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93451A - 여과망 장치 및 여과망 시스템 - Google Patents

여과망 장치 및 여과망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93451A
KR20200093451A KR1020200007915A KR20200007915A KR20200093451A KR 20200093451 A KR20200093451 A KR 20200093451A KR 1020200007915 A KR1020200007915 A KR 1020200007915A KR 20200007915 A KR20200007915 A KR 20200007915A KR 20200093451 A KR20200093451 A KR 202000934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ferromagnetic
frame element
filter
magne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79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53662B1 (ko
Inventor
리 유-밍
리엔 유-데
Original Assignee
그린필텍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TW108201216U external-priority patent/TWM577932U/zh
Priority claimed from TW108133485A external-priority patent/TWI773924B/zh
Application filed by 그린필텍 엘티디. filed Critical 그린필텍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2000934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34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36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36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02Casings; Housings; Frame constructions
    • B01D46/0005Mounting of filtering elements within casings, housings or frames
    • B01D46/0008Two or more filter elements not fluidly connected positioned in the same hou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02Casings; Housings; Frame constructions
    • B01D46/0005Mounting of filtering elements within casings, housings or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10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 plates, sheets or pads having plane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02Casings; Housings; Frame constructions
    • B01D46/0005Mounting of filtering elements within casings, housings or frames
    • B01D46/0006Filter elements or cartridges installed in a drawer-like man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02Casings; Housings; Frame constructions
    • B01D46/0013Modu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52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s embodying folded corrugated or wound sheet material
    • B01D46/521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s embodying folded corrugated or wound sheet material using folded, pleate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56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multiple filter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utual disposition
    • B01D46/62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multiple filter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utual disposition connected in s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56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multiple filter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utual disposition
    • B01D46/62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multiple filter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utual disposition connected in series
    • B01D46/645Protecting screens at filter inlet or outl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65/00Casings, housings or mounting for filters specially adapt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2265/02Non-permanent measures for connecting different parts of the filter
    • B01D2265/023Non-permanent measures for connecting different parts of the filter making use of magnetic for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65/00Casings, housings or mounting for filters specially adapt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2265/02Non-permanent measures for connecting different parts of the filter
    • B01D2265/028Snap, latch or clip connec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79/00Filters adapt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specially modified for specific uses
    • B01D2279/50Filters adapt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specially modified for specific uses for air conditioning
    • B01D2279/51Filters adapt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specially modified for specific uses for air conditioning in clean rooms, e.g. production facilities for electronic devices, laborato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H01F7/02Permanent magnets [PM]
    • H01F7/0231Magnetic circuits with PM for power or force generation
    • H01F7/0252PM holding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 Y02A50/2351Atmospheric particulate matter [PM], e.g. carbon smoke microparticles, smog, aerosol particles, dus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 Coils Or Transformers For Communic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여과망 장치 및 여과망 시스템을 제공한다. 여과망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측변에는 자력 소자가 설치되어 있다. 여과망 장치는 여과망 및 자력 고정 장치를 포함한다. 여과망은 제1 측벽을 포함한다. 자력 고정 장치는 본체, 클램핑부 및 자력 소자를 포함한다. 본체는 정상부 에지와 바닥부 에지, 및 반대되는 측에 위치하는 제1 측면과 제2 측면을 포함한다. 클램핑부는 정상부 에지로부터 제1 측면이 향하는 방향으로 제1 거리로 연장되어 형성한 정상부 플랜지, 및 정상부 플랜지의 외연으로부터 바닥부 에지를 향해 제2 거리로 연장되는 클램핑 시트를 포함하고, 제1 측벽이 클램핑 시트와 제1 측면 사이에 끼움 설치되어 있다. 자력 소자는 제2 측면에 설치된다. 여과망 시스템은 틀 및 여과망 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여과망 장치 및 여과망 시스템 {FILTER DEVICE AND FILTER SYSTEM}
본 발명은 여과망 장치 및 여과망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클린룸의 흡기구에 장착되는 여과망 장치 및 여과망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제조업과 같은 산업 제조 분야에서는 양품율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해, 깨끗하고 오염이 없는 격리 환경에서 제품이 생산 제조되도록 클린룸을 널리 사용하고 있다. 클린룸의 환경 요구를 달성하려면, 일반적으로 클린룸의 흡기구에 송풍기 및 여과 기기를 장착하여 기류가 송풍기의 구동에 의해 여과 기기의 여과망을 거쳐 클린룸에 진입하도록 함으로써 기상 부유 오염물을 여과한다.
클린룸의 흡기구에 장착되는 여과망 장치는 송풍기의 기류로 인해 끊임없이 진동되기 쉬운데, 이때 여과 장치의 프레임이 그 내부에 설치된 여과망과 긴밀하게 결합되지 않으면, 여과해야 할 기체가 여과망과 프레임 사이의 틈새로부터 누설하게 되어 효과적인 여과가 이루어지지 못하게 된다. 또한, 일반적으로 프레임의 크기가 일정하여 사용성이 낮다. 또한, 여과망 장치는 흔히 알루미늄 압착 방식으로 제조되고, 가장자리에 날카로운 코너 또는 모서리가 형성되기 쉬워 조립 시 작업자가 부상당하는 가능성이 높아진다.
