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93406A - 보냉 패키징 장치 - Google Patents

보냉 패키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93406A
KR20200093406A KR1020190061346A KR20190061346A KR20200093406A KR 20200093406 A KR20200093406 A KR 20200093406A KR 1020190061346 A KR1020190061346 A KR 1020190061346A KR 20190061346 A KR20190061346 A KR 20190061346A KR 20200093406 A KR20200093406 A KR 202000934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ase change
change material
module
pcm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13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동호
이재우
임경만
이광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프엠에스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프엠에스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프엠에스코리아
Priority to KR10201900613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93406A/ko
Publication of KR202000934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340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3/00Devices using other cold materials; Devices using cold-storage bodies
    • F25D3/02Devices using other cold materials; Devices using cold-storage bodies using ice, e.g. ice-boxes
    • F25D3/06Movable containers
    • F25D3/08Movable containers portable, i.e. adapted to be carried person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04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 B65D77/0446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the inner and outer containers being rigid or semi-rigid and the outer container being of polygonal cross-section not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 B65D77/0453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the inner and outer containers being rigid or semi-rigid and the outer container being of polygonal cross-section not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the inner container having a polygonal cross-s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3/00Details of devices using other cold materials; Details of devices using cold-storage bodies
    • F25D2303/08Devices using cold storage material, i.e. ice or other freezable liquid
    • F25D2303/082Devices using cold storage material, i.e. ice or other freezable liquid disposed in a cold storage element not forming part of a container for products to be cooled, e.g. ice pack or gel accumula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3/00Details of devices using other cold materials; Details of devices using cold-storage bodies
    • F25D2303/08Devices using cold storage material, i.e. ice or other freezable liquid
    • F25D2303/084Position of the cold storage material in relationship to a product to be cool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31/00Details or arrangements of 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31/80Type of cooled receptacles
    • F25D2331/801Bags
    • F25D2331/8014Bags for medical u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에 제1저장 공간이 형성되고, 일측이 개폐 가능하게 형성되는 외부 케이스, 상기 외부 케이스의 내측면을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제1단열부재들, 상기 제1단열부재들의 내측면을 둘러싸도록 배치되고, 상기 외부 케이스 내부의 온도를 저온으로 조절하는 제1상변화 물질이 저장된 제1피씨엠(PCM, Phase Change Material) 모듈들, 상기 제1피씨엠 모듈들에 의하여 한정된 공간 내에 배치되고, 저온 유지가 요구되는 대상물을 보관할 수 있는 제2저장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저장 케이스, 상기 제1저장 공간에서 상기 저장 케이스의 상부를 덮도록 배치되는 제2단열부재 및 상기 제1저장 공간에서 상기 제2단열부재 상에 배치되되, 상기 제1상변화 물질보다 낮은 온도에서 상변화 하는 제2상변화 물질을 포함하여, 상기 제1피씨엠 모듈들에 의한 상기 대상물의 온도 유지 시간을 증가시키는 제2피씨엠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2단열부재의 측면과 상기 제1단열부재의 내측면 사이와, 상기 제2단열부재의 측면과 상기 외부 케이스의 내측면 사이에는 상기 제2피씨엠 모듈에서 생성된 냉기가 상기 제1피씨엠 모듈들로 유입되기 위한 유동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보냉 패키징 장치를 제공한다.
따라서 저온 유지가 요구되는 물질에 직접적인 냉기를 공급하는 제1피씨엠 모듈 뿐만아니라 제1피씨엠 모듈에 냉기를 공급하는 제2피씨엠 모듈을 포함함으로써 저온 유지가 요구되는 대상물의 온도 유지 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보냉 패키징 장치{Packaging container for cooling}
본 발명은 보냉 패키징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제1피씨엠 모듈과 제1피씨엠 모듈보다 낮은 온도에서 상변화 하는 제2피씨엠 모듈을 포함함으로써, 저온 유지가 요구되는 대상물의 온도 유지 시간을 증가시키는 보냉 패키징 장치에 관한 것이다.
교통과 통신 등의 발달로 전 세계의 국가들의 교류가 나날이 활발해지고 있다. 이러한 교류에는 일반적인 의식주 관련 상품의 교류뿐만 아니라 인류의 생존을 위협하는 질병의 퇴치를 위한 백신이나 그 외 의약품들의 교류도 포함되어 있다. 하지만 특히 백신과 같은 경우 일반적으로 일정한 온도 이하로 유지되지 않으면 쉽게 변질될 수 있는 유기물질로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아 해외로 장시간 운반해야 할 경우에는 변질의 우려가 높다. 그런데 백신은 오랜 연구 및 임상 실험 등을 통해 비로소 시판 되기 때문에 고가의 제품인 경우가 많다. 따라서 이러한 백신이 장시간 운반 도중 변질되어 사용할 수 없게 된다면 금전적인 손실 또한 클 수 밖에 없다. 그러므로 이러한 고가의 백신을 장시간 운반이 불가피한 경우에도 요구되는 일정온도 이하로 유지할 수 있는 보냉 패키징 장치가 필요하다. 하지만 지금까지 공지된 보냉 패키징 장치들은 요구되는 온도를 유지할 수 있는 시간이 짧아서 장시간 운반이 필요한 경우에는 사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468846호
