 판매자의 사업자 등록 번호 및 판매 물품이나 식음료 메뉴와 같은 판매자 부가정보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문과 배송 서비스를 연계한 모바일 구매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매 정보는,
    구매자의 성명과 구매자 단말(100)의 번호(CID)로 구성되는 구매자 정보;와, 결제가 수행된 신용카드의 번호와 승인번호 및 카드사 정보가 포함된 승인 정보;
    구매된 물품이나 식음료 메뉴, 수량, 금액의 정보로 구성되는 구매내역;과, 구매자 단말(100)에서 선택되는 배송 지점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배송 지점 정보는,
    구매자 단말(100)로 입력되며 판매자 메인단말(200) 위치한 매장내에서 물품이나 식음료를 제공받고자 하는 경우에는 테이블 번호,
    구매자 단말(100)이 지정하는 지점으로 배송받고자 하는 경우에는 구매자 단말(100)로 입력된 배송지 주소,
    구매자 단말(100)이 위치한 지점으로 주소 정보 없이 배송받고자 하는 경우에는 GPS 좌표로 입력되며,
    상기 배송 지점 정보는,
    테이블 번호, 배송지 주소, GPS 좌표의 필드(field) 각각에 대해 선두 비트를 플래그 비트(flag bit)로 설정하여 구매자 단말(100)로 지정되는 필드의 플래그 비트가 '1'로 셋(set)되도록 함으로써 테이블 번호, 배송지 주소, GPS 좌표의 필드(field)들 중 하나가 선택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문과 배송 서비스를 연계한 모바일 구매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매 ID 정보는;
    구매 정보의 승인 정보를, 판매자 메인단말(200)에서 매 구매별로 부여되는 구매 ID로 치환하여 구성되고,
    상기 구매 ID 정보를 수신한 구매자 단말(100)에서는 상기 구매 ID 정보로부터, 구매자 정보, 구매 내역, 배송 지점 정보를 확인하며,
    상기 구매 ID 정보를 수신한 구매자 단말(100)은,
    구매 ID를 저장하여 판매자 메인단말(200)이 위치한 매장에서 물품이나 식음료를 수령하는 경우 구매자 단말(100)을 인증하거나 확인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문과 배송 서비스를 연계한 모바일 구매 시스템.
  10. 구매자 단말(100)과, 상기 구매자 단말(100)이 모바일 통신 채널로 접속되는 판매자 메인단말(200), 상기 판매자 메인단말(200 : sales main terminal)과 통신 채널을 통해 연결되는 판매자 부단말(400 : sales sub-terminal) 및 배송 단말(500 : delivery terminal)로 구성된 주문과 배송 서비스를 연계한 모바일 구매 시스템의 구동 방법에 있어서,
    - S100 : 모바일 통신 채널을 통해 구매자 단말(100)이 판매자 메인 단말(200)에 접속되면 상기 판매자 메인단말(200)의 단말 콘트롤러(202)에 의해 판매자 정보 저장부(206)에 저장된 판매자 정보를 구매자 단말(100)로 전송하는 단계;
    - S110 : 상기 판매자 정보를 제공받은 구매자 단말(100)은 구매자 단말 프로세서(102)에 의해 상기 판매자 정보로부터 구매자의 선택에 따라 물품이나 식음료를 구매하고 결제를 완료한 뒤, 구매-결제 정보 저장부(108)에 저장된 구매 내역과 결제 정보, 배송 지점 정보를 판매자 메인단말(200)로 전송하는 단계;
    - S120 : 상기 구매 내역과 결제 정보를 제공받은 판매자 메인단말(200)로부터 구매에 대한 고유 ID를 구매자 단말(100)로 전송하는 단계;
    - S130 : 판매자 메인단말(200)로부터 구매 내역과 구매 ID, 배송 지점 정보를 포함하는 주문 정보가 판매자 부단말(400)로 전송되어 상기 판매자 부단말(400)의 부단말 제어부(402)에 의해 주문 정보 저장부(408)에 저장되고, 매대, 창고 또는 주방에서 주문된 물품이나 식음료가 준비되는 단계;
    - S140 : 상기 물품이나 식음료가 준비 완료되면 판매자 부단말(400)로부터 배송 단말(500)로 구매 내역과 구매 ID, 배송 지점 정보를 포함하는 주문 정보를 배송 정보로 전송하여 배송 단말 프로세서(502)에 의해 배송 정보 저장부(506)에 저장되는 단계;
    - S150 : 판매자 부단말(400)로 처리 완료 정보가 입력되어 부단말 제어부(402)에 의해 처리 정보 저장부(416)에 저장되고, 이동통신 채널 통신부(404)를 통해 판매자 메인단말(200)로 주문 처리 완료 정보를 전송되는 단계;
    - S160 : 상기 배송 단말(500)의 배송 정보를 참조하여 주문된 물품이나 식음료를 구매자 단말(100)에서 지정한 매장내 위치(테이블 번호), 주소, 또는 구매자 단말(100)에서 지정한 GPS 지점으로 전자지도(516)를 참조하여 배송되거나 서빙되는 단계;
    - S170 : 주문된 물품이나 식음료의 배송 또는 서빙의 완료시 배송 단말(500)에 입력되는 배송완료 정보가 배송 단말(500)의 배송 단말 프로세서(502)에 의해 배송완료 정보 저장부(506)에 저장되고, 판매자 메인단말(200)로 배송완료 정보가 전송되는 단계;
    - S180 : 주문과 결제, 그리고 배송 서비스가 완료되는 단계;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문과 배송 서비스를 연계한 모바일 구매 시스템의 구동 방법.