이를 감안하여, 본 창안은 상기 종래 기술의 단점에 대해서 상술한 문제를 효과적으로 극복하는 여과망 장치 및 여과망 시스템을 제안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높은 기밀성을 가진 여과망 장치 및 여과망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필요에 따라 틀의 크기를 변경할 수 있는 여과망 장치 및 여과망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공정에서 작업자가 부상당하는 경우를 줄일 수 있는 여과망 장치 및 여과망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여과망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측변에 자력 소자가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여과망 장치는 여과망 및 자력 고정 장치를 포함한다. 여과망은 제1 측벽을 포함한다. 자력 고정 장치는 본체, 클램핑부 및 자력 소자를 포함한다. 본체는 정상부 에지와 바닥부 에지, 및 반대되는 측에 위치하는 제1 측면과 제2 측면을 포함한다. 클램핑부는 정상부 에지로부터 제1 측면이 향하는 방향으로 제1 거리로 연장되어 형성한 정상부 플랜지, 및 정상부 플랜지의 외연으로부터 바닥부 에지를 향해 제2 거리로 연장되는 클램핑 시트를 포함하며, 제1 측벽이 클램핑 시트와 제1 측면 사이에 끼움 설치된다. 자력 소자는 제2 측면에 설치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2 거리는 본체의 동일 방향에서의 길이보다 작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클램핑 시트는 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설치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본체는 바닥부 에지로부터 제1 측면이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바닥부 플랜지를 더 포함한다. 여과망은 제1 측벽의 제1 측면과 마주하는 면에 설치되는 걸림부재를 더 포함하고, 걸림부재는 정상부 플랜지와 바닥부 플랜지 사이에 걸린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자력 고정 장치는 제2 측면에 설치되는 오목부를 더 포함하고, 자력 소자가 오목부 내에 걸린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자력 고정 장치는 정상부 에지로부터 제2 측면이 향하는 방향으로 연정되어 형성한 정상부 리브를 더 포함하고, 오목부의 일변은 정상부 리브의 바닥면으로 형성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자력 소자는 정상부 에지에 근접하는 위치에 설치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자력 고정 장치는 정상부 에지로부터 제2 측면이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한 정상부 리브, 및 정상부 리브의 외연으로부터 바닥부 에지를 향해 연장되고 제2 측면으로 수축되는 가이드 경사면을 포함하는 가이드 소자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여과망은 능선이 제1 측벽의 연장 방향에 평행하는 복수개의 웨이브 구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여과망 장치는 자력 고정 장치의 여과망과 대향되는 타측에 설치되는 지지부재를 더 포함하고, 지지부재는 판재 및 지지부를 포함한다. 판재는 자력 고정 장치를 향한 제3 측면을 포함한다. 지지부는 판재의 제3 측면의 하연에 가까운 위치로부터 여과망으로 연장하고 자력 고정 장치를 초과하여 제1 측벽을 지지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지지부재는 판재의 제3 측면과 반대되는 면에 설치되는 슬롯을 더 포함하고, 프레임의 하나의 측면에는 슬롯에 대응하게 삽입될 수 있는 삽입 시트가 구비된다.
본 발명에 따른 여과망 시스템은 틀 및 상기 여과망 장치를 포함한다. 틀의 내측은 강자성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여과망 시스템은 적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틀은 서로 걸림 결합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이음 프레임 소자 및 적어도 하나의 강자성 프레임 소자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각 이음 프레임 소자 및 각 강자성 프레임 소자는 정상측에 그루브가 구비되며, 이음 프레임 소자 및 강자성 프레임 소자 중 하나의 바닥측은 다른 이음 프레임 소자 및 강자성 프레임 소자의 그루브에 삽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이음 프레임 소자는 두개이고, 두개의 이음 프레임 소자의 일단은 각각 하나의 강자성 프레임 소자의 양단에 설치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이음 프레임 소자는 L형이며, 강자성 프레임 소자는 스트립형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여과망 시스템은 두개의 이음 프레임 소자 사이에 설치되고 두개의 이음 프레임 소자가 강자성 프레임 소자에 연결되는 단과 대향되는 타단에 위치하는 고정판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이음 프레임 소자 및 강자성 프레임 소자는 모두 두개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두개의 이음 프레임 소자는 ㉶형이고, 두개의 강자성 프레임 소자는 스트립형이며, ㉶형 이음 프레임 소자는 대응하게 설치되고, 두개의 강자성 프레임 소자는 각각 두개의 ㉶형 이음 프레임 소자에 연결되어 구형 틀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이음 프레임 소자와 강자성 프레임 소자의 연결단에는 이음 프레임 소자와 강자성 프레임 소자가 대응되게 걸림 결합될 수 있도록 각각 대응되는 장부가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틀 내벽에 바닥부에 가까운 곳에 고정 그루브가 더 설치되어 있어, 고정 소자를 고정 그루브에 끼움으로써 여과 시트를 틀에 고정시킨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틀은 복수개의 프레임 및 복수개의 연결부재를 포함한다. 각 프레임의 양단에는 각각 삽입구가 구비된다. 복수개의 연결부재는 복수개의 프레임에 연결되고, 각 연결부재는 연결부재 본체, 제1 삽입부재 및 제2 삽입부재를 포함한다. 제1 삽입부재는 연결부재 본체의 일측으로부터 외부로 연장된다. 제2 삽입부재는 연결부재 본체의 타측으로부터 외부로 연장되어 제1 삽입부재와 협각을 이룬다. 연결부재의 제1 삽입부재 및 제2 삽입부재는 각각 인접한 두개의 프레임의 일단에 있는 삽입구에 삽입되어 인접한 두개의 프레임을 연결시킨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각 프레임의 정상측에는 그루브가 구비되고, 프레임 중 하나의 바닥측은 다른 프레임의 그루브에 삽입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여과망 시스템의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여과망 시스템의 조합 모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틀의 분해 모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여과망 시스템의 모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여과망 시스템의 조합 모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틀의 분해 모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여과망 시스템의 모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여과망 시스템의 분해 모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력 고정 장치의 모식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여과망 장치의 단면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여과망 장치의 단면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여과망 장치의 단면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여과망 시스템을 적층한 모식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여과망 시스템의 모식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여과망 시스템의 분해 모식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여과망 장치는 틀 내에 설치되어 있다. 나아가, 여과망 시스템은 여과망 장치 및 틀로 구성된다. 다시 말해, 여과망 시스템은 틀 및 여과망 장치를 포함한다.