본 발명은 제1피씨엠 모듈과 제1피씨엠 모듈보다 낮은 온도에서 상변화 하는 제2피씨엠 모듈을 포함함으로써, 저온 유지가 요구되는 대상물의 온도 유지 시간을 증가시키는 보냉 패키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내부에 제1저장 공간이 형성되고, 일측이 개폐 가능하게 형성되는 외부 케이스, 상기 외부 케이스의 내측면을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제1단열부재들, 상기 제1단열부재들의 내측면을 둘러싸도록 배치되고, 상기 외부 케이스 내부의 온도를 저온으로 조절하는 제1상변화 물질이 저장된 제1피씨엠(PCM, Phase Change Material) 모듈들, 상기 제1피씨엠 모듈들에 의하여 한정된 공간 내에 배치되고, 저온 유지가 요구되는 대상물을 보관할 수 있는 제2저장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저장 케이스, 상기 제1저장 공간에서 상기 저장 케이스의 상부를 덮도록 배치되는 제2단열부재 및 상기 제1저장 공간에서 상기 제2단열부재 상에 배치되되, 상기 제1상변화 물질보다 낮은 온도에서 상변화 하는 제2상변화 물질을 포함하여, 상기 제1피씨엠 모듈들에 의한 상기 대상물의 온도 유지 시간을 증가시키는 제2피씨엠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2단열부재의 측면과 상기 제1단열부재의 내측면 사이와, 상기 제2단열부재의 측면과 상기 외부 케이스의 내측면 사이에는 상기 제2피씨엠 모듈에서 생성된 냉기가 상기 제1피씨엠 모듈들로 유입되기 위한 유동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보냉 패키징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내부에 제1저장 공간이 형성되고, 일측이 개폐 가능하게 형성되는 외부 케이스, 상기 외부 케이스의 내측면을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제1단열부재들, 상기 제1단열부재들의 내측면을 둘러싸도록 배치되고, 상기 외부 케이스 내부의 온도를 저온으로 조절하는 제1상변화 물질이 저장된 제1피씨엠(PCM, Phase Change Material) 모듈들, 상기 제1피씨엠 모듈들에 의하여 한정된 공간 내에 배치되고, 저온 유지가 요구되는 대상물을 보관할 수 있는 제2저장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저장 케이스, 상기 제1저장 공간에서 상기 저장 케이스의 상부를 덮도록 배치되는 제2단열부재 및 상기 제1저장 공간에서 상기 제2단열부재 상에 배치되되, 상기 제1상변화 물질보다 낮은 온도에서 상변화하는 제2상변화 물질을 포함하여, 상기 제1피씨엠 모듈들에 의한 상기 대상물의 온도 유지 시간을 증가시키는 제2피씨엠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2단열부재는, 단열재 시트 및 내부에 상기 단열재 시트를 저장하고, 상기 단열재 시트의 가장자리를 따라 외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단열재 시트보다 열전도도가 높은 물질로 형성되는 포장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단열부재의 포장재가 상기 제1단열부재의 내측면 또는 상기 외부 케이스의 내측면에 밀착되어, 상기 제2피씨엠 모듈에서 생성된 냉기가 상기 제1피씨엠 모듈들로 직접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되, 상기 제2피씨엠 모듈에서 생성된 냉기는 상기 포장재에서 상기 단열재 시트가 위치하지 않는 부분을 통해 상기 제1피씨엠 모듈들로 열전달 되는 보냉 패키징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내부에 제1저장 공간이 형성되고, 일측이 개폐 가능하게 형성되는 외부 케이스, 상기 외부 케이스의 내측면을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제1단열부재들, 상기 제1단열부재들에 의하여 한정된 공간 내에 배치되고, 내부에 제2저장 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개폐 가능한 덮개를 포함하되, 상기 덮개의 내측면에 제2단열부재가 배치되어 있는 내부 케이스, 상기 내부 케이스의 내측면을 둘러싸도록 배치되고, 상기 내부 케이스 내부의 온도를 저온으로 조절하는 제1상변화 물질이 저장된 제1피씨엠(PCM, Phase Change Material) 모듈들, 상기 제1피씨엠 모듈들에 의하여 한정된 공간 내에 배치되고, 저온 유지가 요구되는 대상물을 보관할 수 있는 제3저장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저장 케이스 및 상기 제1저장 공간에서 상기 내부 케이스의 상부를 덮도록 배치되되, 상기 제1상변화 물질보다 낮은 온도에서 상변화 하는 제2상변화 물질을 포함하여, 상기 제1피씨엠 모듈들에 의한 상기 대상물의 온도 유지 시간을 증가시키는 제2피씨엠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내부 케이스의 덮개는, 단열재 시트 및 내부에 상기 단열재 시트를 저장하고, 상기 단열재 시트의 가장자리를 따라 외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단열재 시트보다 열전도도가 높은 물질로 형성되는 외장 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덮개는 상기 내부 케이스의 상부를 밀폐하여, 상기 제2피씨엠 모듈에서 생성된 냉기가 상기 제1피씨엠 모듈들도 직접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되, 상기 제2피씨엠 모듈에서 생성된 냉기는 상기 외장 시트에서 상기 단열재 시트가 위치하지 않는 부분을 통해 상기 제1피씨엠 모듈들로 열 전달 되는 보냉 패키징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보냉 패키징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저온 유지가 요구되는 물질에 직접적인 냉기를 공급하는 제1피씨엠 모듈 뿐만아니라 제1피씨엠 모듈에 냉기를 공급하는 제2피씨엠 모듈을 포함함으로써 저온 유지가 요구되는 대상물의 온도 유지 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다.
둘째, 저온 유지가 요구되는 물질에 직접적인 냉기를 공급하는 제1피씨엠 모듈보다 제1피씨엠 모듈에 냉기를 공급하는 제2피씨엠 모듈의 온도가 낮고, 제2피씨엠 모듈이 제1피씨엠 모듈보다 상부에 배치되어 있어서 효율적으로 제1피씨엠 모듈에 냉기를 공급할 수 있다.
셋째, 제2피씨엠 모듈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2단열부재의 측면과 제1단열부재의 내측면 사이, 제2단열부재의 측면과 외부 케이스의 내측면 사이에는 제2피씨엠 모듈에서 생성된 냉기가 제1피씨엠 모듈로 유입되기 위한 유동 공간이 있어서 제1피씨엠 모듈에 냉기가 효율적으로 공급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냉 패키징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보냉 패키징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Ⅲ-Ⅲ선을 취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따른 보냉 패키징 장치에서 냉기의 흐름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냉 패키징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따른 보냉 패키징 장치에서 냉기의 흐름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냉 패키징 장치 일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 따른 보냉 패키징 장치에서 냉기의 흐름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9는 도 7에 따른 보냉 패키징 장치에 포함되는 내부 케이스의 덮개를 덮은 상태의 사진이다.