KR1020200088552A 2020-07-17 2020-07-17 주문과 배송 서비스를 연계한 모바일 구매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0009348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8552A KR20200093480A (ko) 2020-07-17 2020-07-17 주문과 배송 서비스를 연계한 모바일 구매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8552A KR20200093480A (ko) 2020-07-17 2020-07-17 주문과 배송 서비스를 연계한 모바일 구매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3480A true KR20200093480A (ko) 2020-08-05

Family

ID=720415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8552A KR20200093480A (ko) 2020-07-17 2020-07-17 주문과 배송 서비스를 연계한 모바일 구매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93480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4427A (ko) 2015-07-30 2017-02-08 김진형 맞춤형 음식 메뉴 주문을 위한 서버 및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KR101973790B1 (ko) 2018-05-31 2019-04-30 이원삼 무선통신 기반 클러스터 데이터를 이용한 매장의 와이파이 검색 및 메뉴 주문 서비스 제공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4427A (ko) 2015-07-30 2017-02-08 김진형 맞춤형 음식 메뉴 주문을 위한 서버 및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KR101973790B1 (ko) 2018-05-31 2019-04-30 이원삼 무선통신 기반 클러스터 데이터를 이용한 매장의 와이파이 검색 및 메뉴 주문 서비스 제공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64826B2 (en) Method and system for ordering food by using RFID
US7886964B2 (en) System and method for personalized e-commerce
KR100412997B1 (ko) 로컬 무선 상거래를 위한 방법 및 시스템
EP3011283B1 (en) Weighing scale system
KR20190083460A (ko) 이동식 점포를 이용한 배달 주문 서비스 시스템
CN105981071B (zh) 使用智能电话的电子商务中的产品递送服务系统及其方法
KR101603009B1 (ko) 배송업체 중심 판매 시스템 및 방법
US20010037251A1 (en) Electronic commerce system for new items
KR20170101709A (ko)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도시락 상품 판매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20001892A (ko) 차량을 이용한 온라인 판매 시스템 및 방법
JP2002358578A (ja) ドライブスルーオーダリングシステム
JP2002230340A (ja) 販売業者管理システムおよび販売業者管理方法
JP4480388B2 (ja) 物流管理システムおよび方法、並びに、物流情報記録媒体
KR20180025453A (ko) 사전 주문 시스템
KR20200093480A (ko) 주문과 배송 서비스를 연계한 모바일 구매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50104671A (ko) 무선 태그를 이용한 다국어 기반 주문 시스템 및 방법, 그 주문 서버
KR101505032B1 (ko) Url을 이용한 전자상거래 관리서버 및 그 관리방법
KR101505033B1 (ko) Url을 이용한 전자상거래 관리서버 및 그 관리방법
KR20180003159A (ko) 온라인 결제 서비스 기반의 판매품 자동 거래/결제 통합 처리 시스템
KR100782030B1 (ko) 모바일 이마켓플레이스 구축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휴대 단말기
JP6516104B2 (ja) 販売支援装置、販売支援システム及び販売支援方法
KR20050083461A (ko) 무선 단말장치를 이용한 상품 거래방법
KR102653234B1 (ko) 글로벌 온라인 쇼핑몰 운영 시스템
KR20020022261A (ko) 상품 구매를 위한 개인 휴대용 단말기를 구비하는 컴퓨터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개인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상품구매 방법
KR101299829B1 (ko) 온라인 트레이딩 중개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