더 구체적으로,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실시예와 같이, 여과망 시스템(1)은 틀(10) 및 여과망 장치(2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틀(10)은 구형 틀이고, 틀(10) 내벽에 바닥부에 가까운 곳에 고정 그루브(12)가 더 설치되어 있어 고무 고정바와 같은 고정 소자(14)가 고정 그루브(12)에 끼워지도록 하며, 입자가 큰 기상 부유 오염물이 여과되도록 여과 시트(16)를 틀(10)에 고정시키고, 틀(10) 내에는 미세한 기상 부유 오염물을 여과시키기 위한 여과망 장치(20)가 더 설치될 수 있다.
틀은 서로 걸림 결합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이음 프레임 소자 및 적어도 하나의 강자성 프레임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실시예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틀(10)은 두개의 이음 프레임 소자(18, 18') 및 두개의 강자성 프레임 소자(19, 19')를 포함하며, 그 중 이음 프레임 소자(18, 18')는 알루미늄 이음 프레임 소자 또는 스테인레스 이음 프레임 소자일 수 있고 모두 ㉶형 이음 프레임 소자이며, 이음 프레임 소자(18)의 양단에는 각각 수장부(180) 및 암장부(182)가 설치되어 있고, 이음 프레임 소자(18')의 양단에도 각각 수장부(180') 및 암장부(182')가 설치되어 있다. 두개의 강자성 프레임 소자(19, 19')는 철제 강자성 프레임 소자, 니켈제 강자성 프레임 소자 또는 코발트제 강자성 프레임 소자일 수 있고 스트립형 강자성 프레임 소자이며, 강자성 프레임 소자(19)의 양단에는 각각 수장부(190) 및 암장부(192)가 설치되어 있고, 강자성 프레임 소자(19')의 양단에도 각각 수장부(190') 및 암장부(192')가 설치되어 있으며, 강자성 프레임 소자(19, 19')는 필요에 따라 길이가 상이한 강자성 프레임 소자(19, 19')로 교체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실시예와 같이, 두개의 이음 프레임 소자(18, 18')와 두개의 강자성 프레임 소자(19, 19')를 서로 연결시켜 구형 틀(10)을 형성할 경우에는 두개의 ㉶형 이음 프레임 소자(18, 18')를 대응되게 배치하고 두개의 스트립형 강자성 프레임 소자(19, 19')를 각각 두개의 ㉶형 이음 프레임 소자(18, 18')에 연결시키는데, 상세하게는 이음 프레임 소자(18)의 수장부(180)를 강자성 프레임 소자(19')의 암장부(192')에 연결시키고 이음 프레임 소자(18)의 암장부(182)를 강자성 프레임 소자(19)의 수장부(190)에 연결시키며, 이음 프레임 소자(18')의 수장부(180')를 강자성 프레임 소자(19)의 암장부(192)에 연결시키고 이음 프레임 소자(18')의 암장부(182')를 강자성 프레임 소자(19')의 수장부(190')에 연결시켜 두개의 이음 프레임 소자(18, 18')의 양단이 각각 두개의 강자성 프레임 소자(19, 19')에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구형 틀(10)을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틀(10)은 착탈 가능한 것이고, 또한 강자성 프레임 소자(19, 19')는 필요에 따라 길이가 상이한 강자성 프레임 소자(19, 19')로 교체될 수 있기 때문에, 본 실시예에 따른 틀(10)은 필요에 따라 강자성 프레임 소자(19, 19')의 길이를 선택하여 틀(10)의 크기를 임의로 조정할 수 있다.