도 10은 도 7에 따른 보냉 패키징 장치에 포함되는 내부 케이스의 덮개를 개방한 상태의 사진이다.
도 11은 도 7에 따른 보냉 패키징 장치에 포함되는 저장 케이스의 사진이다.
도 12는 도 7에 따른 보냉 패키징 장치에 포함되는 구성 중 제1피씨엠 모듈 및 저장 케이스가 내부 케이스에 삽입되어 있는 모습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냉 패키징 장치(100)는 외부케이스(110), 제1단열부재들(120), 제1피씨엠(PCM, Phase Change Material) 모듈들(130), 저온 유지가 요구되는 대상물을 보관하는 저장 케이스(140), 제3피씨엠 모듈(150), 제2단열부재(160) 및 제2피씨엠 모듈(170)을 포함한다. 상기 외부 케이스(110)는 내부에 제1저장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육면체 형태의 카튼(carton) 상자로 형성된다. 물론 상기 외부 케이스(110)는 종이나 합성수지 그 외의 소재로 변경이 가능하다. 상기 외부 케이스(110)는 상기 외부 케이스(110) 내부에 포함되는 상기 보냉 패키징 장치(100)의 다른 구성들이 외력에 의해 직접적인 손상이 발생하는 것을 막는 역할을 한다.
상기 외부 케이스(110)는 상면에 개폐 가능한 덮개들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덮개들은 상기 외부 케이스(110)의 측면 각각에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특히 상기 덮개들 중 일부의 내측면에는 외부의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쿠션(110a)이 부착되어 있다. 물론 상기 쿠션(110a)은 제거될 수도 있고, 상기 덮개들 모두에 각각 부착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덮개들 중 일부의 내측면에는 상기 덮개를 덮어서 고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접착부(미도시)가 더 포함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외부 케이스(110)의 일 측면과 상기 일 측면에 대향하는 타 측면에는 손잡이(110b)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손잡이(110b)를 이용하면 상기 보냉 패키징 장치(100)를 들어올리거나 운반하기 편리하다. 또한 상기 손잡이(110b)가 상기 외부 케이스(110)의 일 측면과 상기 일 측면에 대향하는 타 측면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두 명이 각각 상기 손잡이(110b)를 이용하여 상기 보냉 패키징 장치(100)를 들어올리거나 운반할 수 있어서 무거운 물건도 쉽게 들어올리거나 운반이 가능하다.
상기 제1단열부재들(120)은 상기 외부 케이스(110) 내부의 측면들 및 하면을 둘러싸도록 배치된다. 물론 상기 제1단열부재들(120)은 상기 외부케이스(110) 내부의 상면을 둘러싸도록 더 배치될 수도 있고, 상기 외부 케이스(110) 내부의 면들 중 하나의 면만을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1단열부재들(120)은 일체형으로 상면이 개구된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1단열부재들(120)은 상기 외부 케이스(110)의 외부로부터 들어온 열이 직접적으로 상기 저장 케이스(140)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단열부재들(120)은 플레이트 형상의 진공단열패널(VIP, Vacuum Insulation Panel)로 형성된다. 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제1단열부재들(120)의 형상 및 소재를 변경 가능하다. 즉, 상기 제1단열부재들(120)은 EPS(Extended Polystyrene), 글래스 울(Glass Wool), EPP(Expanded Polypropylene), XPS(Extruded Polypropylene), 골판지 및 에어로젤(Aerogel) 중의 하나로 형성될 수도 있다. 단열은 진공상태일 때 그 성능이 가장 우수해 지는데, 진공단열패널은 기밀성을 갖는 봉지재에 심재(Glass fiber)를 넣고 내부를 진공상태로 처리하여 제작되기 때문에 여타의 단열재보다 더 우수한 단열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피씨엠 모듈들(130)은 상기 제1단열부재들(120) 내부의 측면들 및 하면을 둘러싸도록 배치된다. 물론 상기 제1피씨엠 모듈들(130)은 상기 제1단열부재들(120) 내부 측면들 및 하면 중 일부에만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제1피씨엠 모듈들(130)은 상기 제1단열부재들(120) 내측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제1단열부재들(120)에 밀착되어 배치된다. 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제1피씨엠 모듈들(130)이 상기 제1단열부재들(120)로부터 이격된 상태에서 별도의 고정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제1피씨엠 모듈들(130)을 상기 제1단열부재들(120)에 고정되게 할 수도 있다.
상기 제1피씨엠 모듈들(130)은 상기 저장 케이스(140)의 내부 온도가, 상기 저장 케이스(140)의 제2저장 공간에 보관되는 상기 대상물이 요구하는 온도가 되도록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제1피씨엠 모듈들(130)은 제1상변화 물질을 포함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상변화 물질은 온도가 5도씨인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물론 상기 제1상변화 물질의 온도는 얼마든지 변경이 가능하다.
상기 저장 케이스(140)는 상기 제1피씨엠 모듈들(130)에 의하여 한정된 공간 내에 배치된다. 상기 저장 케이스(140)는 상부가 개구된 육면체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저장 케이스(140)의 내부에는 상기 저온 유지가 요구되는 대상물을 보관할 수 있는 제2저장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저장 케이스(140)의 일 측면 및 상기 일 측면에 대향하는 면에는 손잡이(140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손잡이(140a)는 홈 형태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저장 케이스(140)에 상기 대상물을 넣고 운반할 때 상기 저장 케이스(140) 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손잡이(140a)를 이용하면 상기 저장 케이스(140)를 간편하게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저장 케이스(140)는 폴리 프로필렌 수지로 형성된다. 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저장 케이스(140)의 소재를 다른 합성 수지나 그 외의 소재로 얼마든지 변경이 가능하다.