도 2에 나타낸 실시예와 같이, 틀(10) 내에 설치된 여과망 장치(20)에 적어도 하나의 측변에 자력 소자(22)가 설치되어 있고, 자력 소자(22)는 자석일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 따른 여과망 장치(20)는 대응하는 양측에 각각 자력 소자(22, 22')가 설치되어 있고, 여과망 장치(20)가 틀(10)에 설치되면 자력 소자(22, 22')가 설치되어 있는 여과망 장치(20)의 양측은 틀(10)의 두개의 강자성 프레임 소자(19, 19')에 대응되게 흡착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여과망 장치(20)와 틀(10)은 자력으로 인해 흡착되어 긴밀하게 결합됨으로써, 여과해야 할 공기가 여과망 장치(20)와 틀(10) 사이의 틈새로부터 빠져 나가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틀(10)은 착탈 가능한 것이고, 필요에 따라 강자성 프레임 소자(19, 19')의 길이를 선택할 수 있기 때문에 틀(10)은 상이한 크기의 여과망 장치(20)에 매칭되도록 임의의 크기로 변경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틀은 다자인, 제조 또는 사용을 고려하여 다양하게 변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실시예와 같이, 여과망 시스템(3)은 틀(30)을 포함하며, 본 실시예에 따른 틀(30)은 ㉶형 틀이고, 틀(30) 내벽에 바닥부에 가까운 곳에 고정 그루브(32)가 더 설치되어 있어 고무 고정바와 같은 고정 소자(34)가 고정 그루브(32)에 끼워지도록 함으로써 여과 시트(36)를 틀(30)에 고정시키며, 그중 여과 시트(36)는 입자가 큰 기상 부유 오염물을 여과하고, 틀(30) 내에는 미세한 기상 부유 오염물을 여과하기 위한 여과망 장치(40)가 더 설치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에 나타낸 실시예와 같이, 틀(30)은 두개의 이음 프레임 소자(38, 38') 및 하나의 강자성 프레임 소자(39)를 포함하며, 이음 프레임 소자(38, 38')는 알루미늄 이음 프레임 소자 또는 스테인레스 이음 프레임 소자일 수 있고 L형 이음 프레임 소자이며, 이음 프레임 소자(38)의 일단에는 암장부(382)가 설치되어 있고, 이음 프레임 소자(38')의 일단에는 수장부(380')가 설치되어 있다. 강자성 프레임 소자(39)는 철제 강자성 프레임 소자, 니켈제 강자성 프레임 소자 또는 코발트제 강자성 프레임 소자일 수 있고, 본 실시예에 따른 강자성 프레임 소자(39)는 스트립형 강자성 프레임 소자이며, 강자성 프레임 소자(39)의 양단에는 각각 수장부(390) 및 암장부(392)가 설치되어 있고, 강자성 프레임 소자(39)는 필요에 따라 길이가 상이한 강자성 프레임 소자(39)로 교체될 수 있다.
도 5에 나타낸 실시예와 같이, 두개의 이음 프레임 소자(38, 38')와 강자성 프레임 소자(39)를 서로 연결시켜 ㉶형 틀(30)을 형성할 경우에는 두개의 L형 이음 프레임 소자(38, 38')를 각각 강자성 프레임 소자(39)의 양단에 설치하여 강자성 프레임 소자(39)의 수장부(390)를 이음 프레임 소자(38)의 암장부(382)에 연결시키고 강자성 프레임 소자(39) 타단의 암장부(392)를 이음 프레임 소자(38')의 수장부(380')에 연결시킴으로써, 두개의 이음 프레임 소자(38, 38')의 일단이 각각 강자성 프레임 소자(39)의 양단에 설치되도록 하여 ㉶형 틀(30)을 형성한다.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실시예와 같이, 틀(30) 내에 설치된 여과망 장치(40)의 하나의 측변에는 자력 소자(42)가 설치되어 있고, 자력 소자(42)는 자석일 수 있으며, 여과망 장치(40)가 틀(30)에 설치되면 자력 소자(42)가 설치되어 있는 여과망 장치(40)의 일측이 틀(30)의 강자성 프레임 소자(39)에 대응되게 흡착될 수 있다. 그리고, 고정판(44)은 두개의 이음 프레임 소자(38, 38') 사이에 설치되고, 두개의 이음 프레임 소자(38, 38')가 강자성 프레임 소자(39)와 연결되는 단과 대향되는 타단에 위치하여 여과망 장치(40)를 틀(30)에 고정시킨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여과망 장치(40)와 틀(30)은 자력으로 인해 흡착되어 긴밀하게 결합됨으로써 여과해야 할 공기가 여과망 장치(40)와 틀(30) 사이의 틈새로부터 빠져 나가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틀(30)은 착탈 가능한 것이고, 필요에 따라 길이가 상이한 강자성 프레임 소자(39)를 선택할 수 있기 때문에 본 실시예에 따른 틀(30)은 다양한 크기의 여과망 장치(40)에 매칭될 수 있도록 임의의 크기로 변경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여과망 장치는 다자인, 제조 또는 사용을 고려하여 다양하게 변할 수 있다. 도 7 및 도 8에 나타낸 실시예와 같이, 여과망 시스템(1000)은 여과망 장치(800) 및 틀(900)을 포함한다. 틀(900)의 내측(901)은 강자성을 가지고 있거나 자석에 의해 흡착될 수 있다. 여과망 장치(800)는 여과망(100) 및 자력 고정 장치(200)를 포함한다. 여과망(100)은 제1 측벽(110)을 포함한다. 도 9에 나타낸 실시예와 같이, 자력 고정 장치(200)는 본체(300), 클램핑부(400) 및 자력 소자(500)를 포함한다. 본체(300)는 정상부 에지(311)와 바닥부 에지(312), 및 반대되는 측에 위치하는 제1 측면(321)과 제2 측면(322)을 포함한다. 더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본체(300)는 장방형 시트재이며, 상, 하 두개의 길이 방향 에지는 각각 정상부 에지(311) 및 바닥부 에지(312)이고, 반대되는 두개의 측면은 각각 제1 측면(321) 및 제2 측면(322)이다.