상기 저장 케이스(140)는 상기 제1피씨엠 모듈(130)에 밀착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제1피씨엠 모듈(130)의 표면에 결로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저장 케이스(140)는 상기 저온 유지가 요구되는 대상물을 상기 저장 케이스(140)의 제2저장공간에 배치하여 상기 저온 유지가 요구되는 대상물이 상기 제1피씨엠 모듈(130)로부터 생성되는 냉기에 직접 노출되는 것을 막는다. 즉, 상기 저장 케이스(140)는 상기 저온 유지가 요구되는 대상물이 상기 제1피씨엠 모듈(130)로부터 생성되는 냉기에 직접 노출되어 요구되는 온도보다 더 낮은 온도로 내려가는 것을 막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3피씨엠 모듈(150)은 상기 저장 케이스(140)와 상기 제2단열부재(160)사이에 배치된다. 즉 상기 제3피씨엠 모듈(150)은 상기 저장 케이스(140) 상에 밀착되도록 배치된다. 상기 제3피씨엠 모듈(150)은 상기 저장 케이스(140) 내부로 냉기를 공급하여 상기 저온 유지가 요구되는 대상물이 요구되는 온도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3피씨엠 모듈(150)은 상기 제1피씨엠 모듈(130)과 동일한 소재 및 형태로 형성된다. 물론 상기 제3피씨엠 모듈(150)은 상기 제1피씨엠 모듈(130)보다 낮은 온도에서 상변화 하는 제3상변화 물질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제3피씨엠 모듈(150)이 상기 제1피씨엠 모듈(130)보다 낮은 온도에서 상변화 하는 제3상변화 물질을 포함할 경우 상기 제3피씨엠 모듈(150)이 상기 제1피씨엠 모듈(130)보다 상부에 있기 때문에 상기 제3피씨엠 모듈(150)에서 생성된 냉기가 자연스럽게 하강하여 상기 제1피씨엠 모듈(130) 방향으로 향한다. 따라서 상기 제1피씨엠 모듈(130)은 상기 제3피씨엠 모듈(150)로부터 생성된 냉기를 받아서 장기간 상기 제1피씨엠 모듈(130)의 초기 온도를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3피씨엠 모듈(150)이 포함되어 있으나 상기 보냉 패키징 장치(100)에서 상기 제3피씨엠 모듈(150)은 제거될 수도 있다.
상기 제2단열부재(160)는 상기 제1단열부재들(120)과 동일한 소재로 형성된다. 상기 제2단열부재(160)는 상기 제1저장 공간에서 상기 제3피씨엠 모듈(150) 상에 밀착되어 배치된다, 물론 상기 제3피씨엠 모듈(150)이 제거된 경우에는, 상기 제2단열부재(160)는 상기 제1저장 공간에서 상기 저장 케이스(140) 상에 밀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단열부재(160)는 상기 저장 케이스(140)의 상면을 통해 상기 저장 케이스(140) 외부의 온기가 상기 저장 케이스(140) 내부로 들어가는 것을 차단하고, 상기 저장 케이스(140) 내부의 냉기가 상기 저장 케이스(140) 상면을 통해 상기 저장 케이스(140) 외부로 나가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배치된다.
상기 제2단열부재(160)의 측면은 상기 제1단열부재들(120)의 내측면과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즉, 상기 제2단열부재(160)는 상기 제1저장 공간에 배치될 때, 상기 제2단열부재(160)의 측면들이 상기 제1단열부재들(120)과 밀착되지 않고 일정한 간격을 두고 떨어져서 형성된다. 이하에서 설명하겠지만 상기 제2단열부재(160)와 상기 제1단열부재들(120)이 이격되어 형성되는 공간으로 상기 제2단열부재(160) 상에 배치되는 상기 제2피씨엠 모듈(170)로부터 생성된 냉기가 유동하여 하강한다.
상기 제2피씨엠 모듈(170)은 상기 제1저장 공간에서 상기 제2단열부재(160) 상에 밀착 되도록 배치된다. 상기 제2피씨엠 모듈(170)은 상기 제1상변화 물질 및 상기 제3상변화 물질보다 낮은 온도에서 상변화 하는 제2상변화 물질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2피씨엠 모듈(170)은 0도씨 온도의 상변화 물질을 포함한다. 물론 상기 제2상변화 물질은 상기 제1상변화 물질 및 상기 제3상변화 물질의 온도보다 저온이라면 얼마든지 다른 온도로 변경이 가능하다. 상기 제2피씨엠 모듈(170)은 상기 제1피씨엠 모듈(130)과 비교하여 상기 제2상변화 물질이 상기 제1상변화 물질과 다른 것을 제외하고 그 외의 형태나 소재는 모두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피씨엠 모듈(170)이 상기 제1피씨엠 모듈(130) 및 상기 제3피씨엠 모듈(150)보다 상부에 있기 때문에 상기 제2피씨엠 모듈(170)에서 생성된 냉기가 자연스럽게 하강하여 상기 제1피씨엠 모듈(130) 및 상기 제3피씨엠 모듈(150) 방향으로 향한다. 따라서 상기 제1피씨엠 모듈(130) 및 상기 제3피씨엠 모듈(150)은 상기 제2피씨엠 모듈(170)로부터 생성된 냉기를 받아서 장기간 상기 제1피씨엠 모듈(130) 및 상기 제3피씨엠 모듈(150)이 초기에 갖던 온도를 장시간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도 4는 도 1에 따른 보냉 패키징 장치(100)가 결합된 상태에서 냉기가 유동하는 모습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이에 따르면 제2피씨엠 모듈(170)은 0도씨의 상변화 물질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제2피씨엠 모듈(170) 주위의 온도보다 낮은 온도를 갖는다. 따라서 상기 제2피씨엠 모듈(170)에서 생성된 냉기는 상기 제2피씨엠 모듈(170)의 주위 공기보다 무거우므로 자연스럽게 하강한다.
즉, 상기 제2피씨엠 모듈(170)에서 생성된 냉기는 상기 제2단열부재(160)의 측면과 상기 제1단열부재들(120)의 내측면 사이의 이격 공간을 통해 하강한다. 이 때 상기 제2피씨엠 모듈(170)로부터 생성된 냉기가 더 잘 하강 할 수 있도록 상기 제2단열부재(160)의 측면은 상기 제1단열부재들(120)의 내측면과 밀착되지 않고 이격되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단열부재들(120)이 상기 제2단열부재(160)가 배치된 위치보다 더 상부까지 연장되어 있으나, 상기 제1단열부재들(120)은 상기 제2단열부재(160)보다 더 하부까지만 배치될 수도 있다. 이 때는 상기 제2단열부재(160)가 상기 외부 케이스(110)의 내측면과 밀착되지 않고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피씨엠 모듈(170)로부터 생성된 냉기는 상기 제2단열부재들(120) 내측면의 다른 어떤 공기보다 온도가 낮으므로 상기 제2단열부재들(120) 중 하면에 배치되어 있는 상기 제1피씨엠 모듈(130)에까지 상기 제2피씨엠 모듈(170)로부터 생성된 냉기가 잘 전달된다. 따라서 상기 제1피씨엠 모듈(130)들은 상기 제2피씨엠 모듈(170)로부터 공급받은 냉기로 인하여 초기에 5도씨로 설정되어 있던 온도를 장기간 유지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피씨엠 모듈(130)이 장기간 5도씨의 온도를 유지함으로써 상기 저장 케이스(140) 내부에 보관되어 있는 대상물 또한 장기간 요구되는 온도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냉 패키징 장치(200)는 외부케이스(210), 제1단열부재들(220), 제1피씨엠(PCM, Phase Change Material) 모듈들(230), 저온 유지가 요구되는 대상물을 보관하는 저장 케이스(240), 제3피씨엠 모듈(250), 제2단열부재(260) 및 제2피씨엠 모듈(270)을 포함한다. 상기 보냉 패키징 장치(200)는 도 1에 따른 보냉 패키징 장치(100)와 비교할 때 상기 제2단열부재(260)의 구조가 상이하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상기 제2단열부재(260)의 구조 및 이로 인한 효과를 중심으로 설명하고, 그 외 구성 요소들은 상기 도 1에 따른 보냉 패키징 장치(100)의 구성 요소들과 유사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제2단열부재(260)는 단열재 시트(260a) 및 포장재(260b)를 포함한다. 상기 단열재 시트(260a) 및 상기 포장재(260b)는 수지로 형성되되, 그 종류는 제한이 없다. 다만 상기 포장재(260b)의 소재가 되는 수지는 상기 단열재 시트(260a)의 소재가 되는 수지보다 열전도도가 높은 것으로 형성된다.
상기 단열재 시트(260a)는 상기 포장재(260b) 내부에 저장된다. 상기 단열재 시트(260a)는 플레이트 형상의 진공단열패널로 형성된다. 상기 포장재(260a)는 상기 단열재 시트(260a)가 저장 되는 중심부는 두께가 두껍고 가장자리 부분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진다. 물론 상기 포장재(260b)의 형태는 상기 포장재(260b)의 가장자리 부분이 상기 제1단열부재(220)의 내측면에 밀착 되는 구조라면 얼마든지 변경이 가능하다. 즉, 상기 포장재(260b)는 중심부와 가장자리의 두께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포장재(260b)의 폭과 길이는 상기 제1단열부재(220)의 내측면들로 한정되는 공간의 폭과 길이보다 더 크고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상기 제1단열부재(220)의 내측면과 상기 상기 포장재(260b)의 가장자리 부분이 잘 밀착될 수 있다. 상기 제2단열부재(220)는 포장재(260b) 내부에 상기 단열재 시트(260a)를 저장한 후 열압착에 의해 일체로 형성된다. 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제2단열부재(220)의 형성방법을 변경 가능하다.
상기 제2단열부재의 포장재(260b)는 상기 제1단열부재(220)의 내측면에 밀착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포장재(260b)의 상부와 하부는 상기 포장재(260b)에 의해 차단되어 구분된다. 하지만 상기 포장재(260b)의 가장자리 부분에는 상기 단열재 시트(260a)가 저장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상기 포장재(260b)의 중심보다 가장자리 부분에서는 열전달이 더 잘 이루어진다. 즉, 상기 제2피씨엠 모듈(270)에서 생성된 냉기는 상기 포장재(260b)의 가장자리 부분의 단열재 시트(260a)가 저장되어 있지 않은 부분을 통해 하부로 전달된다. 이는 도 4의 보냉 패키징 장치(100)에서와 같이 제2단열부재(160)가 제1단열부재들(120)과 이격되어 있어서 공기가 자유롭게 유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구조에 비해서는 냉기 및 온기의 흐름이 제한적이다. 그러므로 상기 제2피씨엠 모듈(270)에서 생성된 냉기가 도 4에 따른 보냉 패키징 장치(100)의 경우에 비해 더 천천히 상기 제1피시엠 모듈들(230)로 전달된다. 따라서 상기 제1피씨엠 모듈들(230)에 냉기 전달 속도가 느리지만, 상기 제2단열부재(260) 하부에서 상기 제2피씨엠 모듈(270)로 고온의 열이 전달되는 속도도 느려지므로, 상기 제2피씨엠 모듈(270)은 도 4에 따른 제2피씨엠 모듈(170)보다 온도가 더 천천히 올라간다. 그러므로 본 실시예에 따른 보냉 패키징 장치(200)는 도 4에 따른 보냉 패키징 장치(100)에 비해 더 장시간 냉기를 상기 제1피씨엠 모듈들(230)에 공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실시예에서도 상기 제3피씨엠 모듈(250)은 제거될 수도 있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냉 패키징 장치(300)는 외부 케이스(310), 제1단열부재들(320), 내부 케이스(330), 제1피씨엠(PCM, Phase Change Material) 모듈들(340), 저온 유지가 요구되는 대상물을 보관하는 저장 케이스(350) 및 제2피씨엠 모듈(36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보냉 패키징 장치(300)는 제1저장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상기 외부 케이스(310)의 내측면에 제1단열부재들(320)이 배치되고, 상기 제1단열부재들(320)에 의하여 한정된 공간 내에 제2저장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상기 내부 케이스(330)가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내부 케이스(330)의 내측면에는 상기 제1피씨엠 모듈들(340)이 배치되고, 상기 제1피씨엠 모듈들(340)에 의하여 한정된 공간 내에 상기 저장 케이스(350)가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1저장 공간에서 상기 내부 케이스(330)의 상부를 덮도록 상기 제2피씨엠 모듈(360)이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도 상기 제1피씨엠 모듈(340)은 5도씨의 상변화 물질을 포함하고, 상기 제2피씨엠 모듈(370)은 0도씨의 상변화 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물론 상기 제1피씨엠 모듈(340)과 상기 제2피씨엠 모듈(360)의 온도는 상기 제2피씨엠 모듈(370)의 온도가 더 저온인 한도에서 변경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보냉 패키징 장치(300)는 도 5에 따른 보냉 패키징 장치(200)와 비교할 때, 상기 내부 케이스(330)를 더 포함하는 점이 상이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도 5에 따른 보냉 패키징 장치(200)의 제3피씨엠 시트(250)도 제거 되어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상기 내부 케이스(330)의 구조 및 이로 인한 효과를 중심으로 설명하고, 그 외 구성 요소들은 상기 도 5에 따른 보냉 패키징 장치(200)의 구성 요소들과 유사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도 7은 상기 보냉 패키징 장치(300)의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내부 케이스(330)는 상기 제1단열부재들(320)에 의하여 한정된 공간 내에 배치되고, 내부에 제2저장 공간이 형성되는 육면체 형태의 케이스이다. 또한 상기 내부 케이스(330)는 개폐 가능한 덮개를 포함한다. 상기 내부 케이스(330)는 복합단열소재로 형성된다. 물론 상기 내부 케이스(330)의 소재는 합성 수지나 그 외 다른 소재로 얼마든지 변경이 가능하다. 상기 내부 케이스(300)는 상기 제1단열부재들(320)이 상기 제1피씨엠 모듈(340)과 직접 접촉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상기 제1단열부재들(320)이 상기 제1피씨엠 모듈(340)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막는 역할도 한다.