도 9에 나타낸 실시예와 같이, 클램핑부(400)는 정상부 에지(311)로부터 제1 측면(321)이 향하는 방향(301)으로 제1 거리(D1)로 연장되어 형성한 정상부 플랜지(410), 및 정상부 플랜지(410)의 외연으로부터 바닥부 에지(312)를 향해 제2 거리(D2)로 연장되는 클램핑 시트(420)를 포함한다. 제2 거리(D2)는 본체(300)의 동일 방향에서의 길이보다 작다. 제1 측벽(110)은 클램핑 시트(420)와 제1 측면(321) 사이에 끼움 설치된다. 클램핑 시트(420)는 본체(3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설치된다. 그 중, 본체(300)는 제1 측벽(110)이 끼움 설치되도록 제1 측벽(110)보다 큰 강성을 가지고 있으며,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ABS)와 같은 재질일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도 10에 나타낸 실시예와 같이 여과망(100)은 능선(131)이 제1 측벽(110)의 연장 방향에 평행하는 복수개의 웨이브 구조(130)를 포함한다. 제1 측벽(110)은 클램핑 시트(420)와 제1 측면(321) 사이에 삽입되어 끼움 고정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자력 고정 장치(200)는 정상부 플랜지(410)에 의해 제1 측벽(110)의 정상단에 걸쳐 있다. 그 중, 제1 측벽(110)은 클램핑되도록 적절하게 접혀 두께를 증가할 수 있으며, 또한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조 시 클램핑되도록 클램핑 시트(420)와 제1 측면(321) 사이의 거리를 대략 제1 측벽(110)의 두께와 같도록 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여과망(100)은 자력 고정 장치(200)와 걸리도록 소자를 더 추가할 수 있다. 도 12에 나타낸 실시예와 같이, 여과망(100)은 제1 측벽(110)의 제1 측면(321)과 마주하는 면에 설치되는 걸림부재(140)를 더 포함한다. 본체(300)는 바닥부 에지(312)로부터 제1 측면(321)이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바닥부 플랜지(430)를 더 포함한다. 걸림부재(140)는 정상부 플랜지(410)와 바닥부 플랜지(430) 사이에 걸린다. 그 중, 걸림부재(140)는 장방형 시트인 것이 바람직하며, 제1 측벽(110)보다 단단하거나 강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안정적인 걸림을 구현할 수 있다.
도 8에 나타낸 실시예와 같이, 자력 소자(500)는 제2 측면(322)에 설치되고 내측(901)에 대응되게 흡착됨으로써, 여과망(100)과 틀(900) 사이의 공극을 감소시켜 기밀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그 중, 자력 고정 장치(200)는 제2 측면(322)에 설치되는 오목부(45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자력 소자(500)는 오목부(450)에 걸림으로써 조립 시 정렬에 편리하고 고정성을 증가시키는 동시에 자력 고정 장치(200) 전체의 두께도 감소시킨다. 다른 실시예에서, 자력 소자(500)는 이격되게 설치될 수 있고, 일체로 설치될 수도 있다. 자력 고정 장치(200)는 오목부(450)를 설치하지 않고 다른 방식으로 자력 소자(500)를 제2 측면(322)에 설치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자력 고정 장치(200)는 정상부 에지(311)로부터 제2 측면(322)이 향하는 방향(302)으로 연장되어 형성한 정상부 리브(461)를 포함하며, 오목부(450)의 일변은 정상부 리브(461)의 바닥면으로 형성된 것이다.
자력 소자(500)는 자력 고정 장치(200)가 여과망(100)과 함께 아래로 틀(900)에 넣어지도록 정상부 에지(311)에 인접한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중, 상기 인접은 일반적으로 예를 들어 본체(300)의 절반보다 높은 위치 또는 약 1/4의 위치를 말한다. 또한, 자력 고정 장치(200)는 정상부 에지(311)로부터 제2 측면(322)이 향하는 방향(302)으로 제3 거리(D3)로 연장되어 형성한 정상부 리브(461), 및 정상부 리브(461)의 외연으로부터 바닥부 에지(312)를 향해 연장하고 제2 측면(322)으로 수축되는 가이드 경사면(462)을 포함하는 가이드 소자(4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자력 고정 장치(200)는 여과망(100)과 함께 가이드 소자(460)의 가이드 경사면(462)에 의해 가이드되어 아래로 틀(900)에 원할하게 넣어질 수 있다.
도 8 및 도 10에 나타낸 실시예와 같이, 여과망 장치(800)는 자력 고정 장치(200)의 여과망(100)과 대향되는 타측에 설치되는 지지부재(600)를 더 포함한다. 지지부재(600)는 판재(610) 및 지지부(620)를 포함한다. 판재(610)는 자력 고정 장치(200)를 향한 제3 측면(603)을 포함한다. 지지부(620)는 판재(610)의 제3 측면(603)의 하연에 가까운 위치로부터 여과망(100)으로 연장하고 자력 고정 장치(200)를 초고하여 제1 측벽(110)을 지지한다. 일 실시예에서, 지지부재(600)는 판재(610)의 제3 측면(603)과 반대되는 면에 설치되는 슬롯(630)을 더 포함하고, 프레임(910)의 하나의 측면에는 슬롯(630)에 대응하게 삽입될 수 있는 삽입 시트(903)가 구비된다. 나아가, 틀(900)의 프레임(910)은 삽입 시트(903)가 슬롯(630)에 삽입됨으로써 지지부재(600)를 고정시키며, 더 나아가 지지부재(600)의 지지부(620)에 의해 제1 측벽(110)을 지지하여 여과망(100)이 틀(900)에 의해 지지되도록 한다.