상기 내부 케이스(330)의 덮개는 단열재 시트(330a) 및 외장 시트(330b)를 포함한다. 상기 내부 케이스(330)의 덮개는 도 5의 제2단열부재(260)와 유사한 구조를 갖는다. 즉 상기 단열재 시트(330a)는 도 5의 단열재 시트(260a)와 동일한 소재로 형성되고, 상기 외장 시트(330b)는 도 5의 포장재(260b)와 동일한 소재로 형성된다. 물 론 상기 단열재 시트의 소재는 변경이 가능하다. 상기 단열재 시트(330a)는 상기 외장 시트의 내부에 저장된다. 이 때 상기 단열재 시트(330a)는 상기 외장 시트(330b)의 가장자리 부분에는 배치되지 않는다. 즉 상기 내부 케이스(330) 덮개의 가장자리 부분은 상기 외장 시트(330b)만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외장 시트(330a)는 도 5에 따른 포장재(260b)와 달리 두께가 일정하게 형성된다. 물론 상기 외장 시트(330a)도 상기 포장재(260b)와 같이 가장자리로 갈수록 두께가 얇게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내부 케이스(330)의 덮개는 단열재 역할을 하면서도 상기 내부 케이스(330)의 상부를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내부 케이스(330)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는 점이 독립된 형태로 존재하는 도 5의 제2단열부재(260)와 다르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내부 케이스(330) 덮개는 상기 내부 케이스(330)의 상부를 밀폐한다. 즉, 상기 외장 시트(330b)가 상기 내부 케이스(330)의 측면과 연결되어 상기 내부 케이스(330)의 상부를 밀폐한다. 상기 외장 시트(330b)는 상기 단열재 시트(330a)보다 열전도도가 높은 물질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내부 케이스(330) 상에 배치되어 있는 상기 제2피씨엠 모듈(360)에서 생성된 냉기는 하강하여 상기 내부 케이스(330)의 덮개에 전달된다. 이 때 상기 제2피씨엠 모듈(360)에서 생성된 냉기는 열전도도가 높은 상기 외장 시트(330b)를 통하여 상기 내부 케이스(330) 내부에 배치되어 있는 상기 제1피씨엠 모듈(340)에 전달된다. 즉, 상기 내부 케이스(330)의 덮개는 상기 제2피씨엠 모듈(360)에서 생성된 냉기가 상기 내부 케이스(330) 내부로 직접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는 하지만, 상기 단열재 시트(330a)가 저장된 부분보다 상대적으로 열전도도가 높고 상기 단열재 시트(330a)가 저장되지 않는 부분을 통해 상기 제2피씨엠 모듈(360)에서 생성된 냉기가 상기 내부 케이스(330) 안쪽으로 전달된다. 상기 내부 케이스(330)의 안쪽으로 전달된 냉기는 상기 제1피씨엠 모듈(340)이 초기에 설정된 온도로 장시간 유지될 수 있도록 돕는다.
그리고 상기 저장 케이스(350)와 상기 내부 케이스(330)의 덮개 사이에는 제3상변화 물질이 저장된 제3피씨엠 모듈이 더 포함될 수도 있다. 이 때 상기 제2피씨엠 모듈(360)에 저장된 제2상변화 물질은 상기 제3상변화 물질보다 낮은 온도에서 상변화 한다. 따라서 상기 제3피씨엠 모듈도 상기 제2피씨엠 모듈(360)로부터 생성되어 전달되는 냉기를 받아 장시간 초기에 설정된 온도를 유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보냉 패키징 장치(300)는 상기 제2피씨엠 모듈(360)에서 생성된 냉기가 상기 내부 케이스(330)의 덮개를 통하여 상기 제1피씨엠 모듈(340)에 전달 되므로 도 1에 따른 보냉 패키징 장치(100) 및 도 5에 따른 보냉 패키징 장치(200)에 비해 제2피씨엠 모듈(360)에서 생성된 냉기가 더 천천히 제1피씨엠 모듈(340)에 전달되는 차이가 있다.
도 9 내지 12를 참조하면, 도 9 내지 12는 도 7에 따른 보냉 패키징 장치에 포함되는 내부 케이스(330), 제1피씨엠 모듈들(340) 및 저장 케이스(350)의 실제 사진 모습이다. 상기 제1피씨엠 모듈들(340)이 상기 내부 케이스(330)는 내측면에 밀착되어 배치되고, 상기 제1피씨엠 모듈들(340)에 의해 한정된 공간에 상기 저장 케이스가 배치된다. 상기 저장 케이스(350)가 삽입되어 상기 제1피씨엠 모듈(340)의 일 면과 밀착되면서 상기 제1피씨엠 모듈(340)의 타면은 상기 내부 케이스(330)의 내측면에 밀착되어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제1피씨엠 모듈(340)이 한 쪽 방향으로 기울어지지 않음으로써 상기 제1피씨엠 모듈(340)은 상기 저장 케이스(350)에 균일하게 냉기를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 케이스(350)는 상기 저장 케이스(350)의 제2저장 공간에 배치되어 저온 유지가 요구되는 대상물에 상기 제1피씨엠 모듈(340)에서 생성된 냉기가 직접 전달되는 것을 막아서, 상기 저온 유지가 요구되는 대상물이 요구되는 온도보다 더 낮은 온도로 변하는 것을 막는다. 또한 상기 제1피씨엠 모듈(340)의 일면에 밀착됨으로써, 상기 제1피씨엠 모듈(340) 표면에 결로가 발생하는 것도 방지한다.
상기 내부 케이스(330)의 덮개 내측면의 가장자리에는 벨크로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내부 케이스(330)의 측면들 중 상기 내부 케이스(330)의 덮개가 배치되어 있는 부분을 제외한 다른 측면들의 상부에는, 상기 내부 케이스(330)의 덮개에 형성되어 있는 벨크로의 폭과 일치하도록 돌출되어 연장되는 벨크로가 형성된다. 물론 상기 내부 케이스(330)의 덮개가 배치되어 있는 부분을 제외한 다른 측면들의 상부에 형성된 벨크로 부분은 상기 내부 케이스(330)의 제2저장공간 방향으로 굽어져서 상기 내부 케이스(330)의 덮개에 형성되어 있는 벨크로 부분과 잘 결합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벨크로를 이용하여 상기 내부 케이스(330)는 개폐가 용이하고 상기 내부 케이스(330)의 덮개를 덮은 상태에서 상기 내부 케이스(330)의 덮개가 외부의 충격에 의하더라도 쉽게 열리지 않게하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벨크로를 다른 결합 수단으로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보냉 패키징 장치(300)는 도 1에 따른 보냉 패키징 장치(100) 및 도 5에 따른 패키징 장치(200)에 비해 상기 내부 케이스(330)가 더 포함되어 있어서 단열효과는 더 크고 상기 제1피씨엠 모듈(340)이 더 장시간 초기의 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내부 케이스(330)의 덮개에 상기 단열재 시트(330a)가 내장되어 있으므로 별도의 단열부재를 구비하는 경우보다 구조가 단순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200, 300: 보냉 패키징 장치
110, 210, 310: 외부 케이스
120, 220, 320: 제1단열부재
130, 230, 340: 제1피씨엠 모듈
140, 240, 350: 저장 케이스
150, 250: 제3피씨엠 모듈
160, 260: 제2단열부재
170, 270, 360: 제2피씨엠 모듈
330: 내부 케이스
110a: 쿠션
110b, 140a: 손잡이
260a, 330a: 단열재 시트
260b: 포장재
330b: 외장 시트

Claims (6)

  1. 내부에 제1저장 공간이 형성되고, 일측이 개폐 가능하게 형성되는 외부 케이스;
    상기 외부 케이스의 내측면을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제1단열부재들;
    상기 제1단열부재들의 내측면을 둘러싸도록 배치되고, 상기 외부 케이스 내부의 온도를 저온으로 조절하는 제1상변화 물질이 저장된 제1피씨엠(PCM, Phase Change Material) 모듈들;
    상기 제1피씨엠 모듈들에 의하여 한정된 공간 내에 배치되고, 저온 유지가 요구되는 대상물을 보관할 수 있는 제2저장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저장 케이스;
    상기 제1저장 공간에서 상기 저장 케이스의 상부를 덮도록 배치되는 제2단열부재; 및
    상기 제1저장 공간에서 상기 제2단열부재 상에 배치되되, 상기 제1상변화 물질보다 낮은 온도에서 상변화하는 제2상변화 물질을 포함하여, 상기 제1피씨엠 모듈들에 의한 상기 대상물의 온도 유지 시간을 증가시키는 제2피씨엠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2단열부재의 측면과 상기 제1단열부재의 내측면 사이와, 상기 제2단열부재의 측면과 상기 외부 케이스의 내측면 사이에는 상기 제2피씨엠 모듈에서 생성된 냉기가 상기 제1피씨엠 모듈들로 유입되기 위한 유동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보냉 패키징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저장 케이스와 상기 제2단열부재 사이에 배치되고, 제3상변화 물질이 저장된 제3피씨엠 모듈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2상변화 물질은 상기 제3상변화 물질보다 낮은 온도에서 상변화 하는 보냉 패키징 장치.
  3. 내부에 제1저장 공간이 형성되고, 일측이 개폐 가능하게 형성되는 외부 케이스;
    상기 외부 케이스의 내측면을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제1단열부재들;
    상기 제1단열부재들의 내측면을 둘러싸도록 배치되고, 상기 외부 케이스 내부의 온도를 저온으로 조절하는 제1상변화 물질이 저장된 제1피씨엠(PCM, Phase Change Material) 모듈들;
    상기 제1피씨엠 모듈들에 의하여 한정된 공간 내에 배치되고, 저온 유지가 요구되는 대상물을 보관할 수 있는 제2저장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저장 케이스;
    상기 제1저장 공간에서 상기 저장 케이스의 상부를 덮도록 배치되는 제2단열부재; 및
    상기 제1저장 공간에서 상기 제2단열부재 상에 배치되되, 상기 제1상변화 물질보다 낮은 온도에서 상변화하는 제2상변화 물질을 포함하여, 상기 제1피씨엠 모듈들에 의한 상기 대상물의 온도 유지 시간을 증가시키는 제2피씨엠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2단열부재는,
    단열재 시트; 및
    내부에 상기 단열재 시트를 저장하고, 상기 단열재 시트의 가장자리를 따라 외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단열재 시트보다 열전도도가 높은 물질로 형성되는 포장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단열부재의 포장재가 상기 제1단열부재의 내측면 또는 상기 외부 케이스의 내측면에 밀착되어, 상기 제2피씨엠 모듈에서 생성된 냉기가 상기 제1피씨엠 모듈들로 직접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되, 상기 제2피씨엠 모듈에서 생성된 냉기는 상기 포장재에서 상기 단열재 시트가 위치하지 않는 부분을 통해 상기 제1피씨엠 모듈들로 열전달 되는 보냉 패키징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저장 케이스와 상기 제2단열부재 사이에 배치되고, 제3상변화 물질이 저장된 제3피씨엠 모듈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2상변화 물질은 상기 제3상변화 물질보다 낮은 온도에서 상변화 하는 보냉 패키징 장치.