여과망 시스템은 적층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여과망 시스템은 예를 들어 틀 정상부의 그루브에 의해 적층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도 14에 나타낸 실시예와 같이 각 프레임(910)의 정상측에는 그루브(913)가 구비되며, 프레임(910) 중 하나의 바닥측은 다른 프레임(910)의 그루브(913)에 삽입되어 여과망 시스템(1000)이 적층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성을 증가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상이한 여과망을 채택하는 여과망 시스템을 적층하여 여과하는 기상 부유 오염물의 종류를 증가하거나, 또는 같은 여과망을 채택하는 여과망 시스템을 적층하여 여과 효과를 증가한다.
도 15에 나타낸 다른 실시예와 같이, 틀(900)은 복수개의 프레임(910) 및 복수개의 연결부재(920)를 포함한다. 각 프레임(910)의 양단에는 각각 삽입구(912)가 구비된다. 복수개의 연결부재(920)는 복수개의 프레임(910)에 연결되고, 각 연결부재(920)는 연결부재 본체(929), 제1 삽입부재(921) 및 제2 삽입부재(922)를 포함한다. 제1 삽입부재(921)는 연결부재 본체(929)의 일측으로부터 외부로 연장된다. 제2 삽입부재(922)는 연결부재 본체(929)의 타측으로부터 외부로 연장되고, 제1 삽입부재(921)와 협각(θ)을 이룬다. 그 중, 협각(θ)은 90°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서는 사용, 제조 등 측면을 고려하여 다양한 각도를 적용할 수 있다. 연결부재(920)의 제1 삽입부재(921) 및 제2 삽입부재(922)는 인접한 두개의 프레임(910)의 일단에 있는 삽입구(912)에 각각 삽입되어 인접한 두개의 프레임(910)을 연결시킨다.
일 실시예에서, 프레임(910)은 알루미늄 압착 소자이므로 가장자리에 날카로운 코너 또는 모서리가 형성되기 쉽고, 조립 시 작업자가 부상당하는 가능성이 높아진다. 예를 들어 고분자로 제조한 연결부재(920)에 의해 인접한 두개의 프레임(910)을 연결시킴으로써, 날카로운 코너 또는 모서리의 노출을 감소시켜 작업자가 부상당하는 위험을 낮출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여과망 장치는 자기 흡착에 의해 여과망과 외부 틀의 분리를 감소시키고 전체 기밀성을 증가할 수 있다. 시판되고 있는 여과망은 자력 고정 장치를 설치함으로써 측벽이 자력을 갖춘 여과망 장치를 직접 구성할 수 있다. 여기에 사용되는 연결부재는 프레임의 날카로운 코너 또는 모서리의 노출을 감소시켜 작업자가 부상당하는 위험을 낮출 수 있다. 한편, 여과망 시스템은 적층될 수 있어 사용성을 증가할 수 있다.
전술한 설명 및 도면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개시하였으나,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원리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다양한 첨가, 수많은 수정과 치환을 실시할 수 있음을 반드시 이해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은 수많은 형식, 구조, 배치, 비례, 재료, 소자와 부품의 수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개시한 실시예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하고, 그 합법적인 균등물을 포함하며 전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는다.
1 : 여과망 시스템
3 : 여과망 시스템
10 : 틀
12 : 고정 그루브
14 : 고정 소자
16 : 여과 시트
18 : 이음 프레임 소자
18' : 이음 프레임 소자
19 : 강자성 프레임 소자
19' : 강자성 프레임 소자
20 : 여과망 장치
22 : 자력 소자
22' : 자력 소자
30 : 틀
32 : 고정 그루브
34 : 고정 소자
36 : 여과 시트
38 : 이음 프레임 소자
38' : 이음 프레임 소자
39 : 강자성 프레임 소자
40 : 여과망 장치
42 : 자력 소자
100 : 여과망
110 : 제1 측벽
130 : 웨이브 구조
131 : 능선
140 : 걸림부재
180 : 수장부
180' : 수장부
182 : 암장부
182' : 암장부
190 : 수장부
192 : 암장부
200 : 자력 고정 장치
300 : 본체
301 : 방향
311 : 정상부 에지
312 : 바닥부 에지
321 : 제1 측면
322 : 제2 측면
380' : 수장부
382 : 암장부
390 : 수장부
392 : 암장부
400 : 클램핑부
410 : 정상부 플랜지
420 : 클램핑 시트
430 : 바닥부 플랜지
450 : 오목부
460 : 가이드 소자
461 : 정상부 리브
462 : 가이드 경사면
500 : 자력 소자
600 : 지지부재
603 : 제3 측면
610 : 판재
620 : 지지부
630 : 슬롯
800 : 여과망 장치
900 : 틀
901 : 내측
903 : 삽입 시트
910 : 프레임
912 : 삽입구
913 : 그루브
920 : 연결부재
921 : 제1 삽입부재
922 : 제2 삽입부재
929 : 연결부재 본체
D1 : 제1 거리
D2 : 제2 거리
D3 제3 거리
θ : 협각

Claims (25)

  1. 적어도 하나의 측변에 자력 소자가 설치되어 있는 여과망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제1 측벽을 포함하는 여과망; 및
    자력 고정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자력 고정 장치는,
    반대되는 측에 위치하는 제1 측면과 제2 측면, 및 상기 제1 측면 및 상기 제2 측면의 대향하는 양변에 있는 정상부 에지와 바닥부 에지를 포함하는 본체;
    상기 정상부 에지로부터 상기 제1 측면이 향하는 방향으로 제1 거리로 연장되어 형성한 정상부 플랜지, 및 상기 정상부 플랜지의 외연으로부터 상기 바닥부 에지를 향해 제2 거리로 연장되는 클램핑 시트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측벽이 상기 클램핑 시트와 상기 제1 측면 사이에 끼움 설치되는 클램핑부; 및
    상기 제2 측면에 설치되어 있는 상기 자력 소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망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거리는 상기 본체의 동일 방향에서의 길이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망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 시트는 상기 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망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바닥부 에지로부터 상기 제1 측면이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바닥부 플랜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여과망은 상기 제1 측벽의 상기 제1 측면과 마주하는 면에 설치되는 걸림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걸림부재는 상기 정상부 플랜지와 상기 바닥부 플랜지 사이에 걸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망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측면은 