  5. 내부에 제1저장 공간이 형성되고, 일측이 개폐 가능하게 형성되는 외부 케이스;
    상기 외부 케이스의 내측면을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제1단열부재들;
    상기 제1단열부재들에 의하여 한정된 공간 내에 배치되고, 내부에 제2저장 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개폐 가능한 덮개를 포함하되, 상기 덮개의 내측면에 제2단열부재가 배치되어 있는 내부 케이스;
    상기 내부 케이스의 내측면을 둘러싸도록 배치되고, 상기 내부 케이스 내부의 온도를 저온으로 조절하는 제1상변화 물질이 저장된 제1피씨엠(PCM, Phase Change Material) 모듈들;
    상기 제1피씨엠 모듈들에 의하여 한정된 공간 내에 배치되고, 저온 유지가 요구되는 대상물을 보관할 수 있는 제3저장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저장 케이스; 및
    상기 제1저장 공간에서 상기 내부 케이스의 상부를 덮도록 배치되되, 상기 제1상변화 물질보다 낮은 온도에서 상변화 하는 제2상변화 물질을 포함하여, 상기 제1피씨엠 모듈들에 의한 상기 대상물의 온도 유지 시간을 증가시키는 제2피씨엠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내부 케이스의 덮개는,
    단열재 시트; 및
    내부에 상기 단열재 시트를 저장하고, 상기 단열재 시트의 가장자리를 따라 외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단열재 시트보다 열전도도가 높은 물질로 형성되는 외장 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덮개는 상기 내부 케이스의 상부를 밀폐하여, 상기 제2피씨엠 모듈에서 생성된 냉기가 상기 제1피씨엠 모듈들도 직접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되, 상기 제2피씨엠 모듈에서 생성된 냉기는 상기 외장 시트에서 상기 단열재 시트가 위치하지 않는 부분을 통해 상기 제1피씨엠 모듈들로 열 전달 되는 보냉 패키징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저장 케이스와 상기 내부 케이스의 덮개 사이에 배치되고, 제3상변화 물질이 저장된 제3피씨엠 모듈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2상변화 물질은 상기 제3상변화 물질보다 낮은 온도에서 상변화 하는 보냉 패키징 장치.
KR1020190061346A 2019-05-24 2019-05-24 보냉 패키징 장치 KR2020009340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1346A KR20200093406A (ko) 2019-05-24 2019-05-24 보냉 패키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1346A KR20200093406A (ko) 2019-05-24 2019-05-24 보냉 패키징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0577A Division KR101989583B1 (ko) 2019-01-28 2019-01-28 보냉 패키징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3406A true KR20200093406A (ko) 2020-08-05

Family

ID=720418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1346A KR20200093406A (ko) 2019-05-24 2019-05-24 보냉 패키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9340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0242A (ko) * 2021-05-27 2022-12-06 주식회사 에프엠에스코리아 이동형 보냉 패키징 및 그 보냉 패키징을 이용한 배송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8846B1 (ko) 2014-06-27 2014-12-03 김영수 쇼핑 카트용 보냉 박스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8846B1 (ko) 2014-06-27 2014-12-03 김영수 쇼핑 카트용 보냉 박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0242A (ko) * 2021-05-27 2022-12-06 주식회사 에프엠에스코리아 이동형 보냉 패키징 및 그 보냉 패키징을 이용한 배송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9583B1 (ko) 보냉 패키징 장치
JP5726149B2 (ja) 熱管理システム及び方法
US10962270B2 (en) Transportation box
CN111372867B (zh) 隔热运输箱以及隔热运输箱中的布置
KR102557078B1 (ko) 온도민감성 화물 수송용 접이식 파레트 컨테이너
US20180224178A1 (en) Thermal Container Insulated With Phase Change Material
US9994385B2 (en) Shipping container with multiple temperature zones
US10850047B2 (en) Insulated storage system with balanced thermal energy flow
CN104583096A (zh) 热稳定的航运系统及方法
KR20200093406A (ko) 보냉 패키징 장치
CN104781159A (zh) 货盘负载反应物调节加热
JP2019137458A (ja) 断熱容器、及び断熱容器を用いた運搬方法
JP2019172352A (ja) 定温保管輸送容器
US10913591B2 (en) Temperature controlled case and temperature controlled package including the same
JP4770476B2 (ja) 恒温輸送容器
KR102332259B1 (ko) 감열 제품들을 저장 및 이송하기 위한 컨테이너
US20220194683A1 (en) Insulation container for temperature-controlled transport of pharmaceutical products
AU2016382405A1 (en) Packaging system comprising a plurality of sub units, and a sub unit
JP2016069031A (ja) 多温度帯収納容器及び多温度帯収納容器の形成方法
JP5056934B2 (ja) 恒温輸送容器
FR2847237A1 (fr) Boite isolante pour le transport de produits fragiles et procede de fabrication d'une telle boite
WO2015156646A1 (ko) 보냉용 아이스크림 용기
JP2017128378A (ja) 保冷・保温運搬容器
ES2810702T3 (es) Procedimiento de fabricación de una placa de corcho difusora, una pared de corcho difusora y un recipiente isotérmico que comprende dicha pared
JP2020037446A (ja) 収納箱