오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자력 소자가 상기 오목부에 걸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망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자력 고정 장치는 상기 정상부 에지로부터 상기 제2 측면이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한 정상부 리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오목부의 일변은 상기 정상부 리브의 바닥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망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력 소자는 상기 정상부 에지에 근접하는 위치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망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력 고정 장치는 상기 정상부 에지로부터 상기 제2 측면이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한 정상부 리브, 및 상기 정상부 리브의 외연으로부터 상기 바닥부 에지를 향해 연장되고 상기 제2 측면으로 수축되는 가이드 경사면을 포함하는 가이드 소자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망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망은 능선이 상기 제1 측벽이 연장하는 방향에 평행하는 복수개의 웨이브 구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망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력 고정 장치의 상기 여과망과 대향되는 타측에 설치되는 지지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자력 고정 장치를 향한 제3 측면을 포함하는 판재; 및
    상기 판재의 상기 제3 측면의 하연에 가까운 위치로부터 상기 여과망으로 연장되고 상기 자력 고정 장치를 초과하여 상기 제1 측벽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망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판재의 상기 제3 측면과 반대되는 면에 설치되는 슬롯을 더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의 하나의 측면에는 상기 슬롯에 대응하게 삽입될 수 있는 삽입 시트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망 장치.
  13. 내측이 강자성을 갖춘 틀; 및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여과망 장치;를 포함하는 여과망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적층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망 시스템.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틀은 서로 걸림 결합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이음 프레임 소자 및 적어도 하나의 강자성 프레임 소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망 시스템.
  16. 제15항에 있어서,
    각 이음 프레임 소자 및 각 강자성 프레임 소자의 정상측에는 그루브가 구비되며, 상기 이음 프레임 소자와 상기 강자성 프레임 소자 중 하나의 바닥측은 다른 하나의 상기 그루브에 삽입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망 시스템.
  17. 제15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이음 프레임 소자는 두개이고, 상기 두개의 이음 프레임 소자의 일단은 각각 하나의 상기 강자성 프레임 소자의 양단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망 시스템.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이음 프레임 소자는 L형이며, 상기 강자성 프레임 소자는 스트립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망 시스템.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두개의 이음 프레임 소자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두개의 이음 프레임 소자가 상기 강자성 프레임 소자와 연결되는 단과 대향되는 타단에 위치하는 고정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망 시스템.
  20. 제15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이음 프레임 소자 및 적어도 하나의 상기 강자성 프레임 소자는 모두 두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망 시스템.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두개의 이음 프레임 소자는 ㉶형이고, 상기 두개의 강자성 프레임 소자는 스트립형이며, 상기㉶형 이음 프레임 소자는 대응하게 설치되고, 상기 두개의 강자성 프레임 소자는 각각 상기 두개의 ㉶형 이음 프레임 소자와 연결되어 구형 틀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망 시스템.
  22.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이음 프레임 소자와 상기 강자성 프레임 소자의 연결단에는 상기 이음 프레임 소자와 상기 강자성 프레임 소자가 대응하게 걸릴 수 있도록 각각 대응하는 장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망 시스템.
  23.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틀 내벽에 바닥부에 가까운 곳에는 고정 그루브가 더 설치되어 있어, 고정 소자를 상기 고정 그루브에 끼움으로써 여과 시트를 상기 틀에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망 시스템.
  2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틀은,
    양단에 각각 삽입구가 구비되는 복수개의 프레임; 및
    상기 복수개의 프레임을 연결시키는 복수개의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각 연결부재는,
    연결부재 본체;
    상기 연결부재 본체의 일측으로부터 외부로 연장되는 제1 삽입부재;
    상기 연결부재 본체의 타측으로부터 외부로 연장되고, 상기 제1 삽입부재와 협각을 이루는 제2 삽입부재;를 포함하며,
    연결부재의 상기 제1 삽입부재 및 상기 제2 삽입부재는 인접한 두개의 프레임의 일단에 있는 상기 삽입구에 각각 삽입되어 상기 인접한 두개의 프레임을 연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망 시스템.
  25. 제15항에 있어서,
    각 프레임의 정상측에는 그루브가 구비되고, 상기 프레임 중 하나의 바닥측은 다른 프레임의 상기 그루브에 삽입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망 시스템.
KR1020200007915A 2019-01-25 2020-01-21 여과망 장치 및 여과망 시스템 KR10245366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TW108201216 2019-01-25
TW108201216U TWM577932U (zh) 2019-01-25 2019-01-25 Filter device
TW108133485A TWI773924B (zh) 2019-09-17 2019-09-17 濾網裝置及濾網系統
TW108133485 2019-09-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3451A true KR20200093451A (ko) 2020-08-05
KR102453662B1 KR102453662B1 (ko) 2022-10-12

Family

ID=717330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7915A KR102453662B1 (ko) 2019-01-25 2020-01-21 여과망 장치 및 여과망 시스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400401B2 (ko)
JP (1) JP2020116571A (ko)
KR (1) KR102453662B1 (ko)
CN (1) CN111482002A (ko)
MY (1) MY195832A (ko)
SG (1) SG10202000776V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938006S1 (en) * 2020-01-22 2021-12-07 Tianjin Bright Sight Commerce Co., Ltd. Filter
CN113617142B (zh) * 2020-05-07 2023-04-18 钰祥企业股份有限公司 过滤模块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80248A (ja) * 2012-03-02 2013-09-12 Kyosei Sangyo Kk エアフィルタ枠およびエアフィルタユニット
US20140230385A1 (en) * 2012-12-05 2014-08-21 Rps Products, Inc. Pleated filter with automatic lower end hold down
JP2014217814A (ja) * 2013-05-09 2014-11-20 日本無機株式会社 ろ過装置、ろ過体の取付枠及びろ過体
JP3207558U (ja) * 2016-05-20 2016-11-17 濾能股▲分▼有限公司 フィルターフレーム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07558B2 (ja) * 1992-09-28 2001-09-10 三洋化成工業株式会社 トナーバインダーおよびトナー組成物
JP3138848B2 (ja) * 1994-02-15 2001-02-26 日本バイリーン株式会社 ユニット型フィルタ
DE202004021497U1 (de) * 2004-07-01 2008-07-10 Carl Freudenberg Kg Filterelement und Filteranordnung
US7387654B1 (en) * 2004-07-09 2008-06-17 Byers Thomas L Screen assembly kit for an air processing unit
JP4664188B2 (ja) 2005-11-09 2011-04-06 ニッタ株式会社 ろ材交換型エアーフィルタ
CN2912768Y (zh) * 2006-05-09 2007-06-20 中国建筑科学研究院空气调节研究所 磁吸附式纸框过滤器
US20150082988A1 (en) * 2008-04-08 2015-03-26 Universal Technologies, Inc. Air filter
JP2011230057A (ja) 2010-04-28 2011-11-17 Japan Vilene Co Ltd ユニット型フィルタのフィルタ枠
JP5855301B1 (ja) 2014-05-27 2016-02-09 株式会社アクシー フィルタ装置およびそれに用いられるフィルタ押付ユニット
US20160030871A1 (en) * 2014-08-04 2016-02-04 Camfil Usa, Inc. Filter with magnetic seal
CN205383759U (zh) * 2016-03-11 2016-07-13 东莞市泽风净化设备有限公司 可拆卸更换滤材的滤网
US10213721B2 (en) * 2016-04-28 2019-02-26 Cory Elliott Air filter arrangement
WO2019169070A1 (en) * 2018-02-28 2019-09-06 Filtereasy, Inc. Variable air filter assemblies
US11745130B2 (en) * 2020-03-03 2023-09-05 The Newway Company Filter kit, assembly, and method for installation within a support surface associated with a heat exchanger unit not limited to such as an air cooled liquid chill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80248A (ja) * 2012-03-02 2013-09-12 Kyosei Sangyo Kk エアフィルタ枠およびエアフィルタユニット
US20140230385A1 (en) * 2012-12-05 2014-08-21 Rps Products, Inc. Pleated filter with automatic lower end hold down
JP2014217814A (ja) * 2013-05-09 2014-11-20 日本無機株式会社 ろ過装置、ろ過体の取付枠及びろ過体
JP3207558U (ja) * 2016-05-20 2016-11-17 濾能股▲分▼有限公司 フィルターフレー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0116571A (ja) 2020-08-06
US11400401B2 (en) 2022-08-02
CN111482002A (zh) 2020-08-04
SG10202000776VA (en) 2020-08-28
KR102453662B1 (ko) 2022-10-12
US20200238211A1 (en) 2020-07-30
MY195832A (en) 2023-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93451A (ko) 여과망 장치 및 여과망 시스템
RU2606980C2 (ru) Фильтр без зигзагообразных фильтрующих панелей для места содержания животных
US10363507B2 (en) Filter housing
US6471582B1 (en) Adapter for coupling air duct to fan-driven vent
JPWO2016194087A1 (ja) 熱交換型換気装置
US20170304758A1 (en) Commercial filter seal
TWI773924B (zh) 濾網裝置及濾網系統
US9207520B2 (en) Projector apparatus having a foldable filter device
KR102393582B1 (ko) 미세먼지 제거효율이 향상된 열교환 환기장치
US6858055B2 (en) Bottom loading clean room air filter support system
JP6509337B2 (ja) 熱交換型換気装置
CN107869821B (zh) 风机和风机中使用的防尘过滤器
TWM577932U (zh) Filter device
JPH09136536A (ja) 空気清浄器のフイルタ構体
KR101560787B1 (ko) 환기 유니트의 열교환 소자용 고정장치
US9863437B2 (en) Ventilating fan
JP3217690U (ja) 硬質のフィルタパネルを備えた、全体が分解可能なポケット型フィルタ
CN219390004U (zh) 一种带防变形进风网的净化器
WO2021260811A1 (ja) フィルター枠および換気装置
CN210832505U (zh) 一种新风机滤网的固定机构
US20230167992A1 (en) Gas curtain device for load port
CN214664840U (zh) 过滤装置和空调器
KR200375212Y1 (ko) 필터 박스
US8563917B2 (en) Projector apparatus having a cooling arrangement which enables the apparatus to have a low profile
TWM614361U (zh) 濾